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19737B1 - 도어록장치의 버튼커버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도어록장치의 버튼커버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9737B1
KR100619737B1 KR1020060026927A KR20060026927A KR100619737B1 KR 100619737 B1 KR100619737 B1 KR 100619737B1 KR 1020060026927 A KR1020060026927 A KR 1020060026927A KR 20060026927 A KR20060026927 A KR 20060026927A KR 100619737 B1 KR100619737 B1 KR 1006197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cover
cover
main body
button
door lock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6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경양
김성배
Original Assignee
(주)동광알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광알파 filed Critical (주)동광알파
Priority to KR10200600269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97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97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9737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 E05B2009/004Shape of the lock hous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튼부가 마련되어 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버튼부를 개폐하는 버튼커버를 갖는 도어록장치의 버튼커버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본체와 상기 버튼커버 중 어느 하나에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재수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와 상기 버튼커버 사이영역에는 일측이 상기 탄성부재수용부에 부분적으로 수용되고 타측이 상기 본체와 상기 버튼커버 중 다른 하나에 접촉하는 커버가압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수용부에 수용되어 상기 커버가압부재를 탄성적으로 외향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갖는 커버탄성가압수단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장기간 사용에도 개방상태의 버튼커버가 임의로 흘러내리지 않고, 제품의 슬림화에 유리한 도어록장치의 버튼커버 설치구조가 제공된다.
또한, 버튼커버의 슬라이딩 개폐를 위한 부품들의 마모를 방지하여 장기간 사용에도 버튼커버가 임의로 흘러내리거나 흔들리지 않고 균일하게 개폐될 수 있는 도어록장치의 버튼커버 설치구조가 제공된다.
도어록, 버튼, 버튼커버, 본체, 스프링, 탄성부재, 가압부재

Description

도어록장치의 버튼커버 설치구조{Button Cover of Door Lock System}
도 1은 도어록장치의 버튼커버 개방상태의 정면도,
도 2는 종래 도어록장치의 버튼커버 영역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의 버튼커버 결합상태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도어록장치의 버튼커버 영역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4의 버튼커버 결합상태의 평단면도,
도 6 및 도 7은 도 4의 버튼커버 작동상태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록장치의 버튼커버 영역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록장치의 버튼커버 영역 분해사시도,
도 10은 도 9의 버튼커버 결합상태의 평단면도,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록장치의 버튼커버 영역 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11 : 버튼부
16 : 탄성부재수용부 16b : 걸림턱
20 : 버튼커버 30 : 탄성가압수단
31 : 탄성부재 33 : 커버가압부재
35 : 접촉부 35a : 접촉롤러
37 : 본체결합부 40 : 슬라이딩결합부
41 : 안내레일 43 : 레일
45 : 슬라이딩롤러
본 발명은, 도어록장치의 버튼커버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버튼커버의 개폐 충격 완화 및 균일한 개폐조작력을 부여하는 커버탄성가압수단을 갖는 도어록장치의 버튼커버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도어록장치(10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미도시)의 잠금 및 해제를 위한 락킹유닛(미도시)의 부품들이 설치되는 본체(110)와, 본체(110)의 전방에 결합된 도어핸들(140)과, 본체(110)의 전면에 다수의 조작버튼으로 마련되는 버튼부(111)와, 버튼부(111)를 개폐하는 버튼커버(120)로 구성된다.
이 중 버튼커버(120)는 본체(110)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버튼부(111)를 개방 및 차단하는 위치로 왕복 이동하게 되는데, 이를 위한 버튼커버(120)의 설치구조가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76178호에 도 2 및 도 3과 같이 개시된 바 있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도어록장치의 버튼커버 설치구조는 본체(110)와 버튼커버(120)에 레일(125) 및 레일홈(115) 등의 슬라이딩 구조가 형성되어 있고, 버튼커버(120)와 본체(110) 사이에는 버튼커버(120)의 개폐조작시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시킴과 동시에, 버튼커버(120)의 균일한 개폐조작력을 부여하는 커버스프링(130)이 개재되어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때, 커버스프링(130)은 버튼커버(120)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자 형상의 탄성부(131)와, 탄성부(131)의 양 끝단에 소정의 직경으로 권취된 한 쌍의 끼움부(133)와, 각 끼움부(133)의 끝단으로부터 탄성부(131)에 대해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연장된 연장부(135)를 갖는 비틀림코일스프링으로 마련되어 있다.
이 커버스프링(130)은 본체(110)에 결합되어 버튼커버(120)를 탄성가압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서, 본체(110)에는 커버스프링(130)의 끼움부(133)가 수용되는 한 쌍의 통공(113)과, 양 통공(113)의 내측에서 상호 대향하게 돌출된 고정돌기(113a)가 형성되어 있다. 고정돌기(113a)에는 커버스프링(130)의 끼움부(133)가 끼워져 결합된다.
이러한 버튼커버 설치구조에 의해서, 커버스프링(130)은 연장부(135)가 통공(113)의 배면에 걸리고 탄성부(131)가 연장부(135)에 대해 소정의 탄성 구현 각도로 버튼커버(120)에 접촉함으로써, 버튼커버(120)를 탄성적으로 외향 가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버튼커버(120)의 개폐 조작시 충격이 완화됨과 동시에, 버튼커버(120)의 균일한 개폐조작력을 부여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도어록장치의 버튼커버 설치구조에 있어서는, 커버스프링이 비틀림코일스프링 형태로 형성되고, 커버스프링이 버튼커버에 직접적으로 접촉되기 때문에, 도어록장치를 장기간 사용하면 커버스프링의 탄성력이 저하될 우려가 크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버튼커버에 대한 탄성 가압력이 저하되어 제품의 장기간 사용시 개방된 버튼커버가 흘러내리는 문제점으로 나타난다.
또한, 본체와 버튼커버 사이영역에 커버스프링의 탄성부와 연장부 간의 탄성 구현각도에 대응하는 비교적 큰 공간(도 3의 "A")이 형성되어야 하기 때문에, 도어록의 슬림화에 한계가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종래 도어록장치의 버튼커버 설치구조에 있어서는, 커버스프링의 탄성부가 버튼커버의 배면에 직접 접촉되기 때문에, 도어록장치의 장기간 사용시 마찰 접촉에 의해 커버스프링의 탄성부가 마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의해, 커버스프링의 파손이 발생하게 될 뿐만 아니라 개방된 버튼커버가 임의로 흘러내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버튼커버의 슬라이딩 개폐구조가 단순히 레일 및 레일홈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도어록장치의 장기간 사용시 레일 및 레일홈이 마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의해, 레일과 레일홈 간에 유격이 형성되어 버튼커버가 흔들리거나 균일한 개폐조작이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장기간 사용에도 개방상태의 버튼커버가 임의로 흘러내리지 않고, 제품의 슬림화에 유리한 도어록장치의 버튼커버 설치구조를 제공 하는 것이다.
또한, 버튼커버의 슬라이딩 개폐를 위한 부품들의 마모를 방지하여 장기간 사용에도 버튼커버가 임의로 흘러내리거나 흔들리지 않고 균일하게 개폐될 수 있는 도어록장치의 버튼커버 설치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버튼부가 마련되어 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버튼부를 개폐하는 버튼커버를 갖는 도어록장치의 버튼커버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상기 버튼커버 중 어느 하나에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재수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와 상기 버튼커버 사이영역에는 일측이 상기 탄성부재수용부에 부분적으로 수용되고 타측이 상기 본체와 상기 버튼커버 중 다른 하나에 접촉하는 커버가압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수용부에 수용되어 상기 커버가압부재를 탄성적으로 외향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갖는 커버탄성가압수단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장치의 버튼커버 설치구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수용부는 상기 본체에 상호 소정의 간격을 두고 한 쌍으로 함몰 형성되어 있고, 입구에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커버가압부재는 상기 버튼커버의 배면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자 형상의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의 양 단부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탄성부재수용부내에 수용되고 단부 영역이 상기 걸림턱에 결리는 본체결합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접촉부의 양측은 하향 절곡된 것이 효과적이다.
한편, 상기 버튼커버의 개방 또는 차단 위치에서 상기 접촉부에 대응하는 상기 버튼커버의 배면 또는 상기 본체의 전면에는 상기 접촉부가 탄성적으로 걸림유지되는 걸림홈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걸림홈부는 상기 버튼커버의 이동 방향을 향해 점진적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다.
또한, 상기 접촉부에 자유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촉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본체와 상기 버튼커버 중 어느 일측에 상기 버튼커버의 개폐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안내레일과, 상기 본체와 상기 버튼커버 중 타측에 마련되어 상기 안내레일에 구름접촉하는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딩롤러를 갖는 슬라이딩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도어록장치의 버튼커버 영역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버튼커버 결합상태의 평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장치의 버튼커버 설치구조는 다수의 조작버튼을 갖는 버튼부(11)가 마련되어 있는 본체(10)와, 본체(10)의 전면에서 버튼부(11)를 개폐하는 버튼커버(20)와, 버튼커버(20)와 본체(10) 사이에는 개재되는 커버탄성가압수단(30)으로 이루어진다.
본체(10)는 상호 결합에 의해 도시않은 락킹유닛의 수용공간(미도시)을 형성하는 전면케이싱(13) 및 배면케이싱(미도시)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 중 전면케이싱(13)에는 전술한 버튼부(11)가 설치되어 있으며, 버튼부(11) 상부영역의 전면케이싱(13) 판면에는 후술할 커버탄성가압수단(30)의 탄성부재(31)가 수용되는 한 쌍의 탄성부재수용부(16)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함몰 형성되어 있다.
이때, 탄성부재수용부(16)의 입구(16a)는 탄성부재(31)가 출입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형성됨과 동시에, 입구(16a)의 일측에는 후술할 커버가압부재(33)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턱(16b)이 형성되어 있다.
버튼커버(20)는 본체(10)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버튼부(11)를 개방 및 차단하는 위치로 왕복 이동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서 본체(10)의 전면케이싱(13)과 버튼커버(20)에는 슬라이딩 결합구조(15,25)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면케이싱(13)을 향하는 버튼커버(20)의 배면 상하부에는 걸림홈부(21)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걸림홈부(21)는 버튼커버(20)의 개방 및 차단위치에서 후술할 커버가압부재(33)의 접촉부(35)에 걸림유지됨으로써, 버튼커버(20)의 개방 및 차단 상태를 유지시킨다. 이때, 양 걸림홈부(21)는 각각 배면측으로 버튼커버(20)의 이동 방향을 향해 점진적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버튼커버(20)의 원할한 개폐를 위해 바람직하다.
한편, 커버탄성가압수단(30)은 본체(10)의 탄성부재수용부(16)에 수용되는 탄성부재(31)와, 탄성부재(31)의 탄성 가압력에 의해 버튼커버(20)의 배면을 탄성적으로 가압 접촉하는 커버가압부재(33)를 포함한다.
탄성부재(31)는 압축코일스프링으로 마련되어 본체(10)의 탄성부재수용부(16)에 수용된 상태에서 커버가압부재(33)를 버튼커버(20)측으로 탄성 가압한다. 여기서, 탄성부재(31)는 장기간 사용시에도 탄성력이 유지되는 범위에서 다양한 구조 및 재료로 마련될 수 있다.
커버가압부재(33)는 버튼커버(20)의 배면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자 형상의 접촉부(35)와, 접촉부(35)의 양 단부로부터 절곡되어 탄성부재수용부(16)내에 수용되는 본체결합부(37)가 일체로 형성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때, 접촉부(35)는 그 양측부가 하향 절곡된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본체결합부(37)는 탄성부재수용부(16)의 입구(16a)를 통해 탄성부재수용부(16)에 수용된 상태에서 그 단부영역이 탄성부재수용부(16)의 입구(16a)에 형성된 걸림턱(16b)에 걸리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이 본체결합부(37)는 탄성부재(31)에 의해 버튼커버(20)측을 향해 탄성 가압된다.
이러한 구조의 커버가압부재(33)는 탄성부재(31)의 탄성 가압력에 의해 커버가압부재(33)의 접촉부(35)가 버튼커버(20) 배면의 양 걸림홈부(21) 및 그 사이 영역에 접촉한다.
여기서, 커버가압부재(33)는 외에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부(35)의 양측부가 절곡되지 않은 ∪자 형상의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물론, 커버가압부재(33)의 구조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다양한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장치의 버튼커버 설치구조는 본체(10)의 전면케이싱(13)에 형성된 탄성부재수용부(16)내에 탄성부재(31)를 수용시킨 후, 커버가압부재(33)의 양측 본체결합부(37)를 오므리는 방향으로 가압한 상태에서 탄성부재수용부(16)의 입구(16a)로 삽입하고 본체결합부(37)의 오므림 가압을 해제하면, 본체결합부(37)의 양단부가 탄성부재수용부(16)의 입구(16a)에 형성된 걸림턱(16b)에 걸리는 상태로 이탈 방지된다.
이렇게 결합된 커버가압부재(33)는 버튼커버(20)의 개폐동작시 도 6 및 도 7과 같이, 탄성부재(31)의 탄성 가압력에 의해 커버가압부재(33)의 접촉부(35)가 버튼커버(20) 배면의 양 걸림홈부(21) 및 그 사이 영역에 접촉함으로써, 버튼커버(20)의 개폐 조작시 충격을 완화함과 동시에, 버튼커버(20)가 균일한 개폐조작력으로 개폐되도록 한다.
그리고, 버튼커버(20)의 개방 또는 차단 위치에서 커버가압부재(33)의 접촉부(35)가 버튼커버(20)의 걸림홈부(21)에 탄성적으로 걸림유지됨으로써, 버튼커버(20)의 개방 및 차단 상태를 유지시킨다.
이때, 탄성부재(31)는 탄성력이 장기간 유지되는 압축코일스프링 등으로 마련되고, 버튼커버(20)에 직접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도어록장치(1)를 장기간 사용하여도 탄성부재(31)의 탄성력은 저하되지 않는다. 이에 의해, 제품을 장기간 사용하여도 개방된 버튼커버(20)가 임의로 흘러내리지 않고 개방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탄성부재(31)가 본체(10)의 전면케이싱(13)에 함몰형성된 탄성부재수용부(16)에 수용되고, 커버가압부재(33)가 탄성부재수용부(16)에 부분적으로 수용되어 버튼커버(20)를 탄성가압하기 때문에, 본체(10)와 버튼커버(20) 사이영역에 접촉부(35)의 배치공간(도 6의 "B")을 작게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도어록장치(1)의 슬림화가 이루어진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록장치의 버튼커버 영역 분해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버튼커버 결합상태의 평단면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록장치의 버튼커버 설치구조는 전술한 실시예들과 거의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으며, 커버가압부재(33)의 접촉부(35)에 자유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버튼커버(20)의 배면에 구름접촉하는 적어도 하나의 접촉롤러(35a)를 더 포함한다. 이 접촉롤러(35a)는 탄성부재(31)의 탄성력에 의해 소정의 탄성 가압력으로 버튼커버(20) 배면의 양 걸림홈부(21) 및 그 사이 영역에 접촉한다.
이러한 구성의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록장치의 버튼커버 설치구조는 본체(10)에 대해 버튼커버(20)가 개폐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때, 버튼커버(20)와 커버가압부재(33)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여 커버가압부재(33)가 마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도어록장치를 장기간 사용하여도 커버스프링의 파손이 발생할 우려가 없고, 개방된 버튼커버가 임의로 흘러내리지 않는다.
한편,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록장치의 버튼커버 영역 분해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록장치의 버튼커버 설치구조는 전술한 실시예들과 거의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으며, 본체(10)의 전면케이싱(13)과 버튼커버(20)에 마련되는 슬라이딩결합부(40)를 더 포함한다.
이 슬라이딩결합부(40)는 본체(10) 또는 버튼커버(20) 중 어느 일측에 안내레일(41) 또는 레일(43)을 형성하고 타측에는 안내레일(41) 또는 레일(43)에 구름접촉하는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딩롤러(45) 설치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의해, 본체(10)에 대한 버튼커버(20)의 슬라이딩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본체(10)와 버튼커버(20)의 부품 마모를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도어록장치를 장기간 사용하여도 버튼커버가 흔들리지 않는다. 이에 의해, 버튼커버의 균일한 개폐조작이 유지된다.
전술 및 실시예에서는 커버탄성가압수단이 본체의 전면케이싱에 결합된 상태에서 커버가압부재의 접촉부가 버튼커버의 배면에 접촉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커버탄성가압수단이 버튼커버의 배면에 결합된 상태에서 커버가압부재의 접촉부가 본체의 전면케이싱 판면에 접촉되는 구조 역시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장기간 사용에도 개방상태의 버튼커버가 임의로 흘러내리지 않고, 제품의 슬림화에 유리한 도어록장치의 버튼커버 설치구조가 제공된다.
또한, 버튼커버의 슬라이딩 개폐를 위한 부품들의 마모를 방지하여 장기간 사용에도 버튼커버가 임의로 흘러내리거나 흔들리지 않고 균일하게 개폐될 수 있는 도어록장치의 버튼커버 설치구조가 제공된다.

Claims (7)

  1. 버튼부가 마련되어 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버튼부를 개폐하는 버튼커버를 갖는 도어록장치의 버튼커버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상기 버튼커버 중 어느 하나에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재수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와 상기 버튼커버 사이영역에는 일측이 상기 탄성부재수용부에 부분적으로 수용되고 타측이 상기 본체와 상기 버튼커버 중 다른 하나에 접촉하는 커버가압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수용부에 수용되어 상기 커버가압부재를 탄성적으로 외향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갖는 커버탄성가압수단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장치의 버튼커버 설치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수용부는 상기 본체에 상호 소정의 간격을 두고 한 쌍으로 함몰 형성되어 있고, 입구에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커버가압부재는 상기 버튼커버의 배면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자 형상의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의 양 단부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탄성부재수용부내에 수용되고 단부 영역이 상기 걸림턱에 결리는 본체결합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장치의 버튼커버 설치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의 양측은 하향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장치의 버튼커버 설치구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커버의 개방 또는 차단 위치에서 상기 접촉부에 대응하는 상기 버튼커버의 배면 또는 상기 본체의 전면에는 상기 접촉부가 탄성적으로 걸림유지되는 걸림홈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장치의 버튼커버 설치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홈부는 상기 버튼커버의 이동 방향을 향해 점진적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장치의 버튼커버 설치구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에 자유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촉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장치의 버튼커버 설치구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상기 버튼커버 중 어느 일측에 상기 버튼커버의 개폐방향을 따 라 형성되는 안내레일과, 상기 본체와 상기 버튼커버 중 타측에 마련되어 상기 안내레일에 구름접촉하는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딩롤러를 갖는 슬라이딩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장치의 버튼커버 설치구조.
KR1020060026927A 2006-03-24 2006-03-24 도어록장치의 버튼커버 설치구조 Expired - Fee Related KR1006197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6927A KR100619737B1 (ko) 2006-03-24 2006-03-24 도어록장치의 버튼커버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6927A KR100619737B1 (ko) 2006-03-24 2006-03-24 도어록장치의 버튼커버 설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19737B1 true KR100619737B1 (ko) 2006-09-06

Family

ID=37625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6927A Expired - Fee Related KR100619737B1 (ko) 2006-03-24 2006-03-24 도어록장치의 버튼커버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973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4128Y1 (ko) 2008-10-02 2012-12-13 주식회사 아이레보 번호 입력이 용이한 문 잠금장치
KR102418295B1 (ko) * 2021-12-07 2022-07-07 고은별 엘리베이터용 버튼 누름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17276A (ja) * 1994-01-31 1995-08-15 Alpha Corp ドア錠装置のカバーの取付構造
KR200284455Y1 (ko) 2002-05-03 2002-08-03 박정민 도어록의 외부몸체
KR200376178Y1 (ko) 2004-11-24 2005-03-11 이상옥 디지털 도어록의 번호판 덮개 구조
KR20050040457A (ko) * 2003-10-28 2005-05-03 주식회사 뉴웰 도어록 입력창 커버 개폐장치
KR100524411B1 (ko) 2003-08-29 2005-10-26 주식회사 아이레보 도어 락 슬라이드 커버의 래치형 스토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17276A (ja) * 1994-01-31 1995-08-15 Alpha Corp ドア錠装置のカバーの取付構造
KR200284455Y1 (ko) 2002-05-03 2002-08-03 박정민 도어록의 외부몸체
KR100524411B1 (ko) 2003-08-29 2005-10-26 주식회사 아이레보 도어 락 슬라이드 커버의 래치형 스토퍼
KR20050040457A (ko) * 2003-10-28 2005-05-03 주식회사 뉴웰 도어록 입력창 커버 개폐장치
KR200376178Y1 (ko) 2004-11-24 2005-03-11 이상옥 디지털 도어록의 번호판 덮개 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4128Y1 (ko) 2008-10-02 2012-12-13 주식회사 아이레보 번호 입력이 용이한 문 잠금장치
KR102418295B1 (ko) * 2021-12-07 2022-07-07 고은별 엘리베이터용 버튼 누름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704888B (zh) 滑軌總成
EP3112562B1 (en) Safety door lock using door handle
KR100619737B1 (ko) 도어록장치의 버튼커버 설치구조
KR101043377B1 (ko) 회동식 창호용 스테이바
KR101307136B1 (ko) 미닫이문의 손잡이장치
KR101985519B1 (ko) 도어용 손 끼임 방지장치
JP2011043593A5 (ko)
EP1873336B1 (en) A locking assembly for a ventilating window
KR100637875B1 (ko) 도어록장치의 버튼커버 설치구조
JP2004253312A (ja) コンセント
KR100999403B1 (ko) 잠금장치용 그립형 핸들
KR20110026835A (ko) 로울러식 방충망의 잠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로울러식 방충망 조립체
KR101995239B1 (ko) 강화유리문의 손끼임 방지장치
JP2014234699A (ja) 自動車用ドアチェッカ
KR100631100B1 (ko) 슬라이딩유닛을 갖는 도어록장치
JP3210707U (ja) ベルト用バックル
JP2016061056A (ja) 建具
KR100716026B1 (ko) 푸쉬버튼식 창문용 잠금장치
KR100747032B1 (ko) 차량용 슬라이드 버튼의 유동방지구조
KR20170025285A (ko) 회동식 창호용 스테이바
JP3135383U (ja) 開き戸用ストッパー
KR100649110B1 (ko) 반자동 슬라이드 힌지.
KR20110054169A (ko) 반자동문용 도어 안전장치
KR102219429B1 (ko) 버튼식 손끼임 방지장치
JP6713697B2 (ja) 引戸用指挟み防止具、およびそれを用いた引き戸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32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6032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60324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5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8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8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8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10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8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