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발명은, 예를 들면 비디오카메라 등에 구비되어 회전조작과 누름조작이라는 두가지의 다른 조작에 의해 각각 전기신호를 출력하는 복합조작형 전기부품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비디오카메라에 회전조작형 전기부품인 가변저항기와 누름조작형 전기부품인 누름스위치를 서로 접근시켜 따로따로 각 위치에 설치하고, 가변저항기를 회전조작하여 전기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예를 들면 비디오카메라의 휘도를 조정하고, 누름스위치를 누름조작하여 다른 전기신호를 출력함으로써 각종 모드를 설정하도록 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의 기술에서는 가변저항기와 누름스위치를 따로다로 각각의 위치에 설치하고 있으므로, 회전조작과 누름조작과를 복합조작할 때, 이들 가변저항기와 누름스위치 사이에서 손가락 등을 이동시킬 필요가 있어 조작성이 나쁘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두개의 전기부품을 병설하여 수납하므로 수납공간이 커지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복합조작시의 조작성이 우수하고, 소형화에 적합한 복합조작형 전기부품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조작체의 회전조작시에 제1의 전기신호를 출력하는 도전패턴을 조작체에 구비하고, 조작체의 누름조작시에 제2의 전기신호를 출력하는 고정접점을 고정부재에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나의 조작체의 회전조작과 누름조작에 의해 두 종류의 전기신호가 출력되므로, 이 복합조작시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조작체의 회전동작시에 절도(節度)부재의 선단이 슬라이드 부재에 설치한 요철(凹凸)부에 걸고 벗겨지는 것에 의해 클릭감이 생기고, 회전조작시의 클릭기구를 조작체에 넣을 수 있으므로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절도부재에 한쌍의 탄성암을 설치하고 그 탄성암을 슬라이드 부재에 걸어 맞추어, 조작체의 회전조작시에 절도부재에 설치한 탄성암의 탄성력에 의해 그 절도부재가 요철부에 닿을때의 이동속도가 감속되어 그때의 충돌음이 작아지므로, 회전조작시의 소음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 슬라이드 부재의 개구에 절도부재를 삽입통과시키기 위하여 이들 개구와 절도부재의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이 필요하며, 조작체의 회전조작시에 절도부재가 회전방향으로 요동하는 동작, 소위 흔들림 동작이 발생하여 슬라이드 부재의 개구의 둘레부에 충돌할 우려가 있다. 그래서, 청구항 3에 기재한 발명은, 절도부재에 조작체의 이면에 맞닿는 탄성돌기를 설치하여, 이 탄성돌기의 선단이 조작체의 이면에 맞닿도록 하였다. 이것에 의해 절도부재에 흔들림 동작을 방지하는 마찰력이 부여되므로 절도부재와 슬라이드 부재와의 충돌에 따른 소음이 없어지며, 이점으로부터도 회전조작시의 소음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절도부재를 탄성재료로 형성하면, 그 절도부재의 요철부로의 가세(加勢)를 간단히 할 수 있다.
또한 절도부재에, 대략 작은 금화형상의 관통구멍을 형성한 환상부(環狀部)를 설치하며, 관통구먼에 원통체를 삽입함과 동시에 환상부에서 직경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를 마련하여 그 돌출부를 요철부에 걸고 벗기고 있으므로, 절도부재의 유지가 용이함과 동시에 절도부재 회전방향의 요동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복합조작형 전기부품에서는 도전패턴을 가지는 조작체와, 이 조작체를 회전가능하게 유지하는 슬라이드 부재와, 이 슬라이드 부재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유지하고 고정접점을 가지는 고정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슬라이드 부재에 상기 도전패턴 및 고정접점과 각각 접접(摺接)하는 접동자편을 설치함과 동시에, 그 슬라이드 부재의 안쪽둘레에 요철(凹凸)부를 형성하고 상기 조작체에는 상기 요철부에 탄성가세되어 선단이 그 요철부에 걸어지고 벗겨진다.
상기 조작체의 회전조작시에 상기 접동자편이 상기 도전패턴과 접접함으로써 제1전기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상기 절도부재의 선단이 상기 요철부에 걸어지고 벗겨짐으로서 클릭감을 생기게 하고, 그 조작체의 누름조작시에 상기 접동자편이 상기 고정접점과 접리(接離)함으로써 제2의 전기신호를 출력하도록 하였다.
또한 절도부재에 한쌍의 탄성암을 설치하고, 그 탄성암을 상기 슬라이드 부재에 걸어맞추어 상기 탄성암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절도부재가 요철부에 닿을때의 이동속도를 감속시켰다.
또한, 상기 절도부재에 조작체의 이면에 맞닿는 탄성돌기를 설치하여, 회전조작시에 절도부재와 슬라이드 부재의 개구둘레부와의 충돌을 방지하도록 하였다.
더우기, 상기 절도부재는 폴리에스텔 일래스토머(elastomer)등의 탄성재료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탄성암이나 탄성돌기를 탄성부재에 일체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도부재가 대략 작은 금화 형상의 관통구멍이 형성된 환상부와 이 환상부에서 직경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와를 가지며, 그 돌출부를 상기 요철부에 걸고 벗김과 동시에 상기 관통구멍에 상기 조작체와 연동하는 원통체를 삽입하여 절도부재의 유지를 용이하게 하고, 절도부재의 회전방향의 요동을 억제시켰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관계되는 복합조작형 전기부품의 단면도, 제2도는 그 복합조작형 전기부품을 슬라이드 조작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3도는 그 복합조작형 전기부품의 평면도, 제4도는 그 복합조작형 전기부품의 측면도, 제5도는 그 복합조작형 전기부품의 이면도, 제6도는 그 복합조작형 전기부품의 투시도, 제7도는 제6도의 A-A선을 따른 단면도, 제8도는 그 복합조작형 전기부품에서 조작체 및 코드판을 떼어낸 상태의 평면도, 제9도는 그 복합조작형 전기부품에 구비되는 슬라이드 부재의 평면도, 제10도는 그 복합조작형 전기부품에 구비되는 고정부재의 평면도, 제11도는 그 고정부재의 측면도, 제12도는 제10도의 B-B선을 따른 단면도, 제13도는 그 복합조작형 전기부품에 구비되는 코드판의 제조도중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제14도는 그 코드판의 단면도(단, 제1도와 90도 어긋난 위치로 단면되어 있다), 제15도는 그 복합조작형 전기부품에 구비되는 조작체의 단면도(단, 제1도와 90도 어긋난 위치로 단면되어 있다), 제16도는 그 복합조작형 전기부품에 구비되는 절도부재 및 탄성체의 설명도이다.
제1실시예의 복합조작형 전기부품은 제1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체(1)와, 이 조작체(1)에 회전가능하게 유지하는 슬라이드 부재(2)와, 이 조작체(1) 및 슬라이드 부재(2) 사이에 설치되며 하면측에 도전패턴(3)이 일체 형성된 코드판(4)과, 슬라이드 부재(2)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유지하는 고정부재(5)와, 이 조작체(1)와, 코드판(4), 슬라이드 부재(2) 및 고정부재(5)를 관통하는 지축(6)과, 거의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슬라이드 부재(2)에 복귀력을 부여하는 되돌림 스프링(7)과, 코드판(4)에 이동가능하게 유지되어 조작체(1)의 회전조작시에 클릭(절도)감을 부여하는 예를 들면 수지제의 절도(節度)부재(8)와, 이 절도부재(8)를 눌러 가세하는 판상의 탄성체(9)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
제15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조작체(1)의 중앙부에는 지축(6)을 삽입통과시키기 위한 삽입통과 구멍(10)이 마련되어 있고, 또한 제1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조작체(1)에서 하방으로 3개의 돌기(1a)가 돌출되어 있다. 제6도, 제7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코드판(4)은, 원형기판(11)의 바깥둘레에 세워서 설치된 외측의 원통체(12)와, 기판(11)의 중앙부에 입설된 내측의 원통체(13)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외측의 원통체(12)에는 상기 돌기(1a)가 각각 끼워맞춰지는 3개의 끼워 맞춤구멍(14)과, 절도부재(8)가 삽입통과하는 개구(15)가 형성되어 있고, 내측의 원통체(13)에는, 지축(6)을 삽입통과시키기 위한 삽입통과 구멍(16)이 마련되어 있다. 한편, 이와 같은 코드판(4)은, 제13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전성을 가지는 한장의 금속판(17)과 수지(18)를 일체 형성한 후, 그 금속판(17)의 잘록한 부분(17a)을 절단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제8도, 제9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드 부재(2)에는 거의 환원상의 환상부(19)와, 이 환상부(19)의 한복판을 가로지르는 연결부(20)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 연결부(20)의 중앙에는 지축(6)을 삽입 통과시키기 위한 삽입 통과구멍(21)이 마련되고, 연결부(20)에서 슬라이드 방향의 전방(제8도, 제9도의 오른쪽 방향)을 향해 하향의 접동자편(22a∼22d)이 돌출되고, 연결부(20)에서 슬라이드 방향의 후방(제8도, 제9도 왼쪽 방향)을 향해 상향의 접동자편(23a∼23d)이 돌출되어 있다. 또한, 상기 환상부(19)의 안쪽둘레에는 절도부재(8)의 선단이 걸어 맞추어지는 요철(凹凸)부, 예를 들면 걸어맞추기 홈(19a)이 같은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슬라이드 부재(2)는 제8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전성을 가지는 한장의 금속판(24)과 수지(25)를 일체 형성한 후, 그 금속판(24)의 잘록한 부분(24a)을 절단함으로써 중앙근처의 접동자편(22d,23d)에서 측부의 A상용(相用) 접동자편(22a,23a)를 떼어내고, 중앙 근처의 다른 접동자편(22c,23c)에서 측부의 B상용(相用) 접동자편(22b,23b)을 떼어내어 제조된다. 더우기 상기 환상부(19)의 슬라이드 방향의 전방에는 되돌림 스프링(57)과 맞닿는 돌기(26)가 형성되어 있다.
제11도, 제12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5)에는, 슬라이드 부재(2)의 슬라이드 방향을 따라 형성된 고정접점(27a,27b,27c) 및 스위치패턴(27d)과, 이들 고정접점(27a,27b,27c) 및 스위치 패턴(27d)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외부단자(28a∼28d)가 일체 형성되어 있다. 한편, 고정접점(27c)은 코몬(common)용이며, 다른 고정접점(27a,27b)은 각각 A상용, B상용이다. 또한, 고정부재(5)의 중앙부에는 지축(6)을 삽입통과시키기 위한 긴 구멍(29)이 마련됨과 동시에, 제5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면측에는 지축(6)하단의 플랜지(6a)를 받아들이는 타원상의 오목(凹)부(30)가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부(30)의 앞측(슬라이드 방향의 후방)에는 제1도, 제2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부(端部)를 향해 상방으로 경사지는 테이퍼면(30a)이 형성되어 있고, 뒤측(슬라이드 방향의 전방)은 평면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더우기, 상기 고정부재(5) 상면의 양측부에는 슬라이드 부재(2)를 슬라이드 방향으로 안내하는 한쌍의 벽부(31,32)가 세워져 설치되어 있고, 한쪽의 벽부(31)에는 되돌림 되돌림 스프링(7)의 자유단(7a)을 받아들이는 안내부(33)가 형성되며, 다른쪽의 벽부(32)에는 그 되돌림 스프링(7)의 절곡(折曲)부(7b)를 받아들이는 수납부(34)가 마련되어 있다. 제10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안내부(33)는 벽부(31)의 측면과 바닥면을 개구한 공간이며, 이 공간의 윗면에는 반원통상의 돌출부(3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고정부재(5)의 상면에는 안내부(33)의 개구를 향하는 오목상의 단락부(36)가 형성되어 있고, 이 단락부(36)의 안내부(33)에 근접한 일단에는 하향으로 경사지는 모따기(chamfer)(36a)가 행해져 있다.
제6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되돌림 스프링(7)은 자유단(7a)의 선단을 안내부(33)에 삽입함과 동시에 절곡부(7b)를 수납부(34)에 삽입한 상태에서 고정부재(5)에 장착되어 있어, 슬라이드 부재(2)의 돌기(26)가 되돌림 스프링(7)의 자유단(7a)에 맞닿음으로써 슬라이드 부재(2)에 대하여 복귀력을 부여하고 있다.
제16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절도부재(8)는 대략 잦은 금화 형상의 관통구멍(37)이 형성된 환상부(38)와, 이 환상부(38)에서 직경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39)로 구성되어 있다. 제6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절도부재(8)는 상기 코드판(4)의 외측원통체(12)내에 배치되고, 관통구멍(37)에 코드판(4)의 내측원통체(13)가 삽입됨과 동시에, 돌출부(39)가 외측원통체(12)의 개구(15)에 삽입통과되어 있다. 또한, 절도부재(8)를 누르는 탄성체(9)는 그 양단이 코드판(4)의 외측원통체(12)에 유지되고 중앙부가 절도부재(8)의 환상부(38)에 탄성접촉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상향의 접동자편(23a∼23d)과 하향의 접동자편(22a∼22d)중에서, 접동자편(23a)과 접동자편(22a), 접동자편(23b)과 접동자편(22b), 및 접동자편(23c,23d)과 접동자편(22c,22d)이 각각 슬라이드 부재(2)의 내부에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향의 접동자편(23a,23b)은 도전패턴(3)의 궤적상에 위치하고 있고, 나머지 접동자편(23c,23d)은 코드판(4)의 금속판(17)과 항상 접촉하고 있다. 더우기, 하향의 접동자편(22a∼22c)은 각각 고정접점(27a∼27c)에 항상 접촉하고 있지만, 나머지 접동자편(22d)은 고정접점(27d)과 접리(接離) 가능하게 대향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조작체(1)를 정,역중의 어느 한 회전조작을 하면, 조작체(1)에 연동하여 코드판(4)도 회전하고, 접동자편(23a,23b)이 도전패턴(3)과 주기적으로 접리하므로, A상용 외부단자(28a)와 코몬용 외부단자(28c)간, 및 B상용 외부단자(28b)와 코몬용 외부단자(28c)간에서 각각 제1의 전기신호가 출력된다. 그 때, 코드판(4)의 회전과 함께 절도부재(8)의 돌출부(39) 선단이 슬라이드 부재(2)의 걸어맞추기홈(19a)에 걸어지고 벗겨지므로, 조작체(1)를 회전할 때마다 클릭감이 생긴다.
또한, 조작체(1)를 제1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상태에서 오른쪽 방향으로 슬라이드 조작하면, 고정부재(5)에 대하여 조작체(1)와 코드판(4), 슬라이드 부재(2) 및 지축(6)이 일체적으로 이동하여, 그 지축(6)의 플랜지(6a)가 고정부재(5) 하면측의 오목부(30)내를 접동한다. 그 때, 하향의 접동자편(22a∼22c)은 고정접점(27a∼27c)상을 각각 접동하므로, 접동자편(23a)과 A상용 외부단자(28a)의 전기적 접촉, 접동자편(23b)과 B상용 외부단자(28b)의 전기적 접촉, 및 접동자편(23c,23d)과 코몬용 외부단자(28c)의 전기적 접촉은 각각 유지된다. 그리고, 조작체(1)를 제2도에 나타내는 이동단부까지 슬라이드 조작하면 나머지 하향접동자편(22d)이 스위치패턴(27d)에 접촉하여, 코몬용 외부단자(28c)와 스위치용 외부단자(28d)가 도통하므로, 그 외부단자(28d)에서 제2의 전기신호가 출력된다. 그 때, 되돌림 스프링(7)의 자유단(7a)은 슬라이드 부재(2)의 돌기(26)에 눌려져 탄성 변형하고, 자유단(7a)의 선단이 고정부재(5)의 안내부(33)내를 이동하므로, 되돌림 스프링(7)의 자유단(7a)이 돌출부(35)를 넘는 것에 의해 클릭감이 생긴다. 이 때, 되돌림 스프링(7)의 자유단(7a)은 상하방향(슬라이드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도 이동하지만, 이 방향의 이동은 선단에 모따기(36a)를 가지는 단락부(36)내에서 이루어지므로 되돌림 스프링(7)의 자유단(7a)은 고정부재(5)에 걸리지 않고 이동하여 확실한 클릭감을 얻을 수 있다. 한편, 제2도에 나타내는 상태에서 조작체(1)에서 손을 떼면 되돌림 스프링(7)의 힘에 의해 조작체(1), 코드판(4), 슬라이드 부재(2) 및 지축(6)이 제1도에 나타내는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간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조작체(1)를 회전 또는 누름조작하는 것에 의해, 각각 다른 전기신호가 출력됨과 동시에, 그 조작체(1)의 회전 및 슬라이드 조작시에 각각 클릭감을 얻을 수 있으므로 복합조작시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회전조작시의 클릭감을 생기게 하는 절도부재(8)를 코드판(4)에 넣으므로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누름조작시의 클릭감을 생기게 하는 클릭기구도 되돌림 스프링(7)의 자유단(7a)을 돌출부(35)에 걸고 벗기기만 하는 단순구조이므로, 회전조작시의 클릭기구와 더불어 소형이며 얇은 복합조작형 전기부품을 제공할 수 있다. 더구나, 누름조작시의 클릭감을 생기게 하는 클릭기구로서 금속구를 이용하지 않으므로 소음을 저감할 수도 있다.
더우기 상기 실시예에서는, 고정부재(5)의 오목부(30)의 일부(슬라이드 방향의 후방)에 상방으로 경사지는 테이퍼면(30a)을 형성하였으므로, 되돌림 스프링(7)의 탄성력을 비교적 작은 값으로 설정하였다고 하여도, 조작체(1)의 누름조작을 확실히 행할 수 있다. 즉 조작체(1)의 누름상태를 해제하였을 때, 지축(6)은 되돌림 스프링(7)의 탄성력만으로 제2도에서 제1도의 상태로 되돌아오려고 하지만 지축(6) 진행방향의 상방으로 경사지는 테이퍼면(30a)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지축(6)의 플랜지(6a)단부가 오목부(30)에 걸리지 않고 되돌림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조작체(1)를 제1도에서 제2도의 상태로 누름조작할 때, 지축(6)은 조작자의 큰 힘에 의하여 이동되므로, 플랜지(6a)가 오목부(30)에 걸리지 않고, 플랜지(6a)는 진행방향(슬라이드 방향의 전방)에 위치하는 오목부(30)의 평탄면을 따라 안정한 상태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각종의 변형예가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제17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탄성체(9)의 중앙부에 마련된 관통구멍(9a)에 절도부재(8)의 환상부(38)에 형성된 돌출부(38a)를 삽입하여도 되며, 이 경우 미리 절도부재(8)와 탄성체(9)가 일체화 되므로 조립 작업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되돌림 스프링(7)의 자유단(7a)을 이동방향을 따라 만곡시킬 수도 있으며, 이와 같이 하면 되돌림 스프링(7)의 자유단(7a)이 고정부재(5)에 걸리는 것을 한층 더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제18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관계되는 복합조작형 전기부품의 투시도, 제19도는 그 복합조작형 전기부품을 회전조작한 상태를 나타내는 투시도, 제20도는 그 복합조작형 전기부품에 구비되는 절도부재의 주요부 단면도, 제21도는 제18도의 A-A선을 따른 단면도, 제22도는 그 복합조작형 전기부품을 누름조작한 상태의 단면도, 제23도는 제18도의 B-B선을 따른 단면도, 제24도는 그 복합조작형 전기부품에 구비되는 탄성편의 동작을 설명하는 단면도,
제25도는 그 복합조작형 전기부품의 평면도, 제26도는 그 복합조작형 전기부품을 이면측에서 본 도면, 제27도는 그 복합조작형 전기부품으로부터 조작체 및 코드판을 떼어낸 상태의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복합조작형 전기부품은 제21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체(51)와, 이 조작체(51)를 회전가능하게 유지하는 슬라이드 부재(52)와, 이 조작체(51) 및 슬라이드 부재(52) 간에 연결되어 설치되고, 하면측면 도전패턴(53)이 일체적으로 형성된 코드판(54)과, 슬라이드 부재(52)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유지하는 고정부재(55)와, 이 조작체(51)와, 코드판(54), 슬라이드 부재(52) 및 고정부재(55)를 관통하는 지축(56)과 거의 U장 형상으로 형성되어 슬라이드 부재(52)에 복귀력을 부여하는 되돌림 스프링(57)과, 코드판(54)에 이동가능하게 유지되어 조작체(51)의 회전조작시에 클릭(절도)감을 부여하는 절도부재(58)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조작체(51)의 중앙부에는 지축(56)을 삽입통과시키기 위한 삽입통과 구멍(59)이 마련되어 있고, 제18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코드판(54)은 원형기판(60)의 바깥둘레에 세워설치된 외측의 원통체(61)와, 상기 기판(60)의 중앙부에 세워설치된 내측의 원통체(62)로부터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외측의 원통체(61)에는, 조작체(51)의 끼워맞춤 구멍(51a)에 각각 끼워 맞추어지는 3개의 돌기(63)와, 절도부재(58)가 삽입 통과하는 개구(64)가 마련되고, 내측의 원통체(62)에는 지축(56)을 삽입 통과시키기 위한 삽입통과 구멍(65)이 마련되어 있다.
한편, 환상부(66), 연결부(67), 삽입통과 구멍(68)은, 각각 전술(前述)한 제1실시예의 환상부(19), 연결부(20), 삽입통과 구멍(21)에 상당하고, 접동자편(69a∼69d), (70a∼70d)은 각각 접동자편(22a∼22d), (23a∼23d)에 상당한다. 또한, 걸어맞추기 홈(71), 금속판(72), 수지(73), 잘록한 부분(72a), 돌기(74)는 각각 걸어맞추기 홈(19a), 금속판(24), 수지(25), 잘록한 부분(24a), 돌기(26)에 상당하고, 고정접점(75a,75b,75c), 스위치 패턴(75d), 외부단자(76a∼76d)는 각각 고정접점(27a,27b,27c), 스위치 패턴(27d), 외부단자(28a∼28d)에 상단한다. 게다가, 긴 구멍(55a), 플랜지(56a), 오목부(77), 테이퍼면(77a)은 각각 긴 구멍(29), 플랜지(6a), 오목부(30), 테이퍼면(30a)에 상당한다. 상당하는 부재의 설명은 전술한 제1의 실시예와 같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고정부재(55)상면의 양측부에는 제18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 부재(52)를 슬라이드 방향으로 안내하는 한쌍의 벽부(78,79)가 세워져 설치되어 있다. 한쪽 벽부(78)의 상부에서 튀어나온 부분(80)이 내측으로 돌출되고, 제24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튀어나온 부분(80)의 하방에 슬라이드 부재(52)의 돌출부(52a)를 받아들일 수 있는 받음부(81)와, 되돌림 스프링(57)의 자유단(57a)을 안내하는 안내부(82)가 형성되고, 이 받음부(81) 및 안내부(82)가 칸막이 벽(83)에 의해 구분지어져 있다. 상기 받음부(81)는 슬라이드 방향의 후방 면, 내측의 측면 및 저면을 개구한 공간이며, 상기 안내부(82)는 내측의 측면 및 저면을 개구한 공간이다. 제18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른 쪽 벽부(79)의 상방에서도 튀어나온 부분(84)이 내측으로 돌출하고, 그 튀어나온 부분(84)의 하방에 슬라이드 부재(52)의 돌출부(52b)를 받아들일 수 있는 받음부(85)와, 되돌림 스프링(57)의 절곡부(57b)를 수납하는 수납부(86)가 마련되어 있다.
더우기, 상기 고정부재(55)의 안내부(82) 근방에는 되돌림 스프링(57)의 자유단(57a)의 이동방향(제27도의 상하방향)을 따라 슬리트(87,88)가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고, 그 슬리트(87,88)사이에 박판상의 탄성편(89)이 형성되어 있다. 이 탄성편(89)은 되돌림 스프링(57)의 자유단(57a)에 걸거나 벗겨지는 돌출부, 예를 들면 각추(角錐)형상의 캠(cam)산(90)을 가지고 있다. 상기 되돌림 스프링(57)의 자유단(57a)은 튀어나온 부분(80)과 탄성편(89)에 의해 끼워져 있고, 제24도의 (a)에 나타내는 상태에서 (b)에 나타내는 상태까지 되돌림 스프링(57)의 자유단(57a)이 이동할 때 튀어나온 부분(80)을 따라 안내된다. 이 때, 자유단(57a)이 캠산(90)의 정상부를 넘을 때 캠산(90)을 누르는 것에 의해 탄성편(89)이 두께방향으로 탄성변형하여 클릭감을 생기게 한다.
제18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되돌림 스프링(57)은 그 자유단(57a)이 선단을 안내부(82)에 삽입함과 동시에, 절곡부(57b)를 수납부(86)에 삽입한 상태에서 고정부재(55)에 장착되어 있어 슬라이드 부재(52)의 돌기(74)가 되돌림 스프링(57)에 맞닿는 것에 의해 슬라이드 부재(52)에 대해 복귀력을 부여하고 있다.
상기 절도부재(58)는 탄성체, 예를 들면 폴리에스텔 일래스토머(elastomer)로 형성되어 있고, 이 절도부재(58) 자신의 탄성에 의해 절도부재(58)를 상기 걸어 맞추기 홈(71)을 향해 누름가세하도록 되어 있다. 이 절도부재(58)는 대략 작은 금화 형상의 관통구멍(91)이 형성된 환상부(92)와, 이 환상부(92)에서 직경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93)와, 이 돌출부(93)에서 돌출하여 상기 환상부(66)의 안 테두리의 걸어맞추기 홈(71)에 걸어 맞추어지는 걸어맞추기부(94)와, 돌출부(93)에서 양 측방으로 각각 돌출하여 선단에 상기 슬라이드 부재(52)의 돌기(63)에 걸어 맞추어지는 한쌍의 탄성암(95,96)과, 돌출부(93)의 양측단에서 각각 상방으로 돌출하고, 선단이 상기 조작체(51)의 이면에 맞닿는 탄성돌기(97,98)로 구성되어 있다.
탄성돌기(97,98)는 제20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측단에서 중앙부를 향해 점차 상방으로 경사지는 테이퍼상으로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제18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절도부재(58)는 상기 코드판(54)의 외측 원통체(61)내에 배치되고, 관통구멍(91)에 코드판(54)의 내측 원통체(62)가 삽입됨과 동시에, 걸어 맞추기부(94)가 외측 원통체(61)의 개구(64)에 삽입 통과되어 있다. 예를 들면 그 걸어맞춤부(94)가 제18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 부재(52)의 걸어맞추기 홈(71)에 맞닿을 때. 이 걸어맞추기 홈(71)과 지축(56)에 의해 절도부재(58)가 미리 축방향으로 압축되어 비교적 적은 탄성력이 부여됨과 동시에, 탄성암(95,96)의 선단측을 슬라이드방향의 전방(제18도의 하방)으로 휘어져 있다. 한편, 제19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도부재(58)의 걸어 맞춤부(94)가 슬라이드 부재(52)의 걸어 맞추기 홈(71)에서 벗어난 경우, 슬라이드 부재(52)의 내주면과 지축(56)에 의해 절도부재(58)가 축방향으로 압축되어, 큰 탄성력이 부여됨과 동시에 탄성암(95,96)의 휘어진 상태가 거의 해제된다.
이 제2의 실시예에서도, 상기 제1의 실시예와 같은 동작으로 조작체(51)를 정,역의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조작하면, A상용 외부단자(76a)와 코몬용 외부단자(76c)사이 및 B상용 외부단자(76b)와 코몬용 외부단자(76c) 사이에서 각각 제1의 전기신호가 출력된다. 그 때, 코드판(54)의 회전과 함께 절도부재(58)의 걸어 맞추기부(94)의 선단이 슬라이드 부재(52)의 걸어맞추기 홈(71)에 걸어지고 벗겨지므로, 조작체(51)를 회전할 때마다 클릭감이 생긴다.
또한, 조작체(51)를 제21도에 나타내는 상태에서 오른쪽 방향으로 누름 조작하면, 고정부재(55)에 대하여 조작체(51)와 코드판(54), 슬라이드 부재(52) 및 지축(56)이 일체적으로 이동하고, 그 지축(56)의 플랜저(56a)가 고정부재(55) 하면측의 오목부(77)내를 접동한다. 그리고 조작체(51)를 제22도에 나타내는 이동단부까지 누름조작하면 상기 제1의 실시예와 같은 동작으로 외부단자(26d)에서 제2의 전기신호가 출력된다. 그 때, 되돌림 스프링(57)의 자유단(57a)측이 슬라이드 부재(52)의 돌기(74)에 의해 눌려져 탄성변형하여 자유단(57a)의 선단이 고정부재(55)의 안내부(32)내를 이동하므로 제24도의 (a),(b)와 같이, 되돌림 스프링(57)의 자유단(57a)이 캠산(90)을 넘는 것에 의해 클릭감이 일어난다. 한편, 제22도에 나타내는 상태에서 조작체(51)에서 손을 떼면 되돌림 스프링의 가세력에 의해 조작체(51), 코드판(54), 슬라이드 부재(52) 및 지축(56)이 제21도에 나타내는 최초의 위치로 되돌아간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2실시예에서도, 하나의 조작체(51)를 회전 또는 누름조작하는 것에 의해 각각 다른 전기신호가 출력됨과 동시에, 그 조작체(51)의 회전 및 누름조작시에 각각 클릭감이 얻어지므로 복합조작시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회전조작시에, 절도부재(58)의 이동속도가 탄성암(95,96)의 댐퍼효과에 의해 감속되므로, 절도부재(58)의 걸어맞춤부(94)가 슬라이드 부재(52) 안쪽 둘레의 걸어맞추기 홈(71)에 닿을때의 충돌음이 작아진다. 또한 돌출부(93)에서 상방으로 돌출하는 탄성돌기(97,98)의 선단이 조작체(51)의 이면에 맞닿음으로써, 절도부재(58)에 가볍게 마찰력이 부여되어, 이른바 흔들림 동작이 생기는 것이 저지되므로, 걸어맞춤부(94)의 개구(64)의 둘레부로의 충돌음을 적게할 수 있다. 게다가 누름조작시의 클릭감을 생기게 하는 클릭기구로서 금속구를 이용하지 않으므로 이점으로부터도 소음을 더욱더 저감할 수 있다.
제28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관계되는 복합조작형 전기부품의 투시도, 제29도는 그 복합조작형 전기부품을 회전 및 누름조작한 상태를 나타내는 투시도, 제30도는 제28도의 C-C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한편 제28도∼제30도에서 전술(前述)한 제18∼제27도에 나타낸 것과 동일한 것은 동일부호가 붙어 있다.
제28도에 나타내는 본 실싱예의 복합조작형 전기부품은, 제2실시예의 것에 비해, 절도부재(58)를 누름가세하는 가세수단으로서의 판상의 탄성체(99)를 구비함과 동시에 고정부재(55)에 다른 형상의 탄성편(100)을 구비한 점이 다르며, 그외의 구성은 기본적으로 동일하다.
제28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탄성체(99)는, 그 양단이 코드판(54)의 외측원통체(61)에 유지되고, 중앙부가 절도부재(58)의 환상부(92)에 탄성접촉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55)의 안내부(82) 근방에는 되돌림 스프링(57)의 자유단(57a)의 이동방향(제28도의 상하방향)을 따라 슬리트(101,102)가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고, 그 슬리트(101,102)간에 박판상의 상기 탄성편(10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탄성편(100)은 한쪽이 고정되고 다른쪽이 자유로운 형상이며, 슬라이드 방향의 전방에 위치하는 벽부(55b)를 향해 돌출하고, 그 탄성편(100)의 선단은 상기 벽부(55b)에서 소정의 간격만큼 떨어져 있다. 그 탄성편(100)은, 되돌림 스프링(57)의 자유단(57a)에 걸어지고 벗겨지는 돌출부, 예를들면 삼각주상의 캠산(53)을 가지고 있고, 상기 자유단(57a)이 캠산(53)의 정상부를 넘을때 캠산(53)을 누름으로써 탄성편(50)이 두께방향으로 탄성변형한다.
이 제3실시예에서도 조작체(51)를 정.역중의 어느 한 회전조작을 하면, 제1의 전기신호가 출력됨과 동시에, 조작체(51)를 회전할 때마다 클릭감이 생긴다. 예를들면, 절도부재(58)의 걸어맞춤부(94)가 제28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 부재(52)의 걸어맞추기 홈(71)에 맞닿을때 탄성체(99)는 가볍게 휘어져 절도부재(58)를 슬라이드 방향의 후방(제28도의 상방향)으로 가세함과 동시에, 탄성암(95,96)의 선단측은 슬라이드 방향의 전방(제28도의 하방향)으로 휘어진다. 한편, 제29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도부재(58)의 걸어맞춤부(94)가 슬라이드 부재(52)의 걸어맞추기 홈(71)에서 떨어진 경우, 탄성체(99)는 비교적 크게 휘어져 절도부재(58)를 강하게 가세함과 동시에, 탄성암(95,96)의 휘어진 상태가 거의 해제된다.
이때, 탄성암(95,96)의 탄성력에 의해 절도부재(58)의 걸어맞춤부(94)가 슬라이드 부재(52)의 안쪽 둘레의 걸어 맞추기 홈(71)에 닿을 때의 이동속도가 감속되므로, 그때의 충돌음을 저감할 수 있다. 더우기 돌출부(93)에서 상방으로 돌출하는 탄성돌기(97,98)의 선단이 조작체(51)의 이면에 맞닿음으로써, 절도부재(58)에 가볍게 마찰력이 부여되어 진동동작의 발생이 저지되므로, 걸어맞춤부(94)의 개구(64)의 테두리부로의 충돌음을 저감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조작체를 회전 또는 누름조작함으로써, 각각 다른 전기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므로 복합조작시의 조작성을 향상할 수 있음과 동시에, 클릭기구를 단순화할 수 있으므로 소형화에 적합한 복합조작형 전기부품을 제공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