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383482B1 - 폴리올레핀폼층을가지는포장재료의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폴리올레핀폼층을가지는포장재료의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3482B1
KR100383482B1 KR1019970705585A KR19970705585A KR100383482B1 KR 100383482 B1 KR100383482 B1 KR 100383482B1 KR 1019970705585 A KR1019970705585 A KR 1019970705585A KR 19970705585 A KR19970705585 A KR 19970705585A KR 100383482 B1 KR100383482 B1 KR 1003834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polyolefin
coating film
foam
foam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5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702190A (ko
Inventor
라우렌트 요크
피트 마이켈
Original Assignee
컨비니언스 푸드 시스템스 비.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컨비니언스 푸드 시스템스 비.브이. filed Critical 컨비니언스 푸드 시스템스 비.브이.
Publication of KR199807021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7021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34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34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B32B5/2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foamed in situ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acetate or vinyl alcohol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15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being manufactured and immediately laminated before reaching its stable state, e.g. in which a layer is extruded and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 B32B37/153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being manufactured and immediately laminated before reaching its stable state, e.g. in which a layer is extruded and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at least one layer is extruded and immediately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2Organic
    • B32B2266/0214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6/025Polyolef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5/02Cellular or porous
    • B32B2305/022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3/00Polyalkenes
    • B32B2323/04Polyeth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3/00Polyalkenes
    • B32B2323/10Polyprop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31/00Polyvinylesters
    • B32B2331/04Polymers of vinyl acetate, e.g. PV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53/00Packaging equipment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9921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 Y10T428/249953Composite having voids in a component [e.g., porous, cellular, etc.]
    • Y10T428/249982With component specified as adhesive or bonding ag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9921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 Y10T428/249953Composite having voids in a component [e.g., porous, cellular, etc.]
    • Y10T428/249982With component specified as adhesive or bonding agent
    • Y10T428/249985Composition of adhesive or bonding component specifi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9921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 Y10T428/249953Composite having voids in a component [e.g., porous, cellular, etc.]
    • Y10T428/249987With nonvoid component of specified composition
    • Y10T428/249988Of about the same composition as, and adjacent to, the void-containing compon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9921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 Y10T428/249953Composite having voids in a component [e.g., porous, cellular, etc.]
    • Y10T428/249987With nonvoid component of specified composition
    • Y10T428/249988Of about the same composition as, and adjacent to, the void-containing component
    • Y10T428/249989Integrally formed sk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9921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 Y10T428/249953Composite having voids in a component [e.g., porous, cellular, etc.]
    • Y10T428/249987With nonvoid component of specified composition
    • Y10T428/249991Synthetic resin or natural rubbers
    • Y10T428/249992Linear or thermoplastic
    • Y10T428/249993Hydrocarbon polymer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Wrappers (AREA)

Abstract

포장재료가 열적성형 또는 경험에 의하여 트레이와 같은 자체 지지 포장 물품으로 성형될 수 있으며, 적어도 일측상에 코팅필름(A)을 가지고 코팅된 폴리올레핀 폼 층(B)으로 구성되는 그러한 포장재료를 생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이 공동압출단계 또는 압출 적층단계를 포함하며 본 단계에서는 폴리올레핀 폼 층(B)과 코팅 사이에 결합이 이루어진다. 압출적층단계에 의하여 본 방법은 다음과 같이 진행한다. 제 1 방법 단계에서 단일층 또는 다층의 코팅필름(A)이 압출 또는 공동압출에 의하여 생산되며, 제 2 방법단계에서는 폴리올레핀 폼 층(B)이 팽창과 압출에 의하여 생산되며 그리고 제 3 방법단계에서는 폴리올레핀 폼 층(B)이 압출적층에 의하여 코팅필름(A)을 가지고 코팅되며, 여기서 폴리올레핀을 결합하는 층(30)은 폼 층(B)과 코팅 필름(A) 사이에서 압출되며 그리고 압력이 조합물에 가하여 진다. 폼 층(B)에 대면하는 코팅필름(A)의 적어도 1개의 표면은 폴리올레핀으로 되어 있으며 그리고 이 결합층(14)과 그리고 제 3의 방법 단계에서 압출된 또다른 결합층(30)은 폼 층(B)의 폴리올레핀의 주 모노머인 모노머에 기초하여진 폴리올레핀으로 되어 있다.

Description

폴리올레핀 폼 층을 가지는 포장재료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포장공업 분야에 속하며 독립청구항의 전제부에 따른 방법에 관한 것이며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포장재료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은 적어도 일측상에 코팅필름으로 코팅된 폴리올레핀 폼 층(foam layer)으로 구성되는 포장재료의 제조에 제공된다.
거의 무한하게, 감겨진 웹(quasi endless, rolled webs)의 형태로된,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으로 된 롬 층을 갖는 포장재료는 충진후에 예를들면 투명한 필름으로 밀봉되는 예를들면 음식을 위한 트레이(tray)와 같은 열성형된 자체 지지 포장물품을 생산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재료는 소위 "성형-충진-밀봉(Form-Fill-Seal)" 포장방법(FFS-method)으로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을 위하여 상기 포장재료는 하나의 장치에 공급되며, 상기 장치에서 재료는 트레이의 웹으로 성형되며, 동일한 상기 장치에서 트레이는 충진되며, 밀봉필름으로 밀봉되고 그 다음 서로 분리된다.
상기 포장재료에 있어서 폴리프로필렌 폼 층은 일측상에 또는 양측상에 코팅필름으로 코팅된다. 상기 폼 층은 상기 포장물품을 굳게(stiff) 하며 상기 코팅필름은 상기 폼 층을 기밀하게 하고 액체가 폼 재료의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근본적으로 폼 층의 구멍을 밀봉한다. 코팅필름의 조성 및 두께에 따라, 상기 필름은 굳기를 증가시키기 위한 또다른 수단으로서, 폼 표면의 보호 및/또는가스 및 향기의 장벽으로써 역시 제공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코팅필름은 폼 층으로부터 떨어져서 대면하는 그 표면에 밀봉층을 가지며 상기 밀봉층은 포장재료 및 포장물품(트레이)을 밀봉하기 위해 사용된 투명한 필름 사이의 결합층으로써 제공된다.
열적성형에 의해 트레이를 제조하기 위한 폴리프로필렌 폼 층을 갖는 포장재료는 예를들면 EP-A1-0570 222호에 기재되어 있다. 상기 재료는 폴리프로필렌 폼의 층에 다층필름을 열적결합(열 및 압력의 적용에 의한 적층형성)에 의해 제조되며, 상기 다층필름은 포장재료를 가스 및/또는 향기를 차단시키는 장벽층을 포함한다. 상기 다층필름은 폼 층과 대면하는 결합층을 필요로하면 상기 결합층은 열적 결합 공정에서, 즉 열 및 압력에 노출될 때 상기 폼 층에 점착될 수 있는 재료로 구성되어야 한다. 결합을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 열은 가해진 열에 의해 그 구조가 변화되는 일 없이 적층되는 폴리프로필렌 폼에 의해 제한된다. 이것은 상기 코팅필름의 결합층이 예를들면 에틸렌 코폴리머(ethylen copolymer)와 같은 폴리프로필렌 보다 상당히 낮은 온도에서 가소화되는 폴리머로 만들어질 것을 필요로 함을 의미한다.
낮은 용융점의 결합층은 전체 구조를 오히려 열에 민감하게 만들며 폴리프로필렌 물질의 재순환성에 관한 이질재료(foreign material)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결합층은 폼 재료 보다도 더 낮은 온도에서 가소화 되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포장재료로부터 만들어진 포장물품들에 제기되는 열적안정성에의 최소의 요구조건을 충족시키는 그러한 결합층을 이한 재료가 존재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이 폼 층을 위한 재료의 선택은 추가적으로 제한된다. 또한 결합층의 재료에 요구되는 조건은상기 공보에 주어진 예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같이 코팅 필름 구조를 복잡하여지게 한다.
EP-344726에는 유사한 포장재료가 기술되어 있는데, 이 포장재료는 일측 또는 양측 상에 코팅된 발포된 플라스틱(foamed plastic;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으로 본질적으로 구성된다. 재료의 생산을 위해 접착방법(EP-057022) 또는 공동압출 성형 방법이 제안된다. 상기 공동압출 성형을 위해, 상기 폼 층은 발포된 재료로서 동일한 플라스틱 재료이거나 또는 상이한 플라스틱 재료인 추가적인 층과 압출성형된다.
음식포장을 위한 트레이와 같이 자체 지지 포장물품을 성형하기 위하여 적용할 수 있는 폴리올레핀 폼 층을 갖는 포장재료를 제조하는 방법을 창안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며, 상기 방법은 폼 층이 갖는 것보다 본질적으로 낮은 열적 안정성을 갖는 결합층을 생략하도록 허용한다. 따라서 상기 발명의 방법을 이용하면 공지된 그러한 방법들 보다 폼 층에 대한 폴리올레핀의 넓은 선택을 허용한다. 본 방법에 의하여 생산된 포장재료는 공지된 그러한 포장재료 보다 폼 재료와 달리 더 적은 재료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동일한 목적을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 폴리올레핀 폼 층을 갖는 포장 재료를 제조하기 위한 공지된 방법보다 더 많은 경비지출과 연결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목적들은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된 것과 같은 폴리올레핀 폼 층을 갖는 포장재료를 생산하기 위한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방법은 폴리올레핀 폼 층을 코팅하기 위한 압출적층단계에 기초를둔다.
이에 의해, 압출 및 팽창에 의하여 별도의 방법단계에서 생산된 폼 층은 공동압출 성형에 의한 별도의 방법단계에서 생산된 단일층 또는 다층 코팅 필름을 갖는 압출적층에 의해 코팅된다. 이것은 폴리올레핀 폼 층 및 코팅필름이 함께 안내되고 또다른 결합층이 그들 사이에서 압출되는 것을 의미한다. 압출적층단계에서 압출된 상기 또다른 결합층은 폼 층의 주된 모노머(main monomer)에 기초한 폴리올레핀으로 되어 있다. 상기 또다른 결합층의 압출 직후에는 폼 층을 손상하는 일 없이 만족할만한 결합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층들에 가해진 충분한 압력이 존재한다. 상기 코팅필름은 또한 (예를들면 프로필렌과 같은) 폼 층의 폴리올레핀의 주된 모노머인 모노머에 기초한 폴리올레핀으로 구성된 폼 층에 대면하는 (또는 오히려 또다른 결합층에 대면하는) 결합층을 필요로 한다 상기 결합층은 다시 단일층 코팅필름의 유일한 층일 수 있거나 또는 다층 코팅필름의 가장 내측의 층일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생산된 포장재료는 폼 층의 표면상에 상기 폼 층의 폴리올레핀과 근본적으로 동일한 폴리올레핀의 2개층을 항상 나타낸다.
상기 폼 층이 양측상에 코팅되는 경우, 이것은 별도의 방법단계에서 2개의 코팅필름 및 폼 층을 생산하는 것에 의하여 행해지고 2개의 압출적층단계에서 폼 층을 코팅하는 것에 의하여 행하여 질 수 있다. 이것은 또한 공동 압출에 의하여 일측상에 코팅된 폼 층을 생산하는 것 및 상기 층을 별도의 공동압출 또는 압출단계에서 생산된 코팅필름을 갖는 압출적층에 의하여 다른 측상에 코팅하는 것에 의해 행해질 수 있다. 모든 경우에 있어서, 폴리올레핀 폼 층의 코팅된 표면상에 근본적으로 폼 층의 폴리올레핀과 동일한 폴리올레핀의 2개 층이 존재한다.
본 발명의 방법 및 본 발명의 방법으로 생산된 포장재료는 다음 도면과 관련하여 더욱 자세히 기술된다.
제 1도는 압출적층법에 의하여 다층 코팅필름을 가지고 일측상에 코팅된 포장재료를 생산하는 본 발명의 방법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며;
제 2도는 일측상에 다층을 가지고, 다른 측상에는 단일층 코팅필름을 가지고 코팅된 포장재료를 공동압출 및 압출적층에 의하여 제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범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며;
제 3도 내지 제 5도는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여 생산된 포장재료의 실시예의 코팅의 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면과 관련하여 기술된 실시예는 모두 폴리프로필렌 폼 층을 갖는 포장재료와 관린된다. 이것은 본 발명의 방법을 폴리프로필렌에 기초한 포장재료의 생산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동일한 방법이 폴리에틸렌에 기초한 재료 또는 다른 폴리올레핀에 기초한 재료를 생산하기 위해 적용될 수 있다.
제 1도는 3개의 방법단계 1, 2 및 3을 갖는 본 발명의 방법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방법단계 1은 다층 (예를들면 5개층과 같은) 또는 단일층 코팅필름(A)이 생산되는 공동압출 또는 압출단계이다. 방법단계 2는 폴리올레핀 층(B)이 생산되는 팽창 및 압출단계이다. 방법단계 3은 최종 포장재료(C)가 폼 층(B)과 코팅필름(A) 사이의 폴리올레핀 결합층(30)의 방출에 의해 제조되고 만족할만한 결합을 달성하기 위해(예를들면 압축롤(31)에 의해) 제품에 충분한 압력을 가함에 의해제조된다.
방법단계 2에서 제조된 폼 층(B)은 발포된 폴리올레핀으로 구성된다.식품포장에 적용할 수 있는 트레이와 같은 자체 지지 포장물품을 성형하기 위하여, 발포된 폴리프로필렌은 이것이 빈약한 두께 및 밀도를 가지고 자체 지지하고 있으므로 유리하게 사용된다. 가지달린 긴사슬(고융점 강도의 폴리프로필렌)을 가진 폴리프로필렌 및 고체 또는 가스상의 취입제(blowing agent)의 도움으로 팽창된 프로필렌-에틸렌-코폴리머(예를들면 이질상(heterophasic)의 블럭 프로필렌-에틸렌-코폴리머)의 혼합물은 열적으로 성형가능하나 그의 감소된 취성(brittleness)의 덕분으로 역시 접힘에 의하여 트레이와 같은 포장물품으로 성형 가능한 포장재료가 된다. 2개 폴리머의 동일한 부분과 고체상의 취입제의 2%의 첨가로서 대단히 좋은 결과가 얻어진다.
자체 지지 포장물품을 성형하기 위하여 포장재료에 적용하기 위한 폴리프로필렌 폼 층은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mm의 두께 및, 0.1 내지 0.8g/㎠, 바람직하게는 0.3g/㎠의 밀도 그리고 100 내지 300셀/㎣의 셀수(cell count)를 갖는다. 밀도와 셀수는 압출 압력과 다른 공정조건을 변동시킴에 의해 영향받을 수 있다.
방법단계 3에서 압출된 폴리올레핀은 폼 층의 주된 모노머와 동일한 모노머에 기초하여야 한다.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프로필렌 코폴리머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상기 폼의 경우에 있어서 이것은 바람직하게는 폴리프로필렌이다. 압출된 결합층은 바람직하게는 5 내지 30㎛의 두께를 갖는다.
방법단계 1에서 생산된 코팅필름(A)은 폼 층의 주된 모노머와 동일한 모노머에 기초한 폴리올레핀, 바람직하게는 방법단계 3에서 압출된 것과 동일한 폴리올레핀으로 구성되는 적어도 1개의 표면 (예를들면 하나의 표면층(14))을 갖아야 한다. 코팅필름의 상기 1개의 표면은 방법단계 3에서 폼 층과 대면해야 한다. 상이한 코팅필름의 실시예가 제 3도 내지 제 5도와 관련하여 기술된다.
제 3의 방법단계는 역시 폼 층의 다른 표면을 코팅하기 위해 반복될 수 있으며, 이것에 의하여 폼 층의 2개 측상의 코팅필름이 서로 유사하거나 또는 상이할 수 있다.
동일한 장치내에서 제 2 및 제 3 방법단계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며 그래서 폼 층이 입출 다이를 떠난후 수초내에 코팅된다.
제 2도는 단일층 코팅필름(A')을 갖는 폼 층(B)의 일측을 코팅하기 위하여 공동압출단계(4)를 포함하며 다층 코팅필름(A)을 갖는 폼 층(B)의 다른 측을 코팅하기 위한 압출적층단계(3)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방법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제 3도 내지 제 5도는 본 발명의 방법으로 생산될 수 있는 폼 층의 예로 표시된 코팅의 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시된 모든 코팅은 압출적층단계로 생산되며 따라서 모두는 코팅필름의 부분이 되는 결합층(14)에 추가하여 압출적층단계에서 압출된 또다른 결합층(30)을 도시한다.
제 3도는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여 생산된, 예시된 포장재료의 횡단면을 도시한다. 상기 포장재료는 3개의 기본적인 구성부; 즉 코팅필름(A), 폼 층(B) 그리고 폼 층(B)과 코팅필름(A) 사이의 방법단계 3(제 1도)에서 압출된 또다른결합층(30)으로 구성된다.
제 3도에 도시된 5개층 코팅필름은 예를들면 에틸렌-비닐-알콜-코폴리머로 만들어진 장벽층(11)과; 상기 장벽층(11)의 어느 일측상의 접착성 층(12 및 13)과; 압출된 또다른 결합층(30)에 대면하는 결합층(14)과; 그리고 예를들면, 트레이와 같은 포장물품이 밀봉을 위하여 덮혀지는 그러한 필름재료에 결합할 수 있는 저밀도의 폴리에틸렌 또는 벗길수 있는 폴리에틸렌으로 구성된 밀봉층(15)으로 구성된다. 상기 밀봉층(15)은 예를 들면 결 합층(14)과 같이 폴리프로필렌으로 만들어진, 밀봉기능을 갖지 않는 보호층에 의하여 대체될 수 있다. 그러한 보호층을 갖는 포장재료는 밀폐를 위하여 열밀봉을 필요로 하지 않는 포장물품을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접착층(12 및 13)은 에틸렌-비닐-알콜-코폴리머의 결합에 적합한 접착제로 구성된다. 도시된 경우에 대하여 상기 장벽층(11)을 결합 표면층(14; 폴리에틸렌)에 결합시키는 제 1 접착층(12)은 프로필렌-코폴리머로 구성되며, 장벽층(11)을 밀봉층(15; 폴리에틸렌)에 결합시키는 제 2 접착층(13)은 에틸렌-코폴리머로 구성된다.
제 3도에서 도시된 바와같은 포장재료에서 상이한 층에 대한 유리한 두께는, 밀봉층(15)은 10 내지 50㎛, 접착층(12 및 13)은 3 내지 5㎛, 장벽층(11)은 10㎛까지, 결합층(14)은 5 내지 15㎛, 압출된 또다른 결합층(30)은 5 내지 30㎛, 그리고 폼 층(B)은 0.5-2mm이다.
제 4도는 본 발명의 방법으로 생산된 포장재료의 또다른 코팅예의 횡단면도를 도시한다. 기본적인 구성부는 제 3도에서와 같이 폴리프로필렌 폼 층(B), 폴리프로필렌의 압출된 또다른 결합층(30) 및 코팅필름(A) 이다. 상기 코팅필름은 3개의 층; 즉 폴리프로필렌 결합층(14), 밀봉층(15) 그리고 필요한 경우 이들 사이에 접착층(16)을 포함한다.
제 5도는 본 발명의 방법으로 생산된 포장재료의, 예로 표시된 또다른 코팅의 횡단면을 도시한다. 상기 재료의 코팅필름(A)은 폴리프로필렌으로 구성된 압출된 단일충의 필름이며 양자가 결합층(14) 및 보호층으로써 제공된다.
제 3도 내지 제 5도는 모두 폼 층의 단지 하나만 코팅된 표면만을 도시한다. 폼 층의 다른 표면은 코팅되지 않았거나 코팅되어 있으며, 여기서 도시된 3개의 또는 다른 유사한 코팅들의 모든 조합을 생각할 수 있다.

Claims (16)

  1. 자체지지 포장 물품을 형성하는데 사용가능하며 그리고 거의 무한하게 감길 수 있는 웹의 형상을 가지며 그리고 적어도 일측은 코팅필름(A)으로 코팅되는 한편 제 1 폴리올레핀으로 이루어진 폼 층(B)으로 구성되는 포장재료(C)를 생산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제 1 방법단계(1)에서는 단일층 또는 다층 코팅필름(A)이 압출 또는 공동압출에 의하여 생산되며, 상기 코팅필름(A)은 제 2 폴리올레핀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적어도 1개의 상기 필름의 표면상에서 제 2 폴리올레핀으로 이루어진 결합층(14)을 구비하며, 제 2 방법단계(2)에서는 제 1 폴리올레핀의 폼 층(B)이 팽창 및 압출에 의하여 생산되며, 제 3 방법단계(3)에서는 상기 폼 층(B)은 압출적층에 의하여 코팅필름(A)으로 코팅되며 여기서 상기 압출적층은 상기 결합층(14)이 폼 층(B)을 향하여 대면하도록 하는 방법으로 상기 코팅필름(A)과 함께 상기 폼 층(B)을 가져오며, 상기 폼 층(B)과 상기 코팅필름(A) 사이에 제 3 폴리올레핀으로 이루어진 또다른 결합층(30)을 압출하고, 상기 층들에 결합 압력을 가함에 의해 이루어지며, 여기서 제 1, 제 2 및 제 3 폴리올레핀은 모두 동일한 주된 모노머에 기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또다른 결합층(30)은 5 내지 30㎛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제 3 방법단계(3)는 폴리올레핀 폼 층(B)의 다른 표면을 코팅하기 위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제 3 방법단계(3)에서 압출 적층에 의하여 일측에 코팅된 폴리올레핀 폼 층은 이전의 공동압출단계에서 다른 측상에 이미 코팅된 폴리올레핀 폼 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폼 층의 폴리올레핀의 주된 모노머는 프로필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필름(A)은 에틸렌-비닐-알콜-코폴리머로 이루어진 장벽층(11), 상기 필름의 1개의 표면을 형성하는 폴리프로필렌의 결합층(14), 상기 필름의 다른 표면을 형성하는 폴리에틸렌의 밀봉층(15), 장벽층(11)과 결합층(14) 사이의 제 1 접착층(12), 및 장벽층(11)과 밀봉층(15) 사이의 제 2 접착층(13)의 공동압출에 의하여 생산되며, 여기서 제 1 접착층(12)은 프로필렌 코폴리머로 구성되며 제 2 접착층(13)은 에틸렌 코폴리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필름(A)은 에틸렌-비닐-알콜-코폴리머로 이루어진 장벽층(11), 상기 필름의 1개의 표면을 형성하는 폴리프로필렌의 결합층(14), 상기 필름의 다른 표면을 형성하는 폴리프로필렌의 보호층, 장벽층(11)과 결합층(14) 사이의 제 1 접착층(12) 및, 장벽층(11)과 보호층 사이의 제 2 접착층(L3)의 공동압출에 의하여 생산되며, 여기서 제 1 및 제 2 접착층(12,13)은 프로필렌 코폴리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필름(A)은 상기 필름의 1개의 표면을 형성하는 폴리프로필렌 결합층(14), 상기 필름의 다른 표면을 형성하는 폴리에틸렌 밀봉층(15), 및 밀봉층(15)과 결합층(14) 사이의 접착층(16)의 공동압출에 의하여 준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폼 층(B)의 준비를 위해 사용되는 폴리올레핀은 가지를 갖는 긴 사슬의 폴리프로필렌과 에틸렌∼프로필렌-코폴리머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적어도 일측상이 코팅필름(A)로 코팅되며 제 1 폴리올레핀으로 이루어진 폼 층(B)으로 구성된 포장재료가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방법에 의해 생산되는 포장재료(C)에 있어서,
    상기 폼 층(B)의 코팅은, 직접 상기 폼 층의 표면상에서, 제 1 폴리올레핀의 주된 모노머인 모너머에 기초한 다른 폴리올레핀으로 구성되는 2개의 결합층(30, 14)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재료.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재료는 상기 2개의 결합층(14,30)에 추가적으로 또다른 층(11,12,13,15,16)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재료.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또다른 층의 하나는 장벽층(1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재료.
  13. 제 10항에 있어서,
    제 1 폴리올레핀 및 다른 폴리올레핀은 프로필렌에 기초한 폴리올레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재료.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층(14)과 또다른 결합층(30)은 5 내지 60㎛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재료.
  15.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재료의 최 외측의 층 중 적어도 1개는 저밀도의 폴리에틸렌 또는 벗길수 있는 폴리에틸렌으로 구성되는 밀봉층(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재료.
  16.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폼 층(B)은 양측부 상에서 코팅되고 상기 2개의 필름(A,A')은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재료.
KR1019970705585A 1995-02-17 1996-02-02 폴리올레핀폼층을가지는포장재료의제조방법 KR1003834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H465/95-9 1995-02-17
CH46595 1995-02-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702190A KR19980702190A (ko) 1998-07-15
KR100383482B1 true KR100383482B1 (ko) 2003-09-26

Family

ID=4187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5585A KR100383482B1 (ko) 1995-02-17 1996-02-02 폴리올레핀폼층을가지는포장재료의제조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2) US6132539A (ko)
EP (1) EP0809571B1 (ko)
JP (1) JP3913268B2 (ko)
KR (1) KR100383482B1 (ko)
AU (1) AU4480096A (ko)
DE (1) DE59600994D1 (ko)
DK (1) DK0809571T3 (ko)
ES (1) ES2129258T3 (ko)
WO (1) WO19960252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840046A1 (de) * 1998-09-02 2000-03-09 Convenience Food Sys Bv Verpackungsmaterial mit einer Schicht aus geschäumtenm Polyolefin
EP1066958A1 (en) * 1999-07-08 2001-01-10 Cryovac, Inc. Thermoformable multi-layer partially foamed sheet
EP1120241A1 (en) * 2000-01-26 2001-08-01 Cryovac, Inc. Thermoformable multi-layer partially foamed sheet
US6430467B1 (en) 2000-07-12 2002-08-06 Rock-Tenn Company Processes for packaging perishable and other products
CA2414714A1 (en) * 2002-01-04 2003-07-04 The Pillsbury Company Trays for sauces, products containing same and methods
KR100444297B1 (ko) * 2002-02-18 2004-08-16 유피씨(주)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섬유의 제조방법
US20050001344A1 (en) * 2002-11-04 2005-01-06 Chang Jui Yang Method for forming foamable boards
US20040094256A1 (en) * 2002-11-18 2004-05-20 Chang Jui Yang Method for forming foamable boards
DE10350237A1 (de) * 2003-10-27 2005-06-02 Cfs Kempten Gmbh Verpackungsmaterial mit einer Schicht aus geschäumtem Polyolefin
ES2330946T3 (es) * 2004-01-06 2009-12-17 Dow Global Technologies Inc. Hojas polimericas de varias capas.
DE102004056225A1 (de) * 2004-11-22 2006-05-24 Cfs Kempten Gmbh Thermoformbare Mehrschichtfolien
JP4670477B2 (ja) * 2005-05-24 2011-04-13 東洋紡績株式会社 積層ポリオレフィン系発泡フィルム
JP4591260B2 (ja) * 2005-07-29 2010-12-01 東洋紡績株式会社 光沢度良好なヒートシール性ポリオレフィン系発泡フィルム
CN103046718B (zh) * 2012-12-18 2015-04-08 林彬 一种淋膜转印软垫及其生产工艺
JP6908969B2 (ja) * 2015-02-26 2021-07-28 中央化学株式会社 包装用容器
DE102016224077B4 (de) * 2016-12-02 2019-06-19 Frank van Lück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beschichteten Schaumbahn und Beschichtungsvorrichtung
KR101924431B1 (ko) * 2017-03-23 2019-02-20 주식회사 지인테크 고온, 고압 프레싱 접착공정에서 베이스 필름의 엠보스 소멸을 방지하는 다층 보호필름을 갖는 데코레이션 필름의 제조방법과 이 제조방법에 의해 만들어지는 데코레이션 필름
EP3533600B1 (de) * 2018-03-01 2022-09-21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Verbundstruktur für airbagabdeckung und nähprodukt der verbundstruktur
PT3533601T (pt) * 2018-03-01 2022-08-09 Bayerische Motoren Werke Ag Estrutura compósita para cobertura de airbag e produto costurado da estrutura compósita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71897A (en) 1971-03-01 1975-03-18 Ici Ltd Foamed olefin polymer wallpaper
US4126262A (en) * 1976-07-02 1978-11-21 Champion International Corporation All-plastic heat-sealable container material and method of making
DE2721532A1 (de) * 1977-04-27 1978-11-09 Basf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schaumstoff-verbundmaterialien
GB2024101B (en) * 1978-06-29 1982-10-13 Honda Motor Co Ltd Composite panels
DE3132439C2 (de) 1981-08-17 1984-05-24 Dynamit Nobel Ag, 5210 Troisdorf Formmasse für einen vernetzten Schaumstoff aus Polyolefinen und Äthylen-Propylen-Kautschuk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des Schaumstoffes
US4440824A (en) * 1981-10-23 1984-04-03 Composite Container Corporation Thermoformable coextruded multilayered structure
US4563388A (en) * 1983-03-28 1986-01-07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Polyolefin substrate coated with acrylic-type normally tacky a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and a method of making same
US4728567A (en) * 1986-12-22 1988-03-01 General Electric Company Silicone foam backed polyimide film
DE3722139A1 (de) * 1987-07-04 1989-01-19 Stoll Kunststoffe Gmbh & Co K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geschaeumten folie aus thermoplastischem kunststoff
JPH01301235A (ja) * 1988-05-30 1989-12-05 Sekisui Plastics Co Ltd 真空成形に適した積層発泡シート
DK160036C (da) * 1988-10-27 1991-06-10 Nielsen Emballage Laminat, navnlig til emballering af levneds- eller nydelsesmidler, samt fremgangsmaade til fremstilling af laminatet
EP0438874A3 (en) 1989-12-05 1992-06-10 Tonen Chemical Corporation Method of producing thick, integral cross-linked foam of thermoplastic polyolefin
JP2893286B2 (ja) * 1990-05-17 1999-05-17 グンゼ株式会社 熱収縮性発泡複合フィルム及びその製法
JP2924087B2 (ja) 1990-05-24 1999-07-26 三菱化学株式会社 ランダム共重合体の架橋体及び架橋発泡体
CA2083004A1 (en) * 1992-05-13 1993-11-14 Thomas Hessen Barrier polyprepylene foam trays
GB2277052A (en) * 1993-04-14 1994-10-19 Du Pont Canada Polyurethane foam laminates
US6231962B1 (en) * 1993-08-31 2001-05-1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Removable foam adhesive tap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59600994D1 (de) 1999-01-28
JPH11500073A (ja) 1999-01-06
US6132539A (en) 2000-10-17
KR19980702190A (ko) 1998-07-15
US6794025B1 (en) 2004-09-21
ES2129258T3 (es) 1999-06-01
WO1996025290A1 (de) 1996-08-22
AU4480096A (en) 1996-09-04
EP0809571B1 (de) 1998-12-16
EP0809571A1 (de) 1997-12-03
DK0809571T3 (da) 1999-06-23
JP3913268B2 (ja) 2007-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3482B1 (ko) 폴리올레핀폼층을가지는포장재료의제조방법
FI65273C (fi) Vaermekrympbar foerpackningsfilm
EP0283920B1 (en) Heat-sealable microporous polypropylene films
CA1219800A (en) Laminate together with a method for its manufacture
US4847148A (en) Thermoformable barrier sheet
US4935089A (en) Method of making a thermoformable barrier sheet
US4062712A (en) Method for making a packing laminate
US4243724A (en) Thermoplastic multi-layer film
KR101763364B1 (ko) 네이키드 컬레이션 패키지 및 이를 형성시키는 방법
US6183838B1 (en) Composite material having gas cavities and a mechanically bonded protective layer and method of making same
JPH05212838A (ja) Hdpe/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組み合わせ物
US5318824A (en) Packaging structure
HU218355B (hu) Hajlékony csomagolóanyag
PL206269B3 (pl) Sposób wytwarzania wielowarstwowego materiału kompozytowego
JP2685420B2 (ja) コンパウンド材料の製造方法
JPH0410419B2 (ko)
JP2021523858A (ja) スパウトパウチおよびそれを作製する方法
JP2020192695A (ja) 積層体
EP0570222A1 (en) Polypropylene foam trays having a barrier layer
JP2020019564A (ja) 包装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包装体
CA1302857C (en) High barrier low profile forming web
US4973375A (en) Process for producing a composite sheet
JP4288098B2 (ja) 紙容器用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3553474B2 (ja) 製袋充填包装方法
JPS6140184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0813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0091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206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301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304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304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41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424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4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