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60127B1 - 혈관 x선 촬영 보조제 - Google Patents

혈관 x선 촬영 보조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0127B1
KR0160127B1 KR1019900010174A KR900010174A KR0160127B1 KR 0160127 B1 KR0160127 B1 KR 0160127B1 KR 1019900010174 A KR1019900010174 A KR 1019900010174A KR 900010174 A KR900010174 A KR 900010174A KR 0160127 B1 KR0160127 B1 KR 01601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ge
ray
adjuvant
subjects
activit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0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2470A (ko
Inventor
야스유끼 고또오
Original Assignee
스야마 다다까즈
가부시끼가이샤 미도리쥬우지
우에하라 아끼라
다이쇼세이야꾸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야마 다다까즈, 가부시끼가이샤 미도리쥬우지, 우에하라 아끼라, 다이쇼세이야꾸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스야마 다다까즈
Publication of KR9100024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24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01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0127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69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 A61K47/6949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inclusion complexes, e.g. clathrates, cavitates or fullerenes
    • A61K47/69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inclusion complexes, e.g. clathrates, cavitates or fullerenes using cyclodext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557Eicosanoids, e.g. leukotrienes or prostagland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9/00Preparations for testing in vivo
    • A61K49/04X-ray contrast preparations
    • A61K49/0409Physical forms of mixtures of two different X-ray contrast-enhancing agents, containing at least one X-ray contrast-enhancing agent which is not a halogenated organic compou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5/00Nanobiotechnology or nanomedicine, e.g. protein engineering or drug deliver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Nano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혈관 X선 촬영 보조제
본 발명은 프로스타글란딘 E1활성을 가진 화합물을 함유하는 지방에멀션의 새로운 용도에 관한 것이다. 특히, 혈관 X선 촬영사진을 선명하게 하기 위하여 혈관X선 촬영이 행해지는 부위의 혈액 흐름을 촉진하는데 사용되는 혈관X선 촬영 보조제 또는 보조제에 관한 것이다
혈관X선 촬영법은 신체의 혈관계를 통한 대비 매체의 흐름을 X-선 사진, X-선 촬영 또는 기타 방법에 의해 사진 찍음으로써 신체의 혈관내에 주입된 요오드 화합물과 같은 대비 매체의 흐름을 관찰하는 임삼 기술이다. 혈관X선 촬영법은 (1) 혈관 자체의 확장 또는 병변상태의 진단, (2) 혈관의 배타적 그림자 (exclusive shadow) 또는 침투적 그림자 (infiltrative shadow)로부터 각종 내부기관 및 그의 말초 조직의 방변, 또는 그의 확장의 진단, 및 (3) 대비 매체의 흐름을 연속적으로 사진 찍음으로써 혈관 운동 또는 기능의 진단과 같은 진단 목적을 위해 사용된다. 예를들면, 상장간막 동맥의 대비는 초기 간암에 대한 동맥 색전 적제술(arterial embolectomy)의 실행결정, 췌장암의 침윤범위 결정, 식도 정맥류의 진단등을 위하여 널리 사용되는 중요한 대비검사이다.
지금까지는, 혈관X선 촬영을 행할 때 검사되는 부위의 혈액 흐름을 증가시켜 스크린상에 나타나는 화면 또는 혈관X선 촬영에 의해 찍힌 사진을 선명하게 하는 혈관X선 촬영 보조제로서 프로스타글란딘 E1(이하에서는 PGE1으로 칭함) 주입 및 니트로글리세린 주입과 같은 혈관 확장제가 사용되어져 왔다.
그러나, 공지의 현관X선 촬영보조제들은 지속투여의 잔류 기간이 짭아서 그의 효험을 장시간 지속시키기가 어렵다. 또한, 장시간 혈관X선 촬영을 행하기 위하여 또는 혈관X선 촬영후 미세한 혈관의 색전(embolus)을 방지하기 위하여 혈관X선 촬영 보조제를 상당량 투여할 필요가 있다. 또한, 상기 공지 보조제의 투여는 특정의 부작용을 수반한다. 예를들면, 상장간막 동맥내로 PGE1을 주입하면 복통, 타는 것 같은 감각, 견인 감각 등과 같은 비정상적인 복부증상, 및 혈압변화를 야기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제거하기 위하여, 계내에서 장기간 지속할 수 있으며 소량으로 만족할 만한 효험을 나타내는 혈관X선 촬영 보조제가 소망되어져 왔다.
종래 기술의 상기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광범위한 연구를 행한 결과, 본 발명자들은 혈관X선 촬영을 행할 때 혈관 X선 촬영 보조제로서 PGE1활성을 가지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지방 메멀션의 사용은 효험 유지 시간을 향상시키며 투여량의 감소를 가능케하고 투여 부위에서의 바작용을 감소시키는 효과도 가짐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전술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혈관X선 촬영 보조제는 PGE1활성을 가진 화합물을 함유하는 지방 에멀션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PGE1활성을 가진 화합물을 함유하는 지방 메멀션을 인간에게 누여함을 특징으로 하는 혈관X선 촬영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는 PGE1활성을 가진 화합물들은, 그들이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것이며 또한 PGE1활성을 갖는 것이면 여하한 특별한 제한이 없다. 그런 화합물의 전형적인 예는 PGE1및 그의 유도체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화합물로 사용할 수 있는 PGE1유도체는 그들이 PGE1활성을 가지면 약제로서 채택하기에 적당한 여하한 타입일 수 있다. 그런 PGE1유도체의 바람직한 예는 예를들면, 일본국 특허 공개 제 206349 / 84(EP -A - 132027)호 및 제 216820 / 84 호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혈관 X선 촬영 보조제의 활성 성분을 구성하는 PGE1활성을 가진 화합물을 함유하는 지방 에멀션의 바람직한 예는 주성분으로서, 5 - 50 % (W/V)의 식물성오일 (대두유, 참깨오일, 파마자오일, 면실유, 올리브오일 등과 같은, 이중에서 대두유가 바람직하다.), 식물성 오일의 100 중량부당 1 - 50, 바람직하게는 5 - 30 중량부의 인지질, 적당량의 물, 및 PGE1활성을 가진 화합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필요하다면, 지방 에멀션은 에멀셔화 보조제(예를들면, 6 - 22, 바람직하게는 12 - 20 탄소원자를 가지는 지방산 0.3% (W/V) 이하, 또는 약삭적으로 허용 가능한 그의 염), 안정제(예를들면, 0.5% (W/V), 바람직하게는 1% (W/V)이하의 콜레스테롤 또는 5% (W/V), 바람직하게는 1% (W/V) 이하의 포스타피드산), 중합물질 (예를들면, PGE1활성을 가지는 상기 화합물 (PGE1또는 그의 유도체와 같은) 1 중량부당 0.1 - 5, 바람직하게는 0.5 - 1 중량부의 알부민, 덱스트란, 비닐 중합체,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젤라틴, 히드록시 에틸 녹말 등), 및 등장제 (예를들면, 글리세린 또는 글루코스)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지방 에멀션중의 PGE1활성을 가진 화합물의 함량은 에멀션의 제형, 투여방법 및 기타 요소들에 의해 적당하게 변할 수 있으나 0.2 내지 100㎍ / ㎖ 범위내의 유효량을 함유해야만 한다.
본 에멀션에 사용할 식물성 오일은 바람직하게는 고도로 정제된 대두유, 더 바람직하게는 통상의 정제 대두유를 중기 종류에 의해 더 정제하여 수득된 대두유 (순도 : 트리 - , 디 - 및 모노 - 글리세라이드를 포함한 총 글리세라이드로서 99.9% 이상)이다.
본 에멀션 조성물에 사용된 인지질은 유기용매를 사용한 통상의 본획법에 의해 수득될 수 있는 난황 레시틴 또는 대두 레시틴이다. 바람직한 정제 인지질은, 예를들면 냉각 n - 헥산 - 아세톤 혼합액에 용해된 조 난항 인지질에 아세톤을 교반하면서 천천히 가하고 여과에 의해 볼용성 물질을 수집한 다음 상기 조작을 함번 더 반복한 후, 증류에 의해 용매를 제거하여 수득될 수 있다. 생성물을 주성분으로서 포스파티딜콜린 및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및 포스타틸이노시톨, 포스타티딜세린 및 스핑고미엘린과 같은 기타의 소량을 인지질을 함유한다.
좀 더 정제하여 제조된, 미합중국 특허 제 4684633 호 (EP - A - 150732)에 개시된 방법에 따라 인지질을 정제한 실질적으로 포스피티딜콜린을 함유하지 않는 인지질을 사용할 수도 있다.
에멀션화 보조제로서 사용하는 6 - 22 탄소원자의 지방산은 의약에 사용함이 적당한 것들이다. 그들은 직쇄 또는 측쇄일 수 있다. 스테아르산, 올레산, 리놀산, 팔미트산, 리놀렌산, 및 미리스트산과 같은 직쇄 지방산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 산들의 염은 예를들면, 알칼리금속염(나트륨염, 칼륨염 등) 및 알칼리토금속 염(칼슘염 등)과 같은 생리적으로 허용 가능한 것이어야만 한다.
본 에멀션 조성물에서 안정제로 사용할 수 있는 콜레스테롤 또는 포스타티드산은 의학적으로 사용 가능한 여하한 공지된 타입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에멀션에 사용하는 적당한 중합물질은 하기와 같다. 알부민은 항원성의 관점에서 인간 유래의 것이어야만 한다. 적당한 비닐 중합체는 폴리비닐피롤리돈이다.
적당한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는 폴리알킬렌글리콜 (예를들면 1,000 ~ 10,000, 바람직하게는 4,000 ~ 6,000의 평균 분자량을 가지는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옥시알킬렌 공증합체 (예를들면, 1,000 ~ 20,000, 바람직하게는 6,000 ~ 10,000의 평균 분자량을 가지는 폴리옥시에틸렌 - 폴리옥시프로필렌 공증합체), 경화 피마자 오일의 폴리옥시알킬렌 유도체(예를 들면, 경호 피마자 오일 폴리옥시에틸렌 - (40), 또는 - (20) 또는 - (100) 에테르) 및 파마자 오일의 폴리옥시알킬렌 유도체(예를들면, 피마자 오일 폴리옥시에틸렌 - (20) - , - (40) 또는 - (100) 에테르)이다.
본 에멀션에서 등장제로 사용된 글리세린 및 글로코스는 그들을 약삭적으로 사용 가능한 것이면 여하한 유래의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사용된 지방 에멀션은 여러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전형적인 예는 하기와 같다. 지정된 양의 식물성 오일(바람직하게는 대두유), 인지질, PGE1활성을 가지는 화합물 및, 필요하다면 전술된 부가제를 혼합하고 가열하여 용액을 형성한다. 이 용액을 통상 사용되는 타입의 균질기 (고압 - 제트 타입 또는 초음파 타입 균질기와 같은)로 균질화시켜 수중유 (water - in - oil) 타입의 분산액을 제조한다. 이 분산액에 필요량의 물을 가하고 상기 균질제로 다시 균질화시켜 사기 부산액을 유중수(oil - in -water)타입의 에멀션으로 전호나하여 소망되는 지방 에멀션을 수득할 수 있다. 제조 방법에 관련된 이유(미합중국 규칙 제 4493847호, EP - A - 97481)로 필요하다면, 이렇게 제조된 지방 에멀션에 안정제, 등장제등과 같은 부가제를 더 가할 수 있다.
상기 지방 에멀션을 함유하는 본 발명의 혈관X선 촬영 보조제는 정맥 또는 동맥에 통산 투여되거나, 또는 기타의 적당한 경로를 통해 투여된다. 대개 상기 보조제는 활성성분이 약 1~50㎍의 양으로 투여되지만. 그 양은 환자의 상태, 검사하고자 하는 부위 및 기타 문제에 의해 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혈관X선 촬영 보조제는 동맥X선 촬영 및 정맥X선 촬영 양자를 포함하는, 여러 형태의 혈관X선 촬영을 행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들면, 본 발명의 혈관X선 촬영 보조제는 상장간막 동맥X선 촬영, 경동맥 혈관X선 촬영, 복부동맥X선 촬영, 넓쩍다리 동맨X선 촬영, 폐정맥X선 촬영, 및 내부 대동맥X선 촬영에 사용될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혈관X선 촬영 보조제는 생체내에서 그의 효험을 장시간 유지할 수 있으며 소량으로 소망된 작용을 나타낸다. 이는 하기 이우에 기인될 수 있다. 대개 PGE1은 생체 내에서 알부민과 결합하자마자 급속히 불활성화 되므로 혈관X선 촬영 보조제로서 PGE1을 사용할 때, 그의 효험을 장시간 지속시키기는 어려우나, 본 발명에 따른 혈관X 선 촬영 보조제의 경우는, PGE1활성을 가진 그 보조 화합물이 지방 에멀션으로 제제되고 매우 안정된 상태로 그의 내피 세포층을 통해 혈관속으로 흡수될 수 있으므로, 수량으로 장시간 그의 효험을 지속할 수 있다.
상기에 기술된 바와같이, 본 발명의 혈관X선 촬영보조제는 투여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으므로, 부작용을 감소시키며 또한 혈관X선 촬영 조작후 미세혈관의 색전을 방지하는데 이바지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제는 혈관X선 촬영의 실시에 있어 보조제로서의 그의 임삼적 용도가 매우 유용하다.
[실시예]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의 실시예 및 시험예를 참고하여 하기에 기술되지만, 이 실시예들은 단지 예시적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실시예 1]
30g의 정제된 대두유에 3.6g의 난황 인지질, 900㎍의 PGE1, 0.15g 의 소듐 팔미테이트 및 0.15g 의 포스파티드산을 가한다 혼합물을 40℃에서 75℃로 가열하여 용액을 형성한다. 용액에 200㎖의 증류수를 가한 후 7.5g의 공식등급(일본국의 약전)의 글리세린을 가한다. 혼합액을 20~40℃에서 주사용 증류수로 300㎖까지 채우고 균질 혼합기로 조악하게 에멀션화시킨다.
조악한 에멀션을 120kg/cm2의 첫 번째 단계 압력 및 500kg/cm2의 총 압력하에서 맨톤 - 갈린 (Manton - Gaulin) 타입 균질기에 10회 통과시킴으로써 군질화시킨다. PGE1을 함유하는 균질화된, 미사하게 분산된 지방 에멀션을 수득한다(이 제조물을 하기에서는 PGE1- 리포라고 칭한다). 분산비말의 평균 크기가 0.2~0.4μ인 에멀션은 1μ 상의 크기인 비말은 함유하지 않는다.
[실시예 2]
지방 에멀션은 0.15g인 소듐 팔미테이트 및 0.15g 의 포스파티드산 대신에 0.15g 의 소듐 올레이트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 및 절차를 밟아 제조된다.
[시험예]
본 발명의 혈관X선 촤령 보조제의 효과는 상장간막 문맥X선 촬영 및 문맥을 통한 혈액 흐름 속도의 변화를 측정하여 시험된다.
1. 시험방법
(1)시험대상자
복부 현관X선 촬영을 받아온 10명(남자7 및 여자 3, 연령 44 ~ 46, 평균 연령 : 64.4)을 시험 대상자로 선택했다. 혈관X선 촬영의 실시에 의한 진단은 4명의 초기간암, 2명의 중기간암, 2명의 간경화 및 2명의 췌장암을 확인시켰다.
(2)복부혈관X선 촬영
각 시험 대상자의 넓쩍다리 동맥을 구멍낸 후 셀딩거(Seldinger)법에 의해 상기 동맥내에 껍질(sheath)을 삽입한다. 그런다음, 상기 껍질내으 혈관X선 촬영용 케테테르(catheter)(코브라형상, RH 타입 5.5F, mfd. 쿡(cook)사 제품)를 주 상장간막 동맥내에 통과시키고 대비매체(이오파미돌(Iopamidol); 요오드 농도 : 370 mg/l를 5ml/sec의 속도로 10초간 주사한다(총량은 50ml). 주사 개시후 30초 동안 16장의 사진을 찍는다. 그러 다음, PGE1의 a - 시클로 댁스트린클라트레트 화합물(하기에서는 PGE1- CD라 칭함)또는 PGE1 -리포를,PGE1- CD의 경우에는 PGE1에 관하여 20㎍의 투여량 및 PGE1- 리포의 경우에는 PGE1에 관하여 10㎍의 투여량으로 상기 상장간막 동맥내에 주사한 다음 즉시 혈관X선 촬영 관찰 및 사진찍기를 행한다.
5명의 시험 대상자에게는 대비 매체만 동맥 주사한 후 PGE1- CD를 동맥주사하고 (이 대상자들은 하기에서 군I이라 칭함)또 다른 6명의 시험대상자에게는 대비매체만 동맥주사한 후 PGE1- 리포를 동맥주사하여 (이 대상자들은 하기에서 군II라 칭함), 이 두 군의 대상자들은 하기 시험 항목에 관련된 비교 실험을 행한다.
(3) 시험항목 및 시험방법
(i) 대비 매체 농도의 측정
혈관내의 대비 매체의 농도 지표로서, 대비된 혈관에 대한 농도 측정을 후지 덴시토미터 301(Fuji Densitometer 301)에 의해 필름상에 핸한다. 측정은 하기 세 부위에서 행해진다 : 주 상강간막 정맥, 주 문맥 및 문맥의 오른쪽 지선. 상기 세부위에서의 측정값 평군을 결정값으로서 수득한다.
(ii) 혈관 직경의 측정
주 문맥의 혈관 직경은 PGE1- CD 또는 PGE1- 리포의 동맥 주사전후에 대비 뢴트겐 사진 필름상에서 측정된다.
(iii) 지선 변화의 측정
문맥 X선 촬영시의 PGE1- CD 또는 PGE1- 리포 사용에 의한 지선 고정의 향상 변화를 검사한다. 대상자 군I 및 대상자군II로 필름사의 지선을 분류하고, PGE1-CD 또는 PGE1- 리포의 동맥 주사 전후의 변화를 비교한다.
(iv) 문맥에서의 혈액 흐름 속도 변화의 측정
문맥에서의 혈액 흐름 속도 변화는 초음파 펄스 도플러법으로 측정 된다. PGE1- CD 또는 PGE1- CD 또는 PGE1- 리포는 주 상장간막 동맥에서 문맥속으로 동맥을 통해 주입되며, 주 문맥에서의 혈액 흐름 속도는 초음파 펄스 도플러법(알로카사 제품인 SSD - 650 mfd 장치를 사용함)으로 측정된다. 혈액 흐름 속도는 측정된 평균 흐름 속도 및 B 모드상으로부터 결정된 주문맥의 횡단면으로부터 계산된다.
II. 시험 결과
(1) 대비 매체농도의 측정
대비 뢴트겐 사진 필름 상의 세 부위(주 상장간막 정맥, 주문맥 및 문맥의 오른쪽 지선)에서의 농도를 통계적으로 모은다. PGE1- CD 또는 PGE1- 리포의 동맥주사 후 문맥X선 촬영상과 대비 매체만 사용하였을 때 관찰된 것과 비교하면 PGE1- CD 및 PGE1 -리포 양자에 대하여 대비 매체 농도가 상당한 정도까지 증가하는 것을 발견할 수 있으나, 본 실험에서 사용된 양(p0.01)에서 PGE1- CD 와 PGE1- 리포 간에는 통계적으로 현저한 차이가 없음을 볼 수 있다. PGE1- CD를 투여하는 경우에서의 20㎍ PGE1투여량 및 PGE1- 리포를 투여하는 경우에서의 10μg PGE1투여량을 고려하면, PGE1-리포는 PGE1- CD 의 유효성분의 절반량으로 PGE1- CD 와 동일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2) 혈관직경의 측정
주 문맥의 혈관 직경의 변화는 표1(대상자군 I) 및 표2(대상자군 II)에 기재된 바와 같다. 대상자군 I 및 II의 양자에 있어서, PGE1- CD 또는 PGE1- 리포의 동맥 주사에 의해 혈관직경이 현저히 팽창하는 것이 관찰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사용된 투여량에서 PGE1- CD 와 PGE1- 리포간의 통계적으로 현저한 차이는 보이지 않는다. 이는, PGE1- 리포가 유효 성분양에 있어서 PGE1- CD의 절반량을 투여하여 PGE1- CD와 동일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입증한다.
Figure kpo00001
Figure kpo00002
(3)지선에서의 변화 측정
문맥X선 촬영 사진의 관찰에 의해 간 문맥에서의 지선의 확인결과는 하기와 같다. 대상자군I의 경우에, 대비매체만 동맥을 통해 주입되었을 때, 3개의 지선을 확인할 수 있는 대상자는 두명이고 4개의 지선을 확인할 수 있는 대상자는 세명이었다. 한편, PGE- CD가 동맥을 통해 주입되었을 때, 모든 대상자에 있어서 4개 지선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2명의 대상자에서는 5개의 지선을 확인할 수 있었다. 1명의 대상자에서는 변화가 없었다. 5명의 대상자중 4명에게서 향상을 발견할 수 있었다.
대상자군II의 경우에, 대비 매체만 주입하였을 때, 5명의 대상자 모두에게 4개 지선이 확인되었으며, PGE-리포를 사용하였을때 4명의 대상자에게서 5개 지선을 확인할 수 있었다. 5명의 대상자중 4명에게서 향상을 발견할 수 있다. 상기 결과는 PGE-CD 및 PGE- 리포가 본 시험에서 사용된 투여량에서 미세한 간 문맥 혈관의 발견에 동일한 효과가 있음을 시사하며, 이는 정적 분석과 일치한다. 이리하여 PGE- 리포는 PGE- CD의 유효성분의 절반량으로 PGE-CD와 동일한 효과를 가져올 수 있음이 확실해졌다.
(4) 문맥에서의 혈액 흐름속도 변화의 결정
문맥에서의 혈액 흐름속도의 변화는 초음파 펄스 도플러법에 의해 결정되며 수득된 결과는 하기와 같다.
대상자군 I 에서 PGE- CD의 동맥 주사전의 문맥에서의 혈액 흐름 속도는 9.5±3.0x10 ml/min 이지만, PGE-CD 의 동맥 주사후 1분이 지나면, 상기 혈액 흐름 속도는 16.9±6.8×10 ml/min 으로 증가한다. 한편, 대상자군 II에서 PGE- 리포의 동맥 주사전의 문맥에서의 혈액 흐름 속도는 8.4±3.1x10 ml/min 이지만, PGE-리포의 동맥 주사후 1분이 경과하면 혈액 흐름 속도는 14.8 ± 4.3×10 ml/min 까지 현저한 증가를 나타낸다. 이 결과는 통계적 관계에서도 역시 현저하다. 또한, PGE- CD 및 PGE- 리포 양자는 본 시험에서 사용된 투여량에서 동일한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사료되며, PGE- 리포는 PGE- CD의 유효 성분의 절반량으로 PGE- CD와 동일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5) 부작용
PGE을 상장간막 동맥주사하면, 복통, 타는 것 깥은 감각, 견인 감각 등과 같은 바람직하지 못한 특정 복부증상, 및 혈압의 변화와 같은 기타의 부작용이 과거에 보고되어 왔다. 그러나, 본 시험에서 PGE- 리포가 주사된 5명의 대상자에 있어서 상기 복부 증상을 호소하는 사람은 없었으며, 20mmHg를 초과하는 혈압변화도 일어나지 않았다.

Claims (2)

  1. PGE1활성을 가지는 화합물을 함유한 지방 에멀션을 함유하는 혈관X선 촬영 보조제.
  2. PGE1활성을 가지는 화합물을 함유한 지방 에멀션을 인간을 제외한 포유류에게 투여하고 대비 매체의 흐름을 관찰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간을 제외한 포유류의 혈관X선 촬영 방법.
KR1019900010174A 1989-07-05 1990-07-05 혈관 x선 촬영 보조제 Expired - Lifetime KR01601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1-173709 1989-07-05
JP1173709A JPH0669966B2 (ja) 1989-07-05 1989-07-05 血管造影補助剤
JP1-173709 1989-07-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2470A KR910002470A (ko) 1991-02-25
KR0160127B1 true KR0160127B1 (ko) 1998-12-01

Family

ID=15965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0174A Expired - Lifetime KR0160127B1 (ko) 1989-07-05 1990-07-05 혈관 x선 촬영 보조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445812A (ko)
EP (1) EP0407148B1 (ko)
JP (1) JPH0669966B2 (ko)
KR (1) KR0160127B1 (ko)
CA (1) CA2020368C (ko)
DE (1) DE69021289T2 (ko)
DK (1) DK0407148T3 (ko)
ES (1) ES2076320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135193C1 (ko) * 1991-10-22 1993-03-11 Schering Ag Berlin Und Bergkamen, 1000 Berlin, De
US5807895A (en) * 1994-11-29 1998-09-15 Schwarz Pharma, Inc. Use of prostaglandin E1, E2 or analogs to prevent renal failure induced by medical tests that utilize contrast media agents
WO1996016661A2 (en) * 1994-11-29 1996-06-06 Schwarz Pharma, Inc. Use of prostaglandin e1, e2 or analogs to prevent renal failure induced by medical tests that utilize contrast media agents
DE4446694A1 (de) * 1994-12-09 1996-06-13 Schering Ag Verwendung von Zusätzen zu Kontrastmitteln zur Verbesserung der Bildgebung
US6011062A (en) * 1994-12-22 2000-01-04 Alcon Laboratories, Inc. Storage-stable prostaglandin compositions
US5631287A (en) * 1994-12-22 1997-05-20 Alcon Laboratories, Inc. Storage-stable prostaglandin compositions
US6054421A (en) * 1997-09-23 2000-04-25 Scimed Life Systems, Inc. Medical emulsion lubricant
US6281175B1 (en) 1997-09-23 2001-08-28 Scimed Life Systems, Inc. Medical emulsion for lubrication and delivery of drugs
US6246897B1 (en) 1998-12-11 2001-06-12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and system for acquistion of preferential arterial and venous images for MR angiography
US6192264B1 (en) 1998-12-28 2001-02-20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and system for MRI venography including arterial and venous discrimination
US20080132797A1 (en) * 2002-12-10 2008-06-05 Knut Brabrand Monitoring infusion of a substance
AT518009A1 (de) * 2015-07-27 2017-06-15 Gebro Holding Gmbh Konzentrat enthaltend Alprostadil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22014A (ja) * 1982-06-18 1983-12-23 Taisho Pharmaceut Co Ltd プロスタグランジンe↓1脂肪乳剤
JPS59206349A (ja) * 1983-05-10 1984-11-22 Green Cross Corp:The プロスタグランジンe↓1誘導体
JPS59216820A (ja) * 1983-05-20 1984-12-06 Taisho Pharmaceut Co Ltd プロスタグランジン脂肪乳剤
JPH0818989B2 (ja) * 1984-01-12 1996-02-28 株式会社ミドリ十字 脂肪乳剤中のプロスタグランジンの安定化方法
DE3421468A1 (de) * 1984-06-08 1985-12-19 Dr. Rentschler Arzneimittel Gmbh & Co, 7958 Laupheim Lipidnanopellets als traegersystem fuer arzneimittel zur peroralen anwendung
JPS61289034A (ja) * 1985-06-17 1986-12-19 Teijin Ltd イソカルバサイクリン類脂肪乳剤
US4820732A (en) * 1985-10-04 1989-04-11 The Upjohn Company Method and compositions for reducing dysfunction in angioplasty procedures
US4955878A (en) * 1986-04-04 1990-09-11 Biotechnology, Inc. Kit for preventing or treating arterial dysfunction resulting from angioplasty procedures
US5120527A (en) * 1989-10-19 1992-06-09 King Chuen Peter Li Paramagnetic oil emulsions as mri contrast agents
US5064636A (en) * 1989-10-19 1991-11-12 Li King C P Paramagnetic oil emulsions as enteric MRI contrast ag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445812A (en) 1995-08-29
CA2020368A1 (en) 1991-01-06
JPH0466540A (ja) 1992-03-02
DK0407148T3 (da) 1995-09-18
ES2076320T3 (es) 1995-11-01
CA2020368C (en) 2001-09-11
DE69021289T2 (de) 1996-03-21
KR910002470A (ko) 1991-02-25
EP0407148A3 (en) 1992-01-08
EP0407148B1 (en) 1995-08-02
EP0407148A2 (en) 1991-01-09
DE69021289D1 (de) 1995-09-07
JPH0669966B2 (ja) 1994-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355810A1 (en) Semifluorocarbon Compound Containing Contrast Agent
JP6169110B2 (ja) ホルモン含有エマルジョン
EP0871431B1 (en) Hepatocyte-selective oil-in-water emulsion
KR0160127B1 (ko) 혈관 x선 촬영 보조제
CA1212324A (en) Fat emulsion containing prostaglandin
BR112012015433B1 (pt) Composição farmacêutica substancialmente anidra para aplicação cutânea
EP0294534B2 (en) Iodine containing emulsion
JPH02203A (ja) 薬物担体
JPH06506932A (ja) 器官特異性エマルジョン
TWI679990B (zh) 肝臟之預飽和以及後續之對比劑的投予
JPWO2004047846A1 (ja) グリチルリチン含有界面活性剤相中油型ゲル組成物
JPH036126B2 (ko)
JP2694342B2 (ja) Ctスキャン用造影剤
JPWO2002034250A1 (ja) 脂肪乳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00705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5050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0070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803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06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08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808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6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6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72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61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62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61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61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61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61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618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621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6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626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EXPY Expiration of term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140217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