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36470B1 - 유가증권 증서 제조용의 에폭시 코팅된 다층 구조물 - Google Patents

유가증권 증서 제조용의 에폭시 코팅된 다층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6470B1
KR100636470B1 KR1020017015581A KR20017015581A KR100636470B1 KR 100636470 B1 KR100636470 B1 KR 100636470B1 KR 1020017015581 A KR1020017015581 A KR 1020017015581A KR 20017015581 A KR20017015581 A KR 20017015581A KR 100636470 B1 KR100636470 B1 KR 1006364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epoxy
film substrate
layers
orient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55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15338A (ko
Inventor
베노이트고든엘
맥기데니스이
Original Assignee
모빌 오일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빌 오일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모빌 오일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200153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53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64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6470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52Forming heat-sealable co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fillers, pigments, thixotroping agents
    • B32B27/20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fillers, pigments, thixotroping agents the fillers creating voids or cavities, e.g. by stret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epoxy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3Improving the adhesiveness of the coatings per se, e.g. forming pri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4Forming conductive coatings; Forming coatings having anti-static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6Forming abrasion-resistant coatings; Forming surface-hardening co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2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electrical or magnetic properties, e.g. piezoelectric
    • B32B2307/21Anti-sta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14Oriented
    • B32B2307/518Oriented bi-axi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3/00Polyalkenes
    • B32B2323/04Polyethylene
    • B32B2323/043HDPE, i.e. high density polyeth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3/00Polyalkenes
    • B32B2323/10Polyprop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63/00Epoxy res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54/00Paper of special types, e.g. bankno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6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epoxy resins; Derivatives of epoxy resi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Credit C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배향된 폴리프로필렌 코어 층 및 상기 배향된 폴리프로필렌 층의 각 면상의 하나 이상의 고밀도 폴리에틸렌 층을 갖는, 지폐 제조에 사용하기 위한 적층된 다층 필름 기재. 코어 층은 공동형성제를 첨가하여 형성된 미세공동을 함유할 수 있다. 다층 필름 기재의 외면은 충전되거나 비충전된 하나 이상의 에폭시 층, 및 하나 이상의 대전방지 층으로 코팅된다. 생성된 필름은 양호한 엠보싱성, 완전접힘 특성 및 기타 특성을 나타냄으로써 지폐 및 다른 유가증권 증서의 제조에 매우 적합하게 된다.

Description

유가증권 증서 제조용의 에폭시 코팅된 다층 구조물{EPOXY COATED MULTILAYER STRUCTURE FOR USE IN THE PRODUCTION OF SECURITY DOCUMENTS}
관련 출원
본원은 1998년 2월 18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출원 제 09/025,182 호 및 1998년 9월 28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출원 제 09/162,219 호의 일부계속출원으로, 상기 제 09/162,219 호는 1997년 6월 11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출원 제 08/872,988 호, 1998년 4월 23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출원 제 09/064,993 호 및 1995년 6월 6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출원 제 08/467,484 호의 일부계속출원이고, 상기 제 08/467,484 호는 1994년 6월 27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출원 제 08/266,918 호(미국 특허 제 5,698,333 호) 및 1997년 12월 9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출원 제 08/762,089 호(미국 특허 제 5,716,695 호)의 분할출원이고, 상기 제 08/762,089 호는 1996년 2월 15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출원 제 08/601,886 호(미국 특허 제 5,618,630 호)의 분할출원이며, 이들은 여기에 참고로 인용되어 있다.
본 발명은 지폐, 여행자 수표 및 은행 발행 수표를 비롯한 유가증권 증서와 같은 페이퍼-유사 제품을 제조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다층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지폐 및 유가증권 증서를 제조하는데 전형적으로 사용되는 고품질 페이퍼의 특성을 갖는 다층 필름에 관한 것이다.
지폐, 유가증권 증서 등의 제조에는 300년 이상 동안 래그(rag) 페이퍼가 사용되어 왔다. 잘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래그 페이퍼는 완전 접힘성(dead foldability), 내인열성, 인쇄적성 및 엠보싱성을 비롯하여 상기와 같은 용도에 고도로 요구되는 몇가지 특성을 갖고 있다.
이러한 고도로 요구되는 특성은 다음과 같이 특징지어질 수 있다. 즉, 완전 접힘성은 접혀져서 펼쳐지지 않고 그 접힘을 유지하는 기재의 능력이다. 내인열성은 초기 및 비초기 인열 및 천공 둘다에 대한 기재의 저항 능력이다. 인쇄적성은 리소그래피 인쇄 공정중에 사용되는 잉크를 흡착하여 결합시키는 기재의 능력이다. 엠보싱성은 음각 인쇄 공정중의 압력으로 변형되어 지폐 또는 유가증권 증서상에 융기된 이미지를 형성하고, 융기되어 변형된 영역에 잔류하는 음각 잉크가 지폐 또는 유가증권 증서에 대한 고도의 촉지성 또는 촉감을 제공하는 기재의 능력이다. 잘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들 특성이 조합되어 지폐 등에 이들의 친숙한 촉감 및 기능성을 부여한다.
칼라 복사기 및 컴퓨터 그래픽 스캐너의 출현에 따라 지폐 위조가 현저하게 증가되었다. 현 시점에서, 비침 무늬, 금속화된 선 및 광학 가변 장치(OVD; optically variable device), 예들 들어 포토크로미, 홀로그래피 및 회절 격자를 통해 지폐 기재를 더욱 안전하게 하기 위해 주요 지폐 제조업자에 의해 활동적인 프로그램이 진행중에 있지만, 이러한 노력은 위조를 못하게 할 것이라는 기대를 오래 지킬 것으로 보이지 않는다.
투명 "윈도우"가 지폐에 도입되면, 플라스틱 기재는 주요 보안 특성을 제공한다. 이러한 윈도우는 스캐너 또는 칼라 복사기로 지폐를 복사할 수 없도록 보장할 것이다. 또한, 보안 장치 및 프린트를 보호하기 위해 지폐의 반전 인쇄를 비롯한 다른 보안 특성이 지폐내 또는 지폐상에 도입될 수도 있다.
호주 특허 제 488,652 호에는 보안 제품, 특히 지폐 제조에 대한 접근방법이 개시되어 있고, 위조와 관련하여 종래의 지폐에 직면한 심각한 문제점이 기술되어 있다. 상기 특허에 개시된 지폐는 열가소성 직물 또는 부직물 섬유의 웹에 친밀하게 결합된 불투명한 열가소성 시이트 물질로 된 기재를 포함하고, 상기 기재는 요구에 따라 인쇄되고 그 위에 하나 이상의 광학 가변 보안 장치를 갖는다. 섬유상 웹을 사용하여 지폐에 내구성, 내구김성 및 인열 강도를 부여하였다. 광학 가변 특성이 광의 투과에 의존하는 무아레(Moire) 무늬와 같은 보안 장치가 사용된 경우, 기재내에 구멍을 뚫고 상기 장치를 삽입하여 추가의 투명한 플라스틱 시이트 물질의 층과 적소에서 결합시키는 것이 필요하였다.
호주 특허 제 488,652 호의 개시에 따라 형성된 지폐 샘플이 통상적인 지폐의 내구성 및 보안성을 가장 만족스럽게 달성하였다고 해 왔지만, 이 지폐는 구성이 다소 복잡하고 제조 비용이 비교적 비싼 것으로 밝혀졌다. 더욱이, 투과 보안 장치가 기재내의 층들 사이에 적층된 경우, 약하고 응력이 높은 부분이 형성되어 내구성 및 보안성 모두를 감소시켰다.
위조 방지 기술에 관한 다른 개시물로는 미국 특허 제 4,095,217 호 및 제 4,281,208 호를 들 수 있는데, 이들 특허는 태양 전지 또는 무정형 규소 물질과 같은 광발전 요소에 의해 구동되는 액정 장치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미국 특허 제 4,472,627 호는 인공광 또는 주변광에 응답하여 코드화된 표시를 생성하는 액정/광발전 장치를 포함한 화폐 또는 기타 유가 문서에 관한 것이다. 상기 장치는 위조방지물로서 기능하고 또한 사용자가 상기 장치를 포함한 문서의 유효성을 쉽게 증명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으로서 기능할 수도 있다.
미국 특허 제 4,536,016 호에는 지폐 또는 ID 카드와 같은 보안 토큰이 개시되어 있는데, 이는 불투명하고 열 활성화되는 접착제 물질의 층으로 피복된 투명한 2축배향 중합체의 필름으로부터 제조된 시이트상 기재를 포함한다. 상기 불투명 층은 중합체 필름내에 도입된 보안 장치, 예를 들어 회절 격자를 조사하기 위한 투명한 부분을 남기도록 도포된다. 상기 기재는 인쇄된 표시물 또는 다른 확인용 표시물을 가질 수 있고, 친밀하게 결합된 투명한 중합체 물질의 층으로 보호되었다.
미국 특허 제 4,536,016 호에서 사용된 기재는 배향 폴리프로필렌(OPP)의 사용에 기초하였다. 몇가지 기념 지폐를 인쇄한 후, 그 플라스틱 지폐는 지폐 기재에 요구되는 많은 요건을 충족시켰지만, 3가지 중요한 부분에서 실패한 것으로 밝혀졌다. 첫째로, OPP 기재는 완전히 접히지 않아서 필름이 편평하거나 굽은 형태를 유지하여 금전등록기 및 자동 취급장치를 막히게 한다는 점에서 문제를 야기하였다. 둘째로, OPP 기재는 화폐 가공시 불량한 초기 내인열성을 갖고, 이 때문에 아주 종종 지폐 가장자리에 흠이 생겨 찢어져 버린다. 마지막으로, OPP는 음각 인쇄 공정중에 엠보싱이 잘 되지 않는다는 사실 때문에 OPP 제품은 지폐의 촉지성을 발휘하지 못하였다.
배향된 고밀도 폴리에틸렌 필름이 플라스틱 포장 부분에 사용되어 왔다. 기계방향(MD) 및 횡방향(TD)의 양 방향으로 6.5배보다 큰 배향도로 2축배향된 이러한 필름이 영국 특허 제 1,287,527 호에 기술되어 있다. 미국 특허 제 4,680,207 호는 기계방향으로 6배 이하로 배향되고, 횡방향으로는 3배 이하로 배향되되 기계방향보다는 덜 배향된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불균형한 2축배향 필름에 관한 것이다.
미국 특허 제 5,618,630 호는 지폐 제조를 위한 세겹 다층 필름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필름들은 종래 기술에 비하여 특정한 이점을 제공하고 설계 요건을 대체로 만족시키는 것으로 밝혀졌지만, 지폐 및 보안 제품의 제조에 전형적으로 사용되는 유형인 고품질의 래그형 페이퍼의 특성을 제공하는 필름이 여전히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품질 래그 페이퍼의 특성을 갖는 다층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조가 용이하고 상당히 내구성이면서 고품질 페이퍼의 완전접힘 특성을 갖는 상기 다층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의 목적은 초기 및 비초기 인열 및 천공 둘다에 대해 적어도 한 방향으로 고도의 내인열성을 갖는 다층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고품질 페이퍼의 인쇄적성 및 엠보싱성을 갖는 다층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고온, 예를 들어 약 150℉에서 고도의 말림내성을 갖는 다층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잉크 마모를 어렵게 하여 지폐 수명을 길게 하는 지폐 제조에 적합한 다층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필름은 잉크면을 래커 또는 폴리우레탄과 같은 보호 코팅으로 씌우지 않아도 고도의 내구성을 달성할 수 있다.
돈은 순환될 때 다른 물질, 특히 다른 돈(화폐 및 지폐)과 접촉하여 더럽혀진다. 잉크가 비인쇄 부분으로 비벼져 들어가면 바람직하지 않은 결과가 생긴다. 또한, 화폐와 지폐가 맞비벼질 때 화폐가 지폐위에 표시를 남기지 않아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추가의 목적은 내마모성이되 지나치게 마모되지 않는 잉크 및 프린트 면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몇몇 이점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를 읽으면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자에게 명백해질 것이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다층 필름은 세겹 구조물이다.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는, 하나 이상의 배향 폴리프로필렌(OPP) 층이 이 OPP 층의 어느 한쪽 면에서 하나 이상의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층으로 둘러싸인다. 본 발명의 다층 필름은 코팅 접착성 및 불투명성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잉크 인쇄 이미지를 수용하기 위한 표면을 제공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에폭시 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층 필름은 가공성을 개선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대전방지 층을 추가로 포함한다. 코팅되는 필름 기재는 투명하거나 불투명한 구조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층 필름은 반복적인 접기 테스트에서 양호한 성능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다층 필름 구조물은 배향된 방향 및 비배향된 방향 둘다에서 높은 인열 강도를 갖는다. 본 발명의 투명한 다층 구조물은 프린트 윈도우가 구겨졌을 때 잔금이 생기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a) 내부 면 및 외부 면을 갖고, 약 0.94 이상의 밀도를 갖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약 50 중량% 이상을 포함하고, 제 1 방향과 실질적으로 수직인 제 2 방향으로 존재하는 배향도보다 3배 이상 작은 배향도로 적어도 제 1 방향으로 배향되고, 공압출된 프로필렌 공중합체 표피를 내부 면상에 추가로 포함하는 불균형한 2축배향 제 1 층;
(b) 내부 면 및 외부 면을 갖고, 폴리프로필렌 약 90 중량% 이상을 포함하고, 적어도 제 1 방향으로 4:1 이상의 배향비로 배향되고, 상기 제 1 방향과 실질적으로 수직인 제 2 방향으로 6:1 이상의 배향비로 배향된 균형한 2축배향 제 2 층;
(c) 내부 면 및 외부 면을 갖고, 약 0.94 이상의 밀도를 갖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약 50 중량% 이상을 포함하고, 제 1 방향과 실질적으로 수직인 제 2 방향으로 존재 하는 배향도보다 3배 이상 작은 배향도로 적어도 제 1 방향으로 배향된 불균형한 2축배향 제 3 층; 및
(d) 층 (a) 및 (c)의 내부 면 사이에 배치된 적층 접착제 수지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층은 상기 제 3 층의 제 1 배향 방향이 상기 제 1 층의 제 1 배향 방향과 실질적으로 정렬되도록 상기 제 1 층 및 제 3 층에 적층되고, 층 (a) 및 (c)의 외부 면은 하나 이상의 에폭시 층 및 하나 이상의 대전방지 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지폐, 증권 용지 등의 제조에 사용하기 위한, 말림내성을 갖고 단면상 대칭적인 적층된 다층 필름 기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층 필름의 형성에 있어서, 기재의 하나 이상의 층은 배향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한다. 배향 폴리프로필렌을 코어에 사용하면, 높은 인장 특성 및 반복적인 접기 테스트에서 높은 성능이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투명한 세겹 구조물을 사용하면, 손으로 구겨진 후에도 프린트 윈도우에 잔금이 생기지 않는다.
배향 폴리프로필렌(OPP)을 코어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나일론 또는 폴리에스테르와 같은 필적하는 인장 강도를 갖는 다른 2축배향 중합체도 또한 사용될 수 있다. OPP 코어는 다른 층에 대한 접착력에 영향을 미치는 임의의 첨가제, 예를 들어 대전방지제 및 실리콘을 함유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코어 층은 또한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또는 탄산칼슘과 같은 고형 공동형성제 주위에 공동을 형성함으로써 형성된 복수의 공극을 포함할 수도 있다. 미국 특허 제 5,288,548 호, 제 5,264,277 호 및 제 4,632,869 호(이들의 내용은 본원에서 참고로 인용됨)에 기술된 바와 같은, 예를 들어 직경 0.2 내지 2 미크론의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가 적합한 공동형성제이다. 구형 입자는 배향시 미세공극을 형성하여 백색의 불투명 제품을 생성한다.
본 발명의 지폐 및 다른 유가증권 증서 제조용의 다층 필름 기재를 형성하는데 있어서, 기재의 2개 이상의 층은 약 0.94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0.945 이상의 밀도를 갖는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을 다량으로 함유해야 한다. 이들 필름 층은 오로지 단일 HDPE 수지, HDPE 수지의 혼합물, 또는 소량의 다른 중합체 물질(예: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폴리프로필렌, 에틸렌 비닐 알콜(EVOH) 공중합체, 에틸렌 프로필렌(EP) 공중합체, 에틸렌 프로필렌 부텐-1(EPB) 공중합체, 폴리에스테르 또는 나일론)을 함유하는 HDPE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지만, 본 발명의 실시에서는 단일 HDPE 수지 또는 HDPE 수지의 블렌드가 특히 바람직하다. HDPE 수지의 블렌드 또는 미세결정질 왁스를 사용하여 제조된 필름은 필름이 TD 방향으로 파단되는 경향으로서 증명되는 필름의 쪼개짐성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HDPE 중합체의 블렌드가 사용되는 경우, 이러한 블렌드는 2종 이상의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모든 중합체가 0.94 이상의 밀도를 갖는다. HDPE 중합체의 블렌드는 0.6 내지 1.2의 용융 지수를 갖는 다량의 HDPE 및 다른 용융 지수를 갖는 1종 이상의 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이 유리하다.
또한 3원 블렌드가 바람직할 수도 있다. 적합한 3원 블렌드는 일반적으로 0.96 이상의 밀도 및 0.5 초과 내지 약 2.0의 용융 지수를 갖는 HDPE 50 내지 98 중량%, 바람직하게는 84 내지 96 중량%; 0.94 이상의 밀도 및 0.1 내지 0.5의 용융 지수를 갖는 HDPE 1 내지 25 중량%, 바람직하게는 3 내지 8 중량%; 및 0.96 이상의 밀도 및 2 초과 내지 약 8의 용융 지수를 갖는 HDPE 1 내지 25 중량%, 바람직하게는 3 내지 8 중량%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소량 성분인 제 2 및 제 3 HDPE 중합체는 대략 동일한 양으로 존재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필름 기재는 (a) 약 0.94 이상의 밀도를 갖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약 50 중량% 이상을 포함하고, 적어도 제 1 방향, 예를 들어 기계방향(MD)으로 배향되되, 상기 제 1 방향과 실질적으로 수직인 제 2 방향, 예를 들어 횡방향(TD)으로 존재하는 배향도보다 3배 이상 작은 배향도로 배향된 제 1 층; (b) 폴리프로필렌 약 90 중량% 이상을 포함하고, 적어도 제 1 방향, 예를 들어 기계방향(MD)으로 3:1 이상의 배향비로 배향되고, 상기 제 1 방향과 실질적으로 수직인 제 2 방향, 예를 들어 횡방향(TD)으로 6:1 이상의 배향비로 배향된 제 2 층; 및 (c) 또한 약 0.95 이상의 밀도를 갖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약 50 중량% 이상을 포함하고, 또한 적어도 제 1 방향, 예를 들어 기계방향(MD)으로 배향되되, 상기 제 1 방향과 실질적으로 수직인 제 2 방향, 예를 들어 횡방향(TD)으로 존재하는 배향도보다 3배 이상 작은 배향도로 배향된 제 3 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 3 층은 제 3 층의 제 1 배향 방향이 제 1 층의 제 1 배향 방향과 실질적으로 평행(또는 정렬)하도록 필름 기재에 적층된다.
불균형한 2축배향을 갖는 HDPE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은 미국 특허 제 4,870,122 호에 개시되어 있고, 이의 내용은 그 전체가 본원에서 참고로 인용된다.
잘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원에 기술된 유형의 다층 필름에 있어서 내인열성 개선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배향가능한 적층 수지,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이 층들 상이에 배치되고, 배향 수지에서의 1차 배향 방향이 제 1 및 제 3 HDPE 필름 층의 1차 배향 방향과 실질적으로 수직이 되도록 배향되는 경우, 1차 배향 방향이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하게 정렬되도록 적층된 불균형한 2축배향 HDPE 필름은 증가된 내인열성을 나타낼 수 있음이 밝혀졌다. 한 실시태양에서, 적층 접착제 수지의 이러한 1차 배향 방향으로의 배향은 적층 단계 자체중에, 바람직하게는 기계방향(MD)으로 달성된다.
적당한 배향도가 바람직한 물성을 제공하는 한, HDPE 필름 층의 배향도는 본 발명의 중요한 측면이다. 0.957 이상의 밀도를 갖는 고밀도 HDPE 수지는 주조 압출에 의해 얇은 필름으로 직접 제조될 수 있지만, 말림, 균일성 및 편평성의 문제가 존재한다. 따라서, 4 내지 15 밀의 주조 게이지(이는 신장, 즉 배향에 의해 목적하는 게이지로 감소됨)를 갖는 필름으로부터 제조된 불균형한 2축배향 필름을 사용할 때, 특성들이 가장 잘 균형을 이룬 약 0.8 내지 1.5 밀의 얇은 HDPE 필름이 수득된다.
필름은 통상적인 방법으로 제조되고 배향된다. 필름을 그의 배향 온도로 가열하고, 우선 2세트의 닙 롤 사이에서 MD 배향시키고, 목적하는 연신비율과 동일한 비율로 제 1 회전보다 빠른 속도로 제 2 회전시킨다. 이어서, 필름을 가열하여 텐 터 프레임(tenter frame)에서 횡방향 신장을 실시함으로써 TD 배향시킨다. 전형적으로 MD 배향은 60 내지 120℃에서 수행되고, TD 배향은 110 내지 145℃에서 수행된다.
제 1 필름 방향의 배향도는 제 1 방향과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존재하는 배향도보다 3배 이상 작은 것이 바람직하지만, 각각의 HDPE 필름 층이 기계방향(MD)으로는 약 1.1 내지 약 2.0배 정도로 배향되고 횡방향(TD)으로는 약 6 내지 약 12배 정도로 배향되는 것이 더욱 특히 바람직하다. 약 110 피트/분(fpm) 이하의 주조기 속도(1.25배 MD 배향에서의 선속도 140 fpm에 상응함)에서 우수한 품질을 갖는 HDPE 필름 층이 제조될 수 있음이 밝혀졌다. 대안으로, 제 1 필름 방향의 배향도는 제 1 방향과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존재하는 배향도보다 3배 이상 클 수 있다. 비배향된 취입성형된 HDPE도 제 1 및 제 3 층으로서 사용되어 본 발명의 다층 피름 기재에서 어느 정도의 완전접힘성을 여전히 유지시킬 수 있다.
사용되는 경우, 이러한 불균형한 배향도는 구조물의 HDPE 성분에서 관심있는 효과를 발생한다. 그 효과는 가시적인 파형 및 줄을 갖는 외관인데, 상기 파형은 횡방향 배향과 평행하다. 저배율에서는 HDPE 필름의 각 평방 센티미터에서 배향 방향과 대체로 평행한 약 5 내지 약 30개의 불연속적인 물결 모양 파형 및 줄이 보일 것이다. 이러한 효과는 필름에 약간 반투명한 외관을 부여하는데, 이는 필름을 통해 보이는 멀리 있는 물체를 약간 흐릿하게 보이게 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효과는 층들이 불균형한 방식으로 배향되었음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에 사용 하기 위한 고밀도 폴리에틸렌으로는 미국 특허 제 4,870,122 호에 개시되어 있는 것들이 포함된다.
배향 폴리프로필렌 층에 있어서 배향은 본질적으로 양 방향으로 균형잡힌 인장 특성을 제공하도록 조절된다.
본 발명의 페이퍼-유사 제품에 요구되는 목적하는 표면 특성을 달성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표피 층을 임의의 공지된 방법으로 다층 HDPE 기재 물질에 도포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HDPE를 배향전에 코팅하거나 공압출함으로써 또는 배향 조작중 하나 또는 둘다 이후에 코팅함으로써 도포될 수 있다. 표피 층은 폴리올레핀 필름, 특히 폴리에틸렌 필름과 관련하여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통상적인 물질중 임의의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쇄 용이한 표면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중합체 수지를 필요에 따라 충전제, 섬유, 안료 등과 블렌딩할 수 있다. 또한, 미국 특허 제 4,377,616 호, 제 4,632,869 호, 제 4,758,462 호 등에 개시된 필름과 같은 공극이 형성된 필름을 다층 HDPE 기재에 적층하여 이들 구조물의 불투명 특성을 본 발명의 필름에 부여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HDPE-함유 층 (a) 및 (c)는 그의 적어도 한쪽 면, 바람직하게는 그의 내부 면 및 외부 면 둘다에 구비된 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 표피, 예를 들어 에틸렌-프로필렌-부텐-1 터폴리머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태양에서, 상기 표피 자체는 또한 층 (a), (b) 및 (c)를 적층하는데 사용되는 접착제 수지중의 성분과 유사한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은 상기 표피의 10 내지 20 중량%를 구성할 수 있고, 나머지는 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이다.
적층된 표면들 사이에 보다 큰 접착력을 제공하는 적합한 접착-촉진 프라이머,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이미드, 에폭시, 폴리우레탄 및 아크릴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중합체가 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 표피(층 (a) 및 (c)의 내부 면상에 있음)과 적층 접착제 수지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프라이머 조성물은 본원에서 참고로 인용된 미국 특허 제 4,447,494 호 및 제 4,681,803 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층 필름은 하나 이상의 에폭시 층을 포함한다. 최외부 층은 에폭시 프린트 캡이다. 또한, 코팅 내구성 및 불투명성을 제공하기 위해, 이산화티탄과 같은 충전제를 포함하는 하부 에폭시 불투명화 층이 포함될 수 있다. 요구되는 경우, 최종 구조물의 대전방지 특성을 개선하고 추가의 보안 특성을 도입하고/하거나 불투명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층 필름상에 추가의 기능성 코팅층이 사용될 수도 있다.
외부 에폭시 층은 리소그래피, 음각 및 기타 유형의 인쇄 방법에 의해 인쇄하기 위한 층이다. 표면처리된 점토 및 소수성 이산화티탄과 같은 소수성 충전제는 습윤-긁힘(wet-scratch) 내성을 개선시킨다. 탄산칼슘, 이산화티탄으로 충전된 코팅 및/또는 충전제를 함유하지 않는 에폭시계 코팅보다는 소수성 점토 충전제가 덜 마모성이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에폭시 프린트 캡은 우수한 습윤-긁힘 내성을 제공함과 동시에 양호한 잉크 광택, 인쇄 이미지 및 고정(tack up) 시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세겹 구조물상에 층을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에폭시 코팅(또는 에폭시 결합제)은 경화제로서 사용되는 산성화된 아미노에틸화 비닐 중합체와 에폭시 수지의 반응 생성물이다. 이러한 에폭시 코팅에 관한 기재는 본원에서 참고로 인용된 미국 특허 제 4,214,039 호(스타이너(Steiner) 등)에서 찾아볼 수 있다.
에폭시 수지는 폴리하이드록시 화합물의 글리시딜 에테르로서 정의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폴리하이드록시 화합물로는 비스페놀 A(4,4-이소프로필리덴 비스페놀의 일반명), 고리 치환된 비스페놀 A, 레소르시놀, 하이드로퀴논, 페놀-포름알데하이드 노볼락 수지, 지방족 디올, 예를 들어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1,4-부탄디올, 1,6-헥산디올 글리세롤, 폴리(옥시에틸렌)글리콜, 폴리(옥시프로필렌)글리콜 등이 포함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바람직한 에폭시 수지류로는 비스페놀 A의 유도체가 포함된다.
사용될 수 있는 에폭시 수지는 통상적으로 그의 에폭시 당량(E.E.W.)에 의해 분류되는데, 에폭시 당량은 1g 당량의 에폭시기를 함유하는 수지의 g 당량으로서 정의된다. 170 내지 280 범위의 E.E.W.를 갖는 수지가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고, 180 내지 210의 E.E.W.를 갖는 수지가 바람직하다.
또한, 생성되는 층의 가요성 증가가 요구되는 경우, 지방족 디올에 기초하고 약 150 내지 약 380의 E.E.W.를 갖는 다른 유형의 에폭시 수지가 비스페놀 A 수지와의 혼합물에 사용될 수도 있다.
에폭시 수지의 특정 구조가 에폭시 코팅에 중요하지는 않지만, 에폭시 수지의 선택은 그의 물리적 상태를 고려하여 한다. 예를 들어, 에폭시 수지는 액체이 며, 산성화된 아미노에틸화 비닐 중합체(즉, 경화제)와 함께 쉽게 분산되고 용해될 수 있어야 하는데, 이에 관해서는 이하에서 기술한다. 에폭시 수지가 저점도이면 경화제내로 직접 교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에폭시 수지는 경화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수성 유화액중에 분산된다. 시판중인 유화된 에폭시 수지는 미국 일리노이주 시카고 소재의 다우버트 케미칼 캄파니(Daubert Chemical Company)로부터의 다우본드(등록상표, Daubond)42X6311이다.
유화제에 대한 대안은 비스페놀 A를 히단토인 화합물로 대체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1,1-디메틸 히단토인이 저분자량 에폭시 수지로서 사용될 수 있는데, 이 물질에 기초한 수지는 완전 수용성이어서 유화에 대한 필요성을 배제시키기 때문이다.
액체 에폭시 수지는 급속 교반에 의해 경화제 용액중에 분산될 수 있다. 생성된 분산액은 코팅 또는 결합제로서 사용하기 위해 요구되는 고형물 농도로 물 및/또는 알콜로 희석될 수 있다. 완전 수용성의 에폭시 수지가 사용되는 경우, 상기 수지와 경화제의 수용액을 간단히 혼합하면, 무한히 희석가능한 투명한 코팅 용액을 제조하기에 충분하다. 무기 충전제 또는 다른 불투명화제, 예를 들어 이산화티탄 또는 점토를 유화액에 가하기 전의 코팅 용액의 고형물 함량은 고형물 약 2 내지 약 35%의 범위일 수 있고, 고형물 15 내지 약 30%가 더욱 바람직하다. 에폭시 수지는 유화된 미소한 점적으로 남기보다는 큰 소구체로 분리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저농도로는 안정한 분산액을 수득하기 어렵지만, 이러한 시스템을 사용하면 사용가능한 생성물이 생성될 수 있음이 밝혀졌다.
고체 에폭시 수지는 비이온성 유화제를 사용하여 물중에서 유화시킬 수 있다. 공지된 종래 기법을 이용하여 약 50%의 에폭시 수지를 함유하는 안정하고 미세한 입자크기의 유화액이 쉽게 제조될 수 있다. 불투명화제를 유화액에 첨가하여 분쇄 페이스트를 제조할 수 있다. 불투명화제는 코울즈(Cowles) 혼합기, 볼 밀 또는 다른 잘 알려진 분산법을 비롯한 통상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분쇄될 수 있다. 불투명화제의 분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물, 알콜 또는 다른 적합한 분산용 산이 첨가될 수도 있다. 이어서, 이 분산액은 목적하는 고형물 농도로 희석하기 전 또는 후에, 전술한 경화제의 용액내로 교반될 수 있다.
에폭시 코팅의 제 2 성분은 경화제 또는 1차 경화제로서 사용되는 수용성의 산성화된 아미노에틸화 비닐 중합체이다. 바람직한 물질이 본원에서 참고로 인용된 미국 특허 제 3,719,629 호에 개시되어 있고, 이는 일반적으로 일반식
Figure 112001031829592-pct00001
(식중, R1 및 R2는 수소 또는 저급 알킬 라디칼이고 평균 n값은 약 1.0 내지 약 2.5이다)의 펜던트 아미노 알킬레이트기를 갖는 산성화된 아미노에틸화 비닐 중합체로서 기술될 수 있다.
미국 특허 제 3,719,629 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경화제는 아크릴레이트, 메타크릴레이트, 스티렌 또는 기타 적합한 단량체를 약 7.5 내지 약 12.5%의 -COOH 함량을 제공하기에 충분한 메타크릴산 또는 아크릴산과 중합반응시켜 제조된다. 용매 중합 기술이 바람직하다. 그후 중합체를 에틸렌 이민 단량체와 반응시키고 염산으로 산성화시켜서 중합체를 수용성으로 만든다. 시판중인 에폭시 경화제는 일본 도쿄 소재의 닛폰 쇼쿠바이 캄파니 리미티드(Nippon Shokubai Co., Ltd.)에 의해 제조된 NSK7000이다. 상기 경화제는 에테르/물 용매 시스템중 약 50% 수지를 함유한다. 수지는 350 내지 450의 아민 수소 당량을 갖는다. 이러한 투명한 점성 용액은 물을 사용하여 무한히 희석될 수 있다.
에폭시 수지를 경화제와 혼합할 때, 에폭시기 및 아민기의 화학량론적 당량 균형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바람직하다. 그러나, 화학량론적 비는 약 1 에폭시 대 약 3 아민 내지 3 에폭시 대 1 아민까지 넓은 범위에 걸쳐 변화될 수 있고, 약 1 에폭시 대 2 아민 내지 약 2 에폭시 대 1 아민이 더욱 바람직하다. 실제 화학량론적 비는 제품의 유용성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다.
에폭시 결합제는 또한 다양한 습윤 보조제 및 2차 경화제를 함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에폭시 수지 및 경화제의 용액 또는 분산액은 기재에 도포될 때, 특히 이러한 물질이 매우 얇은 층에 도포될 때 균일하게 적셔질 수 없다. 그 결과, 건조하고 아직 미경화된 액체 혼합물이 액적 또는 "섬" 형상으로 오그라들 수 있다.
코팅의 "적셔짐"을 향상시키기 위해, 소량의 고비점(100℃ 이상) 습윤 보조제를 총 고형물의 0.5 내지 약 10 중량%로 사용할 수 있다. 임의의 통상적인 비이온성 습윤제를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최적 결과는 소수성 기에 부착된 친수성 기를 갖는 부분적으로 수용성인 유기 화합물을 사용할 때 수득된다. 이러한 화합물의 예로는 에틸렌 글리콜의 헥실 또는 벤질 에테르, 디에틸 글리콜의 헥실 에테 르, 부틸 알콜, 헥실 알콜, 옥틸 알콜, 디아세톤 알콜 등이 포함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하나의 이러한 바람직한 습윤 보조제는 유니온 카바이드(Union Carbide)로부터 시판중인 헥실 셀로솔브(Hexyl Cellosolve)로도 공지된 디에틸 글리콜의 헥실 에테르이다. 다량의 저비점(100℃ 미만) 습윤 보조제를 총 고형물의 약 5 중량% 이상의 양으로 고비점 습윤 보조제와 함께 또는 이를 대신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저비점 습윤 보조제로는 n-프로필 알콜 및 이소프로필 알콜이 포함된다.
제 2 경화제를 또한 경화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건조 에폭시 수지 100부당 0.5 내지 15부의 비율로 상기 결합제에 첨가할 수 있다. 이러한 경화제로는 프로필렌 디아민, 헥사메틸렌 디아민, 디에틸렌 트리아민, 트리에틸아민, 테트라에틸렌 펜트아민 등이 포함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게다가, 폴리(에틸렌이민) 및 폴리(프로필렌이민)과 같은 지방족 중합체 아민을 사용할 수 있다. 트리(디메틸 아미노메틸) 페놀을 비롯한 방향족 아민을 또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2차 경화제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바람직한 2차 경화제는 폴리(에틸렌이민)이다. 시판되는 한가지 폴리(에틸렌이민) 수지는 일본 도쿄 소재의 닛폰 쇼쿠바이 캄파니 리미티드로부터 시판중인 EPOMINTM P-1050이다. EPOMINTM 수지는 1급, 2급 및 3급 아민의 분지쇄를 갖는 반-선형 중합체를 함유한다. P-1050급 수지는 50 중량%의 수지를 함유하는 투명한 점성 액체이다.
에폭시 프린트 캡중 불투명화제(충전제)는 결합제 100부당 약 50 phr(수지 100부당 부)의 최소량, 바람직하게는 약 75 phr,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90 phr로 첨가된다. 결합제 100부당 충전제 물질의 최대량은 약 300 phr을 초과하여서는 안되고, 약 250 phr 이하가 바람직하고, 약 160 phr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하부 층을 위한 에폭시 불투명화 코팅은 프린트 캡을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그러나, 에폭시 불투명화 층중 충전제는 알콜계 또는 용매계 결합제 100부당 약 100 phr의 최소량, 바람직하게는 약 150 phr,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200 phr로 첨가될 수 있다. 결합제 100부당 충전제 물질의 최대량은 약 350 phr를 초과하여서는 안되고, 약 300 phr 이하가 바람직하고, 약 250 phr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불투명화 코팅을 위해 바람직한 충전제는 이산화티탄이다.
일반적으로, 프린트 캡 또는 불투명화 코팅을 위한 불투명화제는 인쇄 용도에 사용되는 통상적인 충전제 물질일 수 있다. 이러한 물질의 예로는 실리카, 점토, 산화아연, 산화주석, 활석, TospearlTM, 표면 개질된 점토, 예를 들면 소수성 점토, 표면 개질된 실리카, 이산화티탄(TiO2), 표면 개질된 Ti02 및 탄산칼슘을 들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충전제 물질은 2개의 기능성 그룹, 즉 친수성 충전제 및 소수성 충전제로 분류할 수 있다.
친수성 충전제로는 실리카, 점토, 산화아연, 산화주석 및 활석이 포함된다. 이들은 물을 흡수하는 능력 때문에 친수성으로 불리는데, 이러한 능력은 기공 체적 또는 다공성에 의해 측정된다. 친수성 충전제 물질은 바람직하게는 저다공성을 갖거나 또는 비-다공성이다. 본 발명에서, 저다공성이란 3 ml/g 미만, 바람직하게는 1.5 ml/g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ml/g 미만의 다공성을 의미한다. 저다공성 및 비-다공성 충전제는, 더욱 다공성인 것보다 전반적인 특성이 우수한 코팅된 기재를 제공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바람직한 저다공성 충전제는 실리카인데, 그 이유는 실리카가 다양한 등급의 다공성 및 입자 크기로 수득될 수 있기 때문이다. 시판중인 저다공성 실리카의 예로는 후지 실리시아 케미칼 캄파니(Fuji Silysia Chemical Company)에 의해 상표명 SylysiaTM로 제조되는 실리카겔 및 그레이스-데이비슨(Grace-Davison)에 의해 상표명 SylojetTM, SyloidTM로 제조되는 실리카겔이 있다.
소수성 충전제로는 표면 개질된 점토, 표면 개질된 실리카, Ti02 및 표면 개질된 Ti02가 포함되는데, 상기 충전제들은 유기 잔기로 이들의 표면을 개질함으로써 물에 대해 비-다공성이 되도록 만들어졌다. 표면 개질된 점토의 예로는 드라이 브렌치 카올린(Dry Branch Kaolin)으로부터 상표명 Kalophile-2TM, 휴버 엔지니어드 미네랄스(Huber Engineered Minerals)로부터 LithoperseTM7015 HS 및 7005CS, 및 카오폴라이트 인코포레이티드(Kaopolite, Inc.)로부터 카오폴라이트 SFO(이는 더 이상 생산 안됨)로서 시판되는 표면 개질된 카올리나이트 점토이다. 표면 개질된 실 리카의 예는 일본 소재의 에로실 니폰(Aerosil Nippon)에 의해 제조되는 에로실 RX50이다. 표면 개질된 이산화티탄의 예는 듀폰(Dupont)에 의해 제조되는 티퓨어(Tipure) R104 및 티옥사이드 아메리카스(Tioxide Americas)에 의해 제조되는 티옥사이드 RXL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소수성 충전제가 우수한 잉크 광택 및 그래픽을 제공하면서 우수한 습윤-긁힘 내성을 허용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소수성 충전제와 친수성 충전제의 조합이 사용될 수도 있다. 에폭시 결합제는 필요량의 유화된 에폭시 수지 및 불투명화제를 경화제에 혼합하고, 이를 물 및/또는 알콜로 요구되는 농도로 희석하여 제조한다. 2차 경화제 및 습윤 보조제와 같은 임의의 성분을 또한 첨가할 수 있다. 결합제에 대한 총 고형물 농도는 일반적으로 코팅 도포 기술에 좌우된다. 일반적으로, 5 내지 약 50%의 총 고형물 농도가 바람직하고, 20 내지 45%가 더욱 바람직하다.
충전되거나 비충전된 에폭시 코팅 및 기능성 층을 필름 기재의 한쪽 면 또는 양쪽 면에 표준 코팅 기술을 사용하여 도포할 수 있다. 코팅 방법의 예는, 보안 윈도우를 형성하기 위해 불투명화 코팅의 패턴화된 도포를 가능하게 하는 그라비어 코팅이다. 충전제 유형 및 에폭시 코팅의 두께는 목적하는 불투명도, 표면 외관, 표면 텍스튜어 및 경제성에 따라 결정된다. 일반적으로, 에폭시 코팅은 0.1 g/1000 in2(g/msi)/층 이상, 통상적으로 4 g/msi/층 이하의 건조 코팅 중량으로 배향 후 필름 기재에 도포된다. 불투명한 적층물에 있어서 충전제를 포함하는 총 에 폭시 코팅 중량은 일반적으로 그 면당 0.3 내지 5.0 g/msi이고, 투명한 적층물에 대해서는 그 면당 4 내지 8 g/msi이다. 일반적으로, 총 에폭시 코팅 중량은 적층물의 각 면상에서 거의 동일하다.
코팅된 기재는 후속적으로 열풍 오븐을 통과시켜서 존재하는 물 및 용매를 제거한다. 140 내지 250℉(60 내지 120℃)의 오븐중의 1 내지 약 10초의 체류 시간이 통상적으로 충분하다.
기능성 층, 예를 들면 대전방지 특성을 제공하고 접착을 촉진시키고 안전 특성을 갖고/갖거나 추가의 불투명성을 제공하는 대전방지 층은 하나 이상의 에폭시 분산액으로 코팅하기 전, 도중 및/또는 후에 필름 기재에 도포될 수 있다. 대전방지 층은 또한 에폭시 층일 수 있다. 열가소성 물질을 위한 프라이머의 예로는 플라스틱 기재와 함께 공압출되거나 그 위에 코팅될 수 있는 폴리(에틸렌이민), 및 미국 특허 제 4,214,039 호(스타이너 등)의 교시에 따른 저 코팅 중량의 에폭시 코팅이 포함된다. 코로나, 플라즈마 또는 불꽃 처리를 또한 프라이머와 함께 또는 그 대신 사용할 수 있다. 어드히젼 시스템스, 인코포레이티드(Adhesion Systems, Inc.)에 의해 제조되는 PD95849MO1은 본 발명에 기술된 에폭시 코팅 층들 위, 아래 및/또는 사이에 도포될 수 있는 대전방지성 불투명화 폴리우레탄의 일례이다.
코팅된 기재는 적층 전 또는 후에 엠보싱되거나 염색되거나 인쇄되거나 텍스튜라이징(texturizing)되거나 또는 달리 처리될 수 있고, 이러한 처리는 적층된 층의 내면 또는 외면상에서 수행되어 예를 들면 지폐의 속성, 중요성 또는 가치를 시각적 및/또는 촉각적으로 인식하게 한다. 인쇄 방법으로는 리소그래피, UV-스크린, 플렉소그래피, 그라비어 및 음각 인쇄 방법이 포함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임의의 플렉소 또는 그라비어 인쇄가능한 잉크, 색상 또는 기계 판독가능한 잉크, 예를 들면 리소그래픽, IR, UV, 자기 및 음각 잉크를 사용할 수 있다. 코어상의 인쇄 또한 안전 특성이 된다.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적층 기술은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고 다음과 같은 예가 있다: 예를 들면 적층 접착제 수지, 바람직하게는 투명 시약을 사용한 접착제-결합 또는 시멘팅; 용매의 증기가 함께 결합될 표면상에 분사되는 용매-결합; 열가소성 시이트에 열간 압연 또는 가압 조작이 실시되는 열 결합에 의한 열 적층; 하나의 층이 제 2 층상에 주조되고 제 2 층이 기재를 형성하는 주조-적층; 또는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된 캘린더링 조작에서와 같은 압출 또는 연신-적층.
2-부분 폴리우레탄 수지, 즉 에이치. 비. 풀러 캄파니(H. B. Fuller Co.)로부터 시판되는 WD4110과 같은 무용매 또는 100% 고형물 접착제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100% 고형물 적층 접착제는 용매계 접착제에 대한 효과적인 대안이다. 100% 고형물 적층 접착제는 우수한 투명성, 인쇄 향상성, 높은 결합 강도 및 열 밀봉 내성을 본 발명의 적층된 다층 필름 구조물에 부여한다.
불연속 보안 장치, 예를 들면 광학 가변 장치(OVC)가 기재 안에 도입될 때, 상기 장치는 기재에 부착된 파우치중에 포함될 수 있다. 반면, 광학 가변 장치 자체가 적층된 기재의 하나(또는 두개)의 층 안에 또는 층들 사이에 도입될 수도 있고, 층들 사이에 형성된 투명하게 정의된 파우치 안에 물리적으로 불연속적인 장치 를 도입할 필요는 없다.
광학 가변 장치(OVD), 자기 장치, 전자 장치 및 희토류 원소-함유 장치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과 같은 임의의 적합한 보안 장치를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고, OVD가 특히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은 "광학 가변"이란 용어는 가역적이고 예측가능하며 재현가능한 방식으로 외관을 변화시키도록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는 임의의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장치의 외관은 예를 들면 체열 또는 손으로 인한 압력의 적용, 관측 각도의 변화, 및 관측시의 광 조건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의도되는 장치의 유형은 회절 격자, 액정, 무아레 무늬 및 중첩된 굴절성이고 렌즈 모양이며 투명한 격자, 예를 들면 프레스넬 렌즈(Fresnel lense)를 사용하거나 사용하지 않는 크로스-격자에 의해 생성된 유사 무늬, 다양한 간섭 무늬 등을 나타내는 이격된 부분적으로 반사성이고 부분적으로 투명성인 코팅, 복굴절성 또는 편광층, 윤대판(zone-plate) 등이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속성의 광학 활성 장치는 숙련되지 않은 자에게도 용이하게 인지되지만, 사진 및 인쇄 기술에 의해 재현되기에는 아직은 극도로 어렵다. 게다가, 재현가능한 양식으로 하나의 임의의 이러한 장치를 생산하고 본 발명에 의해 기술된 바와 같은 플라스틱 적층물에 이러한 장치를 도입하면 대다수의 소위 날조자의 공급원이 되지 못할 것이다. 지폐와 같은 가요성 페이퍼 유사 제품의 경우, 물론 광학 가변 장치는 자체가 시이트형이면서 가요성이고 얇아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장치가 적층물에 사용되는 플라스틱 물질과 상용가능하 여 결합을 용이하게 하고 시간변화에 따른 반응상의 변화를 완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광학 가변 장치의 한가지 바람직한 형태는 회절 무늬로 엠보싱된 금속화된 열가소성 필름으로 구성된 반사 회절 격자일 수 있다. 무허가 복제를 목적으로 엠보싱 무늬에 접근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금속화된 필름의 각 면상에 금속 층과 유사한 용해 특성을 갖는 열가소성 물질 층을 사용하여 차등 식각에 의한 분리를 매우 어렵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다른 바람직한 장치는 박막의 각 면상에 정교한 선 또는 점 무늬를 사진술로 재현함으로써 형성된 무아레 무늬이다. 점 및 선들의 간격은 인쇄 기술에 의해 재현될 수 없을 만큼 정교하게 만들기 쉽고 무아레 무늬는 훨씬 큰 규모로 나타낼 수 있다. 지폐에 사용하기 위해서는 독특한 회절 및 무아레 무늬가 종종 바람직할 것이고 컴퓨터 및 사진-환원법과 같은 기술이 이들을 생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낮은 화폐단위의 지폐의 제조시, 위조를 막기 위한 적절한 수위의 보안성이 단지 지폐를 통하는 투명 "윈도우"를 제공함으로써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지시한 바와 같이, 이러한 윈도우가 있으므로 스캐너나 칼라 복사기로 지폐를 복사할 수 없을 것이다. 또한, 보안 장치 및 프린트를 보호하기 위한 지폐의 반전 인쇄를 비롯한 그 밖의 보안 특성이 지폐내에 또는 지폐상에 도입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필름과 유사하되 "크로스-배향" 필름은 150℉ 이상의 온도에서 돌돌 말리기 쉽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러한 크로스-배향 필름은 제 2 층의 제 1(1차) 배향 방향이 제 1 층의 제 1(1차) 배향 방향과 실질적으로 수직이 되도록 제 2 층이 필름 기재에 적층된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에 따른 필름과 유사하다. 이러한 돌돌 말리는 현상은 각 층의 기계방향과 횡방향에서 고온에서 수축하는 정도의 차이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층들의 코팅 또는 표피가 층들의 HDPE 성분과 상이한 수축계수를 갖는 경우에 추가의 말리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불균형적인 수축과 그에 따라 말리는 현상은 하나의 층의 전체적인 수축성을, 여기에 제 1 층과 동일하고 제 1 층의 거울상으로서 제공되는 제 2 층을 적층시킴으로써 균형을 이루게 해주면 해결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층상 필름 구조의 절반은 다른 것의 거울상이고, 대칭면은 층상 필름 구조물 단면의 수평 중심선을 따른다. 이는 단면상 대칭적인 층상 필름 구조물을 제공한다. 이러한 필름의 예는 ABA, ABBA, ABCCBA, ABCDCBA 등의 구조로서, 여기서 각각의 문자는 필름 층, 표피, 코팅 또는 접착제 층을 나타낸다. 이러한 단면상 대칭적인 층상 필름 구조물은 반드시 "평행-배향" 구조물로서, 즉 제 1 층의 제 1 배향 방향은 거울상 요건을 만족시키기 위해서 제 2 층의 제 1 배향 방향과 평행하다. 이러한 구조는 대칭 구조를 제공하는데, 여기서 마주보는 수축력은 서로 상당한 정도까지 반대작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2층 평행 구조는 한 방향으로, 예를 들어 2개의 TD 배향 필름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TD 방향으로 불량한 인열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묶여진 층들의 1차 배향 방향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인 1차 배향 방향으로 배향된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및/또는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적층 수지가 인열 경향이 감소된다는 것이 밝혀졌다. 적층 수지는 자체가 적층중에, 바람직하게는 수지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고형화된 후, 바람직하게는 기계방향으로 어느 정도 배향될 수 있다. 이러한 배향은 10% 이상, 바람직하게는 20% 이상, 즉 75%의 적층 접착제 수지의 총 드로다운(drawdown)에 따라 1.5 내지 10배, 바람직하게는 4 내지 6배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적층 접착제 수지로서 100% 고형물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적층 절차로부터 발생하는 배향 효과를 향상시키고 결과적으로 말림내성 및 향상된 화학약품 내성을 나타내는 다층 필름을 수득할 수 있음이 밝혀졌다.
HDPE 함유 층의 하나 또는 둘은 내인열성 면에서 한 방향에서, 적층 접착제 수지 및 OPP 함유 코어 층보다 훨씬 더 약한 정도로 약화될 수 있다. 위조 목적으로 구조물을 층분리하고자 할 경우, 외부 인쇄된 HDPE 함유 층들의 작은 스트립만이 제거될 것이다. 전체 HDPE 함유 층은 제거되지 않을 것이다.
HDPE 함유 층은 제조중 공정 조건을 사용하면 찢어져서 약해질 수 있다. 또한, 레이저 기술 및/또는 눈을 새기는 기술(nicking)과 같은 미세천공 기술은 HDPE 함유 층들을 약화시킬 것이다. 이러한 미세천공은, 예를 들면 약 50 내지 약 300 도트/인치(dpi)로 대각선 또는 한 방향이다.
HDPE 층은 또한 배향중 층을 섬유화시키거나 분열시키는 비상용성 접착제의 첨가를 통해 찢어져서 약해질 수 있다. 결정화를 수행하는 적합한 비상용성 중합체 첨가제는 폴리에스테르(PET),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스티렌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약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4 내지 약 8 중량%의 비상용성 첨가제를 HDPE 층에 첨가할 수 있다. 섬유화는 비상용성 중합체의 긴 평면 영역을 둘러싸는 배향된 HDPE 영역을 생성하여 찢어짐 이 적은 영역을 생성한다.
OPP 코어 층은 약화되지 않고 본질적으로 전체적인 구조물의 인장 특성 및 내인열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을 하기 비제한적인 실시예에 의해 추가로 설명하며, 여기서 모든 부는 달리 지시되지 않는 한 중량부이다.
실시예 1
본 실시예는 양호한 완전접힘 특성을 갖는 지폐를 제조하기에 적합한 본 발명에 따른 다층 필름 기재의 제조법을 나타낸다.
HDPE를 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 표피와 함께 양쪽 면상에 공압출하여 제 1 층 (a)를 형성함으로써 1.15 밀의 최종 두께를 갖는 다층 배향 필름 기재를 제조한다. 사용된 HDPE는 0.96의 밀도 및 1.0의 용융 지수를 갖는, 미국 텍사스주 달라스 소재의 옥시덴탈 케미칼 코포레이션(Occidental Chemical Corp.)으로부터 시판되는 옥시켐(Oxychem) M-6211이다. 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 표피는 일본의 짓소 코포레이션(Chisso Corp.)으로부터 시판되는 에틸렌-프로필렌-부텐-1 터폴리머인 짓소 7510 90 중량% 및 미국 코네티컷주 노르워크 소재의 모빌 케미칼 캄파니(Mobil Chemical Co.)로부터 시판되는 저밀도 폴리에틸렌인 노빌(Nobil) LKA-753 10 중량%를 포함한다. HDPE는 생성되는 필름 층 (a)의 약 90 중량%를 구성하고, 표피는 10 중량%(각각의 면에서 5 중량%씩)를 구성한다. 이어서, 필름 (a)를 텐터 프레임내 에서 약 115℃에서 MD 방향으로 1.4배 배향시키고, 약 115 내지 140℃에서 TD 방향으로 6 내지 12배, 예를 들어 10배 배향시킨다.
층 (a)는 에이치. 비. 풀러 캄파니로부터 시판되는 2-부분 폴리우레탄 수지인 WD4110을 사용하여 하기 OPP 층 (b)에 100% 고형물로 접착 적층된다.
상기 OPP 층은 109 게이지 단위로 코어에 FINA 3371 폴리프로필렌 단일중합체를 사용하고, 2개의 표피 층으로서 3 게이지 단위의 라이온델(Lyondell) M60-30 고밀도 폴리에틸렌 층을 사용하여 제조된 최종 두께 1.15 밀의 층이다. MG60-30은 가공 보조제 및/또는 표면 개질제를 함유할 수도 있다.
상기 두겹 층은 또한 상기한 또다른 HDPE 층에 풀러 WD4110을 사용하여 100% 고형물로 접착 적층된다.
실시예 2
본 실시예는 양호한 완전접힘 특성을 갖는 지폐를 제조하기에 적합한 본 발명에 따른 다층 필름 기재의 제조법을 나타낸다.
HDPE를 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 표피와 함께 양쪽 면상에 공압출하여 제 1 층 (a)를 형성함으로써 1.15 밀의 최종 두께를 갖는 다층 배향 필름 기재를 제조한다. 사용된 HDPE는 0.96의 밀도 및 1.0의 용융 지수를 갖는, 미국 텍사스주 달라스 소재의 옥시덴탈 케미칼 코포레이션으로부터 시판되는 옥시켐 M-6211이다. 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 표피는 일본의 짓소 코포레이션으로부터 시판되는 에틸렌-프로필렌-부텐-1 터폴리머인 짓소 7510 90 중량% 및 미국 코네티컷주 노르워크 소재의 모빌 케미칼 캄파니로부터 시판되는 저밀도 폴리에틸렌인 노빌 LKA-753 10 중량%를 포함 한다. HDPE는 생성되는 필름 층 (a)의 약 90 중량%를 구성하고, 표피는 10 중량%(각각의 면에서 5 중량%씩)를 구성한다. 이어서, 필름 (a)를 텐터 프레임내에서 약 115℃에서 MD 방향으로 1.4배 배향시키고, 약 115 내지 140℃에서 TD 방향으로 6 내지 12배, 예를 들어 10배 배향시킨다.
층 (a)는 에이치. 비. 풀러 캄파니로부터 시판되는 2-부분 폴리우레탄 수지인 WD4110을 사용하여,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1.20 밀의 OPPalyteTM 420 HTW)를 함유하는 OPP 층 (b)에 100% 고형물로 접착 적층된다.
상기 두겹 층은 또한 상기한 또다른 HDPE 층에 풀러 WD4110을 사용하여 100% 고형물로 접착 적층된다.
하기 물질을 실시예 3, 4 및 5에 사용한다.
NSK7000은 닛폰 쇼쿠바이에 의해 제조된 산성화된 아미노에틸화 혼성중합체이다. 아민 수소 당량은 250/g이다. 이 물질은 50% 고형물로 공급된다.
MW900은 에폭시화된 비스페놀 A(Michemepoxy 82855, 에폭시 당량: 약 188/g)의 분산액중의 소수성 점토(휴버의 Lithosperse 7015HS)의 분산액이다. MW900 및 Michemepoxy 82855는 미켈만, 인코포레이티드(Michelman, Inc.)에 의해 제조된다.
PD95849MO1은 미국 뉴저지주 패터슨 소재의 어드히젼 시스템스, 인코포레이티드에 의해 제조되고, 50% 고형물로 이산화티탄을 함유하는 수성의 카복실화 우레탄 중합체이다.
AS 316[어드히젼 시스템스, 인코포레이티드로부터 구입되는 트리메틸올프로 판 트리스(2-메틸-1-아지리딘프로피오네이트)]은 카복실 잔기와 반응하여 우레탄 중합체를 가교결합시킨다.
이소프로필 알콜은 거품을 조절하여 코팅의 균일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MW960은 에폭시화된 비스페놀 A(Michemepoxy 82855, 에폭시 당량: 약 188/g)의 분산액중의 이산화티탄(티옥사이드 아메리카스의 RXL)의 분산액이다. MW900 및 Michemepoxy 82855는 미켈만, 인코포레이티드에 의해 제조된다.
실리시아 730은 후지 실리시아에 의해 제조되는 3 미크론 실리카겔이다.
다우본드 42X6311은 다우버트 케미칼 캄파니에 의해 제조되는 비스페놀 A의 유화된 글리시딜 에테르이다.
실시예 3
실시예 1의 세겹 적층물을 10-스테이션 스키아비(Schiavi) 프레스상에서 코팅하여 하기 구조물을 수득한다:
소수성 점토로 충전된 에폭시 프린트 캡(약 0.4 g/msi)
이산화티탄으로 충전된 대전방지 불투명화 층(약 1.5 g/msi)
이산화티탄으로 충전된 에폭시 불투명화 층(약 2.3 g/msi)
이산화티탄으로 충전된 에폭시 불투명화 층(약 2.3 g/msi)
세겹 적층물
이산화티탄으로 충전된 에폭시 불투명화 층(약 2.3 g/msi)
이산화티탄으로 충전된 에폭시 불투명화 층(약 2.3 g/msi)
이산화티탄으로 충전된 대전방지 불투명화 층(약 1.5 g/msi)
소수성 점토로 충전된 에폭시 프린트 캡(약 0.4 g/msi)

각각의 층을 별개 스테이션의 프레스에 의해 도포한다. 스테이션 #9 또는 #10에서는 코팅을 도포하지 않는다. 각각의 코팅 유형을 하기에 기술한다. 필름 을 스테이션 #4 이후에 뒤집기 막대로 뒤집는다.
에폭시 프린트 캡: 그라비어 실린더에 의해 스테이션 #4(앞면) 및 #8(뒷면)에서 도포한다(인치당 250 라인).
NSK7000 78.8 Lbs.
탈염수 74 Lbs.
MW900 163.9 Lbs.
이소프로필 알콜 158.2 Lbs.

완전히 배합되었을 때, 소수성 점토 대 결합제(에폭시 및 경화제)의 비는 약 1:1이다.
대전방지 불투명화 층: 그라비어 실린더에 의해 스테이션 #3(앞면) 및 #7(뒷면)에서 도포한다(인치당 250 라인).
PD95849MO1 500 Lbs.
A316 가교결합제 7.5 Lbs.
107.5 Lbs.
이소프로필 알콜 70 Lbs.

완전히 배합되었을 때, 대전방지 불투명화 층중의 이산화티탄 대 결합제의 비는 약 3:1이다.
에폭시 불투명화 층: 그라비어 실린더에 의해 스테이션 #1(앞면), #2(앞면), #5(뒷면) 및 #6(뒷면)에서 도포한다(인치당 150 라인).
MW960 300 Lbs.
NSK7000 96 Lbs.
이소프로필 알콜 78 Lbs.

완전히 배합되었을 때, 에폭시 불투명화 층중의 이산화티탄 대 결합제의 비 는 약 2:1이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코팅된 필름을 시이트화하고 자동화 장치상에서 인쇄한다. 총 두께는 약 0.0043 인치(4.3 밀)이다.
실시예 4
실시예 1의 세겹 적층물을 실시예 3의 방법에 따라 코팅한다. 하기 구조물을 제조한다:
소수성 점토로 충전된 에폭시 프린트 캡(약 1 g/msi)
이산화티탄으로 충전된 대전방지 불투명화 층(약 3 g/msi)
이산화티탄으로 충전된 대전방지 불투명화 층(약 3 g/msi)
에폭시 층(약 0.2 g/msi)
세겹 적층물
에폭시 층(약 0.2 g/msi)
이산화티탄으로 충전된 대전방지 불투명화 층(약 3 g/msi)
이산화티탄으로 충전된 대전방지 불투명화 층(약 3 g/msi)
소수성 점토로 충전된 에폭시 프린트 캡(약 1 g/msi)

에폭시 층: 대전방지 불투명화 층에 대한 접착 촉진 프라이머로서 사용한다. 그라비어 실린더에 의해 스테이션 #1 및 #5에서 도포한다(인치당 360 라인).
NSK7000 118.5 Lbs.
탈염수 254.5 Lbs.
이소프로필 알콜 22.5 Lbs.
다우본드 42X6311 50 Lbs.
실리시아 730 4.3 Lbs.

에폭시 프린트 캡: 실시예 1과 유사하되 임의의 입자를 함유한다. 그라비어 실린더에 의해 스테이션 #4 및 #8에서 도포한다(인치당 200 라인).
NSK7000 97.1 Lbs.
탈염수 77 Lbs.
이소프로필 알콜 20 Lbs.
MW900 202 Lbs.
실리시아 730 3.5 Lbs.

완전히 배합되었을 때, 소수성 점토 대 결합제(에폭시 및 경화제)의 비는 약 1:1이다.
대전방지 불투명화 층: 그라비어 실린더에 의해 스테이션 #2, #3, #6 및 #7에서 도포한다(인치당 150 라인).
PD95849MO1 500 Lbs.
A316 가교결합제 7.5 Lbs.
107.5 Lbs.
이소프로필 알콜 70 Lbs.

완전히 배합되었을 때, 대전방지 불투명화 층중의 이산화티탄 대 결합제의 비는 약 3:1이다.
상기 물질을 코팅하고 상업적 규모의 장치상에서 시이트화한다. 음각 프레스상에서 수천장의 시이트를 인쇄한 후, 매우 적은 잉크 셋 오프(set off)가 관찰된다. 셋 오프는 시이트를 쌓아올려 수집할 때 새로이 인쇄된 시이트측으로부터 다른 측으로 잉크가 이동하는 것이다. 총 두께는 약 0.0048 인치(4.8 밀)이다.
실시예 5
실시예 2의 세겹 적층물을 4-스테이션 체스네트(Chesnet) 프레스상에서 코팅하여 하기 구조물을 수득한다. 각각의 층을 별개 스테이션의 프레스에 의해 도포한다. 스테이션 #1에서는 코팅을 도포하지 않는다. 적층물을 한쪽 면상에 코팅한 다음 제거하고, 다른쪽 면상에 코팅한다. 불투명하고 공동이 형성된 코어는 실시예 3 및 4에서보다 더 적은 불투명화 코팅을 필요로 한다.
소수성 점토로 충전된 에폭시 프린트 캡(약 1 g/msi)
이산화티탄으로 충전된 대전방지 불투명화 층(약 3 g/msi)
에폭시 층(약 0.2 g/msi)
공동이 형성된 중심층을 갖는 세겹 적층물
에폭시 층(약 0.2 g/msi)
이산화티탄으로 충전된 대전방지 불투명화 층(약 3 g/msi)
소수성 점토로 충전된 에폭시 프린트 캡(약 1 g/msi)

에폭시 프린트 캡: 그라비어 실린더에 의해 스테이션 #4에서 도포한다(인치당 180 라인).
NSK7000 78.8 Lbs.
탈염수 74 Lbs.
MW900 163.9 Lbs.
이소프로필 알콜 158.2 Lbs.

완전히 배합되었을 때, 에폭시 프린트 캡중의 소수성 점토 대 결합제(에폭시 및 경화제)의 비는 약 1:1이다.
대전방지 불투명화 층: 그라비어 실린더에 의해 스테이션 #3에서 도포한다(인치당 150 라인).
PD95849MO1 500 Lbs.
A316 가교결합제 7.5 Lbs.
107.5 Lbs.
이소프로필 알콜 70 Lbs.

완전히 배합되었을 때, 대전방지 불투명화 층중의 이산화티탄 대 결합제의 비는 약 3:1이다.
에폭시 층: 대전방지 불투명화 층에 대한 접착 촉진 프라이머로서 사용한다. 그라비어 실린더에 의해 스테이션 #2에서 도포한다(인치당 360 라인).
NSK7000 118.5 Lbs.
탈염수 254.5 Lbs.
이소프로필 알콜 22.5 Lbs.
다우본드 42X6311 50 Lbs.
실리시아 730 4.3 Lbs.

이 물질을 실험실용 음각 프레스상에서 인쇄한다. 구겨짐으로 인한 공동형성 때문에 불투명성이 상실되었다는 표시 없이 프린트 품질이 우수하다. 총 두께는 약 0.0042 인치(4.2 밀)이다.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태양으로 기술하였지만,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자라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변형 및 변화가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변형 및 변화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위내에 드는 것으로 간주된다.

Claims (21)

  1. (a) 내부 면 및 외부 면을 갖고, 약 0.94 이상의 밀도를 갖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약 50 중량% 이상을 포함하고, 제 1 방향과 실질적으로 수직인 제 2 방향으로 존재하는 배향도보다 3배 이상 작은 배향도로 적어도 제 1 방향으로 배향되고, 공압출된 프로필렌 공중합체 표피를 내부 면상에 추가로 포함하는 불균형한 2축배향 제 1 층;
    (b) 내부 면 및 외부 면을 갖고, 폴리프로필렌 약 90 중량% 이상을 포함하고, 적어도 제 1 방향으로 4:1 이상의 배향비로 배향되고, 상기 제 1 방향과 실질적으로 수직인 제 2 방향으로 6:1 이상의 배향비로 배향된 균형한 2축배향 제 2 층;
    (c) 내부 면 및 외부 면을 갖고, 약 0.94 이상의 밀도를 갖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약 50 중량% 이상을 포함하고, 제 1 방향과 실질적으로 수직인 제 2 방향으로 존재하는 배향도보다 3배 이상 작은 배향도로 적어도 제 1 방향으로 배향된 불균형한 2축배향 제 3 층; 및
    (d) 층 (a) 및 (c)의 내부 면 사이에 배치된 적층 접착제 수지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층은 상기 제 3 층의 제 1 배향 방향이 상기 제 1 층의 제 1 배향 방향과 실질적으로 정렬되도록 상기 제 1 층 및 제 3 층에 적층되고, 층 (a) 및 (c)의 외부 면은 하나 이상의 에폭시 층 및 하나 이상의 대전방지 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지폐, 증권 용지 등의 제조에 사용하기 위한, 말림내성을 갖고 단면상 대칭적인 적층된 다층 필름 기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에폭시 층이 최외부 층인 필름 기재.
  3. 제 1 항에 있어서,
    층 (a) 및 (c)의 외부 면이 2개 이상의 에폭시 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필름 기재.
  4. 제 1 항에 있어서,
    에폭시 층과 대전방지 층이 동일한 층인 필름 기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폭시 층이 산성화된 아미노에틸화 비닐 중합체와 에폭시 수지의 반응 생성물을 포함하고, 상기 에폭시 코팅이 면당 4 내지 8 g/1000 in2(g/msi)의 총 코팅 중량을 갖는 필름 기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폭시 수지가 페놀, 비스페놀, 고리 치환된 비스페놀, 레소르시놀, 하이드로퀴논, 페놀 포름알데하이드 노볼락 수지, 폴리옥시프로필렌 글리콜,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1,4-부탄디올, 1,6-헥산디올 글리세롤, 글리콜, 저급 알킬 치환된 히단토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의 글리시딜 에테르인 필름 기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폭시 층이 잉크 프린트 이미지를 추가로 포함하는 필름 기재.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폭시 층이 실리카, 점토, 산화아연, 산화주석, 활석, 표면 개질된 점토, 표면 개질된 실리카, 이산화티탄, 표면 개질된 이산화티탄 및 탄산칼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불투명화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필름 기재.
  9. 제 2 항에 있어서,
    하부 에폭시 층이 이산화티탄을 포함하고, 최외부 에폭시 층이 소수성 점토를 포함하는 필름 기재.
  10. 제 1 항에 있어서,
    층 (b)가 공동형성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필름 기재.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형성제가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탄산칼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 터 선택되는 필름 기재.
  12. 제 1 항에 있어서,
    층 (a) 및 (c)가 그의 적어도 한쪽 면상에 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 표피를 추가로 포함하는 필름 기재.
  13. 제 1 항에 있어서,
    층 (a) 및 (c)가 그의 내부 면 및 외부 면상에 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 표피를 추가로 포함하는 필름 기재.
  14. 제 1 항에 있어서,
    접착제 수지 (d)가 무용매 폴리우레탄 접착제를 포함하는 필름 기재.
  15. 제 1 항에 있어서,
    접착제 수지 (d)가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및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성분을 포함하는 필름 기재.
  16. 제 1 항에 있어서,
    층 (a)와 (c) 사이에 (e) 보안 장치를 추가로 포함하는 필름 기재.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 장치가 광학 가변 장치(OVD; optically variable device), 자기 장치, 전자 장치 및 희토류 원소-함유 장치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필름 기재.
  18. 제 1 항에 있어서,
    적층 접착제 수지 (d)를 사용하여 적층하기 전에 층 (b)상에 인쇄된 (e) 보안 장치를 추가로 포함하는 필름 기재.
  19. 제 1 항에 있어서,
    필름 기재를 통하는 투명 윈도우를 추가로 포함하는 필름 기재.
  20.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에폭시 층이 산성화된 아미노에틸화 비닐 중합체와 에폭시 수지의 반응 생성물을 포함하고, 상기 에폭시 코팅이 면당 0.3 내지 5 g/msi의 총 코팅 중량을 갖는 필름 기재.
  21. 제 1 항에 있어서,
    지폐 형태인 필름 기재.
KR1020017015581A 1999-06-03 2000-06-02 유가증권 증서 제조용의 에폭시 코팅된 다층 구조물 Expired - Fee Related KR1006364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2550999A 1999-06-03 1999-06-03
US09/325,509 1999-06-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5338A KR20020015338A (ko) 2002-02-27
KR100636470B1 true KR100636470B1 (ko) 2006-10-18

Family

ID=23268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5581A Expired - Fee Related KR100636470B1 (ko) 1999-06-03 2000-06-02 유가증권 증서 제조용의 에폭시 코팅된 다층 구조물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EP (1) EP1194300B1 (ko)
JP (1) JP2003501298A (ko)
KR (1) KR100636470B1 (ko)
CN (1) CN1358142A (ko)
AR (1) AR024277A1 (ko)
AT (1) ATE240843T1 (ko)
AU (1) AU5178900A (ko)
BR (1) BR0011530A (ko)
CA (1) CA2369744A1 (ko)
DE (1) DE60002870T2 (ko)
ES (1) ES2199833T3 (ko)
TW (1) TW506898B (ko)
WO (1) WO20000749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52762B2 (en) 2001-05-24 2006-05-3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Low Tg multilayer optical films
DE10301346A1 (de) * 2002-03-07 2003-09-18 Bundesdruckerei Gmbh Rechts Un Sicherheitsdokumenten-Karte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US7820282B2 (en) 2003-04-10 2010-10-2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oam security substrate
US7655296B2 (en) 2003-04-10 2010-02-0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Ink-receptive foam article
US8212473B2 (en) 2009-04-22 2012-07-03 Simon Fraser University Flexible polymeric light emitting/charge storage device and system
US8253536B2 (en) 2009-04-22 2012-08-28 Simon Fraser University Security document with electroactive polymer power source and nano-optical display
AU2012100979B4 (en) * 2012-06-28 2012-10-04 Ccl Secure Pty Ltd Antistatic film
CN105374283A (zh) * 2015-09-06 2016-03-02 深圳市天兴诚科技有限公司 一种防伪材料及其制备方法
JP6883025B2 (ja) * 2015-09-10 2021-06-02 ダウ キミカ メキシカーナ エセ・アー・デ・セ・ウベ 多層フィルム及び該多層フィルムから作製される物品
CN105303393A (zh) * 2015-12-05 2016-02-03 深圳市天兴诚科技有限公司 一种防伪方法
WO2025129444A1 (en) * 2023-12-19 2025-06-26 Sicpa Holding Sa Opacifying systems for polymeric transparent substrate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540846A1 (de) * 1975-09-13 1977-03-17 Pelikan Werke Wagner Guenther Schutzueberzug fuer dokumente gegen kopieren
US4681803A (en) * 1985-10-18 1987-07-21 Mobil Oil Corporation Pigmented, heat-sealable coating composition for application to oriented polyolefin films
US6294267B1 (en) * 1994-06-27 2001-09-25 Exxonmobil Oil Corporation Core printed security documents
US5698333A (en) * 1994-06-27 1997-12-16 Mobil Oil Corporation Multilayer film structures for use in the production of banknotes or the like
GB2299036A (en) * 1995-03-22 1996-09-25 Coated Papers Limited Coated Pap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194300B1 (en) 2003-05-21
TW506898B (en) 2002-10-21
AR024277A1 (es) 2002-09-25
CA2369744A1 (en) 2000-12-14
AU5178900A (en) 2000-12-28
KR20020015338A (ko) 2002-02-27
ES2199833T3 (es) 2004-03-01
EP1194300A1 (en) 2002-04-10
DE60002870D1 (de) 2003-06-26
JP2003501298A (ja) 2003-01-14
BR0011530A (pt) 2002-02-26
CN1358142A (zh) 2002-07-10
DE60002870T2 (de) 2004-05-06
WO2000074948A1 (en) 2000-12-14
ATE240843T1 (de) 2003-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18630A (en) Cross-laminated multilayer film structure for use in the production of banknotes or the like
US5879028A (en) Weakened oriented high density polyethylene film for multilayer security document lamination
US6270610B1 (en) Method for preparing multilayer film structures for use in the production of banknotes or the like
AU764079B2 (en) Core printed security documents
US6495231B2 (en) Epoxy coated multilayer structure for use in the production of security documents
KR100636470B1 (ko) 유가증권 증서 제조용의 에폭시 코팅된 다층 구조물
US5716695A (en) Cross-laminated multilayer film structures for use in the production of banknotes or the like
US5935696A (en) Multilayer film structures for use in the production of banknotes or the like
US6468661B2 (en) Multilayer structure containing cavitated materials for use in the production of security documents
KR20020015339A (ko) 위조방지 문서 제조용 공동화된 물질 함유 다층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1203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5060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8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10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10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