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359704B1 - 철심장치 - Google Patents

철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9704B1
KR100359704B1 KR1019990025722A KR19990025722A KR100359704B1 KR 100359704 B1 KR100359704 B1 KR 100359704B1 KR 1019990025722 A KR1019990025722 A KR 1019990025722A KR 19990025722 A KR19990025722 A KR 19990025722A KR 100359704 B1 KR100359704 B1 KR 1003597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pieces
piece
adjacent
connecting mean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57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6569A (ko
Inventor
아키타히로유키
나카하라유지
미야케노부아키
아즈마켄이치
아나무라타카시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000065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6569A/ko
Priority to KR10200200389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97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97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9704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14Stator cores with salient poles
    • H02K1/146Stator cores with salient poles consisting of a generally annular yoke with salient poles
    • H02K1/148Sectional co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2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of stator or rotor bod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01/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the magnetic circuits
    • H02K2201/09Magnetic cores comprising laminations characterised by being fastened by caulk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02Electromagnet, transformer or inductor
    • Y10T29/49075Electromagnet, transformer or inductor including permanent magnet or core
    • Y10T29/49078Lamin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ron Core Of Rotating Electric Machines (AREA)
  • Manufacture Of Motors, Generators (AREA)
  • Manufacturing Cores, Coils, And Magnets (AREA)

Abstract

자기성능,강성 및 기계적 강도를 향상할 수 있는 철심장치를 제공한다.
복수의 판상의 코어편을 연속적으로 배열하여 각각 복수의 제 1 및 제 2코어부재를 형성한다.
제 1 및 제 2코어부재의 인접코어편의 에지부분은 서로 결합된다.
제 1 및 제 2코어부재는, 제1코어부재의 인접된 2개의 제1코어편간에 구성된 각 제1코어편간 위치가 제1및 제2코어부재의 세로방향으로 오프셋되어 제2코어부재의 인접된 2개의 제2코어편간에 구성된 각 제2코어편간위치에서 제1및 제2코어부재가 서로 중첩되어 적층방향으로 서로 근접하는 각 제1및 제2코어편의 가장자리부분과 서로 포개지도록 교대로 적층된다.
제1및 제2코어부재의 코어편은 연결수단을 통하여 서로 상대적으로 회전되게하며 구형 또는 환상구조를 형성한다.

Description

철심장치{IRON CORE ASSEMBLY}
본 발명은 전기모터, 변성기등의 전자기기의 주요부분을 구성하는 철심장치관한 것이다.
예컨데, 상기 형의 철심장치는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NO. 9-191688 에 기술된것과 같이 종전의 전기모터에 사용되여 왔다.
도 58 및 도 59 에 나타난것과 같이, 이 종류의 종전의 철심장치는, 서로 포개져서 쌓인 또는 적층된 소정의 다수의 코어부재(1)를 포함하고 있으며, 각 코어부재(1)은 복수의 얇은 부분(1b)에 의해 서로 연결된 복수의 코어편(1a)으로 형성되어 있다.
권선 특성 또는 효율을 증진하기 위하여, 도 59 에서와 같이 적층된 코어부재에 권선기(도면생략)에 의해 권선(2)을 하고, 또 그의 각 얇은 부분(1b)은 도 58 에서와 같이 환상 또는 구형상의 철심장치를 형성하기 위해 적절히 구부려진다.
종전의 철심장치는 상기방법으로 구성되었으므로, 구형상의 철심장치가 형성되면, 얇은 부분(1b)을 통하여 서로 대향하고 있는 코어편(1a)및 각 코어부재(1)의 대향단부에 위치하는 코어편(1a)의 각 에지부분의 단부면은 프레스펀칭처리시 원치않게 약간의 거치른 표면부분 및 약간의 가공오차를 발생한다.
그 결과로, 모든 2개 인접코어편(1a)는 그 사이에 형성된 5,6 마이크로미터 (μm)에서 10여 마이크로미터(μm)의 틈새가 생긴다.
그러한 틈새에 의해, 자기저항이 증대하고 철심장치의 자기성능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철심장치를 구성한 각 코어부재(1)은 그의 표면에 통상 피막이 형성되어 있고, 이 피막에 의해 자속의 통과를 방해하는 와전류손실을 억제한다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나 뚫어진 단면에는 피막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각 코어편(1a)의 맞대여진 면의 적층방향전역에 걸쳐서 와전류가 발생한다.
와전류의 발생때문에, 철손이 발생하며, 자기성능을 저하시킨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각 맞대어진 면에는 맞대어진면에 평행인 방향의 외부힘에 대한 보존력이 약하기 때문에, 철심장치 전체로서도 강성이 약하고 특히, 자기에 의해 발생된 힘이 철심장치에 걸리는 형일 경우에는 강도를 보증하기 여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각 얇은 부분(1b)을 구부림으로써 환상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전기모터에 대해서 기계적으로 고정밀도를 보증하는 것은 어렵다.
또 구부림 처리는 환상구성을 형성하기 위해 여러번 시행되여야 하므로 균열이 얇은 부분(1b)에 발생하여, 그 결과 기계적 강도가 저하될뿐 아니라 필요한 자기성능은 균열에 의해 자기회로의 자기저항이 증가되고 자기성능을 저하시키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하게 된 것으로, 자기저항의 증가 및 와전류의 발생을 억제함으로써, 자기성능의 향상을 도모하는 동시에 강성 및 기계적인 정밀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양산적 철심장치 및 그 양산적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 1 에 의해 구성된 철심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평면도이다.
도 2 는 프레스펀치장치에 의해, 도 1 에 표시된 복수층(코어부재)을 형성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3 은 도 2 에 나타낸 공정에서 얻은 복수층(코어부재)의 연결수단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4 는 도 2 에 나타낸 공정에서 얻은 복수층(코어부재)이 적층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평면도이다.
도 5 는 도 2 에 나타낸 공정으로 적층된 코어편의 에지부분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6 은 도 5 와 동일하나, 코어편의 에지부분의 변화된 도이다.
도 7 은 도 4 와 동일하나, 코어부재의 변화된 형상을 나타낸 도이다.
도 8 은 도 7 과 동일하나, 코어부재의 다른 동작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도 9 는 복수층(코어부재)의 에지부분의 연결상태를 나타내는 실시예 1 에 의한 인접 코어편의 확대평면도이다.
도 10 은 도 9 와 동일하나, 코어편의 다른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1 은 본 발명의 실시예 2 에 있어서, 프레스펀칭에 의해 철심장치에 대한 코어부재를 형성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2 는 도 11 의 방법에서 제조된 제1코어부재의 구성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3 은 도 10 의 방법에서 제조된 제2코어부재의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4 는 도 11 및 도 12 에 표시된 제 1 및 제2 코어부재가 교대로 적층되는 것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5 는 도 14 에 표시한 적층된 제 1 및 제2 코어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6 은 실시예 2 에 의해 제조된 철심장치의 구조의 1부분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17 은 본 발명의 실시예 3 에 의해 구성된 철심장치의 주요부분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전개사시도이다.
도 18 은 실시예 3 에 의한 철심장치의 변경된 형상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확대평면도이다.
도 19 는 도 18 과 동일하나, 다른 동작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도 20(A)및 도 20(B)는 본 발명의 실시예 4 에서의 철심장치의 요부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여기서 도 20(A)는 적층된 코어부재의 대향단부에 있는 코어편의 에지부분이 서로 대향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도이며, 또 도 20(B)는 적층된 층(코어부재)의 대향단부에 있는 코어편의 에지부분이 서로 접촉결합되여 있는 것을 나타낸 도이다.
도 21(A)및 도 21(B)는 각각 도 20(A)및 20(B)와 동일하나, 본 발명의 실시예 4 에 의해 구성된 철심장치의 변화된 구조를 나타낸도이다.
도 24 는 본 발명의 실시예 6 에 따라 구성된 철심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5 는 도 24 의 코어부재가 프레스펀칭에 의해 형성된 재료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6 은 본 발명의 실시예 7 에 의한 자심장치의 분할적층된 적층코어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27 은 도 26 의 적층 코어부재를 완전히 구성된 철심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평면도이다.
도 28 은 본 발명의 실시예 8 에 의한 철심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평면도이다.
도 29 는 도 28 에 나타낸 코어부재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평면도이다.
도 30 은 실시예 8 에 의한 철심장치의 코어부재의 주요부분의 확대평면도이다.
도 31 은 도 30 의 코어부재가 환상구조로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평면도이다.
도 32 는 도 30 과 동일하나, 코어부재의 변화된 형상을 나타낸도이다.
도 33 은 도 32 의 코어부재가 환상구조로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4 는 도 32 와 동일하나, 코어부재의 변화된 다른 형상을 나타낸 도이다.
도 35 는 도 34 의 코어부재가 환상구조로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6 은 본 발명의 실시예 9 에 의해 구성된 철심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전개된 사시도이다.
도 37 은 실시예 9 에 의한 철심장치의 코어부재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평면도이다.
도 38 은 도 37 의 복수의 코어부재가 환상구조로 형성된 철심장치를 나타내는 개략평면도이다.
도 39 는 본 발명의 실시예 10 에 의한 철심장치의 조립전에 적층코어유닛의 평면도이다.
도 40 은 도 39 의 적층코어유닛에서 형성된 철심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1 은 본 발명의 실시예 11 에 의한 영상전류변압기에 대한 철심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입면도이다.
도 42(A)및 도 42(B)는 도 41 의 철심장치의 코어부재를 조립하는 방법에 대한 공정과정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3 은 결합장치의 회전을 통하여 코어부재를 구부리는 과정을 나타내는 동작도이다.
도 44(A)~44(D)는 본 발명의 원리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45 는 본 발명의 실시예 12 에 의한 전기모터에 대한 철심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입면도이다.
도 58 은 종래의 전기모터의 철심장치의 구성를 나타내는 개략평면도이다.
도 59 는 도 58 의 코어부재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코어부재(층) 2. 권선
3. 코어편 3a. 오목부
3b. 볼록부 3c,3d. 단면
3e. 구멍부 4 제1코어부재
5. 제2코어부재(제2층) 6. 권선
7. 철심장치 8. 코어편
8a. 오목부 8b. 볼록부
9. 제1코어부재 10. 제2코어부재
11. 철심장치 12,13. 절삭부(cuts)
14. 코어편 14a. 구멍
14b,14c. 단면 15. 제1코어부재
14b,14c. 단면 15. 제1코어부재
18. 적층코어 18a. 코어편
19. 적층코어 19a. 코어편
20. 제1코어부재 21. 제2코어부재
22. 코어편 22a. 구멍
23. 코어편 23a. 볼록부
23b. 볼록부 24. 제1코어부재
25. 제2코어부재 26. 철심장치
27,28. 맞닿는면 29,30,31,32,33,34. 맞닿는면
33a,34a. 걸어맞춤돌기 35,36. 맞닿는면
35a.36a. 걸어맞춤돌기 37,38,39. 절연성보빈
37a,38a,39a. 플랜지부 37b,38b. 분할편
40. 코어편 41. 권선
51. 제1코어편 A 52. 제2코어편 B
54. 제2코어편 A 55. 제2코어편 B
53. 제1코어부재 56. 제2코어부재
57. 적층코어 58. 철심장치
60. 교점 61. 2등분선
71,73. 코어편 72. 제1코어부재
74. 제2코어부재 77. 적층코어
78. 철심장치 74. 교점
75. 2등분선
76. 위치 81. 코어편
81a. 구멍 82. 제2코어편블록
83. 제2코어편블록 86. 핀부재
87. 3티스블록(three teeth block) 88. 절연편
91. 철심장치 93. 제1적층철심 유닛
94. 제2적층철심유닛 95. 제3적층철심유닛
96,97. 단부 99,100,101. 코넥터부
111. 제1철심유닛 112. 제2철심유닛
113,114. 단부
본 발명에 관한, 철심장치는 독립한 판상의 제1코어편을 복수개 연속적으로 배열하는 제1코어부재와, 독립한 판상의 제2코어편을 복수개 연속적으로 배열하는 제2코어부재가, 적층방향에 교대로, 상기 제1코어부재의 각 제1코어편간 위치와 상기 제2코어부재의 각 제2코어편간 위치가 길이방향으로 어긋나서, 상기 각 코어편의 적층방향에 인접하는 가장자리부끼리가 겹쳐지도록 적층되고, 인접하는 각 코어편의 가장자리부끼리를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오목부 또는 볼록부로 되는 연결수단이 각 코어편의 가장자리부에 설치되며, 상기 오목부 또는 볼록부가 교대로 적층되어 적층방향의 회동축을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연결수단으로 상기 각 코어편을 회동시킴으로써 환상 또는 구형상으로 형성된 것이다.
이 배치로, 대량생산에 적합한 철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며 자기성능 및 기계적 강도를 개선할수가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 있어서, 연결수단은 서로 근접한 코어편의 가장자리부분을 제1및 제2 코어편의 적층방향으로 함께 결합한다.
그러므로, 철심장치의 자기성능 및 기계적강도를 더욱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바람직한 형태에 있어서, 연결수단은 제 1코어부재의 각 제1코어편의 상면 및 저면에 그 한 끝부분에 각각 형성된 제1오목 및 볼록부와, 제2코어부재의 각 제2코어편의 상면 및 저면에 다른 끝부분에 각각 형성된 제2오목 및 볼록부를 구비하고 있다.
제1오목 및 볼록부는 제2오목 및 볼록부와 맞물릴수 있으므로, 제1 및 제2 코어부재의 적층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는 그의 코어편의 끝부분을 결합한다.
이 구성에 의하여, 자기성능 및 기계적강도를 개선할 뿐 아니라, 조립시의 구부림동작에 대한 철심장치의 내구력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형태에 있어서, 제1오목 및 볼록부는 틈새를 통하여 제2오목 및 볼록부분과 맞물릴수 있다.
따라서 철심장치의 결합부분을 용이하게 회전하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더욱 바람직한 형태에 있어서, 연결수단은 제1코어부재의 각 제1코어편의 한 가장자리부분에 형성된 제1홀, 제2코어부재의 각 제2코어편의 다른 가장자리부분에 형성된 제2홀, 및 제1및 제2코어편의 상대회전을 허용하도록, 제1및 제2코어부재의 적층방향으로 적층된 제1및 제2코어편에 있는 제1및 제2홀을 통과하는 핀부재로 구성되여 있다.
이 구성에 의하여, 자기성능 및 기계적 강도를 개선할 뿐 아니라, 그의 조립시 철심장치의 회전을 더욱 가속화할 수 있어 개선된 조립정밀성을 보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더욱 바람직한 형태에 있어서, 제1코어부재의 각 제1코어편은, 제1코어편이 연속으로 배치된 방향으로 인접된 제1코어편의 다른 오목 원호형상당부면과 인접되게 배치된 각 제1코어의 볼록원호형상 1단부면을 가지고 볼록원호형상구조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된 1단부면 및 오목원호형상구조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된 타단부면을 구비하고 있다.
제2코어부재의 각 제2코어편은, 제2코어편이 연속적으로 배치된 방향으로 인접된 제2코어편의 다른 볼록 원호형상단부면과 인접되게 배치된 각 제2코어편의 오목원호형상 1 단부면을 가지고 오목원호형상구조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된 1단부면 및 볼록원호형상구조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된 타단부면을 구비하고 있다.
또 동일코어부재의 서로 인접된 코어편의 가장자리부분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수단의 회전중심은 동일 코어부재의 서로 인접된 2개코어편의 폭방향의 중심선에 의해 형성된 각도의 거의 2등분선상에 폭방향의 중심선의 교차점에서 외측으로 있는 위치에 배치되여 있다.
이 구성으로, 철심장치의 자기성능의 악화없이 프레스펀칭동작을 가속화시킬수 있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형태에 있어서, 각 코어편을 회전하는 연결수단의 회전중심은 동일코어부재의 서로 인접된 2개 코어편의 폭방향의 중심선에 의해 형성된 각도의 거이 2등분선상에 폭방향의 중심선의 교차점에서 외측으로 있는 위치에 배치되였다.
그러므로, 프레스펀칭동작은 철심장치의 자기성능의 영향을 주지않고 더욱 개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형태에 있어서, 연결수단은 동일 제1 또는 제2코어부재의 연속적으로 배치된 인접코어의 가장자리부분을 서로 연결한다.
그러므로, 철심장치의 자기성능 및 기계적강도를 더욱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형태에 있어서, 연결수단은 제 1 또는 제2코어부재의 연속적으로 배치된 코어편의 서로 인접된 가장자리부분의 대향한 단부면을 관절형상으로 구성하였다.
그러므로, 장치의 정밀성은 자기성능 및 기계적강도의 향상과 더불어 더욱 개선된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형태에 있어서, 제1및 제2코어부재는 적층되어, 적층물의 대향단부에 있는 서로 대향한 코어편의 가장자리부분이 적층방향으로 계단상으로 서로 중첩된 상보적 계단상구성으로 형성된 대향단부를 가진 적층코어유닛을 형성한다.
그러므로 철심장치동작의 효율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형태에 있어서, 제1및 제2코어부재는 적층되어 적층방향으로 서로 인접된 코어편에 형성된 오목 및 볼록부분과 함께 그의 대향단부에 형성되고 서로 분리될 수 있게 맞물린 적층코어유닛을 형성한다.
따라서 장치의 효율은 더욱 개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형태에 있어서, 역회전규제수단은 적층된 제 1 및 2코어부재가 둘러싸인 또는 링상 구조로 형성될때 연결수단의 회전을 규제하기 위해 제1또는 제2코어부재의 연속적으로 배치된 코어편의 인접 가장자리부분의 대향단부면에 설치된다.
따라서, 제 1 또는 제2코어부재를 용이하게 위치시킬수 있으므로, 장치의 효율을 더욱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형태에 있어서, 역회전 규제수단은 연결수단의 역회전을 규제하기 위해 제 1 또는 제2코어부재의 연속적으로 배치된 코어편의 인접가장자리부분의 대향단부면에 설치된다.
따라서, 권선동작을 용이하게 할수 있고, 장치의 효율을 개선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철심장치는, 독립한 판상의 제1코어편을 복수개 적층한 제1코어편 블록을 복수개 연속적으로 배열하는 제1코어부재와, 독립한 판상의 제2코어편을 복수개 적층한 제2코어편 블록을 복수개 연속적으로 배열하는 제1코어부재가, 적층방향으로 교대로, 상기 제1코어부재의 각 제1코어편 블록간 위치와 상기 제2코어부재의 각 제2코어편 블록간 위치가 길이방향으로 어긋나서, 상기 각 코어편 블록의 적층방향으로 인접하는 가장자리부끼리가 겹쳐지도록 적층되고, 인접하는 각 코어편 블록의 가장자리부끼리를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오목부 또는 볼록부로 되는 연결수단이 각 코어편블록의 가장자리부에 설치되며, 상기 오목부 또는 볼록부가 교대로 적층되어 적층방향의 회동축을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연결수단으로 상기 각 코여편블록을 회동시킴으로써 환상 또는 구형상으로 형성된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하여, 철심장치의 자기성능 및 기계적 강도가 개선되고, 철심장치의 다수의 구성부품이 감소되므로,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다.
그외에, 코어편 블록이 톱니끼리 회전되면, 회전은 감소된 마찰때문에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 있어서, 연결수단은 제1및 제2코어부재의 적층방향으로 서로 인접한 코어편블록의 가장자리 부분을 함께 연결한다.
그러므로 자기성능 및 기계적강도를 더욱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바람직한 형태에 있어서, 연결수단은, 제1코어부재의 각 제1코어편 블록의 하나의 가장자리부분에 형성된 제1홀과, 제2코어부재의 각 제2코어블록의 다른 가장자리부분에 형성된 제2홀과, 제1및 제2코어블록의 상대회전을 허용하도록 제1및 제2코어부재의 적층 방향으로 적층된 제1및 제2코어편 블록의 제1및 제2홀을 통과하는 핀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자기성능 및 기계적강도가 개선되어, 코어편 블록의 회전을 더욱 용이하게 할수 있으므로,장치의 정밀성을 향상시킬수 있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형태에 있어서, 제1 또는 제2코어부재의 연속적으로 배치된 코어편 블록의 가장자리부분은 볼록형상 구조로 형성된 코어편 블록의 하나의 대향단부면 및 오목원호형상구조로 형성된 코어편 블록의 다른대향단부면을 가지며, 서로 인접된 코어편 블록중의 하나의 볼록 원호형상 단부면은 동일코어부재의 1코어편 블록에 서로 인접된 코어편 블록의 다른 오목원호형상단부면과 근접하여 배열되어 있다.
그러므로, 자기성능은 더욱 개선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철심장치는 독립한 판상의 제1코어편을 복수개 연속적으로 배열하는 제1코어부재와 독립한 판상의 제2코어편을 복수개 연속적으로 배열하는 제2코어부재가 적층방향에 교대로, 상기 제1코어부재의 각 제1코어편간위치와 상기 제2코어부재의 각 제2코어편간 위치가 길이방향으로 어긋나서, 상기 각 코어편의 적층방향으로 인접하는 가장자리부끼리가 겹쳐지도록 적층되고, 인접하는 각 코어편의 가장자리분끼리를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오목부 또는 볼록부로 되는 연결수단이 각 코어편의 가장자리부에 설치되며, 상기 오목부 또는 볼록부가 교대로 적층되어 적층방향의 회동축을 형성한 제1적층코어와, 독립한 판상의 제1코어편을 복수개 연속적으로 배열하는 제1코어부재와, 독립한 판상의 제2코어편을 복수개 연속적으로 배열하는 제2코어부재가, 적층방향이 교대로, 상기 제1코어부재의 각 제1코어편간위치와, 상기 제2코어부재의 각 제2코어편간 위치가 길이방향으로 어긋나서, 상기 각 코어편의 적층방향으로 인접하는 가장자리부끼리가 겹쳐지도록 적층되고, 인접하는 각 코어편의 가장자리부끼리를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오목부 또는 볼록부로 되는 연결수단이 각 코여편의 가장자리부에 설치되며, 상기 오목부 또는 볼록부가 교대로 적층되어 적층방향의 회동축을 형성한 제2적층코어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수단으로 상기 제1적층코어와 제2적층코어의 상기 각 코어편을 회동시키며, 상기 제1적층코어와 제2적층코어를 조합함으로써 환상 또는 구형상으로 형성된것이다.이 구성에 의하여, 모든적층코어는 조립작업에 의해 적합한 크기를 가진 각 복수의 코어유닛으로 분할되므로, 장치의 효율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철심장치는, 독립한 판상의 제1코어편을 복수개 연속적으로 배열하는 제1코어부재와, 독립한 판상의 제2코어편을 복수개 연속적으로 배열하는 제2코어부재가, 적층방향에 교대로 상기 제1코어부재의 각 제1코어편간 위치와 상기 제2코어부재의 각 제2코어편간 위치가 길이방향으로 어긋나서, 상기 각 코어편의 적층방향으로 인접하는 가장자리부끼리가 겹쳐지도록 적층되고, 인접하는 각 코어편의 가장자리부끼리를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오목부 또는 볼록부로 되는 연결수단이 각 코어편의 가장자리부에 설치되며, 상기 오목부 또는 볼록부가 교대로 적층되어 적층방향의 회동축을 형성하는 제1적층코어와, 독립한 판상의 코어편을 적층한 제2적층 코어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수단으로 상기 제1적층코어의 상기 각 코어편을 회동시키며, 상기 제1적층코어와 제2적층코어를 조합함으로써 환상 또는 구형상으로 형성된 것이다.그러므로, 상기와 같이, 모든 적층 코어는 조립작업에 적합한 크기를 가진 복수의 코어유닛으로 각각 분할되어, 장치의 효율을 개선할 수 있다.
상기한 이 구성에 의하여, 철심장치의 자기성능 및 기계적 강도가 개선되며, 또 철심장치의 다수의 구성부품이 감소되여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다.
코어편블록이 톱니끼리 회전할때에는 감소된 마찰로 회전을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다.
실시예 1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 1 에 의해 구성된 철심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 는 프레스펀칭에 의하여 도 1 에 표시된 코어부재를 형성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 은 도2 에 표시된 공정에서 얻은 코어부재의 연결수단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 는 도 2 의 공정에서 얻은 코어부재가 적층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 는 도 2 에 나타난 공정으로 적층된 코어편의 가장자리부분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의 도면에 있어서, 복수의 평탄한 T형상 코어편(3)은 각각 판상의 자성재료로 되어 있다.
모든 2개 인접된 코어편(3)은 그의 상면과 저면에 형성된 오목부(3a)및 볼록부(3b)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조인트형태의 연결수단으로서 작용하기 위해 각각 협동되어 있다.
각 평탄한 T형상 고어부재(3)는 긴 자극편 및 그와 일체로 형성된 헤드편 또는 크로스피스를 가지고 있다.
각 평탄한 T형상의 코어편(3)는 오목부(3a)및 볼록부(3b)와 동심인 볼록원호상 구조로 형성된 하나의 단면(3c)을 구비한다.
각 평탄한 T형상의 코어편(3)의 크로스피스(cross piece)는 그와 끼워맞춤 결합을 형성하기 위해 볼록원호상 단부면(3c)에 상보적인 오목원호상 구조로 형성된 타단부면(3d)을 가지고 있다.
도 2 에서와 같이, 제1코어부재(4)는 서로 접촉된 모든 2개의 인접되 코어편의 각 단부면(3c,3d)과 직렬로 연속적으로 배열된 복수의 코어편(3)으로 구성되어있다.
마찬가지로, 제2코어부재(5)는 서로 연결된 모든 2개의 인접된 코어편의 각 단부면(3c,3d)과 직렬로 연속적으로 배열된 복수의 코어편(3)을 가지고 있으나, 제2코어부재(5)의 각 코어편(3)의 방향은 제1코어부재(4)의 각 코어편(3)의 방향과 반대이다.
즉, 제2코어부재(5)의 각 코어편(3)은 제1코어부재(4)의 코어편에 대하여 거울상(mirror image)으로 배열되어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2코어부재(5)의 각 코어편(3)의 볼록원호상 단부면(3c)및 오목원호상 단부면(3d)는 제1코어부재(4)의 각 코어편(3)에 바로 반대방향으로 배열되여 있다.
제1코어부재(4)의 각 코어편(3)은 각각 오목부(3a)및 볼록부(3b)의 형태에 있는 제1연결수단과 크로스피스의 1단부에서 그의 반대표면에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제2코어부재(5)의 각 코어편(3)은 각각 오목부(3a)및 볼록부(3b)의 형태에 있는 제2연결수단과 크로스피스의 타단부에서 그의 반대표면에 형성되어 있다.
도 3, 4 및 5 에서와 같이, 복수의 제1코어부재(4)및 복수의 제2코어부재(5)는 서로 평행되게 교대로 배치되고 포개져서 적층된다.
제1및 제2코어부재(4,5)는 제1코어부재(4)의 모든 2개의 인접코어편(3)간의 갭 또는 코어편 사이의 공간 또는 간격, 제1및 제2코어부재(4,5)가 적층된 적층방향으로 제1코어편(3)부근에 배열된 제2코어편의 크로스피스의 타단부에 중첩된 각 제1코어편(3)의 크로스피스의 1단부와 함께 세로방향으로 또는 길이를 따라 제2코어부재(5)의 모든 2개의 인접 코어편(3)간에 있는 갭에서 이동된다.
이 크로스피스의 1단부에 있는 각 제1코어편(3)의 오목부(3a)및 볼록부(3b)는 적층방향으로 제1코어편(3)부근에 배열된 크로스피스의 타단부에 있는 제2코편 (3)의 볼록부(3b)및 오목부(3a)와 각각 끼워맞춤 결합되게 놓여진다.
그리하여 서로 회전상태로 인접된 제1및 제2코어편(3)을 연결한다.
도 1 에서와 같이, 와이어(6)는 각 코어편(3)의 자극투스(tooth)또는 자극편(3f)(도1참조)주위에 감겨진다.
그리하여 오목 및 볼록부(3a,3b)의 맞물림을 통하여 회전되게 연결된 제1및 제2코어부재(4,5)의 각 코어편(3)은 일반적으로 환상 철심장치(7)를 형성하기 위해 맞물린 오목 및 볼록부를 회전한다.
여기서 도 1에서, 적층된 제1및 제2코어부재(4,5)의 대향단부는 간단하게 서로 연결되도록 되어있다.
이 때문에, 볼록 및 오목부와 같은 연결수단은 거기에 생략되거나 또는 제공되지 않는다.
다음, 본 발명의 실시예 1 에 따라 철심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2 의 화살표 T 에 표시된 위치에서, 코어부재의 전후표면에 압입맞물림 가능한 볼록부 및 오목부가, 각 코어편마다 3개소 프레스펀치동작에 의해 형성된다.
이 제1단계에서, 도 3 에 표시된것과같이 오목 및 볼록부(3a,3b)가 각 코어편(3)의 대향단부에지에 형성되며, 적층된 제1및 제2코어부재(4,5)의 연결용 오목 및 볼록부가 각 코어편(3)의 중앙에 즉 다리의 폭방향으로 중앙 및 크로스피스의 세로방향 중앙에 2개 형성된다.
그리고, 도 2 의 화살표 A 로 표시되는 위치에, 제1코어부재(4)를 가공하는 제2단계로서, 도에서 복수의 해칭부분이 프레스펀칭 제거되어, 단부면(3c 및 3d)및 그의 주변부를 형성한다.
또 도의 화살표 B 로 표시된 위치에서는, 처리단계 T 에서 형성된 오목 및 볼록부를 가진 제2코어부재(5)를 가공하는 제2단계로서, 도의 다수의 해칭부분이 프레스펀칭제거되어 단부면(3c 및 3d)및 그의 주변부를 형성한다.
계속하여, 도 2 에 화살표 C 로 표시된 위치에서, 화살표 A 의 단계에서 양단부면(3c,3d)이 형성된 부분과, 화살표 B 의 단계에서 양단부면(3c,3d)이 형성된 부분을, 순차 교대로 도면에서 해칭으로 표시된 부분을 프레스펀칭 제거함으로써, 각각 제1,제2코어부재(4,5)가 형성되어, 이들 양 코어부재(4,5)는 금형내에서 순차 적층된다.
또, 화살표 S 로 표시된 위치에서, 화살표 T 의 단계에서 형성하는 오목 볼록부와 같은 위치에 각 코어편마다 3개소의 관통홀이 프레스펀치제거동작에 의해 형성된다.
이것에 의해, 적층코어의 최상층으로 될 코어편(3)에 볼록부(3b)가 맞물림 가능한 3개소의 관통홀(3e)이 형성된다.
화살표 B 로 표시되는 위치에서는, 화살표 S 의 단계에서 관통홀(3e)이 형성된 부분에, 제3의 코어부재(51)을 가공하는 제2단계로서, 도면중 해칭으로 표시된 부분을 프레스펀칭제거함으로써 양단부면(3c,3d) 및 양단부면(3c,3d)의 주변부를 형성한다.
끝으로, 화살표C로 표시된 위치에서, 화살표B의 단계에서 양단부면 (3c,3d)이 형성된 부분에 도면중 해칭으로 표시된 부분을 프레스펀칭제거함으로써, 제3의 코어부재(51)가 형성되고, 적층코어의 최상층으로서, 금형내에 적층된다.
예컨데, 판상의 코어편의 두께는 0.5mm 이고, 적층코어의 코어편의 적층매수는 150매이다.
또한, 제2도에서, 제1코어부재(4)및 제2코어부재(5)의 양단의 코어편(3)은 중앙의 코어편(3)과 가장자리부분에서 일부 정렬되어 있지 않다.
이것은 양단의 코어편(3)이 제1및 제2코어부재(4,5)를 적층한 적층코어의 단부끼리 맞닿고, 단부끼리를 맞대어서 결합시키기 쉽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것은 다음 실시예에서 확인된다.
제1및 제2코어부재(4,5)는 최상층으로서 배치된 제3의 코어부재(51)와 함께금형내에서 교대로 적층된다.
적층시, 2개가 서로 면하고 있는 오목부(3a)및 볼록부(3b)의 각쌍 및 2개가 서로 면하고 있는 관통홀(3e)및 볼록부(3b)의 각쌍은 코어편(3)의 적층방향으로 서로 맞물리게 되어, 도 4 와 같이 일체로 연결된 배치를 형성한다.
또한, 서로 적층된 코어부재(4,5 및 51)의 각 코어편(3)의 자극투스 또는 다리(3f)는 도 4 에서 표시된 상태에서 와이어(6)(도면생략)에 의해 감겨진다.
계속하여, 서로 맞물린 오목 및 볼록부(3a,3b), 또 관통홀(3e)및 볼록부(3b)를 적절히 회전시킴으로써, 환상 또는 링상의 철심장치(7)가 완성된다.
상기와 같이, 실시예 1 에 의하면, 모든 2개 인접된 가장자리부분이 그들이 코어편(3)의 적층방향으로 서로 포개져서 중첩되도록 적층되였으므로, 2개의 인접코어편(3)간의 연결부(중첩에지부)의 표면적이 증대함으로써, 자기 저항의 증가를 억제하여 철심장치의 자기성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고, 또 편치된 코어편(3)의 단부면(3c 및 3d)이 그의 중첩된 치수만큼 교대로 오프셋되어 분단되며(즉 각 코어편(5)의 단부면(3c)(3d)이 불연속으로 됨), 단부면(3c 및 3d)이 동일평면에 존재하는 부분의 면적이 감소하게 된다.
그 결과로, 와전류의 발생을 억제하여 철손을 감소시키고 철심장치의 자기성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교대로 중첩된 부분에서 적층방향으로 걸리는 힘을 받을수가 있으므로, 철심장치(7)의 강성을 높여서 기계적 강도의 향상을 도모할수가 있다.
또 도 5 와 같이, 복수의 제1및 제2코어부재(4,5)는 하나씩 교대로 적층되면, 제1및 제2코어부재(4,5)를 통과하는 자로는 적층방향으로 배열된 인접코어편(3)의 에지부분끼리의 중첩된 부분에 있는 제1및 제2코어부재(4,5)의 적층방향으로 형성되기때문에 자기성능을 향상시킬수 있다.
도 6에서와 같이, 제1 및 제2코어부재(4,5)는 복수개씩 형성되고 예컨대 2~10씩, 도면에서는 2개씩을 교대로 중첩시켜도 된다.복수개씩 교대로 중첩하면, 각 코어편(3)을 연결수단(예컨대 볼록부(3b)및 오목부(3a))으로 회동할때, 개수가 많아질수록 마찰이 감소한다.
또 적층 제1및 제2코어부재(4,5)을 적층하여 구성되는 적층코어를 환상으로 하여, 그의 단부끼리를 서로 연결할때,복수개씩의 개수가 많어질수록, 단부끼리를 맞물리게 하는것이 용이하며, 철심장치의 생산성이 향상된다.
또, 오목부(3a)및 볼록부(3b)를 포함하고 있는 인접코어편의 맞물린부를 적절히 회전시킴으로써, 서로 적층된 제1및 제2코어부재(4,5)를 구부려서 링상구성으로 형성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기계적 강도를 저하시키지 않고 복수회 구부릴수가 있게 된다.
또한 각 판상코어편(3)의 단부면(3c,3d)은 오목부(3a)및 볼록부 (3b)의 연결부의 회동중심을 중심으로 한 원호상구조로 형성되여 있으므로, 회전이 용이하게 되고 권선작업등의 작업성의 향상을 도모할수가 있다.
또한,도시는 되지 않았으나, 코어편(3)의 오목부(3a)및 볼록부(3b)의 맞물림부에 적절한 틈새가 형성되면, 상기 프레스펀칭시에 발생하는 적층방향의 오차의 누적을 이 틈새로 효율적으로 흡수할 수가 있다.
또는 그러한 틈새는 맞물린 오목부 및 볼록부(3a,3b)간의 회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7 에서와 같이, 코어편(3)의 각 오목부(3a)를 코어부재(4,5)의 세로방향으로 길게 형성함으로써, 끼워 맞춰진 볼록부(3b)는 각 오목부(3b)에 따라 세로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도 8 에 표시된 것과 같이, 모든 2개 인접된 코어편(3)간의 간격을 확대시킬수 있게 되고, 권선의 작업성을 더욱 향상시킬수 있다.
또한, 도 7 또는 도 8 의 1점쇄선은 그것을 따라 길어진 길이만큼 코어편이 이동될 수 있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도 9 에 표시된 것과 같이, 각 코어편(3)의 단부면(3c,3d)를 단면다각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오목부 및 볼록부(3a,3b)를 회전시켜서 제1및 제2코어부재(4,5)을 구부렸을 경우에, 도 10 에 표시된것같이 인접단부면(3c,3d)의 코너가 서로 맞물러셔 변형 고착되므로, 철심장치(7)의 강성을 높이고 기계적 각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실시예 2
도 11~ 도 16 은 본 발명의 실시예 2 에 관한 것이다.
도 11 은 실시예 2 에서의 프레스펀칭에 의해 철심장치의 코어부재의 여러형태를 형성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2 는 도 11 의 공정에서 얻어지는 제1코어부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3 은 도 11 의 공정에서 얻어지는 제2코어부재의 구성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4 및 도 15 는 각각 제1코어부재 및 제2코어부재가 교대로 적층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15 에서, 최상층의 우측단부의 3개의 코어편(8)을 제거하여 표시하고 있다.
도 16 은 실시예 2에서의 제조된 철심장치의 구조의 1부분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에서, 8 은 복수의 판상의 코어편이며, 상기의 실시예 1 과 같이, 각 코어편(8)은 투스(tooth) 또는 레그(leg) 및 헤드 또는 크로스피스(cross piece)로 구성된다.
그러나 실시예 2 에 있어서는, 크로스피스는 원호상 오목부(8a)에 형성된 1단부 및 인접코어편(8)의 같은 오목부(8a)와, 맞물릴 수 있는 오목부(8a)형상의 한쪽인 원호상 볼록부(8b)에 형성된 타단부를 구비하고 있다.
서로 맞물린 오목 및 볼록부(8a 및 8b)는 적층방향으로만 이탈될 수 있고 연결수단 또는 연결기구로서 관절형상을 구성하고 있다.
도 12 에서와 같이 제1코어부재(9)는 인접오목부(8a)및 볼록부(8b)간의 맞물림을 통하여 연속적으로 연결 배열된 복수의 코어편(8)을 구비하고 있다.
동일하게, 도 13 에 표시된것같이 제2코어부재(10)는 제1코어부재(9)의 반대방향에 배열된 인접오목부(8a)및 볼록부(8b)간의 맞물림을 통하여 연속적으로 연결 배열된 복수의 코어편(8)을 구비하고 있다.
특히, 제1코어부재(9)의 코어편(8)은 그의 1단부에 형성된 볼록부(8b)(즉 도 12 의 좌측단부에)및 그의 타단부에 형성된 오목부(8b)(즉 도 12 의 우측단부에)를 구비하고 있다.
이에 반하여 제2코어부재(10)의 코어편(8)은 그의 1단부에 형성된 오목부(8b)(도 13 의 좌측단부에)및 그의 타단부에 형성된 볼록부(8b)(도 13 의 우측단부에)를 구비하고 있다.
도 14 및 도 15 에서와 같이, 제1및 제2코어부재(9,10)는 교대로 적층되어, 제1코어부재(9)의 각 코어편위치(즉 인접한 코어편의 맞물린 오목 및 볼록부(8a,8b)간의 틈)는 서로 중첩된 적층방향으로 서로 인접한 코어편의 인접에지부와 세로방향으로 제2코어부재(10)의 위치에서 변위되어 있다.
이와같이 적층된 제1및 제2코어부재(9,10)는 서로 회전되는 오목 -볼록맞물림(8a,8b)주위에 구부려져 있으므로 링상이 철심장치를 형성한다.
다음, 본 발명의 실시예 2 에 따라서 철심장치의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1 의 화살표 T에 표시된 위치에서, 제1및 제2코어부재(9,10)를 형성하는 제1단계로서 판상부재의 앞뒤표면에 압입 끼워맞춤 가능한 오목부 및 볼록부가 각 코어편마다 2개소 프레펀칭동작에 의해 형성된다.
제1단계에서, 도 15 에 표시된 것과 같이, 적층될 제1및 제2코어부재(9,10)의 인접코어편(8)의 연결용 2개의 오목 및 볼록부가 각 코어편(8)의 중앙에 대응되는 부분에 형성된다.
즉, 헤드 또는 크로스피스의 세로중심에 있는 1개 및 자극투스 또는 레그(leg)의 폭방향 중심에 있는 다른것, 그리고 도 11 의 화살표 A로 표시된 위치에 있어서, 제1코어부재(9)를 형성하는 제2단계로서, 복수의 절삭부(12)가 오목부(8a)및 볼록부(8b)의 윤곽을 형성한다.
그 다음 도 11 의 화살표 C로 표시된 위치에서는, 제3단계로서, 도에서 절단부를 둘러싸고 있는 복수의 해칭부는 프레스펀칭제거되어 각 오목부(8a)및 볼록부 (8b)의 주변부를 형성한다.
또한, 도 11 의 화살표 B로 표시된 위치에서는, 제2코어부재(10)를 형성하는 제2단계로서, 화살표 A로 표시된 단계와 동일하게 복수의 절삭부(13)가 오목 및 볼록부(8a,8b)가 화살표 T 에 표시된 단계에서 형성된 부분에 설치되어, 오목부(8a)및 볼록부(8b)의 윤곽을 형성한다.
그리고 도 11 의 화살표 D 의 위치에서는, 제3단계로서, 도의 절삭부를 둘러싼 복수의 해칭부가 프레스펀칭제거되어, 각 오목부(8a)및 볼록부(8b)의 주변부를 형성한다.
그 다음, 도 11 의 화살표 E 의 위치에서는, 화살표 C 로 표시된 위치에서 오목,볼록부(8a,8b)의 주변부가 형성된 부분과, 화살표 D 로 표시된 위치에서 오목,볼록부 (8a,8b)의 주변부가 형성된 부분을 순차 교대로 도면중 해칭으로 표시된 부분을 프레스펀칭제거함으로써 제 1 및 제2코어부재(9,10)로 되어, 이들 코어부재(9,10)는 금형내에서 적층된다.
또한, 화살표 S 로 표시된 위치에서는, 화살표 T 의 단계에서 형성된 오목, 볼록부와 동일위치에 각 코어편마다 2개소의 관통홀이 프레스펀칭동작에 의해 형성되어, 적층코어의 최상층으로 되는 제3코어부재(52)(도 15 참조)의 코어편(8)에, 볼록부가 맞물림가능한 2개소의 관통홀이 형성된다.
계속하여, 화살표 B 로 표시되는 위치에, 제3코어부재(52)를 형성하는 제2단계로서, 복수의 절삭부(13)를 오목 및 볼록부(8a,8b)가 화살표 S 로 표시되는 단게에서 형성된 부분에 설치되어 오목,볼록부(8a,8b)의 윤곽을 구성한다.
그다음, 도 11 의 화살표 D 로 표시되는 위치에서, 도면의 절삭부를 둘러싸고 있는 복수의 해칭부분이 프레스펀칭제거되어 각 오목부(8a)및 볼록부(8b)의 주변부를 형성한다.
그후, 도 11 의 화살표 E 로 표시된 위치에서, 화살표 D 로 표시된 위치에서 형성된 오목부(8a)및 볼록부(8b)의 부분은 계속하여 가공되어 도면의 해칭부분이 프레스펀칭제거되어, 제3코어부재(52)가 형성되고, 적층코어의 최상으로서 금형내에 적층된다.
금형내에서 각 코어편(8)의 적층방향에서 서로 대향하는 오목 및 볼록부가 압입 끼워맞춤되고 미끄러지지 않게 틈을 메워서 적층코어가 일체화된다.
도 15 에 표시된 상태에서 각 코어편(8)의 자극투스(8f)는 권선이 실시된후(도면생략), 코일을 형성한다.
그후, 도 16 에 표시된 것과 같이, 오목부(8a)및 볼록부(8b)를 회전시켜서 코어부재를 구부림으로써 링상구조를 형성하여 철심장치(11)가 완성된다.
이와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2 에 의하면, 코어편(8)의 양단에 관절형상으로 형성된 오목부(8a)및 볼록부(8b)를 형성하고, 이들 오목, 볼록부(8a,8b)에 코어편(8)을 연결하는 동시에 오목,볼로부(8a,8b)를 회전시킴으로써, 이들 코어부재(9,10)를 구부러지게 할수 있게 하였으므로, 회전이 용이한 것을 물론 조립정밀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실시예 3
도 17 은 본 발명의 실시예 3 에 의한 철심장치의 요부의 구성을 전개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8 은 본 발명의 실시예 3 에서의 철심장치의 요부의 도 17 과는 상이한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19 는 도 18 도에 표시된 철심장치의 요부의 도 18 에서와 상이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면에서, 14 는 자성재료로 되는 복수의 T 형상의 판상의 코어편이다.
각 T상 코어편은 자극투스 또는 레그 및 헤드 또는 크로스피스로 구성되어 있다.
각 코어편(14)의 크로스피스의 1단부에는 관통홀(14a)및 관통홀(14a)의 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상의 단부면(14b)이 구성되어 있으며, 각 코어편(14)의 크로스피스의 타단부는 인접코어편(14)의 원호상 볼록 단부면(14b)와 상보적이며 또 맞물릴수 있는 원호상 단부면(14c)에 형성되어 있다.
제1코어부재(14)는, 적절히 형성된 틈새를 가진 다른 하나의 코어편(14)의 타단부면(14c)과 대향하는 코어편(14)의 1단부면(14b)과 직렬로 연속적으로 배치된 복수의 코어편(14)을 구비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제2코어부재 또는 층(16)은 제1코어부재 또는 층(15)과는 다른 방식으로, 즉 세로방향으로 제1코어부재(15)와 대향되게 일직선으로 연속적으로 배열된 복수의 코어편(14)을 구비하고 있다.
제1 코어부재(15)의 각 코어편(14)은 그 한 가장자리부분에, 즉 크로스피스의 1단부에 형성된 관통홀(14a)을 구비하고 있다.
이것에 반하여 제2코어부재(16)의 각 코어편(14)은 그의 타단부부분을, 즉 그의 크로스피스의 타단부에 형성된 관통홀(14a)을 구비하고 있다.
도 17 에 표시된 것과 같이, 복수의 제1코어부재(15)및 복수의 제2코어부재(16)는 세로방향으로 오프셋되어 제2코어부재(16)의 코어편에 배열된 제1코어부재(15)의 코어편간위치(즉 인접코어편(14)의 서로 대향된 단부면 (14b,14c)간의 틈새)와 서로 중첩되어 교대로 적층됨으로써, 적층방향으로 인접된 각 코어편(14)의 크로스피스의 단부 또는 에지부분은 서로 중첩되어 적층된다.
복수의 핀부재(17)는 적층된 각 코어편(14)에 있는 복수의 정렬된 구멍(14a)에 각각 삽입되어 적층방향으로 서로 인접한 적층코어편(즉 서로 적층된 제1및 제2코어부재(15,16))을 회전되게 연결한다.
그러한 핀부재(17)는 대향단부에서 틈새를 코킹(caulking)함으로써,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각 핀부재(17)는 볼트와 넛조합으로 구성 되어도 된다.
제1및 제2 코어부재(15,16)의 코어편(14)에 있는 관통홀(14a)및 핀부재(17)는 함께 연결수단 또는 연결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코어편(14)은 핀부재(17)를 통하여 적절히 회전되므로, 제1코어부재(15) 및 제2코어부재(16)를 링상구조로 구부림으로써 요구하는 철심장치를 제공할 수 있으며, 동시에 이런 종류의 철심장치의 조립시 조립정밀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가 있다.
그러나, 도 18 및 19 에서와 같이, 각 관통홀(14a)의 내측표면 및 각 핀부재(17)의 외측표면을 다각형상으로 하고, 양 코어부재(15,16)가 링상으로 구부려질때, 도 19 에 표시된 것과 같이 각 핀부재(17)의 다각형 외측 표면 각 관통홀(12a)의 다각형 내측표면에 고정시키도록 하면 철심장치의 강성을 높이며 기계적 강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실시예 4
도 20(A) 및 20(B)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에서의 철심장치의 요부구성을 나타낸다.
여기서, 도 20(A)는 적층된 층의 대향단부에 있는 코어편의 끝부분이 서로 대향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횡단면도이며, 도 20(B)는 적층된 층의 대향단부에 있는 코어편의 끝부분이 서로 접촉 결합되어있는 상태를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또, 21(A) 및 21(B)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의해 구성된 도 20(A) 및 20(B)의 철심장치의 변화된 구조를 나타낸다.
여기서, 도 21(A)는 적층코어의 가장자리부분 끼리가 서로 대향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횡단면도이고, 도 21(B)는 적층코어의 가장자리 부분끼리가 서로 결합되어있는 상태를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도 20(A), 20(B)및 도 21(A), 21(B)는 각각 적층코어편을 링형상구조로 되게 그 상대적회전을 통하여 형성할때의 적층코어부재의 끝부분(end portions)의 접합을 유효하게 촉진시키는 서로다른 구조를 나타낸다.
위 도면(figures)에서, 부호 18은 도 20(A) 및 20(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적층방향의 단상(step wise)으로 연속적으로 적층 또는 중첩시킨 끝부분을 가진 다수의 연속적인 적층코어편(18a)으로 이루어진 철심(iron core)을 나타낸다.
또, 부호 19는 도 21(A)및 2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적층방향에서 V형상으로 서로 연속적으로 적층 또는 중첩시킨 끝부분을 가진 다수의 연속 적층시킨 코어편(19a)으로 이루어진 철심을 나타낸다.
이와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의해 적층코어의 2개의 인접한 코어편(18a) 의 대향단의 단부가 도 20(A) 및 20(B)에서와 같이 단상(段狀)구조를 형성하도록 적층방향으로 서로 연속하여 중첩되어 있기 때문에 그 적층방향으로 이동하는 대향코어편의 2개의 그룹에 있어서 제한은 없다.
따라서, 위에서 설명한 구부림작업(bending operation)을 할때 위 끝부분중 어느것에서 바람직하지 않는 캐치(catch)가 발생하여도 이와같은 캐치는 적층방향에서 쉽게 제거하도록 한다.
그 결과, 캐치(catch)를 용이하게 제거시켜 철심장치의 적합한 적층구조를 형성하도록 함과 동시에 이와같은 종류의 철심장치를 조립할때 바람직한 작업효율을 향상하도록 사전에 정한 구부림작업을 원활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 그 적층코어의 대향단에서 코어편 (18)은 표면과 표면이 서로 접촉되게 결착되어 그 적층코어의 대향단에서 이와같은 자기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더 나아가서, 적층코어의 코어편(19a)의 인접한 2개의 그룹의 대향단 단부가 도 21(A) 및 21(B)에서와 같이 적층방향에서 V형상 구조를 형성하도록 서로 연속하도록 중첩되어 있으므로, V형상구조의 정상(crest)에 해당하는 적층체전체의 중심상에 있는 코어편(19a)일부위치가 바람직한 한계가 된다.
이와같이, 위에서 설명한 구부림작업을 할때 위·단부부분중의 어느하나에서 바람직하지 않는 캐치가 발생하여도 이와같은 캐치는 적층방향으로 진동을 가함으로써 제거시킬 수 있다.
따라서, 용이하고 원활하게 그 구부림작업을 실시할 수 있으며 동시에 이와같은 철심장치를 조립할때 바람직한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그 적층코어의 대향단에서의 코어편(19)는 표면과 같이 접촉할 수 있게 서로 접합되어 그 적층코어의 대향단에서 자기저항을 감소시킨다.
실시예 6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의해 구성된 철심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5는 프레스펀칭(press·punching)에 의한 도 24의 코어부재의 형성방법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에서, 부호 24는 코일(도시생략)로 감은 돌출되어있는 자극투스 (magnetic pole tooth)를 그 중심에 각각 구비한 한쌍의 제1 코어부재를 나타내며, 부호 25는 그 인접단에서 서로 회전할 수 있게 관절연결시킨 코어편을 각각 가진 한쌍의 제2 코어부재를 나타낸다.
각각의 제1 코어부재(24)는 교대로 적층시킨 다수의 제1 코어편으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제2 코어부재(25)는 교대로 적층시킨 다수의 코어층으로 이루어저 있어, 각각의 코어층에는 도 24에서와 같이 연결수단 또는 장치에 의해 서로 회전할 수 있게 연결시키며 하나의 라인(line)으로 설정시킨 2개의 제2 코어편을 포함하고 있다.
예로서, 각각의 제2 코어부재(25)는 층당(per layer)2개의 코어편(3)을 가진 실시예 1의 코어부재(4 또는 5)와 동일하다.
이와같이, 각각의 제2 코어부재(25)는 코어부재(4,5)와 동일하게 구성시킬 수 있다.
그 연결수단에 의해 제2 코어부재(25)의 제2 코어편을 서로 회전시킴으로써 한쌍의 제1 코어부재(24)와 한쌍의 제2 코어부재(25)를 조합하여 그 단부에서 서로 접합결착을 시킴으로써, 링형상(구형상)의 철심장치(26)를 구성한다.
이와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의해, 그 링형상의 철심장치(26)는 제1 코어부재(24)와 제2코어부재(25)를 적합하게 연결시켜 구성되므로, 제1 코어부재(24)와 제2 코어부재(25)가 프레스펀칭 처리공정에 의해 판상시트로 형성될때 도 25에서와 같이 가급적 가장 좁은 스페이스(space)내에서 제1 및 제2 코어부재(24, 25)를 배치하도록 함으로써 그 코어재의 수율(yield)을 향상시킨다.
실시예 7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예 7에 의한 철심장치의 평면도이나, 그 철심장치의 조립전 상태를 나타내며, 도 27은 완성상태를 나타낸 도 26의 철심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6에서, 이 실시예의 철심장치는 제1 적층 코어유닛(93)과, 제2 적층코어유닛(94)과 제3 적층코어유닛(95)으로 이루어저 있다.
여기서, 3개의 코어유닛(93,94,95)은 도 1에 나타낸 실시예 1의 적층철심장치의 원주상에서 3등분한 3개의 구성성분과 동일하다.
이와같이, 3개의 적층코어유닛(93,94,95) 각각은 실시예 1의 적층된 코어부재 (4,5)와 동일하게 형성되어있다.
즉 각각의 적층코어유닛(93,94.95)에는 일열로 연속 배설한 다수의 평편한 판상코어편으로 이루어진 제1코어부재와, 일열로 연속 배설한 다수의 평편한 판상코어편으로 이루어진 제2 코어부재가 포함되어있다.
제1및 제2 코어부재는 교대로 적층되어있어 각각의 제1 코어부재의 인접한 코어편 사이의 간극의 편간위치(inter-segment positions)가 길이방향으로 인접한 제2 코어부재의 코어편에서 이동되어, 적층방향으로 서로 연결한 코어편의 단부가 서로 중첩되어있다.
서로 연결되어있는 코어편의 인접단이 오목부 및 볼록부(3a,3b)의 형상으로 연결수단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있다.
각각의 적층코어부재의 대향단부(96,97)에는 그 대향단(96,97)을 결합시켜 서로 접합결착을 하도록 하기위한 연결수단의 구성이 없다.
도 1의 실시예 1에서, 각각의 코어편이 서로간에 회전 도는 관절연결하면서 단일코어유닛으로 적층된 코어부재를 링형상구조로 형성시켜 완성된 철심장치를 구성하여도 도 26 및 27에 나타낸 실시예 7에 의해 와이어(도시생략)로 각각 감은후 적층 철심장치의 각각의 코어편은 연결수단에 의해 회전하여 제1, 제2 및 제3 적층코어유닛(93,94,95)을 함께 링형상구조로 결합시킨다.
이와같이하여 전동모터로 사용되는 철심장치(98)(도 27 참조)을 구성한다.
도 27에서, 부호 99, 100 및 101은 각각의 적층코어유닛(93,94,95)의 인접단을 서로 결합하는 커넥터부(connector portions)를 나타낸다.
이와같이하여, 적층코어의 원주상의 등분구조의 경우에 있어 그 코어는 필요에 따라 작업을 촉진시키는데 적합한 크기를 각각 구비한 다수의 코어유닛으로 분리시킬 수 있어 그 조립작업성을 향상시킨다.
실시예 8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예 8에 의해 구성된 철심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 평면도이고, 도 29는 도 28의 코어편 구조를 나타낸 개략 평면도이며, 도 30은 도 29에 나타낸 것과 다른 코어편의 변형형상의 요부를 나타낸 개략 평면도이다.
도 31은 도 30과 동일한 평면도이나, 도 30의 코어편을 링형상구조로 형성시키는 서로다른 작업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2는 도 30과 동일한 평면도이나, 코어편의 또 다른 변형형상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33은 도 32와 동일한 평면도이나, 도 32에 나타낸 코어편은 링형상구조로 형성시키는 서로다른 작업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위에서 설명한 도면에서, 실시예 1에서 나타낸 것과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부호로 나타내며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들의 도면에서, 부호 27 및 28은 코어편(3)의 상대회전을 규제시키는 방향으로 돌출되어있는 각 코어편(3)의 단면(end faces)(3c,3d)상에 형성되어있는 결착부 또는 돌출부의 형상의 회전규제수단(rotation restricting means)으로써 접촉면을 나타낸다.
동일한 평면 또는 층상에서 제1 및 제2 코어부재(4,5)의 서로 인접한 코어편 (3)각각의 단면(3c,3d)상의 결착돌출부(27,28)는 서로 접합결착을 하여, 교대로 서로 적층한 다수의 제1및 제2 코어부재가 링형상구조로 형성하도록 대향단에 연결할 때 서로 인접한 코어편(3)사이에서 회전을 방지한다.
제1 및 제2 코어부재(4,5)는 각각 이들의 단부에서 서로 접촉한 위치에서 결착돌출부(27,28)와 연결되어 링형상구조를 형성함으로써 바람직한 철심장치(7)를 도 28에서와 같이 구성한다.
이와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8에 의해 각각의 코어편(3)의 각각의 단면 (3c,3d)에는 결착돌출부(27,28)를 형성하며, 그 결착돌출부는 코어부재(4,5)가 서로 이들의 단부에서 각각 연결되어 링형상구조를 형성할때 인접한 코어편(3)사이에서 회전을 방지하도록 서로 접합결착을 할수 있다.
이와같이 배치함으로써, 링형상구조로 이들의 코어부재(4,5)를 형성할때 제 1및 제2 코어부재(4,5)의 각각의 코어편(3)을 적합하게 위치시키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따라서, 철심장치를 조립할때 작업성을 향상시킨다.
또, 도 30 내지 도 3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코어편(3)의 일단에서 접촉면 (engaging portions)(29 또는 31)중 하나는 변형시킬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코어편(3)은 링형상 구조를 형성하도록 지그(jig)를 사용하여 적합하게 위치시킬수 있어 그 하나의 접촉면(29 또는 31)은 다른 접촉면(30 또는 32)과 적합하게 결착할 수 있게 변형시킬 수 있다.
이와같은 구조로하여, 서로 인접한 코어편의 접촉면에 의해 링형상구조로 형성되는 제1 및 제2 코어부재(4, 5)에 작동하는 반경방향의 힘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반경방향의 적합한 기계적 강도를 필요로 하는 전기모터의 사용에 적합한 철심장치를 구성한다.
더욱이, 도 30 내지 도 3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촉면(29,30,31,32)과 다른 위치에서 각각의 코어편(3)의 각각의 단면(3c,3d)상에는 링형상구조를 형성할대 그회전방향과 역방향으로 인접한 코어편이 역회전할때 서로 접합결착할 수 있는 추가접촉면(33,34)형상의 역회전 규제수단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같이하여, 역회전을 방지한다.
이와같은 구성으로 하여, 인접한 코어편(3)사이의 각각의 연결점에서 그 역회전을 규제함으로써 코일을 감는 과정중에 코어부재의 반동(rebound)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철심장치의 조립작업을 향상시킨다.
또, 도 34 및 도 3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의 코어편(3)의 접촉면 (33,34,35,36)상에는 각각 결착돌기(engaging projections)(33a,34a,35a,36a)를 형성할 수 있어 그 접촉면(33,34)은 각각 접촉면(35,36)과 접합되어 결착돌기 (33a,34a)는 또 각각 접촉면(35a,36a)과 접합하게 된다.
이와같이하여, 그 위치에서 코어편을 임시로 고정시킨다.
그 결과, 철심장치에서 코일을 형성하는 와이어 권선작업을 쉽게 실시할 수 있고, 코어부재를 적합하게 구부릴수 있는 작업을 쉽게 실시할 수 있게 되어 철심장치를 조립할 때 작업성을 향상시킨다.
실시예 9
도 36은 본 발명의 실시예 9에 의해 구성한 철심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전개사시도이다.
도 36에서, 실시예 1에서 나타낸 것과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부호를 나타내어 그 설명은 생략한다.
이 도면에서, 부호 37, 38, 39는 한쌍의 플랜지부(flange portions)(37a, 38a, 39a)를 각각 가진 제1, 제2 및 제3의 원통상 절연성보빈(insulating bobbin)을 나타낸다.
제1 절연성보빈(37)은 수직방향으로 분할된 한쌍의 분할편(half-pieces) (37b,37b)으로 이루어지며, 제2 절연성보빈(38)은 길이방향으로 분할된 한쌍의 분할편(38b,38b)으로 이루어저 있다.
제3 절연성보빈(39)는 코어편(3)과 일체로 되게 형성되어있다.
또, 이들의 절연성보빈(37,38,39)는 이들의 원통형상에 의해 다수의 코어편(3)을 일체로되게 지지하고 있으며, 그 코어편(3)은 적층시킨 제1 및 제2 코어부재(4,5)의 적층방향으로 서로 배설되어있다.
이와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9에 의해, 적층시킨 제1 및 제2 코어부재(4,5)의 적층방향으로 서로 교대로 배설한 다수의 코어편(3)은 그 절연성보빈(37,38,39)에 의해 일체로되게 동시에 지지시킬 수 있어, 코어편(3)의 변형 또는 비틀림등 바람직하지않은 그 어떤 영향을 주지않고 일체화할 수 있다.
그 결과, 자기저항의 증대를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자기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위 설명에서 3종류의 절연성보빈(37,38,39)을 사용하였으나, 하나 또는 두가지종류의 절연성보빈, 예로서 절연성보빈(37)만을 사용하여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은 말할 필요도 없다:
실시예 1∼8에서 설명한 바 없으나, 각각의 코어부재를 링형상구조로 되게 구부리도록 각각의 결합부에 의해 각각의 코어편을 회전시킨후, 각각의 결합부를 용접등으로 고정시킬 수 있어, 각각의 코어부재의 강성을 크게 증가시켜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철심장치를 구성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을 전기모터용 철심장치에 적용시키는 실시예 1 내지 9에서 설명한 바 있으나, 본 발명은 이 실시예에 한정되어 있지 않다.
예로서, 도 37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적층코어는 실시예 1에서 사용한 자극투스(magnetic pole tooth)를 각각 가진 코어편 대신 다수의 인라인 코어편(in-line core segments)(40)(어떤 자극투스도 없음)으로 구성시킬 수 있다.
와이어(41)로 감은후 적층코어는 도 38에서와 같이 링형상 또는 4각형상의 철심장치를 형성하도록 상대적인 회전을 통하여 결합부를 중심으로 구부린다.
이와같이 형성된 철심장치는 물론 위에서 설명한 동일한 효과를 가진 영상 변류기등 변성기에 사용할 수 있다. 변류기에 사용한 철심장치의 경우, 적층코어의 대향단의 접합결착은 그 적층코어의 대향단에서 자기저항을 감소하도록 적층방향으로 서로 합친 코어편의 단부에서 표면과 표면의 접합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10
도 39는 본 발명의 실시예 10에 의한 철심장치의 평면도로서 조립전 상태를 나타낸다.
도 40은 조립후 도 39의 철심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9에서 이 실시예의 철심장치에는 제1 적층코어유닛(111)과 제2 적층코어유닛(112)을 포함하고 있다.
이 실시예의 철심코어는 2개의 적층코어유닛으로 분할시킨 도 38에서 나타낸 실시예 9의 적층코어와 동일하며, 제1 및 제2 적층코어유닛(111,112)은 도 37의 적층코어와 동일하게 구성되어있다.
특히, 제1 적층코어유닛(111)은 일렬도 연속 배설한 3개의 판상의 제1 코어편(자극투스없음)을 각각 구비한 다수의 제1 코어부재와, 일열로 연속 배설한 3개의 판상의 제2 코어편(자극투스없음)을 각각 구비한 다수의 제2 코어부재로 이루어진다.
제1 및 제2 코어부재는 각각의 제1편간위치(first inter-segment position) (즉, 각각의 제1 코어부재의 인접한 코어편사이의 간극 또는 간격)가 각각의 제2 편간위치(즉, 각각의 제2 코어부재의 인접한 코어편 사이의 간극 또는 간격)로부터 제1 및 제2 코어부재의 길이방향으로 변위 또는 오프셋(offset)되도록 교대로 서로 적층시켜 적층방향으로 서로 합친 각각의 코어편의 단부가 서로 중첩되어있다.
그 합친코어편의 인접단은 서로 결착한 볼록부와 오목부(3a,3b) 형상의 연결수단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있다.
제1 적층코어유닛(111)은 제1 및 제2 코어부재의 교대로 적층시킨 제1 및 제2 코어편에 의해 구성된 오목부와 볼록부를 적층방향으로 교대로 배설시킨 오목-볼록구조로 되게 각각 형성한 대향단(113,114)을 가진다.
제2 적층코어유닛(112)은 1개의 판상의 제1 코어편을 각각 구비한 다수의제1 코어부재(자극투스없음)와 1개의 단상의 제2 코어편을 각각 구비한 다수의 제2 코어부재(자극투스없음)로 구성되어있다.
그 제1 및 제2 코어부재가 이들 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변위 또는 오프셋되도록 제1 및 제2 코어부재를 교대로 서로 적층시킨다.
제1 적층코어유닛(111)과 동일하게, 제2 적층코어유닛(112)은 제1 및 제2 코어부재의 교대로 적층시킨 제1 및 제2 코어편에 의해 구성된 오목부와 볼록부를 적층방향으로 교대로 배설시킨 오목-볼록구조로 각각 형성시킨 대향단(113,114)을 가진다.
여기서, 제1 및 제2 적층코어유닛(111,112)의 인접단(113,114)이 교대로 서로 삽입시켜 원활하게 서로접합 결착하도록 하기 위하여, 제1 코어유닛의 대향단(113,114)에 연결수단(즉, 오목부 3a와 볼록부 3b)의 구성이 없다.
도 37의 실시예 9에서 전체로서 단일적층 코어유닛은 서로간에 대하여 각각의 코어편(40)을 회전시켜 4각 형상구조로 형성되어도 도 39 및 40에 나타낸 실시예 10에서 제1 적층코어유닛(111)의 각각의 코어편은 와이어(도시생략)로 감은후 연결수단(즉, 결착된 오목부 3a와 볼록부 3b)에 의해 서로간 회전되어 제1 및 제2 적층코어유닛(111,112)의 대향단(113,114)에서 오목부와 볼록부는 서로 삽입되어 서로 결합됨으로써 4각형상 구조를 형성한다.
이와같이하여, 도 4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류기로 사용하는 철심장치(40)를 제조하였다.
이와같은 방법으로 하여, 분할시킨 적층코어유닛의 조립은 작업성을 향상시킨다(적층코어전체를 다수의 코어유닛으로 분할시킬수 있고, 처리 또는 작업에 적합한 크기를 가지므로 작업성을 향상 시킴).
실시예 11
도 4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1에 의한 영상변류기에 쓰이는 철심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2(A) 및 42(B)는 도 1의 철심장치의 코어부재를 조립하는 방법의 프로세스공정을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도 43은 연결수단을 회전시켜 코어부재를 구부리는 프로세스공정을 나타낸 작업 다이어그램이다.
도 44(A) 내지 44(D)는 본 발명의 원리의 설명도이다.
이들의 도면에서, 철심장치(57)에는 교대로 서로 적층시킨 다수의 제1 및 제2 코어부재(53,56)를 포함한다.
도 4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의 제1 코어부재(53)는 연속적으로 교대로 일직선 배설시켜 이들사이에 간극을 형성시킨 다수의 2종류의 제1 코어편(51, 52)으로 이루어저있다.
1종류의 제1 코어편(51)은 평편한 판상 자기재료로 각각 구성되어있고, 그 일단에서의 전후면에 연결수단으로 작동하는 오목부(51a)와 볼록부(51b)를 구성한다.
또 다른 종류의 제1 코어편(52)은 각각 제1 코어편(51)의 경우에서와 같이 평편한 판상 자기재료로 각각 구성되어있고, 그 본체에서는 와이어(도시생략)를 감은 노치부(notched portion)(52a)를 구성하며, 그 일단에서의 전후면에서는 연결수단으로 작동하는 오목부(52b)와 볼록부(52c)를 구성하고있다.
동일하게, 각각의 제2 코어부재(56)는 다수의 2종류의 제2 코어편(54,55)으로 구성하여 이들의 제2 코어편은 연속하여 교대로 일직선 배열을 하며 이들의 제2 코어편 사이에서는 간극을 형성한다.
1종류의 제2 코어편(54)은 각각 평편한 판상의 자기재료로 구성되어있고, 그 타단에서 전후면에는 연결수단으로 작동하는 오목부(54a)와 볼록부(54b)를 구성한다.
다른종류의 제2 코어편(55)은 각각 제2 코어편(54)의 경우에서와 같이 평편한 판상의 자기재료로 구성되어있으며, 그 본체에서는 와이어(도시생략)를 감은 노치부(55a)를 구성하고, 그 타단의 전후면에서는 연결수단으로 작동하는 오목부 (55b)와 볼록부(55c)를 구성하고 있다.
제1 코어편(51,520의 오목부와 볼록부(51a,51b,52b,52c)각각과 제2 코어편 (54,55)의 오목부와 볼록부(54a,54b,55b,55c)각각은 한위치(62)에 구성되어 있으며, 그 위치(62)는 각각의 코어편(54(51)) 및 (55(52))의 횡방향 중심선(54 x(51x)) 및 (55 x (52x))의 교점(intersection)(60)에서 떨어저있는 외측(즉, 영상변류기용 철심장치중심 대향측)에 있으며, 도 44(A)에서와 같이 2개의 중심선(54 x (51x)) 및 (55 x (52x))에 의해 형성된 각의 이등분선(bisector)(61)상에 있다.
이와관련하여, 노치부(52a,55a)를 각각 가진 코어편(52,55)의 횡방향 중심선은 노치부가 없는 코어편(52,55)의 중심선과 동일하다.
도 42(B)에서와 같이, 다수의 제1 코어부재(53)와 다수의 제2 코어부재(56)는 각각의 제1 코어부재(53)의 제1 편간위치(즉, 2개의 모든 인접한 코어편(51),(52) 사이에 있는 간극 또는 간격)는 각각의 제2 코어부재(56)의 제2 편간위치(즉, 2개의 모든 인접한 코어편(54),(55) 사이에 있는 간극 또는 간격)에서 변위 또는 오프셋(offset)되어 제1 및 제2 코어부재(53,56)의 적층방향으로 서로 합친 코어편의 단부가 서로 중첩되게 교대로 적층되어있다.
적층방향으로 인접되어있는 코어편(51,52,54,55)의 단부에서는 제1 코어부재 (53)의 코어편(51,52)의 오목부 및 볼록부(51a,52b 및 51b, 52c)가 코어편을 회전할 수 있게 결합하는 제2 코어부재(56)의 코어편(55,54)의 대응되는 오목부 및 볼록부(55b,55c 및 54a,54b)와 각각 결착된다.
그 다음, 제1 및 제2 코어부재(53,56)는 연속하여 프레스펀칭에 의해 형성되고, 이들을 적층하는 공정에서는 코어편(51,52,54,55)을 적층하는 방향으로 서로간에 대향하고 있는 각각의 오목부 및 볼록부(51a,52b 및 51b, 52c)가 서로 결착되어 예로서 도 42(B)의 화살표방향으로 나타낸 위치를 코킹(caulking)함으로써 일체로 형성되게 적층코어유닛(57)을 제조한다.
와이어(도시생략)을 코어편(52,55)의 노치부(52a,55a)를 중심으로하여 감은 다음, 적층시킨 제1 및 제2 코어부재(53,56)는 결착한 오목부와 볼록부(51a, 52b 및 51b, 52c)를 중심으로하여 적층시킨 코어편(51,52,54,55)를 회전시켜 구부려서 이들을 4각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도 41에서와 같이 철심장치를 완성한다.
위에서 구성한 실시예 11의 철심장치(58)에 의하면, 제1 코어부재(53)의 제1 코어편(51,52)및 제2코어부재(56)의 제2 코어편(54,55)의 연결수단 또는 섹션 (section)각각의 위치, 즉 각각의 오목부와 볼록부의 위치는 코어편(54(51) 및 55(52))의 횡방향 중심선(54 x (51x) 및 55 x(52x))의 교점(60)에서 떨어저있는 외측(즉, 영상 변류기에 쓰이는 철심장치의 중심과의 대향측면)으로 떨어진 위치(62)에 설정되어 있으며, 또 도 4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2개의 중심선(54 x (51x) 및 55 x (52x))에 의해 형성된 각의 2등분선(61)상에 있다.
따라서, 2개의 인접한 코어편(51,52 및 54,55)의 대향단면(51c,52e 및 54c, 55e)은 그 철심장치(58)를 조립할때 완전접촉상태로 서로간에 대하여 접합하며, 반면에 적합한 간극(59)은 도 42(A)에서와 같이 근접한 2개의 코어편(51,52및 54,55)을 프레스절단을 할때 이들사이에서 형성시킬 수 있다.
이와같이, 용이한 프레스펀칭 작업은 그 철심장치(58)의 자기성능을 열화시킴이없이 실시할 수 있다.
오목부 및 볼록부(54a,(51a),54a(51b) 및 55b(52b),55e(52c))각각의 위치가 중심선(54x(51x)및 55x(51x)의 교점(60)이 도 44(B)에서와 같이 존재할 경우와 동일한 위치에서 설정될때 인접한 2개의 코어편(51,52 및 54,55)의 대향단면(51c,52e 및 54c,55e)은 프레스펀칭을 할때 접촉된다.
따라서, 프레스펀칭 작업은 자기성능이 열화되지 않더라도 기술적으로 어렵다.
반면에, 오목부와 볼록부(54a(51a),54b(51b) 및 55b(52b),55c(52c))각각의위치가 중심선(55x(52x)및 도 44(c)에서와 같이 중심선(54x(51x)및 55x(52x))의 교점(60)에서 떨어저있는 외측면상의 위치(63)에 설정될 경우 간극은 이들을 프레스펀칭할때 인접한 2개의 코어편(51,52 및 54,55)의 대향단면(51c,52e 및 54c,55e)사이에서 형성되어 프레스펀칭 작업을 용이하게 한다.
그리고, 코어재의 수량은 인접한 2개의 코어편 사이에서 발생한 레벨에서 단차(difference)y1으로 인하여 재료의 수율이 감소된다.
그러나, 이점에 있어서, 그 단차 y1이 허용될 경우 각각의 오목부 및 볼록부의 위치가 그 교점(60)에서 떨어진 외측면과 이등분선(61)상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더라도 그 중심선(55x(52x))과 그 외측면상의 위치에서 각각의 오목부와 볼록부의 위치를 그 이등분선(61)에서 떨어진 일정한 거리(허용할 수 있는 단차 y1내)에 설정할 수 있다.
또, 각각의 오목부 및 볼록부(54a(51a),54b(51b) 및 55b(52b), 55c(52c))의 위치가 도44(D)에서와 같이 중심선(55x(52x))및 중심선(54x(51x))에서의 내측면상에서의 위치(64)에 설정되어있을 경우, 단차 y1레벨은 이들을 프레스펀칭할 때 인접한 2개의 코어편(54(51) 및 55(52))사이에서 도 41(C)의 경우와 같이 코어편의 낮은 수율로 되어, 인접한 2개의 코어편(51,52 및 54,55)의 단면(51c,52e 및 54c,55e)이 그 단차 y1만큼 서로 중첩하므로 프레스펀칭을 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이와같은 역방향 또는 외측방향으로의 비틀림 상태에서 각각의 투스(84)는 권선기의 권선공급 노즐(90)에 의해 권선을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독립한 판상의 제1코어편을 복수개 연속적으로 배열하는 제1코어부재와, 독립한 판상의 제2코어편을 복수개 연속적으로 배열하는 제2코어부재가 적층방향에 교대로 상기 제1코어부재의 각 제1코어편간위치와 상기 제2코어부재의 각 제2코어편간위치가 길이방향으로 어긋나서, 상기 각 코어편의 적층방향에 인접하는 가장자리부끼리가 겹쳐지도록 적층되고, 인접하는 각 코어편의 가장자리부끼리를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오목부 또는 볼록부로 되는 연결수단이 각 코어편의 가장자리부에 설치되며, 상기 오목부 또는 볼록부가 교대로 적층되어 적층방향의 회동축을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연결수단으로 상기 각 코어편을 회동시킴으로써, 환상 또는 구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자기성능 및 기계적강도의 향상이 가능한 양산적 철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독립한 판상의 제1코어편을 복수개 적층한 제1코어편블록을 복수개 연속적으로 배열하는 제1코어부재와, 독립한 판상의 제2코어편을 복수개 적층한 제2코어편블록을 복수개 연속적으로 배열하는 제2코어부재가 적층방향으로 교대로, 상기 제1코어부재의 각 제1코어편블록간 위치와 상기 제2코어부재의 각 제2코어편블록간 위치가 길이방향으로 어긋나서, 상기 각 코어편블록의 적층방향으로 인접하는 가장자리부끼리가 겹쳐지도록 적층되고, 인접하는 각 코어편블록의 가장자리부끼리를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오목부 또는 볼록부로되는 연결수단이 각 코어편블록의 가장자리부에 설치되며, 상기 오목부 또는 볼록부가 교대로 적층되어 적층방향의 회동축을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연결수단으로 상기 각 코어편블록을 회동시킴으로써, 환상 또는 구형상으로 형성되었으므로, 자기성능 및 기계적강도의 향상이 가능한 철심장치를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 부품수를 감소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연결수단으로 톱니단위로 회전시킬 수가 있어 마찰이 적어 회전이 용이하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연결수단으로 적층방향에 인접한 코어편 블록의 에지부서로를 연결하는 것이므로, 자기성능 및 기계적강도의 향상이 가능한 철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연결수단은 제1 코어부재의 제1 코어편블록의 1단부 에지부와 제2 코어부재의 제2 코어편블록의 타단부 에지부에 각각 형성된 구멍과 상기 구멍을 상기 코어편블록의 적층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관통하는 핀부재로 구성되어 있음으로, 자기성능 및 기계적 강도의 향상이 가능함은 물론, 회전이 더욱 용이하여 조립정도의 향상이 가능한 철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코어부재 또는 제2 코어부재로 연속적으로 배열된 코어편블록의 인접한 에지부 서로를 상대향하는 단부면의 한쪽이 볼록원호상으로 형성되고 다른쪽이 오목원호상으로 형성되어서 코어편블록의 한쪽의 볼록원호상 단부면을 배열방향에 인접한 코어편블록의 다른쪽의 오목원호상 단부면에 접촉하여 배열됨으로 자기성능의 향상이 가능한 철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제1적층코어유닛과 제2적층코어유닛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적층코어유닛은 판상의 코어편이 복수개 평면으로 연속배열된 제1코어부재와 판상의 코어편이 복수개 평면으로 연속배열된 제2코어부재와, 상기 제1 및 제2코어부재의 인접하는 코어편의 가장자리부분을 연결하는 연결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제 1 및 제2코어부재는 상기 제1코어부재의 인접하는 코어편사이에서 각각 정해진 제1코어편간위치가 상기 제 1 및 제2코어부재의 평면방향으로 상기 제2코어부재의 인접하는 코어편사이에서 각각 정해진 제2코어편간위치로부터 오프셋되어, 상기 제 1및 제2코어부재의 평면방향에 수직인 적층방향으로 서로 근접하는 상기 각각의 코어편의 가장자리부분이 중첩하도록 교대로 적층되고, 상기 제2적층코어유닛은 판상의 코어편이 복수개 평면으로 연속배열된 제3코어부재와, 판상의 코어편이 복수개 평면으로 연속배열된 제4코어부재와, 상기 제 3 및 제4코어부재의 인접하는 코어편의 가장자리부분을 연결하는 연결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제 3 및 제4코어부재는 상기 제3코어부재의 인접하는 코어편 사이에서 각각 정해진 제3코어편간위치가 상기 제3 및 제4코어부재의 평면방향으로 상기 제4코어부재의 인접하는 코어편 사이에서 각각 정해진 제4코어편간위치로부터 오프셋되어, 상기 제 3 및 제4코어부재의 상기 제 1 및 제2코어부재가 서로 중첩하여 적층되는 평면방향에 수직인 적층방향으로 서로 근접하는 상기 각각의 제 3 및 제4코어부재의 가장자리부분이 중첩되도록 교대로 적층되고, 제 1 및 제2코어유닛의 상기 코어편은 상기 연결수단을 통하여 환상 또는 구형형상으로 형성되도록 서로 회동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 적층코어를 작업이 용이한 크기로 분할할 수 있어 작업성이 향상하는 철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제 1적층코어유닛은 판상의 코어편을 복수개 평면으로 연속배열한 제1코어부재와 판상의 코어편을 복수개 평면으로 연속배열한 제2코어부재와, 상기 제 1 및 제2코어부재의 인접하는 코어편의 가장자리부분을 연결하는 연결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 1 및 제2코어부재는, 상기 제1코어부재의 인접하는 코어편 사이에서 각각 정해진 제1코어편간위치가 상기 제 1 및 제2코어부재의 평면방향으로 상기 제2코어부재의 인접하는 코어편 사이에서 각각 정해진 제2코어편간위치로부터 오프셋 되어, 상기 제 1 및 제2코어부재의 평면방향에 수직인 적층방향으로 서로 근접하는 상기 각각의 코어편의 가장자리부분이 중첩되도록 적층되고, 제2적층코어유닛은, 적층된 복수의 판상코어편을 구비하며, 상기 연결수단으로 상기 제1적층코어유닛의 상기 코어편을 회동시켜서 상기 제 1 및 제2코어유닛을 조합함으로써, 환상 또는 구형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하였으므로, 적층코어를 작업이 용이한 크기로 분할할 수 있어 작업성이 향상되는 철심장치를 제공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독립한 판상의 제1코어편을 복수개 연속적으로 배열하는 제1코어부재와, 독립한 판상의 제2코어편을 복수개 연속적으로 배열하는 제2코어부재와, 적층방향에 교대로 상기 제1코어부재의 각 제1코어편간위치와 상기 제2코어부재의 각 제2코어편간위치가 길이방향으로 어긋나서, 상기 각 코어편의 적층방향으로 인접하는 가장자리부 끼리가 겹쳐지도록 적층하는 공정, 각 코어편의 가장자리부에 설치된 오목부 또는 볼록부로 되는 연결수단을 교대로 적층하여 적층방향의 회동축을 형성하고, 인접하는 각 코어편의 가장자리 끼리를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공정을 시행하는 것이므로 자기성능 및 기계적강도의 향상이 가능한 철심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독립한 판상의 제1코어편을 복수개 적층한 제1코어편블록을 복수개 연속적으로 배열하는 제1코어부재와, 독립한 판상의 제2코어편을 복수개 적층한 제2코어편블록을 복수개 연속적으로 배열하는 제2코어부재가 적층방향에 교대로 상기 제1코어부재의 각 제1코어편블록간 위치와 상기 제2코어부재의 각 제2코어편블록간위치가 길이방향으로 어긋나서 상기 각 코어편블록의 적층방향으로 인접하는 가장자리부 끼리가 겹쳐지도록 적층하는 공정, 각 코어편블록의 가장자리부에 설치된 오목부 또는 볼록부로 되는 연결수단을 교대로 적층하여 적층방향의 회동축을 형성하고, 인접하는 각 코어편블록의 가장자리부 끼리를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공정을 시행하는 것이므로, 자기성능 및 기계적강도의 향상이 가능한 철심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함과 동시에, 부품수를 감소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23)

  1. 독립한 판상의 제1코어편을 복수개 연속적으로 배열하는 제1코어부재와, 독립한 판상의 제2코어편을 복수개 연속적으로 배열하는 제2코어부재가 적층방향에 교대로 상기 제1코어부재의 각 제1코어편간위치와 상기 제2코어부재의 각 제2코어편간위치가 길이방향으로 어긋나서, 상기 각 코어편의 적층방향에 인접하는 가장자리부 끼리가 겹쳐지도록 적층되고, 인접하는 각 코어편의 가장자리부 끼리를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오목부 또는 볼록부로 되는 연결수단이 각 코어편의 가장자리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코어편에 설치된 연결수단과, 상기 제2코어편에 설치된 연결수단이 교대로 적층되어 적층방향의 회동축을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연결수단으로 상기 각 코어편을 회동시킴으로써 환상 또는 구형상으로 형성된 철심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각 코어편의 가장자리부에 설치된 연결수단은 각 코어편의 인접하는 가장자리부 끼리의 서로 대향하는 단면에 설치된 오목부 또는 볼록부이고, 이 오목부 또는 볼록부는 배열방향으로 인접하는 코어편의 단면에 설치된 오목부 또는 볼록부와 끼워 맞추며, 상기 배열방향으로 인접하는 코어편 끼리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심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오목부 또는 볼록부는 제1코어부재 또는 제2코어부재로서 연속적으로 배열한 코어편의 인접하는 가장자리부 끼리의 서로 대향하는 단면을 관절형상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심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제1코어부재와 제2코어부재를 적층하여 구성되는 적층코어의 단부는 코어편의 가장자리부가 적층방향에 계단상으로 겹쳐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심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제1코어부재와 제2코어부재를 적층하여 구성되는 적층코어의 단부에는 적층방향으로 인접하는 코어편에 서로 이탈,분리가 자유롭게 끼워맞춰지는 오목부 및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심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제1코어부재 또는 제2코어부재로서 연속적으로 배열한 코어편의 배열방향으로 인접하는 코어편 끼리의 서로 대향하는 단면사이에, 코어가 환상 또는 구형상으로 형성된 상태에서 맞닿고, 연결수단의 회동을 규제하는 회동규제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심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제1코어부재 또는 제2코어부재로서 연속적으로 배열한 코어편의 배열방향으로 인접하는 코어편 끼리의 서로 대향하는 단면사이에 맞닿고, 연결수단의 역회동을 막는 역회동규제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심장치.
  13. 독립한 판상의 제1코어편을 복수개 적층한 제1코어편블록을 복수개 연속적으로 배열하는 제1코어부재와, 독립한 판상의 제2코어편을 복수개 적층한 제2코어편블록을 복수개 연속적으로 배열하는 제2코어부재가 적층방향으로 교대로, 상기 제1코어부재의 각 제1코어편블록간위치와 상기 제2코어부재의 각 제2코어편블록간위치가 길이방향으로 어긋나서 상기 각 코어편블록의 적층방향으로 인접하는 가장자리부 끼리가 겹쳐지도록 적층되고, 인접하는 각 코어편블록의 가장자리부 끼리를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오목부 또는 볼록부로 되는 연결수단이 각 코어편블록의 가장자리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코어편 블록에 설치된 연결수단과 상기 제2코어편 블록에 설치된 연결수단이 교대로 적층되어 적층방향의 회동축을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연결수단으로 상기 각 코어편 블록을 회동시킴으로써 환상 또는 구형상으로 형성된 철심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각 코어편블록의 가장자리부에 설치된 연결수단은 각 코어편블록의 표면 및 이면에 설치된 오목부 또는 볼록부이고, 이 오목부 또는 볼록부는 적층방향으로 인접하는 코어편블록의 가장자리부에 설치된 오목부 또는 볼록부와 끼워맞추며, 상기 적층방향으로 인접하는 코어편블록 끼리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심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제1코어부재 또는 제2코어부재로서 연속적으로 배열한 코어편블록의 배열방향에 따라 인접하는 코어편블록 끼리의 서로 대향하는 단면의 한쪽이 볼록원호상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다른쪽이 오목원호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볼록원호상단면과 상기 오목원호상단면이 맞닿아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심장치.
  16. 독립한 판상의 제1코어편을 복수개 연속적으로 배열하는 제1코어부재와, 독립한 판상의 제2코어편을 복수개 연속적으로 배열한 제2코어부재와, 적층방향에 교대로 상기 제1코어부재의 각 제1코어편간위치와 상기 제2코어부재의 각 제2코어편간위치가 길이방향으로 어긋나서, 상기 각 코어편의 적층방향으로 인접하는 가장자리부 끼리가 겹쳐지도록 적층되고, 인접하는 각 코어편의 가장자리부 끼리를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오목부 또는 볼록부로 되는 연결수단이 각 코어편의 가장자리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코어편에 설치된 연결수단과, 상기 제2코어편에 설치된 연결수단이 교대로 적층되어 적층방향의 회동축을 형성한 제1적층코어와 독립한 판상의 제1코어편을 복수개 연속적으로 배열하는 제1코어부재와, 독립한 판상의 제2코어편을 복수개 연속적으로 배열하는 제2코어부재가, 적층방향에 교대로 상기 제1코어부재의 각 제1코어편간위치와 상기 제2코어부재의 각 제2코어편간위치가 길이방향으로 어긋나서, 상기 각 코어편의 적층방향으로 인접하는 가장자리부 끼리가 겹쳐지도록 적층되고, 인접하는 각 코어편의 가장자리부 끼리를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오목부 또는 볼록부로 되는 연결수단이 각 코어편의 가장자리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코어편에 설치된 연결수단과, 상기 제2코어편에 설치된 연결수단이 교대로 적층되어 적층방향의 회동축을 형성한 제2적층코어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수단으로 상기 제1적층코어와 제2적층코어의 상기 각 코어편을 회동시키며, 상기 제1적층코어와 제2적층코어를 조합함으로써 환상 또는 구형상으로 형성된 철심장치.
  17. 독립한 판상의 제1코어편을 복수개 연속적으로 배열하는 제1코어부재와, 독립한 판상의 제2코어편을 복수개 연속적으로 배열하는 제2코어부재가 적층방향에 교대로 상기 제1코어부재의 각 제1코어편간위치와 상기 제2코어부재의 각 제2코어편간위치가 길이방향으로 어긋나서, 상기 각 코어편의 적층방향으로 인접하는 가장자리부 끼리가 겹쳐지도록 적층되고, 인접하는 각 코어편의 가장자리부 끼리를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오목부 또는 볼록부로 되는 연결수단이 각 코어편의 가장자리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코어편에 설치된 연결수단과 상기 제2코어편에 설치된 연결수단이 교대로 적층되어 적층방향의 회동축을 형성한 제1적층코어와, 독립한 판상의 코어편을 적층한 제2적층코어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수단으로 상기 제1적층코어의 상기 각 코어편을 회동시키며, 상기 제1적층코어와 제2적층코어를 조합함으로써, 환상 또는 구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심장치.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KR1019990025722A 1998-06-30 1999-06-30 철심장치 Expired - Lifetime KR1003597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8991A KR100359706B1 (ko) 1998-06-30 2002-07-05 철심장치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8-184304 1998-06-30
JP18430498 1998-06-30
JP30978698 1998-10-30
JP1998-309786 1998-10-30
JP05677899A JP3279279B2 (ja) 1998-06-30 1999-03-04 鉄心装置
JP1999-56778 1999-03-04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8992A Division KR100386314B1 (ko) 1998-06-30 2002-07-05 철심장치
KR1020020038991A Division KR100359706B1 (ko) 1998-06-30 2002-07-05 철심장치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6569A KR20000006569A (ko) 2000-01-25
KR100359704B1 true KR100359704B1 (ko) 2002-11-07

Family

ID=27296039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5722A Expired - Lifetime KR100359704B1 (ko) 1998-06-30 1999-06-30 철심장치
KR10-2002-0038992A Expired - Fee Related KR100386314B1 (ko) 1998-06-30 2002-07-05 철심장치
KR1020020038991A Expired - Lifetime KR100359706B1 (ko) 1998-06-30 2002-07-05 철심장치의 제조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8992A Expired - Fee Related KR100386314B1 (ko) 1998-06-30 2002-07-05 철심장치
KR1020020038991A Expired - Lifetime KR100359706B1 (ko) 1998-06-30 2002-07-05 철심장치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6369687B1 (ko)
EP (1) EP0969581B1 (ko)
JP (1) JP3279279B2 (ko)
KR (3) KR100359704B1 (ko)
DE (1) DE69936824T2 (ko)
MY (1) MY127534A (ko)
TW (1) TW454372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8159B1 (ko) 2004-04-19 2011-10-28 가부시키가이샤 하모닉 드라이브 시스템즈 분할코어식 모터 스테이터 및 그 조립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06484A1 (de) * 1999-02-17 2000-09-07 Wegerer Kristina Elektrische Maschine
TW508891B (en) * 2000-02-21 2002-11-01 Misubishi Electric Corp Stator iron core of electric motor,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electric motor, and compresor
DE10013690B4 (de) * 2000-03-21 2004-04-15 Schuler Pressen Gmbh & Co. K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aus Blechteilen bestehenden Paketen
JP3704029B2 (ja) * 2000-07-24 2005-10-05 三菱電機株式会社 始動用電動機の固定子
JP2002058181A (ja) * 2000-08-11 2002-02-22 Ichinomiya Denki:Kk 分割コアユニット、ステータ、及びモータ
CN100394672C (zh) * 2000-08-29 2008-06-11 三菱电机株式会社 层叠定子铁心和其制造方法及旋转电动机和其制造方法
JP2002118992A (ja) * 2000-10-04 2002-04-19 Mitsubishi Electric Corp 回転電機の固定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2136003A (ja) * 2000-10-24 2002-05-10 Mitsubishi Electric Corp 回転電機の固定子
JP3681631B2 (ja) * 2000-10-30 2005-08-10 三菱電機株式会社 巻線機および巻線方法
JP3710706B2 (ja) * 2000-12-01 2005-10-26 三菱電機株式会社 積層コア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製造に用いる金型装置
JP2002176753A (ja) * 2000-12-07 2002-06-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動機固定子の製造方法及びその固定子
US6897591B2 (en) * 2001-03-26 2005-05-24 Emerson Electric Co. Sensorless switched reluctance electric machine with segmented stator
US6744166B2 (en) 2001-01-04 2004-06-01 Emerson Electric Co. End cap assembly for a switched reluctance electric machine
US6584813B2 (en) 2001-03-26 2003-07-01 Emerson Electric Co. Washing machine including a segmented stator switched reluctance motor
US7012350B2 (en) * 2001-01-04 2006-03-14 Emerson Electric Co. Segmented stator switched reluctance machine
US6700284B2 (en) 2001-03-26 2004-03-02 Emerson Electric Co. Fan assembly including a segmented stator switched reluctance fan motor
US6892439B1 (en) * 2001-02-01 2005-05-17 Encap Motor Corporation Motor with stator made from linear core preform
JP3943338B2 (ja) * 2001-02-02 2007-07-11 三菱電機株式会社 鉄心のコア部材
US6590310B2 (en) * 2001-02-21 2003-07-08 Kabushiki Kaisha Moric Stator coil structure for revolving-field electrical machin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EP1235327A3 (en) * 2001-02-21 2004-07-07 Kabushiki Kaisha Moric Stator coil structure for rotary electrical machin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3749444B2 (ja) 2001-03-15 2006-03-01 三菱電機株式会社 コア
JP3765561B2 (ja) * 2001-03-19 2006-04-12 株式会社三井ハイテック 積層鉄心の製造方法
JP3839269B2 (ja) * 2001-03-27 2006-11-01 三菱電機株式会社 コア装置
JP2002291191A (ja) * 2001-03-29 2002-10-04 Mitsubishi Electric Corp 固定子
JP2002320351A (ja) * 2001-04-20 2002-10-31 Hitachi Ltd Dcブラシレスモータ用固定子鉄心
JP3786854B2 (ja) * 2001-08-30 2006-06-14 株式会社三井ハイテック 積層鉄心の製造方法
US6927506B2 (en) * 2001-09-25 2005-08-09 Clever Fellows Innovation Consortium Low loss reciprocating electromagnetic device
JP3711912B2 (ja) * 2001-11-12 2005-11-02 三菱電機株式会社 積重ステータコア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回転電動機の製造方法
JP2003164080A (ja) * 2001-11-27 2003-06-06 Asmo Co Ltd 回転電機の電機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3749476B2 (ja) * 2001-12-05 2006-03-01 三菱電機株式会社 コア
JP3993073B2 (ja) 2001-12-11 2007-10-17 アスモ株式会社 回転電機の回転子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30052442A (ko) * 2001-12-21 2003-06-27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모터의 전기자 구조
JP3828015B2 (ja) * 2002-01-08 2006-09-27 三菱電機株式会社 永久磁石形モータ及び永久磁石形モータの製造方法及び圧縮機及び冷凍サイクル装置
JP2003244883A (ja) * 2002-02-19 2003-08-29 Hitachi Ltd 外転型モータ及びそのモータ固定子の組立方法
JP2003259574A (ja) * 2002-03-05 2003-09-12 Asmo Co Ltd コア、電機子及びモータ
JP4046521B2 (ja) * 2002-03-13 2008-02-13 株式会社三井ハイテック 積層鉄心及びこれを用いた固定子の製造方法
JP4027132B2 (ja) * 2002-03-19 2007-12-26 三菱電機株式会社 鉄心装置及び鉄心装置の製造方法及び永久磁石形電動機及び密閉形圧縮機
US20030177651A1 (en) * 2002-03-25 2003-09-25 Stone Steven D. Bow sight
JP2003304655A (ja) * 2002-04-10 2003-10-24 Nippon Steel Corp 回転電機のステータ鉄心構造
JP3590622B2 (ja) * 2002-05-16 2004-11-17 三菱電機株式会社 回転角度検出器
US7111380B2 (en) * 2002-10-31 2006-09-26 Emerson Electric Co. Method for forming an annular stator assembly
GB0225775D0 (en) * 2002-11-05 2002-12-11 Pml Flightlink Ltd Improvements for electric motors
JP4305649B2 (ja) * 2003-02-26 2009-07-29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アキシャルギャップ型電動機
JP4057449B2 (ja) * 2003-03-10 2008-03-05 アスモ株式会社 回転電機のコア
JP2004274970A (ja) * 2003-03-12 2004-09-30 Mitsubishi Electric Corp 回転電機
JP4414149B2 (ja) * 2003-03-20 2010-02-10 株式会社三井ハイテック 積層鉄心の製造方法
US7119467B2 (en) * 2003-03-21 2006-10-10 Pratt & Whitney Canada Corp. Current limiting means for a generator
US6920023B2 (en) * 2003-03-21 2005-07-19 Pratt & Whitney Canada Corp. Current limiting means for a generator
JP3987000B2 (ja) * 2003-04-18 2007-10-03 三菱電機株式会社 回転電機の電機子
JP4927134B2 (ja) * 2003-05-08 2012-05-09 アスモ株式会社 回転電機のステータ
JP3913713B2 (ja) * 2003-06-16 2007-05-09 アスモ株式会社 インシュレー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4444737B2 (ja) * 2003-06-24 2010-03-31 アスモ株式会社 ブラシレスモータ及び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用モータ
JP2005020972A (ja) * 2003-06-30 2005-01-20 Mitsubishi Electric Corp 積層鉄心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JP4341829B2 (ja) * 2003-12-08 2009-10-14 株式会社三井ハイテック 積層鉄心および該積層鉄心を用いる固定子の製造方法
JP4472417B2 (ja) * 2004-04-30 2010-06-02 株式会社三井ハイテック 積層鉄心の製造方法および金型装置
EP1598918A1 (de) * 2004-05-17 2005-11-23 Grundfos A/S Blechpaket aus Segmenten
US7122933B2 (en) * 2004-05-19 2006-10-17 Emerson Electric Co. Reduced coil segmented stator
JP2005333728A (ja) * 2004-05-20 2005-12-02 Mitsubishi Electric Corp 電動機
JP2005348553A (ja) * 2004-06-04 2005-12-15 Honda Motor Co Ltd モータおよびモータの製造方法
US7138896B2 (en) * 2004-06-29 2006-11-2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Ferrite core, and flexible assembly of ferrite cores for suppressing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JP4484616B2 (ja) * 2004-07-28 2010-06-16 株式会社三井ハイテック 積層鉄心の製造方法
JP2006101590A (ja) * 2004-09-28 2006-04-13 Mitsui High Tec Inc 積層固定子鉄心の製造方法
US7148601B2 (en) * 2004-09-30 2006-12-12 Asia Vital Component Co., Ltd. Built-up stator assembly
JP4725721B2 (ja) * 2005-01-24 2011-07-13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アキシャルエアギャップ型電動機
JP4516463B2 (ja) * 2005-03-23 2010-08-04 アスモ株式会社 ブラシレスモータのステータ及びブラシレスモータ
KR100624733B1 (ko) * 2005-05-06 2006-09-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리니어 모터의 아우터 코어 조립구조
CN101171733B (zh) * 2005-05-06 2012-09-05 株式会社美姿把 电动机、旋转电机及其定子、以及该定子的制造方法
KR100621354B1 (ko) * 2005-06-14 2006-09-08 광주과학기술원 유비퀴틴을 이용한 아밀로이드-베타 펩티드의 제조방법
JP2007068310A (ja) * 2005-08-30 2007-03-15 Aisin Seiki Co Ltd 回転機の積層巻きコア
JP2007068324A (ja) * 2005-08-31 2007-03-15 Nippon Densan Corp 電機子およびこの電機子を搭載したブラシレスモータ
DE102005051380A1 (de) * 2005-10-27 2007-05-03 Zf Friedrichshafen Ag Stator einer E-Maschine
US8339010B2 (en) * 2005-12-21 2012-12-25 Honda Motor Co., Ltd Dual rotor electric machine having a field-controlling rotor
WO2007086312A1 (ja) * 2006-01-24 2007-08-02 Kabushiki Kaisha Yaskawa Denki モータステータ用の分割コア、そのモータステータ、永久磁石形同期モータ、および分割コア打ち抜き金型による打ち抜き方法
JP2007228720A (ja) * 2006-02-23 2007-09-06 Mitsubishi Electric Corp コア
JP2007306636A (ja) * 2006-05-08 2007-11-22 Kokusan Denki Co Ltd インナーロータ型回転電機用固定子
US20070261231A1 (en) * 2006-05-09 2007-11-15 Spang & Company Methods of manufacturing and assembling electromagnetic assemblies and core segments that form the same
US20070262839A1 (en) * 2006-05-09 2007-11-15 Spang & Company Electromagnetic assemblies, core segments that form the same, and their methods of manufacture
KR101275210B1 (ko) * 2006-06-16 2013-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와인딩 타입 스테이터 코어를 갖는 스테이터 및 이를포함한 세탁장치
TW200816601A (en) * 2006-09-29 2008-04-01 Sunonwealth Electr Mach Ind Co Motor structure
JP5258190B2 (ja) * 2006-12-01 2013-08-07 オリエンタルモーター株式会社 ステッピングモータの積層鉄心構造
JP2008206262A (ja) * 2007-02-19 2008-09-04 Mitsui High Tec Inc 積層鉄心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1682219B (zh) * 2007-05-09 2012-07-25 株式会社三井高科技 叠层铁芯及其制造方法
JP2009044880A (ja) * 2007-08-09 2009-02-26 Jtekt Corp モータ及び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DE102007043443B4 (de) * 2007-09-12 2009-06-10 Siemens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gewölbten Spule und zugehörige Wickelplatte
JP4637159B2 (ja) * 2007-11-12 2011-02-2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ステータコア
JP5020034B2 (ja) * 2007-11-22 2012-09-05 三菱電機株式会社 回転電機
JP5171224B2 (ja) * 2007-11-22 2013-03-27 三菱電機株式会社 回転電機
TWI405386B (zh) 2007-12-28 2013-08-11 Mitsubishi Electric Corp 旋轉電機
CN201153223Y (zh) 2008-02-02 2008-11-19 中山大洋电机股份有限公司 一种电机的条型定子铁芯结构
JP5432643B2 (ja) * 2008-09-17 2014-03-0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回転電機のステータおよびその巻線方法
JP5292134B2 (ja) * 2009-03-11 2013-09-1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ステータおよびモータ
JP2010220288A (ja) 2009-03-13 2010-09-30 Mabuchi Motor Co Ltd コアブロック及び該コアブロックを用いたモータ用の磁極コア
JP5390915B2 (ja) * 2009-04-10 2014-01-15 三菱電機株式会社 回転電機用固定子の製造方法
WO2010125594A1 (en) * 2009-04-29 2010-11-04 Ernesto Malvestiti S.P.A. Process and mold for producing ferromagnetic cores of electric motors
JP5278238B2 (ja) * 2009-08-07 2013-09-04 三菱電機株式会社 回転電機
GB2475732B (en) * 2009-11-27 2013-05-29 Protean Electric Ltd Coil tooth assembly
JP4991885B2 (ja) * 2010-01-08 2012-08-01 株式会社三井ハイテック 積層鉄心の製造方法
JP2010166810A (ja) * 2010-03-26 2010-07-29 Mitsubishi Electric Corp 回転電機の固定子
CN102823112B (zh) * 2010-04-08 2015-07-29 三菱电机株式会社 旋转电机的层叠铁心
DE102011011809A1 (de) 2010-05-18 2011-11-24 Aumann Gmbh Polkette
US8400041B2 (en) 2010-05-28 2013-03-19 Nidec Motor Corporation Segmented stator assemblies having end caps
JP5459110B2 (ja) * 2010-06-30 2014-04-02 株式会社デンソー 回転電機の固定子
DE102010036828A1 (de) 2010-08-04 2012-02-09 Friedrich Waltermann Stator für elektrische Maschine mit überlappenden U-förmigen Kernblechen
US8786158B2 (en) 2010-08-19 2014-07-22 L. H. Carbide Corporation Continuously formed annular laminated article and method for its manufacture
JP2010263786A (ja) * 2010-08-23 2010-11-18 Mitsubishi Electric Corp 回転電機の製造方法
JP5192531B2 (ja) 2010-10-29 2013-05-08 三菱電機株式会社 内燃機関用点火コイル
CN103563225B (zh) * 2011-05-26 2017-02-22 三菱电机株式会社 永磁体型电动机
JP5660993B2 (ja) * 2011-08-04 2015-01-28 三菱電機株式会社 積層鉄心
US20130057104A1 (en) * 2011-09-02 2013-03-07 Steven Stretz Permanent magnet motors and methods of assembling the same
US20130057107A1 (en) * 2011-09-02 2013-03-07 Steven Stretz Permanent magnet motors and methods of assembling the same
US9099897B2 (en) * 2011-09-13 2015-08-04 L.H. Carbide Corporation Method for connecting end sections of an annular laminated article and articles made therefrom
CN103023165B (zh) * 2011-09-21 2017-10-31 德昌电机(深圳)有限公司 电机定子铁芯结构及定子形成方法
CN103703655A (zh) * 2011-10-06 2014-04-02 三菱电机株式会社 层叠铁心的制造方法以及使用该方法制造的层叠铁心
JPWO2013051125A1 (ja) * 2011-10-06 2015-03-30 三菱電機株式会社 積層鉄心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により製造された積層鉄心
JP5738167B2 (ja) * 2011-12-22 2015-06-17 三菱電機株式会社 積層鉄心
JP5324673B2 (ja) 2012-01-20 2013-10-23 ファナック株式会社 分割式コアを有する電動機の回転子及びその製造方法
US8928337B2 (en) * 2012-01-27 2015-01-06 Schweitzer Engineering Laboratories, Inc. Device for measuring electrical curr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03580305A (zh) * 2012-08-10 2014-02-12 德昌电机(深圳)有限公司 电机芯片、芯片组件及电机
JP6180719B2 (ja) * 2012-09-28 2017-08-16 アスモ株式会社 回転電機
JP5542895B2 (ja) * 2012-10-29 2014-07-09 三菱電機株式会社 積層構造体
JP5340471B2 (ja) * 2012-10-29 2013-11-13 三菱電機株式会社 積層構造体
DE102013204759A1 (de) * 2013-03-19 2014-09-25 Robert Bosch Gmbh Zahnsegment zum Zusammenbau eines Stators oder Rotors einer elektrischen Maschine und Verfahren für die Herstellung einer solchen
JP5645998B2 (ja) * 2013-04-24 2014-12-24 三菱電機株式会社 回転電機用固定子の製造方法
JP5988915B2 (ja) * 2013-05-21 2016-09-07 三菱電機株式会社 回転電機の積層鉄心および回転電機の積層鉄心の製造方法およびステータおよび回転電機
JP6022053B2 (ja) 2013-05-28 2016-11-09 三菱電機株式会社 回転電機の鉄心
JP6091341B2 (ja) * 2013-06-03 2017-03-08 三菱電機株式会社 分割電機子鉄心の製造装置及び電機子の製造方法並びに回転電機の製造方法
CN106134038B (zh) * 2014-03-26 2019-06-07 三菱电机株式会社 旋转电机的电枢铁芯以及旋转电机
US10128700B2 (en) 2014-04-16 2018-11-13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Rotary electric machine armature core
CN103887901A (zh) * 2014-04-17 2014-06-25 林子进 一种利用取向硅钢片制作的高效率电机定子
JP6495092B2 (ja) * 2015-05-07 2019-04-03 株式会社三井ハイテック 分割型積層鉄心及びその製造方法
DE102016109768A1 (de) * 2015-05-27 2016-12-01 Johnson Electric S.A. Magnetkern für einen Elektromotor
JP6045638B2 (ja) * 2015-05-29 2016-12-14 三菱電機株式会社 積層鉄心の製造方法
JP6284908B2 (ja) * 2015-06-30 2018-02-28 ミネベアミツミ株式会社 ステータ及びそれを用いたレゾルバ
CN106571727A (zh) * 2015-10-12 2017-04-19 德昌电机(深圳)有限公司 一种两相步进电机
JP6161738B2 (ja) * 2016-01-14 2017-07-12 三菱電機株式会社 回転電機の鉄心の製造方法
JP6774187B2 (ja) * 2016-02-16 2020-10-21 株式会社三井ハイテック 積層鉄心の製造方法及び積層鉄心の製造装置
JP6778497B2 (ja) * 2016-03-22 2020-11-04 株式会社三井ハイテック 積層鉄心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CN107484437B (zh) * 2016-04-07 2019-08-06 三菱电机株式会社 定子及电动机
JP6042012B1 (ja) * 2016-04-28 2016-12-14 山洋電気株式会社 モータ
WO2017195249A1 (ja) * 2016-05-09 2017-11-16 三菱電機株式会社 固定子鉄心、及びその固定子鉄心を備えた電動機
DE112017004407T5 (de) * 2016-09-02 2019-05-16 Nidec Corporation Stator, statorherstellungsverfahren und motor
CN109565194B (zh) 2016-09-02 2021-03-09 日本电产株式会社 定子、定子的制造方法及马达
JP7006603B2 (ja) * 2016-09-02 2022-01-24 日本電産株式会社 ステータ、ステータの製造方法及びモータ
GB201706438D0 (en) * 2017-04-24 2017-06-07 Rolls Royce Plc Electrical machine apparatus
FR3069114B1 (fr) * 2017-07-12 2020-01-24 Valeo Equipements Electriques Moteur Machine electrique tournante munie d'un stator segmente a configuration amelioree
JP6972138B2 (ja) * 2017-08-25 2021-11-24 三菱電機株式会社 分割コア連結体および電機子の製造方法
FR3072517B1 (fr) * 2017-10-17 2020-12-18 Moving Magnet Tech Machine electrique toroidale polyphasee
CN111247714B (zh) * 2017-11-01 2022-03-22 三菱电机株式会社 旋转电机的电枢铁芯、铁芯块连结体以及旋转电机的电枢铁芯的制造方法
CN111264016B (zh) * 2017-11-01 2022-03-18 三菱电机株式会社 铁芯块连结体以及旋转电机的电枢铁芯的制造方法
CN111279584B (zh) * 2017-11-02 2023-08-25 三菱电机株式会社 旋转电机的电枢铁芯以及旋转电机的电枢铁芯的制造方法
CN112119569B (zh) * 2018-05-22 2023-04-28 三菱电机株式会社 旋转电机的层叠铁芯及旋转电机
JP7032246B2 (ja) * 2018-06-19 2022-03-08 株式会社神戸製鋼所 電動機の製造方法
JP6826566B2 (ja) * 2018-08-06 2021-02-0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回転電機用ステータコアおよび回転電機
EP3614529A1 (de) 2018-08-23 2020-02-26 Siemens Aktiengesellschaft Einzelzahnsegment
US20200076258A1 (en) * 2018-08-31 2020-03-05 Sten R. Gerfast Linear series of open jaw coil winding slots
CN109510333B (zh) * 2018-11-22 2023-08-25 宫炜智 一种新式组装定子
EA202192064A1 (ru) * 2018-12-17 2021-11-24 Ниппон Стил Корпорейшн Шихтованный сердечник и электродвигатель
DE102019113785A1 (de) * 2019-05-23 2020-11-26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Stator einer elektrischen Maschine
US20220352767A1 (en) 2019-08-20 2022-11-03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Stator and rotating electrical machine,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m
DE102019124517A1 (de) * 2019-09-12 2021-03-18 Walter Notar Statorelement und Stator für eine elektrische Maschine
KR102763597B1 (ko) * 2019-10-10 2025-02-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모터
DE102020204576A1 (de) 2020-04-09 2021-10-14 Robert Bosch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Lamellenpaket für eine elektrische Maschine, sowie eine elektrische Maschine aufweisend ein Lamellenpaket,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Statorgrundkörpers
CN111864929A (zh) * 2020-07-24 2020-10-30 珠海格力节能环保制冷技术研究中心有限公司 组合式定子铁芯、电机、压缩机、空调器
EP4264796A1 (en) 2020-12-21 2023-10-25 Pierburg Pump Technology GmbH Motor stator for an electric mo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motor stator
DE102021109652A1 (de) 2021-04-16 2022-10-20 Ebm-Papst Mulfingen Gmbh & Co. Kg Stator
JP7570508B2 (ja) * 2021-05-24 2024-10-21 三菱電機株式会社 インシュレーター、ステーター、回転電機、ステーターの製造方法、および回転電機の製造方法
US11617269B2 (en) 2021-07-20 2023-03-28 Schweitzer Engineering Laboratories, Inc. Current measuring device for an electric power protection system
CN216981644U (zh) 2021-08-25 2022-07-15 米沃奇电动工具公司 电动机和包括电动机的电动工具
DE102022204361A1 (de) * 2022-05-03 2023-11-09 Mahle International Gmbh Rotor für eine fremderregte elektrische Synchronmaschine
CN119768997A (zh) * 2022-12-05 2025-04-04 株式会社村田制作所 磁芯、旋转电气机械和无刷马达
CN119768994A (zh) * 2022-12-05 2025-04-04 株式会社村田制作所 磁芯、定子组件、旋转电气机械和无刷马达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25947U (ko) * 1979-08-03 1981-03-10
KR830004695A (ko) * 1980-10-21 1983-07-16 사바 쇼이찌 고정자철심
JPH06245439A (ja) * 1993-02-19 1994-09-02 Mitsui High Tec Inc 積層鉄心の製造方法
KR950015754U (ko) * 1993-11-27 1995-06-19 회전기의 스테이터
JPH07222383A (ja) * 1994-01-28 1995-08-18 Tamagawa Seiki Co Ltd ステータ及び分割積層コアの製造方法
KR950034977A (ko) * 1994-05-24 1995-12-28 석진철 동기형 모터의 스테이터 및 그 조립방법
JPH08275468A (ja) * 1995-03-30 1996-10-18 Toshiba Corp 電気機器の鉄心およびその組立法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62760C (ko) *
US4048605A (en) * 1976-04-05 1977-09-13 Sangamo Electric Company Split core current transformer having an interleaved joint and hinge structure
JPS547421A (en) 1977-06-17 1979-01-20 Kobe Steel Ltd Production of converter slag for cement
JPS5678358A (en) 1979-11-29 1981-06-27 Fujitsu Ltd Manufacture of stator for electrical machine
JPS6295947A (ja) 1985-10-22 1987-05-02 Fanuc Ltd 電動機用固定子の製造方法
JPH0378447A (ja) 1989-08-17 1991-04-03 Toshiba Corp 直線形電動機の固定子鉄心
JP2888142B2 (ja) 1993-11-08 1999-05-10 三菱電機株式会社 回転電動機並びにその製造方法
US5382859A (en) * 1992-09-01 1995-01-17 Unique Mobility Stator and method of constructing same for high power density electric motors and generators
JP3430521B2 (ja) * 1992-09-24 2003-07-2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回転電機の固定子
US5239221A (en) * 1992-10-02 1993-08-24 Juan Hsiu Ching Combined stator for a carbon brush motor
JP3355700B2 (ja) * 1993-06-14 2002-12-0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回転電機の固定子
JP3078447B2 (ja) 1994-03-30 2000-08-21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処理装置
JPH07194072A (ja) 1993-12-27 1995-07-28 Mitsui High Tec Inc 積層鉄心及びその製造方法
JP3450457B2 (ja) 1994-09-09 2003-09-22 ペンタックス株式会社 走査光検出センサ
JP3302523B2 (ja) 1994-12-28 2002-07-15 株式会社三井ハイテック 固定子積層鉄心及びその製造方法
JPH0946979A (ja) 1995-07-28 1997-02-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Acサーボモータの固定子
JPH09117112A (ja) 1995-10-13 1997-05-02 Tamagawa Seiki Co Ltd 回転電機用積層鉄心の製造方法
GB2310545B (en) * 1996-02-22 2000-04-19 Honda Motor Co Ltd Stator core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assembling same
GB2312332A (en) * 1996-04-16 1997-10-22 Tai Her Yang Magnetic circuit structure for an electric machine
JPH09308143A (ja) 1996-05-08 1997-11-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回転電機のコア素材およびコアの製造方法
JP3568364B2 (ja) 1996-09-30 2004-09-2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回転電機のコア
JP3782531B2 (ja) 1996-12-18 2006-06-07 日本電産シバウラ株式会社 モータの固定子およびモータフレーム
JP3782533B2 (ja) 1997-01-08 2006-06-07 日本電産シバウラ株式会社 モータの固定子およびモータフレーム
US5986377A (en) * 1997-04-11 1999-11-16 Kabushiki Kaisha Toshiba Stator for dynamoelectric machine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25947U (ko) * 1979-08-03 1981-03-10
KR830004695A (ko) * 1980-10-21 1983-07-16 사바 쇼이찌 고정자철심
JPH06245439A (ja) * 1993-02-19 1994-09-02 Mitsui High Tec Inc 積層鉄心の製造方法
KR950015754U (ko) * 1993-11-27 1995-06-19 회전기의 스테이터
JPH07222383A (ja) * 1994-01-28 1995-08-18 Tamagawa Seiki Co Ltd ステータ及び分割積層コアの製造方法
KR950034977A (ko) * 1994-05-24 1995-12-28 석진철 동기형 모터의 스테이터 및 그 조립방법
JPH08275468A (ja) * 1995-03-30 1996-10-18 Toshiba Corp 電気機器の鉄心およびその組立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8159B1 (ko) 2004-04-19 2011-10-28 가부시키가이샤 하모닉 드라이브 시스템즈 분할코어식 모터 스테이터 및 그 조립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538548B2 (en) 2003-03-25
US20020075121A1 (en) 2002-06-20
KR20000006569A (ko) 2000-01-25
MY127534A (en) 2006-12-29
KR100359706B1 (ko) 2002-11-11
KR20020061184A (ko) 2002-07-23
DE69936824D1 (de) 2007-09-27
DE69936824T2 (de) 2008-05-08
US6369687B1 (en) 2002-04-09
EP0969581A3 (en) 2003-02-05
JP2000201458A (ja) 2000-07-18
JP3279279B2 (ja) 2002-04-30
TW454372B (en) 2001-09-11
EP0969581B1 (en) 2007-08-15
EP0969581A2 (en) 2000-01-05
KR20020062265A (ko) 2002-07-25
HK1024571A1 (en) 2000-10-13
KR100386314B1 (ko) 2003-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59704B1 (ko) 철심장치
US7960889B2 (en) Split cor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and stator core
US7199492B2 (en) Armature of linear motor
KR101679470B1 (ko) 모터의 적층 코어 및 제조 방법
JPH07222383A (ja) ステータ及び分割積層コアの製造方法
JP2018121469A (ja) 積層鉄心の製造方法
JP2010166664A (ja) 積層コア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治具
JP2006288096A (ja) 固定子鉄心とその製造方法
JP2007221927A (ja) 回転電機の固定子鉄心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439658B2 (ja) 鉄 心
US20050264123A1 (en) Stator of rotating electric machin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tator
JP3316762B1 (ja) 鉄心装置の製造方法
JP2000116074A (ja) コア部材の積層金型装置および積層方法
JP2003052138A (ja) 積層ヨーク鉄心の製造方法
JP2012243902A (ja) エッジワイズコイル及びエッジワイズコイルの製造方法。
KR20040047320A (ko) 리니어 모터용 스테이터 조립 구조 및 그 제작 방법
JP4102797B2 (ja) 電機子コア、リニアモータ及びそれらの製造方法
JP2001006957A (ja) 鉄心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3304655A (ja) 回転電機のステータ鉄心構造
JP4129226B2 (ja) 鉄心の製造方法
JP2019110243A (ja) 静止誘導機器、積層鉄心、及び鉄心構造
HK1024571B (en) Iron core assembly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S60214516A (ja) 巻鉄心の製造方法
WO2017082138A1 (ja) 鉄心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5340463A (ja) 変圧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906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109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2040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1092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20705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020705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2040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020917

Appeal identifier: 2002101002646

Request date: 20020705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20705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20705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11126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B701 Decision to grant
PB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date: 20020917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B07012S01D

Patent event date: 20020822

Comment tex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7011S01I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10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210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10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10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101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01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00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02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92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2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00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00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7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007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7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917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921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920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1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004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EXPY Expiration of term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191231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