[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60768B1 - 차량의 창유리용 와이퍼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창유리용 와이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0768B1
KR100660768B1 KR1020017008202A KR20017008202A KR100660768B1 KR 100660768 B1 KR100660768 B1 KR 100660768B1 KR 1020017008202 A KR1020017008202 A KR 1020017008202A KR 20017008202 A KR20017008202 A KR 20017008202A KR 100660768 B1 KR100660768 B1 KR 1006607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per
hinge bolt
wiper device
bolt
connect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82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99978A (ko
Inventor
드블록페터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100999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99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07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07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40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48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 B60S1/3849Connectors therefor; Connection to wiper arm; Attached to bla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40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 B60S1/4038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 B60S1/4041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the channel-shaped end comprising a pivot pin mounted between the side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48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 B60S1/3849Connectors therefor; Connection to wiper arm; Attached to blade
    • B60S1/3851Mounting of connector to blade assemb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48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 B60S1/3874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with a reinforcing vertebra
    • B60S1/3875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with a reinforcing vertebra rectangular section
    • B60S1/3879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with a reinforcing vertebra rectangular section placed in side grooves in the squeege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창유리를 세척하는 와이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와이퍼 장치(10)는 실질적으로 와이퍼 블레이드(14)의 길이방향에 대한 횡으로, 그리고 와이퍼 장치(10)의 작동 방향(이중 화살표(42))으로 연장된 축을 구비한 힌지 볼트를 갖는 연결 장치(16)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와이퍼 장치는 힌지 볼트(40)용 지지 리세스(54)를 구비한 연결 부품(34)을 포함하며, 상기 힌지 볼트는 조립 채널(48)을 통해 지지 리세스(54)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조립 채널의 삽입구(52)는 창유리로부터 이격되어 마주 놓인 연결 부품의 한쪽에 배치된다. 조립 채널의 횡단면에서 볼 때 조립 채널(48)에는 두 개의 부분 채널(50, 51)들이 제공되며, 이로 인하여 견고한 고정 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부분 채널들은 180o 미만의 각도를 형성한다. 하나의 부분 채널(50)에는 힌지 볼트용 삽입구(52)가 제공되며, 다른 부분 채널(51)은 지지 리세스(54)와 연결된다.
차량의 창유리, 와이퍼 블레이드, 힌지 볼트, 지지 리세스, 연결 부품, 조립 채널, 부분 채널, 고정 장치

Description

차량의 창유리용 와이퍼 장치{Wiping device for glass surfaces of motor vehicles}
본 발명은 청구범위 제 1 항에 따른 와이퍼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지된 상기 방식의 와이퍼 장치(독일특허 제 DE 23 113 689 A1 호)에서, 와이퍼 장치에 부착된 와이퍼 블레이드 또는 상기 블레이드의 연결 부품은 와이퍼 스트립의 베이스 바디 또는 와이퍼 스트립의 헤드 스트립 쪽으로 개방하는 안내 채널을 가지며, 상기 안내 채널 내에서 머리핀 형태의 고정 스프링은 조립 위치와 록킹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상기 고정 스프링은 연결 부품 내에 배치된 리세스의 개방과 폐쇄에 이용되는데, 상기 리세스는 와이퍼 아암 힌지 볼트용 지지 리세스이다. 상기 고정 스프링은 와이퍼 스트립의 헤드 스트립 쪽으로 예비 응력을 받기 때문에, 스프링을 움직이기 위해서는 고무와 스프링 사이의 마찰이 극복되어야 한다. 상기 스프링은 한편으로, 예를 들어 와이퍼 블레이드의 교체시 사용자에게 있어서는 이동이 간편해야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와이퍼가 작동하는 동안 와이퍼 블레이드가 와이퍼 아암으로부터 의도치 않게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스프링은 채널 벽에 형성된 지지 리세스를 확실하게 폐쇄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상호 대립되는 조건들은 동시에 만족스럽게 충족되지 못하고 있다.
청구범위 제 1 항의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에서, 창유리에 대하여 수직으로 볼 때 조립 채널 내에 힌지 볼트를 고정하는 것은 지지 리세스 내로 통하는 다른 부분 채널의 채널 벽에 의해 보장된다. 와이퍼 아암의 고정 숄더는 와이퍼가 작동하는 동안 와이퍼 블레이드의 대응 숄더와 협동하여 지지 리세스로부터 힌지 볼트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힌지 볼트를 그의 지지 리세스 내에 특히 양호하게 고정하기 위하여, 지지 리세스 내로 통하는 다른 부분 채널이 창유리에 대해 적어도 거의 평행한 평면에서 연장된다.
삽입구를 갖는 부분 채널이 창유리에 대해 수직인 평면에서 연장되는 경우에, 와이퍼 블레이드는 와이퍼 아암과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양 부분 채널들이 90o 각도 α를 이룰 때, 와이퍼 아암과 와이퍼 블레이드가 특히 확실하게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연결 부품은 탄성적으로 굽혀지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며, 조립 채널은 그 폭에서 힌지 볼트의 직경보다 작은 폭을 갖는 부분 병목부를 갖는다. 이로 인하여, 와이퍼 아암이 창유리로부터 분리될 때 와이퍼 블레이드가 와이퍼 아암으로부터 의도치 않게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 이유는 힌지 볼트가 병목부의 일시적인 확대 하에 와이퍼 블레이드의 지지 리세스 내로 맞물리기 때문이다.
또한, 와이퍼 아암의 고정 숄더가 힌지 볼트와 와이퍼 아암의 안내된 단부 사이에 배치되는 경우에 와이퍼 장치의 특히 콤팩트한 구조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의 대응 숄더가 연결 부품에 형성되는 경우, 제조 기술적인 면에서 장점이 얻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와이퍼 아암은 그 자유 단부에 U 형상의 횡단면을 가지며, 상기 U 형상 횡단면의 양 U 레그들은 연결 부품의 길이 방향 측면과 겹치면서 U 베이스로부터 창유리까지 연장되고 양 U 레그들에는 지지 볼트의 단부들이 지지된다. 이로 인하여, 와이핑 동작 동안 와이퍼 블레이드를 특히 양호하게 안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선예에서, 와이퍼 아암의 고정 숄더는 지지 볼트의 외장면에 형성되고, 상기 지지 볼트는 힌지 볼트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힌지 볼트의 양 단부들이 와이퍼 아암의 양 U 레그들에 지지된다. 이러한 조치에 의해, 복잡한 제조 또는 조립 단계가 생략된다.
또한, 와이퍼 블레이드의 대응 숄더가 연결 부품 내에 배치되며 창유리로부터 이격된, 연결 부품의 측면들 쪽으로 개방하는 횡 슬롯의, 힌지 볼트로부터 이격된 측벽에 형성되는 경우, 와이퍼 블레이드의 대응 숄더 형성시 제조가 더욱 간단해진다.
와이퍼 아암의 고정 숄더는 힌지 볼트의 축을 중심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의 피보트 운동 동안 와이퍼 블레이드의 대응 숄더와 항상 협동할 수 있도록, 횡 슬롯이 힌지 볼트와 지지 볼트 사이의 거리에 상응하는 반경을 갖는 원형 궤도상에서 상기 슬롯의 구멍으로부터 슬롯의 바닥까지 연장된다. 이로 인하여, 와이퍼 아암과 와이퍼 블레이드 사이에서의 힌지 결합이 와이퍼 장치의 모든 작동 위치에서 항상 유격 없이 유지될 뿐만 아니라 힌지 볼트 베어링의 부하를 경감시킨다.
와이퍼 장치의 특히 낮은 구조와 이로 인한 장점을 얻기 위하여, 연결 부품은 밴드 형태의 길게 연장된 스프링 탄성의 와이퍼 스트립용 지지 소자의, 창유리로부터 이격된 상부 밴드 측면에 배치된다. 와이퍼 스트립은 지지 소자의, 창유리를 향하는 반대편 하부 밴드 측면에 위치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 및 개선예는 해당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의 하기 상세한 설명에 제시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장치의 측면도.
도 2는 도 1에서 II로 표시된 부분을 확대 도시한 것으로서, 와이퍼 아암과 와이퍼 블레이드가 작동 상태에 있는, 와이퍼 블레이드의 길이방향 부분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따른 구조를 선 III-III를 따라 절취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와이퍼 장치에 포함된 와이퍼 아암의 자유 단부를 부분적으로 절단하여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와이퍼 장치에 포함된 와이퍼 블레이드측 연결 부품을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도 5에 따른 연결 부품을 선 VI-VI를 따라서 절취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도 5에 따른 연결 부품을 선 VII-VII를 따라서 절취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8 내지 도 10은 와이퍼 블레이드와, 와이퍼 아암의 자유 단부 사이의 조립 단계를 가진 연결 부품과 와이퍼 아암의, 도 2에 상응하는 부분 단면도.
도 1에 도시된 와이퍼 장치(10)에는 단부측으로 차량에 안내되어 구동하는 와이퍼 아암(12)이 포함되고, 상기 와이퍼 아암은 도 1에서는 간단하게 도시된다. 와이퍼 아암(12)의 자유 단부는 도 1에서 도면부호 11로 표시된다. 차량에 안내된 와이퍼 아암의 다른 쪽 단부는 도면부호 13으로 표시된다. 실시예에서 와이퍼 아암은 단부(13)에 위치한 진자 운동 축(15)을 중심으로 도면 평면에 대해 횡으로 진자 운동한다. 또한, 상기 와이퍼 장치(10)에는 길게 연장된 와이퍼 블레이드(14)가 포함되며,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는 연결 장치(16)에 의해 와이퍼 아암(12)의 자유 단부와 힌지식으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와이퍼 아암(12)과 와이퍼 블레이드(14) 역시 화살표(19) 방향으로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창유리(20)를 향해 부하를 받고(도 1), 상기 유리창의 와이핑될 표면은 도 1에서 선(21)으로 도시된다. 이 선 (21)은 창유리 표면의 가장 큰 곡률을 나타내기 때문에, 창유리에 부하를 받지 않고 밀착된 와이퍼 블레이드(14)의 양 단부들의 곡률은 창유리의 최대 곡률보다 크다. 접촉력(화살표 19) 하에서, 와이퍼 블레이드의 와이퍼 립(26)이 그 전체 길이에 걸쳐서 와이퍼 창유리 표면(21)에 밀착된다. 와이퍼 스트립(18)을 위한 길게 연장된 스프링 탄성 지지 소자(32)에 응력이 형성되고, 상기 응력은 와이퍼 스트립 또는 와이퍼 립을 이들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차량의 창유리에 균일하게 밀착시킨다. 일반적으로, 구형으로 만곡된 창유리가 구 표면의 일부가 아니기 때문에, 와이퍼 블레이드(14)는 와이핑 운동하는 동안 와이퍼 아암(12)에 대하여 각각의 위치에서, 또는 창유리 표면(21) 상에서의 각각의 경로에 따라 조정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연결 장치(16)는 동시에 와이퍼 아암(12)과 와이퍼 블레이드(14) 사이의 힌지 결합부로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의 힌지 축은 실질적으로 와이핑 방향으로 연장됨으로써, 와이퍼 블레이드는 와이핑 동안 상기 축을 중심으로 이중 화살표(17)의 방향으로 진자운동 할 수 있다(도 1). 특히 도 2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와이퍼 블레이드(14)는 길게 연장된 고무 탄성의 와이퍼 스트립(18)을 가지며, 상기 스트립에 의해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는 도 1에 도시된, 와이핑 될 창유리(20)에 밀착될 수 있다. 와이퍼 스트립(18)은 틸팅 리브(24)에 의해 고유의 와이핑 작업을 수행하는 와이퍼 립(26)과 결합된 헤드 스트립(22)을 갖는다. 또한, 도 3에서는 헤드 스트립(22)의 길이방향 측면에서 창유리(20)에 수직으로 배치된 대칭면에 대하여 서로 마주 놓인 두 개의 길이방향 슬롯(28)이 배치되며, 상기 슬롯은 밴드 형태의 길게 연장된 각각의 탄성 레일(30)을 수용하는데 이용되는 것을 알 수 있다. 탄성 레일(30)들은 와이퍼 스트립(18)용 지지 소자(32)를 함께 구성한다. 상기 지지 소자(32)는 밴드 형태로 길게 연장된 탄성 레일로서 형성될 수 있으며, 특히 낮은 구조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또한 이로 인하여 와이퍼 장치의 바람직한 구조가 가능하다. 실시예에서와 같이, 지지 소자(32)가 다수의 길이방향 탄성 레일(30)로 구성되는지 또는 창유리(20)를 향한 하측면에 와이퍼 스트립이 고정되는 하나의 단일 탄성 밴드로 구성되는지는 중요하지 않다. 탄성 레일(30)의 서로 이격된 외부 길이방향 모서리는 와이퍼 블레이드의 중간 부분에서 이 와이퍼 블레이드의 길이방향 슬롯(28)으로부터 돌출된다. 또한, 도 1 내지 도 3은 와이퍼 블레이드(14)의 중간 길이방향 부분에서 창유리로부터 이격된, 지지 소자(32)의 상부 밴드 측면에 연결 장치(16)에 속하는 연결 부품(34)이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다. 실질적으로 블록 형태의 이 연결 부품(34)은 클로 형태의 돌기(36)를 통하여 탄성 레일(30)의 외부 2개의 자유 단부 영역들을 둘러싸고 길이방향 슬롯(28) 내에 고정한다. 상기 연결 부품(34)은 적절한 방법으로 탄성 레일(30)과 견고하게 결합되며, 따라서 와이퍼 블레이드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될 수 없다. 연결 부품(34)이 배치될 수 있는 상기 중간 부분은 소정의 길이방향 부분을 거쳐서 양 와이퍼 블레이드의 단부들 사이로 연장되고, 이것은 각각의 경우에 와이퍼 블레이드의 형상에 따라서 결정된다. 도 2와 도 3은 연결 부품(34) 또는 연결 장치(16)의 형상을 도시하며, 이 중에서도 도 2는 길이방향 슬롯 내에 형성된 연결 부품을 도시하는 한편, 창유리(20)를 향하는, 지지 소자(32)의 밴드 측면에 배치된 와이퍼 스트립(18)은 탄성 레일(32)과 함께 도시된다. 와이퍼 아암(12)은 그 자유 단부(11)에서 U 형상의 횡단면(도 2 내지 도 4)을 갖기 때문에, 서로 일정 거리(35)만큼 이격되어 대향 배치되며, 와이퍼 아암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두 개의 U 레그(37)가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U 레그는 창유리로부터 이격된, 와이퍼 아암(12)의 상측면에서 U 베이스(87)를 통하여 서로 결합된다. 2개의 U 레그(37)에는 와이퍼 아암(12)의 자유 단부(11) 근처에서 힌지 볼트(40)의 2개의 단부가 지지된다. 상기 힌지 볼트(40)는 실질적으로 와이퍼 아암의 운동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방향은 도 4에서 이중 화살표(42)로 표시된다. 와이퍼 블레이드(14)를 와이퍼 아암(12)에 용이하게 조립하기 위하여, 힌지 볼트(40)의 영역에서 와이퍼 아암(12)의 자유 단부(11)에는 U 베이스(38)가 제거된다(도 4).
연결 부품(34)은 이하에서 특히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상기 연결 부품은 클로(36)를 구비한 블록 형태의 몸체(44)를 가지며, 상기 클로에 의해 상기 몸체는 상술한 방식으로 와이퍼 블레이드(14)의 지지 소자(32)와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지지 소자(32)을 거쳐서 돌출된 헤드 스트립(22)의 일부분을 수용하기 위하여, 상기 몸체(44)는 그 하측면에서 슬롯 형태의 길이방향 리세스(39)를 갖는다(도 6 및 도 7). 상기 몸체(44)의 길이방향에서 볼 때, 상기 몸체는 지지 클로(36)로부터 이격된 그 상측면(49)에서 와이퍼 장치가 작동하는 동안 와이퍼 아암(12)의 전방 단부 에지를 덮는 돌출부(46)를 갖는다(도 2). 길이방향 중간 부분에서, 상기 몸체(44)에는 조립 채널(48)이 제공되며, 상기 조립 채널은 연결 부품(34)의 길이에 대해 횡으로 배치된다. 조립 채널(48)은 몸체(44)의 상측면(49) 쪽으로 개방된다. 상기 조립 채널은 두 개의 부분 채널(50, 51)을 가지며, 이들 중 제 1 부분 채널(50)은 상측면(49)에서 통해 있고, 다른 부분 채널(51)의 경로와 연결된다. 상기 다른 부분 채널(51)은 창유리와 적어도 거의 평행한 평면에서 연장되는 한편, 상측면(49)의 삽입구(52)를 갖는 부분 채널(48)은 창유리(20)에 수직인 평면에서 연장된다. 특히, 도 2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다른 부분 채널(51)의 경로는 와이퍼 아암(12)의 진자 운동 축(15; 도 1)과 반대편에 있고 보어 형태의 지지 리세스(54) 내로 통해 있다. 또한, 상기 양 부분 채널(50, 51)들은 예를 들어 90o 의 각도 α를 형성한다. 또한, 도 6에서는 다른 부분 채널(51)과 지지 리세스(54) 사이의 전환 영역에 병목부(53)가 제공된 상태를 도시하며, 상기 병목부는 부분 채널(51)의 폭을 제한하기 때문에 지지 리세스(54)의 벽은 180o 이상의 랩각(wrap angle)을 갖는다. 조립 채널(48)과 이격되어, 즉 진자 운동 축(15)을 향해, 연결 부품(34)의 몸체(44)에는 횡방향 슬롯(55)이 배치되며, 상기 슬롯 또한 몸체(44)의 상측면(49)에서 통해 있다. 상기 횡방향 슬롯(55)은 그 오리피스(orifice) 또는 개구로부터 원형 궤도상에서 슬롯 베이스(56)까지 연장되며, 상기 슬롯의 중심은 보어 형태의 지지 리세스(54)의 중심과 일치한다(도 8). 도 4와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힌지 볼트(40)와 거리(59)를 갖고, 힌지 볼트와 와이퍼 아암(12)의 안내 단부(13) 사이에서 와이퍼 아암(12)의 자유 단부(11) 상에 지지 볼트(58)가 배치되며, 상기 지지 볼트의 양 단부들도 와이퍼 아암 단부(11)의 U 레그(37)에 지지된다. 상기 지지 볼트(58)는 실질적으로 힌지 볼트(40)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된다. 상기 지지 볼트(58)와 힌지 볼트(40) 사이의 축 거리는 도 8에서 도면부호 59를 갖는다. 이 축 거리(59)는 횡방향 슬롯(55)이 이 슬롯의 깊이만큼 연장된 원형 궤도의 반경(60)에 상응한다(도 8).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14)를 와이퍼 아암(12)에 연결하기 위하여, 이들 양 부품들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일정 위치에 있어야 한다. 그리고 나서 와이퍼 블레이드(14)는 연결 부품(34)과 함께 화살표(61)의 방향을 따라서 힌지 볼트(40)가 삽입구(52)를 거쳐서 조립 채널(48) 내에 도달하도록(도 9와 참조) 와이퍼 아암(12)쪽으로 움직인다. 그 후, 와이퍼 블레이드는 그 연결 부품(34)과 함께 화살표(62)의 방향으로 힌지 볼트(40)까지 이동되어 지지 리세스(54) 내에 위치한다. 연결 부품(34)이 소정의 탄성을 가지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되기 때문에 상기 병목부(53)는 극복될 수 있고, 그 결과 힌지 볼트는 소정의 힘을 사용하여 상기 병목부를 일시적으로 확장할 수 있고, 이때 상기 병목부의 폭은 힌지 볼트(40)의 폭보다 작다. 도 10에 도시된 지지 위치에서, 병목부가 최초의 형상을 취함으로써, 힌지 볼트(40)는 지지 리세스(54)에 의해서 180o 이상으로 포위된다. 이로 인하여, 힌지 볼트의 록킹은 그 지지 위치에서 달성되고, 상기 위치에서 와이퍼 블레이드(14)가 와이퍼 아암(12)으로부터 의도치 않게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와이퍼 장치(10)는 그 중간 조립 위치(도 10)로부터 최종 작동 위치에 도달하기 때문에, 와이퍼 블레이드(14)는 와이퍼 아암(12)에 대항하여 화살표(63)의 방향으로 피보트 되어야 하며, 지지 볼트(58)은 횡방향 슬롯(55)에 도달한다(도 2). 횡방향 슬롯(55)은 몸체(44)의 상측면(49)의 그 오리피스에 병목부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병목부는 조립 채널(48)의 병목부(53)와 일치하지만, 상기 병목부의 최소 크기는 지지 볼트(58)의 직경에 따라서 조정되어야 한다. 또한, 와이퍼 블레이드(14)는 피보팅 운동(도 1에서 이중 화살표;17)을 실시하기 때문에, 힌지 볼트(40) 또는 상기 볼트의 길이방향 축은 힌지축을 형성한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와이퍼 장치(10)의 작동 위치에서, 와이퍼 아암(12)의 자유 단부(11)의 양 U 레그(37)는 연결 부품(34)의 길이방향 측벽에 유격없이 겹쳐지기 때문에, 와이핑 동작 동안 와이퍼 블레이드(14)가 양호하게 안내될 수 있다(도 4에서 이중 화살표;42). 상기 횡방향 슬롯(55)의 폭이 지지 볼트(58)의 직경에 따라서 조정되기 때문에, 지지 볼트(58)의 외장면은 와이퍼 블레이드의 대응 숄더가 배치된 지지 리세스(54) 내에서 힌지 볼트(40)를 고정하기 위한 숄더(65)를 형성한다. 와이퍼 블레이드의 상기 대응 숄더는, 와이퍼 장치(10)가 작동 위치에 있을 경우(도 2), 힌지 볼트(40) 또는 지지 리세스(54)로부터 이격된, 횡방향 슬롯(55)의 측벽(66)에 형성되어 와이퍼 아암(12)의 고정 숄더와 협동한다. 상기 횡방향 슬롯(55)의 깊이는 창유리 곡선에 와이퍼 블레이드가 밀착되기 위해 필요한 최대 피보팅 운동(도 2에서 각도 β)이 제한 없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본 실시예로부터 조립 채널(48)은 횡단면에서 볼 때 두 개의 부분 채널(50, 51)을 갖는 것을 명확히 알 수 있으며, 상기 채널들은 적어도 180o 미만의 각도 α를 이루고, 이때 하나의 부분 채널(50)은 삽입구(52)를 구비하는 한편, 다른 부분 채널(51)은 지지 리세스(54)와 통해 있으며, 와이퍼 장치의 작동 위치에서 와이퍼 블레이드에 대해 횡으로 배치된 삽입구(52)를 구비하고, 상기 힌지 볼트(40)를 지지 리세스(54) 내에 고정하는, 와이퍼 아암(12)의 숄더(65)는 상기 와이퍼 아암에 할당되며 측벽(66)으로 형성된, 와이퍼 블레이드의 대응 숄더와 협동한다.

Claims (13)

  1. 차량의 창유리(20)용 와이퍼 장치(10)로서, 차량에 안내된, 구동 가능한 와이퍼 아암(12)을 구비하며, 상기 와이퍼 아암의 자유 단부(11)에는 와이퍼 스트립(18)으로 상기 창유리(20)에서 밀착 가능하고 길게 연장된 와이퍼 블레이드(14)가 연결 장치(16)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연결 장치는 암측으로 힌지 볼트(40)를 구비하고, 상기 힌지 볼트의 힌지 축은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14)의 길이방향에 대해 횡으로 상기 와이퍼 장치(10)의 작동 방향(이중 화살표;42)으로 연장되고, 상기 연결 장치는 와이퍼 블레이드측으로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의 중간 부분에서, 창유리로부터 이격된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측면에 힌지 볼트(40)용 지지 리세스(54)를 가진 연결 부품(34)을 구비하며, 상기 힌지 볼트는 조립 채널(48)을 거쳐서 상기 지지 리세스(54) 내에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조립 채널의 삽입구(52)는 상기 연결 부품(34)의, 창유리(20)로부터 이격된 측면에 배치되는 차량의 창유리용 와이퍼 장치(10)에 있어서,
    상기 조립 채널(48)에는 횡단면에서 볼 때 180o 미만의 각도 α를 형성하는 두 개의 부분 채널(50, 51)들이 제공되며, 상기 부분 채널들 중 하나의 부분 채널(50)은 상기 힌지 볼트용 삽입구(52)를 구비하고, 다른 부분 채널(51)은 상기 지지 리세스(54)와 통해 있으며,
    작동 위치에서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에 대해 횡으로 배치된, 상기 힌지 볼트를 그의 지지 리세스 내에서 고정하는, 상기 와이퍼 아암(12)의 숄더(65)는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14)의 대응 숄더(66)와 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창유리용 와이퍼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리세스(54)와 통해 있는 상기 다른 부분 채널(51)은 상기 창유리(20)에 대해 적어도 거의 평행한 평면에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차량의 창유리용 와이퍼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구(52)를 포함하는 상기 부분 채널(50)은 상기 창유리(20)에 대해 수직인 평면에서 연장되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창유리용 와이퍼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양 부분 채널(50, 51)들은 90o의 각도 α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창유리용 와이퍼 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품(34)은 탄성적으로 굽혀지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며,
    상기 조립 채널(48)은 그 폭에서 상기 힌지 볼트(40)의 직경보다 작은 폭을 갖는 부분 병목부(5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창유리용 와이퍼 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퍼 아암(12)의 상기 고정 숄더(65)는 상기 힌지 볼트(40)와 상기 와이퍼 아암(12)의 안내된 단부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창유리용 와이퍼 장치.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14)의 상기 대응 숄더(66)는 상기 연결 부품(34)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창유리용 와이퍼 장치.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퍼 아암(12)은 그 자유 단부(11)에서 U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상기 단면의 양 U 레그(37)는 상기 연결 부품(34)의 길이방향 측면과 겹쳐면서 U 베이스(38)로부터 상기 창유리(20)로 연장되며,
    상기 양 U 레그(37)에는 상기 힌지 볼트(40)의 단부들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창유리용 와이퍼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퍼 아암(12)의 상기 고정 숄더(65)는 지지 볼트(58)의 외장면에 형성되며, 상기 지지 볼트는 상기 힌지 볼트(40)로부터 일정 거리(59) 이격되어 배치되고 그 양 단부들이 상기 와이퍼 아암(12)의 상기 양 U 레그(37)에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창유리용 와이퍼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14)의 상기 대응 숄더(66)는 상기연결 부품(34) 내에 배치되며, 상기 창유리(20)로부터 이격된, 상기 연결 부품의 측면으로 개방된 횡방향 슬롯(55)의, 힌지 볼트(40)로부터 이격된 측벽에 형성되는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창유리용 와이퍼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 슬롯(55)은 그 개구로부터 슬롯 베이스(56) 쪽으로 원형 궤도상에서 연장되며, 상기 원형 궤도의 반경(60)은 상기 힌지 볼트(40)와 상기 지지 볼트(58) 사이의 상기 거리(59)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창유리용 와이퍼 장치.
  12.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품(34)은 상기 와이퍼 스트립(18)을 위한 밴드형으로 길게 연장된 스프링 탄성 지지 소자(32)의, 상기 창유리(20)로부터 이격된 밴드 측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장치.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볼트(59)의 직경은 상기 힌지 볼트(40)의 직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장치.
KR1020017008202A 1999-10-28 2000-09-28 차량의 창유리용 와이퍼 장치 KR1006607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952054A DE19952054A1 (de) 1999-10-28 1999-10-28 Wischvorrichtung für Scheiben von Kraftfahrzeugen
DE19952054.2 1999-10-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9978A KR20010099978A (ko) 2001-11-09
KR100660768B1 true KR100660768B1 (ko) 2006-12-26

Family

ID=7927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8202A KR100660768B1 (ko) 1999-10-28 2000-09-28 차량의 창유리용 와이퍼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634056B1 (ko)
EP (1) EP1163132B1 (ko)
JP (1) JP4813719B2 (ko)
KR (1) KR100660768B1 (ko)
CN (1) CN1174886C (ko)
BR (1) BR0007262A (ko)
CZ (1) CZ297069B6 (ko)
DE (2) DE19952054A1 (ko)
WO (1) WO200103062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332077B1 (de) * 2000-10-28 2005-07-20 Robert Bosch Gmbh Vorrichtung zum verbinden eines wischerarms mit einem wischblatt, sowie ein wischblatt beziehungsweise ein wischerarm
EP1256497B1 (en) 2001-05-08 2005-07-20 Federal-Mogul S.A. Windscreen wiper device
JP4067912B2 (ja) * 2002-08-19 2008-03-26 日本ワイパブレード株式会社 ワイパーブレード用の結合部材及びワイパーブレード
FR2847221B1 (fr) * 2002-11-19 2006-08-04 Valeo Systemes Dessuyage Essuie-glace de vehicule comportant un bras et un connecteur d'articulation realises d'une piece par moulage en matiere plastique
AU2003288140A1 (en) * 2002-11-26 2004-06-18 Valeo Wischersysteme Gmbh Device for detachably linking a wiper blade with a driven wiper arm
DE10362341B3 (de) * 2002-11-26 2023-02-09 Valeo Wischersysteme Gmbh Wischerblatt
DE10259477B4 (de) * 2002-12-19 2020-12-10 Robert Bosch Gmbh Verhinderungsanordnung einer Wischvorrichtung für Scheiben von Kraftfahrzeugen
FR2850341B1 (fr) * 2003-01-28 2005-04-22 Journee Paul Dispositif de securisation de la liaison d'un balai sur un bras d'essuie-glace
US20060130263A1 (en) * 2004-12-17 2006-06-22 Coughlin Timothy J Wiper coupler and wiper assembly incorporating same
US7774892B2 (en) * 2005-04-04 2010-08-17 Trico Products Corporation Wiper coupler and wiper assembly incorporating same
CA2541641C (en) 2005-04-04 2014-02-11 Trico Products Corporation Wiper coupler and wiper assembly incorporating same
JP4981061B2 (ja) * 2005-12-15 2012-07-18 ローベルト ボツシユ ゲゼルシヤフト ミツト ベシユ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ワイパアームのための接続装置
US8122560B2 (en) * 2006-08-04 2012-02-28 Dongguan Hongyi Wiper Co., Ltd. Windshield wiper bridge base assembly
US20080028564A1 (en) * 2006-08-04 2008-02-07 Shu-Lan Ku Wiper blade support structure
KR100763742B1 (ko) * 2006-12-07 2007-10-04 최양규 와이퍼 블레이드
US8042218B2 (en) 2007-04-05 2011-10-25 Trico Products Corporation Wiper assembly having side-saddle coupler
FR2916715B1 (fr) * 2007-05-31 2010-02-12 Valeo Systemes Dessuyage Socle de connexion destine a cooperer avec un adaptateur pour former avec celui-ci un connecteur mecanique pour un balai d'essuie-glace pour vehicule automobile
DE102008033634A1 (de) * 2008-07-17 2010-01-21 Volkswagen Ag Anschlussvorrichtung für ein Wischerblatt
DE102009001809A1 (de) * 2009-03-24 2010-09-30 Robert Bosch Gmbh Anschlussvorrichtung zum gelenkigen Verbinden eines Wischarms mit einem Wischblatt nach einem Sidelockprinzip
KR101098004B1 (ko) 2009-08-26 2011-12-22 주식회사 캐프 차량 와이퍼용 멀티 어댑터
ES2701435T3 (es) 2009-08-27 2019-02-22 Trico Products Corp Conjunto de limpiaparabrisas
KR100985317B1 (ko) * 2010-02-18 2010-10-04 (주) 보쉬전장 와이퍼암과 와이퍼블레이드 연결용 연결 장치
KR200456783Y1 (ko) 2010-04-12 2011-11-22 박세헌 와이퍼 클램핑 장치
US8397341B2 (en) 2010-05-13 2013-03-19 Trico Products Corporation Beam blade windshield wiper assembly
US8261403B2 (en) 2010-05-13 2012-09-11 Trico Products Corporation Beam blade windshield wiper assembly
USD706200S1 (en) 2010-09-22 2014-06-03 Pylon Manufacturing Corporation Windshield wiper cover
DE102010062925A1 (de) * 2010-12-13 2012-06-14 Robert Bosch Gmbh Wischvorrichtung
US9174609B2 (en) 2011-04-21 2015-11-03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with cover
US9457768B2 (en) 2011-04-21 2016-10-04 Pylon Manufacturing Corp. Vortex damping wiper blade
CN102416930B (zh) * 2011-05-19 2014-02-26 汪玉华 汽车用雨刷器及其制造方法
US9174611B2 (en) 2011-07-28 2015-11-03 Pylon Manufacturing Corp. Windshield wiper adapter, connector and assembly
US8806700B2 (en) 2011-07-29 2014-08-19 Pylon Manufacturing Corporation Wiper blade connector
CA2843637C (en) 2011-07-29 2018-12-11 Pylon Manufacturing Corp. Windshield wiper connector
US9108595B2 (en) 2011-07-29 2015-08-18 Pylon Manufacturing Corporation Windshield wiper connector
KR101350276B1 (ko) * 2011-11-09 2014-01-13 케이씨더블류 주식회사 차량용 와이퍼 커넥터
US10723322B2 (en) 2012-02-24 2020-07-28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with cover
US20130219649A1 (en) 2012-02-24 2013-08-29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RU2577981C1 (ru) 2012-02-24 2016-03-20 Пилон Мануфэкчуринг Корп. Щетка стеклоочистителя
DE102012205628A1 (de) * 2012-04-05 2013-10-10 Robert Bosch Gmbh Wischblattvorrichtung
DE102012106837A1 (de) * 2012-07-27 2014-05-15 Valeo Wischersysteme Gmbh Wischblatt zum Reinigen von Fahrzeugscheiben
US10829092B2 (en) 2012-09-24 2020-11-10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with modular mounting base
US9221429B2 (en) 2012-11-15 2015-12-29 Trico Products Corporation Wiper coupler assembly and wiper assembly incorporating same
USD702618S1 (en) 2012-11-15 2014-04-15 Trico Products Corporation Wiper blade coupler
US9533655B2 (en) 2012-12-04 2017-01-03 Trico Products Corporation Wiper coupler adapter and wiper assembly incorporating same
US9260084B2 (en) 2013-01-03 2016-02-16 Trico Products Corporation Wiper coupler adapter and wiper assembly incorporating same
US10166951B2 (en) 2013-03-15 2019-01-01 Pylon Manufacturing Corp. Windshield wiper connector
US9227599B2 (en) 2013-05-02 2016-01-05 Trico Products Corporation Mounting assembly for wiper blade and wiper arm
KR101474838B1 (ko) 2013-07-01 2014-12-22 주식회사 캐프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US9493140B2 (en) 2013-12-02 2016-11-15 Trico Products Corporation Coupler assembly for wiper assembly
US9505380B2 (en) 2014-03-07 2016-11-29 Pylon Manufacturing Corp. Windshield wiper connector and assembly
US9434355B2 (en) 2014-04-01 2016-09-06 Trico Products Corporation Wiper adapter and wiper assembly incorporating the same
US9539987B2 (en) 2014-04-01 2017-01-10 Trico Products Corporation Wiper adapter and wiper assembly incorporating the same
US9663071B2 (en) 2014-05-29 2017-05-30 Trico Products Corporation Wiper adapter and wiper assembly incorporating same
USD777079S1 (en) 2014-10-03 2017-01-24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frame
USD787308S1 (en) 2014-10-03 2017-05-23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package
JP6055044B1 (ja) * 2015-07-27 2016-12-27 日本ワイパブレード株式会社 ワイパー組み立て体
DE102015215103A1 (de) * 2015-08-07 2017-02-09 Robert Bosch Gmbh Wischblattadapter
US10363905B2 (en) 2015-10-26 2019-07-30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AU2017268019A1 (en) 2016-05-19 2018-11-22 Pylon Manufacturing Corp. Windshield wiper connector
CN109715449A (zh) 2016-05-19 2019-05-03 电缆塔制造有限公司 挡风玻璃雨刮器连接器
CN109311452A (zh) 2016-05-19 2019-02-05 电缆塔制造有限公司 挡风玻璃雨刮器连接器
US11040705B2 (en) 2016-05-19 2021-06-22 Pylon Manufacturing Corp. Windshield wiper connector
US10717414B2 (en) 2016-05-19 2020-07-21 Pylon Manufacturing Corporation Windshield wiper blade
CN108501877B (zh) * 2017-02-28 2019-12-03 泰祥汽车配件(深圳)有限公司 刮水片
CN109159760A (zh) * 2018-09-04 2019-01-08 罗向东 一种雨刷接头
FR3105768B1 (fr) 2019-12-27 2022-06-17 Valeo Systemes Dessuyage Système d'essuyage pour véhicule automobile
DE102021101016A1 (de) 2021-01-19 2022-07-21 Valeo Wischersysteme Gmbh Wischblatt und Wischeinrichtung zur Reinigung einer Fahrzeugscheibe sowie Verfahren zur Montage eines Wischblatts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74341A (en) * 1956-09-24 1961-03-14 Gen Motors Corp Connector for windshield wiper blade
US2946078A (en) * 1957-01-23 1960-07-26 Trico Products Corp Windshield wiper
US2932843A (en) * 1957-02-05 1960-04-19 Zaiger Max Windshield wiper arm connector
DE2313689A1 (de) 1973-03-20 1974-10-03 Bosch Gmbh Robert Loesbare verbindung zwischen dem wischblatt und dem wischarm einer wischanlage
US4195382A (en) * 1978-10-12 1980-04-01 The Anderson Company Of Indiana Removable plastic connector
FR2451297A1 (fr) 1979-03-15 1980-10-10 Ducellier & Cie Dispositif de retenue et d'articulation d'un balai d'essuie-glace
FR2738201B1 (fr) * 1995-08-30 1997-10-03 Valeo Systemes Dessuyage Essuie-glace pour vehicule automobile comportant un connecteur muni d'un capot articule perfection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50011510D1 (de) 2005-12-08
DE19952054A1 (de) 2001-05-03
WO2001030623A1 (de) 2001-05-03
EP1163132B1 (de) 2005-11-02
CN1335815A (zh) 2002-02-13
EP1163132A1 (de) 2001-12-19
CZ297069B6 (cs) 2006-08-16
JP2003512250A (ja) 2003-04-02
CZ20012370A3 (cs) 2001-12-12
CN1174886C (zh) 2004-11-10
BR0007262A (pt) 2001-10-16
WO2001030623A8 (de) 2001-10-04
US6634056B1 (en) 2003-10-21
JP4813719B2 (ja) 2011-11-09
KR20010099978A (ko) 2001-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0768B1 (ko) 차량의 창유리용 와이퍼 장치
KR100660766B1 (ko) 차량의 창유리용 와이퍼 장치
US7293321B2 (en) Windscreen wiper with a driven wiper arm and wiper blade jointed thereto for cleaning screen in particular on motor vehicles
JP4204480B2 (ja) 駆動されるワイパアームと、該ワイパアームに枢着された、ガラス特に自動車のガラスを清掃するためのワイパブレードとを備えたワイパレバー
KR100764952B1 (ko) 차량 유리 세척용 와이퍼 블레이드
KR100821111B1 (ko) 차량의 윈드실드용 와이퍼 장치
US6581237B1 (en) Wiper blade for motor vehicle windows
KR100602804B1 (ko) 와이퍼 아암과 와이퍼 블레이드를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장치
KR100692887B1 (ko) 자동차의 윈드실드용 와이퍼 장치
JP4399117B2 (ja) ウインドワイパブレード
JP2004519379A (ja) 特に自動車のガラス板を掃除するためのワイパブレード
US6675432B1 (en) Device for hingeably joining a motor vehicle window-pane wiper blade to a wiper arm
JP5383777B2 (ja) 自動車の窓ガラスの清掃のためのワイパーブレード
PL208926B1 (pl) Pióro wycieraczki dla szyb, zwłaszcza samochodowych
KR20010042476A (ko) 노즐 디바이스 및 이를 수용하기 위한 윈드실드 와이퍼 아암
KR20020029433A (ko) 윈드실드 세척용 와이퍼 블레이드
KR20000068534A (ko) 자동차 유리창용 와이퍼 블레이드
JP2002533260A (ja) 自動車のウインドシールド用のワイパブレードとワイパアームとを枢着結合する装置
JP2002531325A (ja) 自動車の窓ガラス用のワイパブレード
JP2000503280A (ja) 自動車の窓ガラスのためのワイパブレード
KR20010030688A (ko) 차량의 창유리용 와이퍼 블레이드를 와이퍼 아암에연결하기 위한 연결장치
KR20010043911A (ko) 차량의 윈도우용 와이퍼 장치
KR20010053530A (ko) 차량의 창유리용 와이퍼 블레이드
KR200322396Y1 (ko) 개선된 버터브라를 갖는 자동차용 윈도우 와이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0627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5092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9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12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12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2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20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20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6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20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6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20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5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21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5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21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2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21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9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