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393375B1 - 성형판넬연결용클램프 - Google Patents

성형판넬연결용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3375B1
KR100393375B1 KR1019950001081A KR19950001081A KR100393375B1 KR 100393375 B1 KR100393375 B1 KR 100393375B1 KR 1019950001081 A KR1019950001081 A KR 1019950001081A KR 19950001081 A KR19950001081 A KR 19950001081A KR 100393375 B1 KR100393375 B1 KR 1003933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dge
clamp
clamping
point
appl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10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3130A (ko
Inventor
죠세프메르켈
Original Assignee
파샬-베르크 게. 마이에르 게엠바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샬-베르크 게. 마이에르 게엠바하 filed Critical 파샬-베르크 게. 마이에르 게엠바하
Publication of KR9500331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31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33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33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02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with separate coupling elements
    • E04G7/04Flexible elements, with or without brackets, e.g. ropes, cables, chai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4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 E04G17/045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being tensioned by wedge-shap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02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 E04G2009/023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with edge protection
    • E04G2009/025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with edge protection by a flange of the board's fram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4Clasp, clip, support-clamp,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 Y10T24/44291Clasp, clip, support-clamp,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including pivoted gripping member
    • Y10T24/44342Clasp, clip, support-clamp,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including pivoted gripping member having rigid linking arm pivotally connected to each gripping memb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4Clasp, clip, support-clamp,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 Y10T24/44291Clasp, clip, support-clamp,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including pivoted gripping member
    • Y10T24/44496Clasp, clip, support-clamp,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including pivoted gripping member with operator means for moving pivoted member
    • Y10T24/44513Camming or wedging el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Cable Accessories (AREA)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Casting Devices For Molds (AREA)
  • Molds, Core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of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 Control Of Driving Devices And Active Controlling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평면에 나란히 배치된 성형 판넬의 테두리부(2)를 연결하는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두 개의 클램핑죠오(4)를 가지며 각각의 클램핑죠오(4)는 각을 가지고 클램핑 지점(4a)으로부터 떨어진 죠오단부에 위치한 조정아암(5)을 가지며 상기 조정아암(5)은 차례로 쐐기(9)형태의 작동 혹은 조정요소에 적용하기 위한 지점들을 가지며 두 조정아암(5)상의 이 적용지점들은 쐐기(9)에 적용하기 위한 단일지점형태를 위한 조합에 적합하며 상기 쐐기(9)는 이 적용지점과 테두리부 사이를 미끄러질 수 있어서 클램프(1)에 속하는 접합점(12)상에 접합하여 적용점들의 이동이 가능하고 따라서 성형표면(3)으로부터 적용지점들과 성형표면(3)으로부터 떨어진 조건아암이 이동가능함으로써 클램핑죠오(4)를 폐쇄하게 되어있고 작용공간을 줄이고 원활한 유도를 위해 클램핑죠오(4)가 폐쇄되는 평면에서 이동가능한 만곡된 쐐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성형판넬 연결용 클램프{a clamp for connecting form panels}
본 발명은 성형판넬들을 상호연결하기 위한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2 이상의 테두리부, 구체적으로는 테두리부 전체에 걸쳐 테두리웨브 또는 중공형 부분을 가지고 동일 평면상 측면과 측면이 서로 맞대도록 배치된 2개의 성형판넬들을 상호 연결해주는데 사용하는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상기 클램프는 각각 선회운동을 하여 서로 접촉하고 있는 성형판넬 테두리부의 서로 반대측 측면을 가압하도록 된 2개의 클램핑죠오(clamping jaw)를 가지고, 이 클램핑죠오를 선회시키기 위한 작동부재를 추가로 가지며, 이들 각 클램핑죠오는, 이 클램핑죠오에 대해 소정각도를 유지함과 아울러 클램핑 지점에서 먼 쪽의 죠오말단에 위치한 조정 아암을 가진다. 한 쪽 조정아암은 다른 쪽 조정아암 쪽으로 향하도록 뻗어있고 모서리 부근에서 이송부가 선회 설치되어 있으며 조정부재는 조정아암이 선회베어링에 대해 소정간격을 유지하게 해 주는 한편, 작용점들은 클램프를 닫기위해 성형표 면에서 떨어져 조정아암과 함께 이동가능하도록 되어있다.
상기와 같은 클램프는, 독일특허번호 88 14 208 U호와 유럽특허번호 0 369197 B1에 개시된 바와 같이, 필요한 죔력을 효과적으로 발생시키고 특히 조작의 용이함을 제공해 준다는 점에서 만족할 만한 결과를 가져왔다. 상기 문헌에서 작동부재는 작동레버를 가진 편심체 형태로 되어 있고 이 편심회전축은 판벽에 직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 편심기가 회전할 때 편심기의 교차점과 선회베어링의 변위는 동시에 이 교차점 혹은 선회베어링 영역의 편심기에 연결된 두 개의 조정아암에 상응하는 변형을 유발한다. 판벽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조정아암의 선회운동은 동시에 함께 연결되도록 테두리부를 향해 클램핑죠오를 선회시킨다. 이것은 클램프의 조작이 매우 간단함을 보여준다.
그러나 적절치 못하게 조작된다면 과도한 죔력에 의해 테두리부가 손상을 입게 된다. 이것은 두 테두리웨브 사이에 면적불일치를 보상하기 위해 이격부가 설치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용자가 편심기를 가동시키는 경우에 해당된다. 더우기 구동레버가 폐쇄위치에 있는 선회위치에서 수평축에 대해 180도 회전하게 되어있는 클램프에 대해서는 말할 필요도 없다.
독일특허번호 42 36 070 A1에 다소의 플렛웨브를 가지는 부위의 연결에 더욱 적합하게 되어 있는 전체 디자인에 따른 성형 패널의 테두리부 연결용 클램프가 공개되어 있다. 클램핑죠오는 어떠한 조정아암도 가지고 있지 않다. 오히려 하나의 쐐기의 형상으로 조정요소를 적용하기 위한 지점이 클램핑죠오 자신의 확장부위에 위치하고 있다. 그래서 중공형태의 테두리부를 상호 연결하기 위한 클램프는 매우 큰 전체 디면션 (Dimension)을 가진다. 그 클램프는 한 편으로는 양쪽 클램핑죠요의 멀리 떨어진 적용지점에 그리고 다른 한 편으로는 클램핑죠오의 하우징 내부에 적용되어진다. 그 클램프가 중공웨브의 연결을 위해 배열되어 있다면 특히 하우징이 상대적으로 길어지고 쐐기 또한 그에 상응한 길이를 가지게 된다. 그래서 이 쐐기는 충분히 큰 힘으로 양쪽 클램핑죠오를 선회시킬 수 없게 된다.
독일실용신안 번호 80 09 045에 나란히 배치된 성형 판넬을 연결하기 위한 다른 형태의 장치 즉, 적용되는 잡아당기는 힘을 통해 두 개의 성형 판넬의 테두리부에서 웨브를 가로지르고 연결을 촉진시키는 볼트가 공개되어 있다. 이 잡아당기는 힘은 관통핀을 통해 볼트위에 편심장착된 편심기의 도움에 의해서든지 볼트의 슬롯을 가로지르는 쐐기의 도움 혹은 볼트의 나선의 도움에 의해 적용될 수 있다. 그 장치가 클램프가 아니기 때문에 인접한 테두리부 연결을 촉진하는 선회 클램핑죠오가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작동부재를 적용하기 위한 적용지점을 제시함으로써 그 적용지점 사이의 공간을 없애거나 최소화할 수 있으면서도 클램핑죠오와 테두리부에는 과도한 죔력에 의한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고 조작이 간편한 각이 진 조정아암을 제공하는 데 있다.
각이 져 있으며 클램핑죠오와 조정아암을 가지는 형태의 클램프에 의해 상기 목적은 달성되어지며 사용위치가 전출한 조정아암의 적용지점과 테두리부 사이에 배열된 곳에서 조정요소인 쐐기는 성형표면(lining skin)의 반대편으로 쐐기면을 갖는 조정아암상의 적용지점들에 적용되며 쐐기가 세로로 이동함에 따라 적절히 넓어지는 쐐기면에 의해 클램프를 닫기 위해 쐐기의 적용지점들은 두개의 클램핑죠오의 선회베어링들로부터 멀리 떨어진 조정아암들의 단부에 배열된다. 그리고 그 적용지점들은 상기 적용의 결합점을 구성하는 동일한 위치에 주어지며 조정아암의 단부들은 작동과 함께 쐐기의 적용하기 위한 결합점들을 구성하는 커넥터와 함께 상호간에 선회 연결된다.
쐐기는 죔력이나 죔력이 적용되어 유용한 조작장치가 얻어지는 성형기술에 자주 사용되어져 오고 있다. 쐐기가 양쪽 클램핑죠오의 조정아암상의 적용지점에 적용되기 때문에, 쐐기로부터 방출되는 힘들이 예견할 수 있을 정도로 균일하게 양측 클램핑죠오로 전송될 수 있으며 클램핑죠오의 틈새조차 중공형태의 테두리부를 쥐기 위해 매우 커져야 한다. 게다가 쐐기가 초기위치로 되돌아오는지 파악하기가 용이해졌으며 즉, 클램프 위치를 쉽게 파악함이 가능해졌다. 해머의 단 한번의 타격으로도 클램프의 작동개시와 효과적인 닫기에 충분하기 때문에 설비 역시 간단하다. 같은 과정이 클램프의 개방에 적용된다.
그래서 쐐기의 사용에 의한 닫기운동의 효과를 장애없이 보존할 수 있다. 동시에 편심기에 의해 클램프가 닫히는 위험도 사라지게 된다.
쐐기 형태의 작동부재에 적용되는 지점들이 두 클램핑죠오의 선회베어링으로 부터 떨어진 조정요소의 단부에 배치되었다는 점과 특히 적용의 결합점을 구성하는 동일한 위치에 장착된다는 점이 유용한 점이다. 그러므로 작동부재로서 역할을 하는 쐐기는 다른 여러 적용지점들에 적용될 필요는 없지만 그에 적용되는 힘들은 단일의 위치에 적용되어서 양쪽 클램핑죠오의 구동지점들에 전송되고 양측 클램핑죠오의 균일한 선회운동을 유도한다. 따라서 독일특허번호 43 36 070 A1에 공개된 클렘프에서 작동지점들의 큰 간격과 그 방향으로의 쐐기의 감소하는 폭때문에 필요하게 되는 것과 같이, 쐐기의 접합점 영역은 두 클램핑죠오의 선회베어링을 연결하는 선에 대해 비스듬히 배치될 필요가 없다.
기계의 작동과 함께 조정아암들의 단부들이 상호 선회-연결되고 커넥터가 쐐기에 적용되는 지점들을 형성하기 때문에, 쐐기에 적용되는 결합점들은 매우 간단히 실현될 수 있다. 따라서 쐐기가 어느 특정 위치에서 단일요소를 치환할 수 있고 그럼으로써 성형판넬로부터 두 조정아암이 동시에 선회되고 테두리부를 향한 클램핑죠오가 연결된다. 쐐기의 넓은 단부에 단 한번의 타격으로도 힘의 고른 분배를 통해 양쪽 클램핑죠오의 선회운동과 작동개시를 시킬 수 있다. 역시 그 죔력이 타격의 횟수에 관계없이 다소 자유롭게 선택되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매우 큰 힘을 낼 수 있는 레버아암에 의해 작동되는 편심기가 아니기 때문에 과도한 죔력은 발생하지 않는다. 오히려, 그 죔력은 쐐기와 경사각에 의해 다소 정확히 사전에 결정되어진다. 두 조정아암이 연결된 영역에서의 작동은 커넥터 상에서의 쐐기의 활동이 증가함에 따라 성형표면에 대해 다소 직각방향으로 바깥쪽으로 커넥터 자체가 옮겨지는 동안, 두 조정아암이 원호위에서 작은 선회운동을 수행하도록 허용한다.
특히 커넥터가 연결볼트의 형태를 취할 때 적절하면 이것은 쐐기에 의한 작동에 적절한 간단한 요소를 나타낸다.
구조적인 면에서는 특별히 간단한 해결책도 조정아암이 아암의 단부에서 겹쳐지게 되고 겹쳐진 부분이 커넥터나 연결볼트에 의해 관통된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필연적으로 다른 조정아암의 상응하는 선회를 수반하는 하나의 조정아암의 선회가 연결되는 테두리부의 반대방향으로 클램핑죠오의 요구되는 동시선회를 간단히 얻을 수 있다.
조정아암의 선회운동과 함께 발생하는 성형 판넬로부티의 커넥터나 연결볼트의 변위에 대해 과도한 작동을 필요로 하지 않기 위해서는, 만약 조여지지 않은 위치에서 적용지점들이 두 개의 선회베어링을 연결하는 선상(線上)에 있거나 혹은 선에 아주 가깝게 배열되거나 상기 선의 성형 판넬을 마주보는 측면에 있을 경우, 그리고 클램핑 위치가 성형표면 혹은 성형판넬로부터 두 선회베어링을 연결하는 전술한 선의 측면에 배열되어 있을 경우 잇점이 있다. 이 배열에서 조정아암의 선회운동에서 주된 요소는, 이 연결선 혹은 판에서 성형표면에 대해 거의 평행한 요소운동이 미미하거나 제로에 가까운 동안, 성형표면과 상기 판 혹은 연결선에 대해 거의 직각으로 향하고 있다. 조정아암의 연결부위와 쐐기형상의 작동부재에 적용하기 위한 각각의 결합점에서의 운동은 아주 미미할 수 있다.
쐐기에 의해 발생되는 죔력을 속으로 잘 통과시키기 위해서는, 성형 표면을 마주보고 있는 쐐기의 반대면에 대한 쐐기의 접합점이 쐐기를 적용하기 위한 조정아암의 적용점에 대한 이격부와 영역에 제공된다. 접합점과 쐐기의 적용을 위한 지점들 사이의 간격은 쐐기를 삽입함으로써 확대가능하다. 적용점들에 관계 하는 쐐기의 쐐기면과 테두리부에 직접적으로 관계되는 반대면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은 테두리부와의 마찰을 유발할 수 있으며 그것은 문지른 표시를 남기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그래서 쐐기의 반대면에 대한 접합점은 클램프 자체에 주어지는 것이 좋다.
쐬기의 접합점은 중공형 또는 U혈의 단면을 갖는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며 클램핑죠오의 선회베어링을 나타낸다. 이 이송부가 선회베어링을 필요로 하기 때문 에, 쐐기 반대면의 접합점을 적응시키기 어렵지 않다.
예컨데, 일반적인 U형의 단면부를 가지는 이송부가 U형의 두 개의 림을 연결하거나 접합점을 형성 혹은 이송하는 가로대인 성형 판넬과 마주보는 면에 올 수도 있다. 이 가로대는 연결되는 테두리부에 대해 멈침역할을 함으로써 부가된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적절히 부드럽고 평평하게 되면 클램프가 조여질때 테두리부를 정렬시키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더우기 그 가로대는 전체적으로 클램프를 안정시키고 접합점으로서의 역할을 하고 또는 쐐기의 반대면에 대한 접합점을 이송하기도 한다.
본 발명에서 중요하고 유용한 점은 쐐기의 쐐기면에 반대되고 성형표면을 면하고 있는 반대면으로서 이는 클램핑죠오의 선회베어링 및/또는 접합점에 대해 이동적으로 지지하고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쐐기의 반대면이 동시에 접합점을 형성하는 선회베어링만을 지지하는 것으로 충분할 수도 있다. 클램핑죠오의 선회베어링들이 상호간에 적정거리만큼 떨어져 있고 그 거리는 하나의 조정아암의 거의 두 배에 이르고 다른 조정아암과 겹쳐지는 부분의 절반에 못 미치기 때문에 그에 의해 쐐기의 길이의 많은 부분을 유도하는 가이던스가 구비되어진다. 따라서, 적절한 배열은 쐐기가 접촉면 상 뿐만 아니라 선회 베어링 상의 반대면에 의해 지시되어지는 데 있다. 이것은 매우 좋은 안내 그리고 또한 그와 동시에, 특히 클램프를 닫을 때, 쐐기 운동의 좋은 전달이라는 걸과를 낳는다.
본명의 더 앞선 발전사항은 쐐기가 선회평면에서 휘어져 전술한 평면에 수직의 축을 가지며 만곡부의 내부표면이 조정아암의 작동지점을 지지하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쐐기의 만곡부를 통해 클램핑죠오의 선회베어링과 공통의 평민 혹은,하나의 선 혹은 그 선으로부터 매우 가깝게 배치되어 있는 두 조정아암의 선회연결을 얻을 수 있다. 이것은 비록 쐐기의 폭이 좁은 단부에서 넓은 단부로 넓어짐에 따라 쐐기가 상기 작동결합점에 적용되는 성형표면으로부터 떨어진 면을 가질 수 있을 때에도 적용되며 오히려 성형표면에서 마주보고 있는 면상에서 클램핑죠오의 선회베어링이 지나도록 유도될 수 있다.
만곡부의 중심으로부터 더 밀리 떨어진 쐐기외부표면은 선회베어링 및/또는 접합점과 결합될 수 있다.
쐐기의 외부만곡부는 부드럽고 연속적인 호형, 특히 원형아크형을 형성한다. 이것은 쐐기가 움직일 때 각각의 가이드, 바람직하게는 두 개의 선회 베어링과 접합점을 따라 꾸준히 미끄러지는 결과를 낳는다.
성형표면과 좁은 쐐기단부로부터 떨어져서 면하고 있는 쐐기표면상에서, 클램프가 조여지지 않은 상태에서조차, 클램프상에서 쐐기가 계류 등의 방법으로 개방되는 중국 쐐기는 멈춤 혹은 돌출의 제한운동을 할 수도 있다. 그래서 쐐기는 클램프상에 계류되어 있고 클램프플 연결시킬 때 쐐기가 초기위치에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먼저 쐐기를 초기위치에 두지 않아도 된다.
관통볼트와 조합하여 적용지점 역할을 하는 돌출부(Projection)는 클램프가 조여지지 않은 상태에서조차 쐐기가 양측 선회베어링에 맞물리게 하는 방식으로 쐐기의 개방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조여지지 않은 위치에서 쐐기는 또한 쐐기의 좁은 단부의 영역에 위치한 선회베어링을 제거시킬 수 있다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조여지지 않은 위치에서 쐐기가 선회베어링을 연결시키는 방법은 쐐기가 클램핑죠오를 그의 홀딩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유도역할을 강화시켜 준다. 결국 만곡부에도 불구하고 쐐기의 개선된 유도가 이루어진다.
동시에 쐐기의 이 만곡부는 쐐기의 절대길이가 상대적으로 길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넓은 단부에서부터 좁은 단부까지 쐐기의 전체 면적은 상대적으로 작을 수 있다는 중요한 일반적인 장점을 보여준다. 그래서 쐐기는 성형 판넬과 연결되는 테두리웨브로부터 측면으로 돌출되지 않거나 또는 그것은 무시해도 좋을 정도다. 예를 들어, 성형의 모퉁이 영역에서, 쐐기 자체의 접근성은 종래의 일직선의 쐐기보다 해머로 내리치는 것이 더 낫다.
쐐기가 적용점에 면하는 측면에서 쐐기는 변형길이만름 급격한 경사 혹은 개방위치로부터의 폭 증가를 가질 수 있으며 그 후 경사는 완만해진다. 급경사로부터 완만한 경사로의 전환 부분은 장착된 구명들이나 테두리부와의 초기접촉되거나 접촉직전의 클램핑죠오 등의 방법으로 쐐기가 작동지점과 접촉하는 위치에 배열되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급경사 혹은 쐐기의 길이에 대한 쐐기 폭의 급증은 클램핑 작용이 시작되기 전 움직여야 하는 선회경로 부분에서 클램핑죠오의 빠른 닫기 운동을 기능하게 한다. 그러나, 이 경로는 옆으로 나란히 불과 수 밀리미터의 사이를 두고 배치되어 있으며 무엇보다 테두리웨브의 구멍 뒷면의 클램프에 배치되어 있는 테두리웨브에 대해 클램프가 쉽게 적응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필요하다. 이 클램핑죠오의 위치에 도달하기만 하면 더 완만한 경사가 점진적이지만 상시적인 힘의 전개를 유도하고 또한 다음에 도달한 각각의 조임위치의 자동적인 위치를 유도한다. 조임위치에서 쐐기가 스스로 닫히는(최소한 조임위치에서 클램프가 작용하는영역에서) 각도만큼 확장되는 방향으로 넓어진다면 더욱 적합한 것이며, 상기 연결의 위치에서 쐐기의 양 단부가 성형표면에 대해 거의 평행하게 평판에 배치되어 있다면 적합하다. 쐐기가 휘어져 있기 때문에 그 단부들은 거의 같은 거리만큼 돌출한다. 이것은 동시에 테두리 웨브나 클램프가 이동부에 의해 형성된 평판에 대해 돌출할 최소한의 가능성을 가진다.
만곡된 쐐기의 길이, 쐐기면 역할을 하는 외부표면의 만곡 반경 및 쐐기와 연결된 선회베어링의 이격부 반경은 개방된 쐐기의 돌출된 부분의 쐐기면의 엇갈리게 배치된 전단부가 성형표면에 거의 평행하게 배치되어지는 방법으로 선택되어질 수 있다. 이것은 클램프를 고정하는 초기에 사용자가 쐐기로 밀어넣기 위해 해머로 타격하기 위한 쐐기의 전단부를 마주할 수 있다는 잇점이 있다. 그러므로 해머에 의해 타격된 쐐기의 전단부는 클램프 작동이 끝날 때까지 외부로부터 쉽게 접근 가능하며, 따라서 클램프의 조작장치를 개선한다. 클램프가 닫힌 상태에서 쐐기의 좁은 단부가 클램프의 반대측면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돌출되기 때문에, 개방을 위한 반대운동 또한 한 두 차례의 해머의 타격으로 쉽게 영향받을 수 있다.
테두리 웨브 또는 테두리부를 가진 성형 판넬을 연결하기 위한 클램프는 기존의 성형 판넬에도 별 어려움이 없이 유용할 수 있지만서도, 상기 클램프는 동시에 닫는 힘이 감소하지 않는 잇점을 지니고 있다. 또한 클램프는 매우 신속하게 장착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클램프가 안전하게 닫혔는지의 여부 및 그 시기를 쐐기의 위치어서 즉시 알 수 있다. 상기 클램프는 클램프클 열고 닫는 것이 한 두차례의 타격으로도 충분하기 때문에 간편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부분적으로 개략적인 형태의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클램프(1)는 모든 테두리들을 적절히 일주할 때 대면되는 테두리들에 테두리 부(2)를 갖는,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중공부를 갖는, 동일평면에 나란히 배치되어 있는 성형판넬을 연결하는데 사용된다. 제 1도 및 제 3도에서는 상호 연결된 중공부와 성형표면(3)이 이점 쇄선으로 보여지고 있다.
클램프(1)는 인접한 테두리부(2)와 반대방향의 세로면(2a)을 향해 선회되고 가압하기 위해 장착된 2개의 클램핑죠오(4)를 가진다. 클램프(1)는 나아가 클램핑죠오(4)를 선회시키는 이후 기술될 작동부재를 가진다. 각각의 클램핑죠오(4)는,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거의 직각 또는 다소 더 큰 각도에 있는, 조정아암(5)을 가지고 있으며, 조정아암(5)은 클램핑작용점(4a)으로부터 떨어진 죠오단부에 위치하며, 2개의 클램핑죠오(4)의 조정아암(5)은 서로 향하고 있다. 두 클램핑죠오(4)들은 대략 그들의 조정아암(5)에 대한 변이의 모퉁이 영역에서 공통되는 이송부(6)에 선회장착되어 있다. 조인트 형태의 선회베어링(7)이 모든 도면에 확연히 도시되어 있다. 제 2도 및 제 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회베어링(7)의 중요부분은 U형단면의 클램핑죠오와 이송부를 가로지르는 관통핀(8)이다. 이후 상세히 기술될 조정요소는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두 개의 조정아암(5)에 적용되고 선회베어링(7)과 이격되어 있으며 이러한 적용지점들은 클램프(1)를 닫기 위해 성형표면(3)과 떨어져 있는 조정아암(5)과 함께 이동가능하다.
제 1도 및 제 3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정요소는 조정아암(5)의 적용지점들과 테두리부(2)사이에 배치된 쐐기(9)임이 명백하고 성형표면(3)으로부터 떨어저 마주보고 있는 쐐기면(9a)은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조정아암(5)과 그 위의 적용 지점들에 적용된다. 적절히 폭이 늘어나는 쐐기(9)는 세로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클램프(1)를 닫는다. 제 1도와 제 3도의 비교시, 제 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클램프가 폐쇄되었을 때는 쐐기(9)폭의 넓은 부분이 테두리부(2)와 조정아암(5)상의 작동점 사이에 위치한 반면, 클램프가 개방되어 있을 때는 폭이 좁은 부분이 배치되어 있다. 즉, 쐐기(9)의 구동이 조정아암(5)상의 적용지점을 테두리부(2)로부터 멀어지게 이동시키고 따라서 클램핑죠오(4)를 서로에 대해 테두리부의 외부 세로면(2a)으로 선회시킨다. 그러므로 쐐기(9)에 대한 적용지점들은 주로 성형판넬로부터 이동가능하며 따라서 클램프(5)가 폐쇄될 때 테두리부(2)와 성형표면(3)으로부터 멀어진다.
쐐기(9)의 형태로 있는 자동부재의 적용지점들은 두 클램핑죠오(4)의 선회베어링(7)로부터 떨어져 있는 조정아암(5)의 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적용지점들은 동일한 지점에 주어지거나 또는 작동결합지점을 형성하기 위해 결합된다. 조정아암(5)의 단부들은 작동과 함께 상호 선회연결되며 이를 위해선회평면에서 가로로 뻗어 있고 쐐기(9)에 적용되는 결합 점(joint point)을 형성하는 카넥터,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연결핀(connecting pin, 10)을 지니고 있다. 특히 제 2도 및 제 4도는 쐐기(9)가 이 연결핀(10)을 어떻게 지지하고 조정아암(5)단부 영역(11)이 어떻게 쐐기(5)부분을 겹치고 그를 유도하는지를 예시하고 있다.
단 하나의 적용지점이 양쪽 조정아암(5)에 결합되게 제공되기 때문에,쐐기(9)에 의해 영향받는 변위는 두개의 클램핑죠오(4)의 선회운동에 정확히 전달된다.
조정아암(5)이 적용지점을 구체화하는 연결볼트(10)의 영역에서 쐐기(9)를 유도하고 맞물려지도록 하고 상기 연결볼트(10)글 지지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조정아암(5)의 단부영역(11)이 겹쳐지고 이 상기 겹쳐진 영역은 연결볼트(10)에 의해 가로지르게 된다. 그러므로 쐐기(9)의 작동은 상기 연결볼트(10)를 성형표면(3) 및 테두리부(2)와 멀어지게 이동시키고 이러한 방법에 의해 클램핑죠오(4)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그들의 조정아암(5)을 통해 선회된다.
비록 각각의 조정아암(5)이 다른편에 반대방향으로 호를 그리며 운동하더라도 연결볼트(10)가 조정아암(5)의 동작범위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작동범위로서 볼트에 평행하게 그리고 테두리웨브(2) 및 성형표면(3)으로부터 떨어지도록 이동하도록 하는 방법이 채용된다.
이 방법은 연결볼프(10)에 의해 구체화된 적용지점이, 조여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두 선회베어링(7)을 연결하는 선으로부터 가깝게 근접시키도록 성형 판넬을 마주보는 상기 선의 측면에 배열되고, 조여진 상태에서는 성형 표면(3) 및 성형 판넬로부터 떨어져 마주보고 있는 상기 선의 측면에 배치된다. 이 연결선은 제 1도 및 제 3도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고 있으나 상기 연결볼트(10)는 제 1도에 의거할 때는 이 가상의 연결선의 측면에 위치해 있고 제 3도에 의거할 때는 상기 연결선의 또 다른 측면에 위치해 있음이 명백하다. 연결볼트(10)의 중심은 각각의 경우에 연결선으로부터 동일한 거리만픔 떨어져 있다. 그러므로 조정아암(5)이 선회하는원의 영역에서의 사용은 성형표면(3)에 직각의 방향으로는 최대의 요소운동 그리고 평행방향으로는 최소의 요소운동을 유발한다.
성형표면(3)을 마주보고 있는 쐐기의 반대면(9b)에서 상기 쐐기(9)에 대한 접합점(12)은 쐐기(9)의 적용지점(들)에 대해 이격된 지점의 영역에 주어진다. 그래서 쐐기(9)는 삽입시 접합점(12)상에서 지지됨으로써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증가하는 폭이 적용지점, 즉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연결볼트(10)들을 변형시키고 이동시킨다. 접합점(12)과 쐐기(9)의 적용지점들 사이의 이격부는 쐐기(9)의 삽입에 의해 확대된다. 즉, 쐐기(9)의 운동이 매우 간단하게 조정아암(5)의 선회운동으로 전환되고 마찬가지로 클램핑죠오(4)의 선회운동으로 전환된다. 접합점(12)은 쐐기(9)에 대해 항시적인 지지를 제공하는 잇점을 지니고 있으며 쐐기(9)의 운동을 통해 마모를 견딜 수 있는 잇점이 있다. 제 1도 및 제 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형이나 U형의 단면을 가지고 클램핑죠오(4)의 선회베어링(7)을 보이고 있는 이송부(6)는 또한 쐐기(9)의 접합점을 이송한다. 일반적으로 U형의 단면을 가지는 이송부(6)는 성형 패널(3)을 마주보는 측면에 U의 두 림(6a)를 연결하는 가로대(6b)를 가지고 있다. 자체의 접합점을 형성하는 이 가로대(6b)는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이 접합점(12)를 이송한다. 이 접합점(12)의 두께는 쐐기(9)의 지지를 위한 좋은 상태를 제공하기 위해 선택될 수 있다.
선회평면에 대해 가로로 이동가능하고 테두리웨브(2)에 대해 평행하게 이동 가능한 쐐기(9)가 쐐기의 적용을 위한 결합지점에 적용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그 경우 쐐기를 위한 적절한 경사홀더가 구비되어야 한다. 그러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이로운 방식으로 클램핑죠오(4) 및 조정아암(5)이 선회하는 평면에서 쐐기(9)가 이동가능하다는 것과 쐐기(9)의 쐐기면(9a)과 반대면(9b)이 직각으로 배치된다는 것이 고려되어진다. 이송핀(8)과 연결볼트(10) 역시 쐐기(9)가 이동하는 방향에 직각이다. 그러므로, 쐐기(9)의 쐐기면(9a)과 반대면(9b) 역시 관통핀(8)과 연결볼트(10)에 대해 지지할 수 있다.
사실 제 1도나 제 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쐐기면(9a)에 반대되고 성형표면(3)을 마주보는 반대면(9a)이 선회베어링(7)(관통핀 8)과 접합점(13)을 이동지지하고 유도 혹은 지지역할을 한다는 것이 중요하다.
쐐기(9)는 선회평면에 수직으로 난 가상축으로서 상기 선회평면에 대해 만곡되어 있고, 그럼으로써 쐐기면(9a)의 형태로 있는 상기 만곡부의 내부표면이 연결볼트(10) 형태의 적용지점들에서 조정아암(5)에 대해 지지하거나 적용된다. 이것은 쐐기(9)가 다양한 지점들을 지지하고 힘들지 않게 죔력을 행사할 수 있게 해 준다. 그러나, 두 선회베어링(7)을 연결하는 선 근처에 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볼트(10)가 배치되어야 한다. 반대편(9b)의 형태에서 쐐기(9)의 만곡부의 외부표면은, 비록 조여지지 않은 상태에서 적용의 결합점으로서의 관통핀(10)이 두선회베어링(7) 혹은 그들의 중신에서보다 접합점(12)에 더 가깝다고 하더라도, 선회베어링(7), 관통핀(8), 그리고 접합점(12)에 적용된다. 쐐기가 직선형태라면 쐐기(9)의 다양한 접촉지점이 그와 같은 방법으로 연결되는 것은 불가능할 것이다. 그러나 제 1도와 제 3도의 만곡된 쐐기(9)는 이러한 모든 요구사항을 만족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공간을 절약할 수 있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효과적인 배치가 가능하다.
쐐기(9)에 면해 있고 접합점(12)을 따라 이동하는 외부 만곡부는 부드럽고 연속적인 아치형, 특히 환형의 호를 형성한다. 따라서 반대면(9b)를 형성하고 있는 외부 만곡부는 쐐기(9)가 접합점(12)를 따라 쉽게 미끄러지도록 한다.
접합점(12)이 바람직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평평한 면을 가지고 있다면 반대면(9b)의 불록한 만곡부는 이 미끄러짐을 죔력의 반력하에서도 수행될 수 있게 한다.
성형표면(3)으로부터 떨어져 마주보고 있는 쐐기면(9a)상과 좁은 쐐기 단부에서, 쐐기(9)는 개방 과정 중 쐐기(9)의 운동을 제한하는 멈침 혹은 돌출부(13)를 제 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여지지 않은 상태에서조차 클램프가 쐐기(9)를 묶고 있는 방식으로 가지고 있다. 적용지점 역할을 하는 관통볼트(10)와 함께 작용하는 돌출부(13)는 조여지지 않은 상태에서조차 쐐기(9)가 양측 선회베어링(7)(관통핀, 8)에 접촉하는 방식으로 쐐기(9)의 개방운동을 제한한다. 그럼으로써 또한 쐐기(9)의 좁은 말단이 조임운동의 초기에서도 각각의 선회베어링(7)의 관통핀(8)에 의해 유도될 수 있도록 한다.
만곡된 쐐기(9)의 길이, 쐐기면(9a) 역할을 하는 외부표면의 만곡부의 반경및 쐐기(9)에 의해 연결된 선회베어링(7)의 이격부는 개방된 쐐기(9)의 돌출부의 쐐기면에서 옆으로 위치한 전단부(16)가 성형표면(3)에 대해 거의 평행하게 배치되는 방법으로 선택되어진다. 따라서 조임운동의 초기에, 사용자는 이 전단부(16) 전면에서 해머에 직접적으로 타격할 수 있고 그럼으로써 그 접근이 용이하고 클램프로 조이기에 편한 위치를 점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작용이 간편하고 효율이 뛰어난 몇 몇 요소로 구성된 클램프가 제공되며 또한 중공형태의 테두리부(2)를 잡을 수 있고 클램프가 실제로 닫혔는지 열렸는지의 여부를 쐐기(9)의 위치에 의해 곧바로 나타나질 때 확인할 수 있는 클램프가 제공되어진다. 예를 들어 레버 아암을 늘이거나 그와 비슷한 방법으로 죔력을 증가시키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테두리웨브(2)에 대한 어떠한 형태의 무리한 작용도 피할 수 있다.
클램프(1)는 동일평면에 나란히 배치된 성형 판넬의 테두리웨브(2)를 연결하며, 이 목적을 위해 상기 클램프는 이 테두리웨브(2)를 함께 가압하는 2개의 클램핑죠오(4)를 가지고 있고, 각 클렘핑죠오는 각이 져 있고 클램핑지점(4a)으로부터 떨어진 죠오 단부에 위치해 있는 조정아암(5)을 가지고 있다. 상기 조정 아암(5)은 쐐기(9) 형태의 작동 혹은 조정요소에 적용되는 지점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조정아암(5)상의 이 적용지점들은 쐐기(9)에 적용하기 위한 단일지점을 형성하기 위해 적절히 포함된다. 쐐기(9)는 적용지점들과 테두리웨브(2) 사이를 따라 미끄러질 수 있으며 클램프(1)에 속한 집합점(12)상에 적절하게 미끄러질 수 있음으로써 적용지점 및 따라서 성형표면(3)에서 떨어져 있는 조정 아암(5)을 이동시킬 수 있고 결구 클램핑죠오(4)를 폐쇄하게 된다. 적은 작동공간과 원활한 유도를 위해, 만곡부를 가진 쐐기가 장착되며 그 쐐기는 클램핑죠오(4)가 폐쇄되는 평면에서 이동가능하다.
제 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의 평면도로서, 클램프가 개방상태에 있으면서 이점 쇄선으로 표시된 동일평면상의 2개의 성형판넬 테두리부에서 2접합면을 결합시키기 직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
제 2도는 개방상태에 있는 제 1도 클램프의 배면도,
개 3도는 제 1도의 클램프가 닫혀진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제 4도는 제 3도의 배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클램프 2 : 테두리부
2a : 세로면 3 : 성형표면(Lining skin)
4 : 클램핑죠오 4a : 클램핑 지점
5 : 조정아암 6 : 이송부
6a : 림 6b : 가로대
7 : 선회베어링 8 : 관통핀
9 : 쐐기 9a : 쐐기면
9b : 반대면 10 : 연결핀, 연결볼트, 관통볼트
11 : 단부 12 : 접합점
13 : 돌출부 16 : 전단부

Claims (16)

  1. 각각은 적어도 2개의 마주보는 테두리부, 구체적으로는 둘레 전체에 걸쳐 형성된 테두리부를 가지고 나란히 동일평면에 배치된 2개의 성형판넬들을 서로 연결해 주는데 사용하는 클램프로서, 각각은 선회운동을 하여 서로 인접하고 있는 테두리부(2)와 반대 방향의 세로면(2a)을 향해 선회되고 가압하도록 된 2개의 클램핑죠오(4)를 가지고 있고, 상기 클램핑죠오(4)를 선회시키기 위한 작동부재를 추가로 가지고 있으며, 상기 각 클렘핑죠오(4)는 이 클램핑죠오(4)에 대해 소정각도를 유지하고 있고 클램핑지점(4a)에서 먼쪽의 죠오말단에 위치한 조정아암(5)을 가지고 있고, 이들 조정아암(5)은 서로를 향하도록 뻗어있고 모서리 영역에서 이송부(6)에 선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조정부재는 선회베어링(7)에 대해 간격을 두고 떨어진 2개의 조정아암(5)에 적용하게 되고, 이 적용점들은 상기 클램프(1)를 닫아주기 위해 상기 조정아암(5)들과 함께 성형표면(3)에서 떨어져 움직이도록 된 클램프에 있어서, 상기 조정부재는 사용 상태에서 상기 조정아암(5)상의 적용점과 테두리부(2)사이에 배치된 쐐기(9)로 되어 있고, 상기 쐐기(9)는 성형 표면(3)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쐐기면(9a)을 갖는 조정 아암(5)상의 적용점에 적용되고, 상기 쐐기(9)가 세로 방향으로 이동함에 다라 적절히 증가하는 폭을 갖는 쐐기면에 의해 클램프(1)를 닫으며, 상기 쐐기(9)에 적용되는 적용점들은 2개의 클램핑죠오(4)의 선희베어링(7)에서 떨어져 있는 조정아암(5)의 말단에 배치되고 작용점이 겹치는 동일위치에 구비되며, 상기 조정아암(5)들의 말단은 서로에 대해 선회 연결되어 있고 커넥터는 상기 쐐기(9)를 전용시키는 교점을 이루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판넬 연결용 클램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아암(5)의 단부에 대한 커넥터는 선회평면을 관통하여 뻗어 있는 연결볼트(10)의 형태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판넬 연결용 클램프.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아암(5)은 그들의 단부에서 겹쳐지고 그 겹쳐진 영역이 커넥터 또는 연결볼트(10)에 의해 관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판넬 연결용 클렘프.
  4. 제 1항에 있어서,
    조여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적용지점(들)이 두 선회베어링(7)을 연결하는 선상에 또는 아주 가까운 성형판넬을 마주보호 있는 상기 선의 측면상에 이격되게 배치되고, 조여진 상태에서는 적용지점(들)이 성형표변(3) 혹은 성형판넬에서 떨어져 마주보고 있는 두 선회베어링(7)을 연결하는 상기 선의 측면상애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판넬 연결용 클램프.
  5. 제 1항에 있어서,
    성형표면(3)을 마주보고 있는 반대면(9b)에서 상기 쐐기(9)에 대한접합점(12)은 쐐기(9)의 적용을 위한 조정아암(5)의 적용점에서 이격된 지점(들)의 영역에 주어지며 접합점(12)과 쐐기(9)의 적용지점 사이의 간격은 쐐기(9)를 삽입함으로서 확장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판넬 연결용 클램프.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9)에 대한 접합점(12)은 중공 혹은 U형의 단면을 가지며 클램핑죠오(4)의 선회베어링(7)을 나타내는 이송부(6)에 의해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판넬 연결용 클램프.
  7. 제 1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적으로 U평의 단면을 가지는 이송부(6)는 성형표면(3)을 마주보고 있는 측면상에 U의 두 림(6a)를 연결하고 접합점(12)을 형성 또는 이송하는 가로대(6b)를 가지는 것을 특정으로 하는 성형 판넬 연결용 클램프.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9)는 클램핑죠오(4)와 조정아암(5)이 선회하는 평면에서 이동가능하고 상기 쐐기면(9a)과 그 반대면(9b)은 상기 선회평면에 대해 직각으로 배치되는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판넬 연결용 클램프.
  9. 제 1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9)의 쐐기면(9a)에 대해 반대방향이고 성형표면(3)을 마주보고 있는 반대면(9b)은 클램핑죠오(4)의 선회베어링(7)(관동핀, 8) 및/또는 접합점(12)을 이송하면서 지시하고 유도하는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판넬 연결용 클램프.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9)는 선회평면에 수직으로 난 가상축으로서 상기 평면에 대해 만곡되어 있고, 그럼으로써 쐐기면(9a)의 형태로 있는 상기 만곡부의 내부표면이 조정아암(5)의 작동지점(들)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판넬 연결용 클램프.
  11. 제 1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9a)의 반대면(9b)을 형성하는 만곡부의 외부표면은 선회베어링(7)및/또는 접합점(12)에 맞닿아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판넬 연결용 클램프.
  12. 제 1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9)의 반대면(9b)을 형성하는 외부 만곡부는 부드럽고 연속적인 아치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판넬 연결용 클램프.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9)는 클램프가 조여지지 않은 상태애서조차 성형표면(3)으로부터 떨어져 마주보고 있는 쐐기면(9a)상과 좁은 쐐기 단부에서 클램프(1)가 쐐기(9)를 묶고 있는 방식으로 개방 도중에 쐐기(9)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멈춤부나 돌출부(13)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판넬 연결용 클램프.
  14. 제 1항 또는 제 13항에 있어서,
    적용지점 역할을 하는 관통볼트(10)와 함께 작용하는 상기 돌출부(13)는, 조여지지 않는 상태에서조차, 양측 선회베어링(7)에 접촉하는 방식으로 쐐기(9)의 개방운동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판넬 연결용 클램프.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9)는 특정각도만큼 확장하는 방향으로 넓어짐으로써 조여진 상태에서 스스로 닫을 수 있는 정도의 쐐기각도를 가지며 쐐기의 양 단부는 성형표면(3)에 대해 평행한 평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판넬 연결용 클램프.
  16. 제 1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만곡된 쐐기(9)의 길이, 쐐기면(9a) 역할을 하는 외부표면의 만곡부 반경 및 쐐기(9)에 의해 연결된 선회베어링(7)의 이격부는 쐐기면(9a)에서 옆으로 위치한 전단부(16)와 같은 방식으로 선택되고 개방된 쐐기(9)의 돌출부의 반대면(9b)은 성힝표민(3)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판넬 연결용 클램프.
KR1019950001081A 1994-01-22 1995-01-23 성형판넬연결용클램프 KR1003933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P4401794.4 1994-01-22
DE4401794A DE4401794C2 (de) 1994-01-22 1994-01-22 Klammer zum Verbinden von Schaltafeln mit deren Randprofile zusammendrückenden Spannback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3130A KR950033130A (ko) 1995-12-22
KR100393375B1 true KR100393375B1 (ko) 2003-10-17

Family

ID=6508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1081A KR100393375B1 (ko) 1994-01-22 1995-01-23 성형판넬연결용클램프

Country Status (26)

Country Link
US (1) US5570500A (ko)
EP (1) EP0674068B1 (ko)
KR (1) KR100393375B1 (ko)
CN (1) CN1080810C (ko)
AT (1) ATE167719T1 (ko)
AU (1) AU682909B2 (ko)
BR (1) BR9500264A (ko)
CA (1) CA2140710C (ko)
CZ (1) CZ287778B6 (ko)
DE (2) DE4401794C2 (ko)
DK (1) DK0674068T3 (ko)
DZ (1) DZ1845A1 (ko)
EE (1) EE03244B1 (ko)
ES (1) ES2118306T3 (ko)
HK (1) HK1007383A1 (ko)
IL (1) IL112411A (ko)
LV (1) LV11357B (ko)
MA (1) MA23428A1 (ko)
MY (1) MY121945A (ko)
PL (1) PL176505B1 (ko)
RU (1) RU2125636C1 (ko)
SI (1) SI0674068T1 (ko)
SK (1) SK284559B6 (ko)
TN (1) TNSN95002A1 (ko)
TR (1) TR28908A (ko)
ZA (1) ZA9410257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8985B1 (ko) * 2018-08-31 2019-11-27 주식회사 연우건재 인테리어 보드의 높낮이 맞춤 시공 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21087B1 (fr) * 1994-06-09 1996-07-19 Schneider Electric Sa Dispositif de support pour goulotte.
DE19507384B4 (de) * 1995-03-03 2011-08-11 Friedr. Ischebeck GmbH, 58256 Rahmenschalungs-Elemente
US8529582B2 (en) 1996-12-12 2013-09-10 Intuitive Surgical Operations, Inc. Instrument interface of a robotic surgical system
US6331181B1 (en) 1998-12-08 2001-12-18 Intuitive Surgical, Inc. Surgical robotic tools, data architecture, and use
US8182469B2 (en) * 1997-11-21 2012-05-22 Intuitive Surgical Operations, Inc. Surgical accessory clamp and method
US7727244B2 (en) 1997-11-21 2010-06-01 Intuitive Surgical Operation, Inc. Sterile surgical drape
US6132368A (en) 1996-12-12 2000-10-17 Intuitive Surgical, Inc. Multi-component telepresence system and method
US8206406B2 (en) 1996-12-12 2012-06-26 Intuitive Surgical Operations, Inc. Disposable sterile surgical adaptor
BE1012700A3 (nl) * 1999-06-02 2001-02-06 Cometal Nv Klem voor een betonbekisting.
US6499260B2 (en) 2000-02-23 2002-12-31 Amtech Corporation Portable greenhouse structure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assembling same
US6966550B2 (en) 2002-10-18 2005-11-22 Worktools, Inc. One hand actuated “C” clamp
GB2385267B (en) * 2002-11-18 2004-01-07 Linshell Holdings Ltd A hair clip
US6681778B1 (en) * 2002-11-18 2004-01-27 Linshell Holdings Limited Hair clip
DE10331359B4 (de) 2003-07-11 2010-07-15 Peri Gmbh Spannschlossvorrichtung mit schräg geführtem Keil
ES2292272B1 (es) * 2004-06-24 2008-10-01 Transformados Muper, S.L. Mecanismo para la sujecion de paneles de muro adyacentes.
CN100366849C (zh) * 2005-02-04 2008-02-06 刘国恩 模板拼装连接卡具
ES2249188B1 (es) 2005-04-11 2006-12-01 Ingenieria De Encofrados Y Servicios, S.L. Mordaza para sujecion de paneles de encofrado.
US20070175368A1 (en) * 2006-01-31 2007-08-02 Yoder Ervin E Leaf table having lockable slide rails
ES2303434B1 (es) * 2006-03-28 2009-06-03 Inveral, S.A. Procedimiento para la fabricacion de un dispositivo de union para paneles encofrados y dispositivo obtenido segun dicho procedimiento.
US8573576B2 (en) * 2009-06-26 2013-11-05 Intuitive Research And Technology Corporation Clamp for single-handed operation
MD4161C1 (ro) * 2011-01-10 2012-10-31 Николае Попеску Procedeu de executare a construcţiei monolite, a complexului de construcţii monolite şi echipament tehnologic pentru realizarea acestuia
US8627603B2 (en) 2011-03-15 2014-01-14 Carlson Pet Products, Inc. Barrier with panels sliding parallel
US8720958B2 (en) 2011-03-15 2014-05-13 Carlson Pet Products, Inc. Barrier with panels sliding parallel
US9260910B1 (en) 2012-06-13 2016-02-16 Carlson Pet Products, Inc. Free standing sliding panel footed barrier
EP4074279A1 (en) 2014-03-17 2022-10-19 Intuitive Surgical Operations, Inc. Surgical cannula mounts and related systems
CN104295099B (zh) * 2014-09-09 2016-06-08 广州市艺达机械有限公司 模板拼装用连接卡具
CN104475968B (zh) * 2014-11-21 2016-06-08 兰州爱赛特机电科技有限公司 摩擦焊接用顶锻自锁式钢爪液压夹具
US10472823B2 (en) * 2016-06-24 2019-11-12 Apache Industrial Services, Inc. Formwork system
US11306492B2 (en) 2016-06-24 2022-04-19 Apache Industrial Services, Inc Load bearing components and safety deck of an integrated construction system
US11976483B2 (en) 2016-06-24 2024-05-07 Apache Industrial Services, Inc Modular posts of an integrated construction system
US12195961B2 (en) 2016-06-24 2025-01-14 Apache Industrial Services, Inc. Formwork system
US11624196B2 (en) 2016-06-24 2023-04-11 Apache Industrial Services, Inc Connector end fitting for an integrated construction system
CN106930415B (zh) * 2017-03-07 2022-04-12 西安建筑科技大学 一种适用于建筑领域的自锁性锁具及应用
CN107237798B (zh) * 2017-07-28 2023-03-31 深圳市光祥科技股份有限公司 连接结构及显示屏
CN107355074A (zh) * 2017-08-09 2017-11-17 中国水利水电第十四工程局有限公司 一种用于模板工程的夹爪式支撑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376614A (en) * 1919-08-14 1921-05-03 Hydraulic Pressed Steel Co Clamp for concrete-forms
DE809045C (de) * 1949-08-03 1951-07-23 Walter Lauterjung Haarschere
US4188017A (en) * 1978-10-10 1980-02-12 Gerhard Dingler Tensioning device for frame pieces
DE8009045U1 (de) * 1980-04-01 1980-10-09 Oesterreichische Doka Schalungs- Und Geruestungstechnik Gmbh, Amstetten (Oesterreich) Spannvorrichtung fuer rahmenschalungen
DE3734390C2 (de) * 1987-10-10 1993-10-28 Gerhard Dingler Verbund für Fertigschalungen
DE3823763A1 (de) * 1988-07-13 1990-01-18 Steidle Gmbh & Co Emil Klammer zur verbindung der profilrahmen von rahmentafelschalungen
DE8814208U1 (de) * 1988-11-12 1989-01-05 Maier, Josef, 7619 Steinach Klammer zum Verbinden von Schaltafeln
DE4007950C2 (de) * 1990-03-13 1994-04-14 Thyssen Huennebeck Gmbh Vorrichtung zum Verbinden und Verspannen von Schaltafeln
ES2084137T3 (es) * 1991-10-15 1996-05-01 Felix Jose Luis Ubinana Dispositivo para la sujecion rapida de paneles para la construccion de estructuras de hormigon.
DE4205990C1 (en) * 1992-02-27 1993-02-11 Paschal-Werk G. Maier Gmbh, 7619 Steinach, De Clamp used in concrete shuttering - is tightened by wedge and has projections engaging groves in frame members
AU664914B2 (en) * 1992-10-26 1995-12-07 Paschal-Werk G. Maier Gmbh A clamp for connecting the sections at the edges of formwork panel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8985B1 (ko) * 2018-08-31 2019-11-27 주식회사 연우건재 인테리어 보드의 높낮이 맞춤 시공 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ZA9410257B (en) 1995-09-08
DE59406320D1 (de) 1998-07-30
TR28908A (tr) 1997-08-04
DK0674068T3 (da) 1999-04-06
CN1109942A (zh) 1995-10-11
AU682909B2 (en) 1997-10-23
ES2118306T3 (es) 1998-09-16
PL306879A1 (en) 1995-07-24
PL176505B1 (pl) 1999-06-30
EP0674068A1 (de) 1995-09-27
ATE167719T1 (de) 1998-07-15
SI0674068T1 (en) 1999-04-30
CZ287778B6 (en) 2001-01-17
BR9500264A (pt) 1995-10-17
AU8157494A (en) 1995-08-03
IL112411A (en) 1998-02-22
CA2140710C (en) 2005-12-20
RU2125636C1 (ru) 1999-01-27
EP0674068B1 (de) 1998-06-24
US5570500A (en) 1996-11-05
SK284559B6 (sk) 2005-06-02
LV11357B (en) 1996-10-20
DZ1845A1 (fr) 2002-02-17
RU95101034A (ru) 1996-12-10
HK1007383A1 (en) 1999-04-09
LV11357A (lv) 1996-06-20
KR950033130A (ko) 1995-12-22
MY121945A (en) 2006-03-31
CN1080810C (zh) 2002-03-13
SK6695A3 (en) 1995-08-09
IL112411A0 (en) 1995-03-30
DE4401794C2 (de) 1997-07-03
TNSN95002A1 (fr) 1996-02-06
EE03244B1 (et) 1999-12-15
DE4401794A1 (de) 1995-08-03
MA23428A1 (fr) 1995-10-01
CA2140710A1 (en) 1995-07-23
CZ10495A3 (en) 1995-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93375B1 (ko) 성형판넬연결용클램프
US5146816A (en) Connecting formwork panels
KR100436990B1 (ko) 두 개의 문짝으로 이루어진 절첩식 접이문 용의 리프팅 장치
CA2377526C (en) Segmented garage door and hinges
US5975483A (en) Clamp with clamping jaws and a carrier connecting them
US5463796A (en) Hinge pot
KR20050010708A (ko) 2개의 문짝을 가진 접이 플랩 또는 접이문용 리프팅장치
US5791016A (en) Hinge for glass doors
US20020170234A1 (en) Guide device for folding door
US4493200A (en) Portable sheet bending brake
NZ286247A (en) Window stay comprises a sliding means moves along a stay and is lockable in set positions
JPH0768323A (ja) 中空形材縁棒の曲げ装置
US3332274A (en) Hinge adjusting tool
KR100274302B1 (ko) 성형판넬의 에지부 연결용 클램프
EP0381782A1 (en) Hinge
EP1084011B1 (en) Pipe crimping apparatus
US20030159490A1 (en) Machine for forming cheek bends in sheet metal
JPS63236882A (ja) 掛金ヒンジ
LU501827B1 (en) Material preprocessing device for building construction
JP2590948Y2 (ja) コンシールド型ドアクローザを備えた自動閉扉装置のストッパ付ガイドレール
FI83289B (fi) Faestdon foer bordtennisnaet.
US2907366A (en) Plate bending and seam sealing machine having work engaging roller pivoted to swing across portion of work to be bent
JPH0615120Y2 (ja) トタン葺用屋根板の曲成加工機
JP2562004B2 (ja) 蓋把持機
KR19980024448A (ko) 밀봉 스트랩 유지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50123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9122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5012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3042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307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307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7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7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61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6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62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61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24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52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4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61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506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