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40178B1 - 스폿번 예방 및 잔광 제거용 설비를 구비하는 텔레비젼 수신기 - Google Patents

스폿번 예방 및 잔광 제거용 설비를 구비하는 텔레비젼 수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0178B1
KR100240178B1 KR1019920011743A KR920011743A KR100240178B1 KR 100240178 B1 KR100240178 B1 KR 100240178B1 KR 1019920011743 A KR1019920011743 A KR 1019920011743A KR 920011743 A KR920011743 A KR 920011743A KR 100240178 B1 KR100240178 B1 KR 1002401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kinescope
amplifier
controller
tur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17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3710A (ko
Inventor
헤이데브록 울프강
우 제이스
Original Assignee
데니스 에이치. 어얼벡
톰슨 콘슈머 일렉트로닉스 소시에떼아노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니스 에이치. 어얼벡, 톰슨 콘슈머 일렉트로닉스 소시에떼아노님 filed Critical 데니스 에이치. 어얼벡
Publication of KR9300037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37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01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0178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3/0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 H04N3/1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 H04N3/16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by deflecting electron beam in cathode-ray tube, e.g. scanning corrections
    • H04N3/20Prevention of damage to cathode-ray tubes in the event of failure of scan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3Generation or supply of power specially adapted for television receiv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03Details of control, feedback or regulation circuits
    • H02M1/0032Control circuits allowing low power mode operation, e.g. in standby mod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10Technologies improving the efficiency by using switched-mode power supplies [SMPS], i.e. efficient power electronics conversion e.g. power factor correction or reduction of losses in power supplies or efficient standby m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canning (AREA)
  • Television Receiver Circuits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Abstract

텔레비젼 수신기는 고전압 전원(B+), 편향 회로(86), 캐소우드 구동증폭기(84)및 수신기의 동작 모드를 제어하는 제어 회로(82)를 가진 키네스코우프를 구비한다. 제1수단(TR17)은 제어 회로(82)로부터 고전압 전원(B+)을 디스에이블하고, 제어 비율로 편향 회로(82)의 턴 오프를 개시하는 턴-오프 명령 신호(STBY)에 응답하는 동시에, 제2수단(DR10, DR11)은 상기 턴-오프 명령 신호(STBY)에 응답하여 상기 키네스코우프의 최소한 하나의 전자총에 대해 턴온하는 구동 신호를 인가하므로써 상기 키케스코우프로부터 고전압을 방전한다. 고전압을 턴-오프하는 동안 디스플레이되는 레스터 붕괴로서 상기 키네스코우프로부터 드레인 되므로서 완전히 방전되는 키네스쿠오프를 갖는 안전 특징과, 키네스코우프 스풋번의 예방 및 키네스코우프 잔광의 방지와 같은 이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스폿번 예방 및 잔광 제거용 설비를 구비하는 텔레비젼 수신기
제1도 및 제2도는 본 발명을 나타내는 텔레비젼 수신기의 개략적인 부분 블록도.
제3도는 시동, 예비, 실행 및 실행/예비 전이 기간 동안 수신기내에 전원 제어기의 전환된 모드에 대해 VCC 전원 레벨을 나타내는 타이밍도.
제4도는 수신기내에 플라이백(fly-back)변압기의 1차 권선상에 B+ 전압 레벨을 나타내는 제3도에 대응하는 타이밍도.
제5도는 VI 위치에서 전력 변압기의 1차 권선내에 전류의 펄스 포락선을 나타내는 타이밍도.
제6도는 실행 모드 및 실행/예비 전이 기간 동안 수평 스캐닝 신호(VH)의 펄스 포락선을 나타내는 타이밍도.
제7도는 논리 신호 STBY(또는 NOT-RUN) 및 XRP를 나타내는 타이밍도.
제8a도 및 제8b도는 제1도 및 제2도의 수신기내에서 기네스코우크 구동 회로를 상세히 예시하는 블록 회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제어기 34 : 에러 증폭기
36, 38 : 변조기 42 : 오실레이터
52 : 논리 프로세서 56, 58 : 전류 제한 비교기
82 : 마이크로 프로세서 83 : 키보드
84 : 키네스코우프 구동기 86 : 수평 오실레이터
88 : 수평 출력 구동기 92 : 펄스폭 변조기
806 : 비디오 처리장치 808, 810, 812 : 키네스코우프 구동 증폭기
812 : 캐소우드 구동 증폭기 824 : OSD 구동 증폭기
본 발명은 텔레비젼 수신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정상 "실행(run)" 동작 모드에서 "예비(stand-by)" 또는 "오프(off)" 동작 모드로 전이하는 동안 특정한 시각적 아티팩트(artifact)(즉, 스폿번(spot burn) 또는 전광(after-glow))의 발생을 예방하는 설비를 구비한 텔레비젼 수신기에 관한 것이다.
텔레비젼 수신기의 정상 동작 동안 전자 비임(electron beam)의 에너지는 TV 화상관 스크린의 비교적 큰 영역 양단에 걸쳐 분산된다. 상기 수신기가 예비 동작모드로 턴오프 되거나 스위치될 때 그 수평 및 수직 편향 권선내의 스캐닝(scanning)전류는 전위를 공급하기 전에 상기 화상관의 여러 전극이 충분히 감쇠하는 동안 소멸될 수 있으며, 상기 전자 비임의 발생 및 가속과, 비임 에너지의 집속은 키네스코우프 형광체에 손상을 주거나 또는 잔광과 같은 바람직하지 않은 시각적 아티팩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실행 및 예비 동작 모드를 가지며, 실행 또는 정상 모드 동작 모드에서 예비 모드 (일부 수신기 회로는 에너지가 공급됨)로 전이하는 동안 키네스코우프 스폿번 방지 설비를 포함하는 텔레비젼 수신기의 예는 peter E. Haferl 에 의해 "텔레비젼 수신기용 전자 비임 제거 회로"라는 명칭으로 1984년 12월 11일자 특허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4, 488, 181호에 공지되어 있다.
상기 Haferl 수신기의 실시예에서, 편향 제너레이터(generator)는 키네스코우프(kinescope)의형광 스크린 양단에 전자 비임의 스위프(sweep)를 구성하기 위해 스캐닝 전류를 발생시키는 편향 권선에 접속되어 있다. 원격 제어 회로 정상 실행 및 예비 동작 모드간에 텔레비젼 수신기를 스위칭하는 온/오프 명령 신호를 발생시킨다. 제1스위치는 상기 명령 신호에 응답하여 전자 비임의 정상적인 스위프를 제한하기 위해 오프 상태의 명령 신호의 발생에 따라 스캐닝 전류의 발생을 디스에이블한다. 또한 제2스위치는 상기 명령 신호에 응답하여 이들 신호를 화상관의 그리드 전극(grid electrode)에 인가하고, 스캐닝 전류 발생의 억제에 앞서 전자 비임의 발생을 제거하도록 오프 상태의 명령 신호의 발생에 따라 전위를 차단한다.
상기 키네스코우프에 대해 그리드 차단 바이어스를 인가하는 상기 Haferl 기법은 상기 수신기를 온(on)에서 오프(off)로 스위칭할 때 키네스코우프 스폿번을 예방하는데 우수하고 효율적인 방법이다. 상기 Haferl 수신기의 또다른 특징은 소위 "핫 스타트(hot start)"라고 불리우는 수신기 동작 조건하에서 잔광(after-glow)의 영향을 제거하는 설비를 갖는데 있다. 특히, 상기 Haferl 수신기는 스크린그리드 전압의 지연된 조립(build-up)용 설비를 포함한다. 이러한 지연에 의해서 캐소우드 전극이 핫(hot)상태를 유지하고, 울터 전압이 유지하는 동안 상기 텔레비젼 수신기가 턴온될지라도 비임 스폿을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수신기가 예비 및 정상 실행 동작 모드(즉, "핫 스타트(hot-start)"조건)간에 빠르게 순환될 때 상기 비임 스폿의 제거는 실행될 수 있다.
실행 및 예비 모드간에 스위칭 될 때 스폿번 및 잔광의 영향을 제거하는 설비를 가지며, 상기 예비 모드 동안 키네스코우프 울터 회로에 위험 고전압이 존재하지 않음으로써 추가로 안전한 특징을 제공하는 수신기의 필요성을 인식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이들 필요성에 부합하여 시도되었다.
본 발명은 나타내는 텔레비젼 수신기는 키네스코우프, 상기 키네스코우프용 고전원 전압, 키네스코우프 구동 증폭기, 편향 회로 및 제어 회로를 포함한다. 제1수단은 상기 제어 회로에서 턴-오프 명령 신호에 응답하여, 고전압 전원을 디스에이블(disable)하고, 소정 제어 비율로 상기 편향 회로의 턴-오프를 개시한다. 제2수단은 상기 턴-오프 명령 신호에 응답하여, 그 신호로부터 고전압을 방전하는 키네스코우프의 최소한 하나의 전자총에 턴온 구동 신호를 인가한다.
상기 고전압은 디스플레이되는 래스터를 천천히 감쇠시키므로 상기 키네스코우프로부터 드레인되어, 완전히 방전된 키네스코우프를 갖는 안전한 특징과, 키네스코우프 스폿번의 예방 및 키네스코우프 잔광의 보호의 이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술한 특징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같은 부품은 같은 참조부호로서 예시되어 있다.
도면의 간소화를 위해 제1도는 전원 변압기(LP36)의 1차 권선측과 관련된 수신기의 부분을 도시하고, 제2도는 상기 변압기의 2차 권선측과 관련된 수신기의 부분을 도시한다. 또한 제8a도 및 제8b도는 제1도 및 제2도의 수신기의 비디오 처리 과정을 상세히 예시하고 있다.
제1도에서 AC 메인(22)로부터 텔레비젼 수신기에 대한 전력은 북아메리카 또는 유럽 레벨에서 동작하는 동안 90 내지 250VAC 사이에 있으며, 브리지(24)에 의해 전파 정류되며, 비조절된 입력 전압(VIN)을 제공하도록 전류 제한 저항(RP03) 및 커패시터(CP06)로 여과되고, 전력 변압기(LP36)의 1차 권선(W1)에 접속된다. 1차 권선(W1)의 다른 단자는 제어기에 대해 각각의 결합된 번호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SGS-톰슨 마이크로 일렉트로닉스사의 모델 TEA2260과 같은 전환된 모드 전원 제어기(20)의 출력에 의해 구동되는 전력 트랜지스터(TP29)의 컬렉터에 접속된다.
제어기(20)는 2개의 연산 모드를 갖는다. 슬레이브 모드에서 제어기(20)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라이백 변압기(FBT)의 2차 권선으로부터 귀환되어 변조된 펄스폭에 응답하여, 상기 펄스의 폭은 비조절된 입력 전압(VIN)으로부터 변압기(LP36)의 조절된 B+ 출력으로 에너지의 결합을 제어한다. 상기 B+출력은 플라이백 변압기(FBT)의 1차 권선에 접속되어 수평 스캐닝을 유도하고, 텔레비젼 수신기 동작의 실행 모드에서만 동작하는 여러 가지 부하에 전력을 결합시킨다. 제어기(20)의 제2동작 모드에서 즉 변조된 펄스폭이 전원의 제2측에서 조절하여 인가되면 제어기(20)는 전원 변압기(LP36)의 2차 권선(W3)으로부터 유도된 에러 입력에 따라 조절하도록 반전한다. 에러 입력을 통한 조절은 제2측의 귀환으로부터 펄스의 부재시에만 동작한다. 펄스가 존재할 때 에러 입력은 무시한다. 상기 제어기의 조절된 출력 레벨은 제2에러 입력 모드에서 보다 동작의 슬레이브 모드에서 더 높게 구성된다.
텔레비젼 수신기는 예비 모드(standby mode)에서 동작을 개시하여, 제2도에 도시된 마이크로프로세서(82)의 제어에 따라 실행 모드(run mode)로 전환한다. 제1도에 도시된 전원 제어기(20)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82)는 실행 모드에서 뿐만 아니라 예비 모드 동안 전력이 공급된다.
먼저 AC 메인(22)에 접속되면 제어기(20)의 VCC 핀으로의 전력은 브리지 정류기(24)로부터 비조절된 VIN 전압으로 접속된 전류원을 시동함으로써 제공된다. 제어기(20)의 VCC 핀(16)에 접속되는 커패시터(CP28)는 전류 제항 저항기(RP06)와 순방향 바이어스된 다이오드(DP07)를 통해 충전된다. 제어기(20)가 동작하면 그 출력 펄스는 변압기(LP36)의 1차 권선으로부터 2차권선(W3)을 통해 전력 트랜지스터(TP29)를 경유하여 전력을 접속시킨다. 2차 권선(W3)상의 신호는 다이오드(DP28)로 정류되며, 커패시터(CP17)로 여과되어 순방향 바이어스된 다이어드(DP08)를 통해 제어기(20)의 VCC 입력에 접속된다. 제어기는 커패시터(CP28)에 인가된 충전으로부터 초기에 시작한 이후 전력을 공급한다.
제3도 내지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동 시퀀스 기간동안 VCC 전압은 제어기(20)가 동작하여 펄스를 출력 처리할때까지 커패시터(CP28)의 충전으로 경사진다. 제어기(20)는 과전압 또는 과전류 상태가 존재하도록 다수의 내부 제한 회로를 갖는데, 상기 제한 회로는 초기에 발생하여, 전원이 전력에 이르므로서 그 출력을 안전한 레벨로 자체 턴오프 및/또는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스프트 스타트(soft start)회로(40)는 연속 펄스의 진폭이 증가하는 비율을 구성하도록 커패시터(CP08)에 접속되며, 최소 및 최대 VCC 전압 제한치는 VCC 모니터 회로(48, 50)로 한정된다. 반복 과부하는 비교기(54)로 감지되어 외부 커패시터(CP07)와 내부 전압 및 전류 기준에 접속된다. 전력 변압기(LP36)내의 최대 출력 전류는 전류 제한 비교기(56, 58)로 제한되고, 저항(RP18)을 통해 전력 변압기(TP29)의 에미터와 직렬인 전류 감지 저항(RP32)에 접속된다. 전류 감지 입력 신호는 커패시터(CP18)로 여과된다. 자기 소거 비교기(46)는 영 교차(zero crossing)를 감지하기 위해 권선(W3)에 직접 접속된다. 통상적으로 이들 보호 회로는 VCC가 최소로 변화할 때까지 펄스의 개시를 지연시키며, VCC 이상의 기준 레벨을 가져오는 하나이상의 제한 부과 흐름 펄스가 제어기(20)의 에러 증폭기(34)로의 입력에 의해 제한된다.
반전 입력 또는 에러 증폭기(34)의 기준 레벨은 제너다이오드(DP14)에 의해 제공되는데, 상기 제너 다이오드는 저항(RP16)을 통해 접지로 그 양극을 접속시키며, 저항(RP15)을 통해 에러 증폭기 입력에 접속된다. 제너 다이오드(DP14)는 다이오드(DP28 및 DP08)를 통한 권선(W3)의 전압이 8.2 볼트로 떨어지고, 에러 입력으로 약 2.25 볼트가 인가될 때 2.49볼트의 내부 기준과 비교하여 에러 증폭기(34)의 비반전 입력에 접속된다. 저항(RP17)은 상기 에러 증폭기의 이득을 설정하기 위해 상기 에러 증폭기(34)의 출력과 반전 입력 사이에 접속된다.
상기 제어기의 출력을 에러 증폭기 출력이 고한계치를 나타내는 충분히 높은 레벨로 VCC가 구동될 때, 제어기(20)는 버스트 모드(burst mode)로 진행하고, 100%보다는 기준 레벨의 90%의 트랙으로 그 동작을 수정한다. 펄스 방출을 중지시키고, VCC 전압은 기억 커패시터(CP28, CP17)에 즉, 드레인이 전압을 90% 한계치에 이를때까지 떨어지도록 축적되게 한다. 제어기(20)는 원래 한계치를 회복하고, 펄스 트레인 출력이 100% 기준 레벨등으로 귀환하여 출력을 가져온다. VCC의 조절된 출력 전압은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간 t1 및 t2 사이에 2개의 한계치간에 히스테리시스로 일련의 상승 및 하강 경사 전압을 구성한다.
에러 증폭기(34)의 출력은 QSWRL(36, 38)에 접속되며, 상기 변조기(36, 38)는 소프트 스타트 회로(soft start circuit)(40)의 소프트 스타트 램프(ramp) 및 오실레이터(42)의 램프 출력(ramp output)에 접속된다. 상기 변조기 출력은 변조 논리 및 자동 버스트 발생기(automatic burst generator)(44)에 접속되며, 상기 자동 버스트 발생기는 오실레이터(42)의 펄스 출력에 접속된다. 램프 경사 및 펄스폭은 외부 저항(RP09) 및 커패시터(CP09)를 통해 설정된다. IS 논리단(32)은 제어기(20)의 출력을 통해 저항(RP41)과 2차측 펄스폭 변조기로 부터의 입력에 우선적으로 접속된다. 그러나, 저항(RP41)을 통해 펄스가 수신되지 않으면 변조기 논리 회로(44)의 출력은 제어기의 출력을 통해 접속된다. IS 논리 블록(32)에서 조절 펄스는 논리 프로세서(52)에 접속되는데, 양 및 음의 출력 구동기(62, 64)를 통해 출력 트랜지스터(66, 68)로의 상기 논리 프로세서(52)는 제어기(20)의 핀(14)의 출력으로부터 전류 또는 드레인 전류를 공급한다.
트랜지스터(TP01)는 전류 제한 저항(RP06)과 시동 전류 회로의 접지 사이에 접속된다. 커패시터(CP28)는 AC 메인으로부터 저항(RP06)과 다이오드(DP07)를 통해 충전되어진 이후 제어기(20)는 전력 변압기(LP36)의 2차 권선(W3)으로부터 귀환을 통해 VCC를 조절하기 시작하며, 트랜지스터(TP01)의 베이스와 일련의 저항(RP14) 및 편향 저항(RP13)에서의 전압은 커패시터(CP17)의 충전으로 상승하여 트랜지스터(TP01)를 턴온시킨다. 저항(RP06)에서 충전 전류는 접지로 방전하고, 저항(RP21)을 통한 전류는 저장 커패시터(CP28)와 평행하게 덤프부하에서 동작하며 또는 접지로 방전한다. 전압(VCC)양단의 저항(RP21)의 덤프부하를 사용함으로써 서로 상이한 TEA 2260 제어기 사이의 전류 부하내의 변화는 최소화 될 수 있으며, 제어기 전류 부하 비율과 상이한 AC 메인 레벨에 대한 비교적 일정한 지연 시간을 갖는 회로 설계를 제공한다.
제어기(20)의 출력은 일련의 다이오드(DP24, DP26, DP27)와 평행인 커패시터(CP24)를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통해 전력 트랜지스터(TP29)의 베이스에 접속된다. 제어기(20)의 펄스된 출력의 양의 위상에서, 다이오드(DP24, DP26, DP27)는 순방향으로 바이어스 되어, 충전 커패시터(CP24)에 대해 약 2.1볼트의 전압 강하가 일어나 다이오드를 제한한다. 제어기(20)의 출력의 음의 위상에서, 커패시터(CP24)에 충전된 전하는 TP29의 전도를 예리하게 정지시키기 위해 전력 트랜지스터(TP29)내의 베이스/에미터 전하의 스위프 아웃을 촉진시킨다. 저항(RP28) 및 인덕터(LP28)는 트랜지스터(TP29)의 베이트를 예리하게 하는 펄스를 제공하며, 저항(RP29)는 바이어싱을 제공한다. 트랜지스터(TP29)의 컬렉터상의 댐핑 네트워크 및 클램핑 구조는 다이오드(DP29) 및 저항(RP31)으로 한정되며, 커패시터(CP29, CP31)는 다이오드(DP29) 및 저항(RP31)과 각각 평행하게 접속된다.
제어기(20)에 VCC를 제공하는 전력 변압기(LP36)의 2차 권선(W3)을 추가하여, 2차 권선측(W2, W4, W5)에는 다른 조절된 출력 전압이 제공된다. 2차 권선(W2)의 신호는 다이오드(DP50)에 의해 정류되어, 커패시터(CP51)에 의해 여과되고, 플라이백 변압기(FBT)를 구동하는 +118V의 조절된 B+ 출력을 제공한다. +19V의 전원이 권선(W4)에 제공되어, 다이오드(DP63)에 의해 정류되고, 커패시터(CP64)에 의해 여과된다. 권선(W5)에는 유사한 방법으로 다이오드(DP92) 및 커패시터(CP86)를 통해 +24V가 제공된다.
전력 변압기(LP36)의 2차측 모든 권선의 출력 전압은 권선(W3)으로부터 에러 증폭기(34)로의 귀환 통로를 통해 제어기(20)에 의해 VCC의 조절과 함께 조절된다. 그러나, 2차측의 부하는 변화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플라이백 변압기로의 수평 펄스가 존재하지 않으면 B+ 전압은 부하가 걸리지 않으며 일정한 값을 유지하는 반면 VCC는 제어기(20)의 버스트 모드 동작에 의해 변화한다. +19볼트 전압은 조절기(26)에 의해 +5볼트로 추가로 조절되며, 제어기(20)의 버스트 모드내에 VCC 의 상승 및 하강에도 불구하고 마이크로프로세서(82)로 안정한 전원 전압을 제공한다.
제2도에서 전력 변압기(LP36)의 2차측에서 제1도로부터 연속적이며,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하여 전력 변압기의 상술한 권선을 포함하고, 권선(W2)으로부터 조절된 B+ 전압은 플라이백 변압기(FBT)의 1차 권선에 접속된다. 제어기(20)는 실행모드 및 예비 모드에서 동작하며, B+ 전압은 항상 발생된다. 변압기(FBT)의 1차 권선을 통한 전류는 수평 출력 트랜지스터(TL19)에 의해 제어되는데, 상기수평 출력 트랜지스터는 수평 오실레이터(86) 및 수평 출력 구동기(88)로부터 단지 실행 모드에서만 펄스를 얻을 수 있다. 클램핑(clamping)다이오드(DC), 리트레이트(retrace) 커패시터(CR)수평 편향 권선(YH) 및 S형 커패시터(CS)는 수평 편향을 제어하기 위해 변압기(FBT)의 1차 권선 및 수평 출력 트랜지스터(TL59)에 접속되어 있다.
변압기(FBT)2차 권선은 실행 모드 부하로 접속되며, 수평 스캐닝시에 에너지를 공급한다. 상기 실행 모드 부하는 스크린 양극(일반적으로 CSC 로서 도시됨)을 포함하며, 울터 전원전압(U)에 접속되고; 키네스코우프 구동기(84)는 다이오드(DL11) 및 필터 캐패시터(DL11)를 통해 +180볼트의 전원에 접속되며; 펄스폭 변조기(92)를 포함하는 추가의 부하는 다이오드(DL13) 및 필터 커패시터(CL14)를 통해 +13볼트의 전원에 접속된다.
키네스코우프 구동기에 대한 2차 권선은 신호 VP의 플라이백 펄스를 제공하며 수평 주사를 갖는 스위치된 모드 전원의 동기화 동작 동안 제어기(20)에 귀환된다. 이 같은 방법으로 전력 변압기(LP36)의 1차 권선(WD)내의 전류는 귀선 소거 기간동안 차단될 수 있으며, 전력 트랜지스터(TP29)의 차단이 디스플레이에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경우 그 에너지는 변압기(LP36)으로부터 방출된다. 신호 VP 는 펄스폭 변조기(92)에 접속되고, 또한 저항(RP51, RP52) 및 전위차계(PP52)에 의해 형성된 전압 구동기를 통해 B+ 조절된 전압에 접속된다. 상기 펄스폭 변조기는 트랜지스터(TP69)의 베이스로의 저항(RP68) 및 바이어싱 저항(RP69)을 통해 펄스를 출력하고, 상기 펄스폭은 전위차계(PP52)의 와이퍼(wiper)로부터 입력 레벨을 가지며 변화한다.
그 신호는 제어기(20)에 대한 B+ 조절된 전압 레벨의 2차측 귀환을 나타내는 펄스폭 변조기에 의해 트랜지스터(TP69)에 인가된다. 트랜지스터(TP 69)의 컬렉터는 신호 접속 변압기(LP42)의 1차 권선(WP)에 접속되며, 그 에미터는 접지되어 있다. 한지점 P에는 전원 전압이 제공되어 권선(WP)의 반대 단자에 접속되고, 트랜지스터(TP69)는 신호 접속 변압기(LP42)의 1차 권선(WP)에 폭 변조된 펄스를 인가하기 위해 전도한다. 권선(WP)와 평행한 저항(RP60)은 바이어스 공급한다. 제1도에 있어서, 귀환 펄스는 저항(RP41, RP42)을 통해 제어기(20)의 슬레이브(slave)입력에 접속되어 실행 모드에서 B+ 전압을 조절하는 귀환을 제공한다. 전력 변압기(LP36)과 변압기(LP42)는 변압기(LP36)의 2차측(LP42의 1차측)의 "콜드(cold)" 또는 섀시 접지로부터 전력 변압기(LP36)의 1차측(및/또는 변압기(LP42)의 WS 권선측의 "핫(hot)" 접지를 절연시킨다.
제2도에서, 신호 P는 마이크로프로세서(82)의 STBY 출력으로부터 유도되어 실행 모드에서 높고, 예비 모드에서 낮은 신호를 갖는다. 신호 STBY 는 트랜지스터(TR16)의 에미터에 접속되고, 트랜지스터(TR16)의 베이스에는 저항(RR15)을 통해 +5V의 전원이 접속된다. 상기 +5V 전원은 권선(W4)의 +19V 전원으로부터 조절되며, 예비 모드 및 실행 모드에서 동작하고, 마이크로프로세서(82)에 전원을 공급한다. 실행 모드를 진행할 때 마이크로프로세서(82)는 트랜지스터(TR16)동작가능하도록 STBY 신호를 낮게 유도한다. 트랜지스터(TR16)의 컬렉터는 저항(RR16)을 통해 PNP 트랜지스터(TR17)의 베이스에 접속되어 트랜지스터(TR17)의 에미터에 상대적인 저항(RR17)에 의해 바이어스 되고, 전원 변압기(LP36)의 권선(W5)으로부터 +24V 전원에 접속된다. 신호 STBY가 낮을 때 신호 P는 +24V이고, STBY 신호가 높을 때 즉 예비 모드에서 신호 P는 접지 상태에 있다.
신호 P는 캐소우드의 신호 FK를 제공하는 다이오드(DP05)를 통해 신호 변압기 권선(WP)의 권선(W5) 및 수평 오실레이터 VCC 입력으로 전력을 제공한다. 신호 FK는 저항(RP07)을 통해 수평 오실레이터 (86)의 VCC에 접속되고, 상기 VCC 입력은 기억 커패시터(CI21)에 의해 여과된다. 신호 FK는 저항(RV04, RV02)에 의해 유도된 전압이다. 트랜지스터(TV02)의 베이스는 저항(RV04, RV02)의 접합점에 접속되며, 트랜지스터(TV02)의 컬렉터는 수평 오실레이터(86)를 포함하는 집적회로(IL01)의 X-선 보호 입력 XRP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XRP 입력은 수평 오실레이터의 출력을 차단한다. 상기 XRP 입력은 높은 값을 가지며, 신호 P가 높을 때 트랜지스터(TV02)에 의해 낮게 유지한다. 상기 XRP 신호가 수평 오실레이터의 출력을 차단할 수 있는 다수의 방법이 존재한다. 실시예에서 이러한 기능은 수평 오실레이터(86)의 출력에 접속되는 내부 SCR에 의해 일반적으로 도시되며, 내부 저항을 통해 수평 오실레이터 VCC에 접속된다.
신호 P가 낮을 때 에비 기간 동안 트랜지스터(TV02)는 도전되지 않는다 트랜지스터(TV02)가 XRP 입력을 접지하지 않으면 상기 XRP 입력은 신호 XR에 의해 높게 유도될 수 있으며, 전원 변압기(LP36)의 권선(W4)으로부터 유도된다. 권선(W4)은 전류 제한 저항(RP87) 및 직렬 저항(RV01)을 통해 다이오드(DV01)에 접속된다. 다이오드(DV01)의 캐소우드는 집적회로(IL01)의 XRP 입력에 접속되는데, 상기 집적 회로(IL01)는 수평 오실레이터(86)의 출력을 차단하는 수평 오실레이터(86)를 포함한다. 집적 회로(IL01)는 PAL 식(phase alternating line)텔레비젼 수신기로 미츠비시사의 모델 M52043SP 이 될 수 있다. 다이오드(DV01)의 캐소우드에서 신호는 커패시터(CV01)에 여과되며, 저항(RV05)을 통해 접지에 결합된다.
제3도 내지 제7도의 타이밍도에 있어서, 실행 모드와 예비 모드간의 전이는 상기 실행모드와 예비 모드간의 전이 모드를 구성하도록 배열되고, 상기 전이 모드의 양의 단부는 수평 펄스를 차단하기 위해 제어기(20)의 출력을 사용한다. 전환된 모드의 전원 제어기(20)의 2개의 동작 모드는 수평오실레이터(86)의 디스에이블링을 지연하기 위한 수단을 형성하여, 화상이 소멸되고, 스크린 양극 전압(U)은 실행 모드로부터 예비 모드로 스위칭할 때 방전된다. 플라이백 변압기(FBT)로의 B+ 전원의 레벨은 예비 모드를 입력함에 따라 전이 간격 동안 소멸한다. 그러나, 전이 간격 동안 수평 주사 및 전자 비임 전류는 계속되며, +180V 및 +24V 전원의 방전에 의한 하강 진폭은 스크린 양극상에 울터 전압(U)을 소모한다.
스위치된 모드 전원에서 생성되는 신호는 예비 모드의 입력에 따라 전이를 종료하기 위해 사용된다. 실행 모드 및 예비 모드에서 스위치된 모드 전원 제어기에 대한 상이한 전압차는 실행 모드에서 높게 나타나고, 상기 제어기는 실행에서 예비 모드로 스위칭한 이후 순간적인 간격동안 출력 펄스의 발생을 중지시킨다.
전이 간격의 단부에서 버스트 모드내의 제어기에 의한 펄스의 발생은 전이의 단부를 구성한다. 제어기(20)의 기준 레벨내의 차이(예비 모드에서보다 실행모드에서의 출력 전압을 높게 제공한다)는 전이 간격을 정확히 배수로 하며, 전이의 단부로 펄스의 재발생은 상기 전이 간격의 단부를 구성한다.
제3도 내지 제7도에서, 다음과 같은 t0에서 t1까지의 시동(start-up)간격 동안 제어기(20)는 버스트 모드(burst mode)내에 구성된 상부 및 하부 한계치 간의 레벨에서 VCC를 유지하게 되어, 그에 따라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한계치간에 일련의 상승 및 하강 램프를 제공한다. 예비(standby) 간격(시간 t1 내지 t2)동안 제어기(20)는 상기 제어기(20)의 2개의 에러 입력 한계치 사이에 VCC를 유지하도록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 변압기(LP36)에 대한 펄스의 예비 버스트를 제공한다. B+ 전원 전압이 무부하가 되면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압은 +118V를 유지하게 된다.
마이크로프로세서(82)가 시간 간격 t2에서 실행 모드로 스위치 될 때 예컨대 적외선 원격 제어 수신기(도시 생략)의 신호에 따라 STBY는 풀 다운(pull down)되며, P 신호는 트랜지스터(TR16, TR17)에 의해 +24V를 제공한다. 상기 P 신호는 수평 오실레이터(86)의 VCC 입력으로 전력을 공급하고, 신호 변압기(LP42)를 통해 펄스폭 변조기(92)로부터 제어기(20)로 폭 변조된 펄스를 접속시키며, 변압기(FBT)의 신호 VP로부터 플라이백 펄스를 갖도록 동기화 된다. 그러므로 제어기(20)에 대한 귀환은 에러 증폭기(34)에 접속되는 내부 기준으로부터 변압기(LP42)를 통해 IS 논리 블록(32)에 접속되는 펄스폭 변조기의 출력 신호로 이동한다.
펄스폭 변조기(92)에 의해 변조된 펄스폭의 귀환은 저항(RP51, RP52) 및 전위차계(PP52)의 분압기를 통해 B+ 전압에 기초하여, +118V에서 B+ 전압을 유지하기 위해 배열된다. 이것은 제어기(20)에서 VCC 의 레벨을 상이하게 하고 높게 만드는데, 예컨대 +13V를 가져온다. 제어기(20)의 출력이 전력 변압기(LP36)의 2차측 권선(W2-W5)모드에 영향을 주게되어, B+ 전압으로부터 귀환을 통한 조절은 제어기(20)에서 VCC 레벨을 포함하는 다른 2차측을 조절한다. 따라서, 실행 모드에서 VCC는 +13V로 밀접하게 조절된다. 전력은 제어기(20) 및 전력 변압기(LP36)를 통해 B+, 19V, +24 및 +5V가 공급되며, 변압기(FBT)를 통해 편향 권선(YH), 스크린 양극(울터 전압 U), 키네스코우프 구동기(84)(+180V) 및 펄스폭 변조기(92)(+13V)로 공급한다. 실행 모드내의 실질적 부하에 의하여 제어기(20)는 버스트 모드보다 정상 모드로 동작하며, 신호 VP(제6도)의 플라이백 펄스를 갖는 동시에 각각의 수평 주사(제5도)동안 변조된 폭의 펄스를 출력한다.
시간 t3에서, 마이크로프로세서(82)는 예비 모드로 이동하며, 신호 STBY 가 하이로 진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회로는 실행에서 예비로 전이를 시작하고, 시간 t3에서 t4까지 지속된다. 시간 t3 기간에 신호 P는 상기 STBY 신호(제7도)에 응답하여 로우(low)로 진행하고, 트랜지스터(TP69)에 대한 바이어싱 전압의 부족으로 신호 변압기(LP42)를 통해 제어기(20)로 귀환 펄스를 차단한다. 그러나, 수평 오실레이터(86)는 커패시터(CI21)에 저장된 전압으로 동작을 수행하고, 다이오드(DP05)는 트랜지스터(TP69)를 통해 커패시터(CI21)의 방전을 차단한다. 수평 오실레이터(86)의 VCC 전압은 커패시터(CI21)의 방전으로 감소하기 시작한다.
제어기(20)에 대한 귀환이 시간 t3에서 존재하지 않을 때 제어기(20)는 에러 증폭기(34)의 입력에 따라 조절하기 시작한다. 그러나, 에러 입력은 상술한 상부 및 하부 한계치간에 조절하여 펄스폭 변조기(92)를 통해 B+ 전압을 조절할 때 유지되는 +13V 레벨 이하가 된다. 따라서 버스트 모드를 입력시키고, 전력 변압기(LP36)의 권선(W3)으로부터 유도되는 VCC가 하부 한계치 즉 10.45V(제3도 및 제5도)로 떨어질 때까지 펄스의 발생을 중지시킨다.
실행 모드에서 예비 모드로의 전이에서 수평 편향 회로는 동작이 연속해서 실행한다. 더욱이, 다이오드(DR10)가 다이오드(DR11)를 키네스코우프 구동기(84)로 접속되어 있어 +5V 레벨을 차단하지 않기 때문에 키네스코우프 구동기는 턴온되어 전자 비임 전류를 제공한다. 그러나, 편향 회로 및 키네스코우프 구동기에 의해 t3 및 t4 사이의 전이 기간 동안 부하가 걸린 B+ 전압은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강하기 시작한다. 상기 편향 회로에 대한 수평 출력 전압(VH)또한 하강한다. 제4도는 수평 편향 권선(YH)내의 편향 전류의 드롭으로 붕괴되어 스크린 양극 전압(U)의 방전 및 키네스코우프 구동기(84)로의 +180V 전원의 드룹으로 암방전을 수행한다.
예비 모드를 입력함에 따라 전이의 시간 지연은 약 +13v의 실행 모드의 제어기(20)에 대한 조절된 VCC 레벨과 약 +10.45V의 버스트 모드내의 제어기의 하부 한계치간의 차이에 의해 형성되고, 또한 더미부하(dummy load)저항(RP21), 제어 다이오드(DP54) 및 제어기(20)의 VCC 입력을 통해 커패시터(CP28)의 방전에 의해 형성된다. 실행 모드내에 VCC의 고레벨은 TEA2260 DL 15.7V 인 제어기(20)의 최대 전압 차단 이하로 설정한다. 실시예에 따라 121mS의 전이 지속을 나타낸다.
제어기의 VCC가 낮은 한계치에 이르면 전이 주기는 종료된다. 펄스는 제어기(20)의 출력으로 방출되어 변압기(LP36)를 통해 제2권선(W2)에 접속됨으로써 약 +10V의 방전 레벨로부터 공칭 +118V로 유도된다. 그러나, 수평 오실레이터가 커패시터(CI21)의 방전 레벨로 동작하기 때문에 B+ 전압의 복귀는 스크린 양극 및 키네스코우프 구동기(84)로 전력의 편향 및 발생을 시작한다. 제어기(20)의 출력에 따른 펼스의 회복은 수평 오실레이터(86)의 출력을 양(+)으로 스위치 오프하기 위해 이용되어 상기 수평 오실레이터(86)의 출력을 차단하기 위해 집적 회로(IL01)에 대한 X선 보호 입력을 이용한다.
제어기(20)가 시간 t4에서 전력 변압기(LP36)의 권선(W31)에 대한 펄스를 개시할 때 전력은 2차 권선(W4)에 접속되고, 저항(RP87, RV01)을 통해 신호 XR에 인가된다. 상기 신호는 다이오드(DV01)에 의해 피크치로 정류되고, 커패시터(CV01)로 여과되어, 집적회로(IL01)로 XRP 입력을 높게 유도한다. VH의 수평 펄스는 시간 t4에서 정확히 차단하여 B+ 전압이 제어기(20)에 의해 +118V로 역으로 구동된다.
울터 전압이 키네스코우프 구동기의 연속적인 동작으로 드레인 되고 수평 편향 신호가 붕괴되므로서 스크린 양극은 개별 서비스에 대한 전기 쇼크동안 전위를 감소시키는 전자 비임 전류에 의해 방전된다. 도면의 붕괴와 울터 전압의 방전은 전이 주기의 결정으로 수평 오실레이터 출력을 양으로 차단하는 제어기(20)에 의해 정확히 시간 조절된다.
제8a도는 제2도의 키네스코우프 구동회로(84)를 상세히 예시하는 블록도를 도시한다. 제8b도는 제8a도에서 이용되는 키네스코우프 구동 증폭기 및 온스크린 디스플레이(on screen display)(이하 OSD라 칭함)를 예시하는 회로도를 도시한다.
제8a도에서, 동조기, 중간 주파 증폭기(IFA : Intermediate Frequency Amplifier) 및 검출장치(802)는 입력(804)에서 RF 입력 신호 S1을 기저대역 형태 S2를 변환하여 제공되는 안테나 입력(804)를 갖는다. 상기 기저대역 비디오 신호 S2는 종래의 비디오 처리 장치(806)로 인가되는데. 상기 비디오 처리장치(806)는 상기 신호를 처리하고, 각각의 키네스코우프 구동 증폭기(808, 810, 812)를 통해 상기 키네스코우프(814)의 각각의 캐소우드에 인가되는 휘도 출력 신호(Y) 및 3개의 칼라차 신호(R-Y, B-Y, G-Y)를 구성한다.
키네스코우프(814)에 대한 고전압(울터전위)은 울터 단자(816)에 인가된다.
앞서 기술된 마이크로프로세서(82)는 수신기 동작 모드를 제어하고, 채널 번호, 온/오프, 볼륨 및 관련된 화상 제어 기능과 같은 입력되는 수신기 명령에 대한 키보드(83)를 포함한다. 또한 마이크로프로세서(82)는 RGB 형태로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OSD)특성을 발생시키는 기능을 제공한다. 상기 OSD 신호는 각각의 증폭기(820,822,824)를 통해 키네스코우프 캐소우드 구동 증폭기(808,810,812)의 각각의 입력에 인가한다. 그린(G : Green) 구동 신호에 대한 상기 ODS 구동 증폭기(824)는 또한 제2도의 다이오드(DR11)에 의해 제공되는 실행/예비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결합되는 추가의 입력(840)을 갖는다.
동작에서 동조기(802) 및 비디오 처리 장치(806)는 화상 표시 신호(Y, R-Y, B-Y, G-Y)를 생성시키는데, 상기화상 처리 신호는 화상관(814)의 R, G, B "전자총"(즉, 캐소우드)에 적용되기 위해 구동 증폭기(808, 810, 812)로 매트릭스화하여 증폭된다. 마이크로프로세서(82)는 RGB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신호를 생성시키는데, 이들 신호는 각각의 증폭기(820, 822, 824)를 통해 구동 증폭기에 인가된다. 사용자가 키보드(83)에 의해 수신기에 턴-오프를 수행할 때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82)는 앞서 기술한 전원 제어 신호를 발생하게 하여, 상기 수신기를 예비 모드에 위치시키며, 다이오드(DR11)로부터 상기 예비 신호를 그린 OSD 구동 증폭기(824)에 인가시킨다. 그린 캐소우드 구동 증폭기(812)를 턴온 시킴으로써 키네스코우프의 그린 전자총은 그린 래스터를 발생시킨다. 상기 키네스코우프의 그린 전자총의 인에이블은 래스터가 천천히 감쇠하는 동안 울터 전압을 방전한다. 실행 모드로부터 오프 모드로의 전이가 이루어질 때 상기 키네스코우프는 고전압이 충분히 방전도리 수 있으며, 어떠한 잔광도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전이 시간 동안 감쇠하는 래스터가 비교적 큰 영역을 구성하여 스폿내에 집속되지 않으므로서 스폿번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제8b도의 회로도는 다이오드(DR11)에 의해 제공되는 실행/예비 신호를 그린 OSD 구동 증폭기에 인가함으로써 그린 캐소우드 또는 "전자총" 구동 증폭기로 인가되는 방법을 상세히 도시하고 있다. 특히, 증폭기(824)는 다이오드(DR11)로부터 실행 예비 신호를 수신하는 입력(840)에 접속된 베이스 전극을 갖는 NPN 트랜지스터(850)를 구비한다. 상기 베이스는 저항을 통해 그린 OSD 구동 신호를 수용하는 입력(842)에 접속되고, 베이스 구동 신호가 없을 때 트랜지스터(850)를 턴온(turn on)시키는 "풀 다운(pull down)" 저항을 통해 그라운드(ground)에 접속된다. 트랜지스터(850)의 에미터는 비교적 낮은 값의 에미터 저항을 통해 그라운드에 접속되며, 컬렉터는 증폭기(812)의 그린 구동 입력(813)에 접속된다. 또한 작은 커패시터는 키네스코우프와 구동 증폭기의 대역폭을 초과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그린 OSD 신호의 변화비를 제한하도록 트랜지스터(850)의 컬렉터로부터 그라운드에 접속되어 있다.
구동 증폭기(812)는 전류 제한 저항을 통해 G-Y 입력(862)에 접속되는 베이스 전극을 가진 NPN 트랜지스터(860)를 구비한다. 트랜지스터(860)의 컬렉터는 부하 저항을 통해 고전압(즉, 180볼트)의 소오스를 수용하는 공급 단자(864)에 접속되고, 정전 방전 보호 저항에 의해 키네스코우프(814)의 그린 캐소우드로의 결합용 출력(866)에 접속된다. 상기 트랜지스터(860)의 에미터 회로는 가변 이득 제어 저항 및 병렬 피킹(peaking) 커패서터를 포함하고, 휘도 입력 단자(870)에 접속된다. 또한 상기 에미터는 증폭기(824)로부터 그린 OSD 유도 신호를 수신하는 단자(813)에 접속되고, 저전압 전원(즉, 9볼트)과 그라운드 사이에 직렬 접속된 저항과 전위차계를 가진 DC 레벨 조정 회로에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전위차계의 출력 텝은 전류 제한 저항을 통해 에미터 전극에 접속되어 있다.
동작에서 트랜지스터(860)는 키네스코우프의 녹색 전자총에 증폭되어 인가된 화상 표시 녹색 출력 신호를 생성하도록 G-Y 및 Y 신호를 결합 또는 매트릭스화 시킨다. 상기 녹색 출력 신호를 유도하기 위해 G-Y 및 Y 신호의 부분은 트랜지스터(860)의 가변 에미터 저항에 의해 제어된다. 전체 DC 레벨(휘도)은 에미터 회로내의 저전압 전원의 전위차계에 의해 제어된다. OSD 신호가 마이크로 프로세서(82)에 의해 생성될 때, 이들 신호는 트랜지스터(850)로 증폭되어, 키네스코우프(814)의 캐소우드를 최대 그린 휘도 레벨로 유도함으로서 그린 유도 트랜지스터(860)에 인가된다. 화이트OSD 특성은 상기 OSD 신호를 가진 3개의 모든 전자총을 구동시킴으로써 구성된다. 다른 칼라는 상기 OSD 신호를 가진 R, G, B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킴으로써 구성된다.
턴오프 기간동안 실행/ 예비 신호는 트랜지스터(850)를 턴온하여 그린 래스터를 구성하는 다이오드(DR11)에 의해 제공된다. 따라서, 키네스코우프의 울터 전압은 방전되어, 스폿번을 예방하고, 잔광을 제거할 수 있다.
실행모드로부터 예비 모드로의 전이 영역 동안 키네스코우프 울터 전압을 방전하기 위해 화상 표시 비디오에 의존 할 수 없음을 주목하는 것을 유익하다.
상기 울터 전압을 방전하기 위해 화상 표시 비디오에 의존할 수 없는 이유는 상기 화상 표시 신호를 예상 할 수 없으며, 사용자가 수신기를 스위치 오프하는 순간에 블랙 레벨(black level)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키네스코우프의 최소한 하나의 전자총이 키네스코우프를 방전하기 위해 전이 영역 동안 턴온되는 것은 본 발명의 이점을 성취하는데 필수적이다. 이들 모드에 대해서는 이러한 기능을 제공하는 동안 화상 표시 비디오 신호에 대해 신뢰성이 없다. 물론 하나의 전자총만이 래스터의 낮은 감쇠동안 상기 키네스코우프의 하나 이상의 전자총을 턴온하지만 상술한 제어 방법으로 상기 키네스코우프를 방전하는데 필요한 것은 하나의 전자총으로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Claims (1)

  1. 키네스코우프와 상기 키네스코우프를 구동시키는 구동 증폭기와, 고전압 전원과, 편향 회로와, 전이 간격 동안 텔레비젼 수신기를 실행 모드에서 대기 모드로 변환하도록 턴-오프 명령 신호(RUN-STANDBY)를 발생시키는 제어 회로 및 상기 턴-오프 명령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전이 간격 동안 소정 제어 비율로 상기 고전압 전원을 디스 에이블링 하고 상기 편향 회로의 턴-오프를 개시하는 수단을 구비한 텔레비젼 수신기에 있어서, 상기 구동 증폭기는 제1증폭기(812)와 제2증폭기(824)를 포함하고, 상기 제1증폭기(812)는 화상 표시 신호(G-Y; Y)를 수신하는 신호 입력단(862; 870)과, 제어 신호(G)를 수신하는 제어 입력단(813) 및 상기 키네스코우프의 전자총에 접속되는 출력단(866)을 가지며, 상기 제어 입력단(813)에 인가되는 제어신호(G)의 제1레벨에 응답하여 상기 신호 입력단(862; 870)에 인가되는 상기 화상 표시 신호(G-Y; Y)의 값을 오우버라이딩 함으로써 상기 전자총이 최대 출력 전자 비임 레벨을 제공하며, 상기 제2증폭기(824)는 각각의 제1입력단(GREEN DRIVE)과 제2입력단(840)에 인가되는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문자 신호(GREEN DRIVE)와 상기 턴-오프 명령 신호(RUN/STANDBY)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 신호(G)의 상기 제1레벨을 발생시키며, 상기 전이 간격동안 상기 턴-오프 명령 신호(RUN/STANDBY)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 신호(G)로 하여금 상기 제1레벨 신호를 표시하게 하는 상기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물자 신호(GREEN DRIVE)를 오우버 라이드하여, 이에 따라서 상기 키네스코우프로부터 고전압을 방전하는 최대 출력 전자 비임 레벨을 발생하도록 상기 전이 간격 동안 상기 제1증폭기(812)내에서 상기 화상 표시 신호(G-Y; Y)를 오우버 라이딩하며, 상기 전이 간격 동안 상기 키네스코우프에 스폿번 손상이 일어나는 것으로부터 상기 화상 표시 신호(G-Y; Y) 또는 상기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문자 신호(GREEN DRIVE)중 하나의 진폭 특성을 예방하기 위하여 전체 디스플레이 래스터의 양단에 균일한 휘도를 갖는 상기 키네스코우프상에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수신기.
KR1019920011743A 1991-07-03 1992-06-30 스폿번 예방 및 잔광 제거용 설비를 구비하는 텔레비젼 수신기 Expired - Fee Related KR1002401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7/725,052 US5184225A (en) 1991-07-03 1991-07-03 Television receiver with spot burn protection and after-glow suppression
US725,052 1991-07-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3710A KR930003710A (ko) 1993-02-24
KR100240178B1 true KR100240178B1 (ko) 2000-01-15

Family

ID=24912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1743A Expired - Fee Related KR100240178B1 (ko) 1991-07-03 1992-06-30 스폿번 예방 및 잔광 제거용 설비를 구비하는 텔레비젼 수신기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5184225A (ko)
EP (1) EP0521378B1 (ko)
JP (1) JPH05207314A (ko)
KR (1) KR100240178B1 (ko)
CA (1) CA2072321C (ko)
DE (1) DE69209909T2 (ko)
ES (1) ES2087347T3 (ko)
MX (1) MX9203942A (ko)
MY (1) MY108382A (ko)
SG (1) SG9259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2934B1 (ko) * 1991-10-30 1994-04-07 삼성전자 주식회사 텔레비젼의 화면과도현상방지회로
JPH07212679A (ja) * 1994-01-13 1995-08-11 Funai Electric Co Ltd Crtの高圧放電回路
JPH0876707A (ja) * 1994-07-08 1996-03-22 Sony Corp 電子ビームによる表示装置と表示画面の消去方法
KR0116710Y1 (ko) * 1994-09-30 1998-04-23 김광호 스포트 킬러 회로
JP3566966B2 (ja) * 1995-01-11 2004-09-15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イ 画像表示管の放電
KR100226686B1 (ko) * 1996-05-21 1999-10-15 전주범 Crt 보호 장치
GB2313759A (en) * 1996-05-30 1997-12-03 Thomson Multimedia Sa Changing EHT generator duty cycle in standby mode
US5844668A (en) * 1996-08-28 1998-12-01 Sami Protection window for optical sensors in industrial applications
KR100246914B1 (ko) * 1997-07-14 2000-03-15 윤종용 디지털 텔레비젼 수상기의 전원제어방법과 장치
US6211908B1 (en) * 1999-05-27 2001-04-03 Thomson Multimedia Licensing S.A. Television apparatus with supplementary kinescope blanking and spot burn protection circuitry
KR20010035729A (ko) * 1999-10-01 2001-05-07 박종섭 스포트 킬러 회로
US6252361B1 (en) * 1999-10-15 2001-06-26 Thomson Licensing S.A. High-voltage power supply disabling circuit for video display
JP2003283863A (ja) * 2002-03-20 2003-10-03 Orion Denki Kk 陰極線管表示装置のスポットキラー制御回路及び制御方法
US7466340B1 (en) * 2005-02-09 2008-12-16 William Herz Method and apparatus for protection against pixel burn-in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07330A (en) * 1966-02-21 1968-10-22 Rca Corp Protection circuit for cathode ray tube
US3535445A (en) * 1967-08-18 1970-10-20 Motorola Inc Cathode ray tube protection circuit
US3462640A (en) * 1968-10-21 1969-08-19 Zenith Radio Corp Spot-burn protection circuit
US4275338A (en) * 1979-09-19 1981-06-23 Zenith Radio Corporation Anti-spot burn protection for CRT
US4488181A (en) * 1982-04-23 1984-12-11 Rca Corporation Electron beam suppression circuit for a television receiver
JPS59146747A (ja) * 1983-02-09 1984-08-22 Kawasaki Heavy Ind Ltd 研削方法
JPS60143066A (ja) * 1983-12-29 1985-07-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映像出力回路
US4698681A (en) * 1985-09-11 1987-10-06 Zenith Electronics Corporation Dual intensity video circuit
JPS6292584A (ja) * 1985-10-18 1987-04-28 Hitachi Ltd スポツトキラ−回路
US4723167A (en) * 1987-02-24 1988-02-02 Zenith Electronics Corporation Turn-off circuit for projection television CRT
JPH0223777A (ja) * 1988-07-13 1990-01-25 Sharp Corp 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2552551B2 (ja) * 1989-08-10 1996-11-13 三洋電機株式会社 陰極線管の高圧放電回路
JPH03220980A (ja) * 1990-01-26 1991-09-30 Sanyo Electric Co Ltd 陰極線管の高圧放電用クランプ回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G92593A1 (en) 2002-11-19
CA2072321C (en) 1998-10-13
MY108382A (en) 1996-09-30
MX9203942A (es) 1993-07-01
EP0521378B1 (en) 1996-04-17
ES2087347T3 (es) 1996-07-16
US5184225A (en) 1993-02-02
DE69209909T2 (de) 1996-10-24
KR930003710A (ko) 1993-02-24
JPH05207314A (ja) 1993-08-13
EP0521378A1 (en) 1993-01-07
CA2072321A1 (en) 1993-01-04
DE69209909D1 (de) 1996-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40178B1 (ko) 스폿번 예방 및 잔광 제거용 설비를 구비하는 텔레비젼 수신기
KR100264823B1 (ko) 스위칭 모드 전원의 런 모드 및 스탠바이 모드 전환용 제어기를 갖는 텔레비젼 수신기
US5130615A (en) Television apparatus having kinescope spot burn protection circuit with extended grid cut-off time constant
US4042858A (en) Television receiver protection circuit
US4184104A (en) Scan compensation circuit for a television receiver
US4488181A (en) Electron beam suppression circuit for a television receiver
US5043639A (en) Video display apparatus with kinescope spot burn protection circuit
US4435731A (en) Television receiver disabling circuit
EP0520141B1 (en) High voltage shutdown circuit
JPH0245870B2 (ko)
JP2869755B2 (ja) 電源と水平偏向システム
KR100257271B1 (ko) 음극선관의 주사 손실 검출 장치
KR920007153B1 (ko) 비데오 표시장치용 주파수 제어회로
JP2808046B2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の電源および偏向装置
US6252361B1 (en) High-voltage power supply disabling circuit for video display
EP0370660A2 (en) Power supply protection circuit
EP0092954B1 (en) Electron beam suppression circuit for a television display system
KR200151953Y1 (ko) 와이드화면 모드시의 빔 전류 조절기능을 갖춘 텔레비전 수상기
EP0332089A2 (en) Protection arrangement of a deflection circuit
CN1044425C (zh) 具有光点烧毁保护和余辉抑制设施的电视接收机
JPS6025177Y2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2587521Y2 (ja) 表示装置
JPH03268578A (ja) 陰極線管の高圧放電期間終了方法
JPH10174026A (ja) 迷放射低減回路
JPH0654278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10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91027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910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