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90607B1 - 스틸카메라 - Google Patents

스틸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0607B1
KR100490607B1 KR1019970074813A KR19970074813A KR100490607B1 KR 100490607 B1 KR100490607 B1 KR 100490607B1 KR 1019970074813 A KR1019970074813 A KR 1019970074813A KR 19970074813 A KR19970074813 A KR 19970074813A KR 100490607 B1 KR100490607 B1 KR 1004906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ata
frame
memory
film strip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48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4724A (ko
Inventor
야스히로 니시타니
타카아키 코타니
Original Assignee
후지 샤신 필름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8346851A external-priority patent/JPH10186502A/ja
Priority claimed from JP9043860A external-priority patent/JPH10239764A/ja
Priority claimed from JP9043859A external-priority patent/JPH10239749A/ja
Application filed by 후지 샤신 필름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 샤신 필름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199800647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47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06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0607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21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 H04N1/2104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for one or a few pictures
    • H04N1/2112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for one or a few pictures using still video cameras
    • H04N1/2116Picture signal recording combined with imagewise recording, e.g. photographic record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48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photographic or optical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21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 H04N1/2104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for one or a few pictures
    • H04N1/2112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for one or a few pictures using still video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1/00Still video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25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n image, a page or a document
    • H04N2201/3226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n image, a page or a document of identification information or the like, e.g. ID code, index, title, part of an image, reduced-size im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25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n image, a page or a document
    • H04N2201/3247Data linking a set of images to one another, e.g. sequence, burst or continuous capture m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Cameras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Photographic Or Optical Apparatuses (AREA)

Abstract

스틸 카메라에는 디지털 이미지 데이터를 얻는 영역 이미지 센서, LCD 뷰파인더, 셔터 릴리스 조작에 응답하여 이미지 프레임을 포토 필름스트립에 촬영하는 장치, 그리고 이미지 데이터를 기억하는 메모리가 구비된다. 하나의 프레임의 이미지 데이터는 각각의 셔터 릴리스 조작과 동시에 메모리에 기록된다. 하나의 프레임의 이미지 데이터와 연관시켜 필름스트립의 ID 코드 및 이미지 데이터에 상응하는 촬영된 이미지 프레임의 프레임 번호가 메모리에 기록된다. 메모리에 기록된 데이터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는 필름 스트립에 촬영된 이미지 프레임의 스틸 이미지를 촬영된 이미지 프레임의 프레임 번호와 함께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스틸 카메라는 퍼스널 컴퓨터에 연결되어 메모리에 기록된 데이터가 퍼스널 컴퓨터의 메모리에 전송될 수 있으며, 이는 촬영된 이미지 프레임의 스틸 이미지를 ID 코드 및 프레임 번호와 함께 외부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또는 촬영된 이미지 프레임의 하드 카피를 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스틸 카메라 {STILL CAMERA}
본 발명은 휴대용 스틸 카메라, 특히 고선명도 이미지 프레임들을 은염(silver-salt) 필름 스트립에 촬영할 수 있으며 동시에 각각의 프레임의 디지털 이미지 데이터를 이미지 센서를 통해 포착할 수 있는 스틸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IC 메모리가 대용량·소형화됨에 따라 디지털 스틸 카메라들 또는 전자 스틸 카메라들의 다양한 종류가 개발되어 시장에 출하되었다. 디지털 스틸 카메라는 CCD 이미지 센서와 같은 반도체 촬상(撮像) 장치를 통해 스틸 이미지로부터 광전자의 이미지 신호를 포착하고, 이미지 신호를 메모리에 기록하기 위한 디지털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시킨다. 메모리에 기록된 이미지 데이터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즉각적으로 처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 데이터를 퍼스널 컴퓨터와 같이 이미지를 처리하기 위한 주변장치 또는 하드카피(hard copy)를 하기 위한 비디오 프린터로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스틸 이미지들을 은염 포토 필름에 촬영하는 스틸 카메라들은 잘 알려져 있다. 이러한 필름-포토 카메라들에 있어서, 이미지들은 대규모의 고집적된 화소를 가지는 종래 기술의 영상 장치와 비교하여 더 높은 해상력을 가지는 포토 필름에 광화학적으로 고정된다. 은염 포토 필름은 농도의 계조(階調) 및 다이내믹 레인지(dynamic range)의 면에서 촬상 장치보다 뛰어나기 때문에, 가격이 비싼 카메라를 사용하지 않고도 포토 필름을 이용함으로써 고화질 스틸 이미지가 달성된다.
필름-포토 카메라에 의하여 얻을 수 있는 것처럼 디지털 스틸 카메라에 의해서도 고화질의 이미지를 얻기 위해, 디지털 스틸 카메라는 대규모 고집적된 촬상 장치 및 촬상 장치를 통해서 얻어지는 다량의 이미지 데이터를 기억하는 대용량의 메모리를 가져야 한다. 즉, 프레임마다 적어도 1메가바이트, 따라서 40-노출 필름 스트립을 위해서는 40메가바이트가 요구된다. 이 결과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크기가 커지고 비용도 증가한다. 메모리 용량을 절약하기 위해 기억하기 전에 이미지 데이터를 압축할 수 있다. 그러나 이미지 데이터가 일단 압축되면 비록 진보된 이미지 처리일지라도 압축된 데이터로부터 고화질의 이미지 데이터를 재생하기가 어렵다.
이와는 반대로, 필름-포토 카메라는 저비용으로 고화질의 스틸 이미지들을 촬영할 수 있다. 하지만 포토 필름의 이미지는 곧바로 현상될 수 없다. 이미지 현상을 위해서는 전기 뷰어(viewer) 또는 스캐너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를 전기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해야 한다.
널리 보급된 포토 필름스트립은 12 내지 40 프레임을 촬영할 수 있기 때문에, 비록 이미지 데이터가 스캐너 또는 그 밖의 것을 통해 단일 필름스트립으로부터 얻어짐에도 불구하고, 이미지의 고화질을 유지하기 위해서 이미지 데이터를 이미지 파일로서 기억해야 하는 데 대용량의 메모리가 필요하다. 퍼스널 컴퓨터에 결합되는 하드 디스크 또는 광학 디스크는 이러한 대용량을 가질 수 없다. 퍼스널 컴퓨터의 메모리에 지정된 프레임들의 제한된 수의 이미지 데이터를 기억하는 것이 가능할 지라도, 필름스트립의 모든 프레임은 희망하는 프레임을 지정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이들을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하도록 스캐닝되어야 한다. 이는 비효율적이며 시간을 낭비하는 것이다. JPB 4-8993은 촬영 날짜 및 위치와 같은 각각의 이미지 프레임과 관련된 데이터를 프레임의 이미지 데이터와 함께 기록 수단에 기록하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를 개시한다. 그러나 선행 기술은 이미지 데이터를 촬영 프레임 및 포토 필름스트립과 함께 기억하는 것을 기재하지는 않는다.
그 사이에, 소위 IX240형이라 불리는 신형 필름 카트리지가 개발되어 시장에 출하되었다. IX240형 필름 카트리지는 투명한 자기 기록 층으로 전체가 덮인 뒷면을 가지는 필름스트립의 롤을 포함하고, 따라서 각각의 프레임과 관련된 데이터는 노출 후 자기 기억 층에 이진코드로 기록될 수 있다. 자기 기록 층에 기록된 포토 데이터는 프레임, 촬영 날짜 등을 촬영하는 데 이용되는 셔터 스피드 및 조리개 개구부 사이즈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필름스트립에 프린트 선택 데이터를 각각의 프레임과 함께 자기식 또는 광학식으로 기록하는 것은 이 기술 분야에서는 알려져 있다. 프린트 선택 데이터는 예를 들면 파노라마식 크기의 프린트와 같이 서로 다른 프린트 포맷을 필름스트립에 동일한 크기로 기록되는 이미지 프레임 중 하나에 할당하는 프린트 포맷 데이터를 포함한다. 프린트 선택 데이터는 또한 이미지 프레임으로부터 만들어질 프린트 매수를 포함할 수 있다. 통상 프린트 선택 데이터는 노출 전에 설정되어 각각의 노출 후에 기록된다. 하지만 실질적으로는 현상된 후 촬영된 이미지 프레임들을 관찰하면서 프린트 포맷 및 프린트 매수를 결정하는 것은 더욱 유익하다. 추가로, 촬영자는 노출 전 프린트 선택 데이터를 설정하느라 촬영기회를 놓칠 수 있다. 그러므로 노출 후 촬영된 영상을 관찰하며 카메라의 프린트 옵션 데이터를 설정하거나 교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게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주목적은, 고화질 이미지를 포토 필름에 촬영할 수 있으며, 동시에 이미지의 질은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이미지 데이터 파일용 대용량의 메모리를 가지지 않는 주변 장치에서 용이하게 포토 이미지들의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하는 것이 가능한 스틸 카메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미지들을 포토 필름스트립에 촬영할 수 있고, 각각 개별적으로 촬영된 이미지 프레임과 관련된 데이터를 개별 이미지 프레임의 이미지 데이터와 함께 기록 수단으로 기록할 수 있으며, 노출 또는 현상 후 프린트 선택 데이터를 이미지 프레임에 할당하거나 이를 수정할 수 있는 스틸 카메라를 제공하는 것이다.
위의 목적과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스틸 카메라에는 촬상 장치, 디지털 이미지 데이터를 얻기 위한 이미지 처리 장치, 디지털 이미지 데이터에 따라 피사체의 영상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뷰파인더로서의 디스플레이 장치, 셔터 릴리스 작동에 응답하여 이미지 프레임들을 포토 필름스트립에 촬영하는 요소, 그리고 이미지 데이터를 기억하는 메모리가 구비된다. 하나의 프레임의 이미지 데이터는 각각의 셔터 릴리스 작동과 동시에 메모리에 기록된다. 하나의 프레임의 이미지 데이터와 연관시켜 필름스트립의 ID 코드 및 이미지 데이터에 해당하는 촬영된 이미지 프레임의 프레임 번호가 메모리에 기록된다. 메모리에 기록된 데이터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는 필름스트립에 촬영된 이미지 프레임의 스틸 이미지를 이미지 프레임의 프레임 번호와 함께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스틸 카메라는 퍼스널 컴퓨터에 연결되어 메모리에 기록된 데이터를 퍼스널 컴퓨터의 메모리로 전달할 수 있는데, 이는 촬영된 이미지 프레임의 스틸 이미지를 ID 코드 및 프레임 번호와 함께 외부 모니터에 디스플레이하거나 촬영된 이미지 프레임의 하드카피(hard copy)를 하기 위한 것이다.
실시예에 따르면, 스틸 카메라에는 지정된 이미지 프레임에 할당되기 위한 선택 데이터, 예를 들어 프린트 포맷 또는 프린트 매수를 지정된 이미지 프레임에 할당하는 데이터를 기록하는 수동식 데이터 입력 장치가 추가로 구비된다. 선택 데이터는 촬영 전에 피사체의 영상 이미지와 함께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기록될 수 있다. 선택 데이터는 촬영 후 지정된 이미지 프레임의 이미지 데이터와 연관시켜 메모리에 기록된다. 메모리에 기록된 선택 데이터는 메모리에 기록된 데이터에 따라 지정된 이미지 프레임의 스틸 이미지와 결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메모리에 기록된 선택 데이터는 디스플레이 장치로 선택 데이터를 관찰하면서 수동식 데이터 입력 수단을 조작함으로써 수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스틸 카메라는 필름스트립을 컨테이너 안에 완전히 감은 후 풀리는 방향으로 스풀을 회전시킴으로써 컨테이너 밖으로 포토 필름스트립을 진행시킬 수 있는 컨테이너를 포함하는 포토 필름 카트리지와 함께 사용된다. 그리고 필름스트립은 자기 기록 층을 가지고, 스틸 카메라는 컨테이너의 스풀을 감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필름을 진행시키는 수단 및 선택 데이터를 자기 기록 장치에 기록하는 자기 기록 장치를 추가로 포함한다.
컨테이너가 현상된 포토 필름스트립을 포함하고, 현상된 필름스트립 또는 컨테이너로부터 판독된 ID 코드가 메모리에 기억된 ID 코드와 일치할 때, 스틸 카메라는 메모리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해내고, 현상된 포토 필름스트립에 기록된 이미지 프레임의 스틸 이미지를 메모리에 기록된 데이터에 따라 프레임 번호 및 선택 데이터와 함께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동한다. 디스플레이 장치가 현상된 포토 필름스트립에 기록된 이미지 프레임의 스틸 이미지를 메모리에 기록된 데이터에 따라 프레임 번호 및 선택 데이터와 함께 디스플레이한다. 이로 인해 선택 데이터는 디스플레이 장치로 선택 데이터를 관찰하면서 수동식 데이터 입력 수단을 조작함으로써 수정될 수 있으며, 수정된 선택 데이터는 자기 기록 층 및 메모리에 기록된다.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은 실시예의 설명과 첨부되는 도면들을 통하여 명백해지며, 도면은 실례로서 주어질 뿐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부호는 여러 관점을 통하여 동일하거나 상응하는 부분을 나타낸다.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스틸 카메라(1)는 촬영 렌즈(3)를 가지고, 뷰파인더 오브젝티브 윈도우(4), 플래시 윈도우(5) 및 피사체 휘도를 측정하는 광도측정 윈도우(6)를 카메라 본체(2)의 앞면에 가진다. 도시되지 않은 반사광 센서의 광 프로젝터와 광 리시버(receiver)는 뷰파인더 오브젝티브 윈도우(4)의 반대편 수평면상에 피사체 거리를 측정하기 위해 배열된다.
카메라 본체(2) 위쪽의 셔터 버튼(7)이 절반정도 눌러졌을 때, 자동노출제어 및 촬영 렌즈(3)의 자동 초점조절을 위하여 피사체 휘도 및 피사체 거리가 측정된다.
IX240형 필름 카트리지(8)는 바닥 덮개(9)를 개방함으로써 장착될 수 있다. IX240형 필름 카트리지(8)는 컨테이너(8b)를 가지는데, 컨테이너(8b)는 필름 스트립(8a) 전체를 그 안에 포함하고서, 컨테이너(8b)의 스풀을 회전시킴으로써 필름 스트립(8a)의 리더(leader)를 바깥쪽으로 이동하게 한다. 필름 스트립(8a)가 담겨있는 동안 컨테이너(8b)의 필름 단자는 광차단식 도어(door) 부재에 의해 차단된다. 도어 부재는 스틸 카메라(1) 내부의 키 부재에 의해 개방될 수도 있다.
컨테이너(8b)에는 바코드(10a) 및 일련번호(10b)가 붙는데, 이는 개별 컨테이너(8b)마다 특정한 ID 코드를 부여한다. 동일한 바코드 및 동일한 일련번호로 이루어진 동일한 ID 코드는 컨테이터(8b)에 담기는 필름 스트립(8a)상의 잠재 이미지들로서 기록된다. 바코드(10a)는 스틸 카메라(1) 또는 인화 완성장치와 같은 다른 장치에 의해 기계적으로 판독된다. 일련번호(10b)는 필름 카트리지(8)의 광학적 확인을 가능케 한다.
IX240형에 있어서, 필름스트립(8a)는 인화 완성장치에 의해 현상된 후에 동일한 ID 코드를 가지는 컨테이너(8b) 안으로 다시 감겨져 고객에게 반환된다. ID 코드의 잠재 이미지가 촬영된 이미지를 현상할 때 함께 현상되기 때문에, 인화 완성장치는 현상된 필름스트립(8a)을 본래의 컨테이너(8b)와 관련시킨다.
초점거리 변형레버(11)는 카메라 본체(2)의 후부에 배열되어 촬영 렌즈(3)의 초점거리 및 이에 상응하게 뷰파인더 오브젝티브 윈도우(4) 뒤에 배열되는 뷰파인더 광학 시스템(38)(참조: 도 3)의 초점거리를 변형하기 위해 작동된다.
LCD 모니터(12)는 카메라 본체(2)의 뒷면에 장착된다. LCD 모니터(12)는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뿐만 아니라 촬영 렌즈(3)의 촬영 필드에 상응하는 시야(視野)를 디스플레이하는 뷰파인더로서 기능한다. 다음에 상세하게 설명되는 것과 같이, LCD 모니터(12)는 구간 이미지 센서(39)를 통해서 입수된 이미지 데이터에 따라 스틸 카메라(1)의 시야로서 영상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데, 시야 이미지는 뷰파인더 광학 시스템(38)에 의해 구간 이미지 센서(39)에 형성된다.
LCD 모니터(12)는 카메라 본체(2)에 힌지로 연결되기 때문에 도 1에 나타난 접혀진 위치와 도 2에 나타난 뽑혀진 위치 사이에서 적당한 마찰하에서 움직일 수 있다. 뽑혀진 위치는 수직에서 30˚ 각도로 카메라본체의 앞쪽으로 기운다. 마찰로 인해, LCD 모니터(12)가 뽑혀진 위치와는 다르게 적당한 각도를 이루는 위치에서 멈출 수 있다. LCD 모니터(12)는 컬러 LCD 패널 및 LCD 패널의 백라이트 조명을 위한 형광원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LCD 모니터(12)는 일정량의 전력을 소모한다. LCD 모니터(12)의 전원 스위치(13)는 LCD 모니터(12)를 다시 접혀진 위치로 돌려놓음으로써 확실하게 꺼지도록 위치가 결정된다. 작동키(14)들은, LCD 모니터(12)를 뽑으면 모습을 드러내는 카메라 본체(2) 뒷면에 장착된다.
커넥터(15)는 카메라 본체(2)의 한 면에 장착되어 덮개로 덮인다. 커넥터(15)를 통해 스틸 카메라(1)는 주변장치와 연결되어 이미지 데이터를 교환할 수도 있다. 도어(16)는 건전지를 장전하기 위해 설치된다. 도시되지 않은 메모리 카드용 슬롯(slot)은 도어(16)의 뒤쪽에 구현된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스틸 카메라(1)의 작동은 필름-포토 제어기(20) 및 CPU로 구성된 디지털 이미지 제어기(22)에 의해 제어된다. 필름-포토 제어기(20)는 프로그램 ROM(23)에 기록된 순차 프로그램에 의하여 이미지를 필름스트립(8a)에 촬영하는 데 필요한 작동을 순차적으로 제어한다. 디지털 이미지 제어기(22)는 데이터 및 제어신호를 필름-포토 제어기(20)와 교환하고, 프로그램 ROM(23)에 기록된 순차 프로그램에 따라 촬영 피사체들로부터 디지털 이미지를 추출하는데 필요한 작동을 제어한다.
특히, 필름-포토 제어기(20)는 초점거리 조절레버(11)로부터의 줌 신호를 포함하는 수동식 조작 신호 입력부(32)로부터의 신호뿐만 아니라 광전자 퍼포레이션 센서(photoelectic perforation sensor)(30)로부터의 신호, 그리고 광도 측정 윈도우(6)를 통해 검출되는 피사체 휘도 신호와 뷰파인더 오브젝티브 윈도우(4) 후면에 위치한 반사광 센서를 통하여 검출된 피사체 거리 신호를 포함한 센서 입력부(31)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노출 조절 회로(24), 렌즈 구동기(25), 필름 수송 장치(26) 및 자기 판독/기록 회로(27)를 제어한다.
노출 조절 회로(24)는 피사체 휘도 신호에 따라 프로그램 셔터(34)를 제어한다. 렌즈 구동기(25)는 촬영 렌즈(3)를 피사체 거리 신호에 따라 피사체 범위에 초점을 맞추게 하고, 또한 촬영 렌즈(3)를 줌 신호에 따라 줌인 줌아웃하게 한다. 렌즈 구동기(25)는 뷰파인더 광학 시스템(38)을 구동시켜 촬영 렌즈(3)와 상응하여 줌 작용케 한다.
필름 수송 장치(26)는 필름스트립(8a)을 각각의 노출 후에 한 프레임씩 수송한다. IX240형의 필름스트립(8a)이 프레임마다 한 쌍의 퍼포레이션을 가지기 때문에, 필름스트립(8a)을 퍼포레이션 센서(30)를 통해 감지되는 퍼포레이션과 연관시켜 한 프레임씩 진행시킬 수 있다. 퍼포레이션 센서(30)로부터 신호를 총계함으로써, 실행된 노출들의 번호, 즉 마지막으로 노출된 프레임의 일련번호가 결정된다. 노출된 프레임 번호는 각각의 노출 후 RAM(29)에 기록되고, 프레임 카운터 데이터 및 각각의 프레임의 일련번호 데이터로서 이용된다.
IX240형 필름스트립(8a)의 뒷면 전체는 투명 자기 기록 층으로 피복된다. 자기 판독/기록 회로(27)는 노출된 필름스트립(8a)이 한 프레임 수송되는 동안 자기 헤드(35)를 구동하여 포토 데이터 및 다른 데이터를 이진코드로 기록 층에 기록한다. 자기 기록 층에 기록된 포토 데이터는 셔터 스피드 및 조리개 개구부 사이즈, 촬영 날짜 등을 포함한다. 다양한 데이터를 이진코드로 변환하기 위한 식은 데이터 ROM(36)에 기억된다.
자기 헤드(35)는 자기 기억 층으로부터 이진코드를 판독하는데 이용된다. 필름-포토 제어기(20)는 자기 헤드(35)를 통해 판독된 이진코드를 데이터 ROM(36) 안의 변환식을 참조하여 해독한다. 필름스트립(8a)의 ID 코드는 ID 코드의 잠재 이미지들에 추가해서 자기식으로 자기 기록 층의 필름스트립(8a)의 선도부분에 기록된다. 필름 카트리지(8)가 스틸 카메라(1)의 카트리지 챔버 안에 장착되자마자, 필름스트립(8a)이 노출 개구부 뒤 초기 프레임 노출부에 위치하도록 자동으로 수송되는 동안에 ID코드는 자기 헤드(35)를 통하여 판독된다. ID 코드는 RAM(29) 안에 기록된다. 이 대신에 바코드(10a)로부터 ID 코드를 판독해내기 위해 카트리지 챔버 안에 바코드 판독기가 구비될 수 있다.
영역 이미지 센서(39)는 200,000 내지 400,000, 예를 들어 380,000 화소로 이루어지고, 이에 반해 뷰파인더 광학 시스템(38)의 초점거리는 짧다. 광학 시스템(38)의 시계 때문에, 뷰파인더 광학 시스템(38)의 초점을 맞출 필요 없이 이미지 센서(39)를 통해 유용한 이미지 신호들을 얻을 수 있다.
디지털 촬상 제어기(22)는 이미지 센서 구동기(40)를 통해 이미지 신호 처리 회로(41), A/D 변환기(42) 및 이미지 데이터 처리기(44)를 통해 피드백된 피드백 신호들에서 얻어진 피사체 휘도에 따라 이미지 센서(39)의 전하 충전시간을 제어한다. 그러나 이미지 센서(39)의 전하 충전시간을 센서 기록(31)으로부터의 피사체 휘도 신호에 따라 제어할 수 있다.
이미지 신호 처리 회로(41)는 이미지 센서(39)로부터의 이미지 신호를 자동 이득 제어기 또는 그 밖의 것을 통해 증폭시킨 후 삼색의 이미지 신호들로 분리한다. 삼색 이미지 신호들은 A/D 변환기(42)를 통해 디지털 컬러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된다. 디지털 컬러 이미지 데이터는 이미지 데이터 처리기(44)에서 백(白) 밸런스 조절 단계, 감마 보정 단계, 매트릭스(matrix) 작동 단계 및 다른 처리 단계들을 거쳐 처리되고, 이는 한 프레임의 이미지 데이터를 생산하기 위한 것이다. 이미지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LCD 구동기(45)에 즉시 이송됨으로써 LCD 모니터(12)가 영상 이미지를 스틸 카메라(1)의 시야로 디스플레이한다.
셔터 버튼(7)이 눌려 필름스트립(8a)을 노출할 때마다 이미지 데이터 처리기(44)는 한 프레임의 이미지 데이터를 버퍼 메모리(46)에 기록한다. 따라서, 이미지 데이터 처리기(44)는 버퍼 메모리(46)에 기억된 이미지 데이터를 I/O 포트(47)를 통해, 스틸 카메라(1) 안에 내장된 메모리(48) 또는 스틸 카메라(1)에 연결될 수 있는 메모리 카드 또는 카드형 메모리(49)로 전송할 수 있다. 한 프레임의 이미지 데이터를 내장 메모리(48) 또는 카드형 메모리(49)에 기록하고 동시에 필름-포토 제어기(20)는 필름 카트리지(8)의 ID 코드 및 프레임의 프레임 일련번호를 RAM(29)으로부터 판독해내어 이것들을 디지털 촬상 제어기(22)를 통해 이미지 데이터 처리기(44)로 전달한다. 그러므로 ID 코드 및 프레임 일련번호는 프레임 ID 데이터로서 이미지 데이터와 함께 메모리(48 또는 49)에 기록된다.
따라서, 이미지 데이터 처리기(44)는 이미지 센서(39)를 통해 얻어지는 이미지 신호로부터 이미지 데이터를 생산하기 위한 장치로서 뿐만 아니라, 한 프레임의 이미지 데이터를 버퍼 메모리(46)에 기록하기 위한, 그리고 이미지 데이터와 프레임 ID 데이터를 메모리(48 또는 49)에 기록하기 위한 데이터 기록 장치로서 작용한다. 메모리(48 또는 49)에 기록하기 전에, 380,000 화소의 이미지 센서(39)의 사용으로 얻어지는 한 프레임의 이미지 데이터는 표준 품질 JPEG 압축에 따라 압축된다. 따라서, 필름스트립(8a)상에서 이용 가능한 최대수인 40 프레임의 이미지 데이터를 기억하기 위해 내장 메모리(48) 및 카드형 메모리(49)는 2메가바이트 내지 4메가바이트의 용량을 가져야 한다.
폰트 ROM(50)은 문자, 상징 및 표시를 LCD 모니터(12) 상에 디스플레이하는데 이용하기 위한 폰트 데이터를 기억한다. 예를 들어 필름스트립(8a)에 노출된 프레임들의 번호가 LCD 모니터(12)에 디스플레이되려면, 필름-포토 제어기(20)는 실행된 노출 번호를 RAM(29)으로부터 판독하여 이를 프레임 카운터 데이터로서 디지털 촬상 제어기(22)로 전달한다. 그 다음에, 디지털 영상 제어기(22)는 노출된 프레임의 번호를 디스프레이하는 데 적당한 폰트 데이터를 판독하기 위해 폰트 ROM(50)을 조회하여 폰트 데이터를 이미지 데이터 처리기(44)에 전달한다. 이미지 데이터 처리기(44)는 폰트 데이터를 이미지 데이터와 함께 LCD 구동기(45)에 전달하여, LCD 모니터(12)가 노출된 프레임의 번호를 LCD 모니터(12)에 시야 이미지와 결합하여 디스플레이한다. LCD 모니터(12)는 다양한 정보 또는 이미지들을 시야 이미지를 대신하거나 이와 결합하여 상세한 아래의 설명과 같이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필름-포토 제어기(20) 및 디지털 영상 제어기(22)는 촬영 순서와 관계없이 작동키(14) 또는 커넥터(15)를 통해 스틸 카메라(1)에 연결되는 퍼스널 컴퓨터의 키보드 또는 마우스를 작동시킴으로써 수동 조작 신호 입력부(32)를 통해 기록되는 명령 신호에 대한 반응으로 작동할 수 있다. 그러므로 데이터를 내장 메모리(48)로부터 카드형 메모리(49)에 전달할 수 있으며 그 역도 가능하다. 필름스트립(8a)에 노출 완성 후 필름스트립(8a)에 특정 프레임을 지정할 수 있으며 자기 기록 층에 기록된 데이터를 특별 프레임과 연관시켜 판독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데이터 및 한 프레임의 관련된 데이터를 메모리(48 또는 49)로부터 판독해 낼 수 있으며, 프레임의 스틸 이미지를 프레임 일련번호와 함께 LCD 모니터(12)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제 스틸 카메라(1)의 작동을 도 4와 연관시켜 설명한다.
필름 카트리지(8)은 개방된 바닥 덮개(9)를 통하여 카메라 본체(2) 안에 장착된다. 바닥 덮개(9)가 이것이 닫히는 위치에서 잠긴 후 스틸 카메라(1)의 도시되지 않은 키 부재가 작동되어 컨테이너(8b)의 도어 부재를 개방시킨다. 그리고 나서, 필름 수송 장치(26)는 컨테이너(8b)의 스풀을 회전시키기 시작하여 필름스트립(8a)의 선도 끝 부분을 컨테이너(8b)로부터 진행시킨다.
퍼포레이션 센서(30)가 제1 프레임의 노출부분이 예정된 위치로 이동했다는 관통표시를 검출하면, 필름 수송 장치(26)는 제1 프레임 노출부를 노출 개구부 위에 위치하도록 하기 위해 멈춘다. 컨테이너(8b)가 이런 식으로 수송되는 동안, 자기 판독/기록 회로(27)의 자기 헤드(35)는 컨테이너(8b)의 선행하는 끝 부분의 자기 기록 층에 기록된 ID 코드, 필름형 및 이용 가능한 노출 번호의 데이터 등이 포함된 데이터를 판독한다.
자기 판독/기록 회로(27)를 통해 판독된 데이터는 상기 필름-포토 제어기(20)에 의해 해독되고 RAM(29)에 기록된다. 필름형에 관한 데이터는 자동 노출 조절에 활용되고, 이용 가능한 노출 번호는 필름-포토 제어기(20) 안에 결합된 프레임 카운터의 최대값을 설정하는 데 활용된다.
LCD 모니터(12)를 뽑으면, 전원 스위치(13)가 켜지며, 그래서 센서 구동기(40)는 디지털 촬상 제어기(22)의 제어 하에서 이미지 센서(39)를 구동하기 시작하여 뷰파인더 광학 시스템(43)을 통하여 형성된 피사체의 이미지로부터 이미지 신호들을 추출한다. 이미지 신호는 이미지 신호 처리 회로(41), A/D 변환기(42) 및 이미지 데이터 처리기(44)를 통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생산한다. 이미지 데이터는 LCD 구동기(45)를 통해 LCD 모니터(12)에 공급되기 때문에, LCD 모니터(12)는 피사체의 영상 이미지를 시야 이미지로서 즉시 디스플레이한다. 따라서, 촬영자는 LCD 모니터(12)를 관찰하면서 피사체의 구도를 맞춘다.
도 5a는 LCD 모니터(12)에 디스플레이된 시야 이미지의 예를 나타낸다. 종래 기술분야에서 알려진 바와 같이, IX240형 필름스트립(8a)의 이미지 프레임의 기본 사이즈는 대략 9:16의 종횡비를 가지는 이른바 고영상(high-vision) 사이즈이고, 이는 대략 2:3의 종횡비를 가지는 전통적인 35 mm 필름의 전체 사이즈 프레임보다 넓다. 그러므로, LCD 모니터(12)는 시야 이미지를 고영상 사이즈로 디스플레이한다. 아래 내용에서는 고영상 사이즈를 H-사이즈라 칭하는 반면에, 전통적인 35 mm 필름의 전체 사이즈와 동일한 종횡비를 가지는 사이즈는 C-사이즈라 한다.
작동키(14)는 한 프레임으로부터 만들어지는 프린트 매수를 지정하거나 측정 프린트 포맷을 한 프레임에 할당하기 위한 프린트 선택키를 포함한다. 즉, 촬영자는 C-사이즈 프린트 포맷을 지정하는 프린트 선택 데이터를 필름스트립(8a)의 자기기록 층 및 내장 메모리(48) 또는 카드형 메모리(49)에 이미지 프레임과 연관시켜 기록함으로써 한 이미지 프레임이 C-사이즈로 프린트될 것을 지정할 수 있다. 그 다음에 프린터는 프린트 선택 데이터를 판독하여 필름스트립(8a)의 H-사이즈 프레임의 좌우를 마스킹(masking)하거나 클리핑(clipping)함으로써 C-사이즈, 예를 들어 89mm×127mm 촬영을 한다. 마찬가지로 한 이미지 프레임이 H-사이즈보다 넓은 1:3의 종횡비를 가지는 파노라마식 사이즈(P-사이즈)로 프린트될 것을 지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P-사이즈, 예를 들어 89mm×254mm 촬영은 H-사이즈 프레임의 상하를 클리핑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어떠한 수동식 지정이 없이 필름스트립(8a)의 이미지 프레임은 H-사이즈, 예를 들어 89mm×159mm 촬영으로 프린트된다.
촬영자가 C-사이즈 또는 P-사이즈 촬영을 원한다면, 촬영자는 프린트 선택키를 노출 전에 작동시킬 수 있다. 그 다음에, 프린트 선택 데이터(56)의 기본 값들이 LCD 모니터(12)에 디스플레이되고,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야 이미지에 중첩된다. 다른 한편, 노출된 프레임들의 마지막 번호를 나타내는 프레임 번호 데이터(55)는 항상 LCD 모니터(12)에 디스플레이된다.
커서(57)는 바로 변경될 수 있는 내용을 가지는 항목을 가리키면서 프린트 선택 데이터(56)의 좌측에 디스플레이된다. 촬영자는 항목이 변하도록 지정하기 위해 커서(57)를 작동키(14)의 커서 키를 작동시킴으로써 이동시킬 수 있다. 촬영자가 프린트 포맷을 변경하려고 하면, 이러한 경우에는 촬영자가 커서(57)를 "프린트 포맷" 항목으로 이동시키고서 작동키(14)의 엔터키를 누른다. 그리고 나서, 문자들 "H", "C" 및 "P"는 "프린트 포맷" 항목의 우측의 세로칸에 나타나는 반면에, 프린트 선택 데이터(56)의 다른 항목들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라진다. 그리고 나서 커서(58)는 문자들 "H", "C" 및 "P"의 우측에 디스플레이된다.
문자들 "H", "C" 및 "P"가 각각 H-사이즈, C-사이즈 및 P-사이즈를 대신하는 것과 같이 이러한 사이즈들 중 문자 하나는 문자들 "H", "C" 및 "P" 중 해당하는 하나를 커서(57)로 가리킴으로써 선택할 수 있다. 커서(57)가 문자 "H"를 가리키면, LCD 모니터(12)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야 이미지를 H-사이즈로 디스플레이한다. 커서(57)가 문자 "C"를 가리키면, 디지털 촬상 제어기(22)는 마스킹을 위한 포맷 데이터를 폰트 ROM(50)으로부터 판독해내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야 이미지를 C-사이즈로 제한하기 위해 한 쌍의 마스크(61)들을 LCD 모니터(12)의 좌우측에 디스플레이한다. 커서(57)가 문자 "P"를 가리키면, 한 쌍의 마스크(62)는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야 이미지를 P-사이즈로 제한하기 위해 폰트 ROM(50)으로부터 판독된 마스킹 포맷 데이터에 따라 LCD 모니터(12)의 상하에 디스플레이된다. 예를 들어 마스크(61)들은 반투명 회색의 마스크들이지만, 검은색 점들을 가지는 스크린 색의 마스크들일 수도 있다.
커서(57)가 세 개의 문자들 중 하나, 예를 들어 "C"를 가리키는 동안 엔터키를 누르면, LCD 모니터(12)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법으로 다시 프린트 선택 데이터(57)의 항목들 모두를 디스플레이하지만, 마스크(61)들은 여전히 디스플레이되며, 문자 "C"가 "프린트 포맷" 항목의 우측에 디스플레이된다.
표제를 설정하기 위해 커서(57)를 "표제" 항목으로 이동하고, 엔터키를 누른다. 그리고 나서, 표제들의 종류가 "표제" 항목의 우측에 커서(58)와 함께 디스플레이된다. 표제들 중 하나를 커서(58)가 가리키고, 엔터키를 누름으로써, 표제가 결정된다.
프린트들의 번호를 지정하기 위채 커서(57)를 "번호 프린트" 항목으로 이동하여 엔터키를 누른다. 그리고 나서, "번호 프린트" 항목의 우측에 디스플레이된 번호가 깜박이기 시작한다. 커서(57)를 위아래로 이동시키는 방향의 커서키를 작동시킴으로써 깜박이는 번호가 각각 증가하거나 감소한다. 깜박이는 번호가 원하는 프린트 매수에 도달하면, 매수를 고정하기 위해 엔터키를 누른다. 그리고 나서, 프린트 선택 데이터(56)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시 디스플레이된다.
프린트 포맷, 표제 및/또는 프린트 매수의 지정이 끝난 후, 커서(57)를 LCD 모니터(12)의 <끝> 표시(56a)로 이동하고 나서 엔터키를 누른다. 이것에 의해서 프린트 선택 데이터(56)가 사라지고, 각각의 항목들의 선택값들이 RAM(29)에 기록된다. 수동식 지정이 실행되지 않을 경우를 대비하여, 프린트 선택 데이터(56)의 기본 값들이 RAM(29)에 기록된다. 하지만, 위에서의 지정은 노출 전에 반드시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다. 왜냐하면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되는 것과 같이, 필름스트립(8a)이 현상된 후 프린트 포맷, 프린트 표제 및/또는 매수를 지정하거나 재기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셔터 버튼(7)을 반쯤 누르면, 촬영 렌즈(3)는 피사체 거리 신호로부터 얻어진 피사체 범위(range) 데이터와 연관시켜 초점이 맞춰진다. 동시에, 피사체 범위 데이터는 노출 조절 회로(24)로 전달된다. 셔터 버튼(7)을 완전히 누르면, 노출 조절 회로(24)는 프로그램 셔터(34)를 활성화하여 노출한다. 셔터 버튼(7)을 완전히 누름으로써 야기된 신호는 또한 필름-포토 제어기(20)를 통해 디지털 촬상 제어기(22)에 전달되고, 그 결과 위에서의 순간에 포착된 한 프레임의 이미지 데이터는 버퍼 메모리(46)에 기억된다.
프로그램 셔터(34)가 노출을 마친 후, 필름-포토 제어기(20)는 필름 수송 장치(26)가 필름스트립(8a)을 한 프레임 진행시키도록 촉진한다. 필름스트립(8a)이 한 프레임 풀리는 동안, 자기 헤드(35)는 자기 판독/기록 회로(27)를 통하여 펄름스트립(8a)의 자기 기록 층에 바로 노출된 프레임의 가장자리를 따라 데이터를 기록하도록 구동된다. 이때 기록된 데이터는 셔터 스피드와 노출에 이용되는 조리개 개구부 사이즈, 촬영 날짜, 프레임 일련번호 및 프린트 선택 데이터를 포함한다. 작동키(14)의 일부로서 문자 데이터 엔터키들을 구비할 수 있고, 문자 데이터 엔터키를 작동함으로써 적당한 메시지를 기록할 수 있으며, 자기 기록 층에 이를 기록할 수 있다.
자기 판독/기록 회로(27)가 데이터를 자기 기록 층에 기록하는 것을 마치고, 필름스트립(8a)이 한 프레임 풀린 후, 디지털 촬상 제어기(22)는 한 프레임의 이미지 데이터를 I/O 포트(47)를 통해 버퍼 메모리(46)에서 내장 메모리(48)로 전송하기 위해 이미지 데이터 처리기(44)가 필요하다.
동시에, 디지털 촬상 제어기(22)는 프레임 ID 데이터, 즉 필름 ID 코드 및 프레임 번호를 판독하여 RAM(29)에서 디지털 촬상 제어기(22)로 전달하기 위해 필름-포토 제어기(20)를 필요로 한다. 프레임 ID 데이터는 이미지 데이터와 함께 내장 메모리(48)에 기록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장 메모리(48)는 헤더 데이터를 초기 주소가 "A000"인, 헤더 데이터 영역으로 불리는 기억 장소에 기억한다. 헤더 데이터는 한 프레임의 이미지 데이터, 프레임 ID 데이터, 또는 각각의 프레임에 관련된 포토 데이터 및 프린트 선택 데이터를 각각 기억하는 각각의 기억 장소들의 초기 주소 데이터를 포함한다. 헤더 데이터는 또한 각각의 기억 장소들의 메모리 용량 데이터를 포함한다. 초기 주소 "B000"을 가지는 프레임 ID 데이터용 기억 장소들은 ID 코드 영역으로 불린다. 초기 주소 "C000"을 가지는 기억 장소들은 포토 및 프린트 데이터 영역으로 불린다. 포토 및 프린트 데이터 영역은, 한 프레임 풀리는 동안 자기 기록 층에 기록된 것과 같은 포토 데이터 및 프린트 선택 데이터를 기억하기 위한 영역이다. 초기 주소 "D000"을 가지는 이미지 데이터용 기억 장소들은 이미지 데이터 영역으로 불린다.
본 실시예에서 이미지 데이터 영역이 최대 50 프레임의 이미지 데이터를 기억할 수 있다. 제1 프레임 내지 제N 프레임의 이미지 데이터가 순차적으로 제1 이미지 데이터 영역 내지 제N 이미지 데이터 영역에 동일한 메모리 용량으로 기억된다. ID 코드 영역과 포토 및 프린트 데이터 영역에서 각 프레임의 데이터는 동일한 비트수로 배정되기 때문에 ID 코드 영역과 포토 및 프린트 데이터 영역은 각각 최대 50 프레임의 데이터를 기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필름스트립(8a)의 제1 프레임의 프레임 ID 데이터가 ID 코드 영역에 기록되는 반면에, 제1 프레임의 이미지 데이터는 제1 이미지 데이터 영역에 기록된다.
이런 식으로 한 프레임이 필름스트립(8a)에 촬영될 때마다 포토 데이터 및 프린트 선택 데이터가 자기적으로 필름스트립(8a)에 기록되고, 촬영된 프레임 안에 포함된 것과 동일한 이미지의 이미지 데이터가 버퍼 메모리(46)에 기억되며, 그 다음에 이미지 데이터, 포토 데이터 및 프린트 선택 데이터가 프레임 ID 데이터와 연관시켜 내장 메모리(48)에 기록된다.
이용 가능한 프레임들이 모두 촬영되고, 이미지 데이터 및 마지막 프레임의 추가 데이터가 내장 메모리(48)에 기록된 후, 필름-포토 제어기(20)는 필름스트립(8a)을 다시 컨테이너(8b) 안으로 감도록 필름 수송 장치(20)를 구동한다. 필름스트립(8a)의 길이 전체가 컨테이너(8b) 안에 포함되면, 컨테이너(8b)의 도어 부재가 닫힌다. 그리고 나서, 필름 카트리지(8)는 바닥 덮개(9)를 통해 스틸 카메라(1)로부터 제거되고, 현상되기 위해 인화 완성기로 보내진다.
현상된 필름스트립(8a)은 동일한 ID 코드를 가지는 컨테이너(8b) 안으로 다시 되감겨져 촬영자에게 되돌려 보내진다. 촬영자가 촬영 중에 기록된 프린트 선택 데이터를 재기록하려면, 현상된 필름스트립(8a)을 포함하는 필름 카트리지(8a)가 스틸 카메라(1)에 다시 장착된다. 스틸 카메라(1)는 장착된 필름 카트리지(8)가 사용된 것인지를 감지하여 LCD 모니터(12)에 경고를 디스플레이한다. 그 후, 작동키(14) 중 재생키가 작동하면, 디지털 촬상 제어기(22)가 장착된 필름 카트리지(8)의 ID 코드와 내장 메모리(48)에 기억된 ID 코드를 비교한다.
ID 코드들이 동일할 경우에는, 경고는 사라지며, 프레임 번호 데이터(55)를 수반하는 각각의 개별 프레임 이미지를 순차적으로 LCD 모니터(12)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디지털 촬상 제어기(22)가 이미지 데이터 및 각각의 프레임과 관련된 다른 데이터를 내장 메모리(48)로부터 판독한다. ID 코드들이 동일하지 않을 경우에는, 디지털 촬상 제어기(22)가 다른 경고를 제시한다.
원하는 프레임의 이미지가 LCD 모니터(12)에 디스플레이되면, 재생키는 LCD 모니터(12)에서 움직이는 프레임을 멈추게 하기 위해 다시 작동된다. 원하는 프레임이 프레임 노출 전에 C-사이즈로 프린트되도록 지정되면,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크(61)들이 LCD 모니터(12)의 좌우에 나타난다. 그 후, 프린트 선택키를 누르면, LCD 모니터(12)가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된 프레임의 프린트 선택 데이터(56) 및 포토 데이터(64)를 모두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커서(57)가 프린트 선택 데이터(56)와 함께 나타나기 때문에, 수정 항목을 가리키도록 커서키로 커서(57)를 이동시킬 수 있다. 언급할 필요도 없이, 포토 데이터(64)는 변화될 수 없기 때문에, 커서(57)는 포토 데이터(64)로 이동하지 않는다.
프린트 선택 데이터(56)의 각각의 데이터 항목은 도 5a 내지 도 5c와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변형될 수 있다. 도 7b 및 도 7c는 프린트 포맷을 변형한 예를 나타낸다.
LCD 모니터(12) 상에서 프린트 선택 데이터(56)가 수정되고, 예를 들어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수정이 <끝> 표시(56a)를 가리키는 동안 엔터키를 누름으로써 완료되면, 디스플레이된 프레임의 프린트 선택 데이터는 내장 메모리(48)의 포토 및 프린트 데이터 영역 안에서 그에 상응하게 수정된다. 그 후, 필름 수송 장치(26)는 컨테이너(8b)로부터 필름스트립(8a)을 진행시키도록 구동되고, 필름스트립(8a)의 해당 프레임을 빠른 스피드로 노출 개구부 뒤의 노출 위치로 공급하도록 구동된다. 그 다음으로, 필름스트립(8a)은 일반적인 한 프레임 진행과 동일한 스피드로 한 프레임 진행되고, 자기 헤드(35)는 해당하는 프레임, 예를 들어 도시된 예에서 19번 프레임의 프린트 선택을 재기록하도록 구동된다.
필름스트립(8a)의 움직임과 독립적으로, LCD 모니터(12)는 재생키가 다시 작동되지 않는 한 동일한 프레임을 프린트 선택 데이터(56), 포토 데이터(64) 및 프레임 번호 데이터(55)와 함께 계속 디스플레이한다. 재생키가 작동하면, 계속되는 프레임들이 순차적으로 프레임 번호 데이터(55)와 함께 LCD 모니터(12)에 디스플레이된다. 그 후 다른 프레임들의 프린트 선택 데이터는 위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수정될 수 있다.
필름스트립(8a)에 이용 가능한 모든 프레임들의 노출이 완료된 후, 필름 카트리지(8)가 스틸 카메라(1)로부터 제거되기 전에, 도 7a 내지 도 7c와 관련하여 설명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프린트 선택 데이터를 재기록할 수 있다. 내장 메모리(48)는 자기적으로 기록된 모든 데이터 정보들을 포토 및 프린트 데이터 영역 안에 기억할 필요는 없지만, 데이터 정보들의 일부, 예를 들어 프린트 선택 데이터만은 기억할 수 있다. 카드형 메모리(49)는 내장 메모리(48)를 대신하거나 추가해서 이미지 데이터를 다른 해당하는 데이터와 함께 내장 메모리(48)와 동일한 방식으로 기억하는 데 쓰인다. 이것에 의해서 이미지 데이터 및 다른 데이터를 위한 메모리 용량은 용이하게 증가된다. 본 실시예의 메모리(48 또는 49)의 용량이 IX240형 40-노출 사이즈 필름스트립을 위한 데이터를 기억하도록 설계됨에도 불구하고, 이들의 용량은 두 개 이상의 필름스트립을 위한 데이터를 기억하는 데에도 매우 충분할 수 있다.
도 8은 스틸 카메라(1)가 필름 스캐너(72) 및 퍼스널 컴퓨터(73)와 결합되는 이미지 처리 시스템을 나타낸다. 스틸 카메라(1)는 커넥터(15)를 통해 퍼스널 컴퓨터에 연결되고, 퍼스널 컴퓨터(73)에 시스템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자기 디스크(74)를 넣는다. 이로 인하여 퍼스널 컴퓨터(73)의 키보드를 통해 스틸 카메라(1)를 재생 상태에서 작동시켜, 이미지 데이터를 프레임 ID 데이터, 포토 데이터 및 프린트 선택 데이터와 함께 스틸 카메라(1)의 내장 메모리(48)에서 퍼스널 컴퓨터(73)의 내장 메모리 또는 하드디스크로 전송할 수 있다.
개별 프레임들의 이미지들을 LCD 모니터(12)에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퍼스널 컴퓨터(73)의 하드디스크에 전달하기를 원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가지는 프레임들을 지정할 수 있다. 이미지 데이터가 일단 퍼스널 컴퓨터(73)에 전송되면, 프레임 ID 데이터, 즉 ID 코드 및 프레임 번호와 프레임의 이미지들은 퍼스널 컴퓨터(73)의 모니터 스크린(75)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내장 메모리(48)에 기억된 이미지 데이터는 미완의 것이기 때문에, 퍼스널 컴퓨터(73)의 하드디스크가 40 프레임의 이미지 데이터를 문제없이 기억할 수 있다. 퍼스널 컴퓨터(73)의 하드디스크의 용량이 충분하지 않을 경우에는 카드형 메모리(49)가 퍼스널 컴퓨터(73)에 연결될 수 있다.
내장 메모리(48)에 기억된 이미지 데이터의 데이터 용량이 작기 때문에, 퍼스널 컴퓨터(73)의 하드디스크가 다수의 필름스트립들을 위한 이미지 데이터를 기억할 수 있다. 즉, 퍼스널 컴퓨터(73)의 하드디스크는 다수의 필름스트립들의 프레임들의 색인 이미지를 기억하기 위한 랜덤 파일(random file)로서 활용될 수 있다.
촬영자는 필름 카트리지(8)가 없는 경우에도, 예를 들어 현상하는 동안에도 언제든지 각각의 필름스트립의 색인 이미지를 모니터 스크린(75)에서 볼 수 있다. ID 코드 및 프레임 번호가 각각의 색인 이미지와 함께 디스플레이되기 때문에, 개별 프레임들을 확인하는 것이 용이하다. 포토 데이터 및 프린트 선택 데이터는 또한 퍼스널 컴퓨터(73)의 하드디스크에 전송되기 때문에, 각각의 프레임의 촬영의 노출 조건 및 날짜를 점검하기 용이하다. 이미지 데이터는 퍼스널 컴퓨터(73)의 외부에 부착될 수 있는 자기판(magnetic sheet) 또는 카드형 메모리에 기억될 수 있다.
내장 메모리(48) 및 퍼스널 컴퓨터의 하드디스크 안에 기억된 이미지 데이터는 미완의 것이기 때문에, 이는 비록 색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데 유용할지라도 고화질 이미지 처리에는 유용하지 않다. 고화질 이미지 데이터를 얻고자 현상된 필름스트립(8a)을 포함한 필름 카트리지(8)는 필름 스캐너(72)에 장치된 후 퍼스널 컴퓨터(73)에 연결된다.
필름 카트리지(8)가 카트리지 챔버 안에 놓이면, 필름 스캐너(72)는 스틸 카메라(1)가 하는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필름 카트리지(8)의 컨테이너(8b)로부터 현상된 필름스트립(8a)을 풀어낸다. 그 후, 필름스트립(8a)이 수송되는 동안, 라인 이미지 센서는 프레임들의 이미지를 출력하기 위해 필름스트립(8b)의 프레임들을 스캐닝한다. 이미지 스캐너의 라인 이미지 센서는 스틸 카메라(1)의 영역 이미지 센서(39)보다 높은 해상력, 예를 들어 각 프레임 당 1.5백만 내지 수백만 화소를 가질 수 있다. 그러므로, 내장 메모리(48) 또는 카드형 메모리(49)로부터 얻어진 이미지 데이터와 비교할 때 현저하게 더 거대한 규모의 이미지 데이터가 필름 스캐너(72)를 통해 얻어진다.
필름스트립(8a)의 모든 프레임들이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되어 퍼스널 컴퓨터(73)의 하드디스크 및 광학 디스크와 같은 다른 기록 매체 안에 기록하는데 상당한 메모리 용량과 이미지 데이터 기억을 위한 상당한 데이터 처리시간이 요구된다. 따라서 현상된 필름스트립(8a)을 포함하여 필름 카트리지(8)를 직접 순차적인 이미지 데이터 파일로서 이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현상된 필름스트립(8a)을 포함하여 필름 카트리지(8)를 직접 순차적인 이미지 데이터 파일로서 이용하기 위해, 사용자는 필름스트립(8a)의 프레임들의 색인 이미지들을, 스틸 카메라(1)의 내장 메모리(48)로부터 퍼스널 컴퓨터(73)의 하드디스크로 전송된 이미지 데이터에 따라 순차적 또는 무리를 이루어 모니터 스크린(75)에 디스플레이하면서 이들을 관찰한다. 퍼스널 컴퓨터(73)의 하드디스크는 프레임들의 프레임 ID 데이터, 포토 데이터 및 프린트 선택 데이터를 이미지 데이터와 함께 기억하기 때문에, 원하는 프레임 또는 프레임들을 지정하기 위해 프레임 ID 데이터, 포토 데이터 또는 프린트 선택 데이터를 이용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검색할 수 있으며, 지정된 프레임의 색인 이미지를 모니터 스크린(75)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미지 데이터를 위한 프로그램은 자기 디스크(74)에 기억된다.
색인 이미지 및 상기 프레임 ID 데이터, 즉 ID 코드 및 프레임 번호가 모니터 스크린(55)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기 때문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를 가지는 필름스트립(8a)을 포함하는 필름 카트리지(8)를 확인할 수 있다. 확인된 필름 카트리지(8)를 필름 스캐너(72)에 설치한 후, 사용자는 프레임 번호를 퍼스널 컴퓨터(73)의 키보드를 통해 기록한다. 그리고 나서 필름 스캐너(72)는 지정된 ID 코드와 일치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필름스트립(8a)의 ID 코드를 현상된 필름스트립(8a)의 자기 데이터 또는 컨테이너(8b)의 바코드로부터 판독해낸다. 그 후, 지정된 프레임 번호의 프레임은 고선명도 이미지 데이터를 얻기 위해 이미지 센서에 의해 스캐닝된다.
고선명도 이미지 데이터는 하드디스크에 기억되기 때문에, 고선명도 이미지 데이터를 근거로 하여 여러 가지의 이미지 처리를 할 수 있다. 비디오 프린터를 퍼스널 컴퓨터(73)에 연결함으로써 하드카피도 물론 할 수 있다.
이런 식으로 처리과정에 필수적인 단지 하나 또는 다수의 프레임의 이미지 데이터를 스캐닝하여 이것을 퍼스널 컴퓨터(73)의 하드디스크에 기억함으로써, 적은 용량을 가지는 하드디스크를 적용할 수 있다.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 사용되는 처리 데이터의 양은 처리된 이미지 데이터의 양과 비교해서 매우 적기 때문에, 처리된 이미지 데이터를 기억하지 않고 처리 데이터만을 하드디스크에 기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처리된 이미지 데이터를 다시 취하려 할 때에는 해당하는 프레임을 가지는 현상된 필름스트립(8a)의 필름 카트리지(8)가 고선명도 이미지 데이터를 다시 얻고자 필름 스캐너(72) 안에 설치되고, 이미지 데이터는 하드디스크에 기억된 처리 데이터를 사용함으로써 처리된다.
도 8에 도시된 이미지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퍼스널 컴퓨터(73) 뿐만 아니라 스틸 카메라(1)는 많은 용량의 메모리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스틸 카메라(1)는 색인 이미지들을 위한 미완성 이미지 데이터를 프레임 ID 데이터와 함께 기억할 뿐이기 때문이다. 이는 소형의 크기 및 비용면에서 이롭다.
현상된 필름스트립(8a)의 프레임들을 스캐닝하기 위해 라인 이미지 센서를 스틸 카메라(1) 안에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스틸 카메라(1)는 커넥터(15)를 통해 퍼스널 컴퓨터(73)에 연결되어, 내장 메모리(48)에 기억된 미완성 이미지 데이터가 퍼스널 컴퓨터(73)의 하드디스크에 전송된다. 그리고 나서 스틸 카메라(1)의 라인 이미지 센서는 스캐닝 상태에서 작동된다.
위에서 언급한 실시예들은 IX240형 필름 카트리지를 위한 스틸 카메라에 관한 것임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은 IX240형에 국한하는 것이 아니라, 고유한 ID 코드를 소유하거나 현상된 필름스트립을 롤의 형태로 포함하는 필름 카트리지라면 어떠한 형에도 적용될 수 있다. 현상된 필름스트립에 광학 ID 코드들 및 프레임 번호들이 구비되거나, 각각의 프레임들과 연관시켜 자기 프레임 ID 데이터가 그 위에 구비된다면, 현상된 필름스트립을 항상 컨테이너 안으로 감을 필요가 없다.
또한 각각의 프레임의 데이터, 즉, 프레임 ID 데이터, 포토 데이터 및 프린트 선택 데이터를 필름스트립의 자기 기록 층에 기록하는 대신에 이것을 필름 카트리지의 컨테이너 안에 결합되는 IC메모리에 기억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필름스트립이 자기 기록 층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게다가 메모리를 필름 카트리지(8)의 컨테이너 안으로 결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이미지 데이터 및 내장 메모리(48)로부터 판독된 다른 데이터가 필름 카트리지(8) 안에서 이용 가능한 모든 노출의 완성 후 컨테이터의 메모리에 기록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필름스트립(8a)은 고선명도 이미지의 순차적 데이터 파일 또는 메모리로서 기능하며, 컨테이너(8b)의 메모리는 미완성 이미지 데이터 및 다른 추가 데이터를 기억하는 색인 이미지 메모리로서 기능한다. 이미지 데이터 파일 및 색인 이미지 메모리는 일체, 즉 필름 카트리지(8)로 통합되기 때문에, 시스템은 매우 효과적이며 취급하기 용이하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ID 코드를 생략할 수 있다.
동시에, LCD 모니터(12)는 컬러 LCD 패널(panel) 및 컬러 LCD 패널을 백라이트로 조명하기 위한 형광원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LCD 모니터(12)는 일정량의 전력을 소모한다. LCD 모니터를 가지는 전통적인 디지털 스틸 카메라는 평균 두 시간 정도에 네 개의 AA-형 알칼리 건전지를 소모한다. 은염 필름에 촬영을 하기 위한 카메라는 또한 필름을 감고, 자동 노출 조절 및 자동 초점을 맞추는 데 전력을 소모하기 때문에, LCD 모니터(12) 뿐만 아니라 필름-포토 기능부 및 디지털 영상 기능부가 구비되는 스틸 카메라(1)는 보다 단시간에 건전지를 소모한다. 촬영자는 여분의 건전지를 준비하지 않은 경우에는 셔터를 누를 기회를 놓칠 수 있다.
JPA4-184484는 LCD 뷰파인더의 백라이트가 촬영 전에 한정 시간 동안만 켜짐으로써 전력소모를 줄이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 또는 전자 스틸 카메라를 기재한다. 카메라의 촬영 모드는 예를 들어 셔터 스피드 우선 모드, 조리개 우선 모드, 수동 모드 등 중에서 변형된다. 하지만 작동상태에서 대기상태로의 전환시간 또는 모드 변화 스위치의 작용시간으로부터 한정시간동안 백라이트를 작동시키는 데에는 문제점이 있다. 즉, 백라이트 작동시간이 지나치게 짧을 경우, LCD 뷰파인더가 자주 꺼지며, 촬영자가 셔터를 누를 기회를 놓치기 쉽다. 백라이트 작동시간이 지나치게 길 경우에는 전력 소모를 줄이는 데 효과적일 수 없다.
도 9에 도시된 스틸 카메라(80)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만들어진 것이다. 스틸 카메라(8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경(83) 및 반경(半鏡)(84)을 통해 뷰파인더 광학 시스템(38)에 광학적으로 연결되는 접안렌즈(82)를 구비한다. 이로 인해 촬영자는 LCD 모니터(12)에 추가해서 접안렌즈(82) 안을 들여다봄으로써 촬영 필드를 볼 수 있다.
건전지(81)는 뒷 덮개(16)를 통해 카메라 본체(2) 안에 장착된다. 건전지 검사기(85)는 이미지 센서(39) 및 LCD모니터(12)와 같은 디지털 영상에 필요한 구성요소를 구동하는 데 필요한 최소 전압 V1을 가지는 건전지(81)의 전압 V를 검사하기 위해 필름-포토 제어기(20)에 연결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압 V가 기준 전압 V1으로 떨어질 경우에는 건전지 경고, 예를 들어 건전지를 나타내는 깜박이 신호가 제한시간, 예를 들어 10초 동안 LCD 모니터(12)에 디스플레이되고, 그 다음에 LCD 모니터(12) 및 이미지 센서(39)로의 전력공급이 차단된다.
한편, 은염 필름에 촬영하는 데 필요한 필름-포토 구성요소는 LCD 모니터(12) 및 이미지 센서(39)와 비교해서 전력을 적게 소비하기 때문에, 필름-포토 구성요소는 전압 V가 기준 전압 V1 아래로 흐름에도 불구하고 작동할 수 있다. 접안렌즈(82)가 있기 때문에, LCD 모니터(12)가 꺼짐에도 불구하고 필름-촬영을 계속할 수 있다. 물론 필름-포토 구성요소를 위한 전력원이 디지털 영상 구성요소와 분리되어 구비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접안렌즈(82)를 통해 촬영필드를 언제라도 볼 수 있다.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뷰파인더 광학 시스템(90)은 LCD 모니터 시스템 및 광학 뷰파인더 시스템 사이에서 변형될 수 있다. 뷰파인더 광학 시스템(90)은 한 쌍의 프리즘(91 및 92)로 이루어지고, 이중 하나는 고정되고, 다른 하나는 뷰파인더 광학축의 안팎으로 이동 가능하다. 이동 프리즘(92)이 도 12a에 도시된 것처럼 광학축의 바깥에 있을 경우 피사체의 이미지는 고정 프리즘을 통해 영상 센서(39)에 형성되기 때문에, 피사체 이미지가 LCD 모니터에 디스플레이된다. 프리즘(92)이 도 12b에 도시된 것처럼 뷰파인더 광학축 안에 삽입될 경우에는 피사체의 이미지가 접안렌즈(82)를 향하기 때문에, 촬영자가 접안렌즈(82)를 통해 볼 수 있다.
전력원 전압이 미리 설정된 수준이하일 때 프리즘(92)은 자동 또는 언제라도 수동으로 이동될 수 있다. 광학 뷰파인더 및 이미지 센서를 위한 광학 시스템들을 분리하여 구비할 수 있다. 물론 광학 뷰파인더 및 LCD 뷰파인더간의 전환에 따라 스틸 카메라(80)는 거의 필름-포토 카메라로서 기능하는 필름-포토 상태 및 거의 디지털 카메라로서 기능하는 디지털 영상 상태로 번갈아 전환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는 필름-포토 기능부 및 디지털 영상 기능부 모두를 가지는 스틸 카메라(80) 뿐만 아니라 LCD 뷰파인더를 가지는 카메라라면 어떤 형태의 카메라에도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에게는 첨부되는 청구항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형들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스틸 카메라에 의하면 고화질 이미지를 포토 필름에 촬영할 수 있으며, 동시에 이미지의 질은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이미지 데이터 파일용 대용량의 메모리를 가지지 않는 주변 장치에서 용이하게 포토 이미지들의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틸 카메라에 의하면 이미지들을 포토 필름스트립에 촬영할 수 있고, 각각 개별적으로 촬영된 이미지 프레임과 관련된 데이터를 개별 이미지 프레임의 이미지 데이터와 함께 기록 수단으로 기록할 수 있으며, 노출 또는 현상 후 프린트 선택 데이터를 이미지 프레임에 할당하거나 이를 수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틸 카메라의 입체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스틸 카메라의 입체 후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카메라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의 카메라의 작동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5a, 5b 및 5c는 촬영 전에 LCD상의 프린트 선택 데이터를 선택하기 위한 작동을 나타내는 설명도들이다.
도 6은 도 1의 카메라의 내장 메모리의 메모리 지도 개념도이다.
도 7a는 촬영 후 내장 메모리에 기억된 이미지 데이터, 포토 데이터 및 프린트 선택 데이터를 LCD에서 확인하는 작동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7b 및 도 7c는 촬영 후 LCD에서 프린트 선택 데이터를 재검사하는 작동을 나타내는 설명도들이다.
도 7d는 프린트 선택 데이터의 수정 후 LCD에 디스플레이의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8은 도 1의 스틸 카메라를 포함하는 이미지 처리 시스템의 도식화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스틸 카메라 후면의 입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스틸 카메라의 블록도이다.
도 11은 도 9의 스틸 카메라의 작동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도 9의 스틸 카메라의 뷰파인더 렌즈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설명도들이다.

Claims (18)

  1. 포토 필름스트립 또는 내부에 장착된 상기 포토 필름스트립의 컨테이너로부터 ID 코드를 판독하는 판독수단,
    피사체로부터 아날로그 이미지 신호를 광전자식으로 포착하는 촬상장치,
    상기 아날로그 이미지 신호를 디지털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하는 이미지 처리수단,
    상기 디지털 이미지 데이터에 따라 상기 피사체의 영상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한 번의 셔터 릴리스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피사체의 이미지 프레임을 상기 포토 필름스트립에 촬영하는 촬영수단,
    상기 필름스트립에 촬영된 상기 이미지 프레임의 프레임 일련번호를 결정하는 프레임 번호 결정수단,
    하나의 프레임의 상기 디지털 이미지 데이터를 각각의 셔터 릴리스 조작과 동시에 메모리에 기록하는 데이터 기록수단, 그리고
    지정된 이미지 프레임에 할당되는 선택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하면서, 상기 지정된 이미지 프레임의 촬영 전 또는 후에 입력하는 수동식 데이터 입력 수단
    을 포함하는 스틸 카메라로서,
    상기 데이터 기록수단은 상기 촬영된 프레임과 관련된 부가 데이터를 해당 프레임의 상기 이미지 데이터와 연관시켜 상기 메모리에 기록하고, 상기 부가 데이터는 상기 필름스트립의 상기 ID 코드와 상기 촬영된 이미지 프레임의 상기 프레임 번호를 포함하며,
    상기 선택 데이터는 촬영 전에는 상기 피사체의 상기 영상 이미지와 결합하여 디스플레이될 수 있거나 촬영 후에는 재생 모드에서 상기 지정된 이미지 프레임의 스틸 이미지와 결합하여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며, 상기 선택 데이터는 촬영 후 상기 지정된 이미지 프레임의 상기 이미지 데이터와 연관시켜 상기 메모리에 기록하는
    스틸 카메라.
  2. 제1항에서,
    상기 메모리는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을 촬영할 수 있는 최소한 하나의 필름스트립의 이미지 데이터와 부가 데이터를 기억하기에 충분한 용량을 가지는 스틸 카메라.
  3. 제2항에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스틸 카메라의 내장 메모리, 상기 스틸 카메라에 부착할 수 있는 카드형 메모리, 또는 상기 필름스트립의 컨테이너 안에 결합된 메모리인 스틸 카메라.
  4. 제3항에서,
    상기 메모리에 기록된 상기 데이터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필름스트립에 촬영된 상기 이미지 프레임의 스틸 이미지를 상기 촬영된 이미지 프레임의 상기 프레임 번호와 함께 디스플레이하는 재생 모드에서 작동할 수 있는 스틸 카메라.
  5. 제4항에서,
    커넥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를 통하여 주변 장치에 접속되어, 상기 필름스트립에 촬영된 상기 이미지 프레임들 중 최소한 하나의 이미지 프레임의 스틸 이미지를 상기 ID 코드 및 상기 프레임 번호와 함께 외부 모니터에 디스플레이를 하거나 상기 촬영된 이미지 프레임들 중 최소한 하나의 이미지 프레임의 하드 카피를 만들기 위하여, 상기 메모리에 기록된 상기 데이터를 상기 주변 장치의 제2 메모리로 전송할 수 있는
    스틸 카메라.
  6. 제4항에서,
    상기 재생 모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상의 상기 선택 데이터를 관찰하면서 상기 수동식 데이터 입력 수단을 조작함으로써 상기 메모리에 기록된 상기 선택 데이터를 수정할 수 있는 스틸 카메라.
  7. 제1항에서,
    최소한 접안렌즈 및 대물렌즈를 포함하는 광학 시스템으로 이루어지는 광학 뷰파인더를 더 포함하는 스틸 카메라.
  8. 제7항에서,
    상기 광학 뷰파인더는 상기 피사체의 상기 영상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선택적으로 이용되는 스틸 카메라.
  9. 제7항에서,
    상기 스틸 카메라의 전원으로부터의 공급 전압을 기준 전압과 비교하여 상기 공급 전압이 상기 기준 전압 미만이면 상기 촬상장치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력 공급을 중단하는 검사 수단을 더 포함하는 스틸 카메라.
  10. 포토 필름스트립 또는 내부에 장착된 상기 포토 필름스트립의 컨테이너로부터 ID 코드를 판독하는 판독수단,
    피사체로부터 아날로그 이미지 신호를 광전자식으로 포착하는 촬상장치,
    상기 아날로그 이미지 신호를 디지털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하는 이미지 처리수단,
    상기 디지털 이미지 데이터에 따라 상기 피사체의 영상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한 번의 셔터 릴리스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피사체의 이미지 프레임을 상기 포토 필름스트립에 촬영하는 촬영수단,
    상기 필름스트립에 촬영된 상기 이미지 프레임의 프레임 일련번호를 결정하는 프레임 번호 결정수단,
    상기 필름스트립에 촬영된 각각의 이미지 프레임과 관련된 데이터를 상기 필름스트립에 구비된 자기 기록층에 기록하는 자기 기록 장치,
    상기 촬영된 프레임과 관련하여 상기 필름스트립의 ID 코드 및 상기 촬영된 이미지 프레임의 상기 프레임 번호를 포함하는 부가 데이터 및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기억하는 메모리,
    하나의 프레임의 상기 디지털 이미지 데이터를 각각의 셔터 릴리스 조작과 동시에 상기 메모리에 기록하고, 상기 부가 데이터, 그리고 상기 해당 프레임의 상기 이미지 데이터와 관련하여 상기 메모리의 상기 자기 기록 층에 기록된 상기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기록하는 데이터 기록수단, 그리고
    지정된 이미지 프레임에 할당되는 선택 데이터를 상기 지정된 이미지 프레임의 촬영 전 또는 후에 입력하는 수동식 데이터 입력 수단
    을 포함하는 스틸 카메라로서,
    상기 선택 데이터는 상기 지정된 이미지 프레임과 연관시켜 상기 자기 기록장치에 의하여 상기 자기 기록층에 기록하고, 상기 지정된 이미지 프레임의 상기 이미지 데이터와 연관시켜 상기 데이터 기록 수단에 의하여 상기 메모리에 기록하는
    스틸 카메라.
  11. 제10항에서,
    상기 메모리는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을 촬영할 수 있는 최소한 하나의 필름스트립의 이미지 데이터와 부가 데이터를 기억하기에 충분한 용량을 가지는 스틸 카메라.
  12. 제11항에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스틸 카메라의 내장 메모리, 상기 스틸 카메라에 부착할 수 있는 카드형 메모리, 또는 상기 필름스트립의 컨테이너 안에 결합된 IC 메모리인 스틸 카메라.
  13. 제12항에서,
    상기 선택 데이터는 촬영 전에는 상기 피사체의 상기 영상 이미지와 결합하여 디스플레이될 수 있거나 촬영 후에는 상기 메모리에 기록된 상기 데이터에 따라 상기 지정된 이미지 프레임의 스틸 이미지와 결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상기 선택 데이터를 관찰하면서 상기 수동식 데이터 입력 수단을 조작함으로써 상기 선택 데이터를 수정할 수 있으며, 상기 수정된 선택 데이터는 상기 자기 기록층 및 상기 메모리에 재기록되는 스틸 카메라.
  14. 제13항에서,
    상기 자기 기록 장치에 의해 기록된 데이터가 노출값 및 각각의 이미지 프레임의 촬영 날짜를 나타내는 포토 데이터를 포함하는 스틸 카메라.
  15. 제13항에서,
    상기 컨테이너는 상기 컨테이너 안으로 상기 필름스트립을 완전히 감은 후 풀리는 방향으로 스풀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컨테이너 밖으로 상기 포토 필름스트립이 전진하는 것을 허용하고, 상기 스틸 카메라는 상기 컨테이너의 스풀을 풀리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필름 수송 수단을 더 포함하는 스틸 카메라.
  16. 제15항에서,
    상기 컨테이너가 현상된 포토 필름스트립을 가지고 있고 상기 판독 수단에 의해 판독된 상기 ID 코드가 상기 메모리에 기억된 상기 ID 코드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메모리에 기록된 데이터에 따라 상기 현상된 포토 필름스트립의 이미지 프레임 중 최소한 하나의 이미지 프레임의 스틸 이미지를 상기 프레임번호 및 상기 선택 데이터와 함께 디스플레이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상기 선택 데이터를 관찰하면서 상기 수동식 데이터 입력 수단을 조작함으로써 상기 선택 데이터를 수정할 수 있으며, 상기 수정된 선택 데이터는 상기 자기 기록 층 및 상기 메모리에 재기록되는 스틸 카메라.
  17. 피사체로부터 아날로그 이미지 신호를 광전자식으로 포착하는 촬상 장치,
    상기 촬상 장치에 의해 포착된 상기 이미지 신호에 따라 상기 피사체의 영상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한 번의 셔터 릴리스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피사체의 이미지 프레임을 상기 포토 필름스트립에 촬영하는 촬영수단,
    최소한 접안렌즈 및 대물렌즈를 포함하는 광학 시스템으로 이루어지는 광학 뷰파인더, 그리고
    전원으로부터의 공급 전압을 기준 전압과 비교하여 상기 공급 전압이 상기 기준 전압 미만이면 상기 촬상 장치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력 공급을 중단하는 검사 수단
    을 포함하는 스틸 카메라로서,
    상기 촬상 장치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력 공급이 중단되어도 상기 촬영 수단 및 상기 광학 시스템은 상기 피사체의 상기 이미지 프레임을 촬영할 수 있는
    스틸 카메라.
  18. 제17항에서,
    상기 광학 뷰파인더의 상기 광학 시스템은 상기 피사체의 이미지를 상기 촬상 장치에 형성하는 광학 시스템으로서 부분적으로 이용되는 스틸 카메라.
KR1019970074813A 1996-12-26 1997-12-26 스틸카메라 Expired - Fee Related KR1004906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346851 1996-12-26
JP8346851A JPH10186502A (ja) 1996-12-26 1996-12-26 スチルカメラ
JP97-43860 1997-02-27
JP9043860A JPH10239764A (ja) 1997-02-27 1997-02-27 スチルカメラ
JP9043859A JPH10239749A (ja) 1997-02-27 1997-02-27 スチルカメラ
JP97-43859 1997-02-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4724A KR19980064724A (ko) 1998-10-07
KR100490607B1 true KR100490607B1 (ko) 2005-09-14

Family

ID=27291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4813A Expired - Fee Related KR100490607B1 (ko) 1996-12-26 1997-12-26 스틸카메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966553A (ko)
EP (1) EP0851274B1 (ko)
KR (1) KR100490607B1 (ko)
DE (1) DE69724570T2 (ko)
TW (1) TW35241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07983B (en) * 1995-12-06 1998-04-29 Laurie Mullaney Associates Lim Test equipment for colour printing
JP3832089B2 (ja) * 1997-05-26 2006-10-1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デジタルカメラおよび印刷システム
US6786420B1 (en) 1997-07-15 2004-09-07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Data distribution mechanism in the form of ink dots on cards
US6519046B1 (en) * 1997-03-17 2003-02-11 Fuji Photo Film Co., Ltd. Printing method and system for making a print from a photo picture frame and a graphic image written by a user
JPH10334212A (ja) * 1997-04-01 1998-12-18 Fuji Photo Film Co Ltd 付加情報付き画像ファイルからの画像プリントシステム
JP3717661B2 (ja) * 1997-05-07 2005-11-16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画像処理システ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US6085048A (en) * 1997-06-11 2000-07-04 Konica Corporation Silver halide camera equipped with electronic viewfinder
JPH114375A (ja) * 1997-06-13 1999-01-06 Olympus Optical Co Ltd 電子的撮像装置
JPH1132295A (ja) * 1997-07-09 1999-02-02 Olympus Optical Co Ltd デジタルカラープリンタ、デジタルカメラ及びそれらを用いたデジタルカラープリントシステム
US6618117B2 (en) 1997-07-12 2003-09-09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Image sensing apparatus including a microcontroller
JP3786242B2 (ja) * 1997-07-14 2006-06-14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画像処理方法および装置、画像再生方法および装置並びにその方法に使用する画像確認装置
US6624848B1 (en) 1997-07-15 2003-09-23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Cascading image modification using multiple digital cameras incorporating image processing
AUPO850597A0 (en) 1997-08-11 1997-09-04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Imag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art01a)
US7110024B1 (en) 1997-07-15 2006-09-19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Digital camera system having motion deblurring means
AUPO802797A0 (en) 1997-07-15 1997-08-07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Imag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ART54)
US6879341B1 (en) 1997-07-15 2005-04-12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Digital camera system containing a VLIW vector processor
US6690419B1 (en) 1997-07-15 2004-02-10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Utilising eye detection methods for image processing in a digital image camera
US6985207B2 (en) 1997-07-15 2006-01-10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Photographic prints having magnetically recordable media
US7551201B2 (en) 1997-07-15 2009-06-23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Image capture and processing device for a print on demand digital camera system
JPH1188730A (ja) * 1997-09-09 1999-03-30 Olympus Optical Co Ltd 電子カメラ
US6249649B1 (en) * 1997-12-16 2001-06-19 Canon Kabushiki Kaisha Apparatus having a film-cartridge-ID confirming function
US7046286B1 (en) * 1997-12-24 2006-05-16 Canon Kabushiki Kaisha Video camera
JP4493106B2 (ja) * 1997-12-26 2010-06-3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デジタルカメラ
JP3752825B2 (ja) * 1998-02-26 2006-03-08 村田機械株式会社 ファクシミリサーバ装置
US7170632B1 (en) 1998-05-20 2007-01-30 Fuji Photo Film Co., Ltd. Image reproducing method and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and photographing support system
JPH11341258A (ja) * 1998-05-28 1999-12-10 Toshiba Corp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JPH11344759A (ja) * 1998-06-02 1999-12-14 Asahi Optical Co Ltd 表示動作制御装置
US6819357B1 (en) * 1998-08-05 2004-11-16 Pentax Corporation Camera having a zoom lens
AUPP702098A0 (en) 1998-11-09 1998-12-03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Image creation method and apparatus (ART73)
US6954280B1 (en) * 1998-10-13 2005-10-11 Canon Kabushika Kaisha Image communicatio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JP2000122119A (ja) * 1998-10-19 2000-04-28 Olympus Optical Co Ltd カメラ
JP3805116B2 (ja) * 1998-11-27 2006-08-02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及びデジタルカメラ
US6192193B1 (en) 1998-12-28 2001-02-20 Eastman Kodak Company Method for storing exposure dependent and exposure independent information related to a photographic film unit
US6104877A (en) * 1998-12-28 2000-08-15 Eastman Kodak Company Method for compensating for film unit defects and system
US6275656B1 (en) 1998-12-28 2001-08-14 Eastman Kodak Company Method for associating a film unit and a one-time use camera
US6147744A (en) * 1998-12-28 2000-11-14 Eastman Kodak Company Method for archiving film unit information
US6185371B1 (en) 1998-12-28 2001-02-06 Eastman Kodak Company Photofinishing method, photofinishing apparatus, and system
US6222993B1 (en) 1998-12-28 2001-04-24 Eastman Kodak Company Image capture package secure database access method
US6272287B1 (en) * 1998-12-28 2001-08-07 Eastman Kodak Company Method for handling film customization data and system
US6240251B1 (en) 1998-12-28 2001-05-29 Eastman Kodak Company Film unit, method for enabling secure customization of a film unit, and system
US6201931B1 (en) 1998-12-28 2001-03-13 Eastman Kodak Company Method for handling user and producer film unit customization data and system
US6144807A (en) * 1998-12-28 2000-11-07 Eastman Kodak Company Method for keeping photographic film current
US6778216B1 (en) 1999-03-25 2004-08-17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digital camera real-time image correction in preview mode
JP2000307938A (ja) * 1999-03-25 2000-11-02 Texas Instr Inc <Ti> カメラにおける画像を予見する方法及びディジタルカメラ
AUPQ056099A0 (en) * 1999-05-25 1999-06-17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A method and apparatus (pprint01)
JP2001125166A (ja) * 1999-10-26 2001-05-11 Nidec Copal Corp シャッタ制御装置
US7145597B1 (en) * 1999-10-28 2006-12-05 Fuji Photo Film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image processing
JP2001147493A (ja) * 1999-11-19 2001-05-29 Fuji Photo Film Co Ltd カメラ
JP2001268404A (ja) * 2000-03-15 2001-09-28 Asahi Optical Co Ltd 液晶ディスプレイを備えたカメラ
US9622058B1 (en) 2000-06-02 2017-04-11 Timothy G. Newman Apparatus, system, methods and network for communicating information associated with digital images
US7978219B1 (en) 2000-08-30 2011-07-12 Kevin Reid Imes Device, network, server, and methods for providing digital images and associated processing information
US8326352B1 (en) 2000-09-06 2012-12-04 Kevin Reid Imes Device, network, server, and methods for providing service requests for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JP2002108869A (ja) * 2000-09-29 2002-04-12 Minolta Co Ltd 画像管理システム、画像管理装置および画像管理方法
US6553187B2 (en) * 2000-12-15 2003-04-22 Michael J Jones Analog/digital camera and method
TW569016B (en) * 2001-01-29 2004-01-01 Semiconductor Energy Lab Light emitting device
US20030043282A1 (en) * 2001-09-04 2003-03-06 Eastman Kodak Company Camera having selective image exclusion from first in-first out electronic image overwriting and method
US7015957B2 (en) * 2001-09-04 2006-03-21 Eastman Kodak Company Camera that downloads electronic images having metadata identifying images previously excluded from first in-first out overwriting and method
US7023477B2 (en) * 2001-09-04 2006-04-04 Eastman Kodak Company Camera having electronic images corresponding to current film images automatically excluded from first in-first out overwriting and method
US6501911B1 (en) 2001-10-12 2002-12-31 Eastman Kodak Company Hybrid cameras that download electronic images with reduced metadata and methods
US6505003B1 (en) 2001-10-12 2003-01-07 Eastman Kodak Company Hybrid cameras that revise stored electronic image metadata at film unit removal and methods
US7023478B2 (en) * 2001-10-12 2006-04-04 Eastman Kodak Company Hybrid cameras having electronic image conversion to selected geometric formats and methods
US6496655B1 (en) 2001-10-12 2002-12-17 Eastman Kodak Company Hybrid cameras having optional irreversible clearance of electronic images with film unit removal and methods
US7015958B2 (en) * 2001-10-12 2006-03-21 Eastman Xodak Company Cameras having film unit dependent demonstration mode image deletion and methods
US7015941B2 (en) * 2001-10-12 2006-03-21 Malloy Desormeaux Stephen G Hybrid cameras that download electronic images in selected geometric formats and methods
WO2003058951A1 (de) * 2001-12-30 2003-07-17 P + S Technik Gmbh Videokamera-einheit
US6978052B2 (en) * 2002-01-28 2005-12-2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Alignment of images for stitching
US7095442B2 (en) * 2002-01-31 2006-08-2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ethod and apparatus for capturing an image
US20040001150A1 (en) * 2002-06-27 2004-01-01 Eastman Kodak Company Imaging apparatus having automatic medium identification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identifying a medium in an imaging apparatus
KR20040032724A (ko) * 2002-10-09 2004-04-1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스틸 카메라 일체형 디지털 캠코더
US7561793B2 (en) * 2002-11-12 2009-07-14 Eastman Kodak Company User interface for controlling cropping in electronic camera
US6907194B2 (en) 2002-11-12 2005-06-14 Eastman Kodak Company Camera having continuously cropping viewfinder
US7006764B2 (en) * 2002-11-12 2006-02-28 Eastman Kodak Company User interface for controlling cropping in electronic camera
US6795650B2 (en) 2002-12-12 2004-09-21 Eastman Kodak Company Camera having shared optics for optical viewfinding and for electronic capture and display
US7528868B2 (en) * 2003-12-18 2009-05-05 Eastman Kodak Company Image metadata attachment
DE102004004806B4 (de) * 2004-01-30 2012-04-19 Arnold & Richter Cine Technik Gmbh & Co. Betriebs Kg Elektronische Laufbildkamera
JP4280652B2 (ja) * 2004-02-04 2009-06-17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ファインダを有する撮像装置
US8659619B2 (en) 2004-03-26 2014-02-25 Intellectual Ventures Fund 83 Llc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etermining an area of importance in an original image
US7624861B2 (en) * 2004-10-14 2009-12-01 Autotronic Plastics, Inc. Benefit denial system for securing an asset within a container and method of use
JP4478599B2 (ja) * 2005-03-22 2010-06-09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US7310046B2 (en) * 2005-11-01 2007-12-18 Gyco, Inc. Method for eliminating reading errors in a non-contact microwave solids flow meter
JP4836902B2 (ja) * 2007-09-06 2011-12-14 三洋電機株式会社 デジタルカメラ
JP2019091218A (ja) * 2017-11-14 2019-06-13 株式会社東芝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端末装置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6509U (ko) * 1978-07-13 1980-02-01
JPH01150124A (ja) * 1987-12-08 1989-06-13 Fuji Photo Film Co Ltd 二重露光装置
JPH04184484A (ja) * 1990-11-20 1992-07-01 Sony Corp 電子スチルカメラ
JPH05289165A (ja) * 1992-04-15 1993-11-05 Ricoh Co Ltd 撮影情報記録可能なカメラ及び撮影画像処理装置
JPH063749A (ja) * 1992-06-18 1994-01-14 Olympus Optical Co Ltd カメラシステム
JPH0627550A (ja) * 1992-07-06 1994-02-04 Olympus Optical Co Ltd フィルムへの情報入力装置およびビデオ撮影装置
JPH07230120A (ja) * 1994-02-17 1995-08-29 Olympus Optical Co Ltd カメラシステム
JPH07295058A (ja) * 1994-04-25 1995-11-10 Nikon Corp カメラ
JPH08271976A (ja) * 1995-03-29 1996-10-18 Canon Inc カメラ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59577A (ja) * 1986-01-08 1987-07-15 Asahi Optical Co Ltd 電子スチル・カメラ・ユニツト
US4841359A (en) * 1986-03-18 1989-06-20 Bryna Pty. Ltd. Photographic apparatus for making simultaneous exposures
US4738526A (en) * 1986-11-21 1988-04-19 Autostudio Corporation Auto-portrait photo studio
US4814811A (en) * 1986-12-05 1989-03-21 Minolta Camera Kabushiki Kaisha Still camera system
KR930004317Y1 (ko) * 1989-04-29 1993-07-10 주식회사 금성사 광학식 · 전자식 겸용 뷰파인더
JPH048993A (ja) * 1990-04-24 1992-01-13 Mitsubishi Plastics Ind Ltd リブ付合成樹脂管の分岐管継手
DE4340682A1 (de) * 1993-11-30 1995-06-01 Mueller Wolfgang Dipl Ing Th Aufzeichnungsvorrichtung von Bildpunkten, die den abzubildenden Gegenstand wahlweise oder gleichzeitig auf verschiedene Aufzeichnungsträger abspeichern kann
US5561458A (en) * 1994-01-28 1996-10-01 Polaroid Corporation Electronic imaging module for reversibly converting a photographic camera into an electronic imaging camera
US5710954A (en) * 1994-02-17 1998-01-20 Olympus Optical Co., Ltd. Camera system having function for photographing image linked to electronic image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6509U (ko) * 1978-07-13 1980-02-01
JPH01150124A (ja) * 1987-12-08 1989-06-13 Fuji Photo Film Co Ltd 二重露光装置
JPH04184484A (ja) * 1990-11-20 1992-07-01 Sony Corp 電子スチルカメラ
JPH05289165A (ja) * 1992-04-15 1993-11-05 Ricoh Co Ltd 撮影情報記録可能なカメラ及び撮影画像処理装置
JPH063749A (ja) * 1992-06-18 1994-01-14 Olympus Optical Co Ltd カメラシステム
JPH0627550A (ja) * 1992-07-06 1994-02-04 Olympus Optical Co Ltd フィルムへの情報入力装置およびビデオ撮影装置
JPH07230120A (ja) * 1994-02-17 1995-08-29 Olympus Optical Co Ltd カメラシステム
JPH07295058A (ja) * 1994-04-25 1995-11-10 Nikon Corp カメラ
JPH08271976A (ja) * 1995-03-29 1996-10-18 Canon Inc カメ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851274A1 (en) 1998-07-01
DE69724570T2 (de) 2004-07-08
EP0851274B1 (en) 2003-09-03
KR19980064724A (ko) 1998-10-07
US5966553A (en) 1999-10-12
DE69724570D1 (de) 2003-10-09
TW352415B (en) 1999-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0607B1 (ko) 스틸카메라
US6943841B2 (en) Digital camera having display controllers and designating unit and method of controlling operation
US6989858B2 (en) Photographic system for recording data and reproducing images using correlation data between frames
US6963359B1 (en) Electronic still camera, instant printer and instant film
JPH10243336A (ja) 最後に撮影した画像を迅速に閲覧する装置が組み込まれた電子カメラ
JP2000196980A (ja) 携帯型プリンタ及びカメラ
US5950031A (en) Combined film and digital camera having display
EP1079267A1 (en) Instant printer, printing method using the same, combination printer/electronic still camera system
JPH07287288A (ja) カメラシステムおよび画像ファイルシステム
JP3956431B2 (ja) 合成写真機能付き電子カメラ
US6055381A (en) Silver film camera capable of displaying an electronically picked-up image
KR100310371B1 (ko) 사진 촬영 방법 및 사진 촬영 시스템
US6496658B2 (en) Image output apparatus and camera
JP2001174900A (ja) カメラ、画像プリント装置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00196954A (ja) 写真フィルム画像識別装置及びカメラ
JPH11258657A (ja) カメラ
JP4460744B2 (ja) デジタルカメラ
JPH11344759A (ja) 表示動作制御装置
JP2004072146A (ja) 記録材料及び撮影装置
JP4400942B2 (ja) 記録媒体並びに電子カメラ及びその処理方法
EP0543180A1 (en) Camera system with latent and digital image capture
JPH10239764A (ja) スチルカメラ
JPH10186502A (ja) スチルカメラ
JP2000092372A (ja) 電子スチルカメラ
JP2002191003A (ja) 撮像した画像をプリントするプリンタと組み合わせて使用可能な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並びにその制御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122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2122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7122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03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5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505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4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24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4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