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75505B1 - 차량의 가장 최근 사용자에게 제어 액세스의 우선 순위가부여되는 차량을 제어하기 위한 원격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의 가장 최근 사용자에게 제어 액세스의 우선 순위가부여되는 차량을 제어하기 위한 원격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5505B1
KR100575505B1 KR20030075730A KR20030075730A KR100575505B1 KR 100575505 B1 KR100575505 B1 KR 100575505B1 KR 20030075730 A KR20030075730 A KR 20030075730A KR 20030075730 A KR20030075730 A KR 20030075730A KR 100575505 B1 KR100575505 B1 KR 1005755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code
signal
transmitted
control devi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030075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38762A (ko
Inventor
나가이노부요시
오꾸무라료오조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Publication of KR200400387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87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55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5505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B60R25/246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characterised by the challenge trigg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072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with means for preventing jamming or interference of a remote switch control sig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복수의 사용자가 개별 ID 코드가 부여되고, 연속적인 ID 코드가 그 뒤로 이어지는 호출 코드를 주기적으로 송신하는 차량 장착 제어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개별 전자키를 소지하고, 통신 범위 내에 있는 전자키가 이의 특정 ID 코드에 응답하여 차량 장착 장치에 응답 데이터를 송신함에 의해 제어 작동을 일으키고, 전자키가 응답한 때 대응하는 ID 코드가 호출 코드와 ID 코드가 다음회 송신될 때 ID 코드의 시퀀스에서 첫번째가 되는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이 제공된다.
Figure 112003040508071-pat00001
원격 제어 시스템, 차량 장착 제어 장치, 전자키, 우선 순위, 호출 코드

Description

차량의 가장 최근 사용자에게 제어 액세스의 우선 순위가 부여되는 차량을 제어하기 위한 원격 제어 시스템 {REMOTE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A VEHICLE WITH PRIORITY OF CONTROL ACCESS BEING ASSIGNED TO THE MOST RECENT USER OF THE VEHICLE}
도1은 스마트 엔트리 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시스템 블록도.
도2는 차량 내부 및 차량 주변의 통신 영역의 분포를 도시하는 차량의 개념 평면도.
도3은 실시예의 스마트 엔트리 제어 ECU에 의해 실행되는 전자키 검출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4는 실시예의 전자키에 의해 실행되는 응답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5a는 전자키들과 실시예의 차량 장착 제어 장치 사이의 통신을 도시하기 위한 개념적인 시간 도표이고, 도5b는 실시예의 다른 구성의 경우에 대한 대응도.
도6은 실시예의 다른 구성의 스마트 엔트리 제어 ECU에 의해 실행되는 전자키 검출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7은 실시예의 다른 구성의 전자키에 의해 실행되는 응답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차량 장착 제어 장치
4 : 전자키
10 : 스마트 엔트리 제어 ECU
12 : 차량 외부 송신기
14 : 차량 내부 송신기
16 : 수신기
20 : 도어 ECU
24 : 엔진 ECU
32 : 수신부
34 : 송신부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휴대 장치와의 무선 통신에 기초하여 차량의 하나 이상의 제어 대상 장치의 제어를 수행하는 차량 장착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장치인 차량용 원격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서, 도어가 잠긴 상태로 차량이 주차된 때 원격 제어 시스템의 차량 장착 제어 장치가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차량 주변의 소정 영역 내에 호출 코드를 주기적으로 송신하는 여러 형태의 차량용 원격 제어 시스템이 공지되어 있다. 다음에서, "무선파(radio wave)"는 광파(light wave) 또는 무선 주파수 전자기파와 같이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매체를 가리키기 위해 편의상 사용되고, 설명될 원격 제어 시스템의 차량 장착 제어 장치를 지니는 차량은 호스트 차량으로 참조될 것이다. 만일 그 차량의 사용자가 지니고 차량 장착 제어 장치와 무선 통신을 위해 구성된 휴대 장치가 호스트 차량의 통신 범위 내에 위치된다면, 그 휴대 장치는 호출 코드를 수신하면 소정의 응답 데이터를 송신한다. 응답 데이터가 차량 장착 제어 장치에 의해 수신되면 그 장치는 차량의 도어의 잠김을 해제되거나 또는 수동으로 잠김 해제할 수 있도록 그 잠김이 대기 상태로 설정되는 제어를 수행한다. 이러한 원격 제어 시스템은 때때로 "스마트 엔트리 시스템"으로 불린다.
이러한 시스템의 한 종류로서 일본 특허 제2000-104429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이 차량 장착 제어 장치 및 휴대 장치들 사이에서 교환되는 호출 코드 및 응답 데이터를 검사하여, 이들 데이터들이 부적절하게 이용되지 않는 것을 보장한다. 구체적으로, 차량 장착 제어 장치는 변조된 무선파로서 챌린지 코드로 알려져 있고 인코딩 키로서 이용되는 가변 코드의 형태로 호출 코드를 송신한다. 그 차량에 부여된 휴대 장치가 챌린지 코드를 수신하면, 이는 인코딩 키로서 챌린지 코드 내용을 이용하여 응답 데이터를 인코딩하여, 결과인 인코딩된 응답 데이터를 송신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이용되는 휴대용 장치의 형태는 일반적으로 전자키로 불리고, 복수의 개인이 동일한 차량에 부여된 개별 전자키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전술한 종래의 원격 제어 시스템의 형태에서는 복수의 개인이 차량에 부여된 전자키를 소지한 상태로 차량에 인접하여 있을 때(또는 복수의 이러한 전자키들을 소지한 개인이 차량에 근접하여 있을 때), 이들 전자키들이 원격 제어 시스템의 차량 장착 제어 장치로부터 송신된 호출 코드에 응답할 때 복수의 인코딩된 응답 데이터의 세트가 개별 전자키들로부터 동시에 송신될 것이다. 따라서, 차량 장착 제어 장치가 다양한 전자키로부터의 응답 데이터의 개별 세트를 구별할 수 없는 문제가 생기고, 따라서 도어를 잠김 해제하는 것과 같은 원하는 제어 작동을 수행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차량 장착 제어 장치가 호출 코드(즉, 이는 챌린지 코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를 송신하는 것을 완료한 후, 차량에 부여된 전자키의 전체 수와 동일한 수의 무선파의 연속적인 버스트를 송신하는 방법이 고안될 수도 있다. 각각의 이들 전자키는 개개의 버스트 수가 부여되고, 전자키가 그 키에 부여된 수에 달하는 연속적인 버스트의 수를 수신한 때 전자키(및 오직 그 키)는 응답 데이터를 송신한다.
이러한 원격 제어 시스템에서, 비록 복수의 전자키가 대응하는 차량에 아주 근접하여 동시에 위치될 지라도, 차량 장착 제어 장치는 이들 전자키중 하나, 즉 차량 장착 제어 장치가 호출 코드를 송신한 후에 응답 데이터를 가장 먼저 송신한 전자키로부터 송신된 응답 데이터에 대해서만 응답하게 된다. 이러한 시스템은 복수의 전자키가 대응 차량에 근접하여 동시에 위치된 경우에서도 신뢰성있는 통신을 제공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러한 시스템에서, 큰 버스트 수가 부여된 전자키를 지닌 개인(예를 들면, 그 개인이 차량에 가까이에 있고 차량에 접근하기를 원할 때)은 차량을 액세스할 수 있기 전까지, 차량 장착 제어 장치가 무선파의 버스트의 최대수를 송신하는 것을 완료할 때까지 항상 기다려야 한다. 차량에 인가된 전자키의 수에 따라, 이는 사용자가 차량에 도달한 시간과 액세스를 얻을 수 있는(즉, 도어 잠김이 해제되거나 또는 잠김해제 대기 상태로 설정되는) 시간 사이에 상당한 지연을 일으키고, 이는 이러한 시스템의 사용자에게 불만족을 유발할 수 있다. 이것이 이러한 시스템의 기본적인 문제점이다.
차량의 제어 대상 장치가 휴대 장치로부터 송신된 응답 데이터에 기초하여 차량 장착 제어 장치에 의해 제어되어, 차량 장착 제어 장치에 의해 송신된 호출 코드가 차량에 인접하여 위치된 복수의 휴대 장치에 의해 수신된 경우에서도 제어 대상 장치가 응답에 지연없이 신뢰성있게 제어되는 원격 제어 시스템을 제공함에 의해서 상술한 문제점을 극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제1 태양에 따르면, 본 발명은 차량 장착 제어 장치가 휴대 장치를 호출할 때, 차량 장착 제어 장치의 호출 수단은 송신 수단에 의해 순차적으로 송신되는 휴대 장치 호출 코드 및 복수의 휴대 장치중 개별 하나에 대한 개별 ID(식별) 코드를 송신 수단에 공급하는 원격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휴대 장치가 차량 장착 제어 장치로부터 이러한 송신된 데이터를 수신하고 연속적인 ID 코드를 송신할 때 그 휴대 장치에 부여된 특정 ID 코드가 송신되는 지 점에 도달한 것을 판단한 때, 그 특정 휴대 장치는 차량 장착 제어 장치에 의해 수신될 소정의 응답 데이터를 송신한다. 따라서, 차량의 통신 영역 내에 동시에 위치되는 이러한 차량에 부여된 복수의 휴대 장치가 있을 때, 복수의 이들 휴대 장치가 차량 장착 제어 장치로부터 송신된 호출 코드에 응답하여 응답 데이터를 동시에 송신할 가능성은 없고, 다시 말해, 오직 하나의 휴대 장치에서부터의 응답 데이터가 차량 장착 제어 장치에 의해 수신될 것이다.
물론 이것은 개별 버스트 수가 다양한 전자키들에 부여되고 무선파의 연속적인 버스트를 단순히 송신하는 종래 기술의 방법에도 전술한 바와 같이 동일한 장점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 장착 제어 장치는 개별 휴대 장치의 ID 코드가 송신되는 순서에 우선순위의 변화하는 등급을 부여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차량 장착 제어 장치가 호출 코드를 송신한 때, 호출 코드를 송신한 때에 응답한 휴대 장치(즉, 만약 차량의 통신 영역 내에 복수의 휴대 장치가 존재한다면, 이들 중 가장 먼저 응답을 송신한 휴대 장치)에 호출 코드의 다음 송신 시기에 가장 높은 우선 순위가 부여된다. 다시 말해, 호출 코드가 차량 장착 제어 장치에 의해 다음번에 송신된 후, 호출 코드에 응답하였던 가장 최근의 휴대 장치의 ID 코드가 연속적인 ID 코드에서 첫번째로 송신된다.
따라서, 개인이 이러한 시스템을 구비한 차량을 액세스하기 위해 휴대 장치를 사용할 때, 이는 그 동일한 개인이 이어서 차량을 액세스할 다음 사람일 때, 그 개인의 휴대 장치의 ID 코드는 순서에서 첫번째로 송신될 것이고, 따라서 제어 응답에 최소한의 지연이 있게 되는 것을 보장한다. 일반적으로 임의의 특정 시기에 원격 제어 시스템을 이용하여 차량을 액세스한 개인이 차량의 가장 최근에 액세스한 동일한 개인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이런 방식으로 개선된 응답 속도를 갖는 작동의 효율성이 얻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은 다음과 같다. 종래 기술에서, 차량 장착 제어 장치가 호출 코드를 송신할 때(예를 들면, 고정된 주기 간격으로), 차량 장착 제어 장치가 적절한 소스(즉, 호스트 차량의 유효한 사용자에 인가된 전자키)로부터 나온 응답 데이터와, 예를 들면 응답 데이터가 도난되고 그런 후 호스트 차량을 액세스하려고 시도하는 인가되지 않은 개인에 의해 이용될 때 발생하는 것과 같이, 어떤 다른 소스로부터 송신된 데이터를 신뢰성있게 식별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본 발명의 제2 태양에 따르면, 차량 장착 제어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호출 코드는 인코팅 키로서 이용되기 위한 가변 코드를 포함한다. 휴대 장치가 이 호출 코드를 수신하고, 그런 후 응답 데이터를 송신하기 전에 응답 데이터는 호출 코드 내에 담긴 가변 코드를 이용하여 인코딩된다. 차량 장착 제어 장치는 차량 장착 제어 장치의 신호 수신 수단에 의해 이들이 수신된 때 최종 수신된 인코딩된 응답 데이터를 디코딩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며, 동일한 가변 코드가 이 디코딩을 수행하기 위해 이용된다. 그런 후 차량 장착 제어 장치는 응답 데이터가 적절한 휴대 장치로부터 수신되었는 지의 여부를 응답 데이터의 디코딩의 결과가 정확한 지(즉, 소정의 조건과 일치하는 지)에 기초하여 판단한다. 인코딩 키가 가변 코드(예를 들면 호출 코드가 송신될 때마다 변경될 수 있는)이기 때문에, 도난된 응답 데이터는 호스트 차량으로의 인가되지 않은 출입을 달성하는 데 이용될 수 없다.
이 방식으로, 원격 제어 시스템은 그 차량의 부적절한 사용을 방지하는 데 이용하기 위한 정보를 얻을 수 있고, 이에 의해 차량 보안을 향상시킨다.
이러한 시스템으로, 호출 코드는 고정된 주기로 주기적으로 송신되고, 예를 들면 이러한 송신은 차량 엔진이 꺼진 때 자동적으로 시작되고 엔진의 재시동과 같은 특정 작동이 이어서 수행된 때에만 종결된다. 그러나, 만일 이렇게 되면 차량이 이러한 주기적인 호출 코드의 송신이 일어나는 동안 오랜 기간동안 주차된 채로 있다면, 이는 차량 배터리의 용량에 과도한 소모를 유발하게 될 것이고, 배터리가 방전될 수도 있다. 그 경우, 차량의 모든 전자 장비가 작동 불가능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3 태양에 따르면, 차량 장착 제어 장치는 호출 코드의 주기적인 송신을 개시하기 위하여 차량의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작동되어야만 하는 조작 스위치를 포함한다. 이 방식으로, 차량이 오랜 기간동안 주차된 상태에 있을 것이 알려진 때 호출 코드 송신 기능을 비작동 상태로 함으로써, 사용자는 차량 배터리가 방전될 가능성을 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태양에 따르면, 원격 제어 시스템에 의한 배터리 전력 소모의 수준을 감소시키기 위한 다른 방법으로서, 차량 장착 제어 장치는 호출 코드를 송신하기 전에 기동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호출 신호는 확인 신호가 기동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휴대 장치로부터 수신된 경우에만 송신된다. 다시 말해, 휴대 장치는 각각 차량에 부여된 모든 휴대 장치에 바람직하게는 공통으로 만들어진 확인 신호를 송신함에 의해서 기동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도록 구성된 다. 차량 장착 제어 장치가 확인 신호를 수신한 때(즉, 그 차량의 통신 영역 내에 있는 하나 이상의 휴대 장치로부터), 이는 전술된 바와 같은 호출 코드를 송신한다.
이 방식에서, 차량 장착 제어 장치의 통신 영역 내에 휴대 장치가 없을 때, 오직 기동 신호만이 차량 장착 제어 장치에 의해 주기적으로 송신될 것을 확실하게 한다. 호출 코드(예를 들면, 챌린지 코드와 차량에 부여된 개별 휴대 장치의 ID 코드의 시퀀스를 포함하는)가 이러한 경우 주기적으로 송신되지 않기 때문에, 원격 제어 시스템의 작동에 기인한 차량 배터리의 소모는 상당히 감소된다.
더욱이, 기동 신호를 이용하는 이러한 방법은 전술된 사용자에 의해 작동가능한 조작 스위치를 제공하는 방법과 결합되어 이용될 때, 즉 기동 신호의 주기적인 송신이 만일 차량이 오랜 기간동안 주차된다면 중단될 수 있을 때, 배터리 전력 소비의 수준은 더욱 감소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제4 태양에 의하면, 하나 이상의 휴대 장치가 기동 신호를 수신하고 확인 신호를 송신한 때, 동일한 확인 신호는 모든 휴대 장치에 의해 송신된다. 이의 장점은 다음과 같다. 만일 개별적으로 상이한 확인 신호가 기동 신호를 수신한 다양한 휴대 장치로부터 동시에 송신된다면, 차량 장착 제어 장치는 이들 다양한 확인 신호들을 식별할 수 없을 것이다. 그러나, 만일 모든 이들 휴대 장치가 공통으로 동일한 확인 신호를 송신한다면, 차량 장착 제어 장치는 확인 신호를 신뢰성 있게 수신할 수 있고 따라서 개별 휴대 장치의 연속적인 ID 코드에 의해 후속되는 호출 코드를 송신하는 작동을 진행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4 태양에 따라 구성된 원격 제어 시스템의 실제적인 실현에서, 차량 장착 제어 장치에 의해 송신된 기동 신호는 호스트 차량에 대해 특정되는 차량 ID 코드를 포함하고, 그 호스트 차량에 부여된 휴대 장치는 각각 그 내에 미리 기억된 그 차량 ID 코드를 갖고, 각각의 휴대 장치는 그 휴대 장치에 대응하는 호스트 차량의 차량 ID 코드를 포함하는 기동 신호에만 응답하여 확인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확인 신호는 바람직하게는 변조되지 않은 무선파의 단순한 버스트(또는 일련의 버스트)보다는, 호스트 차량에 부여된 모든 휴대 장치에 특정되고 이에 의해 공통으로 이용되는 소정의 고정된 코드로 구성된다. 이는 만일 확인 신호가 무선파의 버스트로만 구성되면, 차량 장착 제어 장치는 확인 신호로서 다른 형태의 휴대 장치로부터 송신된 신호 또는 차량 인접부에서 발생된 전기 노이즈를 실수로 검출하게 되고, 따라서 호출 코드 및 휴대 장치 ID 코드의 시퀀스를 실수로 송신할 수 있다는 사실에 기인한다. 그러나 만일 고정된 코드가 확인 신호로 사용된다면, 차량 장착 제어 장치는 호스트 차량에 부여된 휴대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확인 신호를 신뢰성있게 검출할 수 있고, 따라서 호출 코드 및 휴대 장치 ID 코드의 시퀀스의 불필요한 송신이 방지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엔트리 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시스템 블록도이다. 시스템은 호스트 차량 상에 장착되는 차량 장착 제어 장치(2)와 호스트 차량의 사용자들에 의해 휴대되고 호스트 차량에 부여된 개별 전자키(4)들에 의해 구성 된 복수의 휴대 장치로 형성된다(오직 하나의 전자키(4)만이 도면에 도시됨).
각각의 전자키(4)는 차량 장착 제어 장치(2)와의 통신을 위해 변조된 무선파에 의해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전자키(4)의 수신 안테나를 거쳐 차량 장착 제어 장치(2)로부터 송신된 무선파를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를 복조하는 수신부(32)와, 수신부(32)에 의해 복조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차량 장착 제어 장치(2)에 응답하기 위한 데이터를 생성하는 송신/수신 제어 ECU(30)와, 소정 무선 주파수 범위(예를 들면 수백 ㎒) 내에서 반송파를 변조하여 전자키(4)의 송신 안테나로부터 차량 장착 제어 장치(2)로 송신되는 송신 신호를 생성하기 위하여 송신/수신 제어 ECU(30)로부터 생성된 데이터를 인가하는 송신부(34)로 구성된다.
송신/수신 제어 ECU(30)는 마이크로컴퓨터의 CPU, ROM, RAM 등에 기초한다.
차량 장착 제어 장치(2)는 [송신/수신 제어 ECU(30)와 마찬가지로] 마이크로컴퓨터의 CPU, ROM, RAM 등에 기초한 스마트 엔트리 작동 제어 ECU(10), 호스트 차량의 주변 둘레의 통신 영역 내부에 위치될 수 있는 임의의 전자키(4)에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차량 외부 송신기(12), 호스트 차량의 내부(즉, 승객실 내)의 통신 영역 내에 위치할 수 있는 임의의 전자키(4)에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차량 내부 송신기(14)[비록 실제로는 송신기(12, 14)는 다음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개별적인 복수의 송신기로 실현될 수도 있다], 전자키(4)로부터 송신된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기(또는 복수의 수신기)(16)로 구성된다. 차량 외부 송신기(들)(12), 차량 내부 송신기(들)(14) 및 수신기(들)(16)는 차량 장착 제어 장치(2)의 통신부를 구성한다.
도2는 한 세트의 차량 외부 송신기(12), 한 쌍의 차량 내부 송신기(14) 및 한 쌍의 수신기(16)와, 호스트 차량(3)의 통신 영역들 사이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기 위한, 참조 번호 3으로 지시된 호스트 차량의 개념적인 평면도이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외부 송신기(12)는 운전사측 도어, 전방 승객측 도어, 좌측 승객 후방 도어 및 우측 승객 후방 도어 상에 제공되고, 그리고 호스트 차량(3)의 트렁크 리드 상에 또한 제공된다. 따라서, 차량 외부 송신기(12)의 각각에 중심을 둔 한 세트의 통신 영역은 차량(3)의 주변 둘레에 형성되고, 이들은 아래에서 집합적으로 차량 외부 통신 영역(17)으로 참고될 것이다. 차량 내부 송신기(14)는 호스트 차량(3)의 승객실 내부에서 대략 중심에 배치되어, 차량의 내부에 통신 영역(18)을 형성한다. 이 예에서 수신기(16)는 승객실 내부에 있는 임의의 전자키(4)로부터의 신호들을 수신하기 위해 운전사의 전방에 있는 후방 미러 상에 제공되고 차량의 외부 통신 영역(17)에 있는 임의의 전자키(4)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서 호스트 차량(3)의 트렁크 리드 상에 제공된다.
송신기(12, 14)는 각각 예를 들면 수백 ㎒의 범위의 주파수를 갖는 반송파를 변조하기 위해 스마트 엔트리 작동 제어 ECU(10)로부터 출력 데이터를 인가함에 의해서 형성된 신호를 송신한다. 각각의 수신기(16)는 이의 안테나에서 수신된 임의의 신호를 복조하고, 결과로서 생기는 복조된 데이터를 스마트 엔트리 작동 제어 ECU(10)에 공급한다.
호스트 차량이 모든 도어가 잠긴 채로 주차된 상태에 있을 때, 만일 스마트 엔트리 작동 제어 ECU(10)가 호스트 차량의 주변 근처에 위치된 전자키(4)가 있다 는 것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수신기(16)로부터 수신한다면(차량 외부 송신기(12)로부터 송신된 신호에 응답하여), 스마트 엔트리 작동 제어 ECU(10)는 도어 ECU(20) 및 트렁크 ECU(22)가 각각 잠김 해제 대기 상태로 설정되는 제어를 인가한다. 만일 도어 잠김이 해제되고 호스트 차량이 엔진이 정지된 상태로 주차된다면, 스마트 엔트리 작동 제어 ECU(10)는 (차량 내부 송신기(14)에 의해 송신된 신호들로부터 기인하는 수신기(16)의 의해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차량의 내부에 전자키(4)가 있음을 검출한 때, 스마트 엔트리 작동 제어 ECU(10)는 엔진 ECU(24)가 엔진 시동 대기 상태를 확립하는 제어를 인가한다. 도어 ECU(20) 및 트렁크 ECU(22)가 각각 잠김해제 대기 상태로 설정된 때, 사용자는 적절한 개방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운전자측 도어 및/또는 트렁크 리드를 개방할 수 있다. 이것이 일어난 때, 개방 검출 스위치(도시 생략)가 닫혀짐에 의해서 검출되고, 그 때문에 운전자측 도어 및/또는 트렁크 리드가 자동적으로 해제되는 잠김해제 제어가 인가된다.
엔진 ECU(24)가 스마트 엔트리 작동 제어 ECU(10)에 의하여 엔진 대기 상태로 설정되고 사용자(즉, 이 경우, 운전자)가 특정 스위치(도시 생략)를 조작한 때 엔진 ECU(24)는 차량 엔진을 자동적으로 시동하기 위한 엔진 시동 제어를 인가한다.
따라서, 스마트 엔트리 시스템의 이 실시예에서 호스트 차량이 주차 상태에 있고 사용자가 차량에 들어가거나 또는 차량 트렁크에 짐을 넣기를 원할 때, 사용자가 어떤 특별한 동작(예를 들면, 종래 형태의 자물쇠 내에 기계적인 키를 삽입하여 회전시키는 동작)을 수행할 필요가 없다. 또한, 사용자가 호스트 차량 엔진을 시동하기를 원할 때 사용자가 점화 키를 삽입하여 회전시킬 필요가 없다. 대신에, 사용자는 간단한 스위치 조작을 수행하는 것만 필요하다.
도3은 호스트 차량이 주차 상태에 있고 전자키(4)가 차량의 내부에 또는 차량의 외부에 근접하여 있는 것이 검출된 때 스마트 엔트리 작동 제어 ECU(10)에 의해[보다 구체적으로, 스마트 엔트리 작동 제어 ECU(10) 내부의 CPU에 의해] 주기적으로 수행되는 키 검출 처리 루틴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4는 도3에 도시된 검출 처리에 응답하여 전자키(4)의 CPU에 의해 실행되는 응답 처리의 흐름도이다.
먼저, 복수의 전자키(4)가 호스트 차량에 부여되고, 복수의 전자키(4)의 개별 키 ID들을 나타내는 대응하는 복수의 개별적으로 상이한 키 ID 코드(각각은 고정된 복수의 비트 예를 들면 4비트로 형성)는 스마트 엔트리 작동 제어 ECU(10)의 RAM에 미리 기억된 것으로 가정한다. 이들 키 ID들의 각각은 모든 키 ID 코드가 다음 연속적으로 송신될 때 키 ID 코드가 송신될 우선 순위를 지시하는 값인 대응 등록 번호 n에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스마트 엔트리 작동 제어 ECU(10)가 다음으로 검출 처리 작동을 수행할 때, 키 ID 코드는 키 ID들의 개별 등록 번호(n)의 순서대로 스마트 엔트리 작동 제어 ECU(10)의 RAM으로부터 순차적으로 판독되고, 그 순서로 차량 장착 제어 장치(2)에 의해 송신된다.
스마트 엔트리 작동 제어 ECU(10)는 고정된 주기로 주기적으로 도3의 전자키 검출 처리를 실행한다. 먼저, 단계 100에서, 호스트 차량의 주변 또는 호스트 차량의 내부의 임의의 전자키(4)를 기동시키기 위한 기동 신호 및 챌린지 코드가 그 곳으로부터 송신되는 차량 외부 송신기(12) 및 차량 내부 송신기(14)의 각각으로 연속적으로 공급된다. 챌린지 코드는 인코딩 키로서 이용되는 가변 코드이고, 키 ID 코드를 구성하는 비트의 수보다 더 많은 복수의 비트(예를 들면, 32비트)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챌린지 코드는 호스트 차량으로부터 송신되는 호출 코드를 구성한다. 기동 신호 및 챌린지 코드의 각각의 조합은 2진수로 변조된 무선파의 버스트(burst)로서 송신되고 전자키(4)의 송신/수신 제어 ECU(30)를 기동하기 위해 호스트 차량의 내부 또는 호스트 차량의 주변에 있는 임의의 전자키(4)에게 통보하고 호스트 차량의 차량 장착 제어 장치(2)와 통신을 개시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단계 110에서, 이 번에 송신되는 코드의 키 ID를 특정하는 등록 번호 n은 1로서 설정되고, 단계 120에서 등록 번호의 값에 대응하는 키 ID 코드가 판독되어 차량 외부 송신기(12) 및 차량 내부 송신기(14)로 각각 공급된다. 만일 송호스트 차량의 통신 영역 내에 송신된 키 ID 코드가 부여된 전자키(4)가 있다면, 전자키(4)가 인코딩된 데이터를 차량 장착 제어 장치(2)에 전달하기 위하여 전자키(4)에 특정된 데이터와 결합하여 챌린지 코드 내에 담긴 인코딩 키를 이용하는 응답 처리가 (이후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키의 송신/수신 제어 ECU(30)에 의해 실행된다.
다음으로, 단계 130에서, 수신기(16)가 전자키(4)로부터 송신된 인코딩된 코드를 수신하였는지의 여부에 대한 판단이 행해진다. 만일 인코딩된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았다면 처리는 스마트 엔트리 작동 제어 ECU(10)의 RAM에 기억된 모든 키 ID 코드가 송신되었는지의 여부에 대한 판단이 행해지는 단계 S140으로 진행한다. 만일 전부가 송신된 것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처리는 (송신될 다음 키 ID 코드를 지정하기 위해) 등록 번호 n이 1만큼 증가되는 단계 150으로 진행된 후 처리는 단계 120으로 복귀한다.
그러나 만일 단계 130에서 인코딩된 데이터가 수신된 것이 발견된다면 처리는 디코딩 키로서 단계 100에서 송신된 챌린지 코드의 내용을 이용함에 의해서 수신된 인코딩된 데이터가 디코딩되는 단계 160으로 진행한다. 다음으로 단계 170에서, 단계 160에서 구해진 디코딩된 데이터의 내용이 이들 데이터가 호스트 차량에 적절하게 부여된 전자키(4)로부터 온 것인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하여 판단된다. 따라서 판단은 또한 수신된 데이터가 올바르게 디코딩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역할을 한다.
만일 디코딩된 데이터가 호스트 차량에 적절하게 부여된 전자키(4)로부터 온 것이 아니라는 것(또는 올바르게 디코딩된 것이 아니라는 것)이 발견된다면 처리는 전술한 단계 140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다면 처리는 단계 180으로 진행한다. 단계 180에서, 도어 ECU(20) 및 트렁크 ECU(22)는 각각 잠김 해제 대기 상태를 확립하도록 제어되거나 또는 엔진 ECU(24)는 엔진 시동 대기 상태로 설정된다(즉, 전술된 바와 같이 만일 도어가 잠김 해제 상태로 주차되어 있다면).
처리는 인코딩된 응답 데이터를 송신한 전자키(4)의 키 ID 코드가 전자키 검출 처리 루틴이 실행되는 다음회에 첫번째로 먼저 송신될 키 ID 코드로 설정되는 단계 190으로 진행한다. 이는 전자키 검출 처리 루틴의 실행시에 디코딩되는 인코딩된 응답 데이터를 송신한 전자키(4)의 키 ID 코드의 등록 번호에 대해 1의 값이 설정되도록 하는 것과 같이, 여러 개의 키 ID들에 부여된 등록 번호(n)의 개별 값을 갱신함에 의해서 수행된다.
도4는 전술된 전자키 검출 처리 루틴의 실행 시에 호스트 차량으로부터 송신된 신호에 응답할 때 전자키(4)에 의해 실행되는 응답 처리 루틴의 흐름도이다. 전자키(4)의 수신부(32)가 전술된 기동 신호를 수신한 때, 전자키(4)의 송신/수신 제어 ECU(30)가 기동되고, 다음의 응답 처리 루틴이 송신/수신 제어 ECU(30)에 의해 실행된다.
응답 처리 루틴의 실행이 개시된 때, 제1 대기 시간의 지속 시간을 한정하는 타이머의 작동을 초기화하는 단계(도시 생략) 후에 먼저 정확한 챌린지 코드가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200이 실행된다. 만일, 정확한 챌린지 코드가 수신되지 않았다면, 작동은 제1 대기 시간 즉, 시스템이 챌린지 코드를 수신하기 위해 대기하는 시간이 경과하였는지의 여부에 대한 결정이 행해지는 단계 210으로 진행한다. 만일 제1 대기 시간이 아직 경과하지 않았으면, 작동은 단계 200으로 복귀한다. 그러나 만일 제1 대기 시간이 경과한 것이 단계 210에서 발견되면, 정확한 챌린지 코드가 호스트 차량으로부터 수신되지 않았다는 것, 즉 송신/수신 제어 ECU(30)의 기동이 전기적인 노이즈 또는 전자키(4)의 결함있는 동작과 같은 요인에 의해 유발되었다는 것을 나타내고 처리는 종료된다.
만일 단계 200에서 챌린지 코드가 수신되었다면, 작동은 송신/수신 제어 ECU(30)의 RAM 내에 수신된 챌린지 코드가 기억되는 단계 220으로 진행하고, 제2 대기 시간의 지속 시간을 한정하는 타이머의 작동을 초기화하는 단계(도시 생략) 후에, 챌린지 코드에 후속하는 키 ID 코드가 수신되었는지의 여부에 대한 판단이 행해지는 단계 230이 실행된다. 만일, 키 ID 코드가 수신되지 않았다면, 작동은 제2 대기 시간이 경과되었는지의 여부에 대한 판단이 행해지는 단계 240으로 진행한다. 만일 제2 대기 시간이 아직 경과되지 않았다면, 작동은 단계 230으로 복귀한다. 이런 방식으로, 키 ID 신호가 수신될 때까지 대기가 수행된다. 그러나, 만일 단계 240에서 제2 대기 시간이 경과된 것으로 판단된다면, 차량 장착 제어 장치(2)로부터 데이터가 정확하게 수신되지 않았거나 또는 이 전자키(4)를 지닌 개인이 호스트 차량의 통신 영역의 밖으로 이동한 것을 나타내게 된다. 이 경우, 처리는 종료된다.
그러나, 만일 단계 230에서 챌린지 신호가 수신된 것이 판명된다면, 작동은 단계 250으로 진행한다. 단계 250에서 수신된 키 ID 코드가 전자키(4)에 부여된 것인지의 여부에 대한 판단이 행해진다. 만일 수신된 키 ID 코드가 전자키(4)에 부여된 것이 아니라면, 단계 260이 실행되어, 제2 대기 시간의 전술된 타이머를 리세트하여 제2 대기 시간을 재시작시킨다. 그런 후 처리는 단계 230으로 복귀한다.
만일 단계 250에서 최근에 수신된 키 ID 코드가 전자키(4)에 부여된 것이라고 판단되면, 이는 차량 장착 제어 장치(2)가 응답 데이터가 전자키(4)로부터 송신되는 것을 요구하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기 때문에, 단계 270이 실행된다. 단계 270에서, 단계 220에서 기억된 챌린지 코드가 소정의 응답 데이터와 함께 송신/수신 제어 ECU(30)의 RAM으로부터 판독되고, 응답 데이터는 인코딩 키로서 챌린지 코드의 내용을 이용함에 의해 인코딩된다.
바람직하게는 응답 데이터는 개별 전자키(4)의 각각에 대해 특정된다. 예를 들면, 응답 데이터는, 이의 개별 상태가 전자키(4)의 작동 상태의 표시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상태 비트와 조합된, 키의 키 ID 코드로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송신부(34)에 의해 이진 신호로 인코딩된 응신 데이터가 송신되는 단계 280이 실행된다. 이는 처리 루틴을 완성한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 의해, 호스트 차량이 주차된 상태에 있을 때, 호스트 차량의 차량 장착 제어 장치(2)의 스마트 엔트리 작동 제어 ECU(10)는 도3을 참조하여 전술된 키 검출 처리 루틴을 주기적으로 실행함에 의해, 호스트 차량에 부여된 개별 전자키(4)의 챌린지 코드 및 키 ID 코드가 호스트 차량의 외부 주변 및 내부(즉 승객실) 내의 통신 영역에 연속적으로 송신된다. 결과로서의 인코딩된 응답 데이터가 전자키(4)로부터 수신될 때, 차량 장착 제어 장치(2)는 수신된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응답 데이터가 호스트 차량에 부여된 전자키(4)로부터 올바르게 수신되었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만일 그렇다면, 차량 장착 제어 장치(2)는 도어 ECU(20) 및 트렁크 ECU(22)를 제어하여 각각 도어 잠김 해제 대기 상태가 되도록 하고, 엔진 ECU(24)를 제어하여 엔진 시동 대기 상태가 되도록 한다.
따라서, 스마트 엔트리 시스템의 실시예에 의해, 비록 호스트 차량의 통신 영역 내에 동시에 위치된 복수의 전자키(4)가 있는 경우에도, 복수의 전자키(4)로부터 인코딩된 응답 데이터가 동시에 송신될 가능성은 없다. 다시 말해, 차량 장착 제어 장치(2)가 도3에 도시된 키 검출 처리 루틴을 실행할 때마다, 인코딩된 응답 데이터는 오직 하나의 전자키(4)로부터 수신될 것이고, 스마트 엔트리 작동 제 어 ECU(10)가 신뢰성있게 수신된 응답 데이터를 디코딩할 수 있는 것이 보장된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 의해, 이러한 인코딩된 응답 데이타가 복수의 전자키(4)로부터 동시에 송신되는 상황이 회피될 수 있고, 그에 의해 도어 잠금 장치 및 엔진 스타터와 같은 제어 대상 장치가 대기 상태로 설정되는 것을 불가능하게 만든다.
더욱이 이 실시예에 의해, 호스트 차량에 부여된 전자키(4)용 키 ID 코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챌린지 코드에 계속하여 키 ID 코드가 순차적으로 송신되는(즉, 도3의 순서도의 단계 120의 연속적인 반복) 순서를 나타내는 등록 번호(n)의 개별 값에 대응하여 스마트 엔트리 작동 제어 ECU(10)에 기억된다. 응답 코드가 전자키(4)로부터 수신될 때마다, 그 키의 키 ID 코드는 키 검출 처리 루틴이 다음번에 실행될 때 이 키 ID 코드가 첫번째로 송신될 것을 특정하는 등록 번호값에 따라 RAM에 기억된다(즉, 도3의 순서도의 단계 190에서).
이는 도3의 처리 루틴의 2개의 연속되는 실행 동안 차량 장착 제어 장치(2)에 의해 2개의 연속적으로 발생되는 신호 송신의 예를 도시하는 도5a 도시된다. 첫번째 발생에서, 키 1, 키 2, 키 3으로 지정된 전자키에 대한 키 ID 코드는 챌린지 코드에 계속하여 순차적으로 송신되고, 이 경우, 키 2는 키 2에 대한 ID 코드가 송신된 때 인코딩된 응답 데이터를 송신한다. 그 결과, 차량 장착 제어 장치(2)에 의한 신호 송신의 다음 발생에서, 키 ID 코드는 키 2, 키 1 및 키 3에 대한 코드의 순서로 송신된다.
따라서 이 경우, 키 2의 사용자가 호스트 차량의 제어를 달성했기 때문에, 동일한 사용자가 차량의 제어를 달성할 다음 사람이 될 높은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해, 도3의 단계 190에서 수행되는 개별 키 ID 코드에 대응하는 등록 번호의 갱신에 의해, 호스트 차량의 통신 영역 내에 있고 차량을 제어하기를 원하는 개인에 의해 소지된 전자키(4)가 신속하게 검출될 수 있고, 차량의 제어가 대기 상태로 신속하게 전환되는 높은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제어 응답의 증가된 속도가 달성될 수 있다.
더욱이, 이 실시예에 따라, 차량 장착 제어 장치(2)가 전자키(4)의 호출을 수행할 때, 인코딩 키를 전달하는 챌린지 코드가 먼저 송신된다. 따라서, 전자키(4)가 응답 데이터를 송신할 때, 이들 데이터는 챌린지 코드에 의해 전달된 인코딩 키 즉, 호스트 차량의 차량 장착 제어 장치에 의해 주기적으로 변경되는 인코딩 키를 이용하여 인코딩된 후에 송신될 수 있고, 따라서 호스트 차량에 대해 고유하게 특정된다. 또한, 전자키(4)에 의해 인코딩된 응답 데이터는 이 특정 키에 대해서 특정된다.
따라서, 차량 장착 제어 장치(2)가 인코딩된 응답 데이터를 수신하고 챌린지 코드에 의해 전달된 것과 동일한 인코딩 키를 이용함에 의해 디코딩을 수행할 때, 차량 장착 제어 장치(2)는 디코딩 결과에 기초하여 수신된 인코딩된 응답 데이터가 호스트 차량의 권한없는 엔트리의 목적으로 미리 훔친 데이타일 가능성 없이, 응답 데이터가 적절한 전자키(4), 즉 호스트 차량의 유효한 사용자에 부여된 키(4)로부터 송신된 것인지의 여부를 즉각 판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이러한 시스템에 의해, 비록 차량 장착 제어 장치(2)에 의해 송 신된 코드가 도난될 경우에도, 또는 전자키(4)로부터 송신되는 인코딩된 응답 데이터가 도난될 경우에도, 이러한 도난된 정보가 호스트 차량의 권한없는 이용을 위해 사용될 수 없는 것이 보장된다. 따라서, 호스트 차량에 대한 증가된 보안(security)이 달성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을 알아야 한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예에 의해, 차량 장착 제어 장치(2)가 이의 통신 영역 내에 있을 수 있는 임의의 전자키(4)를 호출할 때, 이는 챌린지 코드에 앞서 기동 신호를 송신하고, 그 후 호스트 차량에 부여된 개별 전자키(4)의 키 ID 코드를 순차적으로 송신한다. 그러나 만일 호스트 차량의 통신 영역 내에 전자키(4)가 없다면, 상기 데이터 및 코드의 전부를 송신하는 것은 차량의 전지 전력의 낭비이다. 이러한 이유로, 도5b에 개념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하는 상기 실시예의 다른 구성이 이러한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차량 장착 제어 장치(2)는 호스트 차량에 특정된 ID 코드보다 선행하는 기동 신호를 주기적으로 송신한다. 챌린지 코드 및 키 ID 코드는 하나 이상의 전자키(4)로부터 기동 신호 및 차량 ID 코드에 대한 응답이 얻어진 경우에만 차량 장착 제어 장치(2)에 의해 송신된다.
이 작동은 도6의 흐름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되도록 차량 장착 제어 장치(2)의 스마트 엔트리 작동 제어 ECU(10)에 의해 실행되는 검출 처리를 변경하고 도7의 흐름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되도록 각각의 전자키(4)의 송신/수신 제어 ECU(30)에 의해 실행되는 응답 처리를 변경함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다. 도6의 순서도의 경우, 먼저 단계 300에서, 스마트 엔트리 작동 제어 ECU(10)는 차량 외부 송신기(12) 및 차량 내부 송신기(14)에 의해 호스트 차량의 통신 영역으로 송신될 호스트 차량의 ID 코드에 선행하는 기동 신호를 출력한다. 차량 ID 코드는 예를 들면 대략 12 비트로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310에서, 송신된 기동 신호 및 차량 ID 코드에 응답하여 확인 신호가 어떤 전자키(4)로부터 수신되었는지에 대한 판단이 행해진다. 만일 확인 신호가 수신기(16)에 의해 수신되지 않았다면, 처리는 종료된다. 만일 확인 신호가 수신되었다면, 단계 100에서 챌린지 코드 및 키 ID 코드가 차량 장착 제어 장치(2)에 의해 순차적으로 송신된다. 단계 110 이후의 수반되는 단계들은 전술된 제1 실시예의 도3의 순서도의 대응 단계들과 각각 동일하다.
이 변형된 실시예에 의해, 호스트 차량에 부여된 전자키(4)의 각각은 예를 들면 송신/수신 제어 장치(30)의 RAM 내에 미리 기억되는 그 호스트 차량의 차량 ID 코드를 갖는다. 도7을 참조하면, 전자키(4)의 송신/수신 제어 ECU(30)가 차량 장착 제어 장치(2)로부터 송신된 기동 신호를 수신한 때, 송신/수신 제어 ECU(30)는 그에 의해 기동되고 응답 처리 루틴을 시작한다. 먼저 단계 400에서, 수신된 차량 ID 코드는 기동 신호가 올바른 차량으로부터 수신되었는지를 판단하기 위해서 기억된 차량 ID 코드와 비교된다. 만약 기억된 차량 ID 코드가 수신된 차량 ID 코드와 일치하지 않는다면, 처리는 종료된다. 만일 기억된 차량 ID 코드가 수신된 차량 ID 코드와 일치한다면, 호스트 차량에 부여된 모든 전자키(4)에 공통되고 전자키(4)의 세트에 특정되는 고정된 코드(작은 수의 비트 예를 들면 4비트로 형성됨)가 송신/수신 제어 ECU(30)에 의해 송신부(34)로 출력되고 확인 신호로서 송신된다. 이후, 단계 400의 다음 처리는 제1 실시예의 도4의 처리 루틴에서의 대응 단계의 것과 동일하다.
따라서, 이 경우 차량 장착 제어 장치(2)의 스마트 엔트리 작동 제어 ECU(10)에 의해 실행되는 검출 처리 및 각각의 전자키(4)의 송신/수신 제어 ECU(30)에 의해 실행되는 응답 처리를 변형함에 의해, 호스트 차량의 통신 영역 내에 있을 수 있는 임의의 전자키(4)와 통신을 확립하기 위해서 기동 신호 및 차량 ID 코드를 송신하는 것만이 필요하다. 따라서, 차량이 차량에 인접하여 전자키(4)가 없는 경우에 있을 때, 챌린지 코드 및 키 ID 코드는 차량 장착 제어 장치(2)에 의해 연속적으로 송신되지 않는다. 따라서, 호스트 차량 전지 상에 가해지는 부하량이 상당히 감소될 수 있다.
전술된 설명에서 전자키(4)가 기동 신호 및 차량 ID 코드를 수신하고 그런 후 확인 신호를 송신할 때, 호스트 차량에 부여된 모든 전자키(4)에 공통인 코드가 확인 신호를 구성하기 위해 모든 전자키(4)에 의해 이용되는 것으로 한다. 이는 차량 장착 제어 장치(2)가 전기적인 노이즈를 수신한 결과로서 챌린지 코드 및 키 ID 코드르 송신을 시작하지 않도록 보장하고, 또한 확인 신호가 복수의 전자키(4)로부터 동시에 수신될 때 이들 확인 신호가 차량 장착 제어 장치(2)에 의해 확실하게 수신되는 것을 보장한다. 더욱이, 만일 확인 신호로서 이용되는 코드가 호스트 차량에 부여된 전자키(4)에 특정된다면, 챌린지 코드 및 키 ID 코드는 다른 전자키 등으로부터 송신된 신호의 수신에 기인하여 차량 장착 제어 장치(2)에 의해 잘못 송신되지 않는 것이 보장된다.
전술한 설명에서 전자키를 호출하기 위한 키 검출 처리 루틴이 고정된 주기 간격으로 차량 장착 제어 장치(2)에 의해 실행되는 것으로 한다. 그러나, 만일 호스트 차량의 통신 영역 내에 전자키(4)가 없다면, 각각의 호출 루틴의 실행 동안 신호를 송신하는 데 사용되는 전력이 낭비된다. 호스트 차량이 오랜 기간 동안 주차되어 방치된 때 차량 전지의 드레인의 레벨을 감소시키는 방법으로서, 사용자에 의해 작동될 수 있는 조작 스위치를 포함하여, 키 검출 처리 루틴의 실행이 조작 스위치가 작동된 이후에만 개시되는 상기 실시예의 다른 구성이 이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조작 스위치는 스위치가 작동된 때 스마트 제어 작동 ECU(10)에 개시 명령을 지시하는 신호를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차량 장착 장치가 주기적인 간격으로 키 검출 처리 루틴을 실행하여 호출 코드를 송신하는 것을 개시한다. 이런 방식으로, 만일 차량이 오랜 기간 동안 주차된 상태로 방치된다면 사용자는 (차량 엔진이 정지된 후) 조작 스위치를 작동하는 것을 생략할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에 의해, 키 검출 처리 루틴의 실행 및 호출 코드의 송신이 엔진 시동이 수행된 때 즉각 중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다르게는, 시스템은 차량 장착 제어 장치(2)의 스마트 엔트리 작동 제어 ECU(10)가 호스트 차량의 도어를 개방하기 위한 시도가 이뤄졌을 때만 또는 엔진 시동 스위치를 조작하기 위한 시도가 이뤄졌을 때에만 키 검출 처리 루틴의 실행(또는 고정된 회수의 연속적인 실행)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르게는, 호스트 차량의 도어의 일부분(예를 들면, 도어 손잡이)이 접촉되었거나 또는 엔진 시동 스위치가 접촉된 경우에만 키 검출 처리 루틴이 실행되도록 시스템을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런 방식으로, 전자키 검출을 위한 신호의 송신은 사람이 호스트 차량의 도어를 개방하기 위해 또는 차량 엔진을 시동하기 위해 시도하는 경우에만 수행된다. 따라서, 전자키(4)를 호출하기 위한 작동의 결과로서 차량 전지로부터 소모되는 전력의 수준이 아주 충분히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이 오랜 기간동안 주차된 채로 방치되는 경우, 전지가 방전되는 위험은 감소된다.
마찬가지로, 만일 도6에 도시된 검출 처리는 사람이 도어 손잡이 또는 엔진 시동 스위치를 작동하려할 때(또는 사람이 이들 중 어느 것을 만진 경우)에만 실행되도록 구성된다면, 전지 전력 소모의 수준은 더욱 감소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기능은 호스트 차량의 하나 이상의 도어 손잡이 및 트렁크 리드 손잡이 상에 즉, 각각의 제어 대상 장치의 작동부 상에 사람이 개방 작동을 수행하려고 시도할 때 검출 신호를 각각 생성하도록 구성된 작동 검출 스위치를 제공함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다. 이들 검출 신호는 차량 장착 제어 장치(2)의 스마트 엔트리 작동 제어 ECU(10)에 직접 공급되거나 또는 도어 ECU(20) 및 트렁크 ECU(22)를 거쳐 스마트 엔트리 작동 제어 ECU(10)에 간접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더욱이, 엔진 시동 스위치는 수동으로 작동된 때 검출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그 검출 신호는 스마트 엔트리 작동 제어 ECU(10)에 직접 공급되거나 또는 엔진 ECU(24)를 거쳐 스마트 엔트리 작동 제어 ECU(10)에 간접적으로 공급된다. 이런 방식으로, 스마트 엔트리 작동 제어 ECU(10)는 차량의 제어 대상 장치를 작동하려는 시도를 알 수 있고, 도3 또는 도6의 키 검출 처리 루틴을 실행시킴에 의해 응답할 수 있다.
다르게는, 접촉 감응성 스위치 요소(터치 센서)가 사람이 도어 손잡이 또는 트렁크 리드 손잡이 또는 엔진 시동 스위치를 접촉한 때 검출 신호를 생성하도록 이용될 수 있다. 그 경우, 터치 센서는 각각의 제어 대상 장치(즉, 도어 손잡이, 점화 스위치 레버 또는 버턴의 표면)의 작동부의 외부 표면 상에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센서로부터의 검출 신호는 차량의 제어 대상 장치를 수동으로 작동시키려는 시도의 표시로서 스마트 엔트리 작동 제어 ECU(10)에 직접 공급될 수 있다.
상술한 것에 더하여, 설명된 실시예에 대한 다양한 다른 변경예가 생각될 수 있고, 이는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서 정해지는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대해 청구된 범위 내에 포함된다는 것을 알아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 차량의 제어 대상 장치가 휴대 장치로부터 송신된 응답 데이터에 기초하여 차량 장착 제어 장치에 의해 제어되어, 차량 장착 제어 장치에 의해 송신된 호출 코드가 차량에 인접하여 위치된 복수의 휴대 장치에 의해 수신된 경우에서도 제어 대상 장치가 응답에 지연없이 신뢰성있게 제어되는 원격 제어 시스템을 제공될 수 있다.

Claims (15)

  1. 호스트 차량에 장착된 차량 장착 제어 장치와, 상기 차량 장착 제어 장치로부터 송신된 호출 코드의 수신에 응답하여 각각의 휴대 장치에 대해 특정된 응답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각각 구성된 복수의 휴대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이며,
    상기 차량 장착 제어 장치는
    상기 차량 장착 제어 장치의 통신 영역으로 들어온 임의의 상기 휴대 장치들과 무선 통신을 행하기 위한 통신 수단 및 상기 호출 코드를 생성하고 통신 수단에 의해 송신될 상기 호출 코드를 상기 통신 수단에 공급하기 위한 호출 수단과,
    상기 휴대 장치 중 하나로부터의 상기 응답 데이터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호스트 차량의 적어도 하나의 제어 대상 장치의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차량 장착 제어 장치는 상기 복수의 휴대 장치에 개별적으로 부여되는 복수의 ID(식별) 코드 및 상기 ID 코드에 대한 우선 순위의 개별 등급을 특정하는 정보를 내부에 기억하고 있는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호출 수단 및 통신 수단은 각각의 상기 ID 코드가 연속하여 그 뒤로 이이지는 호출 코드를 송신하고, 상기 ID 코드는 상기 우선 순위의 등급의 순서에 따라 차례로 송신되고,
    상기 휴대 장치는 각각 상기 응답 데이터를 송신함에 의해서 상기 호출 코드 와 상기 각각의 휴대 장치에 특정된 ID 코드의 수신에 응답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차량 장착 제어 장치의 상기 제어 수단은 휴대 장치들 중 하나로부터 상기 응답 데이터의 수신에 응답하여 휴대 장치들 중 상기 하나가 상기 우선 순위의 등급 중 가장 높은 등급으로 부여되도록 상기 메모리 수단에 기억된 상기 우선 순위의 등급을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출 코드의 적어도 일부분은 가변 코드이고, 상기 휴대 장치는 각각 상기 응답 데이터를 송신하기 전에, 인코딩 키로서 상기 가변 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응답 데이터의 인코딩을 수행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디코딩 키로서 상기 가변 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통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상기 인코딩된 응답 데이터의 디코딩을 수행하고, 상기 디코딩된 데이터가 소정의 조건과 일치할 때에만 상기 제어 대상 장치의 제어 및 상기 우선 순위의 등급의 갱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장착 제어 장치는 개시 명령을 입력하기 위해 작동 가능한 조작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호출 수단은 상기 개시 명령이 입력된 후에만 상기 호출 코드를 송신하기 시작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출 수단은 통신 수단에 의해 송신될 상기 호출 코드 를 상기 통신 수단에 고정된 반복 주기로 주기적으로 공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장착 제어 장치의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제어 대상 장치를 수동으로 기동하려는 시도를 나타내는 상태를 검출하고 상기 상태가 검출된 때 검출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검출 신호를 상기 호출 수단에 공급하기 위한 기동 센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호출 수단은 상기 검출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통신 수단에 의해 송신될 상기 호출 코드 및 연속적인 ID 코드를 상기 통신 수단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동 센서 수단은 상기 제어 대상 장치의 기동부에 결합된 검출 스위치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동 센서 수단은 상기 제어 대상 장치의 기동부 상에 배치된 터치 센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출 수단은 상기 호출 코드를 송신하기 전에 기동 신호로서 상기 통신 수단을 거쳐 소정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휴대 장치는 각각 확인 신호로서 소정 신호를 송신함에 의해서 상기 기동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호출 수단은 통신 수단에 의해 송신될 상기 호출 코드 및 연속적인 ID 코드를 상기 통신 수단에 공급함에 의해서 상기 통신 수단을 통해 수신된 상기 확인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동일한 소정 신호가 모든 상기 휴대 장치에 의해 상기 확인 신호로서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 신호는 고정 코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동 신호는 상기 호스트 차량에 대해 특정된 차량 ID 코드를 포함하고,
    상기 휴대 장치는 각각 메모리 내에 미리 고정식으로 기억된 상기 차량 ID 코드를 갖고,
    상기 휴대 장치는 각각 상기 기억된 차량 ID 코드와 수신된 차량 ID 코드를 비교하여, 상기 수신된 차량 ID 코드가 상기 기억된 차량 ID 코드와 일치하는 경우에만 상기 기동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확인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호출 수단은 상기 통신 수단에 의해 송신될 상기 기동 신호를 상기 통신 수단에 고정된 반복 주기로 주기적으로 공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장착 제어 장치의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제어 대상 장치를 수동으로 기동하려는 시도를 나타내는 상태를 검출하고 상기 상태가 검출된 때 검출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검출 신호를 상기 호출 수단에 공급하기 위한 기동 센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호출 수단은 상기 통신 수단에 의해 송신될 상기 기동 신호를 상기 통신 수단에 공급하여 상기 검출 신호에 응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기동 센서 수단은 상기 제어 대상 장치의 기동부에 결합된 검출 스위치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기동 센서 수단은 상기 제어 대상 장치의 기동부 상에 배치된 터치 센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
KR20030075730A 2002-10-30 2003-10-29 차량의 가장 최근 사용자에게 제어 액세스의 우선 순위가부여되는 차량을 제어하기 위한 원격 제어 시스템 Expired - Fee Related KR1005755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316365 2002-10-30
JP2002316365A JP3988618B2 (ja) 2002-10-30 2002-10-30 車両の遠隔制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8762A KR20040038762A (ko) 2004-05-08
KR100575505B1 true KR100575505B1 (ko) 2006-05-03

Family

ID=32105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30075730A Expired - Fee Related KR100575505B1 (ko) 2002-10-30 2003-10-29 차량의 가장 최근 사용자에게 제어 액세스의 우선 순위가부여되는 차량을 제어하기 위한 원격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109843B2 (ko)
JP (1) JP3988618B2 (ko)
KR (1) KR100575505B1 (ko)
CN (1) CN1292944C (ko)
DE (1) DE10341358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83236B2 (ja) * 2003-09-01 2010-06-16 オムロン株式会社 無線端末位置検出装置及び無線端末位置検出方法
DE502004005073D1 (de) * 2004-02-16 2007-11-08 Catem Develec Gmbh Kraftfahrzeug-Bordnetz mit einem Spannungswandler
US7050795B2 (en) * 2004-06-24 2006-05-23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System for programming customizable vehicle features
JP4385871B2 (ja) * 2004-06-30 2009-12-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盗難防止装置
JP4479400B2 (ja) * 2004-07-27 2010-06-09 株式会社デンソー スマートエントリシステム
JP2006063676A (ja) * 2004-08-27 2006-03-09 Denso Corp 電子キーシステムの携帯機及び携帯機の携帯忘れ防止システム
DE102004041709C5 (de) * 2004-08-28 2009-11-12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Fahrzeug mit automatisch öffnender Klappe
JP2006132229A (ja) * 2004-11-08 2006-05-25 Denso Corp 遠隔操作用車載装置
US7466218B2 (en) * 2005-02-25 2008-12-16 General Motor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vehicle communications during emergency conditions
KR20070006378A (ko) * 2005-07-08 2007-01-11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피아이씨 시스템에서 카드 키간의 전송 신호 충돌 방지방법
JP4760229B2 (ja) * 2005-08-30 2011-08-3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認証装置
EP1772995B1 (en) * 2005-10-10 2009-05-27 C.R.F. Società Consortile per Azioni Control system for electrical loads of a vehicle
JP4561612B2 (ja) * 2005-11-25 2010-10-13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ドア制御システム
JP4680837B2 (ja) * 2006-06-13 2011-05-11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遠隔制御装置
JP4714085B2 (ja) * 2006-06-13 2011-06-29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受信機及び遠隔制御装置
DE102006044112A1 (de) * 2006-09-20 2008-03-27 Hella Kgaa Hueck & Co. Kraftfahrzeug mit einer Sensoranordnung
JP4939977B2 (ja) * 2007-02-27 2012-05-3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とこれに用いる基地局ならびにこれらに用いる通信方法
US7979177B2 (en) * 2007-04-30 2011-07-12 Ford Motor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updating vehicle computing platform configuration information
KR100799041B1 (ko) * 2007-07-25 2008-01-28 정호원 무선 조종기
JP2009062688A (ja) * 2007-09-04 2009-03-26 Tokai Rika Co Ltd 車両用通信システム
JP5044430B2 (ja) * 2008-02-04 2012-10-10 株式会社東芝 制御装置、被制御装置
US20100050270A1 (en) * 2008-08-20 2010-02-25 AT&T InteIlectual Property I, L.P. Control of Access to Content Received from a Multimedia Content Distribution Network
US8089343B2 (en) * 2008-09-25 2012-01-03 Denso Corporation Smart entry system
JP5470869B2 (ja) * 2009-01-23 2014-04-16 株式会社デンソー 車載機器制御システム
JP5465451B2 (ja) * 2009-03-25 2014-04-09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キーレス認証システム及びキーレス認証システム付き車両
US8203424B2 (en) * 2009-03-25 2012-06-19 Lear Corporation Automatic walk-away detection
WO2010134131A1 (ja) * 2009-05-21 2010-11-2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携帯無線装置、認証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1168161A (ja) * 2010-02-18 2011-09-01 Fujitsu Ten Ltd 始動装置、及び、始動方法
JP2012007437A (ja) * 2010-06-28 2012-01-12 Tokai Rika Co Ltd 電子キーシステム
CN102841603A (zh) * 2011-06-24 2012-12-26 苏州唯亚管理咨询有限公司 一种智能行李小车
US8626357B1 (en) 2012-12-10 2014-01-07 Honda Motor Co., Ltd. Method to change driver identification for passive entry vehicle
CN102984868B (zh) * 2012-12-20 2014-12-03 苏州东山精密制造股份有限公司 一种灯具控制系统及方法
CN103963741A (zh) * 2013-01-24 2014-08-06 陕西重型汽车有限公司 远程智能锁车装置及方法
US20140303837A1 (en) * 2013-04-09 2014-10-09 Navteq Method and apparatus for authorizing access and utilization of a vehicle
KR101508354B1 (ko) * 2013-11-27 2015-04-07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스마트키 시스템 및 그 스마트키 검색 방법
CN104952225A (zh) * 2014-03-27 2015-09-30 浙江福爱电子有限公司 一种电喷发动机与外界进行无线通信的装置及方法
JP6421481B2 (ja) 2014-07-18 2018-11-14 株式会社デンソー 遠隔制御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遠隔制御システム
US20170278330A1 (en) * 2016-03-22 2017-09-2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vehicular access device authentication
JP2017203314A (ja) * 2016-05-12 2017-11-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
JP6812939B2 (ja) * 2017-09-27 2021-01-1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端末、車両制御システム、及び車両制御方法
US10789792B2 (en) * 2017-12-20 2020-09-29 Renesas Electronics America Inc. Dual mode, passcode storage, wireless secure lock
JP6958480B2 (ja) * 2018-05-21 2021-11-02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認証装置
JP7127503B2 (ja) * 2018-11-14 2022-08-30 株式会社デンソー 送信制御装置、携帯機、車両システム、送信制御方法、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CN114071435B (zh) * 2020-08-04 2024-05-17 上海海拉电子有限公司 一种基于蓝牙的车辆钥匙定位方法及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5503B2 (ja) * 1986-06-20 1994-04-06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解錠制御装置
DE9102747U1 (de) * 1990-12-21 1991-05-23 Siemens AG, 8000 München Verriegelungssystem, z.B. Zentralverriegelungssystem eines Kfz
US5416471A (en) * 1992-12-21 1995-05-16 Ford Motor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programming a spare key into a security system
US5838257A (en) * 1996-05-24 1998-11-17 Trw Inc. Keyless vehicle entry system employing portable transceiver having low power consumption
DE19632025C2 (de) * 1996-08-08 1998-07-23 Daimler Benz Ag Authentikationseinrichtung mit elektronischer Authentikationskommunikation
JP3722923B2 (ja) 1996-09-26 2005-11-30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イモビシステムにおける識別コード判別装置
JP4337075B2 (ja) * 1997-10-14 2009-09-30 フフ・ヒユルスベツク・ウント・フユルスト・ゲゼルシヤフト・ミツト・ベシユ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ウント・コンパニー・コマンデイトゲゼルシヤフト とくに自動車のための閉鎖装置
KR100400364B1 (ko) 1998-06-18 2003-12-24 김좌순 도어록제어시스템
JP3533966B2 (ja) * 1998-06-18 2004-06-0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制御システム
JP3632463B2 (ja) 1998-09-30 2005-03-2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載機器遠隔制御装置
JP3843718B2 (ja) * 2000-09-08 2006-11-08 株式会社デンソー 電子制御装置
JP2002188340A (ja) 2000-12-18 2002-07-05 Yuhshin Co Ltd 車両用キーレスエントリー装置
US6621406B2 (en) * 2001-04-18 2003-09-16 U-Shin Ltd. Keyless entry system for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988618B2 (ja) 2007-10-10
US7109843B2 (en) 2006-09-19
DE10341358B4 (de) 2011-08-11
JP2004150124A (ja) 2004-05-27
CN1292944C (zh) 2007-01-03
DE10341358A1 (de) 2004-05-13
CN1498801A (zh) 2004-05-26
US20040085189A1 (en) 2004-05-06
KR20040038762A (ko) 2004-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5505B1 (ko) 차량의 가장 최근 사용자에게 제어 액세스의 우선 순위가부여되는 차량을 제어하기 위한 원격 제어 시스템
US5736935A (en) Keyless vehicle entry and engine starting system
US5838257A (en) Keyless vehicle entry system employing portable transceiver having low power consumption
JP4356748B2 (ja) 車両制御システム、車載装置、及び携帯機
KR100248458B1 (ko) 위상지연을갖는원격자동차도어개폐시스템용의휴대용송수신기
US6700476B1 (en) On-Vehicle remote controller
JP3632463B2 (ja) 車載機器遠隔制御装置
US9805532B2 (en) Vehicl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vehicle control device, and portable machine
US6437683B1 (en) Keyless security entry control method for motor vehicles
US6396389B1 (en) Keyless entry control and transmitter for the same
GB2421107A (en) A remote entry system for a vehicle having passive and remote keyless entry functions
JP2001227218A (ja) 制御装置
JP2001254549A (ja) 制御装置
JP4022913B2 (ja) 無線装置
JP4130335B2 (ja) 車両用遠隔制御システム及び車両遠隔制御システム用携帯機
JP2001336321A (ja) 制御装置
JP2002054331A (ja) 制御装置
EP3640880B1 (en) Vehicular control system
JP3814161B2 (ja) キーレスエントリ装置
JP4377039B2 (ja) 車両用遠隔操作装置
JP2011234260A (ja) 通信システム
WO2015098480A1 (ja) 車載無線通信装置
JP2004019380A (ja) 車載機器遠隔制御システム
JP6284503B2 (ja) 車載機器制御システム
JP4313505B2 (ja) 車両用遠隔操作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10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10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3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4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4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4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41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31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40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3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40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8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41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2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42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3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413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417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