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60003495Y1 - 자동차의 후륜 현가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후륜 현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3495Y1
KR960003495Y1 KR2019910024115U KR910024115U KR960003495Y1 KR 960003495 Y1 KR960003495 Y1 KR 960003495Y1 KR 2019910024115 U KR2019910024115 U KR 2019910024115U KR 910024115 U KR910024115 U KR 910024115U KR 960003495 Y1 KR960003495 Y1 KR 9600034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iling arm
suspension
vehicle
vehicle body
support shaf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241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3653U (ko
Inventor
전동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전성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전성원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100241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3495Y1/ko
Publication of KR93001365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365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34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3495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3/00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 B60G3/18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with two or more pivoted arms, e.g. parallelogram
    • B60G3/20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with two or more pivoted arms, e.g. parallelogram all arms being rigid
    • B60G3/26Means for maintaining substantially-constant wheel camber during suspension movement ; Means for controlling the variation of the wheel position during suspension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05Ball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suspension types
    • B60G2200/4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wheels in the suspensions
    • B60G2200/462Toe-in/o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6Ball or spherical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8Bearings, e.g. ball or roller b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02Control of vehicle driving stability
    • B60Y2300/022Stability in turns or during cornering
    • B60Y2300/0227Stability in turns or during cornering related to under-stee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차의 후륜 현가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적용부위를 나타내기 위한 현가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현가장치의 평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링크 아암의 평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작동 설명을 위한 개략적인 평면도.
제5도는 종래 현가장치의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지지축 2 : 트레일링 아암
3 : 휠 4 : 스프링
5 : 쇽 업소오버 6 : 탄성부시
7, 8 : 브라켓 10 : 토우 조절용 아암
12 : 스텃 13 : 베어링
14 : 커버
본 고안은 자동차의 후륜 현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트레일링 아암형 현가장치의 전측부에 토우 조절용 아암을 추가 설치하여 자동차의 선회시 휠이 토우인(Toe-in)상태를 유지토록함으로써, 선회성능을 향상시키고, 언더 스티어링 경향을 갖도록하여 조종 안정성을 향상 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후륜 현가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 있어서의 현가장치는 차축과 차체를 연결하여 주행할 때 차축이 노면에서 받는 진동이나 충격을 차체에 직접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 차체나 화물의 손상을 방지하고 승차감을 좋게 하는 장치이다.
이와 같은 자동차의 현가장치는 대분(大分)하여 차측 현가식과 독립현가식이 있는데, 본 고안이 관계하는 트레일링 아암형 현가장치는 상기 독립 현가장치의 일종으로서, 1개 또는 2개의 트레일링 아암에 의해 휘일이 지지되는 방식으로 전륜(轉輪) 구동차량의 후륜 현가장치에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후륜(後輪) 구동차량의 경우에는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즉, 제1도는 전륜 구동형 후륜 현가장치인 트레일링 아암형 현가장치의 일부 사시도로서, 지지축(1)의 양단에 트레일링 아암(2)이 결합되고 이의 트레일링 아암(1)의 후단에는 외측으로 휠(3)이 설치되며, 트레일링 아암(2)의 후측 상부에는 코일 스프링(4)과 쇽 업소오버(5)가 설치되어 그들의 상단부가 미도시된 차체와 연결되어진다.
이러한 현가장치를 차체에 고정함에 있어서, 종래에는 단순히 지지축(1)의 양단에 제5도에서와 같이 탄성부시(6)를 개재시켜 결합되는 브라켓(7)을 차체의 하부에 체결하는 수단으로 고정하는 것이 보편적이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트레일링 아암형 현가장치에 있어서는 휠의 상, 하 진동시 윤거 및 캠버의 변화가 없어 차량의 직진 안정성은 매우 좋으나, 선회시 휠이 횡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제5도의 가상선과 같이 현가장치가 전체적으로 횡력을 받으면서 변형이 이루어져 선회 바깥쪽의 휠이 토우아웃(Toe-Out)상태로 변화하여 차량의 선회 안정성에 많은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기와 같은 휠의 자세 변형은 차체와, 지지축을 연결하는데에 개재되는 탄성부시의 탄력 유연성에 의하여 이루어지게 되는데, 횡력에 대한 강성을 증가 시키기 위하여 탄성부시의 강성을 증가시키는 경우 승차감에 많은 악영향을 미치게 되는바, 종래의 트레일링 아암형 현가장치에 있어서는 승차감과 조종 안정성을 양립시킬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의 종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트레일링 아암형 현가장치의 전측부에 토우 조절용 아암을 추가 설치하여 자동차의 선회시 휠이 토우인(Toe-in)상태를 유지토록함으로써 선회성능을 향상시키고, 언더 스티어링 경향을 갖도록하여 조종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후륜 현가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지지축의 양단에 트레일링 아암이 결합되고 이의 트레일링 아암의 후단에는 외측으로 휠이 설치되며, 트레일링 아암의 후측 상부에는 코일 스프링과 쇽 업소오버가 설치되어 그들의 상단부가 차체와 연결되는 트레일링 아암형 후륜 현가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축 양측부에 토우 조절용 아암을 연결하되, 그의 선단부를 외측으로 확개되는 형태로 차체에 고정함에 특징이 있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 내지 제4도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토우 조절용 아암(10)은 제3도에서와 같이 그의 양단에 스텃(12), 베어링(13), 커버(14)등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볼 조인트(11)로 형성하여 그의 일측단은 지지축(1)의 양측으로 형성되는 브라켓(8)에 고정하고 타측단은 외측으로 확개되는 형태로 하여 차체(9)에 고정하였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의 현가장치는 종래의 현가장치에 토우 조절용 아암(10)을 추가 설치한 것으로서, 평면에서 볼 때 제3도와 같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현가장치에 횡력이 가해지면 지지축(1)의 양측으로 형성되는 토우 조절용 아암(10)에 의하여 종래와는 달리 휠이 토우 인으로 변화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제4도의 가상선과 같이 변화가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의 작동설명에 대한 이해를 편리하게 하기 위하여 선회 외측의 휠과 토우 조절용 아암 및 차체의 부호를 3'와 10' 및 9'로 지칭하여 설명한다.
즉, 제4도에서와 같이 차량이 좌회전을 하여 화살표와 같은 횡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현가장치의 전체에 화살표 방향으로의 밀리는 힘이 작용하게 된다.
그러면 지지축(1)이 양단에 탄성부시(6)를 개재시킨 브라켓(7)에 의해 차체에 고정되어 있으나, 상기 탄성부시(6)의 탄력 유연성에 의하여 후측부가 화살표 방향으로 밀리는 힘을 받게 된다.
그러나 지지축(1)의 선단으로는 본 고안에 의한 토우 조절용 아암(10)(10')이 차체(9)(9')에 연결되고, 그 양 선단이 외측으로 확개되는 형태로 연결되어 있는바, 선회 내측의 토우 조절용 아암(10)은 차체(9)를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지지축(1)을 후측으로 밀어 주게되고, 그의 반대측인 선회 외측의 토우 조절용 아암(10')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지지축(1)을 전측으로 당겨주게 되므로 지지축(1)을 포함하는 현가장치 전체가 가상선과 같이 변형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선회 외측의 휠(3')이 토우인 상태로 변화가 이루어지게 되어 차량의 선회 특성이 언더 스티어링 경향을 나타내면서 선회 조정 안정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특성에 의하여 탄성부시(6)의 강성을 크게 하여도 조정 안정성에 손상을 입히지 않게 되므로 승차감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상기와는 반대 방향으로 선회하는 경우에는 방향만 반대 일 뿐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므로 효과는 같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여 트레일링 아암형 현가장치의 전측부에 토우 조절용 아암을 추가 설치하여 자동차의 선회시 휠이 토우인(Toe-in)상태를 유지토록하여 선회성능을 향상시키고, 언더 스티어링 경향을 갖도록하여 조종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양측으로 탄성부시(6)를 개재시킨 브라켓(7)에 의하여 차체에 고정되는 지지축(1)의 양단에 상하 요동이 자유롭도록 트레일링 아암(2)이 결합되고 이의 트레일링 아암(2)의 후단에는 외측으로 휘일(3)이 설치되며, 트레일링 아암(2)의 후측 상부에는 코일 스프링(4)과 쇽 업소오버(5)가 설치되어 그들의 상단부가 차체와 연결되는 자동차의 트레일링 아암형 현가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축(1)의 양측단에는 전단부가 외측으로 확개되는 형태로 차체(9)에 각각 고정되는 토우 조절용 아암(10)을 추가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의 후륜 현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토우 조절용 링크아암(10)은 그의 양단을 구성하는 볼 조인트(11)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후륜 현가장치.
KR2019910024115U 1991-12-26 1991-12-26 자동차의 후륜 현가장치 Expired - Lifetime KR9600034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24115U KR960003495Y1 (ko) 1991-12-26 1991-12-26 자동차의 후륜 현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24115U KR960003495Y1 (ko) 1991-12-26 1991-12-26 자동차의 후륜 현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3653U KR930013653U (ko) 1993-07-26
KR960003495Y1 true KR960003495Y1 (ko) 1996-04-24

Family

ID=19325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24115U Expired - Lifetime KR960003495Y1 (ko) 1991-12-26 1991-12-26 자동차의 후륜 현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349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8913A (ko) * 2001-08-31 2003-03-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후륜 현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3653U (ko) 1993-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45853A (en) Independent wheel suspension for motor vehicles
US5513874A (en) Vehicle suspension system
KR0131300B1 (ko) 자동차의 조향륜 현가장치
JPH10109510A (ja) フロントサスペンション装置
US3171642A (en) Vehicle wheel suspension having lateral compliance
KR960005902B1 (ko) 자동차의 후륜 현가장치
KR960003495Y1 (ko) 자동차의 후륜 현가장치
JPS6053412A (ja) 自動車のリヤサスペンション
KR0118507Y1 (ko) 자동차의 후륜 현가장치
KR100207104B1 (ko) 자동차용 조향륜 현가장치
KR0139519B1 (ko) 차량용 현가장치
JPS6053414A (ja) 自動車のリヤサスペンション
KR100192407B1 (ko) 멀티링크형 리어서스펜션의 트레일링아암용 부시
KR960005202Y1 (ko) 자동차의 트레일링 아암 고정구조
KR100281822B1 (ko) 자동차의 현가장치
KR960003493Y1 (ko) 자동차의 후륜 현가장치
KR100211575B1 (ko) 자동차 어퍼 암 축핀의 핀 볼트 고정구조
KR960005901B1 (ko) 자동차의 후륜 현가장치
KR100361302B1 (ko) 자동차의 전륜 현가장치
KR200147907Y1 (ko) 자동차 스티어링 너클의 체결 유지구조
KR200174691Y1 (ko) 자동차의 아암부쉬
KR960003492Y1 (ko) 자동차의 후륜 현가장치
JPH05169943A (ja) 車両の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100201087B1 (ko) 풀림방지구조를 갖는 자동차의 스티어링 너클
KR19980043895A (ko) 현가 아암장착용 부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11226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30813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11226

Patent event code: UA02011R01I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19950830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6032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60629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UC1904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