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02238B1 - 반도체 장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장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2238B1
KR100402238B1 KR1019960076363A KR19960076363A KR100402238B1 KR 100402238 B1 KR100402238 B1 KR 100402238B1 KR 1019960076363 A KR1019960076363 A KR 1019960076363A KR 19960076363 A KR19960076363 A KR 19960076363A KR 100402238 B1 KR100402238 B1 KR 1004022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film
buried contact
amorphous silicon
form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6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7093A (ko
Inventor
황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199600763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2238B1/ko
Publication of KR199800570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70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22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2238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28Manufacture of electrodes on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8
    • H01L21/28008Making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 H01L21/28017Making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the insulator being formed after the semiconductor body, the semiconductor being silicon
    • H01L21/28026Making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the insulator being formed after the semiconductor body, the semiconductor being silicon characterised by the conductor
    • H01L21/28035Making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the insulator being formed after the semiconductor body, the semiconductor being silicon characterised by the conductor the final conductor layer next to the insulator being silicon, e.g. polysilicon, with or without impurities
    • H01L21/28044Making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the insulator being formed after the semiconductor body, the semiconductor being silicon characterised by the conductor the final conductor layer next to the insulator being silicon, e.g. polysilicon, with or without impurities the conductor comprising at least another non-silicon conductive layer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64/00Electrodes of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D64/60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s
    • H10D64/66Electrodes having a conductor capacitively coupled to a semiconductor by an insulator, e.g. MIS electrodes
    • H10D64/661Electrodes having a conductor capacitively coupled to a semiconductor by an insulator, e.g. MIS electrodes the conductor comprising a layer of silicon contacting the insulator, e.g. polysilicon having vertical doping variation
    • H10D64/662Electrodes having a conductor capacitively coupled to a semiconductor by an insulator, e.g. MIS electrodes the conductor comprising a layer of silicon contacting the insulator, e.g. polysilicon having vertical doping variation the conductor further comprising additional layers, e.g. multiple silicon layers having different crystal structures
    • H10D64/663Electrodes having a conductor capacitively coupled to a semiconductor by an insulator, e.g. MIS electrodes the conductor comprising a layer of silicon contacting the insulator, e.g. polysilicon having vertical doping variation the conductor further comprising additional layers, e.g. multiple silicon layers having different crystal structures the additional layers comprising a silicide layer contacting the layer of silicon, e.g. polycide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des Of Semiconductors (AREA)
  • Insulated Gate Type Field-Effect Transistor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반도체 장치 제조방법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종래의 방법에 의한 게이트 전극은 폴리 실리콘막 상에 도핑된 불순물이 실리사이드막에 확산되어 게이트 공핍 영역을 크게 형성하여 접촉 저항이 증가하여 반도체 장치의 특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음.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결정 입자 크기가 큰 비정질 실리콘막을 사용하여 폴리 실리콘막 내의 불순물이 실리사이드막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반도체 장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반도체 장치의 게이트 전극 형성에 이용됨.

Description

반도체 장치 제조방법
본 발명은 반도체 장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베리드 콘택을 가진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종래 기술 및 그 문제점을 살펴본다.
먼저, 실리콘 기판 상부에 게이트 산화막을 형성하고, 그 상부에 베리드 콘택 폴리 실리콘막을 증착한 후, 그 상부에 베리드 콘택 형성을 위한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식각 장벽으로하여 베리드 콘택 폴리 실리콘막 및 게이트 산화막을 선택적 식각하고,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제거한 다음, 전체 구조 상부에 폴리 실리콘막을 증착하고, 폴리 실리콘막 상에 실리사이드막 형성한다. 계속하여, 실리사이드막 상부에 게이트 전극 형성을 위한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한다.
끝으로,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식각 장벽으로하여 실리사이드막, 폴리 실리콘막, 베리드 콘택 폴리 실리콘막 및 게이트 산화막을 차례로 선택적 식각하고,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제거한다.
상기와 같은 공정을 통해 형성된 종래의 베리드 콘택은 결정 입자의 크기가 작은 폴리 실리콘막에 도핑된 불순물이 쉽게 실리사이드막에 확산되어 게이트 공핍영역을 크게 형성하여 콘택의 접촉 저항이 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결정 입자 크기가 큰 비정질 실리콘막을 사용하여 폴리 실리콘막내의 불순물이 실리사이드막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반도체 장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게이트 전극 형성 공정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실리콘 기판 11 : 게이트 산화막
12 : 베리드 폴리 실리콘막 13,16 : 포토레지스트 패턴
14 : 비정질 실리콘막 15 : 실리사이드막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반도체 기판 상부에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 절연막 상부에 베리드 콘택 폴리 실리콘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베리드 콘택 형성을 위한 제1 마스크를 사용하여 상기 베리드 콘택 폴리 실리콘막 및 상기 게이트 절연막을 선택 식각하는 단계; 전체구조 상부에 상기 반도체 기판 상에 콘택되는 비정질 실리콘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비정질 실리콘막 상에 실리사이드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게이트 전극 형성을 위한 제2 마스크를 사용하여 상기 실리사이드막, 상기 비정질 실리콘막, 상기 베리드 콘택 폴리 실리콘막 및 상기 게이트 절연막을 차레로 선택적 식각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술한다.
먼저,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리콘 기판(10) 상부에 게이트 산화막(11)을 형성하고, 그 상부에 베리드 콘택 폴리 실리콘막(12)을 약 200Å 내지 약 500Å두께로 증착한 후, 그 상부에 베리드 콘택 형성을 위한 포토레지스트 패턴(13)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토레지스트 패턴(13)을 식각 장벽으로하여 베리드 콘택 폴리 실리콘막(12) 및 게이트 산화막(11)을 선택적 식각하고, 포토레지스트 패턴(13)을 제거한 다음, 전체 구조 상부에 비정질 실리콘막(14)을 약 1000Å 내지 약 3000Å 두께로 증착하고, 비정질 실리콘막(14) 상에 약 2000Å 내지 약 4000Å 두께의 실리사이드막(15) 형성한다. 계속하여, 실리사이드막(15) 상부에 게이트 전극 형성을 위한 포토레지스트 패턴(16)을 형성한다.
이때, 비정질 실리콘막(14)은 베리드 콘택 폴리 실리콘막(12) 내의 불순물이 실리사이드막(15) 내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불순물의 실리사이드막(15) 내로의 확산은 폴리 실리콘막의 결정립계 확산에 의한 불순물의 큰 확산도에 기인한다. 그러므로, 전체적인 결정입계의 길이 즉, 입자 크기를 크게 늘림으로써 불순물의 실리사이드막(15) 내로의 확산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베리드 콘택 폴리 실리콘막(12)은 비정질 실리콘막(14)을 곧바로 게이트 산화막(22) 상부에 형성하면 게이트 산화막(11)의 환원(deoxidization)을 방지하기 위하여 필요하다. 베리드 콘택 폴리 실리콘막(12)은 이러한 환원을 방지할 수 있는 최소의 두께로 증착함으로써 베리드 콘택 폴리 실리콘막(12) 내의 불순물의 집중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끝으로,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토레지스트 패턴(15)을 식각 장벽으로 하여 실리사이드막(15), 폴리 실리콘막(14), 베리드 콘택 폴리 실리콘막(12) 및 게이트 산화막(11)을 차례로 선택적 식각하고, 포토레지스트 패턴(16)을 제기한다. 이때, 베리드 콘택 인터커넥션(interconnection)도 동시에 형성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게이트 전극은 게이트 산화막 상부에 베리드 콘택 폴리 실리콘막, 비정질 실리콘막 및 실리사이드막 구조를 형성하여 반도체 장치의 신뢰도 및 동작 특성의 개선을 기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게이트 산화막 상부에 베리드 콘택 폴리 실리콘막, 비정질 실리콘막 및 실리사이드막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게이트 공핍을 방지하고, 이로 인하여 접촉 저항을 감소시켜 반도체 장치의 동작 특성 및 신뢰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반도체 기판 상부에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 절연막 상부에 베리드 콘택 폴리 실리콘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베리드 콘택 형성을 위한 제1 마스크를 사용하여 상기 베리드 콘택 폴리 실리콘막 및 상기 게이트 절연막을 선택 식각하는 단계;
    전체구조 상부에 상기 반도체 기판 상에 콘택되는 비정질 실리콘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비정질 실리콘막 상에 실리사이드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게이트 전극 형성을 위한 제2 마스크를 사용하여 상기 실리사이드막, 상기 비정질 실리콘막, 상기 베리드 콘택 폴리 실리콘막 및 상기 게이트 절연막을 차례로 선택적 식각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반도체 장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정질 실리콘막은
    약 1000Å 내지 약 3000Å 두께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반도체 장치 제조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베리드 콘택 폴리 실리콘막은 약 200Å 내지 약 500Å 두께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반도체 장치 제조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사이드막은 약 2000Å 내지 약 4000Å 두께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반도체 장치 제조방법.
KR1019960076363A 1996-12-30 1996-12-30 반도체 장치 제조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4022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6363A KR100402238B1 (ko) 1996-12-30 1996-12-30 반도체 장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6363A KR100402238B1 (ko) 1996-12-30 1996-12-30 반도체 장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7093A KR19980057093A (ko) 1998-09-25
KR100402238B1 true KR100402238B1 (ko) 2004-02-14

Family

ID=37422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6363A Expired - Fee Related KR100402238B1 (ko) 1996-12-30 1996-12-30 반도체 장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223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04203A (ja) * 1992-09-18 1994-04-15 Fujitsu Ltd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H06140355A (ja) * 1992-10-26 1994-05-20 Nippon Steel Corp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H06291307A (ja) * 1993-03-30 1994-10-18 Nippon Steel Corp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H07142422A (ja) * 1990-12-05 1995-06-02 Oki Electric Ind Co Ltd 半導体素子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42422A (ja) * 1990-12-05 1995-06-02 Oki Electric Ind Co Ltd 半導体素子の製造方法
JPH06104203A (ja) * 1992-09-18 1994-04-15 Fujitsu Ltd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H06140355A (ja) * 1992-10-26 1994-05-20 Nippon Steel Corp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H06291307A (ja) * 1993-03-30 1994-10-18 Nippon Steel Corp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7093A (ko) 1998-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61648A (en) Method of fabricating a thin-film transistor
KR100278273B1 (ko) 반도체장치의콘택홀형성방법
US5874330A (en) Method for fabricating semiconductor device
KR0129985B1 (ko) 반도체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US6274482B1 (en) Semiconductor processing methods of forming a contact opening
US5536679A (en) Method for fabrication of semiconductor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short circuits
KR100402238B1 (ko) 반도체 장치 제조방법
KR19990087022A (ko)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KR100390891B1 (ko) 고집적반도체소자의제조방법
JP2695812B2 (ja) 半導体装置
KR100255514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제조방법
KR100191710B1 (ko) 반도체 소자의 금속 배선 방법
KR19980057095A (ko) 반도체 장치의 게이트 전극 형성방법
KR100461331B1 (ko) 반도체소자의도전배선형성방법
KR960006339B1 (ko)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
KR100356828B1 (ko)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
KR0166203B1 (ko) 반도체장치의 콘택 형성방법
KR100399965B1 (ko) 반도체 장치의 전하저장 전극 콘택 형성방법
KR100195236B1 (ko) 반도체 장치의 금속 배선 형성 방법
JPH08227891A (ja) 絶縁膜の形成方法
JPH0521796A (ja) 薄膜トランジスタ
KR19990060023A (ko) 액정 표시 장치용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과 그 제조 방법
JPS5943832B2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19980057094A (ko) 반도체 장치의 금속 콘택방법
KR980011874A (ko) 스터드 비트 라인 형성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6123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1120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6123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309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310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310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9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91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00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92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20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92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209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