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40344B1 - 고균질 셀룰로오스 용액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고균질 셀룰로오스 용액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0344B1
KR100540344B1 KR1020030043255A KR20030043255A KR100540344B1 KR 100540344 B1 KR100540344 B1 KR 100540344B1 KR 1020030043255 A KR1020030043255 A KR 1020030043255A KR 20030043255 A KR20030043255 A KR 20030043255A KR 100540344 B1 KR100540344 B1 KR 1005403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ulose
solution
nmmo
extruder
produc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32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03121A (ko
Inventor
권익현
최수명
왕영수
김성룡
최재식
이태정
한석종
김명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효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효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효성
Priority to KR10200300432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0344B1/ko
Priority to PCT/KR2003/002250 priority patent/WO2005001174A1/en
Priority to JP2004531661A priority patent/JP4004501B2/ja
Priority to AU2003273104A priority patent/AU2003273104A1/en
Priority to US10/481,105 priority patent/US7214727B2/en
Priority to CNB038004879A priority patent/CN1309886C/zh
Priority to AT03029111T priority patent/ATE477281T1/de
Priority to DE60333743T priority patent/DE60333743D1/de
Priority to EP03029111A priority patent/EP1493753B1/en
Publication of KR200500031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3121A/ko
Priority to US11/266,253 priority patent/US7214335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03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0344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02Making solutions, dispersions, lattices or gels by other methods than by solution, emulsion or suspension polymerisation techniques
    • C08J3/09Making solutions, dispersions, lattices or gels by other methods than by solution, emulsion or suspension polymerisation techniques in organic liquids
    • C08J3/11Making solutions, dispersions, lattices or gels by other methods than by solution, emulsion or suspension polymerisation techniques in organic liquids from solid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B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 C08B1/00Preparatory treatment of cellulose for making derivatives thereof, e.g. pre-treatment, pre-soaking, activation
    • C08B1/003Preparation of cellulose solutions, i.e. dopes, with different possible solvents, e.g. ionic liqu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01/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llulose, modified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 C08J2301/02Cellulose; Modified cellulos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0Compositions of cellulose, modified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 C08L1/02Cellulose; Modified cellulos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rocesses Of Treat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온에서도 균질한 셀룰로오스 용액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액상 농축 N-메틸모폴린 N-옥사이드(NMMO)에 셀룰로오스 분말을 소량 용해시킨 다음, 상기 용액과 셀룰로오스 분말을 압출기로 공급하여 압출기 내에서 혼합, 팽윤 및 용해 시켜 저온에서 균질한 셀룰로오스 용액으로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는 액상 농축NMMO에 소량의 펄프를 용해시켜 NMMO의 융점을 낮아지게하는 효과로 인하여,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 NMMO 용액을 압출기에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설명한 이유로 인하여 넓은 공정 온도범위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또한 낮은 온도에서 셀룰로오스 분말과 NMMO 용액을 원활히 팽윤시킬 수 있어 고온의 NMMO에 의한 순간적인 용해로 셀룰로오스 분말 표면에 피막이 생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최종적으로는 저온에서도 균질한 셀룰로오스 용액을 제조할 수 있으며, 또한 압출기내에서 고온의 팽윤 용해과정에서 발생되는 셀룰로오스 분해를 억제시켜 유연성과 강도가 우수한 셀룰로오스 섬유를 제공할 수 있다.
고균질 셀룰로오스 용액, 셀룰로오스 섬유, N-메틸모폴린 N-옥사이드, 니더, 압출기

Description

고균질 셀룰로오스 용액의 제조방법{A process for preparing a highly homogeneous cellulose solution}
도 1은 본 발명의 균질한 셀룰로오스 용액을 제조하는 공정 개략도.
도 2는 셀룰로오스 농도에 따른 고화 온도 변화 추이도
본 발명은 저온에서도 균질한 셀룰로오스 용액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액상 농축 N-메틸모폴린 N-옥사이드(이하 'NMMO'라 함)에 셀룰로오스 분말을 소량 용해시킨 다음, 상기 용액과 셀룰로오스 분말을 압출기로 공급하여 압출기 내에서 혼합, 팽윤 및 용해 시켜 저온에서 균질한 셀룰로오스 용액으로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셀룰로오스는 다른 물질과의 친화력이 매우 높으나 분자 사슬 또는 사슬내의 강한 수소결합으로 만들어지는 결정구조로 인하여 일반적인 용제로 용해가 어려우며 이 구조를 파괴하여 용액을 제조할 수 있는 용제 가운데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 은 NMMO이다.
NMMO 용매를 이용한 셀룰로오스 섬유의 제조공정은 용매의 회수율이 99%이상으로 다른 습식방사에 비해 매우 높고 극소량의 저농도 NMMO가 공정 중 에서 외부로 배출 되긴 하나 NMMO 자체의 독성이 낮아 환경 친화적인 무공해 공정이라는 점과 제조된 섬유와 필름이 높은 기계적 강도를 가짐으로 셀룰로오스를 소재로 한 제품 제조공정에 많이 이용되고 있는 바, 이와 같은 방법들은 미국특허 제 3,447,935 호를 시작으로 하여 많은 방법이 제안된 바 있다.
미국특허 제 4,142,913 호, 제 4,144,080 호, 제 4,196,282 호 및 제 4,246,221 호에서는 50% 이하의 수분을 함유한 NMMO 수용액에 셀룰로오스를 팽윤시키고 팽윤된 셀룰로오스를 포함하고 있는 NMMO 수용액으로부터 물을 감압증류하여 방사원액을 제조한 후에 압출하여 섬유를 만드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 방법들은 용해부터 방사까지 장시간이 소요되므로 열분해에 의한 물성저하가 초래될 수 있다.
또한 사용되는 에너지의 소비량이 많아서 제조원가를 상승시키는 요인이 되었다.
PCT 국제공개 WO 94/06530호에서는 박막증류장치로 수분을 제거하여 셀룰로오스용액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는 바, 이 방법은 장치가 복잡하고 고점도의 셀룰로오스 용액을 제조하기에는 생산효율이 낮다는 단점이 있다.
또 미국특허 제 4,221,574 호는 5 내지 15중량%의 수분을 함유한 액상의 3급 아민옥사이드를 용매로 사용하여 셀룰로오스 시트를 65 내지 95℃에서 팽윤시키고 이를 바로 교반 가열하여 방사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 방법은 펄프 시트 표면에 형성된 피막 때문에 균질한 셀룰로오스 용액을 얻을 수 없었다.
또 미국특허 제 4,416,698 호는 액상이 아닌 고상의 NMMO와 셀룰로오스 펄프를 압출장치에서 교반하여 방사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는바, 이 방법은 두가지 혼합분말을 다량으로 사용하므로 용액에 미용해분이 많아져서 대량 생산에 큰 문제를 가지고 있다.
또한 PCT 국제공개 WO 제 1997/47790호에서는 셀룰로오스 펄프 시트 대신에 피브릴형 셀룰로오스 분말과 온도가 50 ∼ 130℃이고 수분함량이 5 내지 20중량%인 고농도 NMMO 수용액을 트윈스크류 압출기에서 혼합 용해하여 방사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이 방법은 방사 시에 미용해분과 불순물 제거를 위한 필터의 교체횟수를 증가시킴으로써 원가를 상승시키는 단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용액 속에 남아 있는 다량의 미용해분으로 인하여 균질한 셀룰로오스 용액을 제조할 수 없으므로 섬유의 물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셀룰로오스 용액의 제조방법을 제시하고 있는 미국특허 제 4,416,698 호 및 PCT 국제공개 WO 1997/47790 호에는 압출기 내에서 혼합, 팽윤, 용해과정을 거쳐 셀룰로오스 용액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시하였으나, 이 방법들은 셀룰로오스를 충분히 용해시킬 수 없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 및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액상 농축 N-메틸모폴린 N-옥사이드(NMMO)에 0.01 내지 5중량%의 셀룰로오스 분말을 먼저 소량 용해시켜 NMMO용액을 제조함으로써, 액상 농축NMMO에 소량의 펄프를 용해시켜 NMMO의 융점을 낮아지는 효과로 인하여,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 NMMO 용액을 압출기에 공급할 수 있어, 넓은 공정 온도범위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낮은 온도에서 셀룰로오스 분말과 NMMO 용액을 원활히 팽윤시킬 수 있어 셀룰로오스 분말 표면에 피막이 생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최종적으로는 저온에서도 균질한 셀룰로오스 용액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저온에서 제조된 균질한 셀룰로오스 용액을 사용함으로써, 압출기내에서 고온 팽윤 용해과정에서의 셀룰로오스와 NMMO의 분해 발생을 억제시켜 유연성과 강도가 우수한 셀룰로오스 섬유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른 본 발명은, 액상 농축 N-메틸모폴린 N-옥사이드(NMMO)에 0.01 내지 3중량%의 셀룰로오스 분말을 소량 용해시켜 셀룰로오스가 용해된 NMMO용액을 제조하는 단계(A); 상기 NMMO용액과 셀룰로오스 분말을 압출기로 공급하여 압출기 내에서 분산, 혼합, 전단, 니딩(kneading), 용해 및 계량성능을 부여하도록 스크루가 배열된 압출기를 통해 팽윤화 및 균질화된 셀룰로오스용액으로 제조되는 단계(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B) 단계에서 별도의 물 증발장치가 부착되지 않고 연속적으로 셀룰로오스 용액이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A) 또는 (B)단계에서 투여되는 셀룰로오스 분말의 겉보기 직경은 500㎛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B) 단계의 압출기내에서 혼합, 팽윤 및 용해시킨 다음, 최종 셀룰로오스 용액은 전체 중량대비 셀룰로오스의 함량이 3 내지 20 중량%의 농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A)단계에서 NMMO용액은 전체중량 대비 수분 함량이 10내지 15 중량%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B) 단계에서 셀룰로오스가 소량 용해된 액상 NMMO가 40℃ 내지 90℃의 온도로 유지되어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B) 단계에서 NMMO용액과 셀룰로오스 분말을 팽윤화 및 균질화 용액으로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압출기는 쌍축압출기를 사용하고 3개 내지 16개의 바렐 또는 screw의 L/D가 12 내지 64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쌍축 압출기는 30℃ 내지 110℃ 온도로 유지되어 실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쌍축 압출기의 screw회전속도는 100rpm 내지 1,200rpm으로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A) 또는 (B) 단계의 셀룰로오스 분말은 다른 고분자물질과의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저온에서 균질한 셀룰로오스 용액을 제조하는 공정순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에서 사용된 셀룰로오스 분말(2a, 2b)은 나이프바 부착된 분쇄기를 사용하여 입경이 500㎛ 이하가 되게 하였으며, 바람직하게는 300㎛ 이하의 것이 좋다.
분말의 크기가 500 ㎛를 초과하면 니더 또는 압출기(4) 내에서 일정하게 분산 및 팽윤이 되지 않는다.
농축 액상NMMO(1)에 가능한 한 500㎛ 이하로 만들어진 소량의 셀룰로오스 분말(2a)를 먼저 용해시킨다.
농축 액상NMMO(1)에 대한 셀룰로오스 분말(2a)의 함량은 0.01 내지 5중량%가 되게 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3중량%가 되게 한다.
또한, 산화방지제의 농도도 최종 셀룰로오스에 대해 0.005 ~ 0.5중량 %가 되게 펄프와 함께 녹인다.
이때 셀룰로오스 분말(2a)의 함량이 0.01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팽윤성 및 NMMO의 융점이 낮아지는데 기여하지 못하고, 5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NMMO용액(3)의 점도가 상승하여 압출기(4)에 공급하는데 문제점이 발생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농도가 10~50중량%인 NMMO 용액을 통상의 방법으로 농축시켜 수분함량이 10 내지 15중량%인 농축 액상 NMMO(1)가 되게 한다. 이는 수분 함량을 10% 미만으로 농축하는데 비용이 증가하여 경제성 면에서 불리하고, 수분함량이 15% 초과하면 용해성이 떨어진다.
셀룰로오스 분말(2a)이 소량 용해된 NMMO 용액(3)과 셀룰로오스 분말(2b)을 65 내지 105℃로 유지된 압출기(4)에 연속적으로 공급하여 압출기(4) 내에서 혼합, 팽윤 및 용해 시켜 균질한 셀룰로오스 용액을 제조한다.
상기 셀룰로오스 분말(2a)이 소량 용해된 NMMO 용액(3)은 기어펌프 또는 스크루식 공급기로 압출기(4)에 공급될 수 있으며, 또한 셀룰로오스 분말(2b)은 스크류식 공급기로 압출기(4)에 주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압출기(4) 내에서 혼합, 팽윤 및 용해된 셀룰로오스 용액 중 셀룰로오스 분말(2a)의 함량은 셀룰로오스 중합체의 중합도에 따라 농도를 액상 NMMO(1)에 대하여 3 내지 2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7 내지 14중량%가 되게 한다.
이때, 셀룰로오스 분말(2a) 함량이 3중량% 미만일 경우는 섬유로서의 물성을 가지지 못하며, 20중량%를 초과하면 액상 NMMO(1)으로 용해시키기 어려워서 균질한 용액을 얻을 수 없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B) 단계에서 분말 셀룰로오스와 고체상 NMMO가 투여되어 팽윤화 및 균질화된 셀룰로오스 용액으로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압출기(4)는 쌍축 압출기가 바람직하며, 상기 쌍축 압출기는 3개 내지 16개의 바렐 또는 스크루의 L/D가 12 내지 64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바렐이 3개 미만이거나 또는 스크루의 L/D가 12 미만이면 셀룰로오스 용액이 바렐을 통과하는 시간이 적어 미용해분이 발생하고 바렐이 16개 초과하거나 또는 스크루의 L/D가 64를 초과하면 스크루에 지나친 응력이 작용하여 스크루가 변형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A) 또는 (B)단계의 셀룰로오스 분말(2a, 2b)은 다 른 고분자물질 또는 첨가제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고분자물질로는 폴리비닐알콜, 카르복실메틸셀룰로오스,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이 있으며, 첨가제로서는 점도강화제, 이산화티탄, 이산화실리카, 카본, 염화암모늄 등이 있다.
도 2는 셀룰로오스 농도에 따른 NMMO의 고화온도 변화 추이도로, 셀룰로오스가 소량(약 0.01~5%)만 용해되어도 NMMO의 고화온도가 75℃에서 40℃로 급격히 감소됨을 보여준다.
본 발명에서는 액상 NMMO(1)에 소량의 펄프를 용해시켜 액상 NMMO(1)의 융점을 낮아지는 효과로 인하여,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 NMMO 용액(3)을 압출기(4)에 공급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넓은 공정 온도범위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또한 낮은 온도에서 셀룰로오스 분말(2b)과 NMMO 용액(3)을 원활히 팽윤시킬 수 있어 셀룰로오스 분말(2b) 표면에 피막이 생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최종적으로는 저온에서도 균질한 셀룰로오스 용액을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은 실시예에 의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되어지나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예에서는 다음과 같은 평가방법 및 측정방법이 활용되어졌다.
(a) 셀룰로오스 용액의 균질성
본 발명에서 제조된 셀룰로오스 분말의 용해성 평가는 압출기 출에 샘플 출구를 만들고 셀룰로오스 분말을 모노하이드레이트 NMMO(1수화물 NMMO)에 대하여 일정조건으로 용해시켰을 때 용해되지 않은 입자를 편광현미경으로 평가하였으며, 샘플이 놓여진 슬라이드 글래스(Slide Glass) 5×5㎟ 면적내의 미용해분 개수를 계산하였다.
(b) 중량 평균 중합도(DPw)
용해한 셀룰로오스의 고유점도[IV]는 우베로드점도계를 이용하여 ASTM D539-51T에 따라 만들어진 0.5M 큐프리에틸렌디아민 히드록사이드용액으로 25±0.01℃에서 0.1 내지 0.6 g/dl의 농도범위에서 측정하였다.
고유점도는 비점도를 농도에 따라 외삽 하여 구하며 이를 마크-호우윙크의 식에 대힙하여 중합도를 구한다.
[IV] = 0.98×10-2DPw 0.9
(c) 본 발명에서 제조된 셀룰로오즈 섬유의 물성은 다음과 같이 측정되었다.
건조강도 : 107℃, 2시간 건조후의 강도(g/d)
습윤강도 : 25℃, 65RH에서 24시간 방치하여 컨디셔닝 한 후에 측정한 강도(g/d)
실시예 1
중량 평균 중합도가 1000인 셀룰로오스 시트를 100메쉬 필터가 장착된 분쇄 기에 넣어 직경이 500㎛이하인 셀룰로오스 분말을 제조하고, 상기 셀룰로오스 분말을 NMMO에 용해시켰다. 이때 상기 NMMO용액 중 셀룰로오스의 함량은 1중량%,산화방지제는 최종 셀룰로오스에 대해 0.070중량%가 되도록 용해하였다.
상기 셀룰로오스가 1중량% 용해된 NMMO 용액을 주입온도 68℃로 내부가 78℃로 유지된 압출기(4)에 기어펌프로 6900g/시간 속도로 주입하며 셀룰로오스 분말은 스크류식 공급기로 784g/시간으로 압출기 주입하여 압출기 팽윤구역에서 체류시간은 0.8분으로 하고 온도는 60~80℃로 상승하게하여 셀룰로오스 분말을 NMMO 용액에 충분히 팽윤시킨 다음, 압출기의 용해구역에서 각 블록온도를 90 내지 95℃로 유지하고, 스크류를 200rpm으로 작동시켜 완전히 용해시킨 후에 노즐을 통해 배출하였다.
배출된 용액의 농도는 11.1중량%였으며, 미용해된 셀룰로오스입자가 함유되지 않은 균질한 상태였고 셀룰로오스 중합도는 915이었다.
실시예 2
중량 평균 중합도가 1200인 셀룰로오스 시트를 100메쉬 필터가 장착된 분쇄기에 넣어 직경이 500㎛이하인 셀룰로오스 분말을 제조하고, 상기 셀룰로오스 분말을 NMMO에 용해시켰다. 이때 상기 NMMO용액 중 셀룰로오스의 함량은 2중량%가 되도록 산화 방지제는 0.08%가 되도록 용해하였다. 상기 셀룰로오스가 2중량% 용해된 NMMO 용액을 내부가 78℃로 유지된 압출기에 기어펌프로 6900g/시간 속도로 주입온도 59℃ 주입하며 셀룰로오스 분말은 스크류식 공급기로 676g/시간으로 압출기 주 입하여 압출기 팽윤구역에서 체류시간은 1.1분 상승온도구간은 40~70℃으로 하여 셀룰로오스 분말을 NMMO 용액에 충분히 팽윤시킨 다음, 압출기내의 용해구역에서 각 블록온도를 90 내지 95℃로 유지하고, 스크류를 200rpm으로 작동시켜 용해시킨 후에 노즐을 통해 배출하였다.
배출된 용액의 농도는 10.7중량% 였으며, 미용해된 셀룰로오스 입자가 함유되지 않은 균질한 상태였고, 배출된 용액에서의 셀룰로오스 중합도는 1030이었다.
실시예 3
압출기내의 용해구역의 온도만 100℃로 변경하였고 다른 방법은 실시예 2과 동일하게 한 후 노즐을 통해 배출하였다.
미용해 셀룰로오스 입자가 거의 발견되지 않았으며 배출된 용액에서의 셀룰로오스 중합도는 1015이었다.
실시예 4
중량 평균 중합도가 850인 셀룰로오스 시트를 100메쉬 필터가 장착된 분쇄기에 넣어 직경이 500㎛이하인 셀룰로오스 분말을 제조하고, 상기 셀룰로오스 분말을 NMMO에 용해시켰다. 이때 상기 NMMO용액 중 셀룰로오스의 함량은 1.5중량% 산화 방지제는 0.13%가 되도록 용해하였다.
상기 셀룰로오스가 1.5중량% 용해된 63℃ NMMO 용액과 셀룰로오스 분말은 트윈스크류식 압출기로 주입하여 제조된 셀룰로오스 용액의 최종농도가 14.5중량%가 되게 하였다.
상기 트윈 압출기의 팽윤 구역 온도를 45~75℃로 유지하고 용해구역의 블록온도를 95℃로 유지하고, 스크류를 300rpm으로 작동시켜 용해시킨 후에 노즐을 통해 방사하였다.
미용해 셀룰로오스 입자가 거의 발견되지 않았으며 배출된 용액에서의 셀룰로오스 중합도는 760이었다.
비교예 1
중량 평균 중합도가 1200인 셀룰로오스를 분쇄기에서 직경이 500㎛ 이하로 분쇄한 분말을 89℃의 액상 NMMO(1수화물)와 함께 트윈스크류 압출기에 바로 주입하여 각 블록온도를 95℃로 유지하여 용해시킨 후 스쿠류를 250rpm에서 배출하여 방사하였다.
용액의 농도는 11중량%이었으며, 용액을 편광현미경으로 관찰하였을 때 직경 50 내지 100 ㎛의 미용해분이 존재하였으며, 셀룰로오스 중합도는 973이었다.
비교예2
압출기내 용해구역의 온도를 110℃ 로 변경하였고 다른 조건은 비교예1과 동일하게 한 후 노즐을 통해 배출하였다.
미용해 셀룰로오스입자는 소량이었으나 배출된 용액의 셀룰로오스 중합도는 820이었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1 비교예2
미용해분평가1) 0-1 0-2 0-6 0-9 24-36 14-19
건조강도(g/d) 6.2 7.3 5.9 5.5 5.4 4.3
건조 탄성률(g/d) 310 321 267 273 240 191
습윤강도(g/d) 5.6 6.4 5.1 4.7 4.2 3.6
1) 5×5㎟ 면적내의 미용해분 개수
본 발명은 액상 농축 N-메틸모폴린 N-옥사이드(NMMO)에 0.01 내지 3중량%의 셀룰로오스 분말을 먼저 소량 용해시켜 NMMO용액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는 액상 농축NMMO에 소량의 펄프를 용해시켜 NMMO의 융점을 낮아지게하는 효과로 인하여,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 NMMO 용액을 압출기에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설명한 이유로 인하여 넓은 공정 온도범위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또한 낮은 온도에서 셀룰로오스 분말과 NMMO 용액을 원활히 팽윤시킬 수 있어 고온의 NMMO에 의한 순간적인 용해로 셀룰로오스 분말 표면에 피막이 생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최종적으로는 저온에서도 균질한 셀룰로오스 용액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압출기내에서 고온의 팽윤 용해과정에서 발생되는 셀룰로오스 분해를 억제시켜 유연성과 강도가 우수한 셀룰로오스 섬유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0)

  1. (A) 액상 농축 N-메틸모폴린 N-옥사이드(NMMO) 용액 내의 셀룰로오스 함량이 0.01 내지 3중량%가 되도록 셀룰로오스 분말을 용해시켜 셀룰로오스가 용해된 N-메틸모폴린 N-옥사이드(NMMO)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N-메틸모폴린 N-옥사이드(NMMO) 용액과 셀룰로오스 분말을 압출기로 공급하여 압출기 내에서 분산, 혼합, 전단, 니딩(kneading), 용해 및 계량성능을 부여하도록 스크루가 배열된 압출기를 통해 저온에서 팽윤화 및 균질화된 셀룰로오스용액으로 제조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로오스 용액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 또는 (B)단계에서 투여되는 셀룰로오스 분말의 겉보기 직경은 500㎛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로오스 용액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의 압출기내에서 혼합, 팽윤 및 용해시킨 다음, 최종 셀룰로오스 용액은 전체 중량대비 셀룰로오스의 함량이 3 내지 20 중량%의 농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로오스 용액의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에서 NMMO용액은 전체중량 대비 수분 함량이 10 내지 15중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로오스 용액의 제조방법.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셀룰로오스가 소량 용해된 액상 NMMO가 40℃ 내지 90℃의 온도로 유지되어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로오스 용액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NMMO용액과 셀룰로오스 분말을 팽윤화 및 균질화 용액으로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압출기는 쌍축압출기를 사용하고 3개 내지 16개의 바렐 또는 screw의 L/D가 12 내지 64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로오스 용액의 제조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쌍축 압출기는 30℃ 내지 110℃ 온도로 유지되어 실행되고 특히 팽윤구간의 온도가 30~80℃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로오스 용액의 제조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 또는 (B) 단계의 셀룰로오스 분말은 다른 고분자물질과의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로오스 용액의 제조방법.
  9. 삭제
  10. 삭제
KR1020030043255A 2003-06-30 2003-06-30 고균질 셀룰로오스 용액의 제조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5403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3255A KR100540344B1 (ko) 2003-06-30 2003-06-30 고균질 셀룰로오스 용액의 제조방법
JP2004531661A JP4004501B2 (ja) 2003-06-30 2003-10-24 N−メチルモルフォリン−n−オキシドに溶解させたセルロースを含む溶液及びそれを用いた高強力リヨセル繊維
AU2003273104A AU2003273104A1 (en) 2003-06-30 2003-10-24 A solution containing cellulose dissolved in n-methylmorpholine-n-oxide and high tenacity lyocell multifilament using the same
US10/481,105 US7214727B2 (en) 2003-06-30 2003-10-24 Solution containing cellulose dissolved in N-methylmorpholine-N-oxide and high tenacity lyocell multifilament using the same
CNB038004879A CN1309886C (zh) 2003-06-30 2003-10-24 溶于n-甲基吗啉-n-氧化物的纤维素溶液及使用该溶液的纤维素纤维的制造方法
PCT/KR2003/002250 WO2005001174A1 (en) 2003-06-30 2003-10-24 A solution containing cellulose dissolved in n-methylmorpholine-n-oxide and high tenacity lyocell multifilament using the same
AT03029111T ATE477281T1 (de) 2003-06-30 2003-12-17 Zelluloselösung in n-methylmorpholin-n-oxid und lyocellmultifilamente mit hoher festigkeit, die diese verwendet
DE60333743T DE60333743D1 (de) 2003-06-30 2003-12-17 Zelluloselösung in N-Methylmorpholin-N-oxid und Lyocellmultifilamente mit hoher Festigkeit, die diese verwendet
EP03029111A EP1493753B1 (en) 2003-06-30 2003-12-17 A solution containing cellulose dissolved in N-methylmorpholine-N-oxide and high tenacity lyocell multifilament using the same
US11/266,253 US7214335B2 (en) 2003-06-30 2005-11-04 Solution containing cellulose dissolved in N-methylmorpholine-N-oxide and high tenacity lyocell multifilament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3255A KR100540344B1 (ko) 2003-06-30 2003-06-30 고균질 셀룰로오스 용액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3121A KR20050003121A (ko) 2005-01-10
KR100540344B1 true KR100540344B1 (ko) 2006-01-10

Family

ID=37218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3255A Expired - Fee Related KR100540344B1 (ko) 2003-06-30 2003-06-30 고균질 셀룰로오스 용액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03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4044B1 (ko) 2006-03-17 2010-09-28 주식회사 효성 쌍축 압출기를 이용한 균질 셀룰로오스 용액의 제조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16698A (en) * 1977-07-26 1983-11-22 Akzona Incorporated Shaped cellulose article prepared from a solution containing cellulose dissolved in a tertiary amine N-oxide solvent and a process for making the article
US5626810A (en) * 1993-10-19 1997-05-06 Lenzing Aktiengesellschaft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cellulose solutions
JPH09169853A (ja) * 1988-08-16 1997-06-30 Lenzing Ag セルロース溶液調製方法
US5888288A (en) * 1995-01-10 1999-03-30 Acordis Fibres (Holdings) Limited Forming solutions of cellulose in aqueous teritary amine oxide
KR20030038962A (ko) * 2001-11-09 2003-05-17 주식회사 효성 니더를 이용한 고균질한 셀룰로오스 용액의 제조방법
KR20050003120A (ko) * 2003-06-30 2005-01-10 주식회사 효성 고균질 셀룰로오스 용액으로부터 제조한 셀룰로오스섬유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16698A (en) * 1977-07-26 1983-11-22 Akzona Incorporated Shaped cellulose article prepared from a solution containing cellulose dissolved in a tertiary amine N-oxide solvent and a process for making the article
JPH09169853A (ja) * 1988-08-16 1997-06-30 Lenzing Ag セルロース溶液調製方法
US5626810A (en) * 1993-10-19 1997-05-06 Lenzing Aktiengesellschaft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cellulose solutions
US5888288A (en) * 1995-01-10 1999-03-30 Acordis Fibres (Holdings) Limited Forming solutions of cellulose in aqueous teritary amine oxide
KR20030038962A (ko) * 2001-11-09 2003-05-17 주식회사 효성 니더를 이용한 고균질한 셀룰로오스 용액의 제조방법
KR20050003120A (ko) * 2003-06-30 2005-01-10 주식회사 효성 고균질 셀룰로오스 용액으로부터 제조한 셀룰로오스섬유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4044B1 (ko) 2006-03-17 2010-09-28 주식회사 효성 쌍축 압출기를 이용한 균질 셀룰로오스 용액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3121A (ko) 2005-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04501B2 (ja) N−メチルモルフォリン−n−オキシドに溶解させたセルロースを含む溶液及びそれを用いた高強力リヨセル繊維
KR100575388B1 (ko) 고균질 셀룰로오스 용액 및 이로 부터 제조된 섬유
JP4104596B2 (ja) 高均質セルロース溶液及びそれを用いた高強力リヨセル繊維
KR100611890B1 (ko) 고균질 셀룰로오스 용액의 제조방법
JP3214706B2 (ja) N―メチルモルホリン―n―オキシドを使用する均質セルロース溶液の製造方法
US5584919A (en) Pelletized pre-dope granules of cellulose and tertiary amine oxide, spinning solution, of cellulose and process for making them
KR100486811B1 (ko) 고균질 셀룰로오스 용액으로부터 제조한 셀룰로오스섬유의 제조방법
KR100540344B1 (ko) 고균질 셀룰로오스 용액의 제조방법
KR100540343B1 (ko) 엔-메틸모포린-엔-옥사이드를 이용한 셀룰로오스 용액 및그의 제조방법
CN1468889A (zh) 制备具有良好加工性的纤维素溶液的方法
KR100545858B1 (ko) 고균질 셀룰로오스 용액의 제조방법
KR100488603B1 (ko) 셀룰로오스 섬유의 제조방법
KR101888067B1 (ko) 첨가제를 포함하는 라이오셀 섬유
KR100486815B1 (ko) 엔-메틸모포린-엔-옥사이드를 이용한 셀룰로오스 용액 및이를 이용한 고강력 라이오셀 섬유
KR100451083B1 (ko) 니더를 이용한 고균질한 셀룰로오스 용액의 제조방법
KR101110106B1 (ko) 엔-메틸모폴린 엔-옥사이드를 이용한 셀룰로오스 용액 및이를 이용한 고강도 라이오셀 필라멘트
EP0727439A1 (en) Pelletized pre-dope granules of cellulose and tertiary amine oxide, cellulosic spinning solution, and process for making them
KR101928868B1 (ko) 고무 성분을 가지는 첨가제를 포함하는 라이오셀 섬유
KR20050003124A (ko) 셀룰로오스/폴리비닐알콜 복합섬유
KR100987757B1 (ko) 셀룰로오스-폴리비닐알코올 복합섬유 및 그 제조방법
KR20180112183A (ko) 아마이드 구조를 가지는 첨가제를 포함하는 라이오셀 섬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06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6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12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12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512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6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6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30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6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