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43822B1 - 킬레이트화제및그를함유하는세정제 - Google Patents

킬레이트화제및그를함유하는세정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3822B1
KR100543822B1 KR1019960069234A KR19960069234A KR100543822B1 KR 100543822 B1 KR100543822 B1 KR 100543822B1 KR 1019960069234 A KR1019960069234 A KR 1019960069234A KR 19960069234 A KR19960069234 A KR 19960069234A KR 100543822 B1 KR100543822 B1 KR 1005438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diacetic
aqueous solution
content
aspartic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9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70175A (ko
Inventor
히로시 야마모또
야스유끼 다까야나기
기요부미 다까하시
데뜨로 나까하마
Original Assignee
미쯔비시 레이온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758527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543822(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미쯔비시 레이온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미쯔비시 레이온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700701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701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38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3822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38Cationic compounds
    • C11D1/62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6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C11D3/33Amino 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0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11D3/2075Carboxylic acids-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0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11D3/2075Carboxylic acids-salts thereof
    • C11D3/2082Polycarboxylic acids-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0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11D3/2075Carboxylic acids-salts thereof
    • C11D3/2086Hydroxy carboxylic acids-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34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 C11D3/349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additionally containing nitrogen atoms, e.g. nitro, nitroso, amino, imino, nitrilo, nitrile groups containing compounds or their derivatives or thio urea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34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 C11D3/3472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additionally containing -COOH groups or derivatives thereof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 의 화합물, 및 아스파르트산, 말레산, 아크릴산, 말산, 글리신, 글리콜산, 이미노디아세트산, 니트릴로트리아세트산, α-알라닌, β-알라닌, 이미노디프로피온산, 푸마르산, 합성 출발 아미노산, 합성 중간체 아미노산, 및 그의 염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화학식 1 의 화합물을 기준으로 8 중량% 이하량의, 1 종 이상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생분해성 킬레이트화제에 관한 것이다:
[식 중, R1 은 수소 또는 탄소수 1-10 의 비치환 또는 치환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R2 는 수소 또는 탄소수 1-8 의 비치환 또는 치환 탄화수소기를 나타내며, 단 R1 및 R2 는 함께 고리를 형성할 수 있고, R1 및 R2 에 존재할 수 있는 치환기는 -OH, -CO2M 및 -SO3M (식 중, M 은 수소 또는 알카리 금속을 나타낸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이고; X 는 또는 를 나타낸다: 식 중, R3 는 수소 또는 탄소수 1-8 의 비치환 또는 치환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치환기는 -OH, -CO2M 및 -SO3M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이고, R4 는 수소, -CO2M 및 -SO3M 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종 이상을 나타내고, A1 및 A2 는 각각 수소, CO2M 및 SO3M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종 이상을 나타내고, A5 는 직쇄 또는 분지쇄이거나 고리를 형성할 수 있는 탄소수 1-8 의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상기 알킬렌기는 사슬내에 에테르 결합 -O-, 에스테르 결합 -COO-, 또는 아미드 결합 -CONH- 를 함유할 수 있고, M 은 수소 또는 알카리 금속을 나타내고, n 은 1-8 의 정수를 나타내며; Y 는 수소, CO2M 및 SO3M 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나타낸다].

Description

킬레이트화제 및 그를 함유하는 세정제{CHELATING AGENT AND DETERGENT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생분해성이 우수한 아미노카르복시산 킬레이트화제 및 킬레이트화제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취급성이 우수한 고체, 수용액 또는 슬러리 형태의 생분해성 킬레이트화제 및 생분해성 킬레이트화제를 함유하는 우수한 세정성 및 높은 생분해성을 갖는 세정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체 형태로 사용되는 킬레이트화제는 백 또는 호퍼내에 분말 또는 플레이크의 형태로 저장된다. 고체 킬레이트화제는 고화 성질로 인해 축적 조건 및 기간 및 보관 조건 및 기간에 따라 점차적으로 경질의 덩어리로 변한다. 따라서, 이 덩어리를 사용 직전에 분쇄해야만 하고 이는 취급시에 매우 불편하다.
수용액 또는 슬러리로서 사용되는 킬레이트화제는 분쇄할 필요는 없으나, 수용액내에서의 분해 및 착색으로 인한 순도의 열화와 같은 심각한 문제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아미노카르복시산 킬레이트화제는 사진 표백제, 세정제 조성물, 세정제 빌더, 중금속 격리제, 과산화물용 안정화제 등의 성분으로서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세정제 조성물은 집안 부엌용품의 세정, 의류의 가정 세탁, 사업용 식기 세척, 설비의 세척, 사업용 의류 세탁 등에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또한, 표백제, 스케일 제거제, 금속 격리제 등으로서 용도에 적합한 첨가제와 함께 사용된다.
지금까지 세정제 빌더로서 사용되어 온 트리폴리인산 나트륨은 킬레이트화 성능이 우수하다. 그러나, 이는 인을 함유하기 때문에 주변 환경에 배출되는 경우에 강과 연못의 부영양화를 야기한다. 따라서, 현재는 더이상 사용되지 않고 있다.
현재 세정제 빌더로서 사용되는 제올라이트는 킬레이트화 성능이 낮고 무기 물질이기 때문에 생분해성이 없다는 단점을 갖는다. 또한, 제올라이트는 물에 불용성이어서 액체 세정제, 특히 맑은 액체 세정제에 사용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또한, 제올라이트는 배출관의 내벽에 점착하거나 강 바닥에 침전하여 슬러지 형성을 야기하는 그러한 많은 문제점을 갖는다. 따라서, 제올라이트 사용량을 감소시키려는 시도가 있으며 충분한 킬레이트화 능력 및 세정성을 갖는 제올라이트의 대체물을 원해왔으나, 이러한 대체물이 아직 얻어지지 않았다.
세정제 빌더로서 사용되어온 아미노카르복시산 중에,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EDTA) 은 넓은 pH 범위에서 우수한 킬레이트화 능력을 가지나, 생분해성이 불량하고 활성화 슬러지를 사용하는 보통의 폐수 처리법에 의해 분해시키기 어렵다. 또한, 니트릴로트리아세트산 (NTA) 는 어느정도의 생분해성을 가지나 NTA 가 기형발생성을 가지며 니트릴로트리아세트산-철 착체가 발암성을 가진다는 것이 보고되었기 때문에 환경 건강의 관점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기타 통상의 아미노카르복시산 중에, 킬레이트 성능은 우수하나 생분해성이 낮은 것들은 주변 환경에 배출되는 경우에 환경에 유해한 중금속으로서 축적되는 난점이 있다. 상기 언급된 유기 아미노산에 대한 다양한 화합물이 연구되었으나 지금까지는 킬레이트화 성능 및 생분해성이 우수한 화합물은 보고되지 않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저장 중에 덩어리로 경화되지 않는 생분해성 분말상 킬레이트화제 또는 저장 중에 분해 또는 탈색되지 않는 수용액 또는 슬러리 형태의 생분해성 킬레이트화제를 제공하는 것이고 더나아가 상기 킬레이트화제로 이루어진 세정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시도로 본 발명자들이 강도높은 연구를 수행한 결과, 심지어 고체 형태의 몇몇 킬레이트화제가 특정 조건 하에서 경질화되지 않고 용이하게 취급될 수 있으며, 심지어 수용액 또는 슬러리 형태의 몇몇 킬레이트화제가 특정 조건 하에 분해 또는 탈색되지 않고 장기간 동안 안정하고 용이하게 취급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상기 생분해성 킬레이트화제를 계면활성제등과 병용하면 높은 세정성이 얻어질수 있다는 것을 밝혀내었다. 이리하여, 본 발명이 완성되었다.
즉, 본 발명의 킬레이트화제는 하기 화학식 1 의 화합물, 및 아스파르트산, 말레산, 아크릴산, 말산, 글리신, 글리콜산, 이미노디아세트산, 니트릴로트리아세트산, α-알라닌, β-알라닌, 이미노디프로피온산, 푸마르산, 화학식 1 의 화합물의 합성을 위한 출발 물질로서 아미노산 (이후, "합성 출발 아미노산" 으로 언급됨), 화학식 1 의 화합물의 합성 반응에서 생성된 중간체 아미노산 (이후, "합성 중간체 아미노산" 으로서 언급됨), 및 그의 염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화학식 1 의 화합물을 기준으로 25 중량% 이하량의 수용액 또는 슬러리 형태, 또는 화학식 1 의 화합물을 기준으로 8 중량% 이하량의 1 종 이상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킬레이트화제이다:
[화학식 1]
[식 중, R1 은 수소 또는 탄소수 1-10 의 비치환 또는 치환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R2 는 수소 또는 탄소수 1-8 의 비치환 또는 치환 탄화수소기를 나타내며, 단 R1 및 R2 는 함께 고리를 형성할 수 있고, R1 및 R2 에 존재할 수 있는 치환기는 -OH, -CO2M 및 -SO3M (식 중, M 은 수소 또는 알카리 금속을 나타낸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이고; X 는 또는 를 나타낸다: 식 중, R3 는 수소 또는 탄소수 1-8 의 비치환 또는 치환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치환기는 -OH, -CO2M 및 -SO3M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이고, R4 는 수소, -CO2M 및 -SO3M 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종 이상을 나타내고, A1 및 A2 는 각각 수소, CO2M 및 SO3M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종 이상을 나타내고, A5 는 직쇄 또는 분지쇄이거나 고리를 형성할 수 있는 탄소수 1-8 의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상기 알킬렌기는 사슬내에 에테르 결합 -O-, 에스테르 결합 -COO-, 또는 아미드 결합 -CONH- 를 함유할 수 있고, M 은 수소 또는 알카리 금속을 나타내고, n 은 1-8 의 정수를 나타내며; Y 는 수소, CO2M 및 SO3M 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킬레이트화제는 상기 화학식 1 의 화합물 및 아스파르트산, 말레산, 아크릴산, 말산, 글리신, 글리콜산, 이미노디아세트산, 니트릴로트리아세트산, α-알라닌, β-알라닌, 이미노디프로피온산, 푸마르산, 합성 출발 아미노산, 합성 중간체 아미노산 및 그의 염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화학식 1 의 화합물을 기준으로 25 중량% 이하량의 1 종 이상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킬레이트화제이다.
또한, 본 발명은 우수한 세정성을 가지며 상기 생분해성 킬레이트화제로 이루어진 세정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
X 가 인 화학식 1 의 모노아민 화합물 (식 중, R3 및 R4 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다) 로서는, 예컨대 아스파르트산-N-모노아세트산 (ASMA), 아스파르트산-N,N-디아세트산 (ASDA), 아스파르트산-N-모노프로피온산 (ASMP), 이미노디숙신산 (IDA), N-(2-술포메틸)아스파르트산 (SMAS), N-(2-술포에틸)아스파르트산 (SEAS), 글루탐산-N,N-디아세트산 (GLDA), N-(2-술포메틸)글루탐산 (SMGL), N-(2-술포에틸)글루탐산 (SEGL), N-메틸이미노디아세트산 (MIDA), α-알라닌-N,N-디아세트산 (α-ALDA), β-알라닌-N,N-디아세트산 (β-ALDA), 세린-N,N-디아세트산 (SEDA), 이소세린-N,N-디아세트산 (ISDA), 페닐알라닌-N,N-디아세트산 (PHDA), 안트라닐산-N,N-디아세트산 (ANDA), 술파닐산-N,N-디아세트산 (SLDA), 타우린-N,N-디아세트산 (TUDA), 및 술포메틸-N,N-디아세트산 (SMDA) 및 그의 알카리 금속염 또는 암모늄 염을 들수 있다.
상기 화합물들은 비대칭 탄소를 가지므로 광학 이성질체들로서 존재한다. 생분해성의 관점에서, (S)-아스파르트산-모노아세트산, (S)-아스파르트산-N,N-디아세트산, (S)-아스파르트산-모노프로피온산, (S,S)-이미노디숙신산, (S,R)-이미노디숙신산, (S)-2-술포메틸아스파르트산, (S)-2-술포에틸아스파르트산, (S)-글루탐산-N,N-디아세트산, (S)-2-술포메틸글루탐산, (S)-2-술포에틸글루탐산, (S)-α-알라닌-N,N-디아세트산, (S)-세린-N,N-디아세트산, 및 (S)-페닐알라닌-N,N-디아세트산 및 그의 알카리 금속염 또는 암모늄염이 바람직하다.
X 가 인 화학식 1 로 표시되는 디아민 화합물로서는 (식 중, A1, A2 및 A5 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다), 예컨대 에틸렌디아민디숙신산 (EDDS), 1,3-프로판디아민디숙신산 (13PDDS), 에틸렌디아민디글루타르산 (EDDG), 1,3-프로판디아민디글루타르산 (13EDDG), 2-히드록시-1,3-프로판디아민디숙신산 (PDDS-OH) 및 2-히드록시-1,3-프로판디아민디글루타르산 (PDDG-OH) 및 그의 알카리 금속염 및 암모늄염을 들수 있다.
상기 화합물들은 비대칭 탄소를 가지므로 광학 이성질체들이 존재한다. 생분해성의 관점에서, (S,S)-에틸렌디아민디숙신산, (S,S)-1,3-프로판디아민디숙신산, (S,S)-에틸렌디아민글루타르산, (S,S)-1,3-프로판디아민디글루타르산, (S,S)-2-히드록시-1,3-프로판디아민디숙신산 및 (S,S)-2-히드록시-1,3-프로판디아민디글루타르산 및 그의 알카리 금속염 또는 암모늄염을 들수 있다.
일반적으로 모노아민 화합물은 출발 아미노산 또는 술폰산을 히드로시안산 및 포르말린과 부가 반응시키고 결과생성된 부가 생성물을 알카리 조건하에 가수분해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진 방법에 의해, 또는 아미노산 또는 술폰산을 아크릴로니트릴 등과 부가 반응시키고 결과생성된 부가 생성물을 알카리 조건 하에 가수분해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진 방법에 의해 얻어진다. 따라서, 원하는 모노아민 킬레이트화제는 보통 출발 아미노산 또는 술폰산에 더하여 불순물로서 부반응 생성물을 함유한다.
예컨대, 히드로시안산 및 포르말린을 타우린에 첨가한 다음 결과생성된 부가 반응 생성물을 가수분해하여 타우린-N,N-디아세트산 염을 합성하는 경우에, 글리콜산, 글리신, 이미노디아세트산, 니트릴로트리아세트산, 푸마르산, β-알라닌 및 이미노디프로피온산과 같은 부생성물이 미반응 타우린에 더하여 형성된다. 이들 불순물에 더하여 말산 및 아크릴산 염과 같은 불순물이 때때로 반응 조건에 따라 검출된다.
디아민 화합물은 일반적으로 말레산 2 분자를 알킬렌디아민 1 분자에 부가하여 생성된다. 이 경우에, 결과생성된 원하는 디아민 킬레이트화제는 보통 불순물로서 미반응 말레산, 말레산 1 분자 만이 부가된 반응 중간체 아미노산 및 그의 부반응 생성물을 함유한다. 예컨대, 말레산 2 분자를 에틸렌디아민 1 분자에 부가하여 에틸렌디아민디숙신산 염을 합성하는 경우에, 미반응 말레산에 더하여 에틸렌디아민모노숙신산, 푸마르산 및 말산과 같은 부생성물이 생성된다.
또한, 디아민 화합물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아스파르트산 또는 글루탐산과 같은 출발 아미노산의 2 분자를 디할로에탄, 에피클로로히드린 등을 사용하여 결합시키는 방법에 따른다. 이 경우에, 결과생성된 원하는 디아미노폴리카르복시산 킬레이트화제는 보통 불순물로서, 출발 아미노산, 1 분자의 출발 아미노산만이 부가된 반응 중간체 아미노산 및 그의 부반응 생성물을 함유한다. 예컨대, (S)-아스파르트산 2 분자를 디클로로에탄 1 분자에 부가한 다음 미네랄산을 첨가하여 부가 반응 생성물을 침전시킴으로써 (S,S)-에틸렌디아민디숙신산을 합성하는 경우에, (S)-N-2-클로로에틸아스파르트산, (S)-N-2-히드록시에틸아스파르트산, (S,S)-N-2-히드록시에틸에틸렌디아민디숙신산 및 푸마르산과 같은 부생성물이 미반응 (S)-아스파르트산에 더하여 생성된다.
본 발명에서, 킬레이트화제는 상기 언급된 불순물 염의 함량이 염 형태의 화학식 1 의 화합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25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 8 중량% 이하가 되도록 제조된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특히 불순물 염의 함량이 8 중량% 이하인 경우에, 통상의 저장 상태에서도 결과생성된 킬레이트화제의 경화가 상당히 억제된다. 불순물 염의 총량은 화학식 1 의 화합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3 중량 %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더 가혹한 저장 조건 하에서도 덩어리로 경화되는 것을 상당히 억제하기 위해서는 0.5 중량% 이하가 보다 더 바람직하다. 이러한 조건들이 만족되는 경우에, 화학식 1 의 화합물 합성을 위한 반응 혼합물을 농축시키고 (이하, 단지 "반응 혼합물" 로 언급됨), 그후에 농축된 반응 혼합물을 분무 건조등에 적용시킴으로써 덩어리로 경화되지 않는 분말을 얻을수 있으나, 다른 경우에는,다음과 같이 정제를 수행하여 불순물 염의 양을 감소시킬수 있다.
킬레이트화제에 대한 가장 확실한 정제 수단으로서는, 일단 황산과 같은 미네랄산을 첨가하여 반응 혼합물을 침전시켜 고 순도의 결정으로 킬레이트화제를 분리시킨 다음 결정을 알카리수에 재용해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방법이 있다. 또한, 고제 미정제(crude) 킬레이트화제를 정제시키는 경우에는 킬레이트화제를 메탄올과 같은 알콜로 세척하여 용해도가 높은 저분자량 불순물을 제거하는 것도 효과적이다.
본 발명에서, 불순물이 산 형태인 경우에, 또한 킬레이트화제는 불순물이 염의 형태인 경우와 동일한 방식으로, 즉 불순물 산의 함량이 화학식 1 의 화합물을 기준으로 25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 8 중량% 이하가 되도록 제조된다. 이러한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에, 특히 불순물 산의 함량이 8 중량% 이하인 경우에, 통상의 저장 상태에서도 결과생성된 킬레이트화제의 경화가 상당히 억제된다. 불순물 산의 총량은 화학식 1 의 화합물을 기준으로 3 중량 %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더 가혹한 저장 조건 하에서도 덩어리로 경화되는 것을 상당히 억제하기 위해서는 0.5 중량% 이하가 보다 더 바람직하다.
불순물 산 (염) 의 총 함량이 상기 언급된 반응에 의해 얻어진 킬레이트화제를 산 첨가에 의한 단지 하나의 침전 작업에 적용시킴으로써는 상기 조건에 부합하도록 될 수 없다면, 미정제 결정을 대량의 물로 세척하고 미정제 결정의 재결정화를 반복하거나 기타 방법에 의해 정제할 수 있다.
이들 방법에 의해 불순물 함량이 25 중량% 이하로 정제된 킬레이트화제는 저장 중에 또는 결정 또는 플레이크의 형태로 운송되는 중에 킬레이트화제가 경화될지라도 용이하게 분말상 또는 플레이크 형태로 되돌릴수 있다. 따라서, 킬레이트화제는 장기간에 걸쳐 안정하고 용이하게 취급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화학식 1 의 화합물을 기준으로 25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 10 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 5중량% 이하의 양으로 불순물 염을 함유하도록 조정된 킬레이트화제는 또한 수용액 및 슬러리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언급된 반응에 의해 얻어진 킬레이트화제가 상기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반응 혼합물은 그 자체로 사용될 수 있으나, 불순물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초과한다면, 정제를 위한 부가적인 작업이 필요하다.
상기 방법에 의해 불순물 염의 함량의 항으로 25 중량% 이하로 정제된 킬레이트화제는 물을 10 중량% 이상 함유하는 수용액 또는 슬러리로서 사용될 수 있으나, 보존성 및 취급성의 관점에서 킬레이트화제의 염농도가 5-80 중량%, 바람직하게 20-50 중량% 인 수용액 또는 슬러리로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장, 운송 또는 혼합과 같은 취급을 위해 사용되는 덤프, 탱크 로리, 저장 탱크, 교반기 등의 재료는 합금, 유리 라이닝, 합성 수지 라이닝 등 중 어느 것일수 있으며 스테인레스 스틸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킬레이트화제의 취급 온도는 화합물 농도가 5-40 중량% 인 경우에는 0-75 ℃ 가 바람직하고, 화합물 온도가 40-50중량% 인 경우에는 5-75 ℃ 가 바람직하고 화합물 농도가 50-80 중량% 인 경우에는 10-75 ℃ 가 바람직하다.
보통, 약 3 년간의 저장이 이러한 조건하에 가능하며, 품질이 열화되지 않은 킬레이트화제의 수용액 또는 슬러리를 용이하게 꺼내어 필요에 따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얻어진 킬레이트화제는 계면 활성제 및 기타 첨가제와 함께 우수한 세정성을 갖는 세정제를 구성한다.
이러한 킬레이트화제는 보통 나트륨염 및 칼륨염과 같은 알카리 금속염의 형태로 사용되나, 산의 부가로써 침전에 의해 분리된 산 형태 결정을 알카리성 수용액에 용해시켜 얻어진 부분적으로 중성화된 수용액의 형태로, 알카리성 수용액인 반응 혼합물의 형태로, 상기 수용액을 농축하여 얻어진 고체 염의 형태로 또는 임의 기타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필요하다면, 이를 용도에 적당한 pH 로 조정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킬레이트화제는 덩어리로 경화되는 것이 억제된 분말 또는 플레이크 또는 수용액 또는 슬러리의 임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그 다음,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을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은 본 발명의 킬레이트화제, 특히 (S)-아스파르트산-N,N-디아세트산, N-메틸이미노디아세트산 및/또는 타우린-N,N-디아세트산 및 필요한 경우에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규산염, 표백제 및/또는 지방산 염을 함유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예컨대 에톡시화 노닐페놀, 에톡시화 옥틸페놀, 에톡시화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및 그의 프로필렌 옥시드 부가물을 포함하나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는다. 그러나, 하기 화학식 2 로 표시되는 알콜 또는 페놀 1 분자 당 평균 에틸렌 옥시드 5-12, 바람직하게 6-8 및 평균 프로필렌 옥시드 0-12, 바람직하게 2-5 의 랜덤 또는 블록 부가에 의해 얻어진 화합물, 예컨대 에톡시화 1차 지방족 알콜, 에톡시화 2차 지방족 알콜 및 그의 프로필렌 옥시드 부가물이 특히 높은 세정성을 갖는다.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각각 단독으로 또는 두 개 이상의 혼합물로 사용될 수 있다.
R-OH
(R : 탄소수 8-24 의 알킬, 알케닐 또는 알킬페닐기).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예컨대 평균 탄소수 8-16 의 알킬기를 갖는 직쇄 알킬벤젠술폰산 염, 평균 탄소수 10-20 의 α-올레핀 술폰산염, 하기 화학식 3 으로 표시되는 지방족 술폰화 생성물의 염 또는 지방족 저급 알킬 술폰산 염, 평균 탄소수 10-20 의 알킬황산염, 평균 탄소수 10-20 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 또는 알케닐기를 가지며 그에 평균 0.5-8 몰의 에틸렌 옥시드가 부가된 알킬 에테르 황산염 또는 알케닐 에테르 황산염, 및 평균 탄소수 10-22 의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산 염을 포함한다.
(R : 탄소수 8-20 의 알킬 또는 알케닐기, Y : 탄소수 1-3 의 알킬기 또는 짝 이온, Z: 짝이온).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규산염은 하기 화학식 4 로 표시되는 규산염 또는 하기 화학식 5 로 표시되는 알루미노규산염이고, 이들은 각각 단독으로 또는 임의 비율로 두 개 이상의 혼합물로 사용될 수 있다. 규산염의 양은 세정제 조성물내에 0.5-80 중량%, 바람직하게 5-40 중량% 이다.
LM′SiXO2(X+1)·yH2O
(L 은 알카리 금속을 나타내고, M′은 나트륨 또는 수소를 나타내고, x 는 1.9-4 의 수를 나타내고, y 는 0-20 의 수를 나타낸다).
Naz[(AlO2)z(SiO2)y]·xH2O
(z 는 6 이상의 수를 나타내고, y 는 z 및 y 의 비율이 1.0-0.5 를 만족하는 수를 나타내고, x 는 5-276 의 수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표백제는 예컨대 과탄산나트륨 및 과붕산나트륨을 포함한다. 상기 표백제의 량은 세정제 조성물 내에 0.5-60 중량%, 바람직하게 1-4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 2-25 중량% 이다.
본 발명에 사용된 지방산 염은 예컨대 알카리 금속염, 알카리성 토금속염, 암모늄염 또는 비치환 또는 치환 아민염, 바람직하게 알카리 금속염 또는 알카리성 토금속염, 보다 바람직하게 평균 10-24 탄소수의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산의 알카리 금속염을 포함한다. 상기 지방산염은 또한 두 개 이상의 혼합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지방산 염의 예로는 알카리 금속염, 알카리성 토금속염, 암모늄염 또는 비치환 또는 치환 아민염이 있고, 알카리 금속염 또는 알카리성 토금속염, 암모늄염 또는 비치환 또는 치환 아민염이 바람직하며,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스테아르산 등의 알카리 금속염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은 안정화제, 알카리 염, 효소, 향수, 비이온성 및 음이온성 유형 이외의 계면 활성제, 스케일 억제제, 발포제 및 소포제와 같은 다양한 첨가제를 더 함유할 수 있다.
다수의 킬레이트화제를 병용하여 더 높은 성능의 세정제 조성물을 얻을수 있다.
몇몇 경우에, 킬레이트화 능력이 사용 pH 에 따라 하나의 킬레이트화제를 사용해서는 충분하게 나타나지 않으나, 다수의 킬레이트화제를 혼합물로 사용함으로써 사용되는 주변 환경의 pH 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는 세정성을 갖는 우수한 세정제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pH 에 대한 적응성이 우수한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에 사용된 킬레이트화제는 (S)- 아스파르트산-N,N-디아세트산, 타우린-N,N-디아세트산 및 N-메틸이미노디아세트산의 세가지 이다. 이 중 몇몇의 특징이 하기에 설명된다.
(S)-아스파르트산-N,N-디아세트산이 pH 에 대한 적응성이 우수한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이는 중성 pH 범위에서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므로 바람직하다. 이는 특히 상기 언급된 세가지 N,N-디아세트산 유형 킬레이트화제 중에 칼슘 등에 대한 킬레이트 안정화 상수가 특히 크다. 따라서, 라우르산나트륨과 같은 카르복시산 계면활성제와 병용하면 (S)-아스파르트산-N,N-디아세트산은 대상 금속을 확실하게 킬레이트화 하므로 바람직하다.
니트릴로트리아세트산의 칼슘에 대한 킬레이트 안정화 상수는 6.4 이고 (S)-아스파르트산-N,N-디아세트산은 5.8 이라고 보고되어 있다. 그러나, 실제적인 빌더 성능에 있어, (S)-아스파르트산-N,N-디아세트산이 니트릴로트리아세트산보다 우수하다는 것이 사실이다. (S)-아스파르트산-N,N-디아세트산이 4 개의 카르복실 기를 갖는 모노아민 킬레이트화제이므로, 최대 다섯 자리 배위 결합에 의해 칼슘과 같은 대상 금속을 포획 (trap) 할 수 있다. 따라서, 세 개의 카르복실기를 가지며 최대 4자리 배위결합에 의해 칼슘과 같은 대상 금속을 포획할 수 있는 니트릴로트리아세트산과 비교하여 (S)-아스파르트산-N,N-디아세트산의 킬레이트화 능력은 니트릴로트리아세트산 보다 높으며 중성 범위에서 현저하게 우수한 성능을 나타낸다.
도데실벤젠술폰산염 나트륨과 같은 술폰산 계면 활성제와 병용하면, (S)-아스파르트산-N,N-디아세트산은 pH 7-8에서 니트릴로트리아세트산 보다 높은 Ca++ 포획능력 (trapping power) 을 가지며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과 동등하다.
카르복실산 계면 활성제인 라우르산나트륨을 술폰산 계면활성제인 도데실벤젠술폰산염 나트륨 대신에 사용하는 경우에, (S)-아스파르트산-N,N-디아세트산은 pH 12 에서 약 50% 의 Ca++ 포획 능력을 보유한다. (S)-아스파르트산-N,N-디아세트산의 Ca++ 포획 능력은 상기와 동일한 계면활성제의 치환으로써 약 90% 의 Ca++ 포획 능력을 갖는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보다 열등하나, 대부분의 공지된 모노아민 킬레이트화제가 카르복시산 계면활성제의 존재하에 Ca++ 포획 능력을 완전히 잃는다는 사실에 비추어서는 놀랍다.
(S)-아스파르트산-N,N-디아세트산은 화학약품 시험에 대한 OECD 기준에 서술된 302A 개정 SCAS 시험과 같은 생분해성 시험에서 무기 물질로 완전히 분해된다. 이는 (S)-아스파르트산-N,N-디아세트산을 함유하는 폐수로 순화된 활성화 슬러지에 의해 특정 기간에 완전히 분해된다.
타우린-N,N-디아세트산은 pH 에 대한 적응성이 우수한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내에 사용될 수 있고 약 알카리성 pH 범위에서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므로 특히 바람직하다.
타우린-N,N-디아세트산의 칼슘에 대한 킬레이트 안정화 상수는 4.2 라고 보고되어 있다. 그러나, 실제적인 빌더 성능에 있어, 타우린-N,N-디아세트산이 니트릴로트리아세트산보다 우수하다는 것이 사실이다. 타우린-N,N-디아세트산의 분자구조를 킬레이트화 성능의 면에서 살펴보면, 이는 직접 대상 금속의 포획에 참여하는 이미노디아세트산 부분 및 대상 금속 포획 능력의 pH 에 대한 적응에 참가하는 술폰산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타우린-N,N-디아세트산의 술폰산기는 대상 금속의 포획에 직접 참가하지는 않으나 중성측으로 등전점을 이동시키는 것과 같은 작용에 의해 보다 중성측에서 분자가 킬레이트 능력을 용이하게 나타낼수 있도록 화학 환경을 재배열한다.
술폰산 계면 활성제와 병용하면, 타우린-N,N-디아세트산은 pH 8 에서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과 동등한 Ca++ 포획능력을 가지며 pH 8.5 이상이에서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보다 더 우수하다. 이 사실은 상기 N,N-디아세트산 킬레이트화제 중 전형적인 것인 니트릴로트리아세트산이 동일한 조건하에 pH 가 10 에 이르는 경우에만 Ca++ 포획 능력면에서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을 초과한다는 사실과 비교하여 놀랍다.
타우린-N,N-디아세트산은 상기 언급된 302A 변형 SCAS 시험과 같은 생분해성 시험에서 단시간에 무기 물질로 완전히 분해된다. 이는 타우린-N,N-디아세트산을 함유하는 폐수로써 순화된 활성화 슬러지에 의해 단시간에 완전히 분해된다.
메틸이미노디아세트산은 pH 에 대한 적응성이 우수한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으며 알카리 pH 범위에서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므로 특히 바람직하다.
메틸이미노디아세트산의 칼슘에 대한 킬레이트 안정화 상수는 3.7 라고 보고되어 있다. 그러나, 실제적인 빌더 성능에 있어, 메틸이미노디아세트산이 니트릴로트리아세트산을 능가한다는 것이 사실이다. 메틸이미노디아세트산의 분자구조를 킬레이트화 성능의 면에서 살펴보면, 메틸기의 도입에 의해 아미노기가 삼차 아미노기로 전화되어 단순한 이미노디아세트산보다 칼슘에 대한 킬레이트 안정성 상수가 증가하며 분자량이 작기 때문에 중량 당 Ca++ 포획 능력이 증가한다고 생각된다.
술폰산 계면 활성제를 병용하면, 메틸이미노디아세트산은 10 이상의 pH 에서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보다 Ca++ 포획능력이 훨씬 크며 게다가, 동일 조건하에 우수한 성능을 갖는다고 생각되어 온 니트릴로트리아세트산의 성능을 보다 능가하는 놀라운 성능을 나타낸다.
메틸이미노-N,N-디아세트산은 화학약품 시험에 대한 OECD 기준에 서술된 301C 변형 MITI 시험 (1) 과 같은 생분해성 시험에서 단시간에 무기 물질로 완전히 분해된다. 메틸이미노디아세트산은 활성화 슬러지 처리 등을 시키지 않아도 강, 연못 및 일반 오수와 같은 주변 환경의 물에 사는 미생물에 의해 쉽게 분해된다.
(S)-아스파르트산-N-모노아세트산 및 (S)-아스파르트산-N-모노프로피온산은 메틸이미노디아세트산을 대체할 수 있는 생분해성 빌더이나, 10 이상의 pH 에서 우수한 빌더 성능을 나타냄에도 불구하고 중량당 Ca++ 포획 능력이 메틸이미노디아세트산 보다 불량하므로 대량으로 사용되어야만 한다. (S)-아스파르트산-N-모노아세트산 및 (S)-아스파르트산-N-모노프로피온산은 상기 언급된 301C 변형 MITI 시험과 같은 생분해성 시험에서 단시간에 무기 물질로 완전히 전화된다. 이들은 활성화 슬러지 처리 등을 시키지 않아도 강, 연못 및 일반 오수와 같은 주변 환경의 물에 사는 미생물에 의해 쉽게 분해된다.
이상에서, (S)-아스파르트산-N,N-디아세트산, 타우린-N,N-디아세트산 및 메틸이미노디아세트산의 생분해성 빌더로서의 특징이 서술되었다. 동시에 두개 이상을 빌더 성분으로서 이들을 함유하는 세정제 조성물은 넓은 pH 조건에서 우수한 성능을 나타낼수 있다. 즉, 이들 빌더 성분들을 적당하게 함유함으로써, 지금까지 우수한 빌더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되어 온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의 성능과 동등한 또는 더 높은 성능을 중성 범위에서 알카리 범위에 이르는 넓은 pH 조건에서 얻을 수 있다. 더우기, 특정 생분해성 빌더 성분의 함량을 증가시킴으로써 특정 계면활성제 및 특정 pH 의 조건하에 특히 우수한 성능을 야기하는 것이 가능하다.
펄프 및 의류와 같은 용도에서, 과산화수소 또는 유기 과산화물이 표백을 목적으로 첨가되고 빌더는 상기 과산화물을 철과 같은 중금속에 의해 촉매되는 분해작용으로부터 보호하는 기능을 갖는다.
식품 가공 산업의 분야에서, 주 성분으로서 빌더 성분만을 함유하고 계면 활성제를 함유하지 않는 세정제 조성물이 때때로 맥주병, 접시 및 설비의 세척시에 탄산칼슘, 옥살산칼슘등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은 완충제, 안정화제 및 재점착 방지제로서, 일반 보조 첨가제, 규산의 염, 결정 알루미노규산의 염, 선형 규산등의 염, 글리신, β-알라닌, 타우린, 아스파르트산 및 글루탐산과 같은 아미노산의 염, 폴리아크릴산, 폴리말레산, 폴리아코니트산, 폴리아세탈카르복실산, 폴리비닐 피롤리돈,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과 같은 중합체의 염, 시트르산, 말산, 푸마르산, 숙신산, 글루콘산 및 타르타르산과 같은 유기산의 염, 프로테아제, 리파제 및 셀룰라제와 같은 효소 및 p-톨루엔술폰산 및 술포숙신산의 염을 함유할 수 있다.
규산칼슘과 같은 케이킹 (caking) 억제제, 규산마그네슘과 같은 과산화물 안정화제, t-부틸히드록시톨루엔과 같은 항산화제, 형광성 페인트, 향수 및 기타를 더 첨가할 수 있다. 이는 제한되지 않으며 용도에 따라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빌더와 병용하여, 트리폴리인산, 피로인산 등의 염, 디에틸렌트리아민펜타아세트산,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니트릴로트리아세트산 등의 염, 및 기타를 빌더로서 사용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그러나, 주변 환경 하중의 감소 및 안전성의 관점에서 이러한 통상의 빌더의 사용을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다음,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 사용 조건 및 성분비가 상세히 설명된다.
넓은 사용 조건하에 우수한 빌더인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과 동등한 또는 더 높은 성능을 얻기 위하여, (S)-아스파르트산-N,N-디아세트산, 타우린-N,N-디아세트산 및 메틸이미노디아세트산의 세가지 빌더 중에 두 가지 이상의 생분해성 빌더를 동시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산으로써 (S)-아스파르트산-N,N-디아세트산을 5-97 중량%, 바람직하게 40-95 중량%의 양으로, 산으로써 타우린-N,N-디아세트산을 0-97 중량%, 바람직하게 40-90 중량%의 양으로, 및 산으로써 메틸이미노디아세트산을 0-97 중량%, 바람직하게 30-70 중량% 의 양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빌더의 총량이, 계면활성제 성분을 기준으로 하여, 산으로써 6-810 중량%, 바람직하게 20-24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 80-120 중량% 이다.
생분해성 빌더의 이와 같은 조성비를 사용하는 경우에, 산으로써,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또는 니트릴로트리아세트산의 성능과 동등한 또는 더 높은 중량당 빌더 성능이, 분산성이 불량한 카르복실산 유형과 같은 계면 활성제와 병용하여 7-12의 pH 범위에서 및 분산성이 우수한 술폰산 유형과 같은 계면활성제와 병용하여 6-13 의 pH 범위에서 전개된다. 본원에서 빌더 성능은 Ca++ 포획 능력만을 포함하는 것이 아니라, 스케일 또는 중금속에 대한 분산 능력, pH 완충 능력, 먼지 재점착 방지, 액체 세정제의 경화 방지 및 고체 세정제의 형상 보유성과 같은 성능을 포함하며, 본 발명에 따른 빌더는 또한 상기 성능면에서 니트릴로트리아세트산을 능가하며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및 트리폴리인산의 성능 보다 열등하지 않은 성능을 얻을 수 있다.
사용된 pH 및 계면 활성제와 같은 조건이 몇몇 용도에 있어 미리 공지되어 있을때, 이러한 사용 조건에 적당한 생분해성 빌더의 조성 비율을 갖도록 세정제 조성물을 제조하는 것이 이롭다.
많은 경우에, 주방 및 의류용의 가정용 중성세제는 도데실벤젠술폰산염, 라우릴 알콜 황산염 에스테르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과 같은 계면활성제와 병용하여 약 6.5-8.5 의 pH 에서 사용된다. 이러한 경우에, 빌더 조성물을 기준으로 (S)-아스파르트산-N,N-디아세트산을 산으로써 20-97 중량%, 바람직하게 50-95 중량% 의 양으로, 타우린-N,N-디아세트산을 산으로써 5-90 중량%, 바람직하게 50-80 중량% 및 메틸이미노디아세트산을 산으로써 0-20 중량%, 바람직하게 10-15 중량% 사용하는 것이 적당하다.
의류, 식기, 설비, 병 및 기타 물품의 세척을 위한 산업용 세정제는 중성에서 강 알카리성 조건에 이르는 넓은 범위의 pH 에서 사용된다. 특히, pH 9-13 의 알카리성 조건하에서의 사용시에는 빌더 조성물을 기준으로 (S)-아스파르트산-N,N-디아세트산을 산으로써 0-90 중량%, 바람직하게 20-50 중량% 의 양으로, 타우린-N,N-디아세트산을 산으로써 5-90 중량%, 바람직하게 50-80 중량% 및 메틸이미노디아세트산을 산으로써 20-97 중량%, 바람직하게 60-90 중량% 사용하는 것이 적당하다.
그러나, pH 9-13 의 알카리성 조건하에 산업용 세정제의 이용시에도 분산성이 열등한 라우르산염과 같은 계면활성제를 사용하는 경우, 빌더 조성물을 기준으로 (S)-아스파르트산-N,N-디아세트산을 산으로써 20-95 중량%, 바람직하게 50-90 중량% 의 양으로, 타우린-N,N-디아세트산을 산으로써 5-90 중량%, 바람직하게 50-80 중량% 및 메틸이미노디아세트산을 산으로써 0-20 중량%, 바람직하게 10-15 중량% 사용하는 것이 적당하다.
더우기, 임의 용도에서,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내 생분해성 빌더 성분인 메틸이미노디아세트산의 전부 또는 일부를 (S)-아스파르트산-N-모노아세트산 및 (S)-아스파르트산-N-모노프로피온산중 하나로 또는 모두로 대체할 수 있다. (S)-아스파르트산-N-모노아세트산을 사용하는 경우에 메틸이미노디아세트산을 기준으로 산으로써 80-350 중량%, 바람직하게 150-320 중량% 의 양으로 사용하는 것이 적당하다. (S)-아스파르트산-N-모노프로피온산을 사용하는 경우에, 메틸이미노디아세트산을 기준으로 산으로써 120-560 중량%, 바람직하게 240-420 중량% 의 양으로 사용하는 것이 적당하다.
본 발명의 세정제는 또한 소정 비율로 킬레이트화제를 계면활성제 및 기타 구성 성분과 혼합하여 고농도의 액체 세정제 또는 분말 세정제로서 제조할 수 있고 이를 사용시에 물로 원하는 농도로 희석할 수 있다. 또는, 이들 성분을 희석수에 소정 비율로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나, 이 실시예는 어떠한 방식으로든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S)-아스파르트산-N-모노아세트산의 삼나트륨염 1000 g (S-ASMA-3Na) 및 불순물 염 25.0 g (아스파르트산이나트륨 18.3 g, 푸마르산이나트륨 4.0 g, 글리신의 일나트륨염 2.2 g 및 말산이나트륨 0.5 g 을 함유함) 을 함유하는 건조 분말의 경화 강도를, JIS A 1108 (콘크리트 압축 강도 측정 방법) 에 따른 하기 방법에 의해 측정된 200 [g/cm2] 의 하중하에 2 달 경과후의 압축 강도로 표시하였고 이리하여 이 분말의 경화 성질을 평가하였다.
<압축 강도 측정 방법>
(1) 시험 샘플 (500g) 을 20-30℃ 의 온도 및 40-70% 의 상대 습도에서 방안에서 20cm×20cm 의 폴리에틸렌 백에 넣었다. 분말을 20 cm × 20 cm 의 면적으로 평평하게 하고 공기를 백 밖으로 밀어낸 다음 백을 밀봉한다. 이 백을 크라프트 백 내에 더 넣고 이 크라프트 백을 밀봉한다.
(2) (1) 의 크라프트 백을 편평한 플레이트상에 수평하게 놓고 그 위에 플레이트를 놓는다. 각각 20 kg 의 4 개의 물체를 상판 상에 놓아 시험 샘플에 200 [g/cm2] 의 하중을 적용한다.
(3) 20-30 ℃ 의 온도 및 40-70% 의 상대 습도를 유지하면서, 시험 샘플을 하중 적용 시작으로부터 2 달 경과 후에 꺼낸다. 몇개의 시험 조각 (4 cm 길이 × 4 cm 폭 × 2 cm 높이) 을 샘플로부터 잘라낸다.
(4) 시험 조각에 압축 시험기를 사용하여 하중을 주고 (컴퓨터 제어 유니버살 정밀 시험기: 시마즈 오토그래프 AGS-100B; 최대 하중: 100kg; 적하 속도 : 2 [cm/분]), 시험 조각이 파괴되는 때에 시험기가 나타내는 최대 하중을 시험 조각의 횡단면적으로 나누어 결과의 값을 압축 강도로서 사용한다.
측정 결과로서, 시험 조각은 1.2 [kg/cm2] 의 압축 강도를 가지며, 그것은 임의 특별한 연마 처리 없이도 분해될 수 있는 그러한 상태였다.
실시예 2
(S)-아스파르트산-N-모노프로피온산 삼나트륨염 1000g (S-ASMP-3Na) 및 불순물 염 20.0 g (푸마르산이나트륨 8.2 g, 아스파르트산이나트륨 6.2 g, 이미노디아세트산이나트륨 4.3 g, 말산이나트륨 1.1 g 및 니트릴로트리아세트산삼나트륨 0.2 g 을 함유함) 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1 에 제시되어 있다.
실시예 3
(S)-아스파르트산-N,N-디아세트산 사나트륨염 1000g (S-ASDA-4Na) 및 불순물 염 15.0 g (아스파르트산이나트륨 5.5 g, 푸마르산이나트륨 3.1 g, β-알라닌 나트륨염 3.1 g, 이미노디프로피온산 이나트륨 2.4 g, 말산이나트륨 0.7 g 및 아크릴산나트륨 0.2 g 을 함유함) 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1 에 제시되어 있다.
실시예 4
(S)-α-알라닌-N,N-디아세트산 삼나트륨염 1000g (S-ALDA-3Na) 및 불순물 염 22.5 g (α-알라닌 일나트륨염 10.5 g, 글리신 일나트륨염 3.6 g, 이미노디아세트산 이나트륨염 4.8 g, 및 니트릴로트리아세트산삼나트륨 3.7 g 을 함유함) 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1 에 제시되어 있다.
실시예 5
불순물 염의 함량을 동일한 조성으로 5.0% 로 변화시키고 시험 조각에 적용되는 하중을 100 [g/cm2] 으로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1 에 제시되어 있다.
실시예 6
불순물 염의 함량을 동일한 조성으로 6.0% 로 변화시키고 시험 조각에 적용되는 하중을 100 [g/cm2] 으로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1 에 제시되어 있다.
실시예 7
불순물 염의 함량을 동일한 조성으로 8.0% 로 변화시키고 시험 조각에 적용되는 하중을 100 [g/cm2] 으로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3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1 에 제시되어 있다.
실시예 8
불순물 염의 함량을 동일한 조성으로 7.0% 로 변화시키고 시험 조각에 적용되는 하중을 100 [g/cm2] 으로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4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1 에 제시되어 있다.
실시예 9
불순물 염의 함량을 동일한 조성으로 0.3% 로 변화시키고 시험 조각에 적용되는 하중을 300 [g/cm2] 으로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1 에 제시되어 있다.
실시예 10
불순물 염의 함량을 동일한 조성으로 0.2% 로 변화시키고 시험 조각에 적용되는 하중을 300 [g/cm2] 으로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1 에 제시되어 있다.
실시예 11
불순물 염의 함량을 동일한 조성으로 0.4% 로 변화시키고 시험 조각에 적용되는 하중을 300 [g/cm2] 으로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3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1 에 제시되어 있다.
실시예 12
불순물 염의 함량을 동일한 조성으로 0.3% 로 변화시키고 시험 조각에 적용되는 하중을 300 [g/cm2] 으로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4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1 에 제시되어 있다.
실시예 13
(S)-아스파르트산-N-모노아세트산 1000 g (S-ASMA) 및 불순물 산 30.0 g (아스파르트산 20.1 g, 푸마르산 6.0 g, 글리신 3.2 g 및 말산 0.7 g 을 함유함) 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실시예 14
(S)-아스파르트산-N-모노프로피온산 1000g (S-ASMP) 및 불순물 산 15.0 g (푸마르산 6.3 g, 아스파르트산 4.7 g, 이미노디아세트산 3.1 g, 말산 0.8 g 및 니트릴로트리아세트산 0.1 g 을 함유함) 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시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1 에 제시되어 있다.
실시예 15
(S)-아스파르트산-N,N-디아세트산 1000g (S-ASDA) 및 불순물 산 20.0 g (아스파르트산 8.5 g, 푸마르산 5.3 g, β-알라닌 3.3 g, 이미노디프로피온산 2.3 g, 말산 0.5 g 및 아크릴산 0.1 g 을 함유함) 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시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1 에 제시되어 있다.
실시예 16
(S)-α-알라닌-N,N-디아세트산 1000g (S-ALDA) 및 불순물 산 24.5 g (α-알라닌 11.0 g, 글리신 4.6 g, 이미노디아세트산 5.2 g, 및 니트릴로트리아세트산 3.7 g 을 함유함) 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시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1 에 제시되어 있다.
실시예 17
불순물 산의 함량을 동일한 조성으로 4.0% 로 변화시키고 시험 조각에 적용되는 하중을 100 [g/cm2] 으로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3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1 에 제시되어 있다.
실시예 18
불순물 산의 함량을 동일한 조성으로 8.0% 로 변화시키고 시험 조각에 적용되는 하중을 100 [g/cm2] 으로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4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1 에 제시되어 있다.
실시예 19
불순물 산의 함량을 동일한 조성으로 7.0% 로 변화시키고 시험 조각에 적용되는 하중을 100 [g/cm2] 으로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5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1 에 제시되어 있다.
실시예 20
불순물 산의 함량을 동일한 조성으로 6.0% 로 변화시키고 시험 조각에 적용되는 하중을 100 [g/cm2] 으로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6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1 에 제시되어 있다.
실시예 21
불순물 산의 함량을 동일한 조성으로 0.2% 로 변화시키고 시험 조각에 적용되는 하중을 300 [g/cm2] 으로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3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1 에 제시되어 있다.
실시예 22
불순물 산의 함량을 동일한 조성으로 0.3% 로 변화시키고 시험 조각에 적용되는 하중을 300 [g/cm2] 으로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4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1 에 제시되어 있다.
실시예 23
불순물 산의 함량을 동일한 조성으로 0.5% 로 변화시키고 시험 조각에 적용되는 하중을 300 [g/cm2] 으로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5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1 에 제시되어 있다.
실시예 24
불순물 산의 함량을 동일한 조성으로 0.4% 로 변화시키고 시험 조각에 적용되는 하중을 300 [g/cm2] 으로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6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1 에 제시되어 있다.
실시예 25
타우린-N,N-디아세트산 삼나트륨염 1000g (TUDA-3Na) 및 불순물 염 25.0 g (타우린산일나트륨염 6.0 g, 글리신 일나트륨 염 5.0 g, 이미노디아세트산 이나트륨 7.0 g 및 니트릴로트리아세트산삼나트륨 7.0 g 을 함유함) 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1 에 제시되어 있다.
실시예 26
N-메틸이미노아세트산 이나트륨 1000g (MIDA-2Na) 및 불순물 염 20.0 g (글리신 일나트륨 염 8.0 g, 이미노디아세트산 이나트륨 7.0 g 및 니트릴로트리아세트산삼나트륨 5.00 g 을 함유함) 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1 에 제시되어 있다.
실시예 27
안트라닐산-N,N-디아세트산 삼나트륨 염 1000g (ANTDA-3Na) 및 불순물 염 15.0 g (안트라닐산일나트륨 4.0 g, 글리신 일나트륨 염 3.0 g, 이미노디아세트산 이나트륨 5.0 g 및 니트릴로트리아세트산삼나트륨 3.0 g 을 함유함) 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시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1 에 제시되어 있다.
실시예 28
불순물 염의 함량을 동일한 조성으로 5.0% 로 변화시키고 시험 조각에 적용되는 하중을 100 [g/cm2] 으로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5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1 에 제시되어 있다.
실시예 29
불순물 염의 함량을 동일한 조성으로 6.0% 로 변화시키고 시험 조각에 적용되는 하중을 100 [g/cm2] 으로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6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1 에 제시되어 있다.
실시예 30
불순물 염의 함량을 동일한 조성으로 8.0% 로 변화시키고 시험 조각에 적용되는 하중을 100 [g/cm2] 으로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7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1 에 제시되어 있다.
실시예 31
불순물 염의 함량을 동일한 조성으로 0.3% 로 변화시키고 시험 조각에 적용되는 하중을 300 [g/cm2] 으로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5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1 에 제시되어 있다.
실시예 32
불순물 염의 함량을 동일한 조성으로 0.2% 로 변화시키고 시험 조각에 적용되는 하중을 300 [g/cm2] 으로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6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1 에 제시되어 있다.
실시예 33
불순물 염의 함량을 동일한 조성으로 0.4% 로 변화시키고 시험 조각에 적용되는 하중을 300 [g/cm2] 으로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7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1 에 제시되어 있다.
실시예 34
타우린-N,N-디아세트산 1000g (TUDA) 및 불순물 산 25.0 g (타우린 6.0 g, 글리신 5.0 g, 이미노디아세트산 7.0 g 및 니트릴로트리아세트산 7.0 g 을 함유함) 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1 에 제시되어 있다.
실시예 35
N-메틸이미노디아세트산 1000g (MIDA) 및 불순물 산 20.0 g (글리신 8.0 g, 이미노디아세트산 7.0 g 및 니트릴로트리아세트산 5.00 g 을 함유함) 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1 에 제시되어 있다.
실시예 36
안트라닐산-N,N-디아세트산 1000g (ANTDA) 및 불순물 산 15.0 g (안트라닐산 4.0 g, 글리신 3.0 g, 이미노디아세트산 5.0 g 및 니트릴로트리아세트산 3.0 g 을 함유함) 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시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1 에 제시되어 있다.
실시예 37
불순물 산의 함량을 동일한 조성으로 4.0% 로 변화시키고 시험 조각에 적용되는 하중을 100 [g/cm2] 으로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34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1 에 제시되어 있다.
실시예 38
불순물 산의 함량을 동일한 조성으로 8.0% 로 변화시키고 시험 조각에 적용되는 하중을 100 [g/cm2] 으로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35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1 에 제시되어 있다.
실시예 39
불순물 산의 함량을 동일한 조성으로 7.0% 로 변화시키고 시험 조각에 적용되는 하중을 100 [g/cm2] 으로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36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1 에 제시되어 있다.
실시예 40
불순물 산의 함량을 동일한 조성으로 0.2% 로 변화시키고 시험 조각에 적용되는 하중을 300 [g/cm2] 으로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34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1 에 제시되어 있다.
실시예 41
불순물 산의 함량을 동일한 조성으로 0.3% 로 변화시키고 시험 조각에 적용되는 하중을 300 [g/cm2] 으로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35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1 에 제시되어 있다.
실시예 42
불순물 산의 함량을 동일한 조성으로 0.5% 로 변화시키고 시험 조각에 적용되는 하중을 300 [g/cm2] 으로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36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1 에 제시되어 있다.
실시예 43
안트라닐산-N,N-디아세트산의 철 염 1000g (ANTDA-Fe) 및 불순물 Fe 염 15.0 g (안트라닐산염 4.0 g, 글리신의 염 3.0 g, 이미노디아세트산염 5.0 g 및 니트릴로트리아세트산염 3.0 g 을 함유함) 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시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1 에 제시되어 있다.
실시예 44
불순물 염의 함량을 동일한 조성으로 5.0% 로 변화시키고 시험 조각에 적용되는 하중을 100 [g/cm2] 으로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43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1 에 제시되어 있다.
실시예 45
불순물 염의 함량을 동일한 조성으로 0.3% 로 변화시키고 시험 조각에 적용되는 하중을 300 [g/cm2] 으로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43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1 에 제시되어 있다.
비교예 1
불순물 염의 함량을 동일한 조성으로 10% 로 변화시키고 시험 조각에 적용되는 하중을 100 [g/cm2] 으로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2 에 제시되어 있다.
비교예 2
불순물 염의 함량을 동일한 조성으로 15% 로 변화시키고 시험 조각에 적용되는 하중을 100 [g/cm2] 으로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2 에 제시되어 있다.
비교예 3
불순물 염의 함량을 동일한 조성으로 20% 로 변화시키고 시험 조각에 적용되는 하중을 100 [g/cm2] 으로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3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2 에 제시되어 있다.
비교예 4
불순물 염의 함량을 동일한 조성으로 18% 로 변화시키고 시험 조각에 적용되는 하중을 100 [g/cm2] 으로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4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2 에 제시되어 있다.
비교예 5
불순물 산의 함량을 동일한 조성으로 30% 로 변화시키고 시험 조각에 적용되는 하중을 100 [g/cm2] 으로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3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2 에 제시되어 있다.
비교예 6
불순물 염의 함량을 동일한 조성으로 20% 로 변화시키고 시험 조각에 적용되는 하중을 100 [g/cm2] 으로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4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2 에 제시되어 있다.
비교예 7
불순물 염의 함량을 동일한 조성으로 15% 로 변화시키고 시험 조각에 적용되는 하중을 100 [g/cm2] 으로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5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2 에 제시되어 있다.
비교예 8
불순물 염의 함량을 동일한 조성으로 23% 로 변화시키고 시험 조각에 적용되는 하중을 100 [g/cm2] 으로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6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2 에 제시되어 있다.
비교예 9
불순물 염의 함량을 동일한 조성으로 10% 로 변화시키고 시험 조각에 적용되는 하중을 100 [g/cm2] 으로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5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2 에 제시되어 있다.
비교예 10
불순물 염의 함량을 동일한 조성으로 15% 로 변화시키고 시험 조각에 적용되는 하중을 100 [g/cm2] 으로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6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2 에 제시되어 있다.
비교예 11
불순물 염의 함량을 동일한 조성으로 20% 로 변화시키고 시험 조각에 적용되는 하중을 100 [g/cm2] 으로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7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2 에 제시되어 있다.
비교예 12
불순물 산의 함량을 동일한 조성으로 30% 로 변화시키고 시험 조각에 적용되는 하중을 100 [g/cm2] 으로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34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2 에 제시되어 있다.
비교예 13
불순물 염의 함량을 동일한 조성으로 20% 로 변화시키고 시험 조각에 적용되는 하중을 100 [g/cm2] 으로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35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2 에 제시되어 있다.
비교예 14
불순물 염의 함량을 동일한 조성으로 15% 로 변화시키고 시험 조각에 적용되는 하중을 100 [g/cm2] 으로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36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2 에 제시되어 있다.
비교예 15
불순물 염의 함량을 동일한 조성으로 15% 로 변화시키고 시험 조각에 적용되는 하중을 100 [g/cm2] 으로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43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2 에 제시되어 있다.
실시예 화학식 1 의 화합물 불순물 함량 [중량%] 하중[kg] 2 달 저장후 압축 강도 [kg/cm2]
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23 S-ASMA-3NaS-ASMP-3NaS-ASDA-4NaS-ALDA-3NaS-ASMA-3NaS-ASMP-3NaS-ASDA-4NaS-ALDA-3NaS-ASMA-3NaS-ASMP-3NaS-ASDA-4NaS-ALDA-3NaS-ASMAS-ASMPS-ASDAS-ALDAS-ASMAS-ASMPS-ASDAS-ALDAS-ASMAS-ASMPS-ASDA 2.42.01.52.25.06.08.07.00.30.20.40.32.91.52.02.44.08.07.06.00.20.30.5 200200200200100100100100300300300300200200200200100100100100300300300 1.21.00.91.11.21.21.31.00.81.00.80.91.10.60.90.80.91.21.11.00.80.91.0
실시예 화학식 1 의 화합물 불순물 함량 [중량%] 하중[kg] 2 달 저장후 압축 강도 [kg/cm2]
24252627282930313233343536373839404142434445 S-ALDATUDA-3NaMIDA-2NaANTDA-3NaTUDA-3NaMIDA-2NaANTDA-3NaTUDA-3NaMIDA-2NaANTDA-3NaTUDAMIDAANTDATUDAMIDAANTDATUDAMIDAANTDAANTDA-FeANTDA-FeANTDA-Fe 0.42.42.01.55.06.08.00.30.20.42.91.52.04.08.07.00.20.30.51.55.00.3 300200200200100100100300300300200200200100100100300300300200100300 0.91.11.21.01.31.21.21.00.80.91.20.80.91.01.11.20.91.01.10.91.00.8
비교예 화학식 1 의 화합물 불순물 함량 [중량%] 하중[kg] 2 달 저장후 압축 강도 [kg/cm2]
123456789101112131415 S-ASMA-3NaS-ASMP-3NaS-ASDA-4NaS-ALDA-3NaS-ASMAS-ASMPS-ASDAS-ALDATUDA-3NaMIDA-2NaANTDA-3NaTUDAMIDAANTDAANTDA-Fe 101520183020152310152030201515 100100100100100100100100100100100100100100100 2.63.03.22.82.82.52.32.62.52.62.53.32.72.52.5
불순물 산 또는 그의 염이 화학식 1 의 화학물을 기준으로 8% 이상의 량으로 존재하는 경우에, 저장 분말의 경화가 증가하고 동시에 압축 강도가 증가하는 것을 상기 실시예들로부터 알 수 있다. 불순물 산 또는 그의 염이 8% 이하의 양으로 존재하는 경우에, 저장 분말의 경화성질의 상기와 같은 증가 및 압축 강도의 증가가 관찰되지 않았다.
실시예 46
에틸렌디아민디숙신산 사나트륨 1000g (EDDS-4Na) 및 불순물 염 25.0 g (말레산 이나트륨 8.0 g, 푸마르산이나트륨 9.0 g, 에틸렌디아민모노숙신산 이나트륨 5.0 g 및 말산이나트륨 3.0 g 을 함유함) 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3 에 제시되어 있다.
실시예 47
(S,S)-에틸렌디아민디숙신산 사나트륨염 1000g (SS-EDDS-4Na) 및 불순물 염 20.0 g ((S)-아스파르트산이나트륨 5.0 g, (S)-N-(2-히드록시에틸)-아스파르트산 이나트륨 5.0 g, (S,S)-N-(2-히드록시에틸)-에틸렌디아민디숙신산 사나트륨 5.0 g 및 푸마르산이나트륨 5.0 을 함유함) 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시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3 에 제시되어 있다.
실시예 48
1,3-프로판디아민디숙신산 사나트륨 1000g (PDDS-4Na) 및 불순물 염 15.0 g (말레산 이나트륨 5.0 g, 푸마르산이나트륨 4.0 g, 1,3-프로판디아민모노숙신산 이나트륨 3.0 g 및 말산이나트륨 3.0 g 을 함유함) 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3 에 제시되어 있다.
실시예 49
(S,S)-1,3-프로판디아민디숙신산 사나트륨 1000g (SS-PDDS-4Na) 및 불순물 염 20.0 g ((S)-아스파르트산 이나트륨 5.0 g, (S)-3-히드록시프로필아스파르트산 이나트륨 5.0 g, (S,S)-3-히드록시프로필-1,3-프로판디아민디숙신산 사나트륨 5.0 g 및 푸마르산이나트륨 5.0 g 을 함유함) 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3 에 제시되어 있다.
실시예 50
(S,S)-2-히드록시-1,3-프로판디아민디숙신산 사나트륨 1000g (SS-PDDS-OH-4Na) 및 불순물 염 25.0 g ((S)-아스파르트산 이나트륨 15.0 g, (S)-N-(1,2-디히드록시프로필)-아스파르트산 이나트륨 5.0 g 및 푸마르산이나트륨 5.0 g 을 함유함) 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3 에 제시되어 있다.
실시예 51
불순물 염의 함량을 동일한 조성으로 5.0% 로 변화시키고 시험 조각에 적용되는 하중을 100 [g/cm2] 으로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46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3 에 제시되어 있다.
실시예 52
불순물 염의 함량을 동일한 조성으로 6.0% 로 변화시키고 시험 조각에 적용되는 하중을 100 [g/cm2] 으로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47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3 에 제시되어 있다.
실시예 53
불순물 염의 함량을 동일한 조성으로 8.0% 로 변화시키고 시험 조각에 적용되는 하중을 100 [g/cm2] 으로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48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3 에 제시되어 있다.
실시예 54
불순물 염의 함량을 동일한 조성으로 6.0% 로 변화시키고 시험 조각에 적용되는 하중을 100 [g/cm2] 으로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49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3 에 제시되어 있다.
실시예 55
불순물 염의 함량을 동일한 조성으로 8.0% 로 변화시키고 시험 조각에 적용되는 하중을 100 [g/cm2] 으로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50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3 에 제시되어 있다.
실시예 56
불순물 염의 함량을 동일한 조성으로 0.3% 로 변화시키고 시험 조각에 적용되는 하중을 300 [g/cm2] 으로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46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3 에 제시되어 있다.
실시예 57
불순물 염의 함량을 동일한 조성으로 0.2% 로 변화시키고 시험 조각에 적용되는 하중을 300 [g/cm2] 으로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47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3 에 제시되어 있다.
실시예 58
불순물 염의 함량을 동일한 조성으로 0.4% 로 변화시키고 시험 조각에 적용되는 하중을 300 [g/cm2] 으로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48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3 에 제시되어 있다.
실시예 59
불순물 염의 함량을 동일한 조성으로 0.2% 로 변화시키고 시험 조각에 적용되는 하중을 300 [g/cm2] 으로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49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3 에 제시되어 있다.
실시예 60
불순물 염의 함량을 동일한 조성으로 0.4% 로 변화시키고 시험 조각에 적용되는 하중을 300 [g/cm2] 으로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50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3 에 제시되어 있다.
실시예 61
에틸렌디아민디숙신산 1000g (EDDS) 및 불순물 산 25.0 g (말레산 8.0 g, 푸마르산 9.0 g, 에틸렌디아민모노숙신산 5.0 g 및 말산 3.0 g 을 함유함) 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3 에 제시되어 있다.
실시예 62
(S,S)-에틸렌디아민디숙신산 1000g (SS-EDDS) 및 불순물 산 20.0 g ((S)-아스파르트산 5.0 g, (S)-N-(2-히드록시에틸)-아스파르트산 5.0 g, (S,S)-N-(2-히드록시에틸)-에틸렌디아민디숙신산 5.0 g 및 푸마르산 5.0 을 함유함) 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3 에 제시되어 있다.
실시예 63
1,3-프로판디아민디숙신산 1000g (PDDS) 및 불순물 산 15.0 g (말레산 5.0 g, 푸마르산 4.0 g, 1,3-프로판디아민모노숙신산 3.0 g 및 말산 3.0 g 을 함유함) 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3 에 제시되어 있다.
실시예 64
(S,S)-1,3-프로판디아민디숙신산 1000g (SS-PDDS) 및 불순물 산 20.0 g ((S)-아스파르트산 5.0 g, (S)-3-히드록시프로필아스파르트산 5.0 g, (S,S)-3-히드록시프로필-1,3-프로판디아민디숙신산 5.0 g 및 푸마르산 5.0 g 을 함유함) 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3 에 제시되어 있다.
실시예 65
(S,S)-2-히드록시-1,3-프로판디아민디숙신산 1000g (SS-PDDS-OH) 및 불순물 산 25.0 g ((S)-아스파르트산 15.0 g, (S)-N-(1,2-디히드록시프로필)-아스파르트산 5.0 g 및 푸마르산 5.0 g 을 함유함) 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3 에 제시되어 있다.
실시예 66
불순물 산의 함량을 동일한 조성으로 5.0% 로 변화시키고 시험 조각에 적용되는 하중을 100 [g/cm2] 으로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61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3 에 제시되어 있다.
실시예 67
불순물 산의 함량을 동일한 조성으로 6.0% 로 변화시키고 시험 조각에 적용되는 하중을 100 [g/cm2] 으로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62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3 에 제시되어 있다.
실시예 68
불순물 산의 함량을 동일한 조성으로 8.0% 로 변화시키고 시험 조각에 적용되는 하중을 100 [g/cm2] 으로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63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3 에 제시되어 있다.
실시예 69
불순물 산의 함량을 동일한 조성으로 6.0% 로 변화시키고 시험 조각에 적용되는 하중을 100 [g/cm2] 으로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64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3 에 제시되어 있다.
실시예 70
불순물 산의 함량을 동일한 조성으로 8.0% 로 변화시키고 시험 조각에 적용되는 하중을 100 [g/cm2] 으로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65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3 에 제시되어 있다.
실시예 71
불순물 산의 함량을 동일한 조성으로 0.3% 로 변화시키고 시험 조각에 적용되는 하중을 300 [g/cm2] 으로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61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3 에 제시되어 있다.
실시예 72
불순물 산의 함량을 동일한 조성으로 0.2% 로 변화시키고 시험 조각에 적용되는 하중을 300 [g/cm2] 으로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62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3 에 제시되어 있다.
실시예 73
불순물 산의 함량을 동일한 조성으로 0.4% 로 변화시키고 시험 조각에 적용되는 하중을 300 [g/cm2] 으로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63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3 에 제시되어 있다.
실시예 74
불순물 산의 함량을 동일한 조성으로 0.2% 로 변화시키고 시험 조각에 적용되는 하중을 300 [g/cm2] 으로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64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3 에 제시되어 있다.
실시예 75
불순물 산의 함량을 동일한 조성으로 0.4% 로 변화시키고 시험 조각에 적용되는 하중을 300 [g/cm2] 으로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65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3 에 제시되어 있다.
실시예 76
에틸렌디아민디숙신산 철암모늄 1000g (EDDS-Fe-NH4) 및 불순물 염 25.0 g (말레산염 8.0 g, 푸마르산염 9.0 g, 에틸렌디아민모노숙신산염 5.0 g 및 말산염 3.0 g 을 함유함) 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3 에 제시되어 있다.
실시예 77
에틸렌디아민디숙신산 구리 이나트륨 1000g (EDDS-Cu-2Na) 및 불순물 염 25.0 g (말레산염 8.0 g, 푸마르산염 9.0 g, 에틸렌디아민모노숙신산염 5.0 g 및 말산염 3.0 g 을 함유함) 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3 에 제시되어 있다.
실시예 78
에틸렌디아민디숙신산 니켈 이나트륨 1000g (EDDS-Ni-2Na) 및 불순물 염 25.0 g (말레산염 8.0 g, 푸마르산염 9.0 g, 에틸렌디아민모노숙신산염 5.0 g 및 말산염 3.0 g 을 함유함) 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3 에 제시되어 있다.
실시예 79
(S,S)-에틸렌디아민디숙신산 철 암모늄 1000g (SS-EDDS-Fe-NH4) 및 불순물 염 20.0 g ((S)-아스파르트산염 5.0 g, (S)-N-(2-히드록시에틸)-아스파르트산염 5.0 g, (S,S)-N-(2-히드록시에틸)-에틸렌디아민디숙신산염 5.0 g 및 푸마르산염 5.0 g 을 함유함) 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3 에 제시되어 있다.
실시예 80
(S,S)-에틸렌디아민디숙신산 구리 이나트륨 1000g (SS-EDDS-Cu-2Na) 및 불순물 염 20.0 g ((S)-아스파르트산염 5.0 g, (S)-N-(2-히드록시에틸)-아스파르트산염 5.0 g, (S,S)-N-(2-히드록시에틸)-에틸렌디아민디숙신산염 5.0 g 및 푸마르산염 5.0 g 을 함유함) 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시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3 에 제시되어 있다.
실시예 81
(S,S)-에틸렌디아민디숙신산 니켈 이나트륨 1000g (SS-EDDS-Ni-2Na) 및 불순물 염 20.0 g ((S)-아스파르트산염 5.0 g, (S)-N-(2-히드록시에틸)-아스파르트산염 5.0 g, (S,S)-N-(2-히드록시에틸)-에틸렌디아민디숙신산염 5.0 g 및 푸마르산염 5.0 g 을 함유함) 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시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3 에 제시되어 있다.
실시예 82
(S,S)-1,3-프로판디아민디숙신산 철 암모늄 1000g (SS-PDDS-Fe-NH4) 및 불순물 염 20.0 g ((S)-아스파르트산염 5.0 g, (S)-3-히드록시프로필아스파르트산염 5.0 g, (S,S)-3-히드록시프로필-1,3-프로판디아민디숙신산염 5.0 g 및 푸마르산염 5.0 g 을 함유함) 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시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3 에 제시되어 있다.
실시예 83
(S,S)-1,3-프로판디아민디숙신산 구리 이나트륨 1000g (SS-PDDS-Cu-2Na) 및 불순물 나트륨 염 20.0 g ((S)-아스파르트산염 5.0 g, (S)-3-히드록시프로필아스파르트산염 5.0 g, (S,S)-3-히드록시프로필-1,3-프로판디아민디숙신산염 5.0 g 및 푸마르산염 5.0 g 을 함유함) 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시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3 에 제시되어 있다.
실시예 84
(S,S)-1,3-프로판디아민디숙신산 니켈 이나트륨 1000g (SS-PDDS-Ni-2Na) 및 불순물 나트륨 염 20.0 g ((S)-아스파르트산염 5.0 g, (S)-3-히드록시프로필아스파르트산염 5.0 g, (S,S)-3-히드록시프로필-1,3-프로판디아민디숙신산염 5.0 g 및 푸마르산염 5.0 g 을 함유함) 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시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3 에 제시되어 있다.
비교예 16
불순물 염의 함량을 동일한 조성으로 10% 로 변화시키고 시험 조각에 적용되는 하중을 100 [g/cm2] 으로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46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4 에 제시되어 있다.
비교예 17
불순물 염의 함량을 동일한 조성으로 15% 로 변화시키고 시험 조각에 적용되는 하중을 100 [g/cm2] 으로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47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4 에 제시되어 있다.
비교예 18
불순물 염의 함량을 동일한 조성으로 20% 로 변화시키고 시험 조각에 적용되는 하중을 100 [g/cm2] 으로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48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4 에 제시되어 있다.
비교예 19
불순물 산의 함량을 동일한 조성으로 30% 로 변화시키고 시험 조각에 적용되는 하중을 100 [g/cm2] 으로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49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4 에 제시되어 있다.
비교예 20
불순물 염의 함량을 동일한 조성으로 20% 로 변화시키고 시험 조각에 적용되는 하중을 100 [g/cm2] 으로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50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4 에 제시되어 있다.
비교예 21
불순물 염의 함량을 동일한 조성으로 15% 로 변화시키고 시험 조각에 적용되는 하중을 100 [g/cm2] 으로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61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4 에 제시되어 있다.
비교예 22
불순물 염의 함량을 동일한 조성으로 15% 로 변화시키고 시험 조각에 적용되는 하중을 100 [g/cm2] 으로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62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4 에 제시되어 있다.
비교예 23
불순물 염의 함량을 동일한 조성으로 10% 로 변화시키고 시험 조각에 적용되는 하중을 100 [g/cm2] 으로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63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4 에 제시되어 있다.
비교예 24
불순물 염의 함량을 동일한 조성으로 15% 로 변화시키고 시험 조각에 적용되는 하중을 100 [g/cm2] 으로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64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4 에 제시되어 있다.
비교예 25
불순물 염의 함량을 동일한 조성으로 20% 로 변화시키고 시험 조각에 적용되는 하중을 100 [g/cm2] 으로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65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4 에 제시되어 있다.
비교예 26
불순물 염의 함량을 동일한 조성으로 30% 로 변화시키고 시험 조각에 적용되는 하중을 100 [g/cm2] 으로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79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4 에 제시되어 있다.
비교예 27
불순물 염의 함량을 동일한 조성으로 20% 로 변화시키고 시험 조각에 적용되는 하중을 100 [g/cm2] 으로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80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4 에 제시되어 있다.
비교예 28
불순물 염의 함량을 동일한 조성으로 15% 로 변화시키고 시험 조각에 적용되는 하중을 100 [g/cm2] 으로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81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4 에 제시되어 있다.
실시예 화학식 1 의 화합물 불순물 함량 [중량%] 하중[kg] 2 달 저장후 압축 강도 [kg/cm2]
4647484950515253545556575859606162636465666768 EDDS-4NaSS-EDDS-4NaPDDS-4NaSS-PDDS-4NaPDDS-OH-4NaEDDS-4NaSS-EDDS-4NaPDDS-4NaSS-PDDS-4NaPDDS-OH-4NaEDDS-4NaSS-EDDS-4NaPDDS-4NaSS-PDDS-4NaPDDS-OH-4NaEDDSSS-EDDSPDDSSS-PDDSPDDS-OHEDDSSS-EDDSPDDS 2.42.01.52.02.45.06.08.06.08.00.30.20.40.20.42.42.01.52.02.45.06.08.0 200200200200200100100100100100300300300300300200200200200200100100100 1.11.21.01.31.21.21.00.80.91.20.80.91.01.11.20.91.01.10.91.00.81.11.2
실시예 화학식 1 의 화합물 불순물 함량 [중량%] 하중[kg] 2 달 저장후 압축 강도 [kg/cm2]
69707172737475767778798081828384 SS-PDDSPDDS-OHEDDSSS-EDDSPDDSSS-PDDSPDDS-OHEDDS-Fe-NH4EDDS-Cu-2NaEDDS-Ni-2NaSS-EDDS-Fe-NH4 SS-EDDS-Cu-2Na SS-EDDS-Ni-2Na SSS-PDDS-Fe-2NH4 SS-PDDS-Cu-2Na SS-PDDS-Ni-2Na 6.08.00.30.20.40.20.42.42.42.02.02.02.02.02.02.0 100100300300300300300200200200200200200200200200 1.00.81.21.31.11.21.01.11.21.00.91.01.21.11.31.0
비교예 화학식 1 의 화합물 불순물 함량 [중량%] 하중[kg] 2 달 저장후 압축 강도 [kg/cm2]
16171819202122232425262728 EDDS-4NaSS-EDDS-4NaPDDS-4NaSS-PDDS-4NaSS-PDDS-OH-4NaEDDSSS-EDDSPDDSSS-PDDSSS-PDDS-OHSS-EDDS-Fe-NH4SS-EDDS-Cu-2NaSS-EDDS-Ni 10152030201515101520302015 100100100100100100100100100100100100100 2.82.93.02.92.72.82.52.72.82.52.72.82.5
실시예 85
(S)-아스파르트산-N-모노아세트산의 삼나트륨염 1000 g (ASMA-3Na) 및 불순물 염 250 g (아스파르트산 이나트륨 183 g, 푸마르산 이나트륨 40 g, 글리신 일나트륨 염 22 g 및 말산 이나트륨 5 g 을 함유함) 을 함유하는 건조 분말을 전열 가열기가 외부에 구비된 스테인레스 스틸 용기내 물 1500 g 에 용해시켜 밝은 노란색의 투명한 수용액을 제조했다. 이 수용액을 50 ℃ 에서 60 일 동안 유지한 다음 성분들을 HPLC 에 의해 분석하고, 동시에 용액의 외관을 관찰했다. 결과는 표 5 에 제시되어 있다.
실시예 86
(S)-아스파르트산-N,N-디아세트산 사나트륨염 1000g (ASDA-4Na) 및 불순물 염 200 g (푸마르산 이나트륨 82 g, 아스파르트산 이나트륨 62 g, 이미노디아세트산 이나트륨 43 g, 말산 이나트륨 11 g 및 니트릴로트리아세트산 삼나트륨 2 g 을 함유함) 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85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5 에 제시되어 있다.
실시예 87
(S)-아스파르트산-N-모노프로피온산 삼나트륨 염 1000g (ASMP-3Na) 및 불순물 염 150 g (아스파르트산 이나트륨 55 g, 푸마르산 이나트륨 31 g, β-알라닌 일나트륨 염 31 g, 이미노디프로피온산 이나트륨 24 g, 말산 이나트륨 7 g 및 아크릴산 나트륨 2 g 을 함유함) 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85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5 에 제시되어 있다.
실시예 88
(S)-α-알라닌-N,N-디아세트산 삼나트륨 염 1000g (S-ALDA-3Na) 및 불순물 염 200 g (α-알라닌 일나트륨 염 100 g, 글리신 일나트륨 염 40 g, 이미노디아세트산 이나트륨 30 g, 및 니트릴로트리아세트산 삼나트륨 30 g 을 함유함) 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85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5 에 제시되어 있다.
실시예 89
불순물 염의 함량이 동일한 조성으로 2.5% 이고, 수용액내 화학식 1 의 화합물의 함량이 49.4% 이고 수용액을 75 ℃ 로 유지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85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5 에 제시되어 있다.
실시예 90
불순물 염의 함량이 동일한 조성으로 2.0% 이고, 수용액내 화학식 1 의 화합물의 함량이 49.5% 이고 수용액을 75 ℃ 로 유지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86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5 에 제시되어 있다.
실시예 91
불순물 염의 함량이 동일한 조성으로 1.0% 이고, 수용액내 화학식 1 의 화합물의 함량이 49.8% 이고 수용액을 75 ℃ 로 유지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87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5 에 제시되어 있다.
실시예 92
불순물 염의 함량이 동일한 조성으로 1.2% 이고, 수용액내 화학식 1 의 화합물의 함량이 49.5% 이고 수용액을 75 ℃ 로 유지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88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5 에 제시되어 있다.
실시예 93
불순물 염의 함량이 동일한 조성으로 10.0% 이고, 수용액내 화학식 1 의 화합물의 함량이 65.4% 이고 수용액을 65 ℃ 로 유지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85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5 에 제시되어 있다.
실시예 94
불순물 염의 함량이 동일한 조성으로 10.0% 이고, 수용액내 화학식 1 의 화합물의 함량이 65.4% 이고 수용액을 65 ℃ 로 유지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86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5 에 제시되어 있다.
실시예 95
불순물 염의 함량이 동일한 조성으로 10.0% 이고, 수용액내 화학식 1 의 화합물의 함량이 65.4% 이고 수용액을 65 ℃ 로 유지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87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5 에 제시되어 있다.
실시예 96
불순물 염의 함량이 동일한 조성으로 10.0% 이고, 수용액내 화학식 1 의 화합물의 함량이 65.4% 이고 수용액을 65 ℃ 로 유지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88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5 에 제시되어 있다.
실시예 97
불순물 염의 함량이 동일한 조성으로 2.5% 이고, 수용액내 화학식 1 의 화합물의 함량이 78.4% 이고 수용액을 70 ℃ 로 유지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85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5 에 제시되어 있다.
실시예 98
불순물 염의 함량이 동일한 조성으로 2.0% 이고, 수용액내 화학식 1 의 화합물의 함량이 78.7% 이고 수용액을 70 ℃ 로 유지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86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5 에 제시되어 있다.
실시예 99
불순물 염의 함량이 동일한 조성으로 1.0% 이고, 수용액내 화학식 1 의 화합물의 함량이 79.4% 이고 수용액을 70 ℃ 로 유지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87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5 에 제시되어 있다.
실시예 100
타우린-N,N-디아세트산의 삼나트륨염 1000 g (TUDA-3Na) 및 불순물 염 250 g (타우린 일나트륨염 50 g, 글리콜산 이나트륨 50 g, 글리신 일나트륨 염 50 g, 이미노디아세트산 이나트륨 50 g 및 니트릴로트리아세트산 삼나트륨 50 g 을 함유함) 을 함유하는 건조 분말을 전열 가열기가 외부에 구비된 스테인레스 스틸 용기내 물 1500 g 에 용해시켜 밝은 노란색의 투명한 수용액을 제조했다. 이 수용액을 50 ℃ 에서 60 일 동안 유지한 다음 성분들을 HPLC 에 의해 분석하고 동시에 용액의 외관을 관찰했다. 결과는 표 5 에 제시되어 있다.
실시예 101
N-메틸이미노디아세트산 이나트륨 1000g (MIDA-2Na) 및 불순물 염 200 g (글리콜산 이나트륨 50 g, 글리신 일나트륨 염 50 g, 이미노디아세트산 이나트륨 50 g 및 니트릴로트리아세트산 삼나트륨 50 g 을 함유함) 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00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시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5 에 제시되어 있다.
실시예 102
안트라닐산-N,N-디아세트산 삼나트륨 염 1000g (ANTDA-3Na) 및 불순물 염 150 g (안트라닐산 일나트륨 30 g, 글리콜산 이나트륨 60 g, 글리신 일나트륨 염 30 g, 이미노디아세트산 이나트륨 30 g 및 니트릴로트리아세트산 삼나트륨 30 g 을 함유함) 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00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5 에 제시되어 있다.
실시예 103
불순물 염의 함량이 동일한 조성으로 2.5% 이고, 수용액내 화학식 1 의 화합물의 함량이 49.4% 이고 수용액을 75 ℃ 로 유지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00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5 에 제시되어 있다.
실시예 104
불순물 염의 함량이 동일한 조성으로 2.0% 이고, 수용액내 화학식 1 의 화합물의 함량이 49.5% 이고 수용액을 75 ℃ 로 유지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01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5 에 제시되어 있다.
실시예 105
불순물 염의 함량이 동일한 조성으로 1.0% 이고, 수용액내 화학식 1 의 화합물의 함량이 49.8% 이고 수용액을 75 ℃ 로 유지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02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5 에 제시되어 있다.
실시예 106
불순물 염의 함량이 동일한 조성으로 10.0% 이고, 수용액내 화학식 1 의 화합물의 함량이 65.4% 이고 수용액을 65 ℃ 로 유지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00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5 에 제시되어 있다.
실시예 107
불순물 염의 함량이 동일한 조성으로 10.0% 이고, 수용액내 화학식 1 의 화합물의 함량이 65.4% 이고 수용액을 65 ℃ 로 유지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01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5 에 제시되어 있다.
실시예 108
불순물 염의 함량이 동일한 조성으로 10.0% 이고, 수용액내 화학식 1 의 화합물의 함량이 78.4% 이고 수용액을 70 ℃ 로 유지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02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5 에 제시되어 있다.
실시예 109
불순물 염의 함량이 동일한 조성으로 2.0% 이고, 수용액내 화학식 1 의 화합물의 함량이 78.7% 이고 수용액을 70 ℃ 로 유지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01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5 에 제시되어 있다.
실시예 110
안트라닐산-N,N-디아세트산 철 염 1000g (ANTDA-Fe) 및 불순물 Fe 염 20 g (안트라닐산염 4 g, 글리콜산염 8 g, 글리신 염 4 g, 이미노디아세트산염 4 g 및 니트릴로트리아세트산염 4 g 을 함유함) 을 사용하며, 수용액내 화학식 1 의 화합물의 함량이 49.4% 이고 수용액을 40 ℃ 로 유지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00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5 에 제시되어 있다.
실시예 111
안트라닐산-N,N-디아세트산 철 염 1000g (ANTDA-Fe) 및 불순물 Fe 염 10 g (안트라닐산염 2 g, 글리콜산염 4 g, 글리신 염 2 g, 이미노디아세트산염 2 g 및 니트릴로트리아세트산염 2 g 을 함유함) 을 사용하며, 수용액내 화학식 1 의 화합물의 함량이 39.8% 이고 수용액을 40 ℃ 로 유지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00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5 에 제시되어 있다.
비교예 29
불순물 염의 함량이 동일한 조성으로 35.0% 이고, 수용액내 화학식 1 의 화합물의 함량이 35.1% 이고 수용액을 50 ℃ 로 유지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85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6 에 제시되어 있다.
비교예 30
불순물 염의 함량이 동일한 조성으로 35.0% 이고, 수용액내 화학식 1 의 화합물의 함량이 35.1% 이고 수용액을 50 ℃ 로 유지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86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6 에 제시되어 있다.
비교예 31
불순물 염의 함량이 동일한 조성으로 35.0% 이고, 수용액내 화학식 1 의 화합물의 함량이 35.1% 이고 수용액을 50 ℃ 로 유지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87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6 에 제시되어 있다.
비교예 32
불순물 염의 함량이 동일한 조성으로 35.0% 이고, 수용액내 화학식 1 의 화합물의 함량이 35.1% 이고 수용액을 50 ℃ 로 유지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88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6 에 제시되어 있다.
비교예 33
불순물 염의 함량이 동일한 조성으로 50.0% 이고, 수용액내 화학식 1 의 화합물의 함량이 33.3% 이고 수용액을 50 ℃ 로 유지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85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6 에 제시되어 있다.
비교예 34
불순물 염의 함량이 동일한 조성으로 35.0% 이고, 수용액내 화학식 1 의 화합물의 함량이 35.1% 이고 수용액을 75 ℃ 로 유지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85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6 에 제시되어 있다.
비교예 35
불순물 염의 함량이 동일한 조성으로 28.0% 이고, 수용액내 화학식 1 의 화합물의 함량이 51.4% 이고 수용액을 60 ℃ 로 유지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85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6 에 제시되어 있다.
비교예 36
불순물 염의 함량이 동일한 조성으로 35.0% 이고, 수용액내 화학식 1 의 화합물의 함량이 35.1% 이고 수용액을 50 ℃ 로 유지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86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6 에 제시되어 있다.
비교예 37
불순물 염의 함량이 동일한 조성으로 35.0% 이고, 수용액내 화학식 1 의 화합물의 함량이 35.1% 이고 수용액을 50 ℃ 로 유지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00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6 에 제시되어 있다.
비교예 38
불순물 염의 함량이 동일한 조성으로 35.0% 이고, 수용액내 화학식 1 의 화합물의 함량이 35.1% 이고 수용액을 50 ℃ 로 유지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01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6 에 제시되어 있다.
비교예 39
불순물 염의 함량이 동일한 조성으로 35.0% 이고, 수용액내 화학식 1 의 화합물의 함량이 35.1% 이고 수용액을 50 ℃ 로 유지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02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6 에 제시되어 있다.
비교예 40
불순물 염의 함량이 동일한 조성으로 50.0% 이고, 수용액내 화학식 1 의 화합물의 함량이 33.3% 이고 수용액을 50 ℃ 로 유지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00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6 에 제시되어 있다.
비교예 41
불순물 염의 함량이 동일한 조성으로 35.0% 이고, 수용액내 화학식 1 의 화합물의 함량이 35.1% 이고 수용액을 75 ℃ 로 유지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01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6 에 제시되어 있다.
비교예 42
불순물 염의 함량이 동일한 조성으로 28.0% 이고, 수용액내 화학식 1 의 화합물의 함량이 43.8% 이고 수용액을 40 ℃ 로 유지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10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6 에 제시되어 있다.
실시예 화학식 1 의화합물 불순물 함량*중량% 유지 온도℃ 60 일 동안 유지 전후의 변화**
중량% 외관
85 S-ASMA-3Na 25.0 50 36.4↓35.4 밝은 노란색 투명 수용액↓밝은 노란색 투명 수용액
86 S-ASDA-4Na 20.0 50 37.0↓36.4 밝은 노란색 투명 수용액↓밝은 노란색 투명 수용액
87 S-ASMP-3Na 15.0 50 37.8↓37.8 밝은 노란색 투명 수용액↓밝은 노란색 투명 수용액
88 S-ALDA-3Na 20.0 50 37.0↓36.5 밝은 노란색 투명 수용액↓밝은 노란색 투명 수용액
89 S-ASMA-3Na 2.5 75 49.4↓49.4 무색 투명 수용액↓무색 투명 수용액
90 S-ASDA-4Na 2.0 75 49.5↓49.5 무색 투명 수용액↓무색 투명 수용액
91 S-ASMP-3Na 1.0 75 49.8↓49.8 무색 투명 수용액↓무색 투명 수용액
92 S-ALDA-3Na 1.0 75 49.8↓49.8 무색 투명 수용액↓무색 투명 수용액
93 S-ASMA-4Na 10.0 65 65.4↓63.7 밝은 노란색 슬러리↓밝은 노란색 슬러리
실시예 화학식 1 의화합물 불순물 함량*중량% 유지 온도℃ 60 일 동안 유지 전후의 변화**
중량% 외관
94 S-ASDA-4Na 10.0 65 65.4↓64.5 밝은 노란색 슬러리↓밝은 노란색 슬러리
95 S-ASMP-3Na 10.0 65 65.4↓65.4 밝은 노란색 슬러리↓밝은 노란색 슬러리
96 S-ALDA-3Na 10.0 65 65.4↓64.7 밝은 노란색 슬러리↓밝은 노란색 슬러리
97 S-ASMA-3Na 2.5 70 78.4↓76.8 흰색 슬러리↓흰색 슬러리
98 S-ASDA-4Na 2.0 70 78.7↓78.5 흰색 슬러리↓흰색 슬러리
99 S-ASMP-3Na 1.0 70 79.4↓79.4 흰색 슬러리↓흰색 슬러리
100 TUDA-3Na 25.0 50 36.4↓34.7 밝은 노란색 투명 수용액↓밝은 노란색 투명 수용액
101 MIDA-2Na 20.0 50 37.0↓36.6 밝은 노란색 투명 수용액↓밝은 노란색 투명 수용액
102 ANTDA-3Na 15.0 50 37.8↓37.8 밝은 노란색 투명 수용액↓밝은 노란색 투명 수용액
실시예 화학식 1 의화합물 불순물 함량*중량% 유지 온도℃ 60 일 동안 유지 전후의 변화**
중량% 외관
103 TUDA-3Na 2.5 75 49.4↓49.4 무색 투명 수용액↓무색 투명 수용액
104 MIDA-2Na 2.0 75 49.5↓49.5 무색 투명 수용액↓무색 투명 수용액
105 ANTDA-3Na 1.0 75 49.8↓49.8 무색 투명 수용액↓무색 투명 수용액
106 TUDA-3Na 10.0 65 65.4↓63.7 밝은 노란색 슬러리↓밝은 노란색 슬러리
107 MIDA-2Na 10.0 65 65.4↓64.5 밝은 노란색 슬러리↓밝은 노란색 슬러리
108 TUDA-3Na 2.5 70 78.4↓76.9 흰색 슬러리↓흰색 슬러리
109 MIDA-2Na 2.0 70 78.7↓78.5 흰색 슬러리↓흰색 슬러리
110 ANTDA-Fe 2.0 40 49.5↓49.3 붉은 갈색 수용액↓붉은 갈색 수용액
111 ANTDA-Fe 1.0 40 39.8↓39.8 붉은 갈색 수용액↓붉은 갈색 수용액
*(불순물 함량) ={(불순물 중량)/(화학식 1 의 화합물 중량)}×100 [중량%]
** 중량% : 수용액내 화학식 1 의 화합물 함량
상단열 : 60 일 동안 주어진 온도하에 유지하기 전 (수용액 제조 직후)
하단열 : 60 일 동안 유지한 후
비교예 화학식 1 의화합물 불순물 함량*중량% 유지 온도℃ 60 일 동안 유지 전후의 변화**
중량% 외관
29 S-ASMA-3Na 35.0 50 35.1↓31.1 밝은 노란색 투명 수용액↓갈색 수용액
30 S-ASDA-4Na 35.0 50 35.1↓31.8 밝은 노란색 투명 수용액↓갈색 수용액
31 S-ASMP-3Na 35.0 50 33.3↓33.2 밝은 노란색 투명 수용액↓갈색 수용액
32 S-ALDA-3Na 35.0 50 35.1↓31.8 밝은 노란색 투명 수용액↓갈색 수용액
33 S-ASMA-3Na 50.0 50 33.3↓30.5 밝은 노란색 투명 슬러리↓갈색 슬러리
34 S-ASMA-4Na 35.0 75 35.1↓30.6 밝은 노란색 투명 수용액↓갈색 수용액
35 S-ASMA-3Na 28.0 60 51.4↓47.3 밝은 노란색 투명 슬러리↓갈색 슬러리
36 S-ASDA-4Na 28.0 60 51.4↓48.3 밝은 노란색 투명 슬러리↓갈색 슬러리
37 TUDA-3N 35.0 50 35.1↓30.4 밝은 노란색 투명 수용액↓갈색 투명 수용액
실시예 화학식 1 의화합물 불순물 함량*중량% 유지 온도℃ 60 일 동안 유지 전후의 변화**
중량% 외관
38 MIDA-2Na 35.0 50 35.1↓29.9 밝은 노란색 투명 수용액↓갈색 수용액
39 ANTDA-3Na 35.0 50 35.1↓31.8 밝은 노란색 투명 수용액↓갈색 수용액
40 TUDA-3Na 50.0 5 33.3↓29.5 밝은 노란색 투명 슬러리↓갈색 슬러리
41 MIDA-2Na 35.0 75 35.1↓29.6 밝은 노란색 투명 수용액↓밝은 노란색 투명 수용액
42 ANTDA-Fe 28.0 40 43.8↓40.6 붉은 갈색 수용액↓검은 갈색 수용액
*(불순물 함량) ={(불순물 중량)/(화학식 1 의 화합물 중량)}×100 [중량%]
** 중량% : 수용액내 화학식 1 의 화합물 함량
상단열 : 60 일 동안 주어진 온도하에 유지하기 전 (수용액 제조 직후)
하단열 : 60 일 동안 유지한 후
실시예 112
에틸렌디아민-N,N′-디숙신산 사나트륨염 1000 g (EDDS-4Na) 및 불순물 염 250 g (말레산 이나트륨 100 g, 푸마르산 이나트륨 100 g 및 에틸렌디아민모노숙신산 이나트륨 50 g 을 함유함) 을 함유하는 건조 분말을 전열 가열기가 외부에 구비된 스테인레스 스틸 용기내 물 1500 g 에 용해시켜 밝은 노란색의 투명한 수용액을 제조했다. 이 수용액을 50 ℃ 에서 60 일 동안 유지한 다음 성분들을 HPLC 에 의해 분석하고 동시에 용액의 외관을 관찰했다. 결과는 표 7 에 제시되어 있다.
실시예 113
(S,S)-에틸렌디아민-N,N′-디숙신산 사나트륨 1000g (SS-EDDS-4Na) 및 불순물 염 200 g ((S)-아스파르트산 이나트륨 40 g, (S)-N-(2-클로로에틸)-아스파르트산 이나트륨 40 g, (S)-N-(2-히드록시에틸)아스파르트산 이나트륨 40g, (S,S)-N-(2-히드록시에틸)-에틸렌디아민-N,N′-디숙신산 사나트륨 40 g 및 푸마르산 이나트륨 40 g 을 함유함) 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12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시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7 에 제시되어 있다.
실시예 114
1,3-프로판디아민-N,N′-디숙신산 사나트륨 1000g (PDDS-4Na) 및 불순물 염 250 g (말레산 이나트륨 100 g, 푸마르산 이나트륨 100 g 및 에틸렌디아민모노숙신산 이나트륨 50 g 을 함유함) 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12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7 에 제시되어 있다.
실시예 115
(S,S)-1,3-프로판디아민-N,N′-디숙신산 사나트륨 1000g (SS-PDDS-4Na) 및 불순물 염 200 g ((S)-아스파르트산 이나트륨 40 g, (S)-N-(2-클로로프로필)-아스파르트산 이나트륨 40 g, (S)-2-히드록시프로필아스파르트산 이나트륨 40g, (S,S)-N-(2-히드록시프로필)-1,3-프로판디아민-N,N′-디숙신산 사나트륨 40 g 및 푸마르산 이나트륨 40 g 을 함유함) 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12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시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7 에 제시되어 있다.
실시예 116
(S,S)-2-히드록시-1,3-프로판디아민-N,N′-디숙신산 사나트륨 1000g (SS-PDDS-OH-4Na) 및 불순물 염 150 g ((S)-아스파르트산 이나트륨 50 g, (S)-N-(1,2-디히드록시프로필)-아스파르트산 이나트륨 50 g, 및 푸마르산 이나트륨 50 g 을 함유함) 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12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시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7 에 제시되어 있다.
실시예 117
불순물 염의 함량이 동일한 조성으로 1.0% 이고, 수용액내 화학식 1 의 화합물의 함량이 49.8% 이고 수용액을 75 ℃ 로 유지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12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7 에 제시되어 있다.
실시예 118
불순물 염의 함량이 동일한 조성으로 10.0% 이고, 슬러리 용액내 화학식 1 의 화합물의 함량이 65.4% 이고 용액을 65 ℃ 로 유지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13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7 에 제시되어 있다.
실시예 119
불순물 염의 함량이 동일한 조성으로 10.0% 이고, 슬러리 용액내 화학식 1 의 화합물의 함량이 65.4% 이고 용액을 65 ℃ 로 유지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14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7 에 제시되어 있다.
실시예 120
불순물 염의 함량이 동일한 조성으로 2.5% 이고, 슬러리 용액내 화학식 1 의 화합물의 함량이 78.4% 이고 슬러리 용액을 70 ℃ 로 유지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15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7 에 제시되어 있다.
실시예 121
불순물 염의 함량이 동일한 조성으로 2.0% 이고, 슬러리 용액내 화학식 1 의 화합물의 함량이 78.7% 이고 용액을 70 ℃ 로 유지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16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7 에 제시되어 있다.
실시예 122
불순물 염의 함량이 동일한 조성으로 10.0% 이고, 수용액내 화학식 1 의 화합물의 함량이 74.1% 이고 용액을 40 ℃ 로 유지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12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7 에 제시되어 있다.
실시예 123
불순물 염의 함량이 동일한 조성으로 10.0% 이고, 슬러리 용액내 화학식 1 의 화합물의 함량이 74.1% 이고 용액을 40 ℃ 로 유지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14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7 에 제시되어 있다.
실시예 124
에틸렌디아민-N,N′-디숙신산 구리 이나트륨 1000 g (EDDS-Cu-2Na) 및 불순물 염 250 g (말레산 이나트륨 100 g, 푸마르산 이나트륨 100 g 및 에틸렌디아민모노숙신산 이나트륨 50 g 을 함유함) 을 함유하는 건조 분말을 전열 가열기가 외부에 구비된 스테인레스 스틸 용기내 물 1500 g 에 용해시켜 밝은 노란색의 투명한 수용액을 제조했다. 이 수용액을 50 ℃ 에서 60 일 동안 유지한 다음 성분들을 HPLC 에 의해 분석하고 동시에 용액의 외관을 관찰했다. 결과는 표 7 에 제시되어 있다.
실시예 125
(S,S)-에틸렌디아민-N,N′-디숙신산 철 암모늄 1000g (SS-EDDS-Fe-NH4) 및 불순물 염 200 g ((S)-아스파르트산 이암모늄 40 g, (S)-N-(2-클로로에틸)-아스파르트산 이암모늄 40 g, (S)-N-(2-히드록시에틸)아스파르트산 이암모늄 40g, (S,S)-N-(2-히드록시에틸)-에틸렌디아민-N,N′-디숙신산 사암모늄 40 g 및 푸마르산 이암모늄 40 g 을 함유함) 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12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시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7 에 제시되어 있다.
실시예 126
1,3-프로판디아민-N,N′-디숙신산 구리 이나트륨 1000g (PDDS-Cu-2Na) 및 불순물 염 250 g (말레산 이나트륨 100 g, 푸마르산 이나트륨 100 g 및 에틸렌디아민모노숙신산 이나트륨 50 g 을 함유함) 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12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시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7 에 제시되어 있다.
실시예 127
(S,S)-1,3-프로판디아민-N,N′-디숙신산 니켈 이나트륨 1000g (SS-PDDS-Ni-2Na) 및 불순물 염 200 g ((S)-아스파르트산 이나트륨 40 g, (S)-N-(2-클로로프로필)-아스파르트산 이나트륨 40 g, (S)-N-2-히드록시프로필아스파르트산 이나트륨 40g, (S,S)-N-(2-히드록시프로필)-1,3-프로판디아민-N,N′-디숙신산 사나트륨 40 g 및 푸마르산 이나트륨 40 g 을 함유함) 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12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시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7 에 제시되어 있다.
실시예 128
(S,S)-2-히드록시-1,3-프로판디아민-N,N′-디숙신산 구리 이나트륨 1000g (SS-PDDS-Cu-2Na) 및 불순물 염 150 g ((S)-아스파르트산 이나트륨 50 g, (S)-N-(1,2-디히드록시프로필)-아스파르트산 이나트륨 50 g, 및 푸마르산 이나트륨 50 g 을 함유함) 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12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시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7 에 제시되어 있다.
비교예 43
불순물 염의 함량이 동일한 조성으로 30.0% 이고, 수용액내 화학식 1 의 화합물의 함량이 35.7% 이고 수용액을 50 ℃ 로 유지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12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8 에 제시되어 있다.
비교예 44
불순물 염의 함량이 동일한 조성으로 30.0% 이고, 수용액내 화학식 1 의 화합물의 함량이 35.7% 이고 수용액을 50 ℃ 로 유지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13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8 에 제시되어 있다.
비교예 45
불순물 염의 함량이 동일한 조성으로 50.0% 이고, 수용액내 화학식 1 의 화합물의 함량이 33.3% 이고 수용액을 50 ℃ 로 유지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14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8 에 제시되어 있다.
비교예 46
불순물 염의 함량이 동일한 조성으로 40.0% 이고, 수용액내 화학식 1 의 화합물의 함량이 41.6% 이고 수용액을 75 ℃ 로 유지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15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8 에 제시되어 있다.
비교예 47
불순물 염의 함량이 동일한 조성으로 30.0% 이고, 수용액내 화학식 1 의 화합물의 함량이 43.5% 이고 수용액을 75 ℃ 로 유지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16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8 에 제시되어 있다.
비교예 48
불순물 염의 함량이 동일한 조성으로 30.0% 이고, 수용액내 화학식 1 의 화합물의 함량이 35.7% 이고 수용액을 50 ℃ 로 유지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24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8 에 제시되어 있다.
비교예 49
불순물 염의 함량이 동일한 조성으로 30.0% 이고, 수용액내 화학식 1 의 화합물의 함량이 35.7% 이고 슬러리 용액을 50 ℃ 로 유지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25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8 에 제시되어 있다.
비교예 50
불순물 염의 함량이 동일한 조성으로 30.0% 이고, 수용액내 화학식 1 의 화합물의 함량이 35.7% 이고 수용액을 50 ℃ 로 유지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26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8 에 제시되어 있다.
비교예 51
불순물 염의 함량이 동일한 조성으로 30.0% 이고, 수용액내 화학식 1 의 화합물의 함량이 43.5% 이고 슬러리 용액을 75 ℃ 로 유지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27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8 에 제시되어 있다.
비교예 52
불순물 염의 함량이 동일한 조성으로 30.0% 이고, 수용액내 화학식 1 의 화합물의 함량이 43.5% 이고 수용액을 75 ℃ 로 유지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28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결과는 표 8 에 제시되어 있다.
불순물 염이 화학식 1 의 화합물에 대해 대량으로 수용액 또는 슬러리 내에 존재하는 경우에, 화학식 1 의 화합물의 분해로 인한 순도의 열화 및 착색이 저장 중에 진행됨이 상기 실시예로부터 명확해 진다.
본 발명에 따라, 고체의 형태로 취급하기 상당히 어려웠던 화학식 1 의 화합물을, 수용액 또는 슬러리가 유지되는 적당한 온도 또는 적당한 물 함량을 설정하고 공존하는 불순물 염의 함량을 감소시켜 성분들의 분해로 인한 순도의 열화 또는 착색 없이 장기간 동안 안정하게 수용액 또는 슬러리로서 저장 또는 취급할 수 있다.
실시예 화학식 1 의화합물 불순물 함량*중량% 유지 온도℃ 60 일 동안 유지 전후의 변화**
중량% 외관
112 EDDS-4Na 25.0 50 36.4↓36.4 밝은 노란색 투명 수용액↓밝은 노란색 투명 수용액
113 SS-EDDS-4Na 20.0 50 37.0↓35.6 밝은 노란색 투명 수용액↓밝은 노란색 투명 수용액
114 PDDS-4Na 25.0 50 36.4↓36.4 밝은 노란색 투명 수용액↓밝은 노란색 투명 수용액
115 SS-PDDS-4Na 20.0 75 45.4↓44.3 무색 투명 수용액↓무색 투명 수용액
116 SS-OPDDS-4Na 15.0 75 46.5↓44.7 무색 투명 수용액↓무색 투명 수용액
117 EDDS-4Na 1.0 75 49.8↓49.8 무색 투명 수용액↓무색 투명 수용액
118 SS-EDDS-4Na 10.0 65 65.4↓65.4 밝은 노란색 슬러리↓밝은 노란색 슬러리
119 PDDS-4Na 10.0 65 65.4↓65.4 밝은 노란색 슬러리↓밝은 노란색 슬러리
120 SS-PDDS-4Na 2.5 70 78.4↓78.4 흰색 슬러리↓흰색 슬러리
실시예 화학식 1 의화합물 불순물 함량*중량% 유지 온도℃ 60 일 동안 유지 전후의 변화**
중량% 외관
121 SS-OPDDS-4Na 2.0 70 78.7↓78.7 흰색 슬러리↓흰색 슬러리
122 EDDS-4Na 10.0 40 74.1↓74.1 흰색 슬러리↓흰색 슬러리
123 PDDS-4Na 10.0 40 74.1↓74.1 흰색 슬러리↓흰색 슬러리
124 EDDS-Cu-2Na 25.0 50 36.4↓36.3 어두운 청색 투명 수용액↓어두운 청색 투명 수용액
125 SS-EDDS-Fe-NH4 20.0 50 37.0↓36.5 붉은 갈색 수용액↓붉은 갈색 수용액
126 PDDS-Cu-2Na 25.0 50 36.4↓36.4 어두운 청색 투명 수용액↓어두운 청색 투명 수용액
127 SS-PDDS-Ni-2Na 20.0 75 45.4↓44.0 청색 투명 수용액↓청색 투명 수용액
128 SS-PDDS-OH-Cu-2Na 15.0 75 49.4↓47.9 어두운 청색 투명 수용액↓어두운 청색 투명 수용액
*(불순물 함량) ={(불순물 중량)/(화학식 1 의 화합물 중량)}×100 [중량%]
** 중량% : 수용액내 화학식 1 의 화합물 함량
상단열 : 60 일 동안 주어진 온도하에 유지하기 전 (수용액 제조 직후)
하단열 : 60 일 동안 유지한 후
비교예 화학식 1 의화합물 불순물 함량*중량% 유지 온도℃ 60 일 동안 유지 전후의 변화**
중량% 외관
43 EDDS-4Na 30.0 50 35.7↓35.7 밝은 노란색 투명 수용액↓밝은 노란색 투명 수용액
44 SS-EDDS-4Na 30.0 50 35.7↓34.4 밝은 노란색 투명 수용액↓밝은 노란색 투명 수용액
45 PDDS-4Na 50.0 50 33.3↓33.3 밝은 노란색 투명 수용액↓밝은 노란색 투명 수용액
46 SS-PDDS-4Na 40.0 75 41.6↓40.7 무색 투명 수용액↓무색 투명 수용액
47 SS-PDDS-OH-4Na 30.0 75 43.5↓41.8 무색 투명 수용액↓무색 투명 수용액
48 EDDS-Cu-2Na 30.0 50 35.7↓31.4 어두운 청색 투명 수용액↓어두운 청색 투명 수용액
49 SS-EDDS-Fe-NH4 30.0 50 35.7↓29.9 붉은 갈색 수용액↓검은 갈색 투명 수용액
50 PDDS-Cu-2Na 30.0 50 35.7↓32.2 어두운 청색 투명 수용액↓어두운 청색 투명 수용액
51 SS-PDDS-Ni-2Na 30.0 75 43.5↓38.7 청색 투명 수용액↓청색 투명 수용액
비교예 화학식 1 의화합물 불순물 함량*중량% 유지 온도℃ 60 일 동안 유지 전후의 변화**
중량% 외관
52 SS-PDDS-OH-Cu-2Na 30.0 75 43.5↓38.7 어두운 청색 투명 수용액↓어두운 청색 투명 수용액
*(불순물 함량) ={(불순물 중량)/(화학식 1 의 화합물 중량)}×100 [중량%]
** 중량% : 수용액내 화학식 1 의 화합물 함량
상단열 : 60 일 동안 주어진 온도하에 유지하기 전 (수용액 제조 직후)
하단열 : 60 일 동안 유지한 후
[세정제 조성물]
세정성 측정 방법
1) 인위적인 오염물 제조
결정형 광물인 카올리나이트, 베미큘라이트 등으로 주로 이루어진 점토를 200 ℃ 에서 30 시간 동안 건조시키고 이를 무기 오염물로서 사용했다.
젤라틴 3.5 그램을 약 40 ℃ 의 물 950 cc 에 용해시킨 다음, 카본 블랙 0.25 g 을 에멀젼화 분산 장치를 사용하여 물 내에 분산시켰다. 그 다음, 무기 오염물 14.9 g 을 첨가하고 에멀젼화한 후에 유기 오염물 31.35 g 을 그에 첨가하고 에멀젼화하고 분산시켜 안정한 오염물 조(bath)를 제조했다. 10 cm × 20 cm 의 주어진 세탁 의류 (Japan Oil Chemical Society 의 면 직물 #60) 를 오염물 조에 담근 후, 고무로 만든 트윈 러버 롤로 짜서 물을 제거하고 오염물의 접착량을 균일하게 하고, 이어서 직물의 양 측면을 각각 25 회 문지른다. 직물을 5 cm × 5 cm 로 자르고 반사율 42±2% 의 것들을 오염된 직물로서 사용했다. 결과 생성된 인위적으로 오염된 직물은 표 9 에 제시되어 있다.
오염 성분 조성 (중량%)
유기 오염물 올레인산 트리올레인 올레인산 콜레스테롤 액체 파라핀 스쿠알렌 콜레스테롤 유성 오염물의 총량 28.3 15.6 12.2 2.5 2.5 1.6 62.7
젤라틴 7.0
무기 오염물 카본 블랙 (Japan Oil Chemical Society사제) 29.8 0.5
2) 세탁 방법
10 개의 인위적으로 오염된 직물 및 편물을 Testing Co, Ltd. U.S. 에서 제조한 Terg-O-Tometer 내로 도입하고 조 비율을 30 배로 설정하여 120 rpm 및 25 ℃ 에서 10 분 동안 세탁을 수행했다. 세정제 농도 0.083% 의 세탁액을 900 ml 사용했고 물 900 ml 로 3 분 동안 헹궜다. 3。DH 의 물을 사용했다.
3) 평가
세정도를 하기 식 (5) 에 의해 얻었다.
세정도 (%) ={(오염된 직물의 K/S - 세탁된 직물의 K/S) / (오염된 직물의 K/S - 오염되지 않은 직물의 K/S)} × 100 (5)
K/S = (1-R/100)/(2R/100)
R 은 반사계에 의해 측정된 반사율 (%) 이다. 세정도는 인위적으로 오염된 시험 직물 10 개에 대한 결과의 평균치로 평가했다.
실시예 129
고형분 함량 60% 의 세정제 슬러리를 이후에 제공된 표 10-21 에 제시된 세정제 조성물의 성분들을 사용하여 제조했으며, 상기 표에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규산염의 일부, 탄산나트륨의 일부, 효소 및 향수는 제외되었다. 세정제 슬러리를 물 함량이 5% 에 이르도록 270 ℃ 의 고온 공기로 역류 분사 건조탑을 사용하여 건조시켜 분무 건조된 생성물을 얻었다.
이 분무 건조된 생성물,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물을 연속 니더(kneader)에 도입하여 조밀하고 균일한 혼합 생성물을 제조했다. 5 mmΦ (직경) 의 80 개 구멍을 갖는 다공성 플레이트 (10 mm 두께) 을 니더의 출구에 구비하고 혼합 생성물을 약 5 mmΦ × 10 mm 의 원통형 펠릿으로 제조했다.
펠릿을 분쇄기내에로 펠릿 양의 두배의 (중량비) 양의 15 ℃ 의 찬 공기와 함께 도입했다. 분쇄기는 교차하는 4 개의 대에 15 cm 길이의 절단기를 가지며, 이는 3000 rpm 으로 회전하고 스크린은 구멍의 직경이 20 mmΦ 이고 개구가 20% 인 360 °의 펀칭 금속을 포함한다.
스크린을 통과한 입자를 타우린-N,N-디아세트산 유도체 분말, 분쇄된 탄산 나트륨 6.5 중량% 및 규산염 분말 2 중량% 와 혼합하고 그에 효소 및 향수를 첨가하여 이후 제공되는 표 10-21 에 제시된 바의 조성을 갖는 세정제 조성물을 얻었다. 세정제 조성물의 세정도를 평가했다.
표 10-21 의 약자의 의미 및 세부 내용은 하기와 같다. EOp 는 에틸렌 옥시드의 평균 첨가 몰수를 나타내고 POp 는 프로필렌 옥시드의 평균 첨가 몰수를 나타낸다.
(1)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
α-SF : α-술포지방산 (C14-C16) 메틸 에스테르의 나트륨 염
AOS : α-올레핀술폰산 나트륨 (C14-C18)
LAS : 알킬벤젠술폰산 나트륨 (알킬기 : C10-C14)
(2)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
AE : C12 알콜 에톡실레이트 (EOp=15)
NFE = 노닐페놀 에톡실레이트 (EOp=15)
AOE·PO : C12-C13 알콜의 EO·PO 부가물 (EOp=15, POp=5)
FEE : C11H23CO(OCH2OCH2)15OCH3
(3) 빌더 :
TUDA : 타우린-N,N-디아세트산 삼나트륨 염
규산염 : A 형 제올라이트
(4) 효소 : 프로테아제, 아밀라제, 셀룰라제, 리파제
(5) 기타 첨가물:
형광제
향수
PAa : 폴리아크릴산 나트륨
PEG400 : 폴리에틸렌 글리콜 #400
샘플 번호 1 2 3 4 5 6 7 8
조성 (중량%) 음이온성: α-SF AOS LAS 비이온성: AE NFE AOE·PO FEE 빌더: ASDA 탄산칼륨 탄산나트륨 효소: 프로테아제 아밀라제 셀룰라제 리파제 기타 첨가제: 아황산나트륨 향수 형광제 PAa PEG400 황산나트륨 20 20 20 20 20 20 20 20 3 3 5 - 3 3 3 3 2 2 - 5 2 2 2 2 5 5 5 5 5 - - - 3 3 3 3 - 5 - - 2 2 2 2 - - 5 - - - - - - - - 5 5 10 10 10 10 10 10 10 8 8 8 8 8 8 8 8 22 22 22 22 22 22 22 22 0.5 0.5 0.5 0.5 0.5 0.5 0.5 0.5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0.3 0.3 0.3 0.3 0.3 0.3 0.3 0.3 1 1 1 1 1 1 1 1 0.2 0.2 0.2 0.2 0.2 0.2 0.2 0.2 0.4 0.4 0.4 0.4 0.4 0.4 0.4 0.4 0.3 0.3 0.3 0.3 0.3 0.3 0.3 0.3 0.2 0.2 0.2 0.2 0.2 0.2 0.2 0.2 나 머 지
세정율 (%) 86 88 86 86 85 85 84 85
샘플 번호 9 10 11 12 13 14 15 16
조성 (중량%) 음이온성: α-SF AOS LAS 비이온성: AE NFE AOE·PO FEE 빌더: ASDA 탄산칼륨 탄산나트륨 효소: 프로테아제 아밀라제 셀룰라제 리파제 기타 첨가제: 아황산나트륨 향수 형광제 PAa PEG400 황산나트륨 20 20 20 20 20 20 20 20 3 3 3 3 3 3 3 3 2 2 2 2 2 2 2 2 5 5 5 5 5 5 5 5 3 3 3 3 3 3 3 3 2 2 2 2 2 2 2 2 - - - - - - - - 15 25 5 10 10 10 10 10 8 8 8 8 8 8 8 8 22 22 27 22 22 22 22 22 0.5 0.5 0.5 0.5 0.5 0.5 0.5 0.5 0.1 0.1 0.1 - 0.5 - - 0.1 0.1 0.1 0.1 - - 0.5 - 0.1 0.3 0.3 0.3 - - - 0.5 0.3 1 1 1 1 1 1 1 1 0.2 0.2 0.2 0.2 0.2 0.2 0.2 0.2 0.4 0.4 0.4 0.4 0.4 0.4 0.4 0.4 0.3 0.3 0.3 0.3 0.3 0.3 0.3 0.3 0.2 0.2 0.2 0.2 0.2 0.2 0.2 0.2 나 머 지
세정율 (%) 88 86 90 88 88 88 87 88
샘플 번호 17 18 19 20 21 22 23 24
조성 (중량%) 음이온성: α-SF AOS LAS 비이온성: AE NFE AOE·PO FEE 빌더: TUDA 탄산칼륨 탄산나트륨 효소: 프로테아제 아밀라제 셀룰라제 리파제 기타 첨가제: 아황산나트륨 향수 형광제 PAa PEG400 황산나트륨 20 20 20 20 20 20 20 20 3 3 5 - 3 3 3 3 2 2 - 5 2 2 2 2 5 5 5 5 5 - - - 3 3 3 3 - 5 - - 2 2 2 2 - - 5 - - - - - - - - 5 5 10 10 10 10 10 10 10 8 8 8 8 8 8 8 8 22 22 22 22 22 22 22 22 0.5 0.5 0.5 0.5 0.5 0.5 0.5 0.5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0.3 0.3 0.3 0.3 0.3 0.3 0.3 0.3 1 1 1 1 1 1 1 1 0.2 0.2 0.2 0.2 0.2 0.2 0.2 0.2 0.4 0.4 0.4 0.4 0.4 0.4 0.4 0.4 0.3 0.3 0.3 0.3 0.3 0.3 0.3 0.3 0.2 0.2 0.2 0.2 0.2 0.2 0.2 0.2 나 머 지
세정율 (%) 84 87 87 85 84 85 86 85
샘플 번호 25 26 27 28 29 30 31 32
조성 (중량%) 음이온성: α-SF AOS LAS 비이온성: AE NFE AOE·PO FEE 빌더: TUDA 탄산칼륨 탄산나트륨 효소: 프로테아제 아밀라제 셀룰라제 리파제 기타 첨가제: 아황산나트륨 향수 형광제 PAa PEG400 황산나트륨 20 20 20 20 20 20 20 20 3 3 3 3 3 3 3 3 2 2 2 2 2 2 2 2 5 5 5 5 5 5 5 5 3 3 3 3 3 3 3 3 2 2 2 2 2 2 2 2 - - - - - - - - 15 25 5 10 10 10 10 10 8 8 8 8 8 8 8 8 22 22 27 22 22 22 22 22 0.5 0.5 0.5 0.5 0.5 0.5 0.5 0.5 0.1 0.1 0.1 - 0.5 - - 0.1 0.1 0.1 0.1 - - 0.5 - 0.1 0.3 0.3 0.3 - - - 0.5 0.3 1 1 1 1 1 1 1 1 0.2 0.2 0.2 0.2 0.2 0.2 0.2 0.2 0.4 0.4 0.4 0.4 0.4 0.4 0.4 0.4 0.3 0.3 0.3 0.3 0.3 0.3 0.3 0.3 0.2 0.2 0.2 0.2 0.2 0.2 0.2 0.2 나 머 지
세정율 (%) 90 88 87 90 89 87 86 89
샘플 번호 33 34 35 36 37 38 39 40
조성 (중량%) 음이온성: α-SF AOS LAS 비이온성: AE NFE AOE·PO FEE 빌더: 규산염 ASDA 탄산칼륨 탄산나트륨 효소: 프로테아제 아밀라제 셀룰라제 리파제 기타 첨가제: 아황산나트륨 향수 형광제 PAa PEG400 황산나트륨 20 20 20 20 20 20 20 20 3 3 5 - 3 3 3 3 2 2 - 5 2 2 2 2 5 5 5 5 5 - - - 3 3 3 3 - 5 - - 2 2 2 2 - - 5 - - - - - - - - 5 15 15 15 15 15 15 15 15 5 10 10 10 10 10 10 10 8 8 8 8 8 8 8 8 22 22 22 22 22 22 22 22 0.5 0.5 0.5 0.5 0.5 0.5 0.5 0.5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0.3 0.3 0.3 0.3 0.3 0.3 0.3 0.3 1 1 1 1 1 1 1 1 0.2 0.2 0.2 0.2 0.2 0.2 0.2 0.2 0.4 0.4 0.4 0.4 0.4 0.4 0.4 0.4 0.3 0.3 0.3 0.3 0.3 0.3 0.3 0.3 0.2 0.2 0.2 0.2 0.2 0.2 0.2 0.2 나 머 지
세정율 (%) 85 87 87 88 86 84 85 85
샘플 번호 41 42 43 44 45 46 47 48
조성 (중량%) 음이온성: α-SF AOS LAS 비이온성: AE NFE AOE·PO FEE 빌더: 규산염 ASDA 탄산칼륨 탄산나트륨 효소: 프로테아제 아밀라제 셀룰라제 리파제 기타 첨가제: 아황산나트륨 향수 형광제 PAa PEG400 황산나트륨 20 20 20 20 20 20 20 20 3 3 3 3 3 3 3 3 2 2 2 2 2 2 2 2 5 5 5 5 5 5 5 5 3 3 3 3 3 3 3 3 2 2 2 2 2 2 2 2 - - - - - - - - - - 15 15 15 15 15 15 15 25 5 10 10 10 10 10 8 8 8 8 8 8 8 8 22 22 27 22 22 22 22 22 0.5 0.5 0.5 0.5 0.5 0.5 0.5 0.5 0.1 0.1 0.1 - 0.5 - - 0.1 0.1 0.1 0.1 - - 0.5 - 0.1 0.3 0.3 0.3 - - - 0.5 0.3 1 1 1 1 1 1 1 1 0.2 0.2 0.2 0.2 0.2 0.2 0.2 0.2 0.4 0.4 0.4 0.4 0.4 0.4 0.4 0.4 0.3 0.3 0.3 0.3 0.3 0.3 0.3 0.3 0.2 0.2 0.2 0.2 0.2 0.2 0.2 0.2 나 머 지
세정율 (%) 86 87 90 87 88 86 88 87
샘플 번호 49 50 51 52 53 54 55 56
조성 (중량%) 음이온성: α-SF AOS LAS 비이온성: AE NFE AOE·PO FEE 빌더: 규산염 TUDA 탄산칼륨 탄산나트륨 효소: 프로테아제 아밀라제 셀룰라제 리파제 기타 첨가제: 아황산나트륨 향수 형광제 PAa PEG400 황산나트륨 20 20 20 20 20 20 20 20 3 3 5 - 3 3 3 3 2 2 - 5 2 2 2 2 5 5 5 5 5 - - - 3 3 3 3 - 5 - - 2 2 2 2 - - 5 - - - - - - - - 5 15 15 15 15 15 15 15 15 5 10 10 10 10 10 10 10 8 8 8 8 8 8 8 8 22 22 27 22 22 22 22 22 0.5 0.5 0.5 0.5 0.5 0.5 0.5 0.5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0.3 0.3 0.3 0.3 0.3 0.3 0.3 0.3 1 1 1 1 1 1 1 1 0.2 0.2 0.2 0.2 0.2 0.2 0.2 0.2 0.4 0.4 0.4 0.4 0.4 0.4 0.4 0.4 0.3 0.3 0.3 0.3 0.3 0.3 0.3 0.3 0.2 0.2 0.2 0.2 0.2 0.2 0.2 0.2 나 머 지
세정율 (%) 87 88 87 85 86 86 85 84
샘플 번호 57 58 59 60 61 62 63 64
조성 (중량%) 음이온성: α-SF AOS LAS 비이온성: AE NFE AOE·PO FEE 빌더: 규산염 TUDA 탄산칼륨 탄산나트륨 효소: 프로테아제 아밀라제 셀룰라제 리파제 기타 첨가제: 아황산나트륨 향수 형광제 PAa PEG400 황산나트륨 20 20 20 20 20 20 20 20 3 3 3 3 3 3 3 3 2 2 2 2 2 2 2 2 5 5 5 5 5 5 5 5 3 3 3 3 3 3 3 3 2 2 2 2 2 2 2 2 - - - - - - - - - - 15 15 15 15 15 15 15 25 5 10 10 10 10 10 8 8 8 8 8 8 8 8 22 22 27 22 22 22 22 22 0.5 0.5 0.5 0.5 0.5 0.5 0.5 0.5 0.1 0.1 0.1 - 0.5 - - 0.1 0.1 0.1 0.1 - - 0.5 - 0.1 0.3 0.3 0.3 - - - 0.5 0.3 1 1 1 1 1 1 1 1 0.2 0.2 0.2 0.2 0.2 0.2 0.2 0.2 0.4 0.4 0.4 0.4 0.4 0.4 0.4 0.4 0.3 0.3 0.3 0.3 0.3 0.3 0.3 0.3 0.2 0.2 0.2 0.2 0.2 0.2 0.2 0.2 나 머 지
세정율 (%) 90 87 88 87 88 87 89 86
샘플 번호 65 66 67 68 69 70 71 72
조성 (중량%) 음이온성: α-SF AOS LAS 비이온성: AE NFE AOE·PO FEE 빌더: 규산염 ASDA 탄산칼륨 탄산나트륨 표백제: 과탄산나트륨 과붕산나트륨 효소: 프로테아제 아밀라제 셀룰라제 리파제 기타 첨가제: 아황산나트륨 향수 형광제 PAa PEG400 황산나트륨 20 20 20 20 20 20 20 20 3 3 5 - 3 3 3 3 2 2 - 5 2 2 2 2 5 5 5 5 5 - - - 3 3 3 3 - 5 - - 2 2 2 2 - - 5 - - - - - - - - 5 15 15 15 15 15 15 15 15 5 10 10 10 10 10 10 10 8 8 8 8 8 8 8 8 22 22 22 22 22 22 22 22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0.5 0.5 0.5 0.5 0.5 0.5 0.5 0.5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0.3 0.3 0.3 0.3 0.3 0.3 0.3 0.3 1 1 1 1 1 1 1 1 0.2 0.2 0.2 0.2 0.2 0.2 0.2 0.2 0.4 0.4 0.4 0.4 0.4 0.4 0.4 0.4 0.3 0.3 0.3 0.3 0.3 0.3 0.3 0.3 0.2 0.2 0.2 0.2 0.2 0.2 0.2 0.2 나 머 지
세정율 (%) 85 86 87 87 86 85 85 85
샘플 번호 73 74 75 76 77 78 79 80
조성 (중량%) 음이온성: α-SF AOS LAS 비이온성: AE NFE AOE·PO FEE 빌더: 규산염 ASDA 탄산칼륨 탄산나트륨 표백제: 과탄산나트륨 과붕산나트륨 효소: 프로테아제 아밀라제 셀룰라제 리파제 기타 첨가제: 아황산나트륨 향수 형광제 PAa PEG400 황산나트륨 20 20 20 20 20 20 20 20 3 3 3 3 3 3 3 3 2 2 2 2 2 2 2 2 5 5 5 5 5 5 5 5 3 3 3 3 3 3 3 3 2 2 2 2 2 2 2 2 - - - - - - - - - - 15 15 15 15 15 15 15 25 5 10 10 10 10 10 8 8 8 8 8 8 8 8 22 22 27 22 22 22 22 22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0.5 0.5 0.5 0.5 0.5 0.5 0.5 0.5 0.1 0.1 0.1 - 0.5 - - 0.1 0.1 0.1 0.1 - - 0.5 - 0.1 0.3 0.3 0.3 - - - 0.5 0.3 1 1 1 1 1 1 1 1 0.2 0.2 0.2 0.2 0.2 0.2 0.2 0.2 0.4 0.4 0.4 0.4 0.4 0.4 0.4 0.4 0.3 0.3 0.3 0.3 0.3 0.3 0.3 0.3 0.2 0.2 0.2 0.2 0.2 0.2 0.2 0.2 나 머 지
세정율 (%) 90 88 87 86 87 88 88 87
샘플 번호 81 82 83 84 85 86 87 88
조성 (중량%) 음이온성: α-SF AOS LAS 비이온성: AE NFE AOE·PO FEE 빌더: 규산염 TUDA 탄산칼륨 탄산나트륨 표백제: 과탄산나트륨 과붕산나트륨 효소: 프로테아제 아밀라제 셀룰라제 리파제 기타 첨가제: 아황산나트륨 향수 형광제 PAa PEG400 황산나트륨 20 20 20 20 20 20 20 20 3 3 5 - 3 3 3 3 2 2 - 5 2 2 2 2 5 5 5 5 5 - - - 3 3 3 3 - 5 - - 2 2 2 2 - - 5 - - - - - - - - 5 15 15 15 15 15 15 15 15 5 10 10 10 10 10 10 10 8 8 8 8 8 8 8 8 22 22 22 22 22 22 22 22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0.5 0.5 0.5 0.5 0.5 0.5 0.5 0.5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0.3 0.3 0.3 0.3 0.3 0.3 0.3 0.3 1 1 1 1 1 1 1 1 0.2 0.2 0.2 0.2 0.2 0.2 0.2 0.2 0.4 0.4 0.4 0.4 0.4 0.4 0.4 0.4 0.3 0.3 0.3 0.3 0.3 0.3 0.3 0.3 0.2 0.2 0.2 0.2 0.2 0.2 0.2 0.2 나 머 지
세정율 (%) 84 85 87 87 88 84 88 85
샘플 번호 89 90 91 92 93 94 95 96
조성 (중량%) 음이온성: α-SF AOS LAS 비이온성: AE NFE AOE·PO FEE 빌더: 규산염 TUDA 탄산칼륨 탄산나트륨 표백제: 과탄산나트륨 과붕산나트륨 효소: 프로테아제 아밀라제 셀룰라제 리파제 기타 첨가제: 아황산나트륨 향수 형광제 PAa PEG400 황산나트륨 20 20 20 20 20 20 20 20 3 3 3 3 3 3 3 3 2 2 2 2 2 2 2 2 5 5 5 5 5 5 5 5 3 3 3 3 3 3 3 3 2 2 2 2 2 2 2 2 - - - - - - - - - - 15 15 15 15 15 15 15 25 5 10 10 10 10 10 8 8 8 8 8 8 8 8 22 22 27 22 22 22 22 22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0.5 0.5 0.5 0.5 0.5 0.5 0.5 0.5 0.1 0.1 0.1 - 0.5 - - 0.1 0.1 0.1 0.1 - - 0.5 - 0.1 0.3 0.3 0.3 - - - 0.5 0.3 1 1 1 1 1 1 1 1 0.2 0.2 0.2 0.2 0.2 0.2 0.2 0.2 0.4 0.4 0.4 0.4 0.4 0.4 0.4 0.4 0.3 0.3 0.3 0.3 0.3 0.3 0.3 0.3 0.2 0.2 0.2 0.2 0.2 0.2 0.2 0.2 나 머 지
세정율 (%) 89 88 88 89 87 87 86 90
실시예 130-153
(1) 표 22 는 (S)-아스파르트산-N,N-디아세트산 (ASDA), 타우린-N,N-디아세트산 (TUDA), 메틸이미노디아세트산 (MIDA), (S)-아스파르트산-N-모노아세트산 (ASMA) 및 (S)-아스파르트산-N-모노프로피온산 (ASMP) 의 빌더들 중 몇몇을 함유하는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의 실례를 나타낸다.
표 22 는 또한 각각의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EDTA), 니트릴로트리아세트산 (NTA), ASDA, TUDA, MIDA, ASMA 및 ASMP 를 빌더로서 단독으로 사용한 비교예의 조성물을 나타낸다.
(2) 표 23 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각각의 pH 에서 산으로써 중량당 빌더의 Ca++ 포획력을 나타낸다. Ca++ 포획력은 지시자로서 도데실벤젠술폰산 나트륨 100 ppm 의 존재하에 아세트산칼슘 수용액 1 중량% 를 사용하여 수행된 적정에 의해 측정했다.
(3) 세정도 시험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조성을 갖는 빌더 또는 제올라이트 및 트리폴리인산 나트륨 (STPP) 에 대해 수행했다. 인위적으로 오염된 면 직물, 25℃ 의 수돗물 (경도 : 5°DH) 1000 ml 및 세정제 조성물 1.2 g 을 세탁기 (Terg-O-Tometer) 에 넣고, 이어서 48%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사용하여 소정 pH 로 조정하였다. 그다음, 분당 200 회전수에서 10 분 동안 세탁을 수행했다. 또한, 배수 후에, 25℃ 의 수돗물 (경도 : 5°DH) 1000 ml를 새로 첨가하고 200 rpm 에서 5 분 동안 헹궜다. 결과는 표 24 에 제시되어 있다.
세정도는 하기 식에 의해 얻어졌다.
세정도 (%) = {(세탁후 직물 반사율-세탁전 직물 반사율)/(오염되지 않은 직물의 반사율-세탁전 직물의 반사율)} × 100
사용된 세정제 조성물은 하기의 조성을 가졌다. 계면활성제로서, 도데실벤젠술폰산 나트륨 (SDS) 또는 라우르산나트륨 (SLA) 을 선택했다.
계면활성제 25 중량%
빌더 25 중량% (산으로써)
규산나트륨 5 중량%
탄산나트륨 3 중량%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1 중량%
황산나트륨 41 중량%
실시예 빌더의 조성
ASDA : TUDA : MIDA : ASMA : ASMP
실시예 130실시예 131실시예 132실시예 133실시예 134실시예 135실시예 136실시예 137실시예 138실시예 139실시예 140실시예 141실시예 142실시예 143실시예 144실시예 145실시예 146실시예 147실시예 148실시예 149실시예 150실시예 151실시예 152실시예 153 60 : 20 : 20 : 0 : 060 : 10 : 30 : 0 : 050 : 25 : 25 : 0 : 050 : 10 : 40 : 0 : 050 : 40 : 20 : 0 : 040 : 30 : 30 : 0 : 040 : 40 : 10 : 0 : 040 : 10 : 40 : 0 : 030 : 35 : 35 : 0 : 030 : 60 : 10 : 0 : 020 : 10 : 60 : 0 : 020 : 10 : 40 : 10 : 090 : 10 : 0 : 0 : 050 : 50 : 0 : 0 : 020 : 80 : 0 : 0 : 080 : 20 : 0 : 0 : 020 : 10 : 40 : 10 : 090 : 10 : 0 : 0 : 095 : 0 : 5 : 0 : 080 : 5 : 15 : 0 : 080 : 15 : 5 : 0 : 010 : 0 : 0 : 80 : 1020 : 0 : 0 : 80 : 045 : 0 : 0 : 50 : 5
빌더 조성물 pH Ca++ 포획력 [CaCO3 mg/빌더(g) 산으로써]
7.0 8.0 8.5 9.0 10.0 11.0 12.0 13.0
실시예 130 실시예 131 실시예 132 실시예 133실시예 134실시예 135실시예 136실시예 137실시예 138실시예 139실시예 140실시예 141실시예 142실시예 143실시예 144실시예 145실시예 146실시예 147실시예 148실시예 149실시예 150실시예 151실시예 152실시예 153 214206188176199162169144137157868129420871273833053012612695179154 27120825520930423926817522330014515233533333133511433732028831980110180 316276307248374299332213290390203210361407441372153355335313352120151210 340305336284403332353248328415254262370423464383195345345331366187216254 460474477499519495416460512475559482400440471410408402402432417263282313 536569558606592579464561601520687640456477493461530469469469477555563517 621659633691665646519634658562747697564538517558580587587587577578598578 624668637708671650518648663565761708569541518566598593593593579587616582
빌더 조성물 계면활성제 pH 세정도 (%)
실시예 130실시예 131실시예 132실시예 133실시예 134실시예 135실시예 136실시예 137실시예 138실시예 139실시예 140실시예 141실시예 142실시예 143실시예 144실시예 145실시예 146실시예 147실시예 148실시예 149실시예 150실시예 151실시예 152실시예 153제올라이트STPP SDSSDSSDSSDSSLASDSSDSSDSSLASDSSDSSDSSLASDSSDSSDSSDSSLASLASLASDSSDSSDSSDSSDSSDS 811912128810109111098971211121391212121212 56.659.558.060.151.355.461.158.251.156.661.360.050.257.758.958.160.053.251.654.857.460.160.260.348.160.5
표 23 및 24 로부터 알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은 넓은 pH 범위에서 아스파르트산-N,N-디아세트산, 타우린-N,N-디아세트산, 메틸이미노디아세트산, 아스파르트산-N-모노아세트산, 아스파르트산-N-모노프로피온산, 니트릴로트리아세트산 또는 제올라이트 각각을 단일 빌더로서 단독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보다 훨씬 우수한 Ca++ 포획력 및 세정성을 보이며 또한 트리폴리인산 나트륨 또는 에틸렌디아민 테트라아세트산과 동등하거나 더 높은 우수한 세정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부영양화, 비-생분해성 및 독성의 문제점을 갖는 트리폴리인산 나트륨,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및 니트릴로트리아세트산과 같은 통상의 빌더를 대체할 수 있는 안전한 생분해성 빌더를 포함한다.
실시예 154
표 25, 26 및 27 에 제시된 세정제 조성물을 제조하고 세정성을 평가했다.
성분들의 약자는 하기에 제시되어 있다.
S-ASDA: (S)-아스파르트산-N,N-디아세트산의 사나트륨염
S-GLDA: (S)-글루탐산-N,N-디아세트산의 사나트륨염
TUDA: 타우린-N,N-디아세트산의 삼나트륨염
SLA: 라우르산 나트륨
SMA: 미리스트산 나트륨
CMC: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샘플 번호 1 2 3 4 5 6 7 8 9 10
조성 (중량%) S-ASDA S-GLDA TUDA SLA SMA 규산나트륨 탄산칼륨 CMC 황산나트륨 25 25 25 25 25 0 0 0 0 0 0 0 0 0 0 25 25 25 25 25 0 0 0 0 0 0 0 0 0 0 25 0 20 15 10 25 0 20 15 10 0 25 5 10 15 0 25 5 10 15 5 5 5 5 5 5 5 5 5 5 3 3 3 3 3 3 3 3 3 3 1 1 1 1 1 1 1 1 1 1 41 41 41 41 41 41 41 41 41 41
세정율 (%) 90 88 88 86 85 85 84 85 84 87
샘플 번호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조성 (중량%) S-ASDA S-GLDA TUDA SLA SMA 규산나트륨 탄산칼륨 CMC 황산나트륨 0 0 0 0 0 15 15 15 15 15 0 0 0 0 0 10 10 10 10 10 25 25 25 25 25 0 0 0 0 0 25 0 20 15 10 25 0 20 15 10 0 25 5 10 15 0 25 5 10 15 5 5 5 5 5 5 5 5 5 5 3 3 3 3 3 3 3 3 3 3 1 1 1 1 1 1 1 1 1 1 41 41 41 41 41 41 41 41 41 41
세정율 (%) 85 88 85 87 88 88 85 86 85 86
샘플 번호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조성 (중량%) S-ASDA S-GLDA TUDA SLA SMA 규산나트륨 탄산칼륨 CMC 황산나트륨 15 15 15 15 15 10 10 10 10 10 0 0 0 0 0 10 5 10 5 10 10 10 10 10 10 5 10 5 10 5 25 0 20 15 10 25 0 20 15 10 0 25 5 10 15 0 25 5 10 15 5 5 5 5 5 5 5 5 5 5 3 3 3 3 3 3 3 3 3 3 1 1 1 1 1 1 1 1 1 1 41 41 41 41 41 41 41 41 41 41
세정율 (%) 88 87 87 86 85 84 87 88 88 86
생분해성 시험:
본 발명에 사용된 이미노디아세트산 유도체의 생분해성을 OECD 화학 제품 시험 기준에 서술된 활성 슬러지를 사용한 생분해성 시험법의 변형된 SCAS법에 의해 시험했다.
(시험 방법) :
(1) 활성 슬러지 혼합 용액 150 ml 를 시험 탱크에 넣고 공기 펌프에 의해 공기에 노출시켰다.
(2) 공기 노출을 23 시간 계속한 다음, 중지하고 슬러지를 45 분 동안 침전시키고 이어서, 상등액 100 ml 를 제거했다.
(3) 정치시킨 폐수 95 ml 및 시험 물질 미희석액 (400mg/l) 를 시험 탱크에 넣고 정치시킨 폐수 100 ml 를 대조표준용 탱크에 넣고 탱크의 내용물을 다시 공기에 노출시켰다.
(4) 상기 절차를 매일 반복하고 상등액의 샘플을 취하고, 시험 물질의 정체율을 HPLC (고정밀 액상 크로마토그래피) 법 및 TOC (용존 유기 탄소) 법에 의해 미량 측정했다.
(결과):
(S)-아스파르트산-N,N-디아세트산의 사나트륨염, 라세믹 아스파르트산-N,N-디아세트산 사나트륨염, (S)-글루탐산-N,N-디아세트산 사나트륨, 라세믹 글루탐산-N,N-디아세트산 사나트륨염, 타우린-N,N-디아세트산의 삼나트륨염 및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사나트륨을 함께 시험했다. 각각의 시험법으로 얻어진 정체율은 표 28 에 제시되어 있다.
화합물 HPLC 에 의한 정체율(%) TOC 에 의한 정체율 (%)
(S)-아스파르트산-N,N-디아세트산의 사나트륨염 0 0
라세믹 아스파르트산-N,N-디아세트산 사나트륨염 65 50
(S)-글루탐산-N,N-디아세트산 사나트륨 0 0
라세믹 글루탐산-N,N-디아세트산 사나트륨염 60 50
타우린-N,N-디아세트산의 삼나트륨염 0 0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사나트륨 100 100
본 발명의 킬레이트화제는 취급성이 우수한 고체, 수용액 또는 슬러리 형태의 생분해성 킬레이트화제이며 생분해성 킬레이트화제로 이루어진 세정제 조성물은 우수한 세정성 및 높은 생분해성을 갖는다.

Claims (4)

  1. (i) 아스파르트산-N-모노아세트산, 아스파르트산-N,N-디아세트산, 아스파르트산-N-모노프로피온산, 이미노디숙신산, N-(2-술포메틸)아스파르트산, N-(2-술포에틸)아스파르트산, 글루탐산-N,N-디아세트산, N-(2-술포메틸)글루탐산, N-(2-술포에틸)글루탐산, N-메틸이미노디아세트산, α-알라닌-N,N-디아세트산, β-알라닌-N,N-디아세트산, 세린-N,N-디아세트산, 이소세린-N,N-디아세트산, 페닐알라닌-N,N-디아세트산, 안트라닐산-N,N-디아세트산, 술파닐산-N,N-디아세트산, 타우린-N,N-디아세트산, 술포메틸-N,N-디아세트산, 및 그의 알칼리 금속염 또는 암모늄 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및 (ii) 아스파르트산, 말레산, 아크릴산, 말산, 글리신, 글리콜산, 이미노디아세트산, 니트릴로트리아세트산, α-알라닌, β-알라닌, 이미노디프로피온산, 푸마르산, 합성 출발 아미노산, 합성 중간체 아미노산, 및 그의 염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종 이상의 화합물을, 화합물 (i)을 기준으로 0.2 ~ 8 중량% 함유하는 킬레이트화제.
  2. (i) 아스파르트산-N-모노아세트산, 아스파르트산-N,N-디아세트산, 아스파르트산-N-모노프로피온산, 이미노디숙신산, N-(2-술포메틸)아스파르트산, N-(2-술포에틸)아스파르트산, 글루탐산-N,N-디아세트산, N-(2-술포메틸)글루탐산, N-(2-술포에틸)글루탐산, N-메틸이미노디아세트산, α-알라닌-N,N-디아세트산, β-알라닌-N,N-디아세트산, 세린-N,N-디아세트산, 이소세린-N,N-디아세트산, 페닐알라닌-N,N-디아세트산, 안트라닐산-N,N-디아세트산, 술파닐산-N,N-디아세트산, 타우린-N,N-디아세트산, 및 술포메틸-N,N-디아세트산 및 그의 알칼리 금속염 또는 암모늄 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및 (ii) 아스파르트산, 말레산, 아크릴산, 말산, 글리신, 글리콜산, 이미노디아세트산, 니트릴로트리아세트산, α-알라닌, β-알라닌, 이미노디프로피온산, 푸마르산, 합성 출발 아미노산, 합성 중간체 아미노산, 및 그의 염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종 이상의 화합물을, 화합물 (i)을 기준으로 총 1 ~ 25 중량% 함유하는 수용액 또는 슬러리 형태의 킬레이트화제.
  3. (i) (S)-아스파르트산-모노아세트산, (S)-아스파르트산-N,N-디아세트산, (S)-아스파르트산-모노프로피온산, (S,S)-이미노디숙신산, (S,R)-이미노디숙신산, (S)-2-술포메틸아스파르트산, (S)-2-술포에틸아스파르트산, (S)-글루탐산-N,N-디아세트산, (S)-2-술포메틸글루탐산, (S)-2-술포에틸글루탐산, (S)-α-알라닌-N,N-디아세트산, (S)-세린-N,N-디아세트산, (S)-페닐알라닌-N,N-디아세트산, 및 그의 알칼리 금속염 또는 암모늄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및 (ii) 아스파르트산, 말레산, 아크릴산, 말산, 글리신, 글리콜산, 이미노디아세트산, 니트릴로트리아세트산, α-알라닌, β-알라닌, 이미노디프로피온산, 푸마르산, 합성 출발 아미노산, 합성 중간체 아미노산, 및 그의 염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종 이상의 화합물을, 화합물 (i)을 기준으로 0.2 ~ 8 중량% 함유하는 킬레이트화제.
  4. (i) (S)-아스파르트산-모노아세트산, (S)-아스파르트산-N,N-디아세트산, (S)-아스파르트산-모노프로피온산, (S,S)-이미노디숙신산, (S,R)-이미노디숙신산, (S)-2-술포메틸아스파르트산, (S)-2-술포에틸아스파르트산, (S)-글루탐산-N,N-디아세트산, (S)-2-술포메틸글루탐산, (S)-2-술포에틸글루탐산, (S)-α-알라닌-N,N-디아세트산, (S)-세린-N,N-디아세트산, 및 (S)-페닐알라닌-N,N-디아세트산 및 그의 알칼리 금속염 또는 암모늄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및 (ii) 아스파르트산, 말레산, 아크릴산, 말산, 글리신, 글리콜산, 이미노디아세트산, 니트릴로트리아세트산, α-알라닌, β-알라닌, 이미노디프로피온산, 푸마르산, 합성 출발 아미노산, 합성 중간체 아미노산, 및 그의 염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종 이상의 화합물을, 화합물 (i)을 기준으로 총 1 ~ 25 중량% 함유하는 수용액 또는 슬러리 형태의 킬레이트화제.
KR1019960069234A 1995-12-22 1996-12-20 킬레이트화제및그를함유하는세정제 Expired - Lifetime KR1005438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349512 1995-12-22
JP34951295 1995-12-22
JP95-349513 1995-12-22
JP34951395 1995-12-22
JP34951495 1995-12-22
JP95-349514 1995-12-22
JP35212795 1995-12-28
JP95-352125 1995-12-28
JP95-352124 1995-12-28
JP95-352129 1995-12-28
JP35212495 1995-12-28
JP95-352128 1995-12-28
JP35212995 1995-12-28
JP35212895 1995-12-28
JP95-352127 1995-12-28
JP35212695 1995-12-28
JP35212595 1995-12-28
JP95-352126 1995-12-28
JP96-022999 1996-01-17
JP2299996 1996-01-17
JP96-026215 1996-01-22
JP2621596 1996-01-22
JP96-039077 1996-02-02
JP96-039076 1996-02-02
JP3907696 1996-02-02
JP3907596 1996-02-02
JP3907796 1996-02-02
JP96-039075 1996-02-02
JP11950296 1996-04-18
JP96-119502 1996-04-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0175A KR970070175A (ko) 1997-11-07
KR100543822B1 true KR100543822B1 (ko) 2006-04-21

Family

ID=27585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9234A Expired - Lifetime KR100543822B1 (ko) 1995-12-22 1996-12-20 킬레이트화제및그를함유하는세정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3) US6221834B1 (ko)
EP (1) EP0783034B1 (ko)
JP (1) JP2000212596A (ko)
KR (1) KR100543822B1 (ko)
CN (1) CN1246433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708836D1 (de) * 1997-03-12 2002-01-17 Showa Denko Kk Wasch- und Reinigungsmittel
US5929006A (en) * 1997-10-22 1999-07-27 Showa Denko K.K. Cleaning agent composition
EP1004571B1 (en) * 1998-05-27 2004-09-29 Showa Denko Kabushiki Kaisha Processes for producing amino acid having secondary or tertiary amino group and three or more carboxyl groups and its salt
US20030215441A1 (en) * 1999-03-05 2003-11-20 Laboratories Anios, Societe Anonyme Process for preparing an antimicrobial composition
US6344432B1 (en) * 1999-08-20 2002-02-05 Advanced Technology Materials, Inc. Formulations including a 1,3-dicarbonyl compound chelating agent and copper corrosion inhibiting agents for stripping residues from semiconductor substrates containing copper structures
US6221967B1 (en) * 1999-12-16 2001-04-24 Shell Oil Company Preformed multi-acid adducts useful for grafting polyolefin polymers
US20060046953A1 (en) * 2004-09-02 2006-03-02 Charkhutian Kostan B Process for inhibiting scale on metal surfaces
EP1803801A1 (de) * 2006-01-03 2007-07-04 Basf Aktiengesellschaft Mischpulver oder Mischgranulat auf Basis von Glutaminsäure-N,N-diessigsäure und ihren Salzen
GB0611206D0 (en) 2006-06-07 2006-07-19 Reckitt Benckiser Nv Detergent composition
ITCR20060016A1 (it) * 2006-06-07 2007-12-08 Silvia Palladini Formulazioni di detersivi a basso impatto ambientale
FR2905597B1 (fr) * 2006-09-12 2008-10-17 Oreal L' Procede d'elimination de l'odeur retenue par les matieres keratiniques au contact d'une eau traitee par un desinfectant halogene
GB0700929D0 (en) 2007-01-18 2007-02-28 Reckitt Benckiser Nv Dosage element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dosage element
KR101520121B1 (ko) * 2007-07-03 2015-05-18 바스프 에스이 알파-알라닌-n,n-디아세트산 및/또는 알파-알라닌-n,n-디아세트산의 1 이상의 유도체를 실질적으로 포함하는 자유유동성의 저장안정성 고체의 제조 방법
CA2696669C (en) 2007-08-17 2016-05-24 Akzo Nobel N.V. Alkali metal salt of glutamic acid n,n-diacetic acid, a process to prepare such salt, and the use thereof
US8066818B2 (en) 2008-02-08 2011-11-2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Water-soluble pouch
US20090209447A1 (en) * 2008-02-15 2009-08-20 Michelle Meek Cleaning compositions
EP2100947A1 (en) * 2008-03-14 2009-09-16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utomatic dishwashing detergent composition
EP2100948A1 (en) 2008-03-14 2009-09-16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utomatic dishwashing detergent composition
US8501988B2 (en) * 2008-04-17 2013-08-06 Ecolab Usa Inc. Synthesis and applications of amino carboxylates
EP2166092A1 (en) 2008-09-18 2010-03-24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Detergent composition
EP2362903B1 (en) 2008-11-11 2012-10-24 Danisco US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comprising a subtilisin variant
EP3998328A1 (en) 2009-02-09 2022-05-1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etergent composition
GB0906281D0 (en) 2009-04-09 2009-05-20 Reckitt Benckiser Nv Detergent compositions
ES2412684T3 (es) * 2009-06-19 2013-07-1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mposición detergente de lavado de vajillas a mano líquida
EP2264138B2 (en) 2009-06-19 2023-03-0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Liquid hand dishwashing detergent composition
GB0915572D0 (en) 2009-09-07 2009-10-07 Reckitt Benckiser Nv Detergent composition
US20110150817A1 (en) 2009-12-17 2011-06-23 Ricky Ah-Man Woo Freshening compositions comprising malodor binding polymers and malodor control components
CN102648277B (zh) 2009-09-25 2015-05-20 诺维信公司 蛋白酶变体的用途
CA2775045A1 (en) 2009-09-25 2011-03-31 Novozymes A/S Subtilase variants for use in detergent and cleaning compositions
GB0917740D0 (en) 2009-10-09 2009-11-25 Reckitt Benckiser Nv Detergent composition
EP2333040B2 (en) 2009-12-10 2019-11-1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etergent composition
EP2333042B1 (en) 2009-12-10 2015-07-01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utomatic dishwashing product and use thereof
ES2422593T3 (es) 2009-12-10 2013-09-12 Procter & Gamble Método y uso de una composición para lavavajillas
US20130071913A1 (en) 2009-12-22 2013-03-21 Novozymes A/S Use of amylase variants at low temperature
EP2338961A1 (en) 2009-12-22 2011-06-2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n alkaline liquid hand dish washing detergent composition
WO2011080267A2 (en) 2009-12-29 2011-07-07 Novozymes A/S Polypetides having detergency enhancing effect
DE102009060814A1 (de) * 2009-12-30 2011-07-07 inprotec AG, 79423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Feststoffs mit hinreichend geringer Hygroskopizität, der Glutaminsäure-N,N-diessigsäure (GLDA) oder ein Derivat davon enthält
ES2401126T3 (es) 2010-02-25 2013-04-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mposición detergente
GB201003892D0 (en) 2010-03-09 2010-04-21 Reckitt Benckiser Nv Detergent composition
US20120067373A1 (en) 2010-04-15 2012-03-22 Philip Frank Souter Automatic Dishwashing Detergent Composition
ES2565192T3 (es) 2010-04-23 2016-04-0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étodo para perfumar
EP2380481B1 (en) 2010-04-23 2014-12-31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utomatic dishwashing product
GB201010580D0 (en) 2010-06-23 2010-08-11 Reckitt Benckiser Nv Machine dishwashing compositions and methods
GB201014328D0 (en) 2010-08-27 2010-10-13 Reckitt Benckiser Nv Detergent composition comprising manganese-oxalate
US8754026B2 (en) * 2010-09-27 2014-06-17 Basf Se Process for producing granules comprising one or more complexing agent salts
GB201019628D0 (en) 2010-11-19 2010-12-29 Reckitt Benckiser Nv Dyed coated bleach materials
GB201019623D0 (en) 2010-11-19 2010-12-29 Reckitt Benckiser Nv Coated bleach materials
AU2011200525B8 (en) 2010-12-17 2016-10-13 Akzo Nobel Chemicals International B.V. Environmentally friendly stimulation fluids, processes to create wormholes in carbonate reservoirs, and processes to remove wellbore damage in carbonate reservoirs
JP2014506268A (ja) 2010-12-17 2014-03-13 アクゾ ノーベル ケミカルズ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ベスローテン フエンノートシャップ キレート剤であるアンモニウム塩、ならびに石油およびガス分野の用途におけるそれらの使用
GB201021541D0 (en) 2010-12-21 2011-02-02 Reckitt Benckiser Nv Bleach catalyst particle
GB201104244D0 (en) 2011-03-14 2011-04-27 Reckitt Benckiser Nv Detergent composition with improved drying performance
JP2014521770A (ja) 2011-07-27 2014-08-28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多相液体洗剤組成物
US20140018279A1 (en) 2012-07-11 2014-01-16 Xinbei Song Dishwashing compositions containing an esterified substituted benzene sulfonate
US20140018278A1 (en) 2012-07-11 2014-01-16 Xinbei Song Dishwashing composition with improved protection against aluminum corrosion
EP2727991A1 (en) 2012-10-30 2014-05-0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leaning and disinfecting liquid hand dishwashing detergent compositions
PL2746376T3 (pl) 2012-12-21 2018-04-3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Kompozycja do mycia naczyń
ES2654192T3 (es) 2013-09-09 2018-02-12 Ecolab Usa Inc. Eliminación sinérgica de manchas mediante una nueva combinación de agentes quelantes
KR102360294B1 (ko) 2013-09-13 2022-02-08 바스프 에스이 거울상이성질체의 혼합물, 및 이러한 혼합물의 제조 방법
EP2857486A1 (en) 2013-10-07 2015-04-08 WeylChem Switzerland AG Multi-compartment pouch comprising cleaning compositions, washing process and use for washing and cleaning of textiles and dishes
EP2857485A1 (en) 2013-10-07 2015-04-08 WeylChem Switzerland AG Multi-compartment pouch comprising alkanolamine-free cleaning compositions, washing process and use for washing and cleaning of textiles and dishes
EP2857487A1 (en) 2013-10-07 2015-04-08 WeylChem Switzerland AG Multi-compartment pouch comprising cleaning compositions, washing process and use for washing and cleaning of textiles and dishes
US9267096B2 (en) 2013-10-29 2016-02-23 Ecolab USA, Inc. Use of amino carboxylate for enhancing metal protection in alkaline detergents
JPWO2015064746A1 (ja) * 2013-10-31 2017-03-09 ライオン株式会社 界面活性剤含有液
EP2940112A1 (en) 2014-04-30 2015-11-04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Cleaning composition
ES2704092T3 (es) 2014-04-30 2019-03-14 Procter & Gamble Composición limpiadora
EP2940113A1 (en) 2014-04-30 2015-11-04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Cleaning composition
EP2940117B1 (en) 2014-04-30 2020-08-19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Cleaning composition containing a polyetheramine
GB201413859D0 (en) 2014-08-05 2014-09-17 Reckitt Benckiser Brands Ltd New automatic washing machine and method
EP3191572A1 (en) 2014-09-10 2017-07-19 Basf Se Encapsulated cleaning composition
EP3034589A1 (en) 2014-12-17 2016-06-22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Detergent composition
EP3034591A1 (en) 2014-12-17 2016-06-22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Method of automatic dishwashing
EP3034597A1 (en) 2014-12-17 2016-06-22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Detergent composition
PL3034588T3 (pl) 2014-12-17 2019-09-30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Kompozycja detergentu
EP3034592A1 (en) 2014-12-17 2016-06-22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Method of automatic dishwashing
EP3034596B2 (en) 2014-12-17 2021-11-1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etergent composition
EP3034590A1 (en) 2014-12-17 2016-06-22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Method of automatic dishwashing
PL3271446T3 (pl) 2015-03-20 2022-11-07 Rohm And Haas Company Detergent do automatycznego zmywania naczyń
JP6624716B2 (ja) * 2015-06-18 2019-12-25 ライオン株式会社 α−スルホ脂肪酸エステル塩含有液
JP6773696B2 (ja) * 2015-07-06 2020-10-21 エコラボ ユーエスエー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新規の酸化剤とキレート剤の組み合わせによる染み除去
US9890350B2 (en) 2015-10-28 2018-02-13 Ecolab Usa Inc. Methods of using a soil release polymer in a neutral or low alkaline prewash
CN119752550A (zh) 2015-11-12 2025-04-04 艺康美国股份有限公司 碱性清洁剂组合物和从器皿上清洁含油和脂肪污垢的方法
EP3181675B2 (en) 2015-12-17 2022-12-0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utomatic dishwashing detergent composition
EP3181676B1 (en) 2015-12-17 2019-03-13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utomatic dishwashing detergent composition
EP3181671B1 (en) 2015-12-17 2024-07-1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utomatic dishwashing detergent composition
EP3181670B1 (en) 2015-12-17 2019-01-30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utomatic dishwashing detergent composition
EP3181672A1 (en) 2015-12-17 2017-06-21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utomatic dishwashing detergent composition
EP3181679A1 (en) 2015-12-17 2017-06-21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Process for making an automatic dishwashing product
EP3184622A1 (en) 2015-12-22 2017-06-28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utomatic dishwashing composition
JP6240944B2 (ja) * 2015-12-28 2017-12-06 昭和電工株式会社 洗浄剤組成物、洗浄剤、洗浄剤組成物の製造方法
US20190085273A1 (en) 2016-03-09 2019-03-21 Basf Se Encapsulated laundry cleaning composition
EP3243894A1 (en) 2016-05-10 2017-11-15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Cleaning composition
EP3257928B1 (en) 2016-06-17 2019-12-11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utomatic dishwashing detergent composition
EP3257930A1 (en) 2016-06-17 2017-12-20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Cleaning pouch
EP3257931A1 (en) 2016-06-17 2017-12-20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Detergent composition
EP3257929B1 (en) 2016-06-17 2022-03-0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utomatic dishwashing detergent composition
EP3257923B1 (en) 2016-06-17 2020-04-08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utomatic dishwashing detergent composition
WO2018035193A1 (en) 2016-08-17 2018-02-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leaning composition
EP3528632B1 (en) 2016-10-21 2025-06-18 Ecolab USA Inc. REDUCED INHALATION HAZARD OF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pH DRIVEN PHYSIOLOGICAL RESPONSE
US9666975B1 (en) 2016-11-29 2017-05-30 Jeffrey Baldwin Sealed wall plate
EP3589125A1 (en) 2017-03-01 2020-01-08 Ecolab USA, Inc. Reduced inhalation hazard sanitizers and disinfectants via high molecular weight polymers
JP6514288B2 (ja) * 2017-09-14 2019-05-15 エコラボ ユーエスエー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新規なキレート化剤の組合せによる相乗的汚れ除去
WO2019152208A1 (en) * 2018-01-30 2019-08-08 Eastman Chemical Company Compositions comprising aminocarboxylate chelating agents
EP3749639B1 (en) * 2018-02-06 2022-11-23 Evonik Operations GmbH Highly stable and alkaline cleaning solutions and soluble surfactants
GB201809123D0 (en) 2018-06-04 2018-07-18 Reckitt Benckiser Finish Bv Composition
EP3802764B1 (en) 2018-06-07 2024-12-18 Ecolab USA Inc. Enzymatic pot and pan detergent
GB201814188D0 (en) 2018-08-31 2018-10-17 Reckitt Benckiser Finish Bv Automatic dishwashing product
GB201818827D0 (en) 2018-11-19 2019-01-02 Reckitt Benckiser Finish Bv Composition
GB201903318D0 (en) 2019-03-11 2019-04-24 Reckitt Benckiser Finish Bv Product
TW202449118A (zh) * 2019-06-03 2024-12-16 美商富士軟片電子材料美國股份有限公司 蝕刻組成物
CN114341330A (zh) * 2019-08-21 2022-04-12 联合利华知识产权控股有限公司 洗涤剂固体组合物
PL3822335T3 (pl) 2019-11-15 2023-03-13 Basf Se Kompozycje czyszczące i ich zastosowanie
JP7417753B2 (ja) * 2020-01-31 2024-01-18 エコラボ ユーエスエー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ウェア洗浄用途における酸素漂白剤とのアミラーゼ相乗効果
CN116583584A (zh) * 2020-12-07 2023-08-11 联合利华知识产权控股有限公司 洗涤剂组合物
EP4256020A1 (en) * 2020-12-07 2023-10-11 Unilever IP Holdings B.V. Detergent compositions
GB202218868D0 (en) 2022-12-14 2023-01-25 Reckitt Benckiser Finish Bv Solid unit dose detergent compositio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3979A (ko) * 1972-08-09 1975-01-16
JPH05186416A (ja) * 1991-05-31 1993-07-27 Dow Chem Co:The 分解性キレート化剤
DE4211713A1 (de) * 1992-04-08 1993-10-14 Basf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Aminodicarbonsäure-N,N-diessigsäuren
JPH0789913A (ja) * 1993-09-17 1995-04-04 Nitto Chem Ind Co Ltd アミノポリカルボン酸類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1996001803A1 (en) * 1994-07-11 1996-01-25 Albemarle Corporation A process for producing [s,s]-ethylenediamine-n,n'-disuccinic acid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37511A (en) * 1969-05-19 1972-01-25 Ethyl Corp Detergent formulations
US3717591A (en) * 1971-02-12 1973-02-20 Ethyl Corp Detergent formulations
US3697453A (en) * 1971-03-08 1972-10-10 Pfizer Iminodisuccinic acid salts as detergent builders
DE2220295C3 (de) * 1971-04-30 1981-11-12 Unilever N.V., Rotterdam Waschmittel
FR2253823B1 (ko) * 1973-12-11 1977-06-10 Colgate Palmolive Co
JPS55160099A (en) * 1979-05-18 1980-12-12 Kureha Chemical Ind Co Ltd Detergent composition
JPS5644119A (en) 1979-09-19 1981-04-23 Hitachi Ltd Magnetic head
JPS5851994B2 (ja) * 1979-12-05 1983-11-19 呉羽化学工業株式会社 無リン洗剤組成物
US4510020A (en) 1980-06-12 1985-04-09 Pulp And Paper Research Institute Of Canada Lumen-loaded paper pulp, its production and use
EP0089136A3 (en) * 1982-03-10 1984-05-3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Oral hygiene products
DE3504451A1 (de) * 1985-02-09 1986-08-14 Degussa Ag, 6000 Frankfurt Waschmittelbuilder
US4704233A (en) * 1986-11-10 1987-11-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etergent compositions containing ethylenediamine-N,N'-disuccinic acid
DE3712330A1 (de) * 1987-04-11 1988-10-20 Basf Ag 2-hydroxy-3-amino-propionsaeure-n,n-diessigsaeure und ihre derivate, ihre herstellung und verwendung insbesondere als komplexbildner und diese enthaltende wasch- und reinigungsmittel
DE3712329A1 (de) * 1987-04-11 1988-10-20 Basf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serin-n,n-diessigsaeure und derivaten, ihre verwendung insbesondere als komplexbildner und diese enthaltende wasch- und reinigungsmittel
GB8726673D0 (en) 1987-11-13 1987-12-16 Procter & Gamble Hard-surface cleaning compositions
DE3833047C2 (de) * 1988-09-29 1993-12-16 Henkel Kgaa Saure, maschinell anwendbare Geschirreinigungsmittel
US5362412A (en) 1991-04-17 1994-11-08 Hampshire Chemical Corp. Biodegradable bleach stabilizers for detergents
ES2119796T3 (es) 1991-05-15 1998-10-16 Hampshire Chemical Corp Composiciones de limpieza de superficies duras que contienen quelantes biodegradables.
JP3116194B2 (ja) * 1992-08-21 2000-12-11 コニカ株式会社 ハロゲン化銀写真感光材料用処理液
GB9216409D0 (en) * 1992-08-01 1992-09-16 Procter & Gamble Detergent compositions
DE4240697A1 (de) * 1992-12-03 1994-06-09 Basf Ag Verwendung von Iminodiessigsäure-Derivaten als Komplexbildner oder Gerüststoffe in technischen Reinigungsmittelformulierungen für harte Oberflächen aus Metall, Kunststoff, Lack oder Glas
DE4240695A1 (de) * 1992-12-03 1994-06-09 Basf Ag Verwendung von Iminodiessigsäure-Derivaten als Komplexbildner oder Gerüststoffe in alkalischen Reinigungsmittelformulierungen für die Getränke- und Nahrungsmittelindustrie
EP0687292B1 (en) * 1993-03-05 1997-09-1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etergent compositions containing ethylenediamine-n,n'-diglutaric acid or 2-hydroxypropylenediamine-n,n'-disuccinic acid
DE4319935A1 (de) * 1993-06-16 1994-12-22 Basf Ag Verwendung von Glycin-N,N-diessigsäure-Derivaten als Komplexbildner für Erdalkali- und Schwermetallionen
GB9322648D0 (en) 1993-11-03 1993-12-22 Ass Octel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s.s.e.d.d.s
US5466867A (en) * 1994-07-11 1995-11-14 Albemarle Corporation Method for producing [S,S]-ethylenediamine-N,N'-disuccinic acid from its calcium salt
US5587512A (en) * 1994-07-11 1996-12-24 Albemarle Corporation Process for obtaining [S,S]-ethylenediamine-n,n'-disuccinic acid from a salt solution of such acid and l-aspartic acid
US5707836A (en) * 1995-03-10 1998-01-13 Nitto Chemical Industry Co., Ltd. Production of alkylene or phenylenediamine disuccinic acid from fumaric acid and a diamine using lyase from microbe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3979A (ko) * 1972-08-09 1975-01-16
JPH05186416A (ja) * 1991-05-31 1993-07-27 Dow Chem Co:The 分解性キレート化剤
DE4211713A1 (de) * 1992-04-08 1993-10-14 Basf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Aminodicarbonsäure-N,N-diessigsäuren
JPH0789913A (ja) * 1993-09-17 1995-04-04 Nitto Chem Ind Co Ltd アミノポリカルボン酸類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1996001803A1 (en) * 1994-07-11 1996-01-25 Albemarle Corporation A process for producing [s,s]-ethylenediamine-n,n'-disuccinic aci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0212596A (ja) 2000-08-02
US6221834B1 (en) 2001-04-24
US6451757B2 (en) 2002-09-17
CN1246433C (zh) 2006-03-22
EP0783034B1 (en) 2010-08-18
CN1515545A (zh) 2004-07-28
EP0783034A2 (en) 1997-07-09
US6426229B1 (en) 2002-07-30
KR970070175A (ko) 1997-11-07
US20020039980A1 (en) 2002-04-04
EP0783034A3 (en) 1998-07-08
US20010034318A1 (en) 2001-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3822B1 (ko) 킬레이트화제및그를함유하는세정제
RU2638554C2 (ru) Моющая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мытья посуды
AU2006310249B2 (en) Detergent composition
KR102360294B1 (ko) 거울상이성질체의 혼합물, 및 이러한 혼합물의 제조 방법
US5481018A (en) Amino nitrile intermediate for the preparation of alanine diacetic acid
JPH101660A (ja) キレート剤およびこれを用いた洗浄剤
JP2001342453A (ja) キレート剤組成物
EP3440177B1 (en) Mixtures of chelating agents, and process for making such mixtures
EP3268347B1 (en) Mixtures of chelating agents, and process for making such mixtures
JPH10231469A (ja) キレート剤およびこれを用いた洗浄剤
EP3268348B1 (en) Process for making mixtures of enantiomers, and mixtures of enantiomers
US5726341A (en) Amine nitrile intermediate for the preparation of 2-hydroxyethyl iminodiacetic acid
TW515784B (en) Chelating agent and detergent comprising the same
US4882091A (en) Use of polyhydroxyalkylamine-N-N-dicarboxylic acids and their salts as builders in detergents and cleaning agents
EP1004660B1 (en) An amino nitrile intermediate for the preparation of 2-hydroxyethyl iminodiacetic acid
US5488130A (en) Amino nitrile intermediate for the preparation of 2-hydroxypropyl iminodiacetic acid
MXPA97007502A (en) Intermediario de aminonitrilo for the preparation of dianic acid from ala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6122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1999051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1121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6122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02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08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5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10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1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1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1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2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22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21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2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21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23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21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EXPY Expiration of term
PC1801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