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59491B1 - 트리아진 고리를 주쇄로 하는 감광성 고분자 액정배향제와 이를 이용한 액정 배향막, 이 배향막을 적용한액정 소자 및 이 배향막을 제조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트리아진 고리를 주쇄로 하는 감광성 고분자 액정배향제와 이를 이용한 액정 배향막, 이 배향막을 적용한액정 소자 및 이 배향막을 제조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9491B1
KR100459491B1 KR10-2002-0069828A KR20020069828A KR100459491B1 KR 100459491 B1 KR100459491 B1 KR 100459491B1 KR 20020069828 A KR20020069828 A KR 20020069828A KR 100459491 B1 KR100459491 B1 KR 1004594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
liquid crystal
reaction
crystal aligning
aligning ag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98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0089A (ko
Inventor
신동천
김진율
박규순
김태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선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300400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00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94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9491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9/00Liquid crystal materials
    • C09K19/52Liquid crystal materials characterised by components which are not liquid crystals, e.g. additives with special physical aspect: solvents, solid particles
    • C09K19/54Additives having no specific mesophase characterised by their chemical composition
    • C09K19/56Aligning ag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7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 G02F1/133711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by organic films, e.g. polymeric film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323/00Functional layers of liquid crystal optical display excluding electroactive liquid crystal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323/00Functional layers of liquid crystal optical display excluding electroactive liquid crystal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 C09K2323/02Alignment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323/00Functional layers of liquid crystal optical display excluding electroactive liquid crystal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 C09K2323/02Alignment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 C09K2323/025Polyam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323/00Functional layers of liquid crystal optical display excluding electroactive liquid crystal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 C09K2323/02Alignment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 C09K2323/027Polyimid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7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 G02F1/13378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by treatment of the surface, e.g. embossing, rubbing or light irradiation
    • G02F1/133788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by treatment of the surface, e.g. embossing, rubbing or light irradiation by light irradiation, e.g. linearly polarised light photo-polymeris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522/00Synthetic resins or natural rubbers -- part of the class 520 series
    • Y10S522/904Monomer or polymer contains initiating grou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721Of polyimid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725Of polyamid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Forming Nitrogen-Containing Linkages In General (AREA)
  • Liquid Crystal Substances (AREA)
  • Polyami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리아진 고리를 주쇄로 하는 감광성 고분자 액정 배향제와 이를 이용한 액정 배향막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감광성 고분자는, 트리아진 유도체를 고분자의 주쇄로 하여 액정의 배향을 유도하고 액정의 배향을 강화, 향상, 보전하는 광활성 그룹, 예를 들어, 시나메이트계, 쿠마린계, 칼콘계, 말레이미드계 등과 같은 광반응기를 측쇄로 도입하여 하나 이상의 광활성 자리를 갖도록 한 것으로, 광활성 자리 중의 하나는 액정의 배향을 유도하는 프리스 광자리옮김(Fries rearrangement)을 겪을 수 있고, 나머지 자리들에서는 생성된 배향의 강화, 수정 및 보전을 위한 광이량화(photodimerization), 광이성체화(photoisomerization) 또는 광교차결합화(photocrosslinking), 광분해(photodegradation) 할 수 있다.

Description

트리아진 고리를 주쇄로 하는 감광성 고분자 액정 배향제와 이를 이용한 액정 배향막, 이 배향막을 적용한 액정 소자 및 이 배향막을 제조하는 방법 {Triazine ring based polymers for photoinduced liquid crystal alignment, liquid crystal alignment layer containing the same, liquid crystal element using the alignment lay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트리아진 고리를 주쇄로 하는 감광성 고분자 액정 배향제와 이를 이용한 액정 배향막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분자 주쇄에 액정 배향을 유도하고 액정의 배향을 강화, 향상, 보전하는 광활성 그룹의 측쇄를 도입한 하나 이상의 광활성 자리를 갖는 감광성 고분자 액정 배향제 및 이를 이용한 액정 배향막에 관한 것이다.
감광성 고분자 액정 배향제는, 액정의 광학적 특성을 이용한 소자의 액정 배향제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기판 위에 배향제를 도포하고 그 면에 자외광을 조사하여 표면에 이방성을 형성시킴으로써 액정을 배향시키는 물질의 조합 및 그 구성물질들을 의미한다.
고분자 액정 배향제를 이용한 액정소자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보상판(compensator) 및 광부품 등 여러 분야에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주로 디스플레이 소자를 중심으로 설명하나 본 발명에 따른 액정 배향막이 디스플레이 소자에 국한되어 사용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액정 배향막은 앞서 설명한 액정소자의 여러 응용분야에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액정표시장치가 적용되는 평판 디스플레이 소자는 가볍고 얇으며, 대면적화가 가능하기 때문에 기존의 브라운관을 점차 대체해 나가고 있다. 이러한 평판 디스플레이 가운데서도 특히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는 휴대가 간편하고 전력소모가 적다는 이점을 가지고 있어 현재 평판 디스플레이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또한, 이 액정 디스플레이는 계산기, 노트북 컴퓨터 등의 용도에서 벽걸이 텔레비전 및 하이데피니션 텔레비전 등으로 그 적용 범위를 확장해 가고 있다.
액정 소자가 화상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액정이 투명 도전 유리 사이에서 외부의 전기장에 의해 스위칭되도록 액정과 투명 도전 유리 사이의 계면에서 액정을 특정 방향으로 배향시켜야 한다. 이와 같은 액정의 배향 정도는 액정 디스플레이 화질의 우수성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가 된다.
종래, 액정을 배향시키는 방법으로는 3개의 대표적인 방법이 알려져 있다. 제 1 방법은 도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기판에 폴리이미드 등의 고분자 화합물을 도포한 후 이 표면을 나일론이나 폴리에스테르, 레이온 섬유를 식모한 천이 감긴 러빙드럼으로 문지름으로써 중합체의 표면에 아주 미세한 홈을 형성하는 러빙방법(rubbing method)이다. 제 2 방법은 기판에 산화규소를 경사방향으로 증착하는 SiO 사방증착법(SiO deposition)이며, 제 3 방법은 기판에 감광성 고분자 액정 배향제를 도포한 후 광을 수직 또는 경사 조사함으로써 도포된 감광성 고분자 물질이 광반응을 일으켜 표면에 이방성이 형성되도록 하는 광배향법이다.
제 1 방법에 의하면, 러빙드럼으로 고분자 화합물의 표면을 문지를 때 미세한 먼지가 발생하거나 정전기에 의해 방전이 발생하게 되므로, 액정패널의 제조공정에 문제가 초래된다. 제 2 방법에 의하면, 기판에 대한 증착각이나 막두께의 균일성을 유지하는 것이 곤란하고, 프로세스도 대규모로 될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제 3 방법에서는, 이방성이 형성된 감광성 고분자 액정 배향제와 액정간의 물리적 결합력이 약하고 열에 의해서 배향이 약해지는 문제점 등이 있어, 이 방법은 실제 적용되지는 못하고 있다.
종래 방법 중에서 제 3 방법에 의한 액정 배향은, 광조사에 의한 감광성 고분자의 광반응을 유도하여 도포면에 이방성을 형성시켜 액정을 배향시키는 방법으로 개발된 것으로, 이와 같은 배향방법은 배향표면에 대한 비접촉식 처리방법으로서 먼지, 정전기 또는 다른 오염 입자들이 생성되지 않아 전 공정에 있어서 청정이 유지된다는 특징을 갖는다. 광배향법의 가능성은 아조벤젠(azobenzene) 화합물을사용하여 밝혀졌고(K. Ichimura et al., Langmuir, 4, 1214, 1988), 그후 폴리말레이미드(H.J.Choi et al., US. Patent 6218501), 폴리올레핀(R.H.Herr et al. US Patent 6201087) 등 여러 종류의 고분자 화합물들이 광배향 재료로서 개발되었다.
그러나, 광배향법의 실용화를 위해서는 광화학적 안정성, 열적 안정성 및 전기 광학적 성질의 개선과 함께 많은 자외선 양의 요구 등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여야 하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광배향 재료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기존의 액정 배향 방법인 접촉식의 러빙방법이나 산화규소 증착방법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액정을 다영역(multi domain)으로 배향시킬 수 있는, 광조사를 통한 비접촉식 액정 배향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액정에 대한 우수한 배향 특성, 양호한 열적 안정성 및 광안정성, 향상된 전기 광학적 성질을 나타내는 새로운 광배향 재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트리아진 유도체를 고분자의 주쇄로 하여, 고분자 주쇄에 액정(liquid crystal)의 배향을 유도하고 액정의 배향을 강화, 향상, 보전하는 광활성 그룹의 측쇄를 도입함으로써 하나 이상의 광활성 자리(photoactive group)를 갖는 감광성 고분자 액정 배향제를 제공한다. 상기 광활성 자리 중의 하나는 액정의 배향을 유도하는 프리스 광자리옮김(Fries rearrangement)을 겪을 수 있고, 나머지 자리들에서는 생성된 배향의 강화, 수정 및 보전을 위한 광이량화(photodimerization), 광이성체화(photoisomerization) 또는광교차결합화(photocrosslinking), 광분해(photodegradation)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감광성 고분자 액정 배향제를 이용한 액정 배향막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더 잘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액정 배향막의 배향공정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액정 배향막의 배향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이를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하여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의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감광성 고분자 액정 배향제는 하나 이상의 광활성 자리(photoactive group)를 갖는 고분자를 포함한다.
제1 실시예
제1 실시예에서 이 고분자의 일반적인 구조는 하기 화학식 1과 같다.
(m+n=1, 0 ≤ m ≤ 1 그리고 0 ≤ n ≤ 1)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하기 화학식 2의 (1a) 내지 (4a) 중 하나이다.
상기 화학식 2의 (1a)에서 X는 다음 화학식 3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여기서 m과 n은 각각 0∼10이다)
또한, 상기 화학식 2의 (1a)에서 Y는 다음 화학식 4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상기 화학식 4에서 1,2,3,4,5,6,7,8,9는 각각 다음의 화학식 5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여기서 m과 n은 각각 0∼10이며, A와 B는 각각 H, F, Cl, CN, CF3또는 CH3이다)
상기 화학식 2의 (2a)와 (3a)에서 n은 0∼10이며, 1,2,3,4,5는 각각 다음의 화학식 6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여기서 m과 n은 각각 0∼10이며, A와 B는 각각 H, F, Cl, CN, CF3또는 CH3이다)
상기 화학식 2의 (4a)에서 Y는 다음 화학식 7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여기서 n은 0∼10이다)
상기 화학식 2의 (4a)에서 1과 2는 각각 다음 화학식 8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여기서 A는 H, F, CH3, CF3또는 CN이다)
상기 화학식 1에서 R2와 R3은 각각 다음 화학식 9에서 선택된 하나의 아민에 기인하는 것이다.
(여기서 m과 n은 각각 0∼10이다)
그리고, 상기 화학식 1에서 R4와 R5는 각각 다음 화학식 10에서 선택된 하나의 카르복실산 유도체 또는 산이무수물에 기인하는 것이다.
(여기서 m과 n은 각각 0∼10 이다)
본 발명에서 R2, R3과 R4,R5를 연결하는 결합은 아미드 결합 혹은 이미드 결합 혹은 아미드 결합과 이미드 결합의 혼합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본 실시예 1에서는 아미드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화학식 1에서 R2, R3과 R4,R5를 연결하는 결합은 아민과 카르복실산의 반응에서 얻어지는 아미드 결합으로서, 그 반응의 일반적인 형태를 반응식 1에 나타내었다.
상기 화학식 1에서 R2와 R3은 상기 반응식 1의 아민에 기인하는 것으로 각각 다음의 화학식 11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여기서 m과 n은 각각 0∼10이다)
그리고, 상기 화학식 1에서 R4와 R5는 반응식 1의 카르복실산에 기인하는 것으로서 각각 화학식 12에서 선택된 하나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m과 n은 각각 0∼10 이다)
또한, 상기 화학식 1의 감광성 고분자에 포함된 벤젠고리는 표시된 파라-(para-) 구조 외에 오르토-(ortho-) 또는 메타-(meta-) 구조를 갖거나, 또는 오르토-, 메타-, 파라-의 혼합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술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폴리아미드계 감광성 고분자는, 하나 이상의 광활성 자리(photoactive group)를 갖게 되는데, 특히 이러한 광활성 자리 중의 하나는 광분해(photodegradation)를 겪을 수 있으며, 또 다른 하나는 프리스 광자리옮김(Fries rearrangement)을 겪을 수 있고, 그리고 나머지 자리들은 생성된 배향의 강화, 수정 및 보전을 위한 광이량화(photodimerization), 광이성체화(photoisomerization) 또는 광교차결합화(photocrosslinking) 할 수 있다.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본 실시예의 감광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액정 배향제는, 기판상에 도포된 후 자외선을 조사하여 감광성 고분자 액정 배향막을 제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감광성 고분자 액정 배향제는 경사 조사하는 자외광의 경사각에 따라 배향되는 액정의 선경사각에 변화를 줄 수 있으며, 화학구조의 변화 또는 자외광의 조사각을 조작하여 선경사각을 0°가 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감광성 고분자 액정 배향제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액정디스플레이(LCD)는 STN(Super Twisted Nematic), TN(Twisted Nematic), IPS(In Plane Switching), VA(Vertical Alignment), VATN(Vertically Aligned Twisted Nematic) 모드 등 여러 가지 모드에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의 액정 배향막에 의해 액정 배향성이 부여되는 액정 소자는, 상기한 액정표시장치(LCD) 이외에도 보상판(compensator)이나 광부품 등 여러 응용 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감광성 고분자 액정 배향제를 사용하여 액정 배향막을 제조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단계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본 실시예의 감광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액정 배향제를 유기용매에 1∼20 중량%, 1∼100cps의 점도로 용해시켜 기판상에 10∼500nm의 두께로 도포하여 배향막을 형성한다.
상기 유기용매로는, 클로로벤젠(chlorobenzene), N-메틸피롤리돈(NMP), N-에틸피롤리돈(NEP), N,N-디메틸이미다졸리디논(DMI), N,N-디프로필이미다졸리디논(DPI), 디메틸포름아미드(DMF), 디메틸아세트아미드(DMAc), 디메틸술폭시드(DMSO), 시클로펜타논, 시클로헥사논, 디클로로에탄, 부틸셀루솔브(butylcellusolve), 감마부티로락톤(γ-butyrolactone) 및 테트라히드로푸란(THF) 등이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유기용매에 용해된 액정 배향제를 ITO 유리기판 등의 기판상에 10∼500nm 범위의 일정 두께로 도포하여 막을 형성시키는데, 이때 도포방법으로는 스핀코팅, 롤 프린팅 방법 등 가능한 종래 방법이 모두 사용될 수 있다.
제 2 단계
상기 단계에서 얻은 액정 배향제가 도포된 배향막의 표면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감광성 고분자 액정 배향막을 제조한다. 이때 자외선은 편광자를 이용하여 선형 편광시킨 자외선이나 또는 편광자를 사용하지 않은 비편광된 자외선을 경사조사 또는 수직 조사하여 액정 배향막을 제조한다.
이하,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본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다음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양태를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제한하거나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실시예 1-1
신나메이트 감광성 관능기를 갖는 폴리아미드계 감광성 고분자 액정 배향제
(1) 트리아진 고리의 개질
4-(2-테트라히드로피라닐메톡시)브로모벤젠 27.1g를 질소가 충진된 3구 플라스크에서 수분이 제거된 테트라히드로푸란 250㎖로 용해시킨 후 마그네슘 3g와 24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이 용액을 질소가 충진된 3구 플라스크에서 시아누릭 클로라이드 18.4g를 수분이 제거된 테트로히드로푸란 200㎖에 용해시킨 용액에 천천히 적하시키면서 -20℃에서 12시간 반응시켰다.
반응을 종결시킨 후에 반응용액을 상온에서 감압하여 테트라히드로푸란을 제거한 후 에틸아세테이트에 용해시켰다. 이 용액을 염기성 수용액과 혼합하여 격렬하게 교반하면서 불순물을 추출한 후 수용액상을 분리 제거하고, 상온에서 감압하여 에틸아세테이트를 제거하였다.
용매가 제거되고 남아있는 고체상의 물질을 n-헥산에서 재결정하여 2-(4-(2-테트라히드로피라닐메톡시)페닐)-4,6-디클로로-1,3,5-트리아진을 얻었다.
(2) 트리아진 고리에 히드록시 관능기의 도입
실시예 1-1의 (1)에서 얻은 물질 34.0g를 다시 둥근바닥플라스크에 넣어 300㎖의 테트라히드로푸란에 녹인 후 피리디늄파라톨루엔설포네이트 0.3g를 추가로 넣어준 후 에탄올 50㎖를 첨가하여 24시간 반응시켰다.
반응 종결 후 감압증류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남아 있는 고체들을 다시 메틸렌클로라이드에 녹인 후 분별깔대기에서 증류수와 혼합하여 불순물을 2회 추출하였다. 메틸렌클로라이드 용액에 칼슘클로라이드를 넣어 수분을 제거한 후 다시 감압증류하여 용매를 제거하였다. 이 고체상을 메틸렌클로라이드와 노말헥산의 혼합용매에서 재결정하여 2-(4-히드록시페닐)-4,6-디클로로-1,3,5-트리아진을 얻었다.
(3) 신나메이트 측쇄를 갖는 트리아진 고리의 합성
실시예 1-1의 (2)의 방법으로 얻은 트리아진 25.6g를 질소가 충진된 둥근플라스크에 넣고, 수분을 제거한 테트라히드로푸란 200㎖를 넣어 용해시켰다. 이 용액에 트리에틸아민 15.2g를 첨가하고 온도를 -5℃로 낮춘 후, 신나모일클로라이드 25g에 수분을 제거한 테트라히드로푸란 100㎖를 넣어 희석시킨 신나모일클로라이드 용액을 천천히 적하시키면서 격렬하게 12시간 교반, 반응시켰다.
반응 종결시킨 후 반응용액을 감압증류하여 테트라히드로푸란을 제거한 후 메틸렌클로라이드에 녹이고 실리카젤로 충진된 필터를 통과시킨 후 다시 감압증류하여 용매를 제거하였다.
마지막으로 메틸렌클로라이드와 노말헥산의 1:1 혼합용매에서 재결정을 한 후 감압여과하였다. 얻어진 고체상의 물질을 진공건조하여 신나메이트 측쇄를 갖는 트리아진을 얻었다.
(4) 두개의 아민 관능기를 갖는 트리아진 단량체의 합성
실시예 1-1의 (3)의 방법으로 얻은 트리아진 38.6g를 둥근바닥플라스크에 넣고 클로로포름 400㎖에 녹였다. 4-아미노페놀 32.8g와 수산화나트륨 12g를 브롬화세틸트리메틸암모늄 3g를 녹인 증류수 300㎖에 녹여서 앞의 트리아진 용액과 섞어서 격렬하게 24시간 반응시켰다. 반응을 종결시킨 후 유기용액상을 분리하여 분별깔대기에 옮겨 놓고 증류수로 3회 씻어 불순물을 추출한 후 칼슘클로라이드로 수분을 제거하였다. 수분이 제거된 용액을 감압증류하여 유기용매인 클로로포름을 제거한 후 메틸렌클로라이드와 노말헥산의 혼합용매에서 재결정하였다.
석출된 결정을 감압여과한 후 진공건조하여 트리아진 단량체를 얻었다.
(5) 시나메이트 감광성 관능기를 갖는 폴리아미드 감광성 고분자 액정배향제의 중합
실시예 1-1의 (4)의 방법으로 얻은 트리아진 단량체 53.156g를 질소가 충진된 둥근바닥플라스크에 넣고 수분이 제거된 테트라히드로푸란 400㎖에 녹이고, 이 용액에 트리에틸아민 20.238g를 첨가하였다. 테레프탈로일 클로라이드 20.3g를 수분을 제거한 테트라히드로푸란 100㎖에 용해시킨 후, 앞의 트리아진 단량체와 트리에틸아민이 녹아있는 용액에 천천히 적하시키면서 격렬하게 교반하며 12시간 반응시켰다.
반응종결 후 메탄올에 반응용액을 천천히 흘려주어 침전을 시키고 여과하여 침전물을 진공건조하였다. 얻어진 침전물을 다시 테트라히드로푸란에 용해시킨 후 메탄올에 침전시키는 과정을 2회 반복한 후 진공건조시켜 최종적으로 트리아진 고리를 이용하여 신나메이트 감광성 관능기를 갖는 폴리아미드계 고분자 액정 배향제를 합성하였다.
(6) 액정 디스플레이 셀의 제작
수득된 광배향제를 8 중량%의 농도로 NMP와 부틸셀루솔브의 혼합용매에 용해시킨 후 0.1㎛의 미세공 크기를 갖는 여과막에 용액을 통과시켜 용해되지 않은 불순물 입자를 제거하였다. 이 용액을 투명 전극이 도포된 유리기판 위에 약 300㎚의 두께로 프린팅하여 광배향제를 도포시키고, 유리기판을 약 200℃에서 약 1시간 동안 건조시켜 용매를 제거하였다. 이 유리기판을 500 W 수은 램프의 자외광에 대하여 20°의 각도로 2초에서 10분간 1회의 광조사를 통한 시나메이트기의 광중합, 고분자 사슬의 광분해 등 복합적인 광반응을 유도하여 고분자 액정 배향막을 제조하였다. 광반응된 2개의 유리기판 위에 4∼5㎛의 크기를 갖는 스페이서를 뿌린 후, 에폭시 접착제를 이용하여 2개의 유리기판 사이의 두께(cell gap)가 4∼5㎛가 되도록 부착시켰다. 이 셀을 130℃에서 1시간 동안의 경화공정을 거쳐 에폭시 접착제를 경화시킴으로써 두 개의 유리기판이 완전히 접착되게 하여 셀의 제조를 완성하였다. 완성된 셀에 액정을 주입한 후 100∼130℃에서 1시간 동안 열을 가한 후에 온도를 다시 상온으로 떨어뜨리는 열처리 공정을 1회 진행하여 최종적으로 액정 디스플레이 셀을 얻었다.
실시예 1-2
칼콘 감광성 관능기를 갖는 폴리아미드계 감광성 고분자 액정 배향제
(1) 칼콘 감광성 관능기의 합성
4-메톡시칼콘 10g와 시안화나트륨 2.05g를 디메틸설폭시드 100㎖에 용해시킨 후 24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종결 후 반응용액을 클로로포름에 혼합한 후 증류수와 교반시켜 불순물을 추출하였다. 수용액 상을 제거한 후 상온에서 감압시켜 클로로포름을 제거하였다. 남아있는 고체상을 메탄올에서 재결정한 후 40℃에서 진공건조하여 광반응을 위한 측쇄 4-히드록시칼콘을 얻었다.
(2) 트리아진 고리에 칼콘 감광성 관능기의 도입
플라스크에 넣고 수분을 제거한 테트라히드로푸란 240㎖에 녹였다. 여기에 수소화나트륨(NaH) 2.4g를 넣고 상온에서 6시간 반응시켰다. 이 용액을, 실시예 1-1의 (1)와 같이 시아누릭 클로라이드 18.4g를 둥근바닥플라스크에 넣고 수분이 제거된 테트라히드로푸란 200㎖에 녹인 용액에, -5℃에서 천천히 적하시키면서 격렬하게 교반하며 24시간 반응시켰다. 반응을 종결시킨 후 감압증류하여 테트라히드로푸란을 제거하였으며, 얻어진 고체를 다시 클로로포름에 용해시켰다. 이 용액을 분별깔대기에서 증류수로 3회 씻어 불순물을 추출한 후 칼슘 클로라이드로 수분을 제거하였다. 이 용액을 다시 감압증류하여 클로로포름을 제거한 후 메틸렌클로라이드와 노말헥산의 혼합용매로 재결정하였다. 얻어진 물질을 감압여과한 후 진공건조하여 칼콘 감광성 관능기를 갖는 트리아진을 얻었다.
(3) 두 개의 아민 관능기를 갖는 트리아진 단량체의 합성
실시예 1-2의 (2)와 같은 방법으로 합성된 칼콘 감광성 관능기를 갖는 트리아진 38.6g를 둥근바닥플라스크에 넣고 클로로포름 300㎖에 녹였다. 4-아미노페놀 32.8g와 수산화나트륨 12g를, 브롬화세틸트리메틸암모늄 3g를 녹인 증류수 300㎖에 녹여서 앞의 트리아진용액과 섞어서 격렬하게 24시간 반응시켰다. 반응을 종결시킨 후 유기용액상을 분리하여 분별깔대기에 옮겨 놓고 증류수로 3회 씻어 불순물을 추출한 후 칼슘클로라이드로 수분을 제거하였다. 수분이 제거된 용액을 감압증류하여 유기용매인 클로로포름을 제거한 후 메틸렌클로라이드와 노말헥산의 혼합용매에서 재결정하였다. 석출된 결정을 감압여과한 후 진공건조하여 트리아진 단량체를 얻었다.
(4) 칼콘 감광성 관능기를 갖는 폴리아미드 감광성 고분자 액정 배향제의 중합
실시예 1-2의 (3)의 방법으로 얻은 트리아진 단량체 53.15g를 질소가 충진된 둥근바닥플라스크에 넣고 수분이 제거된 테트라히드로푸란 400㎖에 녹인 후 이 용액에 트리에틸아민 20.24g를 첨가하였다. 테레프탈로일 클로라이드 20.3g를 수분을 제거한 테트라히드로푸란 100㎖에 용해시킨 후 앞의 트리아진 단량체와 트리에틸아민이 녹아있는 용액에 천천히 적하시키면서 격렬하게 교반하여 12시간 반응시켰다. 반응종결 후 메탄올에 반응용액을 천천히 흘려주어 침전시키고 여과하여 침전물을 진공건조시켰다. 얻어진 침전물을 다시 테트라히드로푸란에 용해시킨 후 메탄올에 침전시키는 과정을 2회 반복한 후 진공건조시켜 최종적으로 트리아진 고리를 이용하여 칼콘 감광성 관능기를 갖는 폴리아미드계 고분자 액정 배향제를 합성하였다.
(5) 액정 디스플레이 셀의 제작
실시예 1-2의 (4)에서 얻은 폴리아미드 감광성 고분자 액정 배향제를 실시예 1의 (6)와 같은 방법으로 액정 디스플레이 셀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1-3
쿠마린 감광성 관능기를 갖는 폴리아미드계 감광성 고분자 액정배향제
(1) 쿠마린 감광성 관능기의 도입
7-히드록시쿠마린 16.2g와 수소화나트륨(NaH) 2.4g를 질소로 충진되어 있는 둥근바닥플라스크에 넣고, 수분을 제거시킨 테트라히드로푸란 160㎖에 용해시킨 후 격렬하게 교반하여 6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이 용액을, 실시예 1-1의 (1)와 같이 시아누릭 클로라이드 18.4g를 둥근바닥플라스크에 넣고 수분이 제거된 테트라히드로푸란 200㎖에 녹인 용액에, -5℃에서 천천히 적하시키면서 격렬하게 교반하여 24시간 반응시켰다. 반응을 종결시킨 후 감압증류하여 테트라히드로푸란을 제거하였으며, 얻어진 고체를 다시 클로로포름에 용해시켰다. 이 용액을 분별깔대기에서 증류수로 3회 씻어 불순물을 추출한 후 칼슘 클로라이드로 수분을 제거하였다. 이 용액을 다시 감압증류하여 클로로포름을 제거한 후 메틸렌클로라이드와 노말헥산의 혼합용매로 재결정하였다. 얻어진 물질을 감압여과한 후 진공건조하여 쿠마린 감광성 관능기를 갖는 트리아진을 얻었다.
(2) 두 개의 아민 관능기를 갖는 트리아진 단량체의 합성
실시예 1-3의 (1)와 같은 방법으로 합성된 쿠마린 감광성 관능기를 갖는 트리아진 31.1g를 둥근바닥플라스크에 넣고 클로로포름 300㎖에 녹였다. 4-아미노페놀 32.8g와 수산화나트륨 12g를, 브롬화세틸트리메틸암모늄 3g를 녹인 증류수 300㎖에 녹여서 앞의 트리아진용액과 섞어서 격렬하게 24시간 반응시켰다. 반응을 종결시킨 후 유기용액상을 분리하여 분별깔대기에 옮겨 놓고 증류수로 3회 씻어 불순물을 추출한 후 칼슘클로라이드로 수분을 제거하였다. 수분이 제거된 용액을 감압증류하여 유기용매인 클로로포름을 제거한 후 메틸렌클로라이드와 노말헥산의 혼합용매에서 재결정하였다. 석출된 결정을 감압여과한 후 진공건조하여 트리아진 단량체를 얻었다.
(3) 쿠마린 감광성 관능기를 갖는 폴리아미드 감광성 고분자 액정 배향제의 중합
실시예 1-3의 (2)의 방법으로 얻은 트리아진 단량체 45.54g를 질소가 충진된 둥근바닥플라스크에 넣고 수분이 제거된 테트라히드로푸란 400㎖에 녹인 후 이 용액에 트리에틸아민 20.24g를 첨가하였다. 테레프탈로일 클로라이드 20.3g를 수분이 제거된 테트라히드로푸란 100㎖에 용해시킨 후 앞의 트리아진 단량체와 트리에틸아민이 녹아있는 용액에 천천히 적하시키면서 격렬하게 교반시켜 12시간 반응시켰다. 반응종결 후 메탄올에 반응용액을 천천히 흘려주어 침전을 시키고 여과하여 침전물을 진공건조하였다. 얻어진 침전물을 다시 테트라히드로푸란에 용해시킨 후 메탄올에 침전시키는 과정을 2회 반복한 후 진공건조시켜 최종적으로 트리아진 고리를 이용하여 쿠마린 감광성 관능기를 갖는 폴리아미드계 고분자 액정 배향제를 합성하였다.
(4) 액정 디스플레이 셀의 제작
실시예 1-3의 (3)에서 얻은 폴리아미드 감광성 고분자 액정 배향제를 실시예 1-1의 (6)와 같은 방법으로 액정 디스플레이 셀을 제작하였다.
시험예 : 액정 디스플레이 셀의 특성 측정
실시예 1-1 내지 1-3에서 제조된 액정 디스플레이 셀의 전기 광학 특성, 열안정성, 광안정성, 잔류 DC 및 VHR 특성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 2, 3, 4 에 나타내었다
시험예 1 : 열처리에 따른 선경사각의 변화
하기 표 1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감광성 고분자 액정 배향제는 기존에 사용되는 폴리이미드의 기본 특성인 열안정성과 광학적 투명성 및 우수한 도포 특성을 갖고 있으며, 여기에 폴리아미드계 고분자의 특징인 높은 기계적 특성 등을 갖고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고분자 액정 배향제를 이용하여 광배향 액정 셀을 제조할 경우 단순한 공정으로 멀티도메인 액정배향을 얻을 수 있으며, 고온공정인 실베이킹 후에도 액정의 선경사각이 유지되는 등 현저하게 향상된 배향 특성으로 인하여 고화질과 광시야각이 요구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구 분 실시예 1-1 실시예 1-2 실시예 1-3
공 정 광조사 광조사 광조사
농 도 8 중량% 8 중량% 8 중량%
선경사각 상온 0~5° 0~3° 0~4°
열처리 후 0~5° 0~3° 0~4°
대비비 195 190 190
주) 1. 선경사각 측정은 crystal angle rotation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음.
2. 열처리는 실베이킹 온도인 150℃에서 3분간 실시하였음.
시험예 2 : 열안정성
액정 셀의 열안정성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액정 셀의 초기 선경시각을 측정한 후 150℃에서 열노화를 시키면서 시간에 따른 선경사각의 변화를 상온에서 측정하였다. 배향의 열안정성이 불안정한 경우 선경사각이 시간에 따라 변화하였으며, 안정한 경우에는 거의 변화가 없었다. 하기 표 2에 실시결과를 나타내었다. 하기 표 2를 통해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광배향제는 장시간의 열노화 상태에서도 액정의 배향과 선경사각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우수한 열안정성을 갖고 있어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하기 위한 기본 특성을 만족시킨다.
구 분 실시예 1-1 실시예 1-2 실시예 1-3
선경사각 ~ 5° ~ 4° ~ 4°
열노화온도 150℃ 150℃ 150℃
열노화시간 48시간 48시간 48시간
선경사각 변화량 없음 없음 없음
시험예 3 : 광안정성
실시예 1-1, 1-2, 1-3의 액정 셀 제조 방법에 따라 광안정성 측정용 액정 셀을 제조하여 광안정성을 측정하였다. 광안정성 측정은 하나의 액정 셀의 배향면에 1~10분간 자외선과 가시광선 영역의 빛을 조사한 후 액정 셀의 조사면과 비조사면의 배향특성의 변화를 편광자를 이용하여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그 결과를 아래의 표 3에 나타내었다. 일반적으로 광안정성이 없는 액정 셀은 조사된 빛에 의해 광조사면의 액정배향에 변화가 유도되어 액정의 배향특성이 변하게 되므로, 비조사면과 현격한 차이를 나타내거나 배향이 파괴되어 액정배향이 불특정 방향으로 혼합되게 되므로 디스플레이 소자로 사용할 수 없게 된다.
구 분 실시예 1-1 실시예 1-2 실시예 1-3
광조사량 0.5J/cm2 변화 없음 변화 없음 변화 없음
1J/cm2 변화 없음 변화 없음 변화 없음
2J/cm2 변화 없음 변화 없음 변화 없음
광조사각 90° 변화 없음 변화 없음 변화 없음
80° 변화 없음 변화 없음 변화 없음
70° 변화 없음 변화 없음 변화 없음
시험예 4 : 잔류 DC 및 전압보유율(Voltage Holding ratio: VHR)
잔류 DC는 액정 셀의 양단에 직류전압을 -10V∼10V 사이에서 변화시키면서 인가하여 이때 정전용량값을 측정하여 그 이력값의 크기로부터 잔류 DC를 구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실험에 사용되는 액정 셀은 4∼6μm 두께를 갖는 TN구조의 시료들로,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 1-1 내지 1-3의 제조방법으로 준비하였다. 준비된 액정 셀의 두 전극을 LCD meter(Fluke 6306)에 연결하여 직류전원을 0V에서 시작하여 10V, 0V, -10V와 같이 변화시키면서 1 kHz에서 정전용량의 변화를 기록하였다.전압에 따른 정전용량 변화의 이력(Hysteresis)을 구하여 이로부터 잔류 DC를 측정하였다. 전압보유율(Voltage Holding ratio: VHR)은 ±1 Volt, 60 Hz의 주기로 64μs의 폭을 갖는 펄스를 가하여 처음에 가해진 전압이 한 주기 내에서 유지되는 비율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4에 나타나 있는 것처럼 세 경우 모두 20℃에서 10∼13 mV의 낮은 잔류 DC가 측정되었고, VHR도 98∼99%로 높게 나타났다. 이는 본 실시예의 광배향제가 액정 디스플레이 소자로 활용되기 위한 기본 특성을 만족시키는 것을 나타낸다.
구 분 실시예 1-1 실시예 1-2 실시예 1-3
R-DC 20℃ 10 mV 11 mV 13 mV
60℃ 30 mV 35 mV 33 mV
VHR 20℃ 99% 99% 98%
60℃ 98% 96% 97%
제2 실시예
제2 실시예에서 고분자의 일반적인 구조는 하기 화학식 13과 같다.
(m+n=1, 0 ≤ m ≤ 1 그리고 0 ≤ n ≤ 1)
상기 화학식 13에서 R1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그러나, 상기 화학식 13에서 R2, R3과 R4, R5를 연결하는 결합은 아민과 산이무수물의 반응에서 얻어지는 이미드 결합으로서, 그 반응의 일반적인 형태를 다음의 반응식 2에 나타내었다.
상기 화학식 13에서 R2와 R3은 상기 반응식 2의 아민에 기인하는 것으로 각각 다음의 화학식 14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여기서 m과 n은 각각 0∼10이다)
그리고, 상기 화학식 13에서 R4와 R5는 반응식 2의 산이무수물에 기인하는 것으로 각각 다음의 화학식 15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또한, 상기 화학식 13의 감광성 고분자에 포함된 벤젠고리는 표시된 파라-(para-) 구조 외에 오르토-(ortho-) 또는 메타-(meta-) 구조를 갖거나, 또는 오르토-, 메타-, 파라-의 혼합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술한 화학식 13으로 표시되는 본 실시예의 폴리이미드계 감광성 고분자는 제1 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하나 이상의 광활성 자리(photoactive group)를 갖게 되는데, 특히 이러한 광활성 자리 중의 하나는 광분해(photodegradation)를 겪을 수 있으며, 또 다른 하나는 프리스 광자리옮김(Fries rearrangement)을 겪을 수 있고, 그리고 나머지 자리들은 생성된 배향의 강화, 수정 및 보전을 위한 광이량화(photodimerization), 광이성체화(photoisomerization) 또는 광교차결합화(photocrosslinking) 할 수 있다.
화학식 13으로 표시되는 본 실시예의 감광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액정 배향제는 제1 실시예의 경우와 실질적으로 거의 동일한 특성 및 적용범위를 가진다.
또한, 본 실시예의 폴리이미드계 감광성 고분자 액정 배향제를 사용하여 액정 배향막을 제조하는 방법은 제1 실시예의 폴리아미드계 감광성 고분자 액정 배향제를 사용하여 액정 배향막을 제조하는 방법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하,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본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다음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양태를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제한하거나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실시예 2-1
신나메이트 감광성 관능기를 갖는 폴리이미드계 감광성 고분자 액정 배향제
(1) 트리아진 고리의 개질
4-(2-테트라히드로피라닐메톡시)브로모벤젠 27.1g를 질소가 충진된 3구 플라스크에서 수분이 제거된 테트라히드로푸란 250㎖로 용해시킨 후 마그네슘 3g와 24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이 용액을 질소가 충진된 3구 플라스크에서, 시아누릭 클로라이드 18.4g를 수분이 제거된 테트로히드로푸란 200㎖에 용해시킨 용액에 천천히 적하시키면서 -20℃에서 12시간 반응시켰다.
반응을 종결시킨 후에 반응용액을 상온에서 감압하여 테트라히드로푸란을 제거한 후 에틸아세테이트에 용해시켰다. 이 용액을 염기성 수용액과 혼합하여 격렬하게 교반하면서 불순물을 추출한 후 수용액상을 분리 제거하고, 상온에서 감압하여 에틸아세테이트를 제거하였다.
용매가 제거되고 남아있는 고체상의 물질을 n-헥산에서 재결정하여 2-(4-(2-테트라히드로피라닐메톡시)페닐)-4,6-디클로로-1,3,5-트리아진을 얻었다.
(2) 트리아진 고리에 히드록시 관능기의 도입
상기 (1)에서 얻은 물질 34.0g를 다시 둥근바닥플라스크에 넣어 300㎖의 테트라히드로푸란에 녹인 후 피리디늄파라톨루엔설포네이트 0.3g를 추가로 넣어준 후 에탄올 50㎖를 첨가하여 24시간 반응시켰다.
반응종결 후 감압증류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남아 있는 고체들을 다시 메틸렌클로라이드에 녹인 후 분별깔대기에서 증류수와 혼합하여 불순물을 2회 추출하였다. 메틸렌클로라이드 용액에 칼슘클로라이드를 넣어 수분을 제거한 후 다시 감압증류하여 용매를 제거하였다. 이 고체상을 메틸렌클로라이드와 노말헥산의 혼합용매에서 재결정하여 2-(4-히드록시페닐)-4,6-디클로로-1.3,5-트리아진을 얻었다.
(3) 신나메이트 측쇄를 갖는 트리아진 고리의 합성
상기 (2)의 방법으로 얻은 트리아진 25.6g를 질소가 충진된 둥근바닥플라스크에 넣고, 수분을 제거한 테트라히드로푸란 200㎖를 넣어 용해시켰다. 이 용액에 트리에틸아민 15.2g를 첨가하고 온도를 -5℃로 낮춘 후, 신나모일클로라이드 25g에 수분을 제거한 테트라히드로푸란 100㎖를 넣어 희석시킨 신나모일클로라이드 용액을 천천히 적하시키면서 격렬하게 12시간 교반, 반응시켰다.
반응을 종료시킨 후, 반응용액을 감압증류하여 테트라히드로푸란을 제거한 후 메틸렌클로라이드에 녹이고 실리카젤로 충진된 필터를 통과시킨 후 다시 감압증류하여 용매를 제거하였다.
마지막으로 메틸렌클로라이드와 노말헥산의 1:1 혼합용매에서 재결정을 한 후 감압여과하였다. 얻어진 고체상의 물질을 진공건조하여 신나메이트 측쇄를 갖는 트리아진을 얻었다.
(4) 두개의 아민 관능기를 갖는 트리아진 단량체의 합성
상기 (3)의 방법으로 얻은 트리아진 38.6g를 둥근바닥플라스크에 넣고 클로로포름 400㎖에 녹였다. 4-아미노페놀 32.8g와 수산화나트륨 12g를 브롬화세틸트리메틸암모늄 3g를 녹인 증류수 300㎖에 녹여서 앞의 트리아진 용액과 섞어서 격렬하게 24시간 반응시켰다. 반응을 종결시킨 후 유기용액상을 분리하여 분별깔대기에 옮겨 놓고 증류수로 3회 씻어 불순물을 추출한 후 칼슘 클로라이드로 수분을 제거하였다. 수분이 제거된 용액을 감압증류하여 유기용매인 클로로포름을 제거한 후 메틸렌클로라이드와 노말헥산의 혼합용매에서 재결정하였다.
석출된 결정을 감압여과한 후 진공건조하여 트리아진 단량체를 얻었다.
(5) 시나메이트 감광성 관능기를 갖는 폴리이미드 감광성 고분자 액정배향제의 중합
상기 (4)의 방법으로 얻은 트리아진 단량체 53.156g를 질소가 충진된 둥근바닥플라스크에 넣고 N-메틸피롤리돈 400㎖에 녹였다. 1,2,4,5-벤젠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 21.8g를 N-메틸피롤리돈 100㎖에 용해시킨 후 앞의 트리아진 단량체가 녹아 있는 용액에 천천히 적하시키면서 격렬하게 교반시켜 24시간 반응시켰다.
반응종결 후 메탄올에 반응용액을 천천히 흘려주어 침전을 시키고 여과하여 침전물을 진공 건조시켰다. 얻어진 침전물을 다시 N-메틸피롤리돈에 용해시킨 후 메탄올에 침전시키는 과정을 2회 반복한 후 진공건조시켜 최종적으로 트리아진 고리를 이용하여 신나메이트 감광성 관능기를 갖는 폴리이미드계 고분자 액정 배향제의 전단계 물질인 폴리아믹산을 합성하였다.
(6) 액정 디스플레이 셀의 제작
수득된 광배향제를 8 중량%의 농도로 NMP와 부틸셀루솔브의 혼합용매에 용해시킨 후 0.1㎛의 미세공 크기를 갖는 여과막에 용액을 통과시켜 용해되지 않은 불순물 입자를 제거하였다. 이 용액을 투명 전극이 도포된 유리기판 위에 300㎚의 두께로 프린팅하여 광배향제를 도포시키고, 유리기판을 약 200℃에서 약 1시간 동안 건조시켜 용매를 제거하면서 이미드화 반응을 시켰다. 이 유리기판을 500 W 수은 램프의 자외광에 대하여 20°의 각도로 2초에서 10분간 1회의 광조사를 통한 시나메이트기의 광중합, 고분자 사슬의 광분해 등 복합적인 광반응을 유도하여 고분자 액정 배향막을 제조하였다. 광반응된 2개의 유리기판 위에 4∼5㎛의 크기를 갖는 스페이서를 뿌린 후, 에폭시 접착제를 이용하여 2개의 유리기판 사이의 두께(cell gap)가 4∼5㎛가 되도록 부착시켰다. 이 셀을 130℃에서 1시간 동안의 경화공정을 거쳐 에폭시 접착제를 경화시킴으로써 두 개의 유리기판이 완전히 접착되게 하여 셀의 제조를 완성하였다. 완성된 셀에 액정을 주입하고 100∼130℃에서 1시간 동안 열을 가한 후 온도를 다시 상온으로 떨어뜨리는 열처리 공정을 1회 진행하여 최종적으로 액정 디스플레이 셀을 얻었다.
실시예 2-2
칼콘 감광성 관능기를 갖는 폴리이미드계 감광성 고분자 액정 배향제
(1) 칼콘 감광성 관능기의 합성
4-메톡시칼콘 10g와 시안화나트륨 2.05g를 디메틸설폭시드 100㎖에 용해시킨 후 24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종결 후 반응용액을 클로로포름에 혼합한 후 증류수와 교반시켜 불순물을 추출하였다. 수용액 상을 제거한 후 상온에서 감압시켜 클로로포름을 제거하였다. 남아있는 고체상을 메탄올에서 재결정한 후 40℃에서 진공건조하여 광반응을 위한 측쇄 4-히드록시칼콘을 얻었다.
(2) 트리아진 고리에 칼콘 감광성 관능기의 도입
실시예 2-2의 (1)의 방법으로 합성된 4-히드록시칼콘 23.8g를 질소가 충진된 둥근바닥플라스크에 넣고 수분을 제거한 테트라히드로푸란 240㎖에 녹인 후 여기에 수소화나트륨(NaH) 2.4g를 넣고 상온에서 6시간 반응시켰다. 이 용액을, 실시예 2-1의 (1)와 같이 트리아진 18.4g를 둥근바닥플라스크에 넣고 수분이 제거된 테트라히드로푸란 200㎖에 녹인 용액에, -5℃에서 천천히 적하시키면서 격렬하게 교반하며 24시간 반응시켰다. 반응을 종결시킨 후 감압증류하여 테트라히드로푸란을 제거하였으며, 얻어진 고체를 다시 클로로포름에 용해시켰다. 이 용액을 분별깔대기에서 증류수로 3회 씻어 불순물을 추출한 후 칼슘 클로라이드로 수분을 제거하였다. 이 용액을 다시 감압증류하여 클로로포름을 제거한 후 메틸렌클로라이드와 노말헥산의 혼합용매로 재결정하였다. 얻어진 물질을 감압여과한 후 진공건조하여 칼콘 감광성 관능기를 갖는 트리아진을 얻었다.
(3) 두 개의 아민 관능기를 갖는 트리아진 단량체의 합성
실시예 2-2의 (2)와 같은 방법으로 합성된 칼콘 감광성 관능기를 갖는 트리아진 38.6g를 둥근바닥플라스크에 넣고 클로로포름 400㎖에 녹였다. 또한, 4-아미노페놀 32.8g와 수산화나트륨 12g를, 브롬화세틸트리메틸암모늄 3g를 녹인 증류수 300㎖에 녹여서 앞의 트리아진용액과 섞어서 격렬하게 24시간 반응시켰다. 반응을 종결시킨 후 유기용액상을 분리하여 분별깔대기에 옮겨 놓고 증류수로 3회 씻어 불순물을 추출한 후 칼슘클로라이드로 수분을 제거하였다. 수분이 제거된 용액을 감압증류하여 유기용매인 클로로포름을 제거한 후 메틸렌클로라이드와 노말헥산의 혼합용매에서 재결정하였다. 석출된 결정을 감압여과한 후 진공건조하여 트리아진 단량체를 얻었다.
(4) 칼콘 감광성 관능기를 갖는 폴리이미드 감광성 고분자 액정 배향제의 중합
실시예 2-2의 (3)의 방법으로 얻은 트리아진 단량체 53.15g를 질소가 충진된 둥근바닥플라스크에 넣고 N-메틸피롤리돈 400㎖에 녹였다. 1,2,4,5-벤젠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 21.8g를 N-메틸피롤리돈 100㎖에 용해시킨 후 앞의 트리아진 단량체가 녹아있는 용액에 천천히 적하시키면서 격렬하게 교반시켜 24시간 반응시켰다. 반응종결 후 메탄올에 반응용액을 천천히 흘려주어 침전을 시키고 여과하여 침전물을 진공건조시켰다. 얻어진 침전물을 다시 N-메틸피롤리돈에 용해시킨 후 메탄올에 침전시키는 과정을 2회 반복한 후 진공건조시켜 최종적으로 트리아진 고리를 이용하여 칼콘 감광성 관능기를 갖는 폴리이미드계 고분자 액정 배향제의 전단계 물질인 폴리아믹산을 합성하였다.
(5) 액정 디스플레이 셀의 제작
실시예 2-2의 (4)에서 얻은 폴리이미드 감광성 고분자 액정 배향제를 실시예 2-1의 (6)와 같은 방법으로 액정 디스플레이 셀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2-3
쿠마린 감광성 관능기를 갖는 폴리이미드계 감광성 고분자 액정배향제
(1) 쿠마린 감광성 관능기의 도입
7-히드록시쿠마린 16.2g와 수소화나트륨(NaH) 2.4g를 질소로 충진되어 있는 둥근바닥플라스크에 넣고 수분을 제거시킨 테트라히드로푸란 160㎖에 용해시킨 후 격렬하게 교반하여 6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이 용액을, 실시예 2-1의 (1)와 같이 트리아진 18.4g를 둥근바닥플라스크에 넣고 수분이 제거된 테트라히드로푸란 200㎖에 녹인 용액에, -5℃에서 천천히 적하시키면서 격렬하게 교반하며 24시간 반응시켰다. 반응을 종결시킨 후 감압증류하여 테트라히드로푸란을 제거하였으며, 얻어진 고체를 다시 클로로포름에 용해시켰다. 이 용액을 분별깔대기에서 증류수로 3회 씻어 불순물을 추출한 후 칼슘 클로라이드로 수분을 제거하였다. 이 용액을 다시 감압증류하여 클로로포름을 제거한 후 메틸렌클로라이드와 노말헥산의 혼합용매로 재결정하였다. 얻어진 물질을 감압여과한 후 진공건조하여 쿠마린 감광성 관능기를 갖는 트리아진을 얻었다.
(2) 두 개의 아민 관능기를 갖는 트리아진 단량체의 합성
실시예 2-3의 (1)와 같은 방법으로 합성된 쿠마린 감광성 관능기를 갖는 트리아진 31.1g를 둥근바닥플라스크에 넣고 클로로포름 400㎖에 녹였다. 또한, 4-아미노페놀 32.8g와 수산화나트륨 12g를, 브롬화세틸트리메틸암모늄 3g를 녹인 증류수 300㎖에 녹여서 앞의 트리아진용액과 섞어서 격렬하게 24시간 반응시켰다. 반응을 종결시킨 후 유기용액상을 분리하여 분별깔대기에 옮겨 놓고 증류수로 3회 씻어 불순물을 추출한 후 칼슘클로라이드로 수분을 제거하였다. 수분이 제거된 용액을 감압증류하여 유기용매인 클로로포름을 제거한 후 메틸렌클로라이드와 노말헥산의 혼합용매에서 재결정하였다. 석출된 결정을 감압여과한 후 진공건조하여 트리아진 단량체를 얻었다.
(3) 쿠마린 감광성 관능기를 갖는 폴리이미드 감광성 고분자 액정 배향제의 중합
실시예 2-3의 (2)의 방법으로 얻은 트리아진 단량체 45.54g를 질소가 충진된 둥근바닥플라스크에 넣고 N-메틸피롤리돈 400㎖에 녹였다. 1,2,4,5-벤젠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 21.8g를 N-메틸피롤리돈 100㎖에 용해시킨 후 앞의 트리아진 단량체가 녹아있는 용액에 천천히 적하시키면서 격렬하게 교반시켜 24시간 반응시켰다. 반응종결 후 메탄올에 반응용액을 천천히 흘려주어 침전을 시키고 여과하여 침전물을 진공건조시켰다. 얻어진 침전물을 다시 N-메틸피롤리돈에 용해시킨 후 메탄올에 침전시키는 과정을 2회 반복한 후 진공건조시켜 최종적으로 트리아진 고리를 이용하여 쿠마린 감광성 관능기를 갖는 폴리이미드계 고분자 액정 배향제의전단계 물질인 폴리아믹산을 합성하였다.
(4) 액정 디스플레이 셀의 제작
실시예 2-3의 (3)에서 얻은 폴리이미드 감광성 고분자 액정 배향제를 실시예 2-1의 (6)와 같은 방법으로 액정 디스플레이 셀을 제작하였다.
시험예 : 액정 디스플레이 셀의 특성 측정
실시예 2-1 내지 2-3에서 제조된 액정 디스플레이 셀의 전기 광학 특성, 열안정성, 광안정성, 잔류 DC 및 VHR 특성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5, 6, 7, 8에 나타내었다.
시험예 1 : 열처리에 따른 선경사각의 변화
하기 표 5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감광성 고분자 액정 배향제는 기존에 사용되는 폴리이미드의 기본 특성인 열안정성과 광학적 투명성, 우수한 도포 특성 및 높은 기계적 특성 등을 가지고 있다. 이와 더불어 감광성 관능기를 가지고 있어 배향을 위한 광조사량이 기존의 폴리이미드 배향제에 비하여 줄어드는 장점도 가지고 있다. 본 실시예의 배향제를 이용하여 광배향 액정 셀을 제조할 경우 단순한 공정으로 멀티도메인 액정배향을 얻을 수 있으며 고온공정인 실베이킹 후에도 액정의 선경사각이 유지되는 등 현저하게 향상된 배향 특성으로 인하여 고화질과 광시야각이 요구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구 분 실시예 2-1 실시예 2-2 실시예 2-3
공 정 광조사 광조사 광조사
농 도 8 중량% 8 중량% 8 중량%
선경사각 상온 0~4° 0~3° 0~4°
열처리 후 0~4° 0~3° 0~4°
대비비 195 190 190
주) 1. 선경사각 측정은 crystal angle rotation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음.
2. 열처리는 실베이킹 온도인 150℃에서 3분간 실시하였음.
시험예 2 : 열안정성
액정 셀의 열안정성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액정 셀의 초기 선경시각을 측정한 후 200℃에서 열노화를 시키면서 시간에 따른 선경사각의 변화를 상온에서 측정하였다. 배향의 열안정성이 불안정한 경우 선경사각이 시간에 따라 변화하였으며, 안정한 경우에는 거의 변화가 없었다. 하기 표 6에 실시결과를 나타내었다. 하기 표 6을 통해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광배향제는 장시간의 열노화 상태에서도 액정의 배향과 선경사각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우수한 열안정성을 갖고 있어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하기 위한 기본 특성을 만족시킨다.
구 분 실시예 2-1 실시예 2-2 실시예 2-3
선경사각 ~ 4° ~ 3° ~ 4°
열노화온도 200℃ 200℃ 200℃
열노화시간 48시간 48시간 48시간
선경사각 변화량 없음 없음 없음
시험예 3 : 광안정성
실시예 2-1, 2-2, 2-3의 액정 셀 제조 방법에 따라 광안정성 측정용 액정 셀을 제조하여 광안정성을 측정하였다. 광안정성 측정은 하나의 액정 셀의 배향면에 1~10분간 자외선과 가시광선 영역의 빛을 조사한 후 액정 셀의 조사면과 비조사면의 배향특성의 변화를 편광자를 이용하여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그 결과를 아래의 표 7에 나타내었다. 일반적으로 광안정성이 없는 액정 셀은 조사된 빛에 의해 광조사면의 액정배향에 변화가 유도되어 액정의 배향특성이 변하게 되므로, 비조사면과 현격한 차이를 나타내거나 배향이 파괴되어 액정배향이 불특정 방향으로 혼합되게 되므로 디스플레이 소자로 사용할 수 없게 된다.
구 분 실시예 2-1 실시예 2-2 실시예 2-3
광조사량 0.5J/cm2 변화 없음 변화 없음 변화 없음
1J/cm2 변화 없음 변화 없음 변화 없음
2J/cm2 변화 없음 변화 없음 변화 없음
광조사각 90° 변화 없음 변화 없음 변화 없음
80° 변화 없음 변화 없음 변화 없음
70° 변화 없음 변화 없음 변화 없음
시험예 4 : 잔류 DC 및 전압보유율(Voltage Holding ratio: VHR)
잔류 DC는 액정 셀의 양단에 직류전압을 -10V∼10V 사이에서 변화시키면서 인가하여 이때 정전용량값을 측정하여 그 이력값의 크기로부터 잔류 DC를 구하는방법을 사용하였다. 실험에 사용되는 액정 셀은 4∼6μm 두께를 갖는 TN구조의 시료들로,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 2-1 내지 2-3의 제조방법으로 준비하였다. 준비된 액정 셀의 두 전극을 LCD meter(Fluke 6306)에 연결하여 직류전원을 0V에서 시작하여 10V, 0V, -10V와 같이 변화시키면서 1 kHz에서 정전용량의 변화를 기록하였다. 전압에 따른 정전용량 변화의 이력(Hysteresis)을 구하여 이로부터 잔류 DC를 측정하였다. 전압보유율(Voltage Holding ratio: VHR)은 ±1 Volt, 60 Hz의 주기로 64μs의 폭을 갖는 펄스를 가하여 처음에 가해진 전압이 한 주기 내에서 유지되는 비율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8에 나타나 있는 것처럼 세 경우 모두 20℃에서 10∼13 mV의 낮은 잔류 DC가 측정되었고, VHR도 98∼99%로 높게 나타났다. 이는 본 실시예의 광배향제가 액정 디스플레이 소자로 활용되기 위한 기본 특성을 만족시키는 것을 나타낸다.
구 분 실시예 2-1 실시예 2-2 실시예 2-3
R-DC 20℃ 8 mV 10 mV 10 mV
60℃ 25 mV 30 mV 32 mV
VHR 20℃ 99% 99% 98%
60℃ 99% 98% 97%
제3 실시예
제3 실시예에서 고분자의 일반적인 구조는 하기 화학식 16과 같다.
(m+n=1, 0 ≤ m ≤ 1 그리고 0 ≤ n ≤ 1)
상기 화학식 16에서 R1은 제1 및 제2 실시예와 동일하다.
상기 화학식 16에서 R2, R3과 R4를 연결하는 결합은 아민과 카르복실산의 반응에서 얻어지는 아미드 결합으로서, 그 반응의 일반적인 형태를 다음의 반응식 3에 나타내었다.
상기 화학식 16에서 R2, R3과 R5를 연결하는 결합은 아민과 산이무수물의 반응에서 얻어지는 이미드 결합으로서, 그 반응의 일반적인 형태를 다음의 반응식 4에 나타내었다.
따라서, 상기 화학식 16의 연결부인 이미드결합과 아미드결합은 아민과 카르복실산 또는 산이무수물의 반응에서 얻어지는 것으로서, 각각 반응식 3과 반응식 4의 반응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화학식 16에서 R2와 R3은 반응식 3과 반응식 4의 아민에 기인하는 것으로서, 각각 화학식 14에서 선택된 하나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화학식 16에서 R4는 반응식 3의 카르복실산에 기인하는 것으로서 각각 화학식 12에서 선택된 하나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화학식 16에서 R5는 반응식 4의 산이무수물에 기인하는 것으로서 각각 화학식 15에서 선택된 하나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화학식 16의 감광성 고분자에 포함된 벤젠고리는 표시된 파라-(para-) 구조 외에 오르토-(ortho-) 또는 메타-(meta-) 구조를 갖거나, 또는 오르토-, 메타-, 파라-의 혼합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술한 화학식 16으로 표시되는 본 실시예의 폴리(아미드-이미드) 공중합체 감광성 고분자는 제1 및 제2 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하나 이상의 광활성 자리(photoactive group)를 갖게 되는데, 특히 이러한 광활성 자리 중의 하나는 광분해(photodegradation)를 겪을 수 있으며, 또 다른 하나는 프리스 광자리옮김(Fries rearrangement)을 겪을 수 있고, 그리고 나머지 자리들은 생성된 배향의 강화, 수정 및 보전을 위한 광이량화(photodimerization) 또는 광교차결합화(photocrosslinking)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폴리(아미드-이미드) 공중합체 감광성 고분자는 폴리아미드와 폴리이미드 배향제를 혼합하여 사용할 때, 상분리를 억제해주는 상용화제(compatibilizer)로 사용할 수 있다.
화학식 16으로 표시되는 본 실시예의 감광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액정 배향제는 제1 실시예의 경우와 실질적으로 거의 동일한 특성 및 적용범위를 가진다.
또한, 본 실시예의 폴리(아미드-이미드) 공중합체 감광성 고분자 액정 배향제를 사용하여 액정 배향막을 제조하는 방법은 제1 실시예의 폴리아미드계 감광성 고분자 액정 배향제를 사용하여 액정 배향막을 제조하는 방법 및 제2 실시예의 폴리이미드계 감광성 고분자 액정 배향제를 사용하여 액정 배향막을 제조하는 방법과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하,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본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다음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양태를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제한하거나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실시예 3-1
신나메이트 감광성 관능기를 갖는 폴리(아미드-이미드) 감광성 고분자 액정 배향제
(1) 트리아진 고리의 개질
4-(2-테트라히드로피라닐메톡시)브로모벤젠 27.1g를 질소가 충진된 3구 플라스크에서 수분이 제거된 테트라히드로푸란 250㎖로 용해시킨 후 마그네슘 3g와 24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이 용액을 질소가 충진된 3구 플라스크에서, 시아누릭 클로라이드 18.4g를 수분이 제거된 테트로히드로푸란 200㎖에 용해시킨 용액에 천천히 적하시키면서 -20℃에서 12시간 반응시켰다.
반응을 종결시킨 후에 반응용액을 상온에서 감압하여 테트라히드로푸란을 제거한 후 에틸아세테이트에 용해시켰다. 이 용액을 염기성 수용액과 혼합하여 격렬하게 교반하면서 불순물을 추출한 후 수용액상을 분리 제거하고, 상온에서 감압하여 에틸아세테이트를 제거하였다.
용매가 제거되고 남아있는 고체상의 물질을 n-헥산에서 재결정하여 2-(4-(2-테트라히드로피라닐메톡시)페닐)-4,6-디클로로-1,3,5-트리아진을 얻었다.
(2) 트리아진 고리에 히드록시 관능기의 도입
상기 (1)에서 얻은 물질 34.0g를 다시 둥근바닥플라스크에 넣어 300㎖의 테트라히드로푸란에 녹인 후 피리디늄파라톨루엔설포네이트 0.3g를 추가로 넣어준 후 에탄올 50㎖를 첨가하여 24시간 반응시켰다.
반응종결 후 감압증류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남아 있는 고체들을 다시 메틸렌클로라이드에 녹인 후 분별깔대기에서 증류수와 혼합하여 불순물을 2회 추출하였다. 메틸렌클로라이드 용액에 칼슘클로라이드를 넣어 수분을 제거한 후 다시 감압증류하여 용매를 제거하였다. 이 고체상을 메틸렌클로라이드와 노말헥산의 혼합용매에서 재결정하여 2-(4-히드록시페닐)-4,6-디클로로-1.3,5-트리아진을 얻었다.
(3) 신나메이트 측쇄를 갖는 트리아진 고리의 합성
상기 (2)의 방법으로 얻은 트리아진 25.6g를 질소가 충진된 둥근바닥플라스크에 넣고, 수분을 제거한 테트라히드로푸란 200㎖를 넣어 용해시켰다. 이 용액에 트리에틸아민 15.2g를 첨가하고 온도를 -5℃로 낮춘 후, 신나모일클로라이드 25g에 수분을 제거한 테트라히드로푸란 100㎖를 넣어 희석시킨 신나모일클로라이드 용액을 천천히 적하시키면서 격렬하게 12시간 교반, 반응시켰다.
반응을 종료시킨 후, 반응용액을 감압증류하여 테트라히드로푸란을 제거한 후 메틸렌클로라이드에 녹이고 실리카젤로 충진된 필터를 통과시킨 후 다시 감압증류하여 용매를 제거하였다.
마지막으로 메틸렌클로라이드와 노말헥산의 1:1 혼합용매에서 재결정을 한 후 감압여과하였다. 얻어진 고체상의 물질을 진공건조하여 신나메이트 측쇄를 갖는 트리아진을 얻었다.
(4) 두개의 아민 관능기를 갖는 트리아진 단량체의 합성
상기 (3)의 방법으로 얻은 트리아진 38.6g를 둥근바닥플라스크에 넣고 클로로포름 400㎖에 녹였다. 4-아미노페놀 32.8g와 수산화나트륨 12g를 브롬화세틸트리메틸암모늄 3g를 녹인 증류수 300㎖에 녹여서 앞의 트리아진 용액과 섞어서 격렬하게 24시간 반응시켰다. 반응을 종결시킨 후 유기용액상을 분리하여 분별깔대기에 옮겨 놓고 증류수로 3회 씻어 불순물을 추출한 후 칼슘 클로라이드로 수분을 제거하였다. 수분이 제거된 용액을 감압증류하여 유기용매인 클로로포름을 제거한 후 메틸렌클로라이드와 노말헥산의 혼합용매에서 재결정하였다.
석출된 결정을 감압여과한 후 진공건조하여 트리아진 단량체를 얻었다.
(5) 시나메이트 감광성 관능기를 갖는 폴리(아미드-이미드) 감광성 고분자 액정배향제의 중합
상기 (4)의 방법으로 얻은 트리아진 단량체 53.156g를 질소가 충진된 둥근바닥플라스크에 넣고 수분이 제거된 테트라히드로퓨란 400㎖에 녹인다. 이 용액에 트리에틸아민 10.12g를 첨가한다.
테레프탈로일 클로라이드 10.15g를 수분을 제거한 테트라히드로퓨란 100㎖에 용해시킨 후, 앞의 트리아진 단량체와 트리에틸아민이 녹아있는 용액에 천천히 적하시키면서 격렬하게 교반시켜 6시간동안 반응시켰다. 이 용액에 1,2,4,5-벤젠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 10.9g를 N-메틸피롤리돈 100㎖에 용해시킨 용액을 다시 적하시키면서 6시간동안 추가반응을 시켰다.
반응종결 후 메탄올에 반응용액을 천천히 흘려주어 침전을 시키고 여과하여 침전물을 진공 건조시켰다. 얻어진 침전물을 다시 테트라히드로퓨란에 용해시킨 후 메탄올에 침전시키는 과정을 2회 반복한 후 진공건조시켜 최종적으로 트리아진 고리를 이용하여 쿠마린 감광성 관능기를 갖는 폴리(아미드-이미드) 공중합체 고분자 액정 배향제를 합성하였다.
(6) 액정 디스플레이 셀의 제작
수득된 광배향제를 8 중량%의 농도로 NMP와 부틸셀루솔브의 혼합용매에 용해시킨 후 0.1㎛의 미세공 크기를 갖는 여과막에 용액을 통과시켜 용해되지 않은 불순물 입자를 제거하였다. 이 용액을 투명 전극이 도포된 유리기판 위에 300㎚의 두께로 프린팅하여 광배향제를 도포시키고, 유리기판을 약 200℃에서 약 1시간 동안 건조시켜 용매를 제거하면서 이미드화 반응을 시켰다. 이 유리기판을 500W 수은 램프의 자외광에 대하여 20°의 각도로 2초에서 10분간 1회의 광조사를 통한 시나메이트기의 광중합, 고분자 사슬의 광분해 등 복합적인 광반응을 유도하여 고분자 액정 배향막을 제조하였다. 광반응된 2개의 유리기판 위에 4∼5㎛의 크기를 갖는 스페이서를 뿌린 후, 에폭시 접착제를 이용하여 2개의 유리기판 사이의 두께(cell gap)가 4∼5㎛가 되도록 부착시켰다. 이 셀을 130℃에서 1시간 동안의 경화공정을 거쳐 에폭시 접착제를 경화시킴으로써 두 개의 유리기판이 완전히 접착되게 하여 셀의 제조를 완성하였다. 완성된 셀에 액정을 주입하고 100∼130℃에서 1시간 동안 열을 가한 후 온도를 다시 상온으로 떨어뜨리는 열처리 공정을 1회 진행하여 최종적으로 액정 디스플레이 셀을 얻었다.
실시예 3-2
칼콘 감광성 관능기를 갖는 폴리(아미드-이미드) 감광성 고분자 액정 배향제
(1) 칼콘 감광성 관능기의 합성
4-메톡시칼콘 10g와 시안화나트륨 2.05g를 디메틸설폭시드 100㎖에 용해시킨 후 24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종결 후 반응용액을 클로로포름에 혼합한 후 증류수와 교반시켜 불순물을 추출하였다. 수용액 상을 제거한 후 상온에서 감압시켜 클로로포름을 제거하였다. 남아있는 고체상을 메탄올에서 재결정한 후 40℃에서 진공건조하여 광반응을 위한 측쇄 4-히드록시칼콘을 얻었다.
(2) 트리아진 고리에 칼콘 감광성 관능기의 도입
실시예 3-2의 (1)의 방법으로 합성된 4-히드록시칼콘 23.8g를 질소가 충진된 둥근바닥플라스크에 넣고 수분을 제거한 테트라히드로푸란 240㎖에 녹인 후 여기에 수소화나트륨(NaH) 2.4g를 넣고 상온에서 6시간 반응시켰다. 이 용액을, 실시예3-1의 (1)와 같이 트리아진 18.4g를 둥근바닥플라스크에 넣고 수분이 제거된 테트라히드로푸란 200㎖에 녹인 용액에, -5℃에서 천천히 적하시키면서 격렬하게 교반하며 24시간 반응시켰다. 반응을 종결시킨 후 감압증류하여 테트라히드로푸란을 제거하였으며, 얻어진 고체를 다시 클로로포름에 용해시켰다. 이 용액을 분별깔대기에서 증류수로 3회 씻어 불순물을 추출한 후 칼슘 클로라이드로 수분을 제거하였다. 이 용액을 다시 감압증류하여 클로로포름을 제거한 후 메틸렌클로라이드와 노말헥산의 혼합용매로 재결정하였다. 얻어진 물질을 감압여과한 후 진공건조하여 칼콘 감광성 관능기를 갖는 트리아진을 얻었다.
(3) 두 개의 아민 관능기를 갖는 트리아진 단량체의 합성
실시예 3-2의 (2)와 같은 방법으로 합성된 칼콘 감광성 관능기를 갖는 트리아진 38.6g를 둥근바닥플라스크에 넣고 클로로포름 400㎖에 녹였다. 또한, 4-아미노페놀 32.8g와 수산화나트륨 12g를, 브롬화세틸트리메틸암모늄 3g를 녹인 증류수 300㎖에 녹여서 앞의 트리아진용액과 섞어서 격렬하게 24시간 반응시켰다. 반응을 종결시킨 후 유기용액상을 분리하여 분별깔대기에 옮겨 놓고 증류수로 3회 씻어 불순물을 추출한 후 칼슘클로라이드로 수분을 제거하였다. 수분이 제거된 용액을 감압증류하여 유기용매인 클로로포름을 제거한 후 메틸렌클로라이드와 노말헥산의 혼합용매에서 재결정하였다. 석출된 결정을 감압여과한 후 진공건조하여 트리아진 단량체를 얻었다.
(4) 칼콘 감광성 관능기를 갖는 폴리(아미드-이미드) 감광성 고분자 액정 배향제의 중합
실시예 3-2의 (3)의 방법으로 얻은 트리아진 단량체 53.15g를 질소가 충진된 둥근바닥플라스크에 넣고 수분이 제거된 테트라히드로퓨란 400㎖에 녹였다. 이 용액에 트리에틸아민 10.12g를 첨가한다. 테레프탈로일 클로라이드 10.15g를 수분을 제거한 테트라히드로퓨란 100㎖에 용해시킨 후, 앞의 트리아진 단량체와 트리에틸아민이 녹아있는 용액에 천천히 적하시키면서 격렬하게 교반시켜 24시간 반응시켰다. 이 용액에 1,2,4,5-벤젠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 10.9g를 N-메틸리롤리돈 100㎖에 용해시킨 용액을 다시 적하시키면서 6시간 추가반응을 실시하였다. 반응종결 후 메탄올에 반응용액을 천천히 흘려주어 침전을 시키고 여과하여 침전물을 진공건조시켰다. 얻어진 침전물을 다시 테트라히드로퓨란에 용해시킨 후 메탄올에 침전시키는 과정을 2회 반복한 후 진공건조시켜 최종적으로 트리아진 고리를 이용하여 칼콘 감광성 관능기를 갖는 폴리(아미드-이미드) 공중합체 고분자 액정 배향제를 합성하였다.
(5) 액정 디스플레이 셀의 제작
실시예 3-2의 (4)에서 얻은 감광성 고분자 액정 배향제를 이용하여 실시예 3-1의 (6)와 같은 방법으로 액정 디스플레이 셀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3-3
쿠마린 감광성 관능기를 갖는 폴리(아미드-이미드) 감광성 고분자 액정배향제
(1) 쿠마린 감광성 관능기의 도입
7-히드록시쿠마린 16.2g와 수소화나트륨(NaH) 2.4g를 질소로 충진되어 있는 둥근바닥플라스크에 넣고, 수분을 제거시킨 테트라히드로푸란 160㎖에 용해시킨 후 격렬하게 교반하여 6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이 용액을, 실시예 3-1의 (1)와 같이 트리아진 18.4g를 둥근바닥플라스크에 넣고 수분이 제거된 테트라히드로푸란 200㎖에 녹인 용액에, -5℃에서 천천히 적하시키면서 격렬하게 교반하며 24시간 반응시켰다. 반응을 종결시킨 후 감압증류하여 테트라히드로푸란을 제거하였으며, 얻어진 고체를 다시 클로로포름에 용해시켰다. 이 용액을 분별깔대기에서 증류수로 3회 씻어 불순물을 추출한 후 칼슘 클로라이드로 수분을 제거하였다. 이 용액을 다시 감압증류하여 클로로포름을 제거한 후 메틸렌클로라이드와 노말헥산의 혼합용매로 재결정하였다. 얻어진 물질을 감압여과한 후 진공건조하여 쿠마린 감광성 관능기를 갖는 트리아진을 얻었다.
(2) 두 개의 아민 관능기를 갖는 트리아진 단량체의 합성
실시예 3-3의 (1)와 같은 방법으로 합성된 쿠마린 감광성 관능기를 갖는 트리아진 31.1g를 둥근바닥플라스크에 넣고 클로로포름 400㎖에 녹였다. 또한, 4-아미노페놀 32.8g와 수산화나트륨 12g를, 브롬화세틸트리메틸암모늄 3g를 녹인 증류수 300㎖에 녹여서 앞의 트리아진용액과 섞어서 격렬하게 24시간 반응시켰다. 반응을 종결시킨 후 유기용액상을 분리하여 분별깔대기에 옮겨 놓고 증류수로 3회 씻어 불순물을 추출한 후 칼슘클로라이드로 수분을 제거하였다. 수분이 제거된 용액을 감압증류하여 유기용매인 클로로포름을 제거한 후 메틸렌클로라이드와 노말헥산의 혼합용매에서 재결정하였다. 석출된 결정을 감압여과한 후 진공건조하여 트리아진 단량체를 얻었다.
(3) 쿠마린 감광성 관능기를 갖는 감광성 고분자 액정 배향제의 중합
실시예 3-3의 (2)의 방법으로 얻은 트리아진 단량체 45.54g를 질소가 충진된 둥근바닥플라스크에 넣고 수분이 제거된 테트라히드로푸란 400㎖에 녹였다. 이 용액에 트리에틸아민 10.12g를 첨가했다. 테레프탈로일 클로라이드 10.15g를 수분을 제거한 테트라히드로푸란 100㎖에 용해시킨 후 앞의 트리아진 단량체와 트리에틸아민이 녹아있는 용액에 천천히 적하시키면서 격렬하게 교반시켜 6시간 반응시켰다. 이 용액에 1,2,4,5-벤젠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 10.9g를 N-메틸피롤리돈 100㎖에 용해시킨 용액을 다시 적하시키면서 6시간 동안 추가반응을 실시하였다. 반응종결 후 메탄올에 반응용액을 천천히 흘려주어 침전을 시키고 여과하여 침전물을 진공 건조시켰다. 얻어진 침전물을 다시 테트라히드로푸란에 용해시킨 후 메탄올에 침전시키는 과정을 2회 반복한 후 진공건조시켜 최종적으로 트리아진 고리를 이용하여 쿠마린 감광성 관능기를 갖는 폴리(아미드-이미드) 공중합체 고분자 액정 배향제를 합성하였다.
(4) 액정 디스플레이 셀의 제작
실시예 3-3의 (3)에서 얻은 폴리(아미드-이미드) 감광성 고분자 액정 배향제를 이용하여 실시예 3-1의 (6)와 같은 방법으로 액정 디스플레이 셀을 제작하였다.
시험예 : 액정 디스플레이 셀의 특성 측정
실시예 3-1 내지 3-3에서 제조된 액정 디스플레이 셀의 전기 광학 특성, 열안정성, 광안정성, 잔류 DC 및 VHR 특성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9, 10, 11, 12에 나타내었다.
시험예 1 : 열처리에 따른 선경사각의 변화
하기 표 9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감광성 고분자 액정 배향제는 기존에 사용되는 폴리이미드의 기본 특성인 열안정성과 광학적 투명성, 우수한 도포 특성 및 높은 기계적 특성 등을 가지고 있다. 이 우수한 특성들을 유지하면서 가공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폴리아미드와 공중합을 하였다. 이와 더불어 감광성 관능기를 가지고 있어 배향을 위한 광조사량이 기존의 폴리이미드 배향제에 비하여 줄어드는 장점도 가지고 있다. 본 실시예의 배향제를 이용하여 광배향 액정 셀을 제조할 경우 단순한 공정으로 멀티도메인 액정배향을 얻을 수 있으며 고온공정인 실베이킹 후에도 액정의 선경사각이 유지되는 등 현저하게 향상된 배향 특성으로 인하여 고화질과 광시야각이 요구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구 분 실시예 3-1 실시예 3-2 실시예 3-3
공 정 광조사 광조사 광조사
농 도 8 중량% 8 중량% 8 중량%
선경사각 상온 0~3° 0~5° 0~6°
열처리 후 0~3° 0~5° 0~6°
대비비 196 194 193
주) 1. 선경사각 측정은 crystal angle rotation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음.
2. 열처리는 실베이킹 온도인 150℃에서 3분간 실시하였음.
시험예 2 : 열안정성
액정 셀의 열안정성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액정 셀의 초기 선경시각을 측정한 후 200℃에서 열노화를 시키면서 시간에 따른 선경사각의 변화를 상온에서 측정하였다. 배향의 열안정성이 불안정한 경우 선경사각이 시간에 따라 변화하였으며, 안정한 경우에는 거의 변화가 없었다. 하기 표 10에 실시결과를 나타내었다. 하기 표 10을 통해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광배향제는 장시간의 열노화 상태에서도 액정의 배향과 선경사각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우수한 열안정성을 갖고 있어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하기 위한 기본 특성을 만족시킨다.
구 분 실시예 3-1 실시예 3-2 실시예 3-3
선경사각 ~ 3° ~ 5° ~ 6°
열노화온도 150℃ 150℃ 150℃
열노화시간 48시간 48시간 48시간
선경사각 변화량 없음 없음 없음
시험예 3 : 광안정성
실시예 3-1, 3-2, 3-3의 액정 셀 제조 방법에 따라 광안정성 측정용 액정 셀을 제조하여 광안정성을 측정하였다. 광안정성 측정은 하나의 액정 셀의 배향면에 1~10분간 자외선과 가시광선 영역의 빛을 조사한 후 액정 셀의 조사면과 비조사면의 배향특성의 변화를 편광자를 이용하여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그 결과를 아래의 표 11에 나타내었다. 일반적으로 광안정성이 없는 액정 셀은 조사된 빛에 의해 광조사면의 액정배향에 변화가 유도되어 액정의 배향특성이 변하게 되므로, 비조사면과 현격한 차이를 나타내거나 배향이 파괴되어 액정배향이 불특정 방향으로 혼합되게 되므로 디스플레이 소자로 사용할 수 없게 된다.
구 분 실시예 3-1 실시예 3-2 실시예 3-3
광조사량 0.5J/cm2 변화 없음 변화 없음 변화 없음
1J/cm2 변화 없음 변화 없음 변화 없음
2J/cm2 변화 없음 변화 없음 변화 없음
광조사각 90° 변화 없음 변화 없음 변화 없음
80° 변화 없음 변화 없음 변화 없음
70° 변화 없음 변화 없음 변화 없음
시험예 4 : 잔류 DC 및 전압보유율(Voltage Holding ratio: VHR)
잔류 DC는 액정 셀의 양단에 직류전압을 -10V∼10V 사이에서 변화시키면서 인가하여 이때 정전용량값을 측정하여 그 이력값의 크기로부터 잔류 DC를 구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실험에 사용되는 액정 셀은 4∼6μm 두께를 갖는 TN구조의 시료들로,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 3-1 내지 3-3의 제조방법으로 준비하였다. 준비된 액정 셀의 두 전극을 LCD meter(Fluke 6306)에 연결하여 직류전원을 0V에서 시작하여 10V, 0V, -10V와 같이 변화시키면서 1 kHz에서 정전용량의 변화를 기록하였다. 전압에 따른 정전용량 변화의 이력(Hysteresis)을 구하여 이로부터 잔류 DC를 측정하였다. 전압보유율(Voltage Holding ratio: VHR)은 ±1 Volt, 60 Hz의 주기로 64μs의 폭을 갖는 펄스를 가하여 처음에 가해진 전압이 한 주기 내에서 유지되는 비율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2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8에 나타나 있는 것처럼 세 경우 모두 20℃에서 10∼13mV의 낮은 잔류 DC가 측정되었고, VHR도 98∼99%로 높게 나타났다. 이는 본 실시예의 광배향제가 액정 디스플레이 소자로 활용되기 위한 기본 특성을 만족시키는 것을 나타낸다.
구 분 실시예 3-1 실시예 3-2 실시예 3-3
R-DC 20℃ 9 mV 12 mV 12 mV
60℃ 26 mV 28 mV 30 mV
VHR 20℃ 99% 99% 99%
60℃ 99% 98% 97%
본 발명은 트리아진 유도체를 고분자의 주쇄로 하여 시나메이트계, 쿠마린계, 칼콘계, 말레이미드계 등의 광반응기를 측쇄로 도입한 광중합, 광분해형 폴리아미드계, 폴리이미드계, 폴리(아미드-이미드)계 감광성 고분자 액정 배향제를 제조하고 이를 배향막으로 사용함으로써 폴리비닐시나메이트, 폴리말레이미드, 폴리올레핀 등과 같은 탄화수소계 고분자를 주쇄로 하는 기존의 광배향제가 갖고 있는문제점인 낮은 열안정성, 액정과 배향막 사이의 약한 물리적 결합력에 의한 낮은 배향력과 셀 제조공정 과정에서 광안정성에 영향을 받는 문제점 등을 극복할 수 있으며, 폴리아미드계, 폴리이미드계, 폴리(아미드-이미드)계 고분자가 갖는 특징인 높은 기계성질, 내열성 등의 특성과 광학적 투명성, 내화학성 등을 함께 갖게 되어 본 발명의 감광성 고분자 액정 배향제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액정 디스플레이 소자들은 고화질과 고품위의 디스플레이 화질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변형 또는 변경은 이 분야의 일반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14)

  1. 하기 화학식(Ⅰ)으로 표시되는, 트리아진 고리를 주쇄로 하는 감광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액정 배향제.
    화학식 (Ⅰ)
    (m+n=1, 0 ≤ m ≤ 1 그리고 0 ≤ n ≤ 1)
    상기 화학식(Ⅰ)에서 R1은 하기 식(1a) 내지 (4a) 중 하나이고,
    상기 식 (1a)에서 X는 다음에서 선택된 하나이고,
    (여기서 m과 n은 각각 0∼10이다)
    상기 식(1a)에서 Y는 다음에서 선택된 하나이고,
    상기에서 1,2,3,4,5,6,7,8,9는 각각 다음에서 선택된 하나이고,
    (여기서 m과 n은 각각 0∼10이며, A와 B는 각각 H, F, Cl, CN, CF3또는 CH3이다)
    상기 식(2a)과 (3a)에서 n은 0∼10이며, 1,2,3,4,5는 각각 다음에서 선택된하나이고,
    (여기서 m과 n은 각각 0∼10이며, A와 B는 각각 H, F, Cl, CN, CF3또는 CH3이다)
    상기 식(4a)에서 Y는 다음에서 선택된 하나이고,
    (여기서 n은 0∼10이다)
    상기 식(4a)에서 1과 2는 각각 다음에서 선택된 하나이고,
    (여기서 A는 H, F, CH3, CF3또는 CN이다)
    상기 화학식(Ⅰ)에서 R2와 R3은 각각 다음에서 선택된 하나의 아민에 기인하는 것이고,
    (여기서 m과 n은 각각 0∼10이다)
    그리고, 상기 화학식(Ⅰ)에서 R4와 R5는 각각 다음에서 선택된 하나의 카르복실산 유도체 또는 산이무수물에 기인하는 것이다.
    (여기서 m과 n은 각각 0∼10 이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Ⅰ)에서 R2, R3와 R4, R5를 연결하는 결합은 하기 반응식(Ⅰ)으로 표시되는 아민과 카르복실산의 반응에서 얻어지는 아미드 결합이며,
    반응식 (Ⅰ)
    상기 화학식(Ⅰ)에서 R4, R5는 상기 반응식(Ⅰ)의 카르복실산에 기인하는 것으로 각각 다음에서 선택된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아진 고리를 주쇄로 하는 감광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액정 배향제.
    (여기서 m과 n은 각각 0~10이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Ⅰ)에서 R2, R3와 R4, R5를 연결하는 결합은 하기 반응식(Ⅱ)으로 표시되는 아민과 산이무수물의 반응에서 얻어지는 이미드 결합이며,
    반응식(Ⅱ)
    그리고, 상기 화학식(Ⅰ)에서 R4와 R5는 반응식(Ⅱ)의 산이무수물에 기인하는 것으로 각각 다음에서 선택된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아진 고리를 주쇄로하는 감광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액정 배향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Ⅰ)에서 R2, R3와 R4를 연결하는 결합은 하기 반응식(Ⅰ)으로 표시되는 아민과 카르복실산의 반응에서 얻어지는 아미드 결합이고,
    반응식(Ⅰ)
    상기 화학식(Ⅰ)에서 R2, R3와 R5를 연결하는 결합은 하기 반응식(Ⅱ)으로 표시되는 아민과 산이무수물의 반응에서 얻어지는 이미드 결합이며,
    반응식(Ⅱ)
    상기 화학식(Ⅰ)의 연결부인 아미드결합과 이미드결합은 상기 반응식(Ⅰ)과 상기 반응식(Ⅱ)의 반응에 의해 각각 이루어지고,
    상기 화학식(Ⅰ)에서 R4는 상기 반응식(Ⅰ)의 카르복실산에 기인하는 것으로각각 다음에서 선택된 하나이며,
    (여기서 m과 n은 각각 0~10이다)
    상기 화학식(Ⅰ)에서 R5는 반응식(Ⅱ)의 산이무수물에 기인하는 것으로 각각 다음에서 선택된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아진 고리를 주쇄로 하는 감광성고분자를 포함하는 액정 배향제.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Ⅰ)의 감광성 고분자에 포함된 벤젠고리는 오르토-, 메타- 또는 파라- 구조를 갖거나, 또는 오르토-, 메타-, 파라-의 혼합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배향제.
  6. 청구항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액정 배향제를 기판상에 도포하여 배향막을 형성한 후 자외선을 조사하여 제조한 감광성 고분자 액정 배향막.
  7. 청구항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액정 배향제를 기판상에 도포하여 배향막을 형성한 후 자외선을 조사하여 제조한 감광성 고분자 액정 배향막을 적용하여 액정에 배향성을 부여한 액정 소자.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소자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보상판(compensator), 광부품 중 하나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소자.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표시장치(LCD)는 STN(Super Twisted Nematic), TN(Twisted Nematic), IPS(In Plane Switching), VA(Vertical Alignment), VATN(Vertically Aligned Twisted Nematic) 중 하나의 구동모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소자.
  10. 청구항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액정 배향제를 유기용매에 1∼20 중량%, 1∼100cps의 점도로 용해시켜 기판상에 10∼500nm의 두께로 도포하여 배향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편광자를 이용하여 선형 편광시킨 자외선 또는 편광자를 사용하지 않은 비편광된 자외선을 상기 배향막의 표면에 경사조사 또는 수직 조사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감광성 고분자 액정 배향막의 제조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용매는 클로로벤젠(chlorobenzene), N-메틸피롤리돈(NMP), N-에틸피롤리돈(NEP), N,N-디메틸이미다졸리디논(DMI), N,N-디프로필이미다졸리디논(DPI), 디메틸포름아미드(DMF), 디메틸아세트아미드(DMAc), 디메틸술폭시드(DMSO), 시클로펜타논, 시클로헥사논, 디클로로에탄, 부틸셀루솔브(butylcellusolve), 감마부티로락톤(γ-butyrolactone), 테트라히드로푸란(THF) 및 이들을 조합한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성 고분자 액정 배향막의 제조방법.
  12. 하기 화학식(Ⅱ)으로 표시되는, 트리아진 고리를 주쇄로 하는 폴리이미드계 감광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액정 배향제.
    화학식(Ⅱ)
    (m+n=1, 0 ≤ m ≤ 1 그리고 0 ≤ n ≤ 1)
    상기 화학식(Ⅱ)에서 R1은 하기 식(1a) 내지 (4a) 중 하나이고,
    상기 식 (1a)에서 X는 다음에서 선택된 하나이고,
    (여기서 m과 n은 각각 0∼10이다)
    상기 식(1a)에서 Y는 다음에서 선택된 하나이고,
    상기에서 1,2,3,4,5,6,7,8,9는 각각 다음에서 선택된 하나이고,
    (여기서 m과 n은 각각 0∼10이며, A와 B는 각각 H, F, Cl, CN, CF3또는 CH3이다)
    상기 식(2a)과 (3a)에서 n은 0∼10이며, 1,2,3,4,5는 각각 다음에서 선택된하나이고,
    (여기서 m과 n은 각각 0∼10이며, A와 B는 각각 H, F, Cl, CN, CF3또는 CH3이다)
    상기 식(4a)에서 Y는 다음에서 선택된 하나이고,
    (여기서 n은 0∼10이다)
    상기 식(4a)에서 1과 2는 각각 다음에서 선택된 하나이고,
    (여기서 A는 H, F, CH3, CF3또는 CN이다)
    상기 화학식(Ⅱ)에서 R2, R3와 R4, R5를 연결하는 이미드결합은 하기 반응식(Ⅱ)으로 표시되는 아민과 산이무수물의 반응에서 얻어지는 것이며,
    반응식(Ⅱ)
    상기 화학식(Ⅱ)에서 R2와 R3은 상기 반응식(Ⅱ)의 아민에 기인하는 것으로서 각각 다음에서 선택된 하나이고,
    (여기서 m과 n은 각각 0∼10이다)
    그리고, 상기 화학식(Ⅱ)에서 R4와 R5는 상기 반응식(Ⅱ)의 산이무수물에 기인하는 것으로서 각각 다음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여기서 m과 n은 각각 0∼10 이다)
  13. 하기 화학식(Ⅲ)으로 표시되는, 트리아진 고리를 주쇄로 하는 감광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액정 배향제.
    화학식(Ⅲ)
    (m+n=1, 0 ?? m ?? 1 그리고 0 ?? n ?? 1)
    상기 화학식(Ⅲ)에서 R1은 하기 식(1a) 내지 (4a) 중 하나이고,
    상기 식 (1a)에서 X는 다음에서 선택된 하나이고,
    (여기서 m과 n은 각각 0∼10이다)
    상기 식(1a)에서 Y는 다음에서 선택된 하나이고,
    상기에서 1,2,3,4,5,6,7,8,9는 각각 다음에서 선택된 하나이고,
    (여기서 m과 n은 각각 0∼10이며, A와 B는 각각 H, F, Cl, CN, CF3또는 CH3이다)
    상기 식(2a)과 (3a)에서 n은 0∼10이며, 1,2,3,4,5는 각각 다음에서 선택된하나이고,
    (여기서 m과 n은 각각 0∼10이며, A와 B는 각각 H, F, Cl, CN, CF3또는 CH3이다)
    상기 식(4a)에서 Y는 다음에서 선택된 하나이고,
    (여기서 n은 0∼10이다)
    상기 식(4a)에서 1과 2는 각각 다음에서 선택된 하나이고,
    (여기서 A는 H, F, CH3, CF3또는 CN이다)
    상기 화학식(Ⅲ)에서 R2, R3와 R4를 연결하는 아미드결합은 하기 반응식(Ⅰ)으로 표시되는 아민과 카르복실산의 반응에서 얻어지는 것이며,
    반응식 (Ⅰ)
    상기 화학식(Ⅲ)에서 R2, R3과 R5를 연결하는 이미드결합은 하기 반응식(Ⅱ)으로 표시되는 아민과 산이무수물의 반응에서 얻어지는 것이며,
    반응식(Ⅱ)
    상기 화학식(Ⅲ)의 연결부인 이미드결합과 아미드결합은 상기 반응식(Ⅰ)과 상기 반응식(Ⅱ)의 반응에 의해 이루어지고,
    상기 화학식(Ⅲ)에서 R2와 R3은 상기 반응식(Ⅱ)의 아민에 기인하는 것으로각각 다음에서 선택된 하나이고,
    (여기서 m과 n은 각각 0∼10이다)
    그리고, 상기 화학식(Ⅲ)에서 R4는 상기 반응식(Ⅰ)의 카르복실산에 기인하는 것으로 각각 다음에서 선택된 하나이고,
    (여기서 m과 n은 각각 0~10이다)
    그리고, 상기 화학식(Ⅲ)에서 R5는 반응식(Ⅱ)의 산이무수물에 기인하는 것으로 각각 다음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여기서 m과 n은 각각 0∼10 이다)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액정배향제는 폴리아미드와 폴리이미드의 상분리를 억제해주는 상용화제(compatibilizer)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배향제.
KR10-2002-0069828A 2001-11-12 2002-11-11 트리아진 고리를 주쇄로 하는 감광성 고분자 액정배향제와 이를 이용한 액정 배향막, 이 배향막을 적용한액정 소자 및 이 배향막을 제조하는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4594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10070018 2001-11-12
KR1020010070018 2001-11-12
KR20010070019 2001-11-12
KR1020010070019 2001-11-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0089A KR20030040089A (ko) 2003-05-22
KR100459491B1 true KR100459491B1 (ko) 2004-12-03

Family

ID=26639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9828A Expired - Fee Related KR100459491B1 (ko) 2001-11-12 2002-11-11 트리아진 고리를 주쇄로 하는 감광성 고분자 액정배향제와 이를 이용한 액정 배향막, 이 배향막을 적용한액정 소자 및 이 배향막을 제조하는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067566B2 (ko)
JP (1) JP3929444B2 (ko)
KR (1) KR100459491B1 (ko)
CN (1) CN1535306A (ko)
TW (1) TWI230193B (ko)
WO (1) WO200304232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08050B2 (en) 2014-02-26 2018-10-23 Samsung Display Co., Ltd. Photoalignment agent,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6159B1 (ko) * 2002-10-21 2005-09-23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하나 이상의 광활성 그룹을 가지는 트리아진 고리를이용한 폴리티오에테르계 감광성 고분자 액정 배향제조성물, 이를 이용한 감광성 고분자 액정 배향막의제조방법 및 상기 액정 배향막을 포함하는 액정 소자
KR100516157B1 (ko) * 2002-10-21 2005-09-23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하나 이상의 광활성 그룹을 가지는 트리아진 고리를이용한 폴리에스터계 감광성 고분자 액정 배향제 조성물,이를 이용한 감광성 고분자 액정 배향막의 제조방법 및상기 액정 배향막을 포함하는 액정 소자
KR100516158B1 (ko) * 2002-10-21 2005-09-23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하나 이상의 광활성 그룹을 가지는 트리아진 고리를이용한 폴리에테르계 감광성 고분자 액정 배향제 조성물,이를 이용한 감광성 고분자 액정 배향막의 제조방법, 상기액정 배향막을 포함하는 액정 소자
KR100508103B1 (ko) * 2002-11-29 2005-08-19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하나 이상의 광활성 그룹을 가지는 트리아진 고리를이용한 폴리(아미드-유레아)공중합 감광성 고분자 액정배향제 조성물, 이를 이용한 감광성 고분자 액정 배향막,그 제조방법 및 상기 액정 배향막을 포함하는 액정 소자
KR100508104B1 (ko) * 2002-11-29 2005-08-18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하나 이상의 광활성 그룹을 가지는 트리아진 고리를이용한 폴리(이미드-유레아) 공중합 감광성 고분자 액정배향제 조성물, 이를 이용한 감광성 고분자 액정 배향막,그 제조방법 및 상기 액정 배향막을 포함하는 액정 소자
KR100468400B1 (ko) * 2002-11-29 2005-01-27 엘지전선 주식회사 하나 이상의 광활성 그룹을 가지는 트리아진 고리를이용한 폴리(아미드-에스터) 공중합 감광성 고분자 액정배향제 조성물, 이를 이용한 감광성 고분자 액정 배향막,그 제조방법 및 상기 액정 배향막을 포함하는 액정 소자
JP4246127B2 (ja) * 2004-05-28 2009-04-02 エルジー ケーブル リミテッド 軟性金属薄膜積層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4666398B2 (ja) * 2005-05-13 2011-04-06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JP2006330605A (ja) * 2005-05-30 2006-12-07 Sharp Corp 液晶表示装置
KR101212135B1 (ko) * 2005-06-14 2012-12-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720454B1 (ko) * 2005-06-14 2007-05-22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782437B1 (ko) * 2005-12-30 2007-12-05 제일모직주식회사 액정 배향제
KR101373462B1 (ko) * 2006-06-29 2014-03-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리카보네이트계 감광성 액정 배향제 조성물, 이를 이용한액정 배향막 및 그 제조방법과 액정 배향막을 구비한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8481146B2 (en) * 2007-03-13 2013-07-09 Technische Universiteit Eindhoven Inkjettable polymerizable liquid crystalline mixture
KR100882586B1 (ko) * 2007-10-10 2009-02-13 제일모직주식회사 액정 광배향제, 이를 포함하는 액정 광배향막, 및 이를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101472126B1 (ko) * 2007-11-30 2014-12-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절연막 형성용 조성물, 이로부터 형성된 유기절연막을 구비하는 표시장치
KR101400385B1 (ko) * 2007-12-04 2014-05-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위상차 보상필름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의 위상차 보상필름 제조방법
KR101451739B1 (ko) * 2007-12-05 2014-10-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트리아진 고리를 이용한 1개 이상의 광활성 그룹을 갖는 폴리이미드계 감광성 고분자 액정 배향제 조성물, 이를 이용한 감광성 고분자 액정배향막의 제조방법 및 상기 액정배향막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소자
KR101427132B1 (ko) * 2007-12-28 2014-08-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의 오버코트층용 조성물
JP5432274B2 (ja) * 2009-10-09 2014-03-05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TW201122002A (en) * 2009-12-31 2011-07-01 Toyoung Trade Co Ltd Liquid crystal alignment compositio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N102253533B (zh) * 2011-08-08 2013-04-10 南京中电熊猫液晶显示科技有限公司 多域紫外光配向模式的液晶显示器
JP5588961B2 (ja) * 2011-12-28 2014-09-10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液晶表示装置
KR102161218B1 (ko) * 2017-09-29 2020-09-29 주식회사 엘지화학 액정 배향제용 공중합체, 이를 포함하는 액정 배향제, 그리고 이를 이용한 액정배향막 및 액정표시소자
JP2024020891A (ja) * 2022-08-02 2024-02-15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液晶光学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88776A (en) * 1988-12-28 1991-01-29 Stamicarbon B. V. Polymer composition on the basis of polymer and a polyester amide
EP0668529A2 (en) * 1994-02-14 1995-08-23 Hoechst Aktiengesellschaft Triazine polymers
KR970005533A (ko) * 1996-12-21 1997-02-19 강재열 한몸으로된 다용도 공구
JP2000250047A (ja) * 1999-03-03 2000-09-14 Jsr Corp 液晶配向剤
KR20000056235A (ko) * 1999-02-18 2000-09-15 성재갑 이기능성 트리아진계 화합물 및 광개시제
KR20030025615A (ko) * 2001-09-21 2003-03-29 엘지전선 주식회사 트리아진 고리를 주쇄로 하는 감광성 고분자 액정배향제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액정배향막의 제조방법 및액정소자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01087B1 (en) * 1994-09-29 2001-03-13 Rolic Ag Coumarin and quinolinone derivatives for the production of orienting layers for liquid crystals
TW581911B (en) * 1997-06-26 2004-04-01 Dainippon Printing Co Ltd Formation method of lumpy pattern and color filter for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manufactured by the same
KR100279043B1 (ko) * 1998-07-15 2001-01-15 윤종용 액정디스플레이용폴리말레이미드및폴리이미드광배향재
JP4514247B2 (ja) * 1998-11-12 2010-07-28 Jsr株式会社 液晶配向剤および液晶表示素子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88776A (en) * 1988-12-28 1991-01-29 Stamicarbon B. V. Polymer composition on the basis of polymer and a polyester amide
EP0668529A2 (en) * 1994-02-14 1995-08-23 Hoechst Aktiengesellschaft Triazine polymers
KR970005533A (ko) * 1996-12-21 1997-02-19 강재열 한몸으로된 다용도 공구
KR20000056235A (ko) * 1999-02-18 2000-09-15 성재갑 이기능성 트리아진계 화합물 및 광개시제
JP2000250047A (ja) * 1999-03-03 2000-09-14 Jsr Corp 液晶配向剤
KR20030025615A (ko) * 2001-09-21 2003-03-29 엘지전선 주식회사 트리아진 고리를 주쇄로 하는 감광성 고분자 액정배향제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액정배향막의 제조방법 및액정소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08050B2 (en) 2014-02-26 2018-10-23 Samsung Display Co., Ltd. Photoalignment agent,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929444B2 (ja) 2007-06-13
KR20030040089A (ko) 2003-05-22
JP2004521997A (ja) 2004-07-22
CN1535306A (zh) 2004-10-06
US7067566B2 (en) 2006-06-27
TWI230193B (en) 2005-04-01
US20040039150A1 (en) 2004-02-26
TW200422384A (en) 2004-11-01
WO2003042328A1 (en) 2003-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9491B1 (ko) 트리아진 고리를 주쇄로 하는 감광성 고분자 액정배향제와 이를 이용한 액정 배향막, 이 배향막을 적용한액정 소자 및 이 배향막을 제조하는 방법
KR102264480B1 (ko) 액정 배향제, 액정 배향막 및 액정 표시 소자
KR20140140476A (ko) 액정 배향제, 액정 배향막, 액정 표시 소자, 중합체 및 화합물
CN105273725A (zh) 液晶取向剂、液晶取向膜以及液晶显示元件
KR100451442B1 (ko) 트리아진 고리를 주쇄로 하는 폴리유레아계 감광성 고분자액정 배향제와 이를 이용한 액정 배향막
KR101451739B1 (ko) 트리아진 고리를 이용한 1개 이상의 광활성 그룹을 갖는 폴리이미드계 감광성 고분자 액정 배향제 조성물, 이를 이용한 감광성 고분자 액정배향막의 제조방법 및 상기 액정배향막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소자
KR100508102B1 (ko) 감광성 고분자 및 비감광성 고분자의 혼합물로 이루어진액정 배향제 조성물, 이를 이용한 액정 배향막의 제조방법및 상기 액정 배향막을 포함하는 액정 소자
KR20210106539A (ko) 액정 배향제, 액정 배향막, 액정 표시 소자 및 신규 모노머
CN106947498B (zh) 液晶取向剂、液晶取向膜、液晶元件、以及液晶取向膜及液晶元件的制造方法
KR100516157B1 (ko) 하나 이상의 광활성 그룹을 가지는 트리아진 고리를이용한 폴리에스터계 감광성 고분자 액정 배향제 조성물,이를 이용한 감광성 고분자 액정 배향막의 제조방법 및상기 액정 배향막을 포함하는 액정 소자
KR100819973B1 (ko) 크라운 에테르를 포함하는 액정 배향제 조성물, 이를 이용한 액정 배향막 및 그 제조방법
KR100468399B1 (ko) 하나 이상의 광활성 그룹을 가지는 트리아진 고리를이용한 폴리(에테르-티오에테르) 공중합 감광성 고분자액정 배향제 조성물, 이를 이용한 감광성 고분자 액정배향막, 그 제조방법 및 상기 액정 배향막을 포함하는액정 소자
KR100516159B1 (ko) 하나 이상의 광활성 그룹을 가지는 트리아진 고리를이용한 폴리티오에테르계 감광성 고분자 액정 배향제조성물, 이를 이용한 감광성 고분자 액정 배향막의제조방법 및 상기 액정 배향막을 포함하는 액정 소자
KR100508104B1 (ko) 하나 이상의 광활성 그룹을 가지는 트리아진 고리를이용한 폴리(이미드-유레아) 공중합 감광성 고분자 액정배향제 조성물, 이를 이용한 감광성 고분자 액정 배향막,그 제조방법 및 상기 액정 배향막을 포함하는 액정 소자
KR100508103B1 (ko) 하나 이상의 광활성 그룹을 가지는 트리아진 고리를이용한 폴리(아미드-유레아)공중합 감광성 고분자 액정배향제 조성물, 이를 이용한 감광성 고분자 액정 배향막,그 제조방법 및 상기 액정 배향막을 포함하는 액정 소자
KR100516158B1 (ko) 하나 이상의 광활성 그룹을 가지는 트리아진 고리를이용한 폴리에테르계 감광성 고분자 액정 배향제 조성물,이를 이용한 감광성 고분자 액정 배향막의 제조방법, 상기액정 배향막을 포함하는 액정 소자
KR100468400B1 (ko) 하나 이상의 광활성 그룹을 가지는 트리아진 고리를이용한 폴리(아미드-에스터) 공중합 감광성 고분자 액정배향제 조성물, 이를 이용한 감광성 고분자 액정 배향막,그 제조방법 및 상기 액정 배향막을 포함하는 액정 소자
KR100634012B1 (ko) 고분자 액정 배향제 및 이를 이용한 액정 배향막
KR100468398B1 (ko) 공중합에 의한 폴리아크릴계 감광성 고분자 액정 배향제조성물, 이를 이용한 감광성 고분자 액정 배향막의제조방법 및 상기 액정 배향막을 이용하는 액정 소자
KR100545255B1 (ko) 전도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액정 배향제 조성물, 이를이용한 액정 배향막, 그 제조방법 및 상기 액정 배향막을포함하는 액정 소자
KR100536122B1 (ko) 기공성 구조를 갖는 액정 배향제 조성물, 이를 이용한액정 배향막, 그 제조방법 및 상기 액정 배향막을포함하는 액정 소자
KR100792939B1 (ko) 실리카를 포함하는 액정 배향제 조성물, 이를 이용한 액정배향막, 그 제조방법 및 상기 액정 배향막을 포함하는액정 소자
KR20050065053A (ko) 전도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액정 배향제 조성물, 이를이용한 액정 배향막, 그 제조방법 및 상기 액정 배향막을포함하는 액정 소자
KR100607623B1 (ko) 감광성 작용기, 이를 포함하는 감광성 고분자 및 이를 이용한 감광성 액정 배향막의 제조방법
KR100545259B1 (ko) 크라운 에테르를 포함하는 액정 배향제 조성물, 이를이용한 액정 배향막,그 제조방법 및 상기 액정 배향막을포함하는 액정 소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111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4111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411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411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10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08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00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