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78398B1 - 열경화성 수지화장판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열경화성 수지화장판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8398B1
KR100478398B1 KR10-2001-0086923A KR20010086923A KR100478398B1 KR 100478398 B1 KR100478398 B1 KR 100478398B1 KR 20010086923 A KR20010086923 A KR 20010086923A KR 100478398 B1 KR100478398 B1 KR 1004783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resin
impregnated
core material
sam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6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56649A (ko
Inventor
이동칠
Original Assignee
유신메라민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신메라민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신메라민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869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8398B1/ko
Publication of KR200300566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66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83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8398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30Multi-ply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어재와 모양지의 색상을 일치시키기 위하여 코어재로서 모양지와 동일 재질인 무늬지를 크라프트지 대신 사용하되 이를 페놀수지에 함침 건조시켜사용하는 열경화성 수지 화장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멜라민 수지 함침지(1)등을 판상(板狀)의 상태로 적층한다음 멀티 오프닝 프레스(4)로 압축 제조하는 방식을 이용하고 있으며, 코어재로서는 페놀수지를 함침시킨 무늬지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CPL 공법을 이용하지 않더라도 코어재와 모양지의 색상이 일치되어진 양질의 수지화장판을 제조할 수 있으며,
수지화장판을 MDF 등에 접합할 시에 따로 재단하거나 펴지않아도 됨으로써 제조공정을 단순화하고 피접착재와의 접합성도 개선하였으며,
수지화장판의 두께가 너무 얇지 않도록 제조 가능하므로 접합면에 대한 표면처리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Description

열경화성 수지화장판 및 그 제조방법{The thermosetting wooden board and its processing method}
본 발명은 코어재와 모양지의 색상을 일치시키기 위하여 코어재로서 모양지와 동일 재질인 무늬지를 크라프트지 대신 사용하되 이를 페놀수지에 함침 건조시켜사용하는 열경화성 수지 화장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멜라민수지에 함침, 건조시킨 무늬지에 페놀수지에 함침, 건조시킨 무늬지를 적층한다음 이를 가열압착하여 제조함으로써 제조방법이 대단히 용이하고 접합상태가 양호할뿐 만 아니라, 특히 재단면이 나머지부분의 색과 차이가 발생하지 않게 됨으로써 보다 고급스럽고 사실적인 느낌을 연출할 수 있게되는 열경화성 수지 화장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빌딩, 사무실, 호텔, 점포, 주택, 아파트 등의 칸막이벽 및 천장의 마감용 미장재로서 열경화성 수지화장판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상기 열경화성 수지화장판은 각 종이마다 서로 다른 무늬가 인쇄된 얇은 종이(모양지)를 멜라민수지에 함침 건조시키고, 코어재로는 미표백된 크라프트지(Kraft paper)를 페놀수지에 함침 건조 후 이를 적층한 상태에서 가열(130∼200℃) 압착(30∼100㎏f/㎠)시키는 방법으로 제조한다.
모양지는 펄프 70∼80% 와, 티탄 20∼30% 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바탕색을 잘 가려주는 특성, 즉 은폐성이 뛰어나므로 다양한 색상을 표현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즉, 크라프트지는 100% 펄프로 구성된 것으로서 은폐성이 떨어지므로 표현할 수 있는 색상이 크게 제한될 뿐만 아니라 지질이 갈색에 가까워서 재단면이 까맣게 표시되는데 비해, 모양지의 경우에는 다양한 색상을 연출할 수 있으며 재단면과 나머지 부분의 색상을 동일하게 연출할 수 있으므로 이를 MDF(Medium density fiberboard), PB(Particle board) 등의 표면에 접합하여 사용할 경우 접합 무늬목임을 거의 식별할 수 없을 만큼 고급스러운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모양지의 기본색상과 동일 또는 유사한 색상의 크라프트지를 사용하거나 동일한 모양지에 멜라민 수지를 함침 건조시켜서 코어재로 사용하기도 하는데, 크라프트지의 색상은 다양하지 못하여 한계가 있고 동일한 모양지를 멜라민 수지에 함침시켜 코어재로 사용한 제품은 가공성이 열악하고 가격 또한 비싸므로 소비자 요구를 충분히 만족시켜줄 수 없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CPL(Continuosly pressure laminates)공법이 도입되었는데, 이 공법에서는 모양지를 2층으로 접합 제조하되 윗면의 모양지는 DAP(Diallyl phthalate)수지나 멜라민수지등으로 함침한 다음, 가열된 연속프레스(Continual press) 즉, 압연롤러사이를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정교한 작업이 가능케되는 것이다.
완성된 수지화장판은 MDF나 PB등의 표면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합하게 되는데, 접합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접착제가 접합부에 잘 묻어야 하며 이를 위해 수지화장판의 배면에는 미세한 요철을 다수개 형성함이 바람직하므로 대개의 경우에는 수지화장판을 피접착재와 접합하기 전에 샌딩장치를 이용, 그 배면을 샌딩처리하게 된다.
그런데, CPL 공법에 의한 종래방식의 경우에는 롤 타입 제조공법의 특성상 두께가 매우 얇게 제조되어지므로(0.2∼0.3㎜) 접착면을 물리적 방법에 의해 샌딩처리하기가 대단히 어려울 뿐만 아니라, 약품에 의한 화학적 처리 방법을 이용할 경우 엄청난 비용이 들게되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 방법의 경우에는 멜라민 수지 함침지등이 연속프레스(Continual press) 즉, 압연롤러 사이를 통과하면서 접합 건조되어지며 완성된 수지 화장판은 대개 롤형상으로 공급되어지는데, 이와 같이 공급된 수지화장판을 MDF, PB 등의 피접착재에 접합시키고자할 경우, 그때마다 일정 길이만큼 절단, 사용하여야하며 롤상태의 수지화장판을 판상으로 펴서 접합하여야 하므로 피접착재에 접합 후 복원력에 의하여 떨어지기 쉬운 문제점이 있다.
특히 롤상태의 수지화장판이 어느정도 큰 직경으로 권취되어있을 경우에는 판상으로 펴서 사용할 때 복원력이 크게 작용하지 않게되지만, 작은 직경으로 권취되어있을 경우에는 판상으로 폈을 때 복원력이 크게 작용하게 되므로 접합된 수지화장판이 피접착재로부터 분리되기 쉬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방식의 경우에는 멜라민수지 함침지와 수지화장판이 모두 매우 얇게 형성되어지므로, 피접착재와의 접합면에 샌딩처리하는 것은 대단히 어려운 작업일 뿐만 아니라 약품을 이용, 화학처리할 경우에는 엄청난 비용이 들게될 것이므로 수지화장판의 제조원가가 상승하게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종래방식의 경우에는 수지화장판이 너무 얇아지고 피접합면의 표면처리에도 어려움이 있으므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멜라민 수지함침지(1)의 하부에 접합지(2)를 별도로 접합 사용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CPL은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므로 수지화장판의 제조원가가 무척 비싸지게 되며, 기존의 설비를 이용할 수 없고 연속프레스(continual press)와 같은 고가의 장비를 별도 구입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첫째 목적은 CPL 공법을 이용하지 않더라도 코어재와 모양지의 색상이 일치되어진 양질의 수지화장판을 제조하는데 있고,
둘째 목적은 수지화장판을 판상으로 제조함으로써 MDF 등에 접합할 시에 따로 재단하거나 펴지않아도 되도록 함으로써 제조공정을 단순화하고 피접착재와의 접합성도 개선되도록 하는데 있으며,
셋째 목적은 수지화장판이 너무 얇지 않도록 함으로써 MDF 등과의 접합면에 대한 표면처리가 용이하도록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멜라민 수지 함침지등을 판상(板狀)의 상태로 적층한다음 멀티 오프닝 프레스(Multi opening press)로 압축하여 제조하는 방식을 이용하고 있으며, 코어재로서는 페놀수지를 함침시킨 무늬지를 사용하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열경화성 수지화장판의 제조 공정도이고, 도 2는 상기 공정에 의해 제조되는 열경화성 수지화장판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멜라민수지에 함침 건조시킨 모양지와, 코아재를 접합한 다음 고온상태에서 프레스로 압착하여 열경화성 수지화장판을 제조방법하는 방법에 있어서,
코아재로서는 멜라민수지함침무늬지 제조공정에서 사용한 모양지를 그대로 사용하되 이를 페놀 수지에 함침 건조시킴으로써 페놀수지 함침무늬지(2)를 제조한 다음, 이를 멜라민수지에 함침시킨 모양지, 즉 멜라민수지 함침무늬지(1)와 적층한 상태에서 멀티 오프닝 프레스(Multi opening press)(4)에 의해 고온 압착시킴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열경화성 수지화장판을 제조하게 되는 것이다.
크라프트지는 100% 펄프로 구성되며 은폐력이 떨어져서 색상이 단순하고 재단면이 까맣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데 비해,
모양지는 펄프 70∼80% 와, 티탄 20∼30% 로 구성되며 은폐력이 뛰어나 다양한 색상을 표현할 수 있고 재단면을 나머지 부분의 색상과 동일하게 표현할 수 있으므로, 코어재로서 크라프트지 대신 모양지를 사용하게될 경우에 다양한 색상을 표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재단면과 표면의 색상을 모두 동일하게 나타낼 수 있으므로, 보다 고급스러운 장식효과를 연출할 수 있는 것이다.
단, 모양지의 경우에는 크라프트지에 비해 중량이 적게 나가는 편이므로, 페놀수지 함침공정 및 고온 압착공정 도중에 바람에 의한 접힘현상 또는 쏠림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각별한 주의를 요한다. 본 출원인의 경우에는 바람차단수단과 장력조절수단등을 함께 구비함으로써 이러한 문제들을 극복할 수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모양지에 멜라민 수지를 함침하는 대신에 페놀수지를 함침하여 코아재를 제조함으로써, 다양한 색상을 표현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MDF 등과의 접합면에 대한 가공성 및 피접합성등이 특히 양호하게된다.
또한, 종전 CPL 공정의 경우에는, 수지화장판의 두께가 너무 얇아지므로(0.2∼0.3㎜) 접착면을 물리적 방법에 의해 샌딩작업하기가 대단히 어려우며,화학적 방법에 의해 약품처리할 경우에는 엄청난 비용이 들게되므로 제조원가가 크게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는데 비해, 본 발명에서는 코어재로서 페놀수지 함침무늬지(2)를 이용하게됨으로써 샌딩작업이 간편해지고, 피접착재(3)와의 접합성도 개선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본원발명에서는 CPL 공법을 이용하지 않고 종전과 같은 프레스 공법을 이용하게됨으로써 연속프레스(continual press)등의 고가 장비를 추가로 구입하지않아도 되며, 멜라민수지함침무늬지(1)와 완성된 수지화장판이 모두 롤타입이 아닌 판상(板狀)으로 제공되어지므로 작업시마다 다시 재단할 필요가 없고, 피접착재(3)와의 접합성이 좋아지는등 후가공성이 대폭 개선되는 것이다.
즉, 종전의 CPL 공법에서는 멜라민수지함침무늬지와 수지화장판이 모두 롤타입으로 제공되어지므로, MDF 등과 접합하기위해서는 롤상태에서 판상태로 펴줘야하는데 이와 같이 펴줄 경우에는 복원력이 작용하게되어 접합후 떨어지기 쉬운 문제점이 있으며, 이러한 복원력을 경감시키기 위해서는 두께를 아주 얇게 형성해줘야 하므로 접합부위에 별도의 종이를 접합 사용하거나 약품에 의한 표면처리등을 요하게되는 문제점이 있는데 비해,
본 발명에서는 멜라민수지함침무늬지(1), 페놀수지함침무늬지(2) 및 수지화장판이 모두 판상으로 제공되어지므로, MDF 등과 접합하고자 할 때 펴주거나 재단할 필요없이 그대로 접합하면 되므로 그 작업이 용이하며 접합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접합부위에 종이를 별도로 접합할 필요가 없고 물리적 방법(샌딩처리)에 의해 표면처리 가능하므로 수지화장판의 제조원가를 대폭 경감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종래 공정에서의 CPL은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었으므로, 본 발명을 이용하게될 경우 외화 낭비를 줄일 수 있게되어 국익에도 큰 도움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제조공정이 간단하고 설비의 교체 없이도 수지화장판 제조가 가능하므로 원가절감의 효과가 있으며, CPL에 비해 가공성이 탁월하고 표면 및 물성이 탁월하므로 고품질의 제품을 소비자들에게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멜라민 수지 함침지(1)등을 판상(板狀)의 상태로 적층한다음 멀티 오프닝 프레스(4)로 압축 제조하는 방식을 이용하고 있으며, 코어재로서는 페놀수지를 함침시킨 무늬지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CPL 공법을 이용하지 않더라도 코어재와 모양지의 색상이 일치되어진 양질의 수지화장판을 제조할 수 있으며,
수지화장판을 MDF 등에 접합할 시에 따로 재단하거나 펴지않아도 됨으로써 제조공정을 단순화하고 피접착재(3)와의 접합성도 개선하였으며,
수지화장판의 두께가 너무 얇지 않도록 제조 가능하므로 접합면에 대한 표면처리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열경화성 수지화장판의 제조 공정도,
도 2는 상기 공정에 의해 제조되는 열경화성 수지화장판의 단면도,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열경화성 수지화장판의 제조공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멜라민수지 함침무늬지 2: 페놀수지 함침지
3: 피접착재 4: 멀티 오프닝 프레스

Claims (2)

  1. 멜라민수지에 모양지를 함침 건조시킨 멜라민수지 함침무늬지와, 코아재를 접합한 다음 고온상태에서 프레스로 압착하여 열경화성 수지화장판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코아재로서 멜라민수지함침무늬지 제조공정에서 사용한 펄프 70~80%와 티탄 20~30%로 구성되는 모양지를 페놀 수지에 함침 건조시켜 페놀수지 함침무늬지(2)를 제조한 다음, 이를 멜라민수지 함침무늬지(1)와 적층한 상태에서 멀티 오프닝 프레스(4)에 의해 고온 압착하여 제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경화성 수지화장판의 제조방법.
  2. 삭제
KR10-2001-0086923A 2001-12-28 2001-12-28 열경화성 수지화장판 및 그 제조방법 Expired - Lifetime KR1004783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6923A KR100478398B1 (ko) 2001-12-28 2001-12-28 열경화성 수지화장판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6923A KR100478398B1 (ko) 2001-12-28 2001-12-28 열경화성 수지화장판 및 그 제조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40617U Division KR200270776Y1 (ko) 2001-12-28 2001-12-28 열경화성 수지화장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6649A KR20030056649A (ko) 2003-07-04
KR100478398B1 true KR100478398B1 (ko) 2005-03-24

Family

ID=32214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6923A Expired - Lifetime KR100478398B1 (ko) 2001-12-28 2001-12-28 열경화성 수지화장판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83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9460B1 (ko) * 2017-04-21 2019-04-10 이승현 친환경성 크라프트데코페이퍼의 제조방법과 이를 활용한 멜라민 화장판 및 그 제조방법
KR200498722Y1 (ko) * 2019-07-02 2025-01-21 밀레시스텍(주) 아트지를 이용한 인쇄형 크라프트지 및 이를 이용한 포장박스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12561A (en) * 1973-01-31 1977-03-15 Westvaco Corporation Decorative laminate with care of newsprint and wood pulp
US4367110A (en) * 1979-07-02 1983-01-04 Toppan Printing Co. Decorative laminate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19980081604A (ko) * 1997-04-23 1998-11-25 하라다야스오 장식판 또는 장식쉬트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JPH1120064A (ja) * 1997-07-04 1999-01-26 Aica Kogyo Co Ltd 熱硬化性樹脂化粧板
KR19990015364A (ko) * 1997-08-06 1999-03-05 황한영 합판 제조용 중판 조합 장치
KR200218821Y1 (ko) * 2000-10-06 2001-04-02 주식회사엘지화학 칫수안정성 및 휨안정성이 우수한 멜라민 화장판
KR200241744Y1 (ko) * 2000-12-29 2001-09-25 주식회사 엘지씨아이 황토를 포함하는 불연 화장판넬
KR20010098673A (ko) * 2000-04-18 2001-11-08 균 길 이 난연성 멜라민 시트의 제조방법
KR20030027292A (ko) * 2001-09-28 2003-04-07 윤철기 합지장치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12561A (en) * 1973-01-31 1977-03-15 Westvaco Corporation Decorative laminate with care of newsprint and wood pulp
US4367110A (en) * 1979-07-02 1983-01-04 Toppan Printing Co. Decorative laminate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19980081604A (ko) * 1997-04-23 1998-11-25 하라다야스오 장식판 또는 장식쉬트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JPH1120064A (ja) * 1997-07-04 1999-01-26 Aica Kogyo Co Ltd 熱硬化性樹脂化粧板
KR19990015364A (ko) * 1997-08-06 1999-03-05 황한영 합판 제조용 중판 조합 장치
KR20010098673A (ko) * 2000-04-18 2001-11-08 균 길 이 난연성 멜라민 시트의 제조방법
KR200218821Y1 (ko) * 2000-10-06 2001-04-02 주식회사엘지화학 칫수안정성 및 휨안정성이 우수한 멜라민 화장판
KR200241744Y1 (ko) * 2000-12-29 2001-09-25 주식회사 엘지씨아이 황토를 포함하는 불연 화장판넬
KR20030027292A (ko) * 2001-09-28 2003-04-07 윤철기 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6649A (ko) 2003-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24875B1 (ko) 장식용열경화성플라스틱적층판의제조방법
US7820287B2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a floor strip
BR0113273B1 (pt) método e aparelho para produção de papelão e produto de papelão.
US11752657B2 (en) Coated multi-ply wood panel and method of producing a core board
JPS62299339A (ja) プラスチック化粧板
US4711685A (en) Soft textured reveal edge ceiling board and process for its manufacture
KR100478398B1 (ko) 열경화성 수지화장판 및 그 제조방법
KR0183985B1 (ko) 침엽수 목질재의 제조방법
JP2008503369A (ja) 化粧合板
KR200270776Y1 (ko) 열경화성 수지화장판
JP7497350B2 (ja) ベニヤ木質材の製造方法及び支持板と少なくとも二つのベニヤを含む木質材
KR200303337Y1 (ko) 굴곡 형태의 표면을 갖는 저압 열경화성 수지화장판
KR200389695Y1 (ko) Hpm층에 천연 무늬목층이 적층된 내장재
KR100336169B1 (ko) 금속 무늬패턴을 갖는 열경화성 수지화장판과 그 제조방법
KR101868815B1 (ko) 천연 무늬목 형태의 합성수지 시트가 부착된 패널 제조방법
KR200260326Y1 (ko) 박피판과 중판이 복수개 직교 적층 가압된 합판
KR200280217Y1 (ko) 굴곡 형태의 단면을 갖는 열경화성 수지화장판
KR19990065077A (ko) 염화 비닐 수지 시트 적층 멜라민 수지 패션 벽 판넬
JP3656557B2 (ja) 壁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135960B2 (ko)
KR20010100169A (ko) 박피판과 중판이 직교 적층되는 합판 제조방법 및그로부터 제조되는 합판
JPH09174506A (ja) 木質建築材の製造方法
CA1218292A (en) Soft textured reveal edge ceiling board
JPH02151434A (ja) 複合板
CA2202143C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a floor stri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12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07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4121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3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503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31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4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22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22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31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1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31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3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31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2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31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6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306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4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314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316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15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220628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