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20595B1 - 차량용 도어 - Google Patents

차량용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0595B1
KR100520595B1 KR10-2003-0083494A KR20030083494A KR100520595B1 KR 100520595 B1 KR100520595 B1 KR 100520595B1 KR 20030083494 A KR20030083494 A KR 20030083494A KR 100520595 B1 KR100520595 B1 KR 1005205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vehicle
reinforcement
outer panel
inner pane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34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47615A (ko
Inventor
나카가와하야미
Original Assignee
미쯔비시 지도샤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쯔비시 지도샤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미쯔비시 지도샤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476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76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05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0595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2Reinforcement elements
    • B60J5/0422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 B60J5/0438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elongated elements
    • B60J5/0443Be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차량용 도어의 제조 비용을 저감시킨다.
차량용 도어(10)는, 주로, 도어(10)의 윤곽을 형성하는 아우터 패널(11)과, 도어(10)의 윤곽에 거의 따라서 고리 형상으로 형성된 도어 보강재(door reinforce; 12)와, 상방으로 개구한 개략 U자 형상의 이너 패널(13)로 구성되고, 도어 보강재(12) 및 이너 패널(13)의 전후 단연 및 하방 단연이 각각 용접으로 연결되어, 상자형 단면이 형성되고, 도어 보강재(12)의 전후 종벽(17, 18)에 사이드 임팩트 바(16)의 양단이 용착되고, 종벽(17)에 도시하지 않은 도어 힌지가 부착되어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도어{Vehicle Door}
본 발명은 2002년 11월 26일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02-341784호를 우선권으로 주장한다.
본 발명은, 차량에 있어서의 승차용 도어, 특히, 제조시 이점이 많은 승차용 도어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 있어서의 종래의 승차용 도어(1)는,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각각 도어(1)의 윤곽을 형성하는 아우터 패널(2)과 이너 패널(3)이 차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그 아우터 패널(2)과 이너 패널(3)은, 차량 전후 단연(端緣)이나 하방 단연 등의 주연부에서 서로 연결된다. 그리고, 아우터 패널(2)과 이너 패널(3) 사이에, 벨트라인 보강재(4), 힌지 보강재(5), 래치 보강재(6) 등의 보강 부재가 배치된다. 또한 사이드 임팩트 바(9, 9)는, 그 일단이 프런트 브래킷(7, 7)을 통하여 힌지 보강재(5)에 고착되고, 타단은, 리어 브래킷(8, 8)을 통하여 이너 패널(3)의 차량 후방 측단부에 고착된다. 이 때문에, 사이드 임팩트 바(9, 9)는, 도어(1) 전체의 강성을 높이며 또한 차량 충돌시에 도어(1)가 받는 충격을 지지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의 경우에는, 브래킷이나 보강재가 개별적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부품 개수가 많아진다. 이 때문에, 보강재 조립 후의 형상 및 위치를 정밀도 좋게 확보하기 위해, 개개의 브래킷이나 보강재를 제조하는 때에는, 높은 제조 정밀도가 요구된다. 또한, 브래킷이나 보강재를 도어에 부착하는 때의 부착 정밀도도 필요해진다. 따라서 이들을 만족하기 위해 많은 수의 제조 공정과 작업 공정을 필요로 한다.
또한, 부품 개수가 많아짐에 의해, 각 부품의 관리 공정 수도 증대한다. 또한, 각각의 보강 부재가 각각 분산되어 이너 패널(3)에 배치되기 때문에, 도어의 강도를 확보하는 효율이 좋지 않다. 또한, 브래킷류의 부착에 필요한 접합 부분이 2중 구조로 되기 때문에, 도어 전체의 중량을 증대시키고, 도어(1)의 제조에 요하는 비용이 커진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차량용 도어로서, 특개2001-328430호 공보에 기재된 기술이 종래부터 알려져 있다. 이 종래 기술에서는, 도어 내부 커버와 도어 외판과의 사이에 골격이 고리 형상(環狀)으로 마련되어 있다. 그러나, 이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골격은, 도어 내부 커버 또는 도어 외판의 형상에 영향을 받지 않는 삼각형 형상의 고리 형상을 하고 있다. 따라서 도어의 하부에서, 도어 형상에 따른 골격 구조가 되지 않아서, 도어 전체를 충분히 보강할 수가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용 도어의 강성을 높이기 위해 효율 좋게 도어를 보강하는 구조이며, 제조 비용도 저감시키려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차량용 도어는, 도어 보강재가 도어 윤곽에 거의 따라서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이 도어 보강재를 벨트라인 보강재나 힌지 보강재 등의 보강 부재, 및 브래킷류로서 사용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벨트라인 보강재나 힌지 보강재 등의 보강 부재, 및 브래킷류를 다 종류 준비하는 공정 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로써, 부품 개수를 용이하며 대폭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고, 단일 부품인 고리 형상 도어 보강재 자신의 정밀도를 높임에 의해, 도어의 각 부분의 정밀도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고 도어 제조의 공정 수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도어 보강재가 도어 형상에 따라서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어 보강재가 도어 전체를 보강하고, 도어의 강성을 용이하게 높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예에 관해 설명한다.
도 1에 있어서, 차량용 도어(10)는, 주로 도어(10)의 윤곽을 형성하는 아우터 패널(11)과, 도어(10)의 윤곽에 거의 따라서 고리 형상으로 형성된 도어 보강재(12)와, 상방으로 개구한 개략 U자 형상의 이너 패널(13)로 구성되고, 차실 외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아우터 패널(11), 도어 보강재(12), 및 이너 패널(13)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리 형상의 도어 보강재(12)의 일부분인 하방 횡벽(121)은, 내주 측연(121a)과 외주 측연(121b)에서 이너 패널의 하방 단부(131)에 각각 용접되어 있다. 이로써, 도어 보강재의 하방 횡벽(121)과 이너 패널의 하방 단부(131)로 상자형 단면, 특히 폐단면(141)이 형성된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리 형상의 도어 보강재(12)의 일부분인 전방 종벽(122)은, 그 내주 측연(122a)이 아우터 패널(11)에 접착되고, 외주 측연(122b)이, 이너 패널(13)의 전방 단부(132)에 용접되어 있다. 이로써, 도어 보강재의 전방 종벽(122)과 이너 패널의 전방 단부(132)로 상자형 단면이 형성된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리 형상의 도어 보강재(12)의 일부분인 후방 종벽(123)은, 이너 패널의 후방 단부(133)에 서로 겹쳐서 용접되어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리 형상의 도어 보강재(12)의 일부분인 상방 횡벽(124)은, 그 외주 측연(124b)이 아우터 패널의 상방 단부(111)에 헤밍 가공되어 있다. 또한, 상방 횡벽(124)의 내주 측연(124a)은, 아우터 패널(11)에 대해 접착된다. 또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리 형상의 도어 보강재(12)의 일부분인 상방 횡벽(124)은, 그 외주 측연(124b)이 아우터 패널의 상방 단부(111)에 용접되어도 좋다.
이 때문에, 고리 형상의 도어 보강재(12)는, 하방 횡벽(121)에서는 이너 패널(13)과 폐단면을 형성하고, 전방 종벽(122) 및 후방 종벽(123)에서는, 이너 패널(13)과 내주측으로 개구하는 상자형 단면을 형성하고, 또한 상방 횡벽(124)에서는, 아우터 패널(11)과 폐단면을 형성한다.
따라서 도어 보강재(12) 및 이너 패널(13)에 의해 도어(10)의 골격(15)이 구성된다.
또한, 상방 횡벽(124)과 이너 패널(13) 사이에서 차폭 방향으로 생긴 공간은, 도시하지 않은 도어 윈도우 및 윈도우 레귤레이터 모듈을 삽입 또는 격납하는 스페이스가 된다. 아우터 패널(11)의 차량 전후방향 단연 및 상하 단연은 각각 골격(15)의 외주 단연에 헤밍 가공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또한, 사이드 임팩트 바(16, 16)의 양단이 각각 도어 보강재(12)의 차량 전방 종벽(122) 및 차량 후방 종벽(123)에 용착된다. 또한 차량 전방 종벽(122)에는 도어 힌지(17)가 부착되고, 차량 후방측 종벽(123)에는 도시하지 않은 도어 래치가 부착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도어 구조는, 이하의 효과를 갖는다.
우선, 고리 형상의 도어 보강재(12)는, 종래의 벨트라인 보강재(4), 힌지 보강재(5) 등의 보강 부재가 수행하고 있던 도어를 보강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도어 보강재(12)의 양 종벽(122, 123)은, 사이드 임팩트 바(16, 16)의 양단을 각각 고정한다. 이들에 의해, 도어(10)의 보강에 필요한 각종 보강재의 부품 개수를 종래 구조에 비하여 대폭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보강재가 도어 보강재(12)뿐이기 때문에, 도어 보강재(12) 그 자체의 제조 정밀도만 정확하게 하면, 이 도어 보강재에 부착되는 도어 힌지나 사이드 임팩트 바(16, 16) 등이 부착 정밀도는 자연히 높아진다. 또한, 부품 개수의 삭감은 부품을 관리하는 공수도 대폭적으로 경감시킬 수 있고, 도어(10)의 제조에 필요한 공수을 용이하게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도어 보강재(12)가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어 보강재(12)에 가하여지는 하중을 도어 보강재(12)의 전체에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것이 가능해짐에 의해, 그 하중을 효율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도어 보강재(12)의 강성을 용이하게 높일수 있고, 도어 골격(15)으로서의 강도를 확실하게 증대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어 보강재(12)는, 도어의 형상에 따라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어 전체를 보강 또한 지지할 수 있고, 아우터 패널(11)을 골격 부재로 하지 않고 단순한 치장판으로서의 역할만을 담당하게 되기 때문에, 아우터 패널의 형상의 자유도가 증가하며, 의장성이 향상한다.
종래와 같이 브래킷류의 부착에 필요한 2중 구조의 접합 부분이 생략될 수 있음에 의해, 도어(10) 전체의 중량을 경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너 패널(13)이 상방으로 크게 개구한 개략 U자 형상으로 되어 있어서, 종래와 같이 이너 패널이 도어의 윤곽을 형성하고 있는 경우와 비교하면, 중량을 간단하게 경감화 시킬 수 있고, 이 면에서도 도어(10) 전체의 중량 경감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부품 개수나 부품 관리 공수의 저감, 부품 부착 정밀도의 향상, 도어 골격(15)의 강도 증대, 중량의 경감 등에 의해, 도어(10)의 제조에 필요한 비용을 용이하게 저감시킬 수 있는 큰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예에서는, 도어 보강재(12)가 종래의 힌지 보강재도 완전하게 일체화하고 있지만, 도어 보강재(12) 성형상의 사정 등에 의해, 별체의 힌지 와셔(座金具)를 도어 보강재(12)의 차량 전방 측종벽(17)에 고착하도록 하여도, 상기 실시 형태예와 같은 작용 효과를 이룰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차량용 도어에서는, 도어 보강재가 도어 윤곽에 거의 따라서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종래와 같이 보강 부재나 브래킷류를 다수개 별도로 준비할 필요가 없게 되어, 부품 개수를 용이하게 또한 대폭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고, 또한, 도어의 각 부분 정밀도를 간단하게 확보하여 도어 제조의 소요 공수을 저감시킬 수 있음과 함께, 도어 보강재의 강성을 용이하게 높일 수 있기 때문에, 도어의 제조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는 큰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서의 주요부의 개략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개략 Ⅱ-Ⅱ 종단면 확대도.
도 3은 도 1의 개략 Ⅲ-Ⅲ 종단면 확대도.
도 4는 도 1의 개략 Ⅳ-Ⅳ 종단면 확대도.
도 5는 도 1의 개략 Ⅴ-Ⅴ종단면 확대도.
도 6은 도 5의 개량 실시예.
도 7은 종래 장치의 개략 측면 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 벨트라인 보강재 5 : 힌지 보강재
10 : 차량용 도어 11 : 아우터 패널
12 : 도어 보강재 13 : 이너 패널
15 : 도어 골격 16 : 사이드 임팩트 바

Claims (9)

  1. 도어 윤곽에 거의 따라서 고리 형상으로 형성된 도어 보강재와,
    상기 도어 보강재의 차실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도어 보강재와 차량 전후방향 단연 및 하방 단연이 각각 연결되어 상기 도어 보강재와의 사이에 상자형 단면이 형성된 이너 패널과,
    상기 도어 보강재의 차실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도어 보강재 또는 상기 이너 패널과 차량 전후방향 단연 및 상하 단연이 각각 연결된 아우터 패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보강재는 상기 고리 형상의 내주측과 외주측을 상기 이너 패널에 용접함으로써 상기 상자형 단면의 적어도 일부는 폐단면 형상을 이룬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보강재의 상방측 횡벽과 상기 아우터 패널로 폐단면 형상을 이룬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상방측 횡벽의 상방측 단연은 상기 아우터 패널과 헤밍 가공됨과 함께 하방측 단연은 상기 아우터 패널에 접착됨으로써 폐단면 형상을 이룬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상방측 횡벽의 상방측 단연은 상기 아우터 패널과 용접됨과 함께 하방측 단연은 상기 아우터 패널에 접착됨으로써 폐단면 형상을 이룬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상방측 횡벽과 상기 이너 패널은 간격을 두고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패널이 상방으로 개구한 개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패널은, 상기 차량 전후방향 단연 및 상기 하단연이 헤밍 가공에 의해, 이너 패널과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9. 제 1항에 있어서,
    측방 충돌로부터 탑승자를 보호하는 사이드 임팩트 바는, 그 양단이 상기 도어 보강재의 차량 전방측 종벽 및 후방측 종벽에 용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KR10-2003-0083494A 2002-11-26 2003-11-24 차량용 도어 Expired - Fee Related KR1005205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341784A JP2004175169A (ja) 2002-11-26 2002-11-26 車両用ドア
JPJP-P-2002-00341784 2002-11-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7615A KR20040047615A (ko) 2004-06-05
KR100520595B1 true KR100520595B1 (ko) 2005-10-10

Family

ID=32310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3494A Expired - Fee Related KR100520595B1 (ko) 2002-11-26 2003-11-24 차량용 도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300097B2 (ko)
JP (1) JP2004175169A (ko)
KR (1) KR100520595B1 (ko)
CN (1) CN1502493A (ko)
DE (1) DE10354970B4 (ko)
TW (1) TWI250944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15353B2 (en) 2015-12-10 2017-11-14 Hyundai Motor Company Method of manufacturing door for vehic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21932B2 (en) * 2003-05-06 2009-04-21 The Penn State Research Foundation Method and system for adjusting the fundamental symmetric mode of coupled high temperature superconductor coils
DE10339307B3 (de) * 2003-08-27 2004-12-02 Dr.Ing.H.C. F. Porsche Ag Aufprallschutzvorrichtung für eine Tür eines Kraftfahrzeugs
US20060086049A1 (en) * 2004-10-25 2006-04-27 Freightliner Llc Door module for vehicle door
FR2878788B1 (fr) * 2004-12-03 2007-01-19 Renault Sas Raidisseur de panneau de porte
JP4678491B2 (ja) * 2005-05-13 2011-04-27 スズキ株式会社 ドアの補強構造
JP4645324B2 (ja) * 2005-06-29 2011-03-09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ドア
FR2888534B1 (fr) * 2005-07-12 2010-09-17 Renault Sas Porte de vehicule automobile renforcee a l'egard des chocs lateraux.
US20070119101A1 (en) * 2005-11-29 2007-05-3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nternal reinforcement structure for automotive vehicle door panels
JP4575901B2 (ja) * 2006-03-09 2010-11-0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ドア構造
ATE538961T1 (de) * 2007-07-09 2012-01-15 Thyssenkrupp System Eng Gmbh Tür eines kraftfahrzeuges
DE102007050398B4 (de) 2007-10-18 2011-10-27 Faurecia Innenraum Systeme Gmbh Kraftfahrzeugtür
US20090106936A1 (en) * 2007-10-30 2009-04-30 Dan Greenbank Pillar Mounted Vehicle Hinge
KR100931168B1 (ko) * 2007-12-14 2009-12-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도어의 상부 보강구조
EP3517411A1 (en) * 2011-04-28 2019-07-31 Magna Closures Inc. Door assembly with carrier with intrusion member
FR2974763B1 (fr) * 2011-05-02 2014-02-28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Porte de vehicule munie d'un renfort de chocs monobloc et vehicule equipe d'une telle porte.
FR2995861B1 (fr) * 2012-09-25 2015-08-07 Renault Sa Habillage interieur structurel pour porte laterale de vehicule et porte laterale ainsi equipee
KR101427786B1 (ko) * 2012-12-28 2014-08-07 (주)엠에스오토텍 차량용 도어인너
JP6713737B2 (ja) * 2015-08-07 2020-06-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ドア構造
KR101916072B1 (ko) * 2016-12-13 2018-11-0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도어 구조
KR20180068108A (ko) * 2016-12-13 2018-06-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도어 구조
US10549707B2 (en) * 2018-02-16 2020-02-0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Door opening restraint
FR3097474B1 (fr) * 2019-06-20 2021-05-28 Psa Automobiles Sa Renfort horizontal de porte de véhicule automobile
CN113561743B (zh) * 2021-08-31 2024-04-09 岚图汽车科技有限公司 一种车门钣金结构及车门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426705C2 (de) * 1974-06-01 1985-04-25 Daimler-Benz Ag, 7000 Stuttgart Tür für Fahrzeuge, insbesondere für Personenkraftwagen
US5536060A (en) * 1995-02-17 1996-07-16 General Motors Corporation Reinforced vehicle door
DE19529088A1 (de) * 1995-08-08 1997-02-13 Ymos Ag Ind Produkte Kraftfahrzeugtür
KR100196412B1 (en) * 1996-12-16 1999-06-15 Hyundai Motor Co Ltd Door side impact structure
US5813719A (en) * 1997-09-25 1998-09-29 Trim Trends, Inc. Side intrusion beam assembly having compensating welds at brackets
DE19801842A1 (de) * 1998-01-13 1999-07-22 Sommer Allibert Lignotock Gmbh Fahrzeugtür
DE19941192B4 (de) 1998-08-31 2008-02-14 Aisin Seiki K.K., Kariya Fahrzeugtürbaugruppe
FR2788731B1 (fr) * 1999-01-21 2001-03-30 Wagon Automotive Snc Procede de fabrication d'une portiere pour vehicule automobile, et portiere correspondante
JP2001328430A (ja) * 2000-05-21 2001-11-27 Fujio Inoue 車体構造並びに該構造に用いるドア
DE10060632A1 (de) * 2000-12-06 2002-07-04 Gerald Fellner Fahrzeugtür
US20040113455A1 (en) * 2002-10-17 2004-06-17 Schmidt Glen D. Energy absorbing impact deflector incorporating a thermoformed outer panel and an expanded foam inser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15353B2 (en) 2015-12-10 2017-11-14 Hyundai Motor Company Method of manufacturing door for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300097B2 (en) 2007-11-27
TWI250944B (en) 2006-03-11
CN1502493A (zh) 2004-06-09
KR20040047615A (ko) 2004-06-05
DE10354970B4 (de) 2005-09-08
US20040104593A1 (en) 2004-06-03
DE10354970A1 (de) 2004-06-09
JP2004175169A (ja) 2004-06-24
TW200415041A (en) 2004-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20595B1 (ko) 차량용 도어
US7306279B2 (en) Vehicle rear door and method of assembling same
JP3989373B2 (ja) 車両ドアのインナーパネル
US7591501B2 (en) Hatchback door structure for vehicles
US5772277A (en) Front portion of vehicle body structure for automobile
EP3712044B1 (en) Vehicle body structure of vehicle
EP3712042B1 (en) Vehicle body structure of vehicle
JP4284793B2 (ja) 車両の上部車体構造
JP7065134B2 (ja) 車両用ドア
US7032958B2 (en) Body and frame assembly for a vehicle and method of assembling a vehicle
JP3173539B2 (ja) 自動車のセンタピラー補強構造
JP2002362419A (ja) 車両の前部車体構造
EP3932710B1 (en) Upper vehicle-body structure for vehicle
JP2002144871A (ja) 車両のドア構造
JP6194901B2 (ja) 自動車のドア構造
EP3785958B1 (en) Side vehicle-body structure for vehicle, vehicle body structure, and vehicle
JPH0577767A (ja) 自動車の側部車体構造
JP2001191898A (ja) 車両用シートベルト
JP2006069397A (ja) 車両用ドアモジュール構造
JP2002362414A (ja) 車両の側部車体構造
CN112429092B (zh) 车辆的侧部车身构造
JPH10244959A (ja) フロントピラー下部構造
JPH0453325Y2 (ko)
KR0162153B1 (ko) 차량의 센터 필러 보강구조
JPH01244984A (ja) 自動車のリヤピラー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112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07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9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509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