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73397B1 - 이수축 혼섬사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이수축 혼섬사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3397B1
KR0173397B1 KR1019960029928A KR19960029928A KR0173397B1 KR 0173397 B1 KR0173397 B1 KR 0173397B1 KR 1019960029928 A KR1019960029928 A KR 1019960029928A KR 19960029928 A KR19960029928 A KR 19960029928A KR 0173397 B1 KR0173397 B1 KR 01733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shrinkage
low
yarns
polyest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299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9563A (ko
Inventor
손영호
백문수
김정열
이필상
Original Assignee
한형수
주식회사새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형수, 주식회사새한 filed Critical 한형수
Priority to KR10199600299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3397B1/ko
Publication of KR9800095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95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33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33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1/00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 D02G1/18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by combining fibres, filaments, or yarns, having different shrinkage characteristic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JFINISHING OR DRESSING OF FILAMENTS, YARNS, THREADS, CORDS, ROPES OR THE LIKE
    • D02J1/00Modifying the structure or properties resulting from a particular structure; Modifying, retaining, or restoring the physical form or cross-sectional shape, e.g. by use of dies or squeeze rollers
    • D02J1/08Interlacing constituent filaments without breakage thereof, e.g. by use of turbulent air stream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04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esters, e.g.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수수축율이 큰 개질 고수축성 폴리에스터를 심사로 하고, 고수축성 폴리에스터와 엽색성이 비슷하도록 비결정 배향도를 낮게 조절한 저수축성 폴리에스터를 초사로 구성한 이수축 혼섬사에 관한 것으로, 고수축사의 수축에 의해 우수한 드레이프성을 가지며 은은한 광택에 의해 직물 촉감이 실크와 같고 이색효과가 없는 우수한 직편물용 폴리에스터의 이수축 혼섬사의 제조방법이다.
본 발명의 기술구성은 고수축사와 저수축사를 공기 교락하여 혼섬사를 제조함에 있어서 하기식(Ⅰ), (Ⅱ)를 만족케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수축혼섬 폴리에스터 필라멘트사의 제조 방법이다.

Description

이수축 혼섬사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심사와 초사의 염색성을 동일하게 하여 직·편물로 가공시 이색효과가 없이 깨끗한 외관을 갖도록 하는 이수축 혼섬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비수수축율이 큰 개질 고수축성 폴리에스터를 심사로 하고, 고수축성 폴리에스터와 염색성이 유사하도록 비결정배향도를 낮게 조절한 저수축성 폴리에스터를 초사로 한 이수축 혼섬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이수축 혼섬사를 제조하는 방법으로는, 첫째 연신시 열고정 온도를 달리하여 혼섬하는 방법, 둘째 개질 고수축사와 일반 연신사를 혼섬하는 방법, 세째 일반 연신사와 부분배향사(POY)를 혼섬하는 방법 등이 알려져 있으나, 이러한 방법중 첫째, 둘째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이수축혼섬사는 직·편물상에서 수축차 발현은 충분할지라도 두 원사의 비결정부분의 미세구조 차이에 의해, 염색시 고수축사는 염착율이 높아 진하게 보이고 저수축사는 염착율이 낮아 연하게 보임으로 이색효과에 의해 원단의 품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셋째의 방법은 염가공시 부분배향사의 자발신장에 의해 사장차가 발현되는데, 이 때에는 부분배향사가 염착율이 높아 이색효과가 나타나고 직 ·편물의 수축효과가 적어 촉감 및 드레이프성이 좋지 못한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한 것으로서 비수수축율이 10~30%의 개질 고수축사를 심사로 구성하고, 비결정배향도를 낮게 조절하여 고수축사와 염색성을 같게 한 비수수축을 1~7%의 저수축사를 초사로 구성하여 공기교락 이수축 혼섬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사용된 고수축사는 비수수축율이 10~30%의 공중합 개질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로서 공중합 개질제로는 산성분으로서 이소프탈산을 전산성분의 3~7몰%, 글리콜성분으로서 네오펜틸 글리콜, 2-2'비스[4-(2히드록시 에톡시)페닐] 프로판을 전글리콜 성분의 3~7몰% 사용하여 공중합하고, 공중합 비율은 전 모노머 성분에 대하여 0.5~10몰%가 바람직하다. 0.5몰% 미만의 경우에는 원사의 수축효과가 충분치 못하고 10몰%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방사시 트러블 발생이 우려되며 원사의 물성 저하가 심해 바람직하지 못하다. 고수축 특성을 부여하는 공중합 개질제 성분은 분자 주쇄중의 굽은 구조 또는 측쇄의 벌키성을 갖는 구조에 의해 결정화를 억제하는 역할을 하여 습열 또는 건열에 의하여 수축 특성을 발휘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미세구조 특성에 의해 염색시 염료의 염착율이 일반 연신사보다 높게되며 이것은 직·편물 상에서 이색효과에 의해 원단의 품위를 저하시키는 요인이 된다.
본 발명에 사용된 저수축사는 고수축사와의 염착율을 같도록 하기 위해 비결정 배향도가 하기식을 만족하는 비수수축율 1~7%의 비개질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섬유이다.
상기식을 만족하는 저수축사는 방사속도 5000~7000m/분의 고속방사로 얻어질 수 있다. 비결정배향은 염착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며 비결정배향도가 낮을 경우 엽료 입자의 침투가 용이해져 결국 높은 염착율을 갖게 된다. 비결정배향이 0.1이하일 경우 염착율은 만족할 만하나 원사의 물성이 저하되어 혼섬 등의 공정에서 문제가 발생하기 쉽고 0.5이상일 경우 염착율이 충분치 못해 이색효과가 나타날 우려가 있다.
상기의 두 원사를 혼섬기에서 공기교락 하여 교락수 60~120개/m의 혼섬사를 제조한다.
교락수 60개/m 미만일 경우에는 제직, 제편시 두 원사의 갈라짐으로 인해서 작업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으며, 교락수 120개/m를 초과할 경우에는 혼섬시 단사절이 발생하기 쉽고 압축공기의 손실도 많아지게 된다. 이렇게 제조된 이수축 혼섬사는 제직 또는 제편되고, 염가공 공정중 열처리 과정에서 고수축사의 수축에 의해 사장차가 발현되어 은은한 광택과 우수한 드레이프성, 이색 효과가 없는 실크 라이크 원단이 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와 비교예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심사로 사용될 고수축사로는 테레프탈산과 에틸렌 글리콜을 주성분으로 하고 공중합 개질로서 이소프탈산을 전 상성분의 5몰%, 2-2'비스[4-(2히드록의 에톡시)페닐]프로판을 전 글리콜 성분의 5몰% 공중합한 고유점도 0.65의 공중합 폴리에스터 칩을 275℃에서 방사하고 1,500m/분의 속도로 권취한 후 3배 연신하고 120℃에서 열처리 하여 비수수축율 20%의 30데니어 12필라멘트의 원사를 얻었다. 초사로 사용될 저수축사로는 고유점도 0.64의 폴리에틸렌 텔레프탈레이트 칩을 290℃에서 방사하고 6,000m/분의 속도로 권취하여 75데니어 36필라멘트의 원사를 얻었다.
상기의 두 원사를 혼섬기에서 3kg/cm2의 압축 공기로 교락하여 교락수 80개/m 의 이수축 혼섬사를 얻었다. 상기한 두 원사를 혼섬기에서 3Kg/cm2의 압축 공기로 교락하여 교락수 80개/m의 이수축 혼섬사를 얻었다. 상기 이수축 혼섬사를 경사로 하여 싸이징한 후 통상의 방법으로 실크 라이크 직물을 제조하였다. 직물의 물성평과 결과는 표와 같다.
[비교예]
실시예에 있어서 저수축사로서 통상의 스핀 드로우 방사기에서 제1고뎃 롤러 1,400m/분, 제2고뎃 롤러 4,500m/분의 속도로 방사하여 75데니어 36필라멘트의 원사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와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얻어진 직물의 물성은 표에 나타내었다.
[평가방법]
1) 비결정 배향도(Fa)
2) 비수수축율 : JIS-L-1077에 의함
3) 이색효과 : 고수축사와 저수축사의 염색 겉보기 농도차를 관능 평가함
4) 표면촉감 : 수축율차에 의한 미세 루프(LOOP)를 관능 평가함
5) 드레이프계수 : JIS-L-1096 유연성 시험방법(드레이프 계수법)에 의함

Claims (3)

  1. 고수축사와 저수축사를 공기 교락하여 혼섬사를 제조함에 있어서, 하기식 (Ⅰ), (Ⅱ)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수축혼섬 폴리에스터 필라멘트사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고수축사는 테레프탈산과 에틸렌 글리콜을 주성분으로 하고 공중합 개질로서 이소프탈산을 전 산성분의 3~7몰%, 2-2'비스[4-(2히드록시 에톡시)페닐]프로판을 전 글리콜 성분의 3~7몰% 공중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수축 혼섬사 폴리에스터 필라멘트사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저수축사는 5,000~7,000m/분의 속도로 방사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수축혼섬 폴리에스터 필라멘트사의 제조방법.
KR1019960029928A 1996-07-24 1996-07-24 이수축 혼섬사의 제조방법 KR01733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9928A KR0173397B1 (ko) 1996-07-24 1996-07-24 이수축 혼섬사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9928A KR0173397B1 (ko) 1996-07-24 1996-07-24 이수축 혼섬사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9563A KR980009563A (ko) 1998-04-30
KR0173397B1 true KR0173397B1 (ko) 1999-02-18

Family

ID=19467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29928A KR0173397B1 (ko) 1996-07-24 1996-07-24 이수축 혼섬사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339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8985B1 (ko) * 1997-09-12 2005-06-13 주식회사 휴비스 드레이프성이 우수한 이수축 혼섬사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9563A (ko) 1998-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B2222838A (en) Composite polyester yarn for woven or knitted fabric
JPS59223314A (ja) 異染性複合ポリエステル繊維
KR0173397B1 (ko) 이수축 혼섬사의 제조방법
KR100454304B1 (ko) 텍스처 콤바인드 폴리에스테르 멀티필라멘트사 및 이의 제조방법
JP4233245B2 (ja) ポリエステル系複合繊維及びその製造方法
JPH03130425A (ja) ポリエステル収縮差混繊糸
KR970001080B1 (ko) 고탄성을 갖는 직물 또는 편성물의 제조방법
JPH08158188A (ja) ポリエステルミシン糸の製造方法
KR100569680B1 (ko) 폴리에스테르 융착 가연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318331B1 (ko) 이수축혼섬사의제조방법
JPH07207551A (ja) 高伸縮性編地の製造方法
KR100458985B1 (ko) 드레이프성이 우수한 이수축 혼섬사의 제조방법
JPS6215652B2 (ko)
JPH0219528A (ja) ポリエステル収縮差混繊糸
KR100546463B1 (ko) 균염성 폴리에스테르 혼섬사의 제조 방법
JPH1193021A (ja) 鞘芯ポリエステル繊維
JPS6017114A (ja) 低伸度抗ピル性ポリエステル繊維
KR950000737B1 (ko) 폴리에스테르 섬유
JP2003336137A (ja) ポリエステル異収縮混繊糸
KR960011606B1 (ko) 폴리에스테르 자수사의 제조방법
JPH07150429A (ja) 伸縮性を有する紡績糸および織物
KR960012822B1 (ko) 이수축 혼섬사의 제조방법
KR100193907B1 (ko) 폴리에스터 이수축 혼섬사의 제조방법
JPH0447051B2 (ko)
JPS59211638A (ja) 縫糸用ポリエステルフイラメン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6072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6072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10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10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810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208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