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23069B1 - 자동차의 브레이크 지속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브레이크 지속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3069B1
KR100223069B1 KR1019950067741A KR19950067741A KR100223069B1 KR 100223069 B1 KR100223069 B1 KR 100223069B1 KR 1019950067741 A KR1019950067741 A KR 1019950067741A KR 19950067741 A KR19950067741 A KR 19950067741A KR 100223069 B1 KR100223069 B1 KR 1002230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brake
piston
braking
ped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67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0566A (ko
Inventor
박명렬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500677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3069B1/ko
Publication of KR9700405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05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30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3069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1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automatic initiation; for initiation not subject to will of driver or passeng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7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 B60T13/741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acting on an ultimate actu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4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 B60T7/04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by electrical means, e.g. using travel or force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2220/00Monitoring, detecting driver behaviour; Signalling thereof; Counteracting thereof
    • B60T2220/04Pedal travel sensor, stroke sensor; Sensing brake reque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2/00Responses or measures related to driver conditions
    • B60Y2302/09Reducing the workload of dri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 Braking Systems And Boosters (AREA)

Abstract

이 발명은 차랑 정체시에 브레이킹 후 브레이크 페달에서 발을 떼어도 재출발 전까지 브레이킹 상태가 계속적으로 지속되도록 함으로서 운전자의 피로감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목적으로 안출된 자동차의 브레이크 지속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브레이크 페달(2)을 밟으므로서 차량이 정지되는 브레이킹 상태가 되면 브레이크풀 감지센서(17)의 감지신호에 의해 제어기(16)가 전기식 엑츄러에터(15)를 온(on)되게 하여 지속용 실린더(10)의 피스톤(14) 전진 동작에 따라 가압용 오이(O')의 유압력이 상승되므로서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에서 발을 떼어도 마스터 실린더(1)의 피스톤(3)이 복귀하지 못하게 됨에 따라 차량은 정지상태로 있게 되는 한편, 운전자가 차량출발을 위해 엑셀페달을 밟으면 드로틀 밸브개도 감지에 의해 제어기(16)에서 전기식 액츄레이터(15) 작동을 오프시키므로서 가압용 오일(O')의 유압력 소진으로 각기의 실린더로 공급되었던 브레이크오일(O)이 복귀되어 차량 출발에 방해를 주지 않고 차량 출발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것으로서, 차량정체시에만 시스템 작동 선택스위치로 가동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되도록 하고 브레이킹후 브레이크 페달에서 발을 떼어도 브레이킹 상태가 지속되므로 차량정체시에 운전자의 편익성을 도모하게 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브레이크 지속 장치
제 1 도는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지속장치의 단면 구성도.
제 2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작용 관계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마스터 실린더 2 : 브레이크 페달
3 : 피스톤 3 : 첵크 밸브
5 : 오일공급탱크 8 : 스프링
10 : 지속용 실린더 11 : 스프링
12 : 커넥팅로드 13 : 스프링리테이너
14 : 피스톤 15 : 전기식 엑츄에이터
16 : 제어기 17 : 브레이크 풀 감지센서
18 : 드로틀밸브 개도감지센터 19 : 시스템 작동 선택스위치
본 발명은 차량의 정체 현상으로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빈번히 밟게 되는 경우에 한시적으로 작동시켜 브레이크 기능이 지속될 수 있도록 발명된 자동차의 브레이크 지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주행에 있어 차량의 정체현상으로 인하여 빈번하게 브레이크페달을 밟아야 하는 경우가 많이 있으며, 이러한 경우 운전자는 브레이크 페달을 밟고 있는 회수가 많아 지므로서 운전자가 피로감과 불쾌감을 쉽게 느끼게 되어 안전운행의 저해 요소가 되고 있다.
그것은 자동차에 있으 브레이크 시스템이 브레이크 페달을 밟고 있는 상태에서만 브레이크 기능이 유지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이며 그로인해 핸드브레이크를 사용하지 않는한 차량정체에 따라 정차시에는 지속적으로 브레이크 페달을 밟고 있어야만 하는 불편이 초래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일시적인 정차시에 브레이크 페달을 밟은 다음 페달로부터 발을 떼어도 브레이크 기능이 해제되지 않고 차량재출발 전까지 브레이크 기능이 지속되도록 하는 자동차의 브레이크 지속장치를 제공함으로서, 피로감을 느끼지 않고 보다 안전운행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시키기 위하여, 차량에 채용되는 브레이크 시스템의 마스터 실린더를 이용하게 되며, 브레이크 페달을 밟게 됨에 따라 마스터 실린더 내의 피스톤이 전진 작동하게 되어 브레이크 상태가 되는것을 지속적으로 유지되도록 하는 장치가 부가적으로 설치되도록 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 장치는 브레이킹시에 전진 이동되는 마스터실린더의 피스톤이 유압력에 의해 후진 이동되지 못하도록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유압력은 부가적으로 설치되는 보조 실린더의 피스톤에 의해 발생되도록 하였으며, 피스톤의 전,후진 동작은 제어기의 명령에 의해 동작되는 전기식 엑츄에이터에 의해 동작되도록 이루어지게 한점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 장치를 첨부한 바람직한 실시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는 본 발명이 실시되는 마스터 실린더(1)를 보인 것으로서, 브레이크페달(2)를 밟으면 피스톤(3)이 전진 이동되어 브레이크오일(O)이 첵크밸브(4)를 통해 휠실린더(미도시)로 압송되므로서 브레이킹이 되는 상태가 되는 한편 브레이크페달(2)에서 발을 떼게 되면 피스톤(3)이 리턴되는 복귀를 하게 됨에 따라 휠실린더로 공급되었던 유압의 복귀로 브레이킹 상태가 해제되게 된다.
마스터 실린더(1)에 있어 피스톤(3)은 1차 및 2차 피스톤을 구비하고 각기의 오일공급탱크(5)를 구비하는 것이 일반화 되어 있으며, 스프링리테이너(6)와 커넥팅로드(7) 및 스프링(8)를 구비한다. 부호 9는 브레이크 부스트이다.
본 발명은 마스터 실린더(1)의 일상부에 별도의 지속용 실린더(10)가 일체가 되도록 구비하게 하여 마스터 실린더(1)의 피스톤공(1a)과 상기 지속용 실린더(10)의 피스톤공(1a)이 연통되도록 구성시키게 된다.
상기 지속용 실린더(10)의 피스톤공(10a)에는 스프링(11)과 커넥팅로드(12) 및 스프링리테이너(13)를 구비하는 피스톤(14)이 설치되는 한편, 상기 피스톤(14)과 마스터실린더(1)의 피스톤(3) 사이에는 가압용 오일(O')이 충진되도록 되어있다.
지속용 실린더(10)의 피스톤(14)은 전기식 엑츄에이터(15)에 의해 작동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전기식 엑츄에이터(15)는 제어기(15)의 명령에 의해 동작되도록 되어있다.
도면 제 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계통을 보인것으로서, 제어기(16)는 브레이크 페달(2)에 설치되는 브레이크풀 감지센서(17)의 신호와 드로틀밸브(미도시)에 설치되는 드로틀밸브 개도감지센서(18)으 신호를 전달받도록 되어 있고, 이러한 전달신호에 의해 전기식 예츄에이터(15)를 작동온(on), 오프(off) 시키는 제어를 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그리고 제어기(16)는 운전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운전석에 설치되는 시스템 작동 선택 스위치(19)에 의해 온(on), 오프(off) 시킬 수 있도록 되므로서 브레이크 지속장치의 필요시에만 가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차량 정체시에 운전자가 시스템 작동 선택스위치(19)를 온(on)시키므로서 작동 개시된다. 물론 여기서 정상적인 차량 주행시에는 시스템 작동 스위치(19)를 오프(off)시켜 본 발명장치를 사용하지 않게 된다.
다음, 차량 정체시에 본 발명 장치의 가동에 따른 작용을 설명한다.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2)를 밟게 되면 마스터 실린더(1)의 피스톤(3) 전진이동으로 인해차량이 정지되는 동시에 브레이크풀 감지센서(17)에 의해 브레이킹 감지신호가 제어기(16)로 전달된다.
따라서, 제어기(16)는 전기식 엑츄에이터(15)를 온(on) 작동시키므로서 전기식 엑츄에이터(15)가 지속용 실린더(10)의 피스톤(14)을 전진 이동시키게 되고, 이에따라 가압용 오일(O')이 압축되므로서 유압이 상승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유압이 상승되는 가압용오일(O')의 유압력은 마스터실리더(1)의 브레이크 오일(O)의 유압력과 동일하거나 또는 더욱 큰 유압력으로 상승되어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므로 상기 상태에서 운전자가 브레이크페달(2)에서 발을 떼어도 가압용오일(O')의 상승 유압력에 의해 마스터실린더(1)의 피스톤(3)은 후진 이동되는 복귀동작을 하지 못하게 되므로서 브레이킹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되고, 이러한 브레이킹 상태는 차량의 출발을 위한 엑셀페달(미도시)을 밟지 않는 한 계속 유지되게 되기 때문에 차량은 정지상태로 있게 된다.
다음, 본 발명 장치의 해지 동작을 설명한다. 운전자가 차량을 출발시키기 위해 엑셀페달을 밟게 되면 연료공급 계통의 드로틀 밸브(미도시)가 개도되게 되는데, 이러한 개도상태를 드로틀 밸브 개도감지센서(18)가 감지하여 제어기(16)로 신호전달을 하게 되고, 아울러 제어기(16)는 전기식 엑츄에이터(15)를 오프(off)시키게 된다.
따라서, 지속용 실린더(10)의 피스톤(14)이 전진 상태의 구속에서 해제되게 되므로 가압용 오일(O')의 유압력이 소전됨에 따라 마스터 실린더(1)의 피스톤(3)이 복귀되는 상태가 되어 각각의 휠실린더로 공급되었던 유압이 복귀되므로서 브레이킹이 해제되게 되기 때문에 차량 출발에 방해를 주지않게 된다.
이상의 설명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해 브레이크 페달을 계속 밟고 있지 않아도 브레이킹 상태가 유지되고 차량출발시에는 브레이킹이 해제되므로 차량정체시에 효율적으로 사용하게 됨에 따라 운전자의 피로감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게 되는 편익성을 주는 효과와 더불어서 브레이크 기능의 향상과 오르막길 출발시에 차량이 뒤로 밀리지 않고 출발 가능하게 하는 경우에도 활용할 수 있으므로 보다 안전 운행을 도모하게 하는 효과도 제공하게 된다.

Claims (3)

  1. 브레이크 페달에 의해 전진되고 스프링에 의해 복귀되는 피스톤을 구비하는 마스터 실린더에 설치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실린더의 피스톤을 가압하는 가압용 오일의 유압력을 상승시키도록 하는 피스톤과 스프링 및 커넥팅로드를 구하하며, 마스터 실린더의 일단에 설치되는 지속용 실린더와,
    상기 가압용 오일의 압력 상승 및 소진에 의해 마스터 실린더 피스톤의 복귀동작 차단과 해제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지속용 실린더의 피스톤을 구동시키는 엑츄에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브레이크 지속장치.
  2. 상기 전기식 엑츄에이터가 브레이크 풀 감지센서와 드로틀밸브 개도감지센서의 신호를 전달받는 제어기에 의해 제어되는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자동차의 브레이크 지속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전기식 엑츄에이터와 제어기가 시스템 작동 선택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온,오프 되도록 구성되는 자동차의 브레이크 지속장치.
KR1019950067741A 1995-12-30 1995-12-30 자동차의 브레이크 지속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2230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67741A KR100223069B1 (ko) 1995-12-30 1995-12-30 자동차의 브레이크 지속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67741A KR100223069B1 (ko) 1995-12-30 1995-12-30 자동차의 브레이크 지속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0566A KR970040566A (ko) 1997-07-24
KR100223069B1 true KR100223069B1 (ko) 1999-10-15

Family

ID=19447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67741A Expired - Fee Related KR100223069B1 (ko) 1995-12-30 1995-12-30 자동차의 브레이크 지속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306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6304B1 (ko) 2005-12-23 2007-01-12 심종택 운전자의 편익 증진용 페달연동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49621B (zh) * 2014-08-08 2017-02-15 江苏大学 一种具有自适应刹车功能的油门踏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6304B1 (ko) 2005-12-23 2007-01-12 심종택 운전자의 편익 증진용 페달연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0566A (ko) 1997-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20029914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road speed of a motor vehicle
US706339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a desired deceleration of a vehicle
US8172338B2 (en) Method for shutdown of vehicle brakes
KR100223069B1 (ko) 자동차의 브레이크 지속 장치
US3063526A (en) Combination brake and accelerator control
JPH11263211A (ja) 電気制御ブレーキシステムのブレーキ制御方法
JPS61257354A (ja) 制動油圧保持装置
KR100217659B1 (ko) 자동차용 주차 브레이크 장치
KR100208600B1 (ko) 밀림방지용 제동장치
KR0131244B1 (ko) 자동차용 브레이크 장치
KR100369165B1 (ko) 에이비에스 차량의 주차 브레이크 제어장치 및 방법
KR100303179B1 (ko) 자동차의 자동제동 잠금장치
KR100383951B1 (ko) 차량의 브레이크장치
JP6355070B2 (ja) 車両の停止維持装置
KR19990019592U (ko) 차량용 브레이크 작동 유지장치
JPH0920230A (ja) ブレーキ制御装置
JPH04118343A (ja) ブレーキ装置
KR200146869Y1 (ko) 파킹 브레이크 자동조작장치
JPH0732302Y2 (ja) 制動補助装置
KR0117373Y1 (ko) 정지후 출발시의 후진 방지 장치
KR100207212B1 (ko) 안전 브레이크 장치
KR0120189Y1 (ko) 전원스위치로 작동되는 자동차 주차브레이크장치
KR19980049342A (ko) 전자제어 부스터를 이용한 자동차 주차 브레이크 장치
KR19980015570U (ko) 자동변속기 자동차의 브레이크 장치
KR19980044935U (ko) 자동차의 경사로 밀림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51230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7031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5123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901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06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07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907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306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