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339968B1 - 가요성 회로 도체의 루우트를 정하기 위한 장치및 방법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가요성 회로 도체의 루우트를 정하기 위한 장치및 방법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9968B1
KR100339968B1 KR1019980043191A KR19980043191A KR100339968B1 KR 100339968 B1 KR100339968 B1 KR 100339968B1 KR 1019980043191 A KR1019980043191 A KR 1019980043191A KR 19980043191 A KR19980043191 A KR 19980043191A KR 100339968 B1 KR100339968 B1 KR 1003399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hinge
slot
shaft
flexible circui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31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7130A (ko
Inventor
마이클 피. 머레이
스티븐 씨. 에머트
Original Assignee
비센트 비.인그라시아, 알크 엠 아헨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센트 비.인그라시아, 알크 엠 아헨,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비센트 비.인그라시아, 알크 엠 아헨
Publication of KR199900371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71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99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9968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16C11/10Arrangements for lock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16C11/12Pivotal connections incorporating flexible connections, e.g. leaf spring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2External expansion units, e.g. docking st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58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the mounting of internal components, e.g. disc drive or any other functional modu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62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ed keyboar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79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for locking or maintaining the movable parts of the enclosure in a fixed position, e.g. latching mechanism at the edge of the display in a laptop or for the screen protective cover of a PD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3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for the transmission of signal or power between the different housings, e.g. details of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passage of cab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5/00Flexible or turnable line connectors, i.e. the rotation angle being limited
    • H01R35/02Flexible line connectors without frictional contact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80/00Electrical apparatu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1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telephon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무선 전화기 등의 전자 장치는 제1 힌지 개구(2207) 및 이 힌지 개구에 인접한 슬롯(2208)을 형성하는 하부 하우징(108)을 포함한다. 상부 하우징(102)은 내부 회전 표면(2226)을 갖는 제2 힌지 개구(2223)를 형성한다. 축(2210)은 제1 힌지 개구에서 제1 하우징으로부터 연장된다. 상기 축은 제2 하우징이 제1 하우징에 대하여 이동할 때 내부 회전 표면이 지지 표면 상에서 피봇되는 상태에서 제2 힌지 개구에의 삽입을 위한 크기를 취하고 지지 표면(2216)에서 종결된다. 축 및 지지 표면 양자는 가요성 회로 요소(216)를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 사이에서 움직이기 위해 제1 하우징의 슬롯에 나란한 축 슬롯(2218)을 형성한다.

Description

가요성 회로 도체의 루우트를 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본 발명은 대개 도체(conductor)를 루우팅(routing)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가요성 회로 도체의 루우트를 정하기 위한 개선된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 장치, 특히 휴대용 전자 장치는 크기 및 중량을 지속적으로 줄여왔다. 그러한 휴대용 전자 장치의 하나의 예로서 휴대용 소형 무선 호출기(pager) 또는 무선 전화기와 같은 휴대용 통신 기기가 있다.
크기 및 중량의 감소는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한다. 전자 장치가 더 소형화되면 더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게 되어 더 많은 장소에서 더 많은 용도로 이용될 수 있다. 더 작고 더 가벼운 전자 장치는 간편한 휴대를 위해 설계된다.
전자 장치의 크기를 줄이기 위한 하나의 기술은 작동 회로를 내장한 하나 이상의 하우징을 제공한다. 적재(stowed) 위치, 신장되거나 절첩되지 않은 위치에서 작동 위치로 전자 장치의 크기를 줄이기 위해 또 다른 하우징 요소에 대해 절첩될 수 있는 가동 하우징 요소가 마련된다. 그러한 전자 장치의 예는 힌지식 키이패드(keypad) 덮개를 구비한 형태 및 대합조개(clam shell) 형태의 절첩식 무선 전화기를 포함한다.
그러나, 절첩식 하우징 요소의 이용 중에, 별도의 하우징 요소 내의 작동 회로가 통신이 이루어져야 한다. 일예로, 힌지식 키이패드 덮개를 갖춘 무선 전화기는 주 하우징 내의 주 무선 회로에 전기적으로 결합되어야 하는 키이패드 덮개 내에 마이크로폰 또는 안테나를 포함하여 왔다. 가요성 회로 요소, 또는 만곡 스트립, 또는 코드(flex)는 가요성 기판 상의 금속 도체를 이용하여 전기 신호를 운반하도록 개발되어 왔다.
전자 장치의 크기가 지속적으로 줄어들면서, 다중 하우징 요소 간의 작동 회로를 더 균일하게 분배하려는 욕구가 잔존해왔다. 이는 가요성 회로 요소가 증가된 수의 신호를 취급하기 위해 더 많은 도체 또는 트레이스를 구비해야 함을 의미한다. 더 많은 도체는 가요성 회로 요소의 폭을 증가시킨다. 그러나, 더 넓은 만곡 스트립은 하우징 요소 간의 루우팅 및 인쇄 배선(wiring) 기판(PWB)으로의 접속의 또 다른 문제를 야기시킨다.
하나의 공지된 대합조개형 무선 전화기 설계에 있어서, 상부 및 하부 하우징 사이의 힌지 요소는 하우징 사이의 코드를 루우팅하는 만곡 배럴을 제공하도록 방해를 받게 된다. 이러한 무선 전화기는 가동 하우징이 그 위에서 피봇되는 고정 축 뿐만 아니라 코드의 루우팅을 위한 고정식 외부 노출 하우징을 이용한다. 그렇게 많은 요소의 이용은 조립을 복잡하게 하여 무선 전화기의 제작비를 증가시킨다. 또한, 만곡 회로는 그것이 만곡 배럴로부터 하우징으로 어디를 통과하는지를 언제나 볼 수 있다. 그 만곡 회로는 눈에 보이기 때문에, 그 회로는 또한 손상되기 쉽고 무선 전화기의 외관을 떨어뜨릴 수 있다.
인쇄 배선 기판에서, 만곡 스트립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야 한다. 무삽발력(zero insertion force(ZIF))커넥터와 같은 커넥터는 만곡 스트립의 단부를 기계적으로 수용하고 코드 상의 도체 또는 트레이스 및 인쇄 배선 기판 상의 도체 사이에 전기 접속을 이루도록 개발되어 왔다. 그러나, 무삽발력 커넥터 상의 전기 커넥터의 간격은 제조 공차에 의해 제한된다. 현재의 허용 한도는 대개 0.50mm 도체 피치이다. 많은 트레이스를 구비한 코드와 함께 사용될 때, 그러한 커넥터는 실제 사용하기에는 너무 크다. 30 개의 트레이스를 갖는 만곡 스트립은 15mm 이상의 폭을 갖는 커넥터를 필요로 한다. 이러한 커넥터는 많은 소형 전자 장치의 인쇄 배선 기판 상에 수용하기에는 너무 크다. 또한, 15mm 폭의 만곡 스트립의 루우트를 정하는 것은 기계적으로 가능하지 않으며, 소형의 기계적 특징을 제공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그 기술 분야에서 전자 장치 내의 가요성 회로 요소의 루우트를 정하기 위한 개선된 방법 및 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본 발명의 신규한 특징은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과 함께 본 발명은 첨부 도면과 연관된 이하의 설명을 참고함으로서 잘 알 수 있으며,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나타낸다.
도1은 개방 위치에서의 무선 전화기의 사시도.
도2는 폐쇄 위치에서의 도1의 무선 전화기의 사시도.
도3은 무선 전화기의 상부 하우징의 상부 분해 사시도.
도4는 무선 전화기의 상부 하우징의 기부 분해 사시도.
도5는 도1의 선5-5'를 따라 취한 상부 하우징의 단면도.
도6은 도1의 선6-6'를 따라 취한 상부 하우징의 단면도.
도7은 도1의 무선 전화기의 기부 하우징의 제1 분해도.
도8은 도1의 무선 전화기의 기부 하우징의 제2 분해도.
도9는 도2의 선9-9'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10은 도2의 선10-10'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11은 도1의 선11-11'를 따라 취한 무선 전화기의 단면도.
도12는 사용자의 손가락의 일부가 손가락 위치 설정부(locator)에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자의 손에 의해 유지된 무선 전화기의 사시도.
도13은 무선 전화기의 안테나의 분해도.
도14는 안테나의 단면도.
도15는 수축 위치에서의 랜야드 베일(lanyard bail)을 도시한 도15의 선18-18'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16은 신장 위치에서의 랜야드 베일을 도시한 도16의 선18-18'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17은 수축 위치에서의 랜야드 베일을 도시한 도16의 선20-20'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18은 신장 위치에서의 랜야드 베일을 도시한 도16의 선20-20'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19는 도1의 무선 전화기 부분의 제1 분해도.
도20은 도19의 무선 전화기 부분의 제2 분해도.
도21은 도20의 선 24-24'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22는 도19의 선 25-25'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23은 도19의 선 26-26'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24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가요성 회로 요소의 평면도 및 배면도.
도25는 도1의 무선 전화기의 상세도.
도26은 도1의 무선 전화기의 상세도.
도27은 도1의 무선 전화기에 사용되는 스위치 조립체의 제1 실시예의 등각도.
도28은 도27의 스위치 조립체의 배면 등각도.
도29는 도27의 스위치 조립체의 상부 평면도.
도30은 도27의 스위치 조립체의 정면도.
도31은 도1의 무선 전화기에 사용되는 스위치 조립체의 제2 실시예의 등각도.
도32는 도31의 스위치 조립체의 배면 등각도.
도33은 도31의 스위치 조립체의 분해도.
도34는 도1의 무선 전화기의 작동 블록선도.
도35는 힌지를 더 도시한 도1의 무선 전화기의 부분 분해 사시도.
도36은 도35의 힌지의 캠의 사시도.
도37은 도35의 힌지의 종동부의 사시도.
도38은 개방 위치에서의 도1의 절첩식 장치의 통합된 부분 기부 사시도.
도39는 도36의 캠의 프로파일을 2차원으로 도시한 그래프.
도40은 페쇄 위치에서의 도1의 절철식 장치의 통합된 부분 상부 사시도.
도41은 도1의 선 44-44를 따라 취한 도1의 절첩식 장치의 상부 하우징의 부분 단면도.
도4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전화기 및 충전 기부(4500)의 분해도.
도43은 본 발명에 따른 충전 기부(4500)의 상부 평면도.
도44는 본 발명에 따른 충전 기부(4500)의 폐쇄 위치에서의 무선 전화기(100)의 상부 평면도.
도45는 본 발명에 따른 충전 기부(4500)의 폐쇄 위치에서의 무선 전화기(100)의 상부 평면도.
도46은 본 발명에 따라 선49-49에서 취한 도44의 무선 전화기 및 충전 기부의 단면도.
도47은 본 발명에 따라 선50-50에서 취한 도44의 무선 전화기 및 충전 기부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2 : 상부 하우징
108 : 기부 하우징
113 : 제1 안내 슬롯
116 : 안테나
118 : 커넥터
204 : 렌즈
316 : 가요성 회로 요소
320 : 섀시
342 : 스피커
346 : 디스플레이
도1에서의 사시도는 폐쇄 위치에서의 무선 전화기(100)를 도시한다. 무선 전화기(100)는 후방부(104)와 정면부(106)를 구비한 상부 하우징(102)과, 정면부(110)와 후방부(112)를 구비한 기부 하우징(108)을 포함한다. 기부 하우징의 후방부는 나머지 도면에서 더 상세히 도시되는 제1 안내 슬롯(113)을 포함한다. 기부 하우징은 또한 바람직하게 무선 전화기의 측면 상의 스위치 조립체(114)와 무선 전화기의 후방(117)으로부터 연장하는 안테나(116)를 포함한다. 커넥터(118)는 또한 대개 데이터의 입력/출력을 가능하게 하거나 또는 담배 라이터 어댑터용 포트를 제공하기 위해 마련된다. 발광 다이오드(LED)용 광 안내부와 같은 지시기(120)는 무선 전화기의 힌지의 너클(knuckle) 내에 합체된다. 최종적으로, 상부 하우징의 후방부(104)는 손가락 설정부(locator)(124)를 구비한 상부면(122)을 포함한다.
이제 도2로 돌아가서, 개방 위치에서의 무선 전화기(100)는 기부 하우징(108)에 힌지식으로 연결된 상부 하우징(102)을 도시한다. 상부 하우징의 정면부(106)는 기부면(203)에 형성된 수신부(202)와 상부 하우징의 개구 내에 위치한 렌즈(204)를 포함한다. 기부 하우징의 정면부(110)는 제1 너클(206)와 상부 하우징(102)의 제2 너클(210)에 결합되는 제3 너클(208)를 포함한다. 힌지의 작동에 대해서는 나머지 도면을 참고로 하여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3 및 도4는 각각 상부 하우징(102)의 상부 분해 사시도 및 기부 분해 사시도이다. 상부 하우징(102)은 후방부(104), 가요성 회로 요소(316), 섀시(320), 스피커(342), 부착 보강부를 갖춘 전자 발광성(EL) 패널(344), 디스플레이 구역(347)을 갖는 디스플레이(346), 정면부(106), 및 렌즈(204)를 포함한다.
후방부(104)는 제1 단부(304), 제2 단부(306), 제1 측면(308), 및 제2 측면(310)을 형성한다. 도3에 명확히 도시된 대로, 후방부(104)는 제2 단부(306) 상에 위치한 다수의 탭(312)을 포함한다. 다수의 탭(312)은 제2 단부(306)의 끝을 따라 (도시되지 않은) 더 긴 단일 탭을 포함한다. 도4에 명확히 도시된 대로, 후방부(104)는 또한 제1 측면 상의 탭(309)과 제2 측면(310) 상의 탭(311)과 같은 제1 단부(304) 상의 탭(313)과 제1 및 제2 측면(308, 310) 상의 다수의 탭(307)을 포함한다.
다시 도3을 참조하면, 섀시(320)는 표면(322), 표면(323), 제1 측면(324), 및 제2 측면(326)을 형성한다. 섀시(320)는 스피커 리테이너(328), 표면(322) 상의 다수의 탭(330), 및 제1 측면(324) 및 제2 측면(326)을 따르는 다수의 캐치(catch)(332)를 형성한다. 다수의 캐치(332)는 (도4에 더 명확히 도시된) 제1 측면(324) 상의 캐치(334, 336)와, 제2 측면(326) 상의 캐치(338, 340)를 포함한다. 다수의 캐치(332)는 양 방향으로 대향하고 상이한 높이로 상승된 캐치면과 함께 제1 및 제2 측면(324, 326)을 따라 교호되어 있다.
전방부(106)는 제1 단부(348), 제2 단부(350), 제1 측면(352) 및 제2 측면(354)을 형성한다. 도4에 명확히 도시된 대로, 정면부(106)는 내부에 형성된 다수의 구멍(374)과 개구(356)를 구비한 수신부(202)를 형성한다. 도3에 명확히 도시된 대로, 정면부(106)는 또한 제1 단부(348) 상의 제2 너클(210), 슬롯(364) 또는 제2 단부(350) 상의 주둥이부(lip), 및 제1 측면(352)과 제2 측면(354)을 따르는 다수의 탭(358)을 포함한다. 다수의 탭은 제1 측면(352) 상의 탭(360)과 제2 측면(354) 상의 탭(362)을 포함한다. 제2 너클(210)는 힌지(376)용 포켓(370)과 포켓(370)의 개구(369)를 형성한다.
상부 하우징(102)은 다음과 같이 조립된다. 가요성 회로 요소(316)는 다수의 탭(330)이 적절한 정렬 및 유지를 위한 다수의 구멍(318)을 통해 삽입하도록 섀시(320)의 표면 상에 배치된다. 스피커(342)는 스피커 리테이너(328) 내에 배치되어 그에 의해 유지되고 가요성 회로 요소(316)에 결합된다. EL 패널(344)은 섀시(320)의 표면에 부착되고 디스플레이(346)는 그에 맞닿아 배치된다.
가요성 회로 요소(316), 스피커(342), EL 패널(344), 디스플레이(346) 및 섀시(320)는 전방부(104)에 배치된다. 새시(320) 및 전방부(104)는 유연성 재료로 제작되고 그 사이에 스냅 끼워맞춤을 제공하도록 하는 크기를 갖고, 다수의 탭(307)은 다수의 캐치(332) 중 일부와 결합한다. 일예로, 도1의 선5-5'를 따라 취한 단면도인 도5에 도시된 대로, 탭(309)은 제1 측면(308) 상의 캐치(334)와 결합하고 탭(311)은 제2 측면(310) 상의 캐치(338)와 결합한다.
도3 및 도4를 참조하면, 렌즈(204)는 개구(356) 주변의 전방부(106) 상에 배치되고 그에 고정된다. 후방부(104)의 제2 단부(306)는 다수의 탭(312)이 슬롯(364) 내에 삽입되도록 전방부(106)의 제2 단부(350)에 이르게 된다. 후방부(104)의 제1 단부(304)는 탭(313)이 제2 너클(210)의 모서리(372)와 만나도록 정면부(106)의 제1 단부(348)에 이르게 된다. 섀시(320), 정면부(106) 및 후방부(104)는 유연성 재료로 제작되고 그 사이에 스냅 끼워맞춤을 제공하도록 크기가 정해지고, 탭(313)은 모서리(372)를 극복하고 다수의 탭(358)은 다수의 캐치(332) 중 일부와 결합한다. 일예로, 도1의 선6-6'을 따라 취한 단면도인 도6에 도시된 대로, 탭(360)은 캐치(336)와 결합하고 탭(362)은 캐치(340)와 결합한다.
따라서, 후방부와 정면부(104, 106)는 다수의 탭(312), 탭(313), 슬롯(364) 및 개구(369)로서 서로에 고정된다. 또한, 후방부(104)는 다수의 탭(307) 및 다수의 캐치(332) 중 일부로서 섀시(320)에 고정되고, 정면부(104)는 다수의 탭(358) 및 다수의 캐치(332) 중 일부로서 섀시(320)에 고정된다.
이제 도7을 참조하면, 무선 전화기(100)의 기부 하우징(108)의 분해도는 기부 하우징(108)의 구성 요소를 도시한다. 기부 하우징(108)은 정면부(110), 다수의 키이(722)를 포함하는 키이패드(720), 로직(logic) 기판(718), 섀시(710), 송수신기판(702), 배터리(706) 및 후방부(112)를 포함한다. 기부 하우징(108)은 진동기 조립체(728)와, 데이터 포트 덮개(730) 및 지시기(720)를 더 포함한다.
정면부(110)는 기부 하우징(108)의 상부면(740)을 형성하고 상부 하우징(102)과 결합하는 구조를 제공한다. 제1 단부(736)에서, 정면부(110)는 제1 너클(206)와 제3 너클(208)를 포함한다. 상부면(740)은 키이패드의 키이(722)를 관통 연장하는 다수의 키이 구멍(742)을 형성한다. 키이 구멍(742)은 키이(722)를 수용하는 크기를 갖고 키이를 수용하도록 배치된다. 제2 단부(738)에서, 정면부(110)는 커넥터(118)에 접근할 수 있게 하는 개구(744)를 형성한다. 기부 하우징(108)의 상부면(740)은 무선 전화기(100)가 절첩 폐쇄될 때 상부 하우징(102)에 끼워맞춰지는 외형을 갖는다.
키이(722)를 포함하는 키이패드(720)는 먼지 및 습기가 침투하지 못하는 단일 막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키이(722)는 상이한 키이의 개수 및 키이의 크기를 포함하는 임의의 적절한 형태로 배치된다. 도시된 형태는 단지 설명을 위한 것이다. 키이패드(720)는 키이 작동 중에 스냅 느낌을 제공하는 금속 돔(dome) 상에 위치한다.
키이패드(720)는 로직 기판(718)에 가장 가까운 기부 하우징(108) 내에 배치된다. 로직 기판(718)은 인쇄 배선 기판(746)에 부착된 집적 회로(748)와 같은 요소를 갖춘 인쇄 배선 기판(746)을 포함한다. 로직 기판(718)은 무선 전화기(100)에 전자적 기능을 제공한다. 따라서, 로직 기판(718)은 대개 언어 처리, 타이밍, 사람-기계 경계면 및 시스템 인터페이스 기능을 제어하는 프로세서 또는 다른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로직 기판(718)의 보조 장치는 타이밍 신호를 발생시키는 시계(clock) 회로와, 언어 프로세서, 내부 재충전 제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니터, 데이터 저장용 메모리, 및 입력/출력 제어부를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송수신기판(702)은 라디오의 RF 작동을 제어한다. 송수신기판(702)은 대개 송화기, 동력 증폭기, 리시버, 듀플렉서(duplexer) 또는 안테나 스위치, 필터, 디모듈레이터(demodulator), 변조기 및 주파수 합성 장치를 포함한다. 도8에 도시된 대로, 송수신기판(702) 상의 회로의 일부는 전자기 인터페이스를 주변 회로로 제한하는 하나 이상의 RF 실드(712)에 의해 가리워진다.
도시된 실시예에서의 배터리(706)는 자체 내장되고 교환이 되지 않는 재충전 가능한 배터리이다. 배터리(706)는 로직 기판(718) 상의 적절한 리셉터클(748) 내로 플러그 결합되는 커넥터(708)에 의해 무선 전화기(100)의 나머지 부분에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배터리(706)는 일예로 패널을 제거하여 배터리(706)를 분리시킴으로서 교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물리적 크기 및 배터리(706)의 저장 용량을 최대로 하면서 무선 전화기(100)의 크기를 줄이기 위해 제거할 수 없는 배터리가 채용된다. 배터리가 제거 가능하다면, 배터리(706)는 보호 플라스틱 하우징 내에 있어야 하며, 그것은 배터리의 저장 셀을 위해 이용될 수 있는 용적을 제한하게 된다. 보호 플라스틱 케이스 없이 제거할 수 없는 배터리를 이용하게 되면 저장 셀에 이용되는 용적을 최대로 하여 배터리(706)의 저장 용량을 최대화할 수 있게 된다.
진동기 조립체(728)는 모터(750)와 캠(752)과 진동기 브랙커(bracker)(753)를 포함한다. 들을 수 있는 종을 울리는 음색을 대신하거나 또는 그러한 음색 외에 조용한 경보를 제공하기 위해, 로직 기판(718)의 제어 하에 무선 전화기(100)는 캠(752)을 회전시키기 위해 모터(750) 상에서 회전한다. 회전하게 될 때, 불균형한 캠(752)의 형태는 사용자에게 오는 전화 또는 다른 상태를 알리는 진동 감각을 생성하게 한다. 진동기 모터(750)는 진동기 브래킷(751) 상에 배치된다. 진동기 브래킷(751)은 진동기 조립체가 (도8에 도시된 대로) 커넥터(118)의 상부 상에 놓이도록 하나 이상의 보스 상에 배치되어 그들에 유지된다. 따라서, 진동기 조립체(728)는 로직 기판(718) 상에 임의의 공간을 차지함이 없이 기부 하우징(108) 내에 내장된다.
데이터 포트 덮개(730)는 커넥터(118)를 덮어 보호하기 위해 전방부(110)에 의해 형성된 개구(744) 내에 끼워맞춰진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데이터 포트 덮개(730)는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랜야드 또는 다른 수단에 의해 유지될 수 있다.
한 쌍의 나사(705)는 송수신기판(702), 섀시(710), 로직 기판(718) 및 전방부(110)를 갖춘 키이패드(720)를 유지시킨다. 송수신기판(702)은 나사(705)의 헤드와 결합하는 그로밋(grommet)(756)를 포함한다. 섀시(710)는 나사(705)가 관통 연장하는 그로밋(754)를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로직 기판(718)은 절개부(758)를 포함하고 키이패드는 나사(705)와 결합하는 절개부(760)를 포함한다. 전방부(110)는 나사(705)를 수용 및 유지시키는 나사식 리테이너(762)를 포함한다.
한 쌍의 제2 나사(704)는 후방부(112), 섀시(710) 및 로직 기판(718)을 유지시킨다. 나사(704)는 후방부(112)를 통해 삽입되고 섀시(710)의 보스(764)를 통해 연장한다. 나사(704)의 나사식 단부는 그후 조립체를 완성하기 위해 로직 기판(718)의 구멍(766) 내에 삽입된다.
후방부(112)의 외부면(790)은 약간 볼록한 것이 바람직하고, 모서리(792)에 이르게 된다. 외부면(790) 및 모서리(792)의 기능에 대해서는 도42를 참고로 하여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제 도9를 참조하면, 도9는 도2의 선9-9'를 따라 취한 기부 하우징(108)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9는 기부 하우징(108)의 요소가 기부 하우징(108) 내에 견고히 유지되는 방식을 도시하고 있다. 도9는 로직 기판(718), 섀시(710) 및 조립된 기부 하우징(108) 내에 배치된 송수신기판(702)을 도시한다.
섀시(710)는 기부 하우징(108)의 전방부(110) 및 후방부(112)의 대응 탭과 결합하는 스냅 끼워맞춤 탭을 포함한다. 도9의 우측면 상에, 섀시(710)는 전방부(110)의 내부면(906) 상의 탭(904)과 결합하는 탭(902)을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섀시(710)는 후방부(112)의 내면(912) 상의 탭(910)과 결합하는 탭(908)을 포함한다. 도9의 좌측에서, 섀시(710)는 전방부(110)의 내면(906) 상의 탭(916)과 결합하는 탭(914)과, 후방부(112)의 내면(912) 상의 탭(920)과 결합하는 탭(914)을 포함한다. 이들 탭 중 몇 개는 도7과 도8에서 볼 수 있다. 도7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섀시(710)는 후방부(112) 상의 탭(772)과 결합하는 탭(770)과, 후방부(112) 상의 탭(776)과 결합하는 탭(774)을 더 포함한다. 도8에서, 섀시(710)는 전방부(110) 상의 탭(782)과 결합하는 탭(780)과, 전방부(110) 상의 탭(786)과 결합하는 탭(784)을 더 포함한다. 이들 탭은 섀시(710)를 저부 하우징(108) 내의 제 위치에 확고하게 위치 설정해서 보유하는 역할을 한다.
다시 도9 특히 도9의 우측을 참조하면, 로직 기판(718)을 보유하기 위해 섀시(710)의 지점(928)이 로직 기판 상의 제1 지점(930)에서 로직 기판(718)과 결합한다. 지점(928)은 로직 기판(718)이 전방부(110)의 탭(904)에 의해 발생된 힘의 제2 방향(도9의 상향)과는 반대인 제1 방향(도9의 하향)으로 탭(902) 상에 힘을 가하도록 탭(902)의 일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반작용력이 작용하여 모든 요소가 견고하게 보유된다. 마찬가지로, 섀시(710) 상의 지점(930)이 송수신 기판 상의 지점(932)에서 송수신 기판(702)과 결합한다. 또, 지점(930)은 송수신 기판(702)이 후방부(112)의 탭(910)에 의해 발생된 힘의 제1 방향과는 반대인 제2 방향으로 탭(908) 상에 힘을 가하도록 탭(908)의 일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방부 및 후방부와 송수신 기판 및 로직 기판을 결합시키는 상기 방식은 모든 부품을 제 위치에 로킹시키는 작용을 하며 저부 하우징(108)을 결합시키기 위한 나사에 대한 필요성을 감소시킨다. 나사는 제조 비용 및 완성된 조립체의 중량을 부가시키므로, 스냅 끼워 맞춤 설계가 바람직하다.
저부 하우징(108) 내에서 조립된 부품들을 추가로 지지하기 위해, 송수신 기판의 RF 차폐물(712)은 지점(940)과 지점(942)에서 후방부(112)의 내면(912)과 결합한다. 마찬가지로, 로직 기판(718)은 모두 지점(952), 지점(954) 및 지점(956)에서 전방부(110)와 각각 결합하는 돌기(942), 돌기(944) 및 돌기(946)를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키이 패드(720)의 일부가 돌기와 결합 지점 사이에 보유되어 키이 패드(720)를 고정시킨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도, 도9의 단면도에 도시된 고정 구조는 상부 하우징(102)에 연결되는 무선 전화기(100)의 단부에 위치된다. 저부 하우징(108)에 대한 상부 하우징(102)의 운동 때문에, 또 두 개의 하우징을 결합시키는 힌지 조립체 상의 잠재적으로 부가되는 힘 때문에, 상기 영역은 특히 강력한 파괴력을 겪게 될 수도 있다. 도시된 고정 구조는 상부 하우징(102)에 결합되는 제1 너클(206) 및 제3 너클(208)을 포함하는 전방부(110)를 보강한다.
이제 도10을 참조하면, 이 도면은 도2의 선 10-10'을 따라 취한 저부 하우징(108)의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10은 저부 하우징의 전방부(110) 및 후방부(112) 내에서의 송수신 기판(702), 섀시(710), 로직 기판(718) 및 키이 패드(720)의 위치 및 보유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10에서, 나사(705)는 그로밋(756, 754)을 관통 연장하고 나사 형성된 리테이너(762) 내에 안착된다. 섀시(710)의 지점(1002) 및 지점(1004)이 지점(1006, 1008)에서 각각 후방부(112)의 내면(912)과 결합한다.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점(1002)과 지점(1004)은 그로밋(756)의 외면에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섀시(710)는 나사(705) 및 후방부(112)와의 결합 모두에 의해 측방향 힘 또는 비틀림 힘에 대해 제 위치에 보유된다.
다시 도1을 참조하면, 무선 전화기(100)는 상부 하우징(102)의 상부면(122) 상에 손가락 위치 설정부(124)를 형성한다. 일반적으로, 손가락 위치 설정부(124)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전화기(100)가 개방 위치에 있게 되는 통화 중에 손가락의 위치 설정 및 손가락과의 결합을 위해 제공된다. 그러한 결합은 사용자로 하여금 상부면(122) 상의 적절한 위치에서 압력을 가하는 것을 도와주어서 사용자의 귀와 수화기(earpiece, 202) 사이에 음성학적 결합을 증대시킨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손가락 위치 설정부(124)는 손가락 리세스, 함몰부, 만입부, 또는 결합부로도 불려질 수 있다.
무선 전화기(100)는 크기가 초소형인 휴대용 통화 기기이다. 상부 하우징(102)은 길이가 약 7.6 ㎝이고, 저부 하우징(108)은 길이가 약 8.7 ㎝이다. 수화기(202)는 길이가 약 31 ㎜이고 폭이 약 20 ㎜인 대체로 타원형의 외관을 갖는 컵을 형성한다. 여기서, 개방 위치는 약 160도의 각도(θ)를 제공한다(도2 참조). 바람직하게는 150도 내지 170도 범위에 걸친 다른 각도가 사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손가락 위치 설정부(124)는 도1의 등고선으로 도시된 오목한 리세스를 포함한다. 그 밖에도, 상부면(122)은 다소 호형인 형상을 갖기는 하지만, 매끄럽고 평탄한 면을 형성할 수 있다. 손가락 위치 설정부(124)는 대체로 평탄한 면에 의해 둘러싸이고 상부 하우징(102)의 제1 측면과 제2 측면에 대해 대체로 중심 설정되도록 위치 설정된다.
손가락 위치 설정부(124)의 리세스는 대체로 매끄러운 외관을 형성한다. 도1에서, 손가락 위치 설정부(124)의 제1 외부 등고선과 제2 외부 등고선은 리세스의 매끄러운 또는 둥글게 된 모서리를 나타내는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손가락 위치 설정부(124)의 나머지 등고선들은 리세스의 중심으로 갈수록 깊이가 감소하는 영역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 나머지 등고선들의 각각은 중심으로 갈수록 0.15 ㎜의 깊이 감소를 나타내며, 상기 리세스의 중심에서 손가락 위치 설정부는 (나머지 5개의 등고선에 의거해서) 약 0.75 ㎜의 최대 결합 깊이를 갖는다. 리세스는 약 0.5 ㎜ 내지 2.0 ㎜의 범위 내에서 최대 결합 깊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손가락 위치 설정부(124)는 대체로 타원형인 외관을 형성한다. 리세스는 그러한 함몰부가 마치 타원체 또는 지문에 의해 형성된 것처럼 설명될 수 있다. 여기서, 손가락 위치 설정부(124)는 길이가 약 28 ㎜이고 폭이 약 19 ㎜이다. 따라서, 손가락 위치 설정부(124)는 통화 중에 사용자의 손가락의 일부가 끼워지도록 크기 설정된다. 손가락 위치 설정부(124)의 종축은 상부 하우징(102)의 종축에 수직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손가락 위치 설정부(124)는 그 종축 및 횡축을 중심으로 대체로 대칭적이다. 그 함몰부가 구형체에 의해 형성된 대체로 원형인 외관처럼 손가락 위치 설정부(124)에 대한 다른 적절한 외관 및 형상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11은 도1의 선 11-11'을 따라 취한 폐쇄 위치에 있는 무선 전화기(100)의 단면도이다. 손가락 위치 설정부(124)의 리세스가 형성된 위치에서, 후방부(104)의 두께는 강도를 위해 다른 영역과 사실상 동일하게 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손가락 위치 설정부(124)는 수화기(202)로부터 오프셋되도록 상부면(122) 상에 위치된다. 상부 하우징(102)은 그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수화기(202)로부터 외측으로 향해진 스피커(342)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손가락 위치 설정부(124)는 스피커(342) 직후방에 위치되지 않도록 오프셋된다.
도11은 저부 하우징(108)에 의해 형성된 돌기(1102)를 부가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돌기(1102)는 상부 하우징(102)에 의해 형성된 (비록 훨씬 소형이기는 하지만) 유사한 돌기의 표면(1104)과 만나는 표면(1106)을 갖는다. 그러한 돌기에 의해, 상부 및 하부 하우징(102, 108)은 폐쇄 위치에서 이들 하우징들 사이에 간극(1108)이 형성되도록 크기 설정되며, 구성되며, 연결된다. 이것은 키이(722)가 키이 구멍(742)을 통해 연장될 수 있게 해주며, 상기 키이 구멍에서 각각의 [키이 구멍(1112)을 통과하는 키이(1110)와 같이] 키이의 일부는 저부 하우징(108)의 표면 위로 상승된다. 따라서, 키이(722)는 특히 표면과 동일한 높이에 키이를 갖는 다른 키이 패드 배열과 비교했을 때 조작하기가 보다 용이하다.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가락 위치 설정부(124)는 사용자의 손가락의 일부와의 결합을 위해 제공된다. 한결같이 대체로 매끄럽고 평탄한 표면 상에 손가락 위치 설정부(124)가 없다면, 상부 하우징(102)에 대한 손가락 결합은 거의 또는 전혀 발생할 수 없으며, 수화기(202)와의 음성학적 결합이 감소될 수 있다. 손가락 위치 설정부(124)는 대체로 매끄러운 외관을 갖기 때문에 이 손가락 위치 설정부는 사용자의 손가락의 일부를 결합을 위해 상부면(124) 상에서 적절하게 안내하는 것을 도와준다. 또한, 손가락 위치 설정부(124)의 종축은 상부 하우징(102)의 종축에 수직하기 때문에 이 손가락 위치 설정부(124)는 사용자의 손가락의 일부를 제1 및 제2 측면에 대해 대체로 중심 설정된 위치로 안내하는 것을 도와준다.
따라서, 손가락 위치 설정부(124)를 사용하면, 사용자는 상부면(122) 상에서 자신의 손가락에 대한 적절한 위치를 위치 설정할 수 있다. 손가락 위치 설정부(124)는 귀에 대한 수화기(202)의 편안하고 함몰된 결합을 제공해서 이들 사이에 음성학적 결합을 증대시킨다. 손가락 위치 설정부(124)는 결합을 위해 상부면(122) 상에 융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융기부는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해서 설명된 바와 같이 대체로 매끄러운 모서리와 외관을 포함한다.
도13은 안테나(116)의 사시도이다. 안테나 조립체라고도 불려질 수 있는 안테나(116)는 안테나 캡(1300), 나선형 코일(1302), 부싱(1304), 동축 케이블(1306), 접지 평면을 형성하는 기판(1308), 와셔(1310), 및 나사(1312)를 포함한다.
안테나 캡(1300)은 포켓(1314)을 형성하고 이 포켓(1314) 내에 부싱 나사부(1316)를 포함한다. 정합 주연부(1318)가 포켓(1314)의 개구 둘레에 형성된다. 포켓(1314)은 나선형 코일(1302)과 끼워 맞추어지도록 크기 설정된다. 안테나 캡(1300)은 내구성과 유연성이 있는 재료,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된다.
부싱(1304)은 코일 나사산부를 갖는 원통부(1320), 캡 나사산부를 갖는 원통부(1322), 원통부(1324), 및 노치(1328)를 갖는 원통부(1326)를 포함하는 몸체를 형성한다. 원통부(1320)는 원통부(1322)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원통부(1324)는 원통부(1326)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다. 또한, 부싱(1304)은 그 종측을 통과하고 나사 나사산부(1332)를 포함하는 포켓(133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부싱(1304)은 전기 전도성이 있으며, 원통부(1320, 1322, 1324, 1326)를 형성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50 오옴의 임피던스를 제공하는 동축 케이블(1306)이 동축 인입선(1334), 동축 외장부(1336), 및 동축 인입선(1334)과 동축 외장부(1336)에 연결되는 커넥터(1338)를 포함한다. 기판(1308)은 구멍(1340)과, 기판의 저부측의 접지 평면(1335)을 갖는다. 나사(1312)는 나사 나사산부(1342)를 포함하고, 와셔(1310)는 비전도성의 나일론 와셔가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나선형 코일(1302)은 1/4 파장 단극 안테나이고, 여기서 안테나(116)는 접지 평면(1334)과 동축 케이블(1306)을 갖는 반파장 이극 안테나이다.
조립 중에, 포켓(1330)의 구멍이 구멍(1340)과 정렬되게 부싱(1304)이 기판(1308)에 맞닿는다. 나사(1312)가 와셔(1310)와 기판(1308)의 구멍(1340)을 통해 삽입된다. 다음에, 부싱(1304)이 기판(1306)에 대해 꼭 끼워 맞춤되게 나사 나사산부(1332, 1342)를 사용해서 나사(1312)가 부싱(1304) 내에 나사 부착된다. 다음에, 동축 인입선(1334)이 원통부(1326)의 저부에 납땜되고, 동축 외장부(1336)가 접지 평면(1335)에 납땜된다. 나선형 코일(1302)이 원통부(1320)의 코일 나사부에 나사 부착됨으로써, 나선형 코일(130)이 동축 인입선(1334)에 연결된다.
후방부(110)와 전방부(112)는 이들 후방부 및 전방부(110, 112)가 정합될 때 저부 하우징(108)용 구멍(1340)을 형성하는 대응 보어(1336, 1338)를 각각 포함한다. 먼저, 부싱(1304)이 대응 보어(1338) 내에 포개 넣어진다. 동축 케이블(1306)이 전방부(112) 내에서 루트(route) 설정된 다음에 커넥터(1338)를 갖는 (도시하지 않은) 송수신기에 연결된다. 후방부(110)는 전방부(112)와 정합되며, 여기서 부싱(1304)의 노치(1328)는 후방부(112)의 키이(1342)와 정렬된다. 후방부 및 전방부(110, 112)는 구멍(1312) 둘레에서 부싱(1304)을 포획한다. 안테나 캡(1300)은 결합 주연부(1318)가 하부 하우징(108)의 결합 주연부(1404)(도14)와 접할 때까지 회전된다.
도14는 안테나(116)의 단면도이다. 도14의 비단면도(141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양호하게는 결합 주연부(1318)는 둘레에 형성된 보유 노치(1406)를 포함한다. 보유 노치(1406)는 로킹 노치로 지칭될 수 있다. 후방부(110)의 결합 주연부(1404)는 접촉이 발생될 때 보유 노치(1406)와 끼워 맞춤되어 보유하기 위한 크기의 구조로 된 보유 노치(1408)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보유 노치(1406, 1408)는 공지된 래칫 치형부와 유사하게 형성된다. 결합시, 보유 노치(1404, 1406)는 장착후 안테나 캡(1300)이 제거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15 내지 도18은 무선전화기(100)의 랜야드(lanyard, 1504)를 도시하고 있다. 무선전화기(100)는 한 단부(1510) 상의 하부 하우징(108)에 의해 한정된 랜야드 베일(bail, 1500) 및 슬롯(1502)을 포함한다. 폐쇄된 위치에서, 단부(1510)는 무선전화기(100)의 상단부를 형성한다. 통상 캔바스(canvas) 또는 다른 적절한 재료로 제조된 로프를 포함하는 랜야드(1504)는 랜야드 베일(1500)에 부착 가능하며, 무선전화기(100)를 수반하기 위해 폐쇄된 단부를 갖는다. 랜야드(1504)는 손목 스트랩(wrist strap) 케이블로 지칭될 수 있다.
랜야드 베일(1500)은 하부 하우징(108)에 대해 확장된 위치 및 수축된 위치까지 활주 가능하게 이동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랜야드 베일(1500)은 x축(1508)을 따르는 방향은 아니지만 y축(1506)을 따르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랜야드 베일(1500)의 실선으로 도시된 수축된 위치 및 랜야드 베일(1500')의 점선에 의해 도시된 확장된 위치를 갖는다.
랜야드 베일(1500)은 챔퍼(1604)가 그 외면 및 슬롯(1502)의 모서리를 따라 하부 하우징(108)에 한정된 수축된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챔퍼(1604)는 랜야드 베일이 수축된 위치에 있을 때 랜야드 베일(1500)을 잡기 위한 부가적인 공간을 제공한다. 따라서 사용되지 않을 때 벗어난 위치에 있는 동안, 랜야드 베일(1500)은 손가락 끝 또는 핀형 기구를 사용해서 용이하게 잡을 수 있고 확장될 수 있다.
하부 하우징(108)의 전방부(110)는 안내 레일(1700, 1702), 정지 리브(1706, 1708), 보유 리브(1710, 1712)를 한정하는 내면(1714)을 갖는다. 이런 요소들은 전방부(110)와 동일한 재료, 즉 플라스틱 또는 폴리카보네이트로 형성되며, 무선전화기(100)의 사용자가 볼 수 없는 내면 상에서 하부 하우징(108) 내에 위치된다. 안내 레일(1700, 1702)은 대체로 서로에 대해 평행하며, 개방된 제1 단부를 갖고 슬롯(1502)으로 향하는 트랙(1704)을 형성한다. 정지 리브(1706)는 트랙(1704)의 제2 단부에 위치되며 정지 리브(1708)는 안내 레일(1700, 1702) 사이의 트랙(1704)의 중심에 위치된다. 보유 리브(1710)는 트랙(1704) 내에서 안내 레일(1700)로부터 돌출하며, 마찬가지로 보유 리브(1712)는 트랙(1704) 내에서 안내 레일(1702)로부터 돌출한다.
랜야드 베일(1500)은 내구성 재료, 양호하게는 스테인레스 강과 같은 금속으로 제조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랜야드 베일(1500)은 약 5.6 mm의 길이 및 약 4.2 mm의 폭을 갖는 대체로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 로드이고, 이 로드는 약 0.71 mm의 직경을 갖는다. 이때 랜야드 베일(1500)은 랜야드 링으로 지칭될 수 있으며, 랜야드(1504)(도15)가 삽입되고 랜야드 베일(1500)에 연결되는 구멍을 한정한다. 작은 간극이 로드의 단부들이 만나는 곳에 제공된다.
랜야드 베일(1500)은 정지 리브(1708) 둘레에서 안내 레일(1700, 1702) 사이에서 트랙(1704) 내에 배치된다. 안내 레일(1700, 1702)은 트랙(1704) 내에서 랜야드 베일(1500)이 밀접하게 끼워지도록 충분히 이격된다. 따라서 랜야드 베일(1500)은 안내 레일(1700, 1702)과 정지 리브(1706, 1708) 사이에 잡히게 되며, x축(1508)을 따르는 방향은 아니지만 y축(1506)을 따르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수축된 위치로 하향으로 밀면, 랜야드 베일(1500)은 정지 리브(1706)와 접촉한다. 확장된 위치로 상향으로 밀면, 랜야드 베일(1500)은 정지 리브(1708)와 접촉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안내 레일(1700, 1702)은 각각 3.7 mm의 길이를 가지며 그 사이에 (랜야드 베일(1500)의 폭보다 조금 큰) 약 4.5 mm의 공간을 제공한다. 보유 리브(1710, 1712)는 그 사이에 (랜야드 베일(1500)의 폭보다 조금 큰) 약 3.8 mm의 공간을 제공한다. 정지 리브(1708)는 약 2.5 mm의 길이를 가지며 정지 리브(1706)로부터 약 1.9 mm의 공간을 제공하며, 랜야드 베일(1500)에 대해 약 1.2 mm의 이동 길이를 허용한다. 안내 레일(1700, 1702), 정지 리브(1706, 1708) 및 보유 리브(1710, 1712)는 각각 약 0.75 mm의 랜야드 베일(1500)의 로드의 직경과 대체로 동일한 내면(1714)으로 부터 대체로 동일한 높이를 갖는다.
도15 및 도16은 각각 랜야드 베일(1500)이 수축된 위치와 확장된 위치에 있는 무선전화기(100)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랜야드 베일(1500)의 일부는 정지 리브(1706, 1708) 사이와, 전방부(110)의 내면(1714)과 로직 기판(718) 사이에 잡힌다. 로직 기판(718)은 하부 하우징(108)에 배치된 기판 또는 인쇄 회로 기판(PCB)을 포함한다. 조립시, 로직 기판(718)이 전방부(110)에 배치되기 전에, 랜야드 베일(1500)은 전방부(110)의 내면으로부터 정지 리브(1708)를 넘어 그 둘레에서 슬롯(1502)을 통해 삽입된다. 삽입 후, 로직 기판(718)은 전방부(110)에 배치되며 트랙(1704)의 상부와 접촉함으로써, 그 내부에 랜야드 베일(1500)을 잡는다. 후방부(112)는 전방부(110)에 고정되며 트랙(1704)에 대해 로직 기판(718)을 보유한다.
도17 및 도18은 각각 도16의 선 20-20'을 따라 취한 랜야드 베일(1500) 및 전방부(110)의 단면도로서, 랜야드 베일(1500)이 수축된 위치 및 확장된 위치에 있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도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유 리브(1710, 1712)는 수축된 위치에서 랜야드 베일(1500)이 트랙(1704) 내에 억지 끼움되는 것을 돕는다. 이때, 랜야드 베일(1500)은 보유 리브(1710, 1712) 둘레에 제공하며 간극이 더 작아지도록 조금 가압한다. 따라서 랜야드 베일(1500)은 비교적 작은 힘이 그곳에 가해질 때 수축된 위치에 보유 또는 유지된다. 예컨대, 랜야드 베일(1500)은 무선전화기(100)가 상면 하향 위치될 때 수축된 위치에서 보유 리브(1710, 1712)에 의해 보유된다.
도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유 리브(1710, 1712)는 확장된 위치에서 랜야드 베일(1500)을 운반하기 위해 충분한 지지물을 제공하기 위한 크기로 되어 위치된다. 따라서 랜야드 베일(1500)은 비교적 작은 힘이 그곳에 가해질 때 확장된 위치에 보유 또는 유지된다. 예컨대, 랜야드 베일(1500)은 무선전화기(100)가 우측 상향 위치될 때 확장된 위치에서 보유 리브(1710, 1712)에 의해 지지된다.
따라서, 랜야드 베일(1500)은 (손가락에 의해 작용되는 힘과 같이) 비교적 작은 힘에 반응해서 확장된 위치 및 수축된 위치에서 이동하도록 하기에 충분한 유연성을 가지면서, 랜야드 베일(1500) 및 보유 리브(1710, 1712)는 (중력과 같은) 비교적 작은 힘에 반응하는 보유물 및 지지물을 제공하기에 충분한 인성을 갖는다. 즉, 랜야드 베일(1500)은 수축된 위치 및 확장된 위치 모두에서 적절하게 고정되거나 보유된 위치를 갖는다.
랜야드 베일(1500)이 완전히 확장될 때 보유 리브(1710, 1712)와 접촉하지 않도록 어느 정도 부가적인 공간이 제공된다. 예컨대, 랜야드 베일(1500)은 랜야드(1504)가 랜야드 베일(1500)에 부착되고 무선전화기(100)가 랜야드(1504)에 의해 운반될 때 보유 리브(1710, 1712)와 접촉하지 않는다. 이때, 랜야드 베일(1500)은 정지 리브(1708)와 완전 접촉한다.
이 실시예에서, 랜야드 베일(1500)이 수축된 위치에 있을 때, 랜야드 베일(1500)과 단부(1510) 사이에는 약 1.2 mm의 간극이 존재한다. 따라서, 비록 랜야드 베일(1500)이 단부(1510)와 대체로 동일한 높이라 하더라도, 완전히 일치하지는 않는다. 랜야드 베일(1500)을 잡기 위해서, 랜야드 베일(1500)의 하면과 챔퍼(1604) 사이에는 약 1.1 mm의 간극이 존재한다. 랜야드 베일(1500)의 실질적인 부분은 하부 하우징(108)에 배치되며 수축된 위치에 있을 때 볼 수 없도록 숨겨진다. 랜야드 베일(1500)이 확장된 위치에 있을 때, 랜야드 베일(1500)의 하면과 챔퍼(1510) 사이에는 약 1.6 mm의 간극이 존재하며, 랜야드 베일(1500)의 하면과 챔퍼(1604) 사이에는 약 2.3 mm의 간극이 존재한다.
랜야드 베일(1500)은 형상이 변화할 수 있으며(예컨대, U 형상, 편자 형상, 삼각형 형상, 등) 하우징의 수용 구조물을 갖는다. 랜야드 베일(1500)은 이동시에 변화할 수도 있다(부분 회전 등을 제공). 랜야드 베일(1500) 및 정지 리브(1706, 1708)는 랜야드 베일(1500)이 단부(1510)와 완전히 높이가 일치하는 크기로 되고 위치될 수 있다. 최종적으로, 이런 장치는 임의의 전자 장치 또는 무선 호출 수신기 또는 라디오와 같은 통신 장치에 합체될 수 있다.
도19 및 도20에서, 가요성 회로 요소(316)가 상부 하우징(102)과 하부 하우징(108) 사이에 놓여 있다. 하부 하우징(108)은 송신기, 수신기 및 제어기를 포함한 제1 전자 회로를 함유한 제1 하우징이다. 하부 하우징(108)은 전방면(2202)과, 한 단부(2206)에서 전방면(2302) 상에 배치된 제1 너클(206)을 갖는다. 전방면(2202)은 제1 힌지 개구(2207)를 한정한다. 설명된 실시예에서, 제1 힌지 개구(2207)는 제1 너클(206)의 내부 보어이다. 전방면(2202)은 제1 힌지 개구(2207)에 인접한 슬롯(2208)을 한정한다. 제1 너클(206)은 슬롯을 갖는 제1 힌지부를 형성한다.
샤프트(2210)는 축(2212)을 따라 제1 너클에서 하부 하우징(108)으로 부터 연장된다. 샤프트(2210)는 보어(2215) 및 지지면(2216)을 한정하는 배럴(2214)을 포함한다. 배럴(2214)은 제1 힌지 개구(2207)에 삽입되기 위한 크기로 된다. 샤프트(2210)는 샤프트(2210)의 한 면 상에 샤프트 슬롯(2218)을 한정한다. 샤프트 슬롯(2218)은 하부 하우징(108)과 상부 하우징(102)을 조립하는 중에 샤프트 슬롯을 통해 가요성 회로 요소(316)가 삽입되도록 하기에 충분한 거리로 배럴(2214)의 측면을 따라 연장된다.
설명된 실시예에서, 샤프트(2210) 및 하부 하우징(108)은 개별 요소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하부 하우징(108) 및 샤프트(2210)는 단일 조립체로 성형된다. 일체형 조립체는 부품비를 저감하고 조립을 단순화시키는 장점을 갖는다. 양 실시예에서, 지지면(2216)은 조립 중에 가요성 회로 요소(316)의 일부를 수납하기에 적절한 슬롯이 형성된 지지면이다.
샤프트(2210)는 만곡된 외면을 갖는 말단부(2211)를 갖는다. 보어(2215)는 대응 만곡 내면을 갖는 샤프트(2210) 내에 말단부를 갖는다. 내면은 가요성 회로 요소(316)가 샤프트 슬롯(2218)에 삽입되고 보어(2215)에 보유된 후 가요성 회로 요소(316)의 견부(2217)와 일치하는 반경 및 형상으로 만곡된다. 가요선(flex)의 형상에 일치시키도록 내면을 만곡시킴으로써, 보어(2215)의 소정 길이 따라서 샤프트(2210)의 길이는 최소로 된다. 이것은 무선전화기의 필수 폭을 저감시키고 보다 작고 보다 편리한 제품을 제조하는 데 도움이 된다.
상부 하우징(102)은 표시부(346) 및 스피커(342)와 같은 제2 전자 회로를 포함하는 제2 하우징이다. 상부 하우징(102)은 축(2212) 둘레에서 회전하도록 샤프트(2210) 및 제1 너클(206)과 정렬된 제2 너클(2220)을 갖는다. 제2 너클(2220)은 제2 힌지부를 형성하고 제1 너클과 함께 힌지를 형성한다. 제2 너클(2220)의 한 측면(2222)은 제2 힌지 개구(2223)를 한정하며 개방 단부(2224)를 갖는다. 제2 너클(2220)은 샤프트(2210)의 지지면(2218)과 피봇식으로 결합하는 내부 회전면(2226)을 한정한다. 샤프트(2210)는 제2 힌지 개구(2223)에 삽입되기 위한 크기로 된다. 제2 너클(2220)은 제2 전자 회로에 가까운 제2 너클 슬롯(2228)을 한정한다. 제2 너클 슬롯(2228)은 슬롯 폭을 갖는다. 내부 회전면(2226)은 상부 하우징(102)이 하부 하우징(108)과 관련해서 이동할 때 지지면(2216) 상에서 피봇하거나 회전한다.
축 슬롯(2218)은 하부 하우징(108)과 상부 하우징(102) 사이에서 가요성 회로 요소(316)의 루트를 정하도록 하부 하우징(108) 내의 슬롯(2208)과 정렬한다. 제1 전자 회로 및 제2 전자 회로와 결합하는 가요성 회로 요소(316)는 상부 하우징(102)으로부터 제2 너클 슬롯(2228)을 통해, 제2 너클(2220)의 개방 단부(2224)를 통해, 그리고 축 슬롯(2218) 및 슬롯(2208)을 통해 하부 하우징(108)까지 루트가 정해진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가동 하우징 요소들 사이에서 가요성 회로 요소(316)의 루트를 정하기 위하여, 상부 하우징(102)은 가요성 회로 요소(316)가 제2 너클(2220)의 개방 단부(2224)로부터 연장하는 상태로 가요성 회로 요소(316)를 구멍 또는 제2 너클 슬롯(2228) 내에 삽입함으로써 조립된다. 가요성 회로 요소는 지지면(2216)의 슬롯 형성 지지면 및 축(2210)의 보어(2215)를 통해 그리고 슬롯(2208)을 통해 연장된다. 마지막으로, 축(2210)은 내부 회전면(2226)이 지지면(2216)과 맞닿도록 축(2210)이 제2 힌지 구멍(2223) 내에 위치된다.
따라서, 이러한 구조는 둘레에서 선회하도록 상부 하우징(102)에 대해 고정 지지면을 제공한다. 또한, 상부 하우징 및 하부 하우징 사이를 통해 보내도록 가요성 회로 요소를 위한 고정 요소, 즉 축을 제공한다. 이러한 축은 가요성 회로 요소의 이동을 제한하고 가요성 회로 요소의 외부 노출을 제거한다. 이는 가요성 회로 요소의 손상 또는 오염을 방지한다. 더구나, 힌지 내부에서 지지면, 슬롯, 축을 은폐하고 가요성 회로의 루트를 정하는 것은 무선 전화기(100)의 외관을 향상시키고 더욱 다듬어진 모습을 준다. 또한, 탄력적인 루트 설정 및 지지면을 위해 별개의 구성 요소들을 사용하는 이전의 설계에 비해 부품 개수가 감소되어서 제조 비용이 절감된다.
도21은 도20의 선 24-24'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22는 도19의 선 25-25'를 따른 단면도이다. 도23은 도19의 선 26-26'을 따른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은 상부 하우징(102)과 하부 하우징(108) 사이에서의 가요성 회로 요소(316)의 루트 설정을 도시한다. 도21에서, 가요성 회로 요소(316)는 제2 너클 슬롯(2228)을 통해 연장하여 제2 힌지 구멍(2223) 내에서 540°절곡된다. 다른 적용에서, 가요성 회로 요소(316)의 직선의 굴곡되지 않은 연장을 위하여 이렇나 절곡이 생략될 수 있다. 도22에서, 지지면(2216)은 내부 회전면(2226)과 결합한다. 축 슬롯(2218)은 축(2210)의 슬롯 형성 지지면 내에서 볼 수 있다. 도23에서, 축(2210)은 제1 너클(206) 내에 삽입되고, 가요성 회로 요소(316)는 축(2210)의 보어(2215)로부터 축 슬롯(2218) 및 슬롯(2208)을 통해 하부 하우징(108)으로 연장된다.
또한, 도22는 상부 하우징(102)에 형성된 노치(2506)을 도시한다. 노치(2506)는 가요성 회로 요소(316)의 삽입 및 루트 설정을 용이하게 하도록 제2 너클 슬롯(2228)의 슬롯 폭을 증가시킨다.
본 발명에 따르면, 축(2210)은 제1 보유부 세트를 포함하고, 제1 힌지 구멍(2207)은 축(2210)의 반경방향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 보유부 세트와 결합하도록 구성된 대응하는 제2 보유부 세트를 포함한다. 도23에서, 제1 보유부 세트는 축(2210)의 외부면(2608)에 배치된 리브(2602, 2604)와 같은 하나 이상의 리브를 포함한다. 대응하는 제2 보유부 세트는 제1 힌지 구멍(2207)의 내부면(2616) 상의 홈(2612, 2614)와 같은 하나 이상의 홈을 포함한다. 리브는 반경방향 변형을 방지하도록 홈과 결합한다. 리브는 축 슬롯(2218)을 개방 상태로 유지하고 푹(2210)이 가요성 회로 요소(316)를 조이는 것을 방지한다. 양호하게는, 지지면(2216)에서, 리브는 축(2210)이 제1 힌지 구멍(2207) 밖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상부 하우징(102)에 맞닿는다.
다른 실시예에서, 다른 리브가 축(2210)의 외부면에 추가될 수 있어, 축(2210)의 제1 너클(206) 내로의 약간의 가압 끼워맞춤을 생성하도록 한다. 가압 끼워맞춤은 축(2210)을 통해 플렉스를 공급하는 조립 단계 중에 축(2210)을 제위치에서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요성 회로 요소(316)는 상부 하우징(102)과 하부 하우징(108) 사이에서 루트 설정을 용이하게 하도록 되어 있다. 도24는 가요성 회로 요소(108)의 일부분을 도시한다. 또한, 가요성 회로 요소(316)는 통상적으로 플렉스 스트립 또는 플렉스로서 언급된다.
가요성 회로 요소(316)는 본체(2704)를 갖는 가요성 기판(2702)을 포함한다. 본체(2704)는 길이(2706) 및 폭(2708)을 갖는다. 기판은 가요성 및 탄성뿐만 아니라 양호한 유전성을 갖는 폴리아미드, 플라스틱 또는 임의의 다른 적당한 재료로 형성된다. 가요성 회로 요소(316)는 본체(2704)로부터 연장되는 리더(leader, 2714)뿐만 아니라 본체(2704)로부터 연장되는 탭(tab, 2712)을 포함하는 접속부(2710)를 추가로 포함한다.
전기 신호를 전달하기 위하여, 가요성 회로 요소(316)는 가요성 기판(2702) 상에 배치되고 본체(2704)의 길이(2706)를 따른 방향으로 루트가 설정된 복수개의 전도체(2718)를 포함한다. 전도체는 트레이스로서도 언급된다. 전도체의 폭 및 간격은 가요성 회로 요소를 위한 제조 공차에 의해 제어된다. 폭 및 피치에 대한 대표적인 값은 디지털 전자 신호, 전력 및 접지를 전달하는 전도체들에 대하여 0.127 mm(0.005 인치)이다.
또한, 가요성 회로 요소(316)는 복수개의 전도체(2718)와 커넥터 사이에서 전기 접속하도록 탭(2712) 상에 배치된 복수개의 접속 패드(2720)를 포함한다. 가요성 회로 요소(316)의 전도체(2718)와 인쇄 배선 기판 상의 회로 사이에 전기 접속을 형성하도록 커넥터가 필요하게 된다.
예컨대, 무선 전화기(100)와 같은 전자 장치에서, 전자 장치는 제1 작동 회로를 갖는 하부 하우징(108) 등의 제1 하우징과, 제2 작동 회로를 갖는 상부 하우징(102) 등의 제2 하우징을 포함한다. 제1 작동 회로는 예컨대 발신기, 수신기, 프로세서 또는 다른 제어기, 메모리, 및 전자 장치 전원용 배터리를 포함한다. 제2 작동 회로는 예컨대 디스플레이(346) 및 스피커(342)를 포함한다. 전자 장치는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을 이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 등의 연결 요소도 포함한다. 연결 요소에는 슬롯 폭을 갖는 슬롯(2208)(도19)이 형성된다. 가요성 회로 요소(316)는 슬롯(2208)을 통과함으로써 부분적으로는 상부 하우징(102)과 하부 하우징(108) 사이에 루트가 설정된다.
도25 및 도26를 참조하면, 커넥터(2802)는 인쇄 배선 기판(2806)을 포함하는 제1 작동 회로(2804)와 연관된다. 커넥터(2802)에는 결합 구멍(2806)이 형성되고, 커넥터는 인쇄 배선 기판 상에 장착하기 위한 복수개의 핀(2812)과, 결합 구멍(2806) 내에 배치된 복수개의 연결 패드(2814)를 포함한다. 커넥터(2802)와 커넥터(2802)를 사용하는 전자 장치의 크기를 줄이기 위하여, 복수개의 핀과 복수개의 연결 패드는 커넥터의 폭을 최소화하도록 이격된다. 핀 및 연결 패드의 폭 및 간격은 커넥터(2802)의 제조 공차에 의해 결정된다. 연결 구멍(2806)은 가요성 회로 요소(316)의 탭(2712)의 길이에 대응하는 소정의 맞물림 깊이를 갖는다. 맞물림 깊이의 대표적인 값은 3 mm이다.
커넥터(2802)는 가요성 회로 요소(316) 등의 플렉스 스트립을 수용 및 보유하도록 구성된다. 커넥터(2802)는 개방 위치(도25)와 가요성 회로 요소(316)를 보유하는 폐쇄 위치(도26)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덮개(2818)를 포함한다. 무선 전화기(100)의 조립 중에, 가요성 회로 요소는 슬롯(2208)을 통해 루트가 설정되고, 탭(2712)은 결합 구멍(2806) 내에 삽입되며, 덮개(2818)는 폐쇄되어 탭(2712)을 커넥터(2802) 내에 보유한다. 탭(2712)은 결합 구멍(2806)과 기계적으로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즉, 탭(2712)은 결합 구멍(2806) 내에서의 삽입 및 보유에 적당한 폭 및 길이를 가지며, 탭 상에 배치된 복수개의 접속 패드(2720)는 결합 구멍(2806)에 배치된 연결 패드(2814)와 신뢰성 있게 전기 접속하도록 하는 크기를 되어 있고 이격되어 있다.
가요성 회로 요소(316)를 상부 하우징(102)과 하부 하우징(108) 사이에서 루트 설정하기 위하여, 가요성 회로 요소(316)는 제2 너클 슬롯(2228) 및 슬롯(2208)을 통과하여야 한다. 리더(2714)는 먼저 제2 너클 슬롯(2228) 및 슬롯(2208) 내에 간편하게 삽입되어 다른 쪽으로부터 잡아당겨진다. 또한, 가요성 회로 요소(316)를 제2 너클 슬롯(2228) 및 슬롯(2208)을 통해 루트 설정하도록, 가요성 회로 요소(316)는 제2 너클 슬롯(2228) 또는 슬롯(2208)의 슬롯 폭 미만의 최대 폭(2826)을 갖는다.
가요성 회로 요소(316)의 최대 폭(2826)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접속 패드(2720)는 가요성 회로 요소의 전도체(2718)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위치된다. 탭(2712) 및 접속 패드(2720)를 전도체(2718)에 대하여 직각으로 위치시킴으로써, 가요성 회로 요소(316)의 최대 폭(2826)은 기판(2702) 상에 요구되는 개수의 트레이스, 즉 전도체(27118)를 배치하는 데 필요한 폭에 탭 길이를 더한 것으로 감소된다. 탭 길이는 커낵터(2802) 또는 임의의 PWB 배선 장치를 위한 맞물림 깊이에 대응한다. 전도체(2718)들에 필요한 간격은 플렉스 스트립에 대한 제조 공차로 설정된다. 따라서, 가요성 회로 요소(316)의 폭은 최소화된다. 이러한 것은 슬롯(2208)의 슬롯 폭이 슬롯(2208)을 통한 가요성 회로 요소(316)의 루트 설정을 수용하기에 충분히 크도록 설정되기 때문에 중요하다. 플렉스의 폭이 최소라면, 슬롯 폭도 최소화되어서, 무선 전화기(100)의 크기는 그 폭이 가요성 회로 요소를 하우징들 사이에 루트 설정할 필요에 의해 제어되는 정도까지 최소화되게 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90°각도가 선택되었지만, 다른 적당한 각도가 선택될 수 있다. 목표는 전도체(2718)를 가요성 기판(2702) 상에 배치하여 가요성 회로 요소의 본체(2704)의 폭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이전의 설계는 전도체가 플렉스 스트립의 길이를 따라 연장하고 플렉스 스트립의 단부에서 확장부를 따라 배치된 접속 패드로 루트 설정되는 팬 아웃(fan out) 기술을 사용하였다. 도2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플렉스 스트립의 단부에서 소정 개수의 접속 패드를 배치하는 데 필요한 폭은 동일 개수의 전도체를 플렉스의 본체를 따라 배치하는 데 필요한 폭보다 상당히 크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가요성 회로 요소(316)는 제1 측면(2724) 및 제2 측면(2726)을 가지며, 복수개의 전도체(2718)는 제1 측면(2714) 및 제2 측면(2726) 모두에 배치된다. 또한, 도시된 실시예에서, 복수개의 접속 패드(2720)는 제1 측면(2724) 상에만 배치된다. 가요성 회로 요소(316)는 제2 측면(2726) 상의 전도체를 제1 측면(2724) 상의 접속 패드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가요성 회로 요소(316)를 통해 연장하는 복수개의 바이어스(2728)를 추가로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복수개의 전도체(2718) 및 복수개의 접속 패드(2720)는 제1 측면(2724) 및 제2 측면(2726) 모두에 배치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2개 이상의 전도체 층이 플렉스 스트립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27, 도31, 도29 및 도30을 참조하면, 스위치 조립체(3100)는 제1 스위치(3102), 제2 스위치(3104), 제3 스위치(3106), 로커 작동기(3108) 및 선택 작동기(3110)를 포함한다. 제1 스위치(3102), 제2 스위치(3104) 및 제3 스위치(3106)는 양호하게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단극 단일 행정 순간 스위치이다. 이러한 스위치는 로커 작동기(3108) 및 선택 작동기(3110)를 이동시킴으로써 수동으로 작동된다.
제1 스위치(3102)는 본체(3112), 제1 촉각 작동기(3114) 및 장착 패드(3116)를 포함한다. 본체(3112)는 스위치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 제1 촉각 작동기(3114)는 제1 촉각 작동기(3114)가 눌러지거나 다르게는 병진 이동된 때 스위치를 작동시킨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촉각 작동기(3114)를 누르는 것은 제1 스위치(3102)를 순간적으로 폐쇄하여 전기 접속을 완료한다. 본체는 제1 촉각 작동기(3114)를 통상적으로 개방되어 있는 위치로 외측으로 편의시키는 스프링 등의 바이어스 요소를 포함한다. 제1 스위치(3102)는 통상적으로 폐쇄되는 종류의 것이거나 임의의 적당한 종류의 스위치일 수 있다. 장착 패드(3116)는 제1 스위치(3102)를 장착하는 표면을 위한 간편한 표면을 제공한다. 그래서, 장착 패드는 인쇄 회로 기판(3122)과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전기 접촉 영역(3118) 및 전기 접촉 영역(3120)을 포함한다.
제2 스위치(3104)는 본체(3128)와, 제2 접촉 액츄에이터(3130)와, 장착 패드(3132)를 포함한다. 제3 스위치는 본체(3136)와, 제3 접촉 액츄에이터(3138)와, 장착 패드(3140)를 포함한다. 주지된 바와 같이, 예시적인 실시예의 스위치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또한 규격품이므로 구입이 용이한 부품이다. 적당한 규격품의 스위치는 미국 미네소타주 이든 프레어리(Eden Prairie, Minnesota, U.S.A.) 소재의 아이티티 스캐도우, 인크(ITT Schadow, Inc.)로부터 쉽게 구할 수 있는, 표면 장착 기술(SMT(surface mount technology))용의 KSS 소형의 측면 작동 접촉 스위치이다. 다른 스위치들도 대체될 수 있다. 주문 설계한 스위치가 아닌 규격품 스위치를 사용하면 스위치 조립체(3100)의 스위치의 비용을 감소시키고, 따라서 스위치 조립체(3100)를 포함하는 무선 전화기 등의 전자 장치의 총 제조 비용을 감소시킨다.
스위치 조립체(3100)에 요구되는 공간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3개의 스위치는 엇갈리게 배치된다. 제2 스위치(3104)는 제1 스위치(3102)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제3 스위치(3106)는 제1 스위치(3102)와 제2 스위치(3104)의 후방에 배치된다. 여기에서, 제1 스위치(3102)와 제2 스위치(3104)의 후방은 제1 스위치의 본체(3112)와 제2 스위치(3104)의 본체(128)가 로커 액츄에이터(3108)와 셀렉터 액츄에이터(3110)와 제3 스위치(3106)의 사이에 위치되는 것을 의미한다. 3개의 스위치가 비선형적으로 배치되도록 하는 다른 적당한 스위치 배치도 사용될 수 있다. 스위치의 배치를 이러한 방식으로 엇갈리게 함으로써 스위치 조립체(3100)의 높이(도30의 우측에서 좌측까지의 치수)는 최소화된다. 이것은 스위치 조립체(3100)를 사용하는 전자 장치의 크기를 감소시키도록 하며, 로커 액츄에이터(3108)와 셀렉터 액츄에이터(3110)가 사용자의 한 손의 단 한 개의 손가락 즉 엄지 손가락에 의해 조작되도록 한다.
로커 액츄에이터(3108)는 제1 로커 아암(3152)과, 제2 로커 아암(154)과, 포스트(3158)를 포함하는 중심 링크(3156)를 구비한다. 로커 액츄에이터(3108)는 제1 스위치(3102) 및 제2 스위치(3104)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제1 스위치(3102)와 제2 스위치(3104) 중 하나를 피봇식으로 작동시키도록 형성된다. 이에 의해, 로커 액츄에이터는 포스트(3158)에 대하여 피봇운동한다. 포스트(3158)는 중심 링크(3158)로부터 연장되며 인쇄 회로 기판(3122) 내의 구멍과 같은 지지체와 피벗식으로 결합하도록 형성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로커 액츄에이터(3108)는 제1 핑거 면(3160)과 제2 핑거 면(3162)을 포함한다. 이들 핑거 면은 로커 액츄에이터(3108)를 작동시키기 위해 사용자의 손가락 즉 엄지 손가락에 의해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로커 액츄에이터(3108)는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스트(3158)에 대하여 중립 위치로부터 제1 스위치(3102)의 제1 접촉 액츄에이터(3114)와 결합하기 위해 제1 로커 아암(3152)의 작동에 응답하여 제1 위치까지 피벗 운동한다. 로커 액츄에이터(3108)는 포스트(3158)에 대하여 중립 위치로부터 제2 스위치(3104)의 제2 접촉 액츄에이터(3130)와 결합하기 위해 제2 로커 아암(3154)의 작동에 응답하여 제2 위치까지 피벗 운동한다.
제1 로커 아암(3152)은 제1 접촉 액츄에이터(3114)와 접촉하도록 위치된 제1 결합 부재(3164)를 포함한다. 제2 로커 아암(3154)은 제2 접촉 액츄에이터(3130)와 결합하도록 위치된 제2 결합 부재(3166)를 포함한다. 제1 결합 부재(3164)와 제2 결합 부재(3166)는 임의의 적당한 크기와 형상을 갖는다. 결합 부재의 크기와 형상은 중립 위치로부터 접촉 액츄에이터가 결합되는 위치까지 로커 아암의 원하는 이동과 스위치 조립체(3100)의 부품의 상대적인 위치 결정의 원하는 공차에 근거하여 선택된다.
셀렉터 액츄에이터(3110)는 본체(3170)와 연장체(3172)를 포함한다. 연장체(3172)는 핑거 면(3168)에서 종료된다. 제1 스위치(3102)와 제2 스위치(3104)는 셀렉터 액츄에이터(3110)의 연장체(3172)를 수용하는 크기인 노치(3174)를 형성하도록 이격된다. 마찬가지로, 로커 액츄에이터(3108)의 제1 로커 아암(3152), 제2 로커 아암(3154) 및 중심 링크(3156)는 셀렉터 액츄에이터(3110)의 연장체(3172)를 수용하는 크기인 슬롯(3176)을 형성한다. 슬롯(3176)은 연장체(3172)의 핑거 면(3168)과 결합함으로써 제3 스위치(3106)를 슬라이딩 작동시키기 위해 노치(3174)와 일직선 정렬된다. 그래서, 셀렉터 액츄에이터(3110)는 핑거 면(3168)을 누름으로써 작동된다. 셀렉터 액츄에이터(3110)는 노치(3174)와 슬롯(3176) 내에서 슬라이드하며 제3 접촉 액츄에이터(3138)와 결합한다. 예시된 바와 같이, 셀렉터 액츄에이터는 제3 접촉 액츄에이터(3138)와 결합하도록 위치된다. 제3 결합 부재(3178)의 크기와 형상은 제1 결합 부재(3164)와 제2 결합 부재(3166)를 선택하기 위해 상기한 바와 같이 고려하여 선택된다.
셀렉터 액츄에이터(3110)의 핑거 면(3168)이 로커 액츄에이터(3108)의 제1 핑거 면(3160)과 제2 핑거 면(3162)의 사이에 위치되므로, 스위치 조립체(3100)는 사용자의 손의 한 손가락 즉 엄지 손가락만을 사용하는 쉬운 작동에 특히 적합하다. 한 손에 무선 전화기와 같은 전자 장치를 파지한 상태에서, 로커 액츄에이터(3108)와 셀렉터 액츄에이터(3110)는 서로에 대해 사이 공간 없이 바로 인접하게 이격된다. 그래서, 핑거 면도 또한 바로 인접하게 되므로 스위치 중 하나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선택하여 작동시킨다. 이것은 예를 들어 무선 전화기의 메뉴 시스템이나 전자식 전화 번호부를 조작할 때에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킨다.
도31, 도32 및 도3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조립체(3200)가 도시되어 있다. 스위치 조립체(3200)는 제1 스위치(3202), 제2 스위치(3204) 및 제3 스위치(3206)를 포함한다. 스위치 조립체(3200)는 로커 액츄에이터(3208)와 셀렉터 액츄에이터(3210)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요소들의 구조와 작동은 도27 내지 도30의 유사한 요소들과 거의 같다.
또한, 스위치 조립체(3200)는 제1 스위치(3202), 제2 스위치(3204), 제3 스위치(3206), 로커 액츄에이터(3208) 및 셀렉터 액츄에이터(3210)를 고정된 방향으로 유지시키는 브래킷(3212)을 더 포함한다. 브래킷(3212)은 3개의 접촉 스위치와 2개의 액츄에이터를 유지시키므로 이 요소들 각각을 위치시키는 공차에 대하여 더 광범위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이것은 스위치 조립체(3200)를 작동시킬 때에 접촉 감촉에 대한 향상된 일관성을 유발한다. 브래킷(3212)을 포함함으로써, 완성된 전자 장치를 제조하기 위해 조립되어야 하는 각각의 부품의 전체 갯수는 도27의 실시예의 5개(3개의 스위치와 2개의 액츄에이터)에서 도31의 실시예의 1개로 감소된다. 이것은 제조 비용, 쓰레기 및 시간을 감소시킨다. 표면 장착 부착에 의해 인쇄 배선 기판(PWB)에 조립된다면, 전체 스위치 조립체(3200)는 하나의 부품으로서 PWB에 직접 부착된다. 로봇식의 조립이 사용된다면, 스위치 조립체는 진공 공구와 같은 로봇식 공구에 의해 설치된다.
브래킷(3212)은 로커 액츄에이터(3208)의 포스트(3216)를 수용하는 크기인 구멍(3214)을 형성한다. 구멍(3214)은 로커 액츄에이터(3208)가 포스트(3216)에 대하여 피봇 운동하도록 포스트(3216)를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둘러싼다. 이러한 방식으로, 로커 액츄에이터(3208)의 제1 로커 아암(3220)과 제2 로커 아암(3222)은 제1 스위치(3202)와 제2 스위치(3204)를 각각 작동시킨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브래킷(3212)은 제1 로커 아암(3220)과 제2 로커 아암(3222)의 이동을 각각 제한하도록 배치된 제1 쇼울더(3226)와 제2 쇼울더(3228)를 포함한다. 이것은 로커 액츄에이터(3208)가 매우 심하게 압박되더라도 로커 아암이 스위치를 손상시키지 않도록 한다.
도34을 참조하면, 무선 전화기 통신 시스템(3700)의 블록 다이어그램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무선 전화기 통신 시스템(3700)은 원격 송수신기(3702)와 무선 전화기(3704)와 같은 하나 이상의 무선 전화기를 포함한다. 원격 송수신기(9372)는 일정한 지리적 영역 내에서 무선 전화기 상호간에 무선 주파수(RF) 신호를 송수신한다.
무선 전화기(3704)는 지리적 영역 내에 한정되는 무선 전화기이며, 도1에 도시된 형태일 수 있다. 무선 전화기(3704)는 안테나(3706), 수신기(3708), 송신기(3710), 복조기(3712), 제어기(3714)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3716)를 포함하며, 이것들은 모두 하우징(3701)내에 내장된다. 하우징(3701)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하우징(102)과 하부 하우징(108)과 같은 다중 하우징을 포함한다. RF 신호의 수용 시에, 무선 전화기(3704)는 안테나(3706)를 통해서 RF 신호를 검출해서 검출된 RF 신호를 발생시킨다. 안테나(3706)에 연결된 수신기(3708)는 검출된 RF 신호를 전기 베이스밴드 신호로 전환시킨다. 복조기(3712)는 전기 베이스밴드 신호를 복조시켜서 RF 신호 상에 전송된 데이터를 복원시키고 이 데이터를 제어기(3714)에 출력시킨다. 제어기(3714)는 표시부(346)를 포함하는 무선 전화기(3704)를 제어하기 위해서 하우징(3701) 내에 배치된다. 제어기(3714)는 데이터를 사용자 인터페이스(3716)에 의해 사용하기 위해 인식 가능한 음성이나 정보로 포맷시킨다. 사용자 인터페이스(3716)는 수용된 정보나 음성을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전형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3716)는 표시부(346), 키이패드(720), 스피커(342), 마이크로폰(734) 및 스위치 조립체(114)를 포함한다. 무선 전화기는 기억 장치(3726)를 더 포함한다.
무선 전화기의 핸드세트(3704)로부터 원격 송수신기(3702)로 무선 주파수 신호를 전달할 때에, 사용자 인터페이스(3716)는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제어기(3714)로 전달한다. 전형적으로, 제어기(3714)는 마이크로프로세서, 기억 장치, 클록 발진기 및 전력 증폭기 제어 회로를 포함한다. 제어기(3714)는 RF 변조된 신호로 전환하기 위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3716)로부터 입수한 정보를 포맷시켜서 송신기(3710)로 전달한다. 송신기(3710)는 RF 변조된 신호를 원격 송수신기(3702)로 전송하기 위해서 이 RF 변조된 신호를 안테나(3706)로 전달한다.
스위치 조립체(114)는 도27 내지 도31와 연관하여 상기한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스위치 조립체(114)는 하향 이동 버튼(3730), 상향 이동 버튼(3734) 및 선택 버튼(3736)을 포함한다. 이들 버튼은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로커 아암과 제2 로커 아암과 셀렉터 액츄에이터를 구비한 로커 액츄에이터에 해당된다. 이들 버튼은 적당한 전기 신호를 제어기(3714)에 전송하기 위하여 제1 스위치, 제2 스위치 및 제3 스위치를 작동시킨다. 이들 버튼은 제어기(3714)와 연관하여 사용되면 기억 장치(3726) 내에 저장된 메뉴 시스템이나 전자식 전화 번호부를 통해서 상기 이동을 제공한다.
기억 장치(3726)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검색하기 위하여 하우징(3701) 내에 배치된다. 특히, 기억 장치는 전화 번호부를 형성하는 정보를 저장하고 메뉴 시스템을 저장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저장된 전자식 전화 번호부 데이터는 이름을 나타내고 전화 번호와 관련된 데이터와 다른 정보 데이터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는 키이패드(720)를 사용하여 입력된다. 데이터는 입력 중에 및 전화 번호부의 연속적인 사용 중에 모두 표시부(346) 상에 표시된다. 기억 장치(3726)는 키이패드(720)에 검색 요소나 기호를 입력함으로써 미리 저장된 데이터를 검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어기(3714)는 기억 장치(3726) 내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을 제어하고 표시부(346)에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해서 로커 액츄에이터와 셀렉터 액츄에이터의 작동에 응답한다. 전형적으로 제어기는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이나 소프트웨어에 응답하여 작동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이거나 마이크로 제어기이다. 스위치 작동은 소프트웨어에서 관리되는 정의에 따라서 처리되어 메뉴 시스템이나 전자식 전화 번호부 등의 특정한 응용에 맞춰질 수 있다.
도35을 참조하면, 힌지(376)는 조립될 때에 도1의 상부 하우징(102)의 전방부(106)를 하부 하우징(108)의 전방부(110)에 연결시킨다. 힌지(376)는 예시된 실시예에서 캠(3802)인 정지 요소와, 예시된 실시예에서 종동자(3804)인 가동 요소와, 스프링(3806)을 구비한다. 캠(3802)은 종방향의 중심 축(3902)을 갖는 대략 원통형인 것으로 도35 및 도36에 도시되어 있다. 캠(3802)은 시중에서 듀퐁(DuPont)사로부터 구입 가능한 델린 100(상표명, Delrin 100) 아세탈 수지 또는 다른 적당한 재료를 사용하여 사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캠(3802)은 축(3902)을 따라 결합된 두개의 독특한 일체부, 즉 헤드(3808)와 캔(3810)을 갖는다.
헤드(3808)는 예시된 실시예에서 대체로 원통형이고 약 4 mm의 길이와 직경을 갖는다. 헤드(3808)는 본체(3812)와 프롱(3814)을 갖는다. 본체(3812)는 고체이고, 디스크 형상이고, 축(3902)에 동축이다. 본체(3812)의 일단부는 캔(3810)과 근접한다. 프롱(3814)은 본체(3812)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과 본체(3812)의 접합 단부에 수직인 수렴면을 형성하도록 절취된 삼각부를 갖는 대체로 원통형인 수형 커넥터이다. 프롱(3814)의 말단은 캠(3802)의 일단부를 한정하는 표면(3904)을 채용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표면(3904)은 일단 조립되면 캠(3802)의 이동을 방지하도록 암형 커넥터와 최대 표면 접촉을 형성하는 "Y" 형상 또는 "+"와 같은 다른 적합한 형상을 갖는다.
캔(3810)은 일단부에서 폐쇄되고 타단부에서 개방된 대체로 중공형 원통형이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캔(3810)은 약 4 mm의 길이와, 약 6 mm의 외경과, 약 3 mm의 내경을 갖는다. 폐쇄 단부에서, 캔(3810)은 헤드(3808)에 접합되고 헤드보다 약간 큰 직경의 대체로 편평 원형면(3906)을 갖는다. 헤드(3808)에 대항하는 캔(3810)의 개방 단부는 그 주연 주위에 반면상(3817)을 갖는다. 반면상(3817)은 캠(3802)의 타단부를 한정한다. 반면상(3817)은 180°대칭이고 윤곽을 나타내는 한 쌍의 지지면(3818, 3819)으로 구성된다. 지지면(3818, 3819)은 힌지(376)의 작동 동안 마모를 최소화시키도록 하향의 내부로 약간 경사진다.
명확함을 위하여, 반면상(3817)은 캔(3810)의 개방 단부의 원형 주연으로부터 제거되고 지지면(3818, 3819)은 도39에서 2차원 그래프 상에 맵핑되고, 여기에서 수평축은 길이를 나타내고 수직축은 높이를 나타낸다. 각각의 지지면(3818, 3819)은 대체로 램프형이고 각형 부분(4202, 4203)과 만곡 부분(4204, 4205)을 포함한다. 각형 부분(4202)은 90°약간 미만의 각도(θ1)로 수평축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하여 만곡 부분(4204)을 접합시킨다. 만곡 부분은 대체로 볼록형이고, (수평축에 대해) 약 30°의 각도(θ2)로 각형 부분(4202)으로부터 연장하는 아암과, 일단부 상에서 아암에 접합되고 타단부 상에서 각형 부분(4203)에 접합된 약 1 mm 반경의 호형을 갖는다. 각형 부분(4203)은 (수평축에 대해)약 30°의 각도(θ3)로 만곡 부분(4204)으로부터 하향으로 연장하여 만곡 부분(4205)에 접합한다. 만곡 부분(4205)은 대체로 오목형이고 일단부 상에서 각형 부분(4203)에 접합되고 타단부 상에서 지지면(3819)의 각형 부분(4202)에 접합된 약 0.1 mm 반경의 호형을 갖는다.
도35 및 도37에는 대체로 원통형인 종동부(3804)가 도시되어 있다. 종동부(3804)는 힌지(376)를 윤활시키는 필요성을 제거하기 위하여 테프론이 스며든 나일론이 또는 다른 적합한 불화 탄소가 스며든 폴리마이드와 같은 윤활된 플라스틱으로 사출 성형된다. 종동부(3804)는 세개의 독특한 일체부, 즉 본체(3820), 아암(3822) 및 헤드(3824)를 갖는다.
본체(3820)는 일측면 상에서 대체로 직사각형 고형부에 측면으로 접합된 원통형 중공부로 구성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본체(3820)는 약 11 mm의 길이(L)와, 약 5 mm의 높이(H)와, 약 7 mm의 폭을 갖는다. 본체(3820)의 일단부는 편평 전방면(4002)에 의해 한정된다. 종동부(3804)의 일단부이기도 하는 본체(3820)의 타단부는 원통형 내부면(3830) 쪽 원형 개구(3828)를 갖는 편평 후방면(3826)에 의해 한정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개구(3828)와 내부면(3830)은 약 4.5 mm의 직경을 갖고 내부면(3830)은 약 10 mm의 길이를 갖는다. 본체(3820)의 중공부는 전방면과 후방면(4002, 3826) 사이에 연장하고 본체(3820)의 상부-중간면, 상부-좌측면, 좌측면, 하부-좌측면 및 바닥-중간면을 한정하는 반원형 외부면(3832)을 갖는다. 리브(3834)는 본체(3820)의 좌측면을 따라 외부면(3832) 상에 형성된다. 리브(3834)는 대체로 반원형이고 전방면과 후방면(4002, 3826) 사이에서 본체(3820)의 길이부(L)를 연장시킨다. 본체(3820)의 고형부는 전방면과 후방면(4002, 3826) 사이에 연장하고 본체(3820)의 바닥-우측면, 우측면, 및 바닥-우측면을 한정하는 상호연결된 편평 외부면(3836)을 갖는다. 리브(3838)는 본체(3820)의 바닥-우측면을 따라 외부면(3836) 상에 형성된다. 리브(3838)는 대체로 반원형이고 전방면과 후방면(4002, 3826) 사이에서 본체(3820)의 길이부(L)를 연장시킨다.
종동부(3804)의 아암(3822)은 본체(3820)의 우측면으로부터 측면으로 연장한다. 아암(3822)은 예시된 실시예에서 대체로 직사각형이고 본체(3820)의 전방면(40020과 동일 평면인 전방면(4004)과 약 4 mm의 거리로 전방면(4004)으로부터 수직 후방으로 연장하는 상부 및 바닥면(3840, 3842)을 갖는다. 상부 및 바닥면(3840, 3842)은 본체(3820)의 상부-중간면에서 외부면(3832)과 동일 평면이고 본체(3820)의 바닥-우측면에서 외부면(3836) 중 하나와 동일 평면이다. 전방면, 상부면 및 바닥면(4004, 3840, 3842) 사이에서 수직으로 연장하는 우측면(3844)은 예시된 실시예에서 본체(3820)의 우측면에 있는 외부면(3832) 중 하나에 대체로 평행하게 이로부터 약 2 mm 연장한다. 대체로 반원형인 리브(3848)는 우측면(3844)의 바닥 모서리에 근접하는 바닥면(3842) 상에서 가로질러 연장하여 형성된다. 대체로 반원형인 리브(3850)는 우측면(3844)의 상부 모서리에 있는 상부면(3840) 상에서 가로질러 연장하여 형성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리브(3850)는 리브(3834, 3838, 3846, 3848)의 반경보다 실제로 큰 반경을 갖는다. 리브(3834, 3838, 3846, 3848, 3850)는 드래프트가 없고 종동부(3804)의 외부면 상에 균일함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종동부(3804)의 헤드(3824)는 전방면(4002)에서 본체(3820)에 접합된다. 헤드(3824)는 포스트(4006)와 핑거(4008, 4010)를 갖는다. 포스트(4006)는 대체로 원통형이고 예시된 실시예에서 약 2 mm의 직경 또는 높이와 약 4 mm의 길이를 갖는다. 포스트(4006)는 일단부에서 전방면(4002)에 접합되고 타단부에 있고 종동부(3804)의 타단부도 한정하는 돔(4011)에서 종단한다. 포스트(4006)는 도2의 회전축(211)과 정렬하여 힌지(376)를 유지한다. 포스트(4006)는 핑거(4008, 4010) 사이에 위치된다.
핑거(4008, 4010)는 일단부에서 전방면(4002)에 접합되고 포스트(4006)의 양측면을 따라 이에 인접하여 측면으로 연장하고 타단부에 있는 둥근 팁(4012, 4014)에서 종단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핑거(4008, 4010) 길이는 약 3 mm이다. 팁(4012, 4014)은 핑거(4008, 4010)의 각각의 플래너 편평면(4016, 4018)과 핑거(4008, 4010)의 대향하는 개별적인 각형면(4020, 4022)의 수렴으로부터 형성된다. 편평면(4016, 4018)은 전방면(4002)으로부터 팁(4012, 4014)까지 대체로 수직으로 연장한다. 각형면(4020, 4022)은 팁(4012, 4014)으로부터 전방면(4002)까지 먼저 제1 각형부(4024, 4026)에 의해 한정된 바와 같이 편평면(4016, 4018)에 대해 약 40°의 각도로 연장하고 다음에 제2 각형부(4028, 4030)에 의해 한정된 바와 같이 전방면(4002)에 대해 약간 수직 미만인 각도로 연장한다. 이와 같이, 핑거(4008, 4010)는 팁(4012, 4014) 주위에서 대칭이 아니다. 또한, 예시된 실시예에서, 핑거(4008, 4010)는 포스트(4006)를 가로질러 180°대칭이다. 핑거(4008)에 관하여, 편평면(4016)은 포스트(4006) 높이의 약 3/4에서 포스트(4006)를 따라 연장하고 각형면(4020)의 제1 각형부(4028)는 포스트(4006)의 바닥과 거의 같은 높이이다. 핑거(4010)에 관하여, 편평면(4018)은 포스트(4006) 높이의 약 1/4에서 포스트(4006)를 따라 연장하고 각형면(4022)의 제2 각형부(4028)는 포스트(4006)의 상부와 거의 같은 높이이다.
스프링(3806)은 종동부(3804)의 원형 개구(3828)와 원통형 내부면(3830)의 직경보다 약간 작은 외경을 갖는 나선형이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스프링(3806)은 피아노 선 또는 다른 적절한 재료로 구성되고 약 4 mm의 외경과 약 16 mm의 길이와 12 코일과 약 5.6 N/mm의 탄성 계수를 갖는 압축 스프링이다. 스프링(3806)의 단부는 폐쇄되고 연마(즉, 편평)되어 힌지(376)가 일단 조립되면 정합을 용이하게 한다.
힌지(376)를 수용하기 위하여, 도1의 상부 하우징(102)의 전방부(106)의 너클(210)은 도35의 구멍(3852, 3854, 369)과 포켓(370)을 갖는다. 원형인 구멍(3852)은 너클(210)의 일단부에 형성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구멍(3852)은 약 6 mm의 직경을 갖고 길이가 약 7 mm인 너클(210)의 원통형 내부면을 한정하도록 내부로 연장한다. 원형인 구멍(3854)은 너클(210)의 타단부에 형성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구멍(3854)은 약 4.5 mm의 직경을 갖고 길이가 약 1 mm인 너클(210)의 링형상 내부면을 한정하도록 내부로 연장한다. 구멍(369)은 대체로 직사각형이고 너클(210)의 전방에 형성된다.
포켓(370)은 구멍(369)의 배면에 설치되고 약간 반원통형인 너클(210)의 내부면(3859)을 한정한다. 포켓(370)은 일단부 상에서 구멍(3854)과 교차하고 타단부에 있는 내벽(3860)에 의해 구멍(3852)으로부터 격리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포켓(370)은 약 6 mm의 직경과 약 17 mm의 길이를 갖는다. 포켓(370)의 직경이 구멍(3854)의 직경보다 약간 크기 때문에, 내부 원형벽(3861)은 구멍(3854) 둘레의 포켓(370)에 형성된다. 전방부(106)의 나머지뿐만 아니라 포켓(370)은 플라스틱 사출 성형 공정으로 제작된다. 포켓(370)의 직경을 균일화시키기 위하여, 포켓(370)이 형성되는 주조 공구는 포켓(370)으로부터 구멍(369)을 경유하여 회전축(211)에 수직인 방향으로 당겨진다. 이렇게 함으로써, 포켓(370)은 균일한 형상을 구비하여, 회전축(211)에 법선으로 취해진 포켓(370)의 모든 단면이 대체로 동일할 것이다. 포켓(370)의 균일한 형상은 주조 공구의 배출에 필요시되는 약간 드래프트 각도를 갖는 대체로 반원통형이다.
힌지(376)를 수용하기 위하여, 도1의 바닥 하우징(108)의 전방부(110)의 너클(208, 210)은 소켓(3862)과 샤프트(3864)를 갖는다. 소켓(3862)은 너클(210)과 대면하는 너클(208)의 표면에 형성된 암형 커넥터이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소켓(3862)은 약 3 mm의 깊이를 갖고 "Y"형 프롱 또는 다른 적합한 형태의 프롱을 허용하고 고착시키도록 형성된다. 샤프트(3864)는 수형 커넥터이고 너클(208)과 대면하는 너클(210)의 표면 상에 수반된다. 샤프트는 원통형이고, 예시된 실시예에서 약 6 mm의 직경을 갖는다.
전방부(106, 110)에 대한 힌지(376)의 조립은 도35 내지 도37을 참조하여 하기에 설명된다. 먼저, 힌지(376)가 조립된다. 스프링(3806)은 종동부(3804)로 삽입된다. 스프링(3806)의 일단부는 라인(3872)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종동부(3804)의 본체(3820)의 원형 개구(3828)로 삽입된다. 캠(3802)은 종동부(3804) 상에 배치된다. 캠(3802)의 캔(3810)은 라인(3876)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종동부(3804)의 헤드(3824) 상에 배치되어 헤드(3824)의 포스트(4006)의 돔(4011)이 캔(3810)의 개방 단부로 삽입되고 핑거(4008, 4010)의 팁(4012, 4014)이 캔(3810)의 각각의 지지면(3818, 3819)의 만곡 부분(4205)의 호형과 결합하게 한다.
다음, 힌지(376)는 전방부(106)의 포켓(370)으로 삽입된다. 힌지(376)는 스프링(3806)의 노출 단부가 구멍(369)을 경유하여 포켓(370)으로 연장하고 라인(3874)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약 30°각도로 내벽(3860)과 결합하도록 위치된다. 공구를 사용할 때, 힌지(376)는 내부벽(3860)으로 가압되어 모든 스프링(3806)을 실질적으로 종동부(3804)의 본체(3820)로 압축한다. 스프링(3806)이 압축될 때, 캠(3802) 및 종동부(3804)는 종동부(3804)의 본체(3820) 외부면(3832)이 너클(210) 내부면(3859)과 병렬로 배치될 때까지 구멍(369)을 통해 포켓(370)으로 방향을 바꾸고, 캠(3802) 헤드(3808)는 프롱(3814)이 구멍(3854)과 정렬되도록 포켓(370) 내에 배치된다. 일단 배치되면, 힌지(376)는 선(3870)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구멍(3854)을 통해 캠(3802) 헤드(3808)의 프롱(3814)의 압력을 줄이고 가압할 수 있도록 완화된다. 전방부(106) 내에 설치되면, 종동부(3804) 본체(3820)의 직사각형 고체부 및 종동부(3804)의 아암(3822)은 구멍 상에서 포켓 외측에 배치되고, 캠(3802) 헤드(3808)의 프롱(3814)은 구멍(3854) 외측에서 너클(210)의 한 단부로부터 연장되고, 캠(3802) 헤드(3808)의 본체(3812)는 구멍(3854)에 의해 형성된 내부면에 대항하여 배치되며, 캠(3802)의 캔(3810)은 포켓(370) 내에 배치되고 포켓(370)의 내측 원형 벽(3861)에 표면(3906)이 접촉된다.
마지막으로, 전방부(106)는 전방부(110)에 부착된다. 전방부(106)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 위치로부터 전방부(110)에 부착된다. 전방부(106)는 전방부(110)에 대해 각도 θ로 대략 160°로 배치되고 선(3866)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너클(206) 샤프트(3864)를 구멍(3852)으로 이송하도록 전방부(110)를 향해 경사져 있다. 구멍(3852) 및 샤프트(3864)가 결합되면, 힌지(376)가 압축되어 캠(3802)의 프롱(3814)을 너클(210)로 후퇴시킨다. 전방부(106)는 너클(210)이 너클(206 및 208) 사이에 배치되고 구멍(3854)이 소켓(3862)과 정렬되도록 수평으로 맞추어진다. 힌지(376)는 그 다음에 선(3868)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프롱(3814)이 구멍(3854)을 통해 이동하고 소켓(3862)과 결합되도록 완화된다. 일단 결합되면, 프롱(3814)은 소켓(3862)으로 채워져서 캠(3802)이 고정되게 한다. 힌지(376)가 전방부(106, 110)에 완전히 조립되는 것은 도38에 도시되어 있다.
힌지(376)의 조작은 주로 도35 내지 도40과 관련하여 설명된다. 도1의 무선 전화(100)가 도2에 도시된 개방 위치에 있을 때, 도38에 도시된 힌지(376)의 위치는 스프링(3806)의 복수 코일들에서 명백히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캠(3802)을 향한 포켓(370) 내의 종동부(3804)의 축방향 변위로 한정된다. 종동부(3804)의 핑거(4008, 4010)의 팁(4012, 4014)은 도3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지점(4214 및 4216)에서 각각의 지지면(3818, 3819)의 만곡 세그먼트(4205)의 호 내에 배치된다.
무선 전화(100)가 개방 위치로부터 도1에 도시된 폐쇄 위치로 이동됨에 따라, 캠(3802)은 고정 상태를 유지하며 종동부(3804)는 회전 축(211)을 따라 포켓(370) 내에서 이동되며, 핑거(4008, 4010)의 팁(4012, 4014)은 베어링 면(3818, 3819)을 각각 횡단한다. 폐쇄 위치로의 이동은 전방부(106)를 전방부(110)에 시계 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개시된다. 이러한 것은 팁(4012, 4014)을 베어링 면(3818, 3819)의 만곡 세그먼트(4205)로부터 각각 이동되게 하고, 핑거(4008, 4010)의 각도 면(4020, 4022)이 각각의 베어링 면(3818, 3819)의 각도 세그먼트(4203)와 접촉되어 그 위에서 활주되게 하며, 종동부(3804)가 스프링(3806)을 가압하면서 포켓(370)의 내부벽(3860)을 향해 이동되게 한다. 핑거(4008, 4010)의 각도 면(4020, 4022)은 베어링 면(3818, 3819)의 각도 세그먼트(4203) 상에서 각각 활주되고, 종동부(3804)는 베어링 면(3818, 3819)의 각도 세그먼트(4204)의 호의 정점이 도달될 때까지 스프링(3806)을 가압하면서 포켓(370)의 내부벽(3860)을 향해 계속해서 이동된다. 팁(4012, 4014)이 베어링 면(3818, 3819)의 만곡 세그먼트(4204)의 호의 정점을 각각 통과할 때, 종동부는 캠(3802)으로 이동되기 시작하고 스프링(3806)이 완화되기 시작한다. 전방부(106)가 전방부(110)와 병렬 배치될 때, 팁(4012, 4014)은 도3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점(4210, 4212)에서 베어링 면(3818, 3819) 상에 각각 배치된다. 지점(4210)은 베어링 면(3818)의 각도 세그먼트(4202)의 근접하여 베어링 면(3818)의 만곡 세그먼트(4210)의 아암 상에 배치된다. 지점(4212)은 베어링 면(3819)의 각도 세그먼트에 근접하여 베어링면(3819)의 만곡 세그먼트(4210)의 아암 상에 배치된다. 지점(4210, 4212)에서, 전방부(106, 110)를 병렬 배치 상태로 보유하기 위해 부분적으로 가압되어 예비 장착된다. 팁(4012, 4014)의 비대칭에 의해, 팁(4012, 4014)이 베어링면(3818, 3819)의 각도 세그먼트(4202)로 하향 이동되어 힌지(376)가 "체결"되는 경향을 증가시킴없이 베어링면(3818, 3819)의 각도 세그먼트(4202)의 각각에 대해 핑거(4008, 4010)가 더 밀접하게 위치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밀접한 위치 선정은 대칭 설계를 유지하면서 전방부(110)에 대한 전방부(106)의 회전 각도를 최대화 해 준다. 종동부(3804)의 핑거(4008, 4010)와 캠(3802)의 베어링면(3818, 3819)의 설계는 대칭이 바람직한 데, 그 이유는 대칭 설계에 의하면 힌지(376)의 작업 수명이 연장되고 마모가 최소화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점에서, 전방부(106)는 전방부(110)와 병렬 배치되고, 무선 전화(100)는 도1에 도시된 폐쇄 위치에 놓인다. 도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376)의 위치는 스프링(3806)의 가시도의 부족과 종동부(3804)가 포켓(370)의 내부벽(3860)으로 더 근접되는 것에서 판명되는 바와 같이 캠(3802)으로부터 멀어져서 종동부(3804)의 축방향 변위에 의해 한정된다.
도1에 도시된 폐쇄 위치로부터 도2에 도시된 개방 위치로 되돌아가는 무선 전화(100)의 운동은 전술한 단계들을 실질적으로 역전시킴으로써 수행된다. 특히, 전방부(106)가 전방부(110)로부터 떨어져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때, 팁(4012, 4014)은 각각 베어링면(3818, 3819)의 만곡 세그먼트(4202)의 아암 위로 이동되고 종동부(3804)는 스프링(3806)이 압축되게 하면서 캠(380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 축(211)을 따라 가압된다. 만곡 세그먼트(4204)의 호의 정점에서, 팁(4012, 4014)은 캠(3802)의 캔(3810)의 개방 단부에서 활주되는 종동부(3804)의 포스트(4006)의 돔(4011)에 의해 각각 베어링면(3818, 3819)과 접촉되어 유지된다. 팁(4012, 4014)이 각각 베어링면(3818, 3819)의 만곡 세그먼트(4204)의 호를 통과할 때, 핑거(4008, 4010)의 각도 면(4020, 4022)은 베어링면(3818, 3819)의 각도 세그먼트(4203)와 각각 접촉되어, 스프링(3806)이 완화되기 시작된다. 스프링(3806)은 완화 중에 종동부(3804)를 캠(3802)을 향한 방향으로 회전 축(211)을 따라 가압한다. 종동부(3804)가 캠(3802)을 향해 가압될 때, 각도 면(4020, 4022)은 베어링면(3818, 3819)의 각도 세그먼트(4203)를 따라 추진된다. 이러한 것은 전방부(106)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도와준다. 종동부(3804)는 팁(4012, 4014)이 각각의 지점(4214, 4216)에서 베어링면(3818, 3819)의 만곡 세그먼트(4205)에 각각 배치될 때까지 캠(3802)을 향해 계속해서 이동된다.
종동부(3804)는 무선 전화(100)가 개방 및 폐쇄 위치들 사이에서 이동될 때 상대적으로 큰 힘을 받는다. 특히, 팁(4012, 4014)이 베어링면(3818, 3819)의 만곡 세그먼트(4202) 위에서 각각 이동될 때, 종동부(3804)는 도2의 회전 축(211)을 중심으로 포켓(370) 내에서 회전되려고 하는 경향을 갖는다. 종동부(3804)의 회전에 의하면 청각 클릭킹 소음을 발생시키기에 충분한 상부 하우징(102)의 일부분(104, 106)과 종동부(3804) 사이에 충돌을 유발하게 된다. 도35 및 도37의 종동부(3804)의 리브(3834, 3838, 3846, 3848, 3850)와 전술된 바와 같은 포켓(370) 직경의 불일치는 그러한 충돌을 방지하고 종동부(3804)가 회전 축(211)을 따라 선형으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한다. 특히, 종동부(3804)의 아암(3822)의 각각의 하부면 및 상부면(3842, 3840) 상의 리브(3848, 3850)는 도4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하우징(102)의 후방 및 전방부(104, 106)의 내부면과 결합한다. 리브(3848, 3850)는 무선 전화(100)가 개방 및 폐쇄 위치들 사이에서 이동됨에 따라 청각 클릭킹 소음을 발생시키고 회전 축(211)을 중심으로 내부에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해 준다. 후방부(104)의 내부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리브(4402)는 힌지(376)와 정렬을 유지하고 회전축(211)을 따른 종동부(3804)의 운동을 안내하도록 아암(3822)의 우측면(3844)에 접촉한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다른 수정예들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캠(3802)은 종동부(3804)가 고정 소자로 작동할 때 가동 소자의 기능을 할 수 있다. 또한, 캠(3802)과 종동부(3804) 사이의 공유면은 대안으로서 거울상의 캠 배열 또는 비대칭 단일 핑거 배열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무선 전화(100)에 합체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힌지(376)는 무선 호출기, 랩탑 컴퓨터, 개인용 디지탈 어시스턴트, 랜드라인 전화, 무선 전화 등을 포함하나 이들로 제한되지만은 않는 다른 접힘 가능한 기기들에서 유리하게 이용될 수 있음이 인식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정신 및 범주 내에 있는 그러한 변경예 및 수정예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도42를 참조하면, 무선 전화(100)와 충전 베이스(4500)의 분해도가 도시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충전 베이스(4500)의 신규한 구성은 무선 전화(100)가 충전 베이스(4500)로 되돌아갈 수 있게 하고 포켓의 형상 및 중력에 의해 무선 전화가 그 적절한 위치로 안내될 수 있게 한다. 충전 베이스는 양호하게는 무선 전화(100)의 하부 하우징(108)의 형상과 실질적으로 부합되는 만입 영역(4502)을 포함하고, 다른 각들이 무선 전화의 중량, 무선 전화와 충전 베이스의 재료의 마찰 계수 및 다른 요인에 따라 이용될 수 있더라도 수평에서 대략 7°로 경사져 있다. 충전 베이스(4500)는 대응 전류를 무선 전화(100)의 대응 충전 접점에 제공하도록 제1 충전 접점(4504)과 제2 충전 접점(4506)을 포함한다. 또한, 충전 베이스(4500)는 무선 전화(100)를 만입 영역(4502)으로 안내하도록 경사 모서리(4512)를 갖는 제1 측벽(4510)과 유사한 경사 모서리(4515)를 갖는 제2 측벽(4514)을 포함한다. 제1 안내 탭(4516)과 제2 안내 탭(4518)은 무선 전화의 대응 안내 슬롯들과 결합하도록 충전 베이스의 하부 단부 근처에 위치된다. 안내 탭과 안내 슬롯의 작동은 도46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된다. 마지막으로, 안테나 리세스(4524)를 갖는 제1 후방벽부(4520)와 제2 후방벽부(4522)는 무선 전화의 후방부가 후방벽부들을 제거할 때에 무선 전화를 수용하는 리세스를 한정한다. 중심 후방벽부가 제1 및 제2 후방벽부에서 다소 후방에 위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지만, 충전기의 후방을 가로질러 연장된 단일 후방벽부가 본 발명에 따라 합체될 수 있다.
조작중에, 충전 베이스 상의 안내 소자들은 무선 전화 상의 접점들이 항상 충전 베이스 상의 접점들에 대해 확실히 보유되도록 무선 전화 내의 대응 안내 소자들과 결합하는 데 이용된다. 양호하게는, 충전 베이스의 제1 안내 탭과 제2 안내 탭은 무선 전화의 각각의 제1 안내 슬롯 및 제2 안내 슬롯과 결합되고, 무선 전화(100)의 후방부가 제1 후방벽부(4520) 및 제2 후방벽부(4522)를 제거할 때 제1 및 제2 충전 접점들에 대항하여 무선 전화의 접점들을 가압한다. 무선 전화의 후방부가 충전 포켓으로 떨어질 때, 무선 전화는 도4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 베이스 내에 견고하게 위치되고, 무선 전화는 무선 전화의 충전 접점들과 충전 베이스의 충전 접점들 사이의 접촉을 유지하는 데 있어서 중력의 영향을 받지 않게 된다. 충전 베이스(4500)의 신규한 형상과 하부 하우징의 후방부(112)의 형상에 의해 무선 전화가 충전 베이스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특히, 중심 후방벽부(4523)를 포함하는 후방벽부는 외형 모서리(792)가 만입 영역(4205)과 접촉되고 외부면(790)이 중심 후방벽부(4523)와 접촉될 때에 무선 전화에 대한 경사부를 제공한다. 리세스 영역(4205)이 대체로 경사져 있고 무선 전화기가 상기 리세스 영역에 위치하였을 때 중심 후방 벽 부분이 대체로 경사져 있기 때문에 무선 전화기는 충전 기부의 안내 탭 쪽으로 미끄러진다.
특히, 후방부의 외부 표면(790) 및 외형부 에지(792)가 대체로 오목하기 때문에 무선 전화기(100)는 외형부 에지의 접점에서 리세스 영역을 따라 이동한다. 접점은 외형부 에지의 전체 폭보다 대체로 작고, 무선 전화기가 리세스 영역을 따라 미끄러질 때 마찰을 감소시킨다. 마찬가지로, 충전 기부의 중심 후방 벽 부분(4523)이 약간 볼록하고 무선 전화기의 외부 표면(790)이 볼록하기 때문에 무선 전화기(100)는 외부 표면(790)의 접점에서 중심 후방 벽 부분을 따라 올라간다. 따라서, 무선 전화기는 리세스 영역의 접점을 따라 약간 미끄러지고, 중심 후방 벽 부분의 접점은 무선 전화기가 충전기 쪽으로 미끄러질 때 마찰량을 만곡량에 따라 최소화 한다. 마찰량을 최소화 함으로써 리세스 영역의 경사량 및/또는 후방 벽의 높이를 감소시키게 된다. 또한, 무선 전화기가 삽입중에 충전기 하우징에 완전히 정렬되지 않으면 충전 기부의 측벽들이 무선 전화기를 리세스 영역 내에 정렬시키는 작용을 하는 반면에 측벽들의 나선형 에지는 무선 전화기를 리세스 영역으로 안내하게 된다.
도44에 도시된 것처럼, 인디케이터(120)는 전화기가 충전 기부에 있을 때 볼 수 있게 되어 있어서 충전시의 충전 상태를 관찰할 수 있게 해준다. 또한, 인디케이터(120)는 절첩된 무선 전화기가 셔츠 주머니에 위치하여 있을 때에도 볼 수 있게 되어 있어서 전화기의 상태를 알 수 있게 해준다. 인디케이터(120)는 예를 들어, IN USE, ROAM, NO SVC 또는 무선 전화기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알려져 있는 다른 상태를 알려주는 다색 LED로 될 수 있다. 무선 전화기가 개방 위치에 있는 것을 도시한 도45에 도시된 것처럼, 인디케이터(120)는 무선 전화기의 충전 상태를 시각적으로 보여준다. 광 파이프가 너클에 대체로 중심을 두고 있고 힌지의 곡률을 따르기 때문에 인디케이터(120)는 상부 하우징이 개방 또는 폐쇄된 상태에서 핸드 세트의 전방에서 보인다.
도46를 다시 보면, 도44의 선 49-49를 따라 취한 단면도는 충전 기부의 제1 안내 탭(4516)과 무선 전화기의 제2 안내 슬롯(4526)이 결합된 것을 보여준다. 대응 안내 탭과 안내 슬롯은 무선 전화기와 충전 기부의 결합을 가능하게 하는 형상을 취하고 있다. 특히, 제1 안내 탭(4516)의 좁은 부분(4902)은 넓은 부분(4904)으로 대체로 연장된다. 대응 제2 안내 슬롯(4526)은 넓은 부분(4906)으로부터 좁은 부분(4902)으로 대체로 연장된다. 제1 안내 탭의 좁은 부분(4902)이 제2 안내 슬롯의 좁은 부분(4908) 쪽으로 전진함으로써 안내 탭 및 안내 슬롯은 도47에 도시된 것처럼 충전 기부에 있는 무선 전화기를 충전 가능하게 적절하게 위치시킨다.
도47에서, 선 50-50을 따라 취한 도44의 단면도는 본 발명에 따른 충전 접점 배열을 도시한다. 특히, 충전 접점(5002)은 접점 개구(5008)에서 리세스 벽(5006)을 통해서 연장되는 접점부(5004)를 갖고 있다. 접점부(5004)는 무선 전화기의 충전을 가능하게 하도록 접점 나사(5010)에 접속된다. 도시된 것처럼, 접점 나사(5010)의 헤드는 충전 기부에 의한 충전을 허용하도록 노출되어 있다. 기판 접점(5012)은 로직 기판(718)에 납땝되어 있다. 기판 접점(5012)은 전화기를 충전용 접속 지점으로서 함께 유지하는 나사를 사용함으로써 추가의 충전 접점의 필요성을 없애준다. 또한, 기판 접점은 대개는 플라스틱 하우징에 용접되게 되고 특정 높이 요건을 갖는 나사식 인서트의 필요성을 없애준다. 기판 접점(5012)이 로직 기판 상에 납땜되기 때문에 기판 접점의 형상은 인서트보다 짧아서 더욱 소형인 설계가 가능하다. 로직 기판은 전방부(106)에 조립되고, 언더컷트(5014)에 의해 전방 하우징에 유지되어 전방 및 후방 하우징 상에 나사의 보유력이 작용할 수 있게 해준다.
앞에서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은 가요성 회로 도체를 움직이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이 장치는 두개의 하우징 사이에서 힌지가 신축성 있게 움직이게 하고 힌지용 피봇 표면을 제공하기 위하여 감소된 수의 부품을 사용한다. 슬롯형 지지 표면은 가요성 스트립이 하우징 요소들 사이에서 움직이게 해주고 신축성을 갖고 완전히 수납되게 해준다. 따라서, 가요성 스트립은 손상 없이 그리고 눈에 보이지 않는 상태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다른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한 청구범위는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사상 및 영역 내에 속하는 여러 변경 및 수정도 본 발명으로서 보호하려는 것이다.

Claims (9)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제1 힌지 개구(2207)와 이에 인접한 슬롯(2208)을 형성하는 제1 하우징(108)과,
    내부 회전 표면(2226)을 갖고 축을 따라 상기 제1 힌지 개구에 나란한 제2 힌지 개구(2223)를 형성하는 제2 하우징(102)과,
    제1 힌지 개구에서 제1 하우징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축에 동축으로 되어 있으며, 제2 하우징이 제1 하우징에 대하여 이동할 때 내부 회전 표면이 지지 표면 상에서 피봇되는 상태에서 제2 힌지 개구에의 삽입을 위한 크기를 취하고 지지 표면(2216)에서 종결되며, 상기 지지 표면과 함께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 사이에서 가요성 회로 요소(316)의 루우트를 정하기 위해 제1 하우징의 슬롯에 나란한 축 슬롯(2218)을 형성하는 축(22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제1 하우징 및 축이 단일 조립체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축이 제1 힌지 개구에의 삽입을 위한 크기로 되어 있는 배럴(2214)을 더 포함하고, 축 슬롯이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의 조립중에 가요성 회로 요소가 축 슬롯을 통해 삽입되는 것을 허용하기에 충분한 거리로 배럴의 측면을 따라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축이 제1 세트의 보유 형상부(2602, 2604)를 더 포함하고, 제1 힌지 개구가 축의 반경방향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 세트의 보유 형상부에 의해 결합되는 형상을 취하는 제2 세트의 대응 보유 형상부(2612, 26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제1 세트의 보유 형상부가 축의 외부 표면(2608) 상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리브(2602, 2604)를 포함하고, 제2 세트의 대응 보유 형상부가 제1 힌지 개구의 내부 표면(2612) 상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홈(2612, 2614)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리브가 축의 방사상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홈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리브가 축을 제1 힌지 개구 내에 보유하도록 제2 하우징에 인접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7. 가동 하우징 요소(102, 108)들 사이에서 가요성 회로 요소(316)의 루우트를 정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슬롯(2208)과 축(2210)-상기 축은 구멍(2215) 및 슬롯형 지지 표면(2216)을 가짐-을 갖는 제1 힌지부(206)와, 내부 회전 표면(2226)을 갖는 개구(2228)를 형성하는 제2 힌지부(2220)를 포함하는 힌지를 마련하는 단계와,
    가요성 회로 요소를 제2 힌지부의 개구에 삽입하는 단계와,
    가요성 회로 요소를 슬롯형 지지 표면 및 구멍과 슬롯을 통해서 연장시키는 단계와,
    내부 회전 표면이 지지 표면에 결합되도록 축을 개구에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슬롯에 인접한 제1 힌지 개구(2207)를 제1 힌지부에 형성하는 단계와, 슬롯형 지지 표면의 슬롯이 상기 슬롯에 나란해지도록 축을 제1 힌지 개구에 삽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슬롯형 지지 표면의 슬롯에 인접한 축(2210)의 외부 표면(2608) 상에 보유 형상부(2602, 2604)를 마련하는 단계와, 슬롯에 인접한 제1 힌지 개구(2207)의 내부 표면(2616) 상에 대응 보유 형상부(2612, 2614)를 마련하는 단계와, 축을 구멍에 끼울 때 보유 형상부 및 대응 보유 형상부를 정렬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80043191A 1997-10-15 1998-10-15 가요성 회로 도체의 루우트를 정하기 위한 장치및 방법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3399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950,990 1997-10-15
US08/950,990 US6011699A (en) 1997-10-15 1997-10-15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pparatus and method for routing flexible circuit conductors
US8/950,990 1997-10-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7130A KR19990037130A (ko) 1999-05-25
KR100339968B1 true KR100339968B1 (ko) 2002-07-18

Family

ID=25491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3191A Expired - Fee Related KR100339968B1 (ko) 1997-10-15 1998-10-15 가요성 회로 도체의 루우트를 정하기 위한 장치및 방법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011699A (ko)
KR (1) KR100339968B1 (ko)
CN (1) CN1114336C (ko)
BR (1) BR9803501A (ko)
CA (1) CA2250482C (ko)
GB (1) GB2335089B (ko)
TW (1) TW40530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93789B2 (ja) * 1997-05-20 2003-04-07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情報処理端末
US6352434B1 (en) 1997-10-15 2002-03-05 Motorola, Inc. High density flexible circuit element and communication device using same
FI112759B (fi) * 1998-03-18 2003-12-31 Nokia Corp Teleskooppipuhelin
USD434402S (en) * 1998-04-22 2000-11-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Cellular phone
US6321070B1 (en) * 1998-05-14 2001-11-20 Motorola,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a speaker assembly
US6439905B2 (en) 1998-05-29 2002-08-27 Nokia Mobile Phones Limited Electrical connector with a loop and helical turn
GB9811662D0 (en) * 1998-05-29 1998-07-29 Nokia Mobile Phones Ltd Electronic device and an electrical connector therefor
JP2944641B1 (ja) * 1998-06-22 1999-09-06 静岡日本電気株式会社 電子機器の保持器具
GB2344921A (en) * 1998-12-18 2000-06-21 Nokia Mobile Phones Ltd Frame urging electrical contact between display and printed circuit board
GB2346759B (en) * 1999-02-12 2003-06-18 Nokia Mobile Phones Ltd Radiotelephone
US6389302B1 (en) * 1999-04-28 2002-05-14 Ericsson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causing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to vibrate via piezo-ceramic vibrators
USD428403S (en) * 1999-06-29 2000-07-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Cellular phone
JP3439163B2 (ja) * 1999-08-27 2003-08-25 三洋電機株式会社 携帯型電子機器
DE69924535T2 (de) 1999-09-20 2006-02-16 Fractus, S.A. Mehrebenenantenne
JP2001119460A (ja) 1999-10-20 2001-04-27 Fujitsu Ltd 折りたたみ型携帯電話機及びフレキシブルケーブル
USD429709S (en) * 1999-11-19 2000-08-22 Motorola, Inc. Radiotelephone housing
USD429228S (en) * 1999-11-19 2000-08-08 Motorola, Inc. Radiotelephone housing
USD429488S (en) * 1999-11-19 2000-08-15 Motorola, Inc. Radiotelephone housing
USD425503S (en) * 1999-11-19 2000-05-23 Motorola, Inc. Radiotelephone housing
USD432510S (en) * 1999-11-19 2000-10-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Cellular phone
USD439571S1 (en) 1999-11-19 2001-03-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Cellular phone
US6249431B1 (en) * 1999-12-06 2001-06-19 C. C. & L Company Limited Desktop item
USD431539S (en) * 1999-12-06 2000-10-03 Wen-Yuan Kuo Telephone
WO2001054225A1 (en) * 2000-01-19 2001-07-26 Fractus, S.A. Space-filling miniature antennas
KR100389991B1 (ko) * 2000-02-23 2003-07-04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휴대형 절첩식 무선 통신 기기
JP3739641B2 (ja) 2000-04-19 2006-01-25 富士通株式会社 折りたたみ型携帯機
JP3448547B2 (ja) 2000-05-12 2003-09-22 三洋電機株式会社 折り畳み式携帯電話機
GB2368999B (en) * 2000-07-14 2004-08-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A portable radio device
CN1592321A (zh) 2000-08-04 2005-03-09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折叠式便携蜂窝电话
JP4637332B2 (ja) * 2000-08-04 2011-02-2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折り畳み式携帯無線装置
KR100381438B1 (ko) * 2000-08-24 2003-04-26 삼성전기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폴더 구동장치
USD450672S1 (en) 2000-09-07 2001-11-20 Nokia Mobile Phones Ltd. Handset
USD443866S1 (en) 2000-09-07 2001-06-19 Nokia Mobile Phones Ltd. Handset
US6351629B1 (en) * 2000-09-12 2002-02-26 Dieceland Technologies Corp. Compact modular wireless telephone
CN2440301Y (zh) * 2000-09-12 2001-07-25 英业达集团(南京)电子技术有限公司 电子信号传输的连接构造
USD448745S1 (en) 2000-11-09 2001-10-02 Appeal Telecom Co., Ltd. Wireless phone
USD445412S1 (en) 2000-11-13 2001-07-24 Appeal Telecom Co., Ltd. Wireless phone
USD445101S1 (en) 2000-11-13 2001-07-17 Appeal Telecom Co., Ltd. Wireless phone
USD446508S1 (en) 2000-11-13 2001-08-14 Appeal Telecom Co. Ltd Wireless phone
USD445411S1 (en) 2000-11-13 2001-07-24 Appeal Telecom Co., Ltd. Wireless phone
USD445410S1 (en) 2000-11-13 2001-07-24 Appeal Telecom Co., Ltd. Wireless phone
USD449284S1 (en) 2000-11-13 2001-10-16 Appeal Telecom Co., Ltd. Wireless phone
US7194291B2 (en) * 2001-06-26 2007-03-20 Gregory Kim Protective mask of mobile phone
GB2369519B (en) * 2000-11-22 2004-07-14 Nokia Mobile Phones Ltd Housing for an electronic device
USD445771S1 (en) 2000-12-08 2001-07-31 Appeal Telecom Co., Ltd. Wireless phone
USD447741S1 (en) 2000-12-29 2001-09-11 Appeal Telecom, Co., Ltd. Wireless phone
US7454014B2 (en) * 2000-12-29 2008-11-18 Vertu Limited Device with a loudspeaker and an ear piece cover
US6965789B2 (en) * 2000-12-29 2005-11-15 Vertu Limited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USD447128S1 (en) 2000-12-29 2001-08-28 Appeal Telecom Co., Ltd. Wireless phone
US7027844B2 (en) * 2000-12-29 2006-04-11 Vertu Limited Mobile telephone
US7006349B2 (en) * 2000-12-29 2006-02-28 Vertu Limited Casing
USD446201S1 (en) 2001-01-12 2001-08-07 Sk Teletech Co., Ltd. Portable telephone
USD448368S1 (en) 2001-01-17 2001-09-25 Bridge Design Cellular phone cover
US6678539B1 (en) * 2001-01-22 2004-01-13 Lu Sheng-Nan Mobile phone cover hinge
KR20020065702A (ko) * 2001-02-07 2002-08-14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
US6477041B2 (en) * 2001-02-13 2002-11-05 Intel Corporation Computer assembly with captivated screw carrier
KR100413601B1 (ko) * 2001-03-08 2003-12-31 엘지전자 주식회사 폴더가 구비된 이동 단말기
US6462942B1 (en) * 2001-05-31 2002-10-08 Palm Inc. Attachment device for handheld computers
JP2002368440A (ja) * 2001-06-06 2002-12-20 Toshiba Corp 折り畳み型電子機器とそのフレキシブル基板
JP2003046275A (ja) * 2001-07-31 2003-02-14 Fujitsu Ltd 携帯機器
TW520809U (en) 2001-09-28 2003-02-11 Molex Inc Hand-held electronic device
US9755314B2 (en) 2001-10-16 2017-09-05 Fractus S.A. Loaded antenna
JP2005506748A (ja) * 2001-10-16 2005-03-03 フラクトゥス,ソシエダ アノニマ 装荷アンテナ
USD460961S1 (en) 2001-10-19 2002-07-30 Sony Corporation Wireless telephone
US7136681B2 (en) * 2001-10-31 2006-11-1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Electrically conductive carrier and patterning for controlling current distribu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US20030132293A1 (en) * 2002-01-11 2003-07-17 Hand Held Products, Inc. Transaction terminal including raised surface peripheral to touch screen
JP2003229938A (ja) * 2002-02-04 2003-08-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折畳式携帯電話装置
AT410742B (de) * 2002-02-26 2003-07-25 Akg Acoustics Gmbh Kontaktierung für elektrostatische mikrofonwandler
US8060167B2 (en) * 2002-07-19 2011-11-15 Panasonic Corporation Portable wireless machine
JP4150621B2 (ja) * 2002-09-20 2008-09-17 富士通株式会社 折り畳み式携帯型無線機および当該無線機のシャーシ
JP4070574B2 (ja) * 2002-10-21 2008-04-02 三洋電機株式会社 折り畳み式携帯端末機
US7505581B2 (en) * 2002-12-06 2009-03-17 Lg Electronics Inc. Folder type mobile terminal
KR100496960B1 (ko) * 2002-12-12 2005-06-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부 조립장치
KR100464979B1 (ko) * 2002-12-12 2005-0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부 조립장치
US7423592B2 (en) 2004-01-30 2008-09-09 Fractus, S.A. Multi-band monopole antennas for mobile communications devices
ATE545173T1 (de) * 2002-12-22 2012-02-15 Fractus Sa Mehrband-monopolantenne für ein mobilfunkgerät
US6856792B2 (en) * 2002-12-30 2005-02-15 Motorola, Inc. Self operating opening mechanism for use in a hand-held electronic device
KR100677298B1 (ko) * 2003-05-12 2007-0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커버 교체장치
USD528109S1 (en) * 2003-11-26 2006-09-12 Motorola, Inc. Audio pod for a communication device
US20050201550A1 (en) * 2004-03-10 2005-09-15 Yang Yuri Closeable radio communications device providing an acousitic chamber
JP4364699B2 (ja) * 2004-03-30 2009-11-18 富士通株式会社 折畳み式電子装置
TWI272822B (en) * 2004-04-30 2007-02-01 Benq Corp Flip-flop electronic device
US7395095B2 (en) * 2004-05-28 2008-07-01 Nokia Corporatio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7180756B2 (en) * 2004-06-21 2007-02-20 Motorola, Inc. Latch mechanism
US7394650B2 (en) * 2004-06-30 2008-07-01 Molex Incorporated Hinge for an electronic device
US20060023411A1 (en) * 2004-07-27 2006-02-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Swing hinge apparatus and portable terminal with the same
JP2006186655A (ja) * 2004-12-27 2006-07-13 Sony Corp 携帯端末装置
US7362585B2 (en) * 2005-02-11 2008-04-22 Research In Motion Limited Frame for a device mounted above a printed circuit board in an electronic device
JP4511408B2 (ja) * 2005-04-18 2010-07-28 富士通株式会社 表示モジュールおよび携帯端末装置
KR100703353B1 (ko) * 2005-05-30 2007-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US7414855B1 (en) * 2005-10-05 2008-08-19 Kyocera Wireless Corp. Modular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with interchangeable outer housing assembly
KR100751940B1 (ko) * 2005-10-21 2007-08-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슬라이드 모듈 및 그 슬라이드 모듈을 갖는 휴대 단말기
CN1959135B (zh) * 2005-11-04 2011-06-29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铰链结构及应用该铰链结构的折叠式电子装置
DE102005053288B4 (de) * 2005-11-08 2010-09-30 Palm, Inc. (n.d.Ges. d. Staates Delaware), Sunnyvale Mobilfunkgerät
JP4676322B2 (ja) * 2005-11-30 2011-04-27 富士通株式会社 端末装置
DE102006004981B4 (de) * 2006-02-01 2008-01-24 Carl Freudenberg Kg Gelenk und Verwendung eines Gelenkes
US7787618B2 (en) 2006-03-29 2010-08-31 Nokia Corporation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7773041B2 (en) 2006-07-12 2010-08-10 Apple Inc. Antenna system
US8738103B2 (en) 2006-07-18 2014-05-27 Fractus, S.A. Multiple-body-configuration multimedia and smartphone multifunction wireless devices
US7809412B2 (en) * 2006-07-31 2010-10-05 Motorola Mobility, Inc. Electronic device having a single seam hinge
USD580425S1 (en) * 2006-12-22 2008-11-11 Panasonic Corporation Telephone handset
US7595759B2 (en) * 2007-01-04 2009-09-29 Apple Inc. Handheld electronic devices with isolated antennas
US8350761B2 (en) * 2007-01-04 2013-01-08 Apple Inc. Antennas for handheld electronic devices
US7889139B2 (en) * 2007-06-21 2011-02-15 Apple Inc. Handheld electronic device with cable grounding
US7672142B2 (en) * 2007-01-05 2010-03-02 Apple Inc. Grounded flexible circuits
KR100800713B1 (ko) * 2007-01-29 2008-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
KR100866232B1 (ko) * 2007-02-02 2008-10-3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
US8125791B2 (en) * 2007-05-23 2012-02-28 Kyocera Corporation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9838059B2 (en) 2007-06-21 2017-12-05 Apple Inc. Handheld electronic touch screen communication device
US7876274B2 (en) * 2007-06-21 2011-01-25 Apple Inc. Wireless handheld electronic device
US7612725B2 (en) * 2007-06-21 2009-11-03 Apple Inc. Antennas for handheld electronic devices with conductive bezels
US7911387B2 (en) * 2007-06-21 2011-03-22 Apple Inc. Handheld electronic device antennas
USD580426S1 (en) * 2007-08-31 2008-11-11 Panasonic Corporation Telephone handset
JP4279334B1 (ja) * 2007-12-05 2009-06-17 株式会社東芝 無線装置及びアンテナ装置
CN101463861B (zh) * 2007-12-21 2011-03-30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铰链机构及应用铰链机构的电子装置
JP4637925B2 (ja) * 2008-03-28 2011-02-23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
US8106836B2 (en) 2008-04-11 2012-01-31 Apple Inc. Hybrid antennas for electronic devices
US8102319B2 (en) 2008-04-11 2012-01-24 Apple Inc. Hybrid antennas for electronic devices
US7933123B2 (en) 2008-04-11 2011-04-26 Apple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two-piece housing
CN101610653B (zh) * 2008-06-17 2011-09-28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电子设备及其通信单元
CN201238309Y (zh) * 2008-08-13 2009-05-13 深圳华为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设备
US7825345B1 (en) 2008-08-26 2010-11-02 Kano Yoshio W Reversely mounted tactile switch assembly and printed circuit board therewith
JP4489133B2 (ja) * 2008-09-10 2010-06-23 株式会社東芝 プリント配線板、電子機器
JP4421663B1 (ja) * 2008-09-10 2010-02-24 株式会社東芝 プリント配線板、電子機器
JP5358152B2 (ja) * 2008-10-03 2013-12-04 任天堂株式会社 手持ち型情報処理装置
US8625305B2 (en) * 2008-10-31 2014-01-07 Kyocera Corporation Portable electric device
TWI382594B (zh) * 2008-11-10 2013-01-11 E Ten Information System Co Ltd 環形天線
CN101888761A (zh) * 2009-05-11 2010-11-17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翻盖型电子装置
US8397370B2 (en) * 2009-09-08 2013-03-19 Apple Inc. Methods for designing an antenna using an oversized antenna flex
US9172139B2 (en) * 2009-12-03 2015-10-27 Apple Inc. Bezel gap antennas
US8270914B2 (en) * 2009-12-03 2012-09-18 Apple Inc. Bezel gap antennas
US9160056B2 (en) 2010-04-01 2015-10-13 Apple Inc. Multiband antennas formed from bezel bands with gaps
CN102348347A (zh) * 2010-08-04 2012-02-08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电子装置壳体
US8947303B2 (en) 2010-12-20 2015-02-03 Apple Inc. Peripheral electronic device housing members with gaps and dielectric coatings
JP5488448B2 (ja) * 2010-12-22 2014-05-14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携帯機器
US8279623B2 (en) * 2010-12-22 2012-10-02 Research In Motion Limited Apparatus for vibrat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1801186B1 (ko) * 2011-02-25 2017-1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US9246221B2 (en) 2011-03-07 2016-01-26 Apple Inc. Tunable loop antennas
US9166279B2 (en) 2011-03-07 2015-10-20 Apple Inc. Tunable antenna system with receiver diversity
US9350069B2 (en) 2012-01-04 2016-05-24 Apple Inc. Antenna with switchable inductor low-band tuning
US9223352B2 (en) * 2012-06-08 2015-12-29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electromagnetic shielding
CN207586791U (zh) * 2014-09-30 2018-07-06 苹果公司 便携式计算系统
TWI558049B (zh) * 2015-01-14 2016-11-11 緯創資通股份有限公司 具有電路防護之電子裝置及其組裝方法
CN204425606U (zh) * 2015-01-29 2015-06-24 瑞声光电科技(常州)有限公司 扬声器及移动通信终端
US9577467B1 (en) * 2015-09-08 2017-02-21 Apple Inc. Hinge assembly for a wireless charger
DE112017001004T5 (de) * 2016-02-26 2018-11-08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Verbindungselement, Leistungsversorgungsvorrichtung, elektronisches Gerät und System
US10754391B2 (en) * 2016-08-08 2020-08-2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xial cam hinge
KR102426694B1 (ko) * 2017-05-02 2022-07-29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TW202516998A (zh) 2020-02-20 2025-04-16 美商布魯克斯自動機械美國公司 線性電機、電磁輸送帶基板輸送裝置、及用於電磁輸送帶基板輸送裝置的方法
CN112145545B (zh) * 2020-10-20 2025-01-28 北京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电子设备及其转轴机构
US11347262B2 (en) * 2020-10-26 2022-05-31 Dell Products L.P. Display chassis cover design for narrow border portable information handling system
CN112560628B (zh) * 2020-12-07 2024-04-12 东莞华贝电子科技有限公司 侧边指纹识别机构及移动终端
US12206196B2 (en) * 2022-06-30 2025-01-21 Neurotronics, Llc Respiratory effort belt connector system
US20240120086A1 (en) * 2022-10-10 2024-04-11 Kopp Dennis A Portable Telemedicine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57675A (en) * 1970-11-16 1974-12-31 H Schwab Mixtures of two chromogenic compounds
BE785791A (fr) * 1971-07-03 1973-01-03 Hoechst Ag Procede d'impression a l'aide de colorants de dispersion avec fixage continu
US3857625A (en) * 1973-07-16 1974-12-31 Rixson Firemark Electrical connector hinge
US3999826A (en) * 1975-06-30 1976-12-28 General Motors Corporation Connector for flexible printed circuit
US4255640A (en) * 1979-10-19 1981-03-10 Litton Systems, Inc. Door mounted oven controls
US4471493A (en) * 1982-12-16 1984-09-11 Gte Automatic Electric Inc. Wireless telephone extension unit with self-contained dipole antenna
JPS59135960A (ja) * 1983-01-25 1984-08-04 Fujitsu Ltd 電話機等における折りたたみ型送受話器のフツクスイツチ切替装置
JPS59135959A (ja) * 1983-01-25 1984-08-04 Fujitsu Ltd 電話機等における送受話器の折りたたみ機構
US4845772A (en) * 1988-06-13 1989-07-04 Motorola, Inc. Portable radiotelephone with control switch disabling
US4825395A (en) * 1986-05-29 1989-04-25 Hewlett-Packard Company Apparatus with torsionally stressed conductors routed through a hollow articulated hinge
JPS6343223U (ko) * 1986-09-04 1988-03-23
US4802605A (en) * 1987-04-02 1989-02-07 Gmi Engineering & Management Institute Hinge for cable routing
JPS643966U (ko) * 1987-06-26 1989-01-11
JPS6489845A (en) * 1987-09-30 1989-04-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Electric appliance
US5014346A (en) * 1988-01-04 1991-05-07 Motorola, Inc. Rotatable contactless antenna coupler and antenna
US4961126A (en) * 1988-07-04 1990-10-02 Casio Computer Co., Ltd. Structure of a device casing
US4897873A (en) * 1988-11-04 1990-01-30 Motorola, Inc. Multipurpose hinge apparatus for foldable telephones
JP2663591B2 (ja) * 1988-12-12 1997-10-15 日本電気株式会社 回転部の接続構造
US4959887A (en) * 1989-05-16 1990-10-02 Apple Computer, Inc. Center pivot cover
FR2664438B1 (fr) * 1990-07-04 1994-07-22 Alcatel Radiotelephone Dispositif forme de deux elements articules autour d'une charniere et relies par une liaison electrique.
JPH04117849A (ja) * 1990-09-07 1992-04-17 Fujitsu Ltd カード式電話機
JP2856263B2 (ja) * 1990-09-07 1999-02-10 富士通株式会社 携帯電話機
CA2078233A1 (en) * 1991-03-28 1992-09-29 Thomas E. Paulick Hinge apparatus for foldable radiotelephones
US5259019A (en) * 1991-04-08 1993-11-02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Apparatus providing for a curved device with hinged cover
AU658657B2 (en) * 1991-05-06 1995-04-27 Motorola, Inc. Hinge apparatus having a self-latching hinge shaft for foldable radiotelephones
CA2109204C (en) * 1992-03-11 1996-04-09 Paul John Kudrna Hinge assembly
US5170173A (en) * 1992-04-27 1992-12-08 Motorola, Inc. Antenna coupling apparatus for cordless telephone
US5581440A (en) * 1992-09-18 1996-12-03 Ast Research, Inc. Rotatable bushing for reducing bending stress in electrical cable
SG70987A1 (en) * 1995-05-09 2000-03-21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outing conductors
GB2331188A (en) * 1997-04-25 1999-05-12 Daewoo Telecom Ltd Cable and hinge containing cable for laptop compu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405304B (en) 2000-09-11
CA2250482C (en) 2002-03-26
CA2250482A1 (en) 1999-04-15
BR9803501A (pt) 1999-11-03
US6011699A (en) 2000-01-04
GB2335089A (en) 1999-09-08
KR19990037130A (ko) 1999-05-25
CN1221312A (zh) 1999-06-30
GB2335089B (en) 2002-02-06
GB9822064D0 (en) 1998-12-02
CN1114336C (zh) 2003-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9968B1 (ko) 가요성 회로 도체의 루우트를 정하기 위한 장치및 방법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8260382B2 (en) Portable sliding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US6600662B1 (en) Light guide for a foldable electronic device
KR100304520B1 (ko) 고밀도 가요성 회로 요소 및 이를 사용한 통신 장치
US6049725A (en) Charging cradle
KR100313144B1 (ko) 와치 타입 휴대용 무선단말기
US5548477A (en) Combination keyboard and cover for a handheld computer
US9325817B2 (en) Customizable modular multi-function communication device
US6934568B2 (en) Extending hinged flip apparatus for a communication device
JP2718265B2 (ja) 複数の係止位置を有する係止ヒンジ装置
EP2056483B1 (en) Mobile terminal
US8050716B2 (en) Mobile terminal
EP0883957B1 (en) Radio telephone
US20040198433A1 (en) Camera lens assembly and portable wireless terminal comprising the same
KR100356005B1 (ko) 전기 회로를 포함하는 장치들 사이의 전기적 접속에 관련된 장치
EP1460836A2 (en) Camera lens unit in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EP1028538B1 (en) Mechanism for holding an integrated circuit card
US5909653A (en) Portable radio device
US7302283B2 (en) 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apparatus having improved grip
GB2310561A (en) Mobile telephone keys usable for a range of positions of a sliding cover
JP2000092171A (ja) 携帯用無線通信装置
CN111177064A (zh) 具有翻页功能的电子设备附件装置
KR100800434B1 (ko) 이동단말기
KR101134042B1 (ko) 이동단말기
KR200369148Y1 (ko) 좌우절곡형휴대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8101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8101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204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05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205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40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PJ0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Patent event date: 20060118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Patent event code: PJ02042R01D

Patent event date: 20020527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code: PJ02041E01I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Request date: 20060118

Decision date: 20060424

Appeal identifier: 2006100000159

PJ0206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Patent event code: PJ02062R01D

Patent event date: 20060118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Patent event code: PJ02061E01I

Patent event date: 20020527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Decision date: 20060424

Request date: 20060118

Appeal identifier: 2006100000157

Appeal kind category: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PJ1201 Withdrawal of trial

Appeal identifier: 2006100000159

Request date: 20060118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Decision date: 20060424

Patent event code: PJ12011R01D

Patent event date: 20060424

Comment text: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Appeal identifier: 2006100000157

Request date: 20060118

Appeal kind category: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Decision date: 2006042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5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40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40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40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42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42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42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429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430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2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512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2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512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3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