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86913B1 - 번인 테스트 기능을 갖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 Google Patents

번인 테스트 기능을 갖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6913B1
KR100286913B1 KR1019980029902A KR19980029902A KR100286913B1 KR 100286913 B1 KR100286913 B1 KR 100286913B1 KR 1019980029902 A KR1019980029902 A KR 1019980029902A KR 19980029902 A KR19980029902 A KR 19980029902A KR 100286913 B1 KR100286913 B1 KR 1002869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d line
voltage
transistor
burn
power suppl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9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4168A (ko
Inventor
히로아끼 하시모또
Original Assignee
가네꼬 히사시
닛뽕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네꼬 히사시, 닛뽕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가네꼬 히사시
Publication of KR199900141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41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69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6913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9/00Checking stores for correct operation ; Subsequent repair; Testing stores during standby or offline oper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9/00Checking stores for correct operation ; Subsequent repair; Testing stores during standby or offline operation
    • G11C29/04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memory elements, e.g. cell constructio details, timing of test signals
    • G11C29/50Marginal testing, e.g. race, voltage or current test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9/00Checking stores for correct operation ; Subsequent repair; Testing stores during standby or offline operation
    • G11C29/04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memory elements, e.g. cell constructio details, timing of test signals
    • G11C29/08Functional testing, e.g. testing during refresh, power-on self testing [POST] or distributed testing
    • G11C29/12Built-in arrangements for testing, e.g. built-in self testing [BIST] or interconnection details
    • G11C29/18Address generation devices; Devices for accessing memories, e.g. details of addressing circuits
    • G11C29/30Accessing single arrays
    • G11C29/34Accessing multiple bits simultaneousl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Landscapes

  • Dram (AREA)
  • For Increasing The Reliability Of Semiconductor Memories (AREA)
  • Tests Of Electronic Circuits (AREA)

Abstract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메모리 셀 (MC11, …) 에 접속된 복수의 워드 라인 (WL1, WL2, …), 전원 전압 (VCC) 보다 높은 적절한 워드 라인 레벨 발생 전압 (VCC1)을 발생하는 워드 라인 레벨 발생 회로 (3), 워드 라인 레벨 발생 전압을 사용하여 워드 라인중의 하나를 각각 구동하는 복수의 워드 라인 드라이버 (2-1, 2-2, …), 및 통상 모드에서 제 1 수의 워드 라인 드라이버를 활성화시키고 번인 테스트 모드에서 제 2 수의 워드 라인 드라이버를 활성화시키는 복수의 행 디코더 (1-1, 1-2, …)를 포함한다. 제 2 수는 제 1 수보다 크다. 제어 회로 (4) 는 워드 라인 레벨 발생 전압을 검출하고 피드백을 사용하여 전압을 일정 레벨로 제어한다.

Description

번인 테스트 기능을 갖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본 발명은 번인 (burn-in) 테스트 기능을 갖는 다이나믹 랜덤 액세스 메모리 (DRAM) 장치 등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출하하기 전에 번인 (burn-in) 테스트가 수행되어 특성을 안정화시키고 결함을 검출한다.
이러한 번인 테스트에 있어서,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약 8 내지 10 시간 등의 장시간동안 5V 등의 통상 전원 전압보다 높은 7V 등의 전원 전압을 인가한다. 전원 전압을 높일수록, 스크리닝 (screening) 효과는 점점 더 커진다. 또한, 번인 테스트 시간이 길수록 스크리닝 효과는 더 커진다.
번인 테스트에 있어서, 주변 회로는 각 사이클에서 전부 동작하므로, 충분한 스트레스가 인가된다. 한편, 선택된 메모리 셀만이 각 사이클에서 동작하므로, 인가되는 스트레스는 충분하지 않다. 예를 들어, 16Mbit DRAM 장치에서 전체 메모리 셀의 1/2000 에만 스트레스가 인가된다.
그러므로, 전원 전압보다 높은 전압을 사용하여 많은 수의 메모리 셀을 동시에 선택하면, 번인 테스트의 스크리닝 효과를 강화하고, 또한, 번인 테스트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JP-A-6-76599 참조). 이것은 다음에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있어서, 고전압을 검출하는 수단이 없으므로, 워드 라인에서의 전압이 너무 높으면 메모리 셀에 인가되는 스트레스가 너무 커진다. 이 경우, 큰 스트레스가 장치의 주변 회로에 인가된다. 반대로, 동시에 구동되는 워드 라인의 수가 너무 많아 워드 라인에서의 전압이 너무 낮으면, 워드 라인 레벨 발생 회로의 용량이 커져야 하고, 집적도를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적절한 전원 전압을 사용하여 번인 테스트 기능을 수행 할수 있어 테스트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a 는 제 1 의 종래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1b 는 도 1a 의 장치의 변형을 나타내는 회로도.
도 2 는 도 1a 와 도 1b 의 워드 라인 레벨 발생 회로의 회로도.
도 3 은 제 2 의 종래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4 는 제 3 의 종래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6 은 도 5 의 장치의 변형을 나타내는 회로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8 및 9 는 도 7 의 장치에 포함되는 행 프리디코더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10 은 도 5, 6, 7 의 제어 회로의 변형의 블록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1-2, …: 행 어드레스 디코더
2-1, 2-2, …: 워드 라인 드라이버
3: 워드 라인 레벨 발생 회로
4: 제어 회로
본 발명에 따르면,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메모리 셀에 접속된 복수의 워드 라인, 전원 전압보다 높은 적절한 워드 라인 레벨 발생 전압을 발생하는 워드 라인 레벨 발생 회로, 워드 라인 레벨 발생 전압을 사용하여 워드 라인중의 하나를 각각 구동하는 복수의 워드 라인 드라이버, 및 통상 모드에서 제 1 수의 워드 라인 드라이버를 활성화시키고 번인 테스트 모드에서 제 2 수의 워드 라인 드라이버를 활성화시키는 복수의 행 디코더를 포함한다. 제 2 수는 제 1 수보다 크다. 제어 회로는 워드 라인 레벨 발생 전을 검출하고 피드백을 사용하여 전압을 일정 레벨로 제어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설명함으로써 명백해질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전에 번인 테스트 기능을 갖는 종래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도 1a, 1b, 2, 3, 및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1 의 종래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 (JP-A-6-76599 의 도 2 참조) 를 나타내는 도 1a 에 있어서, MC11등의 1 트랜지스터, 1 커패시터형 메모리 셀은 워드 라인 (WL1, WL2, …) 및 BL1및 BL2등의 비트 라인쌍 사이에 접속된다.
통상 모드에서, 워드 라인 (WL1, WL2, …) 중의 하나는 행 어드레스 신호 (ADD) 를 수신하기 위한 행 디코더 (101) 에 의해 선택된다.
번인 테스트 모드에서, 모든 워드 라인 (WL1, WL2, …) 은 테스트 신호 (ψ1및 ψ2)를 수신하는 테스트 회로 (102) 에 의해 선택된다. 전원 전압 (VCC) 은 테스트 회로 (102) 에 인가되고, 또한 워드 라인 레벨 발생 회로 (103) 에 의해 발생된 하이 전원 전압 (VCC1(〉VCC)) 은 테스트 회로 (102) 에 인가된다.
통상 모드에서, 테스트 신호 (ψ1, ψ2) 가 둘다 로우이고, NOR 회로 (104) 의 출력 신호는 하이이어서 행 디코더 (101) 를 활성화시킨다. 그러므로, 워드 라인 (WL1, WL2, …) 중의 하나가 선택되어 하이로 된다. 이 경우, 테스트 회로 (102)에서, 트랜지스터 (1022) 는 트랜지스터 (1021)를 통한 테스트 신호 (ψ1) 에 의해 턴오프되고 트랜지스터 (1023) 는 테스트 신호 (ψ2) 에 의해 턴오프된다. 그러므로, 테스트 회로 (102) 는 비활성 상태가 된다.
테스트 모드에서, 먼저, 테스트 신호 (ψ1, ψ2) 는 둘다 하이이고, 그후, 테스트 신호 (ψ2) 만이 로우로 된다. 결과적으로 NOR 회로 (104) 의 출력 신호는 로우이어서 행 디코더 (101) 는 비활성 상태가 된다. 이 경우, 테스트 회로 (102)에서, 먼저, 트랜지스터 (1023) 의 드레인 전압은 0V (=VSS) 이고, 트랜지스터 (1022) 의 게이트 전압은 VCC-VTH이다. 여기서, VTH는 N 채널 트랜지스터 (1021) 의 드레쉬홀드 전압이다. 다음으로, 테스트 신호 (ψ2) 가 로우가 되면, 트랜지스터 (1023) 의 드레인 전압은 상승하여 게이트-소오스 용량 결합에 의해 트랜지스터 (1022) 의 게이트 전압은 증가한다. 결과적으로, 트랜지스터 (1022) 의 게이트 전압은 VCC보다 상당히 높게 되므로, 트랜지스터 (1022)를 통해 워드 라인 (WL2, WL3, …) 뿐만 아니라 워드 라인 (WL1) 에 하이 전압 전압 (VCC1) 이 인가된다. 그러므로, 하이 전원 전압 (VCC1)을 사용하여 모든 워드 라인 (WL1, WL2, …) 을 선택하여 번인 테스트를 실행한다.
도 1a 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있어서, 번인 테스트에서 모든 워드 라인이 동시에 선택되므로, 테스트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a 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변형을 나타내는 도 1b에서, 번인 테스트 모드에서, 하이 전원 전압 (VCC1)을 사용하여 워드 라인 (WL1, WL2, WL3, WL4,) 중의 2 개만을 선택한다 (JP-A-6-76599 의 도 1 참조). 즉, 제 1 모드에서 테스트 신호 (ψ1, ψ2) 가 둘다 하이이고, 테스트 신호 (ψ2) 만이 로우가 되고, 하이 전원 전압 (VCC1)을 사용하여 워드 라인 (WL1, WL3)을 선택한다. 한편, 제 2 모드에서, 테스트 신호 (ψ1, ψ2) 는 둘다 하이가 되고 그후, 테스트 신호 (ψ1) 가 로우가 되고, 하이 전원 전압 (VCC1)을 사용하여 워드 라인 (WL2, WL4)을 선택한다.
도 1b 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워드 라인은 번인 테스트에서 동시에 선택되므로, 테스트 시간을 또한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a 및 1b 의 워드 라인 레벨 발생 회로 (103) 의 상세 회로도인 도 2 에 있어서, CK1와 CK2는 클록 신호이고, RST 는 리셋 신호이다. 먼저, 클록 신호 (CK1) 는 로우가 되어, 노드 (N1) 에서의 전압은 인버터 (201) 및 N 채널 트랜지스터 (202) 에 의해 VCC-VTH로 발생한다. 다음으로, 클록 신호 (CK2) 는 하이가 되어 노드 (N1) 에서의 전압은 커패시터 (203) 의 용량 결합에 의해 상승한다. 그러므로, N 채널 트랜지스터 (204) 는 턴온되어 노드 (N2) 에서의 전압은 VCC로 증가한다. 그후, 노드 (N2) 에서의 전압은 클록 신호 (CK2)를 사용하여 인버터 (206, 207) 및 NOR 회로 (208)을 통하여 커패시터 (205) 의 용량 결합에 의해 상승한다. 그러므로, 트랜지스터 (209) 는 턴온하여 노드 (N3) 에서의 전압 (V) 은 VCC가 된다. 또한, 노드 (N3) 에서의 전압은 커패시터 (210) 의 용량 결합에 의해 VCC보다 높은 레벨로 상승한다. 이 경우, 클록 신호 (CK2) 는 인버터 (211, 212, 213)를 통해 P 채널 트랜지스터 (214) 로 전송되어 트랜지스터 (214) 가 턴온한다. 결과적으로, 노드 (N3) 에서의 하이 전압은 하이 전원 전압 (VCC1) 만큼 발생한다.
그러므로, 전압 (VCC1) 은 클록 신호 (CK1, CK2) 에 의해 단계적으로 증가한다.
하이 전원 전압 (VCC1) 이 하강하도록 요구되면, 리셋 신호 (RST) 가 하이로 된다.
그러나, 도 1a 또는 1b 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있어서, 워드 라인 레벨 발생 회로 (103) 로부터 발생된 하이 전원 전압 (VCC1)을 검출하기 위한 수단이 없으므로, 워드 라인 (WL1, WL2, …) 에서의 전압이 높으면, 너무 큰 스트레스가 MC11등의 메모리 셀에 인가된다. 이 경우, 더 큰 스트레스가 장치의 주변 회로에 인가된다. 반대로, 동시에 구동되는 워드 라인의 수가 너무 많아 워드 라인 (WL1, WL2, …) 에서의 전압이 너무 낮으면, 워드 라인 레벨 발생 회로 (103) 의 커패시터 (203, 205, 210) 의 용량은 커져야 하고, 집적도는 감소한다.
제 2 의 종래의 반도체 장치 (JP-A-7-244998 참조)를 나타내는 도 3 에 있어서, 워드 라인 드라이버 (2021, 2022, …) 는 행 어드레스 디코더 (201) 와 워드 라인 (WL1, WL2, …) 사이에 접속된다. 워드 라인 드라이버 (2021, 2022, …) 의 각각은 P 채널 트랜지스터 및 N 채널 트랜지스터에 의해 형성된 인버터로 구성되고 전원 전압 (VCC)을 위한 단자와 노드 (N301) 사이에 접속된다. 번인 테스트 신호 (BT) 는 P 채널 트랜지스터 및 N 채널 트랜지스터로 각각 형성된 2 개의 인버터 (203, 204)를 통해 노드 (N301) 에 공급된다.
통상 모드에서, 번인 테스트 신호 (BT) 는 로우이고, 노드 (N301) 에서의 전압은 0V (=VSS) 가 된다. 결과적으로, 워드 라인 (WL1, WL2, …) 중의 하나가 선택되어 하이 (=VCC)로 된다.
번인 테스트 모드에서, 번인 테스트 신호 (BT) 가 하이이고, 노드 (N301) 에서의 전압은 하이 (=VCC) 가 된다. 결과적으로, 모든 워드 라인 (WL1, WL2, …) 은 선택되어 하이 (=VCC) 가 된다. 그러므로, 테스트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러나, 도 3 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있어서, 워드 라인 (WL1, WL2, …) 에서의 전압은 번인 테스트 모드 동안 가장 높은 VCC이므로, 번인 테스트의 스크리닝 효과는 작다.
제 3 의 종래 기술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 (JP-A-282598 참조)를 나타내는 도 4 에 있어서, 메인 행 디코더를 설명한다. 즉, DWLi0, DWLi1, DWLi2, 및 DWLi3 (도면에는 i=0 인 것만 표시) 은 행 프리디코더 (predecoder) 의 행 어드레스의 2 개의 하위 비트에 의해 구동되는 워드 라인이고, MWi (도면에는 i=0 인만 표시)는 행 어드레스 프리디코더의 행 어드레스의 다른 상위 비트에 의해 구동되는 워드 라인 신호이다.
통상 모드에서, 번인 테스트 신호 (BT) 는 로우이고, 워드 라인 신호 (DWLi0, DWLi1, DWLi2, 및 DWLi3) 중의 하나와 워드 라인 (MWi) 중의 하나가 선택되어 행 어드레스 프리디코더의 하이 (=VCC) 가 된다. 결과적으로, 워드 라인 (WL1, WL2, …) 은 선택되어 하이 (=VCC) 가 된다. 그러므로, 테스트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러나, 도 4 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있어서, 워드 라인 (WL1, WL2, …) 에서의 전압은 번인 테스트 모드 동안 가장 높은 VCC이므로, 번인 테스트의 스크리닝 효과는 작다.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 5 에 있어서, 참조 번호 (1-1, 1-2, …) 는 행 어드레스 신호 (A2 (또는 ), A3 (또는 ), …, A8 (또는 ))을 수신하는 행 어드레스 디코더를 나타내고, 2-1, 2-2, … 는 행 어드레스 디코더중의 하나에 각각 접속된 워드 라인 드라이버를 나타낸다. 행 어드레스 디코더 (1-1, 1-2, …) 는 행 디코더 활성화 신호 (ψ0) 에 의해 활성화된다.
또한 더 높은 전원 전압 (VCC1) (〉VCC) 이 워드 라인 레벨 발생 회로 (3) 에 의해 워드 라인 드라이버 (2-1, 2-2, …) 에 공급된다. 워드 라인 레벨 발생 회로 (3) 는 도 2 의 워드 라인 레벨 발생 회로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이 경우, 워드 라인 레벨 발생 회로 (3) 는 전원 전압 (VCC1)을 검출하는 제어 회로 (4) 에 의해 제어되어 전원 전압 (VCC1) 은 일정 레벨에 근접하여 발생한다. 즉, 제어 회로 (4) 가 활성 간격 행 어드레스 스트로브 (RAS) 신호 등을 수신하면, 제어 회로 (4) 는 클록 신호 (CK1, CK2)를 발생하여 워드 라인 레벨 발생 회로 (3)를 활성화한다. 한편, 전원 전압 (VCC1) 이 상술한 일정 레벨에 도달하면, 제어 회로 (4) 는 클록 (CK1, CK2) 의 발생을 정지하고, 전원 전압 (VCC1) 이 일정 레벨에 유지되도록 한다.
1-1 과 같은 행 어드레스 디코더는 행 디코더 활성화 신호 (ψ0)를 수신하는 P 채널 트랜지스터 (Q10), 신호 (A2·A3)를 수신하는 N 채널 트랜지스터 (Q11), 신호 (A4·A5)를 수신하는 N 채널 트랜지스터 (Q12), N 채널 트랜지스터 (Q13), 및 번인 테스트 신호 (BT)를 수신하는 N 채널 트랜지스터 (Q14) 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2-1 과 같은 워드 라인 드라이버는 인버터 (I1), N 채널 트랜지스터 (Q15), 및 전압 (VCC1, VSS) 에 의해 전력이 가해진 직렬 접속된 N 채널 트랜지스터 (Q16, Q17) 에 의해 구성된다.
통상 모드에서, 번인 테스트 신호 (BT) 가 로우이고, 트랜지스터 (Q14, Q24, …) 가 턴오프한다. 그러므로, 행 디코더 활성화 신호 (ψ0) 가 로우인 조건하에서, A2·A3 ="1" (하이) 이고, A4·A5="1" 이고, A6·A7·A8="1" 이면, 트랜지스터 (Q11, Q12, Q13) 은 턴온되어 노드 (N11) 에서의 전압은 OV 로 하강한다. 결과적으로, 노드 (N12) 에서의 전압은 VCC-VTH가 된다. 이 상태에서, 트랜지스터 (Q17) 는 턴오프되고, 노드 (N12) 에서의 전압은 VCC보다 높은 레벨로 상승한다. 결과적으로, 워드 라인 (WL1) 은 하이 전원 전압 (VCC1) 에 의해 구동되어, 워드 라인 (WL1)을 선택한다. 마찬가지로, 행 디코더 활성화 신호 (ψ0) 가 로우인 조건하에서, ="1" (하이) 이고, A4·A5="1" 이고, A6·A7·A8="1" 이면, 트랜지스터 (Q21, Q22, Q23) 은 턴온되어 노드 (N21) 에서의 전압은 0V 로 강하한다. 결과적으로, 노드 (N22) 에서의 전압은 OV 로 강하한다. 결과적으로, 노드 (N22) 에서의 전압은 VCC-VTH가 된다. 이 상태에서, 트랜지스터 (Q27) 은 턴오프하므로, 노드 (N22) 에서의 전압은 VCC보다 높은 레벨로 상승한다. 결과적으로, 워드 라인 (WL2) 은 하이 전원 전압 (VCC1) 에 의해 구동되어 워드 라인 (WL2)을 선택한다.
그러므로, 통상 모드에서, 전원 전압 (VCC1)을 사용하여 워드 라인 (WL1, WL2, …) 중의 하나만을 선택한다.
번인 테스트 모드에서, 번인 테스트 (BT) 가 하이일 때, 트랜지스터 (Q14, Q24, …) 가 턴온한다. 그러므로, 노드 (N20, N21, …) 에서의 전압은 어드레스 신호 (A2, A3, …, A8) 에 관계없이 0V 로 강하한다. 결과적으로, 노드 (N12, N22, …) 에서의 전압은 VCC-VTH가 된다. 이 상태에서, 트랜지스터 (Q17, Q27, …) 가 턴오프하므로, 노드 (N12, N22, …) 에서의 전압은 VCC보다 높은 레벨로 상승한다. 결과적으로, 모든 워드 라인 (WL1, WL2, …) 은 하이 전원 전압 (VCC1) 에 의해 구동되어 모든 워드 라인 (WL1, WL2, …)을 선택한다.
그러므로, 번인 테스트 모드에서, 모든 워드 라인 (WL1, WL2, …) 이 전원 전압 (VCC1)을 사용하여 선택된다.
번인 테스트 사이클은 약 수백 ㎲ 이다. 그러므로, 워드 라인 레벨 발생 회로 (3) 의 용량이 작아도, 전압 (VCC1) 은 수십 ㎲ 의 스크리닝 효과를 위하여 필요한 레벨에 도달할 수 있다. 그러므로, 워드 라인의 수는 필요한 번인 테스트 사이클 및 번인 로드에 필요한 시간따라 결정된다. 예를 들어, 도 6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번인 테스트에서 전원 전압 (VCC1)을 사용하여 워드 라인 (WL1, WL3, …) 만을 사용할 수 있다. 즉, 번인 테스트에서 동시에 구동되는 워드 라인의 수는 변화하여 워드 라인상의 스트레스는 주변 회로상의 스트레스와 동일하게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 7에서, 도 5 의 트랜지스터 (Q14, Q24, …) 는 생략한다. 또한, 도 8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번인 테스트 신호 (BT) 는 행 어드레스 프리디코더로 도입된다. 도 8에서, 통상 모드에서, 번인 테스트 신호 (BT) 는 하이이고, 신호 , , , 및 A2⋅A3 중의 하나만이 하이이다. 그러므로, 워드 라인 (WL0, WL1, …) 중의 하나만이 선택된다. 한편, 번인 테스트 모드에서, 번인 테스트 신호 (BT) 는 로우이고, 모든 신호 · , , , 및 A2⋅A3 는 하이이다. 그러므로, A4·A5=A6·A7·A8="1" 인 조건하에서, 워드 라인 (WL0, WL1, WL2, WL3) 만이 선택된다.
도 8 의 회로의 변형인 도 9에서, 도 9 의 회로는 도 8 의 회로와 동일한 방법으로 동작한다.
도 8 및 도 9에서, 신호 (A2 및 A3) 는 신호 (A4 및 A5) 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도 8 및 도 9 의 회로는 신호 (A6, A7, 및 A8) 에 인가될 수 있다.
또한, 도 5, 6, 및 7에서, 제어 회로 (4) 는 번인 테스트 신호 (BT)를 수신하는 제어 회로 (4') 로 변형될 수 있다. 즉, 번인 테스트 신호 (BT) 가 하이일 때, 제어 회로 (4') 는 전원 전압 (VCC1)을 증가시켜 스크리닝 효과를 강화한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는 리던던시 (reducdancy) 워드 라인에 인가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번인 테스트 모드에서, 적절한 전원 전압을 사용하여 복수의 워드 라인을 선택하므로, 테스트 시간을 감소시키고 샘플링 검사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Claims (8)

  1. 제 1 및 제 2 전원 단자 (VCC, VSS);
    메모리 셀 (MC11, …) 에 접속된 복수의 워드 라인 (WL1, WL2, …);
    제 1 전원 단자에서의 전원 전압 (VCC) 보다 높은 워드 라인 레벨 발생 전압 (VCC1)을 발생하는 워드 라인 레벨 발생 회로 (3);
    워드 라인 레벨 발생 회로에 접속되어 상기 워드 라인 레벨 발생 전압을 검출하여 일정 레벨로 공급하는 제어 회로 (4);
    상기 워드 라인 레벨 발생 회로와 상기 워드 라인중의 하나에 각각 접속되어 상기 워드 라인 레벨 발생 전압을 사용하여 상기 워드 라인중의 하나를 구동하는 복수의 워드 라인 드라이버 (2-1, 2-2, …); 및
    상기 워드 라인 드라이브중의 하나에 각각 접속되어 통상 모드에서 제 1 수의 상기 워드 라인 드라이버를 활성화시키고 번인 테스트 모드에서 제 2 수의 상기 워드 라인 드라이버를 활성화하는 복수의 행 디코더 (1-1, 1-2, …)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수는 상기 제 1 수보다 많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행 디코더의 각각은,
    출력 노드 (N11, N21, …);
    상기 제 1 전원 단자 및 상기 출력 노드 사이에 접속되어 디코더 활성화 신호 (ψ0) 에 의해 턴온되는 제 1 트랜지스터 (Q10, Q20, …);
    상기 출력 노드 및 상기 제 2 전원 단자 사이에 접속되어 어드레스 신호 (A2·A3, A4·A5, …)를 수신하는 복수의 제 2 트랜지스터 (Q11, Q12, …); 및
    상기 출력 노드 및 상기 제 2 전원 단자에 접속되어 번인 테스트 신호 (BT)를 수신하는 제 3 트랜지스터 (Q14, Q24,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행 디코더의 제 1 그룹의 각각은,
    제 1 출력 노드 (N11, N21, …);
    상기 제 1 전원 단자 및 상기 제 1 출력 노드 사이에 접속되어 디코더 활성화 신호 (ψ0) 에 의해 턴온되는 제 1 트랜지스터 (Q10, Q20, …);
    상기 제 1 출력 노드 및 상기 제 2 전원 단자 사이에 접속되어 어드레스 신호 (A2·A3, A4·A5, …)를 수신하는 복수의 제 2 트랜지스터 (Q11, Q12, …); 및
    상기 출력 노드 및 상기 제 2 전원 단자 사이에 접속되어 번인 테스트 신호 (BT)를 수신하는 제 3 트랜지스터 (Q14, Q24, …)를 구비하고,
    상기 행 디코더의 제 2 그룹의 각각은,
    제 2 출력 노드 (N11, N21, …);
    상기 제 1 전원 단자 및 상기 제 2 출력 노드 사이에 접속되어 디코더 활성화 신호 (ψ0) 에 의해 턴온되는 제 4 트랜지스터 (Q10, Q20, …); 및
    상기 제 2 출력 노드 및 상기 제 2 전원 단자 사이에 접속되어 어드레스 신호 (A2·A3, A4·A5, …)를 수신하는 복수의 제 5 트랜지스터 (Q11, Q12, …)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행 디코더의 전단에 접속되어 외부 어드레스 신호 (A2, A3, …)를 수신하고 상기 어드레스 신호를 논리적으로 결합하여 어드레스 신호 (A2·A3, A4·A5, …)를 발생하고 상기 행 디코더로 상기 어드레스 신호를 전송하는 행 프리디코더를 더 구비하고, 상기 어드레스 신호의 일부는 상기 번인 테스트 모드에서 하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워드 라인 드라이버의 각각은,
    상기 행 디코더중의 하나에 접속된 인버터 (I1, I2, …);
    상기 인버터에 접속된 드레인, 상기 제 1 전원 단자에 접속된 게이트, 및 소오스를 갖는 제 1 트랜지스터 (Q15, Q25, …);
    상기 워드 라인 레벨 발생 회로에 접속된 드레인,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소오스에 접속된 게이트, 및 상기 워드 라인에 접속된 소오스를 갖는 제 2 트랜지스터 (Q16, Q26, …); 및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의 소오스에 접속된 드레인, 상기 행 디코더중의 상기 하나에 접속된 게이트, 및 상기 제 2 전원 단자에 접속된 소오스를 갖는 제 3 트랜지스터 (Q17, Q27,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6. 복수의 메모리 셀 (MC11, …);
    상기 메모리 셀에 접속된 복수의 워드 라인 (WL1, WL2, …);
    전원 전압 (VCC) 보다 높은 워드 라인 레벨 발생 전압 (VCC1)을 발생하는 워드 라인 레벨 발생 회로 (3);
    상기 워드 라인 레벨 발생 회로에 접속되어 상기 워드 라인 레벨 발생 전압을 일정 레벨로 공급하는 제어 회로 (4);
    상기 워드 라인 및 셋업 회로에 접속되어 통상 모드에서 상기 워드 라인 레벨 발생 전압을 사용하여 제 1 수의 상기 워드 라인을 선택하고 번인 테스트 모드에서 상기 셋업 전압을 사용하여 제 2 수의 상기 워드 라인을 선택하는 행 선택 수단 (1-1, 1-2, …, 2-1, 2-2, …)을 구비하고, 상기 제 2 수는 상기 제 1 수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행 선택 수단은,
    상기 워드 라인 레벨 발생 회로와 상기 워드 라인중의 하나에 각각 접속되어 상기 워드 라인 레벨 발생 전압을 사용하여 상기 워드 라인중의 하나를 구동하는 복수의 워드 라인 드라이버 (2-1, 2-2, …); 및
    상기 워드 라인 드라이버중의 하나에 각각 접속되어 상기 워드 라인 드라이버중의 상기 하나를 활성화하는 복수의 행 디코더 (1-1, 1-2, …)를 구비하고,
    상기 행 디코더의 적어도 부분이 번인 테스트 신호 (BT)를 수신하는 트랜지스터 (Q14, Q24, …)를 포함하여 상기 번인 테스트 신호가 활성화되면 상기 행 디코더의 적어도 부분이 상기 워드 라인 드라이버중의 하나를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행 선택 수단은,
    상기 워드 라인 레벨 발생 회로와 상기 워드 라인중의 하나에 각각 접속되어 상기 워드 라인 레벨 발생 전압을 사용하여 상기 워드 라인중의 하나를 구동하는 복수의 워드 라인 드라이버 (2-1, 2-2, …);
    상기 워드 라인 드라이버중의 하나에 각각 접속되어 상기 워드 라인 드라이버의 상기 하나를 활성화시키는 복수의 행 디코더 (1-1, 1-2, …); 및
    상기 행 디코더의 전단에 접속되어 외부 어드레스 신호 (A2, A3, …)를 수신하고 상기 어드레스 신호를 논리적으로 결합하여 어드레스 신호 (A2·A3, A4·A5, …) 를 발생하고 상기 행 디코더에 상기 어드레스 신호를 전송하는 행 프리디코더를 구비하고,
    상기 어드레스 신호의 일부는 상기 번인 테스트 모드에서 하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1019980029902A 1997-07-25 1998-07-24 번인 테스트 기능을 갖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Expired - Lifetime KR1002869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215920 1997-07-25
JP9215920A JPH1145598A (ja) 1997-07-25 1997-07-25 半導体記憶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4168A KR19990014168A (ko) 1999-02-25
KR100286913B1 true KR100286913B1 (ko) 2001-04-16

Family

ID=16680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9902A Expired - Lifetime KR100286913B1 (ko) 1997-07-25 1998-07-24 번인 테스트 기능을 갖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936910A (ko)
JP (1) JPH1145598A (ko)
KR (1) KR100286913B1 (ko)
DE (1) DE19832960A1 (ko)
TW (1) TW39798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933784A1 (en) * 1997-12-31 1999-08-04 STMicroelectronics S.r.l. High voltage driver circuit for the decoding phase in multilevel non-volatile memory devices.
US6023434A (en) * 1998-09-02 2000-02-08 Micron Technolog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ple row activation in memory devices
JP3309822B2 (ja) * 1999-01-12 2002-07-29 日本電気株式会社 半導体記憶装置及びその試験方法
KR100334532B1 (ko) * 1999-04-03 2002-05-02 박종섭 워드라인 구동장치
KR100577551B1 (ko) * 1999-04-09 2006-05-08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메모리 장치
JP2001216799A (ja) * 1999-11-25 2001-08-10 Toshiba Microelectronics Corp 半導体記憶装置
DE10043218C2 (de) * 2000-09-01 2003-04-24 Infineon Technologies Ag Schaltungsanordnung und Verfahren zur Alterungsbeschleunigung bei einem MRAM
KR100454251B1 (ko) * 2002-03-11 2004-10-26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메모리 테스트 시간을 줄인 반도체 메모리 장치
US7802141B2 (en) * 2004-03-05 2010-09-21 Denso Corporation Semiconductor device having one-chip microcomputer and over-voltage application testing method
JP2005257527A (ja) * 2004-03-12 2005-09-22 Denso Corp 半導体装置
JP2007164922A (ja) * 2005-12-15 2007-06-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コーダ回路
KR100825012B1 (ko) 2006-09-28 2008-04-24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저전력 소모를 위한 컬럼 디코더
KR100873613B1 (ko) * 2006-11-14 2008-12-12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전압 생성 회로 및 방법
US20090006179A1 (en) * 2007-06-26 2009-01-01 Ebay Inc. Economic optimization for product search relevancy
JPWO2012114647A1 (ja) * 2011-02-22 2014-07-0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ワード線起動回路、半導体記憶装置、および半導体集積回路
US11769545B2 (en) * 2021-10-12 2023-09-26 Globalfoundries U.S. Inc. Low-leakage row decoder and memory structure incorporating the low-leakage row decoder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04394A (ja) * 1984-10-22 1986-05-22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記憶装置
JP2972455B2 (ja) * 1992-08-28 1999-11-08 日本電気アイシーマイコンシステム株式会社 半導体記憶装置
JP3015652B2 (ja) * 1994-03-03 2000-03-06 株式会社東芝 半導体メモリ装置
JP3220326B2 (ja) * 1994-04-07 2001-10-2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半導体記憶装置
JP3222684B2 (ja) * 1994-04-20 2001-10-29 株式会社東芝 半導体記憶装置
KR0119887B1 (ko) * 1994-06-08 1997-10-30 김광호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웨이퍼 번-인 테스트 회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936910A (en) 1999-08-10
TW397985B (en) 2000-07-11
DE19832960A1 (de) 1999-02-04
JPH1145598A (ja) 1999-02-16
KR19990014168A (ko) 1999-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1168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불량 셀을 스크린하는 회로, 그스크린 방법 및 그 스크린을 위한 배치 방법
US5905688A (en) Auto power down circuit for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KR970006221B1 (ko) 반도체 기억장치
US5638331A (en) Burn-in test circuit and method i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KR100286913B1 (ko) 번인 테스트 기능을 갖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US5475646A (en) Screening circuitry for a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JP3736714B2 (ja) 半導体メモリのウエハバーンインテスト回路
JP2829135B2 (ja) 半導体記憶装置
EP0622803B1 (en) Address buffer
EP0568015B1 (en)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evice with intermediate voltage generator interrupting power supply in test operation
US5428576A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screening the same
US6631092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capable of imposing large stress on transistor
JP2829134B2 (ja) 半導体記憶装置
US5909402A (en) Circuit for driving/controlling sensing amplifier
US6314035B1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capable of manifesting a short-circuit failure associated with column select line
EP0456255B1 (en) Dynamic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screening the same
KR100361658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이 장치의 전압 레벨 조절방법
KR100438237B1 (ko) 테스트 회로를 갖는 반도체 집적 회로
US5949724A (en) Burn-in stress circuit for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20050001244A1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externally controllable data input and output mode
US20030009713A1 (en) Semiconductor device capable of easily setting test mode during test conducted by applying high voltage
KR100302424B1 (ko) 논리하이브리드메모리용반도체메모리
US4870620A (en)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evice with internal refresh
US6473347B2 (en) Semiconductor device having memory with effective precharging scheme
JP2000353398A (ja) 集積メモリおよびメモリに対する作動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8072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8072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010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101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101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1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1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11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11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10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10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11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22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216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227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218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230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8

Year of fee payment: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108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6

Year of fee payment: 1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106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5

Year of fee payment: 1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105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

EXPY Expiration of term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190124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