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83974B1 - 장식판또는장식쉬트용폴리에스테르필름 - Google Patents

장식판또는장식쉬트용폴리에스테르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3974B1
KR100483974B1 KR10-1998-0014300A KR19980014300A KR100483974B1 KR 100483974 B1 KR100483974 B1 KR 100483974B1 KR 19980014300 A KR19980014300 A KR 19980014300A KR 100483974 B1 KR100483974 B1 KR 1004839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ester film
layer
polyester
decorative
film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43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81604A (ko
Inventor
켄지 요시하라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 가가꾸 폴리에스테르 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2016697A external-priority patent/JP381584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6848197A external-priority patent/JPH1110816A/ja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 가가꾸 폴리에스테르 필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 가가꾸 폴리에스테르 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199800816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16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39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3974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4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 B44C5/0446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bearing graphical inform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14Printing or colouring
    • B32B38/145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4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 B44C5/043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containing wooden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67/00Polyesters, e.g. PET, i.e. polyethylene terephthala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S428/913Material designed to be responsive to temperature, light, mois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802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coating, impregnation or bond [e.g., artwork, printing, retouched photograph,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802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coating, impregnation or bond [e.g., artwork, printing, retouched photograph, etc.]
    • Y10T428/24851Intermediate layer is 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 Y10T428/24868Translucent outer lay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802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coating, impregnation or bond [e.g., artwork, printing, retouched photograph, etc.]
    • Y10T428/24893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coating, impregnation or bond [e.g., artwork, printing, retouched photograph, etc.] including particulate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802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coating, impregnation or bond [e.g., artwork, printing, retouched photograph, etc.]
    • Y10T428/24893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coating, impregnation or bond [e.g., artwork, printing, retouched photograph, etc.] including particulate material
    • Y10T428/24901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coating, impregnation or bond [e.g., artwork, printing, retouched photograph, etc.] including particulate material including coloring mat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5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including a second componen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particles
    • Y10T428/253Cellulosic [e.g., wood, paper, cork, rayon,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10T428/2843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including a primer lay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10T428/2848Three or more lay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551Of polyamidoester [polyurethane, polyisocyanate, polycarbamate, etc.]
    • Y10T428/31565Next to polyester [polyethylene terephthalate,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786Of polyester [e.g., alkyd,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786Of polyester [e.g., alkyd, etc.]
    • Y10T428/31797Next to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971Of carbohydrate
    • Y10T428/31975Of cellulosic next to another carbohydrate
    • Y10T428/31978Cellulosic next to another cellulosic
    • Y10T428/31982Wood or pap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층 및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층에 적층된 사진 인쇄층을 포함하며, 사진 인쇄층과 접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층 표면에서의 이동치가 0 내지 30인 장식쉬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장식판 또는 장식쉬트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본 발명은 장식판 또는 장식쉬트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사용된 "장식판"이란 용어는 통상 다양한 종류의 상업용 물품, 예컨대 가구, 건축 재료 및 가정용 기구의 기재면에 연속적으로 적층된 하나 이상의 필름층 및 사진 인쇄층을 포함하는 건축 재료(마감 재료)를 의미하며, 이 건축 재료는 독립된 상업용 물품으로 취급된다. "장식쉬트"는 사진 인쇄층을 가지며 기재면에 적층된 장식 재료(마감 재료)를 의미한다. 따라서, 장식판의 기재면에 형성된 필름층 및 사진 인쇄층은 장식쉬트를 구성하는 요소이다.
염화비닐 수지 쉬트는 장식판의 기재와 사진 인쇄층 사이에 위치하는 쉬트로서, 및 장식쉬트로 사용되는 쉬트(필름)로서 가장 널리 사용된다. 그러나, 상기 염화비닐 수지 쉬트를 실재로 사용하는 것은 몇몇 심각한 문제를 낳는다. 예컨대, 쉬트에 함유된 가소제는 적층면의 접착층으로 이동하여 계면에서 부적합하거나 또는 불완전한 접착을 야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염화비닐 수지 쉬트는 약한 열 치수 안정성 때문에 열 팽창 및 수축되기 쉬우며 저온 또는 고온 환경에 노출될 때 주름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염화비닐 수지 쉬트는 소각될 때 염소를 생성하며, 이의 폐기물은 산성비 및 다이옥신의 생성에 관여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그러므로, 특히 환경 보호의 관점에서 상기 문제를 낳는 염화비닐 수지 쉬트를 사용하지 않는 장식판 및 장식쉬트에 대한 개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장식판 및 장식쉬트가 마감 재료로 사용되기 때문에, 통상 정교하거나 미적 디자인 효과를 갖는 사진을 상기 표면에 도포한다. 따라서, 사진의 좋은 대비 또는 명암을 위하여 색조를 적절하게 조정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다양한 재료, 예컨대 통상 파아티클 보오드 및 철판은 장식판의 기재 또는 장식쉬트가 적층되는 기재에 사용되며, 이들 기재의 색조는 또한 동일한 재료로 제조될 지라도 다양하다. 따라서, 장식쉬트에 사용되는 쉬트 재료의 불투명도 또는 은폐도가 낮으면, 기재의 색조는 원래의 장식 효과를 망칠 정도로 장식쉬트 표면의 색조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적합한 불투명성을 갖는 장식쉬트(필름)는 다양한 농담의 기재에 널리 도포되는데 필요하다.
장식쉬트가 마감 재료로 사용되기 때문에, 목질 재료가 가구, 건축 재료, 가정용 기구 등에 바람직하다. 따라서, 목질감을 줄 수 있는 엷은 색조의 쉬트 재료가 장식쉬트에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장식판 또는 쉬트가 마감 재료로 사용되기 때문에, 상기 판 및 쉬트는 사용된 다양한 기타 물체와 접촉하거나 건드릴 가능성이 높다. 예컨대, 장식판 또는 쉬트가 가옥 건축시 문의 마감 재료로 사용되는 경우, 도구, 기계 부품 및 집 건축자의 소지품, 또는 방으로 운반되는 가구의 모서리와 자주 접촉되기 쉽다. 일상 생활에서도, 진공 청소기의 공기 흡입기의 모서리가 마감 재료에 자주 접촉한다. 이들 접촉은 종종 장식쉬트에 자국 또는 긁힘을 야기한다. 여기서, "자국"이란 용어는 접촉된 물체로부터 장식쉬트 표면으로 옮겨져서 장식쉬트의 원래의 그림과 구별되는 흔적을 의미한다. "긁힘"는 쉬트 사진과 조화되지 않는 쉬트 표면상의 불균일하거나 움푹 패인 자리를 만드는 손상을 의미한다. 불균일부의 빛 반사가 사진을 둘러싸는 부분과 다르기 때문에 상기 흔적은 눈에 띄게 된다. 상기 자국 및 긁힘은 모두 장식판 및 쉬트의 디자인 효과를 떨어뜨린다. 특히, 긁힘은 장식쉬트 표면을 손상시키는 심각한 문제를 야기하며, 이 문제는 쉬트를 교체하지 않고서는 해결될 수 없다. 따라서, 다른 물체와의 접촉 손상에 대한 내성이 있는 장식판 또는 쉬트가 요구된다.
사진 프린터에 있어서, 필름 장력을 조절하는 로울로부터 분리되어, 필름상에 인쇄된 사진이 건조 오븐과 접촉하지 않도록 로울이 제공된다. 따라서, 필름 표면의 색이 로울 표면에 전달되면 필름 표면의 색조가 바뀌며, 이는 색조를 조절하는 것을 어렵게 한다. 또한, 로울을 청소해야할 필요가 있다면 생산에 차질이 생긴다. 따라서, 장식판 또는 쉬트 공업에 있어서, 사진 프린터를 사용하여 생산할 때, 필름 표면의 색조 조절을 쉽게 하고 사진 프린터에서 로울 표면으로 색 전달도 방지할 필요가 있으며, 또 생산성이 외부 인자에 의해 저해되는 문제도 없다.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에 의한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우수한 특성으로 인해 많은 분야에서 사용된다. 그러나, 비록 일본 특허출원 공개 7-17005호에서 장식판의 마감재로서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용도를 제안하였고, 일본 특허출원 공개 5-116251호에서는 불투명 칼라 수지로 제조된 장식쉬트에 대한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도포를 제안하였지만, 기재와 사진 인쇄층 사이에 중간층으로서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사용하는 것은 아직 제안된 바 없으며, 이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사진 인쇄 과정에서 로울 표면으로의 색 전달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자의 연구 결과, 특정 이동치를 갖는 하나 이상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층과 사진 인쇄층을 포함하는 장식쉬트, 및 기재에 적층된 상기 쉬트를 포함하는 장식판의 제조에 있어서, 사진 프린터에서 필름 표면의 색이 로울 표면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특정 투과 밀도 및 색도를 갖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층을 포함하는 장식쉬트, 사진 인쇄층 및 특정 로크웰 경도를 갖는 표면 경화층, 및 기재에 적층된 상기 쉬트를 포함하는 장식판은 높은 디자인 품질 및 손상에 대한 높은 내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발견을 기초로 하여 이루어졌다.
요약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소각시 환경 문제를 야기하지 않고, 필름 표면의 색조 조절을 용이하게 하며, 사진 인쇄 과정에서 로울 표면으로의 색 전달을 방지할 수 있고, 또 생산성이 외부 인자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제조되는 장식판 또는 장식쉬트용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소각시 환경 문제를 야기하지 않고, 기재의 색조에 의한 영향없이 원래의 디자인 효과를 갖는 사진을 제공할 수 있으며, 다른 물체와의 접촉에 의해 쉽게 손상되지 않는 장식판 및 장식쉬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1 구체예에서 하나 이상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층 및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층에 적층된 사진 인쇄층을 포함하며, 사진 인쇄층과 접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층 표면에서의 이동치가 0 내지 30인 장식쉬트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2 구체예에서, 기재 표면에 다음 순서로 연속적으로 적층된 하나 이상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층 및 사진 인쇄층을 포함하며, 사진 인쇄층과 접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층 표면에서의 이동치가 0 내지 30인 장식판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3 구체예에서, 다음 순서로 연속적으로 적층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층, 사진 인쇄층 및 표면 경화층을 포함하며, 폴리에스테르 필름층의 투과 밀도가 0.1 내지 5.0이고, 색도 b값이 -5.0 이상이며, 또 상기 표면 경화층의 로크웰 경도가 40 내지 130인 장식쉬트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4 구체예에서, 기재 표면에 다음 순서로 연속적으로 적층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층, 사진 인쇄층 및 표면 경화층을 포함하며, 폴리에스테르 필름층의 투과 밀도가 0.1 내지 5.0이고, 색도 b값이 -5.0 이상이며, 또 상기 표면 경화층의 로크웰 경도가 40 내지 130인 장식판이 제공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을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폴리에스테르"라는 용어는 디카르복시산 및 디올 또는 히드록시카르복시산의 중축합에 의해 얻어진 에스테르기를 갖는 폴리에스테르를 의미한다.
상기 디카르복시산의 예로는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아디프산, 아젤라산, 세바스산, 2,6-나프탈렌디카르복시산 및 1,4-시클로헥산디카르복시산을 포함한다. 상기 디올의 예로는 에틸렌 글리콜, 1,4-부탄디올,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네오펜틸 글리콜,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포함한다. 히드록시카르복시산의 예로는 p-히드록시벤조산 및 6-히드록시-2-나프토산을 포함한다.
폴리에스테르의 전형적인 예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에틸렌-2,6-나프탈레이트이다. 본 발명에 사용된 폴리에스테르는 동종중합체 또는 제 3성분을 공중합시켜 얻은 공중합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및 제 2 구체예에 따른 장식쉬트 및 장식판을 하기에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 1 및 제 2 구체예에서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사진 프린터에서 로울 표면으로의 색 전달 가능성을 나타내는 변수인 이동치가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이동치는 0 내지 30, 바람직하게는 0 내지 20이다.
상술한 이동치는 하기 이동 실험에서 측정된 값이다. 50 내지 60중량부의 가소제를 함유하는 백색 폴리염화비닐 필름을 검사할 폴리에스테르 필름 위에 평행하게 놓고 180℃, 5kg/㎠의 압력하에서 1분 동안 열압착시킨다. 압착된 쉬트는 60℃, 90% RH로 설정된 온도- 및 습도-조절 체임버에서 5일 동안 경화시킨다. 경화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백색 폴리염화비닐 필름으로부터 분리시키고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박리부의 색조(L, a, b)를 시차 열량계로 측정한다. 각 색조의 색상 차이(ΔL, Δa, Δb)는 하기 수학식 (1) 내지 (3)을 통하여 측정하며, ΔL, Δa 및 Δb의 제곱의 합에 대한 제곱근을 계산한다(하기 수학식 (4)). 이렇게 계산된 값을 이동치로 정의한다(하기 수학식 (5)).
ΔL = L - L0
Δa = a - a0
Δb = b - b0
ΔE = (ΔL2 + Δa2 + Δb2)1/2
이동치 = ΔE
상기 수학식에서, L, a 및 b는 열압축 및 경화 후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박리부의 색조이며, L0, a0 및 b0는 열압축 및 경화 전 폴리에스테르 필름 표면의 색조이다.
이동치 0은 사진 프린터에서 로울 표면으로 폴리에스테르 필름 표면의 색 전달이 없슴을 의미한다.
이동치가 30을 초과하면, 폴리에스테르 필름 표면의 색이 로울 표면으로 현저하게 전달되며, 필름 표면의 색조는 불규칙적으로 변할 수 있으며, 이로써 사진 인쇄기의 로울을 청소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장식쉬트의 색조를 조절하기 어려우며 생산성도 또한 저하된다.
본 발명의 제 1 및 제 2 구체예에 있어서, 사진 인쇄층과 접촉하는 필름층의 적어도 한면에서 이동치가 0 내지 30이라야 한다. 반대면의 이동치는 구체화되지 않았지만, 예컨대 상기 0 내지 30의 범위일 수 있다. 필름 구조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단일층만 포함하거나 또는 두 개 이상의 층을 포함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필름 공정시 인쇄될 면에 특별한 주의를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양면의 이동치가 동일한 단일층 또는 두 종류의 3층을 포함하는 구조가 바람직하다.
필름의 색조를 조절하기 위하여, 제 1 및 제 2 구체예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바람직하게는 안료 및/또는 염료를 함유한다. 이동치는 필름에 함유된 안료 또는 염료가 다른 물체, 예컨대 사진 프린터의 로울 표면으로 전달되는 양이 늘어남에 따라 증가한다. 따라서, 예컨대 이동치를 조절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상기 방법은 잘 새어나오지 않는 안료 또는 염료를 사용하여 필름에 색조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며, 또는 상기 방법은 필름에 안료 또는 염료를 함유하지 않은 층을 적층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제 1 구체예에 따른 장식쉬트는 다양한 농담의 기재에 도포될 수 있다. 따라서, 장식쉬트의 색조가 디자인 품질을 유지하기 위하여 색조에 따라 변하지 않도록, 제 1 및 제 2 구체예에 사용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적합한 불투명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구체예에 사용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불투명도를 나타내는 인자로서 통상 0.1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4.0,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3.0의 투과 밀도를 갖는다.
상기 불투명성은 통상 필름에 무기 또는 유기 입자가 함유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상기 목적을 위해 사용가능한 입자 재료의 예로는 이산화티탄, 탄산칼슘, 황화바륨, 산화알루미늄, 이산화규소, 카아본 블랙, 산화철 및 산화크롬일 수 있다. 상기 투과 밀도가 충족되는 한 다른 재료도 사용할 수 있다.
필름에 불투명성을 부여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작은 밀폐된 셀을 함유하도록 하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방법은 예컨대, 폴리에스테르와는 상용되지 않는 소량의 폴리올레핀을 폴리에스테르에 첨가하고 나서 그림을 그리고 열경화시키거나, 또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함유된 불활성 기체를 갖도록 함으로써 실시된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투과 밀도가 0.1 미만인 경우, 기재의 색조는 장식쉬트 표면의 사진 색조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색조 조절이 어려울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투과 밀도가 5.0을 초과하는 경우, 필름 제조시 필름이 자주 깨지기 쉬우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기계적 강도가 낮아질 수 있다.
제 1 및 제 2 구체예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사용함으로써, 필름 색이 사진 프린터의 로울 표면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며, 이로써 기재의 농담의 영향을 배제할 수 있고 장식쉬트상에 온전한 디자인 효과를 갖는 표면 사진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구체예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상에 사진을 인쇄하여 얻은 장식쉬트를 기재 표면에 적층시킴으로써, 소위 단일층 마감 인쇄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장식쉬트는 건축 재료, 가구, 가정용 기구 등에 대한 도포에 있어서 특히 유용하다. 전면 인쇄 장식쉬트에 있어서, 사진 인쇄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위에 불투명 인쇄를 가한 후에 실시될 수 있으며, 또는 엠보싱은 사진 인쇄에 이어 상부 피복한 후 실시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구체예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우수한 불투명성을 가지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단일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갖는 장식쉬트를 전면 인쇄할 수 있으며, 두 개 이상의 층을 갖는 폴리에스테르 필름도 또한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제 1 및 제 2 구체예의 복수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합판과 같은 기재에 적층될 수 있다. 이 다층 구조는 쉬트 표면의 엠보싱을 용이하게 한다.
통상, 목질 재료는 가구, 건축 재료, 가정용 기구 등에 바람직하다. 즉, 사람들은 일본식 가옥의 목질 색조로 둘러싸인 공간으로부터 정신적인 평온함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목질 색조를 좋아한다. 이 경우, 색 전달 억제성 및 불투명성뿐만 아니라 폴리에스테르 필름 자체의 색조를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1 및 제 2 구체예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색도 b값은 통상 -5.0 이상, 바람직하게는 -4.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이상이다. 색도 b값이 -5.0 미만이면, 필름은 백색도가 증가하여 파란 농담을 띄는 경향이 있다. 특히, 일반적인 목질 재료가 갖는 색조를 제공할 경우, 색도 b값을 -5.0 내지 50.0의 범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왜냐하면 이 범위의 b값이 표면 재료의 색조의 영향을 최소화하여 장식쉬트 표면의 농담의 조절을 용이하게 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제 3 및 제 4 구체예로서 제공된 장식쉬트 및 장식판은 하기에서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장식쉬트는 다양한 농담을 갖는 기재에 널리 도포된다. 따라서, 제 3 및 제 4 구체예의 장식쉬트 및 장식판에 있어서, 장식쉬트의 색조가 원래의 디자인 품질을 유지하기 위하여 기재의 농담에 따라 변하지 않도록, 적합한 불투명도를 갖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3 및 제 4 구체예에서 사용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0.1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4.0,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3.0의 투과 밀도를 갖는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투과 밀도가 0.1 미만이면,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적층된 기재의 농담이 장식쉬트 표면의 사진 색조에 영향을 미치고,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될 수 없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투과 밀도가 5.0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필름은 제조시에 자주 부서지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기계적 강도가 떨어진다.
상기 투과 밀도로 나타낸 불투명성은 본 발명의 제 1 및 제 2 구체예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입자 또는 작은 밀폐된 셀이 필름에 함유되게 하는 방법으로 달성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구체예의 장식쉬트 및 장식판을 사용하여, 기재 색조의 영향을 제거함으로써 높은 디자인 품질을 갖는 표면 사진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장식쉬트 및 장식판은 건축 재료, 가구, 가정용 기구 등의 표면 장식에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및 제 2 구체예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폴리에스테르 필름 자체의 색조를 기재의 불투명성뿐만 아니라 기재의 색조와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3 구체예에 따른 장식쉬트 및 제 4 구체예에 따른 장식판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색도 b값은 -5.0 이상, 바람직하게는 -4.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이상이다. 색도 b값이 -5.0 미만이면, 백색도가 증가하여 필름은 파란 농담을 갖는다. 특히, 일반적인 목질 재료가 갖는 색조를 나타낼 필요가 있는 경우, 상술한 범위의 b값은 장식쉬트 및 기재에 상기 장식쉬트를 적층시켜 제조한 장식판의 표면 농담의 조절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표면 재료의 색조의 영향을 최소화하는데 유효하다.
제 3 및 제 4 구체예의 장식쉬트 및 장식판은 상기 불투명성 및 색조를 갖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단일층 및 사진 인쇄층을 적층시켜 얻을 수 있지만, 불투명 효과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동일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여러 개 적층시킬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한 불투명도를 갖는 불투명층 및/또는 사진을 더 선명하게 하는 밑칠이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사진 인쇄층 사이에 놓일 수 있다.
제 3 구체예의 장식쉬트는 이들 쉬트가 통상 건축 재료의 마감재로 사용되고 고품질의 디자인을 제공하는데 필요하기 때문에 사진 인쇄층과 함께 제공된다. 상기 사진 인쇄층을 제공하는데 사용되는 잉크로서, 통상적인 잉크, 예컨대 염료 또는 안료와 같은 착색제를 잉크 전색제에 첨가하고, 때에 따라 적합한 첨가제, 예컨대 가소제, 안정화제, 왁스, 그리스, 건조제, 보조 건조제, 경화제, 증량제, 분산제, 충전제 등을 첨가하고, 용매 또는 희석제를 추가로 첨가한 후, 충분히 혼합하여 제조한 잉크를 사용할 수 있다.
잉크 전색제로서, 다양한 종류의 오일, 예컨대 아마인유, 대두유 및 합성 건조유; 천연 또는 가공 수지, 예컨대 로진, 코펄, 담마르(dammar), 경화 로진, 로진 에스테르 및 중합 로진; 합성 수지, 예컨대 로진-변형 페놀 수지, 페놀 수지, 말레산 수지, 알키드 수지, 석유 수지, 비닐 수지, 아크릴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에폭시 수지 및 아미노-알키드 수지; 셀룰로오스 유도체, 예컨대 니트로셀룰로오스, 에틸 셀룰로오스 및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고리화 고무와 같은 유도체; 아교, 카제인, 덱스트린, 제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공지된 잉크 인쇄법, 예컨대 그라비야 인쇄법, 건조 옵셋 인쇄법, 볼록판 인쇄법, 실크 스크린 인쇄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트랜스퍼 인쇄법도 또한 사용할 수 있다.
사진 인쇄층은 단일층을 포함하거나, 또는 두층 이상의 적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및 제 4 구체예에 따른 장식쉬트 및 적층물에 있어서, 사진 인쇄층과 접촉하는 필름층측의 이동치는, 상기 본 발명의 제 1 및 제 2 구체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0 내지 30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3 및 제 4 구체예의 장식쉬트 및 장식판은 마감 재료, 특히 문과 같은 설비의 표면 장식에 사용된다. 문은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물체와 접촉하기 쉽다. 따라서, 장식쉬트의 표면이 부드러우면, 쉽게 긁힐 수 있으며, 이로써 장식쉬트 및 적층물의 장식 가치가 떨어진다. 따라서, 장식쉬트 및 장식판에서 가장 바깥의 표면 경화층은 긁힘을 방지하기 위하여 충분한 경도를 가져야 한다.
본 발명의 제 3 구체예에 따른 장식쉬트 및 제 4 구체예에 따른 장식판에서 가장 바깥의 표면 경화층은 40 내지 130,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25의 로크웰 경도를 갖는다. 로크웰 경도가 40 미만이면, 표면층은 물체와 접촉할 때 쉽게 긁힐 수 있다. 사용된 검사 방법하에서 최대 로크웰 경도는 130이다.
표면 경화층은 인쇄에 의해 형성된 단단한 피복층, 압출 적층에 의해 형성된 투명 경화층, 또는 적층에 의해 형성된 투명 수지 필름일 수 있다.
열경화 수지, 2-팩(pack) 반응 경화성 수지, 악틴계 화학선-경화 수지 등은 경피복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악틴계 화학선"은 자외선, 전자선 및 방사선과 같이 아크릴성 비닐기를 중합할 수 있는 전자기선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열경화성 수지는 에폭시 수지, 멜라민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실록산 수지 등을 포함한다. 2-팩 반응 경화성 수지로서,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와 혼합된 폴리우레탄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악틴계 화학선-경화 수지는 악틴계 중합 성분 및 반응 희석제로서 아크릴성 소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을 포함하며, 때에 따라 광중합 개시제, 감광제 및 변형제를 함유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 가능한 아크릴성 소중합체는 폴리에스테르 아크릴, 우레탄 아크릴, 에폭시 아크릴, 폴리에테르 아크릴 등과 같이 반응성 아크릴기가 결합된 아크릴 수지 골격 구조를 갖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단단한 골격 구조, 예컨대 아크릴기가 결합된 멜라민 또는 이소시아누르산을 갖는 아크릴 소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반응 희석제"는 피복 재료의 매개체로서 피복 단계에서 용매 기능을 갖고, 그 자체가 단관능성 또는 다관능성 아크릴 소중합체와 반응할 수 있는 기를 가지며 피복 필름의 공중합 성분으로서 작용할 수 있는 희석제를 의미한다. 자외선으로 가교시키는 경우, 광에너지가 작기 때문에 광에너지를 전환시키고 반응을 개시하기 위하여 광중합 개시제 및 증감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크릴 소중합체, 반응 희석제, 광중합 개시제, 증감제 및 가교 장치의 예는 에스.야마시타(S.Yamashita) 및 티.카네코(T.Kaneko)("Handbook of Crosslinking Agents", pp.267-275, 562-593, Taiseisha, 1981)에 의해 기재되어 있다.
경피복을 형성시키는 방법은 본 발명에서 구체화시키지 않았지만, 임의의 적합한 피복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피복 경화 방법에 있어서, 열경화 수지 또는 2-팩 경화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 일반적인 고온 공기 건조와 같은 외부 열건조 시스템, 또는 적외선 건조와 같은 전자기파 열건조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통상적인 경화 방법, 예컨대 전자선 또는 자외선 방사는 악틴계 화학선 경화 수지를 경화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경피복 두께는 0.5 내지 200㎛가 바람직하다. 또한, 경피복층에 대하여 열경화 수지 및 2-팩 경화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 경피복 두께는 5 내지 20㎛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경피복층에 대하여 악틴계 화학선 경화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 경피복 두께는 10 내지 100㎛가 더욱 바람직하다. 경피복 두께가 0.5㎛ 미만이면 손상 예방 효과가 낮아지는 경향이 있으며, 200㎛을 초과하면 경피복된 장식쉬트에 휨 공정을 실시할 때 경피복이 파손되어 백화를 야기할 수 있다.
또한, 압출 적층에 의해 투명 경화층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양한 종류의 수지가 상기 압출 적층에 사용될 수 있으며, 이 수지는 투명 폴리에틸렌 수지, 열가소성 아크릴 수지, 비닐리덴 폴리플루오리드 수지, 폴리올레핀 수지, 폴리올레핀-기재 탄성중합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및 폴리우레탄-기재 탄성중합 수지를 포함한다. 다른 종류의 수지도 또한 경화층이 본 발명에서 정의된 범위 내의 로크웰 경도를 갖는 한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수지로부터 선택된 수지는 압출기로 가소화시키고, 사진 인쇄층을 갖는 장식쉬트상에 쉬트로서 다이 헤드로부터 용융 상태로 압출되며, 그리고 나서 장식쉬트상에 수지를 적층시키기 위하여 급냉하여 고형화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용융 상태에서 압출된 수지를 장식쉬트에 놓기 전에, 로울을 급냉 및 적층시켜 상기 필름의 양면을 압착시키며, 이로써 필름이 급냉되어 구정의 성장이 억제되고 필름의 투명도 및 표면 평탄성이 유지된다. 또한, 사진 인쇄층과 피복된 수지 쉬트 사이의 접촉 영역에 가한 압력으로 인해 적층력이 향상된다. 또한, 급냉 로울의 표면에 불평탄성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엠보싱 사진이 상기 불평탄성을 압출 적층된 표면 경화층에 전달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표면 디자인 품질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용융 압출에 의해 형성된 상기 경화층은 단일층이거나 또는 두 층 이상의 적층물일 수 있다. 용융 압출된 수지와 사진 인쇄층을 갖는 장식쉬트 사이의 접착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압출 적층은 사진 인쇄층의 표면에 접착제를 가한 후에 실시될 수 있다.
압출 적층에 의해 형성된 경화층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2 내지 200㎛,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100㎛이다. 경화층 두께가 2㎛ 미만이면, 손상 방지 효과가 떨어지는 경향이 있으며, 반면 상기 두께가 200㎛를 초과하면, 사진 인쇄층의 선명도가 경화층에 의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적층법에 의해 투명 수지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진 인쇄층에 적층되는 투명 수지 필름의 수지로서, 예컨대 폴리에틸렌 수지, 셀로판, 폴리프로필렌 수지,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올레핀 수지, 나일론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EVOH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플루오르 수지, 폴리부덴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페닐렌 술피드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연소시 염소 기체를 발생하는 수지를 제외한 모든 수지는 본 발명에서 정의된 범위 내의 로크웰 경도를 갖는 한 사용될 수 있다. 표면 경화층에 염화비닐 수지 필름을 사용하는 장식쉬트인 경우, 비록 손상에 대하여 충분히 보호할 지라도, 연소시 염소 기체를 발생하기 때문에, 이 장식쉬트는 본 발명의 목적을 만족시킬 수 없다.
인쇄층 표면에 투명 수지 필름을 적층시키는데 있어서 통상적인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접착제도 적층에 사용될 수 있다. 접착제를 사용하는 경우, 자외선 경화성 접착제, 열경화성 접착제 또는 2-팩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착제는 사진 인쇄층 또는 사진 인쇄층이 부착된 투명 수지 필름측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적층물은 접착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열압착 로울러로 압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압착 로울러 표면에 불평탄성을 부여하여 이 불평탄성이 적층된 투명 수지 필름에 전달되어 디자인 품질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엠보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명 수지 필름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2 내지 200㎛,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100㎛이다. 필름 두께가 2㎛ 미만이면, 손상 방지 효과가 떨어지는 경향이 있다. 상기 필름 두께가 200㎛를 초과하면, 사진 인쇄층의 선명도가 투명 수지 필름에 의해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다른 물체와의 접촉 손상으로부터 보호되는 장식쉬트 및 적층물에 대한 요구가 충족된다. 본 발명의 장식쉬트 및 장식판은 문이나 가구와 같이 평탄한 표면을 갖는 건축 재료의 마감재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해, 소각시 환경 문제를 야기하지 않으며, 색조를 쉽게 조절할 수 있고, 색조의 전달에 대하여 내성이 있으며, 생산성을 낮추지 않고, 우수한 불투명성을 갖는 장식쉬트 및 장식판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제공된다.
또한, 기재 농담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디자인 품질을 갖는 표면 사진을 나타낼 수 있고 다른 물체와의 접촉 손상에 대하여 내성이 높은 장식쉬트 및 장식판이 제공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산업적 가치가 매우 높다.
실시예
하기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기재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단지 예로 든 것이며, 어떤 식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부" 및 "%"는 다른 언급이 없으면 중량 단위이다.
(1) 투과 밀도
G-필터를 통한 투과 밀도는 맥베드 밀도계(TD-904)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투과 밀도가 높을수록 불투명도가 높다.
(2) 색조
색조는 색 분석기(TC-1800MK-II, 동경 덴쇼쿠 주식회사 제조)를 사용하여 JIS Z 8722 방법에 따라 L값, a값 및 b값으로 측정하였다.
(3) 이동치
하기 이동 검사를 통하여 측정하였다.
(4) 장식판의 특성
<나무결 사진의 평가(디자인 품질)>
흑색 표면을 갖는 평면(합판)에 장식쉬트를 적층시켜 장식판을 제조하고, 장식쉬트상에 인쇄된 나무결 사진의 색조 변화를 관찰하였다. ○표는 원래의 디자인 품질을 유지하는 샘플을 나타내고, ×표는 과도하게 색조가 변하고 디자인 품질이 저하된 샘플을 나타내며, △표는 ○표와 ×표의 중간을 나타내는 샘플을 표시한다. ◎표는 원래의 디자인 품질이 특별히 잘 유지됨을 나타낸다.
이 중에서, ◎, ○ 또는 △가 본 발명에서 요구된다.
<로울의 오염>
장식쉬트의 인쇄시 로울의 오염 정도를 쉽게 판단하기 위하여, 건조 단계에서 사진 인쇄층의 반대면에 고무 경도가 60인 백색 테플론 고무 로울을 설치하고, 필름층으로부터 테플론 고무 로울로의 색 전달 정도를 검사하였다. ○표는 단지 약간의 로울 오염 정도를 나타내며, ×표는 로울의 오염이 심하다는 것을 나타내고, 또 △표는 중간 정도의 로울 오염을 나타낸다. ◎표는 로울의 오염이 전혀 없슴을 나타낸다.
이 중에서, ◎, ○ 또는 △가 본 발명에서 요구된다.
<색조 변화>
인쇄 후 사진 인쇄층과 대향하는 필름층측의 색조를 인쇄 전의 샘플과 비교하였다. ○표는 색조 변화가 없슴을 나타내고, ×표는 색조 변화가 심함을 나타낸다. △표는 그 중간을 나타낸다.
이 중에서, ◎, ○ 또는 △가 본 발명에서 요구된다.
<엠보싱 실행 가능성>
엠보싱 실행 가능성은 표면에 돌기를 갖는 로울을 사용하여 150℃에서 장식쉬트 표면에 엠보싱을 실시하여 평가하였다. ○표는 엠보싱 작업이 쉽게 실시됨을 나타내며, ×표는 엠보싱 실시가 어렵다는 것을 나타내고, ◎표는 엠보싱 작업이 매우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이 중에서, ◎, ○ 또는 △가 본 발명에서 요구된다.
(5) 종합 평가
상기 검사 항목의 결과에 따라 3등급(◎, ○, ×)으로 종합 평가하였다.
(6) 로크웰 경도
표면 경화층의 경도는 M 스케일을 사용하여 JIS-K 7202에 따라 측정하였다.
(7) 긁힘 방지 특성
장식쉬트 표면을 동전으로 긁었다. 쉬트에 긁힘이 없으면 ◎표; 쉬트에 약간의 긁힘이 있으면 ○표; 쉬트에 눈에 띄는 긁힘이 있으면 ×표; 상기 ○와 ×의 중간인 경우 △표를 부여하여 그 결과를 표시하였다.
이 중에서, ◎, ○ 또는 △가 본 발명에서 요구된다.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된 폴리에스테르 재료는 하기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폴리에스테르 A>
100부의 디메틸 테레프탈레이트, 70부의 에틸렌 글리콜 및 0.07부의 칼슘아세테이트 모노히드레이트를 반응기에 넣고 가열하여 메탄올을 증발시켜 에스테르 치환반응을 실시하였다. 상기 반응이 시작된 지 약 4.5시간 후에 상기 반응 혼합물을 230℃로 가열하여 에스테르 치환반응을 거의 완료시켰다. 0.04부의 인산 및 0.035부의 삼산화안티몬을 첨가한 후, 상기 혼합물을 통상적인 방법으로 중합하였다. 즉, 반응 온도를 조금씩 증가시켜 최종적으로 280℃로 하며, 반면 압력은 조금씩 감소시켜 최종적으로 0.05㎜Hg로 하였다. 상기 반응은 4시간만에 완료되었으며, 반응 생성물은 폴리에스테르(A)를 얻기 위하여 통상적인 방법으로 칩으로 가공되었다.
<폴리에스테르 B>
상술한 방법으로 얻은 40부의 폴리에스테르(A) 및 60부의 금홍석 이산화티탄을 이축 스크류 압출기에서 용융 혼합하고, 통상적인 방법으로 칩핑하여 마스터배치 폴리에스테르 칩(B)을 얻었다.
<폴리에스테르 C>
34.4부의 폴리에스테르(A), 60부의 금홍석 이산화티탄, 황색 안료인 3.5부의 안트라퀴논, 0.1부의 카아본 블랙 및 2.0부의 산화철을 이축 스크류 압출기에서 용융 혼합하고, 통상적인 방법으로 칩핑하여 마스터배치 폴리에스테르 칩(C)을 얻었다.
<폴리에스테르 D>
51.9부의 폴리에스테르(A), 26부의 금홍석 이산화티탄, 12부의 황색 티탄, 10부의 황갈색 산화철 및 0.1부의 카아본 블랙을 이축 스크류 압출기에서 용융 혼합하고, 통상적인 방법으로 칩핑하여 마스터배치 폴리에스테르 칩(D)을 얻었다.
<폴리에스테르 E>
39.92부의 폴리에스테르(A), 50부의 금홍석 이산화티탄, 황색 안료인 8.3부의 안트라퀴논, 0.08부의 카아본 블랙 및 1.7부의 산화철을 이축 스크류 압출기에서 용융 혼합하고, 통상적인 방법으로 칩핑하여 마스터배치 폴리에스테르 칩(E)을 얻었다.
<폴리에스테르 F>
42.62부의 폴리에스테르(A), 50부의 금홍석 이산화티탄, 황색 안료인 5.6부의 안트라퀴논, 0.08부의 카아본 블랙 및 1.7부의 산화철을 이축 스크류 압출기에서 용융 혼합하고, 통상적인 방법으로 칩핑하여 마스터배치 폴리에스테르 칩(F)을 얻었다.
<폴리에스테르 G>
39.9부의 폴리에스테르(A), 60부의 금홍석 이산화티탄 및 청색 안료인 0.1부의 프탈로시아닌 블루를 이축 스크류 압출기에서 용융 혼합하고, 통상적인 방법으로 칩핑하여 마스터배치 폴리에스테르 칩(G)을 얻었다.
<폴리에스테르 H>
폴리에스테르(H)는 2.31㎛의 평균 입경을 갖는 0.1중량부의 실리카 입자가 에스테르 치환반응이 완료된 후에 첨가되는 것을 제외하고 폴리에스테르(A)와 동일한 제조 방법으로 수득되었다.
실시예 1
88부의 폴리에스테르(A) 및 12부의 폴리에스테르(B)를 5시간 동안 180℃에서 따로 건조시킨 후, 통상적인 방법으로 혼합, 용융 압출시키고 나서, 급냉시켜 고형화한 후, 83℃에서 기계 방향으로 2.9배 연신시키고 125℃에서 횡방향으로 3.2배 연신시킨 후, 210℃에서 열처리하여 50㎛의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이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특성은 하기 표 1에 나타냈다. 이 필름은 장식판에 대하여 우수한 도포 안정성을 나타냈다.
실시예 2
폴리에스테르 칩(B) 대신 폴리에스테르 칩(C)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실시하여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수득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특성은 하기 표 1에 나타냈다. 이 필름은 장식판에 대하여 우수한 도포 안정성을 나타냈다.
실시예 3
4부의 폴리에스테르 칩(B), 13부의 폴리올레핀 및 83부의 폴리에스테르 칩(A)으로 구성된 조성물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실시하여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수득하였다. 수득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특성은 하기 표 1에 나타냈다. 이 필름은 장식판에 대하여 우수한 도포 안정성을 나타냈다.
실시예 4
76부의 폴리에스테르 칩(A) 및 24부의 폴리에스테르 칩(D)으로 구성된 조성물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실시하여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수득하였다. 수득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특성은 하기 표 1에 나타냈다. 이 필름은 장식판에 대하여 우수한 도포 안정성을 나타냈다.
실시예 5
85.5부의 폴리에스테르 칩(A) 및 14.5부의 폴리에스테르 칩(E)을 5시간 동안 180℃에서 따로 건조시킨 후, 혼합하고 285℃로 설정된 메인 압출기로 이송하였다. 별도로, 폴리에스테르(H)를 5시간 동안 180℃에서 건조시키고 285℃로 설정된 서브 압출기로 이송하였다. 서브 압출기의 폴리에스테르(H)를 필름의 전면층과 후면층(가장 바깥층)으로 분기시키고 나서, 기어 펌프와 필터를 통하여 메인 압출기로부터 나온 폴리에스테르와 함께 피드블록(feedblock)에서 결합시키고, 쉬트로 압출하고 급냉시켜 고형화시킨 후, 83℃에서 기계 방향으로 2.9배 연신시키고 나서 125℃에서 횡방향으로 3.2배 연신시키고, 210℃에서 열처리하여 2.0㎛/46.0㎛/2.0㎛ 두께의 3층 구조를 갖는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수득하였다. 수득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특성은 하기 표 1에 나타냈다. 이 필름은 장식판에 대하여 우수한 도포 적합성을 나타냈다.
실시예 6
폴리에스테르(H) 대신 76부의 폴리에스테르 칩(A) 및 24부의 폴리에스테르 칩(D)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서브 압출기에 공급하는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5와 동일한 방법을 실시하여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수득하였다. 수득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특성은 하기 표 1에 나타냈다. 이 필름은 장식판에 대하여 우수한 도포 적합성을 나타냈다.
실시예 7
85.5부의 폴리에스테르 칩(A) 및 14.5부의 폴리에스테르 칩(F)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실시하여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수득하였다. 수득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특성은 하기 표 1에 나타냈다. 이 필름은 장식판에 대하여 우수한 도포 적합성을 나타냈다.
비교예 1
85.5부의 폴리에스테르 칩(A) 및 14.5부의 폴리에스테르 칩(E)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실시하여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수득하였다. 수득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특성은 하기 표 1에 나타냈다. 본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사용한 장식쉬트인 경우, 필름 표면의 색이 테플론 고무 로울로 과도하게 전달되었으며 장식판에 대한 도포 적합성도 나빴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투과 밀도 0.50 1.52 0.70 1.97
이동치 0.5 13.0 2.0 0.5
색도 b값 1.0 25.1 -4.0 28.3
나무결 사진의 평가
로울의 오염
색조 변화
엠보싱 실행 가능성
종합 평가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비교예 1
투과 밀도 1.46 1.50 1.50 1.48
이동치 0.5 0.5 25.0 35.0
색도 b값 30.0 28.0 27.5 30.0
나무결 사진의 평가
로울의 오염 ×
색조 변화 ×
엠보싱 실행 가능성
종합 평가 ×
실시예 8
88부의 폴리에스테르 칩(A) 및 12부의 폴리에스테르 칩(B)을 5시간 동안 180℃에서 따로 건조시킨 후, 통상적인 방법으로 혼합, 용융 압출시키고 나서, 급냉시켜 고형화한 후, 83℃에서 기계 방향으로 2.9배 연신시키고 125℃에서 횡방향으로 3.2배 연신시키고 나서, 210℃에서 열처리하여 50㎛의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폴리에스테르 필름상에 니트로셀룰로오스 잉크(Cellocolor(갈색), Toyo Ink Manufacturing Co., Ltd.제조)를 3㎛의 건조 두께로 도포하고, 80℃의 고온 건조 오븐에서 1분 동안 건조시켜 사진 인쇄층을 형성시켰다. 상기 사진 인쇄층상에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형 자외선 경화성 잉크(Unideck 17-806 시리즈, Dainippon Ink and Chemicals, Inc.제조)를 바아 피복기(bar coater)로 도포하고, 60℃에서 5분 동안 1차 건조시키고, 50W/㎝, 조사 거리 15㎝, 조사 시간 5초의 조건하에서 자외선 조사기(UVH-2000, Ushio Electric Co., Ltd.제조)로 경화시켜 경화층을 형성시키고, 이로써 장식쉬트를 얻었다. 수득된 장식쉬트의 특성은 하기 표 2에 나타냈다. 이 장식쉬트는 장식판에 대하여 우수한 도포 적합성을 나타냈다.
실시예 9
4부의 폴리에스테르 칩(B), 13부의 폴리올레핀 및 83부의 폴리에스테르 칩(A)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8과 동일한 방법을 실시하여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수득하였다. 본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사용하여, 사진 인쇄층 및 자외선 표면 경화층이 상기 실시예 8과 동일한 방법으로 형성되었다. 수득된 장식쉬트의 특성은 하기 표 2에 나타냈다. 이 장식쉬트는 장식판에 대하여 우수한 도포 적합성을 나타냈다.
실시예 10
폴리에스테르 칩(B) 대신 폴리에스테르 칩(C)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8과 동일한 방법을 실시하여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수득하였다. 그리고 나서, 사진 인쇄층이 상기 실시예 8과 동일한 방법으로 형성되고, 폴리에틸렌 수지가 T-다이로부터 용융 압출되며 23℃의 표면 온도와 고무 로울을 갖는 크롬판 냉각 로울로 닙핑(nipping)하여 상기 사진 인쇄층에 즉시 적층되었다. 상기 폴리에틸렌 수지 두께는 50㎛로 조절하였다. 수득된 장식쉬트의 특성은 하기 표 2에 나타냈다. 이 장식쉬트는 장식판에 대하여 우수한 도포 적합성을 나타냈다.
실시예 11
76부의 폴리에스테르 칩(A) 및 24부의 폴리에스테르 칩(D)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8과 동일한 방법을 실시하여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수득하였다. 사진 인쇄층은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형성되며, 2-팩 우레탄 접착제(Toyo Ink Manufacturing Co., Ltd.제조)를 (건조 기재상에) 5㎛ 두께로 상기 사진 인쇄층에 바아 피복시키고 약 70℃의 건조 오븐에서 1분 동안 건조시킨다. 50㎛ 두께의 투명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T100-50, Diafoil Hoechst Company, Ltd.제조)를 상기 접착층에 놓고 약 120℃의 로울 온도를 갖는 적층기로 적층시켜 장식쉬트를 수득하였다. 수득된 장식쉬트의 특성은 하기 표 2에 나타냈다. 이 장식쉬트는 장식판에 대하여 우수한 도포 적합성을 나타냈다.
비교예 2
99부의 폴리에스테르 칩(A) 및 1부의 폴리에스테르 칩(B)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8과 동일한 방법으로 장식쉬트를 수득하였다. 이 장식쉬트가 장식판에 도포될 때, 평면 기재를 구성하는 합판의 흑색의 영향을 받아서 색조가 변하며 디자인 품질이 떨어졌다. 따라서, 장식판에 도포되기에는 적합하지 않았다.
비교예 3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투과 밀도가 6.0이 되도록 혼합된 폴리에스테르 칩(B)의 양을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8과 동일한 방법을 실시하여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으려고 하였지만, 횡방향으로 연신시킬 때 필름이 자주 파괴되어 원하는 필름을 수득할 수 없었다.
비교예 4
폴리에스테르 칩(B) 대신 폴리에스테르 칩(G)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8과 동일한 방법을 실시하여 장식쉬트를 수득하였다. 이 장식쉬트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낮은 b값과 너무 강한 파란 색조 때문에 사진 인쇄층의 색조가 변하였으며, 장식판에 도포되기에는 적합하지 않았다.
비교예 5
사진 인쇄층이 형성될 때까지 상기 실시예 8의 방법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나서, 투명 니트로셀룰로오스 잉크(cellocolor(중간), Toyo Ink Manufacturing Co., Ltd.제조)를 10㎛의 건조 기재 두께로 상기 사진 인쇄층에 도포하고 80℃의 고온 건조 오븐에서 5분 동안 건조시켜 가장 바깥의 표면 경화층을 형성시켰다. 긁힘 내성 검사에서, 상기 수득된 장식쉬트는 쉽게 긁혔으며 장식판에 도포되기에는 적합하지 않았다.
실시예 8 실시예 9 실시예 10 실시예 11
<투과 밀도> 0.50 0.50 1.52 1.97
<색도 b값> 1.0 -4.0 25.1 28.3
<경도>로크웰 경도 120 120 50 100
<장식판에 대한 도포 적합성>긁힘 내성디자인 품질엠보싱 실행 가능성 ◎○○ ◎△◎ ○○◎ ◎○◎
<종합 평가>
비교예 2 비교예 4 비교예 5
<투과 밀도> 0.05 0.50 0.50
<색도 b값> 1.0 -30.0 1.0
<경도>로크웰 경도 120 120 30
<장식판에 대한 도포 적합성>긁힘 내성디자인 품질엠보싱 실행 가능성 ◎×○ ◎×○ ×○○
<종합 평가> × × ×
본 발명에 의해, 소각시 환경 문제를 야기하지 않으며, 색조를 쉽게 조절할 수 있고, 색조의 전달에 대한 내성이 있으며, 생산성을 낮추지 않고, 우수한 불투명성을 갖는 장식쉬트 및 장식판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제공된다. 또한, 기재 농담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디자인 품질을 갖는 표면 사진을 나타낼 수 있고 다른 물체와의 접촉 손상에 대한 내성이 높은 장식쉬트 및 장식판이 제공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산업적 가치가 매우 높다.

Claims (8)

  1. 하나 이상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층 및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층에 적층된 사진 인쇄층을 포함하며,
    상기 사진 인쇄층과 접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층 표면에서의 이동치가 0.4 내지 30인 장식쉬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층의 투과 밀도가 0.2 내지 4.0이고, 색도 b값이 -5 내지 50인 장식쉬트.
  3. 기재 표면에 다음 순서로 연속적으로 적층된 하나 이상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층 및 사진 인쇄층을 포함하며,
    상기 사진 인쇄층과 접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층 표면에서의 이동치가 0.4 내지 30인 장식판.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층의 투과 밀도가 0.2 내지 4.0이고, 색도 b값이 -5 내지 50인 장식판.
  5. 다음 순서로 연속적으로 적층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층, 사진 인쇄층 및 표면 경화층을 포함하며,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층의 투과 밀도가 0.2 내지 4.0이고,
    색도 b값이 -5 내지 50이며, 또
    상기 표면 경화층의 로크웰 경도가 40 내지 130인 장식쉬트.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사진 인쇄층과 접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층측에서의 이동치가 0.4 내지 30인 장식쉬트.
  7. 기재 표면에 다음 순서로 연속적으로 적층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층, 사진 인쇄층 및 표면 경화층을 포함하며,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층의 투과 밀도가 0.2 내지 4.0이고,
    색도 b값이 -5 내지 50이며, 또
    상기 표면 경화층의 로크웰 경도가 40 내지 130인 장식판.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사진 인쇄층과 접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층측에서의 이동치가 0.4 내지 30인 장식판.
KR10-1998-0014300A 1997-04-23 1998-04-22 장식판또는장식쉬트용폴리에스테르필름 Expired - Fee Related KR1004839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120166 1997-04-23
JP12016697A JP3815847B2 (ja) 1997-04-23 1997-04-23 化粧板または化粧シート用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JP16848197A JPH1110816A (ja) 1997-06-25 1997-06-25 化粧シートおよび化粧板
JP9-168481 1997-06-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1604A KR19980081604A (ko) 1998-11-25
KR100483974B1 true KR100483974B1 (ko) 2005-08-24

Family

ID=26457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4300A Expired - Fee Related KR100483974B1 (ko) 1997-04-23 1998-04-22 장식판또는장식쉬트용폴리에스테르필름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017612A (ko)
EP (1) EP0873864B1 (ko)
KR (1) KR10048397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930330B1 (en) * 1998-01-20 2004-12-22 Mitsubishi Polyester Film Corporation Polyester film for decorative sheet
US6579611B1 (en) * 1998-12-01 2003-06-17 Toyo Kohan Co., Ltd. Resin film for producing decorative laminate and decorative laminate containing the resin film
KR100478398B1 (ko) * 2001-12-28 2005-03-24 유신메라민공업주식회사 열경화성 수지화장판 및 그 제조방법
US20050025952A1 (en) * 2002-05-15 2005-02-03 Cabot Corporation Heat resistant insulation composite,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WO2009009048A1 (en) 2007-07-11 2009-01-15 Omnova Solutions, Inc. Printer-compatible, pre-embossed films
ES2437081B1 (es) * 2012-07-03 2014-11-04 Calcher-Montajes Integrales Valencia, S. L. Superficie horizontal personalizada con anclajes ocultos
DE102015120760A1 (de) * 2015-11-30 2017-06-01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Transparente, biaxial orientierte Polyesterfolie mit einseitig glatter Oberfläche und guter Wickelbarkeit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141382B (en) * 1983-06-13 1988-01-27 Metal Box Plc Decorating substrate materials
EP0249109B1 (de) * 1986-06-07 1992-03-11 Hoechst Aktiengesellschaft Dekorative Überzugsfolie
JP2701436B2 (ja) * 1989-03-16 1998-01-21 ダイアホイルヘキスト株式会社 ポリエステル積層フィルム
DE3909934A1 (de) * 1989-03-25 1990-09-27 Krammer Herbst Maria Spannbuegel fuer ein spannbettuch
US5171625A (en) * 1991-01-31 1992-12-15 Ici Americas Inc. All polyester film composite useful for credit and identification cards
JP3036116B2 (ja) * 1991-06-07 2000-04-24 ヤマハ株式会社 化粧用表面材及びその製法
DE4231287A1 (de) * 1992-09-18 1994-03-24 Hoechst Ag Mehrschichtfolienverbund
JPH0717005A (ja) * 1993-06-30 1995-01-20 Dainippon Printing Co Ltd 化粧シ−ト
JP3252993B2 (ja) * 1994-07-11 2002-02-04 東レ株式会社 白色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JPH08112887A (ja) * 1994-10-17 1996-05-07 Dainippon Printing Co Ltd 化粧シート
JPH08230342A (ja) * 1995-02-23 1996-09-10 Asahi Glass Co Ltd ラベルの製造方法
JPH09117992A (ja) * 1995-10-24 1997-05-06 Dainippon Printing Co Ltd 化粧シート
JP3731935B2 (ja) * 1996-02-21 2006-01-05 三菱化学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株式会社 ダブリング仕様化粧板用フイルム
JPH09187903A (ja) * 1996-01-10 1997-07-22 Diafoil Co Ltd 化粧板または化粧シート用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US5976676A (en) * 1996-01-10 1999-11-02 Mitsubishi Polyester Film Corporation Polyester film and decorative plate using same
US5932320A (en) * 1996-10-29 1999-08-03 Mitsubishi Polyester Film Corporation Polyester film for decorative plate or decorative she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873864A2 (en) 1998-10-28
EP0873864B1 (en) 2012-04-25
US6017612A (en) 2000-01-25
KR19980081604A (ko) 1998-11-25
EP0873864A3 (en) 1999-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81845B1 (en) Decoration shee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11315575B (zh) 装饰片及使用其的装饰材料
JP4978362B2 (ja) 化粧シート
KR100468637B1 (ko)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이를 사용한 장식판
CN111344145B (zh) 装饰片及使用其的装饰材料
KR20150090050A (ko) 전사 필름
JPH0671814A (ja) 塗装感を有する化粧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11597179B2 (en) Transparent resin film, decorative board, and method for producing decorative board
US20210381248A1 (en) Transparent resin film, decorative board, and method for producing decorative board
JP2009262466A (ja) 成形体または積層フィルム
KR200325627Y1 (ko) 장식 투명패널
JP2006007728A (ja) 化粧シート
KR100483974B1 (ko) 장식판또는장식쉬트용폴리에스테르필름
JP2010234766A (ja) 化粧シート及び該化粧シートを用いた化粧板
KR101164236B1 (ko) 장식 시트
KR101456731B1 (ko) 화장 시트 및 그것을 사용한 화장판
JP4899999B2 (ja) 鏡面化粧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化粧板
JP2000094596A (ja) 化粧シート
WO2020075561A1 (ja) 化粧板、透明性樹脂フィルム及び化粧板の製造方法
JPH1110816A (ja) 化粧シートおよび化粧板
JPH08174783A (ja) 化粧シートとその製造方法
JP2014184613A (ja) 化粧シート
AU2019242685B2 (en) Raised woodgrain finish decorative material
JP5608059B2 (ja) 二次加工用化粧シー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化粧材の製造方法
JP4900000B2 (ja) 鏡面化粧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化粧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8042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2031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8042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04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011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4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504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3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30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30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30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7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3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9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32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1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40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