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32119B1 - 분리형 현상기 및 분리형 현상기의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분리형 현상기 및 분리형 현상기의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2119B1
KR100532119B1 KR10-2004-0006972A KR20040006972A KR100532119B1 KR 100532119 B1 KR100532119 B1 KR 100532119B1 KR 20040006972 A KR20040006972 A KR 20040006972A KR 100532119 B1 KR100532119 B1 KR 1005321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gear
developing
drive
driv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6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78891A (ko
Inventor
노주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069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2119B1/ko
Priority to CNB2005100062348A priority patent/CN100514213C/zh
Priority to US11/048,814 priority patent/US7283769B2/en
Priority to JP2005027848A priority patent/JP2005222054A/ja
Publication of KR200500788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88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21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2119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75Details relating to xerographic drum, band or plate, e.g. replacing, testing
    • G03G15/757Drive mechanisms for photosensitive medium, e.g. gea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 Gear Transmis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광 유닛과 현상 유닛을 서로 분리하여 구동하는 경우에도 균일한 회전 및 진동감쇄를 유도하여 인쇄된 화상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분리형 현상기의 구동 장치 및 상기 구동 장치를 사용한 분리형 현상기에 관한 것이다. 현상수단과 토너공급수단에 구동수단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현상기의 구동장치는, 상기 구동수단에 결합되어 동력을 전달받는 커플링 드라이브, 상기 커플링 드라이브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커플링 기어, 및 상기 커플링 드라이브와 커플링 기어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커플링 드라이브와 커플링 기어를 상호 가변적으로 결합시키는 커플링 디스크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구동수단과 사이의 축상 편심을 보정할 수 있는 커플링 부재; 및 상기 커플링 부재로부터의 구동력을 상기 현상수단과 토너공급수단에 전달할 수 있도록 다수의 기어를 포함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기어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현상수단 및 토너공급수단으부터 상기 커플링 부재로 인가되는 부하를 저감시키기 위한 감속기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분리형 현상기 및 분리형 현상기의 구동장치{A detachable developer and a driving apparatus of the same}
본 발명은 레이저 프린터나 복사기 등의 현상기 구동 장치 및 상기 구동 장치를 사용하는 현상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감광 유닛과 현상 유닛을 서로 분리하여 구동하는 경우에도 균일한 회전 및 진동감쇄를 유도하여 인쇄된 화상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분리형 현상기의 구동 장치 및 상기 구동 장치를 사용한 분리형 현상기에 관한 것이다.
레이저 프린터, 복사기 또는 복합기 등에는 처리된 화상을 용지에 인쇄하기 위한 현상기가 카트리지의 형태로 제공된다. 종래에는 레이저에 노광되어 정전잠상(electrostatic latent image)이 형성되는 감광유닛과 상기 감광유닛에 토너를 공급하여 상기 점전잠상에 대응하는 토너화상을 형성하는 현상유닛이 하나의 카트리지에 함께 장착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렇게 감광유닛과 현상유닛이 통합되어 있는 경우, 일반적으로 감광유닛의 수명이 현상유닛에 비해 매우 길기 때문에, 현상유닛의 수명이 끝나면 감광유닛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경우에도 함께 교체되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광유닛(110)과 현상유닛(120)을 분리하여 각각 구동하는 구조가 제안되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상기 감광유닛(110)과 현상유닛(120)은 프린터나 복사기 등의 본체에 각각 별도로 장착되고, 별개의 구동기어에 의해 각각 구동된다. 이때, 상기 감광유닛(110)은 본체에 고정된 상태에서, 스프링 등의 힘에 의해 상기 현상유닛(120)이 감광유닛(110)을 향해 가압됨으로써, 감광유닛(110)의 감광 드럼(111)과 현상유닛(120)의 현상 롤러(121)가 서로 접촉하여 상호 구름운동을 하게 된다.
도 1에 도시된 이러한 분리형 현상기의 구조 및 동작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감광유닛(110)으로의 구동력은 감광드럼 구동 기어(113)로부터 감광드럼 기어(112)로 전달된다. 이에 따라 감광드럼 기어(112)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감광드럼 기어(112)와 결합된 감광드럼(111)이 함께 회전하게 된다. 한편, 현상유닛(120)으로의 구동력은 현상롤러(121)에 제일 먼저 전달되며, 상기 현상롤러(121)의 회전에 따라 제1아이들 기어(Idle gear)(125)가 회전하면서 구동력이 공급 기어(126)로 전달되어 토너공급롤러(122)가 회전하게 된다. 또한, 구동력은 상기 제1아이들 기어(125) 및 제2아이들 기어(127)를 통해 교반기 기어(Agitator gear)(128)로 전달된다. 교반기 기어(128)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교반기 기어(128)에 결합된 교반기(123)가 함께 회전하고, 이에 따라 토너가 상기 토너공급롤러(122) 쪽으로 이송하게 된다. 이렇게, 감광유닛(110)과 현상유닛(120)의 동력 전달이 서로 분리되어 있으므로, 각 기어들에 인가되는 부하를 줄일 수 있어서 감광드럼(111)과 현상롤러(121)의 정속 회전에도 유리하다.
그런데, 감광유닛(110)과 현상유닛(120)을 서로 분리하여 구동할 경우, 감광드럼(111)과 현상롤러(121) 사이의 접촉 깊이(NIP 깊이)와 접촉 폭(NIP 폭)이 불균일하게 될 염려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현상유닛(120)이 본체에 완전히 장착된 후 스프링의 힘에 의해 가압될 때, 현상롤러(121)의 회전축과 본체에 고정되어 있는 구동기어(140)의 구동축 사이의 축심이 정확히 일치하여야 한다. 그러나, 제조 및 조립 과정에서 발생하는 공차 등으로 인하여 항상 어느 정도의 편심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현상유닛(120)에 동력을 전달할 때 상기 현상롤러(121)의 동축상에 구동기어(140)를 직접 연결할 경우에는 현상롤러(121)와 구동기어(140) 사이의 축상에 반드시 편심이 발생하게 된다. 이렇게 편심이 발생하게 되면, 현상롤러(121)의 회전시 회전축에 요동이 발생하여 감광드럼(111)과 현상롤러(121) 사이의 NIP 깊이를 불균일하게 하여 불안정한 현상 NIP을 유발시킨다. 통상적으로 1 성분 비자성 접촉 현상 방식에서는 현상 NIP 깊이를 0.05~1.15mm 정도로 유지하는데, 현상 NIP 깊이가 이보다 클 경우에는 과다한 압력으로 인한 토너 스트레스(TONER STRESS)를 유발하게되고, 이보다 작을 경우에는 현상 NIP이 형성되지 않으므로 화상 형성이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롤러(121)와 동축상에 연결된 구동기어(140) 사이에 편심이 발생하더라도 현상롤러(121)가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현상롤러(121)와 구동기어(140) 사이에 커플링 부재(130)를 두어 감광드럼(111)과 현상롤러(121) 사이의 NIP 깊이를 일정하게 유지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형태의 커플링 부재(130)를 이용하는 방식을 "올드햄 커플링(Oldham's coupling)" 방식이라고 한다. 상기 "올드햄 커플링"은 축상에 편심이 발생하더라도 동력전달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식이다.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현상유닛(120)으로의 구동력은 구동기어(140)와 커플링 부재(130)를 통해 현상롤러(121)에 제일 먼저 전달되며, 그 후에 다수의 아이들 기어(125,127)들을 통해 토너공급롤러(122)와 교반기(123)로 전달된다. 그런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속으로 회전하는 모터 피니언 기어(160)의 구동력은 감속기어(150)를 통해서 구동기어(140)로 전달되고 있다. 즉, 동력이 상기 구동기어(140)에 도달하기 전에 대부분의 감속이 이루어지며, 감속이 완료된 후에야 현상유닛(120)과 커플링 부재(130)가 연결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유닛(120)과 커플링 부재(130) 및 구동기어(140) 사이에는 어떠한 감속도 없다. 따라서, 종래의 경우에는, 현상유닛(120)의 부하가 커플링 부재(130) 및 구동기어(140)에 그대로 전달된다. 이렇게 커플링 부재(130) 및 구동기어(140)에 현상유닛(120)의 부하가 그대로 전달될 경우, 커플링 부재(130) 및 구동기어(140)에 과도한 부하가 인가될 수도 있다. 그러면, 상기 커플링 부재(130)의 커플링 기어(131)와 커플링 드라이브(134) 사이에 위치한 커플링 디스크(132)의 외주면에 90°간격으로 설치된 4개의 슬라이딩 슬롯(138)에서 마찰이 증가하게 되면서, 커플링 디스크(132)의 원활한 미끄럼 운동을 방해하여 "올드햄 커플링"의 주요 기능이 상실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종래의 기술에서는, 커플링 디스크(132)의 외주면에 90°간격으로 형성된 4개의 슬라이딩 슬롯(138)에서의 마찰 부하를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커플링 기어(131)와 커플링 드라이브(134)의 커플링 디스크(132)와 대향하는 면에 각각 180°간격으로 회전축(136)을 2개씩 돌출하여 설치하고, 상기 회전축(136)들에는 슬라이딩 롤러(133)를 각각 끼워 상기 슬라이딩 슬롯(138) 내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설계한다. 결국, 이러한 슬라이딩 롤러(133)의 설치로 인해 커플링 부재(130)의 구조는 매우 복잡하게 되며, 비용적인 측면에서도 이러한 회전축(136) 및 슬라이딩 롤러(133)의 설치로 인해 원가가 상승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현상유닛에 동력을 전달하는 커플링 부재나 구동기어에 인가되는 부하를 감소시켜 커플링 디스크의 슬라이딩 슬롯에서 발생하는 마찰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커플링 디스크의 슬라이딩 슬롯에서 발생하는 마찰을 최소화함으로써 "올드햄 커플링"의 주요 기능인 축상 편심 보정이 원활히 작동되도록 하여 감광드럼과 현상롤러 사이의 NIP 깊이를 균일하게 유지시키고 인쇄되는 화상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커플링 부재의 구조를 단순화 시켜 원가의 절감을 도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을 간략히 살펴보면, 현상수단과 토너공급수단에 구동수단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현상기의 구동장치는, 상기 구동수단에 결합되어 동력을 전달받는 커플링 드라이브, 상기 커플링 드라이브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커플링 기어, 및 상기 커플링 드라이브와 커플링 기어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커플링 드라이브와 커플링 기어를 상호 가변적으로 결합시키는 커플링 디스크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수단과 사이의 축상 편심을 보정할 수 있는 커플링 부재; 및 상기 커플링 부재로부터의 구동력을 상기 현상수단과 토너공급수단에 전달할 수 있도록 다수의 기어를 포함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로서, 레이저에 노광되어 형성된 잠상을 용지에 전사하는 감광유닛과 상기 감광유닛에 토너를 공급하여 상을 형성하는 현상유닛이 서로 분리되어 있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현상기에서, 상기 현상유닛은: 상기 현상유닛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수단; 상기 감광유닛에 토너를 공급하여 상을 현성하는 현상수단; 상기 현상수단에 토너를 공급하는 토너공급수단; 상기 구동수단에 결합되어 동력을 전달받는 커플링 드라이브, 상기 커플링 드라이브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커플링 기어, 및 상기 커플링 드라이브와 커플링 기어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커플링 드라이브와 커플링 기어를 상호 가변적으로 결합시키는 커플링 디스크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수단과 사이의 축상 편심을 보정할 수 있는 커플링 부재; 및 상기 커플링 부재로부터의 구동력을 상기 현상수단과 토너공급수단에 전달할 수 있도록 다수의 기어를 포함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현상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종래의 경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분리형 현상기 역시 감광유닛(10)과 현상유닛(20)은 프린터나 복사기 등의 본체에 각각 별도로 장착되고, 별개의 구동기어에 의해 각각 구동된다. 또한, 상기 감광유닛(10)이 본체에 고정된 상태에서, 스프링 등의 힘에 의해 현상유닛(20)을 감광유닛(10)을 향해 가압함으로써, 감광유닛(10)의 감광 드럼(11)과 현상유닛(20)의 현상 롤러(21)가 서로 접촉하게 된다. 또한, 감광드럼 구동 기어(13)로부터 감광드럼 기어(12)로 구동력이 전달되면, 상기 감광드럼 기어(12)이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감광드럼 기어(12)에 함께 결합된 감광드럼(11)이 회전함으로써 상기 감광유닛(10)이 작동하게 된다.
본 발명의 특징은 현상유닛(20)에 있다. 종래에는 모터 피니언 기어의 동력이 감속기어를 거쳐 구동기어 및 커플링 부재를 통해 현상롤러에 전달된 다음, 현상롤러의 회전에 따라 아이들 기어가 회전하면서 토너공급롤러를 회전시키도록 설계되어 있었다. 즉, 현상유닛 외부의 동력이 커플링 부재를 통해 감속 없이 현상롤러로 우선 전달되었다. 때문에, 종래에는 커플링 부재에 인가되는 부하가 높아지면서 커플링 부재의 원활한 동작이 방해되었다. 반면, 도 6을 함께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는 모터 피니언 기어(60)의 동력이 그대로 구동기어(40)로 전달되며, 구동기어(40)의 동력은 상기 구동기어(40)와 결합되는 "올드햄 커플링" 방식의 커플링 부재(30)를 통해 감속기어(25)로 전달된다. 그런 후, 상기 감속기어(25)에 의해 감속이 된 다음, 제1아이들 기어(27)를 통해 현상롤러(21) 및 토너공급롤러(22)로 동력이 전달된다.
여기서, 상기 커플링 부재(30)와 결합되는 상기 감속기어(25)에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감속기어(25) 보다 직경이 작고 기어의 잇수가 적은 제2아이들 기어(28)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아이들 기어(28)는 상기 감속기어(25)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감속기어(25)와 함께 회전하며, 상기 제1아이들 기어(27)와 맞물려 회전하면서, 상기 현상롤러(21) 및 토너공급롤러(22)에 동력을 전달한다.
이렇게 본 발명에서는 커플링 부재(30)와 현상롤러(21) 및 토너공급롤러(22) 사이에 감속기어(25)가 존재하기 때문에, 상기 현상롤러(21) 및 토너공급롤러(22)로부터 상기 커플링 부재(30)로 인가되는 부하가 크게 저감된다. 즉, 종래의 경우에 커플링 부재에 인가되는 부하는 현상롤러의 마찰부하와 토너공급롤러의 마찰부하를 합한 값과 같았지만, 본 발명에서는 현상롤러의 마찰부하와 토너공급롤러의 마찰부하를 합한 값에서 감속기어의 감속비만큼 나눈 값이 커플링 부재에 인가되는 부하가 된다. 이때, 상기 커플링 부재(30)로부터 상기 현상롤러(21)나 토너공급롤러(22)까지 연결된 기어열의 감속비는 반드시 1 보다 커야 하지만, 상기 커플링 부재(30)의 원활한 동작을 위해서는 감속비가 적어도 1.5: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부하의 감소 효과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7(a)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구조에서 각 기어들의 모듈 값 및 기어의 잇수를 예시적으로 보여준다.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롤러(121)와 동일축 상에 결합된 현상롤러 기어(124)의 모듈을 0.6, 잇수를 26라 하고, 토너공급롤러(122)와 동일축 상에 결합된 공급 기어(126)의 모듈을 0.6, 잇수를 21라 하고, 제1아이들 기어(125)의 모듈을 0.6, 잇수를 27이라 가정한다. 이때, 현상롤러(121)에서의 마찰부하 Tdeve는 1kgf·cm 이고, 토너공급롤러(122)에서의 마찰부하 Tsr 역시 1kgf·cm 라고 가정한다. 그러면, 커플링 부재(130)에 인가되는 부하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즉,
커플링 부재에 인가되는 부하 = Tdeve + Tsr X (27/21) X (26/27)
= 2.24 kgf·cm
한편,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구조에서 각 기어들의 모듈 값 및 기어의 잇수를 예시적으로 보여준다. 예컨대, 현상롤러 기어(24)의 모듈 및 기어의 잇수, 공급 기어(26)의 모듈 및 기어의 잇수, 제1아이들 기어(27)의 모듈 및 기어의 잇수는 종래의 경우와 동일한 값을 갖는다고 하고, 감속기어(25)의 모듈을 0.4, 잇수를 64라 하고, 제2아이들 기어(28)의 모듈을 0.6, 잇수를 26이라 가정한다. 또한, 후술할 커플링 부재(30)의 커플링 기어(31)의 모듈을 0.4, 잇수를 30이라 가정한다. 이때, 현상롤러(21)에서의 마찰부하 Tdeve와 토너공급롤러(22)에서의 마찰부하 Tsr 역시 종래와 같이 1kgf·cm 라고 가정한다. 그러면, 본 발명에서 커플링 부재(30)에 인가되는 부하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즉,
커플링 부재에 인가되는 부하
= [Tdeve X (27/26) + Tsr X (27/21)] X (26/27) X (30/64)
= 1.05 kgf·cm
상기 예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에 비해 거의 절반 이상으로 커플링 부재(30)에 인가되는 부하가 감소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커플링 부재(30)는 종래와는 달리 보다 간단하게 구성될 수 있다. 즉,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커플링 부재에 인가되는 부하로 인한 슬라이딩 슬롯(138)에서의 마찰 부하를 최소화하기 위해, 커플링 기어(131)와 커플링 드라이브(134)의 커플링 디스크(132)와 대향하는 면에 각각 180°간격으로 회전축(136)을 2개씩 돌출하여 설치하고, 상기 회전축(136)에 슬라이딩 롤러(133)를 각각 끼워 상기 슬라이딩 슬롯(138) 내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커플링 부재(30)에는 부하가 상대적으로 적게 인가되기 때문에 종래에 사용되던 슬라이딩 롤러(133)가 없이도 원활하게 동작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커플링 부재(30)의 구조에 대해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 상기 커플링 부재(30)는 구동기어(40)와 결합하여 함께 회전하면서 현상유닛(20)에 동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제조 및 조립시의 공차로 인한 상기 구동기어(40)의 편심을 보정할 수 있도록 중심축의 변동이 가능한 "올드햄 커플링" 방식을 이용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플링 부재(30)는, 상기 구동기어(40)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기어(4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커플링 드라이브(34)와, 감속기어(25)와 치합되어 상기 구동기어(40)로부터 전달받은 동력을 상기 감속기어(25)에 전달하는 커플링 기어(31)와, 상기 커플링 드라이브(34)와 커플링 기어(31)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커플링 드라이브(34)와 커플링 기어(31)를 상호 가변적으로 결합시키기 위한 커플링 디스크(32)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커플링 디스크(32)의 외주면에는, 예컨대, 90°간격으로 4 개의 슬라이딩 슬롯(38)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슬라이딩 슬롯(38)의 수는 예시적인 것으로, 실시예에 따라 더 많은 수의 슬라이딩 슬롯(38)을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커플링 드라이브(34)의 상기 커플링 디스크(32)와의 대향면에는 180°간격으로 원통형의 슬라이딩 돌기(35)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슬라이딩 돌기(35)가 상기 슬라이딩 슬롯(38)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커플링 드라이브(34)와 커플링 디스크(32)가 함께 결합하게 된다. 또한, 상기 커플링 기어(31)의 상기 커플링 디스크(32)와의 대향면에도 역시 180°간격으로 원통형의 슬라이딩 돌기(35)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슬라이딩 돌기(35)가 상기 슬라이딩 슬롯(38)의 나머지 부분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커플링 기어(31)와 커플링 디스크(32)가 함게 결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커플링 드라이브(34)에 형성된 슬라이딩 돌기와 상기 커플링 기어(31)에 형성된 슬라이딩 돌기는 서로 교호하면서 상기 커플링 디스크(32)의 슬라이딩 슬롯(38)에 번갈아 끼워지게 된다. 이와 같은 결합을 통해, 상기 커플링 부재(30)는 축상의 편심 유무와 관계없이 원활하게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이렇게 본 발명에 따른 커플링 부재(30)는, 커플링 부재(30)에 인가되는 부하가 종래에 비해 상당히 감소하기 때문에, 종래의 슬라이딩 롤러가 없더라도 상기 슬라이딩 돌기(35)가 슬라이딩 슬롯(38) 사이의 마찰을 충분히 작게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종래에 비해 간단한 구성으로도 원활한 작동을 보장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다. 상술한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감속기어를 통해 올드햄 커플링 부재와 현상롤러 등을 연결하기 때문에 커플링 부재에 인가되는 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커플링 부재 내의 슬라이딩 슬롯에서 발생하는 마찰이 감소하게 되어 롤러와 같은 복잡한 구조를 이용하지 않고 간단하게 커플링 부재를 구성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조 공정이 단축되고 재료비 등을 절감할 수 있어 현상기의 제조 원가를 낮출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더욱이, 커플링 부재에 인가되는 부하가 작기 때문에 커플링 부재의 축상 편심 보정 기능이 원활이 작동되어 현상기의 감광드럼과 현상롤러 사이의 NIP 깊이를 항상 균일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현상기의 화상 품질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분리형 현상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종래의 커플링 부재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은 현상 롤러와 구동 기어의 축상에 편심이 발생한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4는 종래의 기술에 따라 모터 피니언 기어로부터 현상 롤러와 공급 롤러로 동력이 전달되는 구조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현상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커플링 부재의 구조 및 동력이 현상 롤러와 공급 롤러로 전달되는 구조를 도시한다.
도 7은 종래의 기술에 대비하여 본 발명의 유효성을 설명한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드럼 유닛 11.....감광 드럼
20.....현상 유닛 21.....현상 롤러
22.....공급 롤러 24.....현상 롤러 기어
25.....감속기어 30.....커플링 부재
31.....커플링 기어 32.....커플링 디스크
35.....슬라이딩 돌기 40.....구동기어

Claims (7)

  1. 현상수단과 토너공급수단에 구동수단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분리형 현상기의 구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에 결합되어 동력을 전달받는 커플링 드라이브, 상기 커플링 드라이브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커플링 기어, 및 상기 커플링 드라이브와 커플링 기어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커플링 드라이브와 커플링 기어를 상호 가변적으로 결합시키는 커플링 디스크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구동수단과 사이의 축상 편심을 보정할 수 있는 커플링 부재; 및
    상기 커플링 부재로부터의 구동력을 상기 현상수단과 토너공급수단에 전달할 수 있도록 다수의 기어를 포함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기어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현상수단 및 토너공급수단으부터 상기 커플링 부재로 인가되는 부하를 저감시키기 위한 감속기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현상기의 구동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디스크의 외주면을 따라 4개의 슬라이딩 슬롯이 90°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현상기의 구동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드라이브 및 커플링 기어의 상기 커플링 디스크와의 대향 면에는 180°간격으로 슬라이딩 돌기가 각각 2개씩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커플링 드라이브의 슬라이딩 돌기와 상기 커플링 기어의 슬라이딩 돌기는 상기 커플링 디스크의 슬라이딩 슬롯에 서로 엇갈리게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현상기의 구동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돌기는 원통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현상기의 구동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부재로부터 상기 현상수단 또는 토너공급수단까지 연결된 기어열의 감속비는 적어도 1.5:1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현상기의 구동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속기어는, 상기 커플링 기어와 치합되는 제1기어 및 상기 제1기어와 일체로 형성된 제2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제2기어는 상기 제1기어와 회전축이 공통이고 제1기어에 비해 기어 잇수가 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현상기의 구동장치.
  7. 제 1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제2기어와 맞물려 회전함으로써 상기 현상수단 및 토너공급수단에 동력을 전달하는 아이들 기어(Idle gear)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현상기의 구동장치.
KR10-2004-0006972A 2004-02-03 2004-02-03 분리형 현상기 및 분리형 현상기의 구동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5321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6972A KR100532119B1 (ko) 2004-02-03 2004-02-03 분리형 현상기 및 분리형 현상기의 구동장치
CNB2005100062348A CN100514213C (zh) 2004-02-03 2005-02-02 可拆卸的显影装置及其驱动装置
US11/048,814 US7283769B2 (en) 2004-02-03 2005-02-03 Detachable developing apparatus and driving apparatus of the same
JP2005027848A JP2005222054A (ja) 2004-02-03 2005-02-03 分離型現像器,現像器およびそれらの駆動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6972A KR100532119B1 (ko) 2004-02-03 2004-02-03 분리형 현상기 및 분리형 현상기의 구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8891A KR20050078891A (ko) 2005-08-08
KR100532119B1 true KR100532119B1 (ko) 2005-11-29

Family

ID=34806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6972A Expired - Fee Related KR100532119B1 (ko) 2004-02-03 2004-02-03 분리형 현상기 및 분리형 현상기의 구동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283769B2 (ko)
JP (1) JP2005222054A (ko)
KR (1) KR100532119B1 (ko)
CN (1) CN100514213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1669B1 (ko) * 2004-05-03 2006-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현상기 및 이를 구비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KR100631219B1 (ko) * 2005-08-26 2006-10-04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로세스카트리지 및 그것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JP4720385B2 (ja) * 2005-09-06 2011-07-1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ユニットの駆動装置
JP2007147881A (ja) 2005-11-25 2007-06-14 Brother Ind Ltd 現像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KR100767111B1 (ko) * 2006-01-27 2007-10-17 삼성전자주식회사 동력전달기구 및 이를 이용한 화상형성장치의 현상기구동장치
JP4884144B2 (ja) * 2006-02-16 2012-02-29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支持装置、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支持方法
JP4378374B2 (ja) * 2006-03-10 2009-12-02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現像剤補給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364214B2 (ja) * 2006-05-13 2009-11-11 村田機械株式会社 駆動伝達機構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KR101053846B1 (ko) * 2007-01-19 2011-08-03 삼성전자주식회사 현상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US20090042656A1 (en) * 2007-08-07 2009-02-12 Ricoh Company, Limited Image Forming apparatus
JP5337496B2 (ja) * 2009-01-07 2013-11-06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駆動伝達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CN101694568B (zh) * 2009-09-29 2013-10-02 珠海赛纳打印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处理盒的驱动力传输部件
JP2011232386A (ja) * 2010-04-23 2011-11-17 Fuji Xerox Co Ltd ギヤの軸間保持機構、画像形成装置及び組立体
CN102411272B (zh) * 2010-09-20 2014-12-10 科企有限公司 感光鼓连接组件
CN103592831A (zh) * 2010-09-20 2014-02-19 科企有限公司 感光鼓连接组件
CN102777543B (zh) * 2012-08-20 2014-11-05 天津光电通信技术有限公司 办公设备用齿轮传动系统
IT201600099694A1 (it) 2016-10-05 2018-04-05 Fondazione St Italiano Tecnologia Esoscheletro per arti inferiori
KR20180054024A (ko) 2016-11-14 2018-05-24 에이치피프린팅코리아 주식회사 현상 카트리지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JP7006557B2 (ja) * 2018-09-28 2022-01-2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37068A (ja) 1987-03-26 1988-10-03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H05265271A (ja) 1992-03-24 1993-10-15 Konica Corp 駆動速度切り換え可能のカラー画像形成装置
KR950011877B1 (ko) 1993-03-31 1995-10-1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사진 기록장치의 현상기 구동장치
JPH06332285A (ja) * 1993-05-25 1994-12-02 Ricoh Co Ltd 回転型現像装置
JPH08234643A (ja) 1995-02-24 1996-09-13 Mita Ind Co Ltd 画像形成機
JP3609919B2 (ja) * 1997-06-19 2005-01-12 京セラミ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用の軸継手
US5937241A (en) * 1998-03-27 1999-08-10 Xerox Corporation Positive gear mount for motion quality
KR100320232B1 (ko) 1998-05-14 2002-06-22 윤종용 화상형성장치용동력장치
JP3413173B2 (ja) * 2000-01-05 2003-06-03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720707B2 (ja) * 2000-01-19 2005-11-30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657530B2 (ja) * 2001-05-15 2005-06-08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03021942A (ja) 2001-07-06 2003-01-24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KR100406986B1 (ko) 2001-08-29 2003-11-28 삼성전자주식회사 인쇄기의 구동장치
JP3750585B2 (ja) * 2001-10-30 2006-03-01 リコープリンティングシステムズ株式会社 カラー電子写真装置
KR100423475B1 (ko) 2001-11-27 2004-03-18 삼성전자주식회사 커플링장치
JP2003307931A (ja) * 2002-04-17 2003-10-31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652039A (zh) 2005-08-10
CN100514213C (zh) 2009-07-15
US7283769B2 (en) 2007-10-16
US20050169670A1 (en) 2005-08-04
KR20050078891A (ko) 2005-08-08
JP2005222054A (ja) 2005-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2119B1 (ko) 분리형 현상기 및 분리형 현상기의 구동장치
EP2778789B1 (en) Gear transmission device, process unit including the gear transmission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same
JP4758247B2 (ja) 駆動伝達機構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US8725034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process cartridge and drive unit with bracket and bracket bearing
US10323719B2 (en) Planetary gear assembly, drive unit including the planetary gear assembly,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drive unit, and installation method for planetary gear assembly
US8585537B2 (en) Driv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10054896B2 (en) Drive transmission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same
KR20030026641A (ko) 커플링장치와 현상카트리지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인쇄기
JP2009052738A (ja) 駆動伝達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US7860434B2 (en) Developing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6704529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improved driving arrangement
JP2005069239A (ja) 伝動装置、感光体ドラム、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4440372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US6885837B2 (en) Driving force transmitt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driving force transmitting apparatus
US7072605B2 (en) Rotary development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development unit mounted on a rotating member
JP2008069914A (ja) 軸継手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06301346A (ja) 回転体の駆動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KR100406986B1 (ko) 인쇄기의 구동장치
JP2006145774A (ja) 回転駆動装置、画像形成装置、カラー画像形成装置および回転体の軸芯合わせ方法
JP2002070981A (ja) 回転力伝達装置とこの装置を備えたシート搬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9186551A (ja) ギア機構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2006300230A (ja) 回転体の駆動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記録装置
KR100285747B1 (ko)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부 구동장치
JP2000088066A (ja) 回転体回転装置
JP2017026711A (ja) 駆動力伝達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20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103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11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511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0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0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0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0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0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0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03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9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02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028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5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025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8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018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123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026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9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