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49357B1 - 광촉매를 사용하여 폐수로부터 유기 물질을 제거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광촉매를 사용하여 폐수로부터 유기 물질을 제거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9357B1
KR100449357B1 KR10-2001-0031938A KR20010031938A KR100449357B1 KR 100449357 B1 KR100449357 B1 KR 100449357B1 KR 20010031938 A KR20010031938 A KR 20010031938A KR 100449357 B1 KR100449357 B1 KR 1004493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tanium dioxide
toc
granules
value
organic substan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1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11037A (ko
Inventor
마이어위르겐
길게스힐마르
헴메이나
모이제프안나
가이쎈스벤-우베
Original Assignee
데구사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구사 아게 filed Critical 데구사 아게
Publication of KR200101110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110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93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93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1/00Catalysts comprising the elements, oxides, or hydroxides of magnesium, boron, aluminium, carbon, silicon, titanium, zirconium, or hafnium
    • B01J21/06Silicon, titanium, zirconium or hafnium; Oxides or hydroxides thereof
    • B01J21/063Titanium; Oxides or hydroxide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5/00Catalyst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35/30Catalyst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5/00Catalyst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35/30Catalyst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properties
    • B01J35/39Photocatalytic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5/00Catalyst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35/60Catalyst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surface properties or porosity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25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by catalytic oxid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neutralisation; pH adjus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1/00Nature of the contaminant
    • C02F2101/30Organic compounds
    • C02F2101/36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al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5/00Use of specific compounds during water treatment
    • C02F2305/10Photocatalys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10/00Liquid purification or separation
    • Y10S210/902Materials removed
    • Y10S210/908Organi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atalysts (AREA)
  • Inorganic Compounds Of Heavy Metals (AREA)
  • Treatment Of Water By Oxidation Or Reduction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수로 부터 유기 물질을 광촉매를 사용하여 제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아래의 물리화학적 특성 데이터를 가지며 열분해법으로 제조된 이산화티탄계 과립으로 구성된 광촉매를 사용함을 특징으로 한다:
평균 입자 직경: 10 내지 150㎛
BET 표면적: 25 내지 100m2/g
pH 값: 3 내지 6
압축 벌크 밀도: 100 내지 1,200 g/l

Description

광촉매를 사용하여 폐수로부터 유기 물질을 제거하는 방법{Process for photocatalytic removal of organic substances from waste water}
본 발명은 폐수로부터 유기 물질을 광촉매로 사용하여 제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열분해 이산화티탄(데구사에서 TiO2P 25로 시판됨)은 광촉매 분야에서 다양한 적용성에 의해 구별된다[문헌참조: R. W. Matthews, S.R. McEvoy, J. Photochem. Photobiol. A: Chem., 64 (1992) 231-246; R.I. Bickley et. al., Journal of Solid State Chemistry, 92(1991), 178-190; R. Franke, C. Franke, Chemosphere, Vol. 39, No. 15(1999), 2651-2659; H. Zen, JETI(1998), 46(10), 66-67].
열분해 이산화티탄은 광촉매 활성이 높은 참조 물질로서 사용된다[문헌참조:V. Loddo et. al., Applied Catalysis B: Environmental 20(1999), 29 - 45].
본 발명은 폐수로부터 유기 물질을 광촉매를 사용하여 제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이러한 방법은 하기의 물리화학적 특성 데이터를 가지며 열분해법으로 제조된 이산화티탄계 과립으로 구성된 광촉매를 사용함을 특징으로 한다:
평균 입자 직경: 10 내지 150㎛
BET 표면적: 25 내지 100m2/g
pH 값: 3 내지 6
압축 벌크 밀도: 100 내지 1,200 g/l
도 1은 TOC/TOC0-시간 곡선에서, 4-CP(4-클로로페놀)과 같은 염소화된 탄화수소의 분해 과정을 플롯팅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수 있는 과립은 열분해 제조된 이산화티탄을 물에 분산시키고 분무 건조시킨 다음 수득된 과립을 임의로 150 내지 1,100℃의 온도에서 1 내지 8시간 동안 템퍼링시켜 제조할 수 있다.
열분해 이산화티탄은 고온 또는 화염 가수분해에 의한 공지된 방법으로 TiCl4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문헌참조: Ullmanns Enzyklopadie der technischen Chemie, 4thEdition, Volume 21, page 464(1982)].
과립을 제조하기 위해 물에 분산된 이산화티탄의 농도는 3 내지 25중량%이다.
유기 보조 물질은 분산액에 첨가되어 분산액의 안정성을 증진시키고 분무 건조후 입자 형태를 개선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하기 보조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폴리알콜, 폴리에테르, 플루오로하이드로카본계 계면활성제 및 알콜.
200 내지 600℃의 온도에서 분무 건조를 수행할 수 있다. 스피닝-디스크 분무기 또는 노즐 분무기가 이러한 방법에 사용될 수 있다.
과립은, 예를 들어, 챔버 노(chamber kiln)와 같은 고정상(stationary bed)과, 예를 들어, 회전-튜브 건조기와 같은 교반상 모두에서 템퍼링시킬 수 있다.
분무 및 템퍼링 과정 중에 공급 물질과 조건을 다양화하여 비표면적, 입자 크기 분포, 압축 벌크 밀도 및 pH 값과 같은, 과립의 물리화학적 계수를 특정 한계치내에서 변화시킬 수 있다.
과립화를 위해 추가의 보조 물질이 요구되지 않는다. 응집 크기가 한정되지 않은 분무 건조되지 않은 이산화티탄과 비교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산화티탄 과립은 입자 크기가 한정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이산화티탄 과립은 분진을 발생시키지 않으면서(dust-free) 취급할 수 있다. 압축 벌크 밀도가 높기 때문에 수송에 필요한 포장 수고를 덜어준다.
본 발명에 따른 제거 방법은 20 내지 40℃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제거되는 유기 물질의 농도는 10 내지 150mg/ml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사용하여 제거될 수 있는 유기 물질은 4-클로로페놀(4-CP), 디클로로아세트산(DCA), 트리클로로에틸렌(TCE) 및 디클로로에탄(DCE)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과립이 아닌 이산화티탄 P 25을 사용하는 방법보다 유해한 물질을 신속하게 분해한다는 잇점과 본 발명에 따른 이산화티탄 과립이 과립이 아닌 이산화티탄 P 25 보다 반응 혼합물로부터 보다 우수하게 분리(우수하게 침강)될 수 있다는 잇점이 있다.
실시예
열분해 제조된 이산화티탄을 위해 물리화학적 특성 데이터가 다음과 같은 이산화티탄 P 25가 사용된다. 이것은 일련의 문헌[참조: "Pigmente", No. 56: "Hochdisperse Metalloxide nach dem Aerosilverfahren", 4th Edition, February 1989, Degussa AG]에 공지되어 있다(표 1).
이산화티탄 P 25
CAS 등록 번호 13463-67-7
물과의 작용 친수성
외형 유연한 백색 분말
BET1)에 따르는 표면적(m2/g) 50 ± 15
주요 입자의 평균 크기(nm) 21
압축 벌크 밀도2)(g/l) 약 100
비중량10)(g/ml) 약 3.7
전달 메카니즘 이탈시 건조3)손실률(%)(105℃에서 2시간) < 1.5
발화4) 7)손실(1,000℃에서 2시간) < 2
pH 값5)(4% 수성 분산액) 3 내지 4
SiO2 8) < 0.2
Al2O3 8) < 0.3
Fe2O3 8) < 0.01
TiO2 8) > 99.5
ZrO2 8) -
HfO2 8) -
HCl8)9) <0.3
체 잔류율(Sieve residue)6)(막커(Mocker)에 따름, 45㎛)(%) <0.05
1)DIN 66131에 따름2)DIN ISO 787/XI, JIS K 5101/18(체질 안됨)에 따름3)DIN ISO 787/II, ASTM D 280, JIS K 5101/21에 따름4)DIN 55921, ASTM D 1208, JIS K 5101/23에 따름5)DIN ISO 787/IX;ASTM D 1207; JIS K 5101/24에 따름6)DIN ISO 787/XVIII; JIS K 5101/20에 따름7)105℃에서 2시간 동안 건조된 물질에 대한 값8)1,000℃에서 2시간 동안 어닐링된 물질에 대한 값9)HCl 함량은 발화 손실의 요소임10)공기-비교 비중계로 측정됨
이산화티탄을 제조하기 위해, 휘발성 티탄 화합물을 노즐을 통해 공기와 수소로 구성되어 있는 옥시하이드로겐 화염에 분사한다. 대부분의 경우에, 사염화티탄이 사용된다. 이러한 물질은 수소/산소 반응과정에서 발생하는 물의 영향하에 가수분해되어 이산화티탄과 염산을 형성한다. 화염에서 이탈한 후 이산화티탄은 소위 응집 영역으로 들어가 이산화티탄의 주요 입자 및 주요 응집물이 응집된다. 이러한 단계에서 에어로졸 형태로서 존재하는 산물을 사이클론 중의 가스 동반 물질로부터 분리하고 이어서 고온 다습 공기로 후처리한다.
이산화티탄의 입자 크기는 반응 조건, 예를 들어, 화염 온도, 수소 또는 산소의 비율, 사염화티탄의 양, 화염 중의 체류-시간 또는 응집 경로의 길이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BET 표면적을 DIN 66 131에 따라 질소로 측정한다.
압축 벌크 밀도를 ASTM D 4164-88의 모델에 따라 측정한다.
장치: DIN 53194, 섹션 5.2. b-f, 측정 실린더 250ml, 매 2ml 마다 눈금 표시, 최대 오차 한계 ±0.1g의 균형에 따른 엥겔스만(Engelsmann)에 의해 제조된 스탬핑(stamping) 용량계 STA V 2003.
측정 방법
스탬핑 용량계의 카운터 메카니즘을 1,000 스트로크로 설정.
측정 실린더의 무게 칭량.
250ml 이하의 눈금까지 과립을 측정 실린더에 충전.
샘플 중량 주지(± 0.1g).
측정 실린더의 스탬핑 용량계로의 삽입 및 장치의 전원 작동.
스탬핑 종료 → 1,000 스트로크후 자동적으로 장치의 전원 작동 중단.
1ml까지 정확하게 스탬핑된 벌크 용량의 판독
계산
E: 과립 샘플의 중량(g)
V: 판독 용량(ml)
W: 수분 함량(중량%)(시험 명세서 P001에 따라 측정됨)
4% 수성 분산액의 pH 값을 결정한다; 소수성 촉매 지지체의 경우에 물과 에탄올은 1:1이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수 있는 과립의 제조
열분해 제조된 이산화티탄을 완전 탈염수에 분산시킨다. 이러한 방법에서 로터/스테이터 원리에 따라 작동하는 분산 유니트를 사용한다. 수득된 분산액을 분무 건조시킨다. 최종 산물을 필터 또는 사이클론을 통해 분리한다.
분무 과립은 머플(muffle) 노에서 조질할 수 있다. 분무 건조에 따른 데이터를 표 2에 기록한다.
TiO2P25 수성 분산액의 분무 건조에 대한 데이터
실시예 H2O의양[kg] TiO2P25의양[kg] 분무기 분무 디스크의속도[rpm] 작동 온도[℃] 배출-공기온도[℃] 분리
1 10 1.5 디스크 35,000 345 100 사이클론
2 10 1.5 디스크 45,000 370 105 사이클론
3 10 1.5 디스크 20,000 350 95 사이클론
4 10 2.5 디스크 15,000 348 100 사이클론
5 100 15 2-성분 노즐 --- 445 130 필터
6 100 15 디스크 10,000 450 105 필터
7 10 2.5 디스크 20,000 348 105 사이클론
8 10 1.5 디스크 15,000 348 105 사이클론
9 10 2.5 디스크 35,000 300 105 사이클론
분무 건조 생성물에 대한 물리화학적 데이터
실시예 BET에 따른표면적[m2/g] 압축 벌크밀도[g/l] pH 값 d50값(실라스)[㎛] 건조 손실률[%] 발화 손실률[%]
1 51 641 3.9 14.6 0.9 0.9
2 50 612 3.7 10.6 0.8 1.0
3 52 680 3.5 25.0 0.8 1.0
4 51 710 3.7 43.6 0.8 1.2
5 52 660 4.0 17.1 0.9 0.9
6 53 702 3.9 27.5 0.9 0.9
7 50 708 3.5 26.7 1.1 0.6
8 53 696 3.9 30.1 1.0 0.9
9 49 640 3.7 16.0 0.7 0.8
임의로 산성화된 수성 현탁액 중에서 UV 조사하에 염소화된 탄화수소를 광촉매 분해하는 과정중에 본 발명에 따르는 방법의 광촉매 활성에 대해 시험한다.
순수한 이산화티탄 데구사 P 25를 광촉매로서 사용하는 경우 임의로 산성화된 수성 현탁액 중에서 UV 조사하에 염소화된 탄화수소의 광촉매 분해율을 참조 값(제로 값)으로서 사용한다. 데구사 P 25을 사용한 실험 지속 시간은 최대 360분이다.
1. 현탁액 중의 염소화된 탄화수소의 광촉매 분해율을 측정하기 위한 실험 과정
UV 조사하에 순수한 수성 현탁액 또는 산성화된 수성 현탁액 중의 4-CP(4-클로로페놀)과 같은 염소화된 탄화수소의 광촉매 분해율을 조사할 목적인 실험의 전체 수행 시간은 최대 360분이다.
분해 반응을 교반 탱크 반응기에서 수행한다. 추가로, 조사될 현탁액을 저장 컨테이너로부터 교반 탱크 반응기로 펌핑하고 다시 역으로 재펌핑하여 UV가 균일하게 조사되도록 한다. 현탁액의 초기 pH 값은 pH 2 내지 6, 바람직하게는 pH 2 내지 3이다. 교반 탱크 반응기 내의 온도는 25 내지 40℃,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35℃이다. 특정 경우에 사용되는 광촉매적으로 활성인 이산화티탄(TiO2P 25 또는 과립 TiO2)의 농도는 1g/l이다. 염소화된 탄화수소의 농도는 10 내지 150mg/l, 바람직하게는 120mg/l이다.
온도는 저장 용기에서 UV 조사 유니트로 계속적으로 펌핑하고 역으로 재펌핑하는 수단과 또한 냉각수에 의해 UV 램프 시스템을 냉각시키는 수단에 의해 위에서 언급한 일정한 범위로 유지한다. 전체 분해 반응 동안에 UV 조사하에 염소화된 탄화수소의 분해 과정을 계속적으로 모니터링한다. 일정한 간격으로 TOC 값(TOC = 총 유기 탄소 = 유기적으로 결합된 탄소)을 측정하여 TOC/TOC0인자(TOC0= 현탁액중에 유기적으로 결합된 탄소의 초기 농도)를 결정할 수 있다. TOC/TOC0는 특정 배출 시간에 TOC의 함량(%)을 나타낸다. TOC/TOC0-시간 곡선에서, 4-CP(4-클로로페놀)과 같은 염소화된 탄화수소의 분해 과정을 플롯팅한다. 표준으로서 TiO2P 25의 분해 속도를 또한 동일한 조건하에서 시험한다. 곡선의 전체 윤곽을 기록한다.
TiO2P 25:
산성화된 수성 현탁액 중에서 4-CP(4-클로로페놀) 120mg/l와 TiO2P 25 1g/l을 저장 용기 및 교반 탱크 반응기에 충전하고 위에서 기술한 진행 방법에 따라 처리한다. TOC/TOC0-시간 곡선을 기록한다. 360분 후에, 초기 TOC 함량의 40.5%가 존재한다.
과립 TiO2(본 발명에 따름):
산성화된 수성 현탁액 중의 실시예 1에 따르는 4-CP(4-클로로페놀) 120mg/l과 과립 TiO21g/l을 저장 용기 및 교반 탱크 반응기에 충전하고 위에서 언급한 진행 방법으로 처리한다. TOC/TOC0-시간 곡선을 기록한다. 360분 후에 4-CP(4-클로로페놀)는 초기 TOC 함량의 35.0%가 존재한다.
확인된 값을 도 1에 그래프로 나타낸다.
2. 360분후에 이산화티탄 P 25와 과립 이산화티탄에 의한 4-CP(4-클로로페놀)의 광촉매 분해의 실험 결과
촉매 360분에서의 잔류율 TOC/TOC0[%] 개선도[%]
TiO2P 25 40.5 /
과립 TiO2 35.0 13.6%
반응기 용적: V반응기= 1.7ℓ
총 용적: V반응기= 3.0ℓ
계속적으로 O2가스 주입
냉각기: UVH1022 Z4 철 도핑된 고압 수은 증기 램프
전력: 500W(헤라에우스)
촉매 농도: 1g/l
염소화된 탄화수소의 초기 농도: C0= 120mg/l
초기 pH 값: pH0= 2.4
UV 조사하에 광촉매로서 과립 이산화티탄을 사용하여 염소화된 탄화수소(예를 들어, 4-CP)의 광촉매 산화를 측정하기 위한 실험은 순수한 수성 현탁액 또는 산성화된 수성 현탁액 중에서 수행한다. 현탁액을 계속적으로 교반하고 철 도핑된 고압 수은 증기 램프 UVH1022 Z4를 사용하여 계속적으로 조사시킨다. 램프의 냉각 시스템이 존재하여 일정한 조건을 유지한다. 또한, 현탁액을 계속적으로 저장 용기로부터 반응기로 펌핑하고 역으로 재펌핑하며 추가로 냉각시킴으로써 일정한 온도로 유지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이산화티탄 과립 광촉매는 과립이 아닌 이산화티탄과 비교하여 입자 크기가 한정되어 압축 벌크 밀도가 높기 때문에 수송에 필요한 포장 수고를 덜어주고 과립이 아닌 이산화티탄 보다 유해한 물질을 신속하게 분해하고 반응 혼합물로부터 보다 우수하게 분리될 수 있다.

Claims (1)

  1. 평균 입자 직경이 10.6 내지 43.6㎛이고 BET 표면적이 49 내지 53m2/g이며 pH 값이 3.5 내지 4.0이고 압축 벌크 밀도가 612 내지 710g/l인 물리화학적 특성 데이터를 가지며 열분해법으로 제조된 이산화티탄계 과립으로 구성된 광촉매를 사용하여, 온도가 25 내지 40℃인 교반 탱크 반응기 내에서, 농도가 10 내지 150mg/l인 유기 물질을 함유하는, 초기 pH 값이 2 내지 6인 수성 현탁액 형태의 폐수로부터 상기 유기 물질을 제거하는 방법.
KR10-2001-0031938A 2000-06-10 2001-06-08 광촉매를 사용하여 폐수로부터 유기 물질을 제거하는 방법 KR1004493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0112446A EP1162179B1 (de) 2000-06-10 2000-06-10 Photokatalytisches Verfahren
EP00112446.0 2000-06-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11037A KR20010111037A (ko) 2001-12-15
KR100449357B1 true KR100449357B1 (ko) 2004-09-21

Family

ID=8168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1938A KR100449357B1 (ko) 2000-06-10 2001-06-08 광촉매를 사용하여 폐수로부터 유기 물질을 제거하는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508941B2 (ko)
EP (1) EP1162179B1 (ko)
JP (1) JP3560937B2 (ko)
KR (1) KR100449357B1 (ko)
CN (1) CN1209297C (ko)
AT (1) ATE276205T1 (ko)
DE (1) DE50007781D1 (ko)
ES (1) ES2228352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4027118B4 (de) * 2004-06-03 2006-05-11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Verfahren zum Nachweis des photokatalytischen Abbaus organischer Farbstoffe mittels Fluoreszenzanalyse
ES2701153T3 (es) 2005-03-23 2019-02-21 Sonoma Pharmaceuticals Inc Método para tratar úlceras de piel utilizando una solución con agua de potencial reductivo oxidativo
JP5907645B2 (ja) 2005-05-02 2016-04-26 オキュラス イノヴェイティヴ サイエンシ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歯科用途における酸化還元電位水溶液の使用法
CN1329313C (zh) * 2005-10-24 2007-08-01 东南大学 负载纳米二氧化钛的弥散光纤光催化废水处理反应器
US20090053694A1 (en) * 2005-12-26 2009-02-26 Kriksunov Leo B Photochemically Amplified Bioassay
WO2007085018A2 (en) 2006-01-20 2007-07-26 Oculus Innovative Sciences, Inc. Methods of treating or preventing inflammation and hypersensitivity with oxidative reductive potential water solution
JP6033082B2 (ja) 2009-06-15 2016-11-30 オキュラス イノヴェイティヴ サイエンシ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次亜塩素酸を含有する溶液及びその使用方法
US20120091068A1 (en) * 2009-06-24 2012-04-19 Basf Se Method for photocatalytic water purification
US9593053B1 (en) 2011-11-14 2017-03-14 Hypersolar, Inc. Photoelectrosynthetically active heterostructures
EP2885251B1 (en) 2012-08-17 2016-08-03 Council of Scientific & Industrial Research A process for decomposition of organic synthetic-dyes using semiconductor-oxides nanotubes via dark-catalysis
US10100415B2 (en) 2014-03-21 2018-10-16 Hypersolar, Inc. Multi-junction artificial photosynthetic cell with enhanced photovoltages
ES2585087B1 (es) * 2015-04-01 2017-09-14 Navarra De Infraestructuras Locales, S.A. (Nilsa) Proceso fotocatalítico en continuo para la depuración de un medio líquido y reactor fotocatalítico para llevarlo a cab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84764A (ja) * 1994-04-19 1995-10-31 Shoji Hirayama 菌類を含む排水の処理方法および装置
JPH0957254A (ja) * 1995-08-28 1997-03-04 Toray Ind Inc 浴室水浄化方法および装置
JPH09131588A (ja) * 1995-11-10 1997-05-20 Toray Ind Inc 台所シンク用排水処理方法および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93543A (en) * 1976-09-22 1978-06-06 Mobil Oil Corporation Decomposition of formic acid in very low concentration
GB9102766D0 (en) * 1991-02-09 1991-03-27 Tioxide Group Services Ltd Destruction process
US5849200A (en) * 1993-10-26 1998-12-15 E. Heller & Company Photocatalyst-binder compositions
GB9325051D0 (en) * 1993-12-07 1994-02-02 Tioxide Group Services Ltd Titanium dioxide slurries
US6136186A (en) * 1997-01-31 2000-10-24 Lynntech, Inc. Photocatalytic oxidation of organics using a porous titanium dioxide membrane and an efficient oxidant
IT1292087B1 (it) * 1997-06-05 1999-01-25 Eniricerche Spa Ora Enitecnolo Procedimento fotocatalitico per la depurazione di acque inquinate da tetraidrotiofene
IL121877A (en) * 1997-10-01 2001-09-13 Yissum Res Dev Co Photocatalysts for the degradation of organic pollutants
DE19843845A1 (de) * 1998-09-24 2000-03-30 Degussa Formkörper, bestehend aus pyrogenem Mischoxid und deren Verwendung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84764A (ja) * 1994-04-19 1995-10-31 Shoji Hirayama 菌類を含む排水の処理方法および装置
JPH0957254A (ja) * 1995-08-28 1997-03-04 Toray Ind Inc 浴室水浄化方法および装置
JPH09131588A (ja) * 1995-11-10 1997-05-20 Toray Ind Inc 台所シンク用排水処理方法およ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162179B1 (de) 2004-09-15
CN1209297C (zh) 2005-07-06
DE50007781D1 (de) 2004-10-21
US20020027108A1 (en) 2002-03-07
CN1328971A (zh) 2002-01-02
KR20010111037A (ko) 2001-12-15
JP2002035602A (ja) 2002-02-05
EP1162179A1 (de) 2001-12-12
ATE276205T1 (de) 2004-10-15
JP3560937B2 (ja) 2004-09-02
ES2228352T3 (es) 2005-04-16
US6508941B2 (en) 2003-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9357B1 (ko) 광촉매를 사용하여 폐수로부터 유기 물질을 제거하는 방법
EP0666107B1 (en) Titanium oxide photocatalyst
KR20010098428A (ko) 도핑된 이산화티탄, 이의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광촉매 및 자외선 흡수제, 및 이를 사용한 정화방법
EP1414747A1 (en) Granules based on pyrogenically produced aluminium oxide, their production process and use
KR100413930B1 (ko) 발열성 이산화티탄계 과립, 이의 제조방법 및 당해 과립을 포함하는 촉매 지지체
Wang et al. Solar photocatalytic degradation of 2-sec-butyl-4, 6-dinitrophenol (DNBP) using TiO2/SiO2 aerogel composite photocatalysts
AU2015200952A1 (en) Photocatalyst comprising tio2 and activated carbon made from date pits
Hsu et al. Photocatalytic removal of trichloroethylene from water with LaFeO 3
EP3406566A1 (en) Porous carbon material,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filter, sheet, and catalyst carrier
Shirzad Taghanaki et al. Photocatalytic degradation of ethylbenzene by nano photocatalyst in aerogel form based on titania
Li et al. Kinetic Study of Fenton-Like Degradation of Methylene Blue in Aqueous Solution Using Calcium Peroxide.
Nazari et al. The removal of methylene blue from aqueous solution using prepared ZSM-5 zeolite@ ZnO nanoflowers under LED irradiation
Shi et al. Application of fly ash supported titanium dioxide for phenol photodegradation in aqueous solution
Kumaresan et al. Visible active clay based Sm2 (WO4) 3 nanocomposite for drug removal in pharmaceutical effluents
JP5298282B2 (ja) チタン酸化物粒子の製造方法
Massoudinejad et al. Preparation, characterization, and application of N, S-codoped TiO2/Montmorillonite nanocomposite for the photocatalytic degradation of ciprofloxacin: optimization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Tinoco Navarro et al. Effect of MCAA Synthesis and Calcination Temperature on Heterojunction Formation and Photocatalytic Activity of Biphasic TiO2 (B/A)
Rigoti et al. Titanium oxide supported on montmorillonite clays for environmental applications
CN103159316A (zh) 一种光催化臭氧化去除水中有机物的方法
Ghouma et al. An optimization study of nickel catalyst supported on activated carbon for the 2-nitrophenol catalytic ozonation
Sponza et al. Treatment of Textile Industry Wastewaters with the Addition of Nano-Titanium Dioxide doped with Nano-Cerium Dioxide. J Nanosci Nanomed Nanobio 4: 11
Khalili et al. Fe-doped TiO2 sonocatalytic process for removal of ofloxacin and ciprofloxacin from aqueous solution
Adewoye et al. Photocatalytic Degradation of Phenol from Textile Wastewater Using Rutile and ZnO-NPs Doped Rutile Nanocomposite
Dashinamzhilova et al. Influence of preparation conditions on the catalytic activity of Fe-montmorillonites in phenol oxidation in aqueous solutions
Putri et al. Degradation of Remazol Yellow FG by Sonolysis and Photolysis with TiO2/Active Carbon Rice Husk (TiO2/AC) Catalyst and Analysis Using Spectrophotometer UV-V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0608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1110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1060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01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406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409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409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8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8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9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8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90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3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90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9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82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8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82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7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827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1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901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1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901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1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831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829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827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211208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