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26724B1 - 2개의 트랜지스터의 강유전체 비휘발성 메모리 - Google Patents

2개의 트랜지스터의 강유전체 비휘발성 메모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6724B1
KR100526724B1 KR10-2002-0081190A KR20020081190A KR100526724B1 KR 100526724 B1 KR100526724 B1 KR 100526724B1 KR 20020081190 A KR20020081190 A KR 20020081190A KR 100526724 B1 KR100526724 B1 KR 1005267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rroelectric
mos transistor
capacitor
memory
mo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11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65297A (ko
Inventor
이종잔
흐스센뎅
Original Assignee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652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52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67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6724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22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ferroelectric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ram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Abstract

2개의 트랜지스터의 강유전체 비휘발성 메모리 셀은 워드 라인에 접속되고 상부 전극 및 하부 전극을 갖는 강유전체 캐패시터, 게이트 산화물 영역에 위치된 MOS 선형 캐패시터를 갖는 제1 MOS 트랜지스터 - 제1 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는 강유전체 캐패시터의 하부 전극에 접속되며, 제1 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은 비트 라인에 접속됨 -, 및 프로그래밍 라인에 접속된 게이트와 강유전체 캐패시터의 하부 전극에 접속된 드레인과 그라운드와 제1 MOS 트랜지스터의 소스에 접속된 소스를 갖는 제2 MOS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정 펄스가 워드 라인 및 프로그래밍 라인에 인가되는 경우에, 전하가 강유전체 캐패시터에 위치되고 강유전체 캐패시터의 바닥 전극을 그라운드 상태에 접속시킴으로써 강유전체 캐패시터는 MOS 선형 트랜지스터와 디커플링된다. 정 펄스가 워드라인에 인가되고 정 펄스가 프로그래밍 라인에 인가되는 경우에, "1" 상태가 생성된다. 부 펄스가 워드 라인에 인가되고 정 펄스가 프로그래밍 라인에 인가되는 경우에, "0" 상태가 생성된다.

Description

2개의 트랜지스터의 강유전체 비휘발성 메모리{TWO TRANSISTOR FERROELECTRIC NON-VOLATILE MEMORY}
본 발명은 강유전체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및 내장형 메모리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저소비 전력 및 긴 메모리 보유 기간을 나타내는 2개의 트랜지스터 메모리 유닛에 관한 것이다.
많은 고체 상태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가 종래에 공지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플래쉬 메모리는 높은 패키징 밀도로 제작된 단일 트랜지스터 메모리 셀이지만, 높은 전압이 요구되고 상대적으로 느린 프로그래밍 프로세스를 갖는다. 전기적 소거가능 프로그래머블 판독 전용 메모리(EEPROM)는 플래쉬 메모리와 구조 및 동작 특성이 유사한 프로그래머블 메모리 어레이지만, 선택적으로 소거가능하다. 하나의 트랜지스터 하나의 캐패시터 강유전체 랜덤 액세스 메모리(1T-1C FeRAM) 장치는 다이나믹 RAM(DRAM)과 유사하며 파괴적인 판독을 갖는다. 1T FeRAM의 군은 여전히 개발 중에 있다. 이들 장치는 높은 대기 누설 전류 및 짧은 메모리 보유 기간을 갖고, 이것들은 이 메모리의 군의 2개의 주요한 방해물이다.
Sung-Min Yoon 등은 "A novel FET-type Ferroelectric Memory with Excellent Data Retention Characteristics"에서 1T-2C 장치를 개시하고 있고 데이터 보유 기간은 IEDM 2000과 같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분극된 2개의 강유전체 캐패시터를 제공함으로써 향상된다.
2개의 트랜지스터의 강유전체 비휘발성 메모리는 워드 라인에 접속된 상부 전극 및 하부 전극을 갖는 강유전체 캐패시터, 이의 게이트 산화물 영역에 위치된 MOS 선형 캐패시터를 포함하는 제1 MOS 트랜지스터 - 제1 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는 강유전체 캐패시터의 하부 전극에 접속되며 제1 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은 비트 라인에 접속되고 제1 MOS 트랜지스터의 소스는 그라운드에 접속됨 -, 및 프로그래밍 라인에 접속된 게이트와, 강유전체 캐패시터의 하부 전극에 접속된 드레인과, 그라운드 및 제1 MOS 트랜지스터의 소스에 접속된 소스를 갖는 제2 MOS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며, 정 펄스가 워드 라인에 인가되고 정 펄스가 프로그래밍 라인에 인가되는 경우에, 제2 MOS 트랜지스터는 스위치 온되어 강유전체 캐패시터의 바닥 전극을 그라운드에 접속시키고, 전하는 강유전체 캐패시터에 위치됨으로써 메모리에 "1" 상태를 생성시킨다. 부 펄스가 워드 라인에 인가되고 정 펄스가 프로그래밍 라인에 인가되는 경우, 제2 MOS 트랜지스터가 스위치 온되어 강유전체 캐패시터의 바닥 전극을 그라운드에 접속시키고, 전하는 강유전체 캐패시터에 위치됨으로써 메모리에 "0" 상태를 생성시킨다.
본 발명의 목적은 비휘발성 메모리 특성을 갖는 FeRAM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긴 메모리 보유 기간 특성 및 저소비 전력을 갖는 FeRAM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2T-1C FeRAM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요약 및 목적은 본 발명의 사상을 빨리 이해시키기 위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더욱 완전한 이해는 도면과 연계하여 하기의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1T FeRAM의 문제점인 짧은 메모리 보유 기간 및 높은 대기 누설 전류를 해결하고, 비파괴적 판독을 하는 2T FeRAM을 포함한다.
앞서 언급된 바와같이, 1T 강유전체 메모리는 사용자 애플리케이션에 적당한 1T Fe 장치를 만들기 위해 해결할 필요가 있는 몇몇 특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2T 강유전체 메모리 셀은 1T 강유전체 메모리 장치와 관련된 문제들을 해결한다. 도 1은 10으로 표시된,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2T FeRAM을 도시한다. FeRAM(10)은 제1 MOS 트랜지스터(12), 제2 MOS 트랜지스터(14), 및 제1 MOS 트랜지스터(12)의 게이트(12g)와 제2 MOS 트랜지스터(14)의 드레인(14d)에 접속된 바닥 전극을 갖는 강유전체 캐패시터(16)를 포함한다. 선형 캐패시터(18)는 제1 MOS 트랜지스터(12)의 게이트 산화물에 위치한다.
본 발명의 2T FeRAM 셀에서, 강유전체 캐패시터(16)는 제1 또는 셀 트랜지스터(12)의 게이트(12g)에 접속된다. 제2 트랜지스터(14)는 프로그래밍 트랜지스터이다. 제2 MOS 트랜지스터(14)의 드레인(14d)은 강유전체 캐패시터(16)의 바닥 전극과 셀 트랜지스터(12)의 게이트 전극(12g)에 접속된다. 워드 라인(WL)은 강유전체 캐패시터(16)의 최상부 전극에 접속된다. 프로그래밍 라인(PL)은 제2 MOS 트랜지스터(14)의 게이트(14g)에 접속되고, 비트 라인(BL)은 본 명세서에서 '메모리 트랜지스터'라고 부르는 제1 MOS 트랜지스터(12)의 드레인(12d)에 접속된다.
도 2a는 "0" 상태에서의 본 발명의 2T FeRAM을 도시한 반면에, 도 2b는 프로그래밍중의 "1" 상태에서의 2T FeRAM을 도시한다.
데이터 보유 :
도 3에는, 종래 1T 강유전체 메모리가 20으로 표시되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MOS 선형 캐패시터(22)는 강유전체 캐패시터(24)와 직렬로 형성된다. 프로그래밍 싸이클 시작 동안(도면의 좌측부), 캐패시터(22, 24) 양단에서 전압이 강하한다. 강유전체 캐패시터(24) 및 MOS 선형 캐패시터(22) 상의 전하량은 동일하다. 강유전체 및 MOS 선형 캐패시터에 걸리는 전기장은 동일한 방향이다. 프로그래밍 싸이클의 종단에서, 프로그래밍 전압은 0으로 강하한다(도면의 우측부). MOS 선형 캐패시터 상의 자유 전하에 의해 생성된 전압은 강유전체 캐패시터에 대한 배터리로 동작한다. 그러나, 이 전압은 분극 방향의 전압과 반대이며, "탈분극 전압"으로 불린다. 탈분극 전압은 분극을 빠르게 역전시켜 강유전체 "메모리"가 사라진다.
도 4에는, 2T FeRAM(10)의 프로그래밍 싸이클의 시작을 도시하고 있다. 강유전체 메모리 셀(10)을 "0" 상태로 프로그래밍하기 위해, 정 펄스가 WL 및 PL에 인가된다. 제2 트랜지스터(14)가 스위치 온되어 강유전체 캐패시터(16)의 바닥 전극을 그라운드에 접속시켜, 강유전체 캐패시터(16)와 선형 캐패시터(18)를 디커플링한다. WL 전압은 강유전체 캐패시터 양단에서만 강하한다. 도 3의 1T 강유전체 메모리와 비교하여, 이는 프로그래밍 전압을 감소시킨다. 프로그래밍 싸이클의 종단에서, 강유전체 캐패시터(16)에서의 자유 전자(15)는 방전된다. 강유전체 캐패시터(16) 상의 어떠한 탈분극 전압도 없으므로, 2T 강유전체 메모리에 대한 긴 보유 기간이 얻어진다. 동일한 기법이 "1" 상태를 기입하기 위하여 이어진다.
본 발명의 메모리 장치에 긴 보유 기간이 얻어지는 이유는 MOS 선형 캐패시터가 강유전체 캐패시터와 디커플링되고, 프로그래밍 후에, 강유전체 캐패시터(16)의 양 전극이 동일한 전위, 즉 그라운드가 되므로, 강유전체 물질에 걸리는 탈분극장이 없어지기 때문이다. 종래의 1T FeRAM 메모리 셀의 경우에, 프로그래밍 이후에 강유전체 캐패시터에 걸리는 전압은 탈분극 전압: Q/(COX+Cfe)이고, 여기에서 Q는 분극 전하이고, COX는 게이트 산화물 정전용량, 이른바 선형 내지 일정 캐패시터이고 Cfe는 강유전체 캐패시터의 정전용량이다. 본 발명의 2T FeRAM에서, 극성이 반대이지만 저장 전하와 동등한 전하가 강유전체 캐패시터의 바닥 전극으로 유입된다. 그 결과로, 순 저장 전하는 약 0이된다. 강유전체 캐패시터 양단에서의 탈분극장은 없다.
대기 전류 :
도 5에는, 도면의 좌측상에 "1" 상태를 기입한 후의 강유전체 메모리(20)가 도시되어 있다. 트랜지스터(26)가 턴 온되고 WL이 턴 오프된 후에도 그 상태로 유지된다. 다른 메모리 셀을 어드레싱하기 위해 Vdd가 BL에 인가되는 경우에, 어드레싱이 되지 않더라도 전류는 메모리 셀(20)에 흐른다. 이는 판독 노이즈를 초래하고 메모리(20)에 대한 더 높은 대기 전력이 요구된다. 이 문제를 다루기 위해 모든 강유전체 메모리 셀에 포함되는 선택 트랜지스터가 Hsu 등에 1993년 8월 3일 허여된 미국 출원번호 제5,932,904호 "Two transistor ferroelectric memory cell" 및 Hsu 등에 2000년 11월 14일에 허여된 미국 출원번호 제6,146,904호 "Method of making a two transistor ferroelectric memory cell"에서 제안되었지만, 본 발명에서와 같이, 선택 트랜지스터는 강유전체 메모리의 보유 문제를 해결하지 않고 2T 구성으로 메모리 셀 사이즈를 증가시킨다.
도 6에는, 2T 강유전체 메모리 셀(10)의 경우에서, Vdd 전압이 BL에 인가되는 경우라도, 메모리 트랜지스터는 "1" 및 "0" 상태에서 오프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2T FeRAM은 낮은 대기 전류를 갖는다.
비파괴적 판독 :
도 7에는, 판독 싸이클 중에, 정 펄스가 WL 및 BL에 인가되어 PL을 "플로팅" 상태로 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2T 강유전체 메모리 셀의 "0" 상태인 경우에, WL 상의 정 펄스(도면 중심)는 강유전체 캐패시터 및 MOS 선형 캐패시터를 충전시킨다. 어떤 도메인 스위칭도 강유전체 캐패시터 상에서 발생하지 않지만, MOS 선형 캐패시터는 Qlinear(19)로 충전된다. 저전류는 메모리 트랜지스터의 소스(그라운드)로부터 드레인(BL)으로 흐를 수 있다. 판독 싸이클 후에, MOS 선형 캐패시터 전하(Qlinear)는 방전되고 강유전체 캐패시터는 원래 상태로 되돌아간다.
도 8은 "1" 상태에서 본 발명의 2T FeRAM의 판독 공정을 도시하고, WL 상의 정 펄스(도면 중심)는 강유전체 도메인을 스위칭하고 MOS 선형 캐패시터를 충전시킨다. 강한 반전이 nMOS 메모리 트랜지스터 상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고전류가 메모리 트랜지스터의 소스(그라운드)로부터 드레인(BL)로 흐를 수 있다. 판독 싸이클의 종단에서, MOS 선형 캐패시터는 강유전체 캐패시터를 탈분극시키는 강한 "탈분극장"을 생성시킨다. 이 특징은 1T 강유전체 메모리의 특징과 동일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2T FeRAM의 경우에서, 탈분극은 메모리를 다시 이의 원 상태(도면의 우측)로 복구시키고 비파괴적 판독을 제공한다.
메모리 어레이 :
본 발명의 메모리 어레이는 도 9에서 일반적으로 30으로 표시되어 있고,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4개의 2T FeRAM 메모리 셀(32, 34, 36, 및 38)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비휘발성 메모리 특성과 긴 메모리 보유 기간 및 저소비 전력을 갖는 FeRAM를 제공한다.
이와같이, 2개의 트랜지스터의 강유전체 비휘발성 메모리가 개시되었다. 이의 다른 변경 및 변형들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한정되는 바와같이 본 발명의 범위내에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2T FeRAM을 나타내는 도.
도 2는 "0" 및 "1" 상태에서의 본 발명의 2T FeRAM을 나타내는 도.
도 3은 프로그래밍 싸이클의 시작에서의 종래 1T FeRAM을 나타내는 도.
도 4는 프로그래밍 싸이클의 시작에서의 본 발명에서의 2T FeRAM을 나타내는 도.
도 5는 "1" 및 "0" 상태에서의 종래 1T FeRAM을 나타내는 도.
도 6은 "1" 및 "0" 상태에서의 본 발명의 2T FeRAM을 나타내는 도.
도 7 및 8은 판독 동작 중의 본 발명의 2T FeRAM을 나타내는 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2T FeRAM의 메모리 어레이를 나타내는 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제1 MOS 트랜지스터
14 : 제2 MOS 트랜지스터
16 : 강유전체 캐패시터
22 : MOS 선형 캐패시터

Claims (16)

  1. 2개의 트랜지스터의 강유전체 비휘발성 메모리에 있어서,
    워드 라인에 접속되고 상부 전극 및 하부 전극을 갖는 강유전체 캐패시터;
    상기 강유전체 캐패시터의 상기 하부 전극에 접속된 게이트를 갖는 제1 MOS 트랜지스터 - 상기 제1 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은 비트 라인에 접속되고, 상기 제1 MOS 트랜지스터의 소스는 그라운드에 접속됨 -;
    상기 제1 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산화물에 위치된 MOS 선형 캐패시터; 및
    프로그래밍 라인에 접속된 게이트, 상기 강유전체 캐패시터의 상기 하부 전극에 접속된 드레인, 및 그라운드와 상기 제1 MOS 트랜지스터의 상기 소스에 접속된 소스를 갖는 제2 MOS 트랜지스터
    를 갖는 2개의 트랜지스터의 강유전체 비휘발성 메모리.
  2. 제1항에 있어서,
    정 펄스(positive pulse)가 상기 워드 라인 및 상기 프로그래밍 라인에 인가되는 경우에, 전하가 상기 강유전체 캐패시터 및 상기 MOS 선형 캐패시터에 위치되고, 정 펄스가 인가된 후에는 상기 강유전체 캐패시터는 상기 MOS 선형 캐패시터와 디커플링되어, 메모리에 "1" 상태를 생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개의 트랜지스터의 강유전체 비휘발성 메모리.
  3. 제1항에 있어서,
    부 펄스(negative pulse)가 상기 워드 라인에 인가되고 정 펄스가 상기 프로그래밍 라인에 인가되는 경우에, "0" 상태가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개의 트랜지스터의 강유전체 비휘발성 메모리.
  4. 제1항에 있어서,
    전압이 비트라인에 인가되더라도, 상기 제1 MOS 트랜지스터는 "1" 및 "0" 상태에서 오프되어 있음으로써 낮은 대기 전류를 필요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개의 트랜지스터의 강유전체 비휘발성 메모리.
  5. 제1항에 있어서,
    "1" 상태에서 메모리의 판독 프로세스 동안, 상기 워드 라인 상의 정 펄스는 상기 강유전체 도메인을 스위칭하고 상기 MOS 선형 캐패시터를 충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개의 트랜지스터의 강유전체 비휘발성 메모리.
  6. 제1항에 있어서,
    판독 싸이클 동안, 상기 메모리는 판독되고 상기 강유전체 캐패시터상의 상기 전하를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개의 트랜지스터의 강유전체 비휘발성 메모리.
  7. 2개의 트랜지스터의 강유전체 비휘발성 메모리에 있어서,
    워드 라인에 접속되고 상부 전극 및 하부 전극을 갖는 강유전체 캐패시터;
    상기 강유전체 캐패시터의 상기 하부 전극에 접속된 게이트를 갖는 제1 MOS 트랜지스터 - 상기 제1 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은 비트 라인에 접속되고, 상기 제1 MOS 트랜지스터의 소스는 그라운드에 접속됨 -;
    상기 제1 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산화물에 위치된 MOS 선형 캐패시터; 및
    프로그래밍 라인에 접속된 게이트, 상기 강유전체 캐패시터의 상기 하부 전극에 접속된 드레인, 및 그라운드와 상기 제1 MOS 트랜지스터의 상기 소스에 접속된 소스를 갖는 제2 MOS 트랜지스터
    를 포함하고
    정 펄스가 상기 워드 라인 및 상기 프로그래밍 라인에 인가되는 경우에, 전하가 상기 강유전체 캐패시터에 위치되고 상기 강유전체 캐패시터는 상기 MOS 선형 캐패시터와 디커플링되어, 상기 메모리에 "1" 상태를 생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개의 트랜지스터의 강유전체 비휘발성 메모리.
  8. 제7항에 있어서,
    부 펄스가 상기 워드 라인에 인가되고 정 펄스는 상기 프로그래밍 라인에 인가되는 경우에, "0" 상태가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개의 트랜지스터의 강유전체 비휘발성 메모리.
  9. 제7항에 있어서,
    전압이 비트라인에 인가되더라도, 상기 제1 MOS 트랜지스터는 "1" 및 "0" 상태에서 오프되어 있음으로써 낮은 대기 전류를 필요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개의 트랜지스터의 강유전체 비휘발성 메모리.
  10. 제7항에 있어서,
    "1" 상태에서 메모리의 판독 프로세스 동안, 상기 워드 라인 상의 정 펄스는 상기 강유전체 도메인을 스위칭하고 상기 MOS 선형 캐패시터를 충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개의 트랜지스터의 강유전체 비휘발성 메모리.
  11. 제7항에 있어서,
    판독 싸이클 동안, 상기 메모리는 판독되고 상기 캐패시터 상의 상기 전하를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개의 트랜지스터의 강유전체 비휘발성 메모리.
  12. 2개의 트랜지스터의 강유전체 비휘발성 메모리에 있어서,
    워드 라인에 접속되고 상부 전극 및 하부 전극을 갖는 강유전체 캐패시터;
    상기 강유전체 캐패시터의 상기 하부 전극에 접속된 게이트를 갖는 제1 MOS 트랜지스터 - 상기 제1 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은 비트 라인에 접속되고, 상기 제1 MOS 트랜지스터의 소스는 그라운드에 접속됨 -;
    상기 제1 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산화물에 위치된 MOS 선형 캐패시터; 및
    프로그래밍 라인에 접속된 게이트, 상기 강유전체 캐패시터의 상기 하부 전극에 접속된 드레인, 및 그라운드와 상기 제1 MOS 트랜지스터의 상기 소스에 접속된 소스를 갖는 제2 MOS 트랜지스터
    를 포함하고
    부 펄스가 상기 워드 라인에 인가되고 정 펄스가 상기 프로그래밍 라인에 인가되는 경우에, "0" 상태가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개의 트랜지스터의 강유전체 비휘발성 메모리.
  13. 제12항에 있어서,
    정 펄스가 상기 워드 라인 및 상기 프로그래밍 라인에 인가되는 경우에, 전하가 상기 강유전체 캐패시터 및 상기 MOS 선형 캐패시터에 위치되고, 정 펄스가 인가된 후에는 상기 강유전체 캐패시터는 상기 MOS 선형 캐패시터와 디커플링되어, 메모리에 "1" 상태를 생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개의 트랜지스터의 강유전체 비휘발성 메모리.
  14. 제12항에 있어서,
    전압이 비트라인에 인가되더라도, 상기 제1 MOS 트랜지스터는 "1" 및 "0" 상태에서 오프되어 있음으로써 낮은 대기 전류를 필요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개의 트랜지스터의 강유전체 비휘발성 메모리.
  15. 제12항에 있어서,
    "1" 상태에서 메모리의 판독 프로세스 동안, 상기 워드 라인 상의 정 펄스는 상기 강유전체 도메인을 스위칭하고 상기 MOS 선형 캐패시터를 충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개의 트랜지스터의 강유전체 비휘발성 메모리.
  16. 제12항에 있어서,
    판독 싸이클 동안, 상기 메모리는 판독되고 상기 캐패시터 상의 상기 전하를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개의 트랜지스터의 강유전체 비휘발성 메모리.
KR10-2002-0081190A 2002-01-31 2002-12-18 2개의 트랜지스터의 강유전체 비휘발성 메모리 Expired - Fee Related KR1005267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062,850 2002-01-31
US10/062,850 US6510073B1 (en) 2002-01-31 2002-01-31 Two transistor ferroelectric non-volatile memor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5297A KR20030065297A (ko) 2003-08-06
KR100526724B1 true KR100526724B1 (ko) 2005-11-08

Family

ID=22045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1190A Expired - Fee Related KR100526724B1 (ko) 2002-01-31 2002-12-18 2개의 트랜지스터의 강유전체 비휘발성 메모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510073B1 (ko)
EP (1) EP1333444B1 (ko)
JP (1) JP2003228976A (ko)
KR (1) KR100526724B1 (ko)
DE (1) DE60217463T2 (ko)
TW (1) TW56943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11049B1 (en) * 2002-10-28 2004-03-23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One transistor cell FeRAM memory array
JP3988696B2 (ja) * 2003-03-27 2007-10-10 ソニー株式会社 データ読出方法及び半導体記憶装置
US7193880B2 (en) * 2004-06-14 2007-03-20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Plateline voltage pulsing to reduce storage node disturbance in ferroelectric memory
US7009864B2 (en) * 2003-12-29 2006-03-07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Zero cancellation scheme to reduce plateline voltage in ferroelectric memory
US8101219B2 (en) * 2004-03-05 2012-01-24 Eggology, Inc. Apparatus for preparing egg products in a microwave oven
US7133304B2 (en) * 2004-03-22 2006-11-07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to reduce storage node disturbance in ferroelectric memory
US6970371B1 (en) * 2004-05-17 2005-11-29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Reference generator system and methods for reading ferroelectric memory cells using reduced bitline voltages
US7561458B2 (en) * 2006-12-26 2009-07-14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Ferroelectric memory array for implementing a zero cancellation scheme to reduce plateline voltage in ferroelectric memory
US7920404B2 (en) * 2007-12-31 2011-04-05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Ferroelectric memory devices with partitioned platelines
WO2011099389A1 (en) * 2010-02-12 2011-08-18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and driving method of the same
KR101775180B1 (ko) * 2010-02-12 2017-09-05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반도체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CN102754162B (zh) * 2010-02-19 2015-12-09 株式会社半导体能源研究所 半导体器件及半导体器件的驱动方法
WO2011102233A1 (en) * 2010-02-19 2011-08-25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KR101783933B1 (ko) 2010-11-23 2017-10-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메모리 셀 및 이를 이용한 메모리 장치
JP6013682B2 (ja) * 2011-05-20 2016-10-25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半導体装置の駆動方法
US8867256B2 (en) * 2012-09-25 2014-10-21 Palo Alto Research Center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writing and non-destructively reading ferroelectric memories
WO2014157019A1 (en) * 2013-03-25 2014-10-02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US10460787B1 (en) * 2018-05-16 2019-10-29 Palo Alto Research Center Incorporated Selection circuit usable with ferroelectric memory
US11469327B2 (en) 2019-04-08 2022-10-11 Kepler Computing Inc. Doped polar layers and semiconductor device incorporating same
US11205467B2 (en) * 2019-05-09 2021-12-21 Namlab Ggmbh Ferroelectric memory and logic cell and operation method
CN110415744B (zh) * 2019-07-11 2021-04-16 清华大学 基于铁电晶体管的非易失存储器
US11380695B2 (en) * 2020-10-30 2022-07-05 Ferroelectric Memory Gmbh Memory cell arrangement and method thereof
US11335391B1 (en) 2020-10-30 2022-05-17 Ferroelectric Memory Gmbh Memory cell arrangement and method thereof
US11527551B2 (en) 2020-10-30 2022-12-13 Ferroelectric Memory Gmbh Memory cell arrangements and methods thereof
CN115482859A (zh) * 2021-06-15 2022-12-16 清华大学 数据存储结构及数据存储方法
TWI825878B (zh) * 2022-07-28 2023-12-11 國立陽明交通大學 金屬鐵電金屬場效應電晶體、金屬鐵電金屬場效應電晶體陣列及其操作方法
US12250823B2 (en) 2022-12-16 2025-03-11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Foundation Hanyang University Erica Campus Non-volatile memory device and its operating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09391A (en) * 1992-10-02 1994-05-03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Symmetrical polarization enhancement in a ferroelectric memory cell
US5753946A (en) * 1995-02-22 1998-05-19 Sony Corporation Ferroelectric memory
JPH08273373A (ja) * 1995-03-30 1996-10-18 Yamaha Corp 半導体記憶装置とその動作方法
JP2800745B2 (ja) * 1995-11-10 1998-09-21 日本電気株式会社 強誘電体メモリ
US5774392A (en) * 1996-03-28 1998-06-30 Ramtron International Corporation Bootstrapping circuit utilizing a ferroelectric capacitor
JP2939973B2 (ja) * 1996-06-06 1999-08-25 日本電気株式会社 不揮発性半導体メモリ装置の駆動方法
JP2982692B2 (ja) * 1996-06-06 1999-11-29 日本電気株式会社 不揮発性半導体メモリ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US5932904A (en) 1997-03-07 1999-08-03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Two transistor ferroelectric memory cell
US6198652B1 (en) * 1998-04-13 2001-03-06 Kabushiki Kaisha Toshiba Non-volatile semiconductor integrated memory device
JP2001043694A (ja) * 1999-07-30 2001-02-16 Oki Electric Ind Co Ltd 半導体記憶素子
US6449184B2 (en) * 2000-06-19 2002-09-1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ethod for driving semiconductor memo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333444A1 (en) 2003-08-06
US6510073B1 (en) 2003-01-21
JP2003228976A (ja) 2003-08-15
EP1333444B1 (en) 2007-01-10
TW569438B (en) 2004-01-01
KR20030065297A (ko) 2003-08-06
DE60217463T2 (de) 2007-10-11
DE60217463D1 (de) 2007-02-22
TW200302570A (en) 2003-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26724B1 (ko) 2개의 트랜지스터의 강유전체 비휘발성 메모리
US7190616B2 (en) In-service reconfigurable DRAM and flash memory device
US5978253A (en) Methods of operating integrated circuit memory devices having nonvolatile single transistor unit cells therein
US6487104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7898009B2 (en) Independently-double-gated transistor memory (IDGM)
US7728369B2 (en) Nonvolatile ferroelectric memory device
JP3431122B2 (ja) 半導体記憶装置
US9007823B2 (en) Semiconductor device
JP2002124081A (ja) 強誘電体メモリ装置
US7215567B2 (en) Ferroelectric memory device
JPH05250881A (ja) 不揮発性記憶素子
US9899085B1 (en) Non-volatile FeSRAM cell capable of non-destructive read operations
KR20010004385A (ko) 강유전체 메모리 장치
US7274593B2 (en) Nonvolatile ferroelectric memory device
JP3688232B2 (ja) 強誘電体記憶装置
KR100323985B1 (ko) 반도체 기억 장치
JP3720983B2 (ja) 強誘電体メモリ
US6236588B1 (en) Nonvolatile ferroelectric random access memory device and a method of reading data thereof
KR100745938B1 (ko) 강유전체 메모리 및 그 동작 방법
JPS6322626B2 (ko)
US6574134B1 (en) Non-volatile ferroelectric capacitor memory circuit having nondestructive read capability
KR19980087512A (ko) 하나의 메모리셀에 다수비트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반도체 기억장치
JPH0316097A (ja)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とその装置から情報を読み出す方法
KR19990021587A (ko)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 및 그 구동 방법
JPH08273372A (ja) 強誘電体記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7-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27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11101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111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