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61643B1 - 연삭형 수직 정곡기 - Google Patents

연삭형 수직 정곡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1643B1
KR0161643B1 KR1019960014903A KR19960014903A KR0161643B1 KR 0161643 B1 KR0161643 B1 KR 0161643B1 KR 1019960014903 A KR1019960014903 A KR 1019960014903A KR 19960014903 A KR19960014903 A KR 19960014903A KR 0161643 B1 KR0161643 B1 KR 01616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nding
roll
grain
grains
stir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49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40448A (ko
Inventor
사또루 사다께
가즈오 히로니까
Original Assignee
사또루 사다께
가부시끼가이샤 사다께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516142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0161643(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사또루 사다께, 가부시끼가이샤 사다께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사또루 사다께
Publication of KR9600404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404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16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16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3/00Hulling; Husking; Decorticating; Polishing; Removing the awns; Degerming
    • B02B3/06Hulling; Husking; Decorticating; Polishing; Removing the awns; Degerming by means of screws or w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3/00Hulling; Husking; Decorticating; Polishing; Removing the awns; Degerm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3/00Hulling; Husking; Decorticating; Polishing; Removing the awns; Degerming
    • B02B3/04Hulling; Husking; Decorticating; Polishing; Removing the awns; Degerming by means of rollers

Landscapes

  • Adjustment And Processing Of Grains (AREA)
  • Crushing And Gri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직 겨제거 실린더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수직으로 연장하는 주축에, 알곡을 공급하는 스크류롤과, 알곡을 벗기기 위해 상기 주축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스크류롤 아래에 설치된 복수의 연삭정백롤과, 상기 복수의 연삭정백롤 아래에 설치되어 벗겨진 알곡을 알곡배출부로 이송하는 회전롤이 설치되고, 복수의 연삭정백롤이 상기 겨제거 실린더 내에 위치하고, 서로 인접한 연삭정백롤 사이에 형성된 틈이 분풍슬롯을 형성하며, 겨제거 실린더의 상단부는 알곡공급부와 연통하고, 겨제거 실린더의 하단부가 알곡배출부와 연결되는 연삭형 수직 정곡기에 관한 것이다. 겨제거 실린더의 하부는 아래로 연장하여 회전롤에 수평으로 마주본다. 더 나아가, 연삭형 정곡기는 벗겨진 알곡을 교반하는 회전롤의 외주면상에는 제공된 교반돌기를 가지며, 회전롤은 교반돌기에 의해 교반된 알곡을 향해 분풍하는 분풍공을 가진다.

Description

연삭형 수직 정곡기
제1도는 제3도의 I-I선을 따라 취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직 정곡기의 종단면도.
제2도는 연삭정백용 연삭정백롤과 마찰정백용 교반롤 (회전롤)을 포함하는 제1도의 부분 확대 종단면도.
제2a도는 제1도의 정곡기의 교반롤의 개략적인 확대 정면도.
제2b도는 제2도의 IIB-IIB선을 따라 취한 교반롤의 종단면도.
제3도는 제1도의 정곡기의 상부 정백실의 종단면도.
제4도는 종래의 수직 정곡기의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 수직 정곡기 10 : 겨수집 실린더
13 : 겨수집실 17 : 교반롤 (회전롤)
18 : 교반돌기 19 : 분풍공
20 : 수분첨가구 21 : 수분수용부
23 : 연삭정백롤 31 : 분풍슬롯 (slot)
39 : 알곡공급부 40 : 공급량 조절장치
41 : 겨제거 실린더 42 : 상부 정백실
43 : 하부 정백실 46 : 겨제거실
47 : 알곡이송구
본 발명은 쌀 또는 밀알곡과 같은 곡류 입자를 정백하기 위한 수직 정곡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수직 겨제거 실린더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수직으로 연장하는 주축상에, 알곡을 공급하는 스크류롤과, 알곡을 벗기기 위해 상기 주축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스크류롤 아래에 설치된 복수의 연삭정백롤과 복수의 연삭정백롤 아래에 설치되어 벗겨진 알곡을 알곡배출부로 이송하는 회전롤이 설치되고, 복수의 연삭정백롤이 겨제거 실린더 내에 위치하고, 서로 인접한 연삭정백롤 사이에 형성된 틈이 분풍홈을 형성하며, 겨제거 실린더의 상단부는 알곡공급부와 연통하고, 겨제거 실린더의 하단부가 알곡배출부와 연결되는 연삭행 수직 정곡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정곡기는 본 출원인이 우선권 주장하면서 출원한 일본국 특허출원 제 95-44916호(유럽 특허출원 0668107호와 관련)에 개시되어 있다. 제4도를 참조하여 상기 제시된 정곡기를 기술한다. 수직 정곡기(101)에서, 스크류 롤(104)와 복수의 연삭정백롤(105)이 겨제거 실린더(102)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주축(103)상에 설치된다. 서로 인접해 있는 연삭정백롤(105)사이에 형성된 틈은 분풍슬롯(106)으로서 역할하며, 겨제거 실린더(102)와 연삭정백롤(105)을 가진 연삭 정백실(107)은 그의 상단부(107a)가 알곡공급부(108)와 연통되어 있고, 그의 하단부(107b)는 알곡배출부(109)와 연통되어 있다. 분풍슬롯(106)을 형성하는 틈은 알곡의 입출을 허용할 정도의 크기를 가진다.
아래에, 수직 정곡기(101)의 작동에 대해 기술한다. 알곡공급부(108)에 공급된 알곡은 스크류 롤(104)을 통해 연삭정백실(107)에 공급된다. 연삭정백실(107)에서, 연삭정백롤(105)이 회전함으로써 알곡은 연삭정백되고, 또한 분풍슬롯(106)을 형성하는 틈으로 들어가 마찬가지로 알곡은 정백되며, 결과적으로 알곡은 정백된다. 정백된 알곡은 알곡 배출부(109)를 통해 배출되고, 반면 정백 작용의 결과로 생성된 겨를 포함하는 먼지는, 분풍슬롯(106)을 통한 분풍에 의해, 겨제거 실린더의 구멍을 통해 기계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한 종래의 수직 정곡기에 있어서, 겨의 제거는 분풍슬롯(106)을 통한 분풍에 의해 수행되지만, 겨 가루는 알곡배출부(109)를 통해 배출된 알곡의 표면상에 여전히 미소하게 남아 있어, 결과적으로 겨의 제거는 불완전한 것이 된다. 다시 말하면, 연삭정백롤(105)의 정백작용에 의해, 알곡의 표면층부가 벗겨져 겨층이 만족스럽게 제거되지만, 알곡 대 알곡의 마찰이 알곡 중에서 행해지지 않아 표면상에 남아 있는 겨층이 완전하게 제거되지 않는다. 특히, 밀을 정백하는 경우에 있어서, 겨층, 즉 밀알곡의 표면층부는 세로홈부를 제외하고 연삭정백롤(105)에 의해 벗겨지지만, 밀알곡의 세로홈 내부의 겨층은 벗겨지지 않으며, 따라서 이 겨층은 완전히 제거될 수 없다. 더 나아가, 잔여 겨가 밀알곡의 세로홈부에 붙어 있을 수도 있다. 여기에서, 겨층은 외피(즉, 배유 및 배아 이외의 영역)와 같이 외층 뿐만 아니라 호분층(aleurone layer)과 같은 내부층을 포함하는 전체 외층을 의미한다. 더욱이, 겨층은 또한 배유의 표면으로부터 벗겨지지 않는 겨를 의미하며, 겨 가루는 일단 배유의 표면으로부터 벗겨지고, 그 후 다시 들러붙는 미세한 겨를 의미한다.
연삭정백부와 마찰정백부가 알곡의 흐름 방향에 대해 연속으로 연결되어 있는 수직 정곡기는, 예컨대 일본국 미심사 공개 공보 제 6-277531 (A), 6-3278989 (A), 5-237402 (A)및 4-78451 (A)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렇지만, 이들 공개 공보에 개시된 수직 정곡기에 있어서, 한 겨제거 실린더는 양 연삭정백롤을 수용하지 못하고, 롤이 그 안에서 완전하게 회전하지 못하지만, 마찰정백부 또는 연삭정백부에 대해 수직방향에서의 큰 공간이 외부로 방사형으로 돌출하는 방법이 있다 (일본국 미심사 공개공보 제 6-277531 호에 개시된 경우에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의 관점에서 개발되었으며, 본 발명의 목적은 알곡의 표면부에 붙어 있는 겨층 또는 겨 가루를 양호하게 제거할 수 있는 수직 정곡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목적은 겨제거 실린더의 하부가 회전롤과 수평으로 마주보도록 아래로 연장되고, 이 회전롤에는 그의 외주면 상에는 벗겨진 알곡을 교반시키는 교반돌기가 설치되고, 교반돌기에 의해 교반된 알곡을 향해 분풍하는 분풍공을 가지는 연삭형 수직 정곡기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삭형 수직 정곡기에 있어서, 교반돌기에 의한 교반에 앞서 벗겨진 알곡에 수분을 첨가하기 위해 회전롤의 상단 부근에 수분첨가기구가 설치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삭형 수직 정곡기에 있어서, 수분첨가기구는 회전롤의 상단 부근에 설치된 복수의 수분첨가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수분첨가기구는 회전롤의 상단면에 형성된 수분수용오목부를 포함하며, 이 수분수용부의 외주벽에는 회전롤이 외주면으로 연장하는 수분첨가구가 설치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삭형 수직 정곡기에 있어서, 회전롤은 회전롤상에 직접 설치된 최하부의 연삭정백롤을 지지한다. 바람직하게는, 회전롤은 하단부를 가진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주축상에 끼워진 보스(boss)부와 회전롤의 외주부에서 최하부의 연삭정백롤을 지지한다.
알곡공급부에 공급된 알곡은 스크류롤에 의해 겨제거 실린더에 공급된다. 겨제거 실린더에서, 알곡의 표층부는 연삭정백롤의 회전에 의해 발생된 벗김작용에 의해 벗겨진다. 이때, 알곡은 그의 표층부가 거의 모두 제거되거나 벗겨지도록 정백되지만, 알곡의 표층부의 일부는 벗겨지지 않는다. 겨층이 부분적으로 남아 있는 알곡은 겨제거 실린더의 하단부의 부근에 위치하고 교반돌기가 설치된 회전롤 주위 영역으로 보내진다. 이때, 겨층과 배유의 분리를 증진시키기 위해, 수분이 수분첨가구를 통해 알곡에 첨가되고, 더 나아가 알곡은 회전롤상의 교반돌기에 의해 교반된다. 교반 때문에, 알곡은 서로 마찰하게 되고, 그 결과로 알곡의 표면부상에 부분적으로 남아 있던 겨층과 겨가루가 쉽게 첨가된 수분에 의해 벗겨진다. 정백된 알곡은 알곡배출구를 통해 배출되고, 반면 연삭작용의 결과로 형성된 겨를 포함하는 먼지는 수집되고, 분풍슬롯 및 분풍공으로 부터의 분풍에 의해 기계 밖으로 배출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에 기술될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아래에 곡류 알곡의 예로서 밀알곡을 정백하는 경우를 취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직 정곡기에 관하여 상세하게 기술한다.
수직 정곡기(1)의 일반적인 종단면도인 제1도에서, 참조 부호 2 는 베이스를 나타내며, 주축(5)은 일반적으로 베이스(2)에 설치된 상부 및 하부 베어링(3, 4)에 의해 베이스(2)의 중앙부에서 수직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풀리(6)는 주축(5)의 하단부에 설치되고, V 벨트(9)에 의해 모터(7)의 풀리(8)에 연결되며, 이 연결로 인해, 주축(5)은 적절한 속도로 회전한다. 주축(5)은 중량을 가볍게 하기 위해 중공으로 제조된다. 주축(5)의 상부의 반은 베이스(2)밖으로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겨수집 실린더(10)는 베이스(2)의 상단부와 상부 베어링(3)주변에 위치한 베어링실린더(11)에 의해 지지되고 고정된다. 겨수집 실린더(10)내부에는, 하부가 개방되어 있는 원통형 회전암(12)이 주축(5)상에 설치되어 있으며, 따라서 이들 부재(10, 12)사이에 겨수집실(13)이 형성된다. 회전암(12)의 하부 외주면상에는 겨수집실(13)안에서 회전하는 겨벗김날(14)이 설치된다. 더 나아가, 겨수집 실린더(10)의 바닥부에는 겨배출구(15)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는 겨덕트(16)를 통해 백필터(bag filter)및 겨수집팬(도시되지 않음)과 연통한다.
회전롤에서 역할하는 교반롤(17)이 회전암(12)상에 설치된다. 교반롤(17)에는 복수의 교반 돌기(18)가 형성되어, 교반롤(17)의 원주방향에서 알곡을 교반하고, 분풍공(19)이 설치되어 알곡에 분풍한다. 더 나아가, 교반롤(17)의 상부 원주 단부에는 곡류 알곡(제2도 및 제 2A 도에 도시됨)에 수분을 첨가하기 위한 수분첨가구(20)가 설치된다. 수분첨가구(20)는 수분수용부(21)와 수분공급구(20a)를 경유하여 주축(5)의 중공부에 삽입되고 연장된 파이프(22)와 연통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회전롤로서 역할하는 교반롤(17)은 개방된 하부단을 가진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교반돌기(18)와 일체적으로 고정된 외주벽부(17a)를 가진다. 교반돌기(18)는 단순히 방사형으로 외부로 돌출될 수 있으며, 제 2, 2a 및 2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찰 정백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회전방향(M)에서 소정의 각으로 돌출될 수도 있다. 각 교반돌기(18)는 외주벽부(17a)주위의 나선형부를 따라 연장하여 롤(17)의 회전에 대해 아래로 약간 알곡을 민다. 교반롤(17)의 외주벽부(17a)는, 제2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단면에서 편심일 수도 있으며, 교반돌기(18)를 제외하고는 거의 원형일 수도 있다. 교반롤(17)은 보스부(17b), 외주벽부(17a)및 양 부(17a, 17b)에 연결되어 방사형으로 연장하는 환형의 수평벽부(17c)를 포함한다. 더 나아가, 외주벽부(17a)의 연장부(연장된 외주벽부, 17d)및 보스부(17b)의 연장부(연장된 내주벽부, 17e)가 환형의 수평벽부(17c)위에 형성된다.
상부 내주 및 외주벽부(17e, 17d)와 환형의 수평벽부(17c)는 조합하여 수분수용부로서 오목부(21)를 형성한다. 수분첨가구(20)는 상부 외주벽부(17d)에 형성된 구멍으로 형성되며, 수분수용부(21)에 대한 수분공급구(20a)는 상부 내주벽부(17e)에 형성된 구멍으로 형성된다. 교반돌기(18)및 수분첨가구(20)등의 위치와 수 뿐만 아니라 교반롤(17), 교반돌기(18), 수분첨가구(20), 수분수용구(21)등의 형태는 필요에 따라 변할수도 있다.
복수의 연삭정백롤(23)이 스페이서(spacer, 23a)를 통해 교반롤(17)의 상부 내주 및 외주벽부(17e, 17d)의 상단면에서 설치된다. 더 상세하게는, 제3도를 참조하면, 각 연삭정백롤(23)의 보스부(24)내에는 주축(5)이 연장하여 통과하는 원형 구멍(25)과 키홈(26)이 형성된다.
보스부(24)는 암(28)에 의해 연삭정백롤(23)의 링부(27)에 연결되며, 복수의 통풍용 개구(29)가 보스부(24)와 링부(27)사이에 형성된다. 연삭 금강사 입자로 코팅된 연삭부(30)는 링부(27)의 외주면에 고정되며, 수직으로 인접한 연삭정백롤(23)사이의 틈은 분풍슬롯(31)을 형성한다. 연삭정백롤(23)의 기는 뿐만 아니라 조합 구성은 명세서의 서두에서 언급한 종래 기술에 상세하게 개시되어 있다.
더 나아가, 조합 그 자체, 및 스페이서(23)와 분풍슬롯(31)의 구성은 미국특허 제 5,395,059 호에 상세하게 개시되어 있다.
원통형 스크류 롤(32)은 복수의 연삭정백롤(23)의 최상부의 연삭정백롤(23A)에 설치된다. 스크류 롤(32)의 보스부(32a)는 주축(5)의 상단에 스크류되는 볼트(33)에 의해 고정되며, 따라서 스크류롤(32)과 연삭정백롤(23)은 주축(5)상에 일체적으로 고정된다. 볼트(33)의 중심부는 주축(5)에 파이프(22)를 끼워 장착하기 위해 개구되어 있다. 중공의 원추형 안내부재(34)가 스크류롤(32)의 상부 개구에 연결된다. 공기도입관(36)의 일단은 안내부재(34)의 외주면에 형성된 복수의 개구(35)각각에 연결된다. 공기도입관(36)의 타단은 상부 커버(37)에 형성된 개구(38)에 연결된다. 더 나아가, 상부 커버(37)의 상단부에 형성된 알곡공급구(39)에는 공급량 조절장치(40)가 설치된다.
한편, 겨제거 실린더(41)가 연삭정백롤(23)과 교반롤(17)주위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겨제거 실린더(41)와 연삭정백롤(23)사이를 주요부로 하는 상부 정백실(42)을 형성함과 동시에, 겨제거 실린더(41)보다 구체적으로는, 겨제거 실린더(41)의 하부(41a)와 교반롤(17)사이를 주요부로 하는 하부 정백실(43)을 형성한다.
겨제거 실리더(41)는 4개의 지주 또는 지지 컬럼(44)사이에 설치된 아치형 겨제거 실리더 부재(41b)가 인접한 지주(44, 44)에 의해 각각 지지되는 방식으로 설치된다(제3도에 도시). 유사하게, 겨제거실(46)은 인접한 지주(44)사이에 아치형 커버(45)를 각각 장착함으로써 형성된다. 겨제거실(46)의 하부는 겨수집실(13)과 연통한다. 겨제거 실린더(41)의 구성은 미국특허 제 5,394,792 호에 상세하게 개시되어 있으며, 여기에는 겨제거 실린더(41)의 하부(41a)가 하부로 연장되어 교반롤(17)에 수평하게 접하는 것이 제외되어 있다.
겨제거 실린더(41)아래에는 하부 정백실(43)과 연통하는 알곡이송구(47)가 형성된다. 배출 슈트(chute, 48)는 알곡이송구(47)에 연결되고, 분동(49)에 의해 알곡이송구(47)를 향해 기울어져 있는 저항판(50)이 배출 슈트(48)에 부착된다. 안내판(51)은 배출 슈트(48)로 알곡을 유도하기 위해 이송구(47)에 설치된다. 더 나아가, 저항바(52)가 각 지주(44)에 형성된 오목부에 느슨하게 장착된다. 저항바(52)는 손잡이 볼트(52)를 조절함으로써 상부 정백실(42)에 대해 안팎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저항판(52)의 구성은 미국특허 제 5,413,034 호에 상세하게 개시되어 있다.
이하에 수직 정곡기(1)에 의해 밀을 정백하는 실시예를 기술한다.
원료 밀알곡, 즉 겨로 덮혀 있는 밀알곡이 알곡공급구(39)로부터 수직 정곡기(1)로 공급량 조절장치(40)에 의해 규정된 적절한 속도로 공급된다. 밀알곡은 원주방향으로 안내부재(34)의 기울기를 따라 대개 일정하게 흐르며, 그 후 스크류롤(32)에 의해 상부 정백실(42)로 이송된다. 상부 정백실(42)내의 밀알곡은 회전하는 연삭정백롤(23)의 외주에지에 의해 반발되지만, 이들은 저항바(52)에 의해 저항을 받으며, 따라서 밀알곡의 표면부 또는 외면의 겨층은 연삭정백롤(23)의 금강사 입자에 의해 벗겨진다.
밀알곡이 상부 정백실(42)에서 구름운동하는 동안 거의 모든 밀알곡의 겨층이 벗겨지지만, 밀알곡의 세로홈부의 겨층은 벗겨지지 않고 남아 있게 된다. 밀알곡으로부터 벗겨진 겨는 상부 정백실(42)로부터 겨제거실(46)로 용이하게 제거된다. 도시되지 않는 팬의 흡인력에 기인하여, 대기가 분풍슬롯(31)을 통해 공기도입관(36), 안내부재(34)스크류롤(32)및 연삭정백롤(23)의 통풍용 개구(29)를 통과한다. 겨제거실(46)내의 겨는 겨수집실(13)과 겨덕트(16)를 통해 백필터(도시되지 않음)로 이송된다.
상부 정백실(42)내의 최하부 연삭정백롤(23B)부근에 도달한 밀알곡은 표면에, 실제로는 알곡의 세로홈부에 겨층을 남긴 채로 하부 정백실(43)로 이송된다. 이때, 밀알곡의 배유로부터 겨층이 벗겨지는 것을 촉진시키기 위해, 수분이 밀알곡에 첨가된다. 수분의 첨가는, 수분이 파이프(22)와 공급구(20a)를 통해 수분수용부(21)로 공급되어, 이곳에서 저장된 수분이 교반롤(17)의 회전에 기인하는 원심력에 의해 수분 첨가구(20)로부터 분사되는 방법으로 수행된다. 겨층이 벗겨지는 것을 촉진시키기 위해 수분 첨가구(20)로부터 밀알곡에 예컨대 0.3 내지 0.4 중량%의 비율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촉촉하게된 밀알곡은, 교반롤(17)상의 교반돌기(18)에 의해 교반되어, 자전 및 공정하는 동안 밀알곡 상호간에 마찰이 발생한다. 밀알곡 상호 간의 마찰은 알곡의 세로홈부가 서로 접촉되도록하여 결과적으로 세로홈부의 겨층이 벗겨지게 된다. 밀알곡으로부터 벗겨진 겨는 하부 정백실(43)으로부터 겨제거실(46)로 용이하게 배출된다. 팬(도시되지 않음)의 흡인력에 기인하여, 공기가 분풍공(19)을 통해 하부 정백실(43)로부터 겨제거실(46)로 분풍된다.
하부 정백실(43)의 하단부에 도달한 겨층이 실제로 완전히 제거된 밀알곡은 안내판에 의해 유도되어 알곡이송구(47)를 통해 배출된다. 이때, 분동(49)에 의해 힘이 가해져 저항판(50)에 누름작용이 발생하여 알곡이 저항판(50)에 저항하여 배출되고, 따라서 상부 및 하부 정백실(42, 43)내부가 유지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삭형 수직 정곡기(1)에서, 알곡의 표층부는 연삭정백롤(23)에 의해 벗겨지고, 그의 겨층은 회전롤로서 역할하는 교반롤(17)상의 교반돌기(18)에 기인한 알곡 대 알곡의 마찰의 결과롤 벗겨지며, 따라서 실제로 알곡의 표층부에 붙어 있는 겨가루를 완전하게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밀알곡과 같은 곡류알곡을 정백하는 경우, 종래에는 어려웠던 세로홈부의 겨층을 용이하게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 나아가, 겨제거 실린더(41)내의 알곡에 수분을 첨가하는 복수의 수분첨가구(20)가 교반롤(17)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밀알곡을 정백하는 경우에 있어서 밀알곡의 겨층으로부터 배유의 분리가 촉진, 가속되어, 알곡 정백 작용을 용이하게 한다.

Claims (6)

  1. 수직 겨제거 실린더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수직으로 연장하는 주축에, 알곡을 공급하는 스크류롤과, 상기 알곡을 벗기기 위해 상기 주축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기 스크류롤 아래에 설치된 복수의 연삭정백롤과, 상기 복수의 연삭정백롤 아래에 설치되어 벗겨진 알곡을 알곡배출부로 이송하는 회전률이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연삭정백롤이 상기 겨제거 실린더 내에 위치하고, 서로 인접한 연삭정백롤 사이에 형성된 틈이 분풍슬롯을 형성하며, 상기 겨제거 실린더의 상단부는 알곡공급부와 연통하고, 상기 겨제거 실린더의 하단부가 알곡배출부와 연결되는 연삭형 수직 정곡기에 있어서, 상기 겨제거 실린더의 하부는 아래로 연장하여 상기 회전률과 수평으로 마주보며, 상기 회전롤의 외주면상에는 벗겨진 알곡을 교반하는 교반돌기가 설치되며, 상기 회전롤은 상기 교반돌기에 의해 교반된 알곡을 향해 분풍하는 분풍공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삭형 수직 정곡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돌기에 의한 교반에 앞서 벗겨진 알곡에 수분을 첨가하기 위해 상기 회전롤의 상단 부근에 설치된 수분첨가기구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삭형 수직 정곡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첨가기구는 회전롤의 상단 부근에 형성된 복수의 수분첨가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삭형 수직 정곡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첨가기구는 상단 표면에 형성된 수분수용 오목부를 포함하며, 이 수분수용부의 외주벽에 회전롤의 외주면으로 연장하는 상기 수분첨가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삭형 수직 정곡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롤은 이 회전롤 상에 직접 설치된 최하부위 연삭정백롤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삭형 수직 정곡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롤은 그의 하단부가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회전롤은 상기 주축상에 끼워진 보스부와 상기 회전롤의 외주부에서 상기 최하부의 연삭정백롤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삭형 수직 정곡기.
KR1019960014903A 1995-05-08 1996-05-07 연삭형 수직 정곡기 KR01616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3585895A JP3624409B2 (ja) 1995-05-08 1995-05-08 竪型精穀機
JP95-135858 1995-05-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40448A KR960040448A (ko) 1996-12-17
KR0161643B1 true KR0161643B1 (ko) 1998-11-16

Family

ID=15161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4903A KR0161643B1 (ko) 1995-05-08 1996-05-07 연삭형 수직 정곡기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5752664A (ko)
EP (1) EP0742048B1 (ko)
JP (1) JP3624409B2 (ko)
KR (1) KR0161643B1 (ko)
AU (1) AU679657B2 (ko)
CA (1) CA2174190C (ko)
DE (1) DE69609012T2 (ko)
ES (1) ES2150040T3 (ko)
MY (1) MY122471A (ko)
PH (1) PH31195A (ko)
TW (1) TW32464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09105B1 (en) 1999-08-19 2002-06-25 The Quaker Oats Company Corn milling and separating device and method
JP4692794B2 (ja) * 2000-06-07 2011-06-01 株式会社サタケ 脱ぷ装置
DE10042195C2 (de) * 2000-08-28 2003-06-26 Raiffeisen Waren Zentrale Rhei Vorrichtung zur Zerfaserung von stengel-, halm- und/oder blattartigen, nachwachsenden Rohstoffen
DE10300295A1 (de) * 2003-01-02 2004-07-15 Bühler AG Verfahren und Anlage zur Reinigung von Getreide
JP2005144424A (ja) * 2003-11-17 2005-06-09 Yoshida Sogo Giken Kk 精穀装置
US8104699B2 (en) 2006-04-25 2012-01-31 Buehler Ag Process and device for dehusking cereal grains
DE102007017081A1 (de) 2007-04-10 2008-10-16 Neumüller, Waldemar, Dr.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Bio-Ethanol aus Getreide und dabei anfallende Schlempe
JP2010246393A (ja) * 2009-03-25 2010-11-04 Kaneka Corp 白胡椒及びその製造法
JP5656006B2 (ja) * 2010-09-17 2015-01-21 株式会社サタケ 研削式竪型精穀機
JP2014039888A (ja) * 2011-05-13 2014-03-06 Satake Corp 精穀機の抵抗体調節装置
US8783588B2 (en) 2011-11-10 2014-07-22 Applied Milling Systems, Inc. Recovery of aleurone-rich flour from bran
US9427740B2 (en) * 2014-01-21 2016-08-30 Satake Usa, Inc. Vertical top-fed grain mill
WO2015112571A1 (en) * 2014-01-21 2015-07-30 Weiler And Company, Inc. Deboning machine
CN104492523B (zh) * 2014-10-27 2018-01-30 哈尔滨北仓粮食仓储工程设备有限公司 隔流节能碾米机及碾米方法
CN104338573B (zh) * 2014-10-27 2017-12-22 哈尔滨北仓粮食仓储工程设备有限公司 带式隔流碾米机及碾米方法
CN104815716B (zh) * 2015-04-17 2017-04-12 武汉凯迪工程技术研究总院有限公司 高压磨粉机
EP3383540B1 (de) 2015-12-04 2020-10-28 Bühler AG Rotor, schleifmaschine, luftabsaugummantelung und schleifelement für eine schleifmaschine
JP1566815S (ko) * 2016-06-27 2017-01-16
CN107155529A (zh) * 2017-06-19 2017-09-15 柳州三农科技有限公司 一种稻禾自动化生产米粒装置
JP7067039B2 (ja) * 2017-12-07 2022-05-16 株式会社サタケ 精米用研削ロール
CN110280373B (zh) * 2019-05-21 2020-11-17 管炜 一种选矿自动阶层式分目磨碎装置及使用方法
CN110237890A (zh) * 2019-06-19 2019-09-17 杭州虹妍服饰有限公司 一种石墨烯碳化硼陶瓷复合材料与制备终端
RU2729826C1 (ru) * 2020-02-26 2020-08-12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БиоВи" (ООО "БиоВ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мельчения пивной дробины и производственная линия для получения продукта с высоким содержанием белка
CN112536100A (zh) * 2020-11-27 2021-03-23 粱彦秋 一种农业加工用磨粉装置
CN112808384B (zh) * 2021-01-22 2022-04-01 四川大学 一种小型可微调间隙的破碎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44014B2 (ja) * 1977-04-01 1985-10-01 株式会社 サタケ 精米装置
CA1313330C (en) * 1988-12-16 1993-02-02 Joseph Tkac Process for removing bran layers from wheat kernels
JPH0478451A (ja) * 1990-07-23 1992-03-12 Kubota Corp 縦型一軸研削摩擦精穀機
JP3163144B2 (ja) * 1992-01-31 2001-05-08 株式会社山本製作所 精米装置
JP3088827B2 (ja) * 1992-02-26 2000-09-18 株式会社山本製作所 精米装置
JP3106444B2 (ja) * 1992-06-16 2000-11-06 株式会社佐竹製作所 竪型精穀機
JP3201496B2 (ja) * 1993-03-23 2001-08-20 株式会社サタケ 研削式竪型精米機
JPH06327989A (ja) * 1993-05-21 1994-11-29 Satake Eng Co Ltd 竪軸型精穀機
JP3266167B2 (ja) * 1993-08-06 2002-03-18 株式会社サタケ 竪型研削式精穀機の抵抗体調節装置
JPH0775741A (ja) * 1993-09-07 1995-03-20 Satake Eng Co Ltd 研削式竪型精穀機の除糠用多孔性筒状体
JPH07227550A (ja) * 1994-02-17 1995-08-29 Satake Eng Co Ltd 研削式竪型精穀機
AU660879B1 (en) * 1994-08-22 1995-07-06 Satake Corporation Vertical mill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Y122471A (en) 2006-04-29
EP0742048A3 (en) 1997-03-19
US5752664A (en) 1998-05-19
CA2174190C (en) 1999-12-21
DE69609012T2 (de) 2000-11-02
JPH08299811A (ja) 1996-11-19
AU5057196A (en) 1996-11-21
AU679657B2 (en) 1997-07-03
EP0742048A2 (en) 1996-11-13
ES2150040T3 (es) 2000-11-16
JP3624409B2 (ja) 2005-03-02
DE69609012D1 (de) 2000-08-03
CA2174190A1 (en) 1996-11-09
EP0742048B1 (en) 2000-06-28
TW324649B (en) 1998-01-11
PH31195A (en) 1998-04-24
KR960040448A (ko) 1996-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61643B1 (ko) 연삭형 수직 정곡기
CA1310940C (en) Process of and system for flouring wheat
EP1230981B1 (en) Polished cereal processing apparatus
JPH07227550A (ja) 研削式竪型精穀機
US5395059A (en) Spacer for abrasive roll of abrasive type grain milling machine
JP3266167B2 (ja) 竪型研削式精穀機の抵抗体調節装置
JPH06400A (ja) 竪型精穀機
JPH11138024A (ja) 精穀機
KR100928460B1 (ko) 곡물을 세척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0318053B1 (ko) 세라믹스 완패스 정미기
JPH07136527A (ja) 籾摺精米装置
JPH0957121A (ja) 竪軸型精穀機
JP3271408B2 (ja) 研削式竪型精穀機
JP2574044B2 (ja) 精穀機
JP4458686B2 (ja) 研削式精米機
JP3399487B2 (ja) 竪型精穀機
JP3294248B2 (ja) 研削式竪型精穀機
JP2002066344A (ja) 研削摩擦精穀装置
JPH0724783B2 (ja) 竪軸精米機の白米排出装置
JP2984316B2 (ja) 酒造用竪型研削式精米機
JPH06327989A (ja) 竪軸型精穀機
JP2001062316A (ja) 一軸研削摩擦精穀装置
JP2002066357A (ja) 研削摩擦精穀装置
JP2001121007A (ja) 一軸研削摩擦精穀装置
JPH11207198A (ja) 摺落米風選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6050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6050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07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08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808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6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6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61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61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60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70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61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01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70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007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