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63153B1 - 리튬이온2차전지의전극결합제와활물질슬러리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리튬이온2차전지의전극결합제와활물질슬러리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3153B1
KR100263153B1 KR1019980001886A KR19980001886A KR100263153B1 KR 100263153 B1 KR100263153 B1 KR 100263153B1 KR 1019980001886 A KR1019980001886 A KR 1019980001886A KR 19980001886 A KR19980001886 A KR 19980001886A KR 100263153 B1 KR100263153 B1 KR 1002631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nder
active material
secondary battery
polyvinylidene fluoride
rub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18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66183A (ko
Inventor
김유미
Original Assignee
김순택
삼성에스디아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순택, 삼성에스디아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순택
Priority to KR10199800018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3153B1/ko
Priority to US09/081,835 priority patent/US6294290B1/en
Priority to JP16421898A priority patent/JP4303330B2/ja
Publication of KR199900661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61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31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31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H01M4/621Bin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9Processes of manufac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Abstract

목적 : 본 발명은 접착력이 우수하며 전기의 고용량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리튬이온 2차 전지의 전극 결합제와, 이 결합제가 함유된 활물질 슬러리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구성 :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호모폴리머와,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코폴리머 또는 러버계 고분자 결합제를 포함하는 리튬이온 2차 전지의 전극 결합제. 상기 폴리닐리덴 플루오라이드 호모폴리머와,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코폴리머 또는 러버계 고분자 결합제를 혼합하고, 이 혼합물을 N-메틸피롤리돈에 용해시켜 결합제 용액을 제조한 다음, 이 결합제 용액에 활물질과 도전제를 혼합하여 활물질 슬러리를 제조한다.
효과 : 이에 따라 활물질 슬러리를 기재에 도포시 작업성을 용이토록 하고 전지의 충방전에 따른 사이클 수명을 확장하여 전지의 용량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리튬이온 2차 전지의 전극 결합제와 활물질 슬러리 제조방법{Electrode binder used in lithium lon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ctive material contained it}
본 발명은 리튬이온 2차 전지의 전극 결합제와 활물질 슬러리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리튬 2차 전지는 리튬의 흡장, 방출 반응을 충방선 반응으로 이용하여 재충전이 가능하고 소형 및 대용량화가 용이한 전지로서, 대표적인 것으로는 리튬이온 2차 전지가 사용되고 있다.
리튬 2차 전지는 양극으로 리튬 금속산화물이 사용되고, 음극으로 탄소계를 사용하며, 전해액으로는 에틸렌 카보네이트(EC)와 디메톡시 카보네이트(DMC)의 혼합 용매에 리튬염인 6플루오르화 포스포로스 리튬(LiPF6) 혹은 4플루오르화 보론 리튬(LiBF4)을 혼합하여 사용한다. 이에 따라, 2차 전지의 충전시 양극에서 방출된 리튬이온이 음극의 탄소계 내부로 흡장되고, 2차 전지의 방전시 탄소계 내부에 함유된 리튬이온이 양극의 리튬 금속 산화물로 흡장되어 충방전이 반복된다.
특히, 양·음극에 양·음극 활물질이 도포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즉, 활물질슬러리가 충전된 용기에 양·음극 기재를 통과시킨 후 건조과정을 거치고, 이어서 롤 프레싱(roll pressing)함으로써 일정한 두께의 활물질이 도포된 전극을 얻게 된다.
여기서, 활물질 슬러리는 도전제와 바인더를 페이스트 상으로 혼합한 물질인데,이 중에서 분말상인 활물질과 도전제를 기재에 용이하게 접착할 수 있고 전극 형태로 성형시킬 수 있는 결합제(binder)를 사용한다.
이러한 결합제는 전해액으로사용되는 유기용매와 반응성이 작은 불소계 고분자인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PVDF)가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다른 고분자 물질로는 폴리이미드(PI) 혹은 러버(Rubber) 등의 물질도 사용이 가능하다.
한편, 전지의 성능은 활물질에 의해 가장 큰 영향을 받으나 결합체의 종류에 의한 영향도 무시할 수 없다. 예를 들어, 통상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PVDF중에서 호모폴리머(Homopolymer), 코폴리머(Copolylmer) 등의 사용 여하에 따라서 전지의 수명 특성이나 전지의 고용량, 저온 특성에 차이가 발생하며, 전극 제조 공정의 난이도도 다르게 나타난다.
즉, 호모폴리머만을 사용할 경우에는 접착력은 좋으나 활물질 슬러리의 흐름성이 나쁘므로 양·음극 기재에 활물질을 도포하는 과정에서 활물질의 두께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균질도가 나쁘게 된다.
코폴리머만을 사용하게 되면, 활물질의 도포 공정상 유리하며, 전해액 함액률이 높아 전지의 고용량 특성도 우수하나 전해액 함액률이 높으므로 리튬이온 2차전지의 충방전시 부피 팽창이 커서 활물질이 기재에서 탈락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전지의 사이클 수명에 나쁜 영향을 미친다.
이와 같이 활물질에 함유된 종래의 각각의 결합제는 장점과 단점을 동시에 가지고 있다. 즉, 호모폴리머는 활물질을 기재에 접착시킬 수 있는 접착력은 우수하나 흐름성이 나쁘고, 코폴리머는 전지의 고용량 특성이 우수하나 부피 팽창에 따른 활물질 탈락에 대한 위험성이 내재하고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각 결합제에서 나타나는 단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접착력이 우수하며 전지의 고용량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결합제를 제공하는 것이 다른 목적이다.
또한, 상기 결합제가 함유되는 활물질 슬러리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다른 목적이다.
이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리튬이온 2차 전지의 전극 결합제는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호모폴리머와, 유기용매에 대한 스웰링(swelling) 특성, 용해도, 점도 또는 열물성 등과 같은 물리적 특성이 서로 다른 적어도 2종 이상의 물질을 포함한다.
상기 물리적 특성이 다른 물질로서는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와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의 공중합체인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코폴리머나 스틸렌 부타디엔 러버 또는 에틸렌프로필렌디엔모노머(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와 같은 러버계 고분자 결합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호모폴리머와 코폴리머의 혼합 중량비율은 50 대 50 내지 95 대 5 정도이다. 또한 상기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호모폴리머와 러버계 고분자 결합제의 혼합 중량비율은 20 대 80 내지 80 대 20 정도이다.
또한 활물질 슬러리를 제조하는 방법은,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호모폴리머와,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코폴리머 또는 러버계 고분자 결합제를 혼합하고, 이 혼합물을 N-메틸피롤리돈에 용해시켜 결합제 용액을 제조한 다음, 이 결합제 용액에 활물질과 도전제를 혼합하여 활물질 슬러리를 제조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결합제를 사용함으로써, 활물질 슬리리의 유체 특성이 개선되어 전극의 품질이 향상되고, 전지의 고용량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고자 한다.
리튬이온 2차 전지의 제조법은, 양·음극 기재 각각에 페이스트(paste)상으로 된 리튬 금속산화물 및 탄소계 활물질을 일정두께로 도포한 후 건조시키고 롤 프레스(Roll Pressing)하면, 소정의 두께를 갖는 양·음극이 형성된다. 이 양·음극을 원하는 크기로 절단한 다음 양·음극 사이에 세퍼레이터를 삽입한 후 권취(捲取)하여 전극 롤을 형성하고, 이를 소정의 캔에 넣는다. 그런 다음 캔의 내부에 전해액을 주입하고 절연가스킷이 구비된 캡어셈블리로 캔의 개구부를 밀봉하여 제작한다. 여기서 전해액으로는 종래와 동일하게 에틸렌 카보네이트(EC)와 디메톡시 카보네이트(DMC)의 혼합 용매에 리튬염인 6플루오르화 포스포로스 리튬(LiPF6) 혹은 4플루오르화 보론 리튬(LiBF4)을 혼합하여 사용한다.
한편, 양·음극 기재에 도포된 활물질은, 호퍼(hopper)의 내부에 페이스트상으로 형성된 활물질 슬러리틀 일정 수위로 충만시기고, 이어서 시트(sheet)상으로 제조된 양·음극 기재를 호퍼의 상부에 위치한 구동로울러로 테이크업시켜 호퍼를 관통시기는 데, 이 때 활물질 슬러리는 호퍼의 내부에 설치된 충전로울러에 의해 가압되어서 기재쪽으로 흐름에 따라 기재의 표면으로 활물질 슬리리가 개재된다. 다음으로 기재 표면에 개재된 활물질 슬러리는 구동로울러와 호퍼 사이에 설치되는 두께조절장치에 의해 규정치의 두께로 긁혀지고, 이후 고온의 로(爐)를 거쳐 건조되면 일정 두께의 활물질이 도포된 전극이 형성된다. 이러한 전극 기재를 롤프레스로 압연하게 되면 활물질이 치밀화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활물질이 양·음극 기재의 표면에서 접착력을 유지하면서도 전지의 고용량 특성을 지닐 수 있도록 본 발명에 따른 결합제를 첨가한다.
즉, 에틸렌 카보네이트(EC)와 디메톡시 카보네이트(DMC)의 혼합 용매에 리튬염인 66플루오르화 포스포로스 리튬(LiPF6) 혹은 4플루오르화 보론 리튬(LiPF4)을 혼합한 유기 용매와의 반응성이 작은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폴리머를 사용하는데, 이 폴리머 중에서 호모폴리머는 양·음극 기재에 도포된 활물질의 결착력을 증진시키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점도가 높아 활물질 슬러리의 흐름성을 저하시켜 각 기재에서 일정한 두께로 활물질이 도포돼야 하는 균질도에 있어서 취약한 단점이 있다.
따라서, 호모폴리머의 취약한 흐름성을 보상하고자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와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의 코폴리머를 혼합한다. 이 코폴리머의 장점은 점도가 호모폴리머에 대해 상대적으로 낮고, 전해액 함액률이 높아 전지의 고용량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반면, 전지의 충방전시 부피 팽창이 커서 활물질의 탈락의 주원인으로 작용하나 이는 호모폴리머와 함께 적절한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되므로 호모폴리머의 장점인 점도의 상대적 우위성에 의해 어느 정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점을 감안할 때, 중요한 점은 상기 각각의 장점을 지닌 호모폴리머와 코폴리머의 혼합 비율인 데,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혼합 비율은 호모폴리머와 코폴리머의 비율을 50:50 내지 95:5 정도의 중량비로 유지하여 혼합하는 것이다.
이와같은 혼합물질을 N-메틸 피롤리돈(N-Methyl Pyrrolidone)의 솔벤트로 용해시켜 결합제 용액을 형성한 다음, 활물질과 도전제를 혼합하여 리튬이온 2차 전지의 활물질 슬러리를 제조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써, 러버계 고분자 결합제와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호모포리머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데, 러버게 고분자 결합제는 예를 들어 스틸렌 부타디엔 러버 또는 에틸렌프로필렌디엔모노머(EPDM)와 같은 불소가 함유되지 않은 러버 결합제를 사용하여 리튬 금속이나 리튬이온과 반응하여 사용하여 리튬 금속이나 리튬이온과 반응하여 LiF가 석출됨으로써 야기 될 수 있는 전지의 용량 감소 및 폭발 위험성을 방지한다. 이러한 러버계 고분자 결합제는 용액이나 고형분으로 존재하며, 전해액 함액률이 높아 전지의 고용량 특성을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러버계 결합제와 혼합되는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활물질과 기재 사이의 결착력을 증대시킬 수 있으므로 이들 두 물질을 혼합한 결합제는 기재에 활물질 슬러리를 도포할 때 균일한 두께로 도포가 가능하고, 리튬 이온 2차 전지의 사이클 수명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혼합물질에서 러버계 결합제와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계 결합제를 어떤 비율로 혼합하는 냐가 관건인 바, 본 발명의 혼합 비율은 러버계 결합제와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계 결합제의 비율을 20:80 내지 80:20 정도의 중량비로 유지하여 혼합하는 것이다.
특히, 상기 다른 실시예로써 제안된 결합제가 함유된 리튬이온 2차 전지의 활물질 슬러리 제조방법은, 러버계 고분자 결합제 용액 혹은 고형분을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계 고분자가 함유된 NMP 용액을 혼합하여 결합제 용액을 만든 다음; 이 결합제 용액에 활물질과 도전제를 혼합하여 제조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실시예들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실질적으로 해소하고 있다.
즉,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호모폴리머와,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코폴리머 또는 러버계 고분자 결합제를 일정비율로 혼합한 결합제를 사용함으로써 도포시 작업성을 용이토록 하고 전지의 충방전에 따른 사이클 수명을 확정하여 전지의 용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7)

  1.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호모폴리머와,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코폴리머 또는 러버계 고분자 결합제를 포함하는 리튬이온 2차 전지의 전극 결합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코플리머가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와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의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 2차 전지의 전극 결합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호모폴리머와 코폴리머의 혼합 비율이 50 대 50 내지 95 대 5 정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 2차 전지의 전극 결합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러버계 고분자 결합제는 스틸렌 부타니엔 러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 2차 전지의 전극 결합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러버계 고분자 결합제는 에틸렌프로필렌디엔모노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 2차 전지의 전극 결합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호모폴리머와 러버계 고분자 결합제의 혼합 중량비율은 20 대 80 내지 80 대 20 정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 2차 전지의 전극 결합제
  7.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호모폴리머와,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코폴리머 또는 러버계 고분자 결합제를 혼합하고, 이 혼합물을 N-메틸피롤리돈에 용해시켜 결합제 용액을 제조한 다음, 이 결합제 용액에 활물질과 도전제를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 2차 전지의 활물질 슬러리 제조방법.
KR1019980001886A 1998-01-22 1998-01-22 리튬이온2차전지의전극결합제와활물질슬러리제조방법 KR1002631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1886A KR100263153B1 (ko) 1998-01-22 1998-01-22 리튬이온2차전지의전극결합제와활물질슬러리제조방법
US09/081,835 US6294290B1 (en) 1998-01-22 1998-05-19 Electrode binder for a lithium-ion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ctive material slurry using the same
JP16421898A JP4303330B2 (ja) 1998-01-22 1998-05-28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の電極結合剤及びその活物質スラリーの製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1886A KR100263153B1 (ko) 1998-01-22 1998-01-22 리튬이온2차전지의전극결합제와활물질슬러리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6183A KR19990066183A (ko) 1999-08-16
KR100263153B1 true KR100263153B1 (ko) 2000-08-01

Family

ID=19531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1886A KR100263153B1 (ko) 1998-01-22 1998-01-22 리튬이온2차전지의전극결합제와활물질슬러리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294290B1 (ko)
JP (1) JP4303330B2 (ko)
KR (1) KR1002631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6276B1 (ko) * 1998-09-29 2005-09-0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의 전극 바인더와 이를 이용한 활물질 슬러리의 제조방법
KR100377320B1 (ko) * 2000-04-11 2003-03-26 주식회사 엘지화학 속도와 온도 특성이 우수한 리튬 이온 폴리머 전지 및그의 제조 방법
US7381496B2 (en) 2004-05-21 2008-06-03 Tiax Llc Lithium metal oxide materials and methods of synthesis and use
US20070207364A1 (en) * 2006-03-03 2007-09-06 Abd Elhamid Mahmoud H Fuel cells comprising moldable gaskets, and methods of making
JP5202824B2 (ja) * 2006-07-14 2013-06-05 Necエナジーデバイス株式会社 非水電解質二次電池
JP5879673B2 (ja) * 2009-09-03 2016-03-08 ソニー株式会社 非水電解質二次電池用負極の製造方法
JP5557793B2 (ja) * 2011-04-27 2014-07-2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非水電解質二次電池
US20150280239A1 (en) 2014-04-01 2015-10-01 Ppg Industries Ohio, Inc. Aqueous binder composition for lithium ion electrical storage devices
US9385374B2 (en) 2014-04-01 2016-07-05 Ppg Industries Ohio, Inc. Electrode binder composition for lithium ion electrical storage devices
JP6885864B2 (ja) 2014-04-18 2021-06-16 マックスウェル テクノロジ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エネルギー貯蔵装置の乾式電極とその製造方法
JP6523443B2 (ja) 2014-10-02 2019-05-29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ゴム系バインダーを含む正極活物質スラリー及びこれから製造された正極
KR101764470B1 (ko) 2014-10-02 2017-08-02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종의 바인더를 포함하는 양극 활물질 슬러리 및 이로부터 제조된 양극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39922B2 (ja) * 1978-08-24 1983-09-02 呉羽化学工業株式会社 ポリ弗化ビニリデン系樹脂フイラメント
US5238739A (en) * 1987-03-06 1993-08-24 Kureha Kagaku Kogyo K.K. Abrasive filaments and production process thereof
JP2966261B2 (ja) * 1993-11-02 1999-10-25 三菱電線工業株式会社 リチウム電池用正極材及びその製造方法
EP0662728B1 (en) * 1993-12-29 1998-04-29 TDK Corporation Lithium secondary cell
AU3754195A (en) * 1994-10-27 1996-05-23 Fuji Photo Film Co., Ltd. Nonaqueous secondary cell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JP3500245B2 (ja) * 1995-08-01 2004-02-23 株式会社リコー ゲル状固体電解質二次電池
US5756230A (en) * 1996-06-20 1998-05-26 Valence Technology, Inc. Fluoropolymer blends for polymeric electrolyte and electrodes
GB2327293A (en) * 1997-06-23 1999-01-20 Solvay Novel lithium batteri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303330B2 (ja) 2009-07-29
JPH11214012A (ja) 1999-08-06
KR19990066183A (ko) 1999-08-16
US6294290B1 (en) 2001-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7613B1 (ko) 리튬 전지용 음극 조성물과 이를 채용한 음극 및 리튬 전지
KR100738057B1 (ko) 음극 전극 및 이를 채용한 리튬 전지
JP2971451B1 (ja) リチウム二次電池
CN107078344A (zh) 锂硫电池及其制造方法
DE112012005743B4 (de) Nichtwässrige Elektrolytsekundärbatterie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derselben
KR20090109649A (ko) 폴리아크릴로니트릴-아크릴산 공중합체 및 바인더를 포함한음극 재료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그 음극 재료 조성물을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CN108780892B (zh) 非水系二次电池电极用粘结剂组合物、非水系二次电池电极用浆料组合物、非水系二次电池用电极及非水系二次电池
KR100263153B1 (ko) 리튬이온2차전지의전극결합제와활물질슬러리제조방법
KR100307453B1 (ko) 리튬이온 2차 전지의 음극
KR20070073619A (ko) 안전성이 향상된 전기화학소자
KR20190007398A (ko)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EP3396748A1 (en) Binder composition for non-aqueous secondary battery electrode, slurry composition for non-aqueous secondary battery electrode, electrode for non-aqueous secondary battery, and non-aqueous secondary battery
CN101536217B (zh) 非水电解质二次电池用电极及使用该电极的非水电解质二次电池
KR102320325B1 (ko) 리튬-황 전지
CN113692666B (zh) 锂硫二次电池
KR20090063174A (ko) 이차 전지
JP3981866B2 (ja) リチウム電池用正極の製造方法およびリチウム電池用正極
JP2001052757A (ja) 電池の調整方法
KR102229446B1 (ko) 리튬-황 전지용 분리막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황 전지
KR20030026815A (ko) 전극재료, 그 제조 방법,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JP2000195518A (ja) 非水電解液二次電池
US20230378424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negative electrode
JP2001052758A (ja) イオン伝導性ガラス質層を有する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858418B1 (ko) 이차전지용 겔형 고체 전해질
JPH08306353A (ja) 非水電解液二次電池およびその製造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8012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8012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912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004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05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005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4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4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4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5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4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4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42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42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51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427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2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422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3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423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1

Year of fee payment: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421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9

Year of fee payment: 1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419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1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424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

EXPY Expiration of term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180722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