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00434B1 - 이동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0434B1
KR100800434B1 KR1020060078864A KR20060078864A KR100800434B1 KR 100800434 B1 KR100800434 B1 KR 100800434B1 KR 1020060078864 A KR1020060078864 A KR 1020060078864A KR 20060078864 A KR20060078864 A KR 20060078864A KR 100800434 B1 KR100800434 B1 KR 1008004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mobile terminal
circuit board
printed circui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8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이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788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04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04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04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battery compart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3Arrangements for mounting batteries or battery charg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7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삽입부가 형성된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이 내장되고, 일측에 배터리수용부가 형성된 본체부와, 배터리수용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단자부가 형성된 배터리; 및 인쇄회로기판의 삽입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삽입돌기부를 포함하고, 배터리수용부를 통해 부분적으로 노출되어 배터리의 단자부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단자 전극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어느 정도의 기본적인 텐션(tension)을 유지하면서 단자 전극부를 해당 위치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구적인 구조 확장이 가능해지고, 나아가 이동단말기에 대한 소형 및 슬림화(slim)를 추구할 수 있다.
이동단말기, 배터리, 배터리팩, 단자 전극부, 판스프링, 텐션

Description

이동단말기{Portable phone}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의 전면 개방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동단말기의 후면 분해 사시도,
도 3은 인쇄회로기판과 단자 전극부 간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4a는 도 3의 측단면도,
도 4b는 도 4a의 결합상태도로서 배터리가 접촉된 상태의 도면,
도 5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에서 인쇄회로기판과 단자 전극부 간의 분해 단면도,
도 5b는 도 5a의 결합상태도로서 배터리가 접촉된 상태의 도면,
도 6a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에서 인쇄회로기판과 단자 전극부 간의 분해 단면도,
도 6b는 도 6a의 결합상태도로서 배터리가 접촉된 상태의 도면,
도 7a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에서 인쇄회로기판과 단자 전극부 간의 분해 단면도,
도 7b는 도 7a의 결합상태도로서 배터리가 접촉된 상태의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이동단말기 12 : 본체부
14 : 폴더부 20 : 배터리
20a : 단자부 30 : 인쇄회로기판
30a,30b : 삽입부 40 : 단자 전극부
41 : 삽입돌기부 43 : 접촉부
45 : 노출부 46a,46b,46c : 배터리접촉부
본 발명은, 이동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어느 정도의 기본적인 텐션(tension)을 유지하면서 해당 위치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구적인 구조 확장이 가능해지고, 나아가 이동단말기에 대한 소형 및 슬림화(slim)를 추구할 수 있는 이동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이동단말기에는 이동단말기로 전원을 공급하는 수단으로서 배터리가 장착된다. 배터리는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은 사각 판상체로 형성되며 이동단말기의 본체부 배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물론, 근자에 들어서는 배터리가 포켓 형태로 삽입되는 형태의 이동단말기도 개시된 바 있다.
배터리로부터의 전원이 이동단말기로 제공될 수 있도록 배터리가 장착되는 본체부의 배터리수용부에는 배터리에 형성된 복수의 단자부와 상호 맞대응하여 접촉되는 단자 전극부가 형성되어 있다.
단자 전극부는 본체부 내에 구비된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후, 배터리수용부의 외측으로 노출되게 마련된다.
초기의 이동단말기 모델에서 단자 전극부는 와이어(wire)로 직접 납땜한 구조를 보였다. 하지만 근자에 출시되는 대부분의 이동단말기 모델에서는 몰드(mold)와 단자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소위, 커넥터(connector)라 불리는 단자 전극부의 구조를 가지고, 배터리가 장착되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커넥터 구조의 단자 전극부를 갖는 이동단말기의 경우에는, 몰드라는 구조물이 반드시 필요하기 때문에 어느 정도의 기본적인 텐션(tension)을 유지하면서 해당 위치에 설치하기가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구조가 상대적으로 복잡하여 기구적인 구조 확장의 제약이 발생하고, 나아가 이동단말기에 대한 소형 및 슬림화(slim)를 추구하기에 한계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어느 정도의 기본적인 텐션(tension)을 유지하면서 단자 전극부를 해당 위치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구적인 구조 확장이 가능해지고, 나아가 이동단말기에 대한 소형 및 슬림화(slim)를 추구할 수 있는 이동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삽입부가 형성된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이 내장되고, 일측에 배터리수용부가 형성된 본체부와, 상기 배터리수용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단자부가 형성된 배터리;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기 삽입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삽입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수용부를 통해 부분적으로 노출되어 상기 배터리의 상기 단자부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단자 전극부;를 포함하는 이동단말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단자 전극부는, 상기 삽입돌기부의 단부에서 상기 삽입돌기부의 길이방향에 가로로 절곡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판면에 접촉되는 접촉부; 및 상기 배터리의 단자부에 접촉 연결되는 배터리접촉부를 가지고 상기 배터리수용부로 노출되는 노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삽입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판면을 관통하는 관통공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판면에 소정 깊이 파인 홈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돌기부의 길이는 적어도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두께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상기 접촉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접촉면에 납땜될 수 있다.
상기 노출부는, 상기 접촉부의 단부에서 상기 삽입돌기부와 나란하게 절곡된 세로부; 상기 세로부의 단부에서 상기 접촉부와 나란하게 절곡된 제1가로부; 상기 제1가로부와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1가로부와 나란하게 형성되는 제2가로부; 및 상기 제1 및 제2가로부 사이에 위치하고, 선단에 상기 배터리접촉부를 형성하는 제1 및 제2경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경사부에 의해 형성되는 배터리접촉부의 선단은 첨예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경사부에 의해 형성되는 배터리접촉부의 선단은 직선구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경사부에 의해 형성되는 배터리접촉부의 선단은 라운딩구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삽입부의 크기는 상기 삽입돌기부의 단면적보다 상대적으로 클 수 있다.
상기 삽입돌기부, 상기 접촉부 및 상기 노출부는 단일 재료에 의해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상기 단일 재료는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재질일 수 있다.
상기 단자 전극부는 판스프링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삭제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의 전면 개방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동단말기의 후면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인쇄회로기판과 단자 전극부 간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4a는 도 3의 측단면도이며, 도 4b는 도 4a의 결합상태도로서 배터리가 접촉된 상태의 도면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되, 주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단말기(10)는, 본체부(12)와, 본체부(12)의 전면을 개폐하는 폴더부(14)와, 본체부(12)와 폴더부(14) 사이에 마련되어 폴더부(14)를 본체부(12)에 대해 회동시키는 힌지(16)를 구비한다.
본체부(12)의 내면에는 복수의 입력버튼(12a)이 구비되어 있다. 입력버튼(12a)들의 하부에는 사용자의 음성을 상대방에게 전달하거나 혹은, 음성메시지를 녹음하기 위한 송신부(12b)가 형성되어 있다.
본체부(12)의 일측면에는 복수의 조정버튼(12c)이 마련되어 있다. 이들 조정버튼(12c)들은 전화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버튼(12a)들과는 달리 수신 음량을 조정하거나 혹은 키톤을 조정하는 역할을 한다. 조정버튼(12c)들의 인접 영역에는 외장형 안테나(18)가 마련되어 있다.
폴더부(14)의 내면에는 전화번호, 배터리(20)의 충전상태, 진동 여부, 알람상태 표시 등을 확인 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창(14a)이 마련되어 있다. 디스플레이창(14a)의 상부에는 상대방으로부터의 음성을 수신하기 위한 수신부(14b)가 형성되어 있다.
도면에는 디스플레이창(14a)이 폴더부(14)의 내면에 마련되고 입력버튼(12a)들이 본체부(12)에 마련된 이동단말기(10)에 대해 도시하고 있지만, 디스플레이창(14a)이 입력버튼(12a)들과 함께 본체부(12)에 마련된 이동단말기(미도시)도 주변에서 흔히 접할 수 있다. 이렇듯, 디스플레이창(14a)과 입력버튼(12a)들은 어디에 배치되더라도 본 발명의 사상과는 무관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할 때, 본체부(12)의 배면에는 배터리수용부(19)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배터리수용부(19)의 하단부에는 본체부(12)에 내장된 인쇄회로기판(30, PCB, Printed Circuit Board)과 전기적으로 직접 연결되게 결합되는 단자 전극부(40)가 마련되어 있다.
배터리수용부(19)에는 전화 통화나 문자발송 등의 기능, 카메라 및 동영상 촬영기능, 녹취 기능, MP3 음악 청취기능, DMB 방송 기능, 컨텐츠 기능 등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데 따른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20)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배터리(20)는 통상적으로 충전식으로 채용되는데, 그 종류에 따라서 납산(Lead-Acid) 배터리, 니켈 카드뮴(Ni-Cd) 배터리, 니켈 수소(Ni-Mh) 배터리, 리튬이온 충전지(Lithium-ion), 리튬폴리머 충전지(Polymer) 등의 어떠한 것이 적용되어도 좋다.
이러한 배터리(20)의 전면에는 전술한 단자 전극부(40)와 접촉하는 단자부(20a)가 형성되어 있으며, 배터리(20)의 배면에는 충전용 단자(20b)가 형성되어 있다. 참고로, 단자 전극부(40)와 단자부(20a)는 각기 3개씩 형성될 수 있는데, 각각은 (+) 단자, (-) 단자 및 템포 단자 등으로 활용된다. 물론, 단자 전극부(40)와 단자부(20a)는 2개씩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앞서도 기술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서는 본 실시예의 단자 전극부(40)에 대응하는 구성을 제조하기 위해 몰드(mold)라는 구조물을 사용하였으나,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도 3, 도 4a 및 도 4b와 같이, 몰드(mold)를 사용하지 않고 단자 전극부(40)를 인쇄회로기판(30)에 직접 연결하여 사용하는 방식을 사용함으로 써 기구적인 구조 확장이 가능해지고, 나아가 이동단말기(10)에 대한 소형 및 슬림화(slim)를 추구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본 실시예의 단자 전극부(40)에 대해 도 3,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자 전극부(40)는 앞서도 기술한 바와 같이, 몰드(mold)를 사용하지 않는 대신에 그 일단이 인쇄회로기판(30)에 직접 결합되고, 타단은 배터리수용부(19)를 통해 부분적으로 노출되어 배터리(20)의 단자부(20a)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단자 전극부(40)는 그 위치에 따라, 크게, 삽입돌기부(41), 접촉부(43) 및 노출부(45)를 구비한다.
접촉부(43)에 대해 먼저 설명하면, 접촉부(43)는 삽입돌기부(41)의 단부에서 삽입돌기부(41)의 길이방향에 가로로 절곡되어 인쇄회로기판(30)의 판면에 접촉되는 부분이다.
후술할 삽입돌기부(41)가 삽입부(30a)에 단순히 끼워지는 구조로서, 상호간 접촉면적이 작을 수밖에 없는데 반해, 접촉부(43)는 보다 넓은 면적에서 인쇄회로기판(30)의 접촉면에 접촉된다. 접촉된 후, 접촉부(43)는 인쇄회로기판(30)의 접촉면에 납땜됨으로써 인쇄회로기판(30)에 대한 단자 전극부(40)의 견고한 결합력을 형성한다.
삽입돌기부(41)는 인쇄회로기판(30)에 형성된 삽입부에 삽입되는 부분이다. 삽입부(30a)는 인쇄회로기판(30)의 판면을 관통한 관통공에 의해 형성된다.
이 때, 삽입돌기부(41)의 길이(L1)는 적어도 인쇄회로기판(30)의 두께(t)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야만 주변 구조물과의 간섭을 피할 수 있다. 하지만, 삽입돌기부(41)의 길이(L1)가 인쇄회로기판(30)의 두께(t)보다 약간 크더라도 제약은 없다.
이러한 삽입돌기부(41)는 단자 전극부(40)를 인쇄회로기판(30)에 결합시키는데 있어 그 위치를 잡거나 미리 가결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단자 전극부(40)가 밀리는 것을 저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접촉부(43)가 인쇄회로기판(30)의 접촉면에 납땜되는 것만으로는 실질적으로 강한 결합력을 얻기 어렵다. 예를 들어, 배터리(20)의 장착시, 기구적인 결합 구조로 인하여 그 무게중심이 앞으로 쏠리면서 단자 전극부(40)가 해당 위치에서 이탈될 수도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삽입돌기부(41)가 마련된 후, 인쇄회로기판(30)에 형성된 삽입부(30a)에 끼워지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삽입돌기부(41)와 삽입부(30a)의 결합 구조로 인해, 본체부(12)의 배면에서 배터리(20)가 장착된다 하더라도, 무게중심이 앞으로 쏠리는 현상을 저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 때, 인쇄회로기판(30)에 형성된 삽입부(30a)의 크기는 삽입돌기부(41)의 단면적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는 것이 작업상 혹은 구조상 보다 좋은 효과를 가져올 수 있을 것이다.
노출부(45)는 배터리(20)의 단자부(20a)에 접촉 연결되는 배터리접촉부(46a)를 가지고 배터리수용부(19)로 노출되는 부분이다. 즉, 배터리(20)의 단자부(20a) 가 실질적으로 접촉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노출부(45)는 그 위치에 따라, 접촉부(43)의 단부에서 삽입돌기부(41)와 나란하게 절곡된 세로부(45a)와, 세로부(45a)의 단부에서 접촉부(43)와 나란하게 절곡된 제1가로부(45b)와, 제1가로부(45b)와 이격된 위치에서 제1가로부(45b)와 나란하게 형성되는 제2가로부(45c)와, 제1 및 제2가로부(45b,45c) 사이에 위치하고, 선단에 배터리접촉부(46a)를 형성하는 제1 및 제2경사부(45d,45e)를 구비한다.
이 때, 세로부(45a)의 길이(L2)는 원하는 길이(높이)로 조절가능한데, 필요에 따라 삭제되어도 무방하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경우, 제1 및 제2경사부(45d,45e)에 의해 형성되는 배터리접촉부(46a)의 선단은 첨예하게 형성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단자 전극부(40)를 이루는 삽입돌기부(41), 접촉부(43) 및 노출부(45)는 단일 재료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며, 이 때 단일 재료는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재질이다. 일 예로, 단자 전극부(40)는 판스프링으로 형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단자 전극부(40)를 몰드(mold)를 사용하지 않고, 직접 인쇄회로기판(30)에 직접 장착하여 사용할 경우, 어느 정도의 기본적인 텐션(tension)을 유지하면서 해당 위치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구적인 구조 확장이 가능해지고, 나아가 이동단말기(10)에 대한 소형 및 슬림화(slim)를 추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에서 인쇄회로기판과 단자 전극부 간의 분해 단면도이고, 도 5b는 도 5a의 결합상태도로서 배터리가 접촉된 상태의 도면이다.
전술한 제1실시예의 경우에는, 제1 및 제2경사부(45d,45e)에 의해 형성되는 배터리접촉부(46a)의 선단이 첨예하게 형성되었다. 하지만, 본 실시예의 경우, 제1 및 제2경사부(45d,45e)에 의해 형성되는 배터리접촉부(46b)의 선단은 직선구간을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경우, 도 5b와 같이, 배터리(20)의 단자부(20a)가 접촉하는 과정에서 보다 넓은 면적에서 보다 안정적으로 접촉될 수 있는 이점이 있을 것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에서 인쇄회로기판과 단자 전극부 간의 분해 단면도이고, 도 6b는 도 6a의 결합상태도로서 배터리가 접촉된 상태의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제1 및 제2경사부(45d,45e)에 의해 형성되는 배터리접촉부(46c)의 선단은 라운딩구간을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경우, 제2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배터리(20)의 단자부(20a)가 접촉하는 과정에서 보다 안정적으로 접촉될 수 있는 이점이 있을 것이다. 물론, 라운딩구간의 곡률은 최대한 만곡되어 있는 것이 유리할 것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에서 인쇄회로기판과 단자 전극부 간의 분해 단면도이고, 도 7b는 도 7a의 결합상태도로서 배터리가 접촉된 상태의 도면이다.
전술한 실시예들의 경우, 인쇄회로기판(30)에 형성된 삽입부(30a)는 관통공의 형태였다. 하지만, 본 실시예와 같이, 삽입부(30b)는 인쇄회로기판(30)의 판면을 완전히 뚫지 않고, 일부분만 파인 홈의 형태가 될 수도 있으며, 제4실시예와 같더라도 상기의 효과를 제공하기에는 충분한 것이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실시예를 보면, 폴더형 이동단말기에 대해 도시되어 있지만, 플립형이나 혹은 슬라이드형 이동단말기에도 본 발명의 사상이 적용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외장형 안테나가 구비된 이동단말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안테나가 내장된 인테나형 이동단말기에도 본 발명의 사상이 적용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배터리가 본체부의 배면에서 착탈되는 이동단말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배터리가 포켓 타입으로 삽입되게 결합되는 방식의 이동단말기에도 본 발명의 사상이 적용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어느 정도의 기본적인 텐션(tension)을 유지하면서 단자 전극부를 해당 위치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구적인 구조 확장이 가능해지고, 나아가 이동단말기에 대한 소형 및 슬림화(slim)를 추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5)

  1. 삽입부가 형성된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이 내장되고, 일측에 배터리수용부가 형성된 본체부;
    상기 배터리수용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단자부가 형성된 배터리;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기 삽입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삽입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수용부를 통해 부분적으로 노출되어 상기 배터리의 상기 단자부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단자 전극부;
    를 포함하는 이동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전극부는,
    상기 삽입돌기부의 단부에서 상기 삽입돌기부의 길이방향에 가로로 절곡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판면에 접촉되는 접촉부; 및
    상기 배터리의 단자부에 접촉 연결되는 배터리접촉부를 가지고 상기 배터리수용부로 노출되는 노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판면을 관통하는 관통공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판면에 소정 깊이 파인 홈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돌기부의 길이는 적어도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두께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접촉면에 납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부는,
    상기 접촉부의 단부에서 상기 삽입돌기부와 나란하게 절곡된 세로부;
    상기 세로부의 단부에서 상기 접촉부와 나란하게 절곡된 제1가로부;
    상기 제1가로부와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1가로부와 나란하게 형성되는 제2가로부; 및
    상기 제1 및 제2가로부 사이에 위치하고, 선단에 상기 배터리접촉부를 형성 하는 제1 및 제2경사부;
    를 포함하는 이동단말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경사부에 의해 형성되는 배터리접촉부의 선단은 첨예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경사부에 의해 형성되는 배터리접촉부의 선단은 직선구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경사부에 의해 형성되는 배터리접촉부의 선단은 라운딩구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의 크기는 상기 삽입돌기부의 단면적보다 상대적으로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돌기부, 상기 접촉부 및 상기 노출부는 단일 재료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 재료는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14. 삭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전극부는 판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KR1020060078864A 2006-08-21 2006-08-21 이동단말기 KR1008004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8864A KR100800434B1 (ko) 2006-08-21 2006-08-21 이동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8864A KR100800434B1 (ko) 2006-08-21 2006-08-21 이동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0434B1 true KR100800434B1 (ko) 2008-02-04

Family

ID=39342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8864A KR100800434B1 (ko) 2006-08-21 2006-08-21 이동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043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6783Y1 (ko) * 2004-12-03 2005-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배터리 이탈스프링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6783Y1 (ko) * 2004-12-03 2005-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배터리 이탈스프링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18137B2 (ja) スライドモジュールを用いるスライドタイプ携帯電話
KR100420279B1 (ko) 전자파 발생을 최소화한 휴대용 통신 장치
KR100834626B1 (ko) 자기 거치 기능을 구비한 슬라이딩/스윙 타입 휴대 장치
US8903459B2 (en) Connecting terminal for a battery of a mobile terminal
CN110448014A (zh) 耳机及可穿戴式智能终端设备
KR20080025886A (ko) 스테레오 스피커 시스템을 구비한 푸쉬 업 타입 휴대 충전 거치대
KR100800434B1 (ko) 이동단말기
JP2008288151A (ja) 防水端子構造
WO2004056072A1 (fr) Telephone mobile du type stylo
KR101076510B1 (ko) 휴대 단말기
KR101162552B1 (ko) 이동단말기용 충전 시스템
KR101271724B1 (ko) 슬라이딩 타입 이동단말기
KR100619856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사이드 키
CN215379196U (zh) 耳机和电子设备
KR101123747B1 (ko) 외장형 메모리카드 슬롯을 갖는 이동단말기
CN218634208U (zh) 一种内置耳机结构的笔记本电脑
JP4457053B2 (ja) Simカード装着可能な携帯通信機器
KR100710624B1 (ko) 스크루 타입 안테나를 갖는 이동단말기
CN213636366U (zh) 电子装置
KR101137836B1 (ko) 다목적 사이드키를 갖는 이동단말기
KR100705025B1 (ko) 이동통신 단말기
KR20060068244A (ko) 푸쉬 푸쉬 방식의 고정 장치를 포함하는 내부 삽입형배터리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65814B1 (ko) 인테나를 구비한 이동단말기
KR100681011B1 (ko) 카메라 모듈 및 그를 구비한 이동단말기
KR20070078338A (ko) 커넥팅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8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7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11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1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01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P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2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2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2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22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22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22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3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22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1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