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86774B1 - 세미오토 클러치 구동장치 및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세미오토 클러치 구동장치 및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6774B1
KR100586774B1 KR1020040048974A KR20040048974A KR100586774B1 KR 100586774 B1 KR100586774 B1 KR 100586774B1 KR 1020040048974 A KR1020040048974 A KR 1020040048974A KR 20040048974 A KR20040048974 A KR 20040048974A KR 100586774 B1 KR100586774 B1 KR 1005867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utch
speed
engine speed
push rod
eng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89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00265A (ko
Inventor
김장수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전주기계산업리서치센터
김장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전주기계산업리서치센터, 김장수 filed Critical 재단법인 전주기계산업리서치센터
Priority to KR10200400489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6774B1/ko
Priority to PCT/KR2005/001911 priority patent/WO2006001625A1/en
Publication of KR200600002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02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67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67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02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clutc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8/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 F16D48/06Control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e.g. of fluid pressure
    • F16D48/066Control of fluid pressure, e.g. using an accumul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8/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 F16D48/02Control by fluid pressure
    • F16D2048/0227Source of pressure producing the clutch engagement or disengagement action within a circuit; Means for initiating command action in power assisted devices
    • F16D2048/0254Double actuation, i.e. two actuation means can produce independently an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the clutc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F16D2500/10System to be controlled
    • F16D2500/104Clutch
    • F16D2500/10406Clutch position
    • F16D2500/10412Transmission line of a vehi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F16D2500/10System to be controlled
    • F16D2500/104Clutch
    • F16D2500/10443Clutch type
    • F16D2500/1045Friction clutc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F16D2500/30Signal inputs
    • F16D2500/302Signal inputs from the actuator
    • F16D2500/3026Stro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F16D2500/30Signal inputs
    • F16D2500/306Signal inputs from the engine
    • F16D2500/3067Speed of the eng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F16D2500/30Signal inputs
    • F16D2500/314Signal inputs from the user
    • F16D2500/31493Switches on the dashboar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F16D2500/50Problem to be solved by the control system
    • F16D2500/504Relating the engine
    • F16D2500/5048Stall preven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F16D2500/50Problem to be solved by the control system
    • F16D2500/508Relating driving conditions
    • F16D2500/50841Hill hol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F16D2500/70Details about the implementation of the control system
    • F16D2500/704Output parameters from the control unit; Target parameters to be controlled
    • F16D2500/70402Actuator parameters
    • F16D2500/7041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Hydraulic Clutches, Magnetic Clutches, Fluid Clutches, And Fluid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클러치 페달의 조작 없이, 브레이크 페달의 동작 또는 기어변속 스틱 상에 구비된 클러치 스위치의 온/오프 동작으로 차량의 동력전달을 간편하게 차단/접속함으로써 기어변속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는 세미오토 클러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장치는 전진버튼과, 반 클러치 버튼과, 후진버튼과, 저속모드 버튼과, 엔진회전수 검출센서와, 브레이크 감지센서와, 푸시로드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하여 모터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푸시로드 위치감지 센서와, 모터 속도조절 볼륨과, 푸시로드 구간설정 볼륨과, 반 클러치 설정 볼륨과, 입력부의 입력에 따라 출력부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와; 푸시로드를 직선 왕복 운동시켜 클러치 디스크를 탈, 부착시키기 위한 모터와, 엔진 스로틀 밸브를 개방하여 엔진의 회전수를 상승시키기 위한 엔진회전수 상승수단으로 구성되어 차량의 운전 조건에 따라 달라지는 엔진의 출력 값에 따른 클러치 디스크의 접속시점을 정확히 하기 위하여 클러치 디스크의 접속시점의 근간이 되는 데이터를 엔진(Engine) 회전수(rpm)로 하고, 상승하는 엔진 회전수와 상승속도에 해당하는 값만큼만 클러치 디스크를 접속시켜 차량의 동력을 원활하게 전달한다.
세미오토, 클러치, 디스크

Description

세미오토 클러치 구동장치 및 구동방법 {Semi Auto Clutch Driving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세미오토 클러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세미오토 클러치의 제어 구성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세미오토 클러치의 제어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전진버튼 2: 반 클러치버튼
3: 후진버튼 4: 저속 모드버튼
5: 엔진 회전수 검출센서 6: 브레이크 감지센서
7: 푸시로드 위치 감지센서 8: 모터 속도조절 볼륨
9: 푸시로드 구간설정 버튼 10: 반 클러치 설정 볼륨
11: 접속 알피엠 설정볼륨 12: 모터
13: 엔진 회전수 상승수단 14: 표시등
30: 컨트롤러 M2, M6, M11: 푸시로드
M3, M7, M10: 피스톤 M4: 마스터 실린더
M8: 구동 마스터 실린더 M9: 릴리스 실린더
M12: 클러치 M5: 푸시로드 이송기어
본 발명은 차량에 사용되는 세미오토 클러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운전 조건에 따라 달라지는 엔진의 출력값(RPM 등)에 따라 적절하게 클러치 디스크를 플라이 휠에 접속시키는 세미오토 클러치 구동장치 및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동 클러치 장치는 클러치 페달의 동작에 의해 마스터 실린더 (master cylinder)를 작동시키고, 마스터 실린더에 의해 릴리스 실린더(release cylinder)를 동작시키며, 릴리스 실린더의 작동에 따라 압력판에 의해 클러치 디스크(Clutch Disk)를 플라이 휠(Fly Wheel)과 차단/접속하여 엔진으로부터 변속기로 전달되는 회전력을 단속하는 것이다.
그런데 수동 클러치는 기어변속을 하기 위해서 운전자가 매번 클러치 패달을 가압 조작하여야 하기 때문에 시내주행이나 교통정체 시 다리에 많은 피로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변속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자동 변속기를 장착할 경우에는 운전중 편리하고 승차감이 우수한 장점이 있으나 초기 구입 시 가격이 비싸고, 주행 중 수동변속기에 비해 20 ~ 30 퍼센트 정도 연료소비가 많게 되 는 단점이 있다.
한편, 세미오토 클러치장치는 수동 변속기와 자동 변속기의 장점을 모두 살리기 위한 것으로, 클러치 페달의 조작 없이 브레이크 페달의 동작 또는 기어변속 스틱 상에 구비된 클러치 스위치의 온/오프 동작으로 차량의 동력전달을 간편하게 차단/접속함으로써 기어변속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세미오토 기능을 하는 종래 클러치 장치들은 차량의 마스터 실린더와 릴리스 실린더 사이에 마스터 실린더 역할을 수행하게 하는 구동 마스터 실린더를 장착한 후, 엔진 주변에 장착된 여러 센서 값들을 기초로 차량의 움직임을 산출하여 클러치 디스크 접속 조건이 되면 구동 마스터 실린더를 구동하여 연속적으로 클러치 디스크를 부착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세미오토 클러치에 있어서는 여러 센서 값들을 기초로 엔진 출력상태를 산출하기 때문에 차량이 경사로에 위치한 경우와, 평지에 위치한 경우, 무거운 짐을 실은 경우와 그렇지 않았을 경우 등에 있어 그 산출 데이터가 실제 엔진에서 출력되는 상태와 많은 오차가 있으며, 오차가 포함된 데이터에 의해 클러치 디스크의 접속 시점을 결정함으로 인하여 접속시점이 빠를 경우에는 엔진의 떨림 현상이나 시동이 꺼지는 현상이 발생되고, 접속시점이 늦을 경우에는 차량의 출발이 더디거나 연료소모가 많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클러치 디스크의 접속이 진행되는 시점이 되면, 무조건 클러치 디스크 를 접속하게 됨으로 인하여 반 클러치 상태를 유지할 수 없어 엔진이 덜컹거리고 시동이 잘 꺼지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차량의 운전 조건에 따라 달라지는 엔진의 출력 값에 따라 클러치 디스크의 접속시점을 정확히 결정하고 인간이 운전할 경우 빈번히 나타나는 반 클러치 상태를 적용하기 위하여 클러치 디스크의 접속시점을 결정하는 기준이 되는 데이터로서 엔진(Engine)의 회전수(rpm)를 사용하고, 상승하는 엔진 회전수에 해당하는 값만큼만 클러치 디스크를 이동 접속시켜 차량의 동력을 원활하게 전달할 수 있는 세미오토 클러치 구동장치 및 구동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동장치는, 클러치 디스크를 차단하기 위하여 모터를 정 회전시켜 푸시로드를 전진시키기 위한 전진버튼과; 클러치 디스크를 반 클러치 상태에 위치시키기 위한 반 클러치 버튼과; 강제적으로 클러치 디스크를 접속하기 위해 모터를 역회전시키기 위한 후진버튼과; 회전수의 증, 감에 따라 클러치 디스크를 탈, 부착하기 위한 저속모드 버튼과; 엔진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엔진회전수 검출센서와; 브레이크의 작동상태를 검출하는 브레이크 감지센서와; 모터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바꾸어주는 수단에 의하여 푸시로드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하여 모터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푸시로드 위치감지 센서와; 모터의 회전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모터 속도조절 볼륨과; 푸시로드의 이동구간을 설정하기 위한 푸시로드 구간설정 볼륨과; 사용자가 반 클러치 위치를 기억 설정하기 위한 반 클러치 설정 볼륨과; 입력부의 입력에 따라 출력부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와; 푸시로드를 직선 왕복 운동시키는 수단에 의해 클러치 디스크를 탈, 부착시키기 위한 모터와; 엔진 스로틀 밸브를 개방하는 수단으로부터 엔진의 회전수를 상승시키기 위한 엔진회전수 상승수단과; 컨트롤러의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구동방법은, 전진버튼 입력 신호에 의해 모터를 전진시켜 클러치 디스크를 차단시키는 클러치 디스크 차단 단계와; 반 클러치 버튼의 입력 신호로부터 엔진 회전수 상승수단을 동반하고 모터를 구동하여 클러치 디스크를 반 클러치 상태로 위치하게 하는 반 클러치 단계와; 엔진회전수 상승이나 후진버튼의 입력 신호로부터 클러치 디스크를 접속시키는 클러치 디스크 접속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세미오토 클러치 시스템의 개략적인 전체 구성도이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세미오토 클러치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러치 페달(M1), 마스터 실린더(M4), 모터(12), 푸시로드 이송기어(M5), 푸시로드위치 감지센서(7), 구동마스터 실린더(M8), 릴리스 실린더(M9), 클러치(M12)로 이루 어진다. 각 실린더(M4, M8, M9)는 푸시로드(M2, M6, M11)와 피스톤(M3, M7, M10)으로 이루어지고, 구동 마스터 실린더(M8)는 '수동모드'에서 마스터 실린더(M4)의 작동을 릴리스 실린더(M9)로 전달함과 아울러 '자동모드'에서 모터(12)의 회전에 따라 마스터 실린더(M4)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마스터 실린더(M4)는 클러치 페달(M1)의 조작으로부터 유압을 발생시키는 것이고, 릴리스 실린더(M9)는 마스터 실린더(M4)나 구동 마스터 실린더(M8)의 유압 에너지를 기계적 에너지로 변환하여 클러치 디스크를 차단하거나 접속하기 위한 것이며, 푸시로드 이송기어(M5)는 모터(12)의 회전력을 직선 왕복운동으로 바꾸어 구동마스터 실린더(M8) 내의 푸시로드(M6)를 밀어 유압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세미오토 클러치 구동장치의 구성 블록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세미오토 클러치 구동장치는 조작 스위치부(A)와, 감지센서부(B), 설정부(C), 컨트롤러(30), 모터(12), 엔진회전수 상승수단(13), 표시등(14)으로 이루어져 조작스위치부(A)의 조작에 따라 각종 설정값을 참조하여 센서부(B)의 감지값에 따라 모터(12)를 정회전 혹은 역회전시키고, 엔진회전수 상승수단(13)을 제어하며 표시등(14)에 동작상태를 표시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조작스위치부(A)는 클러치 디스크를 차단시키기 위한 전진버튼(1)과, 반클러치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반클러치버튼(2), 클러치 디스크를 접속시키기 위한 후진버튼(3), 저속모드버튼(4)으로 이루어지고, 감지센서부(B)는 엔진회전수 검출센서(5)와, 브레이크 감지센서(6), 푸시로드 위치감지센서(7)로 이루어지며, 설정부(C)는 모터속도 조정볼륨(8)과 푸시로드구간 설정볼륨(9), 반클러치 설정 볼륨(10), 접속알피엠(rpm) 설정볼륨(11)으로 이루어진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진버튼(1)은 클러치 디스크를 차단하기 위하여 모터(12)를 정 회전시켜 푸시로드(M6)를 전진시키기 위한 것이고, 반 클러치 버튼(2)은 클러치 디스크를 반 클러치 상태에 위치시키기 위한 것이며, 후진버튼(3)은 강제적으로 클러치 디스크를 접속하기 위해 모터(12)를 역회전시키기 위한 것이다. 저속모드 버튼(4)은 회전수의 증, 감에 따라 클러치 디스크를 탈, 부착하기 위한 것이다.
엔진회전수 검출센서(5)는 엔진의 회전수(rpm)를 검출하고, 브레이크 감지센서(6)는 브레이크의 작동상태를 검출하며, 푸시로드 위치 감지센서(7)는 모터(12)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바꾸어주는 푸시로드 이송기어(M5)에 의하여 이송된 푸시로드(M6)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하여 모터(12)의 회전수를 검출한다.
모터속도 조절 볼륨(8)은 모터(12)의 회전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것이고, 푸시로드 구간설정 볼륨(9)은 푸시로드(M6)의 이동구간을 설정하기 위한 것이며, 반 클러치 설정 볼륨(10)은 사용자가 반 클러치 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것이다. 접속 알피엠 설정볼륨(11)은 접속을 시작하기 위한 기준 엔진속도(RPM)를 설정하기 위한 것이다.
모터(12)는 컨트롤러(30)의 제어에 따라 정회전 혹은 역회전하여 푸시로드 이송기어(M5)를 통해 푸시로드(M6)를 직선 왕복 운동시키는데, 푸시로드(M6)가 전진하게 되면 클러치 디스크는 플라이 휠로부터 떨어지고 푸시로드(M6)가 후진하게 되면 클러치 디스크가 플라이 휠에 접속된다. 엔진회전수 상승수단(13)은 엔진의 스로틀 밸브를 개방하는 수단으로서 엔진의 회전수를 상승시키기 위한 것이며, 표시등(14)은 컨트롤러(30)의 동작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컨트롤러(3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소정의 제어절차를 수행하여 조작스위치부(A)의 조작에 따라 설정값을 참조하여 감지값에 따라 모터(12)를 정회전 혹은 역회전시키고, 엔진회전수 상승수단(13)을 제어하며 표시등(14)에 동작상태를 표시하도록 전체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저속모드에서 브레이크 감지센서(6)로부터 브레이크 동작이 감지되면 클러치 디스크의 접속을 차단시킨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세미오토 클러치의 제어동작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세미오토 클러치의 제어 흐름도로서, 본 발명의 제어절차는 전진버튼(1) 입력 신호나 브레이크 감지센서(6)의 신호에 의해 모터(12)를 정회전시켜 클러치 디스크를 차단시키는 클러치 디스크 차단 단계(S1~S9)와, 반 클러치 버튼(2)의 입력 신호로부터 엔진 회전수 상승수단(13)을 제어하고 모터(12)를 구동하여 클러치 디스크를 반 클러치 상태로 위치하게 하는 반 클러치 단계(S10~S18)와, 엔진회전수 상승이나 후진버튼(3)의 입력신호로부터 클러치 디스크를 접속시키는 클러치 디스크 접속단계(S19~S25)로 구성된다.
1. 전진버튼을 누르거나 저속모드에서 브레이크 동작이 감지된 경우
운전중 사용자가 기어를 변속하기 위하여 변속기어 스틱상의 일 측면부에 장착된 전진버튼(1)을 누르거나 브레이크 감지센서(6)로부터 브레이크 동작이 감지되면, 컨트롤러(30)가 모터(12)를 정 회전시키고, 푸시로드 이송기어(M5)에 의해 푸시로드(M6)를 클러치 디스크가 차단되는 전방위치에 위치시켜 클러치 디스크를 차단시킨다.
이와 같이 클러치 디스크가 차단된 상태에서 운전자가 변속기 변속기어 스틱을 이동시켜 기어를 넣는다.
기어 입력 후, 컨트롤러(30)는 엔진회전수 검출센서(5)로부터 엔진 회전수(rpm)를 검출하여 클러치 디스크의 접속시점의 기준이 되는 기준 알피엠(rpm) 값과 비교한다. 비교결과 엔진 회전수(rpm)가 기준 알피엠(rpm) 값 보다 높을 경우에는 푸시로드 위치 감지센서(7)의 감지값(모터의 회전수 데이터로서 푸시로드 이동거리 값을 나타낸다)을 판단하여 엔진 회전수 증가치 만큼만 모터(12)를 역회전시켜 푸시로드 이송기어(M5)에 의해 푸시로드(M6)를 후진시키고, 이에 따라 클러치 디스크가 접속되어 진다. 만일, 엔진회전수의 증가치가 없을 경우엔 모터(12)를 정지시켜 클러치 디스크의 접속 정도를 엔진의 회전수 상승 값에 따라 이루어지게 하여 엔진의 회전력을 서서히 변속기에 전달시킨다.
상기 과정을 다시 설명하면, 엔진 회전수(RPM)가 접속 알피엠 설정볼륨(11)으로 운전자가 설정해 놓은 엔진 회전수(즉, 접속 알피엠) 보다 높을 때 푸시로드(M6)를 후진시켜 클러치 디스크를 접속시키는데, 엔진 회전수 증가치 만큼만 클러 치 디스크를 접속시키고, 증가치가 없을 경우 클러치 디스크의 접속 진행을 멈추게 하여 엔진 회전수에 따라 반 클러치 상태를 유지시킨다.
따라서 모든 수송기계의 출발시점의 어떠한 상황에서도(예컨대, 화물의 적재량이나 도로의 경사도 등) 엔진회전수(RPM) 검출 센서(5)를 통해 구동축의 부하 상태를 엔진이 가장 예민하고 정밀하게 나타내는 엔진 회전수(RPM)신호를 이용하여 최적의 조건으로 제어할 수 있다. 즉, 엔진의 회전수(RPM)에 따라 푸시로드(M6)의 이동거리를 조절하고(즉, 회전수 상승 수치만큼 만 이동), 엔진의 회전수 상승속도는 푸시로드 이송속도와 같도록 하여 운전자가 출발하기 위해 스틱 상에 구비된 클러치 스위치를 온터치하고 출발에 적합한 기어로 변속하고 가속페달(M1)을 적당히 조작하면, 엔진 회전수(RPM) 상승과 동시에 푸시로드(M6)도 엔진 회전수 상승값과 상승속도만큼 디스크 접속방향으로 이동하여 디스크가 접속되기 시작하면 그 순간부터 엔진에 부하가 걸리기 시작하고, 부하정도(즉, 강,약)에 따라 약하게 걸릴수록 디스크 접속속도는 점차 빨라지고 강하게 걸릴수록 디스크 접속속도는 점차 느려지다가 동력이 거의 전달되는 시점에 이르면 엔진 회전수는 점점 빨라져 결국은 반클러치 상태를 지나면서 빠르게 접속이 이루어진다.
때로는 회전수에 변화가 없을 시에는 푸시로드(M6)가 이동하던 그 자리에 멈춰서기도하고, 이 때문에 반클러치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도 있는 것이다. 오르막길에서 출발하거나 무거운 짐을 싣고 출발할 경우를 더 상세히 설명하면, 구동축에 부하가 많이 걸려 있는 관계로 가속패달(M1)을 밟아도 반클러치 상태에 접속되는 순간과 동시에 엔진 회전수 상승이 멈추거나 거의 이동이 둔화되어 푸시로드 (M6) 역시 거의 제자리에 머물게 된다. 이때 운전자는 가속패달(M1)을 계속 누르게 되고, 따라서 스로틀 밸브의 열림각은 커져 연소실 내부에는 다량의 연료가 공급되어 출력이 향상되기 때문에 원할한 출발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엔진의 회전수나 회전수 상승속도에 의해 클러치 디스크 접속속도가 자동으로 조절되므로, 어떠한 조건에서라도 수송차량의 출발이 원할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2. 반클러치 버튼을 누른 경우
반 클러치 버튼(2)은 초보자를 위하여 언덕길에서 정차하여 출발 시 차량이 뒤로 밀리는 현상을 없애주기 위한 것으로, 반 클러치 버튼(2)이 눌러지는 경우 스로틀 밸브를 개방시켜 주는 엔진 회전수 상승수단(13)에 의해 엔진 회전수를 상승시키고, 반 클러치 설정 볼륨(10)에 의해 기 설정되어진 반 클러치 상태에 클러치 디스크를 위치시킨다. 이때 엔진 회전수가 증가하여 접속알피엠에 도달하면 클러치 디스크는 접속이 이루어진다.
3. 후진버튼을 누른 경우
후진버튼(3)의 입력에 의해 후진버튼 데이터 값이 입력될 경우엔 어떠한 상태에 있더라도 클러치 디스크를 접속되게 모터(12)를 역회전시키고, 이에 따라 푸시로드 이송기어(M5)에 의해 푸시로드(M6)를 후방으로 위치시켜 클러치 디스크를 접속시킨다.
4. 저속모드버튼을 누른 경우
저속모드 버튼(4)은 도로에 차량이 밀려있어 짧은 구간을 가다 서다 반복할 경우에 운전자가 브레이크를 자주 밟게 되는 경우를 대비한 것으로, 이 저속모드 버튼(4)이 눌러져 있는 경우에는 엔진 회전수에 따라 모터(12)를 정, 역회전시켜 엔진 회전수(rpm)가 낮아지면 클러치 디스크를 차단시킨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클러치 디스크의 접속시점을 결정하는 기준이 되는 데이터를 엔진(Engine) 회전수(rpm)로 하고, 엔진 회전수 상승 치에 해당하는 값만큼만 클러치 디스크를 접속시키고 곧바로 정지시킴으로써 세미오토 클러치 차량에도 반 클러치 효과를 적용시켜 원활하게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즉, RPM 상승속도가 구동축의 부하상태를 예민하고 정밀하게 나타내므로 본 발명은 RPM에 따라 클러치를 자동으로 제어함으로써 차량의 동력을 보다 원활하게 전달할 수 있다.

Claims (7)

  1. 푸시로드의 위치에 따라 클러치 디스크를 플라이 휠에 접속 혹은 차단시키기 위한 세미오토 클러치에 있어서,
    운전자가 클러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 스위치부;
    엔진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엔진회전수 검출센서;
    푸시로드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하여 모터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푸시로드 위치감지 센서;
    접속 엔진회전속도를 설정하기 위한 접속 알피엠 설정볼륨과, 모터의 회전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모터 속도조절 볼륨과, 푸시로드의 이동구간을 설정하기 위한 푸시로드 구간설정 볼륨과, 사용자가 반 클러치 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반 클러치 설정 볼륨으로 구성되는 설정부;
    제어신호에 따라 정회전 혹은 역회전되어 상기 푸시로드의 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모터; 및
    상기 조작 스위치부의 조작에 따라 상기 모터를 제어하되, 상기 엔진회전수 검출센서로부터 감지된 엔진회전수를 상기 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접속회전수와 비교하여 클러치의 접속시점을 결정하고 상기 엔진 회전수의 증가량과 증가속도에 따라 접속정도를 제어하여 반클러치가 가능하게 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미오토 클러치 구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스위치부는
    클러치 디스크를 차단하기 위하여 모터를 정 회전시켜 푸시로드를 전진시키기 위한 전진버튼과;
    클러치 디스크를 반 클러치 상태에 위치시키기 위한 반 클러치 버튼;
    강제적으로 클러치 디스크를 접속하기 위해 모터를 역회전시키기 위한 후진버튼; 및
    회전수의 증, 감에 따라 클러치 디스크를 탈, 부착하기 위한 저속모드 버튼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미오토 클러치 구동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세미오토 클러치 구동장치는
    제어신호에 따라 엔진 스로틀 밸브를 개방시켜 엔진의 회전수를 상승시키기 위한 엔진회전수 상승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반클러치버튼에 의해 반클러치 상태가 되면 상기 엔진회전수 상승수단을 제어하여 엔진회전수를 상승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미오토 클러치 구동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미오토 클러치 구동장치는
    상기 컨트롤러의 동작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등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미오토 클러치 구동장치.
  6. 전진버튼 입력 신호에 의해 모터를 전진시켜 클러치 디스크를 차단시키는 클러치 디스크 차단 단계와;
    반 클러치 버튼의 입력 신호로부터 엔진 회전수 상승수단을 동반하고 클러치 디스크를 반 클러치 상태로 위치하게 하는 반 클러치 단계와;
    저속모드 버튼의 입력에 의해 엔진 회전수에 따라 모터를 정, 역회전 시켜 엔진 회전수가 낮아지면 클러치 디스크를 차단시키기 위한 저속모드 단계와;
    엔진회전수 상승이나 후진버튼의 입력 신호로부터 클러치 디스크를 접속시키는 클러치 디스크 접속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크 접속단계는 엔진 회전수를 감지하여 접속 알피엠에 도달하면, 클러치의 접속을 시작하되 엔진회전수의 증가량과 증가속도에 따라 푸시로드의 이송거리를 제어하여 클러치 디스크를 접속되게 하고, 엔진 회전수의 증가분이 없을 경우 클러치 디스크의 접속 과정이 정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미오토 클러치 구동방법.
  7. 삭제
KR1020040048974A 2004-06-28 2004-06-28 세미오토 클러치 구동장치 및 구동방법 KR1005867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8974A KR100586774B1 (ko) 2004-06-28 2004-06-28 세미오토 클러치 구동장치 및 구동방법
PCT/KR2005/001911 WO2006001625A1 (en) 2004-06-28 2005-06-21 Semi auto clutch driving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8974A KR100586774B1 (ko) 2004-06-28 2004-06-28 세미오토 클러치 구동장치 및 구동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0265A KR20060000265A (ko) 2006-01-06
KR100586774B1 true KR100586774B1 (ko) 2006-06-08

Family

ID=35782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8974A KR100586774B1 (ko) 2004-06-28 2004-06-28 세미오토 클러치 구동장치 및 구동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586774B1 (ko)
WO (1) WO200600162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0146B1 (ko) * 2011-07-22 2014-01-08 원용대 클러치 위치제어를 활용한 연료 절감 시스템
KR102280975B1 (ko) * 2020-04-13 2021-07-26 주식회사 한국쓰리축 차량용 자동화 클러치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91358B2 (en) 2006-09-12 2009-09-22 Dean Pick Hydraulic control system and apparatus for friction clutch
JP5007252B2 (ja) * 2008-02-21 2012-08-2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クラッチアクチュエータ装置
CN101968089B (zh) * 2010-09-10 2015-03-11 陕西国力信息技术有限公司 机动车机械离合器踏杆的电动控制方法
CN101968088B (zh) * 2010-09-10 2015-04-08 陕西国力信息技术有限公司 具有电动控制的机动车机械离合控制方法
WO2014079429A1 (de) * 2012-11-22 2014-05-30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Ausrücksystem
JP5862593B2 (ja) * 2013-04-02 2016-02-16 株式会社Osamu−Factory 後付自動クラッチ装置
DE102014213884A1 (de) * 2013-08-07 2015-02-12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Betätigungseinrichtung für eine Reibungskupplung
WO2016017839A1 (ko) * 2014-07-31 2016-02-04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엔진 회전수 오버라이드 제어장치
CN104964018A (zh) * 2015-06-30 2015-10-07 重庆友擘机械制造有限公司 锁止离合器
CN109629501B (zh) * 2019-01-11 2024-02-20 福建群峰机械有限公司 一种机场清扫车
KR102470739B1 (ko) * 2019-08-14 2022-11-29 오토딘시스 주식회사 엑셀 및 브레이크 페달과 연동된 클러치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61350A (ja) * 1981-10-07 1983-04-12 Mazda Motor Corp 複合クラツチ式多段歯車変速機のクラツチ制御装置
JPH05312076A (ja) * 1992-05-11 1993-11-22 Hitachi Ltd アイドル回転数制御装置
KR100264567B1 (ko) * 1995-12-27 2000-09-01 정몽규 자동차용 자동 반클러치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0146B1 (ko) * 2011-07-22 2014-01-08 원용대 클러치 위치제어를 활용한 연료 절감 시스템
KR102280975B1 (ko) * 2020-04-13 2021-07-26 주식회사 한국쓰리축 차량용 자동화 클러치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0265A (ko) 2006-01-06
WO2006001625A1 (en) 2006-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6774B1 (ko) 세미오토 클러치 구동장치 및 구동방법
JP2748470B2 (ja) 車両用自動変速装置
EP020532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automatic clutch
KR100490697B1 (ko) 토크전달시스템제어장치
EP2194298B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automatic transmission
JP2847503B2 (ja) 車両用クラッチの制御装置
US7892143B2 (en) Shift control apparatus
JP2004076934A (ja) 高速自動車の電子制御式伝動装置
US4778038A (en) Control apparatus for automobile clutch
US8447482B2 (en) Shift control device and vehicle
EP1548332A1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utomatic transmission
US4821854A (en) Brake force retaining control apparatus
JP4191362B2 (ja) 無段変速機の制御方法
EP1408251B1 (en) Vehicle control apparatus with clutch-released maintaining means
JP3958490B2 (ja) 車両の自動変速装置
JP2648279B2 (ja) 車両の自動変速装置
JP4172188B2 (ja) 機械式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JPH02159419A (ja) 自動変速機のクラッチ制御装置
JPS6239334A (ja) 自動変速機を備えた車両のスイツチバツク走行におけるクラツチ及び変速機の制御装置
KR100592197B1 (ko) 세미오토 클러치 구동장치 및 구동방법
JP4066936B2 (ja) 車両用エンジン出力制御装置
JP3494003B2 (ja) 自動クラッチの制御装置
JPH0243048B2 (ko)
JPH0516449Y2 (ko)
JPS61129328A (ja) 自動トランスミッシヨ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6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4070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5042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10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2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5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5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5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5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5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60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8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52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6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61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43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