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12092B1 - 고분자 전해질 및 이를 채용한 리튬 전지 - Google Patents

고분자 전해질 및 이를 채용한 리튬 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2092B1
KR100412092B1 KR10-2001-0024041A KR20010024041A KR100412092B1 KR 100412092 B1 KR100412092 B1 KR 100412092B1 KR 20010024041 A KR20010024041 A KR 20010024041A KR 100412092 B1 KR100412092 B1 KR 1004120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
meth
vinyl acetate
polymer electrolyte
acryl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40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84614A (ko
Inventor
이경희
김기호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240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2092B1/ko
Priority to JP2002130108A priority patent/JP4418140B2/ja
Priority to US10/136,431 priority patent/US6933080B2/en
Priority to CNB021215197A priority patent/CN1302069C/zh
Publication of KR200200846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46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20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2092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6/00Prim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6/14Cell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6/18Cell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with solid electrolyte
    • H01M6/181Cell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with solid electrolyte with polymeric electroly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5Polymeric materials, e.g. gel-type or solid-typ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2/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carboxyl radical and containing at least one other carboxyl radical in the molecule;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 C08F222/10Esters
    • C08F222/1006Esters of polyhydric alcohols or polyhydric phenols
    • C08F222/102Esters of polyhydric alcohols or polyhydric phenols of dialcohols, e.g.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or 1,4-butanediol dimethacryl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6Liquid materials
    • H01M10/0567Liqu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3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prismatic or rectangul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6/00Prim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6/14Cell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6/18Cell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with solid electrolyte
    • H01M6/188Processes of manufa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6/00Prim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6/04Cells with aqueous electrolyte
    • H01M6/06Dry cells, i.e. cells wherein the electrolyte is rendered non-fluid
    • H01M6/10Dry cells, i.e. cells wherein the electrolyte is rendered non-fluid with wound or folded electro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08Electric battery cell mak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cromonomer-Based Addition Polymer (AREA)
  • Secondary Cells (AREA)
  • Primary Cells (AREA)
  • Conductive Materials (AREA)
  • Cell Sepa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화형 고분자 전해질과 이를 채용한 리튬 전지를 제공한다. 이 때 상기 고분자 전해질은 폴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와, 비닐아세테이트 모노머 또는 비닐아세테이트 모노머와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의 혼합물과, 리튬염과 유기용매로 구성된 전해액을 혼합하여 만든 조성물을 경화시켜 얻은 것으로서, 기계적 물성, 가공성 및 이온전도도 특성이 우수하다.

Description

고분자 전해질 및 이를 채용한 리튬 전지{Polymer electrolyte and lithium battery employing the same}
본 발명은 고분자 전해질 및 이를 채용한 리튬 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기로는 상온에서의 이온전도도 및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고분자 전해질 및 이를 채용하고 있는 리튬 전지에 관한 것이다.
고분자 전해질이 상온에서 높은 이온전도도를 나타낸다는 사실이 알려진 이래, 이들을 각종 전기화학전지의 전해질 재료로 유망시되고 있고, 특히 상온에서의 이온전도도 특성이 우수한 고분자 전해질에 대한 연구가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연구의 대부분은 액체 전해액을 함유하고 있는 가소화된 고분자 전해질에 관한 것이다. 가소화된 고분자 전해질은 고분자 매트릭스에 많은 양의 액체 전해액을 첨가하여 제조한 것으로서 리튬 2차 전지의 상용화에 기여하는 바가 크다.
한편, 고분자 전해질의 고분자 매트릭스 형성용 재료로서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를 기초로 한 경화형 고분자,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이들의 조합물(combination) 등이 사용된다. 이러한 고분자 전해질에 대한 구체적인 예는 다음과 같다.
미국 특허 제4,908,283호에는 아크릴로일 변성 폴리알킬렌 옥사이드(acryloyl-denatured polyalkylene oxide)로 구성된 조성물을 경화하여 만든 고분자 전해질이 개시되어 있고, 미국 특허 제4,792,504호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폴리에틸렌옥사이드로 구성된 고분자 전해질이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일본 특개소 63-94501호에는 아크릴로일변성 폴리알킬렌옥사이드와 무기 이온염으로 구성되며 활성광선의 조사로서 경화되는 고분자 전해질이 공지되어 있다.
또한, 미국 특허 제4,830,939호에는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와 액체 전해액을 혼합한 후, 이를 경화시켜 가소화된 고분자 전해질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방법에 따라 제조된 고분자 전해질은 이온전도도 특성은 우수하지만, 고분자 전해질의 기계적 강도가 약하다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여 이온전도도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기계적 강도가 개선된 고분자 전해질과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 고분자 전해질을 채용함으로써 가공성, 고율 방전 특성 및 저온에서의 방전 특성이 개선된 리튬 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첫번째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폴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비닐아세테이트 모노머와,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비닐아세테이트 모노머와 화학식 3의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의 혼합물중에서 선택된 하나;
리튬염과 유기용매를 함유하는 전해액;을 포함하는 고분자 전해질 형성용 조성물의 경화 생성물(cured product)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전해질을 제공한다.
<화학식 1>
<화학식 2>
<화학식 3>
상기식중, R1은 H 또는 CH3이고, n은 1 내지 100,000이고,
R2는 H 또는 CH3이고, R3은 H 또는 CH3이고 R4는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기이다.
상술한 고분자 전해질 형성용 조성물에서 화학식 1의 폴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와, 화학식 2의 비닐아세테이트 모노머와, 화학식 2의 비닐아세테이트 모노머와 화학식 3의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의 혼합물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혼합중량비는 1:0.0001 내지 0.0001:1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화학식 1의 폴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와, 화학식 2의 비닐 아세테이트 모노머와, 화학식 2의 비닐 아세테이트 모노머와 화학식 3의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의 혼합물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총중량과 전해액의 혼합중량비가 1:0.1 내지 1:5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고분자 전해질 형성용 조성물은 경화 개시제 및 경화 촉매를 더 포함하기도 한다. 이 때 경화 개시제는 과산화벤조일, 과산화아세틸,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이고, 그 함량은 화학식 1의 폴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와, 화학식 2의 비닐 아세테이트 모노머와, 화학식 2의 비닐 아세테이트 모노머와 화학식 3의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의 혼합물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총중량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01 내지 10 중량부이다. 그리고 상기 경화 촉매는 트리에틸아민, 트리부틸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및 N-벤질디메틸아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이고, 그 함량이 화학식 1의 폴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와, 화학식 2의 비닐 아세테이트 모노머와, 화학식 2의 비닐 아세테이트 모노머와 화학식 3의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의 혼합물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총중량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2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두번째 기술적 과제는 화학식 1의 폴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와,
화학식 2의 비닐 아세테이트 모노머와, 화학식 2의 비닐 아세테이트 모노머와 화학식 3의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의 혼합물중에서 선택된 하나와,
리튬염과 유기용매로 이루어진 전해액을 혼합하여 고분자 전해질 형성용 조성물을 얻는 단계; 및
상기 고분자 전해질 형성용 조성물을 캐스팅한 다음, 열 또는 자외선을 이용하여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전해질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화학식 1>
<화학식 2>
<화학식 3>
상기식중, R1은 H 또는 CH3이고, n은 1 내지 100,000이고,
R2는 H 또는 CH3이고, R3은 H 또는 CH3이고 R4는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기이다.
본 발명의 세번째 기술적 과제는 상술한 고분자 전해질을 채용한 리튬 전지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고분자 전해질의 이온 전도도나 기계적 물성은 일반적으로 고분자 매트릭스 형성용 고분자의 가교도에 큰 영향을 받는다. 고분자 매트릭스 형성용 고분자로서 폴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를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전해질의 이온전도도는 우수하나, 높은 가교도로 인하여 기계적 물성이 약해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폴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에 비닐아세테이트 모노머 또는 비닐아세테이트 모노머와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의 혼합물을 첨가하여 고분자 전해질의 가교도를 낮게 조절한 것이다. 이와 같이 고분자 전해질의 가교도를 낮게 조절하면 고분자 전해질의 기계적 물성을 개선시킬 수 있으면서 고분자 전해질의 가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고분자 전해질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고분자 매트릭스 형성용 재료는, 화학식 1의 폴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와, 화학식 2의 비닐 아세테이트 모노머와, 화학식 2의 비닐 아세테이트모노머와 화학식 3의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의 혼합물중에서 선택된 하나를 혼합하여 만든다. 이 고분자 매트릭스 형성용 재료를 리튬염과 유기용매로 이루어진 전해액과 혼합하여 고분자 전해질 형성용 조성물을 만든다.
상술한 고분자 전해질 형성용 조성물에 있어서, 고분자 매트릭스 형성용 재료와 전해액의 중량비는 1:0.1 내지 1:50인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고분자 매트릭스 형성용 재료가 전해액의 함량에 대하여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고분자 전해질 필름의 기계적 물성이 취약함과 동시에 이온 전도 특성이 낮고,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에는 전해액 함량이 지나치게 많아 전구체들의 반응성이 떨어져 고분자 전해질 필름을 얻을 수 없게 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술한 고분자 매트릭스 형성용 재료에 있어서, 화학식 1의 폴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와, 화학식 2의 비닐 아세테이트 모노머 및 화학식 2의 비닐 아세테이트 모노머와 화학식 3의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의 혼합물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혼합중량비는 1:0.0001 내지 0.0001:1인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1:0.01 내지 0.01:1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화학식 1의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의 함량이 화학식 2의 비닐 아세테이트 및 화학식 2의 비닐 아세테이트 모노머와 화학식 3의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의 혼합물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함량에 대하여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고분자 전해질 필름의 기계적 강도가 매우 취약해지고,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에는 고분자 전해질 필름 제조용 전구체들의 반응성이 저하되어 고분자 전해질 필름을 얻기가 어려워지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화학식 1의 폴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200 내지 100000인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중량 평균 분자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폴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의 반응에 의하여 형성되는 필름의 기계적 물성이 매우 취약하여 바람직하지 못하다. 그리고 화학식 3의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에서 R4는 특히 메틸기 또는 에틸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고분자 전해질 형성용 조성물에 필요한 경우에 경화 개시제 및 경화 촉매를 첨가한 후, 균일한 용액이 얻어질 때까지 혼합한다. 여기서 경화 촉매는 경화속도 향상을 위한 물질로서, 트리에틸아민, 트리부틸아민, 트리에탄올아민, N-벤질디메틸아민 등의 아민류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하며, 그 함량은 고분자 매트릭스 형성용 재료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2.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경화 촉매의 함량이 2.0 중량부를 초과하면 고분자 전해질의 전기화학적 특성이 저하되고, 0.01 중량부 미만이면, 경화 반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그리고 경화 개시제로는 벤조페논, 과산화벤조일, 과산화아세틸, 과산화라우로일 및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하며, 그 함량은 고분자 매트릭스 형성용 재료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01 내지 1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나서, 이 혼합물을 지지기판상에 캐스팅한 후, 열 또는 자외선을 이용하여 경화시킨다. 여기서 지지기판으로는 전해질 필름을 박리해내어 유리기판, 테프론기판 등을 사용한다. 그리고 상기 경화온도는 25 내지 80℃인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경화온도가 8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액체 전해액의 휘발이나 리튬염의 분해가 야기되고, 25℃ 미만인 경우에는 경화 반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어서, 경화가 완료되면, 지지기판으로부터 박리해내어 본 발명에 따른 고분자 전해질을 얻는다.
상술한 고분자 전해질 제조방법에 있어서, 전해액을 구성하는 유기용매로는 리튬 전지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라면 어느 것이라도 무방하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에틸렌 카보네이트, 디메틸카보네이트, 메틸에틸 카보네이트, 디에틸 카보네이트, 테트라하이드로퓨란, 2-메틸하이드로퓨란, 디에톡시에탄, 메틸포르메이트, 에틸포르메이트 및 감마부티로탁톤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한다. 유기용매의 함량은 전해액 100 중량부에 대하여 90 내지 99.9 중량부이다.
또한, 전해액을 구성하는 리튬염은 과염소산 리튬(LiClO4), 사불화붕산 리튬(LiBF4), 육불화인산 리튬(LiPF6), 삼불화메탄술폰산 리튬(LiCF3SO3) 및 리튬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아미드(LiN(CF3SO2)2)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한다. 그리고 리튬염의 함량은 전해액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부이다.
또한, 본 발명의 고분자 전해질 형성용 조성물에는 고분자 전해질의 기계적강도 및 전극과의 계면 성능 향상을 위하여 접착성 개선제, 충진제 등과 같은 각종 첨가제를 더 부가할 수 있다.
이하, 상기 방법에 따라 제조된 고분자 전해질을 이용하여 리튬 전지를 제조하는 방법을 살펴보기로 한다.
리튬 전지 제조시 사용되는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캐소드와 애노드를 각각 제조한다. 이 때 캐소드 활물질로는 리튬 금속 복합 산화물, 전이금속 화합물, 설퍼 화합물 등을 사용하며, 애노드 활물질로는 리튬 금속, 탄소재, 흑연재 등을 사용한다.
그 후, 상기 캐소드와 애노드 사이에 상기 과정에 따라 형성된 고분자 전해질을 삽입하고 이를 와인딩(winding)하거나 스택킹(stacking)하여 전극 구조체를 형성한 다음, 이를 전지 케이스에 넣어 전지를 조립한다.
이후, 전극 구조체가 수납된 전지 케이스내에, 유기용매와 리튬염을 함유하는 전해액을 주입함으로써 리튬 전지가 완성된다.
본 발명의 리튬 전지는 특별히 그 형태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리튬 일차 전지, 리튬 이차 전지 모두가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하되,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폴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화학식 1에서, R1이 CH3이고, n은 8이고, 중량평균분자량은 550임) 8.18 g, 비닐 아세테이트(화학식 2에서, R2는 H임) 0.91g, 경화 개시제인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0.01g, 경화 촉매인 트리에틸아민 0.01g, 전해액인 1.3M LiPF6EC:DEC(3:7 중량비) 용액 90.87g를 혼합하여 고분자 전해질 형성용 조성물을 만들었다. 이 조성물을 테프론 기판상에 캐스팅한 다음, 이를 80℃에서 2시간동안 경화시켰다. 이어서, 상기 테프론 기판으로부터 필름을 박리하여 고분자 전해질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폴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7.27g, 비닐아세테이트 1.81g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따라 실시하여 고분자 전해질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폴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6.36g, 비닐아세테이트 2.73g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따라 실시하여 고분자 전해질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고분자 전해질 형성용 조성물 제조시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8.18g, 비닐아세테이트 0.46g를 사용하고, 상기 조성물에 메틸메타크릴레이트(화학식 3에서, R3과 R4가 모두 CH3임) 0.45g를 더 부가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따라 실시하여 고분자 전해질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폴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7.27g, 비닐 아세테이트 0.91g, 메틸메타크릴레이트 0.91g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에 따라 실시하여 고분자 전해질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
폴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6.36g, 비닐 아세테이트 1.37g, 메틸메타크릴레이트 1.36g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에 따라 실시하여 고분자 전해질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육불화인산리튬, 벤조페논을 균일하게 혼합한 다음, 이를 유기판위에 캐스팅한 다음, 여기에 UV 광선을 조사하여 고분자 전해질 필름을 얻었다(미국 특허 제4,830,939호 참조).
<실시예 7>
LiCoO294 중량부, 슈퍼-P 3 중량부 및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 3 중량부를 N-메틸-2-피롤리돈에 용해하여 캐소드 활물질 슬러리를 제조하였다. 이 캐소드 활물질 슬러리를 폭이 4.9㎝, 두께가 147㎛인 Al-호일에 도포하고, 이를 건조 및 압연한 뒤 소정치수로 절단하여 캐소드를 제조하였다.
메조카본파이버(MCF: Petoca사) 89.8 중량부, 옥살산 0.2 중량부, PVDF 10 중량부를 N-메틸-2-피롤리돈에 용해하여 애노드 활물질 슬러리를 제조하였다. 이애노드 활물질 슬러리를 폭이 5.1㎝, 두께가 178㎛인 구리 호일상에 도포한 다음, 이를 건조 및 압연하고 소정 치수로 절단하여 애노드를 제조하였다.
상기 캐소드와 애노드 사이에 세퍼레이타를 배치하고 이를 와인딩하여 전극 조립체를 만들었다. 이 전극 조립체를 전지 케이스내에 넣은 다음, 전구체/개시제/액체 전해액으로 구성된 혼합물을 감압하여 주입하였다.
이어서, 상기 결과물을 80℃에서 2시간동안 경화하여 리튬 2차 전지를 완성하였다. 여기에서 전해액으로는 1.3M 3:7 중량비 LiPF6EC:DEC를 사용하였다.
상기 실시예 1-6 및 비교예 1에 따라 제조된 고분자 전해질을 디스크 형태의 시편으로 만들고, 이를 스테인레스 스틸 전극과 접촉시켜 상온에서의 이온전도도를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실시예 1 내지 6의 고분자 전해질은 이온전도도가 각각 3.1×10-3, 4.2×10-3, 4.0×10-3, 3.8×10-3, 5.2×10-3, 5.2×10-3S/cm으로 매우 우수하였다. 그리고 비교예 1에 따른 고분자 전해질의 이온전도도는 실시예 1 내지 6의 경우와 거의 동일한 수준을 나타냈다.
한편, 상기 실시예 1-6 및 비교예 1에 따라 제조된 고분자 전해질의 유연성과 기계적 강도를 평가하였다. 여기서 고분자 전해질의 유연성 및 기계적 강도는 고분자 전해질 필름을 손으로 힘을 가해 누른 경우, 필름의 상태를 조사하여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 실시예 1-6의 고분자 전해질은 탄성을 갖고 있어서 여기에 힘을가한다고 하더라도 부서지는 현상 등이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 비교예 1의 경우는 필름에 힘을 가했을 때 부서지는 특성을 나타냈다. 이러한 사실로부터 실시예 1-6의 고분자 전해질은 비교예 1의 경우에 비하여 유연성이 양호할 뿐만 아니라 기계적 강도 특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상기 실시예 7에 따라 제조된 리튬 2차 전지에 있어서, 상온에서의 율별 방전 용량과 -20℃에서의 방전 용량 특성을 테스트하였다.
그 결과, 전지의 율별 특성 및 -20℃에서의 방전 용량 특성이 모두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온에서의 이온 전도도가 우수하고 전해질 필름의 유연성과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고분자 전해질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고분자 전해질을 이용하면, 고율 방전 특성 및 저온 방전 특성이 개선된 리튬 전지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대해 상기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7)

  1.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폴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비닐아세테이트 모노머와,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비닐아세테이트 모노머와 화학식 3의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의 혼합물중에서 선택된 하나;
    리튬염과 유기용매를 함유하는 전해액;
    경화 개시제; 및
    경화 촉매를 포함하는 고분자 전해질 형성용 조성물의 경화 생성물(cured product)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전해질:
    <화학식 1>
    <화학식 2>
    <화학식 3>
    상기식중, R1은 H 또는 CH3이고, n은 1 내지 100,000이고,
    R2는 H 또는 CH3이고, R3은 H 또는 CH3이고 R4는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기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폴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와,
    화학식 2의 비닐아세테이트 모노머와, 화학식 2의 비닐아세테이트 모노머와 화학식 3의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의 혼합물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혼합중량비가 1:0.0001 내지 0.0001: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전해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폴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와,
    화학식 2의 비닐 아세테이트 모노머와, 화학식 2의 비닐 아세테이트 모노머와 화학식 3의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의 혼합물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총중량과
    전해액의 혼합중량비가 1:0.1 내지 1: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전해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3의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에서, R4가 메틸기 또는 에틸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전해질.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개시제가 과산화벤조일, 과산화아세틸,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이고, 그 함량은 화학식 1의 폴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와, 화학식 2의 비닐 아세테이트 모노머와, 화학식 2의 비닐 아세테이트 모노머와 화학식 3의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의 혼합물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총중량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01 내지 1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전해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 촉매가 트리에틸아민, 트리부틸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및 N-벤질디메틸아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이고, 그 함량이 화학식 1의 폴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와,
    화학식 2의 비닐 아세테이트 모노머와, 화학식 2의 비닐 아세테이트 모노머와 화학식 3의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의 혼합물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총중량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2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전해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폴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200 내지 100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전해질.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튬염이 과염소산 리튬(LiClO4), 사불화붕산 리튬(LiBF4), 육불화인산 리튬(LiPF6), 삼불화메탄술폰산 리튬(LiCF3SO3) 및 리튬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아미드(LiN(CF3SO2)2)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이고, 그 함량이 전해액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전해질.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용매가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에틸렌 카보네이트, 디메틸카보네이트, 메틸에틸 카보네이트, 디에틸 카보네이트, 테트라하이드로퓨란, 2-메틸하이드로퓨란, 디에톡시에탄, 메틸포르메이트, 에틸포르메이트 및 감마부티로탁톤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이고, 그 함량이 전해액 100 중량부에 대하여 90 내지 99.9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전해질.
  11. 화학식 1의 폴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와,
    화학식 2의 비닐 아세테이트 모노머와, 화학식 2의 비닐 아세테이트 모노머와 화학식 3의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의 혼합물중에서 선택된 하나와,
    리튬염과 유기용매로 이루어진 전해액과 경화촉매와 경화개시제를 혼합하여 고분자 전해질 형성용 조성물을 얻는 단계; 및
    상기 고분자 전해질 형성용 조성물을 캐스팅한 다음, 열 또는 자외선을 이용하여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전해질의 제조방법.
    <화학식 1>
    <화학식 2>
    <화학식 3>
    상기식중, R1은 H 또는 CH3이고, n은 1 내지 100,000이고,
    R2는 H 또는 CH3이고, R3은 H 또는 CH3이고 R4는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기이다.
  12. 삭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개시제가 과산화벤조일, 과산화아세틸,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이고, 그 함량은 화학식 1의 폴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와, 화학식 2의 비닐 아세테이트 모노머와, 화학식 2의 비닐 아세테이트 모노머와 화학식 3의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의 혼합물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총중량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01 내지 1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전해질의 제조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 촉매가 트리에틸아민, 트리부틸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및 N-벤질디메틸아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이고, 그 함량이 화학식 1의 폴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와,
    화학식 2의 비닐 아세테이트 모노머와, 화학식 2의 비닐 아세테이트 모노머와 화학식 3의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의 혼합물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총중량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2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전해질의 제조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폴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와,
    화학식 2의 비닐아세테이트 모노머와, 화학식 2의 비닐아세테이트 모노머와 화학식 3의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의 혼합물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혼합중량비가 1:0.0001 내지 0.0001: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전해질의 제조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폴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와,
    화학식 2의 비닐 아세테이트 모노머와, 화학식 2의 비닐 아세테이트 모노머와 화학식 3의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의 혼합물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총중량과
    전해액의 혼합중량비가 1:0.1 내지 1: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전해질의 제조방법.
  17. 제1항 내지 제4항, 제6항 내지 제10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고분자 전해질을 채용하고 있는 리튬 전지.
KR10-2001-0024041A 2001-05-03 2001-05-03 고분자 전해질 및 이를 채용한 리튬 전지 Expired - Lifetime KR1004120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4041A KR100412092B1 (ko) 2001-05-03 2001-05-03 고분자 전해질 및 이를 채용한 리튬 전지
JP2002130108A JP4418140B2 (ja) 2001-05-03 2002-05-01 高分子電解質、その製造方法及びこれを採用したリチウム電池
US10/136,431 US6933080B2 (en) 2001-05-03 2002-05-02 Polymer electrolyte, preparation method for the same and lithium battery using the same
CNB021215197A CN1302069C (zh) 2001-05-03 2002-05-03 聚合物电解质、其制备方法以及使用该电解质的锂电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4041A KR100412092B1 (ko) 2001-05-03 2001-05-03 고분자 전해질 및 이를 채용한 리튬 전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4614A KR20020084614A (ko) 2002-11-09
KR100412092B1 true KR100412092B1 (ko) 2003-12-24

Family

ID=19709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4041A Expired - Lifetime KR100412092B1 (ko) 2001-05-03 2001-05-03 고분자 전해질 및 이를 채용한 리튬 전지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933080B2 (ko)
JP (1) JP4418140B2 (ko)
KR (1) KR100412092B1 (ko)
CN (1) CN1302069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5985A (ko) * 2002-03-22 2003-09-26 새한에너테크 주식회사 리튬이온 고분자 전지 제조방법
KR100449761B1 (ko) * 2002-05-18 2004-09-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해액의 분해반응이 억제된 리튬 2차 전지 및 그 제조방법
JP2004071560A (ja) * 2002-08-07 2004-03-04 Samsung Sdi Co Ltd リチウム−硫黄電池用高分子電解質及びこれを含むリチウム−硫黄電池
KR100454030B1 (ko) * 2002-08-07 2004-10-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황 전지용 양극,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리튬-황 전지
JP3932511B2 (ja) * 2003-04-09 2007-06-20 ソニー株式会社 電池
KR100508925B1 (ko) * 2003-07-01 2005-08-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용 고분자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이차 전지
KR100529085B1 (ko) * 2003-09-24 2005-11-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용 고분자 전해질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제조된 리튬 이차 전지
KR100542198B1 (ko) 2003-10-23 2006-01-1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폴리머 이차 전지
US6979508B2 (en) * 2003-11-12 2005-12-27 Ener 1 Inc. Fuel cell with integrated feedback control
KR100788565B1 (ko) * 2004-06-21 2007-12-2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이온이차전지
US9093720B2 (en) * 2005-12-14 2015-07-28 Lg Chem, Ltd. Non-aqueous electrolyte and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JP5240818B2 (ja) * 2007-03-16 2013-07-17 Necエナジーデバイス株式会社 リチウムポリマー電池の製造方法
JP2009146868A (ja) * 2007-12-18 2009-07-02 Nec Tokin Corp リチウムポリマー電池
CN101714669B (zh) * 2009-05-26 2011-05-04 张新 凝胶聚合物锂离子电池及其制造方法
CN101826635A (zh) * 2010-04-09 2010-09-08 广州天赐高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锂电池用聚合物电解液及其电池的制造方法
CN101807717A (zh) * 2010-04-20 2010-08-18 诺莱特科技(苏州)有限公司 一种凝胶电解液及其制备方法以及使用该凝胶电解液的电池及其制备方法
CN103178303B (zh) * 2013-01-22 2017-05-24 东莞新能源科技有限公司 聚合物凝胶电解液电芯的制备方法
CN106165179A (zh) * 2014-03-21 2016-11-23 巴斯夫欧洲公司 固体电解质
US9891379B2 (en) * 2014-11-14 2018-02-13 Corning Incorporated Optical fiber coating compositions with acrylic polymers
CN108598570B (zh) * 2018-06-28 2020-09-04 苏州清陶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凝胶聚合电解质膜片的制备方法及其在锂离子电池中的应用
KR102510293B1 (ko) * 2018-09-20 2023-03-1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고체 고분자 전해질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고체 고분자 전해질
CN109818055A (zh) * 2019-02-24 2019-05-28 中国科学院青岛生物能源与过程研究所 一种宽温区防热失控的电解液及其构成的二次锂电池
CN118791655B (zh) * 2024-09-14 2025-01-28 深圳市贝特瑞新能源技术研究院有限公司 有机固态电解质材料、硅基固态电池及其制备方法与应用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95713A (ja) * 1989-12-25 1991-08-27 Mitsubishi Petrochem Co Ltd 高吸水性ポリマーの製造法
JPH10130346A (ja) * 1996-08-19 1998-05-19 Korea Res Inst Chem Technol 重合体イオン伝導膜及びその製造方法
US5755985A (en) * 1994-09-06 1998-05-26 Hydro-Quebec LPB electrolyte compositions based on mixtures of copolymers and interpenetrated networks
KR19990084542A (ko) * 1998-05-08 1999-12-06 이병길 리튬 2차전지용 고분자 전해질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000000779A (ko) * 1998-06-03 2000-01-15 손욱 자외선 경화형 고분자 겔 전해질
JP2001006740A (ja) * 1999-06-25 2001-01-12 Sanyo Electric Co Ltd ポリマー電解質を備えたリチウム二次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20077732A (ko) * 2001-04-02 2002-10-14 한국과학기술원 리튬고분자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08283A (en) 1986-10-09 1990-03-13 Ube Industries, Ltd. Preparation of ion conductive solid electrolyte
JPS6394501A (ja) 1986-10-09 1988-04-25 宇部興産株式会社 イオン伝導性固体電解盾の製造法
US4798773A (en) * 1986-11-21 1989-01-17 Mitsubishi Petrochemical Co., Ltd. Solid polymer electrolyte composition
US4792504A (en) 1987-09-18 1988-12-20 Mhb Joint Venture Liquid containing polymer networks as solid electrolytes
US4830939B1 (en) 1987-10-30 1996-10-08 Mhb Joint Venture Radiation cured solid electrolytes and electrochemical devices employing the same
JP2817923B2 (ja) * 1987-10-30 1998-10-30 デヴァーズ・エムエス・カンパニー ソリッドステート電池
JPH03207752A (ja) * 1990-01-08 1991-09-11 Yuasa Battery Co Ltd ポリマー固体電解質
JP3151049B2 (ja) * 1991-11-29 2001-04-03 旭化成株式会社 薄膜状光重合性導電ペースト組成物積層体
JPH05178948A (ja) * 1991-12-27 1993-07-20 Yuasa Corp イオン伝導性高分子化合物
KR950008604A (ko) * 1993-09-07 1995-04-19 안시환 자외선 경화형 리튬이온 고분자 고체 전해질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US5596038A (en) * 1994-05-16 1997-01-21 Physiometrix, Inc. Hydrogel having a silicon-based crosslinker for biosensors and electrodes
US5609974A (en) * 1995-08-04 1997-03-11 Battery Engineering, Inc. Rechargeable battery polymeric electrolyte
IL135078A0 (en) * 1999-03-17 2001-05-20 Noboru Oyama Polymer electrolyte
CA2333277A1 (en) * 1999-03-23 2000-09-28 Nisshinbo Industries, Inc. Ion-conductive solid polymer-forming composition and ion-conductive solid polymer electrolyte, binder resin and secondary cell
JP2000311715A (ja) * 1999-04-26 2000-11-07 Mitsubishi Chemicals Corp リチウム二次電池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95713A (ja) * 1989-12-25 1991-08-27 Mitsubishi Petrochem Co Ltd 高吸水性ポリマーの製造法
US5755985A (en) * 1994-09-06 1998-05-26 Hydro-Quebec LPB electrolyte compositions based on mixtures of copolymers and interpenetrated networks
JPH10130346A (ja) * 1996-08-19 1998-05-19 Korea Res Inst Chem Technol 重合体イオン伝導膜及びその製造方法
KR19990084542A (ko) * 1998-05-08 1999-12-06 이병길 리튬 2차전지용 고분자 전해질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000000779A (ko) * 1998-06-03 2000-01-15 손욱 자외선 경화형 고분자 겔 전해질
JP2001006740A (ja) * 1999-06-25 2001-01-12 Sanyo Electric Co Ltd ポリマー電解質を備えたリチウム二次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20077732A (ko) * 2001-04-02 2002-10-14 한국과학기술원 리튬고분자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418140B2 (ja) 2010-02-17
CN1388172A (zh) 2003-01-01
US6933080B2 (en) 2005-08-23
CN1302069C (zh) 2007-02-28
US20030003368A1 (en) 2003-01-02
KR20020084614A (ko) 2002-11-09
JP2003017129A (ja) 2003-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12092B1 (ko) 고분자 전해질 및 이를 채용한 리튬 전지
JP4418134B2 (ja) 高分子ゲル電解質およびそれを用いてなるリチウム電池
KR100337889B1 (ko) 리튬 2차전지
KR100440939B1 (ko) 고분자 전해질 및 이를 채용한 리튬 전지
US20030232240A1 (en) Polymer electrolyte with effective leakage resistance and lithium battery using the same
KR102128041B1 (ko) 고체 고분자 전해질, 이를 포함하는 전극 구조체 및 전기화학소자, 그리고 고체 고분자 전해질 막의 제조방법
US6632571B2 (en) Polymeric gel electrolyte and lithium battery employing the same
KR100373731B1 (ko) 리튬 2차 전지 및 그 제조방법
KR102240873B1 (ko) 고분자 전해질막, 이를 포함하는 전극 구조체 및 전기화학소자, 그리고 상기 고분자 전해질막의 제조방법
CN115224358B (zh) 一种聚合物基固态电解质、锂离子电池及其制备方法
US20040029016A1 (en) Polymer electrolyte for lithium-sulfur battery and lithium-sulfur battery comprising same
KR100325876B1 (ko)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가 중합된 고분자 전해질 조성물 및이를 포함하는 리튬 2차 전지
KR100369077B1 (ko) 리튬 2차 전지 및 그 제조방법
JPH10223044A (ja) ゲル状高分子固体電解質
CN1189514C (zh) 用于锂离子电池的聚合物电解质及其制备方法
KR100395817B1 (ko) 고온 방치 특성이 개선된 리튬 전지 및 그 제조방법
KR100858801B1 (ko) 고분자 전해질 및 이를 채용한 리튬 전지
KR100645354B1 (ko) 고분자 전해질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채용한 리튬 전지
KR100382069B1 (ko) 리튬 2차 전지의 제조방법
KR100424261B1 (ko) 고율 특성과 저온 특성이 개선된 리튬 2차전지 및 그제조방법
KR100970400B1 (ko) 술포닐기를 포함한 단량체를 이용하여 형성된 고분자전해질 및 이를 채용한 리튬 전지
WO2022004628A1 (ja) 電解質、二次電池及びコンポジット材
KR100357958B1 (ko) 리튬 일차 전지
KR100354258B1 (ko) 리튬 2차 전지
KR100433000B1 (ko) 신규 모노머를 포함하는 고분자 전해질 조성물 및 이를이용하여 제조된 고분자 전해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050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304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311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312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312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11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11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1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1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1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12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3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12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5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12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8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118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3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123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5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115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1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121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9

Year of fee payment: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119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3

Year of fee payment: 1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203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204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211103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