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344860B1 - 파형관용 접속 및 연결 요소 - Google Patents

파형관용 접속 및 연결 요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4860B1
KR100344860B1 KR1019997007918A KR19997007918A KR100344860B1 KR 100344860 B1 KR100344860 B1 KR 100344860B1 KR 1019997007918 A KR1019997007918 A KR 1019997007918A KR 19997007918 A KR19997007918 A KR 19997007918A KR 100344860 B1 KR100344860 B1 KR 1003448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locking
casing
locking means
clip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79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75842A (ko
Inventor
슈바르츠에른스트
클렙랄프
Original Assignee
페엠아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18949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344860(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페엠아 아게 filed Critical 페엠아 아게
Publication of KR200000758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58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48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4860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5/00Construction or details of pipe joint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16L13/00 - F16L23/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5/00Construction or details of pipe joint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16L13/00 - F16L23/00
    • F16L25/0036Joints for corrugated pipes
    • F16L25/0045Joints for corrugated pipes of the quick-acting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9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flexible hooks
    • F16L37/0985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flexible hooks the flexible hook extending radially inwardly from an outer part and engaging a bead, recess or the like on an inner part
    • F16L37/0987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flexible hooks the flexible hook extending radially inwardly from an outer part and engaging a bead, recess or the like on an inner part the flexible hook being progressively compressed by axial tensile loads acting on th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6Joints for connecting lengths of protective tubing or channels, to each other or to casings, e.g. to distribution boxes; Ensuring electrical continuity in the joint
    • H02G3/0616Joints for connecting tubing to casing
    • H02G3/0691Fixing tubing to casing by auxiliary means co-operating with indentations of the tubing, e.g. with tubing-convolu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85/00Pipe joints or couplings
    • Y10S285/903Corrug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 Joints That Cut Off Fluids, And Hose Joints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Non-Disconnectible Joints And Screw-Threaded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속 및 연결 요소 (1) 의 종축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맞물리고 또한 분리가능한 1이상의 로킹 수단을 구비한 접속 및 연결 요소 (1) 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상기 로킹 수단은 힌지 (22) 에 의해 접속 및 연결 요소 (1) 에 연결된 윙 (7) 으로 되어 있거나 추가적인 수단을 형성한다. 상기 로킹 수단 (7) 의 내부 (10) 상에는 복수의 신축자재한 로킹 접속-클립 (12) 이 배치된다. 로킹 수단 (7) 이 폐쇄된 상태에 있는 접속 및 연결 요소 (1) 내로 파이프 단이 삽입될 때, 상기 로킹 접속-클립 (1) 은 바깥쪽으로 위치될 수 있다. 삽입 방향 반대쪽으로 하중을 받을 때, 상기 로킹 수단은 파이프 자켓내에 걸린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어떠한 예비 조립 단계에서 로킹 수단 (7) 을 맞물거나 폐쇄시킬 수 있으며 또한 지속적이고 견고한 연결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연결은 상기 로킹 수단 (7) 을 반경방향으로 분리함으로써 언제든지 분리될 수 있다.

Description

파형관용 접속 및 연결 요소{JOINING AND CONNECTING COMPONENT FOR CORRUGATED PIPES}
스위스 특허공보 CH 684 293호에는 파형관의 단부와 연결 요소를 연결하기 위한 해제가능한 로킹 수단을 구비한 이러한 형태의 연결 요소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연결 요소에서 파이프 단을 수용하기 위한 삽입 개구를 갖는 중공형 코어 공간은 연결 요소의 케이싱에 제공된다. 케이싱의 자켓에는 로킹 수단을 수용하도록 된 1이상의 브리치가 있다. 이러한 종래 배치의 로킹 수단은 일단에서 힌지를 통해 연결 요소의 케이싱과 연결되는, 반경방향으로 선회하는 피봇 윙 (pivot wing) 으로 구성된다. 피봇 윙의 타단에 유지 수단이 형성되어, 피봇 윙이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케이싱상의 해당 유지 리브와 맞물린다. 케이싱의 중공형 코어 공간을 향하는 피봇 윙의 내면상에는 반경방향으로 향해 있는 견고한 로킹 쐐기 (cleat) 가 위치되며, 피봇 윙이 폐쇄될 때 이 쐐기는 파형관의 단부에서 1이상의 파형골과 맞물린다. 파형관의 단부와 이러한 종래 연결 요소의 연결은, 파형관이 중공형 코어 공간내에 삽입되고 계속해서 피봇 윙이 케이싱의 자켓상의 브리치내로 선회해서 폐쇄되고 유지 수단이 체결됨으로써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피봇 윙의 이러한 위치에서, 연결 요소와 파형관의 단부 사이에는 견고한 연결이 형성된다. 이러한 연결은 오직 보조 공구를 사용해서 해제될 수 있다. 실제로 이러한 접속 및 연결 요소가 사용될 때, 필요 조건은, 접속 및 연결 요소가 파형관의 단부에 연결되기 전에 완전히 준비된 상태에 있어야 하며, 또한 파이프 단의 삽입 후에는 어떠한 추가적인 단계도 필요치 않다는 것이다. 설치 후에 피봇 윙을 폐쇄하는 것이 종종 어려울 수 있거나 조립자에 의해 간과될 수도 있다.
케이싱으로부터 분리가능한 로킹 수단을 갖는 또 다른 연결 피팅이 독일특허 29 08 337호에 소개되어 있다. 이러한 연결 피팅의 경우에, 재킷을 통한 브리치가 또한 케이싱에 제공되고, 이 케이싱에는 C자형 로킹 수단이 반경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다. 중공형 코어 공간을 향해있는 케이싱의 내면의 이러한 로킹 수단상에는 견고한 리브가 제공되어 로킹 수단이 설치될 때 이 리브는 파형관의 단부에서 파형골과 맞물려 이 파형관을 블록시킨다. C자형 로킹 수단의 양쪽 단에는 연결 피팅의 케이싱상의 로킹 리브와 맞물리는 스톱 캠이 위치된다. 파이프 단이 연결 피팅의 중공형 코어 공간내로 삽입된 후에만 이러한 로킹 수단은 반경방향으로 삽입되어 로킹 위치로 이동된다. 로킹 수단은 연결 피팅의 케이싱에 대해 독립적이기 때문에, 이 로킹 수단은 분실될 위험이 있다. 연결 피팅이 바람직하지 않은 위치에 있는 경우에, 로킹 수단을 조립 위치에 정확하게 위치시키는 것이 또한 어렵다. 이러한 해법에서 로킹 연결의 해제는 또한 보조 공구를 사용해서 가능하며, 이러한 보조 공구에 의해 로킹 수단은 연결 피팅의 케이싱으로부터 분리되고, 이어서 반경방향 외부로 이동된다. 파형골이 로킹 수단의 임의의 부분과 맞물리지 않은 상태에서 파이프 단은 연결 피팅의 중공형 코어 공간으로부터 방해없이 당겨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파이프 단을 연결 피팅으로부터 손쉽고 장애없이 분리할 수 있다.독일 실용신안 DE-U-8 805 482호에는 또한 케이싱으로부터 분리가능한 로킹 수단을 갖는 연결 피팅이 도시되어 있다. 독일 특허 DE 29 08 337호에 개시된 상술한 바와 같은 해법과 대조적으로, 여기서는 반경방향 내부로 향해 있는 견고한 리브가 로킹 수단상에서 오직 파형관의 파형골의 부분 영역과 맞물린다. 나머지 부분에 있어서는, 이러한 로킹 수단은 동일하게 구현되어 동일한 작동 기능을 갖는다. 따라서, 연결의 설치 및 분리 시 동일한 단점 및 어려움을 수반한다.
본 발명은 케이싱에 의해 둘러싸인 1이상의 중공형 코어 공간과, 파이프 단을 수용하기 위한 삽입 개구와, 추가적인 로킹 수단을 수용하기 위한 케이싱 자켓의 1이상의 브리치 (breach) 와, 케이싱의 자켓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시프트-인 (shift-in) 및 시프트-아웃 (shift-out) 가능한 1이상의 로킹 수단과, 파형관의 자켓에 맞물리는 부분을 갖는 파형관용 접속 및 연결 요소에 관한 것이다.
도 1 은 펼친 상태에 있는 피봇 윙 형태의 2개의 로킹 수단을 갖는 연결 수단의 측면도.
도 2 는 피봇 윙 영역에서의 도 1 에 따른 연결 요소를 통한 단면도.
도 3 은 시프트-인 로킹 수단을 갖는 도 1 에 따른 연결 요소를 통한 종단면도.
도 4 는 로킹 접속-클립의 영역에서의 로킹 수단을 통한 단면도.
도 5 는 케이싱의 부분 단면을 갖는 C형 로킹 수단.
도 6 은 로킹 접속-클립 영역에서의 도 5 에 따른 로킹 수단을 통한 단면도.
본 발명의 과제는, 로킹 수단이 반경방향에서 파이프 케이싱의 자켓 밖으로 완전히 이동되거나 선회될 수 있는 파형관용 접속 및 연결 요소 또는 피팅을 제공함과 동시에, 연결 요소로의 파이프 단의 삽입은, 로킹 수단이 시프트-인 또는 폐쇄된 상태에서 가능하도록 된 파형관용 접속 및 연결 요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경우에, 사전에 조립된 연결 피팅 또는 연결 요소가 제공되어야 하며, 파이프 단이 케이싱의 중공형 코어 공간내로 삽입된 후에, 로킹 연결을 확보하기 위하여 어떠한 추가적인 단계도 필요치 않다.
이러한 과제는 청구항 1 의 특징부에 정의된 특징에 따라 해결된다. 본 발명의 효과적이고 또한 추가적인 개량은 종속 청구항의 특징부에 기초해서 명백해질 수 있다.
종래 피팅과 비교해서, 본 발명에 따른 접속 및 연결 요소는 과제의 구체화에 따라 주어지는 장점을 갖는다. 케이싱의 중공형 코어 공간을 향해 있으면서 로킹 수단의 내면상에 위치된 로킹 접속-클립 (locking splice-clip) 은 반경방향으로 위치하기 보다는 연결 요소 또는 중공형 코어 공간의 종축 방향에서 사실상 축방향으로 위치한다. 이에 따라, 로킹 수단과 로킹 접속-클립의 단부들 중의 하나의 단부와의 확고한 연결 및 다른 제 2 단부 영역의 자유로운 가동성이 확보된다. 전체 로킹 접속-클립 또는 일부분의 영역만이 탄성을 갖도록 구현될 수 있다. 로킹 접속-클립의 자유롭게 이동가능한 제 2 단부 영역과 로킹 수단의 내면상의 그루브 면 사이에는 자유 간극이 형성되어 자유단 영역의 가동성을 확보하고 있다. 케이싱의 중공형 코어 공간내로 삽입되는 파형관의 단부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로킹 접속-클립의 가동형 단부 영역상에는 로크 폴 (lock pawl) 이 형성되어 로크된 상태에서 파형관의 자켓상의 파형골 중의 하나와 맞물리게 된다. 파형관이 케이싱의 중공형 코어 공간내로 미끄럼이동될 때 이러한 로크 폴은 외측으로 이동되며, 이러한 이동은 로킹 접속-클립의 탄성과 로킹 접속-클립 뒤의 자유 간극으로 인해 가능하다. 삽입 방향에 대해 반대편으로 파형관상에 하중이 부과될 때, 즉 장력이 부과된 파이프와 피팅 양쪽에 상호 하중이 가해질 때, 로킹 접속-클립상의 로크 폴은 파형관의 자켓에 붙들려 파형골내에 걸리게 되고, 파이프를 피팅으로부터 더 이상 잡아당길 수 없는데, 그 이유는 로크 폴의 형태가 반경방향 항복을 방지하고, 이러한 걸림작용은 스프링 작용으로 인해 발생하기 때문이다. 로킹 연결의 해제는, 로킹 수단이 접속 또는 연결 요소의 자켓의 밖으로 반경방향으로 선회하거나 이동될 때에만 가능하다. 이러한 연결 해제는 종래와 같이 보조 공구의 도움을 받는 방식으로 가능하고, 특히 로킹 수단이 피봇 윙처럼 이루어져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C자형 보충 수단처럼 개조되거나 또는 케이싱으로 부터 반경방향으로 시프트-아웃될 수 있는 또 다른 형태로 되어 있는 경우에만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라 접속 및 연결 피팅을 구현함으로써, 파이프 단이 중공형 코어 공간내로 십입되기 전에, 케이싱과 로킹 수단의 폐쇄 또는 시프트-인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 추가적인 조립 단계 없이 해당 피팅의 사전 조립이 가능하며, 파이프 단이 피팅내로 삽입된 후 로킹 수단을 로킹 위치로 이동시킬 필요도 없다. 로킹 수단이 추가적인 수단으로서 구현될 때, 이러한 추가적인 수단은 피팅의 운반, 보관 및 설치 동안 분실될 위험이 없는 장점을 갖는데, 그 이유는 이 로킹 수단이 피팅내에 이미 설치되거나 시프트되어 로킹 위치에서 이 피팅과 해제가능하게 연결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구현예에 따라 결과적으로, 반경방향으로 시프트하지 않는 로킹 수단을 갖는 종래의 피팅의 장점은 유지되고, 또한 사전 조립이 가능하고 파이프 단이 시프트-인 로킹 수단을 사용하더라도 피팅내로 미끄럼이동될 수 있는 추가적인 장점을 획득할 수 있다. 연결을 분리하기 위하여, 로킹 수단은 보조 공구만으로도 간단하게 분리가능하며, 파이프 단과 피팅 간의 연결은 파이프 단 또는 로킹 수단에 손상을 가하지 않는 상태에서 분리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접속 및 연결 요소는 소정 횟수만큼 재사용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파이프와 연결 수단의 조립과 분리에 의해 로킹 수단상의 로크 폴 또는 로킹 접속-클립에 손상을 가하지 않기 때문이다. 반경방향으로 시프트하지 않는 로킹 수단을 갖는 종래의 접속 및 연결 요소의 종래 장점에 부가하여, 용이한 조작과 조립이 가능한 추가적인 장점이 획득된다.
계속해서, 본 발명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와 병행해서 더욱 상세하게 기술될 것이다.
도 1 에 도시된 접속 및 연결 요소 (1) 는 케이싱 (3) 및 나사 파이프 (27) 를 구비한다. 케이싱 (3) 에는 종축 (14) 방향으로 신장하는 중공형 코어 공간 (4) 이 위치된다. 이 중공형 코어 공간 (4) 은 파형관 (2) 의 단부를 수용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 파형관은 이 영역에서 케이싱 (3) 과 연결된다. 케이싱 (3) 상에는 각각 피봇 윙 (7) 형태로 된 2개의 로킹 수단이, 특히 힌지 (22) 에 의해 관절이음된다. 폐쇄 상태에서 각각의 피봇 윙 (7) 의 자유단은 케이싱 (3) 상에서 로킹 영역 (26) (도 2 참조) 과 맞물리고, 로킹 후크 (25) 에 의해 체결된다. 케이싱 (3) 및 피봇 윙 (7) 의 구현은 스위스특허 684 293호에 공지된 바와 같이 명확하다.
도 2 에는 도 1, 특히 선 A-A를 따라 취한 피팅의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힌지 (22) 에 의해 로킹 수단을 형성하는 각각의 피봇 윙 (7) 은 케이싱 (3) 과 연결된다. 피봇 윙 (7) 의 자유단 (23) 에는 유지 수단 (24) 이 형성되고, 이 유지 수단은 피봇 윙 (7) 의 폐쇄 상태에서 로킹 영역 (26) 과 맞물리며 또한 로킹 후크 (25) 와 상호 작동한다. 케이싱 (3) 에는 반경방향 브리치 (6) 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반경방향 브리치쪽으로 로킹 수단 또는 피봇 윙 (7) 이 시프트-인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2개의 이러한 브리치 (6) 는 상호 마주보도록 존재한다. 피봇 윙의 폐쇄 상태에서 케이싱 (3) 의 중공형 코어 공간 (4) 을 향해 있는 로킹 수단 (7) 의 내면 (10) 상에 여러 개의 로킹 접속-클립 (12) 이 위치된다. 이러한 로킹 접속-클립 (12) 의 구현은 로킹 접속-클립 (12) 의 영역에 로킹 수단 (7) 의 단면을 나타낸 도 4 로부터 명확하므로, 이러한 도 4 에 따라 설명된다. 각각의 로킹 접속-클립 (12) 은 로킹 수단 (7) 의 내면 (10) 과 제 1 단부 (15) 상에서 연결된다. 피봇 윙 (7) 의 시프트-인 상태에서 이러한 제 1 단부 (15) 는 케이싱 (3) 의 삽입 개구 (5) 를 향해 있다. 로킹 접속-클립 (12) 의 제 2 대향 단부 영역 (16) 은 자유롭게 이동가능하며 또한 케이싱 (3) 상의 중공형 코어 공간 (4) 의 삽입 개구 (5) 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그 결과, 로킹 접속-클립 (12) 은 사실상 중공형 코어 공간 (4) 의 종축 (14) 방향으로 신장한다. 지정된 예에서, 전체 로킹 수단 (7) 은 안정적 형태의 탄성 합성 물질로 제조되고, 각각의 로킹 접속-클립 (12) 은 스프링처럼 작용한다. 로킹 접속-클립 (12) 의 스프링 작용이 활용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로킹 접속-클립 (12) 의 제 2 자유단 영역 (16) 과 로킹 수단 (7) 의 내면 (10) 상의 그루브면 (18) 사이에는 간극 (20) 이 형성되어 있다. 로킹 접속-클립 (12) 의 자유단 영역 (16) 상으로 반경방향 힘이 가해져, 이러한 단부 영역 (16) 은 반경방향에서 간극 (20) 쪽으로 탄력적으로 변위될 수 있다. 각각의 로킹 접속-클립 (12) 의 제 2 자유단상에는 로크 폴 (17) 이 형성되어, 중공형 코어 공간 (4) 의 축 (14) 을 향해 반경방향으로 신장한다. 로크 폴 (17) 은 중공형 코어 공간 (4) 의 삽입 개구 (5) 쪽으로 향한 측면상에서 삽입 개구 (5) 로부터 거리를 두고 신장하는 경사진 램프 면 (31) 을 구비한다. 이러한 경사면에 인접한 대향면은 리테이닝 면 (32) 으로서 구현되며, 이 리테이닝 면 (32) 은 중공형 코어 공간 (4) 의 축 (14) 에 대해 대략 직각으로 신장하거나 램프 면 (31) 보다 다소 완만한 경사를 갖는다. 이에 따라 로크 폴 (17) 은 발톱형상을 갖도록 되어 있다. 만약 파이프 단이 로크 폴 (17) 에 대해 화살표 (33) 방향으로 미끄럼이동된다면, 이 로크 폴은 경사진 램프 면 (31) 으로 인해 반경방향으로 편향된다. 로크 폴 (17) 의 높이 (21) 는 로킹 접속-클립 (12) 뒤의 간극 (20) 과 대략 동일해서 파이프 단이 방해받지 않고 미끄럼이동될 수 있다. 파이프 단이 완전히 미끄럼이동되자 마자 로크 폴 (17) 은 파이프 (2) 의 자켓 (9) 상의 파형골내로 스냅끼워맞춤되고, 화살표 (33) 방향에 대해 역방향의 잠재적 이동을 블록 (block ) 시킨다. 블록되지 않은 위치에서, 각각의 로킹 접속-클립 (12) 과 그루브면 (18) 사이에는 0°에서 대략 30°사이의 각도 (38) 가 형성되어 있다. 그루브면 (18) 은 중심축 (14) 에 대해 평행하게 신장하고, 로킹 접속-클립 (12) 은 평행하거나 내부를 향해 수렴하도록 신장한다. 로크 폴 (17) 의 형상 또는 로킹 접속-클립 (12) 상의 평행하거나 다소 경사진 중심부 (28) 에 의해 화살표 (33) 방향에 대향하는 하중을 받는 로크 폴 (17) 이 중공형 코어 공간 (4) 의 중심축 (14) 방향으로 맞물림되고 또한 미끄럼이동된 파이프단 (2) 이 케이싱 (3) 내에 유지된다. 로킹 접속-클립 (12) 의 중심부 (28) 는 중공형 공간 (20) 쪽 외부를 향해 탄력적으로 휘고, 로크 폴 (17) 은 반경방향 내부로 가압된다.
도 3 에는, 파이프 (2) 의 단부가 그의 내부로 미끄럼이동되고, 로킹 윙 (7)이 시프트-인되어 로킹 위치에 체결되도록 되어 있는 피팅이 도시되어 있다. 로크 폴 (17) 은 파이프 (2) 의 자켓 (9) 상의 파형골 (34) 내로 시프트되어, 파이프가 케이싱 (3) 의 밖으로 빼내지지 않도록 로크한다. 잠재적인 당김힘에 의해 로크 폴 (17) 과 파이프 (2) 의 자켓의 증대된 맞물림이 야기되어 케이싱 (3) 의 중공형 코어 공간 (4) 으로부터 파이프 (2) 를 밖으로 빼내는 것은 불가능하게 된다. 케이싱 (3) 에서 파이프를 빼내는 것은 피봇 윙 (7) 이 브리치 (6) 밖의 반경방향으로 선회하거나 시프트하는 경우에만 가능하므로 로킹 접속-클립 (12) 및 관련 로크 폴 (17) 이 또한 파형관 (2) 의 자켓 (9) 으로부터 시프트-아웃된다. 중공형 코어 공간 (4) 의 내측 단에는 케이싱 (3) 에 대해 파이프 (2) 의 자켓 (9) 을 시일하는 시일 (seal, 40) 이 설치된다.
2이상의 로킹 접속-클립 (12) 을 갖는 도 1 내지 도 4 와 관련해서 기술된 로킹 수단 (7) 은 소정 횟수만큼 시프트-인되고 시프트-아웃될 수 있다. 파이프 (2) 와 케이싱 (3) 사이에서 로킹 연결을 확보하거나 이 연결을 분리할 때, 로킹 수단 (7) 에 손상이 가해지지 않아 여러번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로킹 연결은 상당히 견고하므로 파이프 (2) 상에 가해지는 상당한 당김힘을 견딘다.
도 5 에는 추가적인 수단으로서 사용된 로킹 수단 (8) 이 도시되어 있다. 자켓상의 연결 요소 (1) 의 케이싱 (3) 에는 반경방향 브리치 (6) 가 위치되고, 이 브리치 내로 로킹 수단 (8) 이 반경방향으로 미끄럼이동된다. 로킹 수단 (8) 은 C자형상이며, 그의 자유단에서는 케이싱 (3) 상의 가이던스 (35) 내로 십입되어 리브 (36) 와 상호 작동하는 유지 수단 (30) 을 구비한다. 로킹 수단 (8) 과 케이싱 (3) 사이의 연결을 나타내기 위하여, 연결 요소 (1) 의 케이싱 (3) 은 좌측영역에서 부분단면으로만 도 5 에 도시되어 있다. 파형관 (2) 과 추가적인 수단 (8) 형태의 로킹 수단을 갖는 케이싱 (3) 사이의 이러한 연결 형태에 관한 또 다른 상세한 설명은 독일특허 DE 29 08 337 에 따라 알려진 바와 같은 배치에 해당한다. 본 발명에 따른 로킹 수단 (8) 상의 배치에서 로킹 접속-클립 (13) 은 케이싱 (3) 의 중공형 코어 공간 (4) 을 향한 로킹 위치쪽의 내면 (11) 상에 위치된다.
도 6 은 로킹 접속-클립 (13) 의 영역에서 도 5 에 따른 로킹 수단 (8) 을 통한 반경방향 단면을 나탄낸다. 로킹 수단 (8) 의 시프트-인 상태에서, 로킹 수단 (8) 의 단면 (37) 은 중공형 코어 공간 (4) 의 삽입 개구 (5) 를 향해 있다 (도 1 참조). 로킹 접속-클립 (13) 의 제 1 단부 영역 (15) 은 단면 (37) 의 영역에서 내면 (11) 과 연결된다. 단면 (37) 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로킹 접속-클립 (13) 의 제 2 단부 영역 (16) 은 자유롭게 이동가능하고, 로킹 접속-클립 (13) 은 중공형 코어 공간 (4) 의 종축 (14) 에 가까운 방향으로 향해 있다. 본 실시예의 로킹 수단 (8) 은 또한 안정적 형태의 탄성 합성물질로 제조되며, 이 합성물질은 로킹 접속-클립 (13) 에 스프링 기능을 부여하는 정도의 강도가 있다. 로킹 접속-클립 (13) 의 자유단 영역 (16) 에는 로크 폴 (17) 이 구현되어 있으며, 이 로크 폴은 단면 (37) 방향에서 경사진 램프 면 (31) 을 갖는다. 램프 면 (31) 에 인접한 대향하는 리테이닝 면 (32) 은 중공형 코어 공간 (4) 의 종축 (14) 에 대해 대략 반경방향으로 신장하거나 램프 면 (31) 보다 다소 완만한 경사면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 로킹 수단 (8) 의 내면 (11) 상에는 그루브 면 (19) 을 갖는 그루브가 또한 구현되어 있으며, 이러한 그루브 면 (19) 과 로킹 접속-클립 (13) 의 자유단 영역 (16) 사이에는 자유 간극 (20) 이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로킹 접속-클립 (13) 은 그루브 면 (19) 과 0°내지 대략 30°사이의 각도 (39) 를 형성한다. 로킹 접속-클립 (13) 이 그루브 면 (19) 과 접촉하고 로크 폴 (17) 이 실질적으로 그루브내로 밀려들어갈 때까지 이 로킹 접속-클립은 반경방향에서 외부로 가압될 수 있다. 로킹 접속-클립 (13) 의 이러한 편향은 화살표 (33) 방향에서 램프 면 (31) 에 걸쳐 파이프 단을 삽입함으로써 발생한다. 파형관 (2) 이 연결 요소 (1) 에 확실히 삽입되고, 추가적인 수단을 형성하는 로킹 수단 (8) 이 케이싱 (3) 내로 시프트-인되어 유지 수단 (30) 과 리브 (36) 에 의해 로크될 때, 로크 폴 (17) 은 파형관 (2) 상의 1이상의 파형골에서 로킹 접속-클립 (13) 상으로 작용해서 케이싱 (3) 으로부터 종축 (14) 방향으로 또는 화살표 (33) 방향의 반대편으로 빼내지지 않도록 로킹 접속-클립을 블록시킨다. 파형관 (2) 과 케이싱 사이의 연결 해제는 로킹 수단 (8) 이 케이싱 (3) 상의 브리치 (6) 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시프트-아웃되고, 파형관 (2) 이 해제되는 경우에만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탄성 로킹 접속-클립 (13) 을 갖는 로킹 수단 (8) 이 또한 소정 횟수만큼 재사용가능한데, 그 이유는 파형관 (2) 과 케이싱 (3) 사이의 연결 설치 및 분리 중에 로킹 수단 (8) 과 로킹 접속-클립 (13) 에 어떠한 손상도 발생하지 않기 때문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러한 형태의 로킹 수단 (8) 은 파형관 (2) 과 연결 요소 (1) 사이의 확고한 연결을 확보한다. 로크 폴 (17) 을 갖는 로킹 접속-클립 (13) 의 작용은 도 4 에 기술된 바와 동일하다. 본 발명에 따른 구현예 및 파이프 (2) 상에 가해지는 당김력을 증가시킨 로킹 접속-클립 (13) 의 배치에 의해 로크 폴 (17) 의 파이프 자켓에 대한 맞물림 작용이 증대된다. 하중이 제거된 상태에서 어려움 없이 분리가 가능하고 공지된 방법으로 보조 공구의 사용이 가능하다.

Claims (7)

  1. 케이싱 (3) 에 둘러싸인 1이상의 중공형 코어 공간 (4) 과, 파이프 단을 수용하기 위한 삽입 개구 (5) 와, 추가적인 로킹 수단 (7; 8) 을 수용하기 위한 케이싱 자켓 (3) 의 1이상의 브리치 (6) 와, 상기 케이싱 (3) 의 자켓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시프트-인 및 시프트-아웃 가능한 1이상의 로킹 수단 (7; 8) 과, 파형관 (2) 의 자켓 (9) 에 맞물리는 부분 (17) 을 갖는 파형관 (2) 용 접속 및 연결 요소 (1) 에 있어서, 상기 파형관 (2) 의 자켓 (9) 을 향해 있는 상기 로킹 수단 (7; 8) 의 내면 (10; 11) 상에는 2이상의 로킹 접속-클립 (12; 13) 이 상기 중공형 코어 공간 (4) 의 종축 (14) 방향으로 향해 있고, 상기 로킹 접속-클립 (12; 13) 의 제 1 단부 영역 (15) 은 상기 로킹 수단 (7; 8) 의 내면 (10; 11) 과 연결되고, 제 2 단부 영역 (16) 은 상기 중공형 코어 공간 (4) 의 상기 파형관 (2) 을 위한 삽입 개구 (5) 로부터 거리를 두고 떨어져 있고 또한 자유롭게 이동가능하며, 각각의 상기 로킹 접속-클립 (12; 13) 의 1이상의 부분 영역은 탄력적이도록 되어 있어 스프링처럼 작용하고, 각각의 상기 로킹 접속-클립 (12; 13) 의 자유단 영역 (16) 에는 로크 폴 (17) 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로크 폴 (17) 은 상기 중공형 코어 공간 (4) 의 종축 (14) 을 향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및 연결 요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수단은 피봇 윙 (7) 이고, 상기 피봇 윙 (7) 은 힌지 (22) 에 의해 상기 케이싱 (3) 과 하나의 측면에서만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피봇 윙 (7) 의 다른 선회 단부 (23) 에는 유지 수단 (24) 이 위치되고, 상기 로킹 수단 (7) 이 시프트-인 위치에 위치된 후 상기 유지 수단은 상기 케이싱 (3) 상의 로킹 후크 (25) 와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및 연결 요소.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수단은 상기 케이싱 (3) 에 대해 독립적인 추가적인 수단 (8) 이며, 상기 추가적인 수단 (8) 은 상기 케이싱 (3) 의 브리치 (6) 내에 반경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고, 상기 추가적인 수단 (8) 상에는 유지 수단 (30) 이 위치되며, 상기 로킹 수단 (8) 의 시프트-인 위치에서 상기 유지 수단 (30) 은 상기 케이싱 (3) 상의 유지 리브 (36) 와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및 연결 요소.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 폴 (17) 은 상기 중공형 코어 공간 (4) 의 종축 (14) 에 대해 대략 반경방향으로 향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및 연결 요소.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로킹 접속-클립 (12; 13) 의 자유단 영역 (16) 과 상기 로킹 수단 (7; 8) 의 내면 (10; 11) 상의 그루브 면 (18; 19) 사이에는 간극 (20) 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간극 (20) 의 크기가 상기 로크 폴 (17) 의 반경방향 높이 (21) 이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및 연결 요소.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접속-클립 (12; 13) 의 로크 폴 (17) 은 상기 삽입 개구 (5) 를 향해 있는 상기 중공형 코어 공간 (4) 의 측면 상에서 상기 중공형 코어 공간 (4) 의 삽입 개구 (5) 로부터 이격되어 신장하는 경사진 램프 면 (31) 을 갖고, 대향하는 리테이닝 면 (32) 은 상기 중공형 코어 공간 (4) 의 축 (14) 에 대해 대략 직각방향으로 신장하거나 상기 램프 면 (31) 보다 다소 완만한 경사도로 신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및 연결 요소.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수단 (7; 8) 이 시프트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로킹 접속-클립 (12; 13) 과 상기 그루브 면 (18; 19) 사이에는 최대 30°의 각도 (38; 39) 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및 연결 요소.
KR1019997007918A 1997-03-07 1998-02-11 파형관용 접속 및 연결 요소 Expired - Lifetime KR1003448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H54697 1997-03-07
CH546/97 1997-03-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5842A KR20000075842A (ko) 2000-12-26
KR100344860B1 true KR100344860B1 (ko) 2002-07-20

Family

ID=4189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7918A Expired - Lifetime KR100344860B1 (ko) 1997-03-07 1998-02-11 파형관용 접속 및 연결 요소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6254145B1 (ko)
EP (1) EP0965014B1 (ko)
JP (1) JP2001514723A (ko)
KR (1) KR100344860B1 (ko)
CN (1) CN1104580C (ko)
AT (1) ATE219826T1 (ko)
AU (1) AU728056C (ko)
BR (1) BR9808826A (ko)
CA (1) CA2282754C (ko)
DE (1) DE59804578D1 (ko)
ES (1) ES2141067T3 (ko)
ID (1) ID22855A (ko)
IL (1) IL131537A (ko)
WO (1) WO199804065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05809A1 (de) * 1999-02-12 2000-08-31 Witzenmann Metallschlauchfab Anschlußverbindung und Anschlußelement für ringgewellte Schlauchleitungen
DE19907412C2 (de) 1999-02-20 2000-12-21 Karl Weinhold Kupplung für Stahlwendelschläuche
DE19911724C1 (de) * 1999-03-16 2000-10-26 Pma Ag Uster Wellrohrverbindung mit Sperrabschnitt
DE19945751B4 (de) * 1999-08-21 2004-06-24 Flexa Gmbh & Co Kg Befestigungskupplung für Wellrohre
JP3585887B2 (ja) 1999-08-21 2004-11-04 フレクサ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ウント コンパニー コマンディートゲゼルシャフト 波形管のための固定カップリング
US6478342B1 (en) * 1999-10-12 2002-11-12 Shop Vac Corporation Swivel coupling for a hose
JP3468289B2 (ja) * 2000-01-18 2003-11-17 東拓工業株式会社 管の接続構造
CA2718929C (en) * 2000-10-16 2014-02-18 Weatherford/Lamb, Inc. Coupling apparatus
US6899359B2 (en) * 2000-10-18 2005-05-31 David W. Presby Means for coupling conduit
GB0202303D0 (en) * 2002-02-01 2002-03-20 Smiths Group Plc Pipe couplings
JP3944067B2 (ja) * 2002-12-04 2007-07-11 矢崎総業株式会社 防水グロメット
DE10261557B4 (de) * 2002-12-23 2005-06-02 Weinhold, Karl, Dipl.-Ing. Kupplung für Stahlwendelschläuche
DE10322972B4 (de) * 2003-05-21 2013-12-24 Continental Automotive Gmbh Verbindungselement
DE10357892A1 (de) * 2003-12-11 2005-07-14 A. Raymond & Cie Vorrichtung zum Verbinden mit einem Ende eines Wellrohres
WO2006004720A2 (en) 2004-06-25 2006-01-12 Omega Flex, Inc. Reusable fitting for tubing
US20070296212A1 (en) * 2004-07-16 2007-12-27 Ernst Schwarz Connector and Adapter Piece for Corrugated Pipes
CN100424397C (zh) * 2004-08-23 2008-10-08 亚德利企业有限公司 浪管快速接头结构
DE102004062207B3 (de) * 2004-12-23 2005-10-20 Kirchner Fraenk Rohr Verbindungseinrichtung
EP1931904B1 (de) * 2005-10-03 2010-03-31 Pma Ag Verbindungs- und anschlussstück für wellrohre
US7547048B2 (en) * 2005-12-09 2009-06-16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Fluid quick connector with integral pivotal retainer
US7431343B2 (en) * 2007-03-06 2008-10-07 Teh-Tsung Chiu Joint structure for quickly connecting corrugated pipe
DE102007040745B3 (de) * 2007-08-28 2008-11-27 Flexa Gmbh & Co. Produktion Und Vertrieb Kg Verbindungs- und Anschlussstück für einen Wellenschlauch
US7735876B2 (en) * 2008-01-03 2010-06-15 Avc Industrial Corp. Fastening device for cable and wave hose
US7614664B1 (en) * 2008-04-16 2009-11-10 Yea Der Lih Enterprise Co., Ltd. Fast-connecting joint for corrugated pipes
DE102011004925A1 (de) * 2011-03-01 2012-09-06 Fränkische Industrial Pipes GmbH & Co. KG Rohrverbindungsvorrichtung und Rohrverbindungsanordnung
EP2744386B1 (en) * 2011-08-19 2018-12-19 Cook Medical Technologies LLC Cap for attachment to an endoscope
US8371620B1 (en) * 2011-09-22 2013-02-12 Tsai-Chen Yang Quick connector
US9022433B2 (en) * 2012-03-21 2015-05-05 Tsai-Chen Yang Quick connector adapted for a male adapter to connect thereto
KR200473779Y1 (ko) 2013-03-18 2014-07-31 주식회사 코뿔소 주름관용 조인트 장치
US9601914B2 (en) 2014-01-13 2017-03-21 Avc Industrial Corp. Cable and flexible conduit gland assembly
US9231397B2 (en) 2014-01-13 2016-01-05 Avc Industrial Corp. Cable gland assembly
EP3509173A1 (en) * 2014-06-24 2019-07-10 TE Connectivity Nederland B.V. Corrugated tube for protecting a cable, fastener for coupling a housing on the corrugated tube and seal element for sealing the corrugated tube against the housing
DE202014005766U1 (de) * 2014-07-15 2014-07-24 Wiska Hoppmann & Mulsow Gmbh Schlauchverschraubung
DE102014219076A1 (de) 2014-09-22 2016-03-24 Fränkische Industrial Pipes GmbH & Co. KG Verbindungsanordnung
CN104466833B (zh) * 2014-11-14 2018-05-22 宁波中车时代传感技术有限公司 波纹软管接头
US10807341B2 (en) 2015-08-04 2020-10-20 Federal-Mogul Powertrain Llc Thermal sleeve with reflective positioning member, assembly therewith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US11477934B2 (en) 2019-01-11 2022-10-25 Cnh Industrial Canada, Ltd. Wing hinge coupling device
CN112503075B (zh) * 2020-12-21 2025-05-13 倍仕得电气科技(杭州)股份有限公司 一种波纹管接头
US20240159335A1 (en) * 2022-10-24 2024-05-16 Timothy J. Rosenwinkel Adaptive tile coupling
DE102023102600A1 (de) * 2023-02-02 2024-08-08 Fränkische Industrial Pipes GmbH & Co. KG Verbindungsanordnung zur Verbindung mit einem Ende eines Wellrohrs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47819A (en) * 1966-12-30 1969-06-03 Adolph W Borsum Push-pull connector having combined seal and locking ring
SE331008B (ko) * 1968-02-19 1970-12-07 Metallverken Essem Plast Ab
US3731955A (en) * 1971-09-24 1973-05-08 A Borsum Push-pull connector having a shear-resistant locking ring
CA1272499A (en) * 1986-02-06 1990-08-07 Commander Electrical Materials, Inc. Connector for corrugated tubing
JP2557399B2 (ja) * 1987-04-28 1996-11-27 北川工業株式会社 波形管接続具
JPH0510498Y2 (ko) * 1987-04-28 1993-03-15
US4836580A (en) * 1988-03-01 1989-06-06 Scepter Manufacturing Company Limited Conduit connector
FR2629893B1 (fr) * 1988-04-11 1991-04-05 Sofanou Sa Piece de fixation et de raccord pour tubes anneles
DE4020171C1 (ko) * 1990-06-25 1991-12-05 Flexa Gmbh & Co Kg
DE9007056U1 (de) * 1990-06-25 1990-09-27 Flexa GmbH & Co Produktion und Vertrieb KG, 6450 Hanau Verbindungselement für Wellrohre und Schläuche
US5462313A (en) * 1993-10-26 1995-10-31 Form Rite Corporation Quick connect coupling
US5813705A (en) * 1996-06-18 1998-09-29 Victaulic Company Of America Snap-action pipe coupling retai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282754C (en) 2007-09-04
AU728056C (en) 2001-07-19
KR20000075842A (ko) 2000-12-26
US6254145B1 (en) 2001-07-03
ATE219826T1 (de) 2002-07-15
IL131537A (en) 2002-12-01
IL131537A0 (en) 2001-01-28
CA2282754A1 (en) 1998-09-17
CN1104580C (zh) 2003-04-02
DE59804578D1 (de) 2002-08-01
AU728056B2 (en) 2001-01-04
CN1249806A (zh) 2000-04-05
BR9808826A (pt) 2000-07-04
JP2001514723A (ja) 2001-09-11
ID22855A (id) 1999-12-09
EP0965014A1 (de) 1999-12-22
EP0965014B1 (de) 2002-06-26
ES2141067T3 (es) 2002-12-16
ES2141067T1 (es) 2000-03-16
WO1998040656A1 (de) 1998-09-17
AU5745598A (en) 1998-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4860B1 (ko) 파형관용 접속 및 연결 요소
US5112086A (en) Coupling device for a corrugated pipe or hose
JP4199926B2 (ja) 自動的な取付け表示器を備えた解離可能な迅速カップリング
KR101096008B1 (ko) 퀵-커넥트 엔드 피팅
JP2880453B2 (ja) 配管用継手装置のリテーナ
US6155610A (en) Snap-fastenable coupling for a fluid-transfer hose
US9109617B2 (en) Self-closing positive engagement clip
US8720952B2 (en) Connector
JP3137110B2 (ja) 成形されたクリップ
RU2467242C1 (ru) Соединительный элемент для соединения по жидкости
HUT52223A (en) Joint piece for corrugated metal tub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joint piece
GB2339873A (en) A plug-in coupling for connecting two fluid pipelines
KR950029654A (ko) 2개의 유체 라인을 결합시키기 위한 압입 연결기
US5353478A (en) Hose clamp
US20060208485A1 (en) Connection element for the transport of gaseous, liquid or solid materials
KR100892014B1 (ko) 삽입 및 잠금형 라인 커넥터
US6672625B2 (en) Separable rapid-action coupling with safety lock
EP0800006A2 (en) Fastening device for an actuating cable
EP0789824A1 (en) Quick connector
KR100193346B1 (ko) 파이프 커플링 및 이에 대한 커플링 체결 돌기의 플러그
EP1219884B1 (en) Hose coupling assembly
CN114651147B (zh) 流体管路联接器
KR101910221B1 (ko) 플러그 커넥터
KR930009043B1 (ko) 호스클램프
RU2754345C1 (ru) Чистящая насадка для основы швабры с планкам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90830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9120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204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07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207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6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6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61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61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61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6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62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62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624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701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8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618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6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616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616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EXPY Expiration of term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180811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