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24027Y1 - 자동차용 윈도우 브러시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윈도우 브러시 구동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4027Y1
KR0124027Y1 KR2019930026615U KR930026615U KR0124027Y1 KR 0124027 Y1 KR0124027 Y1 KR 0124027Y1 KR 2019930026615 U KR2019930026615 U KR 2019930026615U KR 930026615 U KR930026615 U KR 930026615U KR 0124027 Y1 KR0124027 Y1 KR 01240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
gear
driver
gears
br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266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8148U (ko
Inventor
남용섭
Original Assignee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성원
Priority to KR20199300266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4027Y1/ko
Publication of KR95001814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814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40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402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06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 B60S1/16Means for transmitting drive
    • B60S1/18Means for transmitting drive mechanically
    • B60S1/26Means for transmitting drive mechanically by toothed gea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70G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운전석의 시계 확보를 양호하게 하기 위하여, 와이퍼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링크운동으로 변화하여 이 링크운동을 요동운동으로 변환하는 자동차용 브러시 구동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구동모터(2)의 구동축에 구동기어(4)를 설치함과 아울러 이 구동기어에 종동기어(8)를 치차 결합하고, 이들 구동기어 및 종동기어에 각각 핀(6,8)을 편심 설치하여 이들 핀에 조수석 와이퍼 링크(12)와 운전석 와이퍼 링크(14)를 연결하되, 상기한 구동기어(4)의 1회전에 종동기어(8)가 2회전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윈도우 브러시 구동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윈도우 브러시 구동장치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구동장치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브러시 구동장치의 결합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구동모터 4 : 구동기어
6,10 : 핀 8 : 종동기어
12,14 : 와이퍼 링크 16,18 :회동부재
20 : 조수속 와이퍼 어셈블리 22 : 운전석 와이퍼 어셈블리
[고안의 분야]
본 고안은 자동차용 윈도우 브러시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운전석 브러시의 구동 속도를 배가시켜 운전석의 시계를 확실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윈도우 브러시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일반적으로 자동차에 사용되고 있는 윈도우 브러시는 단일 구동모터로 2개의 브러시를 요동시켜 윈도우를 닦을 수 있는 구도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이들 브러시는 요동 속도가 동일하게 되는데, 실질적으로 운전시 조수석 보다 운전석의 시계 확보가 중요하므로 보다 개선된 구동장치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2개의 모터를 사용하여, 이들 모터의 구동 속도를 다르게 하는 방안도 고려되고 있으나, 이러한 방식을 생산원가를 상승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기 때문에 비경제적이라 할 수 있다.
[고안의 요약]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단일 구동수단으로 조수석의 브러시 구동속도보다 운전석의 브러시 구동 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는 브러시 구동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와이퍼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링크운동으로 변화하여 이 링크운동을 요동운동으로 변환하는 자동차용 브러시 구동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구동기어를 설치함과 아울러 이 구동기어에 동동기어를 치차 결합하고, 이들 구동기어 및 종동기어에 각각 핀을 편심 설치하여 이들 핀에 조수석 와이퍼 링크와 운전석 와이퍼 일크를 연결하되, 상기한 구동기어의 1회전에 종동기어가 2회전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윈도우 브러시 구동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구동장치는 운전석의 브러시가 조수석의 브러시 구동 속도보다 빠르게 진행되므로 운전석측의 원도우 닦임량이 많아져 보다 양호한 시계 확보를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브러시 구동장치의 분해 사시도로서, 브러시 구동모터(2)와 이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설치되어 함께 회전하는 구동기어(4)와, 이 구동기어에 편심 설치된 핀(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동기어(4)는 종동기어(8)와 치차 결합되어 그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역시 이 종동기어에도 핀(10)이 편심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핀(6,8)에는 각각 조수석 와이퍼 링크(12)와, 운전석 와이퍼 링크(14)가 힌지 결합되어 있으며, 이들 링크(12,14)에는 회동부재(16,18)를 개재하여 각각 와이퍼 어셈블리(20,22)가 결합된다.
상기한 구동기어)가 1회전하는 동안에 종동기어(8)가 2회전을 할 수 있도록 이들 기어는 기어수 및 피치원 직경이 결정된다.
이때, 그 구동기어(4)가 연결되어 있는 구동모터(2)는 내부에 감속기가 일체로 부착되어 구동기어(4)의 회전을 제어하는 공지의 것을 사용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구동기어(4)가 1회전하는 동안에 종동기어(8)가 2회전을 할 수 있도록 하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조수석과 운전석의 브러시가 구동시 간섭하지 않는 비율의 범위내에서 이들 기어의 회전비를 어떠한 형식으로도 선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브러시 구동장치는, 운전자가 브러시 구동 스위치를 온시키게 되면, 브러시 구동모터(2)가 회전을 시작하게 된다.
이 모터의 구동으로 이 모터의 구동축에 설치된 구동기어(4)가 함께 회전을 하게 되는데, 이 구동기어(4)에는 종동기어(8)가 치차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구동모터(2)가 회전함에 의해 2개의 기어가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그런데 구동기어(4)에는 편심 설치된 핀(6)에 조수석 와이퍼 링크(12)가 연결되고 있고, 종동기어(8)에는 운전석 와이퍼 링크(14)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 링크(12,14)는 구동기어 및 종동기어의 회전에 따라 전후 이동을 하게 된다.
이들 링크(12,14)의 전후 이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은 구동기어(4)와 종동기어(8)에 연결된 링크들이 편심 설치된 핀(6,10)에 설치되기 때문이다.
상기한 작동으로 링크(12,14)가 직선 왕복 운동을 함에 따라 이들 링크에 연결된 회동부재(16,18)가 그 중심을 축으로 하여 좌회전 및 우회전을 반복하게 된다.
따라서 이들 회동부재(16,18)에 설치된 와이퍼 어셈블리(20,22)는 좌우로 요동운동으로 하면서 윈도우를 닦게 되는데, 이러한 작동이 이루어질 때 종동기어(8)는 구동기어(4)가 1회전할 때 2회전을 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운전석 와이퍼 어셈블리(22)는 조수석 와이퍼 어셈블리(20)의 요동 속도에 비하여 빠르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운전석 와이퍼 어셈블리(22)의 요동 속도가 조수석 와이퍼 어셈블리(20)의 요동속도에 비하여 2배가 된다.
따라서 윈도우 브러시를 구동시키게 되면 운전석측의 윈도우 닦임량이 많기 때문에 시계 확보가 양호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브러시 구동장치는, 운전석의 브러시 구동 속도를 조수석 브러시 구동 속도보다 빠르게 함으로서 1쌍의 브러시 구동 속도가 동일한 종래의 구동장치에 비하여 운전석의 시계 확보를 양호하게 할 수 있다.

Claims (1)

  1. 와이퍼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링크운동으로 변화하여 이 링크운동을 요동운동으로 변환하는 자동차용 브러시 구동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구동모터(2)의 구동축에 구동기어(4)를 설치함과 아울러 이 구동기어에 종동기어(8)를 치차 결합하고, 이들 구동기어 및 종동기어에 각각 핀(6,8)을 편심 설치하여 이들 핀에 조수석 와이퍼 링크(12)와 운전석 와이퍼 링크(14)를 연결하되, 상기한 구동기어(4)의 1회전에 종동기어(8)가 2회전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윈도우 브러시 구동장치.
KR2019930026615U 1993-12-07 1993-12-07 자동차용 윈도우 브러시 구동장치 KR01240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6615U KR0124027Y1 (ko) 1993-12-07 1993-12-07 자동차용 윈도우 브러시 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6615U KR0124027Y1 (ko) 1993-12-07 1993-12-07 자동차용 윈도우 브러시 구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8148U KR950018148U (ko) 1995-07-22
KR0124027Y1 true KR0124027Y1 (ko) 1998-08-17

Family

ID=19370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26615U KR0124027Y1 (ko) 1993-12-07 1993-12-07 자동차용 윈도우 브러시 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402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1336B1 (ko) * 2001-08-17 2003-07-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2개의 기어축을 갖춘 와이퍼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8148U (ko) 1995-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R2418975A1 (fr) Mecanisme d'entrainement, en particulier pour essuie-glace
US4543839A (en) Windshield wiper transmission
KR20050084410A (ko) 자동차의 유리용 와이퍼 장치의 구동 장치
CN107139887B (zh) 一种汽车刮水器
US5983439A (en) Windshield wiper assembly having a variable speed drive mechanism
KR0124027Y1 (ko) 자동차용 윈도우 브러시 구동장치
SE8402278L (sv) Transmissionsmekanism
KR100401728B1 (ko) 자동차용 리어 와이퍼 구동장치의 링크 구조
US5090081A (en) Windshield wiper with variable arcuate pattern
CN110167799B (zh) 车辆雨刮器装置
CN218703137U (zh) 雨刮器和具有它的车辆
JPH0348054B2 (ko)
JP4009393B2 (ja) ワイパ装置
KR100600114B1 (ko) 유성기어장치를 이용한 차량용 와이퍼 장치
KR100666363B1 (ko) 차량의 와이퍼 장치
KR920004142Y1 (ko) 자동차 백밀러용 와이퍼의 구동장치
JPS59202955A (ja) 自動車窓用ワイパ
JPS63215450A (ja) 車両のワイパ装置
JP3046331B2 (ja) 車両用ワイパ装置
KR20060092767A (ko) 자동차의 리어와이퍼 구동장치
KR19980018302U (ko) 자동차 와이퍼 구동장치
JPH05310100A (ja) ワイパー駆動装置
JPS6364334B2 (ko)
JPS6127742A (ja) ワイパ装置
KR19990021295A (ko) 자동차용 단식와이퍼의 구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31207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60105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31207

Patent event code: UA02011R01I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19971224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0422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0605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80605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6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607

Year of fee payment: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60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