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99390B1 - 좁은액자에적합한액정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좁은액자에적합한액정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9390B1
KR100299390B1 KR1019970709453A KR19970709453A KR100299390B1 KR 100299390 B1 KR100299390 B1 KR 100299390B1 KR 1019970709453 A KR1019970709453 A KR 1019970709453A KR 19970709453 A KR19970709453 A KR 19970709453A KR 100299390 B1 KR100299390 B1 KR 1002993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electrode
crystal display
wiring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94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2983A (ko
Inventor
코지 하야카와
마사요시 후지에다
노보루 호시노
요시유키 이마사카
Original Assignee
가나이 쓰도무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나이 쓰도무,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가나이 쓰도무
Publication of KR199900229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29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93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9390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좁은 액자에 적합한 액정표시소자의 주변부의 액자영역의 액정셀갭의 평탄화를 높이므로써, 표시품질이 높은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을 적용하는 액정표시장치는, 액정을 개재해서 밀봉재(44)에 의해 대향배치시킨 1쌍의 액정표시소자기판(311, 312)과, 각 액정표시소자기판위의 배선에 접속되어서 상기 액정을 구동하기 위한 복수의 액정구동소자(74, 77)로 구성되고, 상기 각 액정표시소자기판에는, 평행으로 배선된 복수개의 표시전극(46-n)과, 평행인 복수개의 단자전극(41-n)과, 상호 평행인 경사직선배선전극(45-n)과, 단자전극과 거의 평행인 복수개의 더미전극(43)이 배설되고, 상기 각 액정구동회로의 중앙부와 단부와의 배선저항의 불균일과, 상기 밀봉재의 아래에 배치되는 배선의 단위면적당의 면적점유율의 불균일이 각각 소정의 허용치 보다 작도록, 상기 각 배선전극을 형성하였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액정표시장치 5 : 광학축
6, 7 : 러빙방향 8 : 흡수축(편광축)
12 : 전극기판 18 : 액정표시소자
31 : 상부편광판 32 : 하부편광판
33 : 위상차판 40 : 단자군의 중심선
41 : 단자 41-n : 단자전극
41-1∼41-10 : 단자전극 42, 43, 47, 48 : 더미전극
44 : 밀봉재 45 : 경사직선배선
45-1∼45-10 : 인출배선 45-n : 직선배선전극
46 : 표시용 전극 46-1∼46-10 : 표시용 전극
46-n : 표시용 전극 49, 50 : 단위폭
51, 52 : 방향 53 : 블랙매트릭스
54 : 스페이서갭재 55 : 절연막
62 : 밀봉재 63 : 주사전극기판
70, 71 : 금속프레임 72 : 프레임스페이서
73 : 실리콘스페이서 74, 77 : 테이프캐리어패키지
75 : 프린트배선기판 76 : 중간모울드프레임
80 : 냉음극선관형광등 81 : 고무부시
84 : 도광판 310 : 액정분자의 비틀림방향
311 : 상부전극기판 312 : 하부전극기판
321 : 상부배향막 322 : 하부배향막
323 : 평탄화막 331 : 주사전극
332 : 신호전극 333 : 컬러필터
350 : 네마틱액정층 351 : 봉입구
411 : 상부전극 412 : 하부전극

Description

좁은액자에 적합한 액정표시장치
액정표시장치는, 예를 들면, 표시용 투명화소전극과 배향막 등을 각각 적층한 면이 대향하도록 소정의 간격을 두고 2매의 투명유리로 이루어진 절연기판(전극기판이라고 칭함)을 맞포개고, 상기 양기판사이의 둘레주위부에 프레임형상으로 설치한 밀봉재에 의해, 양기판을 맞붙이는 동시에, 밀봉재의 일부에 형성한 액정봉입구로부터 양기판사이의 밀봉재의 안쪽에 액정을 봉입, 밀봉하고, 또 양기판의 바깥쪽에 편광판을 설치해서 이루어진 액정표시소자(즉, 액정표시부; 액정표시패널; LCD : 액정표시(liquid crystal display))와, 액정표시소자의 아래에 배치되고, 액정표시소자에 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와, 액정표시소자의 외주부의 바깥쪽에 배치된 액정표시소자의 구동용 회로기판과, 이들 각 부재를 유지하는 모울드성형품인 프레임형상체와, 이들 각 부재를 수납하고, 액정표시창이 개방된 금속제프레임등을 포함해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액정표시소자와 구동용회로기판과는, 예를 들면, 액정표시소자구동용의 반도체집적회로칩을 탑재한 테이프캐리어패키지(이하, TCP라고 기록함)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더욱 상세히 말하면, 회로기판의 다수의 출력단자와 TCP의 다수의 입력단자(입력쪽외부리드)와는 납땜에 의해 접속되고, TCP의 다수의 출력단자(출력쪽외부리드)와 표시용 전극에 접속되는 액정표시소자의 다수의 입력단자(액정표시소자를 구성하는 한쪽의 투명유리기판 즉 전극기판면위의 단부에 배열형성되어 있는)와는 이방성도전막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또, TCP에 탑재된 반도체집적회로칩의 다수의 입력단자는, TCP의 다수의 출력쪽 내부리드와 접속되고, 다른 한편, 반도체집적회로칩의 다수의 출력단자는, TCP의 다수의 입력쪽 내부리드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액정표시장치가 기재된 문헌으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소 61-214548호, 동 실개평 2-13765호 공보등을 들 수 있다.
도 24는 종래의 액정표시소자를 구성하는 전극기판위에 형성된 배선의 일부, 즉, 표시용전극과, TCP의 전극과의 접속용단자, 및 양자를 연결하는 인출배선을 표시한 요부개략평면도이다.
액정표시소자(여기서는 도시생략. 도 13의 부호(18)참조)를 구성하는 한쪽의 투명유리로 이루어진 절연기판에 의해 구성되는 전극기판((311) 또는 (312))의 면위에 형성되어 있으나, 투명도전막으로 이루어진 평행으로 배선된 화소를 구성하는 표시용전극(46)이다. (41)은 구동소자인 TCP(여기서는 도시생략. 도 13의(74) 또는 (77)도면참조)의 전극(상기 출력쪽외부리드)과 접속되는 단자(접속용 전극이다. 또한, (45)는 표시용 전극(46)과 단자(41)을 접속하는 단자인출배선인 경사직선배선이다. 또, (40)은 전극기판(311) 또는 (312)에 실장되는 1개의 TCP에 대응하는 단자군의 중심선, (44)는 밀봉재가 설치되는 부분이다.
종래에 있어서는, 액정표시소자를 구성하는 전극기판((311), (312))에서는, 평행으로 배선된 표시용전극(46)의 배치피치보다도, TCP의 전극의 배열피치쪽이 통상 좁고, 즉, 그 TCP의 전극과 접속되는 단자(41)의 피치쪽이 좁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표시용 전극(46)과 단자(41)를 접속하는 인출배선은, 경사직선배선(45)이 된다. 도 24에 표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인출배선에서는, 경사직선배선(45)의 (표시용전극(46) 또는 단자(41)에 대한)각도와, 경사직선배선(45)의 폭의 양자를 조정해서, 인출배선의 배선저항이 각각 동등하게 되도록 정리되어 있었다. 이와같은 인출배선은, 방사상 배선이라고 호칭된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서는, 이하와 같은 문제가 있다.
즉, 전극기판(12)에 있어서의 인출배선의 면적사용효율(배선효율)이 낮고, 인출배선의 길이가 길어져, 배선저항이 커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인출배선을 짧게할려고 하면, 인출배선의 클리어런스(간격)를 취하기 위하여, 인출배선의 폭을 좁게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배선저항이 커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현상황에서는 인출배선의 배선저항은, 예를 들면 500∼1㏀로 되어 있다. 구동용 반도체IC칩의 출력저항이의 00∼700Ω에 비교하면 크다.
또, 전극기판의 단부위에 1렬로 배열해서 복수개 실치되는 TCP의 단자(전극)와 접속되는 단자(41)군의 사이의 간격이 비어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ITO(인듐-틴-옥사이드; 네사)막으로 이루어진 단자의 막두께에 의해, 단자가 있는 부분과 없는 부분에 의해 높이의 차가 생긴다. ITO의 막두께는 0.2∼0.3㎛로 두껍다. 이에 의해, 액정표시소자의 양산시에, 표시용 전극위에 형성하는 배향막에 배향처리(러빙)를 행하는 러빙롤러에 이형상이 전사되고, 이 러빙롤러를 사용해서 배향처리를 행하면, 배향막에 러빙줄무늬얼룩이 발생하여버려, 이 결과, 표시품질이 저하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 인출배선의 경사직선배선(45)을 방사선상으로 배선하기 때문에, 도 24에 표시한 바와 같이, 경사직선배선(45)사이의 간격이 표시용전극(46)으로부터 단자(41)를 향해서 좁아진다고 하는 불균일이 발생한다. 이 결과, 완성한 액정표시소자의 밀봉재(44)의 안쪽(액정이 개재하는 쪽)에서, 표시부(점등부)의 바깥쪽의 비점등부인, 소위 액자부라고 호칭되는 부분의 본래, 균일한 검은색으로 되어야할 곳에, 불균일한 짙고 옅은 얼룩이 생겨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 표시부의 복수개의 표시용 전극(46)은 등간격이고 평행으로 배선되어 있기 때문에, 배선밀도가 균일한 데 대해서, 상기한 바와 같이 방사선상의 경사직선배선(45)은 배선미도가 균일하지는 않기 때문에, 특히, STN(슈퍼트위스티드네마틱)-LCD와 같이, 양전극기판사이의 고정밀도의 갭(±0.1㎛)이 필요한 액정표시장치에서는, 그 갭을 내기위한 스페이서가 기능하는 유효밀도가 크게 영향한다.
따라서, 종래의 방사선상의 경사직선배선(1)에서는, 일반적으로 배선밀도가 표시부보다 낮으므로, 상기 액자부의 캡변동에 기인하는 색얼룩이 생긴다. 즉,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투명전극은, 통상, 그 막두께가 0.2∼0.3㎛로 두꺼운 ITO막으로 이루어진다. 상하전극기판의 ITO막으로 이루어진 표시용전극(46) 및 경사직선배선(45)이 스페이서를 지지하기 때문에, 전극이 없는 부분의 스페이서는 고정되지 않게되어, 캡제어가 듣지 않는 다고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와 같은 기술이 기재된 문헌으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 3-289626호, 동특개평 4-70627호, 동특개평 4-170522호, 동특개평 4-369622호, 동특개평 5-127181호 공보등을 들 수 있다.
또, 공지예는 아니나, 인출배선의 면적사용효율이 높고, 또한, 짧고 저저항에서의 인출배선을 가진 액정표시장치에 관해서는, 동일 출원인이기는 하나, 일본국 후지이씨등 발명의 선출원이다(일본국 특원평 6-214785호).
그래서, 본 발명의 제 1의 목적은, 각 TCP의 중심부와 단부와의 밀봉부밑의 ITO의 면적점유율을 최적화하므로써, 액자부에 있어서 불균일의 짙고옅은색얼룩이 없고, 균일한 검은색의 비점등영역올 가진 좁은액자에 적합한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 본 발명의 제 2의 목적은, 액자근처의 갭의 균일화와 각 ITO의 저항의 균일화를 종합적으로 감안하여, 좁은 액자에 적합한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발명의 개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는, 좁은액자에 적합한 액정표시장치로서, 액정을 개재해서 밀봉재에 의해 대향배치시킨 1쌍의 액정표시소자기판과, 각 액정표시소자기판위의 배선에 접속되어서 상기 액정을 구동하기 위한 복수의 액정구동소자로 구성되고, 상기 각 액정표시소자기판에는, 평행으로 배선된 복수의 표시전극과, 상기 액정표시소자기판의 단부까지 인출되고, 또한, 상기 각 액정구동소자에 접속되는 평행인 복수개의 단자전극과, 상기 각 표시전극과 상기 각 단자전극을 접속하기 위한 거의 상호에 평행인 경사직선배선전극과, 상기 각 액정구동회로의 적어도 중앙부의 상기 단자전극의 사이에 상기 단자전극과 거의 평행인 복수개의 더미전극이 배설되고, 상기 각 액정구동회로의 중앙부와 단부와의 배선저항의 불균일과, 상기 밀봉재의 아래에 배치되는 배선의 단위면적당 면적점유율의 불균일이 각각 소정의 허용치보다 작도록, 상기 각 배선전극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특히, 상기 밀봉재의 아래에 배치되는 배선의 단위면적당의 면적점유율의 불균일이, 3%이하로 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 상기 각액정구동회로의 중앙부와 단부와의 배선저항의 불균일이, 4.5%이 하로 하는 것도 중요하다.
또, 본 발명은, 상기 밀봉부의 바깥쪽근처로부터 점등영역의 화소까지의 거리가, 대략 2.75mm정도이하의 좁은 액자인 액정표시장치에 가장 효과적이다.
또한, 통상, 밀봉재의 안쪽에는, 갭의 균일화를 위한 전압이 인가되지 않는 바깥쪽의 영역에도 수화소분의 더미의 컬러필터층이 형성되나, 상기 점등영역의 화소란, 그와같은 더미컬러필터의 안쪽의 화소라는 것이다.
본 발명은, 단순매트릭스방식 또는 액티브·매트릭스방식의 액정표시장치에 관하여, 특히 액정표시소자의 전극을 구동소자와 접속하기 위한 인출배선을 가진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액정표시장치의 배선패턴을 설명하기위한 도면.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액정표시장치의 중앙부의 2개의 표시전극과 단자전극과 경사배선전극과의 접속관계의 개념을 설명하기위한 도면.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액정표시장치의 임의의 2개의 표시전극과 단자전극과 경사배선전극과의 접속관계의 개념을 설명하기위한 도면.
제4도는 제1도에 표시한 배선패턴의 TCP2개분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5a도는 본 발명에 의한 액정표시장치의 주사전극기판(상부기판)의 배선패턴을 표시한 평면도이고, 제5b도는 본 발명에의한 액정표시장치의 신호전극기판(하부기판)의 배선패턴을 표시한 평면도.
제6도는 제5a도에 표시한 배선패턴의 단부확대도.
제7도는 제5b도에 표시한 배선패턴의 단부확대도.
제8도은 더미전극을 포함해서 전극의 면적점유율의 균일화를 계산하기위한 개념설명도.
제9도는 컬러필터층과 주사전극 및 신호전극의 뻗어있는 방향과의 관계를 표시한 평면도.
제10a도는 제9도의 A-A'의 단면도이며, 제10b도는, 제9도의 B-B'의 단면도.
제11도는 종래의 액정표시소자에 있어서의 TCP의 중앙부와 단부에 있어서의 밀봉재내부의 액자영역근처의 갭차를 설명하기위한 도면.
제12도는 본 발명에의한 액정표시소자에 있어서의 TCP의 중앙부와 단부에 있어서의 밀봉재내부의 액자영역근처의 갭차를 설명하기위한 도면.
제13도는 본 발명이 적용가능한 액정표시장치의 일예의 분해사시도.
제14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의 액정분자의 배열방향, 액정분자의 비틀림방향, 편광판의 축의 방향 및 복굴절부재의 광학축의 관계의 제1설명도.
제15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액정표시장치의 구성재의 적층관계를 설명하는 요부사시도.
제16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의 액정분자의 배열방향, 액정분자의 비틀림방향, 편광판의 축방향 및 복굴절부재의 광학축의 관계의 제 2 설명도.
제17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의 콘트라스트, 투과광색 -교각 α특성의 설명도.
제18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의 액정분자의 배열방향, 액정분자의 비틀림방향, 편광판의 축방향 및 복굴절부재의 광학축의 관계의 제 3설명도.
제19a 및 19b도는, 본 발명에 의한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의 교각 α, β, γ의 측정방법의 설명도.
제20도는 본 발명에 의한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의 주사전극 기판부의 구성을 설명하는 일부절단사시도.
제2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액정표시장치를 랩톱퍼스널컴퓨터의 표시부에 사용한 경우의 기능블록도.
제2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의 신호전극기판부의 구성을 설명하기위한 사시도.
제23도는 본 발명에 의한 액정표시장치를 랩톱퍼스널컴퓨터의 표시부에 사용한 경우의 외관도.
제24도는 종래에 있어서의 전극패턴을 설명하기위한 도면.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액정표시소자를 구성하는 전극기판의 부분평면도이며, 본발명에 의한 최적알고리듬에 의해서 제작한 전극기판에 실장되는1개의 TCP에 대응하는 단자군의 중심선으로부터 우측의 인출배선의 일부를 표시한 개략평면도이다.
또한, 구동소자인 1개의 TCP(테이프캐리어패키지)의 전극수는, 통상 80∼160개 정도이나, 실시예에서는 10개로 도시생략하였다. 개수는 달라도 본 발명에 의한 인출배선의 구성은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 또, 도 4에 도 1의 약 4배의 범위의 평면도를 표시한다.
액정표시소자를 구성하는 한쪽의 투명유리로 이루어진 절연기판에의해 구성되는 전극기판에는, 투명도전막으로 이루어지고, 평행으로 배선되어서 화소를 구성하는 표시용전극(46-1)∼(46-10)과, TCP의 전극(출력쪽외부리드)과 접속되는 단자전극(41-1)∼(41-10)(접속용전극, 즉, 입력단자)와, 표시용전극(46-n)과 단자전극(41-n)을 접속하는 단자인출배선의 일부인 경사직선 배선전극(45-n)이 배치된다.
또한, (72)는 전극기판에 실장되는 1개의 TCP에 대응하는 단자군의 중심선이며, (44)는 밀봉재가 설치되는 부분이다.
전극기판위에 각각 평행으로 배선된 복수개의 표시용전극(46-1)∼(46-10)의 피치보다도, 전극기판의 단부에 인출되고, TCP에 접속되는 각 표시용전극의 단자전극(41-1)∼(46-10)의 피치 쪽이 좁다. 따라서, 양자를 접속하는 인출배선(45-1)∼(46-10)이 필요하게된다. 인출배선은, 표시용전극으로부터 그대로 연장한 부분과, 단자전극으로부터 그대로 연장한 부분과, 이 2개의 연장한 부분을 각각 접속하고 표시용전극(46-1)∼(46-10), 단자전극(41-1)∼(41-10)에 대한 각도 θ 가 동등한, 즉 각각 평행인 경사직선배선(45-1)∼(45-10)으로 이루어지고, 이 인출배선의 배선저항이 소정의 범위까지 각각 동등하고, 또한, 도 8에서 후술하는 면적점유율의 불균일이 소정의 범위로 되도록, 2개의 연장한 부분의 길이와, 경사직선배선의 폭을 형성한다.
배선을 행하기위한 기본적인 조건은, 이하의 4가지이다.
모든 경사직선배선(45-1)∼(45-10)은, 각도 θ(중심선(40)보다 좌측은 -θ )의 평행선으로 한다. 중심선(40)에 대해서 선대칭이다. 각도 θ는, 예를 들면 25∼50° 이다.
경사직선배선(45-1)∼(45-10)사이의 거리는, 모두 배설룰 dLCD로 한다. 여유는 취하지 않는다.
단자전극(41-n)은 연장부를 포함해서 전체길이에 걸쳐서 폭이 동등하다. 단자전극(41-n)과 표시용전극(46-n)과는 평행(액정표시소자의 전극기판의 그 단자 인출단부에 대해서 수직)이다. 단자사이의 거리는, TCP 압착룰 dTCP로 한다.
표시용전극(46-n)은 연장부를 포함해서 전체길이에 걸쳐서 폭이 동등하다. 표시용전극(46-n)사이의 거리는, TCP 압착룰 dLCD로 한다.
이하 도 2와 도 3을 사용해서, 인출배선(45-n)의 구성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배선의 알고리듬은, 이하의 수순이다.
① 먼저, 중심선(40)으로부터 우측 1개째의 인출배선은, 표시용전극(46-1)과 단자전극(41-1)을 그대로 직선형상으로 접속한다.
② 표시용전극 (46-1)의 단부 C 1을 기점으로해서 임의의 각도 θ의 선을 긋는다.
③ C1으로부터의 각도 θ의 연장선과 단자전극 (41-1)의 연장선과의 교점을 B1로 한다.
④ 단자전극 (41-2)의 연장선과, 선분 B1-C1 과의 거리가 dLCD로되는 A2를 구한다.
⑤ A2를 기점으로해서 각도 θ의 선(선분 B1-C1 과 평행인선)을 긋고, 표시용 전극(46-2)과의 연장선과의 교점 D2로 한다.
⑥ 경사직선배선(45-1)의 폭 W1을 임의로 결정한다.
⑦ 선분 A2-D2와의 거리가 W2가 되는 (선분 A2-D2와 평행인)선을 긋고, 그 선과 단자전극(41-2)의 연장선과의 교점을 B2로하고, 표시용전극(46-2)의 연장선과의 교점을 C2로 한다.
⑧ 선분 A1-B1 의 중점을 El, 선분 D1-C1의 중점을 F1, 선분 A2-B2의 중점을 E2, 선분 D2-C2의 중점을 F2로 하고, E1과 E2와의 Y축위의 거리를 11, 선분 E1-F1의 길이를 m1, 마찬가지로 선분 E2-F2의 길이를 m2, F2의 Y축성분을 P2 로 한다.
⑨ 소정의 조건에서, 인출배선의 경사직선배선(45-2)의 폭 W2를 구한다. 즉, 1개째와 2개째의 인출배선의 배선저항이 동등하게 되는 조건에서 W2를 결정한다. WTCP는 TCP의 전극의 폭에 대응해서 결정되는 단자전극(41-n)의 폭, WLCD는 표시용 전극(46-n)의 폭이다.
또한, 구체적인 수식은, 선출원(일본국 특원평 6-214785호)에 기재되어 있으므로 상세한 것은 생략하고, 개념만 기재한다.
⑩ 상기의 수법에 의해서 구한 W2로 결정되는, B2 와 C2를 최종적인 좌표로 한다.
⑪ 이상으로, 1개째와 2개째의 인출배선이 결정되었다.
⑫ 다음에, 3개째의 인출배선을 결정하는데 있어서는, 상기 ②에서부터 ⑩으로 마찬가지로 행하면 된다. 단, 경사직선배선(45-3)의 폭 W3을 구하는 계산식은, 상기 선출원개시의 계산식을 사용한다.
⑬ 이하, 이것을 반복하여, 순차 n개째의 인출배선까지 구한다. 경사직선배선(45-n)의 폭 Wn을 구할려면, 상기 선출원개시의 계산식을 사용한다.
⑭ 마지막의 n개째의 인출배선까지의 좌표 An, Bn, En, Dn이 결정되면, 소정의 계산식으로부터, n개째의 인출배선의 배선저항 R을 구할 수 있다.
또한 Rsq는, 전극배선재료의 시트저항 (Ω/□)이다. 덧붙여서 말하면, 본 발명에서는, 좌측식과 우측식과는 완전한 등호(等號)는 아니고, 가장 높은 저항이 되는 Rsq(max)와 가장 낮은 저항이 되는 Rsq(mix)와의 차가, Rsq (min)와 비교해서 4.5%이하가 되는 범위까지는 허용하는 점이 특징이다.
⑮ n개째의 인출배선의 좌표 Bn이 전체의 경사직선배선 패턴의 y축높이를 결정한다. 즉, 1개째∼n-1개째까지의 인출배선에 있어서는, Bn에 맞추어서 단자전극(41-1)∼(341-n-1)을 연장한다. 그러면, 1개째∼n개째까지의 인출배선의 배선저항은 모두 동등하게 R이 된다.
(16) 마지막으로, 각도θ를 변수로해서 수치계산을 행하여, 배선저항 R을 최소로하는 각도θ를 구한다. 이때의 1개째∼n개째까지의 인출배선의 좌표 A1, B1, E1, D1∼An, Bn, En, Dn까지를 도형화한다.
상기와 같이해서 형성한 인출배선에서는, 인출배선의 면적사용효율(배선효율)을 향상시킬수 있으므로, 인출배선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 500∼1㏀있던 배선저항을 30∼40%저감할 수 있다. 또, 그 저감분을 구동용반도체 IC칩의 ON저항의 여유로서 가지게 할 수 있으므로, 반도체 IC칩의 치수를 축소할 수 있다. 또, 인출배선의 길이를 종래보다 짧게 할 수 있으므로, 액정표시소자의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 이 결과, 제조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다. 또, 배선저항의 저감에의해, 액정을 구동하는 파형의 문드러짐이나 크로스토크의 변형을 저감 할 수 있기 때문에, 섀도우잉(휘도불균일)을 저감할수 있고, 표시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42)는 복수개설치되는 TCP(도 4참조)와의 접속용의 단자전극군(도 7(B)의 부호(30)참조)에 대응하는 단자 3군 사이의 스페이스에 설치된 더미전극이다.
이 더미전극(42)은, 상기 스페이스를 메우는 도시한 바와 같은 형상, 즉, 단자전극(41-n)과 동등한 피치로 동등한 폭의 평행전극과, 경사직선전극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경사직선전극은, 단자전극(41-n)의 가장 바깥쪽의 인접하는 각 단자(41-n)의 경사직선배선(45-n)의 사이에, 상기 경사직선배선(45-n)과 동등한 각도, 동등한 피치에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더미전극(42)은 ITO막으로 이루어지고, 폴로팅이다.
종래는, 복수개 설치되는 TCP와 접속되는 단자전극(41-n)군의 사이의 간격이 비어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0.2∼0.3㎛로 두꺼운 ITO막으로 이루어진 단자전극(41-n)의 막두께에 의해, 단자(41-n)가 있는 부분과 없는 부분에의해 높이의 차가 생긴다. 그래서, 액정표시소자의 양산할때에, 표시용전극(46-n)위에 형성하는 배향막에 배향처리(러빙)를 행하는 러빙롤러에 이 형상이 전사되고, 이 러빙롤러를 사용해서 배향처리를 행하면, 배향막에 러빙줄무늬얼룩이 생겨버려, 표시품질이 저하한다고하는 문제가 있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TCP사이(단자(41-n)군사이)의 스페이스를 더미전극(42)에의해 메우므로써, 상기 스페이스를 그 양쪽과 동등한 요철(凹凸)조건, 즉, 러빙조건으로 할 수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배향막에 러빙줄무늬얼룩이 생기지 않고, 표시품질을 향상시킬수 있다.
또, TCP 사이의 스페이스에 더미전극(42)을 형성하므로써, TCP사이의 약 0.2㎛의 오목부를 없앨 수 있으므로, 상하양기판사이의 갭을 균일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액자부에 있어서 불균일한 짙고 옅은 불균일이 없고, 균일한 검은색의 비점등영역을 실현할 수 있고, 양기판사이의 갭을 양호하게 제어할 수 있으므로, 색불균일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표시품질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또, 도 1에 표시한 바와 같이, 액정표시소자의 밀봉재(44)의 영역에서, 상하 전극기판의 각전극이 교차하는 부분인 표시부(점등부)의 바깥쪽의 비점등부인 소위 액자부에 있어서의 단자(41-n)끼리의 사이의 스페이스에, 더미전극(4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더미전극(43)의 피치는 동등하고, 또 더미전극(43)과 그 양쪽의 단자(41-n)와의 거리(양자의 간격의 길이)는 각각 동등하고, 본 실시예에서는 인접하는 경사직선배선(45-n)사이의 거리와 동등하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더미전극(43)은 ITO막으로 이루어지고, 전기적으로는 상기 단자전극의 밀봉재(44)의 바깥쪽단부에서 접속되고 있으나, 플로팅이라도 상관없다.
본 실시예에서는, 액자부를 포함한 부분의 각 단자(41-n)사이의 틈새에 더미 전극(43)을 형성했으므로, 액자부의 각단자(41-n)사이의 틈새로부터 광누설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또, 단자(41-n)와 상기 단자(41-n)를 그대로 연장한 부분의 면내 밀도가 균일하게 되고, 상하양기판사이의 갭을 균일하게 할 수 있다.
종래는, 도 24에 표시한 바와 같이, 인출배선의 경사직선배선(45)이 방사선상으므로, 경사직선배선(45)사이의 간격이 표시용전극(2)으로부터 단자(3)를 향해서 좁아진다고하는 불균일이 발생하고, 이 결과, 액자부의 본래 균일한 검은색으로 되어야 할 곳에, 불균일한 짙고 옅은색 얼룩이 생겨버린다고하는 문제가 있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더미전극(42)와 (43)을 형성했으므로, 액자부에 있어서의 갭을 균일하게 할 수 있고, 이 문제를 해결하여, 액자부를 균일한 검은색으로 할 수 있고, 표시품질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또, 종래의 액정표시소자에서는, 상하전극기판의 0.2∼0.3㎛로 두꺼운 ITO막으로 이루어진 표시용전극(46) 및 경사직선배선(45)이 스페이서를 지지하기 때문에, 전극이 없는 부분의 스페이서는 자유로히되어, 갭제어가 듣지않고, 또, 종래의 방사선상의 경사 직선배선(45)은 상기한 바와 같이 배선밀도가 균일하지 않기 때문에, 액자부의 갭변동에 기인하는 색얼룩이 생긴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양전극기판사이의 고정밀도의 갭(±0.1㎛)이 필요한 STN-LCD 에서는, 그 갭을 내기위한 스페이서가 존재하는 유효밀도가 크게 영향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더미전극(42)와 (43)을 형성했으므로, 액자부에 있어서의 갭을 균일하게 할 수 있으므로, 이 문제를 해결하여, 액자부의 갭변동에 기인하는 색얼룩이 생기지 않고, 표시품질을 향상시킬수 있다.
도 5a 및 도5b는, 본 발명의 인출배선과 더미전극을 포함해서 이루어진 전극을 상부전극기판과 하부전극기판에 적용하여, 양 기판을 맞포개에서 조립한 후, 또 동일한 형상의 더미전극이 대향하도록, 복제한 더미전극 패턴을 형성한 상부전극(도5a)과 하부전극(도5b)을 표시한 개략평면도이다.
이와같이, 2매의 전극기판(311), (312)중, 한쪽의 전극기판(311), (312)의 단부에 형성한 단자와 인출배선과 더미전극(47) 및 (48)을, 다른쪽의 전극기판(312), (311)이 대향하는 면에 형성하므로써, 양전극기판(311), (312)사이의 갭을 균일하게 할 수 있으므로, 액자부를 균일한 검은색으로 할 수 있는 동시에, 액자부의 갭변동에 기인하는 색얼룩이 발생하지않고, 표시품질을 향상시킬수 있다.
도 6은, 도 5a 의 상세한 확대도, 도 7은 도5b의 상세한 확대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유효표시영역(양기판(311), (312)의 면에서 수직인 방향으로부터 본 경우, 상부전극(311)과 하부전극(312)이 교차하는 부분에의해 구성된다)의 바깥쪽의 상부전극(411), 하부전극(412)의 일부와, 그 단자의 일부와, 양자를 접속하는 인물배선부(3자를 단자부라고 총칭함)와, 및 단자군사이에 형성한 더미전극(43)과, 단자사이에 형성한 더미전극(42)이 적어도 일부를, 대향하는 기판의 단부가 대향하는 면에 복제하고 있다. 복제하는 전극패턴은, 완성한 액정표시소자의 양기판면과 수직인 방향으로부터 본 경우, 완전히 포개지는 동일한 패턴에 복제하고 있다. 복제한 단자부를 부호(47)(48)로 표시한다.
복제한 단자부(신호구동소자전극의 대향더미전극)(47)는, 상부전극기판(311)의 단부의 면위에 복제되고, 그것과 대향하는 하부전극기판(312)의 단부의 면위의 하부전극(412)의 단자부의 일부를 동일패턴, 동일재료에의해 복사한 것이다.
복제한 단자부(주사구동소자전극이 대향더미전극)(48)는, 하부전극기판(312)의 단부의 면위에 복제되고, 그것과 대향하는 상부전극기판(311)의 단부의 면위의 상부전극(411)의 단자부의 일부를 동일패턴, 동리재료에 의해 복사한 것이다.
복제한 단자부(47)(48)는 그 복제한 단자부와, 이들에 대향하는 단자부와의 사이의 액정을 점등시키지 않도록 하기 위해, 전기적으로는 플로팅으로 하고 있다. 또한, 단자부에 있어서, 더미전극(42), (43)끼리 대향하는 경우에도, 양자의 사이의 액정을 점등시키지 않도록 하기위해, 전기적으로 플로팅해도 된다. 이에의해, 정전기(靜電氣)등에 의해 더미전극(42)등에 전하가 축적되어도, 액정의 고저항리크에의해 방전하고, 점등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은, 투명전극의 밀봉재 아래의 면적 점유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에 표시한 바와같이, 임의의 단위폭((49), (50))을 취하고, 면적점유율을 다음과 같이 계산한다.
① 먼저, 더미전극(43)이 뻗이있는 부분(49)의 면적점유율 Sq1을 계산한다. 이 경우, 그 면적점유율은, 더미단자배선(43-n)의 폭을 WDM으로하고, 단자전극(41-n)의 폭을 WTCP로하고, 단자전극(41-n)의 피치를 PTTCP로하고, 표시전극(46-n)의 피치를 PTLCD로하고, 표시전극(46-n)의 폭을 WLCD로하면, 다음과 같이 된다.
Sq1 = (WDM+ WTCP)/PTTCP
② 다음에, 경사배선전극(45-n)부분(50)의 면적점유율 Sq2를 구한다.
Sq2 = WLCD/PTLCD
③ 위에서 구한 면적점유율에 임의의 n이고,
항상 Sq2-Sq10.03이 되도록 하면 된다.
도 9는 본 발명이 적용가능한 액정표시소자의 요부평면도이며, 도 10A 및 도 10B 는, 각각 A-A' 및 B-B'선에서의 대응하는 요부단면도이다.
도 9에 표시한 바와 같이 각 화소는 격자형상의 블랙매트릭스(53)에의해 둘러싸이고, 방향(51)에는 주사전극이 뻗어있고, 방향(52)에는, 신호전극이 뻗어있다.
도 10A에 있어서, (31)은 상부편광판, (33)은 위상차판, (311)은 상부전극기판, (333)은 컬러필터, (53)은 블랙매트릭스, (323)은 평탄화막, (331)은 주사전극, (321)은 상부배향막, (350)은 액정층, (54)는 스페이서 갭재, (322)는 하부배향막, (55)는 절연막, (332)는 신호전극, (312)는 하부전극기판, (32)는 하부평광판이다.
부호에 대해서는, 도 10B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은 종래에 있어서의 밀봉재 안쪽으로부터 점등영역의 5도트째 근처 전후의 갭의 불균일을 설명하기위한 도면이다.
도면에 있어서, ◆는 가장 면적점유율이 낮은 부분의 갭의 측정치이고, ■는 가장 면적점유율이 높은 부분의 갭의 측정치이다.
측정치를 고찰하면, 종래의 방법에서는 점등표시영역에 있어서도 0.5㎛이상의 갭 불균일이 발생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밀봉재 안쪽으로부터 점등영역의 5도트째 근처 전후의 갭의 불균일을 설명하기위한 도면이다.
측정치를 고찰하면, 본 발명에서는 점등표시영역에 있어서도 거의 갭불균일이 생기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했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일탈하지않는 범위에 있어서 여러 가지 변경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예에서는, 단순매트릭스방식의 액정표시장치에 적용한 예를 표시했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들면 박막트렌지스터등을 스위칭소자로하는 액티브·매트릭스방식의 액정표시장치에도 적용가능한 것은 말할 것도 없다.
액티브·매트릭스방식의 액정표시소자에 적용하는 경우, 도 1의 표시용 전극은, 스위칭소자를 형성하는 쪽의 기판에 있어서, 주사신호선(즉, 게이트신호선 또는 수평신호선) 또는 영상신호선(즉, 드레인신호선 또는 수직신호선)이다.
다음에, 도 13을 참조해서, 본 발명에의한 액정표시장치의 전체구성을 설명한다.
도면에 표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적용한 액정표시장치(1)는, 표시화면쪽의 금속프레임(70)과, 프린트배선기판(75)과의 접촉방지를 목적으로한 절연재로 이루어진 프레임스페이서(72)와, 실리콘스페이서(73)와, 그 아래에 형성된 액정표시소자(18)와, 도광판(84)과, 중간모울드프레임(76)과, 표시화면 뒤쪽의 금속프레임(71)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STN액정 (슈퍼트위스티드네마틱액정)에 있어서는 신호전극구동회로를 탑재한 테이프캐리어패키지 또는 TFT액정(박막트랜지스터액정)에 있어서는 드레인 전극구동회로를 탑재한 테이프캐리어패키지(74), STN액정(슈퍼트위스티드네마틱액정)에 있어서는 주사전극구동회로를 탑재한 테이프 캐리어패키지 또는 TFT액정(박막트랜지스터)에 있어서는 게이트전극구동회로를 탑재한 테이프캐리어패키지(77)가, 상기 액정표시소자(18)에는 답재된다. 또, 사이드에지타입의 백라이트의 광원부는, 냉음극선관형광등(80), 고무부시(81)등으로 구성된다.
도 14는, 본 발명에의한 액정표시소자(18)를 위쪽으로부터 본 경우의 액정분자의 배열방향(예를들면 러빙방향). 액정분자의 비틀림방향, 편광판의 편광축(혹은 흡수축)방향, 및 복굴절효과를 초래하는 부재의 광학축방향을 표시하고, 도 15는 본 발명에의한 액정표시소자의 요부사시도를 표시한다.
액정분자의 비틀림방향(310)과 비틀림각 θ 는, 주사전극기판(63)위의 배향막(321)의 러빙방향(6)과 신호전극기판(321)위의 배향막(322)의 러빙방향(7) 및 주사전극기판(63)과 하부전극기판(312)과의 사이에 끼워유지되는 네마틱액정층(350)에 첨가되는 선광물질의 종류와 그 양에 의해서 규정된다.
도 15에 있어서, 액정층(350)을 끼워유지하는 2매의 상, 하 전극기판 (63), (312)사이에서 액정분자가 비틀어진 나선구조를 이루도록 배향시킬려면, 상, 하 전극기판(63), (312)위의, 액정에 접하는, 예를들면 폴리이미드로 이루어진 유기고분자수지로 이루어진 배향막(312), (322)의 표면을, 예를들면 천등으로 일방향으로 문지르는 방법, 소위러빙법이 채용되고 있다.
이 때의 문지르는 방향, 즉 러빙방향, 상부전극기판(63)에 있어서는 러빙방향(6), 하부전극기판(312)에 있어서는 러빙방향(7)이 액정분자의 배열방향으로 된다.
이와같이해서 배향처리된 2매의 상, 하전극기판(63), (312)을 각각의 러빙방향(6), (7)이 서로 거의 180°∼360°에서 교차하도록 틈새 d1를 가지게해서 대향시키고, 2매의 전극기판(63), (312)을 액정을 주입하기 위한 봉입구(351)를 구비한 프레임형상의 밀봉재(62)에 의해 접착하고, 그 틈새에 정의 유전이 방성을 가지고 선광물질을 소정량 첨가한 네마틱액정을 봉입하면, 액정분자는 그 전극기판사이에서 도면중의 비틀림각 θ 의 나선형구조의 분자배열을 한다. 또한, (331), (332)는 각각 상, 하 전극이다.
이와 같이해서 구성된 액정셀(18)의 상부전극기판(63)의 위쪽에 복굴절효과를 초래하는 부재(이하, 복굴절부재라고 칭함)(33)가 배설되어 있으며, 또 이 부재(33) 및 액정셀을 사이에두고 상, 하 편광판(31), (32)이 설치된다.
액정층(350)에 있어서의 액정분자의 비틀림각 θ 은 바람직하게는 200°∼300°이나, 투과율-인가전력커브의 임계치근처의 점등상태가 광을 산란하는 배향이되는 현상을 피하고, 뛰어난 시분할특성을 유지한다고하는 실용적인 관점에서하면, 230°∼270°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 조건은, 기본적으로는 전압에 대한 액정분자의 응답을 보다 민감하게하고, 뛰어난 시분할 특성을 실현하도록 작용한다. 또, 뛰어난 표시품질을 얻기위해서는, 액정층(35)의 굴절률이방성△n1과 그 두께 d1와의 적△n1·d1은 바람직하게는 0.5㎛∼1.0㎛, 보다 바람직하게는 0.6㎛∼0.9㎛의 범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굴절부재(33)는 액정셀을 투과하는 광의 편광상태를 변조하도록 작용하고, 액정셀 단일체로 착색한 표시밖에 할 수 없었던 것을 흑백의 표시로 변환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복굴절부재(33)의 굴절률이방성△n2와 그 두께 d2의 적△n2·d2 가 극히 중요하며, 바람직하게는 0.4㎛∼0.8㎛, 보다 바람직하게는 0.5㎛∼0.7㎛의 범위로 설정한다.
또, 본 발명으로 이루어진 액정표시장치는 복굴절에의한 타원편광을 이용하고 있으므로 편광판(31), (32)의 축과, 복굴절부재(33)로서 1축성의 투명복굴절판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광학축과, 액정표시소자전극기판(63), (312)의 액정배열방향(6), (7)과의 관계가 극히 중요하다.
여기서, 도 14에의해 상기의 관계의 상세한 것에 대해서 설명한다.
동도면은 도 15의 구성의 액정표시장치를 위로부터 본 경우의 편광판의 축, 1축성의 투명복굴절부재의 광학축, 액정표시소자 전극기판의 액정배열방향의 관계를 표시한 것이다.
도 14에 있어서, (5)는 1축성의 투명복굴절부재(33)의 광학축, (6)은 복굴절부재(33)와 이것에 인접하는 상부전극기판(63)의 액정배열방향, (7)은 하부전극기판(312)의 액정배열방향, (8)은 상부편광판(31)의 흡수축 또는 편광축이며, 각도 α는 상부전극기판(63)의 액정배열방향(6)과 1축성의 복굴절부재(33)의 광학축(5)과의 이루는 각도, 각도 β는 상부편광판(31)의 습수축 또는 편광축(8)과 1축성의 투명복굴절부재(33)의 광학축(5)과의 이루는 각도, 각도 γ는 하부편광판(32)의 흡수축 또는 편광축(9)과 하부전극기판(312)의 액정배열방향(7)과의 이루는 각도이다.
여기서, 상기 각도 α, β, γ의 측정방법을 정의한다. 도 19A 및 B 에 있어서, 복굴절부재(33)의 광학축(5)과 상부전극기판(63)의 액정배열방향(6)과의 교각을 예로해서 설명한다.
광학축(5)과 액정배열방향(6)과의 교각은 도 19A 및 B에 표시한 바와 같이 ψ1 및 ψ2로 표시할 수있으나, 여기서는 ψ1, ψ2중 작은 쪽의 각도를 채용한다.
즉, 도 19A에 있어서는 ψ1 〉ψ2이므로, ψ1을 광학축(5)과 액정배열방향(6)과의 교각으로 하고, 도 19B에 있어서는 ψ〉 ψ2이므로, ψ2를 광학축(5)과 액정배열방향(6)과의 교각으로 한다. 물론 ψ1=ψ2의 경우에는 어느쪽을 채용해도 된다.
이런 종류의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는, 각도 α, β, γ가 극히 중요하다. 각도 α는 바람직하게는 50°∼90°, 보다 바람직하게는 70°∼90°로, 각도 β는 바람직하게는 20°∼70°, 보다 바람직하게는 30°∼60°로, 각도 γ는 바람직하게는 0°∼70°보다 바람직하게는 0°∼50°로, 각각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액정표시소자의 액정층(350)의 비틀림각 θ 이 180°∼360°의 범위내에 있으면, 비틀림방향(310)이 시계회전방향, 시계회전반대방향의 어느 것이라도 상기 각도 α, β, γ는 상기 범위내에 있으면 된다.
도 15에 있어서는, 복굴절부재(33)가 상부편광판(31)과 상부전극기판(63)의 사이에 배설되어 있으나, 이것에 대신해서 하부전극기판(312)과 하부편광판(32)과의 사이에 배설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도 15의 구성전체를 거꾸로 세운 것으로 된다.
다음에, 도 16을 사용해서 다른 상세한 것을 설명하나, 기본구조는 도 14 및 도 15에 표시한 것과 마찬가지이다.
도 16에 있어서, 액정분자의 비틀림각 θ 은 240°이며, 1축성의 투명복굴절부재(33)로서는 평행배향(균일배향)한, 즉 비틀림각이 0°의 액정셀을 사용하였다.
여기서, 액정층의 두께d(㎛)와 선광성물질이 첨가된 액정재료의 나선피치P(㎛)의 비 d/p는 약 0.53으로 하였다. 배향막 321,322는 폴리이미드수지막에의해 형성하고, 이것을 러빙처리한 것을 사용하였다. 이 러빙처리를 실시한 배향막이 이것에 접하는 액정분자를 기판면에 대해서 경사배향시키는 틸트각(pretilt각)은 약 4°이다. 상기 1축성투명복굴절부재(33)의 △n2·d2는 약 0.6㎛이다. 한편, 액정분자가 240°비틀어진 구조의 액정층(350)의 △n1·d1은 약 0.8㎛이다.
이때, 각도 α를 약 90°, 각도 β를 약 30°, 각도 γ를 약 30°로 하므로써, 상, 하전극(63), (332)을 개재해서 액정층(350)에 인가되는 전압이 임계치이하인때에는 광불투과 즉 검은색, 전압이 어느 임계치 이상으로되면 광투과 즉 흰색의 흑백표시를 실현할 수 있었다. 또, 하부편광판(32)의 축을 상기 위치로부터 50°∼90°회전한 경우에는, 액정층(350)에의 인가전압이 임계치이하인때는 흰색, 전압이 임계치 이상으로되면 검음색의 상기와 반대의 흑백표시를 실현할 수 있었다.
도 17은, 도 15의 구성에서 각도 α를 변화시켰을때의 1/200듀티에 의해 시분할 구동시의 콘트라스트 변화를 표시한 것이다. 각도 α가 90°근처에서는 극히 높은 콘트라스트를 표시하고 있던 것이, 이 각도로부터 어긋남에 따라서 저하한다. 또한, 각도 α가 작아지면 점등부, 비점등부 다함께 푸른기를 띠고, 각도 α가 커지면 비점등부는 자색, 점등부는 황색으로되고, 어느것으로해도 흑백표시는 불가능 하게된다. 각도 β 및 각도 γ에 대해서도 거의 마찬가지의 결과로 되나, 각도 γ의 경우는 상기한 바와 같이 50°∼90°가까이 회전하면 반대의 흑백표시로 된다.
다음에, 도 18을 사용해서 다른 상세한 것을 설명한다. 기본구조는 상기의 예와 마찬가지이다. 단, 액정층(350)의 액정분자의 비틀림각은 260°, △n1·d1은 약 0.65㎛∼0.75㎛인점이 다르다. 1축성투명복굴절부재(33)로서 사용하고 있는 평행배향액정층의 △n2·d2는 도 15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0.58㎛이다.
이때, 각도 α를 약 100°, 각도 β를 약 35°, 각도 γ를 약 15°로 하므로써, 상기한 것과 마찬가지의 흑백표시를 실현할 수 있었다. 또, 하부편광판의 축의 위치를 상기 값으로부터 50°∼90°회전하므로써 역회전의 흑백표시가 가능한점도 도 15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이다. 각도 α, β, γ의 어긋남에 대한 경사도 도 15에서 설명한 것과 거의 마찬가지이다.
상기 어느 구체적예에 있어서도, 1축성투명복굴절부재(33)로서, 액정분자의 비틀림이 없는 평행배향 액정셀을 사용했으나, 차라리 20°∼60°정도 액정분자가 비틀어진 액정층을 사용한 쪽이 각도에의한 색변화가 적다. 이 비틀어진 액정층은, 상기의 액정층(350)과 마찬가지로, 배향처리가 이루어진 1쌍의 투명기판의 배향처리방향을 소정의 비틀림각에 교차하도록한 기판사이에 액정을 끼워유지하므로써 형성된다. 이 경우, 액정분자의 비틀림구조를 사이에두는 2개의 배향처리 방향의 협각(挾角)의 2등분각의 방향을 복굴절부재의 광축으로서 취급하면 된다.
또, 복굴절부재(33)로서 투명한 고분자필름을 사용해도 된다. (이때, 1축연신의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고분자필름으로서는, 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아크릴수지, 폴리카보네이트가 유효하다.
또, 이상의 구체적예에 있어서는, 복굴절부재는 단일이었으나, 도 15에 있어서, 복굴절부재(33)에 더해서, 하부전극기판(312)과 하부편광판(32)과의 사이에 또 1매의 복굴절부재를 삽입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이들 복굴절부재의 △n2·d2를 재조정하면 된다.
다음에, 주사전극기판(63)의 구조를, 도 22의 사시도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기본구조는 도 15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이다. 단, 도 22에 표시한 바와 같이, 상부전극기판(311)위에 적색, 녹색, 청색의 컬리필터 R, G, B, 각필터끼리의 사이에 광차광막(53)을 형성하므로써 다색표시가 가능하게된다. 도 18에 액정분자의배열방향, 액정분자의 비틀림방향, 편광판의 축의 방향 및 복굴절부재의 광학축의 관계를 표시하나, 상세한 것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 20에 있어서는, 각 컬러필터 R, G, B, 광차광막(53)위에, 이들의 요철(凹凸)의 영향을 경감시키기위한 절연물로 이루어진 평활층(323)이 형성된 위에 상부전극(411), 배향막(321)이 형성되어 있다.
또, 도 22는, 도 20에 표시한 주사전극기판(311)과 대향배치되는 신호전극기판(312)의 간략사시도이다.
배향막등은 생략하고 있으나, 소위 상하 화면분할 구동하기 위하여, 신호전극(412)이 상부신호전극과, 하부신호전극으로 분리하고 있는 상태를 표시하고 있다.
도 21은 도 13에 표시한 본 발명에 의한 액정표시장치(1)를 노트북 또는 랩톱퍼스널컴퓨터의 표시부에 사용한 블록선도를, 도 23에 노트북 또는 랩톱퍼스널컴퓨터(64)에 실장한 상태를 표시한다.
도 21에 있어서, 마이크로프로세서(349)에의해 계산한 결과를 콘트롤용 LSI348을 개재해서 구동용IC334에 의해 액정표시모듈을 구동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단순매트릭스액정의 대표인 STN 액정등에 적용되고, 액정제조산업에 있어서 실용가능성이 있다.

Claims (5)

  1. 좁은 액자에 적합한 액정표시장치로서, 액정을 개재해서 밀봉재에의해 대향 배치시킨 1쌍의 액정표시소자 기판과, 각 액정표시소자기판위의 배선에 접속되어서 상기 액정을 구동하기위한 복수의 액정구동소자로 구성되고, 상기 각 액정표시 소자기판에는, 평행으로 배선된 복수개의 표시전극과, 상기액정표시소자기판의 단부까지 인출되고, 또한, 상기 각 액정 구동소자에 접속되는 평행인 복수개의 단자전극과, 상기 각 표시전극과 상기 각 단자전극을 접속하기위한 경사직선배선과, 상기 경사직선배선과 상기 단자전극의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경사직선배선과 선폭이 상이한 저항치조정용 배선과, 서로 이웃이 된 2개의 상기 저항치조종용 배선의 사이에 형성된 더미전극을 가지며, 상기 액정구동회로가 구동하는 배선의 배선저항의 불균일이 소정의 허용치보다 작게 되도록 상기 저항치조종용 배선을 형성하고, 상기 저항치조종용 배선과 더미전극을 상기 밀봉재의 아래에 배치하고, 상기 밀봉재의 아래에 배치되는 저항치조정용 배선과 더미전극의 단위당의 면적점유율의 불균일이 소정의 허용치보다 작게 되도록 상기 더미전극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재의 아래에 배치되는 배선의 단위면적당의 면적 점유율의 불균일이, 3%이하가 되도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액정구동회로의 중앙부와 단부와의 배선저항의 불균일이, 4.5%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재의 바깥쪽근처로부터 점등영역의 화소까지의 거리가 거의 2.75mm정도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재의 안쪽에 수화소분의 더미의 컬러필터층이 형성되고, 상기 점등영역의 화소는, 상기 더미컬러필터층의 안쪽의 화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19970709453A 1995-06-16 1995-06-16 좁은액자에적합한액정표시장치 Expired - Lifetime KR1002993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1995/001201 WO1997000462A1 (fr) 1995-06-16 1995-06-16 Afficheur a cristaux liquides convenant a un cadre etro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2983A KR19990022983A (ko) 1999-03-25
KR100299390B1 true KR100299390B1 (ko) 2001-10-27

Family

ID=14126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9453A Expired - Lifetime KR100299390B1 (ko) 1995-06-16 1995-06-16 좁은액자에적합한액정표시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172732B1 (ko)
JP (1) JP3509875B2 (ko)
KR (1) KR100299390B1 (ko)
WO (1) WO1997000462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94792B2 (en) 2013-04-29 2018-02-13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panel,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bonding method thereof
US9974175B2 (en) 2013-04-29 2018-05-15 Samsung Display Co., Ltd. Electronic component, electric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bonding method thereof
US11457531B2 (en) 2013-04-29 2022-09-27 Samsung Display Co., Ltd. Electronic component, electric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bonding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37176B2 (ja) 1995-12-21 2006-01-18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液晶表示装置
JPH11305254A (ja) * 1998-04-24 1999-11-05 Hitachi Ltd 液晶表示装置
US6825836B1 (en) 1998-05-16 2004-11-30 Thomson Licensing S.A. Bus arrangement for a driver of a matrix display
US6532152B1 (en) * 1998-11-16 2003-03-11 Intermec Ip Corp. Ruggedized hand held computer
JP3025256B1 (ja) * 1999-02-24 2000-03-2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表示パネルへのtcpフィルムの実装方法
JP4132580B2 (ja) * 1999-08-06 2008-08-13 シャープ株式会社 配線構造および基板の製造方法ならびに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545021B1 (ko) * 1999-12-31 2006-01-24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소자와 그 제조 방법
JP3645770B2 (ja) * 2000-01-28 2005-05-1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液晶表示装置
JP2001356708A (ja) * 2000-06-14 2001-12-26 Fujitsu Hitachi Plasma Display Ltd 表示パネルの電極構造及びその電極形成方法
JP3531633B2 (ja) * 2000-09-14 2004-05-3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晶装置及び電子機器
JP4238469B2 (ja) * 2000-09-18 2009-03-1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KR100806808B1 (ko) 2000-10-17 2008-02-22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등저항 배선을 위한 액정표시장치
US7088323B2 (en) * 2000-12-21 2006-08-08 Lg.Philips Lcd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JP4212255B2 (ja) * 2001-03-30 2009-01-21 株式会社東芝 半導体パッケージ
JP3702858B2 (ja) * 2001-04-16 2005-10-0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US6407793B1 (en) * 2001-05-02 2002-06-18 Giantplus Technology Co., Ltd. Color liquid crystal display
US20030016318A1 (en) * 2001-07-23 2003-01-23 Wei-Chen Liang Color display
JP2003046212A (ja) * 2001-07-27 2003-02-14 Seiko Epson Corp 電子デバイス並びに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設計方法、回路基板並びに電子機器
JP2003084292A (ja) 2001-09-13 2003-03-19 Seiko Epson Corp 液晶装置及び電子機器
TWI240099B (en) * 2001-11-06 2005-09-21 Hannstar Display Corp Method for cutting tape carrier packages of LCD and LCD structure
KR100450701B1 (ko) * 2001-12-28 2004-10-01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기판과 그 제조방법
JP2003295218A (ja) * 2002-04-04 2003-10-15 Advanced Display Inc 表示装置
KR100480332B1 (ko) * 2002-04-08 2005-04-06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용 액정패널
KR100870666B1 (ko) 2002-09-04 2008-11-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3980462B2 (ja) * 2002-10-30 2007-09-26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画像表示装置
KR100917324B1 (ko) * 2002-11-16 2009-09-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모바일 폰용 액정표시장치
JP4512976B2 (ja) * 2003-12-10 2010-07-28 日本電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KR101022278B1 (ko) * 2003-12-15 2011-03-21 삼성전자주식회사 구동 칩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KR101051013B1 (ko) * 2003-12-16 2011-07-21 삼성전자주식회사 구동 칩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TWI232707B (en) * 2004-03-31 2005-05-11 Fujitsu Ltd Display
JP4846244B2 (ja) * 2005-02-15 2011-12-28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半導体装置
US7710739B2 (en) * 2005-04-28 2010-05-04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and display device
JP2006350064A (ja) * 2005-06-17 2006-12-28 Hitachi Displays Ltd 表示装置および位置ずれ検査方法
WO2007030864A1 (en) * 2005-09-12 2007-03-22 Magellan Technology Pty Ltd A method and apparatus adapted to transmit data
EP1826605A1 (en) * 2006-02-24 2007-08-29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KR101117692B1 (ko) * 2006-04-26 2012-02-2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자 방출 표시 소자
JP5068067B2 (ja) * 2006-11-22 2012-11-07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イースト 表示装置および平面型表示装置
TWI339434B (en) * 2007-06-29 2011-03-21 Chimei Innolux Corp Display panel and electric apparatus with esd protection effect
US20090066873A1 (en) * 2007-09-12 2009-03-12 Reynold Li Liao LCD Display with LED Backlight Optimized for Minimum Notebook Computer Dimensions
TWI461806B (zh) * 2011-06-16 2014-11-21 Au Optronics Corp 引線結構以及具有此引線結構之顯示面板
US10394094B2 (en) * 2013-04-25 2019-08-27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device
CN203275842U (zh) * 2013-06-09 2013-11-06 合肥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阵列基板及显示装置
CN109686712B (zh) * 2018-12-26 2020-10-16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显示面板和显示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4036A (ja) * 1993-10-20 1995-05-02 Optrex Corp 表示素子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82291B2 (ja) * 1990-08-30 1998-07-30 キヤノン株式会社 強誘電性液晶カラーパネル
JP2916824B2 (ja) * 1991-05-31 1999-07-05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JP2850177B2 (ja) * 1992-04-18 1999-01-27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素子
JPH0667191A (ja) * 1992-08-21 1994-03-11 Toshiba Corp 液晶表示器
TW293093B (ko) * 1994-09-08 1996-12-11 Hitachi Ltd
US5893624A (en) * 1996-07-05 1999-04-13 Seiko Instruments Inc.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TW409192B (en) * 1996-07-23 2000-10-21 Ibm A spatial light modulator and a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US5982470A (en) * 1996-08-29 1999-11-09 Sharp Kabushiki Kaish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dummy electrodes with interleave ratio same on all sid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4036A (ja) * 1993-10-20 1995-05-02 Optrex Corp 表示素子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94792B2 (en) 2013-04-29 2018-02-13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panel,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bonding method thereof
US9974175B2 (en) 2013-04-29 2018-05-15 Samsung Display Co., Ltd. Electronic component, electric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bonding method thereof
US10306763B2 (en) 2013-04-29 2019-05-28 Samsung Display Co., Ltd. Electronic component, electric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bonding method thereof
US11457531B2 (en) 2013-04-29 2022-09-27 Samsung Display Co., Ltd. Electronic component, electric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bonding method thereof
US11696402B2 (en) 2013-04-29 2023-07-04 Samsung Display Co., Ltd. Electronic component, electric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bonding method thereof
US11979987B2 (en) 2013-04-29 2024-05-07 Samsung Display Co., Ltd. Electronic component, electric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bond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509875B2 (ja) 2004-03-22
KR19990022983A (ko) 1999-03-25
US6172732B1 (en) 2001-01-09
WO1997000462A1 (fr) 1997-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99390B1 (ko) 좁은액자에적합한액정표시장치
US5914763A (en) Liquid crystal display with substantially equal resistances for sets of terminal electrodes and inclined wiring electrodes
KR100622843B1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5760856A (en) In-plane field typ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ith light shielding pattern suitable for high aperture ratio
JP5543394B2 (ja) 液晶表示装置
KR100562599B1 (ko) 액정 표시 장치 및 전자 기기
US6798471B2 (en) Liquid crystal display
US20040179160A1 (en) Four color liquid crystal display and panel therefor
KR100459320B1 (ko) 블랙 매트릭스 및 컬러 필터 사이의 갭에 삽입된 고저항층을 갖는 평면 스위칭 모드 액티브 매트릭스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US20020176043A1 (en)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JP3683294B2 (ja) 液晶表示装置
KR19980042256A (ko) 액정 표시 장치
JP4628802B2 (ja) 液晶表示装置
KR100832202B1 (ko) 액정 표시 장치용 기판 및 그것을 구비한 액정 표시 장치
KR20000047826A (ko) 액정표시장치
US20090201453A1 (en)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7414688B2 (en) In-plane switching LCD panel
JP3844774B2 (ja) 液晶表示装置
KR100627525B1 (ko) 액정표시장치
JP4008513B2 (ja) 液晶表示装置
JPH0876137A (ja) 液晶表示装置
JP3750119B2 (ja) 液晶表示装置
JP3802044B2 (ja) 液晶表示装置
JP2002169158A (ja) 液晶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2040475A (ja) 液晶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1216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7121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003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1031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106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106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6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53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6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60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60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52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60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52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52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4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524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30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530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5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515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EXPY Expiration of term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151216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