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이를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하여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의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감광성 고분자 액정 배향제는 하나 이상의 광활성 자리(photoactive group)를 갖는 고분자를 포함한다.
제1 실시예
제1 실시예에서 이 고분자의 일반적인 구조는 하기 화학식 1과 같다.
(m+n=1, 0 ≤ m ≤ 1 그리고 0 ≤ n ≤ 1)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하기 화학식 2의 (1a) 내지 (4a) 중 하나이다.
상기 화학식 2의 (1a)에서 X는 다음 화학식 3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여기서 m과 n은 각각 0∼10이다)
또한, 상기 화학식 2의 (1a)에서 Y는 다음 화학식 4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화학식 4에서 1,2,3,4,5,6,7,8,9는 각각 다음의 화학식 5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여기서 m과 n은 각각 0∼10이며, A와 B는 각각 H, F, Cl, CN, CF3또는 CH3이다)
상기 화학식 2의 (2a)와 (3a)에서 n은 0∼10이며, 1,2,3,4,5는 각각 다음의 화학식 6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여기서 m과 n은 각각 0∼10이며, A와 B는 각각 H, F, Cl, CN, CF3또는 CH3이다)
상기 화학식 2의 (4a)에서 Y는 다음 화학식 7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여기서 n은 0∼10이다)
상기 화학식 2의 (4a)에서 1과 2는 각각 다음 화학식 8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여기서 A는 H, F, CH3, CF3또는 CN이다)
상기 화학식 1에서 R2와 R3은 각각 다음 화학식 9에서 선택된 하나의 아민에 기인하는 것이다.
(여기서 m과 n은 각각 0∼10이다)
그리고, 상기 화학식 1에서 R4와 R5는 각각 다음 화학식 10에서 선택된 하나의 카르복실산 유도체 또는 산이무수물에 기인하는 것이다.
(여기서 m과 n은 각각 0∼10 이다)
본 발명에서 R2, R3과 R4,R5를 연결하는 결합은 아미드 결합 혹은 이미드 결합 혹은 아미드 결합과 이미드 결합의 혼합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본 실시예 1에서는 아미드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화학식 1에서 R2, R3과 R4,R5를 연결하는 결합은 아민과 카르복실산의 반응에서 얻어지는 아미드 결합으로서, 그 반응의 일반적인 형태를 반응식 1에 나타내었다.
상기 화학식 1에서 R2와 R3은 상기 반응식 1의 아민에 기인하는 것으로 각각 다음의 화학식 11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여기서 m과 n은 각각 0∼10이다)
그리고, 상기 화학식 1에서 R4와 R5는 반응식 1의 카르복실산에 기인하는 것으로서 각각 화학식 12에서 선택된 하나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m과 n은 각각 0∼10 이다)
또한, 상기 화학식 1의 감광성 고분자에 포함된 벤젠고리는 표시된 파라-(para-) 구조 외에 오르토-(ortho-) 또는 메타-(meta-) 구조를 갖거나, 또는 오르토-, 메타-, 파라-의 혼합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술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폴리아미드계 감광성 고분자는, 하나 이상의 광활성 자리(photoactive group)를 갖게 되는데, 특히 이러한 광활성 자리 중의 하나는 광분해(photodegradation)를 겪을 수 있으며, 또 다른 하나는 프리스 광자리옮김(Fries rearrangement)을 겪을 수 있고, 그리고 나머지 자리들은 생성된 배향의 강화, 수정 및 보전을 위한 광이량화(photodimerization), 광이성체화(photoisomerization) 또는 광교차결합화(photocrosslinking) 할 수 있다.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본 실시예의 감광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액정 배향제는, 기판상에 도포된 후 자외선을 조사하여 감광성 고분자 액정 배향막을 제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감광성 고분자 액정 배향제는 경사 조사하는 자외광의 경사각에 따라 배향되는 액정의 선경사각에 변화를 줄 수 있으며, 화학구조의 변화 또는 자외광의 조사각을 조작하여 선경사각을 0°가 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감광성 고분자 액정 배향제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액정디스플레이(LCD)는 STN(Super Twisted Nematic), TN(Twisted Nematic), IPS(In Plane Switching), VA(Vertical Alignment), VATN(Vertically Aligned Twisted Nematic) 모드 등 여러 가지 모드에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의 액정 배향막에 의해 액정 배향성이 부여되는 액정 소자는, 상기한 액정표시장치(LCD) 이외에도 보상판(compensator)이나 광부품 등 여러 응용 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감광성 고분자 액정 배향제를 사용하여 액정 배향막을 제조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단계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본 실시예의 감광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액정 배향제를 유기용매에 1∼20 중량%, 1∼100cps의 점도로 용해시켜 기판상에 10∼500nm의 두께로 도포하여 배향막을 형성한다.
상기 유기용매로는, 클로로벤젠(chlorobenzene), N-메틸피롤리돈(NMP), N-에틸피롤리돈(NEP), N,N-디메틸이미다졸리디논(DMI), N,N-디프로필이미다졸리디논(DPI), 디메틸포름아미드(DMF), 디메틸아세트아미드(DMAc), 디메틸술폭시드(DMSO), 시클로펜타논, 시클로헥사논, 디클로로에탄, 부틸셀루솔브(butylcellusolve), 감마부티로락톤(γ-butyrolactone) 및 테트라히드로푸란(THF) 등이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유기용매에 용해된 액정 배향제를 ITO 유리기판 등의 기판상에 10∼500nm 범위의 일정 두께로 도포하여 막을 형성시키는데, 이때 도포방법으로는 스핀코팅, 롤 프린팅 방법 등 가능한 종래 방법이 모두 사용될 수 있다.
제 2 단계
상기 단계에서 얻은 액정 배향제가 도포된 배향막의 표면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감광성 고분자 액정 배향막을 제조한다. 이때 자외선은 편광자를 이용하여 선형 편광시킨 자외선이나 또는 편광자를 사용하지 않은 비편광된 자외선을 경사조사 또는 수직 조사하여 액정 배향막을 제조한다.
이하,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본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다음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양태를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제한하거나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실시예 1-1
신나메이트 감광성 관능기를 갖는 폴리아미드계 감광성 고분자 액정 배향제
(1) 트리아진 고리의 개질
4-(2-테트라히드로피라닐메톡시)브로모벤젠 27.1g를 질소가 충진된 3구 플라스크에서 수분이 제거된 테트라히드로푸란 250㎖로 용해시킨 후 마그네슘 3g와 24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이 용액을 질소가 충진된 3구 플라스크에서 시아누릭 클로라이드 18.4g를 수분이 제거된 테트로히드로푸란 200㎖에 용해시킨 용액에 천천히 적하시키면서 -20℃에서 12시간 반응시켰다.
반응을 종결시킨 후에 반응용액을 상온에서 감압하여 테트라히드로푸란을 제거한 후 에틸아세테이트에 용해시켰다. 이 용액을 염기성 수용액과 혼합하여 격렬하게 교반하면서 불순물을 추출한 후 수용액상을 분리 제거하고, 상온에서 감압하여 에틸아세테이트를 제거하였다.
용매가 제거되고 남아있는 고체상의 물질을 n-헥산에서 재결정하여 2-(4-(2-테트라히드로피라닐메톡시)페닐)-4,6-디클로로-1,3,5-트리아진을 얻었다.
(2) 트리아진 고리에 히드록시 관능기의 도입
실시예 1-1의 (1)에서 얻은 물질 34.0g를 다시 둥근바닥플라스크에 넣어 300㎖의 테트라히드로푸란에 녹인 후 피리디늄파라톨루엔설포네이트 0.3g를 추가로 넣어준 후 에탄올 50㎖를 첨가하여 24시간 반응시켰다.
반응 종결 후 감압증류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남아 있는 고체들을 다시 메틸렌클로라이드에 녹인 후 분별깔대기에서 증류수와 혼합하여 불순물을 2회 추출하였다. 메틸렌클로라이드 용액에 칼슘클로라이드를 넣어 수분을 제거한 후 다시 감압증류하여 용매를 제거하였다. 이 고체상을 메틸렌클로라이드와 노말헥산의 혼합용매에서 재결정하여 2-(4-히드록시페닐)-4,6-디클로로-1,3,5-트리아진을 얻었다.
(3) 신나메이트 측쇄를 갖는 트리아진 고리의 합성
실시예 1-1의 (2)의 방법으로 얻은 트리아진 25.6g를 질소가 충진된 둥근플라스크에 넣고, 수분을 제거한 테트라히드로푸란 200㎖를 넣어 용해시켰다. 이 용액에 트리에틸아민 15.2g를 첨가하고 온도를 -5℃로 낮춘 후, 신나모일클로라이드 25g에 수분을 제거한 테트라히드로푸란 100㎖를 넣어 희석시킨 신나모일클로라이드 용액을 천천히 적하시키면서 격렬하게 12시간 교반, 반응시켰다.
반응 종결시킨 후 반응용액을 감압증류하여 테트라히드로푸란을 제거한 후 메틸렌클로라이드에 녹이고 실리카젤로 충진된 필터를 통과시킨 후 다시 감압증류하여 용매를 제거하였다.
마지막으로 메틸렌클로라이드와 노말헥산의 1:1 혼합용매에서 재결정을 한 후 감압여과하였다. 얻어진 고체상의 물질을 진공건조하여 신나메이트 측쇄를 갖는 트리아진을 얻었다.
(4) 두개의 아민 관능기를 갖는 트리아진 단량체의 합성
실시예 1-1의 (3)의 방법으로 얻은 트리아진 38.6g를 둥근바닥플라스크에 넣고 클로로포름 400㎖에 녹였다. 4-아미노페놀 32.8g와 수산화나트륨 12g를 브롬화세틸트리메틸암모늄 3g를 녹인 증류수 300㎖에 녹여서 앞의 트리아진 용액과 섞어서 격렬하게 24시간 반응시켰다. 반응을 종결시킨 후 유기용액상을 분리하여 분별깔대기에 옮겨 놓고 증류수로 3회 씻어 불순물을 추출한 후 칼슘클로라이드로 수분을 제거하였다. 수분이 제거된 용액을 감압증류하여 유기용매인 클로로포름을 제거한 후 메틸렌클로라이드와 노말헥산의 혼합용매에서 재결정하였다.
석출된 결정을 감압여과한 후 진공건조하여 트리아진 단량체를 얻었다.
(5) 시나메이트 감광성 관능기를 갖는 폴리아미드 감광성 고분자 액정배향제의 중합
실시예 1-1의 (4)의 방법으로 얻은 트리아진 단량체 53.156g를 질소가 충진된 둥근바닥플라스크에 넣고 수분이 제거된 테트라히드로푸란 400㎖에 녹이고, 이 용액에 트리에틸아민 20.238g를 첨가하였다. 테레프탈로일 클로라이드 20.3g를 수분을 제거한 테트라히드로푸란 100㎖에 용해시킨 후, 앞의 트리아진 단량체와 트리에틸아민이 녹아있는 용액에 천천히 적하시키면서 격렬하게 교반하며 12시간 반응시켰다.
반응종결 후 메탄올에 반응용액을 천천히 흘려주어 침전을 시키고 여과하여 침전물을 진공건조하였다. 얻어진 침전물을 다시 테트라히드로푸란에 용해시킨 후 메탄올에 침전시키는 과정을 2회 반복한 후 진공건조시켜 최종적으로 트리아진 고리를 이용하여 신나메이트 감광성 관능기를 갖는 폴리아미드계 고분자 액정 배향제를 합성하였다.
(6) 액정 디스플레이 셀의 제작
수득된 광배향제를 8 중량%의 농도로 NMP와 부틸셀루솔브의 혼합용매에 용해시킨 후 0.1㎛의 미세공 크기를 갖는 여과막에 용액을 통과시켜 용해되지 않은 불순물 입자를 제거하였다. 이 용액을 투명 전극이 도포된 유리기판 위에 약 300㎚의 두께로 프린팅하여 광배향제를 도포시키고, 유리기판을 약 200℃에서 약 1시간 동안 건조시켜 용매를 제거하였다. 이 유리기판을 500 W 수은 램프의 자외광에 대하여 20°의 각도로 2초에서 10분간 1회의 광조사를 통한 시나메이트기의 광중합, 고분자 사슬의 광분해 등 복합적인 광반응을 유도하여 고분자 액정 배향막을 제조하였다. 광반응된 2개의 유리기판 위에 4∼5㎛의 크기를 갖는 스페이서를 뿌린 후, 에폭시 접착제를 이용하여 2개의 유리기판 사이의 두께(cell gap)가 4∼5㎛가 되도록 부착시켰다. 이 셀을 130℃에서 1시간 동안의 경화공정을 거쳐 에폭시 접착제를 경화시킴으로써 두 개의 유리기판이 완전히 접착되게 하여 셀의 제조를 완성하였다. 완성된 셀에 액정을 주입한 후 100∼130℃에서 1시간 동안 열을 가한 후에 온도를 다시 상온으로 떨어뜨리는 열처리 공정을 1회 진행하여 최종적으로 액정 디스플레이 셀을 얻었다.
실시예 1-2
칼콘 감광성 관능기를 갖는 폴리아미드계 감광성 고분자 액정 배향제
(1) 칼콘 감광성 관능기의 합성
4-메톡시칼콘 10g와 시안화나트륨 2.05g를 디메틸설폭시드 100㎖에 용해시킨 후 24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종결 후 반응용액을 클로로포름에 혼합한 후 증류수와 교반시켜 불순물을 추출하였다. 수용액 상을 제거한 후 상온에서 감압시켜 클로로포름을 제거하였다. 남아있는 고체상을 메탄올에서 재결정한 후 40℃에서 진공건조하여 광반응을 위한 측쇄 4-히드록시칼콘을 얻었다.
(2) 트리아진 고리에 칼콘 감광성 관능기의 도입
플라스크에 넣고 수분을 제거한 테트라히드로푸란 240㎖에 녹였다. 여기에 수소화나트륨(NaH) 2.4g를 넣고 상온에서 6시간 반응시켰다. 이 용액을, 실시예 1-1의 (1)와 같이 시아누릭 클로라이드 18.4g를 둥근바닥플라스크에 넣고 수분이 제거된 테트라히드로푸란 200㎖에 녹인 용액에, -5℃에서 천천히 적하시키면서 격렬하게 교반하며 24시간 반응시켰다. 반응을 종결시킨 후 감압증류하여 테트라히드로푸란을 제거하였으며, 얻어진 고체를 다시 클로로포름에 용해시켰다. 이 용액을 분별깔대기에서 증류수로 3회 씻어 불순물을 추출한 후 칼슘 클로라이드로 수분을 제거하였다. 이 용액을 다시 감압증류하여 클로로포름을 제거한 후 메틸렌클로라이드와 노말헥산의 혼합용매로 재결정하였다. 얻어진 물질을 감압여과한 후 진공건조하여 칼콘 감광성 관능기를 갖는 트리아진을 얻었다.
(3) 두 개의 아민 관능기를 갖는 트리아진 단량체의 합성
실시예 1-2의 (2)와 같은 방법으로 합성된 칼콘 감광성 관능기를 갖는 트리아진 38.6g를 둥근바닥플라스크에 넣고 클로로포름 300㎖에 녹였다. 4-아미노페놀 32.8g와 수산화나트륨 12g를, 브롬화세틸트리메틸암모늄 3g를 녹인 증류수 300㎖에 녹여서 앞의 트리아진용액과 섞어서 격렬하게 24시간 반응시켰다. 반응을 종결시킨 후 유기용액상을 분리하여 분별깔대기에 옮겨 놓고 증류수로 3회 씻어 불순물을 추출한 후 칼슘클로라이드로 수분을 제거하였다. 수분이 제거된 용액을 감압증류하여 유기용매인 클로로포름을 제거한 후 메틸렌클로라이드와 노말헥산의 혼합용매에서 재결정하였다. 석출된 결정을 감압여과한 후 진공건조하여 트리아진 단량체를 얻었다.
(4) 칼콘 감광성 관능기를 갖는 폴리아미드 감광성 고분자 액정 배향제의 중합
실시예 1-2의 (3)의 방법으로 얻은 트리아진 단량체 53.15g를 질소가 충진된 둥근바닥플라스크에 넣고 수분이 제거된 테트라히드로푸란 400㎖에 녹인 후 이 용액에 트리에틸아민 20.24g를 첨가하였다. 테레프탈로일 클로라이드 20.3g를 수분을 제거한 테트라히드로푸란 100㎖에 용해시킨 후 앞의 트리아진 단량체와 트리에틸아민이 녹아있는 용액에 천천히 적하시키면서 격렬하게 교반하여 12시간 반응시켰다. 반응종결 후 메탄올에 반응용액을 천천히 흘려주어 침전시키고 여과하여 침전물을 진공건조시켰다. 얻어진 침전물을 다시 테트라히드로푸란에 용해시킨 후 메탄올에 침전시키는 과정을 2회 반복한 후 진공건조시켜 최종적으로 트리아진 고리를 이용하여 칼콘 감광성 관능기를 갖는 폴리아미드계 고분자 액정 배향제를 합성하였다.
(5) 액정 디스플레이 셀의 제작
실시예 1-2의 (4)에서 얻은 폴리아미드 감광성 고분자 액정 배향제를 실시예 1의 (6)와 같은 방법으로 액정 디스플레이 셀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1-3
쿠마린 감광성 관능기를 갖는 폴리아미드계 감광성 고분자 액정배향제
(1) 쿠마린 감광성 관능기의 도입
7-히드록시쿠마린 16.2g와 수소화나트륨(NaH) 2.4g를 질소로 충진되어 있는 둥근바닥플라스크에 넣고, 수분을 제거시킨 테트라히드로푸란 160㎖에 용해시킨 후 격렬하게 교반하여 6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이 용액을, 실시예 1-1의 (1)와 같이 시아누릭 클로라이드 18.4g를 둥근바닥플라스크에 넣고 수분이 제거된 테트라히드로푸란 200㎖에 녹인 용액에, -5℃에서 천천히 적하시키면서 격렬하게 교반하여 24시간 반응시켰다. 반응을 종결시킨 후 감압증류하여 테트라히드로푸란을 제거하였으며, 얻어진 고체를 다시 클로로포름에 용해시켰다. 이 용액을 분별깔대기에서 증류수로 3회 씻어 불순물을 추출한 후 칼슘 클로라이드로 수분을 제거하였다. 이 용액을 다시 감압증류하여 클로로포름을 제거한 후 메틸렌클로라이드와 노말헥산의 혼합용매로 재결정하였다. 얻어진 물질을 감압여과한 후 진공건조하여 쿠마린 감광성 관능기를 갖는 트리아진을 얻었다.
(2) 두 개의 아민 관능기를 갖는 트리아진 단량체의 합성
실시예 1-3의 (1)와 같은 방법으로 합성된 쿠마린 감광성 관능기를 갖는 트리아진 31.1g를 둥근바닥플라스크에 넣고 클로로포름 300㎖에 녹였다. 4-아미노페놀 32.8g와 수산화나트륨 12g를, 브롬화세틸트리메틸암모늄 3g를 녹인 증류수 300㎖에 녹여서 앞의 트리아진용액과 섞어서 격렬하게 24시간 반응시켰다. 반응을 종결시킨 후 유기용액상을 분리하여 분별깔대기에 옮겨 놓고 증류수로 3회 씻어 불순물을 추출한 후 칼슘클로라이드로 수분을 제거하였다. 수분이 제거된 용액을 감압증류하여 유기용매인 클로로포름을 제거한 후 메틸렌클로라이드와 노말헥산의 혼합용매에서 재결정하였다. 석출된 결정을 감압여과한 후 진공건조하여 트리아진 단량체를 얻었다.
(3) 쿠마린 감광성 관능기를 갖는 폴리아미드 감광성 고분자 액정 배향제의 중합
실시예 1-3의 (2)의 방법으로 얻은 트리아진 단량체 45.54g를 질소가 충진된 둥근바닥플라스크에 넣고 수분이 제거된 테트라히드로푸란 400㎖에 녹인 후 이 용액에 트리에틸아민 20.24g를 첨가하였다. 테레프탈로일 클로라이드 20.3g를 수분이 제거된 테트라히드로푸란 100㎖에 용해시킨 후 앞의 트리아진 단량체와 트리에틸아민이 녹아있는 용액에 천천히 적하시키면서 격렬하게 교반시켜 12시간 반응시켰다. 반응종결 후 메탄올에 반응용액을 천천히 흘려주어 침전을 시키고 여과하여 침전물을 진공건조하였다. 얻어진 침전물을 다시 테트라히드로푸란에 용해시킨 후 메탄올에 침전시키는 과정을 2회 반복한 후 진공건조시켜 최종적으로 트리아진 고리를 이용하여 쿠마린 감광성 관능기를 갖는 폴리아미드계 고분자 액정 배향제를 합성하였다.
(4) 액정 디스플레이 셀의 제작
실시예 1-3의 (3)에서 얻은 폴리아미드 감광성 고분자 액정 배향제를 실시예 1-1의 (6)와 같은 방법으로 액정 디스플레이 셀을 제작하였다.
시험예 : 액정 디스플레이 셀의 특성 측정
실시예 1-1 내지 1-3에서 제조된 액정 디스플레이 셀의 전기 광학 특성, 열안정성, 광안정성, 잔류 DC 및 VHR 특성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 2, 3, 4 에 나타내었다
시험예 1 : 열처리에 따른 선경사각의 변화
하기 표 1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감광성 고분자 액정 배향제는 기존에 사용되는 폴리이미드의 기본 특성인 열안정성과 광학적 투명성 및 우수한 도포 특성을 갖고 있으며, 여기에 폴리아미드계 고분자의 특징인 높은 기계적 특성 등을 갖고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고분자 액정 배향제를 이용하여 광배향 액정 셀을 제조할 경우 단순한 공정으로 멀티도메인 액정배향을 얻을 수 있으며, 고온공정인 실베이킹 후에도 액정의 선경사각이 유지되는 등 현저하게 향상된 배향 특성으로 인하여 고화질과 광시야각이 요구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구 분 |
실시예 1-1 |
실시예 1-2 |
실시예 1-3 |
공 정 |
광조사 |
광조사 |
광조사 |
농 도 |
8 중량% |
8 중량% |
8 중량% |
선경사각 |
상온 |
0~5° |
0~3° |
0~4° |
열처리 후 |
0~5° |
0~3° |
0~4° |
대비비 |
195 |
190 |
190 |
주) 1. 선경사각 측정은 crystal angle rotation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음.
2. 열처리는 실베이킹 온도인 150℃에서 3분간 실시하였음.
시험예 2 : 열안정성
액정 셀의 열안정성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액정 셀의 초기 선경시각을 측정한 후 150℃에서 열노화를 시키면서 시간에 따른 선경사각의 변화를 상온에서 측정하였다. 배향의 열안정성이 불안정한 경우 선경사각이 시간에 따라 변화하였으며, 안정한 경우에는 거의 변화가 없었다. 하기 표 2에 실시결과를 나타내었다. 하기 표 2를 통해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광배향제는 장시간의 열노화 상태에서도 액정의 배향과 선경사각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우수한 열안정성을 갖고 있어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하기 위한 기본 특성을 만족시킨다.
구 분 |
실시예 1-1 |
실시예 1-2 |
실시예 1-3 |
선경사각 |
~ 5° |
~ 4° |
~ 4° |
열노화온도 |
150℃ |
150℃ |
150℃ |
열노화시간 |
48시간 |
48시간 |
48시간 |
선경사각 변화량 |
없음 |
없음 |
없음 |
시험예 3 : 광안정성
실시예 1-1, 1-2, 1-3의 액정 셀 제조 방법에 따라 광안정성 측정용 액정 셀을 제조하여 광안정성을 측정하였다. 광안정성 측정은 하나의 액정 셀의 배향면에 1~10분간 자외선과 가시광선 영역의 빛을 조사한 후 액정 셀의 조사면과 비조사면의 배향특성의 변화를 편광자를 이용하여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그 결과를 아래의 표 3에 나타내었다. 일반적으로 광안정성이 없는 액정 셀은 조사된 빛에 의해 광조사면의 액정배향에 변화가 유도되어 액정의 배향특성이 변하게 되므로, 비조사면과 현격한 차이를 나타내거나 배향이 파괴되어 액정배향이 불특정 방향으로 혼합되게 되므로 디스플레이 소자로 사용할 수 없게 된다.
구 분 |
실시예 1-1 |
실시예 1-2 |
실시예 1-3 |
광조사량 |
0.5J/cm2 |
변화 없음 |
변화 없음 |
변화 없음 |
1J/cm2 |
변화 없음 |
변화 없음 |
변화 없음 |
2J/cm2 |
변화 없음 |
변화 없음 |
변화 없음 |
광조사각 |
90° |
변화 없음 |
변화 없음 |
변화 없음 |
80° |
변화 없음 |
변화 없음 |
변화 없음 |
70° |
변화 없음 |
변화 없음 |
변화 없음 |
시험예 4 : 잔류 DC 및 전압보유율(Voltage Holding ratio: VHR)
잔류 DC는 액정 셀의 양단에 직류전압을 -10V∼10V 사이에서 변화시키면서 인가하여 이때 정전용량값을 측정하여 그 이력값의 크기로부터 잔류 DC를 구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실험에 사용되는 액정 셀은 4∼6μm 두께를 갖는 TN구조의 시료들로,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 1-1 내지 1-3의 제조방법으로 준비하였다. 준비된 액정 셀의 두 전극을 LCD meter(Fluke 6306)에 연결하여 직류전원을 0V에서 시작하여 10V, 0V, -10V와 같이 변화시키면서 1 kHz에서 정전용량의 변화를 기록하였다.전압에 따른 정전용량 변화의 이력(Hysteresis)을 구하여 이로부터 잔류 DC를 측정하였다. 전압보유율(Voltage Holding ratio: VHR)은 ±1 Volt, 60 Hz의 주기로 64μs의 폭을 갖는 펄스를 가하여 처음에 가해진 전압이 한 주기 내에서 유지되는 비율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4에 나타나 있는 것처럼 세 경우 모두 20℃에서 10∼13 mV의 낮은 잔류 DC가 측정되었고, VHR도 98∼99%로 높게 나타났다. 이는 본 실시예의 광배향제가 액정 디스플레이 소자로 활용되기 위한 기본 특성을 만족시키는 것을 나타낸다.
구 분 |
실시예 1-1 |
실시예 1-2 |
실시예 1-3 |
R-DC |
20℃ |
10 mV |
11 mV |
13 mV |
60℃ |
30 mV |
35 mV |
33 mV |
VHR |
20℃ |
99% |
99% |
98% |
60℃ |
98% |
96% |
97% |
제2 실시예
제2 실시예에서 고분자의 일반적인 구조는 하기 화학식 13과 같다.
(m+n=1, 0 ≤ m ≤ 1 그리고 0 ≤ n ≤ 1)
상기 화학식 13에서 R1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그러나, 상기 화학식 13에서 R2, R3과 R4, R5를 연결하는 결합은 아민과 산이무수물의 반응에서 얻어지는 이미드 결합으로서, 그 반응의 일반적인 형태를 다음의 반응식 2에 나타내었다.
상기 화학식 13에서 R2와 R3은 상기 반응식 2의 아민에 기인하는 것으로 각각 다음의 화학식 14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여기서 m과 n은 각각 0∼10이다)
그리고, 상기 화학식 13에서 R4와 R5는 반응식 2의 산이무수물에 기인하는 것으로 각각 다음의 화학식 15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또한, 상기 화학식 13의 감광성 고분자에 포함된 벤젠고리는 표시된 파라-(para-) 구조 외에 오르토-(ortho-) 또는 메타-(meta-) 구조를 갖거나, 또는 오르토-, 메타-, 파라-의 혼합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술한 화학식 13으로 표시되는 본 실시예의 폴리이미드계 감광성 고분자는 제1 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하나 이상의 광활성 자리(photoactive group)를 갖게 되는데, 특히 이러한 광활성 자리 중의 하나는 광분해(photodegradation)를 겪을 수 있으며, 또 다른 하나는 프리스 광자리옮김(Fries rearrangement)을 겪을 수 있고, 그리고 나머지 자리들은 생성된 배향의 강화, 수정 및 보전을 위한 광이량화(photodimerization), 광이성체화(photoisomerization) 또는 광교차결합화(photocrosslinking) 할 수 있다.
화학식 13으로 표시되는 본 실시예의 감광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액정 배향제는 제1 실시예의 경우와 실질적으로 거의 동일한 특성 및 적용범위를 가진다.
또한, 본 실시예의 폴리이미드계 감광성 고분자 액정 배향제를 사용하여 액정 배향막을 제조하는 방법은 제1 실시예의 폴리아미드계 감광성 고분자 액정 배향제를 사용하여 액정 배향막을 제조하는 방법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하,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본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다음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양태를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제한하거나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실시예 2-1
신나메이트 감광성 관능기를 갖는 폴리이미드계 감광성 고분자 액정 배향제
(1) 트리아진 고리의 개질
4-(2-테트라히드로피라닐메톡시)브로모벤젠 27.1g를 질소가 충진된 3구 플라스크에서 수분이 제거된 테트라히드로푸란 250㎖로 용해시킨 후 마그네슘 3g와 24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이 용액을 질소가 충진된 3구 플라스크에서, 시아누릭 클로라이드 18.4g를 수분이 제거된 테트로히드로푸란 200㎖에 용해시킨 용액에 천천히 적하시키면서 -20℃에서 12시간 반응시켰다.
반응을 종결시킨 후에 반응용액을 상온에서 감압하여 테트라히드로푸란을 제거한 후 에틸아세테이트에 용해시켰다. 이 용액을 염기성 수용액과 혼합하여 격렬하게 교반하면서 불순물을 추출한 후 수용액상을 분리 제거하고, 상온에서 감압하여 에틸아세테이트를 제거하였다.
용매가 제거되고 남아있는 고체상의 물질을 n-헥산에서 재결정하여 2-(4-(2-테트라히드로피라닐메톡시)페닐)-4,6-디클로로-1,3,5-트리아진을 얻었다.
(2) 트리아진 고리에 히드록시 관능기의 도입
상기 (1)에서 얻은 물질 34.0g를 다시 둥근바닥플라스크에 넣어 300㎖의 테트라히드로푸란에 녹인 후 피리디늄파라톨루엔설포네이트 0.3g를 추가로 넣어준 후 에탄올 50㎖를 첨가하여 24시간 반응시켰다.
반응종결 후 감압증류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남아 있는 고체들을 다시 메틸렌클로라이드에 녹인 후 분별깔대기에서 증류수와 혼합하여 불순물을 2회 추출하였다. 메틸렌클로라이드 용액에 칼슘클로라이드를 넣어 수분을 제거한 후 다시 감압증류하여 용매를 제거하였다. 이 고체상을 메틸렌클로라이드와 노말헥산의 혼합용매에서 재결정하여 2-(4-히드록시페닐)-4,6-디클로로-1.3,5-트리아진을 얻었다.
(3) 신나메이트 측쇄를 갖는 트리아진 고리의 합성
상기 (2)의 방법으로 얻은 트리아진 25.6g를 질소가 충진된 둥근바닥플라스크에 넣고, 수분을 제거한 테트라히드로푸란 200㎖를 넣어 용해시켰다. 이 용액에 트리에틸아민 15.2g를 첨가하고 온도를 -5℃로 낮춘 후, 신나모일클로라이드 25g에 수분을 제거한 테트라히드로푸란 100㎖를 넣어 희석시킨 신나모일클로라이드 용액을 천천히 적하시키면서 격렬하게 12시간 교반, 반응시켰다.
반응을 종료시킨 후, 반응용액을 감압증류하여 테트라히드로푸란을 제거한 후 메틸렌클로라이드에 녹이고 실리카젤로 충진된 필터를 통과시킨 후 다시 감압증류하여 용매를 제거하였다.
마지막으로 메틸렌클로라이드와 노말헥산의 1:1 혼합용매에서 재결정을 한 후 감압여과하였다. 얻어진 고체상의 물질을 진공건조하여 신나메이트 측쇄를 갖는 트리아진을 얻었다.
(4) 두개의 아민 관능기를 갖는 트리아진 단량체의 합성
상기 (3)의 방법으로 얻은 트리아진 38.6g를 둥근바닥플라스크에 넣고 클로로포름 400㎖에 녹였다. 4-아미노페놀 32.8g와 수산화나트륨 12g를 브롬화세틸트리메틸암모늄 3g를 녹인 증류수 300㎖에 녹여서 앞의 트리아진 용액과 섞어서 격렬하게 24시간 반응시켰다. 반응을 종결시킨 후 유기용액상을 분리하여 분별깔대기에 옮겨 놓고 증류수로 3회 씻어 불순물을 추출한 후 칼슘 클로라이드로 수분을 제거하였다. 수분이 제거된 용액을 감압증류하여 유기용매인 클로로포름을 제거한 후 메틸렌클로라이드와 노말헥산의 혼합용매에서 재결정하였다.
석출된 결정을 감압여과한 후 진공건조하여 트리아진 단량체를 얻었다.
(5) 시나메이트 감광성 관능기를 갖는 폴리이미드 감광성 고분자 액정배향제의 중합
상기 (4)의 방법으로 얻은 트리아진 단량체 53.156g를 질소가 충진된 둥근바닥플라스크에 넣고 N-메틸피롤리돈 400㎖에 녹였다. 1,2,4,5-벤젠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 21.8g를 N-메틸피롤리돈 100㎖에 용해시킨 후 앞의 트리아진 단량체가 녹아 있는 용액에 천천히 적하시키면서 격렬하게 교반시켜 24시간 반응시켰다.
반응종결 후 메탄올에 반응용액을 천천히 흘려주어 침전을 시키고 여과하여 침전물을 진공 건조시켰다. 얻어진 침전물을 다시 N-메틸피롤리돈에 용해시킨 후 메탄올에 침전시키는 과정을 2회 반복한 후 진공건조시켜 최종적으로 트리아진 고리를 이용하여 신나메이트 감광성 관능기를 갖는 폴리이미드계 고분자 액정 배향제의 전단계 물질인 폴리아믹산을 합성하였다.
(6) 액정 디스플레이 셀의 제작
수득된 광배향제를 8 중량%의 농도로 NMP와 부틸셀루솔브의 혼합용매에 용해시킨 후 0.1㎛의 미세공 크기를 갖는 여과막에 용액을 통과시켜 용해되지 않은 불순물 입자를 제거하였다. 이 용액을 투명 전극이 도포된 유리기판 위에 300㎚의 두께로 프린팅하여 광배향제를 도포시키고, 유리기판을 약 200℃에서 약 1시간 동안 건조시켜 용매를 제거하면서 이미드화 반응을 시켰다. 이 유리기판을 500 W 수은 램프의 자외광에 대하여 20°의 각도로 2초에서 10분간 1회의 광조사를 통한 시나메이트기의 광중합, 고분자 사슬의 광분해 등 복합적인 광반응을 유도하여 고분자 액정 배향막을 제조하였다. 광반응된 2개의 유리기판 위에 4∼5㎛의 크기를 갖는 스페이서를 뿌린 후, 에폭시 접착제를 이용하여 2개의 유리기판 사이의 두께(cell gap)가 4∼5㎛가 되도록 부착시켰다. 이 셀을 130℃에서 1시간 동안의 경화공정을 거쳐 에폭시 접착제를 경화시킴으로써 두 개의 유리기판이 완전히 접착되게 하여 셀의 제조를 완성하였다. 완성된 셀에 액정을 주입하고 100∼130℃에서 1시간 동안 열을 가한 후 온도를 다시 상온으로 떨어뜨리는 열처리 공정을 1회 진행하여 최종적으로 액정 디스플레이 셀을 얻었다.
실시예 2-2
칼콘 감광성 관능기를 갖는 폴리이미드계 감광성 고분자 액정 배향제
(1) 칼콘 감광성 관능기의 합성
4-메톡시칼콘 10g와 시안화나트륨 2.05g를 디메틸설폭시드 100㎖에 용해시킨 후 24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종결 후 반응용액을 클로로포름에 혼합한 후 증류수와 교반시켜 불순물을 추출하였다. 수용액 상을 제거한 후 상온에서 감압시켜 클로로포름을 제거하였다. 남아있는 고체상을 메탄올에서 재결정한 후 40℃에서 진공건조하여 광반응을 위한 측쇄 4-히드록시칼콘을 얻었다.
(2) 트리아진 고리에 칼콘 감광성 관능기의 도입
실시예 2-2의 (1)의 방법으로 합성된 4-히드록시칼콘 23.8g를 질소가 충진된 둥근바닥플라스크에 넣고 수분을 제거한 테트라히드로푸란 240㎖에 녹인 후 여기에 수소화나트륨(NaH) 2.4g를 넣고 상온에서 6시간 반응시켰다. 이 용액을, 실시예 2-1의 (1)와 같이 트리아진 18.4g를 둥근바닥플라스크에 넣고 수분이 제거된 테트라히드로푸란 200㎖에 녹인 용액에, -5℃에서 천천히 적하시키면서 격렬하게 교반하며 24시간 반응시켰다. 반응을 종결시킨 후 감압증류하여 테트라히드로푸란을 제거하였으며, 얻어진 고체를 다시 클로로포름에 용해시켰다. 이 용액을 분별깔대기에서 증류수로 3회 씻어 불순물을 추출한 후 칼슘 클로라이드로 수분을 제거하였다. 이 용액을 다시 감압증류하여 클로로포름을 제거한 후 메틸렌클로라이드와 노말헥산의 혼합용매로 재결정하였다. 얻어진 물질을 감압여과한 후 진공건조하여 칼콘 감광성 관능기를 갖는 트리아진을 얻었다.
(3) 두 개의 아민 관능기를 갖는 트리아진 단량체의 합성
실시예 2-2의 (2)와 같은 방법으로 합성된 칼콘 감광성 관능기를 갖는 트리아진 38.6g를 둥근바닥플라스크에 넣고 클로로포름 400㎖에 녹였다. 또한, 4-아미노페놀 32.8g와 수산화나트륨 12g를, 브롬화세틸트리메틸암모늄 3g를 녹인 증류수 300㎖에 녹여서 앞의 트리아진용액과 섞어서 격렬하게 24시간 반응시켰다. 반응을 종결시킨 후 유기용액상을 분리하여 분별깔대기에 옮겨 놓고 증류수로 3회 씻어 불순물을 추출한 후 칼슘클로라이드로 수분을 제거하였다. 수분이 제거된 용액을 감압증류하여 유기용매인 클로로포름을 제거한 후 메틸렌클로라이드와 노말헥산의 혼합용매에서 재결정하였다. 석출된 결정을 감압여과한 후 진공건조하여 트리아진 단량체를 얻었다.
(4) 칼콘 감광성 관능기를 갖는 폴리이미드 감광성 고분자 액정 배향제의 중합
실시예 2-2의 (3)의 방법으로 얻은 트리아진 단량체 53.15g를 질소가 충진된 둥근바닥플라스크에 넣고 N-메틸피롤리돈 400㎖에 녹였다. 1,2,4,5-벤젠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 21.8g를 N-메틸피롤리돈 100㎖에 용해시킨 후 앞의 트리아진 단량체가 녹아있는 용액에 천천히 적하시키면서 격렬하게 교반시켜 24시간 반응시켰다. 반응종결 후 메탄올에 반응용액을 천천히 흘려주어 침전을 시키고 여과하여 침전물을 진공건조시켰다. 얻어진 침전물을 다시 N-메틸피롤리돈에 용해시킨 후 메탄올에 침전시키는 과정을 2회 반복한 후 진공건조시켜 최종적으로 트리아진 고리를 이용하여 칼콘 감광성 관능기를 갖는 폴리이미드계 고분자 액정 배향제의 전단계 물질인 폴리아믹산을 합성하였다.
(5) 액정 디스플레이 셀의 제작
실시예 2-2의 (4)에서 얻은 폴리이미드 감광성 고분자 액정 배향제를 실시예 2-1의 (6)와 같은 방법으로 액정 디스플레이 셀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2-3
쿠마린 감광성 관능기를 갖는 폴리이미드계 감광성 고분자 액정배향제
(1) 쿠마린 감광성 관능기의 도입
7-히드록시쿠마린 16.2g와 수소화나트륨(NaH) 2.4g를 질소로 충진되어 있는 둥근바닥플라스크에 넣고 수분을 제거시킨 테트라히드로푸란 160㎖에 용해시킨 후 격렬하게 교반하여 6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이 용액을, 실시예 2-1의 (1)와 같이 트리아진 18.4g를 둥근바닥플라스크에 넣고 수분이 제거된 테트라히드로푸란 200㎖에 녹인 용액에, -5℃에서 천천히 적하시키면서 격렬하게 교반하며 24시간 반응시켰다. 반응을 종결시킨 후 감압증류하여 테트라히드로푸란을 제거하였으며, 얻어진 고체를 다시 클로로포름에 용해시켰다. 이 용액을 분별깔대기에서 증류수로 3회 씻어 불순물을 추출한 후 칼슘 클로라이드로 수분을 제거하였다. 이 용액을 다시 감압증류하여 클로로포름을 제거한 후 메틸렌클로라이드와 노말헥산의 혼합용매로 재결정하였다. 얻어진 물질을 감압여과한 후 진공건조하여 쿠마린 감광성 관능기를 갖는 트리아진을 얻었다.
(2) 두 개의 아민 관능기를 갖는 트리아진 단량체의 합성
실시예 2-3의 (1)와 같은 방법으로 합성된 쿠마린 감광성 관능기를 갖는 트리아진 31.1g를 둥근바닥플라스크에 넣고 클로로포름 400㎖에 녹였다. 또한, 4-아미노페놀 32.8g와 수산화나트륨 12g를, 브롬화세틸트리메틸암모늄 3g를 녹인 증류수 300㎖에 녹여서 앞의 트리아진용액과 섞어서 격렬하게 24시간 반응시켰다. 반응을 종결시킨 후 유기용액상을 분리하여 분별깔대기에 옮겨 놓고 증류수로 3회 씻어 불순물을 추출한 후 칼슘클로라이드로 수분을 제거하였다. 수분이 제거된 용액을 감압증류하여 유기용매인 클로로포름을 제거한 후 메틸렌클로라이드와 노말헥산의 혼합용매에서 재결정하였다. 석출된 결정을 감압여과한 후 진공건조하여 트리아진 단량체를 얻었다.
(3) 쿠마린 감광성 관능기를 갖는 폴리이미드 감광성 고분자 액정 배향제의 중합
실시예 2-3의 (2)의 방법으로 얻은 트리아진 단량체 45.54g를 질소가 충진된 둥근바닥플라스크에 넣고 N-메틸피롤리돈 400㎖에 녹였다. 1,2,4,5-벤젠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 21.8g를 N-메틸피롤리돈 100㎖에 용해시킨 후 앞의 트리아진 단량체가 녹아있는 용액에 천천히 적하시키면서 격렬하게 교반시켜 24시간 반응시켰다. 반응종결 후 메탄올에 반응용액을 천천히 흘려주어 침전을 시키고 여과하여 침전물을 진공건조시켰다. 얻어진 침전물을 다시 N-메틸피롤리돈에 용해시킨 후 메탄올에 침전시키는 과정을 2회 반복한 후 진공건조시켜 최종적으로 트리아진 고리를 이용하여 쿠마린 감광성 관능기를 갖는 폴리이미드계 고분자 액정 배향제의전단계 물질인 폴리아믹산을 합성하였다.
(4) 액정 디스플레이 셀의 제작
실시예 2-3의 (3)에서 얻은 폴리이미드 감광성 고분자 액정 배향제를 실시예 2-1의 (6)와 같은 방법으로 액정 디스플레이 셀을 제작하였다.
시험예 : 액정 디스플레이 셀의 특성 측정
실시예 2-1 내지 2-3에서 제조된 액정 디스플레이 셀의 전기 광학 특성, 열안정성, 광안정성, 잔류 DC 및 VHR 특성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5, 6, 7, 8에 나타내었다.
시험예 1 : 열처리에 따른 선경사각의 변화
하기 표 5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감광성 고분자 액정 배향제는 기존에 사용되는 폴리이미드의 기본 특성인 열안정성과 광학적 투명성, 우수한 도포 특성 및 높은 기계적 특성 등을 가지고 있다. 이와 더불어 감광성 관능기를 가지고 있어 배향을 위한 광조사량이 기존의 폴리이미드 배향제에 비하여 줄어드는 장점도 가지고 있다. 본 실시예의 배향제를 이용하여 광배향 액정 셀을 제조할 경우 단순한 공정으로 멀티도메인 액정배향을 얻을 수 있으며 고온공정인 실베이킹 후에도 액정의 선경사각이 유지되는 등 현저하게 향상된 배향 특성으로 인하여 고화질과 광시야각이 요구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구 분 |
실시예 2-1 |
실시예 2-2 |
실시예 2-3 |
공 정 |
광조사 |
광조사 |
광조사 |
농 도 |
8 중량% |
8 중량% |
8 중량% |
선경사각 |
상온 |
0~4° |
0~3° |
0~4° |
열처리 후 |
0~4° |
0~3° |
0~4° |
대비비 |
195 |
190 |
190 |
주) 1. 선경사각 측정은 crystal angle rotation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음.
2. 열처리는 실베이킹 온도인 150℃에서 3분간 실시하였음.
시험예 2 : 열안정성
액정 셀의 열안정성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액정 셀의 초기 선경시각을 측정한 후 200℃에서 열노화를 시키면서 시간에 따른 선경사각의 변화를 상온에서 측정하였다. 배향의 열안정성이 불안정한 경우 선경사각이 시간에 따라 변화하였으며, 안정한 경우에는 거의 변화가 없었다. 하기 표 6에 실시결과를 나타내었다. 하기 표 6을 통해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광배향제는 장시간의 열노화 상태에서도 액정의 배향과 선경사각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우수한 열안정성을 갖고 있어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하기 위한 기본 특성을 만족시킨다.
구 분 |
실시예 2-1 |
실시예 2-2 |
실시예 2-3 |
선경사각 |
~ 4° |
~ 3° |
~ 4° |
열노화온도 |
200℃ |
200℃ |
200℃ |
열노화시간 |
48시간 |
48시간 |
48시간 |
선경사각 변화량 |
없음 |
없음 |
없음 |
시험예 3 : 광안정성
실시예 2-1, 2-2, 2-3의 액정 셀 제조 방법에 따라 광안정성 측정용 액정 셀을 제조하여 광안정성을 측정하였다. 광안정성 측정은 하나의 액정 셀의 배향면에 1~10분간 자외선과 가시광선 영역의 빛을 조사한 후 액정 셀의 조사면과 비조사면의 배향특성의 변화를 편광자를 이용하여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그 결과를 아래의 표 7에 나타내었다. 일반적으로 광안정성이 없는 액정 셀은 조사된 빛에 의해 광조사면의 액정배향에 변화가 유도되어 액정의 배향특성이 변하게 되므로, 비조사면과 현격한 차이를 나타내거나 배향이 파괴되어 액정배향이 불특정 방향으로 혼합되게 되므로 디스플레이 소자로 사용할 수 없게 된다.
구 분 |
실시예 2-1 |
실시예 2-2 |
실시예 2-3 |
광조사량 |
0.5J/cm2 |
변화 없음 |
변화 없음 |
변화 없음 |
1J/cm2 |
변화 없음 |
변화 없음 |
변화 없음 |
2J/cm2 |
변화 없음 |
변화 없음 |
변화 없음 |
광조사각 |
90° |
변화 없음 |
변화 없음 |
변화 없음 |
80° |
변화 없음 |
변화 없음 |
변화 없음 |
70° |
변화 없음 |
변화 없음 |
변화 없음 |
시험예 4 : 잔류 DC 및 전압보유율(Voltage Holding ratio: VHR)
잔류 DC는 액정 셀의 양단에 직류전압을 -10V∼10V 사이에서 변화시키면서 인가하여 이때 정전용량값을 측정하여 그 이력값의 크기로부터 잔류 DC를 구하는방법을 사용하였다. 실험에 사용되는 액정 셀은 4∼6μm 두께를 갖는 TN구조의 시료들로,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 2-1 내지 2-3의 제조방법으로 준비하였다. 준비된 액정 셀의 두 전극을 LCD meter(Fluke 6306)에 연결하여 직류전원을 0V에서 시작하여 10V, 0V, -10V와 같이 변화시키면서 1 kHz에서 정전용량의 변화를 기록하였다. 전압에 따른 정전용량 변화의 이력(Hysteresis)을 구하여 이로부터 잔류 DC를 측정하였다. 전압보유율(Voltage Holding ratio: VHR)은 ±1 Volt, 60 Hz의 주기로 64μs의 폭을 갖는 펄스를 가하여 처음에 가해진 전압이 한 주기 내에서 유지되는 비율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8에 나타나 있는 것처럼 세 경우 모두 20℃에서 10∼13 mV의 낮은 잔류 DC가 측정되었고, VHR도 98∼99%로 높게 나타났다. 이는 본 실시예의 광배향제가 액정 디스플레이 소자로 활용되기 위한 기본 특성을 만족시키는 것을 나타낸다.
구 분 |
실시예 2-1 |
실시예 2-2 |
실시예 2-3 |
R-DC |
20℃ |
8 mV |
10 mV |
10 mV |
60℃ |
25 mV |
30 mV |
32 mV |
VHR |
20℃ |
99% |
99% |
98% |
60℃ |
99% |
98% |
97% |
제3 실시예
제3 실시예에서 고분자의 일반적인 구조는 하기 화학식 16과 같다.
(m+n=1, 0 ≤ m ≤ 1 그리고 0 ≤ n ≤ 1)
상기 화학식 16에서 R1은 제1 및 제2 실시예와 동일하다.
상기 화학식 16에서 R2, R3과 R4를 연결하는 결합은 아민과 카르복실산의 반응에서 얻어지는 아미드 결합으로서, 그 반응의 일반적인 형태를 다음의 반응식 3에 나타내었다.
상기 화학식 16에서 R2, R3과 R5를 연결하는 결합은 아민과 산이무수물의 반응에서 얻어지는 이미드 결합으로서, 그 반응의 일반적인 형태를 다음의 반응식 4에 나타내었다.
따라서, 상기 화학식 16의 연결부인 이미드결합과 아미드결합은 아민과 카르복실산 또는 산이무수물의 반응에서 얻어지는 것으로서, 각각 반응식 3과 반응식 4의 반응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화학식 16에서 R2와 R3은 반응식 3과 반응식 4의 아민에 기인하는 것으로서, 각각 화학식 14에서 선택된 하나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화학식 16에서 R4는 반응식 3의 카르복실산에 기인하는 것으로서 각각 화학식 12에서 선택된 하나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화학식 16에서 R5는 반응식 4의 산이무수물에 기인하는 것으로서 각각 화학식 15에서 선택된 하나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화학식 16의 감광성 고분자에 포함된 벤젠고리는 표시된 파라-(para-) 구조 외에 오르토-(ortho-) 또는 메타-(meta-) 구조를 갖거나, 또는 오르토-, 메타-, 파라-의 혼합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술한 화학식 16으로 표시되는 본 실시예의 폴리(아미드-이미드) 공중합체 감광성 고분자는 제1 및 제2 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하나 이상의 광활성 자리(photoactive group)를 갖게 되는데, 특히 이러한 광활성 자리 중의 하나는 광분해(photodegradation)를 겪을 수 있으며, 또 다른 하나는 프리스 광자리옮김(Fries rearrangement)을 겪을 수 있고, 그리고 나머지 자리들은 생성된 배향의 강화, 수정 및 보전을 위한 광이량화(photodimerization) 또는 광교차결합화(photocrosslinking)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폴리(아미드-이미드) 공중합체 감광성 고분자는 폴리아미드와 폴리이미드 배향제를 혼합하여 사용할 때, 상분리를 억제해주는 상용화제(compatibilizer)로 사용할 수 있다.
화학식 16으로 표시되는 본 실시예의 감광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액정 배향제는 제1 실시예의 경우와 실질적으로 거의 동일한 특성 및 적용범위를 가진다.
또한, 본 실시예의 폴리(아미드-이미드) 공중합체 감광성 고분자 액정 배향제를 사용하여 액정 배향막을 제조하는 방법은 제1 실시예의 폴리아미드계 감광성 고분자 액정 배향제를 사용하여 액정 배향막을 제조하는 방법 및 제2 실시예의 폴리이미드계 감광성 고분자 액정 배향제를 사용하여 액정 배향막을 제조하는 방법과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하,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본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다음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양태를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제한하거나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실시예 3-1
신나메이트 감광성 관능기를 갖는 폴리(아미드-이미드) 감광성 고분자 액정 배향제
(1) 트리아진 고리의 개질
4-(2-테트라히드로피라닐메톡시)브로모벤젠 27.1g를 질소가 충진된 3구 플라스크에서 수분이 제거된 테트라히드로푸란 250㎖로 용해시킨 후 마그네슘 3g와 24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이 용액을 질소가 충진된 3구 플라스크에서, 시아누릭 클로라이드 18.4g를 수분이 제거된 테트로히드로푸란 200㎖에 용해시킨 용액에 천천히 적하시키면서 -20℃에서 12시간 반응시켰다.
반응을 종결시킨 후에 반응용액을 상온에서 감압하여 테트라히드로푸란을 제거한 후 에틸아세테이트에 용해시켰다. 이 용액을 염기성 수용액과 혼합하여 격렬하게 교반하면서 불순물을 추출한 후 수용액상을 분리 제거하고, 상온에서 감압하여 에틸아세테이트를 제거하였다.
용매가 제거되고 남아있는 고체상의 물질을 n-헥산에서 재결정하여 2-(4-(2-테트라히드로피라닐메톡시)페닐)-4,6-디클로로-1,3,5-트리아진을 얻었다.
(2) 트리아진 고리에 히드록시 관능기의 도입
상기 (1)에서 얻은 물질 34.0g를 다시 둥근바닥플라스크에 넣어 300㎖의 테트라히드로푸란에 녹인 후 피리디늄파라톨루엔설포네이트 0.3g를 추가로 넣어준 후 에탄올 50㎖를 첨가하여 24시간 반응시켰다.
반응종결 후 감압증류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남아 있는 고체들을 다시 메틸렌클로라이드에 녹인 후 분별깔대기에서 증류수와 혼합하여 불순물을 2회 추출하였다. 메틸렌클로라이드 용액에 칼슘클로라이드를 넣어 수분을 제거한 후 다시 감압증류하여 용매를 제거하였다. 이 고체상을 메틸렌클로라이드와 노말헥산의 혼합용매에서 재결정하여 2-(4-히드록시페닐)-4,6-디클로로-1.3,5-트리아진을 얻었다.
(3) 신나메이트 측쇄를 갖는 트리아진 고리의 합성
상기 (2)의 방법으로 얻은 트리아진 25.6g를 질소가 충진된 둥근바닥플라스크에 넣고, 수분을 제거한 테트라히드로푸란 200㎖를 넣어 용해시켰다. 이 용액에 트리에틸아민 15.2g를 첨가하고 온도를 -5℃로 낮춘 후, 신나모일클로라이드 25g에 수분을 제거한 테트라히드로푸란 100㎖를 넣어 희석시킨 신나모일클로라이드 용액을 천천히 적하시키면서 격렬하게 12시간 교반, 반응시켰다.
반응을 종료시킨 후, 반응용액을 감압증류하여 테트라히드로푸란을 제거한 후 메틸렌클로라이드에 녹이고 실리카젤로 충진된 필터를 통과시킨 후 다시 감압증류하여 용매를 제거하였다.
마지막으로 메틸렌클로라이드와 노말헥산의 1:1 혼합용매에서 재결정을 한 후 감압여과하였다. 얻어진 고체상의 물질을 진공건조하여 신나메이트 측쇄를 갖는 트리아진을 얻었다.
(4) 두개의 아민 관능기를 갖는 트리아진 단량체의 합성
상기 (3)의 방법으로 얻은 트리아진 38.6g를 둥근바닥플라스크에 넣고 클로로포름 400㎖에 녹였다. 4-아미노페놀 32.8g와 수산화나트륨 12g를 브롬화세틸트리메틸암모늄 3g를 녹인 증류수 300㎖에 녹여서 앞의 트리아진 용액과 섞어서 격렬하게 24시간 반응시켰다. 반응을 종결시킨 후 유기용액상을 분리하여 분별깔대기에 옮겨 놓고 증류수로 3회 씻어 불순물을 추출한 후 칼슘 클로라이드로 수분을 제거하였다. 수분이 제거된 용액을 감압증류하여 유기용매인 클로로포름을 제거한 후 메틸렌클로라이드와 노말헥산의 혼합용매에서 재결정하였다.
석출된 결정을 감압여과한 후 진공건조하여 트리아진 단량체를 얻었다.
(5) 시나메이트 감광성 관능기를 갖는 폴리(아미드-이미드) 감광성 고분자 액정배향제의 중합
상기 (4)의 방법으로 얻은 트리아진 단량체 53.156g를 질소가 충진된 둥근바닥플라스크에 넣고 수분이 제거된 테트라히드로퓨란 400㎖에 녹인다. 이 용액에 트리에틸아민 10.12g를 첨가한다.
테레프탈로일 클로라이드 10.15g를 수분을 제거한 테트라히드로퓨란 100㎖에 용해시킨 후, 앞의 트리아진 단량체와 트리에틸아민이 녹아있는 용액에 천천히 적하시키면서 격렬하게 교반시켜 6시간동안 반응시켰다. 이 용액에 1,2,4,5-벤젠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 10.9g를 N-메틸피롤리돈 100㎖에 용해시킨 용액을 다시 적하시키면서 6시간동안 추가반응을 시켰다.
반응종결 후 메탄올에 반응용액을 천천히 흘려주어 침전을 시키고 여과하여 침전물을 진공 건조시켰다. 얻어진 침전물을 다시 테트라히드로퓨란에 용해시킨 후 메탄올에 침전시키는 과정을 2회 반복한 후 진공건조시켜 최종적으로 트리아진 고리를 이용하여 쿠마린 감광성 관능기를 갖는 폴리(아미드-이미드) 공중합체 고분자 액정 배향제를 합성하였다.
(6) 액정 디스플레이 셀의 제작
수득된 광배향제를 8 중량%의 농도로 NMP와 부틸셀루솔브의 혼합용매에 용해시킨 후 0.1㎛의 미세공 크기를 갖는 여과막에 용액을 통과시켜 용해되지 않은 불순물 입자를 제거하였다. 이 용액을 투명 전극이 도포된 유리기판 위에 300㎚의 두께로 프린팅하여 광배향제를 도포시키고, 유리기판을 약 200℃에서 약 1시간 동안 건조시켜 용매를 제거하면서 이미드화 반응을 시켰다. 이 유리기판을 500W 수은 램프의 자외광에 대하여 20°의 각도로 2초에서 10분간 1회의 광조사를 통한 시나메이트기의 광중합, 고분자 사슬의 광분해 등 복합적인 광반응을 유도하여 고분자 액정 배향막을 제조하였다. 광반응된 2개의 유리기판 위에 4∼5㎛의 크기를 갖는 스페이서를 뿌린 후, 에폭시 접착제를 이용하여 2개의 유리기판 사이의 두께(cell gap)가 4∼5㎛가 되도록 부착시켰다. 이 셀을 130℃에서 1시간 동안의 경화공정을 거쳐 에폭시 접착제를 경화시킴으로써 두 개의 유리기판이 완전히 접착되게 하여 셀의 제조를 완성하였다. 완성된 셀에 액정을 주입하고 100∼130℃에서 1시간 동안 열을 가한 후 온도를 다시 상온으로 떨어뜨리는 열처리 공정을 1회 진행하여 최종적으로 액정 디스플레이 셀을 얻었다.
실시예 3-2
칼콘 감광성 관능기를 갖는 폴리(아미드-이미드) 감광성 고분자 액정 배향제
(1) 칼콘 감광성 관능기의 합성
4-메톡시칼콘 10g와 시안화나트륨 2.05g를 디메틸설폭시드 100㎖에 용해시킨 후 24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종결 후 반응용액을 클로로포름에 혼합한 후 증류수와 교반시켜 불순물을 추출하였다. 수용액 상을 제거한 후 상온에서 감압시켜 클로로포름을 제거하였다. 남아있는 고체상을 메탄올에서 재결정한 후 40℃에서 진공건조하여 광반응을 위한 측쇄 4-히드록시칼콘을 얻었다.
(2) 트리아진 고리에 칼콘 감광성 관능기의 도입
실시예 3-2의 (1)의 방법으로 합성된 4-히드록시칼콘 23.8g를 질소가 충진된 둥근바닥플라스크에 넣고 수분을 제거한 테트라히드로푸란 240㎖에 녹인 후 여기에 수소화나트륨(NaH) 2.4g를 넣고 상온에서 6시간 반응시켰다. 이 용액을, 실시예3-1의 (1)와 같이 트리아진 18.4g를 둥근바닥플라스크에 넣고 수분이 제거된 테트라히드로푸란 200㎖에 녹인 용액에, -5℃에서 천천히 적하시키면서 격렬하게 교반하며 24시간 반응시켰다. 반응을 종결시킨 후 감압증류하여 테트라히드로푸란을 제거하였으며, 얻어진 고체를 다시 클로로포름에 용해시켰다. 이 용액을 분별깔대기에서 증류수로 3회 씻어 불순물을 추출한 후 칼슘 클로라이드로 수분을 제거하였다. 이 용액을 다시 감압증류하여 클로로포름을 제거한 후 메틸렌클로라이드와 노말헥산의 혼합용매로 재결정하였다. 얻어진 물질을 감압여과한 후 진공건조하여 칼콘 감광성 관능기를 갖는 트리아진을 얻었다.
(3) 두 개의 아민 관능기를 갖는 트리아진 단량체의 합성
실시예 3-2의 (2)와 같은 방법으로 합성된 칼콘 감광성 관능기를 갖는 트리아진 38.6g를 둥근바닥플라스크에 넣고 클로로포름 400㎖에 녹였다. 또한, 4-아미노페놀 32.8g와 수산화나트륨 12g를, 브롬화세틸트리메틸암모늄 3g를 녹인 증류수 300㎖에 녹여서 앞의 트리아진용액과 섞어서 격렬하게 24시간 반응시켰다. 반응을 종결시킨 후 유기용액상을 분리하여 분별깔대기에 옮겨 놓고 증류수로 3회 씻어 불순물을 추출한 후 칼슘클로라이드로 수분을 제거하였다. 수분이 제거된 용액을 감압증류하여 유기용매인 클로로포름을 제거한 후 메틸렌클로라이드와 노말헥산의 혼합용매에서 재결정하였다. 석출된 결정을 감압여과한 후 진공건조하여 트리아진 단량체를 얻었다.
(4) 칼콘 감광성 관능기를 갖는 폴리(아미드-이미드) 감광성 고분자 액정 배향제의 중합
실시예 3-2의 (3)의 방법으로 얻은 트리아진 단량체 53.15g를 질소가 충진된 둥근바닥플라스크에 넣고 수분이 제거된 테트라히드로퓨란 400㎖에 녹였다. 이 용액에 트리에틸아민 10.12g를 첨가한다. 테레프탈로일 클로라이드 10.15g를 수분을 제거한 테트라히드로퓨란 100㎖에 용해시킨 후, 앞의 트리아진 단량체와 트리에틸아민이 녹아있는 용액에 천천히 적하시키면서 격렬하게 교반시켜 24시간 반응시켰다. 이 용액에 1,2,4,5-벤젠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 10.9g를 N-메틸리롤리돈 100㎖에 용해시킨 용액을 다시 적하시키면서 6시간 추가반응을 실시하였다. 반응종결 후 메탄올에 반응용액을 천천히 흘려주어 침전을 시키고 여과하여 침전물을 진공건조시켰다. 얻어진 침전물을 다시 테트라히드로퓨란에 용해시킨 후 메탄올에 침전시키는 과정을 2회 반복한 후 진공건조시켜 최종적으로 트리아진 고리를 이용하여 칼콘 감광성 관능기를 갖는 폴리(아미드-이미드) 공중합체 고분자 액정 배향제를 합성하였다.
(5) 액정 디스플레이 셀의 제작
실시예 3-2의 (4)에서 얻은 감광성 고분자 액정 배향제를 이용하여 실시예 3-1의 (6)와 같은 방법으로 액정 디스플레이 셀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3-3
쿠마린 감광성 관능기를 갖는 폴리(아미드-이미드) 감광성 고분자 액정배향제
(1) 쿠마린 감광성 관능기의 도입
7-히드록시쿠마린 16.2g와 수소화나트륨(NaH) 2.4g를 질소로 충진되어 있는 둥근바닥플라스크에 넣고, 수분을 제거시킨 테트라히드로푸란 160㎖에 용해시킨 후 격렬하게 교반하여 6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이 용액을, 실시예 3-1의 (1)와 같이 트리아진 18.4g를 둥근바닥플라스크에 넣고 수분이 제거된 테트라히드로푸란 200㎖에 녹인 용액에, -5℃에서 천천히 적하시키면서 격렬하게 교반하며 24시간 반응시켰다. 반응을 종결시킨 후 감압증류하여 테트라히드로푸란을 제거하였으며, 얻어진 고체를 다시 클로로포름에 용해시켰다. 이 용액을 분별깔대기에서 증류수로 3회 씻어 불순물을 추출한 후 칼슘 클로라이드로 수분을 제거하였다. 이 용액을 다시 감압증류하여 클로로포름을 제거한 후 메틸렌클로라이드와 노말헥산의 혼합용매로 재결정하였다. 얻어진 물질을 감압여과한 후 진공건조하여 쿠마린 감광성 관능기를 갖는 트리아진을 얻었다.
(2) 두 개의 아민 관능기를 갖는 트리아진 단량체의 합성
실시예 3-3의 (1)와 같은 방법으로 합성된 쿠마린 감광성 관능기를 갖는 트리아진 31.1g를 둥근바닥플라스크에 넣고 클로로포름 400㎖에 녹였다. 또한, 4-아미노페놀 32.8g와 수산화나트륨 12g를, 브롬화세틸트리메틸암모늄 3g를 녹인 증류수 300㎖에 녹여서 앞의 트리아진용액과 섞어서 격렬하게 24시간 반응시켰다. 반응을 종결시킨 후 유기용액상을 분리하여 분별깔대기에 옮겨 놓고 증류수로 3회 씻어 불순물을 추출한 후 칼슘클로라이드로 수분을 제거하였다. 수분이 제거된 용액을 감압증류하여 유기용매인 클로로포름을 제거한 후 메틸렌클로라이드와 노말헥산의 혼합용매에서 재결정하였다. 석출된 결정을 감압여과한 후 진공건조하여 트리아진 단량체를 얻었다.
(3) 쿠마린 감광성 관능기를 갖는 감광성 고분자 액정 배향제의 중합
실시예 3-3의 (2)의 방법으로 얻은 트리아진 단량체 45.54g를 질소가 충진된 둥근바닥플라스크에 넣고 수분이 제거된 테트라히드로푸란 400㎖에 녹였다. 이 용액에 트리에틸아민 10.12g를 첨가했다. 테레프탈로일 클로라이드 10.15g를 수분을 제거한 테트라히드로푸란 100㎖에 용해시킨 후 앞의 트리아진 단량체와 트리에틸아민이 녹아있는 용액에 천천히 적하시키면서 격렬하게 교반시켜 6시간 반응시켰다. 이 용액에 1,2,4,5-벤젠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 10.9g를 N-메틸피롤리돈 100㎖에 용해시킨 용액을 다시 적하시키면서 6시간 동안 추가반응을 실시하였다. 반응종결 후 메탄올에 반응용액을 천천히 흘려주어 침전을 시키고 여과하여 침전물을 진공 건조시켰다. 얻어진 침전물을 다시 테트라히드로푸란에 용해시킨 후 메탄올에 침전시키는 과정을 2회 반복한 후 진공건조시켜 최종적으로 트리아진 고리를 이용하여 쿠마린 감광성 관능기를 갖는 폴리(아미드-이미드) 공중합체 고분자 액정 배향제를 합성하였다.
(4) 액정 디스플레이 셀의 제작
실시예 3-3의 (3)에서 얻은 폴리(아미드-이미드) 감광성 고분자 액정 배향제를 이용하여 실시예 3-1의 (6)와 같은 방법으로 액정 디스플레이 셀을 제작하였다.
시험예 : 액정 디스플레이 셀의 특성 측정
실시예 3-1 내지 3-3에서 제조된 액정 디스플레이 셀의 전기 광학 특성, 열안정성, 광안정성, 잔류 DC 및 VHR 특성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9, 10, 11, 12에 나타내었다.
시험예 1 : 열처리에 따른 선경사각의 변화
하기 표 9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감광성 고분자 액정 배향제는 기존에 사용되는 폴리이미드의 기본 특성인 열안정성과 광학적 투명성, 우수한 도포 특성 및 높은 기계적 특성 등을 가지고 있다. 이 우수한 특성들을 유지하면서 가공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폴리아미드와 공중합을 하였다. 이와 더불어 감광성 관능기를 가지고 있어 배향을 위한 광조사량이 기존의 폴리이미드 배향제에 비하여 줄어드는 장점도 가지고 있다. 본 실시예의 배향제를 이용하여 광배향 액정 셀을 제조할 경우 단순한 공정으로 멀티도메인 액정배향을 얻을 수 있으며 고온공정인 실베이킹 후에도 액정의 선경사각이 유지되는 등 현저하게 향상된 배향 특성으로 인하여 고화질과 광시야각이 요구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구 분 |
실시예 3-1 |
실시예 3-2 |
실시예 3-3 |
공 정 |
광조사 |
광조사 |
광조사 |
농 도 |
8 중량% |
8 중량% |
8 중량% |
선경사각 |
상온 |
0~3° |
0~5° |
0~6° |
열처리 후 |
0~3° |
0~5° |
0~6° |
대비비 |
196 |
194 |
193 |
주) 1. 선경사각 측정은 crystal angle rotation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음.
2. 열처리는 실베이킹 온도인 150℃에서 3분간 실시하였음.
시험예 2 : 열안정성
액정 셀의 열안정성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액정 셀의 초기 선경시각을 측정한 후 200℃에서 열노화를 시키면서 시간에 따른 선경사각의 변화를 상온에서 측정하였다. 배향의 열안정성이 불안정한 경우 선경사각이 시간에 따라 변화하였으며, 안정한 경우에는 거의 변화가 없었다. 하기 표 10에 실시결과를 나타내었다. 하기 표 10을 통해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광배향제는 장시간의 열노화 상태에서도 액정의 배향과 선경사각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우수한 열안정성을 갖고 있어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하기 위한 기본 특성을 만족시킨다.
구 분 |
실시예 3-1 |
실시예 3-2 |
실시예 3-3 |
선경사각 |
~ 3° |
~ 5° |
~ 6° |
열노화온도 |
150℃ |
150℃ |
150℃ |
열노화시간 |
48시간 |
48시간 |
48시간 |
선경사각 변화량 |
없음 |
없음 |
없음 |
시험예 3 : 광안정성
실시예 3-1, 3-2, 3-3의 액정 셀 제조 방법에 따라 광안정성 측정용 액정 셀을 제조하여 광안정성을 측정하였다. 광안정성 측정은 하나의 액정 셀의 배향면에 1~10분간 자외선과 가시광선 영역의 빛을 조사한 후 액정 셀의 조사면과 비조사면의 배향특성의 변화를 편광자를 이용하여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그 결과를 아래의 표 11에 나타내었다. 일반적으로 광안정성이 없는 액정 셀은 조사된 빛에 의해 광조사면의 액정배향에 변화가 유도되어 액정의 배향특성이 변하게 되므로, 비조사면과 현격한 차이를 나타내거나 배향이 파괴되어 액정배향이 불특정 방향으로 혼합되게 되므로 디스플레이 소자로 사용할 수 없게 된다.
구 분 |
실시예 3-1 |
실시예 3-2 |
실시예 3-3 |
광조사량 |
0.5J/cm2 |
변화 없음 |
변화 없음 |
변화 없음 |
1J/cm2 |
변화 없음 |
변화 없음 |
변화 없음 |
2J/cm2 |
변화 없음 |
변화 없음 |
변화 없음 |
광조사각 |
90° |
변화 없음 |
변화 없음 |
변화 없음 |
80° |
변화 없음 |
변화 없음 |
변화 없음 |
70° |
변화 없음 |
변화 없음 |
변화 없음 |
시험예 4 : 잔류 DC 및 전압보유율(Voltage Holding ratio: VHR)
잔류 DC는 액정 셀의 양단에 직류전압을 -10V∼10V 사이에서 변화시키면서 인가하여 이때 정전용량값을 측정하여 그 이력값의 크기로부터 잔류 DC를 구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실험에 사용되는 액정 셀은 4∼6μm 두께를 갖는 TN구조의 시료들로,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 3-1 내지 3-3의 제조방법으로 준비하였다. 준비된 액정 셀의 두 전극을 LCD meter(Fluke 6306)에 연결하여 직류전원을 0V에서 시작하여 10V, 0V, -10V와 같이 변화시키면서 1 kHz에서 정전용량의 변화를 기록하였다. 전압에 따른 정전용량 변화의 이력(Hysteresis)을 구하여 이로부터 잔류 DC를 측정하였다. 전압보유율(Voltage Holding ratio: VHR)은 ±1 Volt, 60 Hz의 주기로 64μs의 폭을 갖는 펄스를 가하여 처음에 가해진 전압이 한 주기 내에서 유지되는 비율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2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8에 나타나 있는 것처럼 세 경우 모두 20℃에서 10∼13mV의 낮은 잔류 DC가 측정되었고, VHR도 98∼99%로 높게 나타났다. 이는 본 실시예의 광배향제가 액정 디스플레이 소자로 활용되기 위한 기본 특성을 만족시키는 것을 나타낸다.
구 분 |
실시예 3-1 |
실시예 3-2 |
실시예 3-3 |
R-DC |
20℃ |
9 mV |
12 mV |
12 mV |
60℃ |
26 mV |
28 mV |
30 mV |
VHR |
20℃ |
99% |
99% |
99% |
60℃ |
99% |
98% |
9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