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37906B1 - 자동2륜차용 엔진의 스타터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자동2륜차용 엔진의 스타터 지지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7906B1
KR0137906B1 KR1019940038119A KR19940038119A KR0137906B1 KR 0137906 B1 KR0137906 B1 KR 0137906B1 KR 1019940038119 A KR1019940038119 A KR 1019940038119A KR 19940038119 A KR19940038119 A KR 19940038119A KR 0137906 B1 KR0137906 B1 KR 01379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case
starter
holder
support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81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7641A (ko
Inventor
이사무 다카하시
요시유키 세키야
Original Assignee
가와모토 노부히코
혼다기켄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와모토 노부히코, 혼다기켄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와모토 노부히코
Publication of KR9500176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76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79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79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5/00Other power-operated starting apparatus; 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2N5/00 - F02N13/00
    • F02N15/006Assembling or mounting of star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1/00Starting of engines by means of electric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7/00Motorcycles characterised by position of motor or engine
    • B62M7/12Motorcycles characterised by position of motor or engine with the engine beside or within the driven whe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5/00Other power-operated starting apparatus; 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2N5/00 - F02N13/00
    • F02N15/02Gearing between starting-engines and started engines; Engagement or disengagement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202/00Motorised scoo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75/00Other engines
    • F02B75/02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cycles, e.g. six-stroke
    • F02B2075/022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cycles, e.g. six-stroke having less than six strokes per cycle
    • F02B2075/025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cycles, e.g. six-stroke having less than six strokes per cycle two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61/00Adaptations of engines for driving vehicles or for driving propellers; Combinations of engines with gearing
    • F02B61/02Adaptations of engines for driving vehicles or for driving propellers; Combinations of engines with gearing for driving cy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 Cylinder Crankcase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엔진과, 상기 엔진의 크랭크케이스에 연결된 케이스부에 탄성재로 이루어진 무단형상의 가스킷을 통해 케이스부재가 결합되어 이루어진 전동케이스를 가진 전동기구로 구성된 파워유닛이 자동2륜차의 차체프레임에 요동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엔진에 부설된 스타터가 구비된 지지축의 양단이 상기 케이스부와, 상기 케이스부에 회전불가능하게 장착된 홀더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자동2륜차용 엔진의 스타터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부품수의 증대를 초래하지 않고 홀더의 축방향 진동을 방지하며, 가스킷(62)에는 홀더(110) 및 케이스부재(63) 사이에 삽입된 탄성지지부(112)가 일체로 연설되어 있다.

Description

자동2륜차용 엔진의 스타터 지지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스쿠터형 자동2륜차의 측면도.
제2도는 제1도의 화살표 2에서 본 평면도.
제3도는 제1도의 요부확대도.
제4도는 제3도의 4-4선 확대단면도.
제5도는 제4도의 5-5선을 따라 절결한 부분절결 종단면도.
제6도는 가스킷 평면도.
제7도는 제5도의 7-7선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8 : 크랭크 케이스 32 : 크랭크축
61 : 케이스부 62 : 가스킷
63 : 케이스부재 64 : 전동케이스
100 : 스타터 101 : 스타터 모터
103 : 링기어 104 : 지지축
105 : 피니온 110 : 홀더
112 : 탄성지지부 E : 엔진
F : 차체프레임 M : 전동기구로서의 무단변속기
P : 파워유닛 V : 자동이륜차
본 발명은 엔진과, 상기 엔진의 크랭크 케이스에 연결된 케이스부에 탄성재로 이루어진 무단형상의 가스킷을 통해 케이스부재가 결합되어서 이루어진 전동케이스를 가진 전동기구로 구성된 파워유닛이 자동2륜차의 차체프레임에 요동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엔진에 부설된 스타터는 상기 케이스부에 장착되는 스타터 모터와, 상기 스타터 모터에 연동 회전하는 지지축과, 엔진의 크랭크축에 연결된 링기어에 계탈가능하게 하여 지지축에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된 피니온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축의 일단부는 케이스부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케이스부에 회전불가능하게 장착된 홀더에 상기 지지축의 타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자동2륜차용 엔진의 스타터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러한 장치는 예를 들면 일본국 실개소59-196579호 공보 등에 의해 이미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것은 홀더가 전동케이스의 케이스부에 회전불가능하게 장착될 뿐이며, 홀더의 축방향으로 약간의 이동은 허용되고 있으므로, 지지축의 회전에 따라 홀더가 축방향으로 진동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부품수의 증대를 초래하지 않고 홀더의 축방향 진동을 방지하도록 한 자동2륜차용 엔진의 스타터 지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엔진과, 상기 엔진의 크랭크 케이스에 연결된 케이스부에 탄성재로 이루어진 무단형상의 가스킷을 통해 케이스부재가 결합되어 이루어진 전동케이스를 가진 전동기구로 구성된 파워유닛이 자동2륜차의 차체프레임에 요동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엔진에 부설된 스타터는 상기 케이스부에 장착된 스타터 모터와, 상기 스타터 모터에 연동 회전하는 지지축과, 엔진의 크랭크축에 연결된 링기어에 계탈가능하게 지지축에 축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지지된 피니온을 구비하며, 상기 지지축의 일단은 케이스부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케이스부에 회전불가능하게 장착된 홀더에 상기 지지축의 타단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자동2륜차용 엔진의 스타터 지지장치에 있어서, 가스킷에는 홀더 및 케이스부재 사이에 삽입된 탄성지지부가 일체로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에 의거해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제1도 내지 제7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제1도는 스쿠터형 자동2륜차의 측면도, 제2도는 제1도의 화살표 2에서 본 평면도, 제3도는 제1도의 요부확대도, 제4도는 제3도의 4-4선 확대단면도, 제5도는 제4도의 5-5선을 따라 절결한 부분절결 종단면도, 제6도는 가스킷의 평면도, 제7도는 제5도의 7-7선 단면도이다.
먼저, 제1도 및 제2도에 있어서, 스쿠터형 자동2륜차(V)의 차체프레임(F)은 전륜(Wf)을 현가한 프론토포크(7)를 조향가능하게 지지한 헤드파이프(1), 상기 헤드파이프(1)로부터 하부로 연장된 다운튜브(2) 및 상기 다운튜브(2)의 하단부에 연설되어 후방으로 뻗은 리어프레임(3) 등을 구비한다. 상기 리어프레임(3)은 전단부가 다운튜브(2)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후방쪽으로 향해서 거의 수평으로 뻗은 한쌍의 프론트 프레임부(3a), (3a)와, 양 프론트 프레임부(3a), (3a)의 후단에서 후방 상부쪽으로 뻗은 한쌍의 중간프레임부(3b), (3b)와, 양 중간프레임부(3b), (3b)와, 양 중간프레임부(3b), (3b)의 후단부를 서로 연결한 리어프레임부(3c)를 가지며, 평면에서 보아 대략 타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차체프레임(F)은 차체커버(C)에 의해 덮이는 것이며, 이 차체커버(C)는 헤드파이프(1)의 프론트부 및 전륜(Wf)의 상부를 덮는 프론트 커버(11), 프론트 커버(11)에 접합되어 운전자의 다리부 전방을 덮은 레그시일드(12), 프론트커버(11) 및 레그시일드(12)에 접합되어 프론트부 자체의 양측을 덮은 좌, 우 한쌍의 프론트 사이드 커버(13), (13), 레그시일드(12)에 접합되어 운전자의 발밑을 지지하는 플로어 보드(14), 양 프론트 사이드 커버(13), (13) 및 플로어보드(14)에 접합되어 리어 차체의 양측면을 덮은 좌우 한쌍의 리어하부커버(16), (16) 및 양 리어 하부커버(16), (16) 및 플로어보드(14)에 접합된 리어 상부커버(17) 등을 구비하고, 리어 상부커버(17)의 리어에는 후륜(Wr)의 상부를 덮는 리어펜더(18)가 장착된다. 리어 상부커버(17)의 상부면은 개구되어 있으며, 그 상부면 개구부는 운전자가 앉는 시이트(20)로 덮여진다. 그리고, 시이트(20)는 개폐가능하게 해서 리어 상부커버(17)의 상단에 힌지고정되어 있으며, 상단부를 개구시킨 수화물박스(21)가 리어 상부커버(17)의 하부내에 수납되어 배설됨으로써, 시이트(20)의 하부에 상기 시이트(20)에 의해 개폐되는 물품수납실(22)이 형성되게 된다.
제3도를 함께 참조하여 구동륜으로서의 후륜(Wr)은 차체프레임(F)에 요동가능하게 지지되는 파워유닛(P)의 리어에 지지되는 것이며, 상기 파워유닛(P)은 2사이클 강제 공냉 엔진(E)과 상기 엔진(E)의 출력을 상기 후륜(Wr)에 전달하는 무단변속기(M)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파워유닛(P)의 프론트부는 후륜(Wr)의 회전축선과 평행한 지축(23)을 가진 링크기구(24)를 통해 상기 차체프레임(F)에 있어서의 리어프레임(3)의 중간 프레임부(3b), (3b)에 요동가능하게 지지되고, 파워유닛(P)의 리어부 및 상기 리어프레임(3) 사이에 리어쿠션(25)이 설치된다.
제4도 및 제5도에 있어서, 2사이클 강제 공냉 엔진(E)의 실린더헤드(26)는 상기 리어프레인(3)의 양 중간프레임부(3b), (3b)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실린더헤드(26)에는 대체로 수평의 축선을 가지고 실런더 블록(27)의 전단부가 결합되고, 실린더 블록(27)의 후단부에는 크랭크 케이스(28)가 결합된다. 실린더 블록(27)의 실린더보어(29)에는 피스톤(30)이 슬리이딩 가능하게 감함하며, 상기 피스톤(30)은 콘로도(31)를 통해 출력축으로서의 크랭크축(32)에 연결된다.
크랭크 케이스(28)로부터 돌출된 크랭크축(32)의 일단부에는 발전기(33)를 통해 냉각팬(34)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냉각팬(34) 주변에 스크롤 통로(35)를 형성하는 슈라우드(36)에 의해 냉각팬(34), 실린더헤드(26) 및 실린더록(27)이 덮여진다.
슈라우드(36)는 실린더헤드(26) 및 실린더블록(27)을 전방측에서부터 덮는 제1부재(37)와, 나머지 부분을 덮는 제2부재(38)가 접합되어 이루어진 것이다. 그리고, 제1부재(37)는 결합방향을 실린더 블록(27)의 축선을 따르게 한 다수의 장착볼트(41‥)에 의해 실린더헤드(26)에 체결된다.
즉, 실린더헤드(26)에는 다수의 장착보스(42‥)가 실린더블록(27)의 축선과 평행하게 돌설되어 있으며, 제1부재(37)와의 사이에 개재시킨 마운트 고무(44)를 관통한 장착볼트(41‥)가 각 장착보스(42‥)에 나사결합된다.
또한, 실린더헤드(26)에 배설된 다수의 핀(39‥)에 대응하는 부분에서 제1부재(37)의 내면에는 각 핀(39‥)의 선단부에 대향시키도록 한 횡단면이 반원형상인 홈부(40‥)가 형성된다. 또, 제1부재(37)에는 실린더헤드(26)에 나사결합된 점화플러그(45)의 외주에 밀접한 플러스시일(47)의 외주가 계합되고, 플러스시일(47)에는 점화플러그(45)의 외단부를 덮는 캡(48)이 착탈가능하게 탄발계합된다.
그런데, 제1도 및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린더헤드(26)의 전방 장선상에서 차체커버(C)의 플로어보처(14)에는 유지보수용 리드(49)가 개폐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유지보수용 리드(49)의 개방시에 급유를 가능하게 하여 연료탱크(50)가 상기 플로어보드(14)의 하부에 고정적으로 배치된다.
제1부재(37) 및 제2부재(38)는 실린더헤드(26)의 축선을 따른 제1부재(37)의 이동조작에 따른 계합 및 이탈을 가능하게 하여 상호 계합된다.
슈라우드(36)의 제2부재(38)에는 냉각팬(34)의 가장 바깥 가장자리의 회전궤적에 거의 대응하여 안쪽, 즉 냉각팬(34)쪽으로 돌출한 환상의 격벽(52)이 돌설되며, 이 격벽(52)과 제2부재(38)의 외주벽 사이에 스크롤통로(35)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스크롤통로(35)는 냉각팬(34)의 회전방향을 따라 점차 그 유통 면적을 증대하는 것이며, 격벽(52)에 대응하는 부분에서 제2부재(38)의 외부벽은 상기 회전방향을 따른 하류쪽으로 나아감에 따라서 격벽(52)으로부터 점차 떨어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제2부재(38)의 스크롤통로(35)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냉각팬(34)의 축방향 외부로 팽출된 팽출부(38a)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팽출부(38a)는 상기 회전방향을 따른 하류측을 향함에 따라 팽출량을 점차 증대하도록 형성된다.
제2부재(38)에는 냉각팬(34)을 향하게 한 원형홀(55)이 크랭크축(32)과 동축으로 해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원형홀(55)로 통하는 다수의 흡입구(56‥)를 칸막이부(57) 사이에 가진 커버(58)가 제2부재(38)에 장착되며, 제2부재(38) 및 커버(58) 사이에는 흡음재(59)가 충전된다. 그리고, 제2부재(38)의 흡음재(59)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다수의 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슈라우드(38)내에서 발생한 소음이 그들 홀을 통해 흡음재(59)에 의해 흡수된다.
다시 제4도에 있어서, 크랭크케이스(28)에는 후륜(Wr)의 일측방까지 연장된 케이스부(61)가 일체로 배설되어 있으며, 이 케이스부(61)에 가스킷(62)을 통해 결합된 케이스부재(63)로 전동케이스(64)가 구성된다. 그리고, 가스킷(62)은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재 예를 들면 고무에 의해 무단형상으로 형성된다.
크랭크케이스(28)로부터 돌출된 크랭크축(32)의 타단부와, 전동케이스(64)의 리어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후륜(Wr)의 차축(65) 사이에 무단변속기(M)가 배설되며, 상기 무단변속기(M)는 종래부터 주지된 것이므로, 그 구성에 대해 간단하게 설명하면, 크랭크축(32)에는 상기 크랭크축(32) 단부에 고정된 고정풀리반체(66)와, 크랭크축(32)에 축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게 장착된 가동풀리반체(67)로 이루어진 구동축 전동풀리(68)가 배설된다. 상기 고정 및 가동풀리반체(66), (67) 사이에는 V자형상의 환상홈(69)이 형성되며, 상기 환상홈(69)내에 무단형상의 V벨트(70)가 삽입된다. 또, 가동풀리반체(67)의 배면에 있어서, 크랭크축(32)에는 램프플레이트(71)가 고착되며, 이 램프플레이트(71)와 가동풀리반체(67) 사이에는 다수의 웨이트롤러(72)가 유동상태로 수용된다. 그리고, 크랭크축(32)의 회전시에 회전수가 증대하면, 원심력을 받는 웨이트롤로(72)가 반경방향 외측으로 이동하여, 가동풀리반체(67)를 고정풀리반체(66)에 접근시키는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양 풀리반체(66), (67)에의 V벨트(70)의 접촉반경을 크게 할 수 있다.
한편, 크랭크축(32)과 평행한 종동축(73)이 전동케이스(64)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이 종동축(73)은 감속기어열(74)을 통해 후축(Wr)의 차축(65)에 연결된다.
상기 종동축(73)은 종래로부터 주지인 원심클러치(75)를 통해 상기 종동축(73)과 동축의 종동축 전동풀리(76)에 연결된다. 이 종동축 전동풀리(76)는 구동축 전동풀리(68)와 쌍을 이루며, V벨트(70)는 구동축 전동풀리(68)에 감겨진다.
전동케이스(64)의 상부에는 기화기(80)와, 상기 기화기(80)에 접속된 에어크리너(81)가 배설된다.
이 에어크리너(81)에는 기화기(80)의 외측을 덮는 커버부(89)가 전방쪽으로 뻗어서 일체로 연결설치된다. 한편, 슈라우드(36)의 제1부재(37)에 있어서, 실린더 블록(27)에 관하여 흡입구(56)와 반대쪽 위치에는 슈라우드(36)내를 유통하여 와서 승온된 공기를 외부에 배출하기 위한 배풍구(도시생략)와, 상기 기화기(80)에 보온용 배풍을 유도하기 위한 배풍구(9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배풍구(90)에는 고무제 접속관(91)에 접속되고, 또 상기 접속관(91)에는 공기를 가이드하는 덕트(92)의 일단이 접속된다.
덕트(92)는 한쌍의 덕트반체(93), (94)가 상호 접합되어 이루어진 것이며, 전동케이스(64)에 있어서의 케이스부재(63)에 형성된 오목부(95)에 수용됨과 동시에 상기 케이스부재(63)의 외부면에 거의 같은 면이 되도록 하여 기화기(80)쪽으로 연장된다. 또, 덕트(92)의 타단부는 나사부재(96)에 의해 커버부(89)에 체결된다.
제7도를 함께 참조하여 엔진(E)에 부설된 스타터(100)는 전동케이스(64)에 있어서의 케이스부(61)의 외측에 장착된 스타터모터(101)와, 상기 스타터모터(101)의 출력토크를 엔진(E)의 시동시에 링기어(103)에 전달할 수 있는 전달기구(102)로 구성되는 것이며, 링기어(103)는 크랭크축(32)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풀리반체(66)의 외주에 배설된다.
전달기구(102)는 종래로부터 주지인 구성을 가진 것이며, 스타터모터(101)와 연동회전하는 지지축(104)과, 링기어(103)에 계탈가능하게 해서 상기 지지축(104)에 축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지지된 피니온(105)과, 상기 피니온(105)을 축방향으로 이동제어하기 위해 지지축(104)에 배설된 점프기구(106)를 구비한다. 또, 지지축(104)에는 스타터모터(101)의 출력축에 배설된 구동기어(107)에 항상 맞물리는 피동기어(108)가 배설된다.
그런데, 지지축(104)의 일단부는 케이스부(61)에 베어링(109)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또, 케이스부(61)에는 홀더(110)가 회전불가능하게 감합, 장착되어 있으며, 지지축(104)의 타단부가 베어링(111)을 통해 홀더(11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가스킷(62)에는 홀더(110) 및 케이스부재(63) 사이에 삽입된 탄성지지부(112)가 일체로 연설된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엔진(E)의 작동시에는 크랭크축(32)에 연결되어 있는 냉각팬(34)이 회전작동하고, 흡입구(56)로부터 흡입된 공기가 냉각팬(34)으로부터 스크롤통로(35)를 거쳐 실린더헤드(26) 및 실린더 블록(27)쪽을 토출되어 나간다. 이때, 실린더헤드(26)의 핀(39‥)은 슈라우드(36)에 있어서의 제1부재(37)에 형성되어 있는 홈(40‥)에 대향하는 것이며, 각 핀(39‥)의 선단 및 제1부재(37) 사이의 유통저항이 증대함에 따라 냉각공기가 각 핀(39‥) 상호간을 확실하게 유통하게 되므로 냉각효율이 향상된다.
실린더헤드(26) 및 실린더 블록(27)을 냉각함으로써 승온된 공기는 일부가 외부로 배출됨과 동시에, 잔여 승온공기가 배풍구(90)로부터 접속관(91)을 거쳐 덕트(92)에 의해 기화기(80)쪽으로 배출된다. 이에 따라 기화기(80)가 보온되게 된다.
또한, 스타터(100)에 있어서의 지지축(104)의 양단이 케이스부(61) 및 케이스부(61)에 회전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홀더(110)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홀더(110) 및 케이스부재(63) 사이에 탄성지지부(112)가 끼워지므로 지지축(104)의 회전에 따른 홀더(110)의 축방향 진동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또한, 탄성지지부(112)는 케이스부(61) 및 케이스부재(63) 사이에 끼워지는 가스킷(62)에 일체로 연설되는 것이므로, 부품수가 증가하지 않는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술했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개념을 이탈하지 않고 각종 설계변경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가스킷에는 홀더 및 케이스부재 사이에 끼워진 탄성지지부가 일체로 연설되므로, 부품수의 증대를 초래하지 않고 홀더의 축방향 진동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

  1. 엔진(E)과, 상기 엔진(E)의 크랭크케이스(28)에 연결된 케이스부(61)에 탄성재로 이루어진 무단형상의 가스킷(62)을 통해 케이스부재(63)가 결합되어서 이루어진 전동케이스(64)를 가진 전동기구(M)로 구성된 파워유닛(P)이 자동2륜차(V)의 차체프레임(F)에 요동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엔진(E)에 부설된 스타터(100)는 상기 케이스부(61)에 장착되는 스타터모터(101)와, 상기 스타터모터(101)에 연동회전되는 지지축(104)과, 엔진(E)의 크랭크축(32)에 연결된 링기어(103)에 계탈가능하게 해서 지지축(104)에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된 피니온(105)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축(104)의 일단부는 케이스부(61)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케이스부(61)에 회전불가능하게 장착된 홀더(110)에 상기 지지축(104)의 타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자동2륜차용 엔진의 스타터 지지장치에 있어서, 가스킷(62)에는 홀더(110) 및 케이스부재(63) 사이에 삽입된 탄성지지부(112)가 일체로 연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2륜차용 엔진의 스타터 지지장치.
KR1019940038119A 1993-12-28 1994-12-28 자동2륜차용 엔진의 스타터 지지장치 KR01379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3-070607 1993-12-28
JP1993070607U JP2582275Y2 (ja) 1993-12-28 1993-12-28 自動二輪車用エンジンのスタータ支持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7641A KR950017641A (ko) 1995-07-20
KR0137906B1 true KR0137906B1 (ko) 1998-05-01

Family

ID=13436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8119A KR0137906B1 (ko) 1993-12-28 1994-12-28 자동2륜차용 엔진의 스타터 지지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2582275Y2 (ko)
KR (1) KR0137906B1 (ko)
CN (1) CN1051357C (ko)
FR (1) FR2714424B1 (ko)
IT (1) IT12681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91426B2 (ja) * 1995-08-09 2003-03-3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スタータモータの減速ギアの取付構造
JP3751064B2 (ja) * 1996-03-06 2006-03-0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パワーユニットにおける伝動ケースのシール構造
JPH10184502A (ja) * 1996-12-27 1998-07-14 Honda Motor Co Ltd 自動二輪車用エンジンのスタータ支持構造
JP3613368B2 (ja) * 1997-02-10 2005-01-2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ユニットスイング内燃機関のスタータモータ取付構造
DE102005048598B4 (de) * 2005-10-06 2016-06-30 Robert Bosch Gmbh Startvorrichtung zum Andrehen von Brennkraftmaschine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334140B (de) * 1971-04-21 1976-12-27 Steyr Daimler Puch Ag Vorrichtung zur stirnseitigen befestigung eines anlassers an einem flansch einer brennkraftmaschine
FR2527271B1 (fr) * 1982-05-18 1986-12-05 Paris & Du Rhone Demarreur pour moteur thermique comportant un renfort de son support
FR2614364B1 (fr) * 1987-04-22 1992-02-21 Mitsubishi Electric Corp Demarreur coaxi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582275Y2 (ja) 1998-09-30
ITTO941075A0 (it) 1994-12-27
IT1268199B1 (it) 1997-02-21
FR2714424A1 (fr) 1995-06-30
CN1051357C (zh) 2000-04-12
FR2714424B1 (fr) 1996-06-07
CN1111322A (zh) 1995-11-08
JPH0742431U (ja) 1995-08-04
KR950017641A (ko) 1995-07-20
ITTO941075A1 (it) 1996-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16376B2 (ja) 車両用内燃機関のブリーザ構造
US7647995B2 (en) Riding type vehicle
US7398753B2 (en) Engine with built-in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WO2003085285A1 (fr) Moteur
MXPA06014375A (es) Motor de combustion interna enfriado por aire equipado con un sensor para detectar un estado del motor.
CN101960175A (zh) 车辆动力单元
JP5145095B2 (ja) パワーユニット
US7327240B2 (en) Indicator device for motor driven vehicle
JP5687148B2 (ja) 小型車両用パワーユニットにおけるギヤ室の潤滑構造
CA2438495C (en) Engine lubrication system
KR0137906B1 (ko) 자동2륜차용 엔진의 스타터 지지장치
JP5531657B2 (ja) パワーユニットのブリーザ構造
JP3466352B2 (ja) 4サイクル内燃機関のオイル供給装置
EP1375860B1 (en) Power unit for motorcycle
JP2006130975A (ja) スクーター型自動二輪車
JP4999582B2 (ja) 自動二輪車用パワーユニットの変速機ケース冷却構造
KR100688221B1 (ko) 내연기관의 보조 기구 부착 구조
JP4682579B2 (ja) 自動二輪車のパワーユニット
JP3741228B2 (ja) 内燃機関のオイルポンプ装置
JP4530928B2 (ja) 小型車両のラジエータ装置
JP5648292B2 (ja) エンジンの配索構造
JP2753727B2 (ja) スイング式パワーユニットを備えた自動二輪車
CN221820164U (zh) 鞍乘型车辆的动力单元
JP3084878B2 (ja) 2サイクルエンジンのリードバルブ取付構造
JPS633289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412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4122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01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02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802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012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12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121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122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122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10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120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121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109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30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130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20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