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13606B1 - 전송받은 본체의 사양정보를 이용하여 자신의 구동조건을설정하는 화상형성기기의 옵션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전송받은 본체의 사양정보를 이용하여 자신의 구동조건을설정하는 화상형성기기의 옵션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3606B1
KR100613606B1 KR1020040048302A KR20040048302A KR100613606B1 KR 100613606 B1 KR100613606 B1 KR 100613606B1 KR 1020040048302 A KR1020040048302 A KR 1020040048302A KR 20040048302 A KR20040048302 A KR 20040048302A KR 100613606 B1 KR100613606 B1 KR 1006136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image forming
forming apparatus
driving
specifi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8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22680A (ko
Inventor
김선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483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3606B1/ko
Priority to US11/165,237 priority patent/US7657195B2/en
Publication of KR200501226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226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36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36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367The feeding path segment where particular handling of the copy medium occurs, segments being adjacent and non-overlapping. Each segment is identified by the most downstream point in the segment, so that for instance the segment labelled "Fixing device" is referring to the path between the "Transfer device" and the "Fixing device"
    • G03G2215/00371General use over the entire feeding path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535Stable handling of copy medium
    • G03G2215/00548Jam, error detection, e.g. double feed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72Paper handling
    • G03G2221/1675Paper handling jam trea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전송받은 본체의 사양정보를 이용하여 자신의 구동조건을 설정하는 화상형성기기의 옵션장치 및 그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본 화상형성기기의 본체에 부수적으로 결합되어 화상형성기기의 기능을 확장해주는 화상형성기기의 옵션장치는, 화상형성기기의 기능확장에 필요한 부가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구동되는 구동부 및 본체의 사양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사양정보에 기초하여 구동부의 구동조건을 설정한 후, 설정된 구동조건에 따라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화상형성기기의 옵션장치를 어떠한 기종의 화상형성기기와도 결합될 수 있는 범용 옵션장치로 구현할 수 있게 되어, 화상형성기기의 기종마다 옵션장치를 별도로 개발하여야 하는 불편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화상형성기기, 옵션장치, 급지장치, 사양정보, 구동조건

Description

전송받은 본체의 사양정보를 이용하여 자신의 구동조건을 설정하는 화상형성기기의 옵션장치 및 그 제어방법{Optional apparatus of image forming device for setting operational condition in use of transmitted main module information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도 1a은 복합 화상형성기기의 외관 사시도,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복합 화상형성기기의 단면도,
도 2는 복합 화상형성기기의 내부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옵션장치들이, 본체와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블럭도,
도 4는 도 3의 본체와 옵션장치의 상세 블럭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송받은 본체의 사양정보를 이용하여 옵션장치의 구동조건을 설정하는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
도 6은 옵션장치의 일 예인 급지장치가 본체와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블럭도, 그리고,
도 7은 전송받은 본체의 사양정보를 이용하여 급지장치의 구동조건을 설정하는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본체 110 : 본체 제어부
120 : 본체 메모리 200 : 옵션장치
210 : 옵션장치 제어부 220 : 옵션장치 매모리
230 : 옵션장치 구동부
본 발명은 화상형성기기의 옵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상형성기기의 본체에 부수적으로 결합되어, 화상형성기기의 기능을 확장해주는 화상형성기기의 옵션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상형성기기란 자체적으로 생성한 화상데이터나 외부로부터 수신한 화상데이터를 인쇄용지에 출력하는 기기이다. 화상형성기기에는 복사기, 프린터, 스캐너, 팩스 등이 있으며, 이들을 하나로 통합한 복합 화상형성기기도 있다.
화상형성기기의 옵션장치란, 필요에 따라 화상형성기기의 본체에 부수적으로 결합되어, 화상형성기기의 기능을 확장해주는 장치이다. 화상형성기기의 옵션장치의 대표적인 예로서 옵션급지장치를 들 수 있다. 옵션급지장치는 화상형성기기의 본체내에 결합되는 급지함을 통해 급지가능한 인쇄용지와 다른 크기의 인쇄용지를 추가적으로 급지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화상형성기기의 본체에 부수적으로 결합되는 화상형성기기의 옵션장치이다.
도 1a은 복합 화상형성기기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1a에 도시된 복합 화상 형성기기는 본체(10)와 본체(10)에 결합되는 A4/B4 급지함(20-1/20-2)으로 구성된다.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복합 화상형성기기의 단면도이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에는 A4/B4 급지함(20-1/20-2)에 적재된 A4/B4 인쇄용지를, 화상인쇄가 이루어지는 인쇄부(미도시)로 급지하기 위한 A4/B4 급지부(17-1/17-2)가 각각 소정 위치에 고정적으로 마련된다.
이하에서는, 복합 화상형성기기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복합 화상형성기기의 내부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복합 화상형성기기의 본체(10)는 스캔부(11), 저장부(13), 제어부(15), A4/B4 급지부(17-1/17-2), 및 인쇄부(19)로 구성된다. 그리고, 본체(10)에는 A4/B4 급지함(20-1/20-2)이 결합된다.
스캔부(11)는 원고용지를 스캔하여 화상데이터를 생성한다. 저장부(13)는 스캔부(11)에서 생성된 화상데이터, PC(미도시)에서 전송된 인쇄데이터가 저장되는 기록매체이다. A4/B4 급지부(17-1/17-2)는 각각 A4/B4 급지함(20-1/20-2)에 적재된 인쇄용지를 인쇄부(19)로 급지한다. 인쇄부(19)는 저장부(13)에 저장된 화상데이터와 인쇄데이터를 A4 급지부(17-1) 또는 B4 급지부(17-2)에 의해 급지된 인쇄용지에 인쇄한다. 제어부(15)는 스캔동작, 급지동작, 및 인쇄동작을 제어한다.
종래의 복합 화상형성기기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에는 A4/B4 급지부(17-1/17-2)가 소정 위치에 고정적으로 마련되고, A4/B4 급지부(17-1/17-2)의 하부에는 A4/B4 급지함(20-1/20-2)이 결합되기 위한 공간이 각각 마련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복합 화상형성기기의 인쇄용지로서 A4 인쇄용지만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사용되지 않는 B4 급지부(17-2)와 B4 급지함(20-2)는 무용지물로 전락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그리고, 다른 크기의 인쇄용지, 예를들면, B5 크기의 인쇄용지를 복합 화상형성기기에 급지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옵션급지장치로서 'B5 급지장치'를 복합 화상형성기기의 하부에 추가시켜야 한다. 'B5 급지장치'에는 'B5 급지부'가 마련되며, 'B5 급지함'이 결합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그런데, 'B5 급지장치'에 마련되는 'B5 급지부'는 기존의 A4/B4 급지부(17-1/-2)와 마찬가지로, 제어부(15)의 제어하에 동작하게 된다. 따라서, 'B5 급지장치'는 복합 화상형성기기의 기종을 고려하여 제작되어야 한다. 그 결과, 'B5 급지장치'는 다른 기종의 복합 화상형성기기의 옵션급지장치로는 사용될 수 없다. 따라서, 옵션급지장치의 개발과 제작은 복합 화상형성기기의 기종에 따라 별개로 이루어져야 하는 바, 이는 옵션급지장치의 개발을 번거롭게 만드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에 고정적으로 마련되는 급지부를 분리시키고 이를 급지함과 함께 별개의 옵션급지장치로 구현함으로서, 화상형성기기의 본체에 불필요한 급지부와 급지함 결합공간을 없애고자 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위의 옵션급지장치를 어떠한 기종의 화상형성기기와도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는 범용 옵션급지장치로 구현함에 있다.
이외에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술한 옵션급지장치 이외의 다른 옵션장치들도 범용으로 구현할 수 있는 기술적 수단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기기의 본체에 부수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화상형성기기의 기능을 확장해주는 화상형성기기의 옵션장치는, 상기 화상형성기기의 기능확장에 필요한 부가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구동되는 구동부; 및 상기 본체의 사양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사양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부의 구동조건을 설정한 후, 설정된 상기 구동조건에 따라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옵션장치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설정된 상기 구동조건이 저장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본체로부터 구동명령을 수신하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구동조건에 따라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부의 구동동작에 이상이 발생하면, 상기 본체로 동작이상 메세지를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사양정보는 상기 본체의 구동특성정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I2C(Inter-Intergrated Circuit)버스를 통해 상기 본체로부터 상기 사양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가 구동되어 수행되는 상기 부가기능은, 인쇄용지 급지기 능, 자동 원고급지기능, 출력물 분류/정렬기능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기기의 본체에 부수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화상형성기기의 기능을 확장해주는 화상형성기기의 옵션장치의 제어방법은, a) 상기 본체의 사양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 수신된 상기 사양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화상형성기기의 기능확장에 필요한 부가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구동되는 구동부의 구동조건을 설정하는 단계; 및 c) 설정된 상기 구동조건에 따라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제어방법은, 설정된 상기 구동조건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c) 단계는, 상기 본체로부터 구동명령을 수신하면, 저장된 상기 구동조건에 따라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제어방법은, 상기 구동부의 구동동작에 이상이 발생하면, 상기 본체로 동작이상 메세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사양정보는 상기 본체의 구동특성정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a) 단계는, I2C(Inter-Intergrated Circuit)버스를 통해 상기 본체로부터 상기 사양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가 구동되어 수행되는 상기 부가기능은, 인쇄용지 급지기능, 자동 원고급지기능, 출력물 분류/정렬기능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기기의 옵션장치들이, 화상형성 기기의 본체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화상형성기기의 본체(100)에는 복수의 옵션장치들(제1 내지 제N 옵션장치)(200-1∼200-N)이 기구적/회로적으로 결합가능하며, 결합되는 옵션장치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다. 따라서, 본체(100)에 결합되는 옵션장치(200-1∼200-N)는, 옵션급지장치, 자동 원고급지장치, 피니셔(Finisher) 등 어느 것이라도 무방하다. 자동 원고급지장치는 원고용지를 본체(100)로 자동급지하기 위한 옵션장치이고, 피니셔는 본체(100)에서 인쇄완료후 출력되는 출력물을 분류하고 정렬하는 옵션장치이다.
본체(100)와 옵션장치들(200-1∼200-N)이 기구적으로 결합되면, 그와 동시에 버스를 통해 상호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된다. 따라서, 본체(100)와 옵션장치들(200-1∼200-N)은 버스를 통해 상호 통신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체(100)와 옵션장치들(200-1∼200-N)에 대해,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4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체(100)에 하나의 옵션장치(200)가 결합된 경우를 상정하였다.
도 4를 참조하면, 본체(100)는 본체 제어부(110)와 본체 메모리(120)를 구비하며, 옵션장치(200)는 옵션장치 제어부(210), 옵션장치 메모리(220), 및 옵션장치 구동부(230)를 구비한다.
본체 제어부(110)는 본체(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옵션장치 제어부(210)와 버스를 통해 데이터통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본체 제어부(110)는 본체(100)에 결합된 옵션장치(200)를 탐색하고, 탐색된 옵션장치(200)로부터 '옵션장치 사양정보'를 전송받는다. 또한, 본체 제어부(110)는 옵션장치(200)로 '본체 사양정보' 및 '옵션장치 구동명령'을 전송한다. 여기서, 사양정보란, 기종 및 구동특성 등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체 사양정보'는 본체(100)의 기종 및 구동특성을 의미하고, '옵션장치 사양정보'는 옵션장치(200)의 기종 및 구동특성을 의미한다.
본체 메모리(120)는 '본체 사양정보'와 옵션장치 제어부(210)로부터 수신한 '옵션장치 사양정보'가 저장되는 기록매체이다.
옵션장치 제어부(210)는 옵션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본체 제어부(110)와 버스를 통해 데이터통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옵션장치 제어부(210)는 본체(100)로 '옵션장치 사양정보'를 전송하고, 본체(100)로부터 '본체 사양정보'를 전송받는다. 그리고, 옵션장치 제어부(210)는 전송된 '본체 사양정보'를 이용하여 옵션장치 구동부(230)의 '구동조건'을 설정한다. 또한, 옵션장치 제어부(210)는 본체 제어부(110)로부터 '구동명령'을 수신하면, 설정된 '구동조건'에 따라 옵션장치 구동부(230)를 제어한다.
옵션장치 메모리(220)는 '옵션장치 사양정보', 본체 제어부(110)로부터 수신한 '본체 사양정보', 및 설정된 '구동조건'이 저장되는 기록매체이다.
옵션장치 구동부(230)는 옵션장치(200)의 해당기능을 수행한다. 옵션장치 구동부(230)는 옵션장치(200)의 기종에 따라 수행하는 기능이 각기 다르다. 구체적으로, 옵션장치(200)가 옵션급지장치인 경우 옵션장치 구동부(230)는 인쇄용지 급지기능을 수행하고, 옵션장치(200)가 자동 원고급지장치인 경우 옵션장치 구동부(230)는 자동 원고급지기능을 수행하며, 옵션장치(200)가 피니셔인 경우 옵 션장치 구동부(230)는 출력물 분류/정렬기능을 수행한다. 옵션장치 구동부(230)는 옵션장치 제어부(210)의 제어에 의해 구동된다.
이하에서는, 본체(100)와 옵션장치(200)가 결합된 경우에, 상호간의 통신을 통해 옵션장치(200)가 자신의 '구동조건'을 설정하고 그에 따라 구동되는 과정에 대해,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송받은 본체의 사양정보를 이용하여 옵션장치의 구동조건을 설정하는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도 5에서는, 이해의 편의를 위해, 본체(100)에서 수행되는 단계들은 좌측에 도시하였고, 옵션장치(200)에서 수행되는 단계들은 우측에 도시하였다.
먼저, 본체 제어부(110)는 본체(100)에 결합된 옵션장치(200)를 탐색하고, 탐색된 옵션장치(200)에 사양정보를 요청한다(S400). 그러면, 옵션장치 제어부(210)는 '옵션장치 사양정보'로서 '옵션장치 기종정보'를 옵션장치 메모리(220)에서 독출하여 본체 제어부(110)로 전송한다(S405). 본체 제어부(110)는 '옵션장치 기종정보'를 수신하면(S410), 수신된 '옵션장치 기종정보'를 통해 본체(100)에 결합된 옵션장치(200)의 기종을 파악하게 된다(S415).
S400단계 내지 S415단계에 의하면, 본체 제어부(110)는 옵션장치 제어부(210)와의 데이터통신에 의해, 결합된 옵션장치(200)의 기종을 파악하게 되는데, 반드시 이에 의할 필요는 없다. 따라서, 본체 제어부(110)는 옵션장치 메모리(220)에 저장된 '옵션장치 기종정보'를 직접 독출하는 방법에 의해, 결합된 옵션장치(200)의 기종을 파악하는 것도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본체 제어부(110)는 옵션장치 메모리(220)로부터 어드레스정보를 독출하고, 독출된 어드레스정보와 본체 메모리(120)에 저장된 어드레스정보/기종정보 테이블을 이용하여, 결합된 옵션장치(200)의 기종을 파악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후에, 본체 제어부(110)는 '본체 사양정보'로서 '본체 구동특성정보'를 본체 메모리(120)에서 독출하여 옵션장치 제어부(210)로 전송한다(S420). 옵션장치 제어부(210)는 '본체 구동특성정보'를 수신하면(S425), 수신된 '본체 구동특성정보'에 기초하여 옵션장치 구동부(230)의 '구동조건'을 설정한다(S430).
이후, 옵션장치(200)의 구동이 필요한 경우(예를 들면, 본체(100)에서 인쇄동작이나 스캔동작이 수행되는 경우)가 발생하면, 본체 제어부(110)는 옵션장치 제어부(210)로 '옵션장치 구동명령'을 전송한다(S435). 옵션장치 제어부(210)는 '옵션장치 구동명령'을 수신하면(S440), S430단계에서 설정된 '구동조건'에 따라 옵션장치 구동부(230)가 구동되도록 제어한다(S445).
이후에, 옵션장치 구동부(230)가 구동중에 동작이상이 발생하면(S450), 옵션장치 제어부(210)는 본체 제어부(110)로 옵션장치(200)에 동작이상이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메세지인 '동작이상 메세지'를 전송한다(S455).
본체 제어부(110)는 '동작이상 메세지'를 수신하면(S460), 그 동작이상 상태가 복구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한다(S465). 판단결과, 복구가능하면 본체 제어부(110)는 이를 복구한 후(S470), 옵션장치 제어부(210)에 '옵션장치 구동명령'을 재전송한다(S435). 반면에, 복구가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본체 제어부(110)는 본체(100)에 마련된 표시부(미도시)에 옵션장치(200)에 동작이상이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메세지를 표시하게 된다(S475).
이하에서는, 옵션장치(200)의 일종인 옵션급지장치가 본체(100)와 결합된 경우를 상정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화상형성기기의 본체(100)에 급지수단이 마련되지 않기 때문에, 옵션급지장치는 화상형성기기의 기본급지장치로서 기능하게 된다.
도 6은 옵션장치의 일 예인 옵션급지장치가 본체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체(100)는 본체 제어부(110), 본체 메모리(120), 저장부(130), 스캔부(140), 및 인쇄부(150)를 구비하며, 옵션급지장치(300)는 옵션급지장치 제어부(310), 옵션급지장치 메모리(320), EEPROM(330), 급지부(340), 및 급지함(350)를 구비한다.
본체 제어부(110), 옵션급지장치 제어부(310), 및 EEPROM(330)은 I2C(Inter-Intergrated Circuit)버스를 통해 상호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된다. I2C버스는 IC들간의 제어와 통신을 위한 버스로서, 직렬 클럭(Serial CLock : SCL)라인과 직렬 데이터(Serial DAta : SDA)라인으로 구성된다.
본체 제어부(110)는 본체(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옵션급지장치 제어부(310), EEPROM(330)과 I2C버스를 통해 데이터통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본체 제어부(110)는 EEPROM(330)에 저장된 '기종정보'를 독출하고, 옵션급지장치 제어부(310)로 '본체 인쇄속도정보' 및 '급지명령'을 전송한다.
본체 메모리(120)는 '본체 인쇄속도정보'와 EEPROM(330)으로부터 독출한 '기 종정보'가 저장되는 기록매체이다.
스캔부(140)는 원고용지를 스캔하여 화상데이터를 생성한다. 저장부(130)는 스캔부(140)에서 생성된 화상데이터, PC(미도시)에서 전송된 인쇄데이터가 저장되는 기록매체이다. 인쇄부(150)는 저장부(130)에 저장된 화상데이터와 인쇄데이터를 옵션급지장치(300)에 의해 급지된 인쇄용지에 인쇄한다.
옵션급지장치 제어부(310)는 옵션급지장치(3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본체 제어부(110)와 I2C버스를 통해 데이터통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옵션급지장치 제어부(310)는 본체 제어부(110)로부터 '본체 인쇄속도정보'를 전송받고, 이에 기초하여 급지부(340)의 '급지조건'을 설정한다. 설정되는 '급지조건'에는 '급지속도'와 '급지간격'이 있다. 그리고, 급지장치 제어부(310)는 본체 제어부(110)로부터 '급지명령'을 수신하면, 설정된 '급지조건'에 따라 급지부(340)를 제어하여, 급지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옵션급지장치 메모리(320)는 본체 제어부(110)로부터 수신한 '본체 인쇄속도정보'와 설정된 '급지조건'이 저장되는 기록매체이다.
급지부(340)는 급지함(350)에 적재된 인쇄용지를 본체(100)의 인쇄부(150)로 급지한다. 급지부(340)는 옵션급지장치 제어부(310)의 제어에 의해 구동된다.
이하에서는, 본체(100)와 옵션급지장치(300)가 결합된 경우에, 상호간의 통신을 통해 옵션급지장치(300)가 자신의 '급지조건'을 설정하고 그에 따라 구동되는 과정에 대해,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송받은 본체의 인쇄속도정보를 이용하여 옵션급지장치의 급지조건을 설정하는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도 5에서는, 이해의 편의를 위해, 본체(100)에서 수행되는 단계들은 좌측에 도시하였고, 옵션급지장치(300)에서 수행되는 단계들은 우측에 도시하였다.
먼저, 본체 제어부(110)는 I2C버스를 통해 옵션급지장치(300)의 EEPROM(330)에 저장된 '기종정보'를 독출한다(S500). 이때, 독출되는 '기종정보'는 '옵션급지장치'가 된다. 따라서, 본체 제어부(110)는 본체(100)에 옵션급지장치(300)가 결합되었음을 파악하게 된다(S505).
이때, 본체 제어부(110)는 EEPROM(330)로부터 어드레스정보를 독출하고, 독출된 어드레스정보와 본체 메모리(120)에 저장된 어드레스정보/기종정보 테이블을 이용하여, 기종을 파악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후에, 본체 제어부(110)는 '본체 인쇄속도정보'를 본체 메모리(320)에서 독출하여 옵션급지장치 제어부(310)로 전송한다(S510). 옵션급지장치 제어부(310)는 '본체 인쇄속도정보'를 수신하면(S515), 수신된 '본체 인쇄속도정보'에 기초하여 급지부(340)의 급지조건을 설정한다(S520).
예를 들어, 수신된 '본체 인쇄속도정보'가 60PPM(Page Per Minute)인 경우, 옵션급지장치 제어부(310)는 60PPM으로 급지가 이루어지도록 급지부(340)의 '급지조건'(급지속도와 급지간격)을 설정하게 된다.
이후, 급지가 필요한 경우(예를 들면, 본체(100)의 인쇄부(150)에서 인쇄동 작이 수행되는 경우)가 발생하면, 본체 제어부(110)는 옵션급지장치 제어부(310)로 '급지명령'을 전송한다(S525). 옵션급지장치 제어부(310)는 '급지명령'을 수신하면(S530), S520단계에서 설정된 '급지조건'에 따라 급지부(340)가 구동되도록 제어한다(S535).
이후에, 용지걸림 또는 용지부족 상태가 발생하면(S540), 옵션급지장치 제어부(310)는 본체 제어부(110)로 이를 알리는 메세지인 '용지걸림 메세지' 또는 '용지부족 메세지'를 전송한다(S545).
본체 제어부(110)는 '용지걸림 메세지' 또는 '용지부족 메세지'를 수신하면(S550), 본체(100)에 마련된 표시부(미도시)에 수신된 '용지걸림 메세지' 또는 '용지부족 메세지'를 표시한다.
지금까지, 화상형성기기의 옵션장치가 본체의 사양정보를 전송받아, 이를 이용하여 자신의 구동조건을 설정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리고, 옵션장치의 일종인 옵션급지장치가 본체의 인쇄속도정보를 전송받아, 이를 이용하여 자신의 급지조건을 설정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이밖에도, 자동 원고급지장치와 피니셔 등과 같이, 화상형성기기에 부가적으로 결합되어 화상형성기기의 기능을 확장하여 주는 옵션장치라면 어느 것이라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체에 여러 종류의 옵션장치가 결합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기기의 옵션장치는 본체에 결합되면, 본체의 사양정보를 전송받아 이를 이용하여 자신의 구동조건을 설정하고, 설정된 구동조건에 따라 구동하게 된다. 이에 따르면, 옵션장치를 어떠한 기종의 화상형성기기와도 결합될 수 있는 범용 옵션장치로 구현할 수 있게 되어, 화상형성기기의 기종마다 옵션장치를 별도로 개발하여야 하는 불편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12)

  1. 화상형성기기의 본체에 부수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화상형성기기의 기능을 확장해주는 화상형성기기의 옵션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기기의 기능확장에 필요한 부가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구동되는 구동부; 및
    상기 본체의 사양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사양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부의 구동조건을 설정한 후, 설정된 상기 구동조건에 따라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기의 옵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의해 설정된 상기 구동조건이 저장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본체로부터 구동명령을 수신하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구동조건에 따라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기의 옵션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부의 구동동작에 이상이 발생하면, 상기 본체로 동작이상 메세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기의 옵션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양정보는 상기 본체의 구동특성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기의 옵션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I2C(Inter-Intergrated Circuit)버스를 통해 상기 본체로부터 상기 사양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기의 옵션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가 구동되어 수행되는 상기 부가기능은, 인쇄용지 급지기능, 자동 원고급지기능, 출력물 분류/정렬기능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기의 옵션장치.
  7. 화상형성기기의 본체에 부수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화상형성기기의 기능을 확장해주는 화상형성기기의 옵션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본체의 사양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 수신된 상기 사양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화상형성기기의 기능확장에 필요한 부가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구동되는 구동부의 구동조건을 설정하는 단계; 및
    c) 설정된 상기 구동조건에 따라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기의 옵션장치의 제어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설정된 상기 구동조건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c) 단계는,
    상기 본체로부터 구동명령을 수신하면, 저장된 상기 구동조건에 따라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기의 옵션장치의 제어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의 구동동작에 이상이 발생하면, 상기 본체로 동작이상 메세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기의 옵션장치의 제어방법.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사양정보는 상기 본체의 구동특성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기의 옵션장치의 제어방법.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I2C(Inter-Intergrated Circuit)버스를 통해 상기 본체로부터 상기 사양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기의 옵션장치의 제어방법.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가 구동되어 수행되는 상기 부가기능은, 인쇄용지 급지기능, 자동 원고급지기능, 출력물 분류/정렬기능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기의 옵션장치의 제어방법.
KR1020040048302A 2004-06-25 2004-06-25 전송받은 본체의 사양정보를 이용하여 자신의 구동조건을설정하는 화상형성기기의 옵션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6136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8302A KR100613606B1 (ko) 2004-06-25 2004-06-25 전송받은 본체의 사양정보를 이용하여 자신의 구동조건을설정하는 화상형성기기의 옵션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1/165,237 US7657195B2 (en) 2004-06-25 2005-06-24 Optional apparatus of image forming device for setting its own driving condition using received specification information of main body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8302A KR100613606B1 (ko) 2004-06-25 2004-06-25 전송받은 본체의 사양정보를 이용하여 자신의 구동조건을설정하는 화상형성기기의 옵션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22680A KR20050122680A (ko) 2005-12-29
KR100613606B1 true KR100613606B1 (ko) 2006-08-21

Family

ID=35505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8302A KR100613606B1 (ko) 2004-06-25 2004-06-25 전송받은 본체의 사양정보를 이용하여 자신의 구동조건을설정하는 화상형성기기의 옵션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657195B2 (ko)
KR (1) KR1006136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02188A (ja) * 2005-09-06 2007-04-19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2007098940A (ja) * 2005-09-08 2007-04-19 Canon Inc 画像形成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5587147B2 (ja) * 2010-01-07 2014-09-10 理想科学工業株式会社 印刷装置
JP5942674B2 (ja) * 2012-07-31 2016-06-2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記録システム、記録装置、オプション機器、及び記録システムの制御方法
KR101979665B1 (ko) * 2012-11-22 2019-05-20 삼성전자 주식회사 구동 상태별 구동 조건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JP6385107B2 (ja) * 2014-04-02 2018-09-0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システム及びオプション装置
JP6880651B2 (ja) * 2016-10-26 2021-06-0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刷装置及び印刷装置の制御方法
JP2020116822A (ja) * 2019-01-23 2020-08-06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出力状態画像形成方法及び出力状態画像形成プログラ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6839A (ko) * 1997-05-09 1998-12-05 맥아들 존 제이 정보 처리 옵션을 갖는 프린터를 포함하는 이미지 시스템용 통신 설계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36063A (ja) * 1989-07-03 1991-02-15 Seiko Epson Corp ページプリンタ、及び印刷装置
JPH0569988A (ja) 1991-09-17 1993-03-23 Murata Mach Ltd 画像形成装置
JP3332530B2 (ja) * 1993-08-31 2002-10-0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記録装置
US5513334A (en) * 1994-06-27 1996-04-30 Microchip Technologies, Inc. Memory device with switching of data stream modes
US5963755A (en) * 1995-04-17 1999-10-05 Canon Kabushiki Kaisha Printing apparatus and control device for option equipment connected thereto
JP3450534B2 (ja) * 1995-08-08 2003-09-2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記録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6122464A (en) * 1997-06-30 2000-09-19 Canon Kabushiki Kaisha Controller for controlling image formation apparatus
JP2001175584A (ja) 1999-12-16 2001-06-29 Ricoh Co Ltd オプション機器の制御方法
JP3776660B2 (ja) * 1999-12-24 2006-05-17 株式会社沖データ オプション判別システム
US6516167B2 (en) * 2000-03-16 2003-02-04 Canon Kabushiki Kaisha Option apparatuses adapted to be connected to remote apparatus and image formation apparatus
JP3666405B2 (ja) * 2001-03-30 2005-06-29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インストールプログラム、インストール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な記録媒体およびインストール方法
JP2002307718A (ja) 2001-04-13 2002-10-23 Naltec Inc 周辺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03118215A (ja) * 2001-08-06 2003-04-23 Canon Inc 画像形成装置及びシート処理装置
KR100378172B1 (en) * 2001-08-29 2003-03-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gnizing tray
JP2003080796A (ja) 2001-09-10 2003-03-19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US6721535B2 (en) * 2002-08-07 2004-04-13 Kabushiki Kaisha Toshiba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for setting the conveying speed for paper sheet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6839A (ko) * 1997-05-09 1998-12-05 맥아들 존 제이 정보 처리 옵션을 갖는 프린터를 포함하는 이미지 시스템용 통신 설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50286923A1 (en) 2005-12-29
US7657195B2 (en) 2010-02-02
KR20050122680A (ko) 2005-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3606B1 (ko) 전송받은 본체의 사양정보를 이용하여 자신의 구동조건을설정하는 화상형성기기의 옵션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9298596A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フィニッシャ
EP2796296B1 (en) Image formation system and device, control method thereof, and troubleshooting method
EP3293581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8018568A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
JP4564641B2 (ja) 印刷システム、制御装置および印刷方法
JP5401294B2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方法
US20120194836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rogram
JP2000272203A (ja) プリンター装置
JP3441823B2 (ja) 用紙給送装置
JP3105346B2 (ja) 画像形成装置
JP3420310B2 (ja) 画像形成装置とそのロール紙用給紙ユニット
JP2001142670A5 (ko)
US20090092431A1 (en) Image forming system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2010010686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US20040066523A1 (en) Manual duplex imaging method for an imaging apparatus
JP3105344B2 (ja) 画像形成装置
US946037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5111715A (ja) 印刷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1246820A (ja) 印刷制御方法および印刷装置
JP2001253146A (ja) 印刷処理装置
JP4007370B2 (ja) 印刷用紙の給排紙制御方法及び印刷システム
JP2004086559A (ja) 印刷処理システムとそれに用いられる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4274512B2 (ja) プリンタ
JPH11291590A (ja) プリン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62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3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73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8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8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7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7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7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7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7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7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73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8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72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5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725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801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5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