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1173B1 - 표시 및 조작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표시 및 조작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441173B1 KR100441173B1 KR10-2002-7007190A KR20027007190A KR100441173B1 KR 100441173 B1 KR100441173 B1 KR 100441173B1 KR 20027007190 A KR20027007190 A KR 20027007190A KR 100441173 B1 KR100441173 B1 KR 10044117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rol element
- items
- switch
- item
- operating devic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62—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1D translations or rotations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e.g. scroll wheels, sliders, knobs, rollers or bel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04M1/23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including a pointing device, e.g. roller key, track ball, rocker switch or joystick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7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methods for entering alphabetical characters, e.g. multi-tap or dictionary disambigu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49)
- 사용자의 손가락으로 작동되어 3개 이상의 기능명령어들을 실행하는 제어요소 수단을 구비하는 전자장비용 동작장치를 조작할 때 조작운동을 표시 및 보조하는 시스템에 있어서:디스플레이 패널;문자, 숫자, 심볼, 아이콘, 기능, 표시, 기호 등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상에 행렬 형태로 배열된 다수의 기능 관련 아이템들을 행 또는 열로 배열된 3개 이상의 이산 필드들과 함께 먼저 선택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하기 위한 수단;상기 동작장치의 첫번째 조작상태를 변환하여 상기 아이템들중 하나를 먼저 선택하기 위한 수단;문자, 숫자, 심볼, 아이콘, 기능, 표시, 기호 등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고 상기 하나의 아이템의 첫번째 선택을 통해 제공되는 3개 이상의 옵션형의 하위 아이템들을 두번째 선택하기 위해 상기 동작장치의 두번째 조작을 변환하기 위한 수단;상기 선택된 기능관련 아이템이나 하위 아이템을 사용하기 위한 수단; 및상기 수단과 디스플레이 패널의 기능들을 조합하기 위한 프로세서 수단;을 포함하고,a) 이동로를 따라 단계식으로 검출 가능하게 이동하면서 각 단계 위치에서 틸팅하거나 눌려질 수 있는 제어요소수단;b) 360도의 범위에서 선택된 각도로 단계식으로 검출 가능하게 회전되고 최소 4개 최대 5개의 스위치들을 선택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제어요소수단으로서, 상기 스위치들은 제어요소수단의 가장 자리를 따라 소정 간격으로 떨어져 있거나 제어요소수단 밑에 위치해 있고, 중앙부나 가장자리를 눌러 스위치들을 작동시키는 제어요소수단;c) 제1 제어요소와 그 둘레의 제2 제어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요소는 회전하지 않으며 그 둘레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스위치 위치들을 눌렀을 때 주변의 4개 스위치들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고, 상기 제2 제어요소는 360도 영역에서 검출가능하게 단계적 회전운동할 수 있는 제어요소수단;d) 단계적으로 360도 회전할 수 있음은 물론 중앙 위치에 대해 움직이거나 틸팅 가능하고, 중앙위치를 누르면 스위치 기능을 개시할 수 있는 제어요소수단;e) 제1 중앙 제어요소와, 그 양측에 배치된 제2, 제3 제어요소들로 구성되고, 상기 제1 제어요소는 중앙 위치에 대해 전후진하여 중앙위치에서 떨어진 위치에서 스위치기능을 개시할 수 있고, 상기 제1 내지 제3 제어요소들을 눌러 각각의 스위치기능을 개시할 수 있는 제어요소수단;f) 검출 가능하게 단계적으로 회전하고, 중앙부는 눌려질 수 있고 측방으로는 틸팅가능하여 각각의 스위치기능을 작동시킬 수 있는 회전휠로 구성된 제어요소수단;g) 검출 가능하게 단계적으로 회전하고, 중앙부는 눌려질 수 있고 각각의 종단부를 눌러 틸팅함으로써 각각의 스위치기능을 작동시킬 수 있는 회전 롤러로 구성된 제어요소수단;h) 양단부가 롤러에 감겨 있고, 검출가능하게 단계적으로 움직일 수 있으며, 중앙부를 누르거나 그 횡방향으로 틸팅하거나 상기 롤러의 영역들에서 누르면 스위치기능을 작동시킬 수있는 무한벨트를 구비한 제어요소수단;i) 양단부가 롤러에 감겨 있고, 검출가능하게 단계적으로 움직일 수 있으며, 중앙부를 눌러 스위치기능을 개시할 수 있고, 양측부들에는 각각의 스위치 기능을 작동시키기 위한 누름식 키가 배열되어 있는 무한벨트를 구비한 제어요소수단;j) 스위치 기능을 개시하도록 눌려질 수 있고 이동로를 따라 단계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키 형태의 제1 제어요소와, 키 이동로 양측에 인접 배치되어 스위치 기능을 개시하도록 각각 눌려질 수 있는 제2, 제3 제어요소들로 구성된 제어요소수단; 및k) 검출 가능하게 단계적으로 선형 이동하거나 회전하는 제1 중앙 제어요소와, 그 양측부를 따라 또는 각 종단부에 배치된 제2 및 제3 제어요소들로 구성되고, 상기 제1 제어요소는 중앙 위치에서 눌려졌을 때 스위치기능을 작동시키는 외에도 틸팅 위치에서 각각의 스위치 기능을 발휘할 수 있고, 상기 제2 및 제3 제어요소들을 누르면 각각의 스위치기능이 개시되는 제어요소수단;중의 하나로 부터 상기 동작장치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요소수단의 단계식 이동이 이용 가능한 열방향의 스텝들 갯수와 관련되고, 상기 제어요소수단의 틸팅, 누름 또는 축선방향 이동은 선택가능한 행방향 아이템이나 각각의 열방향 스텝에서의 하위 아이템들과 관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요소수단의 단계식 이동이 이용 가능한 열방향의 스텝들 갯수와 관련되고, 상기 제어요소의 틸팅, 누름 또는 축선방향 이동은 선택가능한 열방향 아이템이나 각각의 행방향 스텝에서의 하위 아이템들과 관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제어요소수단이 c) 타입이고, 제2 제어요소를 누르면 그 밑에 위치한 다수의 스위치들중 하나 이상이 작동되도록 제2 제어요소가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제어요소수단이 f) 또는 g) 타입이고, 제2 제어요소의 회전위치에 관련된 각각의 스위치 기능을 개시하도록 배열된 누름식 키가 하나 이상의 축선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사용자의 손가락으로 작동되어 3개 이상의 기능명령어들을 실행하는 제어요소 수단을 구비하는 전자장비용 동작장치를 조작할 때 조작운동을 표시 및 보조하는 시스템에 있어서:디스플레이 패널;문자, 숫자, 심볼, 아이콘, 기능, 표시, 기호 등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상에 행렬 형태로 배열된 다수의 기능 관련 아이템들을 행 또는 열로 배열된 3개 이상의 이산 필드들과 함께 먼저 선택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하기 위한 수단;상기 동작장치의 첫번째 조작상태를 변환하여 상기 아이템들중 하나를 먼저 선택하기 위한 수단;문자, 숫자, 심볼, 아이콘, 기능, 표시, 기호 등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고 상기 하나의 아이템의 첫번째 선택을 통해 제공되는 3개 이상의 옵션형의 하위 아이템들을 두번째 선택하기 위해 상기 동작장치의 두번째 조작을 변환하기 위한 수단;상기 선택된 기능관련 아이템이나 하위 아이템을 사용하기 위한 수단; 및상기 수단과 디스플레이 패널의 기능들을 조합하기 위한 프로세서 수단;을 포함하고,a) 디스플레이 패널상의 커서를 제어하여 상기 이산 필드들중의 하나로 커서를 이동시키도록 중앙 위치에 대해 이동 가능하면서 회전은 안되고, 스위치기능을 개시하도록 눌려질 수 있는 제어요소수단;b) 회전이 안되는 제1 제어요소와, 그 둘레의 360도 단계식 회전가능한 제2 제어요소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제어요소는 그 중앙위치로부터 이동 가능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상의 커서를 상기 이산 필드들중 하나로 오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제어요소는 다수의 스위치 위치들에서 눌려져 각각의 스위치 기능들을 선택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는 제어요소수단;중의 하나로 부터 상기 동작장치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사용자의 손가락으로 작동되어 3개 이상의 기능명령어들을 실행하는 제어요소 수단을 구비하는 전자장비용 동작장치를 조작할 때 조작운동을 표시 및 보조하는 시스템에 있어서:디스플레이 패널;문자, 숫자, 심볼, 아이콘, 기능, 표시, 기호 등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상에 행렬 형태로 배열된 다수의 기능 관련 아이템들을 행 또는 열로 배열된 3개 이상의 이산 필드들과 함께 먼저 선택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하기 위한 수단;상기 동작장치의 첫번째 조작상태를 변환하여 상기 아이템들중 하나를 먼저 선택하기 위한 수단;문자, 숫자, 심볼, 아이콘, 기능, 표시, 기호 등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고 상기 하나의 아이템의 첫번째 선택을 통해 제공되는 3개 이상의 옵션형의 하위 아이템들을 두번째 선택하기 위해 상기 동작장치의 두번째 조작을 변환하기 위한 수단;상기 선택된 기능관련 아이템이나 하위 아이템을 사용하기 위한 수단; 및상기 수단과 디스플레이 패널의 기능들을 조합하기 위한 프로세서 수단;을 포함하고,a) 제1 중앙 제어요소와, 그 양측에 배치된 제2, 제3 제어요소들로 구성되고, 상기 제1 제어요소는 그 종단부에서 눌려져 그곳의 각각의 스위치 기능을 작동시킬 수 있으면서도 중앙 위치에서 눌려졌을 때 스위치 기능을 작동시킬 수 있고, 상기 제2 및 제3 제어요소들을 누르면 스위치 기능이 개시되며, 제1 제어요소의 선택된 누름위치는 행이나 열로 배열된 3개의 필드들과 관련되어 있는 제어요소수단;b) 서로 연결되도록 배열된 제1 내지 제5 제어요소로 구성되고, 상기 제1 내지 제3 제어요소들은 제1 축선을 따라 배열되고, 상기 제4, 제2 및 제5 제어요소들은 제1 축선에 횡방향인 제2 축선방향으로 위치하되 제2 제어요소가 제1 및 제2 축선들의 교차점에 위치하고, 이들 제어요소 각각을 누르면 스위치기능이 작동될 수 있고, 상기 제1 및 제3 제어요소는 디스플레이상의 상기 제1 축선을 따라 서로 반대방향으로 커서나 마커를 단계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4, 제2 및 제5 제어요소들은 선택된 커서나 마커 단계에서 필드내의 3개의 아이템들이나 하위 아이템들중의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것인 제어요소수단;c) 상기 기능적 아이템들과 하위 아이템들을 선택적으로 표시하기에 적합한 몇몇 터치필드들을 포함한 다수의 터치필드들을 갖는 터치스크린인 제어요소수단; 및d) 터치패드인 제어요소수단;중의 하나로 부터 상기 동작장치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제1항,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수단은 적어도 상기 동작장치의 세번째 조작을 변환하여 상기 하위 아이템들중 두번째 선택으로부터 제공되는 옵션형태의 다수의 다른 하위 유니트들로부터의 선택을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제1항,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수단은 적어도 상기 동작장치의 추가 조작을 변환하여 상기 하위 아이템들의 이전 선택으로부터 제공되는 옵션형태의 다수의 다른 하위 아이템들로부터의 선택을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제1항,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패널상에 선택된 아이템들과 하위 아이템들을 별도로 표시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제1항,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템들과 하위 아이템들이 이산 필드 및/또는 하위필드상의 특정 좌표위치에 할당되어 동작장치가 선택할 수 있는 최소 3개 선택사항들을 보여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두번째 선택 이후, 또다른 첫번째 선택과 이와 관련된 연속적인 다른 선택들을 위해 초기 선택메뉴나 이전 선택메뉴로 시스템을 되돌리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제1항,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이전 선택 옵션과 관련된 아이템 메뉴나 하위 아이템 메뉴로 시스템을 되돌리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장치에 의해 조정되는 커서의 이동상태를 제어패널상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제1, 6, 7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SHIFT, CLEAR, SELECT, CALL, MENU, SEND, BACK, NEXT, ON, OFF, YES, NO, OK, STORE중에서 선택된 메뉴 동작을 상기 동작장치의 조작에 의해 표시하고 실행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동작장치를 조작하면 디스플레이 패널상의 커서가 선택될 아이템이나 하위 아이템에 위치하도록 이동하고;선택된 아이템이나 하위 아이템, 즉 아이콘상에 커서가 위치했을 때 그 선택을 개시하는 수단이 더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제1, 6, 7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장치의 조작에 의해 기능관련 아이템들이나 하위 아이템들의 연속적인 세트들을 디스플레이 패널상의 특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제17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패널의 메뉴관련 영상들상의 선택된 위치들에 아이템들이나 하위 아이템들을 추가하거나 아이템들 및/또는 하위 아이템들 사이를 스위칭할 수 있는 수단이 제공되고, 아이템 및/또는 하위 아이템의 선택은 상기 특정 방향으로의 조작, 및 상기 동작장치의 제어요소를 최대 두개의 스위치기능 관련 위치에서 눌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장치를 최대 두군데의 스위치기능 관련 위치에서 누르는 것은 선택가능한 아이템들이나 하위아이템들의 선택을 위해 필요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제1, 2, 6, 7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아이템이나 필드를 두개 이상의 하위 아이템이나 하위필드로 구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제1항 내지 7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아이템이나 필드를 두개 이상의 표시나 기호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제1항 내지 7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산 아이템들 및/또는 하위 아이템들 외에, 상기 동작장치를 이용해 선택된 기능과 이 기능에 관련된 모든 지시문들을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하도록 디자인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요소가 b) 타입이고, 제1 또는 제3 제어요소중의 하나를 누르면 제1 축선에 관련된 방향으로 한번에 3개 필드를 마킹하거나 단계적으로 제어할 수 있고, 제4, 제2 또는 제5 제어요소를 누르면 제1 축선과 관련된 특정 단계 위치에서 제2 축선에 평행한 방향으로 뻗고 기능관련 아이템이나 하위아이템을 구비한 상기 3개의 필드들 각각을 선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제1, 6, 7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화기, 핸드폰, 원격제어장치, 텍스트 및/또는 기호 송신기, 계산기, 전자수첩, PC나 미니컴퓨터 등의 휴대용이나 고정식 컴퓨터, 뮤직센터, 카메라, 게임기, 경보장치, 출입통제장치 및 제어장치로부터 상기 전자장비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사용자의 손가락으로 작동되어 3개 이상의 기능명령어들을 실행하는 제어요소 수단을 구비하는 전자장비용 동작장치를 조작할 때 조작운동을 표시 및 보조하는 방법에 있어서:a) 행이나 열로 배열된 3개 이상의 이산 필드들과 함께 행열로 배열되고 문자, 숫자, 심볼, 아이콘, 기능, 표시, 기호 등으로부터 선택할 수 있는 다수의 기능 관련 아이템들의 첫번째 선택을 디스플레이 패널상에 표시하는 단계;b) 상기 동작장치의 첫번째 조작을 변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상에 나타난 아이템들의 첫번째 선택을 개시하는 단계;c) 상기 동작장치의 두번째 조작을 변환하여 상기 하나의 아이템의 첫번째 선택을 통해 제공되고 문자, 숫자, 심볼, 아이콘, 기능, 표시, 기호 등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는 3개 이상의 옵션형 하위 아이템들의 두번째 선택을 개시하는 단계;d) 기능장비를 이용해 상기 선택된 기능관련 아이템이나 하위 아이템을 사용하는 단계; 및e) 상기 제어요소의 동작과 패널을 조합을 포함한 상기 b)-d) 단계;외에 하기 f)-h) 단계들중의 하나를 더 포함하는 방법.f) 상기 제어요소의 단계적이고 검출가능한 이동을 기본으로 3개 이상의 기능관련 아이템들을 통해 커서나 마커를 한번에 이동시키거나 스크롤하고, 제어요소를 누르거나 틸팅하여 아이템이나 하위 아이템의 선택과 관련된 스위치기능을 개시하는 단계;g) 상기 제어요소를 중앙 위치로부터 이동시키는 동작을 기초로 선택될 아이템이나 하위 아이템을 갖는 필드에 커서나 마커를 위치시키고 그 아이템이나 하위 아이템을 선택하는 단계;h) 상기 제어요소의 특정 위치들을 누르는 동작을 기초로 3개 이상의 필드에 동시에 디스플레이 패널상의 커서나 마커를 위치시키되 상기 필드들 각각은 선택될 아이콘, 표시 및/또는 기호를 대표하는 기능관련 아이템을 갖고, 제어요소의 다른 위치를 눌러 3개 이상의 필드들중 하나의 아이템 선택을 개시하는 단계.
- 제25항에 있어서, 두번째 선택이나 하나 이상의 연속 선택 이후에, 아이템들이나 하위 아이템들의 초기 또는 이전 선택 상태로 시스템을 되돌리고, 단계 b) 및/또는 단계 c)와 d)를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25항 또는 제26항에 있어서, 단계 d)를 완료한 뒤, 단계 a), b) 또는 c)와 관련된 시스템 옵션상태로 시스템을 되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25항 또는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상의 표시로 동작장치와 관련된 누름 위치들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25항 또는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장치를 최대 두군데 눌러 아이템이나 하위 아이템을 선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25항 또는 제26항에 있어서, 표시나 기호 형태로 두개 이상의 아이템이나 하위 아이템들을 각각의 필드나 하위필드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30항에 있어서, 각각의 필드나 하위필드내의 표시나 기호의 갯수는 특정 위치에서의 동작장치의 가능한 동작 횟수와 관련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25항 또는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이외에 동작장치를 통해 기능을 조정하기 위한 지시문들이 디스플레이 패널상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25항 또는 제26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패널상에 3개 이상의 필드들이 표시되고, 이들 필드들중 하나 이상은 3개 이상의 하위필드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25항에 있어서, 제1 축선에 관련된 방향으로 3개 필드들을 한번에 단계적으로 제어하거나 마킹하고, 상기 3개 필드들중 제1 축선에 90도 방향인 필드를 선택하여 선택된 필드에 포함된 기능관련 아이템이나 하위 아이템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삭제
- 제9항에 있어서, 다른 선택 이후, 또다른 첫번째 선택과 이와 관련된 연속적인 다른 선택들을 위해 초기 선택메뉴나 이전 선택메뉴로 시스템을 되돌리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NO996001A NO996001D0 (no) | 1999-12-06 | 1999-12-06 | Input system |
NO1996001 | 1999-12-06 | ||
NO20004375 | 2000-09-01 | ||
NO20004375A NO20004375L (no) | 1999-12-06 | 2000-09-01 | System og fremgangsmåte for fremvisning og assistering av manipuleringsbevegelser ved betjening av en manöverinnretning foret funksjonsutsty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0062651A KR20020062651A (ko) | 2002-07-26 |
KR100441173B1 true KR100441173B1 (ko) | 2004-07-21 |
Family
ID=26649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2-7007190A KR100441173B1 (ko) | 1999-12-06 | 2000-12-05 | 표시 및 조작 시스템 및 방법 |
Country Status (9)
Country | Link |
---|---|
US (1) | US20030001816A1 (ko) |
EP (1) | EP1236336A2 (ko) |
JP (1) | JP2003515833A (ko) |
KR (1) | KR100441173B1 (ko) |
CN (1) | CN1433626A (ko) |
AU (1) | AU1743101A (ko) |
CA (1) | CA2393631A1 (ko) |
NO (1) | NO20004375L (ko) |
WO (1) | WO2001041402A2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361802B1 (en) | 1999-02-01 | 2019-07-23 | Blanding Hovenweep, Llc | Adaptive pattern recognition based control system and method |
US8352400B2 (en) | 1991-12-23 | 2013-01-08 | Hoffberg Steven M | Adaptive pattern recognition based controller apparatus and method and human-factored interface therefore |
US7904187B2 (en) | 1999-02-01 | 2011-03-08 | Hoffberg Steven M | Internet appliance system and method |
US8364136B2 (en) | 1999-02-01 | 2013-01-29 | Steven M Hoffberg | Mobile system, a method of operating mobile system and a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a programmable control of a mobile system |
US20150121309A1 (en) * | 2000-02-17 | 2015-04-30 | George Reed | Selection interface systems, structures, devices and methods |
JP4581264B2 (ja) * | 2001-02-20 | 2010-11-17 | 船井電機株式会社 | デジタル/アナログ放送受信装置 |
US7079110B2 (en) | 2001-04-30 | 2006-07-18 | Microsoft Corporation | Input device including a wheel assembly for scrolling an image in multiple directions |
NO20015349L (no) * | 2001-05-10 | 2002-11-11 | Ziad Badarneh | System for innmatning av dataelementer |
EP1263195B1 (en) * | 2001-06-01 | 2004-04-21 | Siemens Aktiengesellschaft | Keypad system |
US6957397B1 (en) * | 2001-06-11 | 2005-10-18 | Palm, Inc. | Navigating through a menu of a handheld computer using a keyboard |
US6950988B1 (en) * | 2001-06-11 | 2005-09-27 | Handspring, Inc. | Multi-context iterative directory filter |
US6975304B1 (en) | 2001-06-11 | 2005-12-13 | Handspring, Inc. | Interface for processing of an alternate symbol in a computer device |
US7356361B1 (en) * | 2001-06-11 | 2008-04-08 | Palm, Inc. | Hand-held device |
US7395089B1 (en) | 2001-06-11 | 2008-07-01 | Palm, Inc | Integrated personal digital assistant device |
NO20020895L (no) * | 2001-06-27 | 2002-12-30 | Ziad Badarneh | Interaktivt system i tilknytning til elektronisk utstyr |
JP3722359B2 (ja) * | 2001-06-29 | 2005-11-30 | Esmertecエンジニアリングサービス株式会社 | 文字入力システム及び通信端末 |
NO20015872L (no) * | 2001-11-30 | 2003-06-02 | Ziad Badarneh | Manöverinnretning |
NO20020896L (no) * | 2001-10-02 | 2003-04-03 | Ziad Badarneh | Interaktivt system |
FI20012610L (fi) | 2001-12-31 | 2003-07-01 | Nokia Corp | Elektroninen laite ja ohjauselin |
NO20025188L (no) * | 2002-04-22 | 2003-10-23 | Ziad Badarneh | Anordning ved elektroniske apparater og utstyr |
US7203911B2 (en) * | 2002-05-13 | 2007-04-10 | Microsoft Corporation | Altering a display on a viewing device based upon a user proximity to the viewing device |
WO2004006550A1 (en) * | 2002-07-02 | 2004-01-15 | Nokia Corporation | Method and communication device for handling data records by speech recognition |
US20040118664A1 (en) * | 2002-12-19 | 2004-06-24 | Lear Corporation | Multifunction switch and method of using same |
US20040125092A1 (en) * | 2002-12-30 | 2004-07-01 | Keith Kinerk | Movable user interface |
US7031759B2 (en) * | 2002-12-30 | 2006-04-18 | Motorola, Inc. | Rotating user interface |
DE10306321A1 (de) * | 2003-02-14 | 2004-08-26 | Siemens Ag | Eingabeeinrichtung und Kommunikationsgerät |
US7272497B2 (en) * | 2003-03-24 | 2007-09-18 | Fuji Jukogyo Kabushiki Kaisha | Vehicle navigation system with multi-use display |
KR100779174B1 (ko) * | 2003-05-08 | 2007-11-23 | 노키아 코포레이션 | 로테이터 입력 장치를 포함하는 이동 전화기 |
US20040253931A1 (en) * | 2003-06-10 | 2004-12-16 | Jakob Bonnelykke | Rotator with rim select functionality |
EP1678654A4 (en) * | 2003-10-31 | 2008-07-02 | Iota Wireless Llc | SIMULTANEOUS DATA ENTRY FOR A PORTABLE DEVICE |
US20080129552A1 (en) * | 2003-10-31 | 2008-06-05 | Iota Wireless Llc | Concurrent data entry for a portable device |
US7536565B2 (en) * | 2005-01-07 | 2009-05-19 | Apple Inc. | Techniques for improved playlist processing on media devices |
DE102005012939A1 (de) * | 2005-03-21 | 2006-09-28 | Robert Bosch Gmbh | Bedieneinrichtung |
US20060258301A1 (en) * | 2005-05-12 | 2006-11-16 | Yanqing Cui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
KR100675179B1 (ko) * | 2005-05-16 | 2007-01-3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크롤형 입력장치 |
US20070016360A1 (en) * | 2005-07-14 | 2007-01-18 | Lee Choy W | Navigational device with improved user interface |
KR100698316B1 (ko) * | 2006-01-10 | 2007-03-2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문자 입력 방법과 장치 |
JP4551873B2 (ja) * | 2006-02-07 | 2010-09-29 | Okiセミコンダクタ株式会社 | 雑音量測定装置 |
US8532678B2 (en) * | 2006-03-08 | 2013-09-10 | Tomtom International B.V. | Portable GPS navigation device |
US20070266239A1 (en) * | 2006-03-08 | 2007-11-15 | David Vismans | Method for providing a cryptographically signed command |
KR101277256B1 (ko) * | 2006-06-16 | 2013-07-05 | 삼성전자주식회사 |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장치 및 방법 |
JP4578451B2 (ja) * | 2006-09-15 | 2010-11-10 | 京セラ株式会社 | 電子機器 |
EP1959238B1 (en) * | 2007-02-13 | 2018-05-23 | Harman Becker Automotive Systems GmbH | Method for inputting a destination in a navigation unit and nagivation system therefor |
KR20080088195A (ko) * | 2007-03-29 | 2008-10-02 | 에스케이씨앤씨 주식회사 | 디지털 액자 기능을 구비한 네비게이션 장치 및 그 운용방법 |
EP2137962A1 (en) * | 2007-04-24 | 2009-12-30 | Tte Technology, Inc. |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control of a television with a manually actuatable element |
KR101387510B1 (ko) * | 2007-10-02 | 2014-04-2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US9330180B2 (en) * | 2007-10-02 | 2016-05-03 |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KR20090131423A (ko) * | 2008-06-18 | 2009-12-29 | 삼성전자주식회사 | 문자 입력 장치 및 그 입력 방법 |
FR2934385B1 (fr) * | 2008-07-25 | 2011-09-16 | Continental Automotive France | Systeme d'interface pour saisir une suite de caracteres |
US8463316B2 (en) * | 2010-02-17 | 2013-06-11 | Harris Corporation | Communication device with a multi-functional control |
KR102033764B1 (ko) | 2010-10-06 | 2019-10-17 | 삼성전자주식회사 | 리모트 컨트롤러에서의 ui 표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리모트 컨트롤러 |
US9851810B2 (en) * | 2011-03-01 | 2017-12-26 | Panasonic Healthcare Holdings Co., Ltd. | Information terminal device and biological sample measurement device |
EP2770413A3 (en) * | 2013-02-22 | 2017-01-04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An apparatus for providing a cursor in electronic devices and a method thereof |
KR102508833B1 (ko) | 2015-08-05 | 2023-03-10 | 삼성전자주식회사 | 전자 장치, 전자 장치의 문자 입력 방법 |
JP6401139B2 (ja) | 2015-09-30 | 2018-10-03 | 株式会社Subaru | ステアリング用機器操作装置 |
WO2019159160A1 (en) * | 2018-02-13 | 2019-08-22 | Khanukaev Oleg | Method and system of implementing an advanced multifunctional dialer capable of managing multiple calling accounts |
Family Cites Families (2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A2046968C (en) * | 1990-08-31 | 2001-04-10 | Nae Yasuhara | Graphic image processing apparatus |
US5191320A (en) * | 1990-12-15 | 1993-03-02 | Sony Corporation Of America | Variable scale input device |
JP3268467B2 (ja) * | 1992-09-08 | 2002-03-25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電話機 |
US5388922A (en) * | 1993-07-23 | 1995-02-14 | Smith Corona Corporation | Miniature keyboard |
US5598523A (en) * | 1994-03-31 | 1997-01-28 | Panasonic Technologies, Inc. |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ed menu activation using a matching distinctive arrangement of keypad actuators |
US5543818A (en) * | 1994-05-13 | 1996-08-06 | Sony Corporation | Method and apparatus for entering text using an input device having a small number of keys |
US5670955A (en) * | 1995-01-31 | 1997-09-23 | Microsoft Corporation |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directional and force vector in an input device |
KR200153815Y1 (ko) * | 1995-03-31 | 1999-08-02 | 전주범 | 셔틀 스위치 조립체 |
NO300943B1 (no) * | 1995-04-03 | 1997-08-18 | Steinar Pedersen | Redskap for posisjonering og kontroll av objekter i to eller tre dimensjoner |
US5825353A (en) * | 1995-04-18 | 1998-10-20 | Will; Craig Alexander | Control of miniature personal digital assistant using menu and thumbwheel |
US5708787A (en) * | 1995-05-29 | 1998-01-13 |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 Menu display device |
JP3508961B2 (ja) * | 1995-07-21 | 2004-03-22 | ソニー株式会社 | 端末装置 |
US5797098A (en) * | 1995-07-19 | 1998-08-18 | Pacific Communication Sciences, Inc. | User interface for cellular telephone |
DE19646226A1 (de) * | 1996-03-19 | 1998-05-14 | Bayerische Motoren Werke Ag | Bedienvorrichtung für menügesteuerte Funktionen eines Fahrzeugs |
FI961277L (fi) * | 1996-03-20 | 1997-09-21 | Nokia Mobile Phones Ltd | Menetelmä merkkijonon muodostamiseksi, elektroninen viestinlaite sekä latausyksikkö elektronisen viestinlaitteen lataamiseksi |
US6173194B1 (en) * | 1996-04-15 | 2001-01-09 | Nokia Mobile Phones Limited | Mobile terminal having improved user interface |
US6154201A (en) * | 1996-11-26 | 2000-11-28 | Immersion Corporation | Control knob with multiple degrees of freedom and force feedback |
US6636197B1 (en) * | 1996-11-26 | 2003-10-21 | Immersion Corporation | Haptic feedback effects for control, knobs and other interface devices |
US6686911B1 (en) * | 1996-11-26 | 2004-02-03 | Immersion Corporation | Control knob with control modes and force feedback |
DE19723815A1 (de) * | 1997-06-06 | 1998-12-10 | Philips Patentverwaltung | System zur menügeführten Befehlseingabe |
US6097964A (en) * | 1997-09-04 | 2000-08-01 | Nokia Mobile Phones Limited | Navigation key for a handset |
US6034688A (en) * | 1997-09-15 | 2000-03-07 | Sony Corporation | Scrolling navigational display system |
JP3123490B2 (ja) * | 1997-11-17 | 2001-01-09 | 日本電気株式会社 | 携帯通信装置および表示情報選択方法 |
US6256011B1 (en) * | 1997-12-03 | 2001-07-03 | Immersion Corporation | Multi-function control device with force feedback |
TW509845B (en) * | 1997-12-13 | 2002-11-11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Computer system with jog dial function and the user interface scheme thereof |
CA2248745C (en) * | 1998-02-13 | 2005-08-23 | Arista Interactive Llc | Wireless game control units |
FI106333B (fi) * | 1998-04-16 | 2001-01-15 | Nokia Mobile Phones Ltd | Menetelmä ja laitteet valikko-ohjaukseen |
EP0951160A3 (en) * | 1998-04-16 | 2004-02-11 | Siemen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Networks, Inc. | Apparatus and method to provide a wireless telephone with no dial pad |
-
2000
- 2000-09-01 NO NO20004375A patent/NO20004375L/no unknown
- 2000-12-05 AU AU17431/01A patent/AU1743101A/en not_active Abandoned
- 2000-12-05 CN CN00818840A patent/CN1433626A/zh active Pending
- 2000-12-05 KR KR10-2002-7007190A patent/KR100441173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0-12-05 EP EP00980132A patent/EP1236336A2/en not_active Withdrawn
- 2000-12-05 CA CA002393631A patent/CA2393631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0-12-05 US US10/149,097 patent/US20030001816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0-12-05 WO PCT/NO2000/000412 patent/WO2001041402A2/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0-12-05 JP JP2001541214A patent/JP2003515833A/ja not_active Withdraw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NO20004375L (no) | 2001-06-07 |
NO20004375D0 (no) | 2000-09-01 |
KR20020062651A (ko) | 2002-07-26 |
AU1743101A (en) | 2001-06-12 |
EP1236336A2 (en) | 2002-09-04 |
CN1433626A (zh) | 2003-07-30 |
US20030001816A1 (en) | 2003-01-02 |
JP2003515833A (ja) | 2003-05-07 |
WO2001041402A3 (en) | 2001-11-15 |
WO2001041402A2 (en) | 2001-06-07 |
CA2393631A1 (en) | 2001-06-07 |
WO2001041402A8 (en) | 2002-02-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441173B1 (ko) | 표시 및 조작 시스템 및 방법 | |
JP5097775B2 (ja) | 文字入力装置 | |
WO2009084147A1 (ja) | 携帯端末装置及び表示制御方法並びに表示制御プログラム | |
CN1455611A (zh) | 与用户界面交互的方法与设备 | |
JP2007251920A (ja) | 移動通信端末機における高速アプリケーションアクセス方法及び装置 | |
KR20060009906A (ko) | 로테이터 입력 장치를 포함하는 이동 전화기 | |
EP1769322A4 (en) | SCROLL WHEEL WITH CHARACTER INPUT | |
KR20080079191A (ko) |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에서 컨텐츠 표시장치 및 방법 | |
CN101379474A (zh) | 文字输入装置 | |
JP2001069223A (ja) | 通信装置 | |
TW200917100A (en) | Virtually multiple wheels and method of manipulating multifunction tool icons thereof | |
JP2011060166A (ja) | 携帯端末装置 | |
JP2006279361A (ja) | 携帯端末装置及び携帯端末装置用プログラム | |
KR100413234B1 (ko) | 휴대용 단말기에서 키패드 배열형의 아이콘을 이용한 메뉴선택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 | |
KR101144803B1 (ko) |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 |
WO2010035774A1 (ja) | 電子機器 | |
KR20040026549A (ko) | 방위센서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방향 이동 방법 | |
EP1524587A1 (en) | Device having a joystick keypad | |
KR20020080538A (ko) | 이동전화기의 디스플레이 메뉴선택 시스템 및 그 방법 | |
KR100389825B1 (ko) | 소프트 핫키로 사용되는 터치스크린키를 가지는 정보단말기 및 그 방법 | |
KR20080101995A (ko) | 네비게이션 기능키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제어방법 | |
KR100664165B1 (ko) | 휴대단말기의 조이스틱 운용장치 및 방법 | |
JP5368841B2 (ja) | 文字入力装置及び文字入力方法 | |
KR101133801B1 (ko) | 이동 단말기에서 조그다이얼키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기능 실행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단말기 | |
KR100428851B1 (ko) | 단축메뉴 설정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020605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2060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4042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407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407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