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375153B1 - 편향 장치 및 편향 방법 - Google Patents

편향 장치 및 편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5153B1
KR100375153B1 KR10-2001-7003212A KR20017003212A KR100375153B1 KR 100375153 B1 KR100375153 B1 KR 100375153B1 KR 20017003212 A KR20017003212 A KR 20017003212A KR 100375153 B1 KR100375153 B1 KR 1003751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current
voltage
coil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3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75067A (ko
Inventor
야마테가즈노리
다나카마사노부
나카츠지마사노리
고바야시마사아키
우에다아키라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750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50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51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51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3/0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 H04N3/1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 H04N3/16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by deflecting electron beam in cathode-ray tube, e.g. scanning corr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3/0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 H04N3/1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 H04N3/3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otherwise than with constant velocity or otherwise than in pattern formed by unidirectional, straight, substantially horizontal or vertical li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3/0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 H04N3/1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 H04N3/16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by deflecting electron beam in cathode-ray tube, e.g. scanning corrections
    • H04N3/22Circuits for controlling dimensions, shape or centering of picture on screen
    • H04N3/23Distortion correction, e.g. for pincushion distortion correction, S-correction
    • H04N3/233Distortion correction, e.g. for pincushion distortion correction, S-correction using active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cann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트랜스의 1차 코일이 수평 편향 코일에 직렬로 접속된다. 진폭 조정 회로는 트랜스의 2차 코일에 발생한 전압에 따라 제 1 보정 전압을 출력한다. 위상 조정 회로는 진폭 조정 회로의 제 1 보정 전압의 위상을 조정하여 제 2 보정 전압을 출력한다. 가산 회로는 제 2 보정 전압을 톱니파 전압 발생 회로의 톱니파 전압에 가산한다. 위상 조정 회로의 제 2 보정 전압에 따라 증폭기가 출력하는 보정 전류에 의해서 수평 편향 전류에 의해 수직 편향 코일에 발생하는 전류 성분이 소거된다.

Description

편향 장치 및 편향 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DEFLECTION}
최근, 텔레비젼 장치 등의 표시 장치의 분야에서, 고해상도의 표시를 실행하기 위해서 전자 빔을 왕복 주사하는 수평 왕복 편향 방식의 편향 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수평 왕복 편향 방식의 편향 장치에서는, 왕로의 주사선 및 귀로의 주사선을 평행하게 할 필요가 있다.
도 4는 왕로 및 귀로의 주사선을 평행으로 하기 위해서 수평 왕복 편향 방식으로 이용하는 수직 편향 전류 및 수평 편향 전류를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이다. 도 4(a)에는 텔레비젼 장치 등의 화면의 윗쪽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전자 빔을 1회 이동시키고, 그 후 다시 화면 윗쪽으로 되돌리는 수직 편향 자계를 발생하기 위한 제 1 톱니파 전류(SI1)가 도시되어 있다. 도 4(a)에 나타내는 제 1 톱니파 전류(SI1)에 의해 수직 주사를 행하면, 왕로의 주사선과 귀로의 주사선이 평행하게 되지 않기 때문에, 평행화하기 위해서 왕로 및 귀로의 주사시에 수직 편향 전류의경사를 0으로 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도 4(a)의 제 1 톱니파 전류(SI1)에 도 4(b)의 제 2 톱니파 전류(SI2)를 더하여, 도 4(c)에 나타내는 수직 편향 전류(VI)를 생성하고 있다. 도 4(b)의 제 2 톱니파 전류(SI2)는 수평 주사 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를 가지며, 왕로 및 귀로의 주사시의 제 2 톱니파 전류(SI2)의 경사는 합성후의 수직 편향 전류(VI)의 왕로 및 귀로의 주사시의 경사가 0으로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도 4(d)에 나타내는 수평 편향 전류(HI)는, 왕복 주사를 하기 위해서 수평 주사 주파수의 2분의 1의 주파수의 파형을 갖는다.
도 5는 평행화된 왕복 편향주사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c)의 수직 편향 전류(VI) 및 도 4(d)의 수평 편향 전류(HI)를 이용하여 왕복 편향을 실행하면, 도 5(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화면(20) 위를 주사선(21)이 평행하게 왕복 주사하는 이상적인 왕복 주사가 실현된다. 그런데, 도 4(c)에 나타내는 수직 편향 전류(VI)를 수직 편향 코일에 공급하고, 도 4(d)에 나타내는 수평 편향 전류(HI)를 수평 편향 코일에 공급하면 주사선이 왜곡되는 경우가 있다. 수평 편향 코일로부터 수직 편향 코일로 수평 편향 전류(HI)에 의한 전류 성분이 유도되어, 이 전류 성분이 도 4(c)의 수직 편향 전류(VI)에 중첩되면, 도 5(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사선(22)이 왜곡되어, 표시되는 화상이 왜곡된다.
종래의 편향 장치에 있어서는, 수평 편향 전류에 의해 수평 편향 코일로부터 수직 편향 코일로 유도되어 흐르는 전류 성분을 소거하기 위해서, 예컨대 다음 방법이 행하여진다. 수직 편향 코일에 직렬로 트랜스를 접속하여, 수평 편향 코일에흐르는 수평 편향 전류에 대하여 180°위상이 어긋난 전류를 트랜스를 거쳐서 수직 편향 코일에 공급한다. 이에 따라, 수직 편향 코일로 유도된 전류 성분이 소거된다. 이 경우, 수직 편향 코일에 직렬로 접속된 트랜스에는, 수직 편향 전류라고 하는 큰 전류에 적합한 규격의 것을 이용하지 않으면 안되므로 제조 비용이 증가한다. 또한, 이 트랜스를 구동하는 드라이브 회로에서 소비되는 전력이 커져 버린다.
본 발명의 목적은 주사선의 왜곡을 발생하는 일없이 왕복 편향을 실행할 수 있고, 저비용화 및 저소비 전력화가 가능한 편향 장치 및 편향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주사선의 왜곡을 발생하는 일없이 왕복 편향을 실행할 수 있고, 저비용화 및 저소비 전력화가 가능한 편향 장치 및 편향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자 빔을 왕복 주사하는 수평 왕복 편향 방식의 편향 장치 및 편향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실시예 1에 따른 편향 장치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2는 도 1의 편향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
도 3은 실시예 2에 따른 편향 장치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4는 수평 왕복 편향 방식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
도 5는 수평 왕복 편향 방식의 주사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른 편향 장치는, 수직 동기 신호 및 수평 동기 신호에 응답하여 전자 빔을 수평 방향으로 왕복 편향하는 것에 의해 왕복 주사를 하는 편향 장치에 있어서, 수직 편향 코일과, 수평 편향 코일과, 전자 빔을 수평 방향으로 왕복 편향하기 위한 수평 편향 전류를 수평 편향 코일에 공급하는 수평 편향 전류 공급 회로와, 수평 편향 코일에 흐르는 수평 편향 전류에 의해서 수직 편향 코일로 유도되는 전류 성분을 검출하는 유도 전류 검출 회로와, 수직 동기 신호에 동기한 톱니파 전압을 발생하는 톱니파 전압 발생 회로와, 톱니파 전압 발생 회로에 의해 발생되는 톱니파 전압을 수신하여, 전자 빔을 수직 방향으로 편향하기 위한 제 1의 톱니파 전류를 수직 편향 코일에 공급하는 제 1 전류 공급 회로와, 왕로 및 귀로의 주사선을 평행화하기 위한 제 2 톱니파 전류를 수직 편향 코일에 공급하는 제 2 전류 공급 회로와, 톱니파 전압 발생 회로에 의해 발생되는 톱니파 전압에, 유도 전류 검출 회로에 의해 검출된 전류 성분을 소거하기 위한 보정 전압을 가산하는 보정 전압 가산 회로를 구비한다.
그 편향 장치에 있어서는, 수평 편향 코일에 흐르는 수평 편향 전류에 의해 수직 편향 코일로 유도되는 전류 성분이 유도 전류 검출 회로에 의해 검출된다. 검출된 전류 성분에 근거하여 보정 전압 가산 회로에 의해 보정 전압이 톱니파 전압에 가산되어, 그 보정 전압에 따른 전류 성분이 제 1 전류 공급 회로에 의해 수직 편향 코일에 공급된다.
이에 따라, 수평 편향 코일에 흐르는 수평 편향 전류에 의해 수직 편향 코일로 유도되는 전류 성분을 소거할 수 있다. 따라서, 주사선의 왜곡을 발생하는 일없이 왕복 편향을 실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수직 편향 코일로 유도되는 전류 성분을 소거하기 위한 전류 성분을 공급하기 위해서 수직 코일에 트랜스를 직렬로 접속하는 것이 불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편향 장치의 저비용화 및 저소비 전력화가 도모된다.
유도 전류 검출 회로는 전류 성분에 따른 출력 전압을 발생하고, 보정 전압 가산 회로는 유도 전류 검출 회로의 출력 전압의 진폭 및 위상을 조정하며, 조정된출력 전압을 보정 전압으로서 출력하는 조정 회로와, 조정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보정 전압을 톱니파 전압 발생 회로에 의해 발생되는 톱니파 전압에 가산하는 가산 회로를 구비하여도 된다.
이 경우, 수직 편향 코일로 유도되는 전류 성분에 따른 출력 전압이 유도 전류 검출 회로에 의해 발생되고, 조정 회로에 의해 그 출력 전압의 진폭 및 위상이 조정되어, 수직 편향 코일로 유도되는 전류 성분의 위상과 적당한 관계를 갖는 보정 전압이 출력된다. 또한, 톱니파 전압 발생 회로에 의해 발생되는 톱니파 전압에 가산 회로에 의해 보정 전압이 가산된다. 그것에 의하여, 보정 전압에 따라서, 수직 편향 코일로 유도되는 전류 성분과 역의 극성을 갖는 전류 성분이 제 1 전류 공급 회로로부터 수직 편향 코일에 공급된다. 그 결과, 수직 편향 코일로 유도된 전류 성분을 제 1 전류 공급 회로로부터 공급된 전류 성분에 의해 소거할 수 있다.
유도 전류 검출 회로는 수평 편향 코일에 흐르는 수평 편향 전류에 의해서 수직 편향 코일로 유도되는 전류 성분을, 수평 편향 전류로부터 검출하는 수평 편향 전류 검출 회로를 포함하여도 된다.
이 경우, 수직 편향 코일로 유도되는 전류 성분이 수평 편향 전류 검출 회로에 의해 수평 편향 전류로부터 검출된다. 그에 따라, 수직 편향 전류 중에서 유도된 전류 성분을 추출하는 경우에 비하여, 유도된 전류 성분을 간단히 검출할 수 있다.
수평 편향 전류 검출 회로는 수평 편향 코일에 직렬로 접속된 1차 코일을 갖고 또한 보정 전압 가산 회로에 접속되는 2차 코일을 갖는 제 1 트랜스를 포함하여도 좋다.
이 경우, 수평 편향 전류는 수직 편향 전류보다도 작기 때문에, 수직 편향 코일에 직렬로 트랜스를 삽입하는 경우에 비하여, 작은 트랜스를 이용하여 수직 편향 코일로 유도되는 전류 성분을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보다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보정 전압 가산 회로는, 제 1 트랜스의 2차 코일의 출력 전압의 진폭 및 위상을 조정하여, 조정된 출력 전압을 보정 전압으로서 출력하는 조정 회로와, 조정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보정 전압을 톱니파 전압 발생 회로에 의해 발생되는 톱니파 전압에 가산하는 가산 회로를 구비하여도 된다.
이 경우, 조정 회로에 의해 제 1 트랜스의 2차 코일의 출력 전압의 진폭 및 위상이 조정되고, 조정된 전압이 보정 전압으로서 출력되어, 보정 전압이 가산 회로에 의해 톱니파 전압에 가산된다.
제 2 전류 공급 회로는 1차 코일을 갖고 또한 수직 편향 코일에 직렬로 접속된 2차 코일을 갖는 제 2 트랜스와, 수평 동기 신호에 동기한 톱니파 전류를 제 2 트랜스의 1차 코일에 공급하는 톱니파 전류 공급 회로를 포함하여도 좋다.
이 경우, 수평 동기 신호와 동기한 톱니파 전류가 제 2 트랜스의 1차 코일에 공급되고, 2차 코일로부터 수직 편향 코일에 제 2 톱니파 전류가 공급된다.
편향 장치는 제 2 트랜스의 2차 코일의 한쪽 단부의 전압을 보정 전압 가산 회로에 네가티브 귀환하는 귀환 회로를 더 구비하고, 가산 회로는 귀환 회로에 의해 네가티브 귀환된 전압을 보정 전압 및 톱니파 전압에 가산하더라도 무방하다.
이 경우, 제 2 트랜스의 2차 코일의 한쪽 단부의 전압이 보정 전압 가산 회로에 네가티브 귀환되고, 네가티브 귀환된 전압이 가산 회로에 의해 보정 전압 및 톱니파 전압에 가산된다.
유도 전류 검출 회로는 수평 주사 주파수의 거의 2분의 1의 주파수로 공진하는 공진 회로와, 공진에 의해 공진 회로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는 공진 전류 검출 회로를 포함하여도 좋다.
수평 편향 전류에 의해 수직 편향 코일로 유도되는 전류 성분의 주파수는 수평 주사 주파수의 2분의 1로 된다. 따라서, 수평 주사 주파수의 거의 2분의 1의 주파수로 공진하는 공진 회로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는 것에 의해, 수평 편향 전류에 의해 수직 편향 코일로 유도되는 전류 성분을 직접 검출할 수 있다.
유도 전류 검출 회로는 용량과, 용량에 직렬로 접속되는 1차 코일을 갖고 또한 보정 전압 가산 회로에 접속되는 2차 코일을 갖는 제 1 트랜스를 포함하고, 공진 회로는 제 1 트랜스의 1차 코일, 용량 및 수직 편향 코일에 의해 구성되며, 공진 전류 검출 회로는 제 1 트랜스의 2차 코일에 의해 구성되더라도 무방하다.
이 경우, 제 1 트랜스의 1차 코일, 용량 및 수직 편향 코일에 의해 공진 회로가 구성되고, 공진 회로에 흐르는 전류가, 제 1 트랜스의 2차 코일에 의해 구성되는 공진 전류 검출 회로에 의해 검출된다. 공진 회로에 흐르는 전류는 수직 편향 전류보다도 작기 때문에, 수직 편향 코일에 직렬로 트랜스를 삽입하는 경우에 비하여, 작은 트랜스를 이용하여 수직 편향 코일로 유도되는 전류 성분을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보다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보정 전압 가산 회로는, 제 1 트랜스의 2차 코일의 출력 전압의 진폭 및 위상을 조정하여, 조정된 출력 전압을 보정 전압으로서 출력하는 조정 회로와, 조정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보정 전압을 톱니파 전압 발생 회로에 의해 발생되는 톱니파 전압에 가산하는 가산 회로를 구비하더라도 무방하다.
이 경우, 조정 회로에 의해 제 1 트랜스의 2차 코일의 출력 전압의 진폭 및 위상이 조정되고, 조정된 전압이 보정 전압으로서 출력되어, 보정 전압이 가산 회로에 의해 톱니파 전압에 가산된다.
제 2 전류 공급 회로는 1차 코일을 갖고 또한 수직 편향 코일에 직렬로 접속된 2차 코일을 갖는 제 2 트랜스와, 수평 동기 신호에 동기한 톱니파 전류를 제 2 트랜스의 2차 코일에 공급하는 톱니파 전류 공급 회로를 포함하고, 공진 회로는 제 1 트랜스의 1차 코일, 용량, 수직 편향 코일 및 제 2 트랜스의 2차 코일에 의해 구성되어도 좋다.
이 경우, 제 1 트랜스의 1차 코일, 용량, 수직 편향 코일 및 제 2 트랜스의 2차 코일에 의해 공진 회로가 구성되고, 공진 회로에 흐르는 전류가 제 1 트랜스의 2차 코일에 의해 구성되는 공진 전류 검출 회로에 의해 검출된다. 공진 회로에 흐르는 전류는 수직 편향 전류보다도 작기 때문에, 수직 편향 코일에 직렬로 트랜스를 삽입하는 경우에 비하여, 작은 트랜스를 이용하여 수직 편향 코일로 유도되는 전류 성분을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보다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다.
제 2 트랜스의 2차 코일의 한쪽 단부의 전압을 보정 전압 가산 회로에 네가티브 귀환하는 귀환 회로를 더 구비하고, 가산 회로는 귀환 회로에 의해 네가티브귀환된 전압을 보정 전압 및 톱니파 전압에 가산하여도 좋다.
이 경우, 제 2 트랜스의 2차 코일의 한쪽 단부의 전압이 보정 전압 가산 회로에 네가티브 귀환되어, 네가티브 귀환된 전압이 가산 회로에 의해 보정 전압 및 톱니파 전압에 가산된다.
제 1 전류 공급 회로는 증폭기를 포함하여도 된다. 이 경우, 가산 회로에 의해 가산된 톱니파 전압 및 보정 전압에 근거하는 전류가 수직 편향 코일로 공급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편향 방법은, 수직 편향 코일 및 수평 편향 코일을 구비한 편향 장치에 있어서, 수직 동기 신호 및 수평 동기 신호에 응답하여 전자 빔을 수평 방향으로 왕복 편향함으로써 왕복 주사를 행하는 편향 방법에 있어서, 전자 빔을 수평 방향으로 왕복 편향하기 위한 수평 편향 전류를 수평 편향 코일에 공급하는 단계와, 수평 편향 코일에 흐르는 수평 편향 전류에 의해서 수직 편향 코일로 유도되는 전류 성분을 검출하는 단계와, 수직 동기 신호에 동기한 톱니파 전압을 발생하는 단계와, 톱니파 전압을 수신하여, 전자 빔을 수직 방향으로 편향하기 위한 제 1 톱니파 전류를 수직 편향 코일에 공급하는 단계와, 왕로 및 귀로의 주사선을 평행화하기 위한 제 2 톱니파 전류를 수직 편향 코일에 공급하는 단계와, 발생된 톱니파 전압에, 검출된 전류 성분을 소거하기 위한 보정 전압을 가산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그 편향 방법에 의하면, 수평 편향 코일에 흐르는 수평 편향 전류에 의해 수직 편향 코일로 유도되는 전류 성분이 검출된다. 검출된 전류 성분에 근거하여 보정 전압이 톱니파 전압에 가산되어, 그 보정 전압에 따른 전류 성분이 수직 편향 코일에 공급된다.
이에 따라, 수평 편향 코일에 흐르는 수평 편향 전류에 의해 수직 편향 코일로 유도되는 전류 성분을 소거할 수 있다. 따라서, 주사선의 왜곡을 발생하는 일없이 왕복 편향을 실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수직 편향 코일로 유도되는 전류 성분을 소거하기 위한 전류 성분을 공급하기 위해서 수직 편향 코일에 트랜스를 직렬로 접속할 필요가 없어진다. 따라서, 편향 장치의 저비용화 및 저소비 전력화가 도모된다.
전류 성분을 검출하는 단계는 수평 편향 코일에 흐르는 수평 편향 전류에 의해서 수직 편향 코일로 유도되는 전류 성분을, 수평 편향 전류로부터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더라도 좋다.
이 경우, 수직 편향 코일로 유도되는 전류 성분이 수평 편향 전류로부터 검출된다. 이에 따라, 수직 편향 전류 중에서 유도된 전류 성분을 추출하는 경우에 비하여, 유도된 전류 성분을 간단히 검출할 수 있다.
전류 성분을 검출하는 단계는 수평 주사 주파수의 거의 2분의 1의 주파수로 공진하는 전류를 발생하는 단계와, 공진하는 전류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더라도 무방하다.
수평 편향 전류에 의해 수직 편향 코일로 유도되는 전류 성분의 주파수는 수평 주사 주파수의 2분의 1로 된다. 따라서, 수평 주사 주파수의 거의 2분의 1의 주파수로 공진하는 전류를 검출함으로써, 수평 편향 전류에 의해 수직 편향 코일로유도되는 전류 성분을 직접 검출할 수 있다.
(실시예 1)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l에 따른 편향 장치에 대하여 도 1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실시예 1의 편향 장치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편향 장치(1A)는, 톱니파 전압 발생 회로(2), 증폭기(3), 수직 편향 코일(4), 트랜스(17), 저항(7), 피드백 회로(8), 전류 공급 회로(5), 수평 출력 회로(15), 수평 편향 코일(16), 진폭 조정 회로(30), 및 위상 조정 회로(31) 및 가산 회로(34)를 구비한다. 전류 공급 회로(5)는 전원 회로(10), 트랜스(11), 콘덴서(12), 다이오드(13) 및 스위치(14)를 구비한다.
톱니파 전압 발생 회로(2)의 출력 단자에는 가산 회로(34)의 제 1 입력 단자가 접속되어 있다. 가산 회로(34)의 출력 단자에는 증폭기(3)의 입력 단자가 접속되어 있다. 증폭기(3)의 출력 단자와 접지 단자 사이에는 수직 편향 코일(4), 트랜스(11)의 2차 코일(11b) 및 저항(7)이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트랜스(11)의 2차 코일(11b)과 저항(7)의 접속점은 피드백 회로(8)를 거쳐서 가산 회로(34)의 제 2 입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수평 출력 회로(15)의 출력 단자와 접지 단자 사이에는 수평 편향 코일(16) 및 트랜스(17)의 1차 코일(17a)가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트랜스(17)의 2차 코일(17b)에는 진폭 조정 회로(30)이 접속되고, 진폭 조정 회로(30)의 출력 단자는 위상 조정 회로(31)을 통하여 가산 회로(34)의 제 3 입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전원 회로(10)의 출력 단자에는 트랜스(11)의 1차 권선(11a)의 한쪽 단부가 접속되어 있다. 트랜스(11)의 1차 코일(11a)의 다른쪽 단부와 접지 단자의 사이에는 콘덴서(12), 다이오드(13) 및 스위치(14)가 서로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다음에, 도 2의 파형도를 이용하여 도 1에 나타낸 편향 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톱니파 전압 발생 회로(2)는 수직 동기 신호 VS에 동기하여, 도 2(a)에 나타내는 톱니파 전압(SV)를 발생하여 가산 회로(34)를 거쳐서 증폭기(3)의 입력 단자에 출력한다. 톱니파 전압(SV)의 주기는 1 수직 주사 기간(V)에 상당한다.
증폭기(3)는 톱니파 전압 발생 회로(2)에 의해 발생된 톱니파 전압(SV)에 따라서, 수직 편향 코일(4)에, 도 2(b)에 나타내는 제 1 톱니파 전류(SI1)를 공급한다. 증폭기(3)가 공급하는 제 1 톱니파 전류(SI1)는, 도 2(a) 및 도 2(b)에 각각 나타낸 바와 같이, 톱니파 전압(SV)에 대하여 위상이 거의 90°(V/4) 지연된다.
전류 공급 회로(5)의 전원 회로(10)는 트랜스(11)의 1차 코일(11a)의 한쪽 단부에 전원 전압을 인가한다. 수평 동기 신호(HS)에 동기하여 스위치(14)가 온오프하는 것에 의해, 콘덴서(12) 및 다이오드(13)에 충방전 전류가 흐른다. 그에 따라, 트랜스(11)를 거쳐서 수직 편향 코일(4)에 도 2(c)에 나타내는 제 2 톱니파 전류(SI2)가 공급된다.
제 1 톱니파 전류(SI1) 및 제 2 톱니파 전류(SI2)가 합성되어, 도 2(d)에 나타내는 수직 편향 전류(VI)가 얻어진다. 수직 편향 코일(4)은 수직 편향 전류(VI)에 의해 수직 편향 자계를 발생하고, 전자 빔을 수직 방향으로 편향시킨다.
도 2(d)에 나타내는 수직 편향 전류(VI)는, 왕로 주사와 귀로 주사의 반환점에서 크게 변화되지만, 왕로 및 귀로의 주사시에는 일정하다. 그 때문에, 도 5(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사선(21)은 화면(20)상에서 수평하게 된다. 도 2(d)에 있어서, (H)는 1 수평 주사 기간을 나타낸다.
피드백 회로(8)는 수직 편향 전류(VI)에 근거하여 네가티브 귀환 전압을 발생하고, 그 네가티브 귀환 전압를 가산 회로(34)를 거쳐서 증폭기(3)의 입력 단자에 부여함으로써, 제 1 톱니파 전류(SI1)의 비직선성 왜곡을 보정한다.
수평 출력 회로(15)는 도 2(e)에 나타내는 수평 편향 전류(HI)를 수평 편향 코일(16)에 공급한다. 왕복 주사를 하기 때문에, 수평 편향 전류(HI)의 주파수는 수평 주사 주파수의 2분의 1이다. 수평 편향 코일(16)은 수평 편향 전류(HI)에 의해 수평 편향 자계를 발생하고, 전자 빔을 수평 방향으로 왕복 편향시킨다. 이 때, 수평 편향 코일(16)에 흐르는 수평 편향 전류(HI)에 의해 수직 편향 코일(4)로전류 성분이 유도된다. 그 결과, 도 2(d)에 파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직 편향 전류(VI)가 왜곡된다.
트랜스(17)의 2차 코일(17b)에는 트랜스(17)의 1차 코일(17a)에 흐르는 수평 편향 전류(HI)에 따른 전압이 발생한다. 진폭 조정 회로(30)는 트랜스(17)의 2차 코일(17b)의 양단에 발생하는 전압의 진폭을 조정하여, 도 2(f)에 나타내는 제 1 보정 전압(AVl)로서 위상 조정 회로(31)에 출력한다. 제 1 보정 전압(AVl)의 위상은 수평 편향 전류(HI)에 비하여 90° 앞서 있다.
위상 조정 회로(31)는 진폭 조정 회로(30)로부터 출력되는 제 1 보정 전압(AVl)의 위상을 조정하여, 도 2(g)에 나타내는 제 2 보정 전압(AV2)로서 출력한다. 예컨대, 진폭 조정 회로(30)는 제 1 보정 전압(AVl)의 위상을 180°지연시켜 가산 회로(34)에 제 2 보정 전압(AV2)로서 공급한다.
결국, 증폭기(3)의 입력 단자에는 가산 회로(34)에 의해, 톱니파 전압 발생 회로(2)의 톱니파 전압(SV)와 피드백 회로(8)의 네가티브 귀환 전압과 위상 조정 회로(31)의 제 2 보정 전압(AV2)을 가산한 전압이 공급된다. 그에 따라, 증폭기(3)로부터 출력되는 제 1 톱니파 전류(SI1)에, 제 2 톱니파 전압(AV2)에 따른 도 2(h)의 보정 전류가 가산된다. 증폭기(3)가 공급하는 보정 전류의 위상은, 도 2(h)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보정 전압(AV2)에 대하여 90° 지연된다. 이 보정 전류는 수평 편향 코일(16)의 수평 편향 전류(HI)에 의해서 수직 편향 코일(4)로 유도되는 전류 성분과는 반대 극성으로 크기가 동일하게 되도록 진폭 조정 회로(30) 및 위상 조정 회로(31)에 의해 조정되어 있다. 따라서, 수평 편향 전류(HI)에 의해 수직 편향 코일(4)로 유도되는 전류 성분이 보정 전류에 의해서 소거된다. 그 결과, 도 2(d)에 파선으로 도시된 수직 편향 전류(VI)의 왜곡이 보정되어, 실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편향 장치(1A)에 있어서는, 트랜스(17)에 의해 검출된 수평 편향 전류(HI)에 따라서, 위상 조정 회로(31)의 제 2 보정 전압(AV2)에 대응하여 증폭기(3)에 의해 공급되는 보정 전류가, 수평 편향 코일(16)의 수평 편향 전류(HI)에 의해서 수직 편향 코일(4)로 유도되는 전류 성분을 소거할 수 있다.
이 경우, 증폭기(3)의 전단에서 수직 편향 전압(SV)에 보정 전압(AV2)을 가산함으로써, 보정 전류를 수직 편향 전류(VI)에 가산하기 위해서 대용량의 트랜스 및 드라이브 회로가 불필요하게 된다. 그 결과, 저비용화 및 저소비 전력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수평 출력 회로(15)가 수평 편향 전류 공급 회로에 상당하고, 트랜스(17)가 유도 전류 검출 회로에 상당함과 동시에 수평 편향 전류 검출 회로에 상당하고, 진폭 조정 회로(30) 및 위상 조정 회로(31)가 조정 회로에 상당하고, 진폭 조정 회로(30), 위상 조정 회로(31) 및 가산 회로(34)가 보정 전압 가산 회로에 상당하고, 증폭기(3)가 제 1 전류 공급 회로에 상당하며, 전류 공급 회로(5)가 제 2 전류 공급 회로에 상당한다.
(실시예 2)
다음에, 본 실시예 2에 따른 편향 장치에 대하여 도 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실시예 2의 편향 장치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3에 나타내는 편향 장치(1B)는 톱니파 전압 발생 회로(2), 증폭기(3), 수직 편향 코일(4), 전류 공급 회로(5), 저항(7), 피드백 회로(8), 수평 출력 회로(15), 수평 편향 코일(16), 진폭 조정 회로(30), 위상 조정 회로(31), 콘덴서(32), 트랜스(33) 및 가산 회로(34)를 구비한다.
실시예 2의 편향 장치(1B)가 실시예 1의 편향 장치(1A)와 다른 점은, 수평 편향 코일(16)의 수평 편향 전류(HI)에 의해서 수직 편향 코일(4)로 유도되는 전류 성분을, 편향 장치(1A)가 수평 편향 전류(HI)로부터 트랜스(17)에 의해서 검출하는데 반하여, 편향 장치(1B)가 수직 편향 전류(VI)로부터 추출하여 검출하는 점이다.
그 때문에, 편향 장치(1B)는 트랜스(17)를 구비하고 있지 않으며, 대신에 콘덴서(32) 및 트랜스(33)를 구비하고 있다. 즉, 편향 장치(1B)에 있어서, 수평 편향 코일(16)의 수평 편향 전류(HI)에 의해서 수직 편향 코일(4)로 유도되는 전류 성분을 검출하는 검출 회로가 편향 장치(1A)와 상이할 뿐, 그 밖의 구성은 편향 장치(1A)와 동일하다. 도 3에 있어서 도 1과 동일 또는 상당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였다.
다음에, 수평 편향 전류(HI)에 의해서 수직 편향 코일(4)로 유도되는 전류 성분을 검출하는 검출 회로에 대하여 설명한다. 콘덴서(32)와 트랜스(33)의 1차 코일(33a)은 서로 직렬로 접속되고, 이들 콘덴서(32) 및 트랜스(33)는 제 1 직렬접속체를 구성한다. 한편, 수직 편향 코일(4)과 트랜스(11)의 2차 코일(11b)은 서로 직렬로 접속되고, 이들 수직 편향 코일(4) 및 트랜스(11)는 제 2 직렬 접속체를 구성한다. 제 1 및 제 2 직렬 접속체는 서로 병렬로 접속되어 공진 회로를 구성한다.
제 1 및 제 2 직렬 접속체가 공진 회로를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수직 편향 코일(4), 트랜스(11, 33) 및 콘덴서(32)로 이루어지는 루프에는 공진 전류가 흐른다. 이 루프에 흐르는 공진 전류는 수평 주사 주파수의 2분의 l의 주파수를 갖도록 조정되어 있다. 그 때문에, 이 공진 전류는 수평 편향 코일(16)의 수평 편향 전류(HI)에 의해 수직 편향 코일(4)로 유도되는 전류 성분과 같은 주파수를 갖는다. 따라서, 트랜스(33)의 그 2차 코일(33b)에는, 수평 편향 코일(16)의 수평 편향 전류(HI)에 의해 수직 편향 코일(4)로 유도되는 전류 성분에 따른 전압이 발생한다.
진폭 조정 회로(30)는 트랜스(33)의 2차 코일(33b)의 양단의 전압의 진폭을 조정하여 도 2(f)에 나타낸 제 1 보정 전압(AVl)을 출력하고, 위상 조정 회로(31)는 진폭 조정 회로(30)로부터 출력되는 제 1 보정 전압(AVl)의 위상을 조정하여 도 2(g)에 나타낸 제 2 보정 전압(AV2)을 출력한다. 그에 따라, 실시예 1의 편향 장치(1A)와 마찬가지로 하여 수평 편향 코일(16)의 수평 편향 전류(HI)에 의해 수직 편향 코일(4)로 유도되는 전류 성분이 소거된다.
이 경우, 트랜스(33)에 흐르는 공진 전류는 수직 편향 전류(Vl)에 비하여 작기 때문에, 트랜스(33)로서 소용량의 트랜스를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저비용화 및 저소비 전력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편향 장치(1B)에서는, 콘덴서(32) 및 트랜스(33)에 의해서 검출된 전류 성분에 따라서, 위상 조정 회로(31)의 제 2 보정 전압(AV2)에 대응하여 증폭기(3)에 의해 공급되는 보정 전류가, 수평 편향 코일(16)의 수평 편향 전류(HI)에 의해서 수직 편향 코일(4)로 유도되는 전류 성분을 소거할 수 있다.
본 실시예 2에서는, 콘덴서(32) 및 트랜스(33)가 유도 전류 검출 회로에 상당하고, 트랜스(33)가 공진 전류 검출 회로에 상당한다.

Claims (16)

  1. 수직 동기 신호 및 수평 동기 신호에 응답하여 전자 빔을 수평 방향으로 왕복 편향함으로써 왕복 주사하는 편향 장치에 있어서,
    수직 편향 코일과,
    수평 편향 코일과,
    전자 빔을 수평 방향으로 왕복 편향하기 위한 수평 편향 전류를 상기 수평 편향 코일에 공급하는 수평 편향 전류 공급 회로와,
    상기 수평 편향 코일에 흐르는 수평 편향 전류에 의해서 상기 수직 편향 코일로 유도되는 전류 성분을 검출하는 유도 전류 검출 회로와,
    수직 동기 신호에 동기한 톱니파 전압을 발생하는 톱니파 전압 발생 회로와,
    상기 톱니파 전압 발생 회로에 의해 발생되는 톱니파 전압을 수신하여, 전자 빔을 수직 방향으로 편향하기 위한 제 1 톱니파 전류를 상기 수직 편향 코일에 공급하는 제 1 전류 공급 회로와,
    왕로(往路) 및 귀로(歸路)의 주사선을 평행화하기 위한 제 2 톱니파 전류를 상기 수직 편향 코일에 공급하는 제 2 전류 공급 회로와,
    상기 톱니파 전압 발생 회로에 의해 발생되는 톱니파 전압에, 상기 유도 전류 검출 회로에 의해 검출된 전류 성분을 소거하기 위한 보정 전압을 가산하는 보정 전압 가산 회로를 구비한 편향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 전류 검출 회로는 상기 전류 성분에 따른 출력 전압을 발생하고,
    상기 보정 전압 가산 회로는,
    상기 유도 전류 검출 회로의 출력 전압의 진폭 및 위상을 조정하여, 조정된 출력 전압을 상기 보정 전압으로서 출력하는 조정 회로와,
    상기 조정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보정 전압을 상기 톱니파 전압 발생 회로에 의해 발생되는 톱니파 전압에 가산하는 가산 회로를 구비한 편향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 전류 검출 회로는 상기 수평 편향 코일에 흐르는 수평 편향 전류에 의해서 상기 수직 편향 코일로 유도되는 전류 성분을, 상기 수평 편향 전류로부터 검출하는 수평 편향 전류 검출 회로를 포함하는 편향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편향 전류 검출 회로는, 상기 수평 편향 코일에 직렬로 접속된 1차 코일을 갖고 또한 상기 보정 전압 가산 회로에 접속되는 2차 코일을 갖는 제 1 트랜스를 포함하는 편향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 전압 가산 회로는,
    상기 제 1 트랜스의 2차 코일의 출력 전압의 진폭 및 위상을 조정하여, 조정된 출력 전압을 상기 보정 전압으로서 출력하는 조정 회로와,
    상기 조정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보정 전압을 상기 톱니파 전압 발생 회로에 의해 발생되는 톱니파 전압에 가산하는 가산 회로를 구비한 편향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류 공급 회로는,
    1차 코일을 갖고 또한 상기 수직 편향 코일에 직렬로 접속된 2차 코일을 갖는 제 2 트랜스와,
    수평 동기 신호에 동기한 톱니파 전류를 상기 제 2 트랜스의 상기 1차 코일에 공급하는 톱니파 전류 공급 회로를 포함하는 편향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트랜스의 상기 2차 코일의 한쪽 단부의 전압을 상기 보정 전압 가산 회로에 네가티브 귀환하는 귀환 회로를 더 구비하고,
    상기 가산 회로는 상기 귀환 회로에 의해 네가티브 귀환된 전압을 상기 보정 전압 및 상기 톱니파 전압에 가산하는 편향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 전류 검출 회로는,
    수평 주사 주파수의 거의 2분의 1의 주파수로 공진하는 공진 회로와,
    공진에 의해 상기 공진 회로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는 공진 전류 검출 회로를 포함하는 편향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 전류 검출 회로는 용량과, 상기 용량에 직렬로 접속되는 1차 코일을 갖고 또한 상기 보정 전압 가산 회로에 접속되는 2차 코일을 갖는 제 1 트랜스를 포함하고,
    상기 공진 회로는 상기 제 1 트랜스의 1차 코일, 상기 용량 및 상기 수직 편향 코일에 의해 구성되며,
    상기 공진 전류 검출 회로는 상기 제 1 트랜스의 2차 코일에 의해 구성되는 편향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 전압 가산 회로는,
    상기 제 1 트랜스의 2차 코일의 출력 전압의 진폭 및 위상을 조정하여, 조정된 출력 전압을 상기 보정 전압으로서 출력하는 조정 회로와,
    상기 조정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보정 전압을 상기 톱니파 전압 발생 회로에 의해 발생되는 톱니파 전압에 가산하는 가산 회로를 구비한 편향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류 공급 회로는,
    1차 코일을 갖고 또한 상기 수직 편향 코일에 직렬로 접속된 2차 코일을 갖는 제 2 트랜스와,
    수평 동기 신호에 동기한 톱니파 전류를 상기 제 2 트랜스의 상기 2차 코일에 공급하는 톱니파 전류 공급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공진 회로는 상기 제 1 트랜스의 1차 코일, 상기 용량, 상기 수직 편향 코일 및 상기 제 2 트랜스의 2차 코일에 의해 구성되는 편향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트랜스의 상기 2차 코일의 한쪽 단부의 전압을 상기 보정 전압 가산 회로에 네가티브 귀환하는 귀환 회로를 더 구비하고,
    상기 가산 회로는 상기 귀환 회로에 의해 네가티브 귀환된 전압을 상기 보정 전압 및 상기 톱니파 전압에 가산하는 편향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류 공급 회로는 증폭기를 포함하는 편향 장치.
  14. 수직 편향 코일 및 수평 편향 코일을 구비한 편향 장치에서, 수직 동기 신호 및 수평 동기 신호에 응답하여 전자 빔을 수평 방향으로 왕복 편향하는 것에 의해 왕복 주사를 하는 편향 방법에 있어서,
    전자 빔을 수평 방향으로 왕복 편향하기 위한 수평 편향 전류를 상기 수평 편향 코일에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수평 편향 코일에 흐르는 수평 편향 전류에 의해서 상기 수직 편향 코일로 유도되는 전류 성분을 검출하는 단계와,
    수직 동기 신호에 동기한 톱니파 전압을 발생하는 단계와,
    상기 톱니파 전압을 수신하여, 전자 빔을 수직 방향으로 편향하기 위한 제 1 톱니파 전류를 상기 수직 편향 코일에 공급하는 단계와,
    왕로 및 귀로의 주사선을 평행화하기 위한 제 2 톱니파 전류를 상기 수직 편향 코일에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발생된 톱니파 전압에, 상기 검출된 전류 성분을 소거하기 위한 보정 전압을 가산하는 단계를 구비한 편향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성분을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수평 편향 코일에 흐르는 수평 편향 전류에 의해서 상기 수직 편향 코일로 유도되는 전류 성분을, 상기 수평 편향 전류로부터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편향 방법.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성분을 검출하는 단계는 수평 주사 주파수의 거의 2분의 1의 주파수로 공진하는 전류를 발생하는 단계와, 상기 공진하는 전류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편향 방법.
KR10-2001-7003212A 1999-07-14 2000-07-12 편향 장치 및 편향 방법 KR1003751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6499A JP3672771B2 (ja) 1999-07-14 1999-07-14 偏向装置
JP99-200264 1999-07-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5067A KR20010075067A (ko) 2001-08-09
KR100375153B1 true KR100375153B1 (ko) 2003-03-06

Family

ID=16421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3212A KR100375153B1 (ko) 1999-07-14 2000-07-12 편향 장치 및 편향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452347B1 (ko)
EP (1) EP1115246A4 (ko)
JP (1) JP3672771B2 (ko)
KR (1) KR100375153B1 (ko)
CN (1) CN1158855C (ko)
MY (1) MY125406A (ko)
WO (1) WO200100675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63037B2 (ja) * 2001-03-15 2006-12-2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垂直偏向装置
DE50214293D1 (de) * 2001-10-10 2010-04-29 Ebm Papst St Georgen Gmbh & Co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elektronisch kommutierten motors, und motor zur durchführung eines solchen verfahrens
US6522091B1 (en) * 2001-10-17 2003-02-18 Zilog, Inc. Circuit and method that allows the amplitudes of vertical correction signal components to be adjusted independently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93687B2 (ja) * 1988-04-11 1995-10-0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垂直偏向回路
DE3831239A1 (de) * 1988-09-14 1990-03-22 Thomson Brandt Gmbh Ablenkschaltung fuer fernsehbildroehre
JP2726305B2 (ja) * 1989-04-17 1998-03-1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画像表示装置
JPH03145378A (ja) * 1989-10-31 1991-06-20 Sony Corp 偏向回路
JPH0564024A (ja) * 1990-10-31 1993-03-12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マルチチヤンネル偏向ヨークにおける相互インダクタンスの補償方法
DE59310341D1 (de) * 1992-02-20 2003-06-05 Thomson Brandt Gmbh Ablenkeinheit für die Bildröhre in einem Fernsehempfänger
JPH05347716A (ja) * 1992-06-15 1993-12-27 Sony Corp 偏向回路
JP3330168B2 (ja) * 1993-01-06 2002-09-3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水平偏向回路及びそれを用いた陰極線管ディスプレイ
JPH0715613A (ja) 1993-06-24 1995-01-17 Sony Corp モニタ装置
US5663615A (en) * 1994-10-20 1997-09-02 Hitachi, Ltd. Reciprocal deflection type CRT displaying apparatus
JPH08172543A (ja) 1994-10-20 1996-07-02 Hitachi Ltd 往復偏向式crtディスプレイ装置
US6268706B1 (en) * 1997-10-10 2001-07-31 Thomson Licensing S.A. Horizontal parallelogram correction combined with horizontal centering
FR2775549B1 (fr) * 1998-02-27 2000-03-31 Thomson Multimedia Sa Procede de correction de deformation d'image et dispositif mettant en oeuvre ce proce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672771B2 (ja) 2005-07-20
JP2001028696A (ja) 2001-01-30
EP1115246A1 (en) 2001-07-11
MY125406A (en) 2006-07-31
CN1158855C (zh) 2004-07-21
EP1115246A4 (en) 2006-02-08
CN1318252A (zh) 2001-10-17
WO2001006758A1 (fr) 2001-01-25
US6452347B1 (en) 2002-09-17
KR20010075067A (ko) 2001-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42714A (en) Current control circuit
US5304898A (en) High voltage generating circuit
KR100375153B1 (ko) 편향 장치 및 편향 방법
JPH06105180A (ja) テレビジョン偏向装置
US4926098A (en) Push-pull class-E bi-directional scanning circuit
US6124686A (en) Horizontal deflection circuit
JP3669439B2 (ja) 水平偏向装置
US4181874A (en) Television S-correction circuit with improved linearity
JP3858435B2 (ja) 水平偏向回路
JP3366327B2 (ja) 陰極線管のスクリーン上の幾何学ひずみを補正する方法および装置
GB2278523A (en) Deflection apparatus for raster scanned CRT displays
KR20010013971A (ko) 수평편향회로
GB2157136A (en) Sine wave deflection circuit for bidirectional scanning of a cathode ray tube
KR100190534B1 (ko) 수평 편향 출력 회로(horizontal deflection output circuit)
KR890015565A (ko) 래스터 왜곡이 정정된 편향장치 및 텔레비젼 편향장치
JPH0568178A (ja) 偏向電流発生回路
WO1999062247A1 (fr) Circuit de deviation horizontale
JP3057509B2 (ja) ダイナミックフォーカス回路
CN1211997C (zh) 电荷控制的光栅校正电路
JP3969326B2 (ja) 水平偏向回路
MXPA0100258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flection
GB2098424A (en) Horizontal driver and linearity circuit
KR200201707Y1 (ko) 다이나믹포커스보정회로
JPH06296239A (ja) ダイナミックフォーカス装置
KR20020020361A (ko) 영상표시기기의 광대역 스위칭 드라이브 보상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0313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211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302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302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2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208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20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