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14407B1 - 판상요소를 가공하는 기계의 공급부내에서 그 판상요소를 길이방향으로 정렬시키는 장치 - Google Patents

판상요소를 가공하는 기계의 공급부내에서 그 판상요소를 길이방향으로 정렬시키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4407B1
KR100414407B1 KR10-2001-0011644A KR20010011644A KR100414407B1 KR 100414407 B1 KR100414407 B1 KR 100414407B1 KR 20010011644 A KR20010011644 A KR 20010011644A KR 100414407 B1 KR100414407 B1 KR 1004144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p
plate
shaft
flaps
machin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1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88422A (ko
Inventor
공보죠르쥬
뤼셔파트릭
Original Assignee
봅스트 쏘시에떼 아노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봅스트 쏘시에떼 아노님 filed Critical 봅스트 쏘시에떼 아노님
Publication of KR200100884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84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44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4407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9/00Registering, e.g. orientating, articles; Devic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9/00Registering, e.g. orientating, articles; Devices therefor
    • B65H9/06Movable stops or gauges, e.g. rising and falling front sto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02Feeding or positioning sheets, blanks or webs
    • B31B50/04Feeding sheets or blanks
    • B31B50/044Feeding sheets or blanks involving alig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02Feeding or positioning sheets, blanks or webs
    • B31B50/10Feeding or positioning webs
    • B31B50/104Feeding or positioning webs involving alig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2/00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30Supports; Subassemblies; Mountings thereof
    • B65H2402/31Pivoting support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2/00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60Coupling, adapter or lock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50Driving mechanisms
    • B65H2403/51Cam mechanisms
    • B65H2403/512Cam mechanisms involving radial plate cam

Landscapes

  • Making Paper Articles (AREA)
  • Registering Or Overturning Sheets (AREA)
  • Feeding Of Articles By Means Other Than Belts Or Rollers (AREA)
  • Attitude Control For Articles On Conveyors (AREA)
  • Advancing Webs (AREA)
  • Folding Of Thin Sheet-Like Materials, Special Discharging Devices, And Others (AREA)
  • Specific Conveyance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판상요소 (2) 를 가공하는 기계의 공급부내에서 상기 판상요소를 길이방향으로 정렬시키는 장치 (1) 에 관한 것이다. 이 장치는 두개의 측방 브라켓 (9, 10) 으로 고정되며, 이 측방 브라켓의 사이에는 판상요소 (2) 를 위한 접근 트랙이 설치되고, 이 접근 트랙은 판상요소 (2) 의 이동방향 (3) 과 직교하지 않는 라인 (7) 을 따라 하방으로 접혀진 두개의 플레이트 (5, 6) 으로 이루어진다. 판상요소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는 장치의 입구에 있는 고정 베어링 (11∼14) 사이에 설치된 둘 이상의 풀리 (15, 16) 를 지나는 둘 이상의 컨베어어 벨트에 의해 하류로 전달된다. 상기장치 (1) 는 그의 선단 가장자리에서 보호판 (39) 을 구비하며, 상기 두 측방 브라켓 (9, 10) 의 선단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횡축 (24) 에 설치되어 움직일 수 있는 플랩 (30∼32) 이 상기 보호판 위에 제공된다. 판상요소 (2) 가 연속적으로 정렬될 수 있도록, 상기 축은 기계의 제조속도와 동기하여 0∼45°의 각도로 교번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축은 각기 플랩 (30∼32) 중의 하나를 지지하는 다수의 부분 (26∼28) 으로 연결 및 구성된다.

Description

판상요소를 가공하는 기계의 공급부내에서 그 판상요소를 길이방향으로 정렬시키는 장치{DEVICE FOR THE LONGITUDINAL ALIGNMENT OF PLATE ELEMENTS WITHIN AN INFEED STATION OF A MACHINE WORKING THEM}
본 발명은 패키지 제조를 위해 판상요소를 가공하는 기계의 공급부내에서 판상요소를 길이방향으로 정렬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기계에서, 판상요소, 종이 또는 카드보드 시이트는 파일(pile)의 바닥으로 부터 연속적으로 인출되어, 전달부에서 다시 적재되기 전에, 인쇄부, 절단부 및 폐품제거부와 같은 작업부의 라인에 편평한 상태로 보내지게 된다.
공급시에 시이트는 자동 수직이동 체인 장치가 설치된 파일 지지판상에 저장되며, 시이트가 작업기계안으로 공급될 때 상부 파일은 동일하게 유지된다. 리프팅 흡착컵(lifting suction cup) 이 파일의 상면으로부터 시이트를 하나씩 차례대로 인출하여 캐리어 흡착컵으로 보내게 된다. 각각의 시이트를 이송 테이블로 보내기 위해 상기 캐리어 흡착컵에는 전후 수평운동장치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송 테이블에서 판상요소는 타일방향으로 배열되게 된다.
이송 테이블의 입구으로부터 각 시이트를 첫번째 작업부로 전달하기 위한 일 방법으로서, 구동 벨트와 가압롤러를 함께 사용하는 것이다. 이들 구동벨트와 가압롤러에 의해 시이트는 컨베이어 벨트상에 유지되면서 첫번째 작업부의 전방으로 보내지게 된다. 이어서, 각 시이트는 그립퍼 바아 체인에 의해 다음 작업부로 보내진다.
이 발명의 장치는 이송 테이블 바로 앞의 공급부에서 유용하다. 기계가 제대로 작동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들어온 각 판상요소의 선단 가장자리의 우측을 정렬시켜 기울어지지 않도록 하고, 또한 판상요소들이 이송 테이블상에 놓이는 속도를 단계적으로 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후자의 조건에 의해 컨베이어 벨트상에서시이트의 길이방향 위치, 즉 이동 경로상의 위치가 결정되며, 이에 따라, 판상요소가 오면 그립퍼 바아가 그 판상요소를 쉽게 잡을 수 있게 된다. 상기 속도는 이송 테이블상에 있는 연속된 두 판상요소의 두 선단 가장자리 사이의 공간으로 물리적으로 예측할 수 있다. 시이트의 선단 가장자리를 정렬하는 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장치가 기계의 제조속도와 동기적으로 작동할 때 상기 두 조건을 이행할 수 있다.
시이트를 길이방향으로 정렬하는 장치는 일반적으로 이송 테이블의 폭을 연결하는 횡축을 갖고 있다. 이 축은 캐리어 흡착컵으로 유지되는 시이트의 최상위 높이 보다 다소 밑에 위치된다. 축이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면, 축을 따라 뻗어 축에 고정된 블레이드가 시이트의 선단 가장자리에 대한 스탑(stop)으로서 작용하게 되어 그 시이트를 정렬시키게 된다. 축이 기계의 제조속도와 동기적이기 때문에, 축은 0 ∼45°범위에서 반복적으로 회전하게 되며, 따라서, 블레이드는 수직 폐쇄 위치와 개방된 경사 위치를 번갈아 가면서 플랩으로서 작용하게 된다. 이 마지막 경우에, 개방된 경사 위치는 이송 테이블에서 시이트의 이동을 허용한다.
이러한 종류의 몇몇 장치가 지금까지 알려져 있지만, 이들 장치중 몇개만이 시이트가 제조기계안으로 진입될 시기에 시이트의 초기상태와 관련된 부속적인 문제를 고려하고 있다. 패키지 산업에서 사용되는 유기질 종이 또는 카드보드 시이트는 이들이 취급 또는 저장되는 주변 조건에 특히 민감하다. 시이트의 기계적조건, 치수 조건 및 기하학적 조건에 크게 영향을 주는 것 중 하나가 주변 공기중의 습도이다. 시이트가 처음에는 편평하지만, 예컨대 주변의 습도의 변화로 인해시이트 자체가 종종 휘어지게 된다. 이러한 휘어짐 현상을 당 기술분야에서는 일반적으로 "와프(warp)" 라 부른다. 이 와프는 특히 골판지 시이트와 관련되며, 시이트의 두께가 클 수록 또는 시이트의 두면에 사용된 재료의 질이 다르면 와프는더 잘 생기게 되는데, 높은 인쇄질을 지니는 골판지 패키지 보드의 경우가 이에 해당된다. 물론, 와프 현상이 시이트의 두 대칭축선 중 하나와 비교해서 반드시 대칭 결함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사실, 시이트는 우측 보다 좌측에서 더 많이 휘어질 수 있으며, 그 반대도 가능하다.
심하게 휘어진 시이트를 제조기계에서 사용함은, 특히 시이트가 이송 테이블에 공급될 때, 또한 공급 직전에 시이트의 선단 가장자리가 정렬되는 동안에 다양한 문제가 생기게 됨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시이트는 그 중간부위에서 흡착컵에 잡히므로, 심하게 휘어진 시이트를 이송 테이블에 도입시키면, 이송 테이블의 선단 가장자리와 부딪히게 되는 시이트의 측방부에서 불편함이 발생하게 된다. 사실, 오목하게 휘어진 시이트의 경우, 이들 시이트의 측면 가장자리는 이송 높이 - 흡착컵에 잡혀진 시이트의 중앙부에 대응함 - 의 바로 밑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특허 CH 651'807 에 소개된 바와 같이, 이송 테이블의 선단부에 배치되는 타블렛을 사용할 수 있다. 아래로 휘어진 플레이트 또는 바아를 갖고 있는 이들 타블렛은 와프가 생긴 시이트의 심하게 휘어진 선단부의 이송을 한층 용이하게 해준다.
그러나, 심하게 휘어진 시이트를 사용해야만 하는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플랩은 항상 시이트의 이동 경로에 세워져 있게 된다. 이들 휘어진 시이트의 가장자리부는 개방된 플랩의 측방부와 부딪히게 되어, 시이트의 코너를 밑으로 향하게 할 위험이 있다. 이러한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 플랩의 중앙부만 유지함으로써 플랩의 길이를 줄일 수 있으며, 이렇게 하여 발생된 측방 릴리즈에 의해, 휘어진 시이트의 선단 가장자리는 쉽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방법에서는, 필요하다면, 플랩을 몇개의 분리가능한 부분으로 분할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몇가지 단점을 가지고 있는데, 즉 휘어짐의 중요성과 관련된 시이트의 중앙부에 국한된 부적절한 감소된 정렬, 그리고 감소된 공간에서 행하기가 쉽지 않은 추가적인 취급이 요구되고, 이 때문에, 플랩의 조립 및 분해를 위한 보조 공구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공급부에 있는 파일 지지판상에 쌓인 시이트의 휘어짐은 파일의 높이에 따라 변하기 때문에, 상기 방법은 작업 단계에서, 개방된 플랩 위로 지나가는 시이트의 이동에 대한 영구적인 제어를 필요로 하며, 또한 시이트의 휘어짐 정도에 따라 플랩의 길이를 제어하기 위해 반복적인 수동 조작이 필요하다. 이러한 몇몇 작업 때문에 기계를 빈번히 가동중지시켜야 하며, 이 때문에 제조비가 상승하게 된다.
시이트의 이송을 지지하는 측방 가이드의 형상은, 시이트의 길이방향 정렬을 위한 장치를 측방에서 제공하는 최대 릴리즈(release)에 따라 다소 변하게 된다. 이 릴리즈는, 플랩이 휘어진 시이트의 이동을 가능케 하는 필요한 개선대상이 될때 이 플랩의 측방부에 의해 점유되는 공간과 역관계로 동일하다. 플랩의 가장자리가 더욱 중요해질 수록, 시이트의 이동은 더 잘 이루어지고 그들의 휘어짐은 심하게 된다. 그러나, 반대로, 플랩과 접촉하는 시이트의 선단 가장자리의 경로의 길이가 길 수록, 시이트의 정렬은 더 잘 이루어지며 측방 릴리즈는 더 작게 된다.
지금까지, 기계 작업자는 이들 두 상반되는 보고의 특별한 조건에 대한 적절한 방안을 모색하였고, 상기한 바와 같은 반복된 그리고 편리하지 않은 조절을 방생시켰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시이트의 길이방향 정렬을 위해, 가동 플랩 스탑 축이 휘어진 시이트의 선단 가장자리의 곡선에 맞는 형상으로 될 수 있는 유니버셜 조인트가 구비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청구항 1 에 기재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장치는 이러한 목적에 적합한 것이다.
도 1 은 판상요소의 이동 방향에 따라, 하류를 향해 기계의 작업자 측에서 바라본 본 발명의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 는 동일한 방향에서 본 것으로, 본 발명의 장치의 운동학적 체인을 나타내는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4 와 도 5 는 플랩 스탑이 각각 폐쇄위치와 개방위치에 있을 때 도 2 의 기구의 작업자 측에서 본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판상요소의 길이방향 정렬 장치 2 : 판상요소
3 : 판상요소의 이동방향 5, 6 : 플레이트
9, 10 : 측방 브라켓 11, 12, 13, 14 : 고정 베어링
15, 16 : 풀리 17, 18 : 컨베이어 벨트
24 : 축 26, 27, 28 : 축의 부분
30, 31, 32 : 플랩 39 : 보호판
본 발명의 이점은, 이러한 장치에 의해, 대칭 또는 비대칭으로 심하게 휘어진 (4 내지 5% 까지) 시이트의 범위에 대해 거의 전 선단 가장자리에서 시이트를 정렬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장치는, 휘어진 시이트의 볼록한 형상에 적합하도록 그 형상을 쉽게 변화시킬 수 있는 경향 때문에 공급부에 주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도, 상기 장치의 플랩에 구성요소가 추가되거나 또는 그로부터 제거될 필요가 없으며, 또한 설치를 위해 보조적인 공구가 필요가 없어, 새로운 작업을 위해 기계를 준비할 때 시간을 많이 절약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신규한 본 장치에서는 플랩의 일부 구성요소들이 느슨하게 될 위험도 완전히 배제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몇몇 용어와 기계의 일부 구성요소의 방향을 정의하였는데, "작업자 측" 및 "작업자 반대측" 이라 함은, 기계의 길이방향 중앙 축선에 대한 측을 말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관찰자의 방향에 따른 좌측 및 우측에 대한 종래의 정의와 관련하여 발생하는 혼란을 막을 수 있다. 동일한 착상으로, 위치가 판상요소의 이동방향에 의해 결정되는 기계의 중앙 축선과 관련하여 "길이방향" 및 "횡방향" 이라는 일반적인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류" 및 "하류" 는 제조시 기계의 판상요소의 이동 경로에 관한 것이다.
다음의 비제한적인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면 본 발명을 더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 에는, 기계의 길이방향 축선상에 위치한 화살표 "3" 로 표시된 방향으로 이동하는 판상요소 (2) 를 길이방향으로 정렬하는 장치 (1) 가 전체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는 상기 판상요소 (2) 는 그의 하류 부분만 부분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비대칭 와프(휘어짐)를 갖고 있다. 이 와프의 곡선은 작업자 측에서 본 것이다. 심하게 휘어진 판상요소가 점선으로 표시된 하류의 이송 테이블 (8) 로 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2개의 접근 트랙이 제공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장치 (1) 는 경사 라인 (7) 을 따라 최적의 각도로 아래로 접혀진 두개의 플레이트 (5, 6) 를 구비하고 있다. 플레이트 (5, 6) 의 외측 가장자리는 장치 (1) 의 측방 브라켓 (9, 10) 에 각각 맞닿아 지지되며, 내측 가장자리는 패키지 제조기계의 프레임 (도시 안됨) 에 고정된 두개의 외측 베어링 (11, 12) 에 고정되어 있다. 두 내측 베어링 (13, 14) 은 상류 가장자리에서 외측 베어링 (11, 12) 과 두 풀리 (15, 16) 와 함께 베어링작용을 한다. 이들 풀리에 감긴 두개의 컨베이어 벨트 (17, 18) (도 3 참고) 에 의해, 패키지 제조기계내로 연속적으로 공급된 각 판상요소 (2) 가 이송 테이블 (8) 상으로 갈 수 있게 된다.
상류에서, 두 측방 브라켓 (9, 10) 의 선단부에서 안내홈 (20) 에서 수직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두 베어링 (21, 22) 은, 끝에 핸들 (23) 이 달린 스크류의 고정으로 안내홈안에서 개별적으로 정지할 수 있다. 이들 두 베어링 사이에는 축 (24) 이 있으며, 이 축은 4개의 유니버셜 조인트 (25) (도 2 참고) 에 의해 움직이게 된다. 유니버셜 조인트들이 구비된 상기 축 (24) 은 3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즉 두개의 측방부분 (27, 28) 및 베어링 (13, 14) 으로 지지되는 한개의 중앙부분 (26) 으로 되어 있다. 베어링 (21, 22) 의 수직방향 운동으로, 두개의 내측 유니버셜 조인트 (25) 의 주위를 회전하는 측방부분 (27, 28) 의 기울기가 소정의 범위내에서 쉽게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조절이 핸들 (23) 의 사용으로 수동으로 행해지지만, 모든 제조단계에서 쉽게 변할 수 있는 시이트의 휘어짐에 따라 제어를 포함해서 자동화가 가능하다.
유니버셜 조인트가 구비된 상기 축의 각 부분은 판상요소 (2) 의 하류 선단 가장자리를 향해 상류로 향한 플랩을 지지하고 있으며, 잘 정렬된 플랩 (30, 31, 32) 은 판상요소 (2) 의 길이방향 정렬을 위한 횡단면 스탑을 형성하게 된다. 도 1 에서, 플랩은 폐쇄 위치에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는데, 즉 판상요소 (2) 의 이동을 억제하여 정렬 스탑을 형성하기 위한 수직 위치에 있다. 중앙 플랩 (30) 은도 3 에 도시된 두개의 지지부 (33) 에 의해 중앙부분 (26) 에 고정되어 있다. 이들 지지부는 기계의 길이방향 축선에 대해 대칭으로 중앙부분의 가장 높은 부위에서, 밀링가공으로 형성된 편평한 레벨 (34) (도 2) 상에 나사결합되어 있다. 결국 중앙 플랩 (30) 은 스크류 (35) 에 의해 상기 지지부에 고정되는 것이다. 두 측방 플랩 (31, 32) 은, 스크류 (36) 및 측방부분 (27, 28) 에 설치된 고정 클램프 (37) 에 의해 측방부분에 각각 고정된다.
플랩의 윗 가장자리는 둥글게 되어 있는데, 특히 측방 플랩 (31, 32) 의 외측 가장자리가 둥글게 되어 있어, 심하게 휘어진 시이트의 이동에 대해 최대한의 릴리즈가 보장된다. 중앙 플랩 (30) 은 수평의 직선 상부 가장자리를 갖고 있으며, 이 상부 가장자리의 중앙부에는 개구 (38) 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의 존재로 인해, 중앙 플랩으로부터 하류에 기계의 길이방향 축선상에 설치된 센서 (도시 안됨) 로부터 나온 발광 비임이 전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센서를 이용하면, 시이트의 길이방향 정렬을 행하면서 장치에 따라 파일 (pile) 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한번에 한장의 시이트만 이송 테이블에 전달할 수 있다. 측방 플랩 (31, 32) 은 사다리꼴로 서로 유사하며, 따라서, 측방 플랩의 외측 단부를 그에 대응하는 수직 베어링 (21, 22) 을 운동시켜 세팅할 때, 수평선이 얻어지도록 이들 플랩의 윗 가장자리를 중앙 플랩의 윗 가장자리와 정렬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작업자 측에서 본 도 1 에서 플랩 (30, 32) 으로 나타나 있다. 측방 플랩의 외측 가장자리의 높이가 가장 낮게 될 때 이들의 아랫 가장자리가 기계 프레임에 연결된 도시되지 않은 실시예에 스크류 (40) (도 3) 로 고정된 보호판 (39) 의 인접 가장자리에 평행하도록, 측방 플랩을 사다리꼴로 만들 수 있다. 이러한 제 2 구성은 작업자 측에서 본 도 1 에서 플랩 (30, 31) 으로 나타나 있으며, 따라서 중간 공간을 최대한 줄임으로써 형상이 보호판 (39) 과 동일하게 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장치의 운동학적 체인을 형성하는 기구를 나타낸다. 도시된 여러 구성요소가 차지하는 위치는 도 1 에서 동일 구성요소가 차지하는 위치와 같다. 판상요소 (2) 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장치 (1) 의 플랩이 교번으로 하강되도록 하기 위해, 또한 다가오는 다음 판상요소를 정렬시키기 위해 플랩을 세울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유니버셜 조인트가 구비된 상기 축 (24) 이 판상요소의 이동 경로 쪽으로 바람직하게는 0∼45°의 규정된 각도로 동일한 운동범위로 움직일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교번운동은 전달축 (42) 의 작업자 측 단부에 설치된 제어용 풀로드 (41) 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전달축은 베어링 (14) 및 다른 베어링이 있는 측방 브라켓 (10) 에 의해 회전운동하게 된다. 제어용 풀로드 (41) 의 교번운동은 축 (44) 에 부착된 캠 (43) 에 의해 이루어지며, 상기 축 (44) 은 판상요소의 이동속도에 동기하여, 도시되지 않은 장치에 의해 연속적으로 회전하게 된다.
도 3, 4 및 5 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캠 (43) 의 특별한 형상은 축 (46) 의 단부에 고정된 리딩 롤러 (45) 에 의해 리지스터된다. 이 축의 반대쪽 단부는 작업자 측의 반대편에 있는 축 (42) 의 최종 단부에 견고하게 부착되어 있어, 축 (46) 의 회전운동이 제어용 풀로드 (41) 에 전달될 수 있다. 끝에 링크 (47) 가 있는 상기 제어용 풀로드 (41) 는 전달축 (42) 의 축선을 중심으로 상부위치로 부터 하부위치로 또한 그 반대방향으로 진동하게 된다. 자유회전 풀로드 (48) 는 링크 (47) 를, 유니버셜 조인트가 있는 상기 축의 중앙부분 (26) 에 견고하게 고정된 링크 (49) 에 연결시킨다. 풀로드 (48) 는, 한 방향 및 그 역방향으로 번갈아가며 모멘트를 발생시킴으로써 유니버셜 조인트가 있는 상기 축의 중앙부분 (26) 에 작용하는 전달링크의 중심 요소로서 기능하게 되며, 플랩 (30, 31, 32) 을 연속적으로 눕히거나 세우기 위해 축 (24) 전체를 회전시키기게 된다.
운동학적 체인의 변화를 보상하고 또 캠에 의한 제어를 보장하기 위해, 유니버셜 조인트가 있는 상기 축의 측방부분 (27, 28) 은 두개의 트랙션 스프링 (51, 52) 에 의해, 베어링 (11, 12) 의 외측면에 견고하게 고정된 스터드 (53) 에 연결되어 있다. 이들 스프링의 상류 단부는, 스크류 (57) 에 의해 서로 고정되어 있는 스프링 어태치먼트 (55) 와 스페이서 (56) 사이에 배치된 베어링에 고정되어 있다. 도 2 에서 보다 잘 볼 수 있듯이, 클램프 (37) 와 마찬가지로 상기 스프링 어태치먼트도 유니버셜 조인트가 있는 상기 축의 대응 측방부분에 고정되어 있다. 스프링 위에서 플레이트 (5, 6) 에 두개의 구멍 (58) 이 있기 때문에, 스프링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도 4, 5 는 플랩 (30, 31, 32) 이 각각 폐쇄위치 및 개방위치에 있을 때 작업자 측에서 본 도 2 의 기구의 측면도이다. 이들 두 도면에는, 본 발명에 따라 축의 하강 및 상승에 관여하는 기구의 본체의 운동이 잘 나타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장치는, 대칭 또는 비대칭으로 심하게 휘어진 (4 내지 5% 까지) 시이트의 범위에 대해 거의 전 선단 가장자리에서 시이트를 정렬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장치는, 휘어진 시이트의 볼록한 형상에 적합하도록 그 형상을 쇱게 변화시킬 수 있는 경향 때문에 공급부에 주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도, 본 장치의 플랩에 구성요소가 추가되거나 또는 그로부터 제거될 필요가 없으며, 또한 설치를 위해 보조적인 공구가 필요가 없어, 새로운 작업을 위해 기계를 준비할 때 시간을 많이 절약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신규한 본 장치에서는 플랩의 일부 구성요소들이 느슨하게 될 위험도 완전히 배제된다.

Claims (9)

  1. 판상요소 (2) 를 가공하는 기계의 공급부내에서 상기 판상요소를 길이방향으로 정렬시키는 장치 (1) 로서, 이 장치는 두개의 측방 브라켓 (9, 10) 으로 고정되며, 이 측방 브라켓의 사이에는 판상요소를 위한 접근 트랙이 설치되고, 이 접근 트랙은, 두개의 컨베이어 벨트 (17, 18) 에 의해 하류로 전달되는 판상요소 (2) 의 이동방향 (3) 과 직교하지 않는 라인 (7) 을 따라 하방으로 접혀진 두개의 플레이트 (5, 6) 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컨베이어 벨트는 장치 (1) 의 입구에 있는 고정 베어링 (11, 12, 13, 14) 사이에 설치된 둘 이상의 풀리 (15, 16) 를 지나고, 상기장치 (1) 는 선단부로서 보호판 (39) 을 구비하며, 상기 두 측방 브라켓 (9, 10) 의 선단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축 (24) 에 설치되어 움직일 수 있는 플랩 (30, 31, 32) 이 상기 보호판 위에 제공되며, 또한 판상요소 (2) 가 연속적으로 정렬될 수 있도록, 상기 축은 기계의 제조속도와 동기하여 0∼45°의 각도로 교번으로 회전하게 되는, 판상요소를 길이방향으로 정렬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축 (24) 은 각기 플랩 (30, 31, 32) 중의 하나를 지지하는 다수의 부분 (26, 27, 28) 으로 연결 및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상요소를 길이방향으로 정렬시키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축 (24) 은 상기 부분 (26, 27, 28) 과 연결된 유니버셜 조인트 (25) 에 의해 움직이며, 축 (24) 의 가장자리는 수직면에서 서로 개별적으로 조정될 수 있는 가동 베어링 (21, 22) 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플랩 (30) 이 수직의 폐쇄위치에 있을 때 이 플랩 (30) 의 윗가장자리는 컨베이어 벨트 (17, 18) 와 거의 동일한 높이에 있게 되며 또한 플랩이 경사진 개방위치에 있을 때는 이 스테이지 보다 밑에 있게 되는 위치에서 중앙부분이 고정 베어링 (13, 14) 에 의해 수평으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베어링 (21, 22) 은 측방 브라켓 (9, 10) 의 단부에 형성된 안내홈 (20) 에서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며, 이에 따라 축 (24) 의 가장자리가 중앙부분 위쪽의 위치로부터 이 중앙부분 아래쪽의 위치로 움직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가동 브라켓 (21, 22) 의 이동은, 각 베어링을 안내홈 (20) 에 단단히 나사고정시키는 핸들 (23) 이 달린 나사를 푼 다음 수동으로 행해지거나, 또는 판상요소 (2) 를 가공하는 기계에 공급된 이 판상요소의 휘어짐 정도에 따라 제어될 수 있는 액츄에이터에 의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랩 (30, 31, 32) 은 기계의 길이방향 축선에 대해 대칭으로 자동정렬 축 (24) 에 영구적으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랩 (30, 31, 32) 은 폐쇄위치로 세워지면 모두 동일한 수직면에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측방 플랩 (31, 32) 은 대응 베어링 (21, 22) 의 수직방향 이동에 의한 상기 플랩의 외측 가장자리의 높이 설정으로 사다리꼴 모양으로 유사하며, 수평의 직선이 되도록 상기 플랩의 윗가장자리는 중앙 플랩 (30) 의 윗가장자리와 정렬될 수 있고, 또한 측방 플랩 (31, 32) 의 외측 유니버셜 조인트 (25) 는 중앙 부분 (26) 보다 위쪽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측방 플랩 (31, 32) 의 외측 가장자리가 하부 위치에 있을 때 이들의 아랫 가장자리는 보호판 (39) 의 인접 가장자리와 평행하게 되도록 상기 측방 플랩이 사다리꼴 모양으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01-0011644A 2000-03-08 2001-03-07 판상요소를 가공하는 기계의 공급부내에서 그 판상요소를 길이방향으로 정렬시키는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4144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H00448/00A CH693951A5 (fr) 2000-03-08 2000-03-08 Dispositif pour l'alignement longitudinal d'elements en plaques dans une station d'introduction d'une machine les travaillant.
CH20000448/00 2000-03-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8422A KR20010088422A (ko) 2001-09-26
KR100414407B1 true KR100414407B1 (ko) 2004-01-07

Family

ID=4515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1644A Expired - Fee Related KR100414407B1 (ko) 2000-03-08 2001-03-07 판상요소를 가공하는 기계의 공급부내에서 그 판상요소를 길이방향으로 정렬시키는 장치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6481709B2 (ko)
EP (1) EP1136404B1 (ko)
JP (1) JP3418181B2 (ko)
KR (1) KR100414407B1 (ko)
CN (1) CN1152813C (ko)
AT (1) ATE271509T1 (ko)
BR (1) BR0100922B1 (ko)
CA (1) CA2339561C (ko)
CH (1) CH693951A5 (ko)
DE (1) DE60104350T2 (ko)
ES (1) ES2225322T3 (ko)
TW (1) TW49180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693951A5 (fr) * 2000-03-08 2004-05-14 Bobst Sa Dispositif pour l'alignement longitudinal d'elements en plaques dans une station d'introduction d'une machine les travaillant.
CH694086A5 (fr) * 2000-05-16 2004-07-15 Bobst Sa Presse de façonnage.
CN103395299B (zh) * 2013-07-11 2016-05-11 汤振华 一种打印介质纵向定位机构
DE102014014939A1 (de) * 2014-10-07 2016-04-07 Kolbus Gmbh & Co. K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Aufrichten vorwiegend flächiger Materialzuschnitte
US11520544B2 (en) 2017-07-14 2022-12-06 Georgia-Pacific Corrugated Llc Waste determination for generating control plans for digital pre-print paper, sheet, and box manufacturing systems
US10642551B2 (en) 2017-07-14 2020-05-05 Georgia-Pacific Corrugated Llc Engine for generating control plans for digital pre-print paper, sheet, and box manufacturing systems
US20190016551A1 (en) 2017-07-14 2019-01-17 Georgia-Pacific Corrugated, LLC Reel editor for pre-print paper, sheet, and box manufacturing systems
US11449290B2 (en) 2017-07-14 2022-09-20 Georgia-Pacific Corrugated Llc Control plan for paper, sheet, and box manufacturing systems
US11485101B2 (en) 2017-07-14 2022-11-01 Georgia-Pacific Corrugated Llc Controls for paper, sheet, and box manufacturing systems
CN113173442B (zh) * 2020-01-18 2024-03-29 长兴县泗安民丰彩印厂 一种瓦楞纸板复合输出设备及其生产线
CN112677564A (zh) * 2020-12-30 2021-04-20 上海奥特玛特物流设备有限公司 一种用于生产缓冲充气袋的自动化套袋装置
CN112721992B (zh) * 2021-01-29 2024-07-12 中车山东机车车辆有限公司 一种空气制动装置及轨道车辆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98232A (ja) * 1983-04-26 1984-11-10 Canon Inc シ−ト搬送装置
JPS6082553A (ja) * 1983-10-07 1985-05-10 Fuji Xerox Co Ltd 原稿斜め送り補正装置
JPS63229448A (ja) * 1987-03-18 1988-09-26 Minolta Camera Co Ltd 原稿位置合せ兼案内装置
JPH0597287A (ja) * 1991-03-25 1993-04-20 Icl Personal Syst Oy プリンタ
JPH0988989A (ja) * 1995-09-29 1997-03-31 Canon Inc ジョイント機構及びシート送り装置及び画像読取装置
EP1136404A2 (fr) * 2000-03-08 2001-09-26 Bobst S.A. Dispositif pour l'alignement longitudinal d'éléments en plaques dans une station d'introduction d'une machine les travaillant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3664B (de) * 1954-04-05 1957-08-14 Bobst & Sohn A G J Vorrichtung zum Einstellen der Anlegemarken in einer Bogen bearbeitenden Maschine, wie Druckmaschine und Presse zum Schneiden von Papier oder Pappe
JPS5680543U (ko) * 1979-11-27 1981-06-30
US4353540A (en) * 1980-08-29 1982-10-12 Xerox Corporation Sheet feeder with pivotable baffle
CH651807A5 (fr) * 1983-03-31 1985-10-15 Bobst Sa Dispositif d'asservissement des organes delivrant des feuilles prises dans une pile a une machine les travaillant.
DE3504435A1 (de) * 1985-02-09 1986-08-14 Miller-Johannisberg Druckmaschinen Gmbh, 6200 Wiesbaden Bogen-druckmaschine mit bogenanlage an einem druckmaschinen-zylinder
JP2610137B2 (ja) * 1987-08-17 1997-05-14 リョービ株式会社 枚葉印刷機の前当位置調整装置
US4957285A (en) * 1988-04-07 1990-09-18 Konica Corporation Document feeder with sheet edge regulating mechanism
DE8816641U1 (de) * 1988-12-03 1990-01-25 Heidelberger Druckmaschinen Ag, 6900 Heidelberg Vorrichtung zur Passerkorrektur der Bogenaufdrucke in einer Bogenrotationsdruckmaschine
DE4306238C2 (de) * 1993-02-27 1996-06-13 Heidelberger Druckmasch Ag Vorderkantenanschlag zum Ausrichten auf dem Anlegetisch
JP3768578B2 (ja) * 1996-01-08 2006-04-19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斜行補正装置及び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98232A (ja) * 1983-04-26 1984-11-10 Canon Inc シ−ト搬送装置
JPS6082553A (ja) * 1983-10-07 1985-05-10 Fuji Xerox Co Ltd 原稿斜め送り補正装置
JPS63229448A (ja) * 1987-03-18 1988-09-26 Minolta Camera Co Ltd 原稿位置合せ兼案内装置
JPH0597287A (ja) * 1991-03-25 1993-04-20 Icl Personal Syst Oy プリンタ
JPH0988989A (ja) * 1995-09-29 1997-03-31 Canon Inc ジョイント機構及びシート送り装置及び画像読取装置
EP1136404A2 (fr) * 2000-03-08 2001-09-26 Bobst S.A. Dispositif pour l'alignement longitudinal d'éléments en plaques dans une station d'introduction d'une machine les travaill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481709B2 (en) 2002-11-19
US20010020767A1 (en) 2001-09-13
ES2225322T3 (es) 2005-03-16
KR20010088422A (ko) 2001-09-26
CH693951A5 (fr) 2004-05-14
CN1152813C (zh) 2004-06-09
JP3418181B2 (ja) 2003-06-16
DE60104350T2 (de) 2005-08-04
CN1312211A (zh) 2001-09-12
EP1136404A2 (fr) 2001-09-26
BR0100922A (pt) 2001-10-30
DE60104350D1 (de) 2004-08-26
EP1136404B1 (fr) 2004-07-21
BR0100922B1 (pt) 2008-11-18
TW491808B (en) 2002-06-21
ATE271509T1 (de) 2004-08-15
EP1136404A3 (fr) 2003-01-02
JP2001270637A (ja) 2001-10-02
CA2339561A1 (en) 2001-09-08
CA2339561C (en) 2006-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14407B1 (ko) 판상요소를 가공하는 기계의 공급부내에서 그 판상요소를 길이방향으로 정렬시키는 장치
US8647248B2 (en) Device for conveying and folding blanks
JP5868117B2 (ja) シート状材料から成るスタックを反転する装置および方法
AU700669B2 (en) Opening and lowering cartons onto article groups
KR101653598B1 (ko) 박스 판지 인쇄용 플렉서의 자동공급장치
KR100350918B1 (ko) 절곡-접착기에서 부분적으로 절곡된 박판형 또는 판형 작업물의 변환중 횡방향 정렬을 위한 롤러 또는 벨트식 교정장치
CN110817385A (zh) 一种全自动上料机
US5106070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the further processing of stacked, preferably folded printing products
US5098081A (en) Side guides adjustment mechanism
CA2498536C (en) Device for aligning plate-like workpieces in a machine processing them
CN217476687U (zh) 一种纸板输送设备
AU778553B2 (en) A device for positioning sheets in a machine station
JP2563159B2 (ja) ボックスブランク加工機のボックスブランク整合装置
US7150707B2 (en) Folding box gluing machine for production of folding boxes from blanks
JP7603257B2 (ja) 用紙裁断装置
US20100108471A1 (en) Squaring-up device for a package converting line
JPH08259025A (ja) 枚葉紙用給紙装置
EP3277490A1 (en) Cutting station for a tire building machine
KR102739106B1 (ko) 골판지의 적층 정렬장치
KR102187392B1 (ko) 자동급지기
JP2006335570A (ja) シートを処理する機械にシートを搬送する方法および装置
JPH04173624A (ja) 材料給送装置
TW202406822A (zh) 片材處理機
JP2023072365A (ja) 作業機
CN120172071A (zh) 一种板材高效堆垛平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030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310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312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312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11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120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2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21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20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20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13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12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1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20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118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123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7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117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129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7

Year of fee payment: 1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127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1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