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352415B1 -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2415B1
KR100352415B1 KR1020010000492A KR20010000492A KR100352415B1 KR 100352415 B1 KR100352415 B1 KR 100352415B1 KR 1020010000492 A KR1020010000492 A KR 1020010000492A KR 20010000492 A KR20010000492 A KR 20010000492A KR 100352415 B1 KR100352415 B1 KR 1003524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eloper
frame
main assembly
image forming
forming apparatu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0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00760A (ko
Inventor
아리미쯔다께시
요꼬모리간지
니따니스스무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1007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07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24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2415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39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 G03G21/1842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guiding and mounting the process cartridge, positioning, alignment, locks
    • G03G21/1853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guiding and mounting the process cartridge, positioning, alignment, locks the process cartridge being mounted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the photosensitive memb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39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 G03G21/1857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transmitting mechanical drive power to the process cartridge, drive mechanisms, gears, couplings, braking mechanisms
    • G03G21/186Axial coupling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the cleaning uni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Discharging, Photosensitive Material Shape In Electrophotography (AREA)
  • Gear Transmis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 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관한 것이다.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제1 프레임과, 제1 프레임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2 프레임과, 제1 프레임에 제공된 전자 사진 감광 드럼과, 감광 드럼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제로 현상하도록 제2 프레임에 제공된 현상 부재와, 감광 드럼 상에 잔류하는 현상제를 제거하도록 제1 프레임에 제공된 세척 부재와, 세척 부재에 의해 제거된 현상제를 수송하도록 제1 프레임에 제공된 피제거 현상제 이송 부재와,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된 때 감광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로부터 수용하도록 제1 프레임에 제공된 드럼 구동력 수용 부재와,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된 때 현상 부재를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로부터 수용하도록 제2 프레임에 제공된 현상 구동력 수용 부재와, 피제거 현상제 이송 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현상 구동력에 의해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로부터 수용된 구동력을 피제거 현상제 이송 부재로 전달하도록 제2 프레임에 제공된 구동력 전달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제거 가능하게 설치 가능하고 기록 매체 상에 화상을 형성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기에서,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방법을 이용하여 기록 매체 상에 화상을 형성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예로서 전자 사진 복사기, 전자 사진 프린터(일예로, 레이저 비임 프린터, LED 프린터등), 팩시밀리 장치 및 워드 프로세서등이 포함될 수 있다.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화상 형성 장치의 주조립체 내에 제거 가능하게 설치 가능하고 하나의 또는 다수의 프로세싱 수단 및 전자 사진 감광 드럼이 일체로 배치되어 있는 카트리지를 의미한다. 더 구체적으로,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화상 형성 장치의 주조립체 내에 제거 가능하게 설치 가능하고, 대전 수단, 현상 수단이나 세척 수단 및 전자 사진 감광 부재가 일체로 배치되어 있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화상 형성 장치의 주조립체 내에 제거 가능하게 설치 가능하고, 대전 수단, 현상 수단 및 세척 수단 중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수단 및 전자 사진 감광 드럼이 일체로 배치되어 있는 카트리지; 또는 화상 형성 장치의 주조립체 내에 제거 가능하게설치 가능하고, 전술된 프로세싱 수단 중 적어도 현상 수단 및 전자 사진 감광 부재가 일체로 배치되어 있는 카트리지를 의미한다.
통상적으로, 전자 사진 화상 형성 프로세스를 채용한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시스템을 채용하고, 그에 따라 전자 사진 감광 부재와, 전자 사진 감광 부재 상에서 작용하는 하나의 또는 다수의 전술된 프로세싱 수단은 화상 형성 장치의 주조립체 내에 제거 가능하게 설치 가능한 카트리지 내에 일체로 배치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 시스템에 따라, 화상 형성 장치는 서비스맨에 의지하지 않고도 사용자 스스로에 의해 유지 보수될 수 있어, 작동 효율을 현저히 향상시키게 된다. 따라서, 프로세스 카트리지 시스템은 화상 형성 장치의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이용된다.
도16 및 도17을 참고로 하여, 전술된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관한 종래의 기술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종래의 프로세스 카트리지(200)는 세척 유닛(201), 현상 유닛(202) 및 현상제 수용 유닛(203)을 포함한다. 세척 유닛(201)은 감광 드럼(204), 대전 롤러(205), 세척 블레이드(206) 및 피제거 현상제 이송 부재(207)등을 보유한다. 현상 유닛(202) 및 현상제 수용 유닛(203)은 서로 고정되고, 현상 롤러(209), 현상 블레이드(210), 현상제 이송 부재(211) 및 교반 부재(212)등을 공동으로 보유한다.
감광 드럼(204)은 화상 형성 장치의 주조립체측 상에 마련된 드럼 구동력 입력부로부터 구동 기어(213)의 축선이 감광 드럼(4)의 축선에 정렬되도록 배치된 구동 기어(213)로 전달된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한편, 현상 롤러(209)는 구동 기어(214)로부터 구동력을 수용하는 구동 기어(213)로부터 구동력을 수용할 때 회전한다. 또한, 구동력은 아이들러 기어(215a, 215b)의 wa에 의해 구동 기어(214)로부터 구동력을 수용하는 현상제 교반 부재 구동 기어(216)에 의해 현상제 수용 유닛(203) 내의 교반 부재(212)로 전달된다. 현상 유닛(202) 내의 현상제 이송 부재(211)는 구동력이 아이들러 기어(217)에 의해 현상제 교반 부재 구동 기어(216)로부터 전달되는 현상제 이송 부재 구동 기어(218)에 의해 구동력이 전달될 때 회전한다. 피제거 현상제 이송 부재(207)는 구동력이 아이들러 기어(219)에 의해 피제거 현상제 이송 부재 구동 기어(220)에 투입될 때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카트리지 교환 간격, 즉 전술된 것과 같은 종래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서비스 수명을 증가시키기 위해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현상제 용량을 증가시키는 경향이 있다. 그 결과, 제거된 토너의 양은 증가되었고,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피제거 현상제 저장부의 용량을 증가시킬 필요가 있게 된다.
피제거 현상제의 양의 증가로 인해, 피제거 현상제 이송 부재에 가해지는 하중은 반드시 증가하게 된다. 한편, 화상 형성 장치의 전체 크기를 줄이기 위해,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크기는 축소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주목적은 피제거 현상제 저장부 내의 피제거 현상제를 효율적으로 저장할 수 있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그러한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제거 가능하게 설치 가능한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피제거 현상제의 양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서비스 수명의 증가에 기인한 그 피제거 현상제 저장부 내의 피제거 현상제를 효과적으로 저장함으로써 그 크기가 실현되는 소형의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피제거 현상제를 이송하기 위한 피제거 현상제 이송 부재 상에 배치된 하중 양의 증가가 감광 드럼의 회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와, 그러한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제거 가능하게 설치 가능한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 내에 제거가능하게 설치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는 제1 프레임부와, 제1 프레임부에 피벗 회전가능하게 부착된 제2 프레임부와, 제1 프레임부에 위치된 전자 사진 감광 드럼과, 현상제의 사용으로 감광 드럼 상에 형성된 정전 잔상을 현상하기 위해 제2 프레임부에 위치된 현상 부재와, 감광 드럼 상에 잔류하는 현상제를 제거하기 위해 제1 프레임부 내에 위치된 세척 부재와, 세척 부재에 의해 피제거 현상제를 이송하기 위해 제1 프레임부 내에 위치된 피제거 현상제 이송 부재와,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 주 조립체 내에 놓여져 있을 때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로부터 감광 드럼을 회전구동시키기 위한 힘을 수용하기 위해 제1 프레임부 내에 위치된 드럼 구동력 전달 부재와,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 주 조립체 내에 놓여져 있을 때 장치 주 조립체로부터 현상 부재를 회전 구동하기 위한 힘을 수용하기 위해 제2 프레임부 내에 위치되는 현상 부재 구동력 전달 부재와, 피제거 현상제 이송 부재를 회전시키고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기 위해 장치 주 조립체로부터 현상 부재 구동력 전달 부재에 의해 수용된 힘을 피제거 현상제 이송 부재에 전달시키기 위해 제2 프레임부 내에 위치된 구동력 전달 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 및 또 다른 목적, 특성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과 결부시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보다 명백해질 것 이다.
도1은 제1 실시예의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일반적인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일반적인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3은 프로세스 카트리지 내의 구동력 전달 기구를 도시한 도면.
도4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외부도.
도5는 장치 주 조립체 내부에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설치하기 위한 공정을 도시한 도면.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도시한 도면.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의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일반적인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의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9는 부분적으로 분리된 상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사시도.
도10은 피제거 현상제 저장부 및 구동력 전달 기구가 부분적으로 제거된,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위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11은 제1 프레임부 및 제2 프레임부의 결합 방식을 도시한 도면.
도12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측면 상에 드럼 구동력 전달 부재, 및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 측면 상에 드럼 구동력 전달 부재를 도시한 도면
도13은 현상 유닛의 구동력 전달 기구의 접속 부재를 도시한 도면.
도14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구동력 전달 기구를 도시한 도면.
도15는 제1 프레임부가 피벗 회전될 때 구동력 전달 기구의 반동을 도시한 도면.
도16은 종래의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도시한 도면.
도17은 종래의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프로세스 카트리지
2: 현상 스테이션
3: 현상제 용기
4: 세척 스테이션
6: 감광 드럼
7: 대전 롤러
10: 현상 롤러
15: 세척 블레이드
41: 드럼 유닛
42: 현상 유닛
64, 67: 헬리컬 기어
실시예1
먼저, 본 실시예의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어질 것이다. 도1은 본 실시예의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일반적인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2는 본 실시예 내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3은 본 실시예의 구동력 전달 기구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4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외부도이다. 도5는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 내에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설치하기 위한 공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대한 다음의 기술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폭 방향"은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 주 조립체 내에 설치되고 이로부터 제거되는 방향을 나타내는 반면에,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길이 방향"은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 주 조립체에 내에 설치되고 이로부터 제거되는 방향에 수직(대략 수직)인 방향을 의미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상부면"은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 주 조립체 내에 있을 때 상부로 향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표면을 의미하는 반면에,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저면"은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 주 조립체 내에 있을 때 아래로 향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표면을 의미한다.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도1에 도시된 화상 형성 장치(101)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방법을 이용하는 레이저 빔 프린터이다. 먼저, 기록 매체(P)(기록 용지, OHP 시트 등)의 시트를 운반하는 운반 수단의 구성이 설명된다. 복수의 기록 매체(P)는 카세트(102)의 층들 내에 배치된다. 기록 매체(P)의 상부 시트의 선단 모서리부는 한 쌍의 시트 공급 스프링(103)에 의해 발생된 압력 하에서 시트 공급판(104)에 의해 시트 공급 롤러(105)의 외주면과 접촉된다. 카세트(102)는 도1에서 장치 주 조립체로부터 후방으로 당겨질 수 있고 사용자는 복수의 기록 매체(P)를 카세트(102) 내에 배치할 수 있다. 카세트(102)는 장치 주 조립체로부터 당겨질 때, 한 쌍의 축(103a)은 상방으로 미끄러지고 카세트(102a)의 측벽 내의 한 쌍의 홈들에 의해 안내된다. 결과적으로, 시트 공급 판(104)은 카세트(102)의 하부로 하향 경사지고 기록 매체(P)가 카세트(102)로 원활하게 적재될 수 있게 한다.
공급 롤러(105)는 축(105a)에 고정된다. 공급 롤러(105)의 회전 구동을 조절하기 위해서 축(105a)에는 클러치 및 솔레노이드 스위치(도시안됨)가 제공되고 클러치 및 솔레노이드는 축(105a)의 종방향 단부들 중 하나에 부착된다. 공급 롤러(105)에 대해서 기록 매체(P)의 선단 모서리 측면 상에는, 기록 매체(P)가 운반되는 방향으로 분리 클로(106)가 위치한다. 또한, 분리 클로(106)에 대해서 기록 매체(P)의 선단 모서리 측면에는 스프링(도시안됨)의 압력에 의해 선회 이동 가능한 분리 클로(106)에 밀접하게 카세트 진입 가이드(107)가 위치한다. 또한, 장치 주 조립체의 기부(108)에는 기록 매체(P)를 정합 롤러(113)에 안내하도록 카세트(102)의 측벽에 평행하게 연장된 한 쌍의 가이드부(109)가 제공된다.
솔레노이드 스위치(도시안됨)가 시트 공급 개시 신호에 의해 동작될 때, 클러치를 통해 축(105a)으로 구동력이 전달된다. 따라서, 기록 매체(P)를 카세트 입구 가이드(107)로 안내하도록 공급 롤러(105)가 회전된다. 그 다음에, 상부 기록 매체(P)만이 마찰 계수로 인해 카세트(102)로부터 인출된다. 그 다음에, 공급 롤러(105)의 회전은 기록 매체(P)의 선단 모서리가 정합 롤러(113)의 닙부에 도달하게 하고, 그 닙부로부터 기록 매체(P)는 다음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감광 드럼(6) 상의 현상 화상의 선단 모서리와 동조하여 정합 롤러(113)에 의해 감광 드럼(6)과 전사 롤러(12) 사이의 경계면으로 운반되어 전방으로 방면된다.
그 이후에, 다음에 설명되는 화상 형성 공정을 통해 감광 드럼(6) 상에 형성된 현상 화상은 소정량의 압력에 의해 감광 드럼(6) 상에 가압된 전사 롤러(12)에 의해 기록 매체(P) 상에 전사된다.
현상 화상을 기록 매체(P) 상에 전사한 후에, 기록 매체(P)는 고정 수단 입구 가이드(114)에 의해 고정 수단(116)으로 안내된다. 기록 매체(P)가 고정 롤러(117) 및 압력 롤러(118) 사이의 닙을 통과할 때, 현상 화상은 기록 매체(P)의 표면에 고정된다. 그 다음에, 기록 매체(P)는 방출 롤러(120)에 의해 장치 주 조립체로부터 방출되고 시트 이송 개구(121)에 인접한 이송 트레이(122) 내에 축적된다.
다음으로, 화상 형성 스테이션의 레이저 기초 광학 시스템인 스캐너 유닛(124)의 구성이 설명된다. 레이저 광의 빔(L)은 감광 드럼(6)의 발생선에 평행한 방향으로 감광 드럼(6)의 외주면을 스캐닝하는 방식으로 다각 미러(126)의 회전 구동에 의해 이동된다. 이러한 레이저 빔(L)의 스캐닝 운동 중에, 스캐닝 유닛(124)의 레이저는 감광 드럼(6)의 조사점의 전위 레벨을 소정 레벨로 변화시키기 위해 동작 및 비동작된다. 따라서, 감광 드럼(6) 상에 정전 잠상이 형성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
다음으로, 도2를 참조하면, 카트리지(1)의 구성이 설명된다. 이 실시예에서 카트리지(1)는 감광 드럼(6)과, 화상 형성(주 전하)을 위해 감광 드럼(6)을 대전시키는 대전 롤러와, 감광 드럼(6)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 스테이션(2)과, 현상제를 보유하기 위한 현상제 용기(3)와, 화상 전사 후에 감광 드럼(6)의 외주면에 잔류한 현상제를 회수하는 세척 스테이션(4)과, 제거 및 회수된 현상제를 저장하는 제거 현상제 저장부 등을 포함한다. 현상 스테이션(2) 및 현상제 용기(3)는 현상 유닛의 2개의 일체부로 구성된다.
이 실시예에서 화상 형성 장치에 의해 이용되는 화상 형성 방법은 공지된 전자 사진 공정들 중 하나이다. 이 실시예에서 카트리지(1)의 구성은 전자 사진 공정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대전 롤러(7)는 노출 지점, 즉 감광 드럼(6)의 외주면이 레이저 빔(L)에 노출된 지점의 상류측에서 감광 드럼(6)의 외주면에 인접하여 위치한다. 대전 롤러(7)는 소정의 압력에 의해 감광 드럼(6) 상에 가압된 반도체 탄성 부재이고 감광 드럼(6)의 회전을 따른다. 대전 롤러(7)에 바이어스가 인가될 때,감광 드럼(6)의 외주면은 일정하게 대전된다. 이 때, 전술된 바와 같이, 감광 드럼(6)의 외주면은 레이저 빔(L)에 의해 스캐닝되고, 그 결과 감광 드럼(6)의 외주면 상에 전자 사진 잠상이 형성된다.
한편, 주 전하와 극성에서 동일한 현상제 용기 내의 소정량의 현상제(t)는 교반 부재(8)에 의해 픽업되고 현상제 공급 개구(9)를 통해 현상 스테이션(2) 내로 보내진다. 그 다음에, 현상제(t)는 현상 롤러(10)의 외주면에 부착되고 현상 블레이드(11)에 의해 마찰 대전되면서 박층으로 형성된다. 또한, 현상 롤러(10)에 바이어스가 인가된다. 따라서, 감광 드럼(6)의 외주면 상에 정전 잠상이 반영되는 패턴으로 감광 드럼(6)의 외주면에 현상제(t)가 부착된다.
따라서, 잠상이 현상제 화상 또는 가시 화상으로 현상된다. 그 후, 현상제 화상 또는 가시 화상으로 실현된 화상이 감광 드럼(6) 상에서 상술된 바와 같이 전사 롤러(12)에 의해 기록 매체(P)에 전사된다.
한편, 작은 양의 현상제가 화상 전사 후에도 감광 드럼(6)의 외주 표면에 부착되어 유지된다. 세척 스테이션(4)에는 감광 드럼(6)을 향하는 개구(13)가 제공된다. 개구(13)의 상류측에, 스퀴저 시트(14)가 감광 드럼(6)의 외주 표면의 이동 방향과 일치하는 방식으로 경사져서 감광 드럼(6)과 접하여 위치된다. 개구(13)의 하류측에, 세척 부재로서 세척 블레이드(15)가 감광 드럼(6)의 외주 표면의 이동 방향과 반대되는 방식으로 경사져서 감광 드럼(6)의 외주 표면과 접하여 배치된다. 상기 배치에 의해, 감광 드럼(6) 상의 현상제(t)는 스퀴저 시트(14)와 감광 드럼(6)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우선 미끄러져서, 세척 블레이드(15)에 의해 감광 드럼(6)의 외주 표면으로부터 스크레이핑 분리되어, 그 후, 세척 수단 유지부(16)에 수집된다. 따라서, 세척 블레이드(15)를 바로 통과한 감광 드럼의 외주 표면의 부분은, 현상제(t)를 갖지 않으며 그 후의 감광 드럼(6)의 회전 중 화상 형성 프로세스를 위해 사용된다.
세척 수단 유지부(16) 내에 피제거 현상제 저장부(17)가 있다. 피제거 현상제 저장부(17)는 현상제 용기(3) 위에 대략 동일한 레벨로 위치된다. 회수된 현상제는 피제거 현상제 저장부(17)에 회수된 대로 저장된다. 또한, 세척 수단 유지부(16)에, 피제거 현상제, 즉, 세척 블레이드(15)에 의해 감광 드럼(6)으로부터 스크레이핑 분리된 현상제를 피제거 현상제 저장부(17)로 이송하기 위한 이송 수단(18)이 위치된다. 이송 부재(18)는 종방향으로 세척 수단 유지부(16)의 대체로 전체에 대해 연장된다. 이송 부재(18)는 균형추뿐만 아니라 시트 장착부로서 기능하는 금속 판(19) 및 금속 판(19)에 부착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등으로 된 시트(20)를 포함한다. 상술된 구조에 의해, 제거된 토너(t)는 세척 블레이드(15)에 회수된 후 피제거 현상제 저장부(17)에 저장된다.
다음, 도2 및 도3을 참조하여, 카트리지(1)를 구동하기 위한 방법을 기술하기로 한다. 현상제 롤러(10)에는, 현상제 롤러(10)의 축과 일치하는 회전 축을 가지며 현상제 롤러(10)의 종방향 단부 중 하나에 부착되는 기어(10a)가 제공된다. 교반 부재(8)에는, 기어(10a)와 동일한 측면에 교반 부재(8)에 고정되어 교반 부재(8)와 함께 회전하는 기어(8a)가 제공된다. 또한, 이송 부재(18)에는, 기어(10a, 8a)와 동일한 방식으로 이송 부재(18)에 고정된 기어(18a)가 제공된다.
현상 스테이션(2) 및 현상제 용기(3)를 포함하는 현상 유닛에는, 현상 유닛의 측벽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 기어(21)가 제공된다. 이 기어(21)에는, 장치 주 조립체 측에 제공된 기어(22)(도5)로부터 구동력이 전달된다. 기어(21)에 입력된 구동력은 아이들러 기어(23, 24)에 의해 상술된 기어(10a)에 전달된다. 아이들러 기어(24)는 아이들러 기어(25)를 통해 상술된 기어(8a)에 구동력을 전달한다. 또한, 기어(18a)에는, 상술된 기어(21)로 입력된 구동력이 아이들러 기어(23) 및 아이들러 기어(26)에 의해 전달된다.
상술된 구조 설계에 의해, 현상 롤러(10)에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기어(10a) 및 상술된 이송 부재(18)에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기어(18a)는 서로 인접하여 위치될 수 있어, 기어(18a)가 기어(21)와 기어(10a)와 그 사이의 기어를 포함하는 구동 시스템으로부터 구동력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기어 트레인의 개수는 기어 트레인을 위해 필요한 공간을 축소하도록 감소될 수 있다.
다음, 도4 및 도5를 참조하여, 장치 주 조립체(101) 내로 카트리지(1)의 설치 및 장치 주 조립체로부터 카트리지(1)의 제거에 대해 설명하고, 장치 주 조립체(101)에 대한 카트리지(1)의 위치설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카트리지(1)는 카트리지(1)의 셀부의 핸들(27)을 사용하여 장치 주 조립체(101) 내에 설치되거나 또는 그로부터 제거된다. 사용자는 이 핸들(27)을 파지하여 장치 주 조립체 내의 카트리지 공간 내로 카트리지(1)를 설치한다. 이하의 위치설정 기구 및 안내 기구에 의해, 카트리지(1)는 장치 주 조립체(101) 내로 정확하게 설치되어 그에 대해 위치될 수 있다.
카트리지(1)의 외부 프레임(1a)에는, 카트리지(1)의 위치설정을 위한 플랜지(28)와, 장치 주 조립체(101) 내로 카트리지(1)의 설치 중 안내부로서 기능하여 카트리지(1)의 경사를 방지하는 한 상의 리브(29)가 제공된다. 한편, 장치 주 조립체(102)의 기부(108)에는 카트리지(1)의 경사를 제어하면서 상술된 리브(29)를 안내하는 한 쌍의 안내 슬롯(30)과, 장치 주 조립체에 대해 카트리지(1)의 위치설정을 위한 위치설정부(31)가 제공된다.
또한, 외부 프레임부(10a)에는, 기어(21)의 치 플랭크부가 부분적으로 노출되는 슬롯(32)이 제공된다. 장치 주 조립체(101) 내로 카트리지(1)의 삽입 중, 기어(21)의 치 플랭크의 노출된 부분은 기어(22)를 결합하여, 구동력이 전달되는 것이 가능하게 한다.
감광 드럼(6)의 종단부중 하나는 커플링 수단(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하고, 상기 커플링 수단의 축선은 감광 드럼(6)의 축선과 일치하고, 감광 드럼(6)에 일체로 되며, 장치 주 조립체(101)는 기어(22)와는 상이한 구동력 입력 수단(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한다. 또한, 카트리지(1)를 장치 주 조립체(101)에 삽입하는 동안에는, 플랜지(28)가 위치설정부(31)에 접촉하게 됨으로써, 즉 플랜지(28)가 소정 위치에 도달함으로써, 구동력 입력 수단이 구동력을 감광 드럼에 일체로 된 커플링 수단에 전달한다. 또한, 커플링 수단은 기어형 커플링 또는 조오(jaw)형 커플링으로 될 수 있다.
감광 드럼(6)을 구동시키기 위한 수단과, 현상 롤러(10)를 구동시키기 위한 수단 및 현상 롤러(10)와 교반 부재(8) 및 이송 부재(18)를 구동시키기 위한 기구가 독립적으로 마련되기 때문에, 교반 부재(8) 및/또는 이송 수단(18)의 회전 변동 및 교반 부재(8) 및/또는 이송 수단(18)의 진동이 감광 드럼(6)을 구동시키기 위한 수단에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일은 일어나지 않는다. 따라서, 제거된 현상제의 축적량이 이송 부재(18)에 인가되는 부하의 양을 증가시키더라도, 감광 드럼(6)의 회전이 영향을 받지 않게 된다.
제2 실시예
도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예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부분들중 제1 실시예에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부분들과 동일한 부분들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나타내었으며, 이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 세척 블레이드(15)의 상부 표면으로부터 제거된 현상제를 피제거 현상제 저장부(17)에 이송하기 위한 이송 부재(18)는 제1 실시예에서처럼 세척 수단 내장부(16)에 마련된다.
현상 롤러(10)의 기어(10a) 및 교반 부재(8)의 기어(8a)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방식은 약간의 차이를 제외하고는 제1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다. 즉, 제1 실시예에서 구동력은 기어(21)로부터 아이들러 기어(23, 26)를 거쳐 기어(18a)에 전달되지만, 제2 실시예에서 구동력은 기어(8a)로부터 아이들러 기어(26, 33)를 거쳐 기어(18a)에 전달된다.
앞에서 설명한 구조에서는 기어(18a)가 기어(21)로부터 기어(10a)까지의 기어들을 포함하는 구동 기구로부터의 구동력을 수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3 실시예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7은 이 실시예의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전체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8은 이 실시예의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9는 이 실시예의 부분적으로 분해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사시도이고, 도10은 피제거 현상제 저장부 및 구동력 전달 기구의 벽들을 부분적으로 제거한 상태로 도시한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위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11은 제1 및 제2 프레임부들이 결합된 방식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12는 카트리지측의 구동력 전달부와 장치 주 조립체측의 드럼 구동력 전달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3은 현상 유닛의 구동력 전달 기구의 연결 부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14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측의 구동력 전달 기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5는 제1 프레임부가 피벗될 때 프로세스 카트리지측의 구동력 전달 기구의 반응을 도시한 도면이다.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먼저, 도7을 참조하여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전체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7에 도시된 화상 형성 장치(130)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방법을 이용하는 전색 레이저 비임 프린터이다. 이 화상 형성 장치(130)의 주 조립체(150)에는, 4개의 카트리지 스페이스(150a - 150d)가 마련되고, 이들은 카트리지(40)가 착탈식으로 설치되게 되는 수직 방향으로 정렬되어 있다. 자체의 카트리지 스페이스에 위치된 모든 카트리지(40)는 구조면에서 완전히 동일하지만, 그 안에 저장된 현상제(t)의 색상은 다르다. 특히, 카트리지 스페이스(150a)는 시안 색상의 현상제(t)가 저장되어 있는 카트리지(40a)를 보유하고, 카트리지 스페이스(150b)는 옐로우 색상의 현상제(t)가 저장되어 있는 카트리지(40b)를 보유하고, 카트리지 스페이스(150c)는 마젠타 색상의 현상제(t)가 저장되어 있는 카트리지(40c)를 보유하고, 카트리지 스페이스(150d)는 블랙의 현상제(t)가 저장되어 있는 카트리지(40d)를 보유한다.
화상 형성 장치(130)의 주 조립체(150)에 적절하게 위치된 4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40a - 40d)를 가짐으로써, 4개의 감광 드럼(44a - 44d)이 수직 방향으로 정렬된다. 감광 드럼(44)은 도면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감광 드럼(44a - 44d)의 주연 표면에 인접한 위치에는, 감광 드럼(44a - 44d)의 주연 표면을 균일하게 대전시키기 위한 대전 롤러(45a - 45d)와, 정전 잠상을 현상시키기 위한 현상 유닛(42a - 42d)과, 각각의 감광 드럼(44) 상의 현상제 화상을 기록 매체(P) 상에 전사하기 위한 정전 전사 장치(134)와, 감광 드럼(44a -44d) 상에 잔류하는 현상제를 제거하기 위한 세척 부재(46a - 46d)가 감광 드럼(44a - 44d)의 회전 방향 순서로 대응되게 배치되어 있다.
부호 131a - 131d는 화상 정보에 따라 레이저 비임을 변조시키면서 레이저 비임을 대응 감광 드럼(44a - 44d)의 주연 표면 상에 투사함으로써 대응 감광 드럼(44a - 44d) 상에 정전 잠상을 형성하는 스캐너를 나타낸다.
각각의 카트리지(40)는 감광 드럼(44), 대전 롤러(45), 현상 유닛(42) 및 세척 부재(46)를 일체로 포함한다. 카트리지(40)에 대해서는 나중에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감광 드럼(44)은 예를 들어 30mm의 직경과 알루미늄 실린더의 주연면 상에 피복된 유기체의 공 전도성 재료(OPC계 감광 드럼)의 층을 갖는 알류미늄 실리더를 포함한다. 감광 드럼(44 )은 그 종단부에서 지지 부재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구동력이 구동 모터(도시되지 않음)로부터 감광 드럼(44)의 종단부들 중 하나에 전달됨에 따라, 감광 드럼(44)은 도면에서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된다.
대전 롤러(45)는 탄성 롤러이고 접촉형이다. 즉, 대전 롤러(45)가 감광 드럼(44)의 주연면과 접촉하여 위치되는 상태로 대전 바이어스가 대전 롤러(45)에 인가됨에 따라, 감광 드럼(45)의 주연면은 균일하게 대전된다.
스캐너 유닛(131a - 131d)는 대응하는 감광 드럼(44a - 44d)과 동일한 레벨 주위에 위치 설정된다. 화상 신호로 변조된 광의 빔이 레이저 다이오드(도시되지 않음)로부터 고속 회전되고 있는 다각형 거울(132a - 132d)에 출사된다. 화상 형성 광의 빔, 또는 화상 신호로 변조된 광의 빔은 다각형 거울(132a - 132d)에 의해 반사되어, 집속 렌즈(133a - 133d)를 통해 감광 드럼(44a - 44d)의 주연면에 집속되며, 선택적으로는 감광 드럼(44a - 44d)의 주연면을 노출시킨다. 그 결과, 정전 잠상이 감광 드럼(44a - 44d)의 각각의 주연면 상에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현상 유닛(42)은 옐로우, 마젠타 및 블랙 현상제(t)들 중 하나의 현상제를 내장하고 있다. 현상제는 현상제를 대전시키는 동안 현상 롤러(51), 즉 현상 부재의 주연면 상에 피복된다. 또한, 현상 바이어스는 현상 롤러(51)의 주연면에 잠상이 존재하는 감광 드럼(44)의 주연면에 현미경적으로 근접 및 평행이 되도록 위치 설정된 현상 롤러(51)에 인가된다. 그 결과, 현상제는 정전 잠상의 하부 포텐셜 레벨부에 대응하는 영역을 가로질러 감광 드럼(44)의 주연면 상으로 전달된다. 따라서, 현상제 화상(현상제)이 감광 드럼(44) 상에 형성된다.
무한 벨트(135)가 순환 구동되는 동안 감광 드럼(44a - 44d)의 모두와 접촉하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위치 설정된다. 벨트(135)는 주연부가 대략 700mm이며, 150㎛의 두께를 갖는 막으로 형성된다. 이는 4 개의 롤러, 즉 구동 롤러(136), 종동 롤러(137a, 137b)들, 및 인장 롤러(138)의 주위에서 스트레칭되고, 도면에서 화살표 X로 나타낸 방향으로 순환 구동된다. 기록 매체(P)는 롤러(144)에 의해 벨트(135)의 외향 대면 표면상에 직접적으로 가압되는 상태로 유지되고, 유전체인 기록 매체(P)와 벨트(135)의 유전체 층 사이에 전하를 유도하도록 벨트(135)와 롤러(144) 사이에 전압이 가해진다. 그 결과, 기록 매체(P)는 벨트(135)의 외향 대면 표면에 정전기적으로 부착되어, 기록 매체(P)가 적절히 위치 설정되는 상태를 유지하면서 벨트(135)와 감광 드럼(44) 사이의 경계면(전달부)으로 이송되는 것을 보장한다.
벨트(135)의 루프 내부에, 전사 롤러(139a - 139d)가 벨트(135)와 접촉하는 상태로 소정량의 압력에 의해 감광 드럼(44a - 44d)에 대응하는 지점에 위치 설정된다. 양전하가 벨트(135)를 통해 이들 전사 롤러(139)로부터 기록 매체(P)로 인가된다. 극성이 음인 감광 드럼(44a - 44d)상의 현상제 화상은, 기록 매체(P)가 감광 드럼(44a - 44d)와 접촉하는 상태로 이송되는 동안, 이들 전하들에 의해 발생된 전기장에 의해 차례로 기록 매체(P) 상에 전사된다.
이송부(140)는 기록 매체(P)를 이송하기 위한 부분이다. 시트 반송 카세트(141) 내에, 기록 매체의 복수의 시트들이 저장된다. 화상 형성 작업 동안, 반송 롤러(142)는 화상 작업의 진행과 협동하여 기록 매체의 복수의 시트를 반송하고, 이들을 전방으로 하나씩 이송하도록 회전 구동된다. 기록 매체(P)는 이송되면서, 한쌍의 정합 롤러(143)에 대항하여 충돌하고, 이에 의해 구부려져 있다면 곧게 펴지게 된다. 다음에, 기록 매체(P)는 정합 롤러(143)의 쌍에 의해 벨트(135)의 회전과 동시에, 즉 감광 드럼(44a - 44d) 상의 현상제 화상의 선단 모서리와 동시에 벨트(135)로 해제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정합 롤러(143)의 쌍은 벨트(135) 상의 기록 매체(P)의 기록 영역의 선단 모서리가 감광 드럼(44a)과 벨트(135) 사이의 경계면에 도달하는 것과 동시에, 감광 드럼(44a)의 현상제 화상의 선단 모서리 또는 최상류 감광 드럼이 감광 드럼(44a)과 벨트(135) 사이의 경계면에 도달할 때의 타이밍으로 회전되기 시작한다.
기록 매체(P) 상으로의 현상제 화상의 전사 후에, 기록 매체(P)는 구동 롤러(136)의 곡률에 기인하여 벨트(135)로부터 분리되어, 기록 매체(P) 상의 복수의 현상제 화상이 기록 매체(P)에 고정되는 고정부(145) 속으로 이송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고정부(145)는 가열 롤러(146)와 열 및 압력이 기록 매체(P)에 적절히 인가되는 것을 보장하도록 가열 롤러(146) 상에 가압된 상태로 유지되는 압력 롤러(146)로 이루어진다. 전달된 연상기 화상이 비고정 상태로 유지되는 기록 매체(P)가 고정 스테이션(145)을 관통하면서, 현상제는 열에 의해 용융되고 압력에 의해 기록 매체(P) 상에 완전 칼라 화상으로서 고정된다. 현상제 화상의 고정 작업, 또는 완전 칼라 화상의 형성 작업 후에, 기록 매체(P)는 한쌍의 배출 롤러(148)에 의해 운송 부(149)를 통해 장치 주 조립체의 외부로 배출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
다음에, 도8 내지 도15를 참조하여, 이 실시예의 카트리지 40(40a - 40d)가 설명될 것이다. 이 카트리지(40)는 제1 프레임부에 내장된 드럼 유닛(41)과 제2 프레임부에 내장된 현상 유닛(42)으로 이루어진다. 후술되는 바와 같이, 상기 2개의 유닛은 2개의 유닛들이 한쌍의 핀의 축과 동축을 이루는 피벗식 축(43) 주위에서, 서로에 대해 피벗가능하게 되도록 한쌍의 핀으로 연결된다.
(제1 프레임부)
도8에 도시된 것처럼, 제1 프레임부 내에 폐쇄된 드럼 유닛(41)은 샤프트(44a)를 사용하는 드럼 유닛(41)에 의해 회전식으로 지지된 감광 드럼(44)을 포함한다. 또한, 감광 드럼(44)의 주연면을 균일하게 대전시키기 위해 대전 롤러(45)를 포함하는 드럼 유닛(41), 감광 드럼(44)의 위에 잔류한 현상제를 제거하기 위한 세척 부재(46), 현상제 저장부(52) 사에 위치된 피제거 현상제 저장부(47) 및 제거된 현상 이송 기구(48)는 아래에 설명한다. 또한, 드럼 유닛(41)은 드럼 유닛(41)과 현상 유닛(42)을 연결시키기 위한 한 쌍의 구멍(도9에서 41a)을 갖는다. 상기 구멍(41a)의 중심선은 피벗 축(43)에 일치한다.
부수적으로, 용어 "위(above)"는 카트리지(40)가 장치 주 조립체(150) 내에 적절하게 안착된 상태를 인용하는 데 사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화상 전사 후 감광 드럼(44)의 위에 잔류하는 현상제는세척 부재(46)에 의해 벗겨내어지고, 피제거 현상제는 제거된 이송 기구(48)에 의해 피제거 현상제 저장부(47) 안으로 이송된다.
피제거 현상제 이송 기구(48)는 현상제 전진판(49)에 구비되거나 또는 피제거 현상제 저장부(47)에 의해 회전식으로 지지된 크랭크(50)에 회전식으로 부착된다. 크랭크(50)는 금속 로드의 일편으로 형성되고 5 ㎜의 회전 직경을 갖는다. 크랭크(50)의 회전은 세척 부재(46)의 인접부로부터의 피제거 현상제를 현상제 저장부(47)로 이송시키기 위해 현상제 전진판(49)이 (도10에서 화살표로 표시된 H방향)으로 왕복이동하게 하여 한다. 현상제 전진판(49)은 1 ㎜의 두께인 금속판의 일편이고 현상제를 전방으로 이송시키기 위해 칸막이(49a)에 구비된다.
부수적으로, 현상제 전진판(49)이 이 실시예에서 사용될 수 있더라도, 나사가 피제거 현상제 이송 부재로써 사용될 수 있다.
(제2 프레임부)
도8에 도시된 것처럼, 제2 프레임부로 둘러싸인 현상 유닛(42)은 현상 부재로써의 현상 롤러(51), 적절한 색상의 현상제를 저장하는 현상제 저장부(52) 및 현상 수단용 프레임부(54)에 구비된다. 현상제 저장부(52)는 피제거 현상제 저장부(47)의 아래에 위치되고 현상제 이송 수단으로서 이중 역할을 하는 교반 부재(53a, 53b)를 포함한다.
부수적으로, 용어 "아래(below)"는 카트리지(40)가 장치 주 조립체 내에 적절히 안착된 상태를 인용하는 데 사용된다.
현상제 교반부(52) 내의 현상제는 교반 부재(53)에 의해 현상 수단프레임부(54) 내에 현상제 공급 롤러(55)에 이송된다. 이후, 현상제는 현상 롤러(51)의 주연면에 부착되어 시계 방향(화살표 Z 방향)으로 회전하는 현상제 공급 롤러(55)에 의해 시계 방향(화살표 Y 방향)으로 회전하고, 현상 블레이드(56)는 현상 롤러(51)의 주연면의 위에 가압된 상태로 유지된다. 현상제가 현상 롤러(51)의 주연면에 부착될 때 소정의 전기가 대전된다.
(제1 및 제2 프레임부 사이의 연결)
도9에 도시된 것처럼, 현상 유닛(42; 제2 프레임부)은 한 쌍의 베어링 부재(57, 58)에 구비되어 현상 유닛(42)이 드럼 유닛(41; 제1 프레임부)은 드럼 유닛(41; 제1 프레임부)에 연결된 현상 유닛(42)을 유지시키기 위해 일대일로 현상 유닛(42; 현상 롤러(51)의 종단부)의 종단부에 위치된다. 베어링 부재(57, 58)에는 각각의 베어링면을 갖춘 구멍(57a, 58a)을 구비한다. 구멍(57a, 58a)의 중심축은 피벗축(43)과 일치한다. 핀(43a)은 이러한 구멍(57a, 58a)을 통해 베어링 부재(57, 58)로부터 드럼 유닛(41)에 구비된 구멍(41a)으로 삽입된다. 그 결과, 드럼 유닛(41) 및 현상 유닛(42)은 도11에 도시된 것처럼 서로에 대해 피벗으로 되도록 연결된다. 또한, 후술되는 것처럼, 한 쌍의 압축 스프링(59)은 광감 드럼(44) 및 현상 롤러(51)의 주연면을 종방향의 관점에서 두 개의 롤러의 전체적인 영역을 가로질러 서로 접촉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두 개의 유닛 사이에 설치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한 쌍의 압축 스프링(59)은 도8에 도시된 것처럼, 감광 드럼(44) 및 현상 롤러(51)가 압축 스프링(59)의 탄성에 의해 서로 가압된 상태가 되도록 드럼 유닛(41) 및 현상 유닛(42)들 사이에 위치된다.
(구동력 전달 기구)
다음에, 카트리지(40) 내의 구동력 전달 기구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구동력은 상기 장치 주 조립체로부터 카트리지(40)의 드럼 유닛(41) 및 현상 유닛(42)으로 독립적으로 전달된다.
도9에서, 드럼 유닛(41)은 상기 카트리지 측면 상의 드럼 구동력 전달 부재로써, 감광 드럼(44)의 종단부에 위치된 드럼 구동 커플링(60)을 구비한다. 드럼 구동 커플링(60)의 축선은 감광 드럼(44)의 축선과 일치한다. 구동력은 구동력 전달 부재로써 장치 주 조립체 측면 상의 커플링(61)으로부터 상기 드럼 구동 커플링(60)에 전달된다.
도12에서, 카트리지측의 커플링(60)은 비틀린 등변형 및 삼각형의 지주인 반면, 주 조립체 측면 상의 커플링(61)은 비틀린 등변형 및 삼각형의 구멍이다. 카트리지측 커플링(60)은 감광 드럼(44)의 종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주 조립체측 커플링(61) 안으로 결합된다. 다음에, 주 조립체측 커플링(61)이 회전하기 시작할 때, 주 조립체측 커플링(61) 안으로의 카트리지측 커플링(60)의 결합이 점차 깊숙히 일어난 다음 2개의 커플링부의 비틀린 등변형 및 삼각형 구조로 이루어진다. 장치측 커플링(61)은 최대 120°의 회전을 종료할 때 까지, 두 커플링들은 서로 완전히 결합하고, 구동력은 감광 드럼(44)으로 전달되기 시작한다. 또한, 카트리지측 커플링(60)의 회전축은 감광 드럼(44)의 회전축과 일치한다.
또한, 드럼 유닛(41)은 피제거 현상제 이송 기구(48)의 크랭크(50)의 샤프트에 부착된 기어(62)와, 기어(62)와 맞물린 아이들러 기어(63)를 갖는다 (도41).
현상 유닛(42)의 베어링 부재(57), 즉 구동측의 베어링 부재는 현상 수단 구동력 전달 부재인 기어(64) 및 아이들러 기어(65, 66)가 각각 둘레에 끼워맞춰져 있는 샤프트(57b - 54d)를 구비한다. 기어(64)는 헬리컬 기어이고, 구동력은 도14에 도시된 것처럼 주 조립체측의 현상 수단 구동력 전달 부재인 헬리컬 기어(67)로부터 기어(64)로 전달된다. 또한, 카트리지(40)가 장치 주 조립체(150) 내로 삽입되는 방향에 수직인 방향에서, 기어(64)는 카트리지(40)에서 전술된 카트리지측 커플링(60)과 동일측에 위치된다. 또한, 카트리지(40)가 장치 주 조립체(150) 내로 삽입되는 방향에 수직인 방향에서, 기어(64)는 카트리지측 커플링(60)의 내측에 있다. 또한, 카트리지(40)가 장치 주 조립체(150) 내로 삽입되는 방향에서, 기어(64)는 카트리지측 커플링(60)의 하류측에 있다.
또한, 카트리지(40)는 감광 드럼(44)의 축선에 수직인 방향으로 장치 주 조립체(150) 내로 삽입되고 그로부터 제거된다.
샤프트(57b)의 축선은 관통 구멍(57a)의 축선과 일치하고, 관통 구멍의 축선은 피벗축(43)과 일치한다. 기어(64)는 그의 축선이 드럼 유닛(41) 및 현상 유닛(42)을 서로에 대해 연결하여 유지하는 전술한 연결핀(43a)의 축선 (즉, 피벗축(43))과 일치하도록 위치된다.
요약하자면, 본 실시예의 카트리지(40)는 드럼 유닛(41)과, 현상 유닛(42)이 핀(43a) 둘레에서 피벗되는 방식으로 핀(43a)을 사용해서 드럼 유닛(41)에 연결된 현상 유닛(42)과, 드럼 유닛(41)에 구비된 감광 드럼(44)과, 현상제를 사용하여 감광 드럼(44)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도록 감광 유닛(42) 내에 제공된 현상 롤러(51)와, 카트리지(40)가 장치 주 조립체(150) 내에 있을 때 장치 주 조립체(150)로부터 현상 롤러(51)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수용하기 위한 현상 수단 구동력 전달 부재인 기어(64)를 포함한다. 기어(64)는 그의 축선이 전술된 핀(43a)의 축선과 일치하는 방식으로 위치된다. 기어는 현상 롤러(51)의 종방향에 대략 수직인 방향으로부터 구동력을 수용한다. 기어는 전술된 헬리컬 기어(67), 즉 카트리지(40)가 장치 주 조립체(150) 내로 삽입되는 방향에서 기어(64)의 축선에 대해 하류측에서 장치 주 조립체(150) 내에 제공된 주 장치측의 기어들 중 하나와 맞물린다. 여기서, 상기 설명된 것처럼, 카트리지(40)는 현상 롤러(51)의 축선에 수직인 방향으로부터 장치 주 조립체 내로 삽입되고, 기어(64)는 현상 유닛(42) 내에 제공되고, 기어(64)는 드럼 유닛(41)의 개구(41b)를 통해 노광되고, 기어(64)는 노광부에 의해 헬리컬 기어(67)와 맞물린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또한, 드럼 구동력 전달 부재인 카트리지측 커플링(60)이 장치 주 조립체(150)로부터 구동력을 수용하는 방향은 기어(64)가 장치 주 조립체(150)로부터 구동력을 수용하는 방향에 수직이다. 상기 설명된 구조의 배열을 제공함으로써, 구동력이 기어(64)로 입력되면, 헬리컬 기어(67)와 기어(64) 사이의 맞물림에 의해 발생된 힘(F)에 의해 피벗축(43) 둘레에서 발생된 모멘트는 작게 유지된다. 바꾸어 말하면, 기어(64)의 축선이 드럼 유닛(41)과 현상 유닛(42)을 연결시키는 핀(43a)의 축선과 일치하는 방식으로 기어(64)를 위치시키는 것은 현상 유닛(42)의 위치가 변화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는 결국 기어(64)와 헬리컬 기어(67) 사이의백래쉬(backlash)가 변화하는 것을 방지한다. 결과적으로, 안정된 화상 형상 작업이 가능하다. 또한, 구동력이 장치 주 조립체(150)로부터 현상 유닛(42)으로 전달되면, 그렇지 않은 경우 구동력이 장치 주 조립체로부터 입력될 때 발생하는 모멘트는 발생하지 않고, 따라서 그 원인이 카트리지 프레임 변형에서 기인하는 불만족스러운 화상이 생성되지 않는다.
구동력은 기어(64)로 입력된 후에 분할되어 전달된다. 바꾸어 말하면, 기어로 입력된 구동력의 일부는 구동력 전달 수단 또는 기어 트레인에 의해, 드럼 유닛(41)의 피제거 현상제 이송 기구(48)는 물론 현상 롤러(51) 및 교반 부재(53)로 전달된다.
특히, 기어(64)로 입력된 후에, 구동력의 일부는 제1 기어 트레인을 구성하며 현상 롤러(51) 및 현상제 공급 롤러(55)를 회전시키는 아이들러 기어(65, 66)에 의해, 현상 롤러(51)의 일단부에 부착된 기어(68) 및 현상제 공급 롤러(55)의 일단부에 부착된 기어(69)로 전달된다. 또한, 아이들러 기어(65)는 스텝 기어이고, 구동력의 회전 속도를 감소시킨다.
구동력의 다른 일부는 교반 부재(53a)를 회전시키도록 교반 부재(53a)의 현상제 교반 기어(70a)로 전달된 다음, 아이들러 기어(71)에 의해 교반 부재(53b)를 회전시키도록 교반 부재(53b)의 현상제 교반 기어(70b)로 전달된다.
아이들러 기어(71)로부터, 구동력은 분리 전달된다. 즉, 아이들러 기어(71)로 전달된 구동력의 일부는 아이들러 기어(72)를 통해 드럼 유닛(41)의 아이들러 기어(63)로 전달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아이들러 기어(63)는 피제거 현상제 이송 기구(48)의 크랭크(50)에 부착된 기어(62)와 맞물리고, 따라서 구동력을 크랭크(50)로 전달하여, 구동력을 현상제 전진판(49)으로 전달하게 된다. 한편, 현상 유닛(42)의 기어(64)로 입력된 구동력의 일부는 구동력 전달 수단, 즉 기어 트레인(기어(65, 70A, 71, 72, 63, 62))에 의해 현상제 전진판(49), 즉 드럼 유닛(41)의 피제거 현상제 이송 부재에 전달되어 현상제 전진판(49)을 왕복 이동시킨다. 아이들러 기어(71, 63)는 단차지고 구동력의 회전 속도를 감소시킨다.
기어(70a, 71, 70b, 72, 62, 63)는 제2 기어 트레인으로 형성되는 것을 알 것이다. 현상 유닛(42)에 부착된 기어(64, 65, 66, 68, 69, 70a, 70b, 71, 72)와 기어(67, 62, 63)는 드럼 유닛(41)에 부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감광 드럼(44)을 구동하기 위한 수단은 현상 롤러(51), 교반 부재(53) 및 현상제 전진판(49)을 구동하기 위한 시스템으로부터 분리되게 된다. 따라서, 교반 부재(53) 및 현상제 전진판(49)의 회전 속도 및 진동의 변동이 감광 드럼(44)으로 직접 전달되지 않는다. 따라서, 피제거 현상제의 축적이 현상제 전진판(49) 상의 증가된 부하를 유발할 때 감광 드럼(44)의 회전은 부하의 증가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다.
또한, 현상 유닛(42)은 드럼 유닛(41)에 대해 피벗 이동한다. 따라서, 현상 유닛(42)의 아이들러 기어(72)는 드럼 유닛(41)의 아이들러 기어(63)에 대해 또한 피못 이동한다. 따라서, 구조적 정렬부는 도1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동일한 평면에서 아이들러 기어(72, 63)의 축방향 선과 피벗 축(43)을 배치하도록 형성된다. 이와같이 정렬된 상태로, 아이들러 기어(72, 63)는 드럼 유닛(41)에 대한 현상유닛(42)의 피벗 이동을 간섭하지 않고, 2 개의 기어 사이의 백래쉬는 최소화된다.
카트리지(40)는 감광 드럼측 상에 배치된 조작부(40a)가 제공된다. 이 조작부는 감광 드럼(44)의 축방향 선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카트리지(40)를 전술된 카트리지 공간(150a - 150d) 중 하나로 장착하고, 또는 이로부터 제거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파지된다. 따라서, 카트리지(40)가 장치 주 조립체(150) 내로 삽입되는 방향에 의하면, 기어(64)는 카트리지측 커플링(60)의 하류측 상에 위치된다. 또한 카트리지(40)가 장치 주 조립체(150) 내로 삽입되는 방향에 의하면, 감광 드럼(44), 현상 롤러(150) 및 현상제 전진판(49)을 구동하기 위한 크랭크(50)는 상류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위치된다.
실시예에 있어서, 기어(64)용 샤프트가 고정되고 그 중심축은 피벗 축(43)과 일치하는 관통 구멍(57a)은 베어링 부재(57)에 제공된다. 그러나, 유사한 구조가 베어링 부재(57)를 대신하여 현상 수단 프레임부(54) 또는 현상제 저장부(52)에 배치될 수도 있다.
전술된 구조적 정렬을 제공하면서, 본 발명에 의한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는 피제거 현상제의 축적에 의한 피제거 현상제 이송 부재 상에 위치되는 부하의 증가가 감광 드럼의 회전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을 제공하지 않는다.
본원에 개시된 구조를 참조하여 본 발명이 기술되었지만, 기술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출원은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의 범위 또는 그 개선의 목적 내에서 일어날 수 있는 변경 및 변화를 포함하도록 의도된 것이다.
이상 설명한 본원 발명에 의하면, 피제거 현상제 저장부 내의 피제거 현상제를 효율적으로 저장할 수 있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와 이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제거 가능하게 설치 가능한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피제거 현상제의 양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서비스 수명의 증가에 기인한 그 피제거 현상제 저장부 내의 피제거 현상제를 효과적으로 저장함으로써 그 크기가 소형으로 구현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제공한다. 또한, 피제거 현상제를 이송하기 위한 피제거 현상제 이송 부재 상에 배치된 하중 양의 증가가 감광 드럼의 회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와, 이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제거 가능하게 설치 가능한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 내에 제거가능하게 설치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제공한다.

Claims (16)

  1.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 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있어서,
    제1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2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에 제공된 전자 사진 감광 드럼과,
    상기 감광 드럼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제로 현상하도록 상기 제2 프레임에 제공된 현상 부재와,
    상기 감광 드럼 상에 잔류하는 현상제를 제거하도록 상기 제1 프레임에 제공된 세척 부재와,
    상기 세척 부재에 의해 제거된 현상제를 수송하도록 상기 제1 프레임에 제공된 피제거 현상제 이송 부재와,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된 때 상기 감광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로부터 수용하도록 상기 제1 프레임에 제공된 드럼 구동력 수용 부재와,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된 때 상기 현상 부재를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로부터 수용하도록 상기 제2 프레임에 제공된 현상 구동력 수용 부재와,
    상기 피제거 현상제 이송 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현상 구동력에 의해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로부터 수용된 구동력을 상기 피제거 현상제 이송 부재로 전달하도록 상기 제2 프레임에 제공된 구동력 전달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 구동력 수용 부재는 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기어에 의해 수용된 구동력은 상기 구동력 전달 부재로서의 기어 트레인에 의해 상기 피제거 현상제 이송 부재로 전달되어 상기 피제거 현상제 이송 부재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 트레인은 현상에 사용될 현상제를 수납하는 현상제 수납부에 제공된 교반 부재로 구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교반 부재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 구동력 수용 부재는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의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장착 방향에 대하여 상기 드럼 구동력 수용 부재의 하류측에 배치되며, 상기 현상 구동력 수용 부재 및 상기 드럼 구동력 수용 부재는 장착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대하여 동일 측에 제공되고,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상기 감광 드럼의 축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 구동력 수용 부재는 커플링의 형태이고, 상기 현상 구동력 수용 부재는 헬리컬 기어의 형태이며, 상기 헬리컬 기어는 장착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커플링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 구동력 수용 부재는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의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장착 방향에 대하여 상기 드럼 구동력 수용 부재의 하류측에 배치되며, 상기 감광 드럼, 상기 현상 부재로서의 현상 롤러, 및 상기 피제거 현상제 이송 부재용 크랭크는 장착 방향에 대하여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을 향해 순서대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에는 현상에 사용될 현상제를 수납하는 현상제 수납부가 제공되고, 제거된 현상제를 수용하는 피제거 현상제 수납부는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된 때 상기 현상제 수납부 위에 있도록 배치되며, 상기 피제거 현상제 이송 부재는 상기 피제거 현상제 수납부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8.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 구동력 수용 부재는 상기 감광 드럼의 길이방향을 따른 방향으로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제공된 주 조립체 커플링과 결합 가능하고 상기 감광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수용하는 카트리지커플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커플링은 비틀린 삼각주의 형태이고, 상기 주 조립체 커플링은 삼각형 단면을 갖는 비틀린 구멍이며, 구동력은 비틀린 삼각주와 비틀린 구멍 사이의 결합을 통해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은 샤프트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헬리컬 기어는 상기 샤프트와 동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1.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 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된 때 상부 위치를 취하도록 배치된 제1 프레임과,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제1 프레임과 결합되고,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된 때 하부 위치를 취하도록 배치된 제2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에 제공된 전자 사진 감광 드럼과,
    상기 감광 드럼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제로 현상하도록 상기 제2 프레임에 제공된 현상 롤러와,
    현상제를 수납하도록 상기 제2 프레임에 제공된 현상제 수납부와,
    상기 감광 드럼 상에 잔류하는 현상제를 제거하도록 상기 제1 프레임에 제공된 세척 부재와,
    상기 세척 부재에 의해 제거된 현상제를 수송하도록 상기 제1 프레임에 제공된 피제거 현상제 이송 부재와,
    상기 세척 부재에 의해 제거된 현상제를 수납하도록 상기 제1 프레임에 제공된 피제거 현상제 수납부와,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된 때 상기 감광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로부터 수용하도록 상기 제1 프레임에 제공되고, 상기 감광 드럼과 동축으로 배치된 카트리지 커플링과,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된 때 상기 현상 부재를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로부터 수용하도록 제2 프레임에 제공되고,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의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장착 방향에 대하여 상기 카트리지 커플링의 하류측에 배치되며, 상기 샤프트와 동축으로 배치되고, 장착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대하여 상기 카트리지 커플링의 위치의 내부에 배치된 카트리지 헬리컬 기어와,
    상기 피제거 현상제 이송 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카트리지 헬리컬 기어에 의해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로부터 수용된 구동력을 상기 피제거 현상제 이송 부재로 전달하도록 상기 제2 프레임에 제공된 기어 트레인을 포함하며,
    상기 피제거 현상제 이송 부재는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로 장착된 때 상기 현상제 수납부 위의 위치를 취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피제거 현상제 수납부에 배치되며,
    상기 감광 드럼, 상기 현상제 롤러, 및 상기 피제거 현상제 이송 부재 구동용 크랭크는 장착 방향에 대하여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으로 순서대로 배치되고,
    상기 카트리지 헬리컬 기어 및 상기 카트리지 커플링은 장착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대하여 동일 측에 배치되며,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상기 감광 드럼의 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커플링은 사실상 비틀려 있는 삼각주의 형태이고, 상기 카트리지 커플링으로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주 조립체 커플링은 사실상 삼각형 단면을 갖는 비틀려 있는 구멍이고, 상기 구동력은 비틀려 있는 삼각주 및 비틀려 있는 구멍 사이의 체결에 의해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수납부 내에 수용된 현상제를 교반하기 위한 교반 부재를 더 포함하고, 교반 부재는 상기 현상제 수납부 내에 수용되어 상기 기어 트레인으로부터 구동력을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4. 제3항, 제7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수납부는 현상제를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5.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탈착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고 기록 재료 상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 주 조립체 드럼 구동력 전달 부재와,
    ⒝ 주 조립체 현상 구동력 전달 부재와,
    ⒞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탈착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제1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제2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 내에 제공된 전자 사진 감광 드럼과,
    상기 제2 프레임 내에 제공되고 현상제로써 상기 감광 드럼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 부재와,
    상기 제1 프레임 내에 제공되고 상기 감광 드럼 상에 잔류하는 현상제를 제거하기 위한 세척 부재와,
    상기 제1 프레임 내에 제공되고 상기 세척 부재에 의해 피제거 현상제를 이송시키기 위한 피제거 현상제 이송 부재와,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주 조립체 드럼 구동력 전달 부재로부터 상기 감광 드럼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받기 위해 상기 제1 세척 프레임 내에 제공된 드럼 구동력 수용 부재와,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주 조립체 현상 구동력 전달 부재로부터 상기 현상 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제2 프레임 내에 제공된 현상 구동력 수용 부재와,
    상기 피제거 현상제 이송 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해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로부터 받은 구동력을 상기 피제거 현상제 이송 수단으로 전달하기 위해 상기 제2 프레임 내에 제공된 구동력 전달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16.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탈착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고 기록 재료 상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 주 조립체 커플링과,
    ⒝ 주 조립체 헬리컬 기어와,
    ⒞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탈착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된 때 상부 위치를 취하도록 배치된 제1 프레임과,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제1 프레임과 결합되고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된 때 상대적인 하부 위치를 취하도록 배치된 제2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에 제공된 전자 사진 감광 드럼과,
    상기 감광 드럼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제로 현상하도록 상기 제2 프레임에 제공된 현상 롤러와,
    현상제를 수납하도록 상기 제2 프레임에 제공된 현상제 수납부와,
    상기 감광 드럼 상에 잔류하는 현상제를 제거하도록 상기 제1 프레임에 제공된 세척 부재와,
    상기 세척 부재에 의해 피제거 현상제를 이송하도록 상기 제1 프레임에 제공된 피제거 현상제 이송 부재와,
    상기 세척 부재에 의해 피제거 현상제를 수납하도록 상기 제1 프레임에 제공된 피제거 현상제 수납부와,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된 때 상기 감광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상기 주 조립체 커플링로부터 수용하도록 상기 제1 프레임에 제공되고 상기 감광 드럼과 동축으로 배치된 카트리지 커플링과,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된 때 상기 현상 부재를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상기 주 조립체 헬리컬 기어로부터 수용하도록 상기 제2 프레임에 제공되고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대해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장착 방향으로 상기 카트리지 커플링의 하류에 배치되고 상기 샤프트와 동축으로 배치되고 상기 장착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대하여 상기 카트리지 커플링의 위치의 내부에 배치된 카트리지 헬리컬 기어와,
    상기 피제거 현상제 이송 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카트리지 헬리컬 기어에 의해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로부터 수용된 구동력을 상기 피제거 현상제 이송 부재로 전달하도록 상기 제2 프레임에 제공된 기어 트레인을 포함하며,
    상기 피제거 현상제 이송 부재는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된 때 상기 현상제 수납부 상부의 위치를 취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피제거 현상제 수납부에 배치되며, 상기 감광 드럼, 상기 현상제 롤러 및 상기 피제거 현상제 이송 부재 구동용 크랭크는 장착 방향에 대하여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으로 순서대로 배치되고, 상기 카트리지 헬리컬 기어 및 상기 카트리지 커플링은 장착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대하여 동일 측에 배치되며,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상기 감광 드럼의 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KR1020010000492A 2000-01-05 2001-01-05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3524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000441 2000-01-05
JP2000-441 2000-01-05
JP2000390010A JP3413173B2 (ja) 2000-01-05 2000-12-22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0-390010 2000-12-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0760A KR20010100760A (ko) 2001-11-14
KR100352415B1 true KR100352415B1 (ko) 2002-09-11

Family

ID=26583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0492A Expired - Fee Related KR100352415B1 (ko) 2000-01-05 2001-01-05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463234B2 (ko)
EP (1) EP1115039B1 (ko)
JP (1) JP3413173B2 (ko)
KR (1) KR100352415B1 (ko)
CN (2) CN1904769B (ko)
DE (1) DE60134686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36791B2 (en) * 2001-01-05 2003-10-21 Calsonic Kansei Corporation Collision record apparatus, collision state estimation method, and record medium
JP3566697B2 (ja) * 2001-02-09 2004-09-15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離隔機構
US20050036802A1 (en) * 2001-12-20 2005-02-17 Fuji Xerox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rocess cartridge uses in the same
JP3534104B2 (ja) * 2001-12-20 2004-06-07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これに用いられる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現像装置
US7228089B2 (en) * 2001-12-20 2007-06-05 Fuji Xerox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and developer replenishment portion
JP4125007B2 (ja) 2002-01-11 2008-07-23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3208074A (ja) * 2002-01-11 2003-07-25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011930B2 (ja) 2002-02-20 2007-11-21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容器、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3634807B2 (ja) * 2002-02-20 2005-03-30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3658372B2 (ja) 2002-02-22 2005-06-08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用の離間保持部材
US6928252B2 (en) * 2002-03-29 2005-08-09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Process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structure to remove foreign matter
JP4164293B2 (ja) * 2002-06-03 2008-10-15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4174380B2 (ja) * 2002-07-04 2008-10-29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感光体ドラム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3677506B2 (ja) * 2002-08-07 2005-08-03 株式会社リコー ベルト駆動制御方法及びその装置、ベルト装置、画像形成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JP3703450B2 (ja) * 2002-10-22 2005-10-05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018517B2 (ja) * 2002-11-29 2007-12-05 キヤノン株式会社 部品
JP2004177835A (ja) * 2002-11-29 2004-06-24 Canon Inc 部品及び部品の供給方法
US7395008B2 (en) 2003-02-24 2008-07-01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mage formation apparatus and photoreceptor cartridge
US7088939B2 (en) * 2003-07-25 2006-08-08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7072603B2 (en) * 2003-08-01 2006-07-04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and holding member
JP4086766B2 (ja) * 2003-11-28 2008-05-14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組立方法
JP3782807B2 (ja) * 2003-11-28 2006-06-07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感光体ドラムの取り付け方法
KR100640056B1 (ko) * 2003-12-27 2006-10-31 삼성전자주식회사 구동유닛 및 화상형성장치
JP3950892B2 (ja) * 2004-01-30 2007-08-01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KR100532119B1 (ko) * 2004-02-03 2005-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분리형 현상기 및 분리형 현상기의 구동장치
JP2006126709A (ja) * 2004-11-01 2006-05-18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と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KR100577690B1 (ko) * 2005-01-12 2006-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현상장치 및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JP4865341B2 (ja) * 2005-02-04 2012-02-01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280753B2 (ja) * 2005-04-27 2009-06-17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4684732B2 (ja) 2005-04-27 2011-05-18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およ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US7236722B2 (en) * 2005-08-25 2007-06-26 Lexmark International, Inc. Helically splined drive member for an image forming device
KR100631219B1 (ko) * 2005-08-26 2006-10-04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로세스카트리지 및 그것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JP4720385B2 (ja) * 2005-09-06 2011-07-1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ユニットの駆動装置
KR20070095491A (ko) 2005-09-22 2007-10-01 삼성전자주식회사 현상유닛 및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KR100793960B1 (ko) * 2005-09-26 2008-01-16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로세스 카트리지, 그것을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및프로세스 카트리지 착탈방법
KR100729618B1 (ko) * 2005-10-04 2007-06-19 삼성전자주식회사 구동장치, 그것을 구비한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화상형성장치
JP4280770B2 (ja) 2006-01-11 2009-06-17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444997B2 (ja) 2006-12-11 2010-03-31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444999B2 (ja) 2006-12-11 2010-03-31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464435B2 (ja) 2006-12-11 2010-05-19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7856192B2 (en) * 2006-12-28 2010-12-21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JP5084257B2 (ja) * 2006-12-28 2012-11-28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4280772B2 (ja) 2006-12-28 2009-06-17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5219462B2 (ja) * 2007-01-31 2013-06-26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KR100930044B1 (ko) 2007-03-27 2009-12-08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JP5094186B2 (ja) * 2007-04-10 2012-12-12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458377B2 (ja) 2007-06-29 2010-04-28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458378B2 (ja) 2007-06-29 2010-04-28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5328230B2 (ja) * 2008-06-10 2013-10-30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及び、前記カートリッジを用いた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8552382B2 (en) 2008-08-14 2013-10-08 The Boeing Company Thermal effect measurement with mid-infrared spectroscopy
JP2011186447A (ja) * 2010-02-15 2011-09-22 Canon Inc 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5106656B2 (ja) 2010-06-22 2012-12-26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5289390B2 (ja) * 2010-07-07 2013-09-11 株式会社沖データ 現像剤収容器、画像形成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JP5196061B2 (ja) * 2012-07-18 2013-05-1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
CN102777543B (zh) * 2012-08-20 2014-11-05 天津光电通信技术有限公司 办公设备用齿轮传动系统
JP6415198B2 (ja) 2013-09-12 2018-10-31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
CN104035301A (zh) * 2013-12-31 2014-09-10 江西镭博钛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粉盒
JP6914620B2 (ja) * 2016-06-29 2021-08-0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CN108227449B (zh) * 2018-02-01 2024-08-20 珠海联合天润打印耗材有限公司 一种处理盒及其成像设备
JP7463190B2 (ja) * 2020-05-29 2024-04-08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
JP2023081064A (ja) * 2021-11-30 2023-06-0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30745A (ja) * 1992-09-04 1994-05-13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組み立て方法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H06194892A (ja) * 1992-12-25 1994-07-15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H07168512A (ja) * 1993-10-19 1995-07-04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H07302031A (ja) * 1994-05-10 1995-11-14 Canon Inc 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KR20000035054A (ko) * 1998-10-22 2000-06-26 이토가 미찌야 프로세스 카트리지, 그 제조방법 및 화상형성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27992A (en) * 1980-07-10 1982-05-04 Apeco Corporation Driving arrangement for photocopy machine
US4894688A (en) * 1987-03-03 1990-01-16 Mita Industrial Co., Ltd. Device for circulating developer
JPH0792887A (ja) * 1993-07-20 1995-04-07 Canon Inc シール部材、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組立方法
US5331378A (en) * 1993-07-29 1994-07-19 Lexmark International, Inc. Toner cartridge with independent driven systems
JPH07304233A (ja) * 1994-05-16 1995-11-21 Minolta Co Ltd プリンタ装置
JP2875203B2 (ja) * 1995-03-27 1999-03-31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駆動力伝達部品、及び、電子写真感光体ドラム
JP3768632B2 (ja) 1996-02-27 2006-04-19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H09244514A (ja) * 1996-03-12 1997-09-19 Minolta Co Ltd 画像形成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3466831B2 (ja) 1996-08-29 2003-11-17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363751B2 (ja) 1996-08-29 2003-01-08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H1069199A (ja) 1996-08-29 1998-03-10 Canon Inc クリーニング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クリーニングフレーム
KR100270672B1 (ko) * 1996-09-26 2000-11-01 미다라이 후지오 프로세스 카트리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구동력 전달 부재 및 전자 사진 감광 드럼
JP3294778B2 (ja) * 1997-03-14 2002-06-24 京セラミタ株式会社 感光体ドラム及びプロセスユニット
US5937241A (en) * 1998-03-27 1999-08-10 Xerox Corporation Positive gear mount for motion quality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30745A (ja) * 1992-09-04 1994-05-13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組み立て方法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H06194892A (ja) * 1992-12-25 1994-07-15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H07168512A (ja) * 1993-10-19 1995-07-04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H07302031A (ja) * 1994-05-10 1995-11-14 Canon Inc 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KR20000035054A (ko) * 1998-10-22 2000-06-26 이토가 미찌야 프로세스 카트리지, 그 제조방법 및 화상형성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0760A (ko) 2001-11-14
JP2001255806A (ja) 2001-09-21
DE60134686D1 (de) 2008-08-21
JP3413173B2 (ja) 2003-06-03
EP1115039A3 (en) 2005-10-19
US20010017994A1 (en) 2001-08-30
CN1304065A (zh) 2001-07-18
CN1278196C (zh) 2006-10-04
CN1904769B (zh) 2011-05-04
EP1115039A2 (en) 2001-07-11
CN1904769A (zh) 2007-01-31
US6463234B2 (en) 2002-10-08
EP1115039B1 (en) 2008-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52415B1 (ko)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US9507318B2 (en)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EP1510888B1 (en)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9244385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that switches positions of developing rollers in a predetermined fixed order
US7349649B2 (en) Process cartridge, positioning mechanism therefor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7860433B2 (en)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7184686B2 (en) Process cartridge having developing roller and photosensitive drum that can contact and becom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mounting such cartridge
US7715756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linear movement member
KR100383700B1 (ko)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
US7039339B2 (en)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CN111240167A (zh) 显影剂供应装置、显影装置、盒和成像设备
JP2022138657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010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2073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08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208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8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8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8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72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72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72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72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9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71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6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726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8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728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7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727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5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725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5

Year of fee payment: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725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6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