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53387B1 - 저항 용접성, 내식성, 프레스 성형성이 뛰어난 자동차 연료용기용 방청 강판 - Google Patents

저항 용접성, 내식성, 프레스 성형성이 뛰어난 자동차 연료용기용 방청 강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3387B1
KR100453387B1 KR10-1999-7000833A KR19997000833A KR100453387B1 KR 100453387 B1 KR100453387 B1 KR 100453387B1 KR 19997000833 A KR19997000833 A KR 19997000833A KR 100453387 B1 KR100453387 B1 KR 1004533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sheet
plated steel
weight
coating
aluminum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0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29729A (ko
Inventor
이자끼데루아끼
마끼쥰
후다마사히로
오까다노부요시
오모리다까유끼
Original Assignee
신닛뽄세이테쯔 카부시키카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08201769A external-priority patent/JP313584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8228078A external-priority patent/JPH1067235A/ja
Priority claimed from JP33067396A external-priority patent/JPH10168581A/ja
Priority claimed from JP7545997A external-priority patent/JPH10265967A/ja
Priority claimed from JP8129197A external-priority patent/JP3333423B2/ja
Application filed by 신닛뽄세이테쯔 카부시키카이샤 filed Critical 신닛뽄세이테쯔 카부시키카이샤
Publication of KR200000297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97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33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3387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7/00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7/50Multilayers
    • B05D7/51One specific pretreatment, e.g. phosphatation, chromatation, in combination with one specific 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8/00Coating for obtaining at least two superposed coatings either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groups C23C2/00 - C23C26/00 or by combinations of methods provided for in subclasses C23C and C25C or C25D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8/00Coating for obtaining at least two superposed coatings either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groups C23C2/00 - C23C26/00 or by combinations of methods provided for in subclasses C23C and C25C or C25D
    • C23C28/30Coatings combining at least one metallic layer and at least one inorganic non-metallic layer
    • C23C28/32Coatings combining at least one metallic layer and at least one inorganic non-metallic layer including at least one pure metallic layer
    • C23C28/321Coatings combining at least one metallic layer and at least one inorganic non-metallic layer including at least one pure metallic layer with at least one metal alloy layer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8/00Coating for obtaining at least two superposed coatings either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groups C23C2/00 - C23C26/00 or by combinations of methods provided for in subclasses C23C and C25C or C25D
    • C23C28/30Coatings combining at least one metallic layer and at least one inorganic non-metallic layer
    • C23C28/34Coatings combining at least one metallic layer and at least one inorganic non-metallic layer including at least one inorganic non-metallic material layer, e.g. metal carbide, nitride, boride, silicide layer and their mixtures, enamels, phosphates and sulphates
    • C23C28/345Coatings combining at least one metallic layer and at least one inorganic non-metallic layer including at least one inorganic non-metallic material layer, e.g. metal carbide, nitride, boride, silicide layer and their mixtures, enamels, phosphates and sulphates with at least one oxide lay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2All metal or with adjacent metals
    • Y10T428/12229Intermediate article [e.g., blank, etc.]
    • Y10T428/12264Intermediate article [e.g., blank, etc.] having outward flange, gripping means or interlocking fea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2All metal or with adjacent metals
    • Y10T428/12493Composite; i.e., plural, adjacent, spatially distinct metal components [e.g., layers, joint,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2All metal or with adjacent metals
    • Y10T428/12493Composite; i.e., plural, adjacent, spatially distinct metal components [e.g., layers, joint, etc.]
    • Y10T428/12535Composite; i.e., plural, adjacent, spatially distinct metal components [e.g., layers, joint, etc.] with additional, spatially distinct nonmetal component
    • Y10T428/12556Organic component
    • Y10T428/12569Synthetic res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Chemical Treatment Of Metals (AREA)
  • Other Surface Treatments For Metallic Material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a) 강판과, (b) 상기 강판의 편면 또는 양면에 형성된 알루미늄 또는 2 내지 15중량%의 규소를 함유하는 알루미늄 합금에 기초하는 알루미늄 도금층과, (c) 상기 편면 또는 양면에 형성된 상기 알루미늄 도금층 중 하나 이상의 층상에, (ⅰ) 막두께 0.1 내지 2μm이고, 수지와 크롬산 화합물을 함유하고, 수지/금속 크롬 중량비가 0.5 내지 18의 범위내인 유기와 무기의 복합 크로메이트 피막, (ⅱ) 피막량이 금속 크롬 환산으로 10 내지 200mg/㎡으로 형성한 금속 크롬 환산으로 100중량부의 크롬산 화합물 및 콜로이드계 실리카 100 내지 1000중량부를 포함하고, 또한 인산화합물 100 내지 600중량부, 포스폰산 또는 포스폰산 염화합물 10 내지 200중량부 및 50 중량부 미만의 유기수지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한 한 종류 이상을 추가로 함유하는 무기계 크로메이트 피막 A 및 (ⅲ) 피막량이 금속 크롬 환산으로 10mg/㎡이상 35mg/㎡미만인 무기계 크로메이트 피막 B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피복층을 포함하는 연료 용기용으로 적합한 피복 알루미늄 도금 강판과, 내구성, 성형 가공성, 용접성이 우수한 자동차 연료용기와, 연료용기의 이음 용접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저항 용접성, 내식성, 프레스 성형성이 뛰어난 자동차 연료용기용 방청 강판{PRESERVATIVE STEEL PLATE HAVING HIGH RESISTANCE WELDABILITY, CORROSION RESISTANCE AND PRESS FORMABILITY FOR AUTOMOBILE FUEL TANKS}
자동차의 연료용기(연료 탱크)는, 통상의 차체의 디자인에 맞추어 마지막에 설계되는 경우가 많고, 그 때문에 형상은 일반적으로 상당히 복잡하다. 그 구조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료 급유구(3), 연료공급 펌프(미도시), 연료 호스(4), 여분의 연료(6)를 되돌려보내는 연료 호스(4), 연료의 출렁이는 소리를 방지하는 세퍼레이터(5)(칸막이판) 등을 가진다. 또한 연료 용기 본체(1)는, 한 쌍의 주발형 성형체의 프랜지부(2)를 이음 용접하여 일체화하여 형성된다. 각 부품은 스폿 용접이나 연납접법이나 경납접법으로 접합된다.
이 연료용기는 자동차의 중요 보안부품으로서, 구비하여야 할 특성으로 연료에 대하여 충분한 내식성을 가질 것, 연료의 누설이나 투과가 없을 것, 성형후의 피로, 또는 충격에 의한 균열이 없을 것 등이다. 내식성에 대하여는 부식에 의하여 구멍이 생길 염려가 없을 것은 물론, 그 이외에도 연료 용기 내부 연료 펌프의 입구에 있는 필터의 투과공 막힘을 일으키는 다량의 부식생성물의 생성이 없을 것도 중요하다.
이러한 여러 가지 특성을 가지는 연료용기를 얻기 위하여 재료, 제조, 제조법 등의 측면에서 여러 가지 연구가 이루어져 있다. 재료측으로부터의 연구의 결과, 연료에 대하여 충분한 내식성을 가지고, 부식생성물의 발생도 적으며, 용접이나, 연납접이 용이하고 생산효율이 우수한 Pb-Sn 도금 강판에 의한 연료 용기가 지금까지 일반적으로 사용되어 왔다(일본특허 공고공보 소57-61833호 공보). 그러나 한편 주지된 바와 같이 Pb는 환경에 부하를 가하는 금속이다. 또한 Pb-Sn 도금 강판은 전술한 바와 같이 연납접법, 경납접법이 용이하나, 연납의 성분은 Sn-Pb계이고 역시 Pb를 함유한다. 따라서 최근에는, Pb를 전혀 사용하지 않는 연료용기가 요구되며, 그 후보로서 Al-Si계 합금 도금(이하,「알루미늄 도금」이라 칭함) 강판제의 연료용기가 검토되게 되었다.
이와 같이 Pb를 사용하지 않고, 양호한 내식성 및 가공성을 가지는 소재의 하나가 알루미늄 도금 강판이다. 알루미늄 도금은 그 표면에 안정된 산화피막이 형성되므로, 가솔린을 비롯하여, 알코올이나, 가솔린이 열화할 때에 발생하는 유기산에 대하여, 양호한 내식성을 나타낸다. 그러나, 알루미늄 도금 강판을 연료 탱크재료로서 사용할 때에 과제가 몇 가지 있다. 그 하나는 가공성으로, 알루미늄 강판(특히 용융 알루미늄 도금 강판)은, 피복층과 강판과의 계면에 생성되는 상당히 경질의 Fe-Al-Si의 금속간 화합물(이하 합금층으로 표기)에 의하여, 이 부분을 기점으로 하여 도금 박리나 도금 균열이 발생하기 쉽다. 이 과제에 대하여 본 발명자 등은 일본특허 공개공보 평7-329193호에 있어서, 도금후의 냉각속도, 재가열에 의하여 해결할 수 있는 것을 제시하였다. 또 한가지의 과제는 용접성이다. 즉 알루미늄 도금강판은 스폿 용접이나 이음 용접 등의 저항 용접은 가능하나, 피복 금속의 Al은 통상 전극으로서 사용되는 Cu와의 친화성이 높으며, 용접 시에 전극 표면에 부서지기 쉬운 Al-Cu 또는 Al-Cu-Fe합금을 형성하고, 이것이 연속 작업중에 점차로 결손되어 조기에 용접불량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종래 Al계 도금강판은, 내식성을 향상시키는 목적에서 일반적으로 크롬산과 실리카를 주체로 하는 크로메이트 처리를 실시하여 이용되고 있고, 그 개시예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특허 공개공보 평4-68399호 공보, 일본특허 공개공보 소58-6976호 공보, 일본특허 공개공보 소58-48679호 공보, 일본특허 공개공보 소60-56072호 공보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모두 전극과의 반응이 무처리재의 경우와 거의 비슷하게 발생하고, 연속 작업성 향상에는 별로 기여하지 않는다.
일본특허 공고공보 평 4-68399호 공보는 Cr환산으로 35 내지 70mg/㎡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상기 부착량으로는 연료 탱크로서의 내식성은 얻어지나, 스폿 용접이나 이음용접에 있어서 무처리재와 마찬가지로 도금층 중의 Al이 전극 Cu와 합금화되기 쉽고, 연속작업중에 전극 선단이 합금화되고, 전극 수명을 저하시키는 결점이 있다. 또한 적절한 경납재를 선택하지 않으면, 경납의 젖음성을 저하시키고, 경납접 작업을 곤란하게 하는 문제가 있어, 파이프 등의 경납접을 가지는 탱크는 제조가 곤란하였다. 또한 일본특허 공개공보 소58-6976호 공보, 일본특허 공개공보 소58-48679호 공보에서는 5 내지 40mg/㎡의 크로메이트 부착량으로, 또한 유기 규소 발수제로 처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가 개시되어 있으나, 일본특허 공고공보 평 4-68399호 공보와 마찬가지로, 저항 용접성에 문제가 있는 이외에, 유기규소 발수제로 처리를 하더라도 10mg/㎡미만에서는 연료 탱크소재로서의 내식성이 결핍되어 있고, 가솔린 연료가 열화한 때에 발생하는 유기산에 대하여 내식성이 불충분하였다. 또한 35mg/㎡이상에서는 일본특허 공고공보 평4-68399호 공보와 마찬가지로, 내식성은 향상되나, 적절한 경납재를 선택하지 않으면, 경납의 젖음성이 저하되고, 경납접 작업을 곤란하게 한다. 또한 스폿용접이나 이음용접에 있어서 무처리재와 마찬가지로 도금층 중의 Al이 전극 Cu와 합금화가 용이하고, 연속 작업중에 전극선단이 합금화하고, 전극 수명을 저하시키는 결점이 있다. 또한 일본특허 공개공보 소60-56072호 공보에서는 크로메이트 부착량 10mg/㎡미만을 특징으로 하고 있으므로, 연료 탱크에 필요한 용접성도 내식성도 얻을 수 없다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또한, 이러한 종래 기술에서는 연료탱크 제조 시에 요구되는 양호한 저항 용접성, 연속 작업성 및 내식성을 충족시키는 것이 곤란한 상황이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Al 도금 강판에서는 적용이 곤란하였던 연료 탱크용 방청강판에 대하여, 과제인 저항 용접성을 개선시키고, 또한 양호한 프레스성형성, 내식성을 가지는 연료 탱크 소재용 Al계 도금강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마찬가지로 Pb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환경을 보호할 수 있고, 또한 가솔린을 비롯한, 연료의 환경에 있어서 우수한 내식성을 구비한, 새로운 연료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종래의 Al 도금 강판에서는 적용이 곤란하였던 연료 탱크용 방청강판에 대하여, 과제인 저항용접성을 개선하고, 또한 양호한 연속 작업성을 달성할 수 있는 이음 용접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저항용접성, 내식성, 프레스 성형성이 우수한 자동차 연료용기용 방청 강판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내식성이 우수한 자동차 연료용기 및 자동차 연료용기의 이음 용접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자동차 연료용기의 개략의 구조를 도시한 도.
도 2는, 종래의 무기 크로메이트 피막 및 본 발명의 유기와 무기의 복합 크로메이트 피막의 접촉 저항치를 도시한 도.
도 3은, 스테아린산계 윤활제 첨가량과 바우덴 마찰계수 및 원통 드로잉을 실시한 외면부를 테이핑(taping)한 후의 테이프의 흑화 상태를 도시하는 도.
도 4는 자동차 연료 탱크의 아래 방향 용기의 종단면.
도 5a 내지 5c는 자동차 연료 탱크의 이음 용접의 모습을 도시하는 도.
도 6a는 도 6b 내지 6d에 도시한 각종 수지피복재 및 무처리재의 접촉 저항치를 도시하는 도.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것을 제공한다.
(1) (a) 강판과,
(b) 상기 강판의 편면 또는 양면에 형성된 알루미늄 또는 2 내지 15중량%의 규소를 함유하는 알루미늄 합금에 기초하는 알루미늄 도금층과,
(c) 상기 편면 또는 양면에 형성된 상기 알루미늄 도금층 중 하나 이상의 층상에,
(ⅰ) 막두께 0.1 내지 2μm이고, 수지와 크롬산 화합물을 함유하고, 수지/금속 크롬 중량비가 0.5 내지 18의 범위내인 유기와 무기의 복합 크로메이트 피막,
(ⅱ) 피막량이 금속 크롬 환산으로 10 내지 200mg/㎡으로 형성한 금속 크롬 환산으로 100중량부의 크롬산 화합물 및 콜로이드계 실리카 100 내지 1000중량부를 포함하고, 또한 인산화합물 100 내지 600중량부, 포스폰산 또는 포스폰산 염화합물 10 내지 200중량부 및 50 중량부 미만의 유기수지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한 한 종류 이상을 추가로 함유하는 무기계 크로메이트 피막 A 및
(ⅲ) 피막량이 금속 크롬 환산으로 10mg/㎡이상 35mg/㎡미만인 무기계 크로메이트 피막 B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피복층을 포함하는 연료 용기용으로 적합한 피복 알루미늄 도금 강판.
(2) 상기 알루미늄 피복층을 60g/㎡ 이하로 형성한 상기 (1) 기재의 피복 알루미늄 강판.
(3) 상기 복합 크로메이트 피막이 0.5 내지 20중량%의 윤활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상기(1) 또는 (2) 기재의 피복 알루미늄 도금 강판.
(4) 상기 복합 크로메이트 피막이, 금속 크롬 100중량부에 대하여, 인산 화합물 100 내지 600중량부 및 콜로이드계 실리카 100 내지 1000중량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상기(1), (2) 또는 (3) 기재의 피복 알루미늄 도금 강판.
(5) 상기 복합 크로메이트 피막이, 금속 크롬 100중량부에 대하여 포스폰산 또는 포스폰산염 화합물 10 내지 200중량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상기 (4)에 기재된 피복 알루미늄 도금 강판.
(6) 상기 강판의 양면에 상기 알루미늄 도금층을 가지고, 양방의 상기 알루미늄 도금층상에 상기 복합 크로메이트 피막을 가지는 상기 (1) 내지 (5)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복합 알루미늄 도금 강판.
(7) 상기 강판의 양면에 상기 알루미늄 도금층을 가지고, 양방의 상기 알루미늄 도금층 상에 상기 무기계 크로메이트 피막 A를 가지는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피복 알루미늄 도금 강판.
(8) 상기 강판의 양면에 상기 알루미늄 도금층을 가지고, 한 쪽의 상기 알루미늄 도금층상에 상기 복합 크로메이트 피막을 가지고, 타방의 상기 알루미늄 도금층상에 금속 크롬 환산으로 200mg/㎡이하의 무기계 크로메이트 피막 C를 가지는 상기 (1) 내지 (5)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피복 알루미늄 도금 강판.
(9) 상기 알루미늄 도금층상에 형성된 상기 무기계 크로메이트 피막 C가, 인산 화합물, 포스폰산 또는 포스폰산염화합물 및 금속 크롬 100중량부에 대하여 50중량부 미만의 수지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한 종을 포함하는 상기(8) 기재의 피복 알루미늄 도금 강판.
(10) 상기 알루미늄 도금층과 상기 복합 크로메이트 피막과의 사이에, 금속 크롬 환산으로 100mg/㎡이하의 무기계 크로메이트 피막 C를 가지는 상기 (1) 또는 (8) 기재의 피복 알루미늄 도금 강판.
(11) 상기 알루미늄 도금층과 상기 복합 크로메이트 피막과의 사이에 형성된 상기 무기계 크로메이트 피막 C가, 인산화합물, 포스폰산 또는 포스폰산염화합물 및 금속 크롬 100중량부에 대하여 10중량부 미만의 수지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한 종류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상기 (10) 기재의 피복 알루미늄 도금 강판.
(12) 상기 강판의 양면에 상기 알루미늄 도금층을 가지고, 그 양면의 상기 알루미늄 도금층 상에 상기 무기계 크로메이트 피막 B를 금속 크롬 환산으로 10 내지 35mg/㎡ 형성한 상기(1) 기재의 피복 알루미늄 도금 강판.
(13) 상기 강판의 양면에 상기 알루미늄 도금층을 가지고, 한쪽의 상기 알루미늄 도금층상에 상기 복합 크로메이트 피막을 가지고, 다른 쪽의 상기 알루미늄 도금층상에, 막두께 0.1 내지 2.0μm의 유기수지 피막을 가지는 상기 (1) 내지 (5)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피복 알루미늄 도금 강판.
(14) 상기 알루미늄 도금층과 상기 복합 크로메이트 피막 및/또는 상기 유기수지피막과의 사이에, 금속 크롬 환산으로 100mg/㎡ 이하의 무기계 크로메이트 피막 C를 가지는 상기(13) 기재의 피복 알루미늄 도금 강판.
(15) 상기 알루미늄 도금층상에 형성된 상기 무기계 크로메이트 피막 C가, 인산 화합물, 포스폰산 또는 포스폰산염 화합물 및 금속 크롬 100중량부에 대하여 50중량부 미만의 수지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상기(14) 기재의 피복 알루미늄 도금 강판.
(16) 상기 강판의 양면에 상기 알루미늄 도금층을 가지고, 한 쪽의 상기 알루미늄 도금층상에 상기 무기계 크로메이트 피막 B)를 가지고, 다른 쪽의 상기 알루미늄 도금층상에 유기수지피막을 가지는 상기(1) 기재의 피복 알루미늄 도금 강판.
(17) 상기 무기계 크로메이트 피막 B)가 금속 크롬 환산으로 200mg/㎡이하인 상기 (16)기재의 피복 알루미늄 도금 강판.
(18) 상기 알루미늄 도금층 상에 형성된 상기 무기계 크로메이트 피막 B가, 인산화합물, 포스폰산 또는 포스폰산염 화합물 및 금속 크롬 100중량부에 대하여 50중량부 미만의 수지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상기 (17) 기재의 피복 알루미늄 도금 강판.
(19) 상기 알루미늄 도금층과 상기 유기수지피막과의 사이에, 금속크롬 환산으로 100mg/㎡이하의 무기계 크로메이트 피막 C를 가지는 상기(17) 기재의 피복 알루미늄 도금 강판.
(20) 상기 알루미늄 도금층과 상기 유기수지피막과의 사이에 형성된 상기 무기계 크로메이트 피막C가, 인산 화합물, 포스폰산 또는 포스폰산염 화합물, 및 금속 크롬 100중량부에 대하여, 5중량부 미만의 수지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상기(19) 기재의 피복 알루미늄 도금 강판.
(21) 상기 (1) 내지 (20)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피복 알루미늄 도금 강판으로 제조된 연료 용기.
본 발명에 의하면, 특히, 내식성이 우수한 다음과 같은 자동차 연료 용기도 제공된다.
(22) 프랜지를 가지는 한 쌍의 주발형 성형체의 프랜지 물질을 연속적으로 이음 용접하여 일체로 된 자동차 연료 용기이고, 그 주발형 성형체를 구성하는 재료가, 알루미늄 또는 2 내지 13 중량%의 규소를 함유하는 알루미늄 합금에 기초한 알루미늄 도금층을 편면 또는 양면에 가지는 알루미늄 도금강판의 내면 및/또는 외면의 최표면에 수지피막을 가지는 피복 알루미늄 도금 강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연료 용기.
(23) 상기 수지피막이 수지와 크롬산 화합물의 혼합물인 유기와 무기의 복합 크로메인트 피막인 상기 (22) 기재의 자동차용 연료 용기.
(24) 상기 수지 피막이 0.1 내지 2μm의 두께를 가지는 상기 (22) 또는 (23)기재의 자동차용 연료 용기.
(25) 상기 피복 알루미늄 도금 강판이 상기 (1) 내지 (20)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피복 알루미늄 도금 강판인 상기(22) 기재의 자동차용 연료 용기.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연료 용기의 다음과 같은 이음 용접방법이 제공된다.
(26) 알루미늄 또는 2 내지 13중량%의 규소를 함유하는 알루미늄 합금에 기초한 알루미늄 도금층이 편면 또는 양면에 형성된 알루미늄 도금 강판의 그 편면 또는 양면에 수지피막을 형성한 피복 알루미늄 도금 강판을 2장 포개고, 상기 피복 알루미늄 도금 강판은 적어도 연료 용기의 내면에 상당하는 면에 상기 알루미늄 도금층을 가지고, 또한 강판끼리 포개지는 면의 적어도 한 쪽의 강판 표면 및/또는 전극륜(電極輪)과 접하는 면의 적어도 한쪽의 강판 표면에 수지 피막을 가지도록 하고, 또한 상기 포갠 두 장의 강판을 한 쌍의 전극륜의 사이에서 이음 용접하는 연료 용기의 이음 용접방법.
(27) 상기 수지 피막이 금속 크롬환산으로 10 내지 200mg/㎡의 크롬산 화합물을 함유하는 상기 (26) 기재의 방법.
(28) 상기 수지 피막이 0.1 내지 2μm의 두께인 상기(27) 기재의 방법.
(29) 상기 알루미늄 도금 강판의 표면에 형성된 상기 수지 피막이 상기 (1)기재의 유기와 무기 복합 크로메이트 피막인 상기 (26) 기재의 방법.
(30) 상기 피복 알루미늄 도금 강판이 상기 (1) 내지 (11) 및 (13) 내지 (20)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피복 알루미늄 도금 강판인 청구항 26항에 기재된 방법.
피복 알루미늄 도금 강판본 발명의 피복 알루미늄 도금 강판은, 알루미늄 도금 강판의 한 쪽 또는 양쪽의 표면에 이하에 설명하는 i )유기와 무기의 복합 크로메이트 피막, ii)무기계 크로메이트 피막 A, 또는 iii)무기계 크로메이트 피막 B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특히 자동차 연료 용기(연료 탱크) 용도에 적합한 것이다.사용하는 도금 원판의 조성은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고도의 가공성을 요구되는 부위에만은, 가공성이 우수한 IF강(극저 탄소강판)의 적용이 바람직하고, 또한 용접후의 용접 기밀성, 이차 가공성 등을 확보하기 위하여 B(붕소)를 수 ppm 첨가한 강판이 바람직하다.또한 강판의 제조법으로서는 통상의 방법에 의한 것으로 한다. 강성분은 예를 들면 전로-진공탈가스처리에 의하여 조절되어 용제되고, 강편은 연속 주조법 등으로 제조되어, 열간 압연된다. 열간 압연, 또한 그에 이어지는 냉간 압연의 조건은 강판의 디프드로잉성에 영향을 미친다. 특히 우수한 디프드로잉성을 부여하기 위하여는, 열연시의 가열온도를 1150℃정도로 낮게, 또한 열연의 마무리 온도는 800℃정도로 낮게, 권취 온도는 600℃ 이상으로 높게, 냉연의 압하율은 80% 정도로 높게 하는 것이 좋다.다음으로, 알루미늄 도금층의 한정이유를 설명한다. 도금층은 Al만으로도 괜찮으나, Si를 첨가한 것이 바람직하다. 도금 피복층중의 Si 첨가량과 관련하여, 이 원소는 통상 합금층을 얇게 하는 목적에서 10%정도 첨가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용융 알루미늄 도금으로 생성되는 합금층은 상당히 경질이고, 또한 취성(脆性)이 있으므로, 파괴의 기점이 되기 쉬우며, 강판 자체의 연성도 저하된다. 통상의 2 내지 3μm정도의 합금층에서도, 연성은 3 포인트 정도 저하된다. 따라서 이러한 합금층은 얇으면 얇을수록 가공에 대하여 유리하게 작용한다. Si는 2% 이상 첨가하지 않으면 합금층 저감효과가 적고, 또한 15%를 넘으면 그 효과가 포화되는 외에도 Si가 전기화학적으로 음극이 되기 쉬우므로 Si량의 증가는 도금층의 내식성의 열화로 이어진다. 이 때문에 Si량은 2 내지 15%로 한정한다. 바람직한 하한은 3%, 바람직한 상한은 13%이다.본 발명에서는 용융 알루미늄 도금이 바람직하다.또한, 일반적으로 도금부착량이 증대하면 내식성은 향상되나, 도금 밀착성, 용접성이 저하된다. 여러 가지 용접을 필요로 하는 연료 탱크재에 용융 알루미늄 도금 강판을 적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용접성의 확보가 중요하므로 부착량의 상한을 편면당 60g/㎡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편면당 50g/㎡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40g/㎡이하로 한다. 특히 20 내지 40g/㎡이 바람직하다. 알루미늄 도금의 기타 조건에 대하여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그러나 합금층 두께는 전술한 바와 같이 얇은 것이 바람직하다.용융 도금후의 후처리로서는, 크로메이트 처리이외에, 용융 도금후의 외관 균일화 처리인 제로 스팽글처리(minimized spangling), 도금의 개질처리인 소둔처리, 표면상태, 재질의 조정을 위한 조질(調質)압연 등이 있을 수 있으나, 본 발명에 있어서는 특히 이러한 것을 한정하지 않고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제 1 태양)본 발명의 피복 알루미늄 도금 강판의 제 1 태양으로는, 알루미늄 도금 강판의 편면 또는 양면의 알루미늄 도금층 상에 유기 및 무기 복합 크로메이트 피막(이하, 「복합 크로메이트 피막」으로 표기)을 형성하는 것이다.이 때, 유기와 무기의 복합 크로메이트 피막이란, 유기수지와 무기크롬산 화합물의 혼합물의 피막을 말하며, 수지를 매트릭스로 하고 그 중에 크롬산화합물(크롬산, 무수 크롬산, 크롬산염, 크롬산 에스테르, 크롬산 이온화합물 등, 특히 크롬산염)이 분산된 기본적으로 수지피막의 성질을 보유하는 것으로부터, 무기계 크로메이트 피막에 가까운 성질을 보유하나 수지가 첨가된 것에 의하여 개질된 피막까지 폭넓은 범위의 것을 지칭한다.본 발명자등은, 용접성, 성형성, 내식성이 우수한 Al 도금 강판의 후처리를 여러가지로 검토한 결과, 크로메이트 피막구성이 크롬산화합물, 실리카 등의 무기성분과 수지 등의 유기 성분을 적량 배합한 유기 및 무기의 복합 크로메이트로 구성되는 피막을 표면에 적량 형성함으로써, 전술한 용접시 연속 작업성의 과제를 해결함과 동시에, 연료 용기로서 우수한 특성을 가지는 것을 알아내었다.전술한 바와 같이 강판 피복 금속의 Al은 전극의 Cu와 반응하기 쉬우며, 전극 손모(損耗)를 앞당겨 연속 작업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연속 작업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는, 전극 손모를 억제하는 것 및 효율적인 너깃을 형성시키기 위하여 강판간의 접촉저항값을 증대시키는 것, 이 두 가지 점이 중요하게 된다. 본 발명자등은 이러한 목적에 대하여, 유기와 무기의 복합 크로메이트 피막이 유효하게 작용하는 것을 알아내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그 기구는 아직 불명확하나, 단순한 수지 도포에 의한 접촉 저항 증대 이외의 Cr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유기 수지가 풍부한 복합 크로메이트 처리는 크롬산 화합물을 수용액으로서 공급하는 것으로, 도막중의 Cr의 분포가 균일하게 되어 있어, 이러한 것도 용접성 향상에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즉, 크롬산화합물, 실리카 등 무기성분 만으로 구성된 피막으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 크로메이트 처리의 부착량으로는 강판간의 접촉 저항치가 무처리재와 크게 다르지 않으며, 무처리재와 마찬가지로, 용접시에 도금 Al과 전극의 Cu의 반응이 발생하고 전극 수명이 향상되지 않는다. 역으로 부착량을 증가시키면, 무기물 피막이므로 딱딱하고 부서지기쉬우며 접촉 저항치는 증대하나, 국부적으로 피막이 파괴되어 판-전극 사이의 통전점 형성에 불균일이 발생하므로 접촉 저항값이 크게 불균일하여 전극 손모 억제를 기대할 수 없다. 또한 판-전극간의 국부 과대 통전에 의하여 비산의 발생 등이 일어나기 쉽다는 문제가 있다.이에 대하여 유기 성분을 가함으로써, 피막의 강인성을 증가시키고, 피막의 국부적인 파괴가 없고 통전점 형성치 불균일이 없어지며, 무기 성분만의 피막과 비교하여 판-전극사이에서 균일한 통전점을 형성하기 쉬운 특징을 가지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므로 판-판 사이에서 높은 접촉 저항값을 얻더라도, 판-전극 사이에서의 접촉 저항값은 한결같이 낮으며(도 2), 양호한 너깃 형성능과 전극 손모 억제효과가 얻어지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작용은 양면 처리시에 가장 효과가 크나, 편면 처리이더라도 그 효과는 발휘된다.또한 도 2는 각종 공시체의 강판 사이의 상전극-판간 접촉저항값, 판-판간 접촉 저항값 및 판-하전극간 접촉 저항값을 표시하나, 공시체는 예 29 내지 50에 도시한 아래의 것이다.·무기 크로메이트 1: 비교예 I 액, 부착량(Cr량 환산) : 20mg/㎡·무기 크로메이트 2① : 비교예 I 액, 부착량(Cr량 환산) : 150mg/㎡·무기 크로메이트 2② : 비교예 I 액, 부착량 (Cr량 환산) : 150mg/㎡·복합 크로메이트 1 : 실시예 C액, 부착량 (Cr량 환산) : 30mg/㎡·복합 크로메이트 2 : 실시예 E액, 부착량 (Cr량 환산) : 120mg/㎡또한 이 수지가 풍부한 크로메이트 피막에서는 표준적인 유기 도장처리인 크로메이트 처리후의 수지 도장처리에 비하여, 한 공정 적은 처리가 가능하므로, 코스트상으로도 유리한 처리이다. 또한 저온에서 경화가능한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특별한 건조로를 필요로 하지 않고, 종래의 크로메이트 처리설비로 처리 가능하다는 이점을 가진다.이 용접성이 우수한 복합 크로메이트 피막의 조성은 수지/크롬의 경화후의 중량비율이 다르면 피막의 성능은 변화한다. 예를 들면 수지/ 크롬비(중량비)가 작으면, 적정한 접촉저항치가 얻어지지 않고 용접성이 떨어지는 경향이 있다. 한편 수지/크롬비가 크면, 내식성이 떨어지고, 또한 용접성도 약간 열화된다. 따라서 이 목적의 복합 크로메이트 피막의 수지/크롬비의 경화후 중량비율치는 0.5 내지 18정도가 적합하다.본 발명에 사용하는 크롬 또는 크롬산 화합물은 무수크롬산, 또는 무수크롬산의 수용액을 환원제와 반응시켜 Cr3+/Cr6+의 조성비를 조정한 환원 크롬산 수용액 중 적어도 어느 것을 사용한다. 환원크롬산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환원제로서는 전분, 당류, 알콜 등의 유기화합물 또는 히드라진, 차아인산 등의 무기화합물이 사용된다.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가능한 수지는, 수용성 유기 고분자 화합물, 구체적으로는 카르복시기를 가지는 음이온계의 폴리아크릴산이나 폴리메타크릴산과 그 공중화합물, 말레인산 공중화합물, 초산비닐공중화합물, 카본산 비닐에스테르, 비닐에테르, 스틸렌, 아크릴아미드, 아크릴로니트릴, 할로겐화 비닐 등의 에틸렌계 불포화화합믈, 폴리에틸렌 화합물, 폴리우레탄 화합물, 에폭시 수지 화합물, 폴리에스테르 화합물 등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이러한 유기 고분자 화합물은, 주로 단독으로 첨가, 사용되나, 두 종류 이상을 복합 첨가하여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이들 가운데서도 특히 종래의 크로메이트 설비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저온 열처리 가능한 에멀젼 타입의 수지가 바람직하다. 또한 수지중에 예를 들면 소량의 윤활제, 방청 안료 등을 첨가하는 것은 전혀 본 발명의 취지를 해치는 것이 아니다.본 발명에 있어서는, 도금의 후공정에서 복합 크로메이트 처리를 하는 것으로 한다. 본 처리는 주로 용접성을 목적으로 한 것이나, 수지 크로메이트는 윤활성을 가지므로, 가공성도 향상시키는 이점이 있다. 복합 크로메이트의 한정이유와 관련하여,복합 크로메이트 중에는 기타 내식성 향상의 목적에서 실리카, 크로메이트의 황색도를 저하시키는 목적에서 인산 등을 첨가할 수 있다.복합 크로메이트 피막의 막 두께는, 0.1 내지 2μm로 한정한다. 0.1μm미만에서는 수지로서 건전한 막을 형성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한편 2.0μm를 넘는 피막에서는 저항치가 너무 증대되어 전극과 강판, 또는 강판과 강판의 도통(導通)이 방해받아 용접 자체가 불가능하게 되기 때문이다. 복합 크로메이트 처리는 편면 또는 양면에 도포가 가능하나, 최적 막 두께는 편면, 양면이 약간 다르다. 일반적으로 용접시의 발열량은 포갠 강판 사이의 접촉 저항에 의존하므로, 양면에 1.0μm이상의 복합 크로메이트 처리를 하면, 강판 사이에는 2.0μm 이상의 수지 크로메이트 피막이 존재하게 되어, 역시 강판 사이의 도통을 방해한다. 따라서 양면 도장시에는, 1.0μm 이하의 피막인 것이 바람직하고, 편면의 경우에는 포갠 때의 수지면이 내측과 외측이 되도록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또한, 본 발명의 크로메이트 처리액에는 처리액의 균일 도포성, 크로메이트 피막의 내식성, 도장성능 향상을 위하여, 인산 화합물 및/또는 실리카, 규산염 중 적어도 어느 한쪽으로 구성되는 콜로이드계 실리카를 첨가하여도 된다. 인산 화합물의 첨가량은, 크롬산의 Cr량 100중량부에 대하여, 100중량부 내지 600중량부의 범위로 한다. 100중량부 미만에서는 첨가의 효과가 충분하지 않고, 600중량부 초과에서는 크로메이트 피막이 물을 흡수하기 쉬워져 내식성이 열화한다. 실리카, 규산염의 적어도 한 쪽으로 구성되는 콜로이드계 실리카의 첨가량은, 크롬산의 Cr량에 대하여 100중량부 내지 1000중량부의 범위로 한다. 100중량부 미만의 경우, 균일 도포성이 열화하므로, 내식성, 도장성능의 성능 확보가 곤란하고, 1000중량부 초과의 경우, 그 효과가 포화한다.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무기 및 유기 복합 크로메이트 피막에는 또한 내식성, 도장밀착성이 우수한 크로메이트 피막을 형성시키기 위하여, 포스폰산 또는 포스폰산염 화합물을 첨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포스폰산의 첨가량은, 크롬산의 Cr량 100중량부에 대하여 10중량부 내지 200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포스폰산의 첨가량이 10중량부 미만에서는, 포스폰산의 에칭작용에 의한 표면 청정화 효과와 그에 대한 피막의 균일한 형성 및 피막중에 함유에 의한 방식 효과, 도료 밀착성 향상효과가 적다. 또한 포스폰산의 첨가량이 200중량부를 넘는 경우에는 그 첨가효과가 포화하거나, 또는 처리욕의 안전성을 저하시키므로 바람직하지 않다.또한 상기 복합 크로메이트 피막이 편면인 경우, 또한 양호한 내식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또 한쪽의 면에 바람직하게는 실리카를 함유하는 크로메이트 피막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크로메이트 피막은 종래 공지의 방법으로 무방하며 그 부착량은 10mg/㎡ 이상 200mg/㎡이하로 한다. 10mg/㎡ 미만에서는 연료탱크로서의 충분히 양호한 내식성이 얻어지지 않으며, 200mg/㎡초과에서는 효과가 포화한다.본 발명에 있어서는 도금의 후공정에서 크로메이트 처리를 실시하는 것으로, 그 제조방법은, 도포, 침지, 스프레이 등 공지의 방법으로도 가능하다.이 유기 및 무기의 복합 크로메이트 피막을 가지는 제 1 태양에 있어서,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태양으로서, 본 발명에 의하면, 복합 크로메이트 피막에 일정량의 윤활제를 첨가함으로써, 저항 용접성, 내식성 뿐만이 아니라, 연속 프레스 성형성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표준적인 유기 도장처리인, 무기계 크로메이트 처리후의 수지도포 처리에 비하여, 한 공정 적은 처리가 가능하므로, 경제적으로도 우수한 처리이다. 또한 저온으로 경화가능한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특별한 건조로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종래의 크로메이트 처리설비로 처리가능하다는 이점을 가진다.구체적으로는, 알루미늄 도금 강판의 편면 또는 양면의 알루미늄 도금층상에 윤활제를 0.5 내지 20중량% 첨가한 복합 크로메이트 피막을 두께 0.1 내지 2μm로 형성한다. 도금 강판의 양면에 복합 크로메이트 피막을 형성하는 외에, 편면에는 유기 무기 복합 크로메이트 피막, 다른 면에는 무기계 크로메이트 피막, 유기피막, 무기계 크로메이트 피막상에 유기 피막 중 어느 하나를 형성하여도 된다.프레스 성형성 향상을 목적으로 첨가하는 윤활제는 수지가 수계이므로, 물에 용이하게 분산용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윤활제로서는 에스테르계, 왁스계, 스테아린산계, 실리콘계, 특수 올레핀계나 파라핀 왁스계가 있다. 발명자들의 실험에서는 어느 윤활제에서도 상응하는 효과를 발휘하나, 그 중에서도 스테아린산계가 유효하였다.다음으로 도 3에, 스테아린산계 윤활제를 사용하여, 피막중 첨가량을 변화시킨 경우의 바우덴 마찰계수 변화(측정조건 : 10mm경 강구(鋼球), 하중 500g, n = 5의 평균치)와 직경 70mm, 깊이 40mm의 원통드로잉을 실시한 샘플의 외면부를 테이핑한 때의 테이프의 흑화도를 나타낸다(평가기준 등에 있어서는 실시예 참조). 첨가량 0.5 중량%부터 효과가 인정되고, 윤활제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가공성은 향상된다. 그러나, 20중량 %를 넘으면, 그 효과는 포화경향이 있고 복합 크로메이트 액중에 분산, 용해가 어려우며, 액이 겔화하는 현상도 보였다. 따라서 윤활제의 첨가량은, 중량 %로, 0.5% 이상, 20 중량 % 이상,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5%가 바람직하다.복합 크로메이트 편면처리재의 어느 한 쪽면의 처리는, 마찬가지로 복합 크로메이트 피막을 형성하는 외에 필요에 따라 선택하여도 된다. (다른 면은 처리하지 않아도 된다). 즉, 무기 크로메이트 피막은 성형성이 심하지 않은, 예를 들면 탱크 내면에 사용되는 세퍼레이터나 서브 탱크 등의 부품에 사용할 수 있다. 윤활과 용접성을 요구하는 부분, 예를 들면 탱크 외면에는 유기 피막처리나 무기 크로메이트 상에 유기피막처리가 사용된다. 탱크 외면은 최종 공정에서 두꺼운 막 도장이 실시되므로 도금 상의 박막에 대한 내식성의 요구도는 적다. 단 도료 밀착성이 필요하고 유기 피막단층보다는, 무기 크로메이트 상에 유기 피막 처리를 한 쪽이 보다 안정되어 있다. 여기서 말하는 무기 크로메이트는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도포형, 반응형, 전해형 어느 것이든 무방하다. 또한 그 유기 피막에 대하여 전술한 윤활제를 첨가하는 것도 가능하다.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또 하나의 적절한 실시형태로서 양면 알루미늄 도금 강판의 편면에 유기와 무기 복합 크로메이트 피막을 형성하고 다른 쪽 면에 무기계 크로메이트 피막 C를 Cr환산으로 200mg/㎡이하 형성하는 것, 또는 복합 크로메이트 피막과 알루미늄 도금층의 사이에 Cr환산으로 100mg/㎡이하의 무기계 크로메이트 피막 C를 형성한다. 이 무기계 크로메이트 피막 C는 유기 인산과 포스폰산 또는 포스폰산염 화합물과 소량(50중량% 미만)의 수지의 적어도 한 쪽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본 발명의 발명자등은 알루미늄 도금 강판의 저항 용접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여러가지 검토를 거듭한 결과, 알루미늄 도금 강판의 표면에, 예를 들면 산화 피막, 크로메이트 피막, 유기수지피막 등을 실시함으로써 용접성이 큰 폭으로 향상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 작용은, 피막에 의한 강판 간의 접촉 저항값이 상승하고, 그 결과 낮은 용접 전류에서도 강판 간에 충분한 발열에 의한 용접 너깃 형성이 촉진되는 것과, 피막이 있는 것으로 전술한 용접 전극 칩과 도금 금속과의 반응을 억제함으로써 전극 수명이 길어진다는 것도 알게 되었다.유기 수지 피막을 알루미늄 도금 강판 양면에 도포한 재료는, 양면 모두 유기 수지를 피복하므로 통상의 무기계 크로메이트 처리보다 처리코스트가 높아지고, 상응하는 처리설비(롤 코터, 정전도포장치 등등)가 양면에 필요하게 된다. 또한 비교적 높은 온도로 경화가능한 건조로도 필요하다.본 형태는, 처리코스트와 용접성을 적절한 정도로 양립시키는 것을 목표로 개발한 처리이다. 즉 강판의 한 쪽면에 수지와 크롬산 화합물과의 복합크로메이트 피막을 적정한 막두께로 실시하고, 또한 다른 쪽면에는, 크롬산화합물과 실리카로 구성되는 무기계 크로메이트 피막이나, 유기 인산과 소량의 수지의 적어도 한 종류를 함유한 무기계 크로메이트 피막을 실시한 것, 또는 그 복합 크로메이트 피막과 도금층과의 사이에 무기 크로메이트 피막이나 유기 인산과 소량의 수지의 적어도 한 종류를 함유한 무기계 크로메이트 피막을 실시한 것이다.이 처리는 내식성과 스폿 용접, 이음 용접 등의 저항 용접 일반의 양방에 대하여 비교적 낮은 비용으로 효과를 발휘한다는 것을 알아내고 완성한 것이다.또한, 복합 크로메이트 피막은 통상의 상태에서도 충분한 내식성을 발휘하나, 보다 내식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복합 크로메이트 피막과 도금층 계면에 무기계 크로메이트 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알루미늄 도금층에 깊은 가공 흠이 발생한 경우, 피막중의 크롬산의 용출이 수지에 의하여 억제되므로, 무기계 크로메이트에 비하여 방청능력이 발휘되지 않는 경우가 있고, 환경에 따라서는 흠부보다 녹이 생기기 쉬운 경우가 있다. 이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전술한 바와 같이 양호한 저항 용접성에 추가적으로 내식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이 경우에는, 무기계 크로메이트 피막의 부착량은 금속 크롬 환산으로 100mg/㎡이하가 좋다. 100mg/㎡을 넘으면 내식성 효과가 포화됨과 동시에 복합 크로메이트 피막두께와 추가한 피막두께가 증대되므로 접촉저항값이 높아지고, 용접성에 악영향을 미친다.무기계 크로메이트 피막의 조성은 특별히 정하지는 아니하였으나, 크롬산 화합물 실리카 혼합액로 가능하고, 또한 인산 또는 포스폰산 및 포스폰산염 화화합물 등의 유기 인산, 수지의 적어도 한 종류 이상을 첨가하여도 된다. 단, 유기 인산이나 수지의 첨가량이 너무 많으면 비용 부담이 증가함과 동시에, 효과(내식성 향상 등)가 포화되어 버린다. 유기 인산/크롬산 화합물의 농도비 ≤ 1, 수지/크롬산 화합물 농도비 ≤ 1이면 된다.(제 2의 태양)본 발명의 피복 알루미늄 도금 강판의 제 2 태양으로는, 얄루미늄 도금 강판의 편면 또는 양면의 알루미늄 도금층상에, 무기계 크로메이트 피막 A, 구체적으로는 금속 크롬 환산으로 100중량부의 크롬산 화합물과 콜로이드계 실시카 100 내지 1000중량부를 포함하고, 또한 인산화합물 100 내지 600중량부, 포스폰산 또는 포스폰산 화합물 10 내지 200 중량부, 및 50중량부 미만의 유기 수지 중 적어도 한 종류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무기계 크로메이트 피막을 형성하는 것이다.무기계 크로메이트는, 크롬산 화합물 및 클로이드계 실리카를 주성분으로 하여, 인산 포스폰산 또는 포스폰산 화합물, 또는 소량의 수지를 함유하는 유형으로, 수지도장이나 복합 크로메이트와 비교하여, 저비용으로 처리할 수 있고, 내식성도 어느 정도 함께 구비하고 있으며 강판 간의 접촉 저항치의 증대나 용접 전극과 도금 금속과의 반응 억제 효과도 있으므로, 양면 복합 크로메이트 처리재보다 다소 용접성이 떨어지나 충분히 실용가능한 처리이다.이 태양의 무기계 크로메이트 피막 A에서도, 사용하는 크롬 또는 크롬산 화합물, 인산 화합물, 콜로이드계 실리카, 포스폰산 또는 포스폰산염 화합물 및 수지는 제 1 태양에 사용한 것과 동일한 것으로 하여도 된다.또한, 이 태양의 크로메이트 처리액에는, 처리제의 균일 도포성, 크로메이트 피막의 내식성, 도장성능 향상을 위하여 인산 화합물 및/또는 실리카, 규산염의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는 콜로이드계 실리카를 첨가하여도 된다. 인산 화합물의 첨가량은, 크롬산의 Cr량 100중량부에 대하여 100중량부 내지 600중량부의 범위로 한다. 100중량부 미만에서는 첨가의 효과가 충분하지 않고, 600중량부를 초과하면, 크로메이트 피막이 물을 흡수하기 쉽게 되어 내식성이 열화된다. 실리카, 규산염의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는 콜로이드계 실리카의 첨가량은 크롬산 Cr량에 대하여 100중량부 내지 1000중량부의 범위로 한다. 100중량부 미만의 경우, 균일 도포성이 열화하므로, 내식성, 도장성능의 성능 확보가 곤란하고, 1000중량부 초과하는 경우, 그 효과가 포화한다.또한, 본 발명에 의한 무기계 크로메이트 피막에는, 또한 내식성, 도장 밀착성이 우수한 크로메이트 피막을 형성시키기 위하여, 포스폰산 또는 포스폰산 화합물을 첨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포스폰산의 첨가량은 크롬산의 Cr량 100중량부에 대하여 10중량부 내지 200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포스폰산의 첨가량이 10중량부 미만에서는 포스폰산의 에칭작용에 의한 표면 청정화 효과와 그에 대한 피막의 균일한 형성 및 피막중에의 함유에 의한 방식 효과, 도료 밀착성 향상 효과가 적다. 또한 포스폰산의 첨가량은 200중량부를 넘는 경우에는 그 첨가 효과가 포화되거나, 또는 처리욕의 안정성을 저하시키므로 바람직하지 않다.무기계 크로메이트 처리피막 A의 두께는, 금속 크롬환산으로 200mg/㎡이하로 한다. 이 범위에서 양호한 저항 용접성이 얻어지나, 75mg/㎡이하 120mg/㎡이하에서는 더욱 양호한 저항 용접성이 얻어진다. 부착량이 200mg/㎡ 초과하면, 절연성이 높아지거나, 용접성이 열화한다. 역으로 적으면, 전극과 도금의 반응억제효과가 불안정하고, 역시 용접성 저하를 초래한다. 크롬 부착량은 10 내지 200mg/㎡가 바람직하다.(제 3 태양)본 발명의 피복 알루미늄 도금 강판의 제 3의 태양으로는, 알루미늄 도금 강판의 편면 또는 양면의 알루미늄 도금 층상에 무기계 크로메이트 피막 B를 형성하는 것이다.이 때 무기계 크로메이트피막 B란 종래부터 알려져 있는 크롬(무수 크롬산)을 주성분으로 하고, 필요에 따라 실리카 등을 첨가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무기계 피막을 말한다.본 발명자등은, 내식성, 성형성, 용접성이 우수한 알루미늄 도금 강판을 여러 가지로 검토한 결과, 표면에 적절한 정도의 양의 무기계 크로메이트 처리를 하는 것으로 연료 탱크로서 우수한 특성을 가지는 강판의 개발을 달성하였다.본 발명자 등은 연료 탱크에 필요한 특성 및 그 제조의 난이(難易)를 여러 가지로 검토한 결과, 알루미늄 도금 강판 피복층 표면에 무기계 크로메이트 피막을 10mg/㎡이상 35mg/㎡미만, 연료 탱크 소재로서 바람직하게는 20mg/㎡ 이상 30mg/㎡ 이하로 되도록 형성하면 된다는 것을 알아내었다. 내식성을 고려하면, 10mg/㎡미만에서는 그 효과가 불충분하고, 가공부의 도금층 균열로부터의 부식이 우려된다. 또한 스폿 용접시의 도금 금속이 전극에 부착이 용이하게 되고 연속 작업성이 저하된다. 10mg/㎡이상의 부착량으로 연료 탱크로서 충분한 내식성, 저항 용접성을 가지도록 되나, 20mg/㎡ 이상에서는 저항 용접성이 더욱 양호하게 된다. 한 쪽 부착량이 35mg/㎡이상에서는 내식성은 양호하게 되나, 용접성에 있어서, 특정 경납접재로는 용입 경납접 금속의 젖음성을 저하시키는 등을 문제를 발생시킨다.따라서 이러한 관점에서 Cr부착량은 적을수록 경납접성으로서 바람직하고, 본 발명자등은 그 상한을 35mg/㎡미만, 연료 탱크로서 바람직하게는 30mg/㎡이하로 하는 것을 밝혀내었다.본 발명에 있어서는 도장 후 공정에서 무기계 크로메이트 처리를 실시하는데, 무기계 크로메이트 처리액의 조성은 특별히 정하지 않는다.무기계 크로메이트 피막의 조성은 공지조성의 무기계 크로메이트 처리액으로 구성한 것이면 되고, 그 제조방법도, 침지, 스프레이, 전해, 도포 등 공지의 방법으로 가능하다.또한 이러한 태양으로는 알루미늄 도금 층은 Al 또는 Si 3 내지 15%의 Al합금이 가장 적절하다.자동차용 연료 용기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피복 알루미늄 도금 강판을 이용하여 제조한 연료용기, 특히 자동차 연료용기도 제공된다. 이 연료 탱크는 환경에 배려하여 Pb를 함유하지 않으며 또한 내식성, 성형 가공성, 용접성 등 상기한 각종 특성이 뛰이나고, 특히 자동차용 가솔린 탱크, 알코올 연료 탱크 등 자동차 연료 탱크로서 유용하다.또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하면, 프랜지를 가지는 한 쌍의 주발형 성형체의 프랜지 물질을 연속적으로 이음 용접하여 일체로 된 자동차 연료용기이고, 그 주발형 성형체를 구성하는 재료가, 알루미늄 또는 2 내지 13중량%의 규소를 함유하는 알루미늄 합금에 기초한 알루미늄 도금층을 편면 또는 양면에 가지는 알루미늄 도금 강판의 내면 및/또는 외면의 최표면에 수지 피막을 가지는 피복 알루미늄 도금강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연료 용기도 제공된다.즉, 강판을 가공할 때에 알루미늄 도금 표면의 윤활성이 떨어지므로 알루미늄 도금층에 균열이 발생하는 것을 발견하고,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윤활성의 양호한 수지 피막을 알루미늄 도금 표면에 부여하는 것으로 가공후의 내식성을 대폭 개선하였다.이 자동차 연료용기는 상부 용기와 하부 용기를 프레스 성형 등에 의하여 프랜지를 가지는 주발형으로 성형하고, 상하를 맞추어 프랜지부를 이음 용접한 형태를 가진다. 또한 그 구조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통상의 연료용기와 마찬가지로, 연료급유구, 연료 공급 펌프, 연료 호스, 여분의 연료를 되돌려보내는 연료 호스, 연료의 흔들리는 음을 방지하는 세퍼레이터 등을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도 4에 연료용기의 아래 반쪽을 모식적으로 도시한다. 이 용기는 알루미늄 도금 강판(11)의 최외층에 수지피막(12,13)이 형성되어 있는 예이다. 예를 들면, 프레스 가공에 의하여 디프드로잉하여 성형할 때, 특히 내측에 수지피막 (12)이 윤활작용을 맡을 수 있다.또한 이들을 접합하는 방법은 스폿 용접 또는 연납접법 또는 경납접법로 하면 된다. 연납접법과 경납접법의 차이점은 다소 불명확하나, 여기서는 450℃ 이상의 융점을 가지는 금속에 의한 접합을 경납접법, 그 미만의 온도의 금속에 의한 것을 연납접법이라 칭한다. 이 연료용기의 최대 특징은, 연료 용기를 구성하는 재료, 즉 용기 본체는 말할 것도 없이, 내부의 세퍼레이터, 급유구 등의 재료가 Pb를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데 있다. 또한 지금까지의 Pb를 함유하고 있던 연료용기 본체는 최표층에 수지 피막을 가지는 알루미늄 도금강판으로 한다. 또한 연납접, 경납접재도 Pb를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알루미늄계 재료로 할 수 있다.종래의 나(裸)알루미늄 도금강판에서는, 가공에 의한 내식성이 대폭 열화될 우려가 있으나,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를 최표층의 수지피막으로 해결하였다. 이는 나알루미늄 도금강판에선, 도유(塗油)를 실시하더라도 윤활성이 그다지 우수하지 않으며, 도금에 균열이 발생하여 내식성의 대폭적인 열화로 이어지나, 표면에 윤활성이 우수한 수지피막을 형성시킴으로써, 이 도금 균열을 억제할 수 있었던 덕분이다. 피막두께가 너무 작으면 피막이 표면 전체를 덮을 수 있으나, 가공후의 내식성의 개선효과가 적다. 피막두께가 클수록 가공후의 내식성을 위하여는 유리하나, 너무 크면 용접이나 연납접, 경납접이 곤란하게 되어 연료 용기로서의 생산효율을 저해한다.본 발명의 이 측면에 있어서, 수지 피막의 막두께는 성형후 0.1 내지 2μm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μm이다. 또한 이 수지 피막은 양면이어도 무방하며, 또한 외면만, 또는 내면만이어도 효과를 가지나. 내면에 피막이 있으면 효과가 있다는 것을 용이하게 예상할 수 있으나, 피막이 외면에만 있어도 효과가 있는 이유에 대하여는 아래와 같이 생각하고 있다. 연료용기의 성형에는 통상 프레스 가공이 사용되나, 프레스 가공성에는 표면의 윤활이 크게 기여한다. 특히 외면측의 윤활성의 기여가 크므로, 외면측만의 피막부여이어도 도금의 손상이라는 의미에서는 내면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이 연료용기에 있어서 경납접, 연납접의 재료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계도 사용할 수 있다. 알루미늄 표면에의 연납접, 경납접은 일반적으로는 알루미늄 표면의 안정적인 부동태 피막 때문에 곤란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적당한 플럭스를 사용함으로써 생산성이 좋은 접합이 가능하다. 알루미늄계의 경납은 종래의 Pb-Sn계의 연납에 비하여 융점이 높으므로 수지피막이 있더라도 양호한 경납접이 가능하다. 기타 Ni계도 마찬가지로 가능하다.연료 용기의 표면에 수지피막을 가지나, 그 수지 피막의 조성, 구조 등에 특별한 한정은 하지 않는다. 수지로서 사용되는 계로서, 예를 들면 수용성 유기고분자 화합물, 구제적으로는 카르복실기를 가지는 음이온계의 폴리아크릴산이나 폴리 메타크릴산과 그 공중화합물, 말레인산 공중화합물, 초산비닐 공중 화합물, 카르본산 비닐에스테르, 비닐에테르, 스틸렌, 아크릴아미드, 아크릴로니트릴, 할로겐화비닐등의 에틸렌계 불포화화합물, 폴리에틸렌 화합물, 폴리우레탄화합물, 에폭시 수지화합물, 폴리에스테르 화합물 등이 적절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유기 고분자 화합물은 주로 단독으로 첨가, 사용되나, 두 종류 이상을 복합 첨가하여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단, 사용수지피막은, 특히 수지와 무기 복합 크로메이트 피막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복합 크로메이트는 크로메이트 처리액중에 크롬산, 수지 등을 혼합하고, 이를 막으로 만든 것으로 피막중에 균일하게 크롬산 화합물이 분산되어 있다. 이 중의 Cr6+가 탱크로서 사용중에 용출되어 안정된 내식성이 얻어진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각종 크로메이트 피막(유기와 무기의 복합 크로메이트 피막, 무기계 크로메이트 피막 A, 무기계 크로메이트 피막 B)을 가지는 본 발명의 피복 알루미늄 도금 강판을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또한, 표준적인 수지 피막처리인 크로메이트 처리후의 수지도장처리에 비하여 하나의 공정인 처리가 가능하므로 코스트상으로도 유리한 처리이다. 또한 저온으로 경화가능한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특별한 건조로를 사용하지 않고, 종래의 크로메이트 처리설비로 처리가능하다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종래의 크로메이트 설비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수지 종류는 저온 열처리가 가능한 에멀젼 타입의 수지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지중에 예를 들면 소량의 윤활제, 방청 안료 등을 첨가함으로써 더욱 효과의 향상도 기대할 수 있다.연료 용기의 용접방법본 발명자 등은 저항 용접성이 우수하고 연속 작업 가능한 Al 도금 강판의 표면처리 및 용접방법을 여러 가지로 검토한 결과, 편면 또는 양면에 수지피복층 또는 크로메이트를 함유하는 수지 피복층을 알루미늄계 도금강판에 형성하는 것 및 그 강판을 적정한 결합방법으로 용접함으로써, 전술한 용접시의 과제를 해결함과 동시에 연속 작업성이 한층 향상된다는 것을 알아내었다.구체적으로는 강판의 편면 또는 양면에 알루미늄 및 불가피한 불순물 또는 Si를 2중량% 내지 13중량% 함유하여 잔부 알루미늄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구성되는 도금층을 형성하고, 또한 그 편면 또는 양면에 수지피복층을 형성한 수지 피복 알루미늄계 도금강판을 두 장 포개어 한 쌍의 전극륜의 사이에 이음 용접함에 있어서, 적어도 연료 탱크의 내면에 상당하는 면이 알루미늄계 도금층을 가지고, 또한 강판끼리 겹쳐진 면의 적어도 한 쪽 면의 강판 표면 및 또는 전극륜과 접하는 면의 어느 하나가 한쪽 또는 양쪽의 강판 표면에 수지피복층을 가지는 것이다.전술한 바와 같이 강판 피복 금속의 알루미늄은 전극의 Cu와 반응하기 쉬우며, 전극 손실 마모를 빠르게 하여 연속 작업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연속 작업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는 전극 손실 마모를 억제할 것 및 효율적인 너겟을 형성시키기 위하여 강판간의 접촉 저항값을 증대시키는 것 두 가지 점이 중요하게 된다. 본 발명자등은 이러한 목적에 대하여, 편면 또는 양면에 수지피복층을 Al계 도금 강판에 형성하는 것 및 그 강판의 적정한 조합방법으로 용접하는 것이 양호한 저항 용접성을 확보하고, 연속 작업성 향상에 유효하게 작용하는 것을 알아내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도 5a 내지 5c는 탱크의 이음 용접을 도시한다. 도 5a는 사시도, 도 5b는 도 5a의 하면도, 도5c는 종단면도이다. 도에 있어서, 강판을 디프드로잉하여 성형된 상하의 각 용기(21, 22)는, 프랜지부(23, 24)에서 탱크의 내면끼리 접촉되고, 탱크 외면끼리가 이음 용접용 전극륜(25, 26)으로 끼인 상태에서 전극륜(25, 26) 사이에 전류를 흘려보내 플랜지부를 용접하면서 (이음 용접부 27), 일반적으로는, 연료 탱크측을 회전 이동시켜 (도의 A방향), 플랜지 전 둘레에 걸쳐 용접된다 (도의 B방향).이와 같은 이음 용접에 있어서, 도 6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강판사이에 수지피막면이 존재하는 경우, 강판 사이의 접촉 저항치가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수지피복면을 강판 사이에 배치함으로써, 강판 사이의 접촉 저항치는 향상되므로, 발열촉진에 의한 양호한 너깃 형성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강판-전극간에 수지피막면이 존재하는 경우, 사이에 피막이 한 층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무처리재와 거의 다름없는 저항값을 나타낸다. 따라서, 강판-전극측에 수지 피복면을 배치함으로써, 피막의 보호작용에 의한 전극 손모 억제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는, 수지가 연질로 강인한 피막을 형성하므로 가압시에 균일한 박층화가 가능하고, 균일한 통전점 형성을 일으키는 덕분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작용은, 강판끼리 겹쳐진 면의 적어도 일방의 강판 표면에 수지 피막이 존재하거나, 강판이 전극륜과 접하는 면에 수지 피막이 존재하고 있으면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양면처리의 경우는 이러한 효과가 가미되어 더욱 효과가 커지게 된다.또한 도 6a는 도 6b - 6d에 도시한 바와 같은 아래의 각종 공시체에 의한 강판간의 상전극 - 판간 접촉 저항치, 판- 판간 접촉 저항치, 및 판- 하전극간 접촉 저항치를 도시하는 것이다. 도 6b -6d중, 31, 32는 알루미늄 도금 강판의 플랜지부, 31a, 32a는 강판간 측(내면측)의 수지피막, 31b, 32b는 전극륜(35, 36)측 (외면측)의 수지피막이다.·수지피복재 ① : 양면 수지 피복재 (에폭시 수지 1μm)끼리의 조합·수지피복재 ② : 편면 피복재 (에폭시 수지 1μm, 강판간측)와편면 피복재 (에폭시 수지 1μm, 전극측)의 조합·수지피복재 ③ : 편면 피복재 (에폭시 수지 1μm, 강판간측)와 무처리재와의 조합상기와 같은 효과를 실현하는 수지 피복량으로서, 막두께로 0.1μm 이상 2μm이하로 한다. 0.1μm미만에서는 저항 용접성에의 기여가 충분하지 않고, 2μm초과에서는 양면 처리의 경우 강판사이에 4μm이상이 되어, 접촉저항치가 너무 높아져, 통전 불량등이 일어난다.본 발명에 사용되는 수지로서는, 수용성 및 용제계중 어느 수지로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수용성 유기 고분자 화합물, 구체적으로는 카르복실기를 가지는 음이온계의 폴리아크릴산이나 폴리메타크릴산과 그 공중화합물, 말레인산 공중화합물, 초산비닐 공중화합물, 카본산 비닐 에스테르, 비닐에테르, 스틸렌, 아크릴아미드, 아크릴로니트릴, 할로겐화 비닐 등의 에틸렌계 불포화 화합물, 폴리에틸렌화합물, 폴리우레탄 화합물, 에폭시수지화합물, 폴리에스테르화합물 등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이러한 유기고분자화합물은 주로 단독으로 첨가, 사용되나, 2종 이상을 복합 첨가하여 사용하여도 무방하다.또한 수지 피막 단독으로도 충분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으나, 특히 수지계가 수용성인 경우, 크롬산을 주성분으로 하는 크로메이트처리액을 복합 첨가한 처리액을 도포하고, 유기와 무기 복합 크로메이트 피막 또는 상기 무기계 크로메이트 피막A(수지 첨가)를 형성함으로써, 상기와 마찬가지로 양호한 저항 용접성을 얻을 수 있고 또한, 양호한 내식성도 얻어진다.이러한 수지와 크로메이트와의 복합 처리액으로는 내식성, 도료 밀착성, 균일 피복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실리카, 인산을 첨가하는 것도 가능하다.본 발명에 있어서는 도금의 후공정에서 상기 수지피복층 형성을 실시하는 것이나, 그 제조방법은, 도포, 침적, 스프레이등 공지의 방법으로 가능하다.수지 피복층을 형성하는 알루미늄 도금에 대하여 앞에서 설명한 것일 수 있고, 또한 그것이 적합한 것이다.실시예이하의 실시예에 있어서, 아래의 성능 평가방법을 채용하였다.
(1)프레스 가공성 평가
① 원통 드로잉 시험 A
유압성형시험기에 의하여, 직경 50mm의 원통 펀치를 이용하여 수축비 2.3으로 성형시험을 실시하였다. 이 때의 주름억제압은 500kg으로 실시하고, 성형성의 평가는 다음의 지표에 의한 것이다.
◎ : 성형가능하고, 도금층의 결함 없음
○ : 성형가능하고, 도금층에 약간의 흠 발생
△ : 성형가능하고, 도금층에 박리 발생
× : 성형불가
② 원통 드로잉 시험 B
유압성형시험기에 의하여, 직경 70mm의 원통 펀치를 이용하여 드로잉비 2.3에서 성형시험을 실시하였다. 이 때의 주름억제압은 1000kg으로 실시하고, 성형성의 평가는 성형원통의 외관 및 테이핑에 의한 테이프의 흑화도를 육안으로 판정하였다.
(평가기준)
◎ : 성형가능하고, 도금층의 결함이 없으며, 테이프의 흑화도 없음.
○ : 성형가능하고, 도금층에 결함이 없으나, 테이프가 약간 흑화됨.
△ : 성형가능하고, 도금층에 약간의 흠이 발생하고, 테이프도 흑화됨.
× : 성형가능하고, 도금층에 박리가 발생.
③ 바우덴 마찰계수 측정
100mmφ 스텐레스제 강구(鋼球)를 이용하고, 하중 500g으로, 바우덴법에 의하여 측정하였다. 측정은 동일 부분을 10회 주사하고, 그 평균치로 평가하였다.
(평가기준)
◎ : 마찰계수 ≤ 0.1
○ : 0.1 < 마찰계수 ≤ 0.25
△ : 0.25 < 마찰계수 ≤ 0.4
× : 0.4 < 마찰계수
(2) 용접성 평가
① 스폿 용접성
아래에 표시하는 용접 조건으로 스폿 용접을 실시하고, 너깃 크기가 4√t(t는 판두께) 이하가 되는 시점까지의 연속 타점수를 평가하였다. 편면 도장시에는 포갠 때의 수지면이 내측과 외측이 되도록 하여 평가하였다.
(용접조건)
용접 전류 : 10kA, 가압력 : 220kg, 용접시간 : 12사이클,
전극 선단 지름 : 6mm, 전극 형상 : 돔형
(평가 기준)
◎ex(excellent) : 연속타점 1500점 이상
◎(very good) : 연속타점 1000점 내지 1500점 미만
○(good) : 연속타점 500 내지 1000점 미만
△(fair) : 연속타점 250 내지 500점 미만
×(not good) : 연속타점 250점 미만
② 이음 용접성 평가
R6mm-ø250m의 전극륜를 사용하고, 용접전류 13kA, 가압력 400kg, 통전 2 on-2 off로 10m의 이음 용접을 실시한 후, JIS-Z-3141에 도시하는 시험편을 만들고, 누출성 시험을 실시하였다. 평가 A를 아래와 같이 실시하였다.
○ : 누출 없음
× : 누출 발생
또한, 누출 시험과 동시에 단면 용입 상황, 전극 표면의 오염상황을 관찰하고 다음의 평가 B를 실시하였다.
◎ : 누출 없음(용입부 양호, 전극표면의 오염은 거의 없음)
○ : 누출 없음(용입부 양호, 전극 표면의 오염 적음)
△ : 누출 없음(용입부 양효, 전극 표면의 오염 많음)
× : 누출 발생(구멍 다수, 또는 용입불량, 전극 표면의 오염 큼)
③ 경납접 평가
JIS Z-3191법에 의하여 경납의 퍼짐을 평가하였다. 평판의 시료를 톨루엔 탈지한 후, 판상에 플럭스를 도포하고, 경납를 일정량 부착하고, 가열로 중의 소정의 온도로 일정시간 가열하여, 경납의 퍼진 면적을 측정하였다.
(시험 조건)
경납 : Al -10% Si 경납(100mg), 플럭스 :염화물-불화물계 (AWS No 1), 가열온도 : 590℃, 가열시간 30s
(평가)
◎ : 양호한 퍼짐성을 나타낸다.
○ : 양호한 퍼짐성을 나타내나, 약간 에지부 드롭(drop)를 일으킨다.
△ : 어느 정도 퍼짐을 보이나, 에지부 드롭이나 구멍이 생긴다.
× : 거의 퍼짐이 없다.
(3) 내식성 평가
① 도금 강판 시험
가솔린에 대한 내식성을 평가한다. 방법은 유압성형시험기에 의하여 플랜지 폭 20mm, 직경 50mm, 깊이 25mm의 평저(平低) 원통 드로잉 가공한 시료에, 시험액을 넣고, 실리콘 고무제 링을 매개하여 글래스로 두껑을 하였다. 이 시험 후의 부식 상황을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또한 편면 처리재의 시험면은 처리면으로 하였다.
(시험조건)
시험액 : 가솔린 + 증류수 10% + 개미산 200ppm
시험기간 : 40℃로 3개월 방치
(평가기준)
◎ : 변화 없음
○ : 백청 발생 0.1% 이하
△ : 적청 발생 5% 이하, 또는 백청 발생 0.1 내지 50%
× : 적청 발생 5% 초과 또는 백청 현저
② 연료 용기 시험
가솔린에 대한 내식성을 평가하였다. 방법은 성형한 연료용기를 항온으로 유지하면서, 시험액을 연속적으로 순환시켰다. 시험후 꺼내어 연료용기의 부식 상황을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시험조건)
시험액 : 가솔린 + 증류수 10% + 개미산 200ppm
시험기간 : 40℃에서 3개월간 방치
(평가기준)
○ : 적청 발생 0.1% 미만
△ : 적청 발생 0.1 내지 5% 또는 백청발생 있음
× : 적청 발생 5% 초과 또는 백청 현저
③ Pb 용출성
상기 (3) ②의 시험후, 시험액중에 용출한 Pb량을 습식법으로 정량하고, Pb용출성을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
○ : 용출 없음 (검출 한계 이하)
× : 용출 있음
④ 흠부 내식성
70 mm ×150mm의 평판에 십자 흠을 넣고, 염수 분무 시험에 의하여 녹 발생 상황을 평가하였다. 수지 크로메이트 처리면, 무기계 크로메이트 처리면의 두 면을 평가하였다.
(시험조건)
염수 분무시험 240시간후의 녹 발생율
(평가기준)
(○ex : 녹 발생없음)
○ : 백청 발생 5% 미만
△ : 백청 발생 5% 내지 50% 또는 적청 발생 5% 미만
× : 백청 발생 50% 초과 또는 적청 현저
(예 1 내지 28)
표 1에 도시하는 성분의 강을 통상의 전로- 진공 탈가스 처리에 의하여 용제하고, 강편으로 한 후, 통상의 조건으로 열간 압연, 냉연공정을 실시하고, 냉연 강판(판두께 0.8mm)을 얻었다.
이를 재료로 하여, 용융 알루미늄 도금을 실시하였다. 용융 알루미늄 도금은 무산화로-환원로 타입의 라인을 사용하고, 소둔도 이 용융 도금 라인내에서 실시하였다. 소둔 온도는 800 내지 850℃로 하였다. 도금 후 가스 와이핑법으로 도금 부착량을 조절하였다. 이 때의 도금 온도는 660℃로 하고, 도금 욕 조성으로서 기본적으로 Al -2% Fe로 하고, 이에 Si를 첨가하였다. 이 용중의 Fe는 용중의 도금 기기나 스트립으로부터 공급되는 것이다.
이렇게 제조한 알루미늄 도금 강판에 표2에 도시하는 욕을 표준 조성으로 하여 복합 크로메이트 처리를 하였다. 동시에 표 2 중의 (수지량 + 크롬산량)을 일정하게 하고, 수지/크롬산을 변화시킨 욕도 사용하였다. 막두께는 링거 롤(wringer roll)에 의하여 조절하고, 80℃의 온풍으로 건조, 막 제조를 실시하였다.
이와 같이 제조한 강판의 연료 탱크로서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이 때의 평가방법은 아래에 표시한 방법에 의하여, 도금 조건과 성능 평가 결과를 표 3 및 표 4에 도시한다.
프레스 가공성 - - 원통 드로잉 시험 A
용접성 - - - - - - 스폿 용접성 평가
내식성 - - - - - - 도금 강판 시험
표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금중의 Si가 너무 적으면 (비교예 23) 합금층이 너무 성장하여 가공시에 도금 박리가 발생한다. 또한 역으로 Si가 너무 많으면 (비교예 24), 내식성이 열화한다. 또한 알루미늄 도금의 부착량이 너무 많으면(비교예 25), 용접부가 열화한다. 피막 두께가 너무 얇으면(비교예 26), 또한 너무 두꺼워도 (비교예 27, 28), 양호한 용접성은 얻을 수 없다. 도금 조성, 부착량, 양호한 복합 크로메이트 조건으로 제조한 때에는, 프레스 가공성, 용접성, 외관, 내식성 모두 우수한 용접 알루미늄 도금 강판이 얻어진다. 단, 수지/크롬비가 낮을 때 및 높을 때는 (실시예 19, 22), 용접성이 다소 떨어지고, 수지/크롬비를 적정한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실시예 1 내지 23은, 자동차 연료 탱크 재료로서 필요한 내식성, 프레스 가공성을 겸비하고, 또한 지금까지의 과제였던 용접성도 획득한 용접 알루미늄 도금 강판을 제공하는 것으로 앞으로 Pb계 재료가 환경문제로 사용이 곤란하게 된 때의 새로운 연료 탱크재로서 상당히 유망하고 산업상의 기여도 크다.
(예 29 내지 50)
표1에 도시하는 성분의 원판을 이용하여 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한 냉연강판에, 예 1과 동일한 알루미늄 도금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제조한 Al 도금강판에, 표 5에 도시하는 조성의 크로메이트 처리액을 롤 코터 또는 침적후의 링거 롤에 의하여 소정의 부착량을 도포하고, 150℃의 온풍으로 소부 건조를 하였다.
상기에 의하여 제조된 강판의 연료 탱크로서의 적성을 아래에 도시하는 방법에 의하여 평가하였다.
용접성 ① - 스폿 용접성 평가
용접성 ② - 이음 용접성 평가
프레스 가공성 - 원통 드로잉 시험 A
내식성 - 도금 강판 시험
그 결과를 표 6, 7를 나타낸다. 표 6,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실시예에서는 모드 양호한 성능을 나타내었다.
예 29 내지 44에서는, 자동차 연료 탱크 소재로서 필요한 양호한 저항 용접성을 가지고, 또한 프레스 성형성, 내식성이 우수한 소재이고, 향후 Pb계 재료가 환경문제에서 사용이 곤란하게 된 때의 새로운 탱크 소재로서 상당히 유망하고, 산업상의 기여도 크다.
* 종합판정
◎ : 상당히 우수 ○ : 우수
△ : 다소 떨어지나 사용가 × : 사용불가
(주 1) : 편면측 / 단면측의 조합을 나타낸다.
(주 2) : 크롬산의 Cr량 환산중량에 대하여 첨가수지의 중량비.
(예 51 내지 61)
표 8에 도시하는 성분을 가지는 원판을 사용하여 예 1에 기재한 바와 같이 제조한 냉연강판에, 실시예 1에 기재한 바와 같이 용융 알루미늄 도금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제조한 Al 도금강판에 CrO320g/ℓ, SiO260g/ℓ로 구성되는 크로메이트 처리액에 침적하여 링거 롤에 의하여 부착량을 조절하였다. 80℃의 온풍으로 건조시켰다.
이와 같이 하여 제조한 강판의 연료 탱크로서 적성을 아래에 도시하는 방법에 의하여 평가하였다.
프레스의 가공성 - 원통 드로잉 시험 A
용접성 ① - 스폿 용접성
용접성 ② - 경납 퍼짐
내식성 - 도금강판 시험
결과를 표9에 도시하였다. 표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크로메이트 부착량이 너무 낮으면 양호한 내식성은 얻어지지 않고, 또한 용접성도 떨어진다. 역으로 부착량이 너무 높으면, 노의 누출성이 저하된다.
본 발명은 자동차 연료 탱크 소재로서 필요한 양호한 내식성, 프레스 가공성을 가지고 또한 폭넓은 용접수법이 적용가능하며, 향후 Pb계 재료가 환경문제로 사용이 곤란하게 되었을 때의 새로운 연료 탱크 소재로서 상당히 유망하며 산업상의 기여도 크다.
※종합판정
◎ : 상당히 우수 ○ : 우수
△ : 다소 떨어지나 사용가 × : 사용불가
(예 62 내지 90)
표 8에 기재된 성분을 가지는 도금 원판을 사용하여 예 1과 같이 제조한 냉연강판에, 예 1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용융 알루미늄 도금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이 제조한 알루미늄 도금강판에 표 10, 표 11에 도시하는 욕을 표준조성으로 하여 복합 크로메이트 처리 및 무기크로메이트 처리를 실시하였다. 크로메이트 피막의 막두께(Cr 부착량)과 함께, 링거 롤에 의하여 조절하고, 80℃의 온풍으로 건조, 막 제조를 하였다.
또한, 유기피막처리도 일반적으로 실시되는 에폭시 수지, 아크릴 수지나 폴리에틸렌 수지의 소부 타입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이 제조된 강판의 연료 탱크로서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이 때의 평가방법은 아래에 도시한 방법에 의하였다. 도금 조건과 성능평가결과를 도 12에 도시하였다.
프레스 성형성 ① - 원통 드로잉 시험 B
프레스 성형성 ② - 바우덴 마찰계수 측정
내식성 - 도금 강판 시험
예 62 내지 90은, 자동차 연료 탱크재료로서 필요한 프레스 성형성과 내식성을 구비하고, 또한 용접 특성도 우수한 용융알루미늄 도금 강판을 제공하는 것으로, 향후, Pb계 재료가 환경문제로 사용이 곤란하게 된 때의 새로운 연료 탱크재로서 상당히 유망하며, 산업상의 기여도 크다.
(예91 내지 119)
표 8에 도시한 성분을 가지는 원판을 이용하여 예 1에 따라 제조한 냉연강판에, 예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용융 알루미늄 도금을 실시하였다.
이리하여 제조한 알루미늄 도금 강판에 표 13에 도시하는 욕을 표준조성으로 하여 무기계 크로메이트 처리 및 복합 크로메이트 처리를 실시하였다. 크로메이트 피막 부착량이나 복합 크로메이트 막두께는 링거 롤에 의하여 조절하고, 80℃의 온풍에 건조, 막을 만들었다.
이와 같이 제조한 강판의 연료 탱크로서의 성능 평가를 아래에 도시하는 방법에 의하여 실시하였다. 그 처리조건과 성능 평가 결과를 표 17에 도시한다.
프레스 가공성 - 원통 드로잉 시험 A
용접성 - 스폿 용접성
내식성① - 도금 강판시험
내식성② - 흠 부 내식성 시험
표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금중의 Si가 너무 적으면 (비교예 113), 합금층이 너무 성장하여 가공시에 도금 박리가 발생한다. 또한 역으로 Si가 많으면 (비교예 114), 내식성이 열화한다. 또한, 알루미늄 도금의 부착량이 너무 많으면 (비교예 117), 용접부가 열화한다. 복합 크로메이트 피막두께가 너무 얇아도 (비교예 115, 117), 또한 너무 두꺼우면 (비교예 116, 119), 양호한 용접성이 얻어지지 않는다. 또한, 무기계 크로메이트 피막이 너무 두꺼운 경우에도 (비교예 118) 양호한 용접성은 얻어지지 않는다.
예 91 내지 119는, 자동차 연료 탱크소재로서 필요한 내식성, 프레스 가공성을 겸비하고, 또한 지금까지의 과제였던 용접성도 개선된 용융 알루미늄 도금 강판을 제공하는 것으로, 향후 Pb계 재료가 환경문제에서 사용곤란하게 된 때의 새로운 연료 탱크제로서 상당히 유망하고, 산업상의 기여도 크다.
또한, 예 91 내지 119의 복합 크로메이트 피막의 부착량이나, 내식성을 고려하면, Cr량으로 10mg/㎡ 미만으로는 그 효과는 불충분하고, 가공부의 도금층 균열로부터의 부식이 우려된다. 또한 스폿 용접시에 도금 금속이 전극에 부착되기 쉬워지고, 연속 작업성이 저하된다. 10mg/㎡ 이하의 부착량에서 연료탱크로서의 내식성, 저항용접성을 가지도록 되나, 80mg/㎡이상에서는 저항 용접성이 더욱 양호하게 된다. 한편, 부착량이 200mg/㎡초과에서는 내식성은 양호하게 되나, 피막 두께의 증가에 의하여 강판간 저항치의 증대로 통전불량이나, 국부 과대 통전이 발생하기 쉬워져, 연속 작업성을 저하시키는 등의 문제를 발생시킨다. 바람직하게는 140mg/㎡ 이하이다. 따라서 이러한 관점에서 발명자 등은 그 범위를 10mg/㎡ 이상 200mg/㎡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80mg/㎡ 이상 140mg/㎡ 이하로 한다.
(예 120 내지 141)
실제의 연료용기는 여러 가지 성형이 있고, 일정하지 않다. 그러므로 여러 가지 강성분, 도금 조성, 수지 피막을 가지는 용융 알루미늄 도금 강판(판두께 0.8mm) 및 Pb-Sn합금 도금 강판을 재료로 하여, 가공이 다른 여러 종류의 연료 용기의 제조를 실시하였다. 용융 알루미늄 도금 강판의 알루미늄 도금층증의 블순물로서의 Pb의 함유량은 0.001%이하이다. 가공정도를 정량적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판 두께 감소율로 평가하였다. 이는 성형전 및 성형후의 각 부위에서 판 두께를 측정하고, 판두께 감소율을 계산하여, 이 최대값으로 가공도를 평가하는 것이다. 성형후의 소부분의 접합에는 스폿 용접 및 경납접을 사용하였다. 사용한 재료의 강성분을 표 15에 도금을, 수지피막의 명세를 표 16에, 연료용기의 제조조건을 표 17에 도시하였다.
표 17의 내식성, Pb 용출성을 아래의 조건으로 평가하였다.
내식성 ① - 연료용기 시험
내식성 ② - Pb 용출성
표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지 피막이 없는 알루미늄 도금으로 제조한 연료용기는, 크로메이트를 두껍게 도포한 것으로 저가공의 형상으로는 어느 정도의 내식성을 보이나, 많은 실연료 용기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판두께 감소량 15% 이상의 고가공 형상으로는 내식성이 열화된다(비교예 139). 종래 사용되어온 Pb-Sn 도금 강판을 사용한 연료 용기 (비교예 140)이나, 알루미늄 도금강판으로도 Pb-Sn계의 연납을 사용한 것(비교예 141)으로는 내식성은 양호하나, Pb용출의 염려가 있다. Zn-Ni에 크로메이트를 도포한 바와 같이 재료에 의한 연료용기로는 내식성이 현저하게 떨어진다. 알루미늄 도금에 수지 피막을 실시한 재료로 성형하고 Al계 경납접 금속을 사용함으로써, Pb용출의 염려가 없고, 가공후의 내식성이 우수한 연료용기를 얻을 수 있다. 단, 실시예 135는 약간의 용접시의 가압력, 전류값을 변경할 필요가 있고, 약간의 용접시의 생산성에 어려움이 있다.
예 120 내지 141은, 최근 문제가 되고 있는 환경에의 Pb오염의 염려를 해소하고, 뿐만 아니라 격심한 형상으로 성형하여도 내식성이 우수한 연료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높아져가고 있는 환경보전의 요청에 부응하는 것이며, 산업상의 기여가 크다.
(예 142 내지 155)
표 18의 성분을 가지는 원판을 사용하여 예 1과 같이 제조한 냉연강판의 양면에 예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용융 알루미늄 도금을 실시하였다. 그 양면 Al도금재의 편면을 벨다 연삭함으로써 편면 피복재도 제조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제조한 각종 Al계 도금 강판에 각종 처리액을 롤 코터 또는 침적 후의 링거 롤에 의하여 소정의 부착량 도포하고, 200℃의 온풍으로 소부건조하였다. 그러한 수지피복 Al계 도금 강판의 이음 용접성을 아래에 도시하는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용접성 - 이음 용접성 평가
결과를 표 19에 도시한다. 표1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실시예에서는 모두 양호한 이음 용접성을 나타낸다.
예 142 내지 155는, 자동차 연료 탱크 소재로서 필요한 이음 용접방법을 제공한 것이며, 향후 Pb계 재료가 환경문제로 사용이 곤란하게 된 경우, 새로운 탱크 소재 및 그 제조방법으로서 상당히 유망하고, 산업상의 기여도 크다.
또한, 예 142 내지 155에 있어서, 이 크롬산 첨가량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나, Cr량 환산으로 10mg/㎡ 이상 200mg/㎡이하가 좋다.
10mg/㎡미만에서는 그 첨가효과는 불충분하고, 10mg/㎡이상의 부착량으로 연료 탱크로서의 내식성, 및 저항용접상을 가지도록 되나, 70mg/㎡초과에서는 저항 용접성이 더욱 양호하게 된다. 한편, 부착량이 200mg/㎡ 초과에서는 피막중에 점하는 유기물의 비율을 증대시키고, 내식성은 양호하게 되나, 국부 과대 통전이 발생하기 쉬워져, 연속 작업성을 저하시키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바람직하게는 140mg/㎡이하이다. 따라서 이러한 관점에서, 그 범위를 10mg/㎡ 이상 200mg/㎡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80mg/㎡ 이상 140mg/㎡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산업상이용가능성 누락

Claims (44)

  1. (a) 강판과,
    (b) 상기 강판의 편면 또는 양면에 형성된 알루미늄 또는 2 내지 15중량%의 규소를 함유하는 알루미늄 합금에 기초하는 알루미늄 도금층과,
    (c) 상기 편면 또는 양면에 형성된 상기 알루미늄 도금층 중 하나 이상의 층상에 형성된,
    (ⅰ) 막두께 0.1 내지 2μm이고, 수지와 크롬산 화합물을 함유하고, 수지/금속 크롬 중량비가 0.5 내지 18의 범위내인 유기와 무기의 복합 크로메이트 피막과,
    (ⅱ) 피막량이 금속 크롬 환산으로 10 내지 200mg/㎡으로 형성한 금속 크롬 환산으로 100중량부의 크롬산 화합물 및 콜로이드계 실리카 100 내지 1000중량부를 함유하고, 또한 인산화합물 100 내지 600중량부, 포스폰산 또는 포스폰산 염화합물 10 내지 200중량부 및 50 중량부 미만의 유기수지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한 적어도 한 종류를 추가적으로 함유하는 무기계 크로메이트 피막 A와,
    (ⅲ) 피막량이 금속 크롬 환산으로 10mg/㎡ 이상 35mg/㎡ 미만인 무기계 크로메이트 피막 B가 하지층으로 형성되고, 그 위에 상기 복합 크로메이트 피막 또는 상기 무기계 크로메이트 피막 A가 상부층으로 형성된 구조의 피막
    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피복층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용기용으로 적합한 피복 알루미늄 도금 강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 도금층을 60mg/㎡ 이하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 알루미늄 도금 강판.
  3. 제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크로메이트 피막이 0.5 내지 20중량%의 윤활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 알루미늄 도금 강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크로메이트 피막이, 금속 크롬 100중량부에 대하여, 인산 화합물 100 내지 600중량부 및 콜로이드계 실리카 100 내지 1000중량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 알루미늄 도금 강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크로메이트 피막이, 금속 크롬 100중량부에 대하여 포스폰산 또는 포스폰산 염 화합물 10 내지 200중량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 알루미늄 도금 강판.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강판의 양면에 상기 알루미늄 도금층을 가지고, 양방의 상기 알루미늄 도금층상에 상기 복합 크로메이트 피막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 알루미늄 도금 강판.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강판의 양면에 상기 알루미늄 도금층을 가지고, 양방의 상기 알루미늄 도금층상에 상기 무기계 크로메이트 피막 A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 알루미늄 도금 강판.
  8.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강판의 양면에 상기 알루미늄 도금층을 가지고, 한쪽의 상기 알루미늄 도금층상에 상기 복합 크로메이트 피막을 가지고, 다른 쪽의 상기 알루미늄 도금층상에 금속 크롬 환산으로 200mg/㎡ 이하의 무기계 크로메이트 피막 C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 알루미늄 도금 강판.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 도금층상에 형성된 상기 무기계 크로메이트 피막이, 인산 화합물, 포스폰산 또는 포스폰산 염화합물, 및 금속 크롬 100중량부에 대하여 50중량부 미만의 수지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한 종류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 알루미늄 도금 강판.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 도금층과 상기 복합 크로메이트 피막과의 사이에 금속 크롬 환산으로 100mg/㎡이하의 무기계 크로메이트 피막 C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 알루미늄 도금 강판.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 도금층과 상기 복합 크로메이트 피막과의 사이에 형성된 상기 무기계 크로메이트 피막 C가, 인산화합물, 포스폰산 또는 포스폰산 염화합물, 및 금속크롬 100중량부에 대하여 10중량부 미만의 수지로 구성되는 한 종류 이상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피복 알루미늄 강판.
  12. 삭제
  13.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강판의 양면에 상기 알루미늄 도금층을 가지고, 한 쪽의 상기 알루미늄 도금층상에 상기 복합 크로메이트 피막을 가지고, 다른 쪽의 상기 알루미늄 도금층상에 막두께 0.1 내지 2.0μm의 유기수지피막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 알루미늄 도금 강판.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 도금층과 상기 복합크로메이트 피막 및 상기 유기수지 피막과의 사이에 금속 크롬 환산으로 100mg/㎡이하의 무기계 크로메이트 피막 C 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 알루미늄 도금 강판.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 도금층상에 형성된 상기 무기계 크로메이트 피막 C가, 인산화합물, 포스폰산 또는 포스폰산 염화합물, 및 금속 크롬 100중량부에 대하여 50중량부 미만의 수지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한 종류 이상을 추가적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 알루미늄 도금 강판.
  1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강판의 양면에 상기 알루미늄 도금층을 가지고, 한 쪽의 상기 알루미늄 도금층상에 상기 무기계 크로메이트 피막 B를 가지고, 다른 쪽의 상기 알루미늄 도금층상에 유기 수지 피막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 알루미늄 도금 강판.
  17. 삭제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 도금층 상에 형성된 상기 무기 크로메이트 피막이, 인산화합물, 포스폰산 또는 포스폰산염 화합물 및 금속 크롬 100 중량부에 대하여 50 중량부 미만의 수지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한 한 종류 이상을 추가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 알루미늄 도금 강판.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알류미늄 도금층과 상기 유기수지피막과의 사이에 금속크롬 환산으로 100mg/㎡ 이하의 무기계 크로메이트 피막 C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 알루미늄 도금 강판.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 도금층과 상기 유기수지 피막과의 사이에 형성된 상기 무기계 크로메이트 피막 C가 인산화합물, 포스폰산 또는 포스폰산염 화합물 및 금속 크롬 100 중량부에 대하여, 50 중량부 미만의 수지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한 종류 이상을 추가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 알루미늄 도금강판.
  21. 제 1 항, 제 2 항, 제 4 항 및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피복 알루미늄 도금 강판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용기.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제 3 항에 따른 피복 알루미늄 도금강판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용기.
  32. 제 6 항에 따른 피복 알루미늄 도금강판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용기.
  33. 제 7 항에 따른 피복 알루미늄 도금강판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용기.
  34. 제 8 항에 따른 피복 알루미늄 도금강판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용기.
  35. 제 9 항에 따른 피복 알루미늄 도금강판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용기.
  36. 제 10 항에 따른 피복 알루미늄 도금강판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용기.
  37. 제 11 항에 따른 피복 알루미늄 도금강판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용기.
  38. 제 13 항에 따른 피복 알루미늄 도금강판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용기.
  39. 제 14 항에 따른 피복 알루미늄 도금강판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용기.
  40. 제 15 항에 따른 피복 알루미늄 도금강판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용기.
  41. 제 16 항에 따른 피복 알루미늄 도금강판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용기.
  42. 제 18 항에 따른 피복 알루미늄 도금강판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용기.
  43. 제 19 항에 따른 피복 알루미늄 도금강판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용기.
  44. 제 20 항에 따른 피복 알루미늄 도금강판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용기.
KR10-1999-7000833A 1996-07-31 1997-07-31 저항 용접성, 내식성, 프레스 성형성이 뛰어난 자동차 연료용기용 방청 강판 Expired - Fee Related KR1004533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8201769A JP3135844B2 (ja) 1996-07-31 1996-07-31 溶接性、耐食性に優れた自動車燃料タンク用防錆鋼板
JP201769/1996 1996-07-31
JP228078/1996 1996-08-29
JP8228078A JPH1067235A (ja) 1996-08-29 1996-08-29 耐食性に優れた自動車燃料容器
JP287997/1996 1996-10-30
JP28799796 1996-10-30
JP330673/1996 1996-12-11
JP33067396A JPH10168581A (ja) 1996-12-11 1996-12-11 アルミ系めっき鋼板または燃料タンク用アルミ系めっき鋼板
JP75459/1997 1997-03-27
JP7545997A JPH10265967A (ja) 1997-03-27 1997-03-27 プレス成形性及び耐食性に優れた燃料タンク用防錆鋼板
JP8129097 1997-03-31
JP8129197A JP3333423B2 (ja) 1997-03-31 1997-03-31 樹脂被覆アルミ系めっき鋼板製燃料タンクのシーム溶接方法
JP81291/1997 1997-03-31
JP81290/1997 1997-03-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9729A KR20000029729A (ko) 2000-05-25
KR100453387B1 true KR100453387B1 (ko) 2004-10-15

Family

ID=27565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0833A Expired - Fee Related KR100453387B1 (ko) 1996-07-31 1997-07-31 저항 용접성, 내식성, 프레스 성형성이 뛰어난 자동차 연료용기용 방청 강판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361881B1 (ko)
EP (1) EP0916746A1 (ko)
KR (1) KR100453387B1 (ko)
AU (1) AU718855B2 (ko)
CA (1) CA2261749C (ko)
WO (1) WO19980047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28109A1 (fr) * 1998-11-08 2000-05-18 Nkk Corporation Feuille d'acier traitee en surface presentant une excellente resistance a la corrosion et son procede de production
JP4072304B2 (ja) * 2000-05-12 2008-04-09 新日本製鐵株式会社 環境適合性に優れた自動車用燃料容器材料および自動車用燃料容器
US7153348B2 (en) * 2000-09-07 2006-12-26 Nippon Steel Corporation Hexavalent chromium-free surface-treating agent for Sn or Al-based coated steel sheet, and surface treated steel sheet
US7147934B2 (en) * 2000-11-07 2006-12-12 Nisshin Steel Co., Ltd. Chemically processed steel sheet excellent in corrosion resistance
MY126690A (en) * 2000-11-07 2006-10-31 Nisshin Steel Co Ltd A chemically processed steel sheet excellent in corrosion resistance
JP2004314880A (ja) * 2003-04-18 2004-11-11 Nippan Kenkyujo Co Ltd 自動車用燃料タンク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7473864B2 (en) * 2004-05-19 2009-01-06 Kobe Steel, Ltd. Weldment of different materials and resistance spot welding method
JP2007191775A (ja) * 2006-01-23 2007-08-02 Nippon Steel & Sumikin Stainless Steel Corp 塩害環境での耐食性に優れた自動車用燃料タンク用表面処理ステンレス鋼板
US8097306B2 (en) 2006-09-07 2012-01-17 Nippon Steel Corporation Aqueous treating solution for Sn-based plated steel sheet excellent in corrosion resistance and paint adhesion, and production method of surface-treated steel sheet
US8524816B2 (en) * 2007-03-15 2013-09-03 Magni Industries, Inc. Coating resistant to bio-diesel fuels
DE102008037602A1 (de) * 2008-11-27 2010-06-10 Hydro Aluminium Deutschland Gmbh Kraftstofftank aus Metall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US8574396B2 (en) 2010-08-30 2013-11-05 United Technologies Corporation Hydration inhibitor coating for adhesive bonds
CN103153672B (zh) 2010-10-05 2016-01-20 新日铁住金株式会社 车辆用燃料箱
US20180201123A1 (en) * 2014-10-14 2018-07-19 Nippon Steel & Sumitomo Metal Corporation Plated steel sheet and fuel tank
JP6601283B2 (ja) * 2016-03-10 2019-11-06 日本製鉄株式会社 燃料タンク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06637A (ja) * 1993-04-20 1994-11-01 Nippon Steel Corp 高耐食性燃料タンク用防錆鋼板
JPH07180065A (ja) * 1993-11-12 1995-07-18 Nippon Parkerizing Co Ltd 耐食性及び塗装性能に優れた白色クロメート処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52184A (en) 1979-05-11 1980-11-27 Nippon Paint Co Ltd Surface treatment of metal
JPS5761833A (en) 1980-10-01 1982-04-14 Canon Inc Friction brake unit
JPS586976A (ja) 1981-07-03 1983-01-14 Nisshin Steel Co Ltd 溶融アルミめつき鋼板の表面処理方法
JPS5848679A (ja) 1981-09-18 1983-03-22 Nisshin Steel Co Ltd 溶融アルミめつき鋼板の表面処理方法
JPS6056072A (ja) 1983-09-08 1985-04-01 Nippon Steel Corp クロメ−ト被膜が均一に付着した表面処理鋼板の製造法
JPS61136685A (ja) 1984-12-07 1986-06-24 Nippon Light Metal Co Ltd 親水性耐食皮膜を形成する方法
JPS62120494A (ja) 1985-11-19 1987-06-01 Nisshin Steel Co Ltd 燃料タンク用防錆鋼板
JPS62230987A (ja) 1986-03-31 1987-10-09 Nisshin Steel Co Ltd 燃料タンク用防錆鋼板
JPS6393889A (ja) 1986-10-06 1988-04-25 Sumitomo Metal Ind Ltd 燃料容器用めつき鋼板
JPS63103096A (ja) 1986-10-20 1988-05-07 Sumitomo Metal Ind Ltd 燃料容器用めつき鋼板
JPS63270480A (ja) 1987-04-27 1988-11-08 Nippon Steel Corp メツキ鋼板の有機複合クロメ−ト処理方法
DE68911991T2 (de) * 1988-05-31 1994-04-21 Kawasaki Steel Co Mit einem schmierenden Harz beschichtete Stählbander die eine verbesserte Verformbarkeit und einen verbesserten Korrosionswiderstand aufweisen.
JPH0339485A (ja) 1989-07-04 1991-02-20 Kawasaki Steel Corp 成形時の耐パウダリング性に優れた潤滑樹脂処理鋼板
JP2897929B2 (ja) 1990-03-30 1999-05-31 株式会社リコス カラオケ装置
JP2788131B2 (ja) 1991-01-29 1998-08-20 日本パーカライジング株式会社 アルミニウムまたはアルミニウム合金表面への複合皮膜形成方法
US5395687A (en) * 1992-02-24 1995-03-07 Kawasaki Steel Corporation Surface-treated aluminum material having improved spot resistance weldability, workability, and corrosion resistance
JP2648679B2 (ja) * 1992-10-20 1997-09-03 新日本製鐵株式会社 耐食性と加工性に優れた塗装アルミメッキ鋼板の製造法
US5674627A (en) * 1994-08-19 1997-10-07 Kawasaki Steel Corporation Aluminum alloy sheet having excellent press formability and spot weldability
US5789089A (en) * 1995-05-18 1998-08-04 Nippon Steel Corporation Hot-dipped aluminum coated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corrosion resistance and heat resistance,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JP3399729B2 (ja) 1995-06-05 2003-04-21 新日本製鐵株式会社 プレス加工性、耐食性に優れた燃料タンク用防錆鋼板の製造法
JP2918829B2 (ja) * 1995-11-30 1999-07-1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燃料タンクの製造方法、レーザ溶接体及び燃料タンク
DE69738417T2 (de) 1996-07-01 2008-12-04 Nippon Steel Corp. Rostgeschütztes stahlblech für einen kraftstofftank mit ausgezeichneter gasdichtigkeit nach schweissen und korrosionsbeständigkeit nach formen
JPH1095436A (ja) 1996-09-18 1998-04-14 Nisshin Steel Co Ltd 燃料タンク用防錆鋼板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06637A (ja) * 1993-04-20 1994-11-01 Nippon Steel Corp 高耐食性燃料タンク用防錆鋼板
JPH07180065A (ja) * 1993-11-12 1995-07-18 Nippon Parkerizing Co Ltd 耐食性及び塗装性能に優れた白色クロメート処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718855B2 (en) 2000-04-20
CA2261749C (en) 2003-11-25
AU3707797A (en) 1998-02-20
CA2261749A1 (en) 1998-02-05
KR20000029729A (ko) 2000-05-25
US6361881B1 (en) 2002-03-26
EP0916746A1 (en) 1999-05-19
EP0916746A4 (ko) 1999-06-09
WO1998004760A1 (fr) 1998-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3387B1 (ko) 저항 용접성, 내식성, 프레스 성형성이 뛰어난 자동차 연료용기용 방청 강판
JP3800928B2 (ja) 高耐食性燃料タンク用鋼板
KR20210035955A (ko) 우수한 내흑변성 및 내알칼리성을 부여하는 삼원계 용융아연합금 도금강판용 표면처리 용액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표면처리된 삼원계 용융아연합금 도금강판 및 그 제조 방법
JP5130475B2 (ja) 錫系めっき鋼板のスポット溶接方法
JP4151228B2 (ja) 高耐食性燃料タンク用鋼板
JP2014031549A (ja) 燃料タンク用鋼板
JP3283826B2 (ja) 耐食性に優れた自動車用燃料容器
JP2000204463A (ja) 溶接性、耐食性および耐久性に優れる燃料タンク用防錆鋼板
AU744314B2 (en) Rustproof steel sheet for automobile fuel tank with excellent resistance weldability, corrosion resistance and press moldability
JP3333423B2 (ja) 樹脂被覆アルミ系めっき鋼板製燃料タンクのシーム溶接方法
JP3002445B1 (ja) 接合特性に優れた自動車燃料タンク用溶融Sn系めっき鋼板
JPH10245666A (ja) プレス成形性、耐食性及び溶接性に優れた燃料タンク用めっき鋼板および燃料タンク
JP4727840B2 (ja) 加工性及び耐食性に優れた被覆鋼板、並びにその製造方法
JPH10183368A (ja) 溶接性及び耐食性に優れた燃料タンク用防錆鋼板
JPH10330957A (ja) 抵抗溶接性に優れた燃料タンク用防錆鋼板
JPH10168581A (ja) アルミ系めっき鋼板または燃料タンク用アルミ系めっき鋼板
JPH1072641A (ja) 溶接気密性、プレス加工性に優れた自動車燃料タンク用防錆鋼板
JPH0689475B2 (ja) 燃料容器用鋼板
JP3078473B2 (ja) プレス加工性とスポット溶接性に優れたアルミニウム合金板とその製造方法
JP3135844B2 (ja) 溶接性、耐食性に優れた自動車燃料タンク用防錆鋼板
JP3129635B2 (ja) プレス加工性とスポット溶接性に優れたアルミニウム合金板
JP2023145267A (ja) 溶接部材
JP2014210954A (ja) トラック・バス燃料タンク用めっき鋼板及び燃料タンク
JPH10265967A (ja) プレス成形性及び耐食性に優れた燃料タンク用防錆鋼板
JPH1067235A (ja) 耐食性に優れた自動車燃料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90130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010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1101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0102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020114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1101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030821

Appeal identifier: 2002101000194

Request date: 20020114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20228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20214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20114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10320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B0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20114

Effective date: 20030821

P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code: PJ13011S01D

Patent event date: 20030822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 date: 20020114

Decision date: 20030821

Appeal identifier: 2002101000194

PS0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309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PS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mand of revo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713

Patent event code: PS07012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30826

Patent event code: PS07011S01I

Comment text: Notice of Trial Decision (Remand of Revo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410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410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