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51090B1 - 차량의 리어세미트레일링암 부시 - Google Patents

차량의 리어세미트레일링암 부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1090B1
KR100451090B1 KR10-2002-0041497A KR20020041497A KR100451090B1 KR 100451090 B1 KR100451090 B1 KR 100451090B1 KR 20020041497 A KR20020041497 A KR 20020041497A KR 100451090 B1 KR100451090 B1 KR 1004510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h
trailing arm
vehicle
rear semi
semi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14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06907A (ko
Inventor
계경태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414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1090B1/ko
Publication of KR200400069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69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1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1090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2Attaching arms to sprung part of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suspension types
    • B60G2200/4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wheels in the suspensions
    • B60G2200/445Self-steered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4Mounting of suspension arms
    • B60G2204/143Mounting of suspension arms on the vehicle body or chas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Elastic mounts, e.g. bushings
    • B60G2204/4104Bushings having modified rigidity in particular directions
    • B60G2204/41042Bushings having modified rigidity in particular directions by using internal cam su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리어세미트레일링암 부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의 리어세미트레일링암에 구비된 부시의 형상을 개선하여 차륜에 횡력 작용시 부시의 형상 변화에 의하여 토우인 거동이 일어나게 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리어세미트레일링암(100)의 홀더(150) 내에 위치하여 상기 리어세미트레일링암(100)을 서브프레임(200)에 지지하며, 내측은 전방을 향하여 편심되고 외측은 후방을 향하여 편심되도록 일정각도를 이루어 형성된 원통형상의 부시(300)로 구성되어, 차량의 리어세미트레일링암 부시를 개선하여 차륜에 횡력 작용시 부시의 형상 변화에 의하여 토우인 거동이 발생함으로써 후륜의 접지력을 향상시켜 차량의 조정안정성 및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의 리어세미트레일링암 부시 {Bush of rear semi trailing arm for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의 리어세미트레일링암 부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의 리어세미트레일링암에 구비된 부시의 형상을 개선하여 차륜에 횡력 작용시 부시의 형상 변화에 의하여 토우인 거동이 일어나게 하기 위한 장치로써, 후륜의 접지력을 향상시켜 차량의 조정안정성 및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현가장치는 차륜과 차체를 연결하여 주행중에 차륜이 노면으로부터 받는 진동이나 충격을 차체에 직접 전달하지 않도록 하여, 차체와 화물의 손상을 방지하고 승차감을 좋게 하는 장치이며 노면으로부터의 충격을 완화하는 섀시 스프링, 섀시 스프링의 자유진동을 제어하여 승차감을 좋게 하는 쇽업저버 및 자동차의 롤링을 방지하는 스태빌라이저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현가장치는 구동바퀴에서 발생하는 구동력이나 제동시의 각 바퀴의 제동력을 차체에 전달함과 동시에 선회시의 원심력에도 견디고, 각 바퀴를 차체에 대해서 올바른 위치에 유지시키는 중요한 역할도 가지고 있다.
뒤현가를 독립식으로 하면 스프링 하중을 작게 할 수 있으므로 승차감 및 로드 홀딩이 향상되어 보디의 바닥을 낮출 수 있으므로 실내의 공간이 증대하는 등의 효과가 있으며, 승용차의 일부나 스포츠 카 등에 이 형식의 현가가 사용되고 있다.
또한, 구동 바퀴로의 동력전달은 차체하부에 고정된 종감속기어로부터 유니버설 조인트를 가진 차축에 의해 전달된다.
이와 같이 차축이 바퀴의 상하움직임에 의해 종감속기어를 중심으로 원호운동을 하는 형식을 스윙액슬이라고 부르며, 독립식의 종류는 스윙액슬형, 트레일링암형, 리어세미트레일링암형 및 다이어고널링크형 등이 있다.
이중 리어세미트레일링암형은 트레일링암형과 스윙액슬형의 중간적인 성격을 가진 현가이며 독립식의 뒤현가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세미트레일링암형은 바퀴가 지지하는 암을 비낌 후방으로 돌출 시킨 형식이며 각도가 작은 것일수록 트레일링암형에 가까우며 각도가 커지면 스윙액슬형에 가까운 성질을 가지게 되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의 리어세미트레일링암형 현가장치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일반적인 차량의 리어세미트레일링암형 현가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이 전방을 향하여 일정각도를 이루는 서브프레임(200)과, 양측에 각각 타이어(130)와 종감속기어(140)가 체결된 드라이브샤프트(110)와, 일측에 상기 드라이브샤프트(110)가 체결되고 타측에 상기 서브프레임(200)이 체결된 리어세미트레일링암(100)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리어세미트레일링암(100)은 차체의 전방을 향하여 이분되어 내부에 원통형상의 탄성재질 부시(미도시)를 구비한 홀더(150)가 형성되어 있으며, 일정각도를 이루는 상기 서브프레임(200)에는 일직선상으로 고정된 두 개 이상의 브라켓(210)에 상기 리어세미트레일링암(100)의 홀더(150)가 각각 삽입되어 체결수단(220)을 통하여 고정 체결되어 있으며, 상기 리어세미트레일링암(100)의 중단에는 롤링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태빌라이저(120) 등이 추가로 체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일반적인 차량의 리어세미트레일링암형 현가장치는, 상기 리어세미트레일링암(100)이 종감속기어(140)와 드라이브샤프트(110)를 통하여 회전하는 타이어(130)를 서브프레임(200)에 지지시키게 된다.
따라서, 차량에 상하방향의 충격이 전달되면 미도시된 쇽업저버가 이러한 상하 방향의 충격을 흡수하게 되며, 차량 선회시에 타이어(130)에서 발생하는 횡력은 상기 리어세미트레일링암(100)의 홀더(150) 내에 구비된 부시(미도시)가 완충시키게 된다.
도 2는 종래의 차량의 리어세미트레일링암 부시를 도시하는 도 1의 A부분의 평단면도이며, 도 3은 종래의 차량의 리어세미트레일링암 부시를 구비한 현가장치의 횡력에 대한 토우 특성을 도시하는 도이고, 도 4는 종래의 차량의 리어세미트레일링암 부시를 구비한 차량에 대한 선회시 토우아웃 현상의 발생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종래의 차량의 리어세미트레일링암 부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드라이브샤프트(110)가 체결된 리어세미트레일링암(100)을 서브프레임(200)에 체결시키는 원통형상의 탄성재질 부시(300)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차량의 리어세미트레일링암 부시(300)는, 원통형상의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리어세미트레일링암(100)의 홀더(150) 내에 구비되어 서브프레임(200)에 고정된 브라켓(210)과 체결수단(220)을 통하여 체결됨으로써, 상기 리어세미트레일링암(100)을 서브프레임(200)에 탄성적으로 지지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차량의 리어세미트레일링암 부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선회시 상기 리어세미트레일링암에 차량의 외측으로부터 횡력이 작용하였을 때, 이러한 횡력을 지지하는 별도의 부재가 없으며, 이와 동시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시의 두께가 일정하기 때문에, 리어세미트레일링암의 외측에 형성된 홀더 내에 구비된 부시는 후방으로 이동하려는 힘을 받게 되며, 상기 리어세미트레일링암의 내측에 형성된 홀더 내에 구비된 부시는 전방으로 이동하려는 힘을 받게 되어, 결과적으로 상기 부시의 내외측에서 동일한l만큼의 변형이 일어나게 된다.
따라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선회시 후륜에서는 내측에 위치한 타이어가 토우인 거동을 일으키게 되며, 외측에 위치한 타이어가 토우아웃 거동을 일으키게 되어, 결과적으로 차량의 후륜은 오버스티어 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차량의 조종안정성을 저하시키게 된다는 기술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의 리어세미트레일링암 부시를 개선하여 차륜에 횡력 작용시 부시의 형상 변화에 의하여 토우인 거동이 발생함으로써 후륜의 접지력을 향상시켜 차량의 조정안정성 및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리어세미트레일링암 부시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리어세미트레일링암의 홀더 내에 위치하여 상기 리어세미트레일링암을 서브프레임에 지지하며, 내측은 전방을 향하여 편심되고 외측은 후방을 향하여 편심되도록 일정각도를 이루어 형성된 원통형상의 부시로 구성함으로써 달성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의 리어세미트레일링암형 현가장치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2는 종래의 차량의 리어세미트레일링암 부시를 도시하는 도 1의 A부분의
평단면도,
도 3은 종래의 차량의 리어세미트레일링암 부시를 구비한 현가장치의 횡력에
대한 토우 특성을 도시하는 도,
도 4는 종래의 차량의 리어세미트레일링암 부시를 구비한 차량에 대한
선회시 토우아웃 현상의 발생을 도시하는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차량의 리어세미트레일링암 부시를 도시하는 평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차량의 리어세미트레일링암 부시를 구비한 현가장치의
횡력에 대한 토우 특성을 도시하는 도,
도 7은 본 발명의 차량의 리어세미트레일링암 부시를 구비한 차량에 대한
선회시 토우인 현상의 발생을 도시하는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리어세미트레일링암 110 : 드라이브샤프트
120 : 스태빌라이저 130 : 타이어
140 : 종감속기어 150 : 홀더
200 : 서브프레임 210 : 브라켓
220 : 체결수단 300 : 부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차량의 리어세미트레일링암 부시를 도시하는 평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차량의 리어세미트레일링암 부시를 구비한 현가장치의 횡력에 대한 토우 특성을 도시하는 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차량의 리어세미트레일링암 부시를 구비한 차량에 대한 선회시 토우인 현상의 발생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의 리어세미트레일링암 부시는, 리어세미트레일링암(100)의 홀더(150) 내에 위치하여 상기 리어세미트레일링암(100)을 서브프레임(200)에 지지하며, 내측은 전방을 향하여 편심되고 외측은 후방을 향하여 편심되도록 일정각도를 이루어 형성된 원통형상의 부시(300)로 구성되는 것을 그 기술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부시(300)는 상기 서브프레임(200)에 일직선상으로 구비된 브라켓(210)에 체결수단(220)을 통하여 관통 체결된다.
이하, 도 1 및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차량의 리어세미트레일링암 부시(300)는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어세미트레일링암(100)의 홀더(150) 내에 위치하여 내측은 전방을 향하여 편심되고, 외측은 후방을 향하여 편심된 원통형상의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서브프레임(200)에 고정된 브라켓(210)과 체결수단(220)을 통하여 체결됨으로써, 상기 리어세미트레일링암(100)을 서브프레임(200)에 탄성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선회시 상기 리어세미트레일링암(100)에 차량의 외측으로부터 횡력이 작용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하중을 받았을 때, 상기 리어세미트레일링암(100)의 외측에 형성된 홀더(150) 내에 구비된 부시(300)는 후방으로 이동하려는 힘을 받게 되며, 상기 리어세미트레일링암(100)의 내측에 형성된 홀더(150) 내에 구비된 부시(300)는 전방으로 이동하려는 힘을 받게 된다.
이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어세미트레일링암(100)의 외측 홀더(150)에 구비된 부시(300)는 자체적인 형상에 의하여 상기 부시(300)의 내측은 후방으로 2l만큼 큰 변형이 발생하게 되며, 외측은 후방으로l/2만큼 작은 변형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리어세미트레일링암(100)의 내측 홀더(150)에 구비된 부시(300)는 상기와 반대로, 외측은 전방으로 2l만큼 큰 변형이 발생하게 되며, 내측은 전방으로l/2만큼 작은 변형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부시(300)의 형상 변화에 의하여 상기 리어세미트레일링암(100)이 시계방향으로 3l/2만큼 토우인 거동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선회시 후륜에서는 내측에 위치한 타이어가 토우아웃 거동을 일으키게 되며, 외측에 위치한 타이어가 토우인 거동을 일으키게 되어, 전체적으로 차량의 후륜은 언더스티어 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차량의 조종안정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이러한 현상을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와 같이 상기 부시(300)의 형상에 의하여 내측에서는 큰 각변형이 발생하고 외측에서는 작은 각변형이 발생하게 됨으로써, 상기 부시(300)에 의하여 서브프레임(200)에 고정되는 리어세미트레일링암(100)은 전체적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려는 힘을 받게 되면서, 타이어(130)의 전방을 차체의 내측방향으로 거동시키게 되어, 토우인 현상이 발생하여 후륜의 접지력을 도모할 수 있어 차량의 조종안정성을 증대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차량의 리어세미트레일링암 부시는 단순하게 리어세미트레일링암(100)을 차체에 지지시켜 주는 부시(300)의 형상을, 내측은 차량의 전방을 향하여 편심되도록 하고, 외측은 차량의 후방을 향하여 편심되도록 변경함으로써, 차량의 선회시에 상기 부시(300)의 형상에 의하여 발생하는 내외측에 대한 각기 다른 각변형량을 이용하여 오버스티어를 방지하는 동시에, 타이어(130)가 토우인 거동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차량의 리어세미트레일링암 부시를 개선하여 차륜에 횡력 작용시 부시의 형상 변화에 의하여 토우인 거동이 발생함으로써 후륜의 접지력을 향상시켜 차량의 조정안정성 및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발명인 것이다.

Claims (2)

  1. 리어세미트레일링암의 홀더 내에 위치하여 상기 리어세미트레일링암을 서브프레임에 지지하며, 내측은 전방을 향하여 편심되고 외측은 후방을 향하여 편심되도록 일정각도를 이루어 형성된 원통형상의 부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리어세미트레일링암 부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시는 상기 서브프레임에 일직선상으로 구비된 브라켓에 체결수단을 통하여 관통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리어세미트레일링암 부시.
KR10-2002-0041497A 2002-07-16 2002-07-16 차량의 리어세미트레일링암 부시 Expired - Fee Related KR1004510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1497A KR100451090B1 (ko) 2002-07-16 2002-07-16 차량의 리어세미트레일링암 부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1497A KR100451090B1 (ko) 2002-07-16 2002-07-16 차량의 리어세미트레일링암 부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6907A KR20040006907A (ko) 2004-01-24
KR100451090B1 true KR100451090B1 (ko) 2004-10-02

Family

ID=37316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1497A Expired - Fee Related KR100451090B1 (ko) 2002-07-16 2002-07-16 차량의 리어세미트레일링암 부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10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1632B1 (ko) * 2009-11-16 2010-07-22 김윤석 수용용량 확장형 안치단 및 그 안치단에 수용되는 유골함
KR101005343B1 (ko) * 2010-05-25 2011-01-05 (주)아름다운동산 봉안함안치단 프레임 및 봉안함안치단 세트
KR20250005583A (ko) 2023-07-03 2025-0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감속기 및 감속기를 포함하는 독립 조향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28813A (ja) * 1985-11-29 1987-06-11 Mitsubishi Motors Corp 操舵輪の懸架装置
KR900016904U (ko) * 1989-03-31 1990-10-05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스트러트 맥퍼슨 타입 현가장치의 로워 콘트롤 아암 고정구조
KR19990028172U (ko) * 1997-12-26 1999-07-15 양재신 자동차의 리어 세미 트레일링 아암의 부시
KR20010059224A (ko) * 1999-12-30 2001-07-06 이계안 차량용 토션 빔 타입 현가장치의 토션 빔 마운팅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28813A (ja) * 1985-11-29 1987-06-11 Mitsubishi Motors Corp 操舵輪の懸架装置
KR900016904U (ko) * 1989-03-31 1990-10-05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스트러트 맥퍼슨 타입 현가장치의 로워 콘트롤 아암 고정구조
KR19990028172U (ko) * 1997-12-26 1999-07-15 양재신 자동차의 리어 세미 트레일링 아암의 부시
KR20010059224A (ko) * 1999-12-30 2001-07-06 이계안 차량용 토션 빔 타입 현가장치의 토션 빔 마운팅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6907A (ko) 2004-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94983B2 (en) Interlinked double wishbone suspension
JPH10109510A (ja) フロント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100451090B1 (ko) 차량의 리어세미트레일링암 부시
KR20090051499A (ko) 분리형 커플드 토션 빔 타입 차량용 현가 장치
KR100451091B1 (ko) 차량의 리어세미트레일링암형 현가장치
KR102319822B1 (ko) 자동차 리어서스펜션의 트레일링암 마운팅 구조
KR100451089B1 (ko) 차량의 리어세미트레일링암형 현가장치
JP2000016042A (ja) リヤサスペンション構造
KR20170070726A (ko) 커플드 토션 빔 액슬용 부시유닛
KR100192407B1 (ko) 멀티링크형 리어서스펜션의 트레일링아암용 부시
KR100957160B1 (ko) 커플드 토션 빔 액슬타입 현가장치
KR20060021999A (ko) 토션 빔 타입 현가장치
WO2024157340A1 (ja) リヤ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200151159Y1 (ko) 횡력 지지 수단을 갖는 후륜 현가 장치 구조
KR0139519B1 (ko) 차량용 현가장치
KR960003495Y1 (ko) 자동차의 후륜 현가장치
KR100207104B1 (ko) 자동차용 조향륜 현가장치
KR100610096B1 (ko) 자동차 후륜의 토 조정장치
KR19990028172U (ko) 자동차의 리어 세미 트레일링 아암의 부시
KR200186140Y1 (ko) 자동차의 이중 링크식 리어엑슬
KR100962190B1 (ko) 스테빌라이저 바용 클램핑 장치
KR200174691Y1 (ko) 자동차의 아암부쉬
KR200153166Y1 (ko) 후륜 현가장치용 마운팅부쉬의 구조
KR100201087B1 (ko) 풀림방지구조를 갖는 자동차의 스티어링 너클
KR101103953B1 (ko) 현가장치의 스톱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07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4091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409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409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