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65922B1 - 아동용 좌석 장치 - Google Patents

아동용 좌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5922B1
KR0165922B1 KR1019950036913A KR19950036913A KR0165922B1 KR 0165922 B1 KR0165922 B1 KR 0165922B1 KR 1019950036913 A KR1019950036913 A KR 1019950036913A KR 19950036913 A KR19950036913 A KR 19950036913A KR 0165922 B1 KR0165922 B1 KR 01659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rest
pair
pin
guide slot
recl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36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3288A (ko
Inventor
요시후미 요네다
Original Assignee
갓사이 겐죠
앗프리카 갓사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갓사이 겐죠, 앗프리카 갓사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갓사이 겐죠
Publication of KR9600132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32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59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59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2Baby-carriers; Carry-cots
    • A47D13/025Baby-carriers; Carry-cots for carrying children in seated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00Children's chairs
    • A47D1/002Children's chairs adjust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8Devices for use in guiding or supporting children, e.g. safety harnes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12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nvertible, e.g. into children's furniture or toy
    • B62B7/123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nvertible, e.g. into children's furniture or toy from seat to b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02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zed by details of the seat
    • B62B9/104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zed by details of the seat with adjustable or reclining back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02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zed by details of the seat
    • B62B9/106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zed by details of the seat with head gu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아동용 좌석 장치는 한쌍의 측벽(6)을 형성하는 한쌍의 사이드 가드(7A, 7B)를 등받이부(5)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부착하고, 등받이부(5)가 넘어 뜨려졌을 때 한쌍의 측벽(6A, 6B) 사이의 간격이 보다 넓혀지도록 등받이부(5)의 리클라이닝 동작에 연동시켜서 상술한 간격이 변경되도록 한다. 이 연동 기구로서 등받이부(5)의 리클라이닝 상태를 지지하는 버팀막대(21)의 상단부(23)와 함께 원동핀(44)를 동작시켜 원동핀(44)를 각각 받아들이는 한쌍의 종동 슬롯(46)을 사이드 가드(7A, 7B)에 설치해 한쌍의 종동 슬롯(46)을 상단부에 향할수록 서로 근접하도록 방향 짓는다. 이 구조에 의해 등받이부가 넘겨 뜨려져서 베드 모양이 됐을때에는 아동의 어깨폭의 부분에서 치수적인 여유가 주어진다.

Description

아동용 좌석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로서의 아동용 의자(1)의 전체 외관을 나타낸 측면도이며, 등받이부(5)가 가장 일으켜진 상태를 나타내고 있는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에 나타낸 아동용 의자(1)의 전체의 외관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등받이부(5)가 가장 넘겨졌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는 사시도.
제3도는 제1도에 나타낸 상태에 있어 등받이부(5)의 전면도.
제4도는 제2도에 나타낸 상태에 있어서 등받이부(5)의 전면도.
제5도는 제1도에 나타낸 상태에 있어서 등받이부(5)의 배면도.
제6도는 제2도에 나타낸 상태에 있어서 등받이부(5)의 배면도.
제7도는 제6도의 선 VII-VII에 따른 확대 단면도.
제8도는 제6도의 선 VIII-VIII에 따른 확대 단면도.
제9도는 사이드 가드(7)등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는, 제5도의 IX-IX에 따른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
제10도는 제6도의 선 VII-VII에 따른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
제11도는 제5도의 선 XI-XI에 따른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조작 부재(30)등의 도시를 생략하는 도면.
제12도는 제6도의 선 XII-XII에 따른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
제13도는 제11도에 나타낸 슬라이더(19)를 단독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제14도는 본 발명에 입각한 제2 실시예에 있어서 등받이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제1도의 도면.
제15도는 본 발명에 입각한 제2 실시예에 있어서 등받이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제2의 도면.
제16도는 제14도의 선 A-A에 따른 단면도.
제17도는 제15도의 선 B-B에 따른 단면도.
제18도는 제14도의 선 C-C에 따른 단면도.
제19도는 제14도의 선 D-D에 따른 단면도.
제20도는 제15도의 선 E-E에 따른 단면도.
제21도는 제2 실시예에 있어서 등받이부의 리클라이닝 기구와의 연동 상태를 나타내는 제1단면도.
제22도는 제2 실시예에 있어서 등받이부의 리클라이닝 기구와의 연동 상태를 나타내는 제2단면도.
제23도는 제3 실시예에 있어서 좌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제24도는 제3 실시예에 있어서 좌부의 리클라이닝 기구와의 연동 상태를 나타내는 제1단면도.
제25도는 제3 실시예에 있어서 좌부의 리클라이닝 기구와의 연동 상태를 나타내는 제2단면도.
제26도는 제4 실시예에 있어서 좌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제27도는 제4 실시예에 있어서 좌부의 리클라이닝 기구와의 연동 상태를 나타내는 제1단면도.
제28도는 제4 실시예에 있어서 등받이부의 리클라이닝 기구와의 연동 상태를 나타내는 제2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 등받이부 21 : 버팀막대
30 : 조작부재 32 : 압축 스프링
33 : 스러스트핀 34 : 긴구멍
40 : 가이드 포스트 43 : 브래킷
44 : 원동핀 57 : 플레이트
본 발명은 아동용 좌석 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착석하고 있는 아동의 상반신의 양측에 있어서 측벽을 형성하고, 아동의 상반신을 보호하기 위한 사이드 가드 및 아동의 요부의 양측에 있어서 팔거리를 형성하고, 아동의 하반신을 보호하기 위한 아암 레스트를 갖춘 아동용 좌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아동용 좌석 장치의 한 예로서, 아동용 의자가 있다. 아동용 의자는 전형적으로는 실내에서 사용된다. 이와 같은 아동용 의자는 좌부 및 좌부의 후방으로부터 솟은 등받이부를 갖추고, 또한 착석해 있는 아동의 안전성을 보다 높이기 위해, 등받이부의 양측 가장자리부로부터 전방으로 각각내 뻗은 한쌍의 팔걸이를 형성하는 제1 및 제2아암 레스트를 갖춘 것도 있다. 또 등받이부가 리클라이닝 가능하게 되어, 아동이 잠들었을 경우에 즉시 대응할 수 있고, 또 아동을 잠들게 하기 위한 베드로서도 사용가능하게 한 것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은 아동용 의자에 한하지 않고, 예컨대, 유모차, 자동차용 아동 안전 시트등과 같은 다른 아동용 좌석 장치에도 채용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등받이부가 리클라이닝 가능하게 되고, 또한, 등받이부의 양측 가장자리부로부터 전방으로 각각 내뻗은 한쌍의 측벽을 형성하는 한쌍의 사이드 가드와, 좌부의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각각 내뻗은 한쌍의 팔걸이를 형성하는 제1 및 제2아암 레스트를 갖춘, 아동용 좌석 장치에 있어서, 한쌍의 측벽 및 한쌍의 팔걸이의 상호간의 간격은, 통상, 등받이부가 일으켜졌을 때에 취하는 아동의 자세에 입각해서 정해졌다. 즉, 상반신을 일으켜서 착석해 있는 아동에 대한 안전성을 고려해서, 아동의 상반신 및 하반신을 양측으로부터 한쌍의 측벽 및 한쌍의 팔걸이에 의해 지지할 수가 있도록 비교적 좁은 간격을 갖고 한쌍의 측벽 및 한쌍의 팔걸이가 위치된다.
그러나, 좌석이 베드 모양을 이루는 정도까지 등받이부가 넘어지고, 그에 의해 아동이 잠재워진 자세를 취했을 때는, 아동, 특히 저 연령의 유아는, 때때로, 양손을 양 어깨의 위까지 들어올리고, 또한 팔을 굽힌 자세를 취하기 쉽기 때문에, 상술과 같이 설정된 한쌍의 측벽 사이 및 한쌍의 팔걸이 사이의 간격으로선 옹색할 때가 있다. 특히 아동의 어깨 폭 부분 및 요부에서 한쌍의 측벽 사이의 간격 및 한쌍의 팔걸이 사이의 간격에 여유가 있는 것이 요망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등받이부가 일으켜졌을 때에는 아동의 안전성을 고려해서 비교적 좁은 간격이 그리고 등받이부가 쓰러졌을 때에는 비교적 넓은 간격이 각각 한쌍의 측벽의 상호간 및 한쌍의 팔걸이의 상호간에 형성되는 것을 가능케 한, 아동용 좌석 장치를 제공하고져 할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국면에서는, 좌부 및 좌부의 후방으로부터 일으켜진 등받이부를 갖추고, 등받이부가 리클라이닝 가능하게 되어 또한, 등받이부의 양측 가장자리부로부터 전방으로 각각 내뻗은 한 쌍의 측벽을 형성하는 제1 및 제2사이드 가드를 갖춘 아동용 좌석 장치를 위한 것이며,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한쌍의 측벽의 상호간의 간격이 가변가능하도록 제1 및 제2사이드 가드를 각각 유지하는 유지기구와, 등받이부가 기울어졌을 때 간격이 보다 넓혀지도록, 등받이부의 리클라이닝 동작에 연동해서 간격을 변경하는 연동기구를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서는, 좌부 및 좌부의 후방으로부터 일으켜지는 등받이부를 갖추고, 등받이부는 리클라이닝 가능하게 되고, 또한, 좌부의 양측 가장자리부로부터 상방으로 각각 내뻗은 한쌍의 팔걸이를 형성하는 제1 및 제2아암 레스트를 갖춘 아동용 좌석 장치를 위한 것이며,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한쌍의 팔걸이의 상호간의 간격이 변경 가능하도록 제1 및 제2아암 레스트를 각각 유지하는 유지기구와, 등받이부가 쓸어졌을 때 간격이보다 넓혀지도록 등받이부의 리클라이닝 동작에 연동시켜서 간격을 변경하는 연동기구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작용]
본 발명의 하나의 국면에서는, 등받이부가 쓸어졌을 때 한쌍의 측벽의 사이의 간격이 보다 넓혀지도록, 등받이부의 리클라이닝 동작에 연동해서 그 간격이 변경된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서는, 등받이부가 쓸어졌을 때 한쌍의 팔걸이 사이의 간격이 보다 넓혀지도록, 등받이부의 리클라이닝 동작에 연동해서 그 간격이 변경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하나의 국면에 의하면, 등받이부가 일으켜져서, 그에 의해 아동의 상반신이 일으켜졌을 때는, 한쌍의 측벽 사이의 간격이 좁혀져서, 아동에 대한 안전성이 확보되고 또 한편 등받이부가 쓸어져서 그에 의해 아동의 상반신이 뉘어졌을 때에는, 한쌍의 측벽 사이의 간격이 넓혀져서, 아동에 대해서 옹색한 자세를 강요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은 한쌍의 측벽 사이의 간격의 변경은, 등받이부의 리클라이닝 동작에 연동해서 생기기 때문에, 간격의 변경 때문에 특별한 조작이 필요없고, 그 아동용 좌석 장치에 대한 조작이 간편화된다.
또, 한쌍의 측벽 사이의 간격이 항상 넓은 경우에 비해서, 등받이부가 일으켜졌을 때에는 한쌍의 측벽 사이의 간격이 좁혀지기 때문에, 아동용 좌석 장치의 부피를 줄일 수 있다.
또, 바람직하게는, 제1 및 제2사이드 가드는, 등받이부에 연해서 뻗어 또한 측벽을 각 외측 가장자리에 위치시키는 제1 및 제2주면벽을 가지며, 유지기구는, 제1 및 제2주면벽을 등받이부에 대해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기구를 갖춘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서 한쌍의 측벽 사이의 간격을 변경 가능하게 하기 위한 유지기구를 비교적 간단한 구성에 의해 실현할 수가 있다.
또, 더욱 바람직하게는, 등받이부의 리클라이닝 상태를 조절하기 위해, 등받이부를 리클라이닝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과는 다른 위치에 있어서 하단부가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또한 상단부가 등받이부의 배면상의 상하 방향으로 분포하는 복수의 위치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버팀막대가 채용된다.
이 경우, 상술한 유지기구는, 제1 및 제2주면벽의 하단부를 등받이부에 대해서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피봇핀을 갖추고 등받이부의 리클라이닝 동작에 연동시켜서 한쌍의 측벽 사이의 간격을 변경하기 위한 연동기구는, 버팀막대의 상단부에 부착되는 한쌍의 원동핀과, 등받이부에 설치되어 또한 한쌍의 원동핀을 각각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받아들이는 한쌍의 서로 평행하게 뻗은 가이드 슬롯와, 한쌍의 사이드 가드의 각각의 주면벽에 설치되고 또한 한쌍의 원동핀을 각각 긴쪽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받아들이는 한쌍의 종동 슬롯을 갖춘다.
그리고, 한쌍의 종동 슬롯은 상단부로 향할수록 서로 가까워지도록 방향져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등받이부의 리클라이닝 동작에 따라서 위치를 바꾸는 버팀막대의 상단부의 움직임을 이용해서 한쌍의 사이드 가드를 각각 회전시켜 그에 의해서 한쌍의 측벽 사이의 간격을 바꾸는 것을 간단한 기구에 의해 확실히 달성할 수가 있다.
또 더욱 바람직하게는 등받이부의 상단부에 있어서 상하로 회전가능하게 부착되는 헤드 가드와, 등받이부가 가장 넘어졌을 때 헤드 가드가 등받이부로부터 일으켜지도록 헤드 가드에 버팀막대의 상단부의 동작을 전달하는 기구를 더해서 갖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등받이부가 일으켰을 때는, 등받이부와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상에 뻗어 있는 헤드 가드를, 등받이부가 가장 넘어졌을 때에 등받이부로부터 일으켜질 수가 있기 때문에, 자고 있는 아동에 대한 안정성을 더욱 높일 수가 있다. 또 헤드 가드의 상술과 같은 일어나는 동작은, 등받이부의 리클라이닝 동작에 연동해서 생기기 때문에, 헤드 가드에 대해서 특별한 조작을 행할 필요가 없고, 아동용 좌석 장치에 대한 조작을 간편화할 수가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의하면, 등받이부가 일으켜져서, 그에 의해 아동의 상반신이 일으켰을 때에는, 한쌍의 팔걸이의 간격이 좁혀져 아동에 대한 안전성이 확보되고, 다른 한편 등받이부가 넘어져서 그에 의해 아동의 하반신이 뉘워졌을 때에는 한쌍의 팔걸이 사이의 간격이 넓혀져 아동에 대해서 옹색한 자세를 강요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은 한쌍의 팔걸이 사이의 간격의 변경은 등받이부의 리클라이닝 동작에 연동해서 생기기 때문에 간격의 변경 때문에 특별한 조작이 필요없고, 아동용 좌석 장치에 대한 조작이 간편화된다.
또, 한쌍의 팔걸이 사이의 간격이 항상 넓은 경우에 비해서, 등받이부가 일으켜졌을 때는 한쌍의 팔걸이 사이의 간격이 좁혀지기 때문에, 아동용 좌석 장치의 부피를 감소시킬 수가 있다.
또 바람직하게는, 제1 및 제2아암 레스트는, 좌부를 따라 뻗고 또한 팔걸이를 각 외측 가장자리에 위치시키는 제1 및 제2주면벽을 갖추고, 유지기구는, 제1 및 제2주면벽을 좌부에 대해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는 기구를 갖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것에 의해 한쌍의 팔걸이 사이의 간격을 변경가능케하기 위한 유지기구를 비교적 간단한 구성에 의해 실현할 수가 있다.
또, 더욱 바람직하게는, 등받이부는 등받이부의 배면상의 하단 근방에 고정되는 작동 플레이트를 갖추고, 유지기구는, 좌부의 이면상의 제1주면벽의 전방 근방에 설치된 좌우 방향으로 뻗는 제1가이드 슬롯 및 후방 근방에 설치된 좌우 방향으로 뻗은 제3가이드 슬롯와 좌부의 이면상의 제2주면벽의 전방 근방에 설치된 좌우방향으로 뻗은 제2가이드 슬롯 및 후방 근방에 설치된 좌우 방향으로 뻗은 제4가이드 슬롯와, 제1주면벽의 전방 근방 및 후방 근방에 설치되어 제1주면벽이 제1 및 제3가이드 슬롯에 따라서 이동가능하도록 제1가이드 슬롯에 받아들이는 제1원동핀 및 제3가이드 슬롯에 받아들여지는 제3원동핀과, 제2주면벽의 전방 근방 및 후방 근방에 설치되어 제2주면벽이 제2 및 제4가이드 슬롯에 따라서 이동 가능하도록 제2가이드 슬롯에 받아들여지는 제2원동핀 및 제4가이드 슬롯에 받아들여지는 제4원동핀을 갖추고 상술의 연동기구는, 후단부가 작동 플레이트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된 작동핀과 작동핀의 전단부를 축지해, 등받이부의 배면상의 대략 중앙부에 있어서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한 슬라이드 플레이트와, 슬라이드 플레이트의 전단에 설치된 제1연결핀 및 후단에 설치된 제2연결핀과, 슬라이드 플레이트의 전후 이동에 따라서 제1아암 레스트가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드하도록 제1연결핀과 제2원동핀을 연결하는 제1연결 플레이트 및 제2연결핀과 제3원동핀 과를 연결하는 제3연결 플레이트와, 슬라이드 플레이트의 전후 이동에 수반해서 제2아암 레스트가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드하도록 제1연결핀과 제2원동핀을 연결하는 제2연결 플레이트 및 제2연결핀과 제4원동핀을 연결하는 제4연결 플레이트를 갖추고 잇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등받이부의 리클라이닝 동작에 응해서 회전하는 작동 플레이트의 움직임을 이용해서 슬라이드 플레이트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제1 내지 제4연결 플레이트가 동작해 제1 및 제3아암 레스트를 좌우로 슬라이드시킨다. 이에 의해 한쌍의 팔걸이 사이의 간격을 바꾸는 것을 간단한 기구에 의해 확실히 달성할 수가 있다.
또 더욱 바람직하게는, 슬라이드 플레이트의 전방부에는 등받이부가 넘어뜨려졌을 때에 좌부의 전방부로부터 돌출하는 연장 플레이트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등받이부가 일으켜져 있을 때는 좌부에 대해서 아동이 확실히 앉을 자세가 유지되어 등받이부가 가장 넘어졌을 때에는 좌부와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에 뻗는 플레이트가 아동의 발목에 형성되기 때문에 자고 있는 아동에 대한 안정성을 더욱 높일 수가 가능하게 된다. 또 등받이부의 리클라이닝 동작에 연동해서 생기기 때문에 아동용 좌석 장치에 대한 조작을 더욱 간편화할 수가 있다.
또, 더욱 바람직하게는, 유지기구는 등받이부의 배면상의 제1주면벽의, 상단 근방에 설치된 수평방향으로 뻗은 제1가이드 슬롯 및 하단 근방에 설치된 수평 방향으로 뻗은 제3가이드 슬롯와, 등받이부의 배면상의 제2주면벽의, 상단 근방에 설치된 수평 방향으로 뻗은 제2가이드 슬롯 및 하단 근방에 설치된 수평 방향으로 뻗은 제4가이드 슬롯와, 제1주면벽의 상단 근방 및 하단 근방에 설치되어, 제1주면벽이 제1 및 제3가이드 슬롯에 따라서 이동가능하도록 제1가이드 슬롯에 받어들여지는 제1원동핀 및 제3가이드 슬롯에 받아들여지는 제3원동핀과, 제2주면벽의 상단 근방 및 하단 근방에 설치되어, 제2주면벽이 제2 및 제4가이드 슬롯에 따라서 이동가능하도록 제2가이드 슬롯에 받아 들여지는 제2원동핀 및 제4가이드 슬롯에 받아들여지는 제4원동핀을 갖추고, 연동기구는, 버팀막대의 상단부를 축지하고, 등받이부의 배면상의 대략 중앙부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한 슬라이드 플레이트와, 슬라이드 플레이트의 상단에 설치된 제1연결핀 및 하단에 설치된 제2연결핀과 슬라이드 플레이트의 상하에 따라 제1사이드 가드가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드하도록 제1연결핀과 제2원동핀을 연결하는 제1연결 플레이트 및 제2연결핀과 제3원동핀을 연결하는 제3연결 플레이트와, 슬라이드 플레이트의 상하에 따라 제2사이드 가드가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드하도록 제1연결핀과 제2원동핀을 연결하는 제2연결 플레이트 및 제2연결핀과 제4원동핀을 연결하는 제4연결 플레이트를 갖추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등받이부의 리클라이닝 동작에 응해서 위치를 변경하는 버팀막대의 상단부의 움직임을 이용해서 슬라이드 플레이트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제1 내지 제4연결 플레이트를 동작시켜 제1사이드 가드 및 제2사이드 가드를 좌우로 슬라이드시키고 있다. 이에 의해 한쌍의 측벽 사이의 간격을 변경하는 것을 간단한 기구에 의해 확실히 달성할 수가 있다.
[제1 실시예]
도면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아동용 좌석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는, 아동용 좌석 장치의 한 예로서 아동용 의자(1)를 나타내고 있다.
제1도 및 제2도는, 본 아동용 의자(1)의 전체의 외관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아동용 의자(1)은, 크게 나누어 베이스부(2)와 좌석부(3)를 갖춘다. 좌석부(3)은 좌부(4)(제9도 참조) 및 좌부(4)의 후방으로부터 일으켜 세운 등받이부(5)를 갖추고 있다. 또한 좌부(4)의 양측 가장자리부로부터 상방으로 각각 내뻗은 한쌍의 팔걸이(85)를 형성하는 한쌍의 아암 레스트(86)가 설치되어 있다. 등받이부(5)는 제1도 및 제2도를 대비하면 알 수 있듯이, 리클라이닝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등받이부의 양측 가장자리부로부터 전방으로 각각 내뻗은 한쌍의 측벽(6A, 6B)을 형성하는 제1의 사이드 가드(7A), 제2의 사이드 가드(7B)가 등받이부(5)에 관련해서 설치되어 있다. 또한 헤드 가드(8)가 등받이부(5)의 상단부에 있어서 전후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부착된다. 헤드 가드(8)은 통상의 상태에서는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등받이부(5)와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상에 뻗어있으나,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등받이부(5)가 가장 넘어져 있을 때에는 등받이부(5)로부터 일으켜 세운 자세를 취한다.
다른 한편 베이스부(2)는 앞다리(9) 및 뒷다리(10)를 갖춘다. 앞다리(9)가 뒷다리(10)는 서로 교차하고, 그 교차점에 있어서, 피봇부(11)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어 있다. 앞다리(9) 및 뒷다리(10)의 각각의 하단부에는, 전륜(12) 및 후륜(13)이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이들 전류(12) 및 후륜(13)이 상면(14)상을 전동함으로써, 의자(1) 전체가 이동될 수가 있다.
좌석부(3)은, 좌석 유지대(15)에 의해서 유지되고, 좌석 유지대(15)는, 앞다기(9) 및 뒷다리(10)에 의해 지지된다. 좌석 유지대(15)에 대해서 앞다리(9)는 피봇부(16)를 통해서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뒷다리(10)는 피봇부(17)를 통해서 회전가능하게 부착된다. 여기서 피봇부(17)은 좌석 유지대(15)에 갖춘 가동부(18)상에 위치된다. 가동부(18)은 의자(1)의 전후방향으로 그 위치를 변경하도록 조절할 수가 있고 그에 의해서 앞다리(9) 및 뒷다리(10)의 서로의 각도를 변경할 수 있고, 그 결과 좌석부(3)의 높이를 조절할 수가 있다. 가동부(18)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한 기구는 본 발명의 요지와는 직접 관련이 없기 때문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특징은 등받이부(5)와 관련하여 있다. 제3도 이후의 도면은, 어느 것이나 등받이부(5)에 관련한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제3도 및 제4도는 등받이부(5)의 전면을 바로 정면으로부터 나타내고 있어 제3도는 제1도에 나타낸 상태에 대응하고, 제4도는 제2도에 나타낸 상태에 대응하고 있다. 제5도 및 제6도는 등받이부(5)의 배면을 바로 정면으로부터 나타내고 있고, 제5도는 제1도의 상태에 대응하고, 제6도는 제2도의 상태에 대응해 있다. 제7도는 제6도의 선 VI-VI에 따른 단면도이며, 제8도는 제6도의 선 VIII-VIII에 따른 단면도이다. 제9도 및 제10도는 등받이부(5)의 리클라이닝 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제9도는 제5도의 선 IX-IX에 따른 단면을 나타내고 제10도는 제6도의 선 VII-VII따른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제11도 및 제12도는 사이드 가드 A에 동작을 부여하는 기구를 나타내는 것이며, 제11도는 제5도의 선 XI-XI에 따른 단면을 나타내고, 제12도는 제6도의 선 XII-XII에 따른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제13도는 제11도 및 제12도에 나타내지는 슬라이더(19)를 단독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먼저, 제9도 및 제10도를 주로해서 참조하여 등받이부(5)의 리클라이닝 기구에 대해 설명한다.
등받이부(5)는 좌석 유지대(15)에 대해서 축(20)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이에 의해서 리클라이닝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등받이부(5)의 조절된 리클라이닝 상태를 고정하기 위해 역 U자상의 버팀막대(21)가 설치된다. 버팀막대(21)의 하단부(22)는 축(20)과는 다른 위치에 있어서 좌석 유지대(15)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된다. 버팀막대(21)의 상단부(23)은 등받이부(5)의 배면상의 상하 방향으로 분포하는 복수의 위치에 선택적으로 고정된다. 이 상단부(23)의 고정을 위해 상단부(23)을 선택적으로 맞물림시키는 복수의 맞물림오목부(24, 25, 26, 27 및 28)을 형성한 맞물림 부재(29)가 등받이부(5)의 배면상에 설치된다. 제9도에 나타낸 상태에서는, 상단부(23)은 가장 아래의 맞물림오목부(24)에 맞물림해 있고, 그에 의해서 등받이부(5)는 가장 일으켜 세워진 상태를 취하고 있다. 다른 한편 제10도에 나타낸 상태에서는 상단부(23)은 가장 위의 맞물림오목부(23)에 맞물림 되어 있고 그에 의해 등받이부(5)는 가장 넘어진 상태를 취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단부(23)가 맞물림오목부(24~28)의 어느것엔가에 맞물림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및 상단부(23)을 맞물림오목부(24~28)의 어느것에도 맞물림하지 않는 상태를 얻기 위해 조작 부재(30)가 설치된다. 조작 부재(30)은 버팀막대(21)의 상단부(23)을 관통시키는 긴구멍(31)을 갖고 있어, 상단부(23)은 긴구멍(31) 내에서 긴구멍(31)의 긴쪽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조작 부재(30)은 압축 스프링(32)에 의해서 등받이부(5)에 접근하도록 항상 부세되어 있다. 압축 스프링(32)의 한쪽단은 스러스트핀(33)의 한쪽단에 맞물림해 압축 스프링(32)의 다른쪽 단은 조작 부재(30)에 맞닿고 있다. 스러스트핀(33)의 다른쪽 단은 조작 부재(30)을 관통한 후, 등받이부(5)의 전면측까지 뻗어, 여기서 등받이부(5)와 맞물림해 있다. 스러스트 핀(33)은 등받이부(5)에 설치된 긴구멍(34)내에서 긴구멍(34)의 긴쪽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따라서 조작부재 제30도, 또, 긴구멍(34)의 긴쪽 방향이며, 긴구멍(34)의 뻗은 범위내에서 등받이부(5)에 대해서 변위가능하다. 또, 조작 부재(30)은 압축 스프링(32)의 탄성에 항거해서 등받이부(5)로부터 떨어질 수가 있다.
등받이부(5)의 상단부에는, 전술한 헤드 가드(8)가 축(35)를 통해서 전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이 헤드 가드(8)와 조작 부재(30)는 축(36)을 거쳐서 서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등받이부(5)가 가장 넘어졌을 때 제10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헤드 가드(8)가 등받이부(5)로부터 일으켜 세워지도록 버팀막대(21)의 상단부(23)의 동작이 조작 부재(30)을 거쳐서 헤드 가드(8)에 전달된다.
이상 설명한 구성에 입각해 등받이부(5)의 리클라이닝 조작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제9도에 나타낸 상태에서는 등받이부(5)가 가장 일으켜 세워졌을 때의 상태이며, 이 상태는 버팀막대(21)의 상단부(23)가 맞물림 부재(29)의 가장 아래의 맞물림오목부(24)에 맞물림하는 것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또 상단부(23)가 맞물림부(24)에 맞물림한 상태는 압축 스프링(32)에 의해 등받이부(5)에 접근하도록 부세된 조작 부재(30)에 의해 유지되어 있다. 또한, 스러스트핀(33)의 긴구멍(34)내에서의 위치로부터 알 수 있듯이 조작 부재(30)은 등받이부(5)에 대해 상대적으로 하방의 위치에 있고 그에 의해서 헤드가드(8)은 등받이부(5)와 실질적으로 같은 평면상에 뻗어 있다.
상술한 상태로부터, 등받이부(5)의 리클라이닝 상태를 변경하고져 할 때에는 먼저, 조작 부재(30)가 등받이부(5)로 부터 떨어지도록 조작된다. 이 조작은 조작 부재(30)의 하단부에 있어서, 내측면에 돌출하도록 설치된 조작 리브(37)에 손가락 끝을 맞물림시키는 것에 의해 행할 수가 있다. 조작 부재(30)은 이와 같은 조작에 의해 압축 스프링(32)의 탄성에 항거하여 축(36)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된다. 이에 의해서 버팀막대(21)의 상단부(23)은 맞물림오목부(24)로부터 탈출한다. 이에 의해서 등받이부(5)는 리클라이닝 상태를 변경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등받이부(5)를 소망의 리클라이닝 상태로 한 후 조작부재(30)을 회전 조작하고 있던 힘이 제거된다. 이에 의해서 버팀막대(21)의 상단부(23)을 맞물림오목부(25~28)의 어느것인가 소망의 것에 맞물림시키도록 압축 스프링의 부세에 의해 조작부재(30)가 등받이부(5)에 접근하도록 회전된다.
버팀막대(21)의 상단부(23)가 맞물림오목부(24~27)의 어느것엔가에 맞물림한다는 것은 조작 부재(30)가 제9도에 나타낸 위치에 있을 때에는 긴구멍(31)의 뻗은 범위내에 있어서 달성될 수가 있다. 따라서 맞물림오목부(24)에 맞물림해 있던 상단부(23)을 맞물림오목부(25~27)에 맞물림시켰다해도 조작부재(30)의 등받이부(5)에 대한 위치는 변하지 않고, 그로인해 헤드가드(8)의 등받이부(5)에 대한 위치 관계도 유지된다. 다른 한편 상단부(23)가 가장 위의 맞물림오목부(28)에 맞물림할 때에는 제9도에 나타낸 위치에 있는 조작 부재(30)의 긴구멍(31)의 범위를 넘는다. 따라서 상단부(23)은 긴구멍(31)의 단부에 위치하면서 그 동작과 함께 조작 부재(30)를 등받이부(5)에 대해서 상방으로 변위시킨다. 제10도에서는 긴구멍(34)내에서 스러스트핀(33)의 위치로부터 알 수 있듯이 조작 부재(30)가 그와 같이 상방으로 변위되면서 상단부(23)가 가장위의 맞물림 오목부(28)에 맞물림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제10도에 나타낸 상태에서는 등받이부(5)가 가장 넘어져 있고 또한 헤드 가드(8)가 등받이부(5)로부터 일으켜 세운 상태로 되어 있다.
역으로 제10도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제9도에 나타낸 상태 또는 그들의 중간 상태에 등받이부(5)의 리클라이닝 상태를 복귀하는데도 상술한 조작과 실질적으로 마찬가지의 조작이 행하여진다. 또한 헤드 가드(8)의 자세에 관해서는 긴구멍(31)의 뻗은 범위로부터 알 수 있듯이 상단부(23)가 맞물림오목부(24)에 맞물림할 때에는 제9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등받이부(5)와 실질적으로 동일 면상에 뻗도록 되어지나, 거기에 이를 때 까지의 사이에서는 제10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등받이부(5)로부터 일으켜 세운 자세가 유지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중간의 상태에 있어서 제9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헤드 가드(8)을 등받이부(5)와 실질적으로 동일면상으로 뻗은 상태로 할려면 헤드 가드(8)에 직접 힘을 주어서 이것을 강제적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행하여진다. 또한 중간 상태로 할 때에 일단 제9도의 상태로 되돌렸다가 다시 등받이부(5)를 넘기도록 하면 헤드 가드(8)에 대한 조작은 불요하다.
이와 같은 등받이부(5)의 리클라이닝 동작에 연동해서 전술한 한쌍의 측벽(6A, 6B)의 서로의 사이의 간격이 변경된다. 보다 특정적으로는 등받이부(5)가 넘어졌을 때 상술의 간격이 보다 넓혀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대해 제3도 내지 제8도 및 제11도 내지 제13도를 참조하면서 이하에 설명한다.
한쌍의 제1 및 제2사이드 가드(7A, 7B)는 등받이부(5)의 전면에 따라서 뻗고 또한 측벽(6A, 6B)를 각 외측 가장자리부에 위치시키는 제1 및 제2주면벽(38A, 38B)를 갖춘다. 한쌍의 측벽(6A, 6B)의 서로의 사이의 간격이 변경가능하도록 제1 및 제2사이드 가드(7A, 7B)를 각각 유지하기 위해 제1 및 제2주면벽(38A, 38B)의 하단부가, 피봇핀(39A, 39B)을 거쳐서 등받이부(5)에 대해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이와 같은 제1 및 제2사이드 가드(7A, 7B)에 대해서 버팀막대(21)의 상단부(23)의 동작이 전달되는 것에 의해 한쌍의 측벽(6A, 6B)간의 간격이 등받이부(5)의 리클라이닝 동작에 연동해서 변경된다. 그를 위한 구성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제5도, 제6도, 제7도 및 제8도를 잘 나타내 있는 바와 같이 전술한 조작 부재(30)은 상자형을 이루고, 그 내측에 전술한 슬라이더(19)가 위치해 있다. 슬라이더(19)에는 가이드 포스트(40)가 설치되어 이 가이드 포스트(40)은 등받이부(5)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뻗도록 설치된 긴쪽의 가이드 구멍(41)내에 받아들여진다. 따라서 슬라이더(19)는 가이드 포스트(40)가 가이드 구멍(41)내에서 이동할 수 있는 범위만큼 등받이부(5)에 대해서 슬라이드 가능하다. 또 슬라이더(19)에는, 버팀막대(21)의 상단부(23)을 관통시키는 투공(42)이 설치된다. 투공(42)은 등받이부(5)의 뻗은 면에 대해서 직각의 방향으로 긴쪽 방향을 향해서 있고, 전술한 상단부(23)의 맞물림오목부(24~28)에 대한 맞물림 및 탈출을 허용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투공(42)내에 상단부(23)을 받아들여지고 있기 때문에 슬라이더(19)는 상단부(23)에 수반해서 등받이부(5)의 배면을 따라서 상하 방향으로 변위한다.
슬라이더(19)의 양측으로부터 내뻗도록 한쌍의 브래킷(42)이 설치되고, 이 브래킷(43)상에는 한쌍의 원동핀(44)이 설치된다. 등받이부(5)에는 한쌍의 원동핀(44)을 각각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받아들이는 한쌍의 서로 평행하게 뻗은 가이드 슬롯(45)이 설치된다. 한쌍의 원동핀(44)는 각각 한쌍의 가이드 슬롯(45)를 관통해서 제1 및 제2사이드 가드(7A, 7B)의 제1 및 제2주면벽(38A, 38B)에 까지 도달한다. 제1 및 제2사이드 가드(7A, 7B)의 제1 및 제2주면벽(38A, 38B)에는 한쌍의 원동핀(44)를 각각 긴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받아들이는 한쌍의 종동 슬롯(46)이 설치된다. 한쌍의 종동 슬롯(46)은 제3도 및 제4도에 잘 나타낸 바와 같이 상단부에 향할수록 서로 근접하도록 방향이 지어져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등받이부(5)의 리클라이닝 상태에 응해서, 버팀막대(21)의 상단부(23)의 등받이부(5)의 배면에 따라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해, 상단부(23)의 이동에 따라서 슬라이더(19)가 등받이부(5)의 배면을 따라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한다. 이 슬라이더(19)의 슬라이드에 응해서 원동핀(44)는 등받이부(5)에 설치된 가이드 슬롯(45)내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원동핀(44)는 가이드 슬롯(45)내를 이동하는 동안 제1 및 제2사이드 가이드(7A, 7B)에 설치된 종동 슬롯(46)에 맞물림해서 제1 및 제2사이드 가이드(7A, 7B)를 피봇핀(39)의 주위에 회전시킨다.
제3도 및 제5도에 나타낸 상태는 등받이부(5)가 가장 일으켜 세워졌을 때의 상태이며, 이 상태에서는 원동핀(44)은 가이드 슬롯(45)의 하단부에 위치함과 함께 종동 슬롯(46)의 하단부에 위치해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사이드 가드(A, 7B)는 서로 가장 근접된 상태로 되어 한쌍의 측벽(6A, 6B) 사이의 간격은 가장 좁혀져 있다. 다른 한편 제4도 및 제6도에 나타내는 상태는 등받이부가 가장 넘어졌을 때의 상태이며 이 상태에서는 원동핀(44)이 가이드 슬롯(45)의 상단부에 위치함과 함께 종동 슬롯(46)의 상단부에 위치해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사이드 가드(7A, 7B)는 서로 가장 떨어진 상태가 되어, 한쌍의 측벽(6A, 6B) 사이의 간격은 가장 넓혀진다.
또, 원동핀(44)이 가이드 슬롯(45) 및 종동 슬롯(46)의 각각의 긴쪽 방향의 중간부에 위치할 때는 제3도 및 제5도에 나타낸 상태와 제4도 및 제6도에 나타낸 상태와의 중간의 위치를 취하도록 제1 및 제2사이드 가드(7A, 7B)가 회전되어, 한쌍의 측벽(6A, 6B) 사이의 간격도 중간적인 상태로 된다.
이와 같이 해서, 등받이부(5)가 넘어졌을 때 한쌍의 측벽(6A, 6B) 사이의 간격이 보다 넓혀지도록 등받이부(5)의 리클라이닝 동작에 연동해서 한쌍의 측벽(6) 사이의 간격이 변경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시한 제1 실시예에서는 헤드 가드(8)가 설치되어, 이 헤드 가드(8)의 각도가 버팀막대(21)의 상단부(23)의 동작에 의해 제어되도록 구성되었으나 이와 같은 구성은 본 발명에 있어서 필수한 것은 아니다. 예컨대, 헤드 가드는 직접 이것을 조작함으로써 그 각도가 변경되도록 구성되어도 혹은, 헤드 가드의 각도가 변경될 수 없도록 고정되어도, 또한 헤드 가드를 갖추지 않아도 상관없디.
[실시예 2]
다음에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있어서 아동용 좌석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이 제2 실시예에 있어서 아동용 좌석 장치는 제1 및 제2사이드 가드는 등받이부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나, 이 제2 실시예의 구조에 의하면 제1 및 제2사이드 가드는 등받이부에 대해서 평형 이동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여기서는 제1 및 제2사이드가 평행 이동하는 구조에 대해서 제14도 내지 제22도를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제14도 및 제15도는 등받이부를 배면측으로부터 본 도면이며, 제14도는 제1 및 제2사이드 가드(52, 53)가 가장 좁혀진 상태를 나타내고 제15도는, 제1 및 제2사이드 가이드(52, 53)이 가장 넓혀진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 제16도는 제14도의 상태에 있어서 A-A선 화살 단면도, 제17도는 제15도의 상태에 있어서 B-B선 화살표 단면도, 제18도는 제14도의 상태에 있어서 C-C선 화살표 단면도, 제19도는 제14도의 상태에 있어서 D-D선 화살표 단면도, 제20도는 제15도의 상태에 있어서 E-E선 화살표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먼저 제14도 제16도 제18도 및 제19도를 참조해서 이 실시예에 있어서 등받이 부재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제1 및 제2사이드 가드(52, 53)에는 각각 등받이부(51)를 따라서 뻗고 또한 제1측벽(52B), 제2측벽(53B)을 외측 가장자리에 위시키기 위한 제2주면벽(52A), 제2주면벽(53A)이 설치되어 있다.
등받이부(51)의 배면상의 제1주면벽(52A)의 상단 근방 및 하단 근방에는 수평 방향으로 뻗는 제2가이드 슬롯(64) 및 제3가이드 슬롯(66)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등받이부(51)의 배면상의 제2주면벽(53A)의 상단 근방 및 하단 근방에는 수평 방향으로 뻗는 제2가이드 슬롯(65) 및 제4가이드 슬롯(67)이 설치되어 있다.
제1주면벽(52A) 및 제2주면벽(53A)의 제1가이드 슬롯(64) 내지 제4가이드 슬롯(67)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제1 내지 제4가이드 슬롯(64~67)에 따라서 제1주면벽(52A) 및 제2주면벽(53A)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제1가이드 슬롯(64)에 받아들여지는 제1원동핀(60), 제3가이드 슬롯(66)에 받아들여지는 제3원동핀(61) 및 제4가이드 슬롯(67)에 받아들여지는 제4원동핀(63)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리클라이닝 기구에 연동시키기 위한 연동 기구는 등받이부(51)의 배면상에 상하 방향으로 뻗는 가이드 홈(83)이 형성되어, 이 가이드 홈(83)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안내되는 슬라이더(68)가 설치되어 있다. 이 슬라이더(68)에는 슬라이드 플레이트(68d)와 슬라이더(68)의 위치 결정을 행하기 위한 스톱퍼 핀(68a) 및 스톱퍼 핀(68a)에 부세력을 주기 위한 스프링(68b)이 설치되어 있다.
스톱퍼 핀(68a)은 스톱퍼 핀(68a)의 선단에 설치된 블록부(68c)가 등받이부(51)에 설치된 위치 결정 구멍(72)에 삽입됨으로서 슬라이더(68)의 위치 결정이 행하여 간다. 슬라이더(68)에는 버팀막대(70)의 상단(70a)가 버팀막대 고정부(84)에 있어서 회전 가능하게 축지되어 있다.
슬라이드 플레이트(68d)의 상단부에는 제1연결핀(58)이 설치되어 하단부에는 제2연결핀(59)이 설치되어 있다. 제1연결핀(58)에는 제1원동핀(60)에 연결되는 제1연결 플레이트(54)와 제2원동핀(61)에 연결되는 제2연결핀(59)에는 제3원동핀(62)에 연결되는 제3연결 플레이트(56)와 제4원동핀(63)에 연결되는 제4연결 플레이트(57)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구조로 이루어진 등받이부(50)에 있어서 슬라이더(68)가 가이드홈(83)에 따라서 상승함과 함께 제1연결핀(58) 및 제2연결핀(59)도 상승해, 제1연결 플레이트(54)~제4연결 플레이트(57)을 상방으로 밀어 올리게 된다. 그러나 제1연결 플레이트(54)~제3연결 플레이트(57)의 타단은 각각 제1가이드 슬롯(64)~제4가이드 슬롯(67)에 따라서 이동하는 제1원동핀(60)~제4원동핀(63)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제1연결 플레이트(54)~제4연결 플레이트(57)의 상승력은 제1원동핀(60~제4원동핀(63)을 제1가이드 슬롯(64)~제4가이드 슬롯(67)에 따라서 외측으로 슬라이드시키는 것이 된다. 이에 의해 제15도, 제17도 및 제20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슬라이더(68)을 상승시켜서 사이드 가드(52, 53)를 좌우로 평행하게 넓힐 수가 있다.
다음에 제21도 및 제22도를 참조해서 상술한 구성에 입각하여 등받이부(50)의 리클라이닝 조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제21도에 나타낸 상태에서는 등받이부(50)이 가장 일으켜진 상태에 있고, 이 상태에서는 버팀막대(70)의 상단부(70a)가 가이드홈(83)에 설치된 위치 결정 구멍(72)의 가장 아래의 위치에 있는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등받이부(50)의 리클라이닝 상태를 변경하려고 할 때에는 우선 스톱퍼 핀(68)을 스프링(68b)의 부세력에 항거해서 들어 올리면서, 슬라이더(68)을 상방으로 서서히 슬라이드시킨다. 이때, 버팀막대(70)의 하단부(70b)는 지지부(77)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축지되어 있으므로 등받이부(50)은 축(76)을 중심으로 회전을 개시한다. 예컨대 슬라이더(68)을 가장 상방으로 슬라이드 시켰을 때, 제22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등받이부(50)은 가장 넓어진 상태가 된다. 또한, 제22도에 나타낸 상태에서 다시 등받이부(50)를 일으켜 세우기 위해서는 상술한 동작과 반대의 동작을 행하는 것에 의해 용이하게 행할 수가 있다.
이상과 같이 등받이부(50)가 넘어졌을때의 제1 및 제2사이드 가드(52, 53)를 수평 방향으로 넓힐 수 있도록 등받이부(51)의 리클라이닝 동작에 연동해서 제1 및 제2사이드 가드(52, 53)의 간격을 변경할 수가 있다.
[제3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에 입각한 제3 실시예에 대해서 제23도 내지 제25도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상술한 제1 및 제2 실시예는 등받이부의 리클라이닝 동작에 연동해서 제1 및 제2사이드 가드의 간격을 변경하도록 한 것에 대해 본 제3 실시예에 있어서는 등받이부의 리클라이닝 동작에 연동해서 제1 및 제2아암 레스트의 간격을 변경하도록 한 것이다.
제23도는 좌석부(73)를 하측으로부터 올려본 도면이며 제1 및 제2아암 레스트(78, 79)가 가장 좁혀진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제1 및 제2아암 레스트(78, 79)에는 각각 좌부(74)를 따라서 뻗고 또한 제1팔걸이(78B), 제2팔걸이(79B)를 외측 가장자리부에 위치시키기 위한 제1주면벽(78A) 및 제2주면벽(79A)이 설치되어 있다. 그 밖의 구성에 대해서는 슬라이더(68)에 스톱퍼 핀(68a)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점 및 슬라이더(68)에 작동핀(81)이 회전 가능하게 작동핀 고정부(84)에 고정되어 있는 점을 제외하면 제14도에 나타낸 제2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구조에 의해 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부터 슬라이더(68)가 가장 우측으로 있을때는 제1아암 레스트(78)와 제2아암 레스트(79)의 간격은 가장 좁혀진 상태로 되어, 슬라이더(68)이 가장 좌측에 있을 때는, 제1아암 레스트(78)와 제2아암 레스트(79)의 간격은 가장 넓혀진 상태가 된다.
다음에 제24도 내지 제25도를 참조해서 등받이부(50)의 리클라이닝 동작과 제1 및 제2아암 레스트(78, 79)의 간격의 변경의 연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제24도는 등받이부(50)이 가장 일으켜진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때 제1아암 레스트(78) 및 제2아암 레스트(79)의 간격은 가장 좁혀진 상태로 되어 있다.
등받이부(51)의 하방부에는 하방으로 뻗도록 작동 플레이트(80)가 부착되어 있다. 이 작동 플레이트(80)의 타단에는, 작동핀(81)의 하단부(81b)가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이 상태에 있어서, 등받이부를 서서히 넘어 뜨려가면 작동 플레이트(80)은 축(76)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이에 의해 제25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작동 플레이트(80)의 타단에 부착된 작동핀(81)은 도면중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해서 슬라이더(68)을 좌측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제1아암 레스트(78)과 제2아암 레스트(79)와의 간격은 등받이부가 너머지므로써 것에 의해 서서히 넓혀지게 된다.
또, 제24도 및 제25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제2 실시예에 있어서 기구를 짜맞추는 것에 의해 등받이부(50)이 리클라이닝 한 상태에서는 좌부 및 등받이부의 좌우의 간격이 넓혀져, 아동으로서 여유가 있는 스페이스를 확보하기가 가능해진다.
[제4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에 입각한 제4 실시예에 대해서 제26도 내지 제29도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이 제4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술한 제3 실시예의 구조에 있어서 등받이부(50)의 리클라이닝에 연동해서 좌부의 전방부에 연장 플레이트(69A)가 뻗도록 한 것이다.
또한 제26도는 좌부(24)를 하방으로부터 올려 본 도면이다. 제3 실시예의 구조와 비교했을 때, 슬라이더(68)의 전단에 연장 플레이트(69A)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구조에 있어서 제27도는 등받이부(50)이 가장 일으켜 세운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슬라이더(68)도 가장 우측으로 위치해 있다.
다음에 제28도를 참조해서 등받이부(50)을 서서히 넘어뜨려 가면 제3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슬라이더(68)은 좌측으로 이동해 이에 따라서 연장 플레이트(69A)가 좌부(74)의 전방부로부터 돌출하게 된다.
이와같이 등받이부의 리클라이닝에 연동해서 좌부(74)의 전방부로부터 연장 플레이트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예컨대 상술한 제2 및 제3 실시예와 짜맞추는 것으로 등받이부(50)가 리클라이닝 한 상태에 있어서 좌부 및 등받이부의 좌우의 간격이 넓혀짐과 함께 좌부의 전방의 스페이스도 넓혀져, 아동으로서 더욱 여유 있는 스페이스를 확보할 수가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도시한 제1 내지 제4 실시예에 대해 설명했으나 본 발명의 범위내에 있어서 그밖의 각종의 변형예가 가능하다.
또, 제1 및 제2측벽 사이의 간격의 변경 및 제1 및 제2팔걸이 사이의 간격을 등받이부의 리클라이닝 동작에 연동시키는 기구는, 도시한 실시예에서 채용된 것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각종의 공지의 연동 기구를 이에 바꾸어 놓을 수가 있다. 또 등받이부의 리클라이닝 상태를 조절하기 위한 기구에 대해서도, 공지의 다른 기구로 바꾸어 놓을 수가 있는 것이다,
또한, 도면에서는 좌부(4), 등받이부(5), 제1 및 제2사이드 가드(7A, 7B), 헤드 가드(8)을 각각 구성하는 베이스의 부재만이 도시되었으나, 실제의 아동용 의자(1)에 있어서는 이들 베이스의 부재상에, 예컨대 쿠숀재가 장전된 표면 재료가 배치된다. 물론 이와같은 표면 재료의 배치는 예컨대 제1 및 제2사이드 가드(7)의 동작을 방해하지 않도록 고려된다.
상술한 실시예는 아동용 의자(1)에 관련해서 설명했으나 본 발명은 예컨대 유모차 또는 자동차용 아동 안전 시트와 같은 다른 형식의 아동용 좌석 장치에도 적용될 수가 있다.

Claims (10)

  1. 좌부(4) 및 상기 좌부(4)의 후방으로부터 일으켜 세우는 등받이부(5)를 갖추고, 상기 등받이부(5)가 리클라이닝 가능하게 되고, 또한 상기 등받이부(5)의 양측 가장자리부로부터 전방으로 각각 내뻗은 한쌍의 측벽(6A, 6B)를 형성하는 제1 및 제2사이드 가드(7A, 7B)를 갖춘 아동용 좌석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측벽(6A, 6B)의 서로 사이의 간격이 변경 가능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사이드 가드(7A, 7B)를 각각 유지하는 유지기구(39A, 39B)와, 상기 등받이부(5)가 넘겨뜨려졌을 때 한쌍의 측벽(6A, 6B)의 서로간의 간격이 보다 넓혀지도록 등받이부(5)의 리클라이닝 동작에 연동시켜서 한쌍의 측벽(6A, 6B)의 서로간의 간격을 변경하는 연동기구(19, 21, 40, 41, 44, 95, 64)를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동용 좌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사이드 가드(7A, 7B)는 등받이부(5)를 따라 뻗고 또한 측벽(6A, 6B)을 각 외측 가장자리부에 위치시키는 제1 및 제2주면벽(38A, 38B)을 갖추고, 유지기구(39A)는 제1 및 제2주면벽(38A, 38B)을 등받이부(5)에 대해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기구를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동용 좌석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5)의 리클라이닝 상태를 조절하기 위해, 등받이부(5)를 리클라이닝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20)과는 다른 위치에서 그 하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또한 그 상단부가 등받이부의 배면상의 상하 방향에 분포하는 복수의 위치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버팀막대(21)을 갖추고, 상기 유지 기구(39A)는 제1 및 제2주면벽(38A, 38B)의 하단부를 등받이부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피봇핀을 갖추고, 상기 연동 기구(19, 21, 40, 41, 44, 45, 46)는 버팀막대(21)의 상단부에 부착되어 있는 한쌍의 원동핀(44)과 등받이부(5)에 설치되어 또한 한쌍의 원동핀(44)를 각각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받아들이는 한쌍의 서로 평행으로 뻗은 가이드 슬롯(45)과 한쌍의 사이드 가드(7A, 7B)의 각각의 주면벽(38A, 38B)에 설치되어 또한 한쌍의 원동핀(44)를 각각 그 긴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받아 들이는 한쌍의 종동 슬롯(46)을 갖추고, 한쌍의 종동 슬롯(46)은 상단부로 향할수록 서로 근접하도록 방향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동용 좌석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5)의 상단부에 있어서, 전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는 헤드 가드(8)와 등받이부(5)가 넘어 뜨려졌을 때 헤드 가드(8)가 등받이부(5)로부터 일으켜 세워지도록 헤드 가드(8)에 버팀막대(21)의 상단부의 동작을 전달하는 기구(36)를 또한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동용 좌석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5)의 리클라이닝 상태를 조정하기 위해 등받이부(5)를 리클라이닝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76)과는 다른 위치에 있어서, 그 하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고, 또한 그 상단부가 등받이부의 배면상의 상하 방향으로 분포하는 복수의 위치에 선택적으로 고정도는 버팀막대(70)을 갖추고, 상기 유지 기구는 등받이부(51)의 배면상의 제1주면벽(52A)의 상단 근방에 설치된 수평 방향으로 뻗는 제1가이드 슬롯(64) 및 하단 근방에 설치된 수평 방향으로 뻗는 제3가이드 슬롯(66)과, 상기 등받이부(51)의 배면상의 제2주면벽(53A)의 상단 근방에 설치된 수평 방향으로 뻗은 제2가이드 슬롯(65) 및 하단 근방에 설치된 수평 방향으로 뻗은 제4가이드 슬롯과, 상기 제1주면벽(52A)의 상단 근방 및 하단 근방에 설치되어 제1주면벽(52A)가 제1 및 제3가이드 슬롯(64, 66)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도록 제1가이드 슬롯(64)에 받아들여지는 제1원동핀(60) 및 제3가이드 슬롯(66)에 받아들여지는 제3원동핀(62)과, 상기 제2주면벽(53A)의 상단 근방 및 하단 근방에 설치되어 제2주면벽(53A)이 제2 및 제4가이드 슬롯(65, 67)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2가이드 슬롯(65)에 받아들여지는 제2원동핀(61) 및 제4가이드 슬롯(62)에 받아들여지는 제4원동핀(63)을 갖추고, 상기 연동 기구는, 버팀막대(70)의 상단부를 지지하고, 상기 등받이부(51)의 배면상의 대략 중앙부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한 슬라이드 플레이트와,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68)의 상단에 설치된 제1연결핀(58) 및 하단에 설치된 제2연결핀(59)과,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68)의 상하에 수반해서 제1사이드 가드(52A)가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드 하도록 제1연결핀(58)과 제2원동핀(60)을 연결하는 제1연결 플레이트(54) 및 제2연결핀(59)과 제3원동핀(62)을 연결하는 제3연결 플레이트(56)와,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68)의 상하에 수반해서 제2사이드 가드(53A)가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드 하도록 제1연결핀(58)과 제2원동핀(61)을 연결하는 제2연결 플레이트(55) 및 제2연결핀(59)와 제4원동핀(63)을 연결하는 제4플레이트(57)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동용 좌석 장치.
  6. 좌부(74) 및 상기 좌부(74)의 후방으로부터 일으켜 세우는 등받이부(51)를 갖추고, 상기 등받이부(51)가 리클라이닝 가능하게 되고, 또한 좌부(51)의 양측 가장자리부로부터 상방으로 각각 내뻗은 한쌍의 팔걸이(78B, 79B)를 형성하는 제1 및 제2아암 레스트(78, 79)를 갖추는 아동용 좌석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팔걸이(78B, 79B)의 좌우의 서로간의 간격이 변경 가능하도록 제1 및 제2아암 레스트(78, 79)를 각각 유지하는 유지 기구와, 상기 등받이부(51)가 넘어 뜨려졌을 때 한쌍의 팔걸이(78B, 79B)의 서로간의 간격이 보다 넓혀지도록 등받이부(51)의 리클라이닝 동작에 연동시켜 한쌍의 팔걸이(78B, 79B)의 서로간의 간격을 변경하는 연동 기구를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동용 좌석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아암 레스트(78, 79)는, 좌부(74)를 따라서 뻗고 또한 전기 팔걸이(78B, 79B)를 각 외측 가장자리부에 위치시키는 제1 및 제2주면벽(78A, 79B)를 갖추고, 상기 유지기구 제1 및 제2주면벽(78A, 79A)이 전기 좌부(74)에 대해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는 기구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동용 좌석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51)는 이 등받이부(51)의 배면상의 하단 근방에 고정되는 작동 플레이트(80)를 갖추고, 상기 유지 기구는, 좌부(74)의 이면상의 제1주면벽(78A)의 전방 근방에 설치된 좌우 방향으로 뻗는 제1가이드 슬롯(64) 및 후방 근방에 설치된 좌우 방향으로 뻗는 제3가이드 슬롯(66)과, 상기 좌부(74)의 이면상의 제2주면벽(79A)의 전방 근방에 설치된 좌우 방향으로 뻗는 제2가이드 슬롯(65) 및 후방 근방에 설치된 좌우 방향으로 뻗는 제4가이드 슬롯(67)과, 상기 제1주면벽(78A)의 전방 근방 및 후방 근방에 설치되어 제1주면벽(78A)이 제1 및 제3가이드 슬롯(64, 66)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도록 제1가이드 슬롯(64)에 받아들여지는 제1원동핀(60) 및 제3가이드 슬롯(66)에 받아들여지는 제3원동핀(62)과, 상기 제2주면벽(79A)의 전방 근방 및 후방 근방에 설치되어 제2주면벽(79A)이 제2 및 제4가이드 슬롯(65, 57)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도록 제2가이드 슬롯(65)에 받아들여지는 제2원동핀(61) 및 제4가이드 슬롯에 받아들여지는 제4원동핀(63)과, 상기 연동 기구는, 그 후단부가 상기 작동 플레이트(80)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 작동핀(70)과, 상기 작동핀(70)의 전단부를 지지하고, 등받이부(51)의 배면상의 대략 중앙부에 있어서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한 슬라이드 플레이트(68)와,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68)의 전단에 설치된 제1연결핀(58) 및 후단에 설치된 제2연결핀(59)과,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68)의 전후 이동에 수반해서 제1아암레스트(78)가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하도록 제1연결핀(58)과 제1원동핀(60)을 연결하는 제1연결 플레이트(54) 및 제2연결핀(59)과 제3원동핀(62)을 연결하는 제3연결 플레이트(56)와,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68)의 전후 이동에 수반해서 아암 레스트(79)가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하도록 제1연결핀(58)과 제2원동핀(61)을 연결하는 제2연결 플레이트(55) 및 제2연결핀(59)과 제4원동핀(63)을 연결하는 제4연결 플레이트(57)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동용 좌석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68)의 전방부에는 등받이부(51)가 넘어 뜨려졌을 때에 좌부(74)의 전방부로부터 돌출하는 연장플레이트(69A)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동용 좌석장치.
  10. 좌부 및 이 좌부의 후방으로부터 일으켜 세우는 등받이부를 갖추고, 상기 등받이부의 리클라이닝 가능하게 되고, 또한 등받이부의 양측 가장자리부로부터 전방으로 각각 내뻗은 한쌍의 측벽을 형성하는 제1 및 제2사이드 가드와, 좌부의 양측 자장자리부로부터 상방으로 내뻗은 한쌍의 팔걸이를 형성하는 제1 및 제2아암 레스트를 갖추는 아동용 좌석장치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측벽의 서로간의 간격이 변경 가능하도록 제1 및 제2사이드 가드를 각각 유지하는 제2유지기구와, 상기 한쌍의 팔걸이의 좌우의 서로간의 간격이 변경가능하도록 제1 및 제2아암 레스트를 각각 유지하는 제2유지기구와, 상기 등받이부가 넘어 뜨려졌을 때 한쌍의 측벽의 서로간의 간격이 보다 넓혀지도록 등받이부의 리클라이닝 동작에 연동시켜서 한쌍의 측벽의 서로의 간격을 변경하는 제1연동기구와, 상기 등받이부가 넘어뜨려졌을 때 한쌍의 팔걸이의 좌우의 서로간의 간격이 보다 넓혀지도록 등받이부의 리클라이닝 동작에 연동시켜서 한쌍의 팔걸이의 좌우의 서로간의 간격을 변경하는 제2연동기구를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동용 좌석장치.
KR1019950036913A 1994-10-20 1995-10-20 아동용 좌석 장치 KR01659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4-254937 1994-10-20
JP25493794 1994-10-20
JP08055095A JP3416329B2 (ja) 1994-10-20 1995-04-05 子供用座席装置
JP95-80550 1995-04-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3288A KR960013288A (ko) 1996-05-22
KR0165922B1 true KR0165922B1 (ko) 1999-02-18

Family

ID=26421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36913A KR0165922B1 (ko) 1994-10-20 1995-10-20 아동용 좌석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5681084A (ko)
EP (1) EP0708009B1 (ko)
JP (1) JP3416329B2 (ko)
KR (1) KR0165922B1 (ko)
CN (2) CN1044967C (ko)
AU (1) AU690724B2 (ko)
CA (1) CA2158201C (ko)
DE (1) DE69507246T2 (ko)
TW (1) TW365131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1035128Y (es) * 1996-07-15 1997-08-01 Jane Sa Asiento para coches-silla infantiles.
US5938284A (en) * 1996-07-19 1999-08-17 Cascade Engineering, Inc. Seat bolster adjustment assembly
JP3288002B2 (ja) * 1997-01-08 2002-06-04 アップリカ▲葛▼西株式会社 自動車用年少者安全座席
JPH11278116A (ja) 1998-01-27 1999-10-12 Aprica Kassai Inc 年少者用座席
JP2000142194A (ja) 1998-01-27 2000-05-23 Aprica Kassai Inc 育児器具
CA2270846C (en) * 1998-05-18 2007-09-11 Britax Child Safety Inc. Child safety seat
GB9817442D0 (en) * 1998-08-12 1998-10-07 Maclaren Ltd Baby buggies
US6095600A (en) * 1999-05-27 2000-08-01 Mattingly; Francis J. Bicycle seat
DE10107195A1 (de) * 2001-02-16 2002-09-12 Recaro Aircraft Seating Gmbh Fahrzeugsitz, insbesondere Fluggastsitz
US7427102B2 (en) * 2002-02-08 2008-09-23 Recaro Aircraft Seating Gmbh & Co. Vehicle seat with seating components adjustable within a spatial constraint
JP3967243B2 (ja) * 2002-09-30 2007-08-29 アップリカ育児研究会アップリカ▲葛▼西株式会社 乳母車
US6890031B2 (en) * 2002-10-15 2005-05-10 Mattel, Inc. Adjustable child support structure
US6910735B2 (en) 2002-11-04 2005-06-28 Mattel, Inc. Adjustable support structur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DE20308018U1 (de) 2003-05-22 2003-07-31 Beger, Udo, 84030 Ergolding Sitz/Liegeeinsatz für Kinder- und/oder Puppenwagengestelle
US6951371B2 (en) * 2003-05-22 2005-10-04 Kun Wang Multi-functional child high chair
NL1023758C2 (nl) * 2003-06-27 2004-12-28 Maxi Miliaan Bv Wandelwagen.
US7185910B2 (en) * 2003-12-03 2007-03-06 Positech Innovation Inc. Multi adjustable chair
CA2554667C (en) * 2004-02-13 2010-07-20 Meeker R & D, Inc. Infant carrier and receiving base
US7100988B1 (en) * 2004-06-03 2006-09-05 Hyslop William J Child's highchair with a reclining back
US7172248B2 (en) * 2004-11-29 2007-02-06 Schukra Of Norht America Ltd. Slider clip support
ATE463221T1 (de) * 2004-11-29 2010-04-15 R82 As Verstellbare stuhlkonstruktion
US8066325B2 (en) * 2006-09-13 2011-11-29 Intier Automotive Inc. Deployable bolster for a vehicle seat
EP2144535B1 (en) * 2007-01-17 2012-06-20 SKJP Holdings, LLC Adjustable child restraint device
JP5602410B2 (ja) 2008-12-18 2014-10-08 アップリカ・チルドレンズプロダクツ株式会社 座席構造
FR2945486B1 (fr) * 2009-05-12 2011-05-27 Dorel France Sa Siege auto pour enfant.
US8113523B2 (en) * 2009-10-14 2012-02-14 Wonderland Nurserygoods Company Limited Backrest reclining mechanism and related stroller
EP2564825B1 (en) * 2011-08-29 2014-04-23 Invacare International Sàrl Backrest for wheelchair
US9409504B2 (en) 2013-01-24 2016-08-0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Flexible seatback system
US9399418B2 (en) 2013-01-24 2016-07-2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ndependent cushion extension and thigh support
US9415713B2 (en) 2013-01-24 2016-08-1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Flexible seatback system
US20150182027A1 (en) * 2013-12-27 2015-07-02 Hong-Yuan Chang Composite chair
US9315131B2 (en) 2014-01-23 2016-04-1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uspension seat back and cushion system having an inner suspension panel
US9421894B2 (en) 2014-04-02 2016-08-2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seating assembly with manual independent thigh supports
US9789790B2 (en) 2014-10-03 2017-10-1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Tuned flexible support member and flexible suspension features for comfort carriers
US10328965B2 (en) * 2014-11-26 2019-06-25 Thule Canada Inc. Passenger transport carriers
US9365142B1 (en) * 2015-01-20 2016-06-1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anual independent thigh extensions
US10046682B2 (en) 2015-08-03 2018-08-1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Back cushion module for a vehicle seating assembly
CN106671836B (zh) * 2015-11-06 2020-04-03 宝钜儿童用品香港股份有限公司 调整机构及具有该调整机构的儿童安全座椅
US20170252239A1 (en) * 2016-03-01 2017-09-07 Synetik Ergocare Inc. Adjustable Chair Assembly
US9849817B2 (en) 2016-03-16 2017-12-2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omposite seat structure
US10286818B2 (en) 2016-03-16 2019-05-1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Dual suspension seating assembly
US9994135B2 (en) 2016-03-30 2018-06-1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ndependent cushion thigh support
US10220737B2 (en) 2016-04-01 2019-03-0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Kinematic back panel
US9889773B2 (en) 2016-04-04 2018-02-1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nthropomorphic upper seatback
US9802512B1 (en) 2016-04-12 2017-10-3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Torsion spring bushing
US10098476B2 (en) * 2016-04-29 2018-10-16 Wonderland Switzerland Ag Child high chair
US9845029B1 (en) 2016-06-06 2017-12-1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assive conformal seat with hybrid air/liquid cells
US9849856B1 (en) 2016-06-07 2017-12-2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ide airbag energy management system
US9834166B1 (en) 2016-06-07 2017-12-0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ide airbag energy management system
US10377279B2 (en) 2016-06-09 2019-08-1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ntegrated decking arm support feature
US10166895B2 (en) 2016-06-09 2019-01-0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eatback comfort carrier
US10286824B2 (en) 2016-08-24 2019-05-1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preader plate load distribution
US10279714B2 (en) 2016-08-26 2019-05-0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eating assembly with climate control features
US10391910B2 (en) 2016-09-02 2019-08-2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odular assembly cross-tube attachment tab designs and functions
US10239431B2 (en) 2016-09-02 2019-03-2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ross-tube attachment hook features for modular assembly and support
US9914378B1 (en) 2016-12-16 2018-03-1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Decorative and functional upper seatback closeout assembly
US10596936B2 (en) 2017-05-04 2020-03-2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elf-retaining elastic strap for vent blower attachment to a back carrier
WO2020227782A1 (en) * 2019-05-16 2020-11-19 Kidverter Pty Ltd Reconfigurable children's furniture
US10857917B1 (en) * 2019-08-20 2020-12-08 Ellen Edwards Reclining child car seat with adjustable head support
US20230371710A1 (en) * 2020-10-12 2023-11-23 Wonderland Switzerland Ag Adjustable infant seat
CN114851927B (zh) * 2021-01-20 2024-07-09 宝钜瑞士股份有限公司 儿童安全座椅及其isofix伸缩调节机构
US12030411B2 (en) * 2022-01-28 2024-07-09 Britax Child Safety, Inc. Child restraint system with posture fit mechanism
CN115158434B (zh) * 2022-06-13 2023-12-29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一种童车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527754A (en) * 1923-06-08 1925-02-24 Sylvester J Simon Relaxation chair
US2163365A (en) * 1935-03-26 1939-06-20 Terschmann Karl Richard Chair bedstead
US2619157A (en) * 1948-01-30 1952-11-25 United Aircraft Corp Antibuffet seat
US2607400A (en) * 1949-11-25 1952-08-19 Raymond L Kuns Portable back supporting device
US4603902A (en) * 1984-02-21 1986-08-05 Cosco, Inc. Foldable high chair
JPH0676030B2 (ja) * 1986-01-22 1994-09-28 富士重工業株式会社 自動車のリヤシ−ト構造
US4776632A (en) * 1986-04-17 1988-10-11 Honda Giken Kogyo Kabashiki Kaisha Seat adjusting apparatus for an automotive vehicle
AU632447B2 (en) * 1990-07-11 1992-12-24 Aprica Kassai Kabushiki Kaisha Height-controllable chair
JP2592766B2 (ja) * 1993-10-04 1997-03-19 アップリカ▲葛▼西株式会社 椅 子
IT230530Y1 (it) * 1993-11-29 1999-06-07 Perego Pines Gmbh Passeggino con regolazione dello schienale a comando centralizzat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3069295A (en) 1996-05-02
CA2158201A1 (en) 1996-04-21
JPH08168422A (ja) 1996-07-02
TW365131U (en) 1999-07-21
CN1119964C (zh) 2003-09-03
EP0708009B1 (en) 1999-01-13
CN1257680A (zh) 2000-06-28
EP0708009A1 (en) 1996-04-24
CN1127108A (zh) 1996-07-24
US5681084A (en) 1997-10-28
KR960013288A (ko) 1996-05-22
AU690724B2 (en) 1998-04-30
CA2158201C (en) 2000-05-23
JP3416329B2 (ja) 2003-06-16
DE69507246T2 (de) 1999-07-08
DE69507246D1 (de) 1999-02-25
CN1044967C (zh) 1999-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65922B1 (ko) 아동용 좌석 장치
US6719371B2 (en) Child chair
US10479236B2 (en) Child safety seat having an adjustable seat board
US4230366A (en) Automotive seat with built-in child restraint
JP5667807B2 (ja) 車両用チャイルドシート
US8348340B2 (en) Seat structure
EP2659805B1 (en) A chair with a backrest adjustment mechanism
CN102371918A (zh) 育儿器具的座席构造
KR101214498B1 (ko) 유아용 시트
JP2010162337A (ja) 椅子
CN104417401A (zh) 可折叠的车辆座椅
JP3609996B2 (ja) ソファー
JPH0662935A (ja) 椅 子
KR19980024868A (ko) 유아용 좌석장치
RU2145787C1 (ru) Преобразуемая мебель
JP7092342B2 (ja) 椅子
CN219192310U (zh) 座椅及婴儿车
JPS6122561B2 (ko)
JP3416328B2 (ja) 子供用座席装置
JP2569965Y2 (ja) 育児椅子
JP2545731Y2 (ja) 移動机
KR200145887Y1 (ko) 자동차시트용 아암레스트의 높이조절장치
JPH0727890Y2 (ja) 幼児用椅子
JP2001097228A (ja) 育児器具
JPH08256873A (ja) 車両用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5102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06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09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809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8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9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70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70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623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62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708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