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21052B1 - 신체고정용 부목재 - Google Patents

신체고정용 부목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1052B1
KR100221052B1 KR1019970038218A KR19970038218A KR100221052B1 KR 100221052 B1 KR100221052 B1 KR 100221052B1 KR 1019970038218 A KR1019970038218 A KR 1019970038218A KR 19970038218 A KR19970038218 A KR 19970038218A KR 100221052 B1 KR100221052 B1 KR 1002210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weight
splint
water
buffer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82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5871A (ko
Inventor
임상현
강진규
최윤소
Original Assignee
백정호
주식회사동성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정호, 주식회사동성화학 filed Critical 백정호
Priority to KR10199700382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1052B1/ko
Publication of KR199900158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58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10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10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long-term immobilising or pressure directing devices for treating broken or deformed bones such as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61F5/058Spli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4Plaster of Paris bandages; Other stiffening banda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07Stiffening bandages
    • A61L15/08Stiffening bandages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s, e.g. plaster of Par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07Stiffening bandages
    • A61L15/10Stiffening bandages containing organic materi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균성과 발수성을 가지는 신체고정용 부목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물리적인 방법으로 미세 천공을 만들어 수분 침투가 용이하고 건조가 빠르도록 한 표지층, 유리섬유 기재에 수분경화형 폴리우레탄 수지가 코팅된 캐스트 테이프층, 그리고 방수 처리된 폴리올레핀계 섬유에 항균 방취제로 처리한 합성 필라멘트 섬유가 포함된 완충시이트층이 차례로 적층되어 있어서, 소량의 물을 직접 표지층에 분무하여도 충분한 양의 수분이 침투되므로 시술시 물에 침지 시키지 않고도 경화를 개시시킬 수 있어서 시술 및 이용자의 편의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부목재로서 요구되는 우수한 물성을 가지면서도 발수성 및 항균, 방취효과가 부여된 신체고정용 부목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신체고정용 부목재
본 발명은 항균성과 발수성을 가지는 신체고정용 부목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물리적인 방법으로 미세 천공을 만들어 수분 침투가 용이하고 건조가 빠르도록 한 표지층, 유리섬유 기재에 수분경화형 폴리우레탄 수지가 코팅된 캐스트 테이프층, 그리고 방수 처리된 폴리올레핀계 섬유에 항균 방취제로 처리한 합성 필라멘트 섬유가 포함된 완충시이트층이 차례로 적층되어 있어서, 소량의 물을 직접 표지층에 분무하여도 충분한 양의 수분이 침투되므로 시술시 물에 침지 시키지 않고도 경화를 개시시킬 수 있어서 시술 및 이용자의 편의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부목재로서 요구되는 우수한 물성을 가지면서도 발수성 및 항균, 방취효과가 부여된 신체고정용 부목재에 관한 것이다.
경화성 물질로 피복된 캐스팅 테이프는 수 십년 동안 의료용 지지밴드로 널리 상업화 되어 왔다. 종래에는 경화성 물질로는 석고를 주로 사용하여왔고, 석고 캐스팅 테이프를 이용한 반기브스 제품에 관한 기술내용이 미국특허 제 3,900,024 호에 공지되어 있다. 이 경우 제품의 무게가 무겁고, 공기 투과성이 좋지않아 착용시 쾌적함이 부족하고 X-선 투과성이 좋지 않은 단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상기 석고를 플라스틱 재료로 대체하려고 하는 연구가 많이 진행되었으며, 그 중에서도 비닐초산계 고분자나 수분경화성 폴리우레탄 수지에 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고, 이를 이용하여 석고붕대 대체용 재료인 캐스팅 테이프(casting tape) 및 반기브스 제품(splint)이 개발되어 상업화되고 있다.
미국특허 제 3,420,231 호에는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한 캐스트의 제조에 관한 내용이 개시되어 있으며, 미국특허 제 3,630,194 호, 제 3,421,501 호, 제 4,344,423 호에는 비닐단량체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키는 방식의 캐스트 제조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으나, 상기의 수지들은 가공이 용이하지 않은 단점을 가지고 있어서, 상업화에는 큰 실효를 거두지는 못하였다.
미국특허 제 4,627,424 호, 제 4,502,479 호, 제 4,376,438 호에는 이소시아네이트 말단을 가지는 수분경화형 수지인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를 유리섬유 기재에 코팅시킨 폴리우레탄 캐스트 제품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으며, 수분경화형 수지 개량에 관한 연구도 많이 진행되어 왔다. 이러한 예로 미국특허 제 4,774,937 호, 제 4,667,611 호에서는 수지에 친수성기와 폴리실록산을 도입하여 시술시 손에 끈끈하게 달라붙는 점착특성을 감소시킨 내용이 개시되어 있고, 미국특허 제 4,705,840 호, 제 4,433,680 호에는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의 경화반응에 효과적으로 작용하는 촉매에 대해 기술하였다.
상기의 수지들을 이용한 반기브스 제품에 관한 예로는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를 열린-셀 구조의 폼에 함침시켜 반기브스 제품으로 응용한 기술이 미국특허 제 5,002,047 호에 개시되어 있고, 미국특허 제 4,442,833 호에는 섬유 구조물에 경화성 수지를 함침시켜 만든 캐스트층을 방수성을 갖는 플라스틱 필름으로 구성된 표지와 닫힌 셀 구조의 폼으로 구성된 완충 시이트 사이에 적층시켜 제조한 3층 구조의 반기브스에 관한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미국특허 제 5,027,803 호에서는 이소시아네이트 말단을 가지는 예비중합체가 함침된 경화 시이트를 플루오르 케미칼, 실리콘 또는 상기 두 물질의 혼합물로 발수 처리된 부직포, 니트, 직물, 폼 등의 표지층 사이에 적층시켜 제조한 반기브스 제품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에 언급한 반기브스 제품은 현재 널리 상업화되어 응용되고 있는 제품들이다. 그러나, 이러한 수분경화성 반기브스 제품은 석고 제품에 비해 강도가 부족하고 수지를 경화시키기 위하여 시술시 물에 침지 시키는 과정이 필요하므로 침투된 수분의 제거가 용이하지 않아 착용시 불쾌감 및 세균 번식의 원인이 되었다. 또한, 기존의 반기브스 제품들은 장시간 착용시 땀등으로 인한 세균 번식등으로 야기되는 심한 악취가 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자들은 종래의 반기브스 제품에 있어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많은 노력을 한 결과, 수분의 침투가 용이하고 수분 침투 후 건조가 빠른 표지층과 수분의 침투를 막고 항균, 방취성이 부여된 완충시이트층 사이에 수분 경화성 캐스트 테이프층을 적층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미세천공을 가지고 있으며, 습윤처리가 되어 있는 표지층에 물을 직접 분무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한 양의 수분이 침투되고 이로 인하여 경화가 가능하여 시술자 및 이용자의 편의를 제공하며 강도가 뛰어나면서도 항균, 방취효과를 가지는 신체 고정용 부목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신체고정용 부목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신체고정용 부목재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품과 종래 제품과의 탈수도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a : 표지층 1b : 캐스트 테이프층
1c : 완충시이트층 1d : 재봉선
본 발명은 미세천공을 가지고 있고 습윤처리가 된 표지층, 유리섬유를 기재로하여 수분경화성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가 코팅된 캐스트 테이프층, 그리고 항균 방취제로 처리된 완충시이트층이 적층된 신체고정용 부목재를 그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은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수분 침투가 용이한 표지층과 항균 및 방수처리된 완충시이트층 사이에 수분경화성 폴리우레탄 예비 중합체가 코팅된 캐스트 테이프층이 적층된 신체고정용 부목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신체 고정용 부목재를 첨부도면 도 1 및 도 2를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표지층(1a)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폴리올레핀계 섬유, 폴리에스터, 레이온 중에서 선택되어 제조된 부직포를 사용한다. 이들 부직포의 표면에는 미세한 천공이 있어 물의 침투를 용이하게 하고 캐스트 테이프층의 수지가 베어나오지 않게 한다. 부직포 표면에 천공을 형성하는 방법은 공지의 방법으로서, 예를 들면 카딩(carding)된 웹(web)을 엠보싱 롤(embossing roll)을 이용하여 열융착하는 것과 같은 물리적 방법에 의한다. 또한, 표지층(1a)에 도입되는 부직포에는 미세한 천공 이외에도 사용되는 단섬유에 대전방지제 및 친수제를 스프레이(spray)하는 방법으로 습윤 처리함으로써 소량의 물을 직접 표지층(1a)에 분무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한 양의 수분이 침투되어 시술시 본 발명의 부목재를 물에 침지시키지 않고도 경화를 개시시킬 수 있어 시술자 및 이용자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표지층(1a)에 사용되는 섬유 중에서도 폴리프로필렌 부직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바, 이는 부직포의 미세천공을 통해 수분을 빠르게 통과시키지만, 그 자체가 소수성 섬유이므로 수분을 흡수하지 않기 때문에 시술 후 수분의 증발이 빠르고, 표면이 항상 건조한 상태로 유지되어 이용자에게 쾌적함을 제공하는 것이다.
캐스트 테이프층(1b)은 현재 상업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편직된 캐스트 기재에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를 코팅한 후, 이것을 6 ∼ 11겹 가량 적층하여 구성된다. 이처럼 여러 겹으로 적층시키는 것은 제조된 부목재를 신체에 고정시키기에 효과적인 강도를 얻기 위함이며, 11겹보다 많은 층으로 캐스트 테이프층이 적층되면 사용한 경우에는 신체부위에 따른 자유로운 형태 변형에 제약이 따른다.
상기의 캐스트 기재는 유리섬유 또는 합성섬유로 편직된 테이프를 사용하는 바,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75 1/0(ECG)의 규격을 갖는 유리섬유로 편직되며, 편직된 캐스트 기재는 204개/인치 이상의 오픈 메쉬수를 가지고 있으며, 위사 방향으로 27 ∼ 32%의 신율을 갖고, 경사 방향으로는 17 ∼ 24%의 신율을 갖는 것이다.
또한, 상기 캐스트 기재에는 강도강화 및 점도 유지능이 우수한 수분경화성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를 코팅한다. 수분경화성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는 폴리올 성분 30 ∼ 45 중량%,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 성분 50 ∼ 70 중량%를 주성분으로 하고 보관 안정성을 위해 적은 양의 저장안정제와 경화 반응에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3차 아민계 촉매를 반응시켜 제조된다.
상기 폴리올 성분의 조성은 폴리카프로락톤 10 ∼ 30 중량%,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5 ∼ 45 중량% 및 폴리프로필렌 트리올 40 ∼ 75 중량%가 함유되어 있으며, 특히 다관능기를 가지는 폴리프로필렌 트리올이 충분히 가교결합을 형성시키는 가교제로서 작용함으로써 강도를 강화하고 적절한 점도를 유지하며 장시간 보관시의 흐름성 개선에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는데 가장 큰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은 조성의 폴피올 성분이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내에 30 중량% 미만 함유되면 점도가 낮아 저장성이 좋지 못하고, 45 중량%를 초과하여 과량 함유되면 점도가 높아 가공에 문제가 많다.
그리고,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 성분으로는 미국특허 제 4,433,680 호에서 개시한 일반적인 액상-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L-MDI) 또는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MDI)를 사용한다. 이때,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의 사용량이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내에 50 중량% 미만 함유되면 고점도가 되고, 70 중량%를 초과하여 함유되면 점도가 너무 낮아지게 되며 방향족 디이소시아네이트 과다로 인한 안정성에도 문제가 있다.
완충시이트는 방수처리된 폴리올레핀계 섬유에 항균 방취제로 처리한 합성 필라멘트 섬유를 접속시켜 제조된 부직포를 사용하여 항균 방취효과의 기능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반기브스를 오랜기간 착용하면, 외부 오염물질 및 땀 등으로 인한 미생물 번식으로 악취가 발생하며, 위생상태가 불결하게 된다. 이러한 미생물로는 세균, 곰팡이, 바이러스, 효모 등이 있으며, 그 중에서도 인체 및 플라스틱에 영향을 미치어 냄새를 유발하는 것은 토양 및 피부에 서식하는 세균인 스테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방수처리된 폴리올레핀계 섬유 또는 폴리에스터 섬유와 항균 방취제로 처리한 합성 필라멘트 섬유를 접속시켜 제조된 부직포를 사용하여 미생물의 소멸 및 성장억제 기능을 가지며, 항균 방취효과의 기능을 부여한다.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항균제로는 자연의 생물로부터 추출하여 제조된 천연계 항균제, 질소, 산소, 황등으로 구성된 유기계 항균제 또는 무기담체와 항균 금속(Ag, Cu, Zn등)으로 구성된 무기계 항균제가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인체에 무해하고, 항균력이 우수하며, 효과가 오랜시간 지속되는 무기물계 항균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완충시이트층에 항균성을 부여하는 방법으로는 고상의 항균제를 부직포 제조시 섬유에 분산시키는 방법이 있는데, 이는 분산이 균일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항균효과의 균일성이 떨어지고, 항균제가 제대로 접속되지 않은 경우, 가루가 떨어져서 호흡기 장애를 일으키거나 시술시 미관이 좋지 않게 되고 가공이 용이하지 않은 단점이 있다. 또다른 방법으로는 액상의 항균제를 부직포 표면에 도포하는 방법이 있지만 대부분 유기계 항균제를 사용하게 되어 직접 접촉시 피부자극 등의 부작용 및 변색을 일으킬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합성 섬유 원료액에 항균제를 처리하여 방사한 섬유, 특히 폴리아세테이트 방사원액에 항균방취제를 처리하여 방사된 폴리아세테이트 섬유를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와 같은 합성섬유,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폴리프로필렌과 혼합하여 부직포를 제조한다.
본 발명에 유용한 항균처리된 섬유는 전체 부직포에 대하여 아세테이트계 항균섬유 5 ∼ 20 중량% 사용하며, 항균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10 ∼ 20 중량%를 사용하며, 피부와 직접 접촉하는 면에 보다 많은 양의 항균섬유를 분포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사용되는 항균섬유가 5 중량% 미만에서는 항균효과의 발휘 및 지속성이 떨어지며, 20 중량%보다 많은 양을 사용하면 항균 방취 섬유가 고가이기 때문에 원가 상승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의 방법으로 항균 방취 처리된 완충시이트층은 2 ∼ 7 ㎜의 두께를 갖도록 하며, 그 두께가 2 ㎜ 미만일 경우에는 딱딱한 캐스트 테이프층과 신체와의 접촉으로 인한 통증을 유발하여 완충의 역할을 효과적으로 제공하지 못하며, 7 ㎜ 보다 두꺼울 경우에는 시술시 인체 곡선에 따라 형태를 효과적으로 변형시키는 데 장애가 된다.
본 발명의 신체고정용 부목재는 표지층(1a)과 완충시이트층(1c)사이에 캐스트 테이프(1b)층이 적층되어 제조되며, 표지와 완충시이트층는 산업용 재봉기 2기를 이용하여 표지층과 완충시이트층의 양 측면을 재봉 방법 중 오버록(over-lock) 방법으로 재봉(1d)하여 봉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에는 표지와 완층시이트층을 양면 테이프, 접착제 또는 핫멜트 등을 사용하여 서로 접착하였다. 이때, 양면테이프를 사용할 경우에는 접착력이 떨어지거나, 공정상 번거로움이 있고, 접착제를 사용할 경우에는 용매의 증발로 인해 작업자 및 시술자에게 불쾌감과 건강에 해로운 영향을 끼칠 수 있으며, 핫멜트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봉합시 열원이 필요하고, 봉합 후의 감촉 및 외관에 좋지 않게 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도입한 재봉에 의한 표지층-완충시이트층 간의 봉합방법은 연속 작업에 있어서의 가공성 향상 및 가공 환경에 유리한 영향을 주고, 우수한 접합력 및 깨끗한 외관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는 바, 본 발명이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표지층(1a) 제조
굵기 2데니어 길이 40㎜인 폴리프로필렌 단섬유를 사용하여 미세천공을 가지는 밀도가 2 × 10-4g/㎣인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캐스트 테이프층(1b) 제조
폴리올 성분으로서 폴리프로필렌글리콜(PP-750, 미원유화 제품) 21.6 중량%, 폴리카프로락톤(프라셀-212, 이또쯔사 제품) 5.4 중량%, 분자량이 400인 폴리프로필렌 트리올(GP-400, 산영화성 제품) 5.7 중량%, 분자량이 3,000인 폴리프로필렌 트리올 (GP-3000, 산영화성 제품) 2.6 중량%과 이소시아네이트 성분으로서 L-MDI(금호 미쯔이상사 제품) 64.7 중량%와 저장안정제로 벤조일 클로라이드와 3차 아민촉매인 DMDEE(dimorpholinodiethylether)를 반응시켜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를 제조하였으며, 이때 제조된 중합체는 30℃에서 12,000 cps의 점도를 나타내며, 13.8%의 NCO%를 가졌다.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를 유리섬유에 대하여 42 중량% 도포하여 코팅하였다.
완충 시이트층(1c) 제조
아세테이트계 항균섬유(상품명: Microsafe AMTM, HOEDHST CELANSE TEXTILE FIBERS GROUP 제품)를 폴리프로필렌 부직포 총중량에 대하여 5 중량%를 접속시켜 제조된 완충시이트를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제조된 완충시이트층(1c), 캐스트 테이프층(1b) 8겹, 표지층(1a)을 아래에서부터 차례로 적층시켜 산업용 재봉기를 사용하여 오버록하는 방법으로 재봉하여 봉합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폴리프로필렌 부직포 총중량에 대하여 항균섬유를 10 중량%를 접속시켜 제조된 완충시이트층을 사용하여 신체고정용 부목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폴리프로필렌 부직포 총중량에 대하여 항균섬유를 15 중량%를 접속시켜 제조된 완충시이트층을 사용하여 신체고정용 부목재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굴곡 강도 측정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부목재의 굴곡강도와 종래 시판되고 있는 타사 제품의 굴곡 강도를 ASTM D790-86의 시험방법으로 실시하여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scotch cast(1)(one-step splint*) Orthoglass(2)
폭 (mm) 99.5 106 125.3
두께 (mm) 4.9 5.9 5.62
최대하중 (Kgf) 53.4 21.9 38.2
최대강도 (Kgf/mm2) 3.4 0.89 1.48
초기 탄성률(Kgf/mm2) 243.5 66.15 98.8
주식회사 (1) 3M사 제품 (2) Smith & Nephew사 제품 one-step splint*: 4 inch × 15 inch 크기의 제품
상기 표 1에서 보면 상기언급한 다관능기를 갖는 폴리올을 사용하여 예비중합체의 가교도를 높인 결과로 인해 타사제품에 비해 2배 이상 우수한 경도 및 강도를 제공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탈수도 측정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표지층의 부직포를 130 ㎜ × 300 ㎜의 크기로 잘라 시편을 만들고, 이 시편을 20℃의 물에 120초간 침지시킨 후 꺼내어 중량을 잰 후 30℃ 오븐에서 건조시켜 시간에 따른 중량의 변화로 탈수도를 측정하였다. 종래 시판되는 제품인 3M사의 Scotch CastTM(One-step splint)와 Smith & Nephew사의 OrthoglassTM의 표지층 및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로 제조된 부직포를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여 그 함수율의 변화를 첨부도면 도 3에 나타내었다.
첨부도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사용된 표지는 Orthoglass와 PET 부직포에 비해 월등히 우수한 탈수성을 보인다. Scotch Cast의 경우 초기 함수율이 본 발명품에 비해 낮은데, 그 이유는 화학적인 발수처리로부터 기인한 것이며, 함수율이 100 중량% 이하로 내려가는 시점과 완전히 건조가 되는 시점은 본 발명품과 거의 대등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표지층의 부직포는 부가적으로 화학적인 발수처리를 하지 않고도 우수한 탈수성을 보임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항균성 측정
상기 실시예 1 ∼ 3에서 제조된 완층 시이트를 2㎝ × 2㎝의 크기로 잘라 시편을 만들고, 직물의 항균도 시험법(KSK-0693)으로 항균성 시험을 실시 하였다.
이때, 스테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균을 접종하여 그 결과를 다음 표 2에 나타내었다.
구 분 폴리프로필렌/항균섬유 (중량비) 균 감소율(%)
실시예 1 95/5 70.2
실시예 2 90/10 95.2
실시예 3 85/15 99.9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수분경화형 수지를 유리섬유에 코팅하여 제공된 테이프 캐스트 층과 수분의 침투가 용이하고 수분 침투 후 건조가 빠른 표지 층과 수분의 침투를 막고 항균성이 부여된 완충시이트층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물을 직접 표지층에 분무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한 양의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시술시 본 발명품을 물에 침지시키지 않고도 경화를 개시시킬 수 있고 강도가 뛰어나서 신체고정용 부목재로 매우 유용하다.

Claims (8)

  1. 미세천공을 가지고 있고 습윤처리가 된 표지층, 유리섬유를 기재로하여 수분경화성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가 코팅된 캐스트 테이프층, 그리고 항균 방취제로 처리된 완충시이트층이 적층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고정용 부목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지층은 폴리프로필렌 부직포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고정용 부목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스트 테이프층은 유리섬유를 기재로 하고 수분경화형 폴리우레탄 예비 중합체가 코팅된 층이 6 ∼ 11겹으로 적층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고정용 부목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는 폴리올 성분 30 ∼ 45 중량%,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 성분 50 ∼ 70 중량%가 함유되어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고정용 부목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 성분은 폴리카프로락톤 10 ∼ 30 중량%,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5 ∼ 45 중량% 및 폴리프로필렌 트리올 40 ∼ 75 중량%가 함유되어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고정용 부목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시이트층은 방수처리된 폴리올레핀 섬유, 바람직하기로는 폴리프로필렌 섬유에 폴리아세테이트 방사원액에 항균방취제를 처리하여 방사된 항균 방취섬유를 5 ∼20 중량%를 함유시켜 제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고정용 부목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시이트층은 2 ∼ 7 ㎜ 두께를 갖도록 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고정용 부목재.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지층과 완충시이트층은 산업용 재봉기 2기를 이용하여 오버록(over-lock)하는 방법을 통해 양측면을 동시에 재봉하여 봉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고정용 부목재.
KR1019970038218A 1997-08-11 1997-08-11 신체고정용 부목재 KR1002210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8218A KR100221052B1 (ko) 1997-08-11 1997-08-11 신체고정용 부목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8218A KR100221052B1 (ko) 1997-08-11 1997-08-11 신체고정용 부목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5871A KR19990015871A (ko) 1999-03-05
KR100221052B1 true KR100221052B1 (ko) 1999-09-15

Family

ID=19517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8218A KR100221052B1 (ko) 1997-08-11 1997-08-11 신체고정용 부목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105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2066B1 (ko) * 2001-09-25 2005-06-02 주식회사 티앤엘 정형외과용 부목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2859B1 (ko) * 2001-08-01 2004-05-31 이영찬 의료용 부목
JP4103102B2 (ja) * 2001-09-28 2008-06-18 アルケア株式会社 水硬化性固定材
KR100497902B1 (ko) * 2003-01-25 2005-06-29 이순옥 의료용 부목의 제조 방법
KR100773478B1 (ko) * 2005-08-05 2007-11-05 주식회사토마토엠앤씨 정형외과용 부목
KR100989427B1 (ko) * 2010-06-25 2010-10-28 (주)한동알앤씨 결합 및 해체가 용이한 깁스
CN116063971A (zh) * 2023-01-31 2023-05-05 临沂大学 一种湿固化聚氨酯胶黏剂及其制备方法与应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2066B1 (ko) * 2001-09-25 2005-06-02 주식회사 티앤엘 정형외과용 부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5871A (ko) 1999-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U741779A3 (ru) Перев зочный материал дл иммобилизации
US5445604A (en) Wound dressing with conformable elastomeric wound contact layer
US6595938B1 (en) Article having soft and hard regions
EP0035517B1 (en) Water-activated casting material
JPS5934263A (ja) 接着性創傷用保護材
CA2186781A1 (en) Medical articles
NZ199684A (en) Wound dressing;wound facing layer a conformable elastomeric integral net
US5997492A (en) Orthopedic casting articles containing backings having water soluble binders
KR100221052B1 (ko) 신체고정용 부목재
GB2093702A (en) Wound dressings for burns
US8337439B2 (en) Splint for orthopedic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0319261B1 (ko) 정형용 부목재 및 보조기
MXPA05001409A (es) Sustrato tejido con hilos de alta y baja tenacidad para usarse en producto de vendaje, producto de vendaje y metodo para formar el mismo.
KR100266962B1 (ko) 정형용부목재
KR100492066B1 (ko) 정형외과용 부목
KR20170143343A (ko) 의료용 부목
JPH03193047A (ja) 創傷被覆材
JPH0481466B2 (ko)
JPS6217060Y2 (ko)
JPS63209604A (ja) 靴内の殺菌・防臭方法及びそれに使用するインソ−ル
JP2001017532A (ja) 創傷被覆材
DE3033659A1 (de) Feuchtigkeitshaertbare verbandmaterialien
JP2003190197A (ja) スプリント材
JP2001017531A (ja) 創傷被覆材
DE7810092U1 (de) Stützverban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081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7081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04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06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906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6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61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51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6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6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62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61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60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25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625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