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30267Y1 - 캡스턴 모터의 위상제어회로 - Google Patents

캡스턴 모터의 위상제어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0267Y1
KR0130267Y1 KR2019950006846U KR19950006846U KR0130267Y1 KR 0130267 Y1 KR0130267 Y1 KR 0130267Y1 KR 2019950006846 U KR2019950006846 U KR 2019950006846U KR 19950006846 U KR19950006846 U KR 19950006846U KR 0130267 Y1 KR0130267 Y1 KR 01302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pulse
signal
phase
capstan motor
generat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068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5742U (ko
Inventor
이활암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199500068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0267Y1/ko
Publication of KR96003574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574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02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0267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20Driving; Starting; Stopping; Control thereof
    • G11B19/28Speed 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26Driving record carriers by member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thereon
    • G11B15/28Driving record carriers by member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thereon through rollers driving by frictional contact with the record carrier, e.g. capstan; Multiple arrangements of capstans or drums coupled to means for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drive; Multiple capstan systems alternately engageable with record carrier to provide reversal

Landscapes

  • Control Of Electric Moto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에 사용되는 캡스턴 모터의 위상제어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비디오 테이프에 기록되어 있는 캡스턴 모터의 위상 제어펄스가 손상되어 제어펄스 검출헤드로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 영상신호로부터 분리된 수직 동기신호를 감지하여 제어펄스를 발생시키고 손상된 위상 제어펄스를 재 기록할 수 있도록 한 캡스턴 모터의 위상 제어회로에 관한 것이다.
특징적인 구성으로는 임의의 기준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기준신호 발생수단과, 비디오 테이프에 기록되어 있는 캡스턴 모터 제어펄스를 검출하기 위한 제어펄스 검출수단과, 상기 제어펄스 검출수단의 검출신호를 상기 기준신호 발생수단의 기준신호와 비교하여 캡스턴 모터의 위상을 제어하는 위상 제어회로에 있어서, 비디오 테이프 재생시 영상신호로부터 분리되는 수직 동기신호를 이용하여 제어펄스를 발생시키는 제어펄스 발생수단과, 비디오 테이프의 제어펄스 유/무에 따라 입력라인을 선택적으로 스위칭하여 제어펄스 검출수단의 출력신호와 제어펄스 발생수단의 출력신호중 어느 한 출력신호를 상기 기준신호 발생수단의 기준신호와 비교하여 캡스턴 모터의 위상 제어신호를 만들어 캡스턴 모터를 제어하는 위상 제어수단으로 구성함에 있다.

Description

캡스턴 모터의 위상제어회로
제1도는 종래의 일반적인 캡스턴 모터의 위상제어회로 블럭도.
제2도는 제1도의 각 부분 출력파형도로서,
(a)는 제어펄스 검출헤드의 출력신호 파형도.
(b)는 파형 정형기의 출력신호 파형도.
(c)는 제1미분기의 출력신호 파형도.
(d)는 트래킹 단안정기의 출력신호 파형도.
(e)는 크리스탈 발진기의 출력신호 파형도.
(f)는 주파수 카운터의 출력신호 파형도.
제3도는 본 고안에 의한 캡스턴 모터의 위상제어회로 블럭도.
제4도는 제3도의 각 부분 출력파형도로서,
(a)는 주파수 카운터의 출력신호 파형도.
(b)는 영상신호에서 분리된 수직동기신호 파형도.
(c)는 1/2주파수 카운터의 출력신호 파형도.
(d)는 제2미분기의 출력신호 파형도.
(e)는 1[V]가 틀어졌을 경우의 1/2 주파수 카운터의 출력신호 파형도.
(f)는 1[V]가 틀어졌을 경우의 위상 반전기의 출력신호 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기준신호 발생수단 11 : 크리스탈 발진기
12 : 주파수 카운터 20 : 제어펄스 검출수단
21 : 제어펄스 검출헤드 22 : 펄스 증폭기
30,30' : 위상 제어수단 31 : 파형 정형기
32,53 : 미분기 33 : 트래킹 단안정기
34 : 위상 비교기 40 : 캡스턴 모터
50 : 제어펄스 발생수단 52 : 위상 반전기
SW1,SW2 : 선택스위치
본 고안은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에 사용되는 캡스턴 모터의 위상 제어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비디오 테이프에 기록되어 있는 캡스턴 모터의 위상 제어펄스가 손상되어 제어펄스 검출헤드로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 영상신호로부터 분리된 수직 동기신호를 감지하여 제어펄스를 발생시키고 손상된 위상 제어펄스를 재 기록할 수 있도록 한 캡스턴 모터의 위상 제어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 캡스턴 모터의 위상 제어회로는 임의의 기준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기준신호 발생수단(10)과, 비디오 테이프에 기록되어 있는 캡스턴 모터 제어펄스를 검출하기 위한 제어펄스 검출수단(20)과, 상기 제어펄스 검출수단의 검출신호를 상기 기준신호 발생수단의 기준신호와 비교하여 캡스턴 모터(40)의 위상 제어신호를 만들어냄으로써 캡스턴 모터의 위상을 제어하는 위상 제어수단(30)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기준신호 발생수단(10)은 일반적으로 도면 제1도에서와 같이 임의의 기준 주파수(3.58㎒)신호를 발생시키는 크리스탈 발진기(11)와 상기 기준 주파수신호를 일정한 주기 동안 카운트하여 출력신호(30㎐)를 만들어내는 주파수 카운터(12)로 구성되었으며, 상기의 제어펄스 검출수단(20)은 비디오 테이프에 기록되어 있는 캡스턴 모터 제어펄스를 검출하기 위한 제어펄스 검출헤드(21)와 상기 제어펄스 검출헤드에서 픽업되는 미세한 제어펄스를 증폭해내기 위한 펄스 증폭기(22)로 구성되었으며, 상기 위상 제어수단(30)은 상기 펄스 증폭기의 증폭신호를 구형파의 형태로 정형하기 위한 파형 정형기(31)와 상기 파형 정형기의 구형파 출력신호를 미분하여 다시 미분 펄스로 출력해내기 위한 제1미분기(32)와 상기 제1미분기의 미분펄스를 일정한 주기동안 안정한 상태로 만들기 위한 트래킹 단안정기(33)와 상기 트래킹 단안정기의 구형파 신호를 주파수 카운터(12)의 출력신호와 비교함으로써 위상차를 검출하여 에러 전압에 대한 직류값으로 캡스턴 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위상 비교기(34)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위상 제어회로의 동작을 제1도 및 제2도에 의해 살펴보면 제어펄스 검출수단(20)에서 검출되는 제어펄스(2d파형)를 기준신호 발생수단(10)에서 발생되는 임의 기준주파수(2f파형)와 비교함으로써 두 신호간의 위상차에 대한 에러 전압을 검출하여 캡스턴 모터(40)를 제어하게 된다. 이때 크리스탈 발진기(11)에서 발진되는 임의의 주파수(3.58㎒; 2e파형)는 일정한 주기동안 카운트를 계속하는 주파수카운터(12)를 거치면서 임의의 기준 주파수(30㎐; 2f파형)로 계산되어 위상 제어수단(30)으로 들어가게 되고 제어펄스 검출헤드(21)에서 검출된 미세한 펄스신호는 펄스 증폭기(22)에 의해 일정한 증폭비로 증폭(2a파형)된 후 파형 정형기(31)에 의해 정(+)펄스 부분만 남은 구형파(2b파형)로 정형되고 다시 제1미분기(32)에의해 미분펄스(2c파형)로 변환된 후 트래킹 단안정기(33)에 의해 30Hz의 구형파신호(2b파형)가 된다. 그리고 위상 비교기(34)는 상기 두 파형(2d파형과 2f파형)의 위상을 비교하여 그 위상차에 대한 전압을 직류로 바꾸고 에러 전압으로서 캡스턴 모터(40)에 출력되어 캡스턴 모터의 위상을 제어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위상 제어회로를 사용하는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에서는 테이프에 기록된 제어펄스의 부분이 주변환경에 의해 손상되었을 경우 캡스턴 모터의 위상 제어기능을 상실하여 테이프의 재생이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비디오 테이프의 재생에 있어서 캡스턴 모터의 위상이 제어되지 않아도 순간 순간 화면에 재생되는 영상신호로부터 수직동기신호를 분리하여 캡스턴 모터의 위상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펄스로 사용함으로써 비디오 테이프의 재생이 가능하도록 하고 손상된 제어펄스를 다시 정확한 위치에 기록할 수 있도록 한 캡스턴 모터의 위상 제어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캡스턴 모터의 위상 제어회로의 특징은 임의의 기준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기준신호 발생수단과, 비디오 테이프에 기록되어 있는 캡스턴 모터 제어펄스를 검출하기 위한 제어펄스 검출수단과, 상기 제어펄스 검출수단의 검출신호를 상기 기준신호 발생수단의 기준신호와 비교하여 캡스턴 모터의 위상을 제어하는 위상 제어회로에 있어서, 비디오 테이프 재생시 영상신호로부터 분리되는 수직 동기신호를 이용하여 제어펄스를 발생시키는 제어펄스 발생수단과, 비디오 테이프의 제어펄스 유/무에 따라 입력라인을 선택적으로 스위칭하여 제어펄스 검출수단의 출력신호와 제어펄스 발생수단의 출력신호중 어느 한 출력신호를 상기 기준신호 발생수단의 기준신호와 비교하여 캡스턴 모터의 위상 제어신호를 만들어 캡스턴 모터를 제어하는 위상 제어수단으로 구성함에 있다.
이하에서 본 고안에 따른 캡스턴 모터의 위상제어회로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캡스턴 모터의 위상제어회로의 블럭도로서 도면중 제1도와 동일한 참고 번호는 동일한 부품을 표시한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스턴 모터의 위상을 비교하기 위해 임의의 기준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기준신호 발생수단(10)은 캡스턴 모터의 위상검출신호를 비교하기 위해 임의의 기준 주파수(3.58㎒)신호를 발생시키는 크리스탈 발진기(11)와 상기 기준 주파수신호를 일정한 주기 동안 카운트하여 출력신호(30㎐)를 만들어내는 주파수 카운터(12)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며, 비디오 테이프에 기록되어 있는 캡스턴 모터 제어펄스를 검출하기 위한 제어펄스 검출수단(20)은 비디오 테이프에 기록되어 있는 캡스턴 모터 제어펄스를 검출하기 위한 제어펄스 검출헤드(21)와 상기 제어펄스 검출헤드에서 픽업되는 미세한 제어펄스를 증폭해내기 위한 펄스 증폭기(22)로 구성함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어펄스 검출수단의 출력신호와 제어펄스 발생수단의 출력신호중 어느 한 출력신호를 상기 기준신호 발생수단의 기준신호와 비교하여 캡스턴 모터의 위상 제어신호를 만들어내는 위상 제어수단(30')은 비디오 테이프의 제어펄스 유/무에 따라 입력라인을 선택적으로 스위칭하기 위한 제1선택스위치(SW1)어 상기 제1선택 스위치의 스위칭 상태에 따라 제어펄스 검출수단의 출력신호나 제어펄스 발생수단의 출력신호를 구형파의 형태로 정형하기 위한 파형 정형기(31)와 상기 파형 정형기의 구형파 출력신호를 미분하여 다시 미분 펄스로 출력해내기 위한 제1미분기(32)와 상기 제1미분기의 미분펄스를 일정한 주기동안 안정한 상태로 만들기 위한 트래킹 단안정기(33)와 상기 트래킹 단안정기의 구형파 신호를 주파수 카운터(12)의 출력신호와 비교함으로써 위상차를 검출하여 에러 전압에 대한 직류값으로 캡스턴 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위상 비교기(34)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며, 캡스턴 모터 제어펄스를 발생시키는 제어펄스 발생수단(50)은 비디오 테이프 재생시 영상신호로부터 분리된 수직 동기신호를 이용하여 1/2분주하는 1/2주파수 카운터(51)와 상기 1/2주파수 카운터의 출력신호를 위상 반전시키는 위상 반전기(52)와 상기 1/2주파수 카운터의 출력신호나 위상 반전기의 출력신호를 색신호의 유/무에 따라 선택적으로 스위칭하기 위한 제2선택스위치(SW2)와 상기 제2선택 스위치의 선택신호를 제어펄스의 형태로 미분하기 위한 제2미분기(53)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제4도는 본 고안에 다른 캡스턴 모터의 위상제어회로가 제3도와 같이 실시되는 상태에서의 각 부분의 동작파형도로서 (4a)는 기준신호 발생수단의 출력신호인 주파수 카운터의 출력신호 파형도이고 (4b)는 비디오 테이프 재생시 영상신호에서 분리된 수직동기신호 파형도이며 (4c)는 상기 수직동기신호를 1/2분주시켜 얻어낸 1/2주파수 카운터의 출력신호 파형도이고 (4d)는 색신호가 있을 경우 상기 1/2 주파수 카운터의 출력신호를 제2미분기를 통과시켜 얻어낸 제어펄스 파형도이며 (4e)는 1[V]가 틀어졌을 경우의 1/2 주파수 카운터의 출력신호 파형도이고 (4f)는 1[V]가 틀어졌을 경우의 1/2주파수 카운터의 출력신호를 위상 반전기를 통과시켜 얻어낸 출력신호 파형도이다.
이상에서와 같은 구성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따른 캡스턴 모터의 위상제어회로의 동작을 제3도의 블럭도 및 제4도의 동작 파형도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에서 비디오 테이프 재생시 제어펄스 부분이 정상적인 상태인 경우를 보면 기존의 경우와 동일하게 제어펄스 검출수단(20)에서 검출되는 제어펄스를 기준신호 발생수단(10)에서 발생되는 임의 기준주파수(4a파형)와 비교함으로써 두 신호간의 위상차에 대한 에러 전압을 검출하여 캡스턴 모터(40)를 제어하게 된다. 이때 제1선택 스위치(SW1)는 논리 로우(L)단자에 접속되어 있게 되므로 제어펄스 발생수단(50)의 출력신호에 관계없이 제어펄스 검출수단(20)의 출력신호를 이용하여 캡스턴 모터(40)의 위상 제어신호를 만들어 낼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에서 비디오 테이프 재생시 제어펄스 부분이 손상되어 있을 경우 제어 펄스의 유, 무를 판단하여 제어펄스가 검출되지 않는 상태이므로 제1선택 스위치(SW1)를 논리 하이(H)로 제어하게 된다. 이때 순간 순간 비디오 테이프에서 재생되는 영상신호로부터 분리된 수직 동기신호(4b파형)를 1/2주파수카운터(51)로 계산하여 임의의 주파수 신호(4c파형)를 만들어 내고 이것을 다시 제2미분기(53)를 통해 미분하여 제어펄스를 만들어냄으로써 원래의 제어펄스와 같은 파형의 주파수신호(4d파형)를 만들어낸다. 이것은 다시 위상 제어수단(30')으로 입력되어 제어펄스의 역할을 수행하여 위상 제어가 가능해진다. 예를 들면 상기 1/2주파수카운터(51)를 통해 1/2 카운트할 때 트리거 포인트가 기준신호 발생수단(10)의 출력신호(4a파형)에 대해 1[V]만큼 틀어질 경우에는 제1채널과 제2채널이 바뀌게 되어 색신호의 재생이 불가능해져서 무색신호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데 그것을 감지하여 제2선택 스위치(SW2)를 논리 하이(H)로 제어함으로써 1/2주파수카운트신호를 위상반전기(52)를 통해 위상 반전시켜 원래의 위상을 다시 찾을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캡스턴 모터의 위상제어회로에 의하면 제어펄스가 손상되었을 경우 영상신호로부터 수직 동기신호를 분리하여 제어펄스의 대용으로 사용함으로써 재생이 가능하게 하는 한편 손상된 제어펄스를 다시 기록할 수 있는 유용함이 있다.

Claims (3)

  1. 임의의 기준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기준신호 발생수단과 비디오 테이프에 기록되어 있는 캡스턴 모터 제어펄스를 검출하기 위한 제어펄스 검출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제어펄스 검출수단의 검출신호를 상기 기준신호 발생수단의 기준신호와 비교하여 캡스턴 모터의 위상을 제어하는 위상제어회로에 있어서, 비디오 테이프 재생시 영상신호로부터 분리되는 수직 동기신호를 이용하여 캡스턴 모터 제어펄스를 발생시키는 제어펄스 발생수단과, 상기 제어펄스 검출수단의 제어펄스 검출 유/무에 따라 입력라인을 선택적으로 스위칭하여 제어펄스 검출수단의 출력신호와 제어펄스 발생수단의 출력신호중 어느 한 출력신호를 상기 기준신호 발생수단의 기준신호와 비교하여 캡스턴 모터의 위상 제어신호를 만들어 캡스턴 모터를 제어하는 위상 제어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캡스턴 모터의 위상제어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펄스 발생수단은 영상신호로부터 분리되는 수직 동기신호를 1/2카운트하는 1/2주파수 카운터와, 상기 카운트 된 주파수신호를 미분하여 제어펄스를 만들어내는 미분기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스턴 모터의 위상제어회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펄스 발생수단은 상기 1/2주파수 카운터를 통해 1/2카운트된 주파수 신호의 위상을 반전시키는 위상 반전기와, 상기 1/2주파수 카운터의 출력단자와 상기 위상반전기의 출력단자를 두 선택단자로 하여 무색신호시 스위칭되게 하는 제2선택 스위치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캡스턴 모터의 위상제어회로.
KR2019950006846U 1995-04-07 1995-04-07 캡스턴 모터의 위상제어회로 KR01302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6846U KR0130267Y1 (ko) 1995-04-07 1995-04-07 캡스턴 모터의 위상제어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6846U KR0130267Y1 (ko) 1995-04-07 1995-04-07 캡스턴 모터의 위상제어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5742U KR960035742U (ko) 1996-11-21
KR0130267Y1 true KR0130267Y1 (ko) 1998-12-15

Family

ID=19410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06846U KR0130267Y1 (ko) 1995-04-07 1995-04-07 캡스턴 모터의 위상제어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026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1641B1 (ko) * 1998-07-10 2001-06-01 구자홍 캡스턴모터의위상제어장치및방법과재생시간산출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5742U (ko) 1996-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0267Y1 (ko) 캡스턴 모터의 위상제어회로
US4618899A (en) Record mode discrimination circuit
US4734757A (en) Color burst phase detection system for use in a video disk player system
KR900001143B1 (ko) 자기 기록 재생장치의 자동 트래킹장치
JPS5919260A (ja) 記録モ−ド判別方式
KR900000631B1 (ko) 연속 기록 제어 회로
JPS5830278Y2 (ja) 磁気録画再生装置のコントロ−ル信号記録装置
JP2817644B2 (ja) 回転ヘッド型磁気記録再生装置
KR0134246Y1 (ko) 브이씨알의 트랙킹 장치
KR0183667B1 (ko) 헤드 스위칭 제어회로
JPS6390050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2501191B2 (ja) 再生装置
KR0136702B1 (ko) 브이씨알의 강제 수직동기신호 보호방법 및 장치
JPH033001Y2 (ko)
JPH03160888A (ja) コントロールパルス再書込み回路
JPH0329587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H084333B2 (ja) 映像記録再生装置
JPH01268277A (ja) 映像信号処理装置
JPH0244559A (ja) 映像記録再生装置
JPH01165279A (ja) 映像信号処理装置
JPH0554355A (ja) オートトラツキング方式
JPH02287952A (ja) コントロール信号発生装置とその信号分離装置
JPH0312381B2 (ko)
JPH06131743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H02227854A (ja) 記録モード判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50407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51110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50407

Patent event code: UA02011R01I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0723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0831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80831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7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7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7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7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727

Year of fee payment: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7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