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63330B1 - Liga공정을 이용한 폴리머 재질의 미세 바늘 어레이제조방법 - Google Patents

Liga공정을 이용한 폴리머 재질의 미세 바늘 어레이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3330B1
KR100563330B1 KR1020030003041A KR20030003041A KR100563330B1 KR 100563330 B1 KR100563330 B1 KR 100563330B1 KR 1020030003041 A KR1020030003041 A KR 1020030003041A KR 20030003041 A KR20030003041 A KR 20030003041A KR 100563330 B1 KR100563330 B1 KR 1005633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mer
ray
pmma
fine needle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30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65848A (ko
Inventor
이승섭
문상준
Original Assignee
포스트마이크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스트마이크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포스트마이크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030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3330B1/ko
Priority to PCT/KR2004/000074 priority patent/WO2004062899A2/en
Priority to CNB200480002378XA priority patent/CN100513145C/zh
Priority to EP04702870A priority patent/EP1594683A4/en
Priority to US10/542,613 priority patent/US20060055090A1/en
Priority to JP2005518550A priority patent/JP2006516226A/ja
Publication of KR200400658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58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33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33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1MICROSTRUCTURAL TECHNOLOGY
    • B81C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MICROSTRUCTURAL DEVICES OR SYSTEMS
    • B81C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B81C99/0075Manufacture of substrate-free structures
    • B81C99/0085Manufacture of substrate-free structures using moulds and master templates, e.g. for hot-emboss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or pH-value ;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or cerebral tissue
    • A61B5/14507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or pH-value ;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or cerebral tissue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ther than blood
    • A61B5/1451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or pH-value ;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or cerebral tissue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ther than blood for interstitial fluid
    • A61B5/14514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or pH-value ;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or cerebral tissue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ther than blood for interstitial fluid using means for aiding extraction of interstitial fluid, e.g. microneedles or su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15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by using microneedl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02Lithographic processes using patterning methods other than those involving the exposure to radiation, e.g. by stamp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35Multiple processes, e.g. applying a further resist layer on an already in a previously step, processed pattern or textured surfac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20Exposure; Apparatus therefor
    • G03F7/2037Exposure with X-ray radiation or corpuscular radiation, through a mask with a pattern opaque to that radiation
    • G03F7/2039X-ray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15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by using microneedles
    • A61M2037/0053Methods for producing micronee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1MICROSTRUCTURAL TECHNOLOGY
    • B81BMICROSTRUCTURAL DEVICES OR SYSTEMS, e.g. MICROMECHANICAL DEVICES
    • B81B2201/00Specific applications of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 B81B2201/05Microfluidics
    • B81B2201/055Micronee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1MICROSTRUCTURAL TECHNOLOGY
    • B81C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MICROSTRUCTURAL DEVICES OR SYSTEMS
    • B81C2201/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microstructural devices or systems
    • B81C2201/03Processes for manufacturing substrate-free structures
    • B81C2201/032LIGA proces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Dermatology (AREA)
  • Surge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matology (AREA)
  •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Toxic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machines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X-선 공정을 이용한 미세 바늘 어레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실리콘 기판 위에 미세 바늘 어레이 구조의 흡수체를 형성하여 X-선 마스크를 제작하는 단계; 상기 X-선 마스크를 이용하여 PMMA 위에 X-선 수직 노광 및 경사노광하여 미세 바늘 어레이 PMMA 형틀을 제작하는 단계; 상기 PMMA 형틀 위에 PDMS를 부어 반대형상을 갖는 유연한 PDMS 금형을 제작하는 단계; 상기 PDMS 금형 위에 겔 형태의 폴리머를 채우고 소망하는 두께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폴리머에 UV를 조사하여 소망하는 형태의 구멍을 형상식각하는 단계; 상기 PDMS 금형을 떼어내어 폴리머 재질의 미세 바늘 어레이를 완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미세 바늘 어레이는 폴리머 재질을 이용하여 피부로부터 혈액을 추출하거나 약품을 주입할 수 있는 장치이다.

Description

LIGA공정을 이용한 폴리머 재질의 미세 바늘 어레이 제조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OF POLYMER MICRO NEEDLE ARRAY WITH LIGA PROCES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미세 바늘 어레이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X-선 마스크를 제작하는 제조 공정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PMMA 형틀을 제작하는 제조 공정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폴리머 재질의 미세 바늘 어레이를 제작하는 제조 공정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판 2 ; 절연층( SiO2, SixNy )
3 ; 금속층(Cr/Au) 4 ; 감광성 폴리머(AZ9260, SU-8)
5 ; 금(Au)도금층 6 ; PMMA(Poly-Methyl-Meta-Acrylate)
7 ; 수직노광(X-선) 8 ; 경사노광(X-선)
9 ; PMMA 형틀 10 ; PDMS(Poly-Di-Methyl-Siloxane) 금형
11 ; 폴리머 12 ; 경화된 폴리머
13 ; 날카로운 끝 14 ; 채널
15 ; 미세 바늘 어레이 16 ; 구멍 형상
본 발명은 LIGA공정을 이용한 미세 바늘 어레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X-선 경사 노광을 이용하여 제작효율을 높이고 인체에 해가 없는 폴리머로 제작된 미세 바늘 어레이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피부로부터 혈액을 추출하거나 외래약품을 주입하기 위해서는 반경 수밀리미터의 바늘을 이용하거나 날카로운 칼을 이용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기술은 피부에 과도한 상처를 만들고, 검사체에 고통을 가하게 된다. 예를 들어, 당뇨병과 같은 특이한 질병에 있어서, 혈액에 포함된 글루코즈양을 항상 검사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장치를 사용함에 있어 환자는 잦은 혈액의 측정을 위해 상처를 가함으로써 채혈에 의한 고통으로 측정에 거부감을 느낀다. 또한, 일정한 시간간격으로 약품을 인체에 투입할 경우, 종래의 바늘은 충격등의 외부환경에 의해 노출되어 환자를 위험하게 만들 수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수백마이크로 높이의 바늘을 어레이로 제작하여 통점의 자극을 완화하는 미세바늘을 제작하는 방법들이 아래와 같은 연구 논문들에 기재되어 있다.
1. 2000년 10월 12-14일 프랑스 리용에서 열린 제 1 회 국제 "IEEE-EMBS Special Topic Conference"에서 Boris Stoeber, and Dorian Liepmann에 의해 발표된 논문 "Fluid injection through out-of-plane needle", pp.224-228,
2. 학술지 "MEMS"의 2002년 2월호 pp.141-144에 J.G.E. Gardeniers, J.W. Bernschot, M.J. de Boer, Y.Yeshurun, M. Hefetz, R.van't Oever, and A. van den Berg.에 의해 기고된 "Silicon micromachined hollow microneedles for transdermal liquid transfer",
3. 학술지 "Transducer"의 2002 2월호 pp.467-470에 Patrick Griss, and Goron Stemme에 의해 기고된 "Novel, side opened out-of-plane microneedles for microfluidic transdermal interfacing"의 도3a~도3f.
이와 같이 여러 논문을 통해 발표된 미세바늘의 제작공정은 실리콘(Silicon)혹은 유리를 사용한 반도체 공정에 의해 제작된다.
그러나, 반도체 공정에 사용되는 유독성의 약품은 미세 바늘의 포함되어 인체에 해를 미치게 된다. 또한 충격 등에 의해 날카로운 바늘이 파괴되면 파괴된 조각이 인체의 혈류에 포함되어 혈류를 막는 심각한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 또한 실리콘이나 유리를 사용할 경우, 제작공정이 복잡하고 제작가격이 매우 높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LIGA 공정 즉, X-선 노광을 이용하여 PMMA 형틀 및 PDMS 금형을 제작하고, 이 PDMS 금형을 이용하여 폴리머로 제작된 미세 바늘 어레이를 제공하여 제작효율을 높이고 인체에 해가 없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실리콘 기판 위에 미세 바늘 어 레이 구조의 흡수체를 형성하여 X-선 마스크를 제작하는 단계; 상기 X-선 마스크를 이용하여 PMMA 위에 X-선 수직 노광 및 경사노광하여 미세 바늘 어레이 PMMA 형틀을 제작하는 단계; 상기 PMMA 형틀 위에 PDMS를 부어 반대형상을 갖는 유연한 PDMS 금형을 제작하는 단계; 상기 PDMS 금형 위에 겔 형태의 폴리머를 채우고 소망하는 두께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폴리머에 UV를 조사하여 소망하는 형태의 구멍을 형상식각하는 단계; 상기 PDMS 금형을 떼어내어 폴리머 재질의 미세 바늘 어레이를 완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미세 바늘 어레이 구조의 X-선 마스크는 100㎛이하의 두께를 가지는 실리콘 기판위에 산화막(SiO2)을 형성하여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절연층 위에 크롬/금(Cr/Au) 금속층을 차례로 증착하여 도금을 위한 베이스 기판을 형성하는 단계; 감광성 폴리머, 현상액과 식각액을 이용하여 미세 바늘 어레이의 형상을 형상식각(patterning)하는 단계; 상기 형상식각된 감광성 폴리머를 이용하여 금을 도금한 다음 형상식각된 감광성폴리머를 제거하여 X-선 흡수체를 형성하고 상기 감광성 폴리머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LIGA 공정은 독일어 Lithographie, Galvanoformung, Abformung의 첫 글자를 따서 만든 단어로 이를 풀이하면 식각(lithography), 도금(electroforming), 사출(molding)을 의미한다. 즉 LIGA는 X-선을 이용한 식각과 도금 및 사출 공정을 통하여 미세 구조물을 제작하는 미세 가공 기술을 의미한다.
LIGA 공정은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가지고 있다. 한번의 공정으로 제작할 수 있는 구조물의 높이가 수십 ㎛ ∼ 수 ㎝까지 가능하다. 제작된 구조물의 수직구조가 실현되며, 수직 벽면의 거칠기가 수백 Å 정도를 나타낸다. 구조물의 허용오차를 1/10,000㎝ 이하로 실현할 수 있다. 도금, 사출(폴리머, 세라믹)의 공정에 의하여 선택할 수 있는 재료가 매우 다양하다. 사출이 가능하여 매우 정밀한 구조도 양산에 의해 생산단가가 절감된다.
위와 같은 LIGA 공정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특히 X-선 노광 및 현상 단계가 중요하며, X-선 노광/현상 단계에서의 치수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해선 X-선 광원의 선택적 투과성을 제어할 수 있는 X-선 마스크가 중요하다. 즉, X-선 마스크는 X-선 식각(lithography) 공정에서 감광제(photoresist)와 X-선 광원 사이에 위치하여 X-선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기구이다.
LIGA 공정에서 X-선이 조사되는 부분은 손실없이 잘 투과시켜야 하고 반대로 투과시키지 말아야 할 곳은 일정 에너지 이하로 잘 막아야 한다.
현재 LIGA 공정에 사용되는 X-선 마스크는 기판 위에 질화실리콘 재질의 얇은 멤브레인막이 형성되고 그 위에 금(Au) 재질의 X-선 흡수체가 형성되어 있다. 질화 실리콘 재질의 멤브레인은 X-선이 거의 손실되지 않고 투과하며, X-선 흡수체(absorber)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은 X-선이 투과하지 못하고, 흡수체가 없는 부분에는 X-선이 잘 투과하여 PMMA 또는 감광막을 노광시키게 된다.
한편, 노광된 PMMA 또는 감광막 시편은 현상공정으로 노광된 부위를 완전히 제거하여 기판 상의 도금 기저층 또는 금속면을 드러나도록 하여 전기도금 한다.
이처럼, 패턴이 형성된 현상부위에 금속(Ni, NiP 등)을 전기도금한 후 PMMA 또는 감광막을 제거하면 한번의 공정으로 제작된 구조물의 표면 거칠기를 수백 Å 정도까지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미세 바늘 어레이의 (측)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미세 바늘 어레이(15)는 피부를 관통할 수 있는 날카로운 끝(13)과 혈액을 얻기 위한 채널(14)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 날카로운 끝(13)은 바람직하게는 피부조직의 손상과 고통을 최소로 할 수 있을 만큼 날카롭게 형성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LIGA공정을 이용한 미세 바늘 어레이의 제조 공정도로서, 도 2는 실리콘 기판 위에 미세 바늘 어레이 구조의 흡수체를 형성하여 X-선 마스크를 제작하는 제조 공정도이며, 도 3은 X-선 마스크를 이용하여 PMMA 위에 X-선 수직노광 및 경사노광하여 미세 바늘 어레이 PMMA 형틀을 제작하는 제조 공정도이며, 도 4는 PMMA 형틀을 이용하여 폴리머 재질의 미세 바늘 어레이를 완성하는 제조 공정도이다.
먼저 도 2a를 참조하면, 실리콘 기판(1)(100㎛두께, <100>방향, N 타입)이나 보론나이트라이드(Borone nitride)를 황산(H2SO4), 과산화수소(H2O2 )의 1:2 희석액에 120℃ 40분 동안 세정(cleaning)하여 오염물질인 금속잔류물, 유기물(metal/organic)을 제거한다.
도 2b를 참조하면, 실리콘 기판(1)인 경우 산화로에 넣어 1000℃에서 6시간 동안 DI(deionized) water와 함께 산화시켜 약 1.2㎛의 산화막(실리콘 산화물(SiO2-Silicon Oxide))의 절연층(2)을 실리콘 기판(1)의 상하에 형성한다. 산화막을 입힌 후 절연성 향상과 박막형성을 위해 저응력 질화막(Low stress nitride)을 LPCVD(Low Pressure Chemical Vapor Deposition)공정으로 4000Å을 부가적으로 입힐 수 있다. 박막을 형성하는 저응력 질화막의 경우, 실리콘 기판(1)을 벌크 에칭(Bulk etching)하여 박막을 형성한다.
도 2c를 참조하면, 상부의 절연층(2) 위에 도금을 위한 기판전극을 형성하기 위해 크롬/금(Cr/Au)금속층(3)을 차례로 열증착기(Thermal evaporator)를 사용하여 증착한다. 크롬은 기판(1)과 금과의 접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전류 55~60A사이에서 약 2분 동안 1Å/sec의 증착비율로 총 200Å을 증착하고 금은 전류 50~55A사이에서 약 10~15분 동안 1~1.5Å/sec의 증착비율로 총 2000Å을 증착한다.
도 2d를 참조하면, 클라이언트(Clariant)(http://www.clariant.com)의 상표명 AZ 9260으로 시판중인 감광성 폴리머(4)(photoresist)를 23㎛정도 회전도포(200rpm에서 40초간, 1000rpm에서 5초간)하여 110℃에서 120초 동안 소프트 베이킹 한다. 미세바늘 구조의 마스크를 형상식각(Patterning)하기 위해 자외선(UV) 마스크로 8㎽/㎠ 세기로 4분 동안 자외선 노광한다. AZ 400K 현상액에서 15분 동안 현상하고 물(DI)로 세척한 후, 질소(N2)로 건조한다.
도 2e를 참조하면, 형상식각된 폴리머(4)를 이용하여 1.5mA의 전류 밀도로 약 6시간 금을 도금하여 금도금층(5)을 형성한다.
도 2f를 참조하면, 아세톤과 메탄올을 사용하여 형상식각된 폴리머(4)를 제거한다.
한편, 저응력 질화막이 입혀진 실리콘 기판(1)의 경우 KOH용액에서 실리콘을 에칭하여 질화박막을 형성한다.
이어서, 도 2g를 참조하면, 기판(1) 뒷면을 제거하여 노광되는 면적을 한정하는 형상으로 하기 위해 기판(1) 뒷면에 증착된 실리콘 산화막의 절연층(2)을 반응성 이온 식각(RIE:Reactive Ion Etching)을 행하여 사각형 모양을 형성하고, 기판(1)을 희석수산화칼륨(KOH) 식각 용액에 담궈 절연층(1)이 제거된 형상을 따라 상부의 절연층(2)의 아래면이 노출될 때 까지 기판(1)의 뒷면을 비등방성 식각하여 마름모 모양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도 2의 공정을 통해 LIGA 공정에 이용할 수 있는 X-선 마스크를 제작한다.
이어서, 도 3a 내지 도 3d를 참조하면, PMMA(Poly-Methyl-Meta-Acrylate)(6) 위에 X-선 마스크(20)를 정렬하고, X-선 수직 노광(7) 및 경사노광(8)을 하여 PMMA 형틀(9)을 제작한다. 이와 같이 제작된 PMMS 형틀(9)은 후속 공정을 통해 형성되는 PDMS(PolyDiMethylSiloxane) 금형(10)을 위한 주형으로 PDMS에 대응하는 형상이다.
이어서, 도 4a를 참조하면, 미세 바늘 어레이(15)를 얻기 위해 PMMA 형틀(9)과 기판(1)의 표면을 실란화(silanization)시켜 PDMS 금형(10)을 굳힌 후 쉽게 뗄 수 있게 한다. 실란화의 약품으로는 트리클로로 실란(Trichloro(3,3,3 Trifluoro propyl)silane)으로 약10㎕를 진공 용기에 8시간동안 넣어 실란화시킨다. PDMS 금형(10)의 형성은 다우코닝사(http://www.dowcornig.com)의 상표명 Sylgard 184 silicone elastomer 로서 시판중인 노머(monomer)와 경화제(curing agent)를 10:1로 섞어서 기포를 제거한 PDMS를 미리 만들어진 PMMS 형틀(9) 위에 부어 제작한다. 붇는 과정에서 생긴 기포를 제거하고 100℃에서 약 1시간 동안 열처리를 한 후 굳어진 PDMS 금형(10)를 떼어내면 폴리머 재질의 미세 바늘 어레이를 제작하기 위한 유연한 PDMS 금형(10)을 얻을 수 있다. 이 때 PDMS 금형(10)은 깨끗이 떨어지기 때문에 별도의 공정 없이 다시 경화제를 섞은 PDMS를 붇고 열처리하는 공정을 반복하면 쉽게 대량의 유연한 금형을 얻을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PMMA 형틀(9)에서 경화된 PDMS 금형(10)을 분리한다.
도 4c를 참조하면, PDMS 금형(10)에 마이크로켐사(http://www.micorchem.com)의 상표명 SU-8으로 시판중인 폴리머(11)(70wt% EPON, 30wt% GBL)를 회전도포(200rpm에서 5초간, 1000rpm에서 35초간)혹은 직접 주입하여 약 500㎛두께의 용기를 형성한다. 95℃에서 프리베이킹(pre-baking)한다. SU-8이 음성감광제이므로 용기를 만들기 위한 UV(Ultra Violet)마스크로 3000∼4000mJ/㎠ 세기로 365㎚근처에서 노광한다. 95℃에서 포스트베이킹(post baking)하고 PGMEA(propyleneglycol monomethylether acetate)에서 15분 동안 현상하고 세척한다. 200℃에서 하드 베이킹한다. 만약, UV 엠보싱(embosing), 인젝션 몰딩(injection molding)과 같은 기법을 사용할 경우 각각의 몰딩(molding)기법에 적합한 폴리머를 사용한다.
도 4d를 참조하면, 감광성 폴리머의 경우, UV를 조사하여 원하는 형태의 구멍을 형성하고, 현상액과 식각액을 이용하여 미세바늘 어레이의 구멍 형상(16)을 형상식각(patterning)한다. 폴리머(11 ; SU-8)의 기계적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완전히 경화한다. 이와 같이 제작된 경화된 폴리머(12) 재질의 미세 바늘 어레이에서 유연한 PDMS 금형(10)을 떼어낸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제조공정을 통해 도 1에 도시된 폴리머 재질의 미세 바늘 어레이(15)를 제조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미세바늘 어레이는 LIGA공정을 사용하여 금형으로 제작되고, 제작된 금형을 이용하여 폴리머재질의 미세 바늘 어레이 제작 기술을 제공한다. 제작된 미세 바늘 어레이는 피부에서 혈액을 추출하는 장비 혹은 피부를 통해 약품을 전달하기 위한 장치등에 결합되어 사용되어 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미세 바늘 어레이는 인체에 무해한 폴리머 재질을 사용하고 고통 없이 피부를 관통하여 약품의 주입 및 혈액의 추출에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다. 금형을 이용한 제작기법은 생산가격을 낮추고 쉬운 방법으로 미세 바늘 어레이를 대량생산 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Claims (3)

  1. 실리콘 기판 위에 미세 바늘 어레이 구조의 흡수체를 형성하여 X-선 마스크를 제작하는 단계;
    상기 X-선 마스크를 이용하여 PMMA 위에 X-선 수직 노광 및 경사노광하여 미세 바늘 어레이 PMMA 형틀을 제작하는 단계;
    상기 PMMA 형틀 위에 PDMS를 부어 반대형상을 갖는 유연한 PDMS 금형을 제작하는 단계;
    상기 PDMS 금형 위에 겔 형태의 폴리머를 채우는 단계;
    상기 폴리머에 UV를 조사하여 구멍을 형상식각하는 단계;
    상기 PDMS 금형을 떼어내어 폴리머 재질의 미세 바늘 어레이를 완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바늘 어레이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바늘 어레이 구조의 X-선 마스크는,
    100㎛이하의 두께를 가지는 실리콘 기판 위에 산화막(SiO2)을 형성하여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절연층 위에 크롬/금(Cr/Au) 금속층을 차례로 증착하여 도금을 위한 베이스 기판을 형성하는 단계;
    감광성 폴리머, 현상액과 식각액을 이용하여 미세 바늘 어레이의 형상을 형상식각(patterning)하는 단계;
    상기 형상식각된 감광성 폴리머를 이용하여 금을 도금한 다음 형상식각된 감광성폴리머를 제거하여 X-선 흡수체를 형성하고 상기 감광성 폴리머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바늘 어레이 제조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기판 대신에 BN(보론나이트라이드,BN) 또는 저응력 질화박막을 가진 기판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바늘 어레이 제조방법.
KR1020030003041A 2003-01-16 2003-01-16 Liga공정을 이용한 폴리머 재질의 미세 바늘 어레이제조방법 KR1005633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3041A KR100563330B1 (ko) 2003-01-16 2003-01-16 Liga공정을 이용한 폴리머 재질의 미세 바늘 어레이제조방법
PCT/KR2004/000074 WO2004062899A2 (en) 2003-01-16 2004-01-16 Method for manufacturing of polymer micro needle array with liga process
CNB200480002378XA CN100513145C (zh) 2003-01-16 2004-01-16 以liga工艺制造聚合物微针阵列的方法
EP04702870A EP1594683A4 (en) 2003-01-16 2004-01-16 METHOD FOR MANUFACTURING A POLYMER MICRO-NEEDLE NETWORK USING A LIGA PROCESS
US10/542,613 US20060055090A1 (en) 2003-01-16 2004-01-16 Method for manufacturing of polymer micro needle array with liga process
JP2005518550A JP2006516226A (ja) 2003-01-16 2004-01-16 Liga工程を用いたポリマー材質の微細針アレイの製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3041A KR100563330B1 (ko) 2003-01-16 2003-01-16 Liga공정을 이용한 폴리머 재질의 미세 바늘 어레이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5848A KR20040065848A (ko) 2004-07-23
KR100563330B1 true KR100563330B1 (ko) 2006-03-22

Family

ID=36081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3041A KR100563330B1 (ko) 2003-01-16 2003-01-16 Liga공정을 이용한 폴리머 재질의 미세 바늘 어레이제조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60055090A1 (ko)
EP (1) EP1594683A4 (ko)
JP (1) JP2006516226A (ko)
KR (1) KR100563330B1 (ko)
CN (1) CN100513145C (ko)
WO (1) WO2004062899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6958B1 (ko) 2017-01-13 2018-1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내스크래치성 및 내오염성이 향상된 무도장 사출 성형품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크래쉬 패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18642A1 (en) 2004-08-16 2006-02-23 Functional Microstructures Limited Method of producing a microneedle or microimplant
KR100756530B1 (ko) * 2004-08-18 2007-09-10 한국과학기술원 엑스선노광에 의한 판형상 감광성 폴리머의 미세구조물가공장치 및 그 가공방법
KR100701344B1 (ko) * 2004-09-03 2007-03-29 한국과학기술원 미세바늘배열 키트 및 자외선 노광을 이용한 미세바늘배열키트 제조방법
CN102358015A (zh) * 2004-12-07 2012-02-22 3M创新有限公司 模制微型针的方法
WO2006075716A1 (ja) * 2005-01-14 2006-07-20 Fujikura Ltd. 医薬物運搬用器具とその製造方法
US8034719B1 (en) * 2005-12-08 2011-10-11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Method of fabricating high aspect ratio metal structures
CN100420622C (zh) * 2005-12-28 2008-09-24 哈尔滨工业大学 基于聚二甲基硅氧烷微小元器件的二次模板复制加工方法
GB0600795D0 (en) * 2006-01-16 2006-02-22 Functional Microstructures Ltd Method of making microneedles
KR100691732B1 (ko) * 2006-02-22 2007-03-12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3차원 pdms 구조물 형성 방법
US20070202186A1 (en) 2006-02-22 2007-08-30 Iscience Interventional Corporation Apparatus and formulations for suprachoroidal drug delivery
TWI300055B (en) * 2006-05-26 2008-08-21 Nat Univ Tsing Hua Method of manufacturing hollow micro-needle structures
US8865288B2 (en) * 2006-07-17 2014-10-21 University Of Utah Research Foundation Micro-needle arrays having non-planar tips and methods of manufacture thereof
US20080138581A1 (en) * 2006-07-17 2008-06-12 Rajmohan Bhandari Masking high-aspect aspect ratio structures
EP2053146B1 (en) 2006-08-07 2016-08-31 Seiko Instruments Inc.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formed mold, electroformed mol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formed parts
JP4984736B2 (ja) * 2006-08-18 2012-07-25 凸版印刷株式会社 露光装置及び方法
JP5070764B2 (ja) * 2006-08-18 2012-11-14 凸版印刷株式会社 マイクロニードルのパッチの製造方法
WO2008020631A1 (fr) * 2006-08-18 2008-02-21 Toppan Printing Co., Ltd. Procédé de production de plaque originale, procédé de production de timbre à micro-aiguilles, timbre à micro-aiguilles et appareils d'exposition
WO2008027011A1 (en) * 2006-08-28 2008-03-06 Agency For Science, Technology And Research Microneedles and methods for fabricating microneedles
JP4888018B2 (ja) * 2006-09-29 2012-02-29 凸版印刷株式会社 針状体の製造方法及び針状体
JP4810486B2 (ja) * 2007-03-30 2011-11-09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高アスペクト比構造を有する機能性膜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CN101200550B (zh) * 2007-11-14 2010-08-11 大连水产学院 仿生微纳结构表面的模板制备方法
US20090301994A1 (en) * 2008-05-12 2009-12-10 Rajmohan Bhandari Methods for Wafer Scale Processing of Needle Array Devices
WO2009149197A2 (en) 2008-06-03 2009-12-10 University Of Utah Research Foundation High aspect ratio microelectrode arrays enabled to have customizable length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CN101607432A (zh) * 2008-06-19 2009-12-23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光学元件的制造方法
NL2001718C2 (nl) * 2008-06-24 2009-12-28 Needle Holding B V U Micronaald, micronaaldarray en fabricagewerkwijze daarvoor.
ES2691388T3 (es) * 2008-10-07 2018-11-27 Tuo Jin Microagujas poliméricas de transición de fases
US8639312B2 (en) * 2008-12-10 2014-01-28 University Of Utah Research Foundation System and method for electrically shielding a microelectrode array in a physiological pathway from electrical noise
KR101103612B1 (ko) * 2009-06-03 2012-01-09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경피투과형 마이크로니들, 이의 제조방법, 경피투과형 마이크로니들용 몰드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2051575A2 (en) 2010-10-15 2012-04-19 Iscience Interventional Corporation Device for ocular access
CN102000020B (zh) * 2010-11-17 2012-10-10 河南羚锐制药股份有限公司北京药物研究院 新型可降解聚合物微针贴剂及其制备方法
TWI498538B (zh) * 2011-04-22 2015-09-01 Univ Nat Cheng Kung 血液成分檢測元件
CN102526870B (zh) * 2012-01-09 2013-08-28 上海交通大学 基于表面微细加工工艺的异平面空心微针及其制备方法
CN103301092B (zh) 2012-03-06 2014-12-03 中国科学院理化技术研究所 聚合物微针阵列芯片及其制备方法和应用
SG11201405643RA (en) * 2012-03-16 2014-10-30 Univ Singapore A novel method to fabricate polymeric microneedles
CA2882184C (en) * 2012-08-27 2021-09-07 Clearside Biomedical,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drug delivery using microneedles
US10548854B2 (en) 2012-10-01 2020-02-04 The Hong Kong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Manufacture of nonelectronic, active-infusion patch and device for transdermal delivery across skin
US9455188B2 (en) * 2013-01-18 2016-09-27 Globalfoundries Inc. Through silicon via device having low stress, thin film gaps and methods for forming the same
AU2014259694B2 (en) 2013-05-03 2018-11-08 Clearside Biomedical,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ocular injection
US9152036B2 (en) * 2013-09-23 2015-10-06 National Synchrotron Radiation Research Center X-ray mask structure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CN103908739B (zh) * 2014-03-05 2016-01-20 中山大学 一种金属微针阵列的制作方法
EP3285851B1 (en) * 2015-12-04 2021-01-20 Ascilion AB A microneedle and a chip
EP3452165A1 (en) 2016-05-02 2019-03-13 Clearside Biomedical, Inc. Systems and methods for ocular drug delivery
IL305537B2 (en) 2016-08-12 2025-02-01 Clearside Biomedical Inc Devices and methods for adjusting the insertion depth of a needle for administering a drug
CN106422044B (zh) * 2016-08-26 2019-07-05 华东师范大学 一种基于硅衬底的氧化铪空心微针及制备方法
CN110193137A (zh) * 2018-02-27 2019-09-03 辽宁成大生物股份有限公司 一种狂犬疫苗可溶性微针贴的制备方法
CN108939280B (zh) * 2018-04-13 2021-05-18 杭州电子科技大学 一种su8微针阵列贴片的制备方法
US10980448B2 (en) * 2018-05-16 2021-04-2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lectrically functional polymer microneedle array
KR102250038B1 (ko) * 2019-05-07 2021-05-11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마이크로니들 어레이 제조 방법 및 제조 시스템
CN110429158A (zh) * 2019-07-04 2019-11-08 云南师范大学 非制冷红外焦平面探测器光学窗口的湿法腐蚀方法
CN111408036A (zh) * 2020-04-24 2020-07-14 优微(珠海)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复合型微针贴片及其制备方法
CN113209466A (zh) * 2021-05-11 2021-08-06 苏州揽芯微纳科技有限公司 一种单晶硅空心微针结构及其制作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9064580A1 (en) * 1998-06-10 1999-12-16 Georgia Tech Research Corporation Microneedle devices and methods of manufacture and use thereof
US6312612B1 (en) * 1999-06-09 2001-11-0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n intracutaneous microneedle array
WO2001033614A1 (en) * 1999-11-02 2001-05-10 University Of Hawaii Method for fabricating arrays of micro-needles
US6511463B1 (en) * 1999-11-18 2003-01-28 Jds Uniphase Corporation Methods of fabricating microneedle arrays using sacrificial molds
US6663820B2 (en) * 2001-03-14 2003-12-1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of manufacturing microneedle structures using soft lithography and photolithograph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6958B1 (ko) 2017-01-13 2018-1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내스크래치성 및 내오염성이 향상된 무도장 사출 성형품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크래쉬 패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5848A (ko) 2004-07-23
US20060055090A1 (en) 2006-03-16
CN1738710A (zh) 2006-02-22
WO2004062899A2 (en) 2004-07-29
EP1594683A2 (en) 2005-11-16
JP2006516226A (ja) 2006-06-29
CN100513145C (zh) 2009-07-15
WO2004062899A3 (en) 2004-10-07
EP1594683A4 (en) 2009-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3330B1 (ko) Liga공정을 이용한 폴리머 재질의 미세 바늘 어레이제조방법
JP4778669B2 (ja) ソフトリソグラフィ及びフォトリソグラフィを使用して微小針(microneedles)構造を製造する方法
US8250729B2 (en) 3D fabrication of needle tip geometry and knife blade
US7132054B1 (en) Method to fabricate hollow microneedle arrays
KR101261466B1 (ko) 할로우 마이크로 니들의 제조 방법
US6451240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n intracutaneous microneedle array
US7712198B2 (en) Microneedle array device and its fabrication method
JP5028872B2 (ja) 針状体の製造方法
CN101391744B (zh) 基于倾斜旋转基片与模版光刻制备微针阵列的方法
JP2004529726A (ja) 極小手術器具
KR20090059971A (ko) 중공형 마이크로 니들
CN100441388C (zh) 基于多层加工技术的微针制备方法
CN101862503B (zh) 一种用于透皮给药的离面空心微针阵列的制备方法
KR100528960B1 (ko) 폴리머 미세 바늘 어레이의 제조방법
Park et al. High-aspect-ratio tapered structures using an integrated lens technique
CN1259982C (zh) 基于三维微细加工工艺的批量加工微探针的方法
WO2004035105A2 (en) Polymer microneedles
KR20060021495A (ko) 미세바늘배열 키트 및 자외선 노광을 이용한 미세바늘배열키트 제조방법
Shewale et al. 3D polymer microneedle array: Fabrication and analysis
JP2007207969A (ja) パターン形成方法
Kravitz et al. Method to fabricate hollow microneedle arrays
KR101837680B1 (ko) 중공형 마이크로 니들 제조 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중공형 마이크로 니들
Hasada et al. Densely arrayed microneedles having flow channel fabricated by mechanical dicing and anisotropic wet etching of silicon
Swaminathan Fabrication of Nano-Injection Needles for Neural Pathway Study in Mice
Kravitz et al. A QUICK, RELIABLE, AND VERSATILE METHOD FOR CREATING MICRONEEDLES IN FOTURA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01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4071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6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121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3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3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1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2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23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2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30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