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19123B1 - 화상판독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판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9123B1
KR100519123B1 KR10-2002-0066313A KR20020066313A KR100519123B1 KR 100519123 B1 KR100519123 B1 KR 100519123B1 KR 20020066313 A KR20020066313 A KR 20020066313A KR 100519123 B1 KR100519123 B1 KR 1005191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sensor
close
cis
document
r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63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36012A (ko
Inventor
타이야 히로야마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360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60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91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91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10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flat picture-bearing surfaces
    • H04N1/1013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flat picture-bearing surfaces with sub-scanning by translatory movement of at least a part of the main-scanning components
    • H04N1/1026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flat picture-bearing surfaces with sub-scanning by translatory movement of at least a part of the main-scanning components using a belt or cab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24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 H04N1/028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for picture information pick-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10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flat picture-bearing surfaces
    • H04N1/1013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flat picture-bearing surfaces with sub-scanning by translatory movement of at least a part of the main-scanning components
    • H04N1/1017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flat picture-bearing surfaces with sub-scanning by translatory movement of at least a part of the main-scanning components the main-scanning components remaining positionally invariant with respect to one another in the sub-scanning dir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19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multi-element arrays
    • H04N1/191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multi-element arrays the array comprising a one-dimensional array, or a combination of one-dimensional arrays, or a substantially one-dimensional array, e.g. an array of staggered elements
    • H04N1/192Simultaneously or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scanning picture elements on one main scanning line
    • H04N1/193Simultaneously or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scanning picture elements on one main scanning line using electrically scanned linear arrays, e.g. linear CCD arr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4Scanning arrangements
    • H04N2201/0402Arrangements not specific to a particular one of the scanning methods covered by groups H04N1/04 - H04N1/207
    • H04N2201/0434Arrangements not specific to a particular one of the scanning methods covered by groups H04N1/04 - H04N1/207 specially adapted for scanning pages of a boo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4Scanning arrangements
    • H04N2201/0402Arrangements not specific to a particular one of the scanning methods covered by groups H04N1/04 - H04N1/207
    • H04N2201/0456Arrangements not specific to a particular one of the scanning methods covered by groups H04N1/04 - H04N1/207 for maintaining a predetermined distance between the scanning elements and the picture-bearing su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4Scanning arrangements
    • H04N2201/0402Arrangements not specific to a particular one of the scanning methods covered by groups H04N1/04 - H04N1/207
    • H04N2201/0458Additional arrangements for improving or optimising scanning resolution or qu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 Image Input (AREA)

Abstract

CIS(밀착형 이미지 센서)를 스프링에 의해 가압해서 접촉부재(2)를 원고지지 유리(즉, 원고대)의 하부면에 접촉시킨 화상판독장치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재가 CIS의 주주사 판독범위내에, 구체적으로는, 주주사 판독범위의 양단부에 대한 원고지지 유리의 굴곡량이 최대 굴곡량의 약 1/2이 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원고지지 유리가 휘었을 때, CIS는, 원고대의 굴곡이 없는 경우의 위치로부터, 원고지지 유리의 주주사 판독범위에 있어서의 최대 굴곡량의 약 1/2만큼 스프링 힘에 대항해서 눌러 내릴 수 있어, CIS의 최적 초점 위치가 아래쪽으로 어긋나게 되어, 결과적으로, 원고면을 구성하는 원고지지 유리의 상부면은, 주주사 판독 범위의 전역에 있어서 CIS의 유효초점범위(초점심도)안에 유지됨으로써, 고품위의 화상 판독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Description

화상판독장치{IMAGE READING APPRATUS}
본 발명은, 밀착형 이미지 센서를 이용한 원고대 고정형의 화상판독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상판독장치에서는, CCD 이미지 센서 혹은 밀착형 이미지 센서(이하, "CIS"(Contact Image Sensor)라 칭함)가 이용되고 있다. CIS는, CCD 이미지 센서에 비해, 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하고, 구동계가 큰 폭으로 간략화되어, 조정이 거의 필요없게 되고, 또한, 화상에 있어서는 축소광학계에 의한 일그러짐이 발생하지 않는 등, 많은 이점을 가지고 있다.
한편, CIS는, 원고면으로부터의 반사광을 셀포크렌즈어레이(SELFOC lens array)에 의해 수광 소자 위에 결상시키는 구성에 의해, 초점심도가 얕고, CIS의 지지 구조가 충분한 정밀도를 지니고 있지 않으면 초점이탈을 일으키기 쉽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이 문제에 대해, 일본국 공개 특허 평 7-193689호 공보, 미국특허 제 5,801,851호 등에 있어서, CIS의 상부면의 양단부에 마련한 롤러, 접동부재 등을 원고지지 유리(즉, 원고대)의 하부면에 접촉시켜, CIS와 원고면과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한 상태에서 화상을 판독함으로써, 초점이탈상태를 방지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원고지지 유리 위에 원고를 고정해서 원고 화상 정보를 읽어내는, 이른바 북 스캔 타입의 화상판독장치에서는, 책이나 사전 등의 두꺼운 원고를 원고지지 유리 위에 두고, 가압판으로 누르면, 원고지지 유리에 아래쪽 방향으로 굴곡, 즉, 변형을 일으키는 일이 있다. 이 원고지지 유리의 주주사 방향의 굴곡량은, 원고지지 유리를 지지하고 있는 후단부와 앞단부사이의 대략 중앙부에서 최대로 된다.
상술한 종래 예에서는, 모두 CIS 양단의 화상 판독 범위의 바깥쪽에 롤러, 접동부재 등을 원고지지 유리의 하부면에 접촉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CIS의 화상 판독 범위중, CIS의 양단부 근방에서는 CIS와 원고면과의 거리는 정밀하게 유지되지만, 중앙부에서는 원고면이 최적 초점 위치보다도 CIS에 너무 가까워질 경우 초점이탈상태로 되기 쉬워지고 있었다.
도 11에는 종래의 화상판독장치의 측면단면도를 나타낸다. 또한, 도 12에는 원고지지 유리(3)위에 두꺼운 원고를 놓고 가압판(8)을 눌러, 원고지지 유리(3)에 굴곡이 생긴 상태를 나타낸다. CIS(1)에 장착되어 있는 셀포크렌즈의 초점심도는 ±0.5㎜이며, 최적 초점 위치를 사이에 둔 1㎜의 범위가 유효초점범위가 된다. 원고지지 유리(3)의 굴곡량은, CIS(1)의 주주사 판독 범위의 양단부에 대해서 중앙부가 최대가 되고; 이 경우, 0.6㎜ 아래 쪽 방향으로 휜 상태가 되는 것으로 가정된다.
종래의 화상판독장치에서는, 주주사 판독 범위의 바깥쪽에 접촉부재(2)가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고지지 유리(3)의 주주사 방향의 굴곡량이 CIS(1)의 유효초점범위보다 크게 되면, 원고면을 구성하는 원고지지 유리(3)의 상부면중 주주사 판독 범위의 중앙부 근방이 유효초점범위로부터 벗어나, 이 부분이 초점이탈상태로 되어 화상 품위를 저하시키고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원고지지 유리가 휘었을 경우(즉, 굴곡되었을 경우)에도, 고품위의 화상 판독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하면,
원고가 상부면에 놓이는 투명한 원고대와;
상기 원고대의 하부면측에 배치된 밀착형 이미지 센서와;
상기 밀착형 이미지 센서를 부주사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부주사유닛과;
상기 원고대와 상기 밀착형 이미지 센서와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 상기 밀착형 이미지 센서에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밀착형 이미지 센서의 주주사 판독 범위내에 주주사방향으로 소정 간격 떨어진 적어도 2개소에 배치된 접촉부재와;
상기 밀착형 이미지 센서를 내리눌러서 상기 접촉부재를 상기 원고대의 하부면에 접촉시키는 가압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판독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원고가 상부면에 놓이는 투명한 원고대와;
상기 원고대의 하부면측에 배치된 밀착형 이미지 센서와;
상기 밀착형 이미지 센서를 부주사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부주사유닛과;
상기 원고대와 상기 밀착형 이미지 센서와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 상기 밀착형 이미지 센서에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밀착형 이미지 센서의 주주사 판독 범위바깥쪽의 적어도 2개소에 배치된 제 1접촉부재와;
상기 밀착형 이미지 센서를 내리눌러서 상기 제 1접촉부재를 상기 원고대의 하부면에 접촉시키는 가압부재와;
상기 밀착형 이미지 센서에 설치되어 상기 밀착형 이미지 센서의 주주사 판독 범위내에 배치된 동시에, 적어도 상기 원고대가 굴곡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원고대의 하부면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떨어진 적어도 2개소에 배치된 제 2접촉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판독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기타 목적과 특징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며,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을 나타낸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화상판독장치의 매우 적합한 실시형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제 1실시형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형태예의 화상판독장치의 측면단면도; 도 2는 그의 평면도(가압판(8)은 제외함); 도 3은 도 1 및 도 2의 3-3선의 정면 단면도이다. 또한, 도 4 및 도 5는 CIS(1)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표시한 바와 같이, CIS(1)는, 화상판독장치내에 있어서 상자 모양의 주행체(4)에 상하 방향으로 자유로이 이동 가능하게 적재된다. 주행체(4)내에서는, CIS(1)의 양단부가 스프링(5) 등의 가압부재에 의해 위쪽방향으로 가압되고, 당해 CIS(1)는 적어도 2개소(본 실시형태에에 있어서는, 4개소)에 배치된 접촉부재(2)를 개재해서 원고지지 유리(3)의 하부면에 접촉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스프링(5)등의 가압부재(5)는, CIS(1)의 주주사 판독 범위(후술함) 내의 위치에 설치되어도 된다.
CIS(1)는, 케이싱내의 바닥부에 라인 형상으로 수광 소자(12)가 배치되고, 조명 수단인 LED(13)에 의해 조명된 원고(7)로부터의 반사광을, 셀포크렌즈(11)를 개재하여 수광 소자(12)위에 결상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접촉부재(2)는, 접동부재, 롤러 등으로 이루어진다. 도 4에 표시한 예에 있어서는, 접촉부재(2)가 반구형상의 접동부재로 이루어져 있고, 또한, 도 5에 표시한 예에 있어서는 접촉부재(2)가 롤러로 이루어져 있다. 도 4 및 도 5에 표시한 바와 같이, CIS(1)의 케이싱 양측면에 지지부가 형성되고, 이 지지부 위에 접동부재 혹은 롤러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예에서는, 접촉부재(2)가 CIS(1)의 주주사 판독 범위의 양단부로부터 각각 당해 주주사 판독 범위의 길이의 20%에 상당하는 길이만큼 안쪽으로 서로 떨어져서 4개소에 배치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CIS(1)가 적재되는 화상판독장치의 주행체(4)는, 안내축(6)을 따라서 타이밍 벨트(10)를 개재하여 모터(9)에 의해 부주사 방향으로 구동된다. 이와 같이 CIS(1)를 부주사 방향으로 구동함으로써, 원고지지 유리(3)위의 원고(7)의 화상 정보가 판독되어 진다.
도 6에는, 제 1실시형태예의 화상판독장치에 있어서의 유효초점범위와 원고면과의 관계를 나타낸 모식도를 표시한다. 도 6에 표시한 바와 같이, 본 제 1실시형태예의 CIS(1)에 장착되어 있는 셀포크렌즈의 초점심도는 ±0.5㎜이며, 최적 초점 위치를 사이에 둔 1㎜의 범위가 유효초점범위가 된다. 원고지지 유리(3)에 하중이 걸리지 않고, 굴곡이 생기지 않은 경우, 원고면을 구성하는 원고지지 유리(3)의 상부면이 최적 초점 위치에 대략 일치하도록 CIS(1)가 유지된다.
도 7은, 원고지지 유리(3)위에 책이나 사전 등의 두꺼운 원고(7)를 놓고 가압판(8)으로 내리눌러, 원고지지 유리(3)에 굴곡을 일으킨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원고지지 유리(3)의 굴곡량은, CIS(1)의 주주사 판독범위(W)의 양단부에 대해서 중앙부가 최대가 되어, 주주사 판독범위(W)의 단부에 비해서 중앙부가 0.6㎜ 아래 쪽방향으로 휜 상태가 된 것으로 여겨진다.
원고면의 최적 초점 위치로부터의 굴곡량을 최소로 하기 위해서는, 주주사 판독범위(W)의 양단부에 대한 원고지지 유리(3)의 굴곡량이 최대 굴곡량의 1/2이 되는 주주사 방향의 위치에 접촉부재(2)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고지지 유리(3)의 굴곡량이 최대 굴곡량의 1/2이 되는 점은, 원고(7)의 형상이나 위치, 원고지지 유리(3)의 유지 방법 등에 따라 다르지만, 대체로 주주사 판독범위(W)의 양단부로부터 당해 주주사 판독 범위의 길이의 10% 내지 30% 안쪽으로 떨어진 곳이다. 본 실시형태예의 CIS(1)에서는, 원고지지 유리(3)의 굴곡량이 최대 굴곡량 0.6㎜의 1/2, 즉, 0.3㎜가 되는 접촉부재(2)의 위치는, CIS(1)의 주주사 판독범위(W)의 양단부로부터 각각 당해 주주사 판독범위(W)의 길이의 20%인 길이만큼 안쪽으로 떨어진 4개소이다.
CIS(1)는, 원고지지 유리(3)의 굴곡이 없는 경우의 위치에 비해서, 원고지지 유리(3)의 주주사 판독범위(W)에 있어서의 최대 굴곡량 0.6㎜의 약 1/2, 즉, 약 0.3㎜에 상당하는 거리만큼 스프링(5)의 힘에 대항해 눌러 내릴 수 있다. 즉, 셀포크렌즈(11)의 최적 초점 위치가 최대 굴곡량 0.6㎜의 약 1/2, 즉, 약 0.3㎜에 상당하는 거리만큼 아래쪽으로 어긋나게 된다. 결과적으로, 원고면을 구성하는 원고지지 유리(3)의 상부면 위치는, 주주사 판독범위의 전역에 있어서 CIS(1)의 유효초점범위(초점심도) 내에 유지됨으로써, 고품위의 화상 판독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예에 의하면, 원고대가 휘었을 경우에도, 원고면은 밀착형 이미지 센서의 유효초점범위내에 유지되기 때문에, 고품위인 화상 판독이 가능해진다.
제 2실시형태예
상기 제 1실시형태예의 화상판독장치에서는, CIS(1)의 모든 접촉부재(2)가, 주주사 판독범위(W)내에서 원고지지 유리(3)에 접촉되고 있다. 그 때문에, 화상 판독을 반복해서 실시하는 동안에, 원고지지 유리(3)의 하부면의 접촉위치에 접촉부재(2)에 의한 오염이 부착되어, 화상 품위를 저하시킬 염려가 있다.
이 점을 감안해서, 제 2실시형태예의 화상판독장치에서는, CIS(1)의 접촉부재로서, CIS(1)의 주주사 판독범위(W)의 바깥쪽 양단부에 있어서 원고지지 유리(3)의 하부면에 접촉시키도록 적어도 2개소(본 실시형태예에 있어서는, 4개소)에 제 1 접촉부재(21)를 마련하는 것과 동시에, CIS(1)의 주주사 판독범위(W)내에 있어서 원고지지 유리(3)가 휘지 않는 상태로 두어 그 원고지지 유리의 하부면으로부터 수직방향(상하방향)으로 소정의 간격 떨어진 적어도 2개소(본 실시형태예에 있어서는 4개소)에 제 2접촉부재(22)를 배치하고 있다. 이 제 2접촉부재(22)는, 주주사방향으로도 소정 간격 떨어져 있다.
도 8은 제 2실시형태예의 화상판독장치의 측면단면도를 나타낸다. 기본 구성은 도 1을 참조해서 설명한 제 1실시형태예의 것과 같지만, CIS(1) 양단부의 주주사 판독범위(W)보다 바깥쪽에, 제 1접촉부재(21)가 4개소 배치되어, 원고지지 유리(3)의 굴곡이 없는 상태에서 원고지지 유리(3)의 하부면에 접촉되어 있다. 또, CIS(1)의 주주사 판독범위(W)의 양단부로부터 각각 당해 주주사 판독범위(W)의 길이의 20%인 길이만큼 안쪽으로, 제 2접촉부재(22)가 원고지지 유리(3)의 하부면으로부터 0.l㎜만큼 떨어지도록 해서 4개소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 2접촉부재(22)를 원고지지 유리(3)의 하부면으로부터 이간시키는 소정의 간격은, CIS(1)의 유효초점범위(본 실시형태예의 경우, 최적 초점 위치를 사이에 둔 1㎜의 범위)의 1/2보다도 작게 한다. 이들 접촉부재(21), (22)는, 상기 제 1실시형태예와 마찬가지로, 접동부재, 롤러 등으로 구성한다.
도 9는, 제 2실시형태예의 화상판독장치에 있어서의 유효초점범위와 원고면과의 관계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상기 제 1실시형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본 실시형태예의 CIS(1)에 장착되어 있는 셀포크렌즈(11)의 초점심도는 ±0.5㎜로, 최적 초점 위치를 사이에 둔 1㎜의 범위가 유효초점범위가 된다. 도 9에 표시한 바와 같이, 원고지지 유리(3)에 하중이 걸리지 않고, 굴곡이 생기지 않은 경우, CIS(1)의 양단부에 배치된 제 1접촉부재(21)가 원고지지 유리(3)의 하부면에 접촉해서, 원고면이 최적 초점 위치에 대략 일치하도록 CIS(1)가 유지된다.
도 10은, 원고지지 유리(3)위에 책이나 사전 등의 두꺼운 원고(7)를 놓고 가압판(8)을 내리눌러, 원고지지 유리(3)에 굴곡이 생긴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원고지지 유리(3)의 굴곡량은, CIS(1)의 주주사 판독범위(W)의 양단부에 대해서 중앙부가 최대가 되어, 주주사 판독범위(W)의 단부에 비해서 중앙부가 0.6㎜ 아래쪽방향으로 휜 상태가 된 것으로 여겨진다.
CIS(1)는, 원고지지 유리(3)의 굴곡이 없는 경우의 위치에 비해서, 원고지지 유리(3)의 주주사 판독범위(W)에 있어서의 최대 굴곡량 0.6㎜의 약 1/2, 즉, 약 0.3㎜로부터 0.1㎜ 뺀 약 0.2㎜에 상당하는 거리만큼 눌러 내릴 수 있다. 즉, 셀포크렌즈(11)의 최적 초점 위치가 최대 굴곡량 0.6㎜의 약 1/2, 즉, 약 0.3㎜로부터 0.1㎜ 뺀 0.2㎜에 상당하는 거리만큼 아래쪽으로 어긋나게 된다. 결과적으로, 원고면을 구성하는 원고지지 유리(3)의 상부면 위치는, 주주사 판독 범위의 전역에 있어서 CIS(1)의 유효초점범위(초점심도)내에 유지되어, 고품위의 화상 판독을 실시할 수가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예에 의하면, 원고대 휘었을 경우에, 원고면은 밀착형 이미지 센서의 유효초점범위내에 유지되는 데 더해, 원고지지대가 휘지 않은 경우에는, 원고지지대의 하부면의 오염이 발생하지 않아, 고품위의 화상 판독이 가능해진다.
상기 제 2실시형태예에서는, 원고(7)가 시트형상이거나 두꺼운 원고에서도 가압판(8)의 억제력이 약하거나 하는 등의 원고지지 유리(3)의 굴곡이 작은 경우에는, 주주사 판독범위(W)내에 배치된 제 2접촉부재(22)가 원고지지 유리(3)의 하부면에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원고지지 유리(3)의 하부면의 오염의 발생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가 있다. 또한, 원고지지 유리(3)가 휘었을 경우에는, 전술한 것처럼, 주주사 판독범위(W)내에 배치된 제 2접촉부재(2)가 원고지지 유리(3)의 하부면에 접촉하고, CIS(1)는 원고지지대 유리(3)의 굴곡이 없는 경우의 위치로붙 눌러 내릴 수 있어, 원고면을 구성하는 원고지지대 유리(3)의 상부면은 주주사 방향의 판독범위(W)의 전역에 있어서 CIS(1)의 유효초점범위에 유지됨으로써, 고품위의 화상 판독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예에 있어서 도시한 각 부의 형상 및 구조는, 어느 쪽도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화의 일례를 표시한 것에 지나지 않고, 이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즉, 본 발명은 그 정신 또는 그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일탈하는 일없이,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할 수가 있다.
이상, 본 발명에 의하면, 원고지지대가 휘었을 경우에도, 원고면은 밀착형 이미지 센서의 유효초점범위내에 유지되기 때문에, 고품위의 화상 판독이 가능해진다.
또한, 다른 본 발명에 의하면, 원고대 휘었을 경우에, 원고면은 밀착형 이미지 센서의 유효초점범위내에 유지되는 데 더해, 원고지지대가 휘지 않은 경우에는, 원고지지대의 하부면의 오염이 발생하지 않아, 고품위의 화상 판독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예에 의한 화상판독장치의 측면단면도
도 2는 제 1 실시형태예의 화상판독장치 평면도
도 3은 도 1 및 도 2의 3-3선을 따라 취한 정면 단면도
도 4는 접촉부재로서 반구형상의 접동부재를 이용한 CIS(1)의 사시도
도 5는 접촉부재로서 롤러를 이용한 CIS(1)의 사시도
도 6은 제 1실시형태예의 화상판독장치에 있어서의 유효초점범위와 원고면과의 관계를 나타낸 모식도
도 7은 제 1실시형태예의 화상판독장치에 있어서 원고지지 유리(3)에 굴곡이 생긴 상태를 나타낸 모식도
도 8은 제 2실시형태예의 화상판독장치의 측면단면도
도 9는 제 2실시형태예의 화상판독장치에 있어서의 유효초점범위와 원고면과의 관계를 나타낸 모식도
도 10은 제 2실시형태예의 화상판독장치에 있어서 원고지지 유리(3)에 굴곡이 생긴 상태를 나타낸 모식도
도 11은 종래의 화상판독장치의 측면단면도
도 12는 종래의 화상판독장치에 있어서 원고지지 유리(3)에 굴곡이 생긴 상태를 나타낸 모식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CIS 2: 접촉부재
21: 제 1접촉부재 22: 제 2접촉부재
3: 원고지지 유리 4: 주행체
5: 스프링 6: 안내축
7: 원고 8: 가압판
9: 모터 10: 타이밍 벨트
11: 셀포크렌즈 12: 수광 소자
13: LED

Claims (7)

  1. 원고가 상부면에 놓이는 투명한 원고대와;
    상기 원고대의 하부면측에 배치된 밀착형 이미지 센서와;
    상기 밀착형 이미지 센서를 부주사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부주사유닛과;
    상기 원고대와 상기 밀착형 이미지 센서와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 상기 밀착형 이미지 센서에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밀착형 이미지 센서의 효과적으로 이용가능한 주주사 판독 범위밖의 적어도 2개소에 배치된 제 1 접촉부재와;
    상기 밀착형 이미지 센서를 내리눌러서 제 1 접촉부재를 상기 원고대의 하부면에 접촉시키는 가압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밀착형 센서위에 설치되고 상기 밀착형 이미지 센서의 효과적으로 이용가능한 주주사 판독 범위내에 배치되고, 원고대의 굴곡량이 최대로 되는, 주주사 판독 범위의 중앙부의 주주사 방향으로 양측에 위치한 2개소에 배치되며, 또한, 원고대가 굴곡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원고대의 하부면으로부터 적어도 소정의 거리만큼 수직방향으로 떨어진 상기 2개소에 배치되는 제 2 접촉부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판독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접촉부재는, 상기 밀착형 이미지 센서의 효과적으로 이용가능한 주주사 판독 범위의 양단부에 대한 상기 원고대의 굴곡량이 최대 굴곡량의 약 1/2이 되는 위치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판독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접촉부재는, 상기 밀착형 이미지 센서의 효과적으로 이용 가능한 주주사 판독 범위의 양단부로부터 효과적으로 이용가능한 주주사 판독 범위의 길이의 10 내지 30%인 길이만큼 안쪽으로 떨어진 위치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판독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간격은 상기 밀착형 이미지 센서의 유효초점범위의 1/2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판독장치.
KR10-2002-0066313A 2001-10-31 2002-10-30 화상판독장치 KR1005191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334520 2001-10-31
JP2001334520A JP2003143377A (ja) 2001-10-31 2001-10-31 画像読み取り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6012A KR20030036012A (ko) 2003-05-09
KR100519123B1 true KR100519123B1 (ko) 2005-10-04

Family

ID=19149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6313A KR100519123B1 (ko) 2001-10-31 2002-10-30 화상판독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218427B2 (ko)
EP (1) EP1309169B1 (ko)
JP (1) JP2003143377A (ko)
KR (1) KR100519123B1 (ko)
CN (1) CN1178454C (ko)
DE (1) DE60210728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55199A1 (en) * 2001-12-21 2003-07-03 Canon Kabushiki Kaisha Sheet transport apparatus and image reading apparatus
TWI226186B (en) * 2003-06-24 2005-01-01 Benq Corp Scanner
JP2007067810A (ja) * 2005-08-31 2007-03-15 Brother Ind Ltd 画像読取装置
CN100471224C (zh) * 2006-02-20 2009-03-18 佳能株式会社 图像读取设备
JP4259543B2 (ja) 2006-05-16 2009-04-3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
JP4962003B2 (ja) * 2006-12-28 2012-06-2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
JP4511608B2 (ja) * 2008-03-21 2010-07-28 シャープ株式会社 原稿読取装置
US8477388B2 (en) * 2011-07-11 2013-07-0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canner with a separate flatbed glass and ADF glass
JP5772463B2 (ja) 2011-10-03 2015-09-0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
JP5776476B2 (ja) 2011-10-03 2015-09-0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
JP5811812B2 (ja) * 2011-11-30 2015-11-1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
JP5927953B2 (ja) * 2012-02-03 2016-06-0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
JP6589420B2 (ja) * 2015-07-10 2019-10-16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補正制御装置、画像読取装置、補正制御プログラム
CN205071127U (zh) * 2015-10-26 2016-03-02 光宝科技股份有限公司 馈纸式扫描设备的平台式扫描装置及扫描模块
JP2018037714A (ja) * 2016-08-29 2018-03-0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スキャンシステムおよび画像データの生成方法
EP3367654B1 (en) 2017-02-28 2022-06-01 Global Scanning Denmark A/S Optical flatbed scanner with rigid transparent plate fixing
KR102642590B1 (ko) * 2020-07-30 2024-03-04 캐논코리아 주식회사 원고를 밀어올려 독취하는 스캐너
JP2023073807A (ja) 2021-11-16 2023-05-26 株式会社リコー 画像読取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87864A (ja) * 1986-10-01 1988-04-19 Fuji Xerox Co Ltd イメ−ジ読取装置
JPH07193689A (ja) * 1993-12-27 1995-07-28 Ricoh Co Ltd 読取装置
JPH08228266A (ja) * 1995-02-20 1996-09-0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画像読み取り装置
JPH09107436A (ja) * 1995-10-11 1997-04-22 Ricoh Co Ltd 読取装置
JPH11341219A (ja) * 1998-05-29 1999-12-10 Canon Inc 密着型イメージセンサおよびこれを用いた画像読取装置
JP2000138803A (ja) * 1998-10-29 2000-05-16 Canon Inc 画像読取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10731A (en) * 1994-04-18 1997-03-11 Ricoh Company, Ltd. Image scanner having contact-type image sensor movable under automatic document feeder
US5801851A (en) * 1996-08-29 1998-09-01 Avision Inc. Flat bed image scanner
US5857133A (en) * 1997-03-07 1999-01-05 Mustek Systems, Inc. Information reading apparatus having a contact image sensor
TW348919U (en) * 1997-04-14 1998-12-21 Mustek Systems Inc CIS platform-type optical scanning apparatus with rolling transmission-type
US6008485A (en) * 1997-10-23 1999-12-28 Primax Electronics Ltd. Image capturing device having de-friction function
TW352208U (en) * 1997-12-05 1999-02-01 Acer Peripherals Inc Supported mechanism for optics module
JPH11289430A (ja) 1998-03-31 1999-10-19 Canon Inc 画像読取り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6137106A (en) * 1999-03-30 2000-10-24 Mustek Systems Inc. Contact image sensor module having spring mountings
US6762864B2 (en) * 2001-02-20 2004-07-13 Mustek Systems Inc. Apparatus for holding a contact image sensor in a scanning system
US6940063B2 (en) * 2001-07-31 2005-09-0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Optical image scanner with variable focus
US6888651B2 (en) * 2001-08-10 2005-05-03 Teco Image Systems Co., Ltd. Scanner
US6947186B2 (en) * 2001-11-29 2005-09-20 Transpacific Ip, Ltd. Scanner carrier
KR20020066313A (ko) 2002-07-15 2002-08-14 오하경 자전거 후륜 충격완화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87864A (ja) * 1986-10-01 1988-04-19 Fuji Xerox Co Ltd イメ−ジ読取装置
JPH07193689A (ja) * 1993-12-27 1995-07-28 Ricoh Co Ltd 読取装置
JPH08228266A (ja) * 1995-02-20 1996-09-0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画像読み取り装置
JPH09107436A (ja) * 1995-10-11 1997-04-22 Ricoh Co Ltd 読取装置
JPH11341219A (ja) * 1998-05-29 1999-12-10 Canon Inc 密着型イメージセンサおよびこれを用いた画像読取装置
JP2000138803A (ja) * 1998-10-29 2000-05-16 Canon Inc 画像読取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30081268A1 (en) 2003-05-01
CN1178454C (zh) 2004-12-01
KR20030036012A (ko) 2003-05-09
US7218427B2 (en) 2007-05-15
JP2003143377A (ja) 2003-05-16
CN1416261A (zh) 2003-05-07
DE60210728D1 (de) 2006-05-24
EP1309169B1 (en) 2006-04-19
EP1309169A1 (en) 2003-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19123B1 (ko) 화상판독장치
US5610731A (en) Image scanner having contact-type image sensor movable under automatic document feeder
US5999277A (en) Image information reading apparatus having rolling elements interposed between a sheet table and a contact-type sensor
JP5812636B2 (ja) スキャナ装置
US5857133A (en) Information reading apparatus having a contact image sensor
GB2379822A (en) Scanner with image detector variably displaced from platen
JPH07193689A (ja) 読取装置
JP2006041713A5 (ko)
JPH10262135A (ja) Cisキャリッジおよびこのcisキャリッジを備えたcis情報読取装置
EP110462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keeping a document in focus during noncontact scanning
JP4188257B2 (ja) 光学式イメージスキャナ
US20020191994A1 (en) Book scanning device
JPH07327109A (ja) 読取装置
JPH10243181A (ja) 画像読取装置
US6762861B2 (en) Scanner with a movable mirror set in the scanning module for increasing the resolution of scanned images
JPH10155063A (ja) 移動キャリッジ式像形成装置
US20050200980A1 (en) Image scanning apparatus
JP2016197811A (ja) イメージセンサ
JP2005184720A (ja) 画像読み取り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3283767A (ja) 画像読み取り装置
US20050094221A1 (en) Scanner
US6104518A (en) Scanner provided with accurately parallel optical module and top cover
US8675265B2 (en) Image reading apparatus
JPS62107569A (ja) イメ−ジスキヤナ−装置
JP2004053650A (ja) 画像読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10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1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071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9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509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8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8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8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82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4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82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8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8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6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82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08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