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념원리 RPM 수학 상
개념원리 RPM 수학 상
수학(상)
정답과 풀이
           01
                                                                      0007 2a(aÛ`-3a+6)=2aÜ`-6aÛ`+12a
                           다항식의 연산                                                                            답 2aÜ`-6aÛ`+12a
                                                                      0008 (x+3)(xÛ`-x+1)=xÜ`-xÛ`+x+3xÛ`-3x+3 
                교과서 문제            정 /복 /하 /기              본문 7쪽, 9쪽                              =xÜ`+2xÛ`-2x+3
                                                                                                             답 xÜ`+2xÛ`-2x+3
        0001      3xÜ`yÛ`+2xÛ`y-5xyÜ`+y-7 	 
                답⑴
                  ⑵ -7+(2xÛ`+1)y+3xÜ`yÛ`-5xyÜ`                        0009 (2aÛ`+3ab-5bÛ`)(a-4b)
                                                                      =2aÜ`-8aÛ`b+3aÛ`b-12abÛ`-5abÛ`+20bÜ`
        0002 (xÛ`+xy+3yÛ`)+(2xÛ`-2xy+yÛ`)                             =2aÜ`-5aÛ`b-17abÛ`+20bÜ`
        =xÛ`+xy+3yÛ`+2xÛ`-2xy+yÛ`                                                                   답 2aÜ`-5aÛ` b-17abÛ`+20bÜ`
        =3xÛ`-xy+4yÛ`                             답 3xÛ`-xy+4yÛ`
                                                                      0010 (2x+5)Û`=
                                                                                     (2x)Û`+2_2x_5+5Û`          
        0003 (3xÛ`+2xy-yÛ`)-(xÛ`-5xy-4yÛ`)                                           =4xÛ`+20x+25            답 4xÛ`+20x+25
        =3xÛ`+2xy-yÛ`-xÛ`+5xy+4yÛ`
        =2xÛ`+7xy+3yÛ`                           답 2xÛ`+7xy+3yÛ`
                                                                      0011 (3x-2)Û`=
                                                                                     (3x)Û`-2_3x_2+2Û`          
                                                                                     =9xÛ`-12x+4              답 9xÛ`-12x+4
        0004 (5xÛ`+2xy)-(xy-3yÛ`)+(yÛ`+4xy)
        =5xÛ`+2xy-xy+3yÛ`+yÛ`+4xy
                                                                      0012 (3x+y)(3x-y)=(3x)Û`-yÛ`             
        =5xÛ`+5xy+4yÛ`                           답 5xÛ`+5xy+4yÛ`
                                                                                            =9xÛ`-yÛ`               답 9xÛ`-yÛ`
        0005 ⑴ A-2B=(3xÛ`-4xy+2yÛ`)-2(xÛ`-xy-3yÛ`)  
                          =3xÛ`-4xy+2yÛ`-2xÛ`+2xy+6yÛ` 	             0013 (x+2)(x+3)=xÛ`+(2+3)x+2_3 
                          =xÛ`-2xy+8yÛ`                                                   =xÛ`+5x+6              답 xÛ`+5x+6
        ⑵ 3 B-(4A+B)              
           =3B-4A-B=-4A+2B 	                                         0014 (2x+5)(3x-4)
           =-4(3xÛ`-4xy+2yÛ`)+2(xÛ`-xy-3yÛ`) 	                       =(2_3)xÛ`+{2_(-4)+5_3}x+5_(-4)
           =-10xÛ`+14xy-14yÛ`
                    답 ⑴ xÛ`-2xy+8yÛ`      ⑵ -10xÛ`+14xy-14yÛ`         0015 (2x-y-3z)Û
                                                                      =(2x)Û`+(-y)Û`+(-3z)Û`+2_2x_(-y)
        0006 ⑴ A-B+C                                                                  +2_(-y)_(-3z)+2_(-3z)_2x
           =(xÜ`+2xÛ`+3)-(3xÜ`+xÛ`-x-4)+(-2xÛ`+x-1)                   =4xÛ`+yÛ`+9zÛ`-4xy+6yz-12zx
           =xÜ`+2xÛ`+3-3xÜ`-xÛ`+x+4-2xÛ`+x-1                                            답 4xÛ`+yÛ`+9zÛ`-4xy+6yz-12zx
           =-2xÜ`-xÛ`+2x+6
        ⑵ 2A-(B-3C)                                                                 xÜ`+3_xÛ`_1+3_x_1Û`+1Ü``
                                                                      0016 (x+1)Ü`=                                      
           =2A-B+3C                                                                 =xÜ`+3xÛ`+3x+1
           =2(xÜ`+2xÛ`+3)-(3xÜ`+xÛ`-x-4)+3(-2xÛ`+x-1)                                                        답 xÜ`+3xÛ`+3x+1
           =2xÜ`+4xÛ`+6-3xÜ`-xÛ`+x+4-6xÛ`+3x-3
           =-xÜ`-3xÛ`+4x+7                                                           xÜ`-3_xÛ`_2y+3_x_(2y)Û`-(2y)Ü` 
                                                                      0017 (x-2y)Ü`=
        ⑶ (A+2B)-(B-C)                                                               =xÜ`-6xÛ`y+12xyÛ`-8yÜ`
           =A+2B-B+C=A+B+C                                                                           답 xÜ`-6xÛ`y+12xyÛ`-8yÜ`
           =(xÜ`+2xÛ`+3)+(3xÜ`+xÛ`-x-4)+(-2xÛ`+x-1)
           =xÜ`+2xÛ`+3+3xÜ`+xÛ`-x-4-2xÛ`+x-1                          0018 (a+2)(aÛ`-2a+4)=aÜ`+2Ü`=aÜ`+8              답 aÜ`+8
           =4xÜ`+xÛ`-2
                    -2xÜ`-xÛ`+2x+6
                  답⑴                            ⑵ -xÜ`-3xÛ`+4x+7     0019 (3x-1)(9xÛ`+3x+1)=(3x)Ü`-1Ü`=27xÜ`-1
                     ⑶ 4xÜ`+xÛ`-2                                                                                   답 27xÜ`-1
002 정답과 풀이
004 정답과 풀이
                                                        +2_z_x
             =xÛ`+yÛ`+zÛ`-2xy-2yz+2zx                                0052 (x-3)(x-5)(x-1)(x+1)
         ④ (x+y+2z)(xÛ`+yÛ`+4zÛ`-xy-2yz-2zx)                         ={(x-3)(x-1)}{(x-5)(x+1)}
=xÜ`+yÜ`+(2z)Ü`-3_x_y_2z =(xÛ`-4x+3)(xÛ`-4x-5)
=(2x)Ý`+(2x)Û`_yÛ`+yÝ` =(xÛ`-4x)Û`-2(xÛ`-4x)-15 
=16xÝ`+4xÛ`yÛ`+yÝ` =xÝ`-8xÜ`+16xÛ`-2xÛ`+8x-15 
         0047 (x-2)(x+2)(xÛ`+2x+4)(xÛ`-2x+4)
         ={(x-2)(xÛ`+2x+4)}{(x+2)(xÛ`-2x+4)}                         0053 (5+2a)Ü`=A, (5-2a)Ü`=B로 놓으면
         =(xÜ`-8)(xÜ`+8)                                             {(5+2a)Ü`-(5-2a)Ü`}Û`-{(5+2a)Ü`+(5-2a)Ü`}Û`
         =xß`-64                                             답①
                                                                     =(A-B)Û`-(A+B)Û`=-4AB
                                                                     =-4(5+2a)Ü`(5-2a)Ü`
         =27xÜ`+yÜ`-(xÜ`-27yÜ`)
         =26xÜ`+28yÜ`                                                0054 xÛ`+yÛ`=(x-y)Û`+2xy에서
                                                                     8=2Û`+2xy   ∴ xy=2
         따라서 a=26, b=28이므로
                                                                     ∴ xÜ`-yÜ`=(x-y)Ü`+3xy(x-y)      
         a-b=-2                                             답 -2
                                                                             =2Ü`+3_2_2=20                               답④
         0049 x+y+z=4에서
                                                                     0055 xÜ`+yÜ`=(x+y)Ü`-3xy(x+y)에서
         x+y=4-z, y+z=4-x, z+x=4-y이므로
                                                                     4=1Ü`-3xy_1   ∴ xy=-1 	
         (x+y)(y+z)(z+x)
                                                                         y x xÛ`+yÛ`
                                                                     ∴    + =            
         =(4-z)(4-x)(4-y)                                               x y       xy
         =4Ü`-4Û`(x+y+z)+4(xy+yz+zx)-xyz                                        (x+y)Û`-2xy
                                                                              =                  
                                                                                      xy
         =64-16_4+4_5-2                                                         1Û`-2_(-1)
                                                                              =             =-3                         답 -3
         =18                                                답 18                     -1
          단계                        채점요소               배점
                                                               에서 4Û`=aÛ`bÛ`+bÛ`cÛ`+cÛ`aÛ`+2_(-3)_4
               a-b, ab의 값 구하기                        40 %     ∴ aÛ`bÛ`+bÛ`cÛ`+cÛ`aÛ`=40                               답 40
                 aÛ` bÛ`
                   - 의 값 구하기                         60 %
                 b   a
                                                               0063 xÛ`+yÛ`+zÛ`=(x+y+z)Û`-2(xy+yz+zx)에서
                                                               18=6Û`-2(xy+yz+zx)   ∴ xy+yz+zx=9
                                                                                     xy+yz+zx
                                                               ;[!;+;]!;+;z!;=3, 즉            =3에서
        0057 xÛ`+yÛ`=(x+y)Û`-2xy에서                                                      xyz
        7=('5)Û`-2xy   ∴ xy=-1                                  9
                                                                   =3   ∴ xyz=3
                                                               xyz
        ∴ xÝ`+yÝ`=(xÛ`+yÛ`)Û`-2xÛ`yÛ`      
                                                               ∴ xÜ`+yÜ`+zÜ`
                   =7Û`-2_(-1)Û`=47                   답 47
                                                                 =(x+y+z)(xÛ`+yÛ`+zÛ`-xy-yz-zx)+3xyz                    
                                                                 =6_(18-9)+3×3=63                                      답③
        0058 x+0이므로 xÛ`-3x-1=0의 양변을 x로 나누면
        x-3-;[!;=0   ∴ x-;[!;=3                                0064 aÛ`+bÛ`+cÛ`=(a+b+c)Û`-2(ab+bc+ca)에서
                 1                                             8=0Û`-2(ab+bc+ca)   ∴ ab+bc+ca=-4
        ∴ xÜ`-       ={x-;[!;}Ü`+3{x-;[!;} 
                 xÜ`                                           (aÛ`+bÛ`+cÛ`)Û`=aÝ`+bÝ`+cÝ`+2(aÛ`bÛ`+bÛ`cÛ`+cÛ`aÛ`)에서
                   =3Ü`+3_3=36                        답⑤      8Û`=aÝ`+bÝ`+cÝ`+2(aÛ`bÛ`+bÛ`cÛ`+cÛ`aÛ`)                yy ㉠
         참고    x=0을 xÛ`-3x-1=0에 대입하면 -1+0이므로 x+0이다.            (ab+bc+ca)Û`=aÛ`bÛ`+bÛ`cÛ`+cÛ`aÛ`+2abc(a+b+c)에서
                                                               (-4)Û`=aÛ`bÛ`+bÛ`cÛ`+cÛ`aÛ`+2abc_0
                                                               ∴ aÛ`bÛ`+bÛ`cÛ`+cÛ`aÛ`=16                              yy ㉡
                             1
        0059 {x+;[!;}Û`=xÛ`+ xÛ` +2=3+2=5에서                    ㉡을 ㉠에 대입하면
                                                               64=aÝ`+bÝ`+cÝ`+2_16
        x+;[!;='5 (∵ x>0)
                                                               ∴ aÝ`+bÝ`+cÝ`=64-32=32                                  답 32
006 정답과 풀이
                      1
                                                                      0081 주어진 조립제법에서 2a=-3이므로 a=-;2#;
                     = (3x-2)Q(x)+R 
                      3                                               따라서 조립제법에서  안에 알                 
                                                                                                     -;2#;   2   b   1        c
                             1                                        맞은 수를 구하면 오른쪽과 같다.
                     =(3x-2)_ Q(x)+R
                             3                                                                              	 -3 -3           3
                                                                      b-3=2, c+3=7
                                                     1
        따라서 f(x)를 3x-2로 나누었을 때의 몫은                     Q(x), 나머지는     ∴ b=5, c=4                           2 	 2     -2       7
                                                     3
                                                                      ∴ abc={-;2#;}_5_4=-30
                                                    1
        R이다.                                답 몫:     Q(x), 나머지 : R
                                                    3
                                                                      2xÜ`+5xÛ`+x+4를 x+;2#;으로 나누었을 때의 몫은
        0077 f(x)=(ax+b)Q(x)+R 
                                                                      2xÛ`+2x-2, 나머지는 7이므로
                   =a{x+ }Q(x)+R 
                        b
                                                                                         3
                        a                                             2xÜ`+5xÛ`+x+4={x+ }(2xÛ`+2x-2)+7 
                                                                                         2
                     ={x+ }_a Q(x)+R
                         b
                                                                                              3
                         a                                                                ={x+ }_2(xÛ`+x-1)+7             
                                                                                              2
                    b
        따라서 f(x)를 x+ 로 나누었을 때의 몫은 a Q(x), 나머지는                                            =(2x+3)(xÛ`+x-1)+7
                    a
        R이다.                                                  답④     따라서 주어진 다항식을 2x+3으로 나누었을 때의 몫은 
                                                                      xÛ`+x-1이다.                                         답②
                             1
        0078 f(x)={x- 2 }Q(x)+R
        이므로 이 식의 양변에 x를 곱하면
                                                                                유형
        xf(x)=x{x- }Q(x)+Rx
                    1                                                                                                 본문 16쪽
                                              
                    2
                   x            R       R                             0082 a-b=1, a-c=3을 변끼리 빼면
               =     (2x-1)Q(x)+ (2x-1)+  	                   
                   2            2       2
                                                                      -b+c=-2   ∴ b-c=2
                              Q(x)+ ]+
                            x      R   R
               =(2x-1)[                                               ∴a
                                                                        Û`+bÛ`+cÛ`-ab-bc-ca            
                            2      2   2
                                                       x      R              1
        따라서 xf(x)를 2x-1로 나누었을 때의 몫은                      Q(x)+ ,            = (2aÛ`+2bÛ`+2cÛ`-2ab-2bc-2ca)       
                                                       2      2              2
                   R                                                         1
        나머지는         이다.                                      답①           = {(aÛ`-2ab+bÛ`)+(bÛ`-2bc+cÛ`)+(cÛ`-2ca+aÛ`)} 
                   2                                                         2
                                                                             1
                                                                            = {(a-b)Û`+(b-c)Û`+(c-a)Û`}          
                                                                             2
        0079 다항식 3xÜ`-2xÛ`-5x+1을 x-2로 나누었을 때의 몫
                                                                             1
        과 나머지를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구하면                                               = {1Û`+2Û`+(-3)Û`}=7                         답①
                                                                             2
        008    정답과 풀이
         =;2!;(2aÛ`+2bÛ`+2cÛ`+2ab+2bc+2ca)                             (a+b)(a+c)-aÛ`
                                                                 Së-S
                                                                      =                         
                                                                         =ab+bc+ca
         =;2!;{(aÛ`+2ab+bÛ`)+(bÛ`+2bc+cÛ`)+(cÛ`+2ca+aÛ`)}        이때 aÛ`+bÛ`+cÛ`=(a+b+c)Û`-2(ab+bc+ca)에서
                                                                 75=13Û`-2(ab+bc+ca)   ∴ ab+bc+ca=47
         =;2!;{(a+b)Û`+(b+c)Û`+(c+a)Û`}
                                                                 ∴ Së-S=47                                       답 47
         =;2!;{(3+'2)Û`+(3-'2)Û`+4Û`}
=;2!;(11+6'2+11-6'2+16)=19 답 19
         0084 aÜ`+bÜ`+cÜ`=3abc이므로
         (a+b+c)(aÛ`+bÛ`+cÛ`-ab-bc-ca)                           0088 A-2X=B에서 2X=A-B
                                                                       1
         =aÜ`+bÜ`+cÜ`-3abc=0                                     ∴ X= (A-B)           
                                                                       2
         이때 a+b+c=15, 즉 a+b+c+0이므로                                      1
                                                                       = {(4xÜ`+xÛ`-3x-2)-(xÛ`-3x+2)}             
         aÛ`+bÛ`+cÛ`-ab-bc-ca=0                                         2
                                                                        1
         ;2!;{(a-b)Û`+(b-c)Û`+(c-a)Û`}=0                               = (4xÜ`+xÛ`-3x-2-xÛ`+3x-2)
                                                                        2
                                                                                                        
         ∴ a=b=c                                                        1
                                                                       = (4xÜ`-4)=2xÜ`-2                          답④
                                                                        2
         a+b+c=15에서 a=b=c=5
         ∴ abc=5_5_5=125                              답 125
                                                                 0089 (2x-1)Ü`(x-3)Û`
                                                                 =(8xÜ`-12xÛ`+6x-1)(xÛ`-6x+9)
         0085 상자의 밑면의 가로와 세로의 길이, 높이를 각각 a, b, c                 이 식의 전개식에서 xÜ` 항은
         라 하면 모든 모서리의 길이의 합이 28이므로                               8xÜ`_9+(-12xÛ`)_(-6x)+6x_xÛ`
         4(a+b+c)=28   ∴ a+b+c=7                                 =72xÜ`+72xÜ`+6xÜ`=150xÜ`
         상자의 겉넓이가 24이므로                                          따라서 xÜ`의 계수는 150이다.                             답 150
         2(ab+bc+ca)=24
         ∴ aÛ`+bÛ`+cÛ`=(a+b+c)Û`-2(ab+bc+ca)                  0090 (2x+y-1)Û`=3에서
                      =7Û`-24=25                                 4xÛ`+yÛ`+(-1)Û`+4xy-2y-4x=3
         따라서 상자의 대각선의 길이는                                        ∴ 4xÛ`+yÛ`+4xy-4x-2y=2                           답②
         "ÃaÛ`+bÛ`+cÛ`='25=5                              답5
                                                                 0091 (x-1)(x+1)(xÛ`+x+1)(xÛ`-x+1)
                                                                 ={(x-1)(xÛ`+x+1)}{(x+1)(xÛ`-x+1)}
         0086 직사각형의 가로와 세로의 길이를 각각 x`cm, y`cm라
         하면 직사각형의 대각선의 길이는 부채꼴의 반지름의 길이와 같                       =(xÜ`-1)(xÜ`+1)
                      ={x+;[!;}3`-3{x+;[!;}
                  1                                                ∴ A=(xÜ`+5xÛ`+2x-8)Ö(xÛ`+x-2)
         ∴ xÜ`+
                  xÜ`                                                         x`+4
                        =3Ü`-3_3=18                        답 18   xÛ`+x-2`<Ô`xÜ`+5xÛ`+2x-8
                                                                               xÜ`+ xÛ`-2x
         0095 aÛ`+bÛ`+cÛ`=(a+b+c)Û`-2(ab+bc+ca)에서                                 4xÛ`+4x-8
         7=3Û`-2(ab+bc+ca)                                                        4xÛ`+4x-8
         ∴ ab+bc+ca=1                                                                        0
         a+b+c=3에서                                                 ∴ A=x+4
         a+b=3-c, b+c=3-a, c+a=3-b                                 따라서 직육면체의 높이는 x+4이다.                       답 x+4
         ∴ ( a+b)(b+c)(c+a)             
            =(3-c)(3-a)(3-b) 
            =3Ü`-3Û`(a+b+c)+3(ab+bc+ca)-abc                       0100 f(x)=(2x+1)Q(x)+R 
                                                                               =2{x+ }Q(x)+R 
            =27-9_3+3_1-1=2                                답④                      1
                                                                                    2
                                                                               ={x+ }_2Q(x)+R
                                                                                   1
         0096 aÛ`+bÛ`+cÛ`=(a+b+c)Û`-2(ab+bc+ca)에서                                  2
         5=('3)Û`-2(ab+bc+ca)   ∴ ab+bc+ca=-1                                  1
                                                                   따라서 f(x)를 x+ 로 나누었을 때의 몫은 2Q(x), 나머지는
                                                                               2
           Ü`+bÜ`+cÜ`
         ∴a                   
                                                                   R이다.                          답 몫 : 2Q(x), 나머지 : R
            =(a+b+c)(aÛ`+bÛ`+cÛ`-ab-bc-ca)+3abc             
            ='3{5-(-1)}+3_(-'3)                   
            =6'3-3'3=3'3                                   답⑤
                                                                   0101 주어진 조립제법에서  안에 알맞은 수를 구하면 다음
                                                                   과 같다.
         0097 1+'2-'3=x, 1-'2+'3=y라 하면
                                                                   ;3!;    9    0    -4     -2
         x+y=2
                                                                             3   1     -1
         xy={1+('2-'3 )}{1-('2-'3 )}=1Û`-('2-'3 )Û`
           =1-(5-2'6)=-4+2'6                                                 9    3    -3     -3
         ∴ ( 1+'2-'3)Ü`+(1-'2+'3)Ü`                                                         1
                                                                   즉, f(x)=9xÜ`-4x-2이고 f(x)를 x- 로 나누었을 때의 몫
                                                                                               3
            =xÜ`+yÜ`=(x+y)Ü`-3xy(x+y) 
                                                                   은 9xÛ`+3x-3, 나머지는 -3이므로
            =2Ü`-3_(-4+2'6)_2                     
            =32-12'6                                 답 32-12'6    f(x)={x-;3!;}(9xÛ`+3x-3)-3     
                                                                          ={x-;3!;}_3(3xÛ`+x-1)-3         
         0098 xÝ`+5xÜ`+3xÛ`-13x+9=A(xÛ`+2x-2)-5x+7
                                                                          =(3x-1)(3xÛ`+x-1)-3
         이므로
         A(xÛ`+2x-2)=xÝ`+5xÜ`+3xÛ`-8x+2                            따라서 Q(x)=3xÛ`+x-1, R=-3이므로
                                                                   f(-1)+Q(2)+R=-7+13-3=3                        답3
         ∴ A=(xÝ`+5xÜ`+3xÛ`-8x+2)Ö(xÛ`+2x-2)
                     xÛ`+3x`-1
                  <Ô
         xÛ`+2x-2` `xÝ`+5xÜ`+3xÛ`-8x+2
                                                                   0102 aÛ`+bÛ`+cÛ`-ab-bc-ca
                          xÝ`+2xÜ`-2xÛ`
                                                                   =;2!;{(a-b)Û`+(b-c)Û`+(c-a)Û`}=0           yy ㉠
                              3xÜ`+5xÛ`-8x
                              3xÜ`+6xÛ`-6x                         이때 삼각형의 세 변의 길이 a, b, c에 대하여
                                  - xÛ`-2x+2                       (a-b)Û`¾0, (b-c)Û`¾0, (c-a)Û`¾0이므로 ㉠에 의하여
                                  - xÛ`-2x+2                       (a-b)Û`=0, (b-c)Û`=0, (c-a)Û`=0
                                              0                    ∴ a=b, b=c, c=a
         ∴ A=xÛ`+3x-1                                답 xÛ`+3x-1   따라서 삼각형 ABC는 a=b=c인 정삼각형이다.                   답③
010 정답과 풀이
                                                                   단계                         채점요소                           배점
         0104 x+0이므로 xÛ`-x-1=0의 양변을 x로 나누면                              x+y의 값 구하기                                          20 %
                    ={x-;[!;}Û`+2=1Û`+2=3이므로
                1
         xÛ`+
                xÛ`
                                                             
                                                                  0107 (x+1)(x+2)(x+3)_`y`_(x+10)의 전개식에
                                                                  서 xá`항은
                                =2{xÛ`+ }-{x-;[!;}-3
                            2            1
         2xÛ`-x-3+;[!;+                                          xá`_10+x¡`_9x+xà`_8xÛ`+`y`+x_2x¡`+1_xá`
                            xÛ`          xÛ`
                                =2_3-1-3                         =(1+2+`y`+8+9+10)xá`=55xá`
                              =2                                  따라서 xá`의 계수는 55이다.                                         답②
                                                             
                                                             답2   0108 xÛ`+yÛ`=(x+y)Û`-2xy에서
          단계                        채점요소                 배점       2=1Û`-2xy   ∴ xy=-;2!;
                x-;[!;의 값 구하기                           30 %
                                                                  xÜ`+yÜ`=(x+y)Ü`-3xy(x+y)              
                                                                        =1Ü`-3 _{-;2!;}_1=;2%;
                     1
                xÛ`+ 의 값 구하기                            30 %
                     xÛ`
                주어진 식의 값 구하기                            40 %
                                                                  xÝ`+yÝ`=(xÛ`+yÛ`)Û`-2xÛ`yÛ` 
                                                                        =2Û`-2 _{-;2!;}2`=;2&;
         0105                x`+3
                  xÛ`+x+2`<Ô`xÜ`+4xÛ`+5x+a
                                                                  ∴ xà`+yà`+xÝ`yÜ`+xÜ`yÝ`=xÝ`(xÜ`+yÜ`)+yÝ`(xÜ`+yÜ`)        
                                                                                          =(xÜ`+yÜ`)(xÝ`+yÝ`)      
                             xÜ`+ xÛ`+2x
                  		               3xÛ`+3x+a                                              =;2%;_;2&;=:£4°:                  답 :£4°:
                  		               3xÛ`+3x+6
                                            a-6
                                                                  0109 처음 직육면체의 부피는
                                                                 (a+b)Û`(a+2b)=aÜ`+4aÛ`b+5abÛ`+2bÜ`
         이때 나머지가 0이어야 하므로                                         즉 12개의 작은 직육면체 중 부피가 aÜ`인 직육면체는 1개, 부피
         a-6=0   ∴ a=6                                            가 aÛ`b인 직육면체는 4개, 부피가 abÛ`인 직육면체는 5개, 부피가
                                                                 bÜ`인 직육면체는 2개이다.
                                                             답6   따라서 부피가 150인 작은 직육면체는 5개이므로 abÛ`=150
          단계                        채점요소                 배점       abÛ`=150=6_5Û`이고, a, b는 서로소인 자연수이므로
                xÜ`+4xÛ`+5x+a를 xÛ`+x+2로 나누기             60 %     a=6, b=5
                a의 값 구하기                                40 %     ∴ a+2b=6+2_5=16                                            답 16
           02
                                                                   a=1, -a+b+c=1, -c=1
                           항등식과 나머지정리                              ∴ a=1, b=3, c=-1
012 정답과 풀이
         0124 a ã x=ax+x, x ã b=bx+b, x ã 3=3x+3          0129 주어진 등식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이므로                                              -1-a+b=0   ∴ a-b=-1                       yy ㉠
         (a ã x)-(x ã b)=(ax+x)-(bx+b)                 양변에 x=2를 대입하면
                           =(a-b+1)x-b                   32-4a+b=0   ∴ 4a-b=32                     yy ㉡
                           =3x+3                          ㉠, ㉡을 연립하여 풀면 a=11, b=12
         이 등식이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 xÞ`-11xÛ`+12=(x+1)(x-2)f(x)
         a-b+1=3, -b=3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따라서 a=-1, b=-3이므로                                1-11+12=(1+1)(1-2)f(1)
         a+b=-4                                   답 -4   -2f(1)=2   ∴ f(1)=-1                         답 -1
014 정답과 풀이
하면 f(x)=(x-2){(x+2)Q'(x)-1}+3
f(x)=(x-2)(x-3)Q'(x)+x-2 =(x-2)(x+2)Q'(x)-x+5
         R(0)=;2!;_(-1)_(-2)=1                        답①
                                                                0155 f(x)를 xÛ`+x+1로 나누었을 때의 몫이 Q(x), 나머지
                                                                가 x+7이므로
                                                                f(x)=(xÛ`+x+1)Q(x)+x+7              yy ㉠
         0150 f(x)를 xÛ`-x-2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Q(x)라 하면                또, Q(x)를 x-1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Q'(x)라 하면
         f(x)=(xÛ`-x-2)Q(x)+2x-4                             Q(x)=(x-1)Q'(x)+2                    yy ㉡
              =(x+1)(x-2)Q(x)+2x-4                              ㉡을 ㉠에 대입하면
         이 등식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f(x)=(xÛ`+x+1){(x-1)Q'(x)+2}+x+7
         f(-1)=-6                                                  =(xÜ`-1)Q'(x)+2xÛ`+3x+9
         따라서 f(2x-3)을 x-1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따라서 R(x)=2xÛ`+3x+9이므로
         f(2_1-3)=f(-1)=-6                            답①       R(-3)=18-9+9=18                       답 18
016 정답과 풀이
                                                                 0162 f(x)=xÜ`-5xÛ`+ax+b라 하면
         0157 f(x)=xÝ`+kxÛ`+3x+7이 x+1로 나누어떨어지므로                  f(x)가 (x+1)(x-2)로 나누어떨어지므로
         f(-1)=1+k-3+7=0                                         f(-1)=-1-5-a+b=0  
         ∴ k=-5                                           답⑤    ∴ a-b=-6                                  yy ㉠
                                                                 f(2)=8-20+2a+b=0  
         0158 f(x)=xÜ`+axÛ`+bx-2라 하면 f(x)가 x-1, x-2              ∴ 2a+b=12                                 yy ㉡
         로 각각 나누어떨어지므로                                           ㉠, ㉡을 연립하여 풀면 a=2, b=8
         f(1)=1+a+b-2=0   ∴ a+b=1                       yy ㉠    ∴ f(x)=xÜ`-5xÛ`+2x+8
         f(2)=8+4a+2b-2=0   ∴ 2a+b=-3                   yy ㉡    따라서 f(x)를 x-3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 ㉡을 연립하여 풀면 a=-4, b=5                                 f(3)=27-45+6+8=-4                            답 -4
         ∴ a-b=-9                                       답 -9
                                                                                     -1   -2   -1 	          
         0166 3=x라 하면 4=x+1
         xá`á`+xÚ`â`â`+xÚ`â`Ú`을 x+1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Q(x), 나머지를                -;2!; 2   -4   -2          3       
         R라 하면
                                                                                     -1    `;2%;     
         xá`á`+xÚ`â`â`+xÚ`â`Ú`=(x+1)Q(x)+R              yy ㉠
         ㉠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R=-1                                           -;2!; 2   -5       `;2!;   
         ㉠의 양변에 x=3을 대입하면
                                                                                     -1     
         3á`á`+3Ú`â`â`+3Ú`â`Ú`=4Q(3)-1=4{Q(3)-1}+3
                                                                                 2   -6
         따라서 3á`á`+3Ú`â`â`+3Ú`â`Ú`을 4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3이다.
                                                                   이므로
                                                              답3
                                                                   2xÜ`-3xÛ`-4x+2
018 정답과 풀이
         0174 3xÜ ` +axÛ ` +2x+1을 xÛ ` +2x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f(x)를 (x-2)Û`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가 6x+1이므로
         3x+c (c는 상수)라 하면                                      ㉠에서 axÛ`+bx+c를 (x-2)Û`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도
         3xÜ`+axÛ`+2x+1=(xÛ`+2x)(3x+c)+10x+b                6x+1이다.
                           =3xÜ`+(6+c)xÛ`+(2c+10)x+b           즉, axÛ`+bx+c=a(x-2)Û`+6x+1이므로
         이 등식이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f(x)=(x-1)(x-2)Û` Q(x)+a(x-2)Û`+6x+1       yy ㉡
         a=6+c, 2=2c+10, 1=b                                   한편, `f(x)를 x-1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가 6이므로
         따라서 a=2, b=1, c=-4이므로                                 f(1)=a+7=6   ∴ a=-1
         b-a=-1                                       답 -1    따라서 구하는 나머지는 ㉡에서
                                                               -(x-2)Û`+6x+1=-xÛ`+10x-3
                                                       yy ㉠                                        답 -xÛ`+10x-3
         0175 f(-1)=1-a+b=2   ∴ a-b=-1
         f(1)=1+a+b=8   ∴ a+b=7                       yy ㉡
         ㉠, ㉡을 연립하여 풀면 a=3, b=4                                0179 f(-1)+g(-1)=8  	                      yy ㉠
         따라서 f(x)=xÛ`+3x+4이므로                                  f(-1)-g(-1)=4	                             yy ㉡
         f(2)=4+6+4=14                                 답 14   ㉠, ㉡을 연립하여 풀면
                                                               f(-1)=6, g(-1)=2
         0176 f(x)를 (x-1)(x+1)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Q(x),               따라서 x+f(x)g(x)를 x+1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나머지를 R(x)=ax+b (a, b는 상수)라 하면                         -1+f(-1)g(-1)=-1+6_2=11                         답⑤
                  =(xÛ`-x)Q(x+1)+1
         따라서 f(x+1)을 xÛ`-x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1이다.
                                                           0185 (x+1)f(x)를 x-2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가 3이므로
                                                      답1
                                                           (2+1)f(2)=3  
                                                           ∴ `f(2)=1
                                                           f(2)=4+2a+b=1에서
         0182 2à`Þ`Ú`=(2Ü`)Û`Þ`â`_2=2_8Û`Þ`â`
                                                           2a+b=-3                                 yy ㉠
         8=x라 하면 9=x+1
                                                                                                       
         2_xÛ`Þ`â`을 x+1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Q(x), 나머지를 R라 하
                                                           (x-2)f(x)를 x+1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가 6이므로
         면
                                                           (-1-2)f(-1)=6  
         2_xÛ`Þ`â`=(x+1)Q(x)+R                     yy ㉠
                                                           ∴ f(-1)=-2
         ㉠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f(-1)=1-a+b=-2에서
         2_(-1)Û`Þ`â`=R  
                                                           a-b=3                                  yy ㉡
         ∴ R=2
                                                                                                       
         ㉠의 양변에 x=8을 대입하면
                                                           ㉠, ㉡을 연립하여 풀면
         2_8Û`Þ`â`=9Q(8)+2
                                                           a=0, b=-3  
         따라서 2à`Þ`Ú`을 9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2이다.           답2
                                                           ∴ aÛ`+bÛ`=9
                                                                                                       
                                                                                                     답9
         0183 f(x)를 x+1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g(x),
         g(x)를 x-2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h(x)라 하면                     단계                    채점요소              배점
                                                                f(2)의 값을 이용하여 식 세우기                40 %
         f(x)=(x+1)g(x)+5
                                                                f(-1)의 값을 이용하여 식 세우기               40 %
         g(x)=(x-2)h(x)-4
                                                                aÛ`+bÛ`의 값 구하기                     20 %
         h(x)=(x+2)-3=x-1이므로
         g(x)=(x-2)(x-1)-4
              =xÛ`-3x-2                                    0186 f(x)를 xÜ`+1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Q(x), 나머지를
         f(x)=(x+1)(xÛ`-3x-2)+5                          R(x)=axÛ`+bx+c (a, b, c는 상수)라 하면
              =xÜ`-2xÛ`-5x+3                               f(x)=(xÜ`+1)Q(x)+axÛ`+bx+c
         따라서 f(x)를 x-3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그런데 나머지 axÛ`+bx+c를 xÛ`-x+1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
         f(3)=27-18-15+3=-3                        답 -3   지가 2x-4이므로
020 정답과 풀이
           03
                                                                            0203 xÜ`-8=xÜ`-2Ü`=(x-2)(xÛ`+2x+4)
                            인수분해                                                                              답 (x-2)(xÛ`+2x+4)
                                                                            0204 aÝ`+aÛ`+1=aÝ`+aÛ`_1Û`+1Ý` 
                교과서 문제 정 복 하 기       /   /   /
                                                               본문 33쪽
                                                                                            =(aÛ`+a+1)(aÛ`-a+1)
                                                                                                           답 (aÛ`+a+1)(aÛ`-a+1)
         0191 1-x-y+xy=1-x-y(1-x)=(1-x)(1-y)
                                                      답 (1-x)(1-y)          0205 xÝ`+4xÛ`yÛ`+16yÝ`=xÝ`+xÛ`_(2y)Û`+(2y)Ý``    
                                                                                                  =(xÛ`+2xy+4yÛ`)(xÛ`-2xy+4yÛ`)
                                  =a(c-d)+b(c-d)                 
                                  =(a+b)(c-d)                               0206 aÜ`-bÜ`+cÜ`+3abc
                                                      답 (a+b)(c-d)
                                                                            =aÜ`+(-b)Ü`+cÜ`-3_a_(-b)_c                 
                                                                            =(a-b+c)(aÛ`+bÛ`+cÛ`+ab+bc-ca)
                                  =(2x+5y)Û`           답 (2x+5y)Û`
                                                                            0207 xÜ`+yÜ`-3xy+1
         0194 64xÛ`-9yÛ`=(8x)Û`-(3y)Û`                                   =xÜ`+yÜ`+1Ü`-3_x_y_1              
                          =(8x+3y)(8x-3y)                                   =(x+y+1)(xÛ`+yÛ`+1-xy-x-y)
                                                 답 (8x+3y)(8x-3y)                             답 (x+y+1)(xÛ`+yÛ`+1-xy-x-y)
         0196 xÛ`+8x+12=xÛ`+(2+6)x+2_6                
                            =(x+2)(x+6)             답 (x+2)(x+6)           0209 xÛ`+5x=t로 놓으면
                                                                            (xÛ`+5x+4)(xÛ`+5x+2)-24
         0197 3xÛ`+2x-8=(x+2)(3x-4)                 답 (x+2)(3x-4)          =(t+4)(t+2)-24=tÛ`+6t-16=(t+8)(t-2)                
                                                                            =(xÛ`+5x+8)(xÛ`+5x-2)
         0198 6xÛ`+5xy-6yÛ`=(2x+3y)(3x-2y)                                                              답 (xÛ`+5x+8)(xÛ`+5x-2)
                                                 답 (2x+3y)(3x-2y)
                                                                            0210 x+1=X, x-3=Y로 놓으면
         0199 aÛ`+bÛ`+cÛ`-2ab-2bc+2ca                                      2(x+1)Û`+(x+1)(x-3)-(x-3)Û`                
         =aÛ`+(-b)Û`+cÛ`+2_a_(-b)+2_(-b)_c+2_c_a                          =2XÛ`+XY-YÛ`=(2X-Y)(X+Y)                   
         =(a-b+c)Û`                                    답 (a-b+c)Û`         ={2(x+1)-(x-3)}(x+1+x-3)                   
                                                                            =(x+5)(2x-2)=2(x+5)(x-1)             답 2(x+5)(x-1)
         0200 xÛ`+yÛ`+1+2(xy+x+y) 
         =xÛ`+yÛ`+1Û`+2_x_y+2_y_1+2_1_x                                    0211 xÛ`=t로 놓으면
         =(x+y+1)Û`                                    답 (x+y+1)Û`         xÝ`+5xÛ`-6=tÛ`+5t-6=(t-1)(t+6)           
                                                                                      =(xÛ`-1)(xÛ`+6)=(x+1)(x-1)(xÛ`+6)
         0201 xÜ`-6xÛ`+12x-8=xÜ`-3_xÛ`_2+3_x_2Û`-2Ü`                                                    답 (x+1)(x-1)(xÛ`+6)
                                  =(x-2)Ü`                  답 (x-2)Ü`
                                                                            0212 xÝ`+9xÛ`+25=(xÝ`+10xÛ`+25)-xÛ
         0202 xÜ`+9xÛ`y+27xyÛ`+27yÜ`                                                          =(xÛ`+5)Û`-xÛ` 
         =xÜ`+3_xÛ`_3y+3_x_(3y)Û`+(3y)Ü`                                                       =(xÛ`+x+5)(xÛ`-x+5)
         =(x+3y)Ü`                                         답 (x+3y)Ü`                                     답 (xÛ`+x+5)(xÛ`-x+5)
022 정답과 풀이
              1  -2    3    0
         f(x)=(x+1)(x-2)(xÛ`-2x+3)                                     0224 (x-1)(x-3)(x+2)(x+4)+24                  
                                        답 (x+1)(x-2)(xÛ`-2x+3)
                                                                         ={(x-1)(x+2)}{(x-3)(x+4)}+24                  
                                                                         =(xÛ`+x-2)(xÛ`+x-12)+24
                                                                         xÛ`+x=t로 놓으면
                                                                         (주어진 식)=
                                                                                  (t-2)(t-12)+24            
                     유형 익 히 기
                            /   /
                                                         본문 34~38쪽                 =tÛ`-14t+48=(t-6)(t-8)              
                                                                                   =(xÛ`+x-6)(xÛ`+x-8)                 
         0217 ③ 2xÛ`-5x+3=(x-1)(2x-3)                         답③                  =(x+3)(x-2)(xÛ`+x-8)
                                                                         따라서 a=3, b=-2, c=-8 또는 a=-2, b=3, c=-8이
         0218 xÛ`-yÛ`-x+y=xÛ`-yÛ`-(x-y)                               므로
                                    =(x+y)(x-y)-(x-y)                   a+b+c=-7                                               답③
                                    =(x-y)(x+y-1)
         따라서 주어진 식의 인수인 것은 ④이다.                               답④        0225 xÛ`-x=t로 놓으면
                                                                         (주어진 식)=
                                                                                  (t+2)(t-5)+6=tÛ`-3t-4 	 
         0219 xÛ`-(2a+3)x+(a+1)(a+2)                                               =(t+1)(t-4) 	             
         ={x-(a+1)}{x-(a+2)}=(x-a-1)(x-a-2)                                        =(xÛ`-x+1)(xÛ`-x-4)
         이때 두 일차식의 합이 2x+1이므로                                                                             답 (xÛ`-x+1)(xÛ`-x-4)
=(xÛ`-5x+4)(xÛ`-5x+6)+k ={x+(2y-1)}{x-(y-2)}
 =(x+2y-1)(x-y+2)
         (주어진 식)=
                  (t+4)(t+6)+k             
                   =tÛ`+10t+24+k                      yy ㉠
                                                                  0233 주어진 식을 y에 대하여 내림차순으로 정리한 후 인수분
                                                                  해하면
                                                             
                                                                  xÜ`-(2+y)xÛ`+(2y-3)x+3y
         주어진 식이 x에 대한 이차식의 완전제곱식으로 인수분해되려면  
                                                                  =(-xÛ`+2x+3)y+xÜ`-2xÛ`-3x
         ㉠이 t에 대한 완전제곱식이 되어야 하므로
                                                                  =-(xÛ`-2x-3)y+x(xÛ`-2x-3)
                      } =25   ∴ k=1
                   10 Û`
         24+k={                                                   =(xÛ`-2x-3)(x-y)
                    2
                                                                 =(x+1)(x-3)(x-y)                 답 (x+1)(x-3)(x-y)
답1
          단계                       채점요소                  배점
                                                                  0234 주어진 식을 x에 대하여 내림차순으로 정리한 후 인수분
                                                                  해하면
               주어진 식을 공통부분이 생기도록 짝을 지어 전개하기             40 %
               공통부분을 치환하여 정리하기                          20 %
                                                                  2xÛ`+2yÛ`+5xy+3x+3y+1               
               k의 값 구하기                                 40 %     =2xÛ`+(5y+3)x+(2yÛ`+3y+1) 
                                                                  =2xÛ`+(5y+3)x+(y+1)(2y+1) 
                                                                  =(x+2y+1)(2x+y+1)
         0228 xÛ`=X로 놓으면                                          따라서 a=1, b=2, c=2이므로 a+b+c=5                       답③
         xÝ`-5xÛ`+4=XÛ`-5X+4=(X-1)(X-4) 	              
                    =(xÛ`-1)(xÛ`-4) 	                            0235 주어진 식을 x에 대하여 내림차순으로 정리하면
                    =(x+1)(x-1)(x+2)(x-2)                         xÛ`-xy-6yÛ`+ax+8y-2
         이때 a<b<c<d이므로                                            =xÛ`-(y-a)x-(6yÛ`-8y+2)             
                                                                  =xÛ`-(y-a)x-2(3yÛ`-4y+1)            
         a=-2, b=-1, c=1, d=2
                                                                  =xÛ`-(y-a)x-2(3y-1)(y-1)
         ∴ ad-bc=-3                                    답 -3
                                                                                                                         
                                                                  주어진 식이 x, y에 대한 두 일차식의 곱으로 인수분해되려면
         0229 xÛ`=X로 놓으면 	 
                                                                  2(y-1)-(3y-1)=-(y-a)
         xÝ`-50xÛ`+625=XÛ`-50X+625=(X-25)Û` 	          
                                                                                                                         
                       =(xÛ`-25)Û`={(x+5)(x-5)}Û` 	      
                                                                  -y-1=-y+a   ∴ a=-1
                       =(x+5)Û`(x-5)Û`
                                                                                                                         
         이때 a>b이므로 a=5, b=-5
                                                                                                                     답 -1
         ∴ a-b=10                                       답 10
                                                                   단계                       채점요소                     배점
                                                                        주어진 식을 x에 대하여 내림차순으로 정리하기                   40 %
         0230 aÝ`+4=(aÝ`+4aÛ`+4)-4aÛ`=(aÛ`+2)Û`-(2a)Û`                주어진 식이 x, y에 대한 두 일차식의 곱으로 인수분해되는
                                                                                                                    40 %
                      =(aÛ`+2a+2)(aÛ`-2a+2)                              조건 알기
                                                                        a의 값 구하기                                    20 %
         따라서 주어진 식의 인수인 것은 ⑤이다.                          답⑤
024 정답과 풀이
                                                         =(xÛ`+5x+1)(xÛ`-2x+1)=(xÛ`+5x+1)(x-1)Û`
         0240 주어진 식을 a에 대하여 내림차순으로 정리한 후 인수분             따라서 a=5, b=1, c=1이므로
         해하면                                             abc=5                                              답5
                                                                 0251 15Û`-13Û`+11Û`-9Û`+7Û`-5Û`+3Û`-1Û`
         0247 x=2+'3, y=2-'3에서                                   =(15+13)(15-13)+(11+9)(11-9)                          
         x+y=4, x-y=2'3, xy=1                                                             +(7+5)(7-5)+(3+1)(3-1)
         ∴x
           Ý`-yxÜ`-yÜ`x+yÝ`=xÜ`(x-y)-yÜ`(x-y)               =28_2+20_2+12_2+4_2
                             =(x-y)(xÜ`-yÜ`)                    =2(28+20+12+4)=2_64=128                           답③
                             =(x-y)(x-y)(xÛ`+xy+yÛ`)     
                             =(x-y)Û`(xÛ`+xy+yÛ`)                0252 f(1)=0, f(-2)=0이므로 f(x)를 조립제법을 이용하
                             =(x-y)Û`{(x+y)Û`-xy}               여 인수분해하면
                             =(2'3)Û`_(4ÛÛ`-1)=180                 1   1  -1  -3    5  -2            
                                                         답 180             1    0  -3    2           
                                                                 -2    1    0  -3    2    0          
         0248 (a+b+c)(ab+bc+ca)-abc                                      -2    4  -2 
         =aÛ`b+abc+caÛ`+abÛ`+bÛ`c+abc+abc+bcÛ`+cÛ`a-abc             1  -2    1    0
         =(b+c)aÛ`+(bÛ`+2bc+cÛ`)a+bÛ`c+bcÛ`                      f(x)=(x-1)(x+2)(xÛ`-2x+1)=(x-1)Ü`(x+2)
                                                                ∴ f(11)=(11-1)Ü`(11+2)=1000_13=13000            답③
         =(b+c)aÛ`+(b+c)Û`a+bc(b+c)
         =(b+c){aÛ`+(b+c)a+bc}                                   0253 21=x로 놓으면
         =(b+c)(a+b)(a+c)                                        21_23_25_27+15=x(x+2)(x+4)(x+6)+15
                                                                                       ={x(x+6)}{(x+2)(x+4)}+15
         =2_3_4=24                                                                      =(xÛ`+6x)(xÛ`+6x+8)+15
                                                                                       =t(t+8)+15   Û xÛ`+6x=t
                                                          답 24                          =tÛ`+8t+15=(t+3)(t+5)
          단계                       채점요소                  배점                             =(xÛ`+6x+3)(xÛ`+6x+5)
               한 문자에 대하여 내림차순으로 정리하기                    40 %                           =(xÛ`+6x+3)(xÛ`+6x+3+2)
               주어진 식을 인수분해하기                            40 %                           =n(n+2)
               식의 값 구하기                                 20 %    ∴ n=xÛ`+6x+3=21Û`+6_21+3=570                     답 570
026 정답과 풀이
                   =(t+6)(t-4)
                   =(xÛ`+3x+6)(xÛ`+3x-4)
                   =(xÛ`+3x+6)(x+4)(x-1)                               0267 xÝ`-2xÜ`-13xÛ`-2x+1
        따라서 주어진 식의 인수인 것은 ②이다.                                  답②                        2  1
                                                                       =xÛ`{xÛ`-2x-13-       + }
                                                                                           x xÛ`
                                                                                  1 Û`     1
        0262 xÝ`+4xÛ`+16=(xÝ`+8xÛ`+16)-4xÛ`                          =xÛ`[{x+     } -2{x+ }-15]
                                                                                  x        x
                             =(xÛ`+4)Û`-(2x)Û`                                   1       1
                                                                       =xÛ`{x+     +3}{x+ -5}
                             =(xÛ`+2x+4)(xÛ`-2x+4)                               x       x
                                                                       =(xÛ`+3x+1)(xÛ`-5x+1)                           답④
        따라서 a=2, b=4, c=2, d=4이므로
        a+b+c+d=2+4+2+4=12                                     답 12
                        =(xÛ`+x)Û`-3Û`
                        =(xÛ`+x+3)(xÛ`+x-3)
        따라서 두 다항식의 공통인수는 xÛ`+x+3이다.                             답③    0269 11=x로 놓으면
                                                                       11_12_13_14+1
        0264 xÛ`+3xy+2yÛ`-x-3y-2                                       =x(x+1)(x+2)(x+3)+1
        =xÛ`+(3y-1)x+2yÛ`-3y-2                                         ={x(x+3)}{(x+1)(x+2)}+1
        =xÛ`+(3y-1)x+(2y+1)(y-2)                                       =(xÛ`+3x)(xÛ`+3x+2)+1
        =(x+2y+1)(x+y-2)                                               =(xÛ`+3x)Û`+2(xÛ`+3x)+1
        따라서 두 일차식의 합은                                                  =(xÛ`+3x+1)Û`
        (x+2y+1)+(x+y-2)=2x+3y-1                                답⑤    =(11Û`+3_11+1)Û`
                                                                       =155Û`
                                                                       ∴ 'Ä11_12_13_14+1="Ã155Û`=155                  답 155
        0265 f(x)=3xÜ`+axÛ`-5x+2라 하면
        f(x)는 x-2를 인수로 가지므로
        f(2)=24+4a-10+2=0   ∴ a=-4
        따라서 f(x)=3xÜ`-4xÛ`-5x+2             2     3   -4   -5     2    0270 1-aÛ`-4bÛ`+4ab=1-(aÛ`+4bÛ`-4ab)
        이므로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인수                              6    4   -2                           =1Û`-(a-2b)Û`
        분해하면                                     3    2   -1     0                          =(1+a-2b)(1-a+2b)
        f(x)=(x-2)(3xÛ`+2x-1)                                       이때 a+2b+1=0에서 1+a=-2b, 1+2b=-a
             =(x-2)(x+1)(3x-1)                                         ∴ (주어진 식)=(-2b-2b)(-a-a)
        따라서 b=1, c=-1이므로 a+b-c=-2                              답 -2               =(-4b)(-2a)=8ab                     답⑤
028 정답과 풀이
단계 채점요소 배점
           04
                                                                 0289 (7+2i)-(4-3i)=(7-4)+(2+3)i
                           복소수                                                                  =3+5i                  답 3+5i
                                                                 0292 xÛ`+xy+yÛ`=(2+i)Û`+(2+i)(2-i)+(2-i)Û`
        0279    답 실수부분 : ;2#;, 허수부분 : -;2!;
                                                                                       =(3+4i)+(4+1)+(3-4i)
                                                                                       =11                               답 11
        0280 a+bi 에서 b=0이면 실수, b+0이면 허수,                         다른풀이      x=2+i, y=2-i 이므로
        a=0, b+0이면 순허수이다.                                        x+y=(2+i)+(2-i)=4, xy=(2+i)(2-i)=5
        ㄷ. 4i Û`=-4                                              ∴ xÛ`+xy+yÛ`=(x+y)Û`-xy
        따라서 실수는 ㄷ, ㅁ, ㅂ, 허수는 ㄱ, ㄴ, ㄹ, 순허수는 ㄱ, ㄴ이                                 =4Û`-5=11
        다.                                          답 풀이 참조
                                                                                        1        1        2-i +2+i
                                                                 0293 ;[!;+;]!;= 2+i + 2-i = (2+i)(2-i)   	
        0281 3x+(y-1)i =6-i 에서
                                                                                   4
        3x=6, y-1=-1                                                              =    =;5$;                              답 ;5$;
                                                                                4-i Û`
        ∴ x=2, y=0                                답 x=2, y=0
                                                                 다른풀이      x+y=4, xy=5이므로
                                                                              x+y 4
                                                                 ;[!;+;]!;=       =
        0282 (x+1)+(y-1)i =2+4i 에서                                             xy   5
        x+1=2, y-1=4
        ∴ x=1, y=5                                답 x=1, y=5
                                                                 0294 i Û`Þ`=(i Ý`)ß`_i =i                                 답i
        0286 i Õ=-i                                     답 -i
                                                                 0299 'Ä-25='25 i=5i                                     답 5i
        0287 7Õ=7                                         답7
                                                                 0300 -'Ä-32=-'32 i=-4'2 i                           답 -4'2 i
        0288 (5+i)+(-2+6i)=(5-2)+(1+6)i
                                    =3+7i             답 3+7i    0301 Ñ'¶-1=Ñi                                           답 Ñi
030 정답과 풀이
                  'Ä-12        '12 i
         0305 '¶-4 = '4 i ='3                             답 '3             1+'2 i
                                                                  0313 x=     3
                                                                                   에서 3x-1='2 i
                 유형 익 히 기  /      /
                                                      본문 46~50쪽
                                                                  ∴ zÜ`-4zÛ`+5z+3=z(zÛ`-4z+5)+3
                                                                                  =z_0+3=3                         답③
                                           -1+3i
         0309 (1+2i)(4-5i )+ 1+i                                  0316 z=i(x+i)Û`=i(xÛ`+2xi-1)
                        (-1+3i)(1-i)                                      =-2x+(xÛ`-1)i                      yy ㉠
         =4-5i +8i-10i Û`+
                         (1+i)(1-i)                               z가 실수가 되려면
                  -1+i+3i-3i Û`
         =14+3i +                                                 xÛ`-1=0, xÛ`=1   ∴ x=Ñ1
                      2
         =14+3i +1+2i =15+5i                                      이때 음수 x의 값이 a이므로 a=-1
                                                                  x=-1을 ㉠에 대입하면 z=2이므로 b=2
         따라서 a=15, b=5이므로
         a+b=20                                           답 20
                                                                  ∴ a-b=-3                                        답 -3
                                                           따라서 z=;2#;+;2!;i이므로
         0326 z=a+bi (a, b는 실수)라 하면 zÕ=a-bi
         (1+i)z+3z=
                  Õ 10-i 에서                                2z-i=2{;2#;+;2!;i}-i=3                                                                                        답3
         (1+i)(a+bi)+3(a-bi)=10-i
         a+bi +ai -b+3a-3bi=10-i                           0330 i +i Û`+i Ü`+i Ý`+`y+i Ü`â`â`Û`
         (4a-b)+(a-2b)i =10-i                              =(i +i `Û +i `Ü +i `Ý )+`y`+(i `Û `á `á `à +i `Û `á `á `¡ +i `Û `á `á `á +i `Ü `â `â `â )+i `Ü `â `â `Ú +i `Ü `â `â `Û
         복소수가 서로 같을 조건에 의하여                                =(i -1-i +1)+`y`+(i -1-i +1)+i -1
         4a-b=10, a-2b=-1                                  =i -1                                                                                                       답④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a=3, b=2
         ∴ z=3+2i                                  답④     0331 i +2i Û`+3i Ü`+`y`+49i Ý`á`+50i Þ`â`
                                                           =(i -2-3i +4)+`y`+(45i -46-47i +48)+49i -50
                                                           =(2-2i)+`y`+(2-2i)+49i -50
         0327 z=a+bi (a, b는 실수)라 하면 zÕ=a-bi
                                                           =12(2-2i)+49i -50=-26+25i
         (1+i)zÕ+(1-i)z=4에서
                                                           따라서 x=-26, y=25이므로
         (1+i)(a-bi)+(1-i)(a+bi)=4
                                                           x+y=-1                                                                                                   답 -1
         a-bi +ai +b+a+bi -ai +b=4
         2a+2b=4   ∴ a+b=2
                                                                       1   1      1                                                 1
         따라서 보기에서 a+b=2를 만족시키는 복소수는 ㄱ, ㄴ이다.                0332 x=1+ i + i Û` + i Ü` +`y`+ iÚ `â`
                                                    답④                           1 1    1    1    1    1    1
                                                                             ={1+ + + }+{ + + + }                                                                                  
                                                                                 i i Û` i Ü` i Ý` i Þ` i ß` i à`
                                                                                                 1     1     1
                                                                                                     + +                                          +
         0328 z=a+bi (a, b는 실수)라 하면 zÕ=a-bi                                                      i `¡  i á` i Ú`â`
                                                                                 1   1     1   1          1
                                                                            ={1+ -1- }+{1+ -1- }+1+ -1 
                                                                                 i   i     i   i           i
         zz=
           Õ 7에서 (a+bi)(a-bi)=7   ∴ aÛ`+bÛ`=7    yy ㉠
                                                                              1
                                                                             = =-i
         zz=      Õ ;z&;이므로 z+;z&;=z+z=
           Õ 7에서 z=                   Õ 4                                     i
                                                                         2      2
         즉, (a+bi)+(a-bi)=4이므로 2a=4   ∴ a=2                ∴ x+            =-i+    =-i+2i=i                                                                            답⑤
                                                                         x      -i
                                                      
         a=2를 ㉠에 대입하면                                                      1+i                   (1+i)Û`                    2i
                                                           0333 1-i = (1-i)(1+i) = 2 =i
         4+bÛ`=7, bÛ`=3   ∴ b=Ñ'3
                                                           1-i   (1-i)Û`    -2i
                                                                =          =     =-i
                                                            1+i (1+i)(1-i)    2
         ∴ z=2Ñ'3i
                                                                   1+i Û`â`Þ`Ú` 1-i Û`â`Þ`Ú`
                                                          ∴{          } -{         } =i Û`â`Þ`Ú`-(-i)Û`â`Þ`Ú`
                                                                   1-i          1+i
                                                 답 2Ñ'3i                                                     =(i Ý`)Þ`Ú`Û`_i Ü`-{(-i)Ý`}Þ`Ú`Û`_(-i)Ü`
          단계                       채점요소             배점                                                       =i Ü`-(-i)Ü`
               z=a+bi 로 놓기                        20 %                                                      =2i Ü`=-2i                                                답①
               a의 값 구하기                           40 %
                b의 값 구하기                           30 %
           
                                                           0334 (1-i)Ü`â`={(1-i)Û
                                                                                `}Ú`Þ`=(-2i)Ú`Þ` 	
               복소수 z를 모두 구하기                      10 %
                                                                                          =(-2)Ú`Þ`_(i Ý`)Ü`_i Ü`=2Ú`Þ`i
                  1-i `Û -2i
        0335 zÛ`={ '2 } = 2 =-i이므로 zÝ`=-1
        ∴ 1+zÛ`+zÝ`+zß`+z¡`=(1+zÛ`)+zÝ`(1+zÛ`)+z¡` 	                                                                '27
                                                                         0339 ('3+'¶-3)(2'3-'¶-3)+'¶-3'¶-27+ 'Ä-3
                               =(1+zÛ`)-(1+zÛ`)+z¡` 	
                                                                                                              3'3
                                                                         =('3+'3 i)(2'3-'3 i)+'3 i_3'3 i+
                               =z¡`=(zÝ`)Û` 	                                                                 '3 i
                               =(-1)Û`=1                          답1    =6-3i +6i +3-9-3i =0                               답0
         다른풀이     zÛ`=-i이므로
        1+zÛ`+zÝ`+zß`=1-i-1+i=0                                          0340 -1<x<1이므로
        ∴ 1+zÛ`+zÝ`+zß`+z¡`=0+z¡`=(zÛ`)Ý` 	                            x+1>0, x-1<0, 1-x>0, -x-1<0
                               =(-i)Ý`=1                                 ∴ 'Ä
                                                                            x+1_'Äx-1_'Ä1-x_'Ä-x-1
                                                                           ='Äx+1_"Ã-(1-x)_'Ä1-x_"Ã-(x+1)
                 1-i          (1-i)Û`           -2i                        ='Äx+1_'Ä1-x i_'Ä1-x_'Äx+1 i
        0336 1+i = (1+i)(1-i) = 2 =-i
                                                                           ="Ã1-xÛ` i_"Ã1-xÛ` i
         1+i   (1+i)Û`   2i
             =          = =i                                               =-(1-xÛ`)=xÛ`-1                           답 xÛ`-1
         1-i (1-i)(1+i)  2
               1-i       1+i
        ∴ f{       }+f {     }=f(-i)+f(i)                                      'a
               1+i       1-i                                             0341 'b =-®;bA; 이므로 a>0, b<0
                                            } +{     }
                                        1-i 1002 1+i 1002
                                   ={
                                        1+i      1-i                     ∴ "Ã(a-b)Û`-2|a|+"ÅbÛ`=|a-b|-2|a|+|b|
                                   =(-i)     1002
                                                +i    1002                                        =a-b-2a-b
                                   ={(-i)Ý`}250_(-i)Û`+(i Ý`)250_i Û`                            =-a-2b            답 -a-2b
                                   =-1-1
                                   =-2                           답⑤             'Ä4-a        4-a
                                                                         0342 'Ä1-a =-®É 1-a 이므로 4-a>0, 1-a<0
                                                                         따라서 a-1>0, a-4<0이므로
        0337 ① '¶-2'3='2 i_'3='6 i='¶-6                                  "(Ãa-1)Û`+|a-4|=|a-1|+|a-4|
        ② '¶-2'¶-3='2 i_'3 i='6 i Û`=-'6
                                                                                          =(a-1)-(a-4)=3                    답3
          '¶-2 '2 i
        ③     =     =®;3@; i =®É-;3@;
           '3   '3
          '¶-2 '2 i                                                      0343 'a'b=-'ab이므로 a<0, b<0
        ④     =     =®;3@;
          '¶-3 '3 i                                                      ㄱ. "abÛ`=|b|'a=-b'a
           '2   '2    '2 i                                                    'b
        ⑤     =     =        =-®;3@; i=-®É-;3@;                                  =®;aB;
          '¶-3 '3 i '3 i Û`                                              ㄴ.
                                                                              'a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⑤이다.                                        답⑤
                                                                         ㄷ. "Å
                                                                             aÛ`"ÅbÛ`=|a||b|=(-a)_(-b)=ab
                                                                         ㄹ. a+b<0이므로
                                                                                   |a+b|=-a-b
               '32    'Ä-48
        0338 '¶-2 + '¶-4 +'¶-2'¶-6                                            |a|+|b|=-a-b
                                                                     
        ∴ `a-b=4                                                         0344 ㄱ. a=a+bi
                                                                                      (a, b는 실수)라 하면 aÕ=a-bi
                                                                          a=aÕ에서 a+bi=a-bi   ∴ b=0
                                                                   답4      따라서 a=a이므로 실수이다.
034 정답과 풀이
             zxÓ=zx
         따라서 옳은 것은 ㄴ, ㄷ이다.                             답④     0351 ① (2-3i)+(5+4i)=7+i
                                                               ② -3i-(-2+5i)=-3i+2-5i=2-8i
                           1                                   ③ (1+i Û`)(1-i Û`)=(1-1)(1+1)=0
         0346 복소수 zÛ`-1 이 실수이므로
                                                               ④ (5-i)Û`=25-10i-1=24-10i
            1         1         1     1
               =¨{        },      =                            ⑤
                                                                    i
                                                                      =
                                                                         i(2+i)
                                                                                  =
                                                                                    2i-1
                                                                                         =-;5!;+;5@;i    
         zÛ`-1     zÛ`-1     zÛ`-1 zÛ`-1Ó                          2-i (2-i)(2+i)     5
         zÛ`-1=zÛ`-1Ó, zÛ`-1=zÕ Û`-1                           따라서 옳은 것은 ⑤이다.                                       답⑤
         zÛ`-zÕ Û`=0   ∴ (z+zÕ)(z-zÕ)=0
         이때 z는 허수이므로 z+zÕ  
         ∴ z+z=
                                                               0352 f(1, 4)+f(2, 8)+f(3, 12)+`y`+`f(17, 68)
              Õ 0                                      답④
                                                                   1-4i 2-8i 3-12i       17-68i
                                                               =       +    +      +`y`+
                                                                   1+4i 2+8i 3+12i       17+68i
         0347 aaÕ-aÕb-abÕ+bbÕ=a(aÕ-bÕ)-b(aÕ-bÕ)                   1-4i 1-4i 1-4i       1-4i
                                                               =       +    +     +`y`+
                                    =(a-b)(aÕ-bÕ)                  1+4i 1+4i 1+4i       1+4i
                                    =(a-b)(a-b)Ó                      1-4i         (1-4i)Û`
                                                               =17_        =17_
                                                                      1+4i      (1+4i)(1-4i )
         이때 a=5-3i , b=3-2i 이므로
                                                                      -15-8i
         a-b=(5-3i)-(3-2i)=2-i                                 =17_          =-15-8i                       답 -15-8i
                                                                        17
         a-bÓ=2+i
         ∴ (주어진 식)=(2-i)(2+i)=5                         답5
                                                                              1+'3 i 1-'3 i
                                                               0353 x+y=        2
                                                                                    +
                                                                                       2
                                                                                            =1
         zÁÕ_zªÕ=zÁzªÓ=3-4i이므로                                 ∴ xÜ`-2xÛ`y-2xyÛ`+yÜ`=xÜ`+yÜ`-2xy(x+y)
                                                                                   =(x+y)Ü`-3xy(x+y)-2xy(x+y)
         zÁzª=3-4iÓ=3+4i
                                                                                   =(x+y)Ü`-5xy(x+y)
         ∴ (zÁ-1)(2zª-1)=2zÁzª-(zÁ+2zª)+1 	
                                                                                   =1Ü`-5_1_1=-4                   답 -4
                               =2(3+4i)-(2-5i)+1 	
                               =6+8i-2+5i+1
                               =5+13i               답 5+13i   0354 z=(1+i)aÛ`-(5+4i)a+6+3i
                                                                       =(aÛ`-5a+6)+(aÛ`-4a+3)i
         0349 aÕ+b=i 이므로 a+bÕ=aÕ+bÓ=i Õ=-i                     zÛ`이 음의 실수가 되려면 z가 순허수이어야 하므로
                            Ó (-1)Ó=-1
         aÕb=-1이므로 abÕ=(aÕb)=                                  aÛ`-5a+6=0, aÛ`-4a+3+0
         ∴ zzÕ=(2-3i)(2+3i)=13                          답 13   z=
                                                                   Õ (x+y-2)-(x-y+6)i
                                                                                                                
                                                                  zzÕ=0에서
                 4-3i     (4-3i)(3-4i)      -25i
         0358 3+4i = (3+4i)(3-4i) = 25 =-i이므로                     {(x+y-2)+(x-y+6)i }{(x+y-2)-(x-y+6)i }=0
         f(n)=(-i)Ç`                                              (x+y-2)Û`+(x-y+6)Û`=0
036 정답과 풀이
          단계                         채점요소   배점
                                                   Ú, Û, Ü에서 가능한 모든 n의 값의 합은
               z를 간단히 하고 zÕ 구하기            30 %   5+6+7=18                                        답 18
               x, y의 값 구하기                 50 %
               xÛ`+yÛ`의 값 구하기              20 %   0365 zÁ=1+2i이므로
                                                   zª=zÁ+
                                                        Õ (1+i)=(1-2i)+(1+i)=2-i
                                                   z£=zª+Õ (1+i)=(2+i)+(1+i)=3+2i
         0363 'a'b=-'ab 이므로 a<0, b<0              z¢=z£Õ+(1+i)=(3-2i)+(1+i)=4-i
          '¶d
              =-¾1 이므로 c<0, d>0
                 d
                                                   z°=z¢Õ+(1+i)=(4+i)+(1+i)=5+2i
          'c     c
                                                     ⋮
         따라서 b+c<0, a-d<0이므로                       따라서 zÇ의 실수부분은 n이고 허수부분은 n이 홀수이면 2, n이
                                                  짝수이면 -1이다.
         "aÛ`-|b|-"cÛ`+"Ã(b+c)Û`-|a-d|           ∴ zÁ¼¼=100-i                             답 100-i
         =|a|-|b|-|c|+|b+c|-|a-d|
         =-a-(-b)-(-c)-(b+c)-{-(a-d)}
         =-a+b+c-b-c+a-d
         =-d
                                               
                                            답 -d
          단계                         채점요소   배점
               a, b, c, d의 부호 정하기          30 %
               b+c, a-d의 부호 정하기            30 %
               식 간단히 하기                    40 %
           05
                                                                        0374 이차방정식 xÛ`-3x+k=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이차방정식                                       D=(-3)Û`-4_1_k=9-4k
                                                                        ⑴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지려면 D>0이어야 하므로
                                                                            D=9-4k>0   ∴ k<;4(;
                  교과서 문제 정 복 하 기     /    /   /
                                                             본문 55쪽
                                                                        ⑵ 중근을 가지려면 D=0이어야 하므로
                                                                            D=9-4k<0   ∴ k>;4(;
         0367 10xÛ`-x-3=0에서 (2x+1)(5x-3)=0
                                                                                              답 ⑴ k<;4(; ⑵ k=;4(; ⑶ k>;4(;
         ∴ x=-;2!; 또는 x=;5#;                     답 x=-;2!; 또는 x=;5#;
         0372 xÛ`+2x+3=0에서
         x=
                -1Ñ"Ã1Û`-3
                           =-1Ñ'2i (허근)
                                                                        0378 xÛ`-{(2+i)+(2-i)}x+(2+i)(2-i)=0
                   1                                                    ∴ xÛ`-4x+5=0                      답 xÛ`-4x+5=0
                                                   답 x=-1Ñ'2i, 허근
038 정답과 풀이
                                                                     단계                         채점요소                     배점
                                                                            k의 값 구하기                                    40 %
                                                                            a의 값 구하기                                    40 %
                  유형 익 히 기 /   /
                                                        본문 56~62쪽
                                                                            k+a의 값 구하기                                  20 %
         0384 (x-5)(x+3)=-x(x+1)에서
         xÛ`-2x-15=-xÛ`-x, 2xÛ`-x-15=0
                                                                    0390 x=1이 이차방정식 kxÛ`+ax+(k+1)b=0의 근이므로
         (2x+5)(x-3)=0   ∴ x=-;2%; 또는 x=3                    답②    k+a+(k+1)b=0  
                                                                    (1+b)k+a+b=0
                                                                    이 등식이 k의 값에 관계없이 항상 성립하므로
         0385 근의 공식을 이용하여 해를 구하면
                                                                    1+b=0, a+b=0
                -(-7)Ñ"Ã(-7)Û`-4_3_5 7Ñ'11i
         x=                       =                               따라서 a=1, b=-1이므로
                        2_3            6
         따라서 a=7, b=11이므로 a+b=18                            답 18   a-b=2                                                 답2
         ('2+1)('2-1)xÛ`-('2+1)(3-'2)x+'2('2+1)=0
         xÛ`-(1+2'2)x+'2('2+1)=0                                    0392 xÛ`-|x-2|-4=0에서
         (x-'2){x-('2+1)}=0                                         Ú x<2일 때, xÛ`+(x-2)-4=0
         ∴ x='2 또는 x='2+1                                              xÛ`+x-6=0, (x+3)(x-2)=0
         이때 a>b이므로 a='2+1, b='2                                        ∴ x=-3 또는 x=2
         ∴ a-b=1                                              답1     그런데 x<2이므로 x=-3
                                                                                                             05. 이차방정식   039
                                                            는                                                          2`cm
                                      답 x=-1-'3 또는 x=1+'3
                                                            2(2x-4)(x-4)`cmÜ`
                                                            이 상자의 부피가 192`cmÜ`이므로
         0394 |2 ã x|=|2x+2+x|=|3x+2|이므로
                                                            2(2x-4)(x-4)=192, 2xÛ`-12x+16=96
         |3x+2|=xÛ`-2
                                                            xÛ`-6x-40=0, (x+4)(x-10)=0
         Ú x<-;3@;일 때, -(3x+2)=xÛ`-2
                                                            ∴ x=-4 또는 x=10
            xÛ`+3x=0, x(x+3)=0                              그런데 2x-4>0, x-4>0에서 x>4이므로
            ∴ x=0 또는 x=-3                                   x=10
            그런데 x<-;3@;이므로 x=-3                             따라서 처음 종이의 가로의 길이는 20`cm, 세로의 길이는 
                                                            10`cm이다.                        답 가로 : 20`cm, 세로 : 10`cm
         Û x¾-;3@;일 때, 3x+2=xÛ`-2
            ∴ x=-3 또는 x=1
            그런데 x<0이므로 x=-3                                 0399 이차방정식 xÛ`-5x+k+2=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Û 0Éx<1일 때, xÛ`-x-2=-(x-1)                       D=(-5)Û`-4(k+2)>0
            xÛ`-3=0   ∴ x=Ñ'3 	                             17-4k>0   ∴ k<:Á4¦:
            그런데 0Éx<1이므로 해는 없다.
                                                            따라서 가장 큰 정수 k의 값은 4이다.                                    답②
         Ü x¾1일 때, xÛ`-x-2=x-1
            xÛ`-2x-1=0   ∴ x=1Ñ'2
                                                            0400 이차방정식 (mÛ`+4)xÛ`+2(m+2)x+2=0의 판별식
            그런데 x¾1이므로 x=1+'2
                                                            을 D라 하면
         Ú, Û, Ü에서 x=-3 또는 x=1+'2
                                                            D
         따라서 모든 근의 합은                                         =(m+2)Û`-2(mÛ`+4)¾0
                                                            4
         -3+(1+'2)=-2+'2                         답 -2+'2   -mÛ`+4m-4¾0, (m-2)Û`É0   ∴ m=2                            답⑤
040 정답과 풀이
(6-2a)k+aÛ`-b=0 D=(2k+3)Û`-4(k+1)(k+3)=0
Dª=4a+13<-23<0 ∴ m+n=15 답 15
                                                       
                                                           0409 (a-c)xÛ`+2bx+a+c가 x에 대한 이차식이므로
         따라서 이차방정식 xÛ`+3x-(a+1)=0은 서로 다른 두 허근을
                                                           a-c+0   ∴ a+c
         갖는다.
                                                           또, 이 식이 완전제곱식이므로 x에 대한 이차방정식
                                                       
                                                           (a-c)xÛ`+2bx+a+c=0의 판별식을 D라 할 때
                                            답 서로 다른 두 허근
                                                           D
                                                             =bÛ`-(a-c)(a+c)=0
          단계                       채점요소             배점     4
               a의 값의 범위 구하기                        30 %   bÛ`-aÛ`+cÛ`=0   ∴ bÛ`+cÛ`=aÛ`
               이차방정식 xÛ`+3x-(a+1)=0의 판별식의 부호 알기    50 %   따라서 삼각형 ABC는 빗변의 길이가 a인 직각삼각형이다.
               근을 판별하기                             20 %                               답 빗변의 길이가 a인 직각삼각형
042 정답과 풀이
단계 채점요소 배점
044 정답과 풀이
         ∴ f(x)=xÛ`-x+;2!;
                                                                              0436 소라는 xÛ`의 계수와 상수항을 바르게 보고 풀었으므로
                                                                        
                                                                              (두 근의 곱)=;aC;=(-3)×4=-12
         따라서 f(x)를 x-2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 c=-12a
         f(2)=2Û`-2+;2!;=;2%;
                                                                              민혁이는 xÛ`의 계수와 x의 계수를 바르게 보고 풀었으므로
                                                                        
                                                                              (두 근의 합)=-;aB;=(-2+'5)+(-2-'5)=-4
                                                                     답 ;2%;
                                                                              ∴ b=4a
          단계                        채점요소                             배점       따라서 주어진 이차방정식은
               다른 한 근 구하기                                       30 %         axÛ`+4ax-12a=0, xÛ`+4x-12=0 (∵ a+0)
               f(x) 구하기                                         40 %         (x+6)(x-2)=0   ∴ x=-6 또는 x=2
               f(x)를 x-2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 구하기                       30 %
                                                                                                           답 x=-6 또는 x=2
046 정답과 풀이
                               :Á4»:
                           =           =-;1!0(;          답③
                                                                 0456 이차방정식 ;2!;xÛ`+x+1=0, 즉 xÛ`+2x+2=0의 근은
                               -;2%;
                                                                 x=-1Ñ"Ã1Û`-1_2=-1Ñi
                                                                 ∴ ;2!;xÛ`+x+1=;2!;{x-(-1+i)}{x-(-1-i)}     
         0451 이차방정식 xÛ`-5x+2=0의 두 근이 a, b이므로
         aÛ`-5a+2=0에서 aÛ`-4a+2=a                                            =;2!;(x+1-i)(x+1+i)
         bÛ`-5b+2=0에서 bÛ`-4b+2=b
                                                                 따라서 ;2!;xÛ`+x+1의 인수인 것은 ⑤이다.                 답⑤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ab=2이므로
         (aÛ`-4a+2)(bÛ`-4b+2)=ab=2                        답2
048 정답과 풀이
             06
                                                                 0477 -xÛ`+6x-9=2x-5에서
                            이차방정식과 이차함수                          xÛ`-4x+4=0, (x-2)Û`=0   ∴ x=2                 답2
050 정답과 풀이
         0489 이차함수 y=2xÛ`+ax+b의 그래프와 x축의 교점의 x                                  0493 이차함수 y=xÛ`+2ax-bÛ`+15의 그래프가 x축과 만나
         좌표가 -3, 2이므로 -3, 2는 이차방정식 2xÛ`+ax+b=0의                                 지 않으므로 이차방정식 xÛ`+2ax-bÛ`+15=0의 판별식을 D라
         두 근이다.                                                                 하면
                                                                                                         06. 이차방정식과 이차함수   051
052 정답과 풀이
         이므로                                           즉, f(a)=2이므로
         9-3a+b=25+5a+b   ∴ a=-2                       aÛ`-4a+5=2, aÛ`-4a+3=0
                                                      (a-1)(a-3)=0   ∴ a=1 (∵ a<2)                                     답1
054 정답과 풀이
t=xÛ`+2x=(x+1)Û`-1 3
         t=xÛ`+2x-1=(x+1)Û`-2                                                                  단계                   채점요소                     배점
                                                                       
                                                                                                주어진 식을 변형하여 완전제곱식 꼴로 나타내기                50 %
         -2ÉxÉ1이므로 오른쪽 그림에서
                                                                     0               Y           a+b+c의 값 구하기                             50 %
         -2ÉtÉ2                                                            
                                                                           
         이때 주어진 함수는 
         y=tÛ`+2(t+1)-3=tÛ`+2t-1                y=tÛ`+2t-1                y                              1
                                                                       7                   0529 xÛ`+4yÛ`+ 2 zÛ`-2x+4y+2z+5
             =(t+1)Û`-2 (-2ÉtÉ2)
                                                                                           =(x-1)Û`+4{y+ }Û`+;2!;(z+2)Û`+1
                                                                                                        1
         따라서 오른쪽 그림에서 t=-1일 때 최                                                                         2
         솟값 -2를 갖고, t=2일 때 최댓값 7을                               -1 O 2                     이때 x, y, z가 실수이므로
         가지므로 M=7, m=-2                               -2           -1  t
                                                                                                         1
                                                                   -2                      (x-1)Û`¾0, {y+ }Û`¾0, (z+2)Û`¾0
         ∴ M+m=5                           답5                                                           2
                                                                                                      1
                                                                                           ∴ xÛ`+4yÛ`+ zÛ`-2x+4y+2z+5¾1
                                                                                                      2
         0525 xÛ`-4x+6=t로 놓으면                                                              따라서 주어진 식의 최솟값은 1이다.                              답①
         t=xÛ`-4x+6=(x-2)Û`+2이므로 t¾2
         이때 주어진 함수는                                                                        0530 x+y+3=0에서 y=-x-3
         y=-2tÛ`+12t+k=-2(t-3)Û`+k+18 (t¾2)                                                ∴ xÛ`+2yÛ`=xÛ`+2(-x-3)Û`=3xÛ`+12x+18
         따라서 t=3일 때 최댓값 k+18을 가지므로                                                                    =3(x+2)Û`+6
         k+18=3   ∴ k=-15                                                     답①          이때 -3ÉxÉ0이므로 x=-2일 때 최솟값 6을 갖고, x=0일
                                                                                           때 최댓값 18을 갖는다.
         0526 xÛ`-2x+3=t로 놓으면                                                              따라서 최댓값과 최솟값의 합은 18+6=24                          답 24
         t=xÛ`-2x+3=(x-1)Û`+2이므로 t¾2
                                                      Z
         이때 주어진 함수는                                                                      0531 2x+y=4에서 y=-2x+4
                                                      0                U
         y=-tÛ`+2(t-3)+1=-tÛ`+2t-5                                                        ∴ xy=x(-2x+4)=-2xÛ`+4x=-2(x-1)Û`+2
                                                   
             =-(t-1)Û`-4 (t¾2)                                                           이때 -4ÉxÉ3이므로 x=1일 때 최댓값 2를 갖고, x=-4일
         따라서 오른쪽 그림에서 t=2일 때 최댓값                                                           때 최솟값 -48을 갖는다.
         -5를 갖는다.                                              ZUA          U        따라서 최댓값과 최솟값의 차는 2-(-48)=50                       답 50
                                                                           8x=80-10y   ∴ y=8-;5$;x
         0533 점 P(a, b)가 직선 x-3y+4=0 위를 움직이므로
         a-3b+4=0   ∴ a=3b-4                                               이때 x>0, 8-;5$;x>0이므로 0<x<10
                 =8{b- }Û`-2
                      3                                                    S=x{8-;5$;x}=-;5$;xÛ`+8x
                      2
         0534 -xÛ`+9=0에서 xÛ`-9=0                                           0538 A패키지 상품의 예약자를 x명, 총 판매 금액을 y원이라
         (x+3)(x-3)=0   ∴ x=-3 또는 x=3
                                                                           하면
         즉, 이차함수 y=-xÛ`+9의 그래프와 x축의 교점의 x좌표는                               Ú 0ÉxÉ30일
                                                                                   때
         -3, 3이다.
                                                                             y=50000x
         점 B의 좌표를 (a, 0) (0<a<3)이라 하면
                                                                             따라서 예약자가 30명일 때 총 판매 금액의 최댓값은 
         A(-a, 0), C(a, -aÛ`+9)
                                                                             1500000원이다.
         ∴ ABÓ=2a, BCÓ=-aÛ`+9                                              Û 30<xÉ45일
                                                                                    때
         직사각형 ABCD의 둘레의 길이를 l이라 하면
                                                                             (상품 가격)=50000-(x-30)_1000
         l=2(2a-aÛ`+9)=-2aÛ`+4a+18
                                                                                       =80000-1000x
          =-2(a-1)Û`+20
                                                                             ∴ y=(80000-1000x)x
         이때 0<a<3이므로 a=1일 때 최댓값 20을 갖는다.                                         =-1000xÛ`+80000x
         따라서 직사각형 ABCD의 둘레의 길이의 최댓값은 20이다.                                       =-1000(x-40)Û`+1600000
                                                                   답 20
                                                                           	따라서 예약자가 40명일 때 총 판매 금액의 최댓값은 
                                                                             1600000원이다.
         0535 오른쪽 그림과 같이 우리                              담장
                                                                           Ú, Û에서 총 판매 금액이 최대가 되려면 예약자 수는 40명이어
         의 세로의 길이를 x`m라 하면 
                                            x`m                            야 한다.                                             답 40명
         전체 우리의 가로의 길이는 
         (120-3x)`m이다.                               (120-3x) m
         이때 x>0, 120-3x>0이므로 0<x<40                                        0539 액자의 가로와 세로의 길이를 각각 x`cm, y`cm라 하면
         전체 우리의 넓이를 y`mÛ` 라 하면                                             액자의 둘레의 길이가 216`cm이므로
         y=x(120-3x)=-3xÛ`+120x                                          2(x+y)=216   ∴ y=108-x
          =-3(x-20)Û`+1200                                                 이때 사진의 가로의 길이는 (x-6) cm, 세로의 길이는
         이때 0<x<40이므로 x=20일 때 최댓값 1200을 갖는다.                               y-12=108-x-12=96-x`(cm)이고
         따라서 전체 우리의 최대 넓이는 1200`mÛ`이다.                       답 1200`mÛ`   x-6>0, 96-x>0   ∴ 6<x<96
056 정답과 풀이
         0553 2xÛ`-8x+yÛ`+2y+6=2(x-2)Û`+(y+1)Û`-3                                                                                                
         이때 x, y가 실수이므로                                                              ∴ M+m=-23
         (x-2)Û`¾0, (y+1)Û`¾0   ∴ 2xÛ`-8x+yÛ`+2y+6¾-3                                                                                            
         따라서 주어진 식의 최솟값은 -3이다.                                           답②                                                            답 -23
058 정답과 풀이
 b=aÛ`-3a+2
xÛ`-3yÛ`=xÛ`-3(5-2x)=xÛ`+6x-15 ∴ a+b+3=a+(aÛ`-3a+2)+3=(a-1)Û`+4
                                                                 
                                                                     0560 f(x)=xÛ`-2|x|+k라 하면
                                                          답 -24
                                                                     Ú -2Éx<0일 때,
          단계                        채점요소                    배점         f(x)=xÛ`+2x+k=(x+1)Û`+k-1
               y를 x에 대한 식으로 나타내고 x의 값의 범위 구하기              40 %     Û 0ÉxÉ3일 때,
               xÛ`-3yÛ`을 x에 대한 이차식으로 나타내기                  40 %
                                                                       f(x)=xÛ`-2x+k=(x-1)Û`+k-1
               xÛ`-3yÛ`의 최솟값 구하기                           20 %
                                                                     Ú, Û에서 -2ÉxÉ3일 때,                             y            y=f(x)
         ∴ S+h=:ª2°:+;2%;=15                                           의 6개이다.
                                                                     Û |a-b|=1일 때
                                                                 
                                                                       순서쌍 (a, b)는
                                                            답 15
                                                                       (1, 2), (2, 3), (3, 4), (4, 5), (5, 6),
          단계                        채점요소                    배점
                                                                       (6, 5), (5, 4), (4, 3), (3, 2), (2, 1)
               단면의 넓이에 대한 식 세우기                            40 %
                                                                       의 10개이다.
               x의 값의 범위 구하기                                30 %
                                                                     Ú, Û에서 순서쌍 (a, b)는 모두 16개이므로 구하는 확률은 
               S, h의 값 구하기                                 20 %
                                                                     16
               S+h의 값 구하기                                  10 %        =;9$;                                                   답 ;9$;
                                                                     36
           07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f(x)를 인수분해하면
                            여러 가지 방정식                                          -1       1       1   -1      -7      -6
                                                                                            -1          0       1       6
                                                                                   2    1       0   -1      -6          0
                교과서 문제 정 복 하 기       /   /    /
                                                                 본문 81쪽, 83쪽                    2       4       6
                                                                                        1       2       3       0
         0562 xÜ`-27=0의 좌변을 인수분해하면                                             f(x)=(x+1)(x-2)(xÛ`+2x+3)
         (x-3)(xÛ`+3x+9)=0                                                     즉, 주어진 방정식은
                     -3Ñ3'3 i                                                  (x+1)(x-2)(xÛ`+2x+3)=0
         ∴ x=3 또는 x=
                       2
                                                                               ∴ x=-1 또는 x=2 또는 x=-1Ñ'2i
                                                     -3Ñ3'3 i
                                         답 x=3 또는 x=                                                        답 x=-1 또는 x=2 또는 x=-1Ñ'2i
                                                       2
060 정답과 풀이
                                             답 x=Ñ;2!; 또는 x=Ñ1
                                                                 0575 xÝ`+5xÜ`+8xÛ`+5x+1=0의 양변을 xÛ`으로 나누면
                                                                             5  1
                                                                 xÛ`+5x+8+     + =0
                                                                             x xÛ`
         0571 xÛ`-2x=t로 놓으면 주어진 방정식은                                  1
         tÛ`-5t-24=0, (t+3)(t-8)=0                               {xÛ`+    +2}+5{x+;[!;}+6=0
                                                                     xÛ`
                                                                 {x+;[!;}Û +5{x+;[!;}+6=0
         ∴ t=-3 또는 t=8                                                    `
         Ú t=-3, 즉 xÛ`-2x=-3일 때
            xÛ`-2x+3=0   ∴ x=1Ñ'2i                               x+;[!;=t로 놓으면
         Û t=8, 즉 xÛ`-2x=8일 때                                    tÛ`+5t+6=0, (t+3)(t+2)=0  
            xÛ`-2x-8=0, (x+2)(x-4)=0                             ∴ t=-3 또는 t=-2
            ∴ x=-2 또는 x=4
                                                                 Ú t=-3, 즉 x+;[!;=-3일 때
         Ú, Û에서 x=-2 또는 x=4 또는 x=1Ñ'2i
                                                                                         -3Ñ'5
                               답 x=-2 또는 x=4 또는 x=1Ñ'2i              xÛ`+3x+1=0   ∴ x=
                                                                                           2
                                                                 Û t=-2, 즉 x+;[!;=-2일 때
         0572 xÛ`=t로 놓으면 주어진 방정식은
                                                                     xÛ`+2x+1=0, (x+1)Û`=0   ∴ x=-1 (중근)
         tÛ`-5t+4=0, (t-1)(t-4)=0
                                                                                              -3Ñ'5
         ∴ t=1 또는 t=4                                            Ú, Û에서 x=-1 (중근) 또는 x=
                                                                                                2
         따라서 xÛ`=1 또는 xÛ`=4이므로                                                                               -3Ñ'5
                                                                                      답 x=-1`(중근) 또는 x=
         x=Ñ1 또는 x=Ñ2                        답 x=Ñ1 또는 x=Ñ2                                                   2
         ∴ ab=-52                                       답 -52
                                                                  xÛ`+(x+2)Û`=20, 2xÛ`+4x-16=0
                                                                  xÛ`+2x-8=0, (x+4)(x-2)=0
                                                                  ∴ x=-4 또는 x=2
         0583 주어진 삼차방정식의 계수가 실수이므로 -2i 가 근이면
         2i 도 근이다.                                                ㉠에서 x=-4일 때 y=-2, x=2일 때 y=4
                                                                  따라서 구하는 해는
         나머지 한 근을 a라 하면 삼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x=-4          x=2                     x=-4          x=2
         a+(-2i)+2i=-1   ∴ a=-1                                   [          또는 [                     답[          또는 [
                                                                      y=-2          y=4                     y=-2          y=4
         따라서 주어진 방정식의 세 근이 -1, -2i, 2i이므로 삼차방정
         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1)_(-2i)+(-2i)_2i+2i_(-1)=a   ∴ a=4                    0587 x-3y=0에서 x=3y                                    yy ㉠
         (-1)_(-2i)_2i=-b   ∴ b=4                                 ㉠을 xÛ`+yÛ`=40에 대입하면
         ∴ a-b=0                                           답0    (3y)Û`+yÛ`=40, 10yÛ`=40
                                                                  yÛ`=4   ∴ y=Ñ2
         0584 xÜ`=1에서 xÜ`-1=0                                     ㉠에서 y=2일 때 x=6, y=-2일 때 x=-6
         (x-1)(xÛ`+x+1)=0                                         따라서 구하는 해는
         ⑴ x는 xÛ`+x+1=0의 근이므로                                         x=6          x=-6                     x=6          x=-6
                                                                  [         또는 [                      답[         또는 [
             xÛ`+x+1=0                                                y=2          y=-2                     y=2          y=-2
062 정답과 풀이
                   -3      6 -9
               1   -2      3      0                  0599 (x-1)(x-3)(x+5)(x+7)+63=0에서
                                                     {(x-1)(x+5)}{(x-3)(x+7)}+63=0
         f(x)=(x-1)(x+3)(xÛ`-2x+3)
                                                     (xÛ`+4x-5)(xÛ`+4x-21)+63=0
         즉, 주어진 방정식은 (x-1)(x+3)(xÛ`-2x+3)=0
                                                     xÛ`+4x=t로 놓으면 주어진 방정식은
         ∴ x=1 또는 x=-3 또는 x=1Ñ'2 i
                                                     (t-5)(t-21)+63=0, tÛ`-26t+168=0
         따라서 모든 실근의 합은 1+(-3)=-2             답 -2
                                                     (t-12)(t-14)=0   ∴ t=12 또는 t=14
                                                     Ú t=12, 즉 xÛ`+4x=12일 때
         0596 f(x)=xÝ`-3xÜ`+2xÛ`+2x-4로 놓으면
                                                     	xÛ`+4x-12=0, (x+6)(x-2)=0
         f(-1)=0, f(2)=0이므로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f(x)를 인수
                                                       ∴ x=-6 또는 x=2
         분해하면
                                                     Û t=14, 즉 xÛ`+4x=14일 때
         -1    1   -3      2      2   -4
                                                     	xÛ`+4x-14=0   ∴ x=-2Ñ3'2
                   -1      4 -6           4
                                                     Ú, Û에서 주어진 방정식의 양수인 근은 2, -2+3'2이므로
           2   1   -4      6 -4           0
                                                     구하는 합은 2+(-2+3'2)=3'2             답 3'2
                     2   -4       4
               1   -2      2      0                  0600 x(x+1)(x+2)(x+3)-3=0에서
         f(x)=(x+1)(x-2)(xÛ`-2x+2)                   {x(x+3)}{(x+1)(x+2)}-3=0
         즉, 주어진 방정식은 (x+1)(x-2)(xÛ`-2x+2)=0          (xÛ`+3x)(xÛ`+3x+2)-3=0
         이때 두 허근 a, b는 이차방정식 xÛ`-2x+2=0의 두 근이므로      xÛ`+3x=t로 놓으면 주어진 방정식은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t(t+2)-3=0, tÛ`+2t-3=0
         a+b=2, ab=2                                 (t+3)(t-1)=0   ∴ t=-3 또는 t=1
         ∴ aÛ`+bÛ`=(a+b)Û`-2ab=2Û`-2_2=0      답0    Ú t=-3,
                                                           즉 xÛ`+3x=-3일 때
                                                       xÛ`+3x+3=0의 판별식을 DÁ이라 하면
         0597 xÛ`+4x=t로 놓으면 주어진 방정식은                   DÁ=3Û`-4_1_3=-3<0
         tÛ`-3t-10=0, (t+2)(t-5)=0                     이므로 이 이차방정식은 서로 다른 두 허근을 갖는다.
         ∴ t=-2 또는 t=5                               Û t=1, 즉 xÛ`+3x=1일 때
         Ú t=-2, 즉 xÛ`+4x=-2일 때                        xÛ`+3x-1=0의 판별식을 Dª라 하면
           xÛ`+4x+2=0                                  Dª=3Û`-4_1_(-1)=13>0
           ∴ x=-2Ñ'2                                   이므로 이 이차방정식은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갖는다.
064 정답과 풀이
        두 근이 2, 3이므로
        f(2)=8+4a+14b-12b=0, f(3)=27+9a+21b-12b=0                            0613 f(x)=xÜ`-4xÛ`+(k+4)x-2k로 놓으면
        즉, 2a+b=-4, a+b=-3                                                   f(2)=0이므로 조립제법을 이용                       2       1   -4   k+4   -2k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a=-1, b=-2                                              하여 f(x)를 인수분해하면                                       2   -4        2k
        f(x)=xÜ`-xÛ`-14x+24이므           2   1    -1      -14          24    f(x)=(x-2)(xÛ`-2x+k)                             1   -2    k        0
        로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f(x)를                            2       2       -24    이때 방정식 f(x)=0의 근이 모두
        인수분해하면                               1        1   -12           0    실수가 되려면 이차방정식 xÛ`-2x+k=0이 실근을 가져야 하므
066 정답과 풀이
                                   =6                            답①
                                                                        abc=2_(-3)_(-1)=6                              답③
         0617 삼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0621 삼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a+b+c=-3, ab+bc+ca=4, abc=9                                    a+b+c=0, ab+bc+ca=2, abc=-1
         ∴ (1-a)(1-b)(1-c)
                                                                      이때 a+b=-c, b+c=-a, c+a=-b이므로
            =1-(a+b+c)+(ab+bc+ca)-abc                                   (a+b)+(b+c)+(c+a)=(-c)+(-a)+(-b)
            =1-(-3)+4-9=-1                                     답 -1                             =-(a+b+c)=0
        (a+1)+(b+1)+(c+1)=a+b+c+3=-b에서
        4+3=-b   ∴ b=-7
                                                                 0627 계수가 유리수이므로 1-'5가 근이면 1+'5도 근이다.
        (a+1)(b+1)+(b+1)(c+1)+(c+1)(a+1)                         -1+(1-'5)+(1+'5)=1
        =ab+bc+ca+2(a+b+c)+3=c에서                                 (-1)(1-'5)+(1-'5)(1+'5)+(1+'5)(-1)=-6
        -1+2_4+3=c   ∴ c=10                                      (-1)(1-'5)(1+'5)=4
        (a+1)(b+1)(c+1)                                          따라서 -1, 1-'5, 1+'5를 세 근으로 하고 xÜ`의 계수가 1인
        =abc+(ab+bc+ca)+(a+b+c)+1=-12에서                          삼차방정식은 xÜ`-xÛ`-6x-4=0이므로
        -a+(-1)+4+1=-12   ∴ a=16                                 f(x)=xÜ`-xÛ`-6x-4
        ∴ a+b+c=16+(-7)+10=19                            답 19   ∴ f(2)=8-4-12-4=-12                    답 -12
        0623 f(1)=f(2)=f(4)=-1에서
                                                                 0628 밑면의 반지름의 길이를 x`m 늘였다고 하면 원래의 물
        f(1)+1=f(2)+1=f(4)+1=0이므로 삼차방정식 
                                                                 탱크의 부피와 새로운 물탱크의 부피가 같으므로
        f(x)+1=0의 세 근이 1, 2, 4이다.
                                                                 p_4Û`_4=p(4+x)Û`(4-x)
        이때 1, 2, 4를 세 근으로 하고 xÜ`의 계수가 1인 삼차방정식은
                                                                 64=-xÜ`-4xÛ`+16x+64, xÜ`+4xÛ`-16x=0
        xÜ`-(1+2+4)xÛ`+(1_2+2_4+4_1)x-1_2_4=0
                                                                 x(xÛ`+4x-16)=0
        ∴ xÜ`-7xÛ`+14x-8=0
                                                                 ∴ x=0 또는 x=-2Ñ2'5
        즉, f(x)+1=xÜ`-7xÛ`+14x-8이므로
                                                                 그런데 0<x<4이어야 하므로 x=-2+2'5
        f(x)=xÜ`-7xÛ`+14x-9
                                                                 따라서 새로운 물탱크의 밑면의 반지름의 길이는
        따라서 삼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방정식 
                                                                 4+x=4+(-2+2'5)=2+2'5 (m)                 답②
        f(x)=0의 모든 근의 곱은 9이다.                             답9
        0624 계수가 유리수이므로 1+'2가 근이면 1-'2도 근이다.                     0629 구멍을 파낸 후 남은 부분의 부피가 26`mÜ`이므로
        나머지 한 근을 a라 하면 삼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x
                                                                 xÜ`-1_1_     =26
                                                                            3
        (1+'2 )+(1-'2)+a=-a에서 2+a=-a                   yy ㉠
                                                                 3xÜ`-x-78=0, (x-3)(3xÛ`+9x+26)=0
        (1+'2 )(1-'2)+(1-'2)a+a(1+'2)=b에서
                                                                 이때 x>1인 실수이어야 하므로 x=3                    답④
        -1+2a=b                                        yy ㉡
        (1+'2 )(1-'2)a=3에서 -a=3   ∴ a=-3
        a=-3을 ㉠, ㉡에 각각 대입하면 a=1, b=-7                            0630 정육면체의 한 모서리의 길이를 x라 하면
        ∴ ab=-7                                          답⑤     V=5xÜ`, S=20xÛ`이므로 V+S=40에서
                                                                 5xÜ`+20xÛ`=40
068 정답과 풀이
                    xy+x+y=-5              x+y+xy=-5
        0639 [                      에서 [
                    xÛ`+xy+yÛ`=7           (x+y)ÛÛ`-xy=7                           x+y=a                                  yy ㉠
                                                                        0641 [
        x+y=u, xy=v로 놓으면                                                           xÛ`+yÛ`=18                               yy ㉡
            u+v=-5                                            yy ㉠   ㉠에서 y=-x+a를 ㉡에 대입하면
        [
            uÛ`-v=7                                            yy ㉡    xÛ`+(-x+a)Û`=18, 2xÛ`-2ax+aÛ`-18=0
        ㉠에서 v=-u-5                                             yy ㉢    주어진 연립방정식이 오직 한 쌍의 해를 가지려면 위의 이차방정
        ㉢을 ㉡에 대입하면                                                      식이 중근을 가져야 하므로 판별식을 D라 하면
        uÛ`-(-u-5)=7, uÛ`+u-2=0                                         D
                                                                          =aÛ`-2(aÛ`-18)=0
        (u+2)(u-1)=0   ∴ u=-2 또는 u=1                                    4
                                                                        aÛ`=36   ∴ a=Ñ6
        ㉢에서 u=-2일 때 v=-3, u=1일 때 v=-6
        Ú u=-2, v=-3, 즉 x+y=-2, xy=-3일 때                                따라서 양수 a의 값은 6이다.                                     답6
070 정답과 풀이
                                                                           4k+6=0   ∴ k=-;2#;
         주어진 연립방정식의 실근이 존재하지 않으려면 위의 이차방정식
                                                                       Ú, Û에서 k=-;2#;                                 답①
         의 실근이 존재하지 않아야 하므로 판별식을 D라 하면
          D
            =(-1)Û`-2k<0
          4
                                                                       0647 원에 내접하는 직사각형의 가로, 세
         1-2k<0   ∴ k>;2!;
                                                                       로의 길이를 각각 x, y라 하면
                                                                                                             
                                                                          2(x+y)=28                                    Z
         따라서 정수 k의 최솟값은 1이다.                                           [                  ,
                                                                           xÛ`+yÛ`=10Û`
                                                                                                                  Y
                                                                            x+y=14               yy ㉠
                                                                       즉[               
                                                               답1            xÛ`+yÛ`=100          yy ㉡
             단계                    채점요소                       배점       ㉠에서 y=14-x                                    yy ㉢
                 x에 대한 이차방정식 세우기                            30 %      ㉢을 ㉡에 대입하면
                 k의 값의 범위 구하기                               50 %      xÛ`+(14-x)Û`=100, 2xÛ`-28x+96=0
                 정수 k의 최솟값 구하기                              20 %      xÛ`-14x+48=0, (x-6)(x-8)=0  
                                                                       ∴ x=6 또는 x=8
                                                                       이것을 ㉢에 대입하면
         0644 두 이차방정식의 공통인 근이 a이므로                                     x=6, y=8 또는 x=8, y=6
           `aÛ`+ka+3=0                                   yy ㉠      따라서 직사각형의 긴 변의 길이는 8이다.
         [
                                                                                                                       답⑤
            aÛ`+3a+k=0                                     yy ㉡
         ㉠-㉡을 하면 (k-3)a+3-k=0
         (k-3)(a-1)=0   ∴ k=3 또는 a=1                                   0648 처음 두 자리 자연수의 십의 자리의 숫자를 x, 일의 자리
         Ú k=3일
              때, 두 이차방정식은 일치하므로 서로 다른 두 이차방                          의 숫자를 y (x>y)라 하면
                                                                        `xÛ`+yÛ`=73                                yy ㉠
              정식이라는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
                                                                           (10y+x)+(10x+y)=121                       yy ㉡
         Û a=1일
              때, 이것을 ㉠에 대입하면
             1+k+3=0   ∴ k=-4                                          ㉡에서
                                                                       11(x+y)=121, x+y=11  
         Ú, Û에서 k+a=-4+1=-3                                  답②
                                                                       ∴ y=11-x                                      yy ㉢
                                                                       ㉢을 ㉠에 대입하면 xÛ`+(11-x)Û`=73
         0645 두 이차방정식의 공통인 근을 a라 하면                                    2xÛ`-22x+48=0, xÛ`-11x+24=0
          `aÛ`+(m+2)a-4=0                                yy ㉠       (x-3)(x-8)=0   ∴ x=3 또는 x=8
         [
             aÛ`+(m+4)a-6=0                                yy ㉡       이것을 ㉢에 대입하면
         ㉠-㉡을 하면 -2a+2=0   ∴ a=1                                       x=3, y=8 또는 x=8, y=3
         a=1을 ㉠에 대입하면                                                  그런데 x>y이므로 x=8, y=3
         1+m+2-4=0   ∴ m=1                       답 m=1, 공통인 근 : 1     따라서 처음 수는 83이다.                                답 83
072 정답과 풀이
         0657 xÜ`=1에서
                                                                             0661 이차방정식 xÛ`-(m+2)x+2m+2=0의 두 근을 a,
         xÜ`-1=0, (x-1)(xÛ`+x+1)=0
                                                                             b라 하면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한 허근이 x이므로 xÜ`=1, xÛ`+x+1=0
                                                                             a+b=m+2                                         yy ㉠
          f(n)=x2n+1이므로
                                                                             ab=2m+2                                         yy ㉡
          f(1)=xÜ`=1, f(2)=xÞ`=xÜ`_xÛ`=xÛ`,
                                                                             ㉡-㉠_2를 하면
          f(3)=xà`=(xÜ`)Û`_x=x, f(4)=xá`=(xÜ`)Ü`=1,
                                                                             ab-2(a+b)=-2, a(b-2)-2(b-2)-4=-2
          f(5)=xÚ`Ú`=(xÜ`)Ü`_xÛ`=xÛ`, f(6)=xÚ`Ü`=(xÜ`)Ý`_x=x,
                                                                             ∴ (a-2)(b-2)=2
          f(7)=xÚ`Þ`=(xÜ`)Þ`=1, f(8)=xÚ`à`=(xÜ`)Þ`_xÛ`=xÛ`,
                                                                             이때 a, b가 양의 정수이므로
          f(9)=xÚ`á`=(xÜ`)ß`_x=x, f(10)=xÛ`Ú`=(xÜ`)à`=1
         ∴ f(1)+f(2)+f(3)+`y`+f(10)
                                                                             a-2         1         2
                                                                               b-2         2         1
            =(1+xÛ`+x)+(1+xÛ`+x)+(1+xÛ`+x)+1
            =1                                                      답1           a=3          a=4
                                                                             ∴[         또는 [
                                                                                  b=4          b=3
         0658 2xy-4x-3y-4=0에서                                                ㉠에서 7=m+2   ∴ m=5                                         답5
         2x(y-2)-3(y-2)-10=0
         ∴ (2x-3)(y-2)=10                                                    0662 9xÛ`+6xy+2yÛ`-4y+4=0에서
         이때 x, y는 자연수이므로                                                     (9xÛ`+6xy+yÛ`)+(yÛ`-4y+4)=0
              2x-3           1          2          5            10           (3x+y)Û`+(y-2)Û`=0
               y-2           10         5          2            1            이때 x, y가 실수이므로
                                                                             3x+y=0, y-2=0
              x=2           x=4
         ∴[          또는 [
              y=12          y=4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x=-;3@;, y=2
         따라서 x+y의 최댓값은 14이다.                                        답③
                                                                             ∴ x-y=-;3@;-2=-;3*;                                   답①
         (x+2)y+(x+2)(x-1)=3                                                 D
                                                                               =(3y)Û`-9(2yÛ`-4y+4)¾0
                                                                             4
         ∴ (x+2)(x+y-1)=3
                                                                             -9yÛ`+36y-36¾0, yÛ`-4y+4É0, (y-2)Û`É0
         이때 x, y는 정수이므로
                                                                             이때 y는 실수이므로
               x+2          -3         -1          1            3            y-2=0   ∴ y=2
              x+y-1         -1         -3          3            1            y=2를 ㉠에 대입하면
              x=-5           x=-3           x=-1          x=1                9xÛ`+12x+4=0, (3x+2)Û`=0   ∴ x=-;3@;
         ∴[           또는 [          또는 [           또는 [
              y=5            y=1            y=5           y=1
         따라서 xy의 최댓값은 1이다.                                          답1
                                                                             ∴ x-y=-;3*;
                                                                      0668 xÝ`-7xÛ`+9=0에서
         0665 f(x)=xÜ`+2xÛ`+5x+4로 놓으면 `f(-1)=0이므로
                                                                      (xÝ`-6xÛ`+9)-xÛ`=0, (xÛ`-3)Û`-xÛ`=0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f(x)를 인                -1   1    2     5     4
                                                                      (xÛ`+x-3)(xÛ`-x-3)=0
         수분해하면                                       -1   -1    -4
                                                                      xÛ`+x-3=0 또는 xÛ`-x-3=0
         f(x)=(x+1)(xÛ`+x+4)                     1    1     4     0
                                                                              -1Ñ'13       1Ñ'13
         즉, 주어진 방정식은                                                  ∴ x=            또는 x=
                                                                                2             2
         (x+1)(xÛ`+x+4)=0                                             따라서 모든 양수인 근의 합은
         이때 주어진 방정식의 허근은 xÛ`+x+4=0의 근이므로 구하는                          -1+'13 1+'13 2'13
                                                                             +      =      ='13            답①
         합은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1이다.                                 2       2      2
                                                                답②
                                                                      0669 xÝ`+2xÜ`+3xÛ`+2x+1=0의 양변을 xÛ`으로 나누면
                                                                                       1
         0666 f(x)=xÝ`+2xÜ`+xÛ`-2x-2로 놓으면 f(1)=0,                     xÛ`+2x+3+;[@;+       =0
                                                                                       xÛ`
         f(-1)=0이므로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f(x)를 인수분해하면
                                                                      {xÛ`+   +2}+2{x+;[!;}+1=0
                                                                           1
             1   1    2     1   -2   -2                                   xÛ`
                      1     3    4     2
                                                                      {x+;[!;}Û`+2{x+;[!;}+1=0
         -1      1    3     4    2     0
                     -1    -2   -2                                    x+;[!;=t로 놓으면
                 1    2     2    0                                    tÛ`+2t+1=0, (t+1)Û`=0   ∴ t=-1
         f(x)=(x-1)(x+1)(xÛ`+2x+2)                                    즉, x+;[!;=-1이므로
         즉, 주어진 방정식은
         (x-1)(x+1)(xÛ`+2x+2)=0                                       a+;!;=-1                             답③
074 정답과 풀이
                   -2       4   -8                         	        4+6+3a=0   ∴ a=-:Á3¼:
               1   -2       4     0
                                                             Û 방정식 xÛ`+3x+3a=0이 중근을 갖는 경우
         f(x)=(x-1)(x+2)(xÛ`-2x+4)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즉, (x-1)(x+2)(xÛ`-2x+4)=0에서 주어진 사차방정식의
                                                           	        D=9-12a=0   ∴ a=;4#;
         나머지 두 근 a, b는 이차방정식 xÛ`-2x+4=0의 두 근이므로
                                                             Ú, Û에서 중근을 갖도록 하는 실수 a는 2개이다.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답⑤
         a+b=2, ab=4
         ∴ |aÝ`+bÝ`|=|(aÛ`+bÛ`)Û`-2aÛ`bÛ`|
                     =|{(a+b)Û`-2ab}Û`-2(ab)Û`|           0674 삼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2Û`-2_4)Û`-2_4Û`|                  a+b+c=-2, abc=1
                     =|-16|=16                     답 16   이때 a+b+c=-2에서
                                                           a+b+2=-c, b+c+2=-a, c+a+2=-b
                                                           ∴ (a+b+2)(b+c+2)(c+a+2)
                                                             
         0672 xÛ`+x-6=0에서 (x+3)(x-2)=0                       =(-c)_(-a)_(-b)
         ∴ x=-3 또는 x=2                                       =-abc
         f(x)=xÜ`-(a-4)xÛ`-4(a-1)x-4a로 놓으면 f(-2)=0           =-1                                                       답③
076 정답과 풀이
         [
             x=-1
                    또는 [
                           x=1
                                  또는 [
                                         x=0
                                               또는 [
                                                       x=1                   ;2!;xy=;2!;(x+y+8)_1
             y=1           y=-1          y=1           y=0
                                                                             ∴ xy=x+y+8                                        …… ㉡
         따라서 네 점 (-1, 1), (1, -1),                            Z
                                                                             x+y=u, xy=v로 놓으면
         (0, 1), (1, 0)을 꼭짓점으로 하는 사                            
                                                                             ㉠에서 xÛ`+yÛ`=(x+y)Û`-2xy=64
         각형은 오른쪽 그림과 같으므로 구하는
                                                             0        Y   ∴ uÛ`-2v=64                                       yy ㉢
         넓이는
                                                                             ㉡에서 v=u+8                                         yy ㉣
         ;2!;_2_2-;2!;_1_1=;2#;                            
                                                                             ㉣을 ㉢에 대입하면
                                                                    답 ;2#;   uÛ`-2(u+8)=64, uÛ`-2u-80=0
                                                                             (u+8)(u-10)=0   ∴ u=10 (∵ u>0)
                                                                             따라서 u=10, v=18, 즉 x+y=10, xy=18일 때, x, y는 이
         xÛ`+(k-2x)Û`=5, 5xÛ`-4kx+kÛ`-5=0
         주어진 연립방정식이 오직 한 쌍의 해를 가지려면 위의 이차방정
                                                                             0686 xÜ`=-1에서
         식이 중근을 가져야 하므로 판별식을 D라 하면
                                                                             xÜ`+1=0, (x+1)(xÛ`-x+1)=0
          D
          4
            =(-2k)Û`-5(kÛ`-5)=0                                              한 허근이 x이므로
         -kÛ`+25=0, kÛ`=25   ∴ k=Ñ5                                          xÜ`=-1, xÛ`-x+1=0
             aÛ`+aa+b=0                                         yy ㉠
         [
             aÛ`+ba+a=0                                           yy ㉡
         ㉠-㉡을 하면
                                                                             0687 xÜ`=1에서 xÜ`-1=0, (x-1)(xÛ`+x+1)=0
                                                                             한 허근이 x이므로 xÜ`=1, xÛ`+x+1=0
         (a-b)a+b-a=0, (a-b)(a-1)=0  
                                                                             ㄱ. xÚ`â`=(xÜ`)Ü`_x=x
         ∴ a=b 또는 a=1
                                                                             ㄴ. x
                                                                                 Õ도 xÛ`+x+1=0의 허근이므로 xÕ Û`+xÕ+1=0
         이때 a+b이므로 a=1
                                                                                      xÛ`   xÕ       -1-x -1-xÕ Û`
         ㉠의 나머지 한 근을 p, ㉡의 나머지 한 근을 q라 하면 이차방정                                   ∴        +      =      +
                                                                                     1+x 1+xÕ Û`      1+x   1+xÕ Û`
         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1+(-1)=-2
         1_p=b, 1_q=a   ∴ b=p, a=q                                           ㄷ. 1+xÛ`+xÝ`+xß`+`y`+xÛ`â`â`
         한편, a=1이므로 ㉠에 대입하면 1+a+b=0                                              =1+xÛ`+xÜ`_x+(xÜ`)Û`+(xÜ`)Û`_xÛ`+(xÜ`)Ü`_x
         p+q+1=0   ∴ p+q=-1                                                                                +`y`+(xÜ`)ß`ß`+(xÜ`)ß`ß`_xÛ`
         또한, pq=-6이므로                                                            =(1+xÛ`+x)+(1+xÛ`+x)+`y`+1+xÛ`
         aÛ`+bÛ`=pÛ`+qÛ`=(p+q)Û`-2pq                                            =1+xÛ`=-x
                 =(-1)Û`-2_(-6)=13                                 답④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답⑤
         0685 직각삼각형의 빗변의 길이는 외접원의 지름의 길이와 같                                  0688 이차방정식 xÛ`-mx+m+5=0의 두 근을 a, b라 하
         으므로 빗변의 길이는 8이다.                                                    면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오른쪽 그림과 같이 나머지 두 변                                                  a+b=m                                             yy ㉠
                                                           8
         의 길이를 각각 x, y라 하면                x                                  ab=m+5                                            yy ㉡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하여                            1                          ㉡-㉠을 하면 ab-(a+b)=5에서
         xÛ`+yÛ`=8Û`            yy ㉠                      y                 a(b-1)-(b-1)-1=5   ∴ (a-1)(b-1)=6
             a-1            -3        -2
                                                             Ú 방정식 xÛ`+ax-a=0이 x=-1을 근으로 갖는 경우
             b-1            -2        -3                         1-a-a=0   ∴ a=;2!;
                 a=-2             a=-1                                                                          
         ∴[               또는 [
                 b=-1             b=-2                       Û 방정식 xÛ`+ax-a=0이 중근을 갖는 경우
         ㉠에서 m=a+b=-3                             답 -3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D=aÛ`+4a=0, a(a+4)=0
         0689 f(x)=xÝ`-15xÛ`+ax+b로 놓으면 주어진 방정식의                  ∴ a=0 또는 a=-4
         두 근이 -1, 2이므로                                                                                          
         f(-1)=1-15-a+b=0, f(2)=16-60+2a+b=0                 Ú, Û에서 모든 실수 a의 값의 합은
                                                             ;2!;+0+(-4)=-;2&;
                                                       
         즉, a-b=-14, 2a+b=44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a=10, b=24
                                                                                                          답 -;2&;
          단계                           채점요소         배점
                                                                               =;3!;(aÛ`+bÛ`+cÛ`)
                  두 근이 -1, 2임을 이용하여 식 세우기
                                                                               =;3!;{(a+b+c)Û`-2(ab+bc+ca)}
                                                   30 %
                 a, b의 값 구하기                       20 %
                 a, b의 값 구하기                       40 %                                                        
                  ;ºÄ;의 값 구하기
                                                   10 %     			               =;3!;{(-1)Û`-2_(-5)}
                                                             			               =:Á3Á:
         0690 f(x)=xÜ`+(a+1)xÛ`-a로 놓으면 f(-1)=0이므로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f(x)를 인수분해하면
                                                                                                            답 :Á3Á:
         -1      1   a+1          0   -a
                     `-1`        -a    a                      단계                        채점요소                배점
                 1    a          -a    0                           삼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 이용하기                   30 %
078 정답과 풀이
           08
                                                                              0705 3(x+4)>2(1-x)에서 3x+12>2-2x
                           연립일차부등식                                            5x>-10   ∴ x>-2  yy ㉠
                                                                              0.1xÉ-0.3의 양변에 10을 곱하면 xÉ-3                     yy ㉡
                                                                              ㉠, ㉡의 공통부분이 없으므로                    ㉡                    ㉠
                교과서 문제 정 복 하 기      /   /   /
                                                                본문 99쪽        주어진 연립부등식의 해는 없다.                    -3          -2          x
답 해는 없다.
        -6Éx<7
                                                   -6            7        x   0709 |6-x|<3에서 -3<6-x<3
                                                       답 -6Éx<7
                                                                              -9<-x<-3   ∴ 3<x<9                         답 3<x<9
        ㉠, ㉡의 공통부분을 구하면                            ㉠
                                                            ㉡
        x<3                                                                   0711 Ú x¾1일 때
                                                       3         9        x
                                                                                2(x-1)<x, 2x-2<x   ∴ x<2
                                                                답 x<3
                                                                                그런데 x¾1이므로 1Éx<2
                                                                              Û x<1일 때
        0704 -x+1¾-1에서 xÉ2                                     yy ㉠
        4x-7¾3-x에서 x¾2                                         yy ㉡            -2(x-1)<x, -2x+2<x   ∴ x>;3@;
        ㉠, ㉡의 공통부분을 구하면                                           ㉡
                                                       ㉠                        그런데 x<1이므로 ;3@;<x<1
        x=2                                                               x
                                                            2
                                                                답 x=2         Ú, Û에서 ;3@;<x<2                            답 ;3@;<x<2
080 정답과 풀이
             x+1+x-5É8   ∴ xÉ6
                                                                                     8x-5<2x+7                        yy ㉠
                                                                            0717 [
             그런데 x¾5이므로 5ÉxÉ6
         ⑷           ⑴        ⑵       ⑶
                                                                                     2x+7É-(3x+8)                       yy ㉡
                                                                            ㉠에서 x<2
                -2       -1       5       6   x
                                                                            ㉡에서 2x+7É-3x-8   ∴ xÉ-3
         ⑸ ⑴, ⑵, ⑶에서 -2ÉxÉ6
                                                                            따라서 연립부등식의 해는 xÉ-3이므             ㉡
                                                                                                                     ㉠
                       -2Éx<-1
                     답⑴                       ⑵ -1Éx<5 ⑶ 5ÉxÉ6
                                                                            로 해가 아닌 것은 ⑤이다.                                       x
                         ⑷ 풀이 참조              ⑸ -2ÉxÉ6                                                       -3           2
답⑤
                                                                                 á 0.3x-1<0.5x+;5@;                      yy ㉠
                 유형 익 히 기     /   /
                                                          본문 100~104쪽       0718 {                 
                                                                                 » 0.5x+;5@;É3+0.3x                      yy ㉡
         0713 3x+2É2(x-1)에서                                                 ㉠의 양변에 10을 곱하면
         3x+2É2x-2   ∴ xÉ-4                                                 3x-10<5x+4   ∴ x>-7
         x+1>3(x-3)+2에서                                                     ㉡의 양변에 10을 곱하면
         x+1>3x-9+2   ∴ x<4                                                 5x+4≤30+3x   ∴ xÉ13
         따라서 연립부등식의 해는                               -4        4        x   따라서 연립부등식의 해는 -7<xÉ13                ㉡
                                                                                                                              ㉠
         xÉ-4                                              답 xÉ-4          이므로
                                                                                                             -7          13       x
                                                                            a=-7, b=13
         0714 6(x-1)<x+4에서                                                  ∴ a-b=-20                                   답 -20
         6x-6<x+4   ∴ x<2
            4x-8É3x-14   ∴ xÉ-6
                                                                              x+aÉ2x-3                      yy`㉠
            따라서 연립부등식의 해는 x=-6                         -6        x
                                                                     0725 [                     
                                                                              2x-3É-(x+b)                   yy`㉡
        따라서 해가 없는 것은 ④이다.                                      답④
                                                                     ㉠에서 x¾a+3
                                                                                                      3-b
                                                                     ㉡에서 2x-3É-x-b   ∴ xÉ
        0721 2x+5<x+4에서 x<-1                                                                           3
                                                                     주어진 연립부등식의 해가 4ÉxÉ6이므로
        ;3!;(x-6)¾-2의 양변에 3을 곱하면
                                                                              3-b
                                                                     a+3=4,       =6   ∴ a=1, b=-15
        x-6¾-6   ∴ x¾0                                                         3
        따라서 주어진 연립부등식의 해를 수직                                         ∴ a-b=1-(-15)=16                       답 16
                                                  -1        0    x
        선 위에 나타내면 ②와 같다.
                                                                답②   0726 ;6%;x-;2!;É;3{;+a의 양변에 6을 곱하면
                                                                     5x-3É2x+6a   ∴ xÉ2a+1
                 x+2 2x+3                                            x+2É5(2x-b)에서
        0722        É     의 양변에 15를 곱하면
                  3    5                                                                       5b+2
                                                                     x+2É10x-5b   ∴ x¾
        5x+10É6x+9   ∴ x¾1                                                                       9
                                                                    주어진 연립부등식의 해가 x=3이므로
         3(1-x)                                                                5b+2
                ¾-x+1의 양변에 2를 곱하면                                    2a+1=3,        =3
            2                                                                    9
        3-3x¾-2x+2   ∴ xÉ1                                           따라서 a=1, b=5이므로 a+b=6                   답6
                                                                 
        따라서 연립부등식의 해는 x=1                                                   3-2x
                                                                     0727        Éa의 양변에 2를 곱하면
                                                                              2
                                                        1        x
                                                                                         3-2a
                                                                    3-2xÉ2a   ∴ x¾
                                                                                           2
                                                            답 x=1    3x+6>5x에서 x<3
082 정답과 풀이
                                                                         800É108x+360É1000   ∴ :Á2Á7¼:ÉxÉ
                                                                                                                   160
                                                                                                                    27
                                                                         이때 x는 자연수이므로 x=5
         0730 ;2!;x+1<3x-a의 양변에 2를 곱하면
                                                                         따라서 10달러짜리 지폐는 5장이다.                                 답 5장
                                    2a+2
         x+2<6x-2a   ∴ x>
                                      5
         0.2(5-2x)¾0.3x-0.4의 양변에 10을 곱하면                                 0734 섭취해야 하는 식품 B의 양을 x`g이라 하면 식품 A는
         2(5-2x)¾3x-4, 10-4x¾3x-4                                        (300-x)g 섭취해야 하므로
         ∴ xÉ2                                                           á ;1!0)0);(300-x)+ 250 x¾400                       yy ㉠
                                                                                              100
                                                                        {
                                                                               12
         주어진 연립부등식의 해가 없으려면 오                                            » 100 (300-x)+;10^0;x¾24                             yy ㉡
                                                   2     2a+2        x
         른쪽 그림과 같아야 하므로                                                                                                  200
                                                           5             ㉠에서 30000-100x+250x¾40000   ∴ x¾
          2a+2                                                                                                            3
               ¾2, 2a+2¾10  
            5                                                            ㉡에서 3600-12x+6x¾2400   ∴ xÉ200
         ∴ a¾4
                                                                         ∴ ;;;@3);;);ÉxÉ200
                                                                  
                                                                                                           200
         따라서 정수 a의 최솟값은 4이다.                                             따라서 섭취해야 하는 식품 B의 양은                  `g 이상 200`g 이하이다.
                                                                                                            3
                                                                  
                                                                                                               200
                                                                  답4
                                                                                                          답       `g 이상 200`g 이하
                                                                                                                3
          단계                       채점요소                       배점
               각 일차부등식의 해 구하기                                50 %       0735 |2x-4|<6에서 -6<2x-4<6
               a의 값의 범위 구하기                                  40 %       -2<2x<10   ∴ -1<x<5
               정수 a의 최솟값 구하기                                 10 %
                                                                         따라서 a=-1, b=5이므로 b-a=6                                 답6
                                                                         0741 2|-x+1|<x+7에서
         0737 |2x-a|>4에서 2x-a<-4 또는 2x-a>4                               Ú x<1일 때
         ∴ x<;2A;-2 또는 x>;2A;+2                                            2(-x+1)<x+7, -2x+2<x+7  
                                                                         Ú, Û, Ü에서 -;5&;<x<1
         0740 |3x-1|>2x+7에서                                              따라서 주어진 부등식을 만족시키는 정수 x는 -1, 0이므로 구
         Ú x<;3!;일 때                                                     하는 합은 -1이다.                         답 -1
Û x¾;3!;일 때 3-x-2(x+1)<9
084 정답과 풀이
            -(2x+1)+4(x-2)>x-1
            -2x-1+4x-8>x-1   ∴ x>8
                                                         0746 |x-2|Ék+2에서 |x-2|¾0이므로 주어진 부등식
                                                         의 해가 존재하려면 k+2¾0이어야 한다.
            그런데 x<-;2!;이므로 해는 없다.
                                                         ∴ k¾-2                                        답②
                                                     
         Û -;2!;Éx<2일 때                                               3
                                                         0747 |x-4|É 4 k-9에서 |x-4|¾0이므로 주어진 부등
            2x+1+4(x-2)>x-1
                                                         식의 해가 존재하지 않으려면
            2x+1+4x-8>x-1   ∴ x>;5^;                     ;4#;k-9<0   ∴ k<12
                                                     
         Ü x¾2일 때                                        0748 |3x-4|+2>a에서 |3x-4|>a-2
            2x+1-4(x-2)>x-1                              이때 |3x-4|¾0이므로 주어진 부등식의 해가 모든 실수가 되
            2x+1-4x+8>x-1   ∴ x<:Á3¼:
                                                         려면 a-2<0   ∴ a<2                              답③
이때 x는 자연수이므로 x=5
             á 2x+a<3- 2-x                                  yy ㉠
                                                                               따라서 학생 수가 5이므로 사탕의 개수는
                          2
        0751 {                                                                 4_5+12=32                                             답③
                    2-x 3x-1
             » 3- 2 < 3                                       yy ㉡            참고                    학생 x명
                                                                                                        yW
        ㉠의 양변에 2를 곱하면
                                                                                             (x-1)명
                                       4-2a                                                 모두 7개씩 받음        2개 이상 6개 미만 받음
        4x+2a<6-2+x   ∴ x<
                                         3
        ㉡의 양변에 6을 곱하면
                                                                               0754 의자의 개수를 x라 하면 학생은 (3x+5)명이므로
        18-6+3x<6x-2   ∴ x>:Á3¢:                                               4(x-4)+1É3x+5É4(x-4)+4에서
                                                                                `4(x-4)+1É3x+5                                  yy ㉠
        연립부등식을 만족시키는 정수 x가 3개                                                  [
        이려면 오른쪽 그림에서                                                               3x+5É4(x-4)+4                                  yy ㉡
                                                  4    5   6       7 8 x
              4-2a                                 :Á3¢:
                                                                   4-2a        ㉠에서 4x-16+1É3x+5   ∴ xÉ20
        7<         É8, 21<4-2aÉ24                                    3
                3                                                              ㉡에서 3x+5É4x-16+4   ∴ x¾17
        ∴ -10Éa<-:Á2¦:                                                         ∴ 17ÉxÉ20
                                                                               따라서 의자의 개수가 될 수 없는 것은 ⑤이다.                            답⑤
        따라서 실수 a의 최솟값은 -10이다.                                     답 -10
                                                                               참고                    의자 x개
                                                                                                 y
                                                                                           (x-4)개
        0752 |2x+3|<5에서                                                                   4명씩 모두 앉음     1명 이상   남는
                                                                                                       4명 이하 앉음 의자
        -5<2x+3<5, -8<2x<2  
        ∴ -4<x<1
                                                                         
                                                                               0755 승용차의 수를 x라 하면 사람은 (4x+11)명이므로
                                                                               5(x-3)+1É4x+11É5(x-3)+5에서
        |x-a|É4에서
                                                                                `5(x-3)+1É4x+11                                 yy ㉠
        -4Éx-aÉ4   ∴ -4+aÉxÉ4+a                                                [
                                                                                   4x+11É5(x-3)+5                                 yy ㉡
                                                                         
                                                                               ㉠에서 5x-15+1É4x+11   ∴ xÉ25
        연립부등식을 만족시키는 정수 x가 4개이려면 아래 그림에서
                                                                               ㉡에서 4x+11É5x-15+5   ∴ x¾21
                                                                               ∴ 21ÉxÉ25
         -4 -3 -1 0 1              x              -4 -2  0 1 x
         -4+a -2                4+a    -4+a        -3 -1 4+a                   따라서 승용차는 최소 21대이다.                                    답①
086 정답과 풀이
         4x+1É2x+7에서 xÉ3
         2x+7<5x+4에서 x>1                                             0764 ||x-2|-3|É4에서
         ∴ 1<xÉ3                                      답 1<xÉ3       -4É|x-2|-3É4, -1É|x-2|É7
                                                                     그런데 |x-2|¾0이므로 0É|x-2|É7
                                                                     -7Éx-2É7   ∴ -5ÉxÉ9
         0759 5(x-2)É2x-7에서
                                                                     따라서 주어진 부등식을 만족시키는 정수 x는
         5x-10É2x-7   ∴ xÉ1
                                                                     -5, -4, -3, y, 8, 9의 15개이다.                     답 15
         ;2!;x+1>;3A;x-1의 양변에 6을 곱하면
                                                                       2n+3
          단계                      채점요소                    배점      3É        <4, 6É2n+3<8
                                                                         2
               연립부등식의 해 구하기                              50 %
                                                                  ∴ ;2#;Én<;2%;
               M, m의 값 구하기                               30 %
               M-m의 값 구하기                                20 %    따라서 자연수 n의 값은 2이다.                                   답2
                                                                  0771 |x-a[a]|<b[b]에서
                                                                  -b[b]<x-a[a]<b[b]
        0769 합금 A의 양을 x`g이라 하면 합금 B의 양은 (300-x)g
                                                                  ∴ -b[b]+a[a]<x<b[b]+a[a]
        이므로
                                                                  주어진 부등식의 해가 -13<x<23이므로
        á  25 x+ 20 (300-x)¾63                        yy ㉠     -b[b]+a[a]=-13, b[b]+a[a]=23
           100    100
        {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a[a]=5, b[b]=18
        » 100 x+ 100 (300-x)¾100 
             30    35
                                                         yy ㉡
                                                                  a=n+a (n은 정수, 0Éa<1인 실수)라 하면
                                                             
                                                                                                 =;2%;
                                                                                              5
                                                                  a[a]=5이므로 [a]=2   ∴ a=
        ㉠의 양변에 100을 곱하면                                                                      [a]
        25x+20(300-x)¾6300   ∴ x¾60                               또한 b=m+b (m은 정수, 0Éb<1인 실수)라 하면
                                                                                                 =;2(;
        ㉡의 양변에 100을 곱하면                                                                      18
                                                                  b[b]=18이므로 [b]=4   ∴ b=
                                                                                             [b]
        30x+35(300-x)¾10000   ∴ xÉ100
        ∴ 60ÉxÉ100                                                ∴ b-a=;2(;-;2%;=2                                   답④
                                                             
        따라서 합금 A의 양은 60`g 이상 100`g 이하이다.
                                                             
                                             답 60`g 이상 100`g 이하
          단계                      채점요소                    배점
               합금 A의 양을 x`g으로 놓고 연립부등식 세우기               40 %
               연립부등식 풀기                                  40 %
               합금 A의 양의 범위 구하기                           20 %
088 정답과 풀이
                                                                      0782 xÛ`+2x+1=(x+1)Û`¾0
                 교과서 문제            정 /복 /하 /기         본문 109쪽, 111쪽   이므로 xÛ`+2x+1<0의 해는 없다.                   답 해는 없다.
                                                                      0785 2xÛ`-4x+5=2(x-1)Û`+3¾3
         0773 axÛ`+bx+c>0의 해는 y=axÛ`+bx+c의 그래프가 x                     이므로 2xÛ`-4x+5<0의 해는 없다.                  답 해는 없다.
         축보다 위쪽에 있는 부분의 x의 값의 범위이므로
         a<x<c                                        답 a<x<c
                                                                      0786 xÛ`¾2(x-1)에서 xÛ`-2x+2¾0
                                                                      xÛ`-2x+2=(x-1)Û`+1¾1
         0774 axÛ`+bx+cÉmx+n의 해는 y=axÛ`+bx+c의 그래                      이므로 xÛ`¾2(x-1)의 해는 모든 실수이다.              답 모든 실수
         프가 직선 y=mx+n과 만나거나 아래쪽에 있는 부분의 x의 값
         의 범위이므로
                                                                      0787 9xÛ`É-12x-4에서 9xÛ`+12x+4É0
         xÉb 또는 x¾d                              답 xÉb 또는 x¾d
                                                                      9xÛ`+12x+4=(3x+2)Û`¾0
8k-3¾0 ∴ k¾;8#;
         D
           =kÛ`-3kÉ0, k(k-3)É0
         4
         ∴ 0ÉkÉ3                                   답 0ÉkÉ3     0801 이차방정식 xÛ`+(k-1)x+4=0의 판별식을 D, 두 근
                                                                을 a, b라 하면
                                                                Ú D=(k-1)Û`-4_4¾0
         0796 ⑴ xÛ`-5x+6¾0에서 (x-2)(x-3)¾0
                                                                  kÛ`-2k-15¾0, (k+3)(k-5)¾0
             ∴ xÉ2 또는 x¾3
                                                                  ∴ kÉ-3 또는 k¾5
         ⑵ xÛ`+4<5x에서 xÛ`-5x+4<0
                                                                Û a+b=-(k-1)<0   ∴ k>1
             (x-1)(x-4)<0   ∴ 1<x<4
                                                                Ü ab=4>0
         ⑶      ⑴                  ⑴
                           ⑵
                                                                Ú, Û, Ü에서 공통부분을 구하면 k¾5                  답 k¾5
                 1     2       3   4   x
090 정답과 풀이
         0806 axÛ`+(b-m)x+c-n¾0에서
         axÛ`+bx+c¾mx+n
                                                                0812 xÛ`+6x-7¾0에서 (x+7)(x-1)¾0
         따라서 주어진 이차부등식의 해는 이차함수 y=axÛ`+bx+c의
                                                                ∴ xÉ-7 또는 x¾1
         그래프가 직선 y=mx+n과 만나거나 위쪽에 있는 부분의 x의
                                                                ① |x+3|É4에서 -4Éx+3É4
         값의 범위이므로 주어진 그림에서
                                                                  ∴ -7ÉxÉ1
         -2ÉxÉ2                                  답 -2ÉxÉ2
                                                                ② |x+3|¾4에서 x+3É-4 또는 x+3¾4
                                                                  ∴ xÉ-7 또는 x¾1
         0807 f(x)É0의 해는 y=f(x)의 그래프가 x축과 만나거나                  ③ |x-3|¾2에서 x-3É-2 또는 x-3¾2
         x축보다 아래쪽에 있는 부분의 x의 값의 범위이므로 주어진 그
                                                                  ∴ xÉ1 또는 x¾5
         림에서
                                                                ④ |x-3|É3에서 -3Éx-3É3
         -1ÉxÉ2                                  답 -1ÉxÉ2
                                                                  ∴ 0ÉxÉ6
                                                                ⑤ |x+2|É5에서 -5Éx+2≤5
         0808 f(x)g(x)¾0에서                                        ∴ -7ÉxÉ3
         f(x)¾0, g(x)¾0 또는 f(x)É0, g(x)É0                       따라서 xÛ`+6x-7¾0과 해가 같은 것은 ②이다.               답②
         Ú f(x)¾0, g(x)¾0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의 범위는
            aÉxÉb
         Û f(x)É0, g(x)É0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의 범위는                      0813 xÛ`-x-5≤|2x-1|에서
            cÉxÉd                                               Ú x<;2!;일 때
         Ú, Û에서 f(x)g(x)¾0의 해는
                                                                  xÛ`-x-5É-(2x-1), xÛ`+x-6É0
         aÉxÉb 또는 cÉxÉd                  답 aÉxÉb 또는 cÉxÉd
                                                                  (x+3)(x-2)É0   ∴ -3ÉxÉ2
                                                                Ú, Û에서 -3ÉxÉ4
         0810 -2xÛ`+7x+6¾2x+3에서 2xÛ`-5x-3É0
                                                                따라서 정수 x는 -3, -2, -1, 0, 1, 2, 3, 4의 8개이다.
         (2x+1)(x-3)É0   ∴ -;2!;ÉxÉ3
                                                                                                             답④
         따라서 정수 x는 0, 1, 2, 3의 4개이다.                     답4
                                                                0814 xÛ`+2|x|-3<0에서
         0811 ① xÛ`-6x+9=(x-3)Û`¾0
                                                                Ú x<0일 때
            따라서 xÛ`-6x+9>0의 해는 x+3인 모든 실수이다.
                                                                  xÛ`-2x-3<0, (x+1)(x-3)<0   ∴ -1<x<3
         ② 4xÛ`+4x+1=(2x+1)Û`¾0
                                                                  그런데 x<0이므로 -1<x<0
            따라서 4xÛ`+4x+1É0의 해는 x=-;2!;이다.                                                                     
                                                              ∴ 1<x<;2&;
        0816 이차부등식 axÛ`+bx+10>0의 해가 x<-5 또는                   따라서 정수 x는 2, 3이므로 구하는 합은 5이다.                   답5
        x>-1이므로 a>0
        해가 x<-5 또는 x>-1이고 xÛ`의 계수가 1인 이차부등식은                  0820 f(x)<0의 해가 x<-3 또는 x>2이므로
        (x+5)(x+1)>0, 즉 xÛ`+6x+5>0                            f(x)=a(x+3)(x-2) (a<0)로 놓으면
        양변에 a를 곱하면 axÛ`+6ax+5a>0 (∵ a>0)                      f(-x)=a(-x+3)(-x-2)=a(x-3)(x+2)
        이 부등식이 axÛ`+bx+10>0과 같으므로                             따라서 f(-x)¾0, 즉 a(x-3)(x+2)¾0에서
        6a=b, 5a=10   ∴ a=2, b=12                             (x-3)(x+2)É0 (∵ a<0)
        ∴ b-a=10                                      답 10   ∴ -2ÉxÉ3                                  답 -2ÉxÉ3
         다른풀이    이차방정식 axÛ`+bx+10=0의 두 근이 -5, -1이므            다른풀이    f(x)<0의 해가 x<-3 또는 x>2이므로
        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f(x)¾0의 해는 -3ÉxÉ2
        -;aB;=-6, :Áa¼:=5   ∴ a=2, b=12                       f(-x)¾0의 해는 -3É-xÉ2   ∴ -2ÉxÉ3
        ∴ b-a=10
                                                              0821 f(x)<0의 해가 -1<x<2이므로
                                                              f(x)=a(x+1)(x-2) (a>0)로 놓으면
        0817 해가 x=-3이고 xÛ`의 계수가 1인 이차부등식은
                                                              f(2x+1)=a(2x+1+1)(2x+1-2)=2a(x+1)(2x-1)
        (x+3)Û`É0, 즉 xÛ`+6x+9É0
                                                              따라서 f(2x+1)É0, 즉 2a(x+1)(2x-1)É0에서
        이 부등식이 xÛ`-2kx-3kÉ0과 같으므로
        -2k=6, -3k=9                                          (x+1)(2x-1)É0 (∵ a>0)   ∴ -1ÉxÉ;2!;
                                                              a+b=-;2!;                                    답 -;2!;
        0818 이차부등식 axÛ`+bx+3a-1¾0의 해가
        3-'3ÉxÉ3+'3이므로 a<0                                    다른풀이    f(x)<0의 해가 -1<x<2이므로
        해가 3-'3ÉxÉ3+'3이고 xÛ`의 계수가 1인 이차부등식은                   f(2x+1)É0의 해는 -1É2x+1É2에서 -1ÉxÉ;2!;
        (x-3+'3)(x-3-'3)É0, 즉 xÛ`-6x+6É0
        양변에 a를 곱하면 axÛ`-6ax+6a¾0 (∵ a<0)                      따라서 a=-1, b=;2!;이므로 a+b=-;2!;
092 정답과 풀이
           `∴ kÉ-1 또는 k¾1
           `그런데 k>0이므로 k¾1
                                                       0835 f(x)=-xÛ`+4x-3+4k로 놓으면
        Ú, Û에서 k¾1이므로 실수 k의 최솟값은 1이다.            답1
                                                       f(x)=-(x-2)Û`+1+4k
                                                       3ÉxÉ6에서 f(x)¾0이 항상 성립하려                  Z
                                                                                              L
        0832 이차부등식 xÛ`+2(n+1)x-4(n+1)<0이 해를 갖지         면 오른쪽 그림에서 f(6)¾0이어야 한다.                              ZG Y
        않으려면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xÛ`+2(n+1)x-4(n+1)¾0         f(6)=-16+1+4k¾0
        이 성립해야 한다.
                                                       ∴ k¾;;Á4°;;
        이차방정식 xÛ`+2(n+1)x-4(n+1)=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0                      Y
        성립해야 한다.
        Ú k-2=0,
               즉 k=2일 때                              0837 부등식 f(x)Ég(x)에서 g(x)-f(x)¾0
            (좌변)=4>0이므로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성립한다.             h(x)=g(x)-f(x)로 놓으면
                                                      h(x)=(-xÛ`+3x+a+1)-(xÛ`+3x-2)=-2xÛ`+a+3
        Û k-2+0일 때                                     -1ÉxÉ3에서 h(x)¾0이 항상 성립                       Z
                                                                                                        B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k-2)xÛ`-2(k-2)x+4>0이 성립        하려면 오른쪽 그림에서 h(3)¾0이어
                                                                                                             ZI Y
           하려면 k-2>0, 즉 k>2                            야 한다.
           이차방정식 (k-2)xÛ`-2(k-2)x+4=0의 판별식을 D라         h(3)=a-15¾0
                                                                                                0                     Y
           하면                                          ∴ a¾15
            D                                          따라서 실수 a의 최솟값은 15이다.                                         답 15
              =(k-2)Û`-4(k-2)<0
            4
           (k-2)(k-6)<0   ∴ 2<k<6                      0838 이차함수 y=xÛ`-ax+5의 그래프가 직선 y=x-3보
           그런데 k>2이므로 2<k<6                            다 위쪽에 있는 부분의 x의 값의 범위는
                                                      xÛ`-ax+5>x-3, 즉 xÛ`-(a+1)x+8>0                       yy ㉠
094 정답과 풀이
의 해이다. (4+x)(8+x)¾3_4_8
∴ a-p=2 답2
        -
            2b       b
               =6   ∴ =-3                                ㉠, ㉡의 공통부분을 구하면 1<x<;2%;
            a        a
                                                         따라서 정수 x는 2의 1개이다.
                                                                                                         
        0850 |x-2|<3에서 -3<x-2<3
                                                                                                       답1
        ∴ -1<x<5                                 yy ㉠
                                                         단계                    채점요소                   배점
        xÛ`-3x>0에서 x(x-3)>0
                                                             |xÛ`-4|<3x 풀기                           50 %
        ∴ x<0 또는 x>3                             yy ㉡
                                                             2xÛ`-3x-5<0 풀기                          30 %
        ㉠, ㉡의 공통부분을 구하면
                                                             연립부등식을 만족시키는 정수 x의 개수 구하기               20 %
        -1<x<0 또는 3<x<5
        따라서 해가 될 수 있는 것은 ①이다.                     답①
096 정답과 풀이
                                                                                (x+12)(2x-7)É0   ∴ -12ÉxÉ;2&;
         인 이차부등식이므로
         x(x-2)¾0, xÛ`-2x¾0   ∴ b=0
         ∴ a+b=3                                                        답3     그런데 x>0이므로 0<xÉ;2&;                    yy ㉡
098 정답과 풀이
         ㉠, ㉡의 공통부분에 속하                           ㉡
                                                             ㉠                      조건은 f(-1) f(0)<0에서
         는 정수 x의 값의 합이 15            -2                   a-1 a+1 7             x   (a+2+a-2)(a-2)<0, 2a(a-2)<0
         이려면 오른쪽 그림에서                                                               ∴ 0<a<2                                      yy ㉠
         (a-1)+a+(a+1)=15   ∴ a=5                                          답5                                                                 
                                                                                    f(x)=0의 다른 한 근이 2와 3 사이에 있을 조건은
         0870 f(x)=xÛ`-2kx+4로 놓으면                               ZG Y
                                                                                    f(2)f(3)<0에서
         f(x)=0의 두 근이 모두 1보다 크므로
                                                                                    (4a-4+a-2)(9a-6+a-2)<0
         y=f(x)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Y       2(5a-6)(5a-4)<0
         Ú f(x)=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D                                                                       ∴ ;5$;<a<;5^;                                yy ㉡
              =(-k)Û`-4¾0, (k+2)(k-2)¾0
            4                                                                                                                                  
            ∴ kÉ-2 또는 k¾2
                                                                                    ㉠, ㉡의 공통부분을 구하면 ;5$;<a<;5^;
         Û f(1)=1-2k+4>0에서 k<;2%;
                                                                                                                                               
         Û f(x)=xÛ`-2kx+4=(x-k)Û`+4-kÛ`에서 축의 방정식은
                                                                                                                          답 ;5$;<a<;5^;
            x=k이므로 k>1
         Û f(2)=4-10+a<0에서 a<6
         Ú, Û에서 -6<a<6                                                              0874 f(x)<g(x)의 해는 y=f(x)의 그래프가 y=g(x)의
         따라서 정수 a는 -5, -4, y, 4, 5의 11개이다.                         답 11
                                                                                    그래프보다 아래쪽에 있는 부분의 x의 값의 범위이므로 주어진
                                                                                    그림에서 1<x<7
         0872 f(x)=xÛ`-2px+p+2로 놓으면                              ZG Y
                                                                                    따라서 a=1, b=7이므로
         f(x)=0의 두 근이 모두 0과 3 사이에 있                                                 a+b=8                                                 답8
         으므로 y=f(x)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
                                                                              Y
         과 같다.                                                                                                   1Ñ'13
                                                                                    0875 ㄱ. xÛ`-x-3=0에서 x=         2
                                                                                                                        이므로
         Ú f(x)=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1-'13     1+'13
            D                                                                          xÛ`-x-3É0의 해는             ÉxÉ
              =(-p)Û`-(p+2)¾0                                                                               2          2
            4
                                                                                    ㄴ. -3xÛ`+2x-3>0에서 3xÛ`-2x+3<0
                                                                                       3xÛ`-2x+3=3{x-;3!;}2`+;3*;>0
            pÛ`-p-2¾0, (p+1)(p-2)¾0  
            ∴ pÉ-1 또는 p¾2
         Û f(0)=p+2>0에서 p>-2                                                           따라서 주어진 부등식의 해는 없다.
         Ü f(3)=9-6p+p+2>0에서 p<;;Á5Á;;                                              ㄷ. -xÛ`+6x-9>0에서 xÛ`-6x+9<0
                                                                                      `xÛ`-6x+9=(x-3)Û`¾0
         Ý f(x)=xÛ`-2px+p+2=(x-p)Û`-pÛ`+p+2에서 축의
                                                                                       따라서 주어진 부등식의 해는 없다.
            방정식은 x=p이므로 0<p<3
                                                                                    ㄹ. xÛ`-2x+5=(x-1)Û`+4>0  
         Ú ~ Ý에서 2Ép<;;Á5Á;;                                                           따라서 주어진 부등식의 해는 모든 실수이다.
         따라서 실수 p의 최솟값은 2이다.                                               답2      따라서 해가 없는 것은 ㄴ, ㄷ이다.                         답 ㄴ, ㄷ
100 정답과 풀이
        3의 5개이다.                                                            답5
                                                                                     f(x)=xÛ`-(a-1)x+a+4로 놓으면 f(x)=0의 한 근만이 2와
                                                                                     3 사이에 있으므로 y=f(x)의 그래프는 다음 그림과 같다.
                                                                                                        y=f(x)                  y=f(x)
        0893 두 타일의 가로의 길이를 x`cm라 하면 A의 세로의 길
        이는 (x+10)`cm이므로
        x(x+10)¾2000, xÛ`+10x-2000¾0                                                                3                   2
                                                                                               2            x                   3       x
        (x+50)(x-40)¾0   ∴ xÉ-50 또는 x¾40
        그런데 x>0이므로 x¾40                                                 yy ㉠        즉, f(2)f(3)<0이므로
        B의 세로의 길이는 (x-30)`cm이므로                                                      {4-2(a-1)+a+4}{9-3(a-1)+a+4}<0
        x(x-30)É1800, xÛ`-30x-1800É0                                                 (-a+10)(-2a+16)<0
        (x+30)(x-60)É0   ∴ -30ÉxÉ60                                                  (a-10)(a-8)<0   ∴ 8<a<10
        그런데 x>30이므로 30<xÉ60                                             yy ㉡        따라서 실수 a의 값이 될 수 있는 것은 ③이다.                             답③
102 정답과 풀이
 이때 주어진 연립부등식의 해가
        [x+1] Û`-[x+6]-15=(n+1)Û`-(n+6)-15É0                         Û nÛ
                                                                        `-14n+40<4n+26에서
∴ -5Éx<5 ∴ 9-'67<n<9+'67
104 정답과 풀이
            10
                                                                              -1+5 2+(-3)
                                                                       ⑶ M{       ,       }, 즉 M{2, -;2!;}
                                                                                2     2
                             평면좌표
                                                                               답 ⑴ P{:Á5£:, -1}   ⑵ Q(11, -8) ⑶ M{2, -;2!;}
                 교과서 문제 정 복 하 기      /   /   /
                                                          본문 129쪽      0917 선분 AB의 중점의 좌표가 (2, 1)이므로
                                                                       a+(-2)     4+b
                                                                              =2,     =1
                                                                         2         2
         0905 ABÓ=|7-3|=4                                     답4
                                                                       따라서 a=6, b=-2이므로 ab=-12                      답 -12
         0906 ABÓ=|8-(-2)|=10                                답 10
                                                                                 1+2+(-6) 2+(-1)+2
                                                                       0918 G{           ,         }, 즉 G(-1, 1)
                                                                                     3        3
         0907 ABÓ=|-9-(-5)|=4                                 답4
                                                                                                                답 G(-1, 1)
         0908 점 R의 좌표를 x라 하면
                                                                                 -1+5+2 2+1+(-3)
         |x-4|=3에서 x-4=Ñ3                                              0919 G{         ,         }, 즉 G(2, 0)
                                                                                    3       3
         ∴ x=7 또는 x=1                                                                                             답 G(2, 0)
         ∴ R(7) 또는 R(1)                           답 R(7) 또는 R(1)
                                                                                 a+(1-2a)+(2+a) (5-'5)+'5+1
                                                                       0920 G{                 ,            },                
         0909 점 S의 좌표를 x라 하면                                                           3              3
         |x-(-5)|=5에서 x+5=Ñ5                                           즉 G(1, 2)                                 답 G(1, 2)
         ∴ x=0 또는 x=-10
         ∴ S(0) 또는 S(-10)                       답 S(0) 또는 S(-10)      0921 무게중심의 좌표가 (3, -1)이므로
                                                                       5+2+b     a+3+(-1)
                                                                             =3,          =-1
                                                                         3          3
         0910 ABÓ="Ã(3-2)Û`+{5-(-1)}Û`='37                 답 '37
                                                                       따라서 a=-5, b=2이므로 a+b=-3                          답 -3
         0911 ABÓ="Ã{1-(-4)}Û`+{-7-(-2)}Û`='50=5'2
                                                             답 5'2
                       3_5+2_(-1) 3_(-3)+2_2
         0916 ⑴ P{               ,           },
                           3+2        3+2
                                                                       0924 ABÓ=2 CDÓ이므로
            즉 P{:Á5£:, -1}                                             "Ã(7-3)Û`+(-1-a)Û`=2"Ã(-1+a)Û`+(2-4)Û`
                                                                          Û
                                                            PAÓ=PBÓ에서 PAÓ `=PBÓ Û `이므로
                                                            aÛ`+bÛ`=(a-4)Û`+bÛ`, 8a=16
        0925 ABÓ="Ã(1-a)Û`+(a+5)Û`         
                                                            ∴ a=2                                          yy ㉠
                    ="Ã2aÛ`+8a+26            
                                                            PAÓ=PCÓ에서 PAÓ Û`=PCÓ Û`이므로
                    ="Ã2(a+2)Û`+18
                                                            aÛ`+bÛ`=(a-3)Û`+(b-3)Û`, 6a+6b=18
        따라서 a=-2일 때, 선분 AB의 길이가 최소가 된다.            답 -2
                                                            ∴ b=-a+3                                       yy ㉡
                                                            ㉠을 ㉡에 대입하면 b=1
        0926 점 P(a, b)가 직선 y=2x-7 위에 있으므로                   따라서 P(2, 1)이므로 구하는 거리는
        b=2a-7                                     yy ㉠    PAÓ="Ã2Û`+1Û`='5`(km)                        답 '5`km
APÓ=BPÓ에서 APÓ Û`=BPÓ Û`이므로  ABÓ Û`, BCÓ Û`, CAÓ Û`의 값 구하기 50 %
106 정답과 풀이
         "ÃxÛ`+yÛ`+"Ã(x-2)Û`+(y+1)Û`=OAÓ+ABÓ
                                                                       1                115
                                                                 따라서 a= 일 때 주어진 식의 최솟값이     이므로
                                                                       2                 2
         OAÓ+ABÓ의 값이 최소인 경우는 점 A가 OBÓ 위에 있을 때이
                                                                 P{;2!;, ;2&;}                                      답 {;2!;, ;2&;}
         다. 즉,
         OAÓ+ABÓ¾OBÓ
                
                   ="Ã2Û`+(-1)Û`='5                              0940 점 M이 선분 BC의 중점이므로 B( -c , 0)
         따라서 구하는 최솟값은 '5이다.                             답 '5    ABÓ Û`+ACÓ Û`={(a+c)Û`+bÛ`}+{(a-c)Û`+bÛ`} 	              
                                                                                  =(aÛ`+2ac+cÛ`+bÛ`)+(aÛ`-2ac+cÛ`+bÛ`) 	
         0935 APÓ+PBÓ의 값이 최소인 경우는 점 P가 ABÓ 위에 있을                                  =2( aÛ`+bÛ`+cÛ` )
         때이다. 즉,                                                 AMÓ Û`+BMÓ Û`=(aÛ`+bÛ`)+cÛ`          
         APÓ+PBÓ¾ABÓ
                
                                                                                   = aÛ`+bÛ`+cÛ`
                  ="Ã{3-(-2)}Û`Ã+{8-(-4)}Û`
                                                                 ∴ ABÓ Û`+ACÓ Û`=2(AMÓ Û`+BMÓ Û`)
                  ='1¶69=13
                                                                                                      답 ㈎ -c     ㈏ aÛ`+bÛ`+cÛ`
         따라서 구하는 최솟값은 13이다.                              답④
         다. 즉,                                                                    = xÛ`+yÛ`+(x-a)Û`+(y-b)Û`
         ABÓ+BCÓ¾ACÓ
                    	                                          ∴ PAÓ Û`+PCÓ Û`=PBÓ Û`+PDÓ Û`
                   ="Ã(-4-1)Û`+(2+3)Û`=5'2                                            a
                                                                                    답㈎      ㈏ b ㈐ xÛ`+yÛ`+(x-a)Û`+(y-b)Û`
         따라서 구하는 최솟값은 5'2이다.                           답 5'2                         ㈑ xÛ`+yÛ`+(x-a)Û`+(y-b)Û`
                                                             {                      }, 즉 (14, 5)
                                                                 5_5-3_(-1) 5_2-3_0
        {              }, 즉 (8, -7)
            2+14 -1-13                                                     ,
                ,                                답 (8, -7)           5-3      5-3
              2    2
                                                             이므로 a=14, b=5   ∴ a+b=19                                        답⑤
                                                             {             }, 즉 {         }
                                                                 2a-3   2b        2a-3 2b
        {                         }, 즉 (4, -2)
            1_6+2_3 1_(-4)+2_(-1)                                     ,               ,
                   ,                                              2+3 2+3           5   5
              1+2        1+2
        따라서 A ã (B ã C)는 (-5, 4)ã(4, -2)와 같으므로               2a-3     2b
                                                                  =5,    =2에서 a=14, b=5   ∴ a+b=19
                                                               5      5
        A ã(B ã C)의 좌표는
        {                         }, 즉 (-2, 2)
            1_4+2_(-5) 1_(-2)+2_4
                      ,
                1+2        1+2                               0947 2ABÓ=BCÓ에서 ABÓ:BCÓ=1:2                         3       2           C
                                                 답 (-2, 2)
                                                             이므로 점 C는 선분 AB를 3:2로 외분하                 1
                                                                                                              B
                                                             는 점이다.                               A
        0944 선분 AB를 5:2로 외분하는 점의 좌표가 (n, -5)이                따라서 점 C의 좌표는
        므로
                                                             {                      }, 즉 (5, 8)
                                                                 3_1-2_(-1) 3_4-2_2
                                                                           ,                                                  답④
           5_11-2_2       5_m-2_15                                   3-2      3-2
        n=          , -5=
              5-2            5-2
        따라서 m=3, n=17이므로 m+n=20                      답 20
                                                             0948 ABÓ=3BCÓ에서 ABÓ:BCÓ=3:1
                                                             Ú 점 C가 선분 AB 위에 있는 경우                              3              1
        0945 선분 AB를 2:1로 내분하는 점의 좌표는                                                                              2
                                                                                                                                      B
                                                                                                                              C
                                                                  점 C는 선분 AB를 2:1로 내분하는 점이
        {                              },
            2_(b+1)+1_2 2_(-1)+1_(a+1)
                       ,                                                                                  A
                2+1           2+1                                 므로 점 C의 좌표는 	         
                 2b+4 a-1
        즉{           ,    }                                       {
                                                                      2_1+1_(-5) 2_3+1_0
                                                                                ,        }, 즉 (-1, 2)
                   3   3                                                  2+1      2+1
        이 점이 (2, 1)과 같으므로                                    Û 점 C가 선분 AB의 연장선 위에 있는 경우                        4               1
                                                                                                                                      C
         2b+4     a-1                                             점 C는 선분 AB를 4:1로 외분하는                       3               B
              =2,     =1
           3       3
                                                                  점이므로 점 C의 좌표는 	                A
        따라서 a=4, b=1이므로
                                                                  {                    }, 즉 (3, 4)
                                                                    4_1-1_(-5) 4_3-1_0
                                                                             ,
                                                                        4-1      4-1
        B(2, -1), C(3, 2)                                    Ú, Û에서 점 C의 좌표는
                                                            (-1, 2) 또는 (3, 4)               답 (-1, 2) 또는 (3, 4)
        선분 BC를 3:2로 외분하는 점의 좌표는
        {                      }, 즉 (5, 8)
            3_3-2_2 3_2-2_(-1)
                   ,
              3-2       3-2                                  0949 두 점 A(1, -3), B(-4, 6)에 대하여 선분 AB를
                                                            k:(2-k)로 내분하는 점의 좌표는
                                                             {                                 }, 즉
        이므로 x=5, y=8                                             k_(-4)+(2-k)_1 k_6+(2-k)_(-3)
                                                                               ,
                                                                    k+(2-k)        k+(2-k)
        ∴ |x-y|=3
                                                             {             }
                                                                 2-5k 9k-6
                                                                    ,
                                                                   2    2
                                                       답3    이때 이 점이 제 2 사분면 위에 있으므로
            단계                     채점요소              배점      2-5k     9k-6
                                                                  <0,      >0
                 a, b의 값 구하기                        40 %      2        2
                                                             2-5k
                 점 B, C의 좌표 구하기                     10 %         <0에서 k>;5@;                                            yy ㉠
                                                               2
                 선분 BC를 3:2로 외분하는 점의 좌표 구하기         40 %
                                                             9k-6
                 |x-y|의 값 구하기                       10 %         >0에서 k>;3@;                                            yy ㉡
                                                               2
108 정답과 풀이
         ;3@;<k<2                               답 ;3@;<k<2
                                                              a+c     b+d
                                                                  =0,     =4
                                                               2       2
          참고   선분 AB를 m:n으로 내분하면 m>0, n>0                     ∴ a+c=0, b+d=8 	                                 yy ㉠
                                                                                                                          
         0950 선분 AB를 (4-t):t로 외분하는 점의 좌표는                     삼각형 ABC의 무게중심의 좌표가 (x, y)이므로
           (4-t)_2-t_4 (4-t)_a-t_(-3)                         3+a+c     2+b+d
         {               ,            }, 즉                      3
                                                                    =x,
                                                                          3
                                                                              =y 	                             yy ㉡
              (4-t)-t        (4-t)-t
         {
           8-6t 4a+(3-a)t
                ,          }                                  ㉠을 ㉡에 대입하면 x=1, y=:Á3¼:  
           4-2t     4-2t
                                                                                                                          
         이 점이 (1, 6)과 같으므로
          8-6t     4a+(3-a)t                                  ∴ x+y=;;Á3£;;
               =1,           =6
          4-2t        4-2t
                                                                                                                          
         ∴ t=1, a=3                                   답②
                                                                                                                     답 ;;Á3£;;
         {                         }, 즉
             m_5+n_(-6) m_(-6)+n_4                                    a+c, b+d의 값 구하기                               40 %
                       ,
                m+n        m+n                                         x, y의 값 구하기                                   40 %
                                                                  
         {              }
           5m-6n -6m+4n                                                x+y의 값 구하기                                    20 %
                ,                                                 
            m+n   m+n
         이 점이 y축 위에 있으므로 x좌표가 0이다. 즉,
          5m-6n
                =0   ∴ 5m=6n                                  0956 삼각형 ABC의 무게중심은 삼각형 PQR의 무게중심과
           m+n
         이때 m, n은 서로소인 자연수이므로 m=6, n=5                        같으므로
                                                                                }, 즉 G(0, 2)
         ∴ m-n=1                                      답1          -1+1+0 1+2+3
                                                              G{         ,
                                                                      3     3
                                                              따라서 x=0, y=2이므로 x+3y=6                                   답6
         0952 선분 AB를 k:5로 외분하는 점의 좌표는
         {                    }, 즉 {            }
           k_2-5_(-1) k_4-5_1        2k+5 4k-5
              k-5
                     ,
                        k-5           k-5
                                          ,
                                            k-5               0957 삼각형 PQR의 무게중심은 삼각형 ABC의 무게중심과
                                                              같으므로 삼각형 PQR의 무게중심의 좌표는
         이 점이 직선 y=-x-4 위에 있으므로
                                                              {                   }, 즉 (1, 2)
                                                                  -2+1+4 3+(-4)+7
          4k-5    2k+5                                                  ,
               =-      -4   ∴ k=2                     답2            3       3
           k-5     k-5
                                                              따라서 a=1, b=2이므로 a-b=-1                                 답②
                유형                                       본문 136쪽
                                                                    0967 P(x, y)라 하면
        0963 ABÓ="Ã(-4-1)Û`+(-8-4)Û`=13                             PAÓ Û`=(x+1)Û`+(y-2)Û`, PBÓ Û`=(x-2)Û`+(y-4)Û`
        ACÓ="Ã(5-1)Û`+(1-4)Û`=5                                     이때 PAÓ Û`-PBÓ Û`=9이므로
        ADÓ는 ∠A의 이등분선이므로                                            (x+1)Û`+(y-2)Û`-{(x-2)Û`+(y-4)Û`}=9
        BDÓ:DCÓ=ABÓ:ACÓ=13:5                                        ∴ 3x+2y-12=0                           답 3x+2y-12=0
110 정답과 풀이
         aÛ`-2a+bÛ`-6b+10=aÛ`+2a+bÛ`+2b+2
         -4a-8b=-8   ∴ a+2b=2 	                           yy ㉡      0976 선분 AB를 2:3으로 내분하는 점 P의 좌표는
                                                                     {                      }, 즉 (6, -2)
         ㉠, ㉡을 연립하여 풀면 a=-2, b=2                                         2_3+3_8 2_1+3_(-4)
                                                                                ,
                                                                           2+3       2+3
         ∴ a-b=-4                                           답 -4
                                                                     선분 AB를 2:3으로 외분하는 점 Q의 좌표는
                                                                     {                      }, 즉 (18, -14)
                                                                         2_3-3_8 2_1-3_(-4)
         0971 ABÓ Û`=(2+1)Û`+(4+1)Û`=34                                    2-3
                                                                                ,
                                                                                     2-3
         BCÓ Û`=(3-2)Û`+(0-4)Û`=17                                   따라서 선분 PQ의 중점의 좌표는
         CAÓ Û`=(-1-3)Û`+(-1)Û`=17
                                                                     {              }, 즉 (12, -8)
                                                                         6+18 -2-14
                                                                             ,                                      답 (12, -8)
         이므로                                                               2    2
         ABÓ Û`=BCÓ Û`+CAÓ Û`, BCÓ Û`=CAÓ Û`
         따라서 삼각형 ABC는 ∠C=90ù이고 BCÓ=CAÓ인 직각이등변                        0977 4 ACÓ=3 BCÓ에서 ACÓ : BCÓ=3 : 4                        1
                                                                                                                                   B
         삼각형이다.                                               답②    이때 a<0이므로 직선 AB 위의 세 점 A, B,                     4        A
                                                                     C는 C, A, B의 순서로 놓여 있고, 점 C는                    3
         0972 P(x, y), A(-1, -2), B(2, 2)라 하면                        BAÓ를 4 : 3으로 외분하는 점이다.
                                                                                                                C
         "Ã(x+1)Û`+(y+2)Û`+"Ã(x-2)Û`+(y-2)Û`=APÓ+BPÓ                 따라서 점 C의 좌표는
                                                                     {                         }, 즉 (-10, -16)
         APÓ+BPÓ의 값이 최소인 경우는 점 P가 ABÓ 위에 있을 때이다.                         4_(-1)-3_2 4_(-1)-3_4
                                                                                   ,
                                                                             4-3        4-3
         즉,
                                                                     이므로 a=-10, b=-16
         APÓ+BPÓ¾ABÓ
                                                                     ∴ a+b=-26                                               답 -26
                   ="Ã(2+1)Û`+(2+2)Û`=5
                                                                     다른풀이     [내분점 이용]
         따라서 구하는 최솟값은 5이다.                                    답③
                                                                     점 A는 BCÓ를 1:3으로 내분하는 점이므로 점 A의 좌표는
                                                                     {                   }, 즉 {          }
                                                                         1_a+3_2 1_b+3_4        a+6 b+12
         0973 출발한 지 t시간 후의 두 점 P, Q의 좌표는                                        ,                  ,
                                                                           1+3     1+3           4    4
         P(0, 10-8t), Q(6t, 0)이므로                                    이 점이 A(-1, -1)과 같으므로
         PQÓ="(Ã6t)Û`+(-10+8t)Û`                                   a+6      b+12
                                                                         =-1,      =-1
              ="1Ã00tÛ`-160t+100                                      4         4
                       4 Û                                           ∴ a=-10, b=-16
              =¾10¨0{t- }`+36
                       5                                             ∴ a+b=-26
        {
            1_0+k_(-2) 1_7+k_0
                      ,        }, 즉 {
                                      -2k
                                          ,
                                            7
                                              }               대각선 AC의 중점의 좌표는
                1+k      1+k          1+k 1+k
                                                              {            }, 즉 { , 3}
                                                                  0+ab 5+1       ab
                                                                      ,
        그런데 이 점이 직선 x+2y=2 위에 있으므로                                  2   2        2
         -2k      7                                           대각선 BD의 중점의 좌표는
             +2_     =2, -2k+14=2(1+k)
         1+k     1+k
                                                              {           }, 즉 {4,     }
                                                                  1+7 a+b          a+b
        4k=12   ∴ k=3                               답③
                                                                     ,
                                                                   2   2            2
                                                                       ab           a+b
                                                              두점{         , 3}과 {4,     }가 일치하므로
                                                                       2             2
        0979 B(aÁ, bÁ), C(aª, bª)라 하면 두 점 M, N은 각각 ABÓ,       ab
                                                                 =4에서 ab=8
        ACÓ의 중점이므로                                            2
         1+aÁ                                                 a+b
                                                                  =3에서 a+b=6
              =xÁ에서 1+aÁ=2xÁ                       yy ㉠       2
          2
         6+bÁ                                                 ∴ aÜ`+bÜ`=(a+b)Ü`-3ab(a+b)      
              =yÁ에서 6+bÁ=2yÁ                       yy ㉡
          2                                                             =6Ü`-3_8_6=72                답②
         1+aª
              =xª에서 1+aª=2xª                       yy ㉢
          2
         6+bª
              =yª에서 6+bª=2yª                       yy ㉣
          2                                                   0983 삼각형 OAB가 정삼각형이므로
        ㉠+㉢을 하면 2+aÁ+aª=2(xÁ+xª)                              OAÓ=OBÓ=ABÓ
        2+aÁ+aª=4   ∴ aÁ+aª=2                                 Ú OAÓ=OBÓ에서 OAÓ Û`=OBÓ Û`이므로
        ㉡+㉣을 하면 12+bÁ+bª=2(yÁ+yª)                                 2Û`=aÛ`+('3)Û`, aÛ`=1  
        12+bÁ+bª=8   ∴ bÁ+bª=-4                                   ∴ a=-1 또는 a=1
        따라서 삼각형 ABC의 무게중심의 좌표는                                                                          
          1+aÁ+aª 6+bÁ+bª                                     Û OAÓ=ABÓ에서 OAÓ Û`=ABÓ Û`이므로
        {        ,        }, 즉 {1, ;3@;}            답③
             3       3
                                                                  2Û`=(a-2)Û`+('3)Û`
                                                                  aÛ`-4a+3=0, (a-1)(a-3)=0
        {                      }, 즉 {-1, ;;Á3¼;;}
            2_(-4)+1_5 2_2+1_6
                      ,
                2+1      2+1
112 정답과 풀이
                                                              답 -;5$;
                                                                                                                                    
                                                                                                                                 답 13
          단계                       채점요소                        배점
                                                                              단계                    채점요소                        배점
               점 P의 좌표를 t로 나타내기                               40 %
                                                                                  PMÓ : MQÓ를 가장 간단한 정수의 비로 나타내기                30 %
               점 P의 좌표 구하기                                    20 %
                                                                                  a, b의 값 구하기                                  50 %
               선분 OP를 t : (1+t)로 외분하는 점의 x좌표 구하기              40 %
                                                                                  a+b의 값 구하기                                   20 %
         0985 D(a, b)라 하면 평행사변형의 성질에 의하여 두 대각선                            0987 APÓDCÓ이므로 △ABP에서 ABÓ:ADÓ=PBÓ:PCÓ
         AC와 BD의 중점이 일치한다.                                                이때 ABÓ="(Ã-5)Û`+(-9-3)Û`=13,
         즉, 두 점 {
                  3+k 2+2
                     ,    }와 {
                               4+a 4+b
                                  ,    }가 일치하므로                           ADÓ=ACÓ="Ã4Û`+(-3)Û`=5이므로
                   2   2        2   2
                                                                          13:5=PBÓ:PCÓ
          3+k 4+a      4+b
             =    , 2=                                                    따라서 점 P는 BCÓ를 13:5로 외분하는 점이므로 점 P의 좌표는
           2   2        2
                                                                          {                           }, 즉 { ,    }
         ∴ b=0, k=a+1                                                         13_4-5_(-5) 13_0-5_(-9)       77 45
                                                                                         ,
                                                                                  13-5        13-5           8  8
                                                                  
                                                                                      77     45
         또, 사각형 ABCD의 둘레의 길이가 6'5이므로                                      따라서 a=
                                                                                       8
                                                                                         , b= 이므로 a-b=4
                                                                                              8
                                                                                                                                 답⑤
         ABÓ+ADÓ=3'5에서
         "Ã(4-3)Û`+(4-2)Û`+"Ã(a-3)Û`+(b-2)Û`=3'5
         "ÃaÛ`-6a+13=2'5 (∵ b=0)                                          0988 점 G가 삼각형 ABC의 무게중심이므로 점 M은 선분
         양변을 제곱하여 정리하면                                                    BC의 중점이다.
         aÛ`-6a-7=0, (a+1)(a-7)=0                                         또, AGÓ:GMÓ=2:1이고, GMÓ='2이므로 AGÓ=2'2
         ∴ a=-1 또는 a=7                                                    ∴ AMÓ=AGÓ+GMÓ=3'2
                                                                         또, BMÓ=;2!; BCÓ=3
         a=-1일 때, k=-1+1=0
                                                                          삼각형 ABC에서 ABÓ `Û +ACÓ `Û =2(AMÓ `Û +BMÓ `Û )이 성립하므로
         a=7일 때, k=7+1=8
                                                                          6Û`+ACÓ Û`=2{(3'2)Û`+3Û`}
         따라서 구하는 k의 값은 0 또는 8이다.
                                                                          36+ACÓ Û`=54, ACÓ Û`=18
                                                                  
                                                                          ∴ ACÓ=3"2 (∵ ACÓ>0)                                  답 3'2
                                                              답 0, 8
          단계                       채점요소                        배점
               선분 AC의 중점과 선분 BD의 중점이 일치함을 이해하기                30 %       0989 소매상의 위치를 각각 A(-2a), B(0), C(a) (a>0),
               점 D의 x좌표 구하기                                   50 %       도매상의 위치를 P(x)라 하면
               k의 값 구하기                                       20 %       APÓ Û`+BPÓ Û`+CPÓ Û`=(x+2a)Û`+xÛ`+(x-a)Û` 
                                                                                            =3xÛ`+2ax+5aÛ` 
                                                                                                 1
                                                                                            =3{x+ a}Û`+;;Á3¢;;aÛ`
                                                                                                 3
         0986 OPÓ="Ã3Û`+4Û`=5                                                1
                                                                          x=- a일 때, APÓ Û`+BPÓ Û`+CPÓ Û`이 최소이므로 운반 비용도
         OQÓ="1Ã2Û`+5Û`=13                           P   M            Q      3
         ∠POQ의 이등분선과 PQÓ의 교점                     5
                                                                          최소가 된다. 이때
                                                         13
         을 M이라 하면                           O                             APÓ=|-;3!;a-(-2a)|=;3%;a
         PMÓ : MQÓ=OPÓ : OQÓ=5`:`13
                                                                  
                                                                          BPÓ=|-;3!;a-0|=;3!;a
           11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x=;5!;, y=;5#;
                           직선의 방정식
                                                                     따라서 구하는 점의 좌표는 {;5!;, ;5#;}이다.              답 {;5!;, ;5#;}
                교과서 문제 정 복 하 기      /   /   /
                                                       본문 141쪽       0998 두 직선의 교점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을
                                                                     2x-3y-1+k(2x-4y+1)=0 (k는 실수)                   yy ㉠
        0990 y-(-1)=2(x-1)   ∴ y=2x-3                                으로 놓으면 이 직선이 원점을 지나므로
                                                    답 y=2x-3         -1+k=0   ∴ k=1
                                                                     k=1을 ㉠에 대입하면
        0991 y-3=-5(x-0)   ∴ y=-5x+3                                 2x-3y-1+2x-4y+1=0  
                                                  답 y=-5x+3          ∴ 4x-7y=0                              답 4x-7y=0
                        -3-3                                                           -4
        0992 y-3= 4-2 (x-2)   ∴ y=-3x+9                              0999 ⑴ ㄴ. ;4@;=;2!;+ 1 이므로 두 직선 2x+y-4=0,
                                                  답 y=-3x+9            4x+2y+1=0은 서로 평행하다.
                                                                     ⑵ ㄷ. 2_1+1_(-2)=0이므로 두 직선 2x+y-4=0,
        0993 두 점의 y좌표가 모두 4이므로 y=4                        답 y=4       x-2y+5=0은 서로 수직이다.
                                                                                                             답⑴ㄴ         ⑵ㄷ
        0994    답 -;7{;+;5};=1
                                                                     1000 ⑴ -;2!;=a+1   ∴ a=-;2#;
           (기울기)=-;bA;<0, (y절편)=-;bC;>0                y                                       1        a   1
                                                                     1001 ⑴ 두 직선이 평행하려면 a-1 = 2 + 1
        	따라서 주어진 직선의 개형은 오른쪽 그림과
                                                                        1  a
           같으므로 제 1, 2, 4 사분면을 지난다.                    O         x        = 에서 aÛ`-a=2, aÛ`-a-2=0
                                                                       a-1 2
                                                                       (a+1)(a-2)=0   ∴ a=-1 또는 a=2
        ⑵ ax+by+c=0에서 b=0이므로 ax+c=0  
                                                                       a 1
                                                                        + 에서 a+2이므로 a=-1
           ∴ x=-;aC;                                                   2 1
                                                                     ⑵ 두 직선이 일치하려면
           a>0, c<0이므로 -;aC;>0                          y
                                                                        1  a 1
                                                                          = =    ∴ a=2
                                                                       a-1 2 1
        	따라서 주어진 직선의 개형은 오른쪽 그림과
                                                        O        x   ⑶ 두 직선이 수직이려면
           같으므로 제 1, 4 사분면을 지난다.
                                                                       1_(a-1)+a_2=0   ∴ a=;3!;
                                 답 ⑴ 제 1, 2, 4 사분면 ⑵ 제 1, 4 사분면
답 ⑴ -1 ⑵ 2 ⑶ ;3!;
114 정답과 풀이
                 |1_1-2_4+2|      5
         1004                   = ='5                    답 '5
                   "Ã1Û`+(-2)Û`  '5                                1013 두 점 A(6, -4), B(1, 1)에 대하여 선분 AB를 2:3
                                                                   으로 내분하는 점의 좌표는
              |6_(-3)+8_2-3|   5
                             = =;2!;                     답 ;2!;       2_1+3_6 2_1+3_(-4)
         1005
                   "Ã6Û`+8Û`  10                                   {          ,           }, 즉 (4, -2)
                                                                         2+3       2+3
                                                                                                                               
                   |6|
         1006              =;5^;                         답 ;5^;   두 점 (4, -2), (-1, 3)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Ã4Û`+(-3)Û`
                                                                                3-(-2)
                                                                   y-(-2)=             (x-4)   ∴ y=-x+2
                                                                                 -1-4
         1007 두 직선 x-y-3=0, x-y+3=0이 서로 평행하므로                                                                                  
         두 직선 사이의 거리는 직선 x-y-3=0 위의 한 점 (0, -3)
                                                                   따라서 y절편은 2이다.
         과 직선 x-y+3=0 사이의 거리와 같다.                                                                                              
            |0+3+3|      6
                       = =3'2                          답 3'2                                                              답2
           "Ã1Û`+(-1)Û` '2
         ∴
                                                                       단계                     채점요소                      배점
                                                                            선분 AB의 내분점 구하기                             30 %
                                                                            직선의 방정식 구하기                                40 %
                                                                            y절편 구하기                                    30 %
                 유형 익 히 기  /   /
                                                  본문 142~148쪽
1008 두 점 (-4, 2), (6, 8)을 이은 선분의 중점 1014 삼각형 ABC의 무게중심 G의 좌 y
         1011    주어진 직선의 기울기는 tan`45ù=1이므로 점 (2, -1)               x절편은 ;2K;, y절편은 ;3K;이다.                   L
                                                                                                            
                                                                                                                               Y
         을 지나고 기울기가 1인 직선의 방정식은                                    오른쪽 그림에서 삼각형의 넓이가 3이므로                   0             L
                                                                                                                         
         y-(-1)=x-2   ∴ y=x-3
                                                                   ;2!;_;2K;_;3K;=3, kÛ`=36
         따라서 m-2=1, -n-1=-3이므로 m=3, n=2
         ∴ m+n=5                                          답5      ∴ k=6`(∵ k>0)                                          답6
        ;1!;=
                -a   1                                       5-3
                   +   에서 -a=b-2   ∴ a+b=2                       _(-1)=-1   ∴ a=2
                b-2 -1                                       4-a
                                                                                                a+4 3+5
                                                             직선 y=-x+b가 선분 AB의 중점 {                     }, 즉
                                                         
                                                                                                   ,
                                                                                                 2   2
        직선 x-ay+1=0이 직선 (a+1)x-(b-1)y+1=0과 수직
                                                             (3, 4)를 지나므로
        이므로
                                                             4=-3+b   ∴ b=7
        1_(a+1)-a(-b+1)=0   ∴ ab=-1
                                                             ∴ a+b=9                                              답9
                                                         
        ∴ aÛ`+bÛ`=(a+b)Û`-2ab                             1040 선분 AB의 중점의 좌표는
                  =2Û`-2_(-1)=6
                                                             {           }, 즉 (-1, 4)
                                                                 1-3 3+5
                                                                    ,
                                                                 2   2
                                                        답6   두 점 A(1, 3), B(-3, 5)를 지나는 직선의 기울기는
                                                              5-3
          단계                      채점요소                배점          =-;2!;
                                                             -3-1
                두 직선이 평행할 조건 구하기                     40 %   따라서 선분 AB의 수직이등분선은 기울기가 2이고 점 (-1, 4)
                두 직선이 수직일 조건 구하기                     40 %
                                                             를 지나는 직선이므로
                aÛ`+bÛ`의 값 구하기                       20 %
                                                             y-4=2(x+1)   ∴ y=2x+6                               답⑤
                                                                                              a+b
                                                             1041 선분 AB의 중점의 좌표는 { 2 , 4}
        1036 두 점 (-3, 5), (5, -7)을 지나는 직선의 기울기는
          -7-5                                               직선 2x+y-4=0이 이 점을 지나므로
                =-;2#;
         5-(-3)                                                      a+b
                                                             2_          +4-4=0   ∴ a+b=0                   yy ㉠
                                                                      2
        기울기가 -;2#;이고 점 (2, 5)를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또, 직선 2x+y-4=0의 기울기가 -2이므로 직선 AB의 기울
        y-5=-;2#;(x-2)   ∴ 3x+2y-16=0                                1
                                                             기는        이다.
                                                                     2
        따라서 a=3, b=-16이므로                                            5-3
                                                             즉,          =;2!;이므로 b-a=4                     yy ㉡
        a+b=-13                                       답①            b-a
                                                             ㉠, ㉡을 연립하여 풀면 a=-2, b=2
                                                             ∴ aÛ`+bÛ`=8                                          답8
        1037 두 점 A, B를 지나는 직선의 기울기는
          4-1
               =;3!;                                         1042 Ú 선분 AC의 중점의 좌표는
        6-(-3)
                                                                     1+3 0+6
        이므로 구하는 직선의 기울기는 -3이다.                                   {      ,    }, 즉 (2, 3)
                                                                      2   2
        선분 AB를 1`:`2로 내분하는 점의 좌표는                                                  6-0
                                                                 직선 AC의 기울기는           =3
                                                                                   3-1
        {                    }, 즉 (0, 2)
          1_6+2_(-3) 1_4+2_1
                    ,
              1+2      1+2                                                              1
                                                             	따라서 선분 AC의 수직이등분선은 기울기가 - 이고 점 
        따라서 기울기가 -3이고 점 (0, 2)를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3
        y=-3x+2                                 답 y=-3x+2       (2, 3)을 지나는 직선이므로
                                                                      1                   11
                                                                 y-3=- (x-2)   ∴ y=-;3!;x+                  yy ㉠
                                                                      3                    3
                                1             1
        1038 직선 x+3y-9=0, 즉 y=- 3 x+3의 기울기가 - 3              Û 선분 BC의 중점의 좌표는 {
                                                                                           7+3 2+6
                                                                                              ,    }, 즉 (5, 4)
                                                                                            2   2
        이므로 직선 AH의 기울기는 3이다.
                                                                                   6-2
                                                                 직선 BC의 기울기는           =-1
        따라서 직선 AH의 방정식은                                                            3-7
        y-11=3(x-6)   ∴ 3x-y-7=0                             	따라서 선분 BC의 수직이등분선은 기울기가 1이고 점 	 
        점 H는 직선 AH와 직선 x+3y-9=0의 교점이므로                           (5, 4)를 지나는 직선이므로
        x+3y-9=0, 3x-y-7=0을 연립하여 풀면                              y-4=x-5   ∴ y=x-1                          yy ㉡
        x=3, y=2                                             ㉠, ㉡을 연립하여 풀면 x=;2&;, y=;2%;
        따라서 a=3, b=2이므로
        ab=6                                          답③    따라서 구하는 점의 좌표는 {;2&;, ;2%;}이다.              답 {;2&;, ;2%;}
118 정답과 풀이
         1045 x+2y-6=0 	                              yy ㉠
         4x-3y-12=0 	                                 yy ㉡      1049 주어진 식을 k에 대하여 정리하면
                                                                 x+y-2+(x-y)k=0
         ax+y-1=0 	                                   yy ㉢
                                                                 이 식이 k의 값에 관계없이 항상 성립하므로
         세 직선 ㉠, ㉡, ㉢으로 둘러싸인 삼각형이 직각삼각형이려면 세
                                                                 x+y-2=0, x-y=0
         직선 중 어느 두 직선이 서로 수직이어야 한다.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x=1, y=1   ∴ A(1, 1)
                              1
         직선 ㉠, ㉡, ㉢의 기울기가 각각 - , ;3$;, -a이므로 ㉠, ㉡은               점 A(1, 1)과 직선 2x-y+b=0 사이의 거리가 '5이므로
                              2
         수직이 아니다.                                                 |2-1+b|
                                                                              ='5, |1+b|=5, 1+b=Ñ5
         Ú두
           직선 ㉠, ㉢이 서로 수직인 경우                                  "Ã2Û`+(-1)Û`
                                                                 ∴ b=4 또는 b=-6
            {- }_(-a)=-1   ∴ a=-2
              1
              2                                                  따라서 모든 상수 b의 값의 합은 -2이다.                       답 -2
                                                           
         Û두
           직선 ㉡, ㉢이 서로 수직인 경우
                                                                 1050 주어진 식을 x, y에 대하여 정리하면
               4
                 _(-a)=-1   ∴ a=;4#;                             (2k+1)x+(k-2)y-4=0
               3
                                                                 점 (1, -2)와 이 직선 사이의 거리 f(k)는
                                                           
                                                                           |(2k+1)+(k-2)_(-2)-4|        1
         Ú, Û에서 모든 상수 a의 값의 합은 -2+;4#;=-;4%;
                                                                 f(k)=                          =
                                                                               "Ã(2k+1)Û`+(k-2)Û`   "Ã5kÛ`+5
                                                                따라서 "Ã5kÛ`+5가 최소, 즉 k=0일 때 f(k)가 최대이므로 구하
                                                       답 -;4%;
                                                                 는 최댓값은
                                                                            1  '5                                    '5
                                                                 f(0)=        = 
                                                                           '5
                                                                                                                 답
          단계                       채점요소                 배점                      5                                     5
                두 직선 ㉠, ㉢이 수직일 때 a의 값 구하기              40 %
                두 직선 ㉡, ㉢이 수직일 때 a의 값 구하기              40 %
                                                                 1051 두 직선이 평행하므로 직선 x+2y+1=0 위의 한 점 
                a의 값의 합 구하기                            20 %
                                                                 (-1, 0)과 직선 x+2y+k=0 사이의 거리를 구하면
                                                                                                   11. 직선의 방정식   119
        ;3A;=
                 2                                                            ∴ a=4 또는 a=-12
                    에서 a(a-1)=6, aÛ`-a-6=0
                a-1
                                                                              따라서 자연수 a의 값은 4이다.                                            답4
        (a+2)(a-3)=0   ∴ a=-2 또는 a=3
                    -1
        그런데 ;3A;+      에서 a+3이므로 a=-2                                         1057 직선 OA와 직선 x-4y+12=0의 기울기가 4 로 같으
                                                                                                                                      1
                    -1
        a=-2일 때, 두 직선의 방정식은                                                   므로 두 직선은 서로 평행하다.
        -2x+2y-1=0, 3x-3y-1=0                                                 삼각형 OAP에서 OAÓ를 밑변으로 하면 원점과 직선
        따라서 두 직선 사이의 거리는 직선 -2x+2y-1=0 위의 점                                  x-4y+12=0 사이의 거리가 높이가 된다.
120 정답과 풀이
                                                                                                                         '3
            4=2m+3   ∴ m=;2!;                    0                                1065 구하는 직선은 (기울기)=tan 30ù= 3 이고
                                                                             Y
                                                 
                                                                   #
         Û 직선이 점 B(5, -1)을 지날 때                                                   점 ('3, -1)을 지나므로
            -1=4m+3   ∴ m=-1                                                              '3
                                                                                   y+1=      (x-'3)  
                                                                                           3
         Ú, Û에서 실수 m의 값의 범위는 -1<m<;2!;
                                                                                          '3                                           '3
                                                                                   ∴ y=      x-2                             답 y=        x-2
                                                                                          3                                             3
         따라서 a=-1, b=;2!;이므로 a+b=-;2!;                                   답②
                                                                               -;3!;-3
        따라서 두 대각선의 교점의 좌표는 {;2&;, 0}이다.                                 y-3=             (x-4)  
                                                                                3-4
                                                        답 {;2&;, 0}
                                                                        ∴ 10x-3y-31=0                               답③
                     x    y                                                                          a       c
        1067 직선 a + b =1에서 x절편은 a, y절편은 b이다.                            1071 직선 ax+by+c=0, 즉 y=- b x- b 의 기울기는 음
        이때 이 직선이 제 3사분면을 지나지 않으므                     Z
                                                                        수, y절편은 양수이므로
        로 a>0, b>0이고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                     C                   a     c
                                                                        - <0, - >0   ∴ ac<0
        과 같다.                                                            b     b
                                                     0      B       Y                 b
        어두운 부분의 넓이가 9이므로                                                bx-cy+a=0에서 y= x+;cA;
                                                                                      c
        ;2!;ab=9   ∴ ab=18                                     답 18         b    a
                                                                        이때     <0, <0이므로 직선                    y
                                                                             c    c
                                                                        bx-cy+a=0의 기울기와 y절편은 모두                  O       x
        1068 세 점 A, B, C가 한 직선 위에 있으려면 직선 AB의 기                         음수이다.
        울기와 직선 BC의 기울기가 같아야 한다.                                         따라서 직선 bx-cy+a=0의 개형은 오른
                       3-5   2                                          쪽 그림과 같으므로 제 1 사분면을 지나지 않는다.
        (직선 AB의 기울기)=      =                                                                                         답①
                      -1-k k+1
                               -1-3    4
        (직선 BC의 기울기)=                =
                              -k-(-1) k-1                               1072 주어진 식을 k에 대하여 정리하면
              2   4                                                     (x-2y+4)k+(-x-y+a)=0
        즉,      =    이므로 2k-2=4k+4
             k+1 k-1
                                                                        이 식이 k의 값에 관계없이 항상 성립해야 하므로
        ∴ k=-3                                                 답③
                                                                        x-2y+4=0, x+y-a=0
                                                                        이때 점 (2, b)가 위의 두 직선의 교점이므로
        1069 ㄱ. 세 점 A(-1, 5), B(2, 9), C(4, 15)에서                       2-2b+4=0, 2+b-a=0
                             9-5
             (직선 AB의 기울기)=        =;3$;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a=5, b=3
                           2-(-1)
                                                                        ∴ a+b=8                                     답⑤
                                 15-9
             (직선 BC의 기울기)=            =3
                                  4-2
             이므로 세 점 A, B, C는 한 직선 위에 있지 않다.                            1073 ㄱ. 주어진 직선은 두 직선 x+2y-1=0, 	             
        ㄴ. 세 점 A(1, -1), B(3, -5), C(4, -7)에서                           	 3x-y+1=0, 즉 x+2y=1, 3x-y=-1의 교점을 지나
                                  -5-(-1)                                 는 직선이다.
             (직선 AB의 기울기)=                =-2
                                    3-1
                                                                        ㄴ. k=2이면 x+2y-1+2(3x-y+1)=0
                                 -7-(-5)
             (직선 BC의 기울기)=
                                                                          7x+1=0   ∴ x=-;7!;
                                         =-2
                                   4-3
             이므로 세 점 A, B, C는 한 직선 위에 있다.
                                                                          이때 직선 x=-;7!;의 기울기는 존재하지 않는다.
        ㄷ. 세 점 A(2, 0), B(3, 4), C(4, 6)에서
                                  4-0                                   ㄷ. x+2y-1+k(3x-y+1)=0에서
             (직선 AB의 기울기)=            =4
                                  3-2                                     (3k+1)x+(-k+2)y+k-1=0
                           6-4                                                                1
             (직선 BC의 기울기)=     =2                                       	-k+2=0, 즉 k=2이면 x=- 이므로 y축에 평행한 직
                           4-3                                                                7
             이므로 세 점 A, B, C는 한 직선 위에 있지 않다.                              선이 존재한다.
        따라서 세 점이 한 직선 위에 있는 것은 ㄴ뿐이다.                           답ㄴ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답③
122 정답과 풀이
                                                                               1         '5                                          '5
         따라서 점 B의 좌표는 {;5@;, -;5!;}이다.                    답 {;5@;, -;5!;}           =
                                                                                          3
                                                                                                                                답
                                                                                                                                      3
                                                                             ®;5(;
k=;;Á7¦;;
124 정답과 풀이
                  =(-2)Ü`-3_3_(-2)                        ㉣, ㉤을 연립하여 풀면
                  =-8+18=10                                x=-2, y=0
                                                 답 -;2!;
                                                           1092 교차로의 한 지점을 원점으로                          y
          단계                       채점요소           배점                                                                    x-3y=0
                                                           하여 주어진 그림을 좌표평면 위에 나                          10                 B
                세 직선의 위치 관계 구하기                  30 %
                                                           타내면 오른쪽 그림과 같다.                               O
                두 직선의 교점의 좌표 구하기                 30 %                                                                     30 x
                 a의 값 구하기                         40 %
                                                           이때 두 지점 A, B의 좌표는 	                   -10 A
           
                                                           A(0, -10), B(30, 10)이고
                                                           원점과 점 B를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12
                                                                    1105 두 원의 교점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원의 방정식                                   xÛ`+yÛ`-4-(xÛ`+yÛ`-6x-8y+9)=0
                                                                    ∴ 6x+8y-13=0                         답 6x+8y-13=0
                교과서 문제 정 복 하 기      /   /   /
                                                         본문 155쪽    1106 (x-4)Û`+(y-2)Û`=9에서
                                                                    xÛ`+yÛ`-8x-4y+11=0
        1093    답 중심의 좌표 : (4, 1), 반지름의 길이 : 5                      따라서 두 원의 공통인 현의 방정식은
                                                                    xÛ`+yÛ`-9-(xÛ`+yÛ`-8x-4y+11)=0
        1094    답 중심의 좌표 : (0, 3), 반지름의 길이 : 3                      8x+4y-20=0   ∴ 2x+y-5=0                답 2x+y-5=0
                                                                    xÛ`+yÛ`-4y-;9!;(xÛ`+yÛ`-2x)=0
        1097 중심의 좌표가 (2, 2)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1인 원이므로
                                                                    9xÛ`+9yÛ`-36y-xÛ`-yÛ`+2x=0
        (x-2)Û`+(y-2)Û`=1                  답 (x-2)Û`+(y-2)Û`=1
                                                                    8xÛ`+8yÛ`+2x-36y=0
므로 (x-3)Û`+(y+2)Û`=4 답 (x-3)Û`+(y+2)Û`=4
        1Û`+(-2)Û`=rÛ`   ∴ rÛ`=5
        따라서 구하는 원의 방정식은                                             1109 x-2y-1=0에서 x=2y+1
        (x+3)Û`+(y-2)Û`=5                  답 (x+3)Û`+(y-2)Û`=5     x=2y+1을 xÛ`+yÛ`+4x-2y+4=0에 대입하면
                                                                    (2y+1)Û`+yÛ`+4(2y+1)-2y+4=0
        ∴ (x+2)Û`+(y-3)Û`=9                답 (x+2)Û`+(y-3)Û`=9
                                                                    D
                                                                      =5Û`-5_9=-20<0
                                                                    4
                                                                    따라서 원 O와 직선 l은 만나지 않는다.                 답 만나지 않는다.
        1103 y축에 접하므로 반지름의 길이는 중심의 x좌표의 절댓
        값인 4이다.
                                                                    1110    원의 중심 (1, 2)와 직선 2x-y+5=0 사이의 거리는
        ∴ (x-4)Û`+(y+1)Û`=16               답 (x-4)Û`+(y+1)Û`=16
                                                                    |2_1-2+5|      5
                                                                                  = ='5
                                                                     "Ã2Û`+(-1)Û`  '5
        1104 x축, y축에 동시에 접하므로 반지름의 길이는 중심의 x                        이때 원의 반지름의 길이가 5이고 '5<5이므로 원 O와 직선 l은
        좌표(또는 y좌표)의 절댓값인 2이다.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난다. 즉, 교점의 개수는 2이다.
        ∴ (x+2)Û`+(y+2)Û`=4                답 (x+2)Û`+(y+2)Û`=4                                                         답2
126 정답과 풀이
                                                                                                  2+4 4+(-2)
                                                                       1119     원의 중심의 좌표는 {         ,       }, 즉 (3, 1)
         1114    중심이 x축 위에 있으므로 원의 방정식을                                                            2     2
         (x-a)Û`+yÛ`=rÛ`                                                                   1
                                                                       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¹4-2)Û`+(-2-4)Û`='10
                                                                                           2
         으로 놓으면 이 원이 두 점 (0, -4), (1, 3)을 지나므로
                                                                       따라서 원의 방정식은 (x-3)Û`+(y-1)Û`=10이므로 이 원 위
         aÛ`+16=rÛ`, (1-a)Û`+9=rÛ`
                                                                       의 점인 것은 ⑤이다.                                        답⑤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a=-3, rÛ`=25
         따라서 구하는 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5이다.                              답④
                                                                       1120 4x-5y+40=0에
                                                                       y=0을 대입하면 4x+40=0   ∴ x=-10
         1115    원 (x-3)Û`+(y+2)Û`=1의 중심의 좌표가 (3, -2)이                 x=0을 대입하면 -5y+40=0   ∴ y=8
         므로 구하는 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r라 하면 원의 방정식은                              ∴ P(-10, 0), Q(0, 8)
         (x-3)Û`+(y+2)Û`=rÛ`                                                                                                   
         이 원이 점 (5, 1)을 지나므로                                           두 점 P, Q를 지름의 양 끝 점으로 하는 원의 중심의 좌표는
         (5-3)Û`+(1+2)Û`=rÛ`   ∴ rÛ`=13
                                                                       {             }, 즉 (-5, 4)
                                                                           -10+0 0+8
                                                                                ,
                                                                             2    2
         따라서 구하는 원의 넓이는
                                                                                                                               
         prÛ`=p_13=13p                                       답 13p
                                                                       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1
                                                                         PQÓ=;2!;¿{¹0-(-10)}Û`+(8-0)Û`='41
         1116    중심이 y축 위에 있으므로 원의 방정식을                                2
         xÛ`+(y-b)Û`=rÛ`                                                                                                       
         으로 놓으면 이 원이 두 점 (-1, 2), (3, 4)를 지나므로                         따라서 구하는 원의 방정식은 (x+5)Û`+(y-4)Û`=41
         1+(2-b)Û`=rÛ`, 9+(4-b)Û`=rÛ`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b=5, rÛ`=10                                                                       답 (x+5)Û`+(y-4)Û`=41
        ③ xÛ`+yÛ`+x+y+1=0에서 {x+;2!;}2`+{y+;2!;}2`=-;2!;
                                                               ∴ 3a+b=-5                             yy ㉠
                                                               PBÓ=PCÓ에서 PBÓ Û`=PCÓ Û`이므로
                                                               (a-1)Û`+(b-2)Û`=(a-3)Û`+(b-4)Û`
            -;2!;<0이므로 원이 아니다.
                                                               ∴ a+b=5                               yy ㉡
        ④ xÛ`+yÛ`+4x+2y-1=0에서 (x+2)Û`+(y+1)Û`=6
                                                               ㉠, ㉡을 연립하여 풀면 a=-5, b=10
        ⑤ xÛ`+yÛ`-2x+4y=0에서 (x-1)Û`+(y+2)Û`=5
                                                               즉, 원의 중심은 P(-5, 10)이고, 반지름의 길이는
        따라서 원의 방정식이 아닌 것은 ③이다.                         답③
                                                               PAÓ=¿¹{-5-(-5)}Û`+(0-10)Û`=10
        1123 xÛ`+yÛ`+2kx-5kÛ`-6k-4=0에서                         따라서 원의 방정식은
        (x+k)Û`+yÛ`=6kÛ`+6k+4                                  (x+5)Û`+(y-10)Û`=100
        이 방정식이 반지름의 길이가 2 이하인 원을 나타내려면                         이때 점 (k, 16)이 이 원 위의 점이므로
        0<6kÛ`+6k+4É4                                          (k+5)Û`+(16-10)Û`=100
        Ú 6kÛ`+6k+4>0에서                                        kÛ`+10k-39=0, (k+13)(k-3)=0  
                                                               ∴ k=3 (∵ k>0)
            `6{k+;2!;}Û`+;2%;>0, 즉 k는 모든 실수이다.
                                                                                                         답①
        Û 6kÛ`+6k+4É4에서
                                                               1127 원의 중심을 P(a, b)라 하면 PAÓ=PBÓ=PCÓ
            `kÛ`+kÉ0, k(k+1)É0  
                                                               PAÓ=PBÓ에서 PAÓ Û`=PBÓ Û`이므로
            `∴ -1ÉkÉ0
                                                               (a-1)Û`+(b-2)Û`=(a-2)Û`+(b-1)Û`
        Ú, Û에서 실수 k의 값의 범위는 -1ÉkÉ0                     답②
                                                               ∴ a-b=0                               yy ㉠
                                                               PBÓ=PCÓ에서 PBÓ Û`=PCÓ Û`이므로
        1124 xÛ`+yÛ`-4x+aÛ`-4a-1=0에서
        (x-2)Û`+yÛ`=-aÛ`+4a+5                                  (a-2)Û`+(b-1)Û`=(a-3)Û`+(b-1)Û`
128 정답과 풀이
(x+a)Û`+(y-2)Û`=aÛ`-b+4 즉, |-2|=|-a|="ÃaÛ`+b-6이므로
         가 같다.
         즉, |-a|="ÃaÛ`-b+4이므로                                    1136 xÛ`+yÛ`-4x+8y+4=0에서
         aÛ`=aÛ`-b+4   ∴ b=4                                     (x-2)Û`+(y+4)Û`=16
                                                           답1    ∴ M='41+4, m='41-4
                                                                 ∴ Mm=('41+4)('41-4)=25                       답④
          단계                       채점요소                  배점
                원이 점 (3, -1)을 지남을 이용하여 a, b 사이의 관계식 세
                                                        20 %
                우기                                               1137 점 (3, -6)과 원의 중심 (0, 0) 사이의 거리는
               원의 방정식을 (x-p)Û`+(y-q)Û`=rÛ`의 꼴로 나타내기     20 %    "Ã3Û`+(-6)Û`=3'5
               a, b의 값 구하기                              40 %    이고, 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r이므로 점 (3, -6)에서 원에 이르
               a+b의 값 구하기                               20 %
                                                                 는 거리의 최댓값은 3'5+r이다.
                                                                                                   12. 원의 방정식   129
        4a=8   ∴ a=2                                           답2
                                                                                                   (단, k+-1) yy ㉠
                                                                      (1+k)xÛ`+(1+k)yÛ`+(-8+4k)x                  
130 정답과 풀이
         1148 원의 중심 (-2, 3)과 직선 3x+4y+2=0 사이의 거            1152 x축과 y축에 동시에 접하고 중심이 제 1 사분면 위에 있
         리는                                                는 원의 방정식을
         |-6+12+2|
                     =;5*;                                 (x-a)Û`+(y-a)Û`=aÛ` (a>0)
           "Ã3Û`+4Û`
                                                           으로 놓으면 원의 중심 (a, a)와 직선 5x+12y-8=0 사이의
         원의 반지름의 길이가 'a이므로 원과 직선이 서로 다른 두 점에
                                                           거리는
         서 만나려면
                                                           |5a+12a-8| |17a-8|
         ;5*;<'a   ∴ a>;2^5$;=2.56                           "Ã5Û`+12Û`
                                                                        =
                                                                          13
9mÛ`>mÛ`+1, mÛ`>;8!;
                                                                                                    }2`=®;2&;=
         4
                                                                                                 1             '1\4
        -8mÛ`+1<0, mÛ`>;8!;                                     AHÓ=ÚÞCAÓ Û`-CHÓ Û` =¾¨2Û`-{
                                                                                                 '2             2
                   '2       '2                                  ∴ ABÓ=2AHÓ='14                                                    답 '14
        ∴ m<-         또는 m>
                    4        4
                                                                1157 원 xÛ`+yÛ`-4x+10y+9=0이 y축과 만나는 점의 y좌
        1154 원의 중심 (a, 0)과 직선 x+y-3=0 사이의 거리는                   표는 x=0을 대입하면
         |a+0-3| |a-3|                                          yÛ`+10y+9=0, (y+9)(y+1)=0
                    =
          "Ã1Û`+1Û`   '2
                                                                ∴ y=-9 또는 y=-1
        원의 반지름의 길이가 1이므로 원과 직선이 만나지 않으려면                        따라서 주어진 원이 y축과 만나는 두 점은 (0, -9), (0, -1)
        |a-3|                                                   이므로 구하는 현의 길이는
              >1, |a-3|>'2
          '2
                                                                |-1-(-9)|=8                                                             답8
        a-3<-'2 또는 a-3>'2
        ∴ a<3-'2 또는 a>3+'2
                                                                1158 오른쪽 그림과 같이 주어진 원                                   Z           ZY          L
        따라서 자연수 a의 최솟값은 1이다.                              답1                                                           #
                                                                과 직선의 두 교점을 A, B, 원의 중심
                                                                                                                    )
                                                                O(0, 0)에서 직선 y=x+k에 내린 수                   
        1155 주어진 두 점을 지름의 양 끝 점으로 하는 원의                         선의 발을 H라 하면
                                                                                                                            0         Y
                                                                                                              "
                        -2+4 -1-3
        중심의 좌표는 {           ,     }, 즉 (1, -2)                                1
                          2    2                                ABÓ=4'2에서 AHÓ= ABÓ=2'2                              
                                                                              2
                         1
        반지름의 길이는           ¿{¹4-(-2)}Û`+{-3-(-1)}Û`='10        직각삼각형 OAH에서
                         2
                                                               OHÓ=ÚÞOAÓ Û`-AHÓ Û`="Ã3Û`-(2'2)Û`=1                                yy ㉠
        원의 중심 (1, -2)와 직선 y=3x+k, 즉 3x-y+k=0 사이                 또, 점 O(0, 0)과 직선 y=x+k, 즉 x-y+k=0 사이의 거리
        의 거리는                                                                 |k|       |k|
                                                                는 OHÓ=                =                                             yy ㉡
                                                                                        '2
                                                                                            
         |3+2+k|        |k+5|                                            "Ã1Û`+(-1)Û`
                      =
         "Ã3Û`+(-1)Û`    '10                                              |k|
                                                                ㉠, ㉡에서         =1이므로 |k|='2
                                                                           '2
        원의 반지름의 길이가 '10이므로 원과 직선이 만나지 않으려면
         |k+5|                                                  ∴ k='2 (∵ k>0)                                                          답②
               >'10, |k+5|>10
          '10
        k+5<-10 또는 k+5>10                                       1159 오른쪽 그림과 같이 주어진                                                  Z           
답6 
132 정답과 풀이
         1160 xÛ`+yÛ`-2x+4y-4=0에서
         (x-1)Û`+(y+2)Û`=9                                                         1165 원의 중심 (0, 0)과 직선 3x-4y+k=0 사이의 거리
                                                  "  
                                                                                   는
         원의 중심 C(1, -2)와 점 A(-2, 3)
                                                                                        |k|       |k|
                                                                                                =
                                                                                   "Ã3Û`+(-4)Û`
         사이의 거리는                                            `                                   5
         CAÓ="Ã(-2-1)Û`+{3-(-2)}Û`                              $  
                                                                                                                                       
                                                             
               ='34                                   #
                                                                                   이고, 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2이므로 원 위의 점과 직선 사이의
         △ABC는 직각삼각형이므로
                                                                                   거리의 최댓값은
         ABÓ=ÚÞCAÓ Û`-CBÓ Û`="Ã('34)Û`-3Û`=5                          답④         |k|
                                                                                       +2=5, |k|=15
                                                                                    5
         1161     xÛ`+yÛ`+4x-8y+4=0                    Q                           ∴ k=15 (∵ k>0)
                                                   4
         에서                             C(-2,`4)              10                                                                       
         (x+2)Û`+(y-4)Û`=16                                                                                                         답 15
                                                                      P(a,`0)
         원의 중심 C(-2, 4)와 점 	                                                       단계                    채점요소                      배점
         P(a, 0) 사이의 거리는                                                                 원의 중심과 주어진 직선 사이의 거리 구하기                 40 %
         CPÓ="Ã{a-(-2)}Û`+(0-4)Û`                                                    k의 값 구하기                                 60 %
            ="ÃaÛ`+4a+20
         접점을 Q라 하면 △CPQ는 직각삼각형이므로
         CPÓ Û`=CQÓ Û`+PQÓ Û`에서                                                    1166 xÛ`+yÛ`-10x+6y+25=0에서
         aÛ`+4a+20=4Û`+10Û`, aÛ`+4a-96=0                                           (x-5)Û`+(y+3)Û`=9
         (a-8)(a+12)=0   ∴ a=8 (∵ a>0)                                 답③         원의 중심 (5, -3)과 직선 x+2y-9=0 사이의 거리는
                                                                                   |5-6-9|
                                                                                              =2'5
                                                                                    "Ã1Û`+2Û`
         1162 △OAP는 직각삼각형이므로
                                                                                   이때 원의 반지름의 길이가 3이므로 원 위의 점 P와 직선 사이의
         APÓ=Ú ÞOPÓ Û`-OAÓ Û`="Ã4Û`-2Û`=2'3
                                                                                   거리를 d라 하면
         이때 △OAPª△OBP(RHS 합동)이므로 사각형 OAPB의 넓
                                                                                   2'5-3ÉdÉ2'5+3
         이는
                                                                                   이때 4<2'5<5이므로 d가 될 수 있는 정수는 2, 3, 4, 5, 6, 7
                     1
         2_△OAP=2_{ _2'3_2}                                                      이고, 각각의 거리에 해당하는 점 P가 2개씩 있으므로 구하는 점
                     2
                       =4'3                                          답 4'3        P의 개수는 12이다.                                    답 12
                                                             ;2!;_6_6=18
        1168 기울기가 2인 접선의 방정식을 y=2x+b로 놓으면 원
        의 중심 (1, -2)와 직선 y=2x+b, 즉 2x-y+b=0 사이의                                                                 답 18
        거리는 반지름의 길이 2와 같으므로                                  다른풀이     원의 중심 (3, -1)과 점 (5, 1)을 지나는 직선의 기울
          |2+2+b|                                                 1-(-1)
                      =2, |b+4|=2'5                          기는          =1
         "Ã2Û`+(-1)Û`                                               5-3
이때 b가 y절편이므로 y절편의 곱은 은
        (-4+2'5)_(-4-2'5)=-4                          답①
                                                             y-1=-(x-5)   ∴ y=-x+6
                                                             따라서 구하는 넓이는
                                                             ;2!;_6_6=18
        1169 xÛ`+yÛ`-6x+2y+8=0에서
        (x-3)Û`+(y+1)Û`=2
        기울기가 tan 45ù, 즉 1인 접선의 방정식을 y=x+b로 놓으면               1173 원 xÛ`+yÛ`=5 위의 점 (-2, 1)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원의 중심 (3, -1)과 접선 y=x+b, 즉 x-y+b=0 사이의               -2x+y=5   ∴ 2x-y+5=0                            yy ㉠
        거리는 반지름의 길이 '2와 같으므로                                 xÛ`+yÛ`-6x-4y+a=0에서
          |3+1+b|                                            (x-3)Û`+(y-2)Û`=13-a                            yy ㉡
                      ='2, |b+4|=2
         "Ã1Û`+(-1)Û`
                                                             직선 ㉠이 원 ㉡에 접하려면 원의 중심 (3, 2)와 직선 ㉠ 사이의
        b+4=Ñ2   ∴ b=-2 또는 b=-6
                                                             거리가 반지름의 길이 'Ä13-a와 같아야 하므로
        따라서 구하는 접선의 방정식은
                                                              |6-2+5|
                                                                          ='Ä13-a
        y=x-2 또는 y=x-6                   답 y=x-2 또는 y=x-6   "Ã2Û`+(-1)Û`
                                                             9`          81
                                                                ='Ä13-a,    =13-a
                                                             '5           5
        1170 원 xÛ`+yÛ`=20 위의 점 (a, b)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16                                               16
                                        20                   ∴ a=-                                           답-
        ax+by=20   ∴ y=-;bA;x+                                        5                                                5
                                         b
        이 접선의 기울기가 3이므로
                                                             1174 점 (1, 2)를 지나는 접선의 기울기를 m이라 하면 접선
        -;bA;=3   ∴ a=-3b 	                          yy ㉠
                                                             의 방정식은
        또, 점 (a, b)는 원 xÛ`+yÛ`=20 위의 점이므로                    y-2=m(x-1)   ∴ mx-y-m+2=0 	                     yy ㉠
        aÛ`+bÛ`=20                                   yy ㉡   원과 직선 ㉠이 접하려면 원의 중심 (-2, 1)과 직선 ㉠ 사이의
        ㉠, ㉡을 연립하여 풀면                                        거리가 반지름의 길이 1과 같아야 하므로
        a=-3'2, b='2 또는 a=3'2, b=-'2                         |-2m-1-m+2|
                                                                            =1
        ∴ ab=-6                                       답②      "ÃmÛ`+(-1)Û`
                                                             |1-3m|="ÃmÛ`+1
        1171    원 xÛ`+yÛ`=25 위의 점 (-3, a)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양변을 제곱하면
        -3x+ay=25                                            1-6m+9mÛ`=mÛ`+1, 8mÛ`-6m=0
        이 접선이 점 (5, b)를 지나므로                                 2m(4m-3)=0   ∴ m=0 또는 m=;4#;
        -15+ab=25   ∴ ab=40                          yy ㉠
                                                             따라서 두 접선의 기울기의 합은
        또, 점 (-3, a)는 원 xÛ`+yÛ`=25 위의 점이므로
        9+aÛ`=25, aÛ`=16   ∴ a=4 (∵ a>0)                     0+;4#;=;4#;                                         답②
134 정답과 풀이
                                                                                                              }2`=
         1179 APÓ:BPÓ=3:1이므로                                                                               '2      '14
                                                                           ACÓ=ÚÞO'AÓ Û`-O'CÓ Û`=¾¨2Û`-{
         APÓ=3 BPÓ   ∴ APÓ Û`=9 BPÓ Û`                                                                      2       2
        xÛ`+yÛ`+4x+2y+1=0이므로 두 원의
        공통인 현의 방정식은
        xÛ`+yÛ`-5-(xÛ`+yÛ`+4x+2y+1)=0
        ∴ 2x+y+3=0
                                                                                     시험에       꼭 나오는 문제                본문 166~169쪽
        원 xÛ`+yÛ`=5의 중심 O(0, 0)과 공통인 현 사이의 거리는
                 |3|      3                                                   1184 xÛ`+yÛ`-4x+ay-3=0에서
        OCÓ=
                                                                              (x-2)Û`+{y+;2A;}2`= +7
                        =
               "Ã2Û`+1Û` '5                                                                      aÛ
        직각삼각형 AOC에서                                                                              4
                                                                              원의 반지름의 길이가 4이므로
        ACÓ=¿¹OAÓ Û`-OCÓ Û`=¾¨('5)Û`-{      } =®É5- =
                                          3 Û`     9  4
                                         '5        5 '5                       aÛ
                                                                                 +7=16, aÛ`=36   ∴ a=Ñ6
                                                                             4
        따라서 구하는 원의 넓이는                                                        따라서 원의 중심의 좌표는 (2, -3) 또는 (2, 3)이므로 원점과
                                                                              원의 중심 사이의 거리는
                  } =:Á5¤:p
               4 Û`
        p_{
               '5                                                             "Ã2Û`+3Û`='13                                 답 '13
                                                                       
                                                              답 :Á5¤:p
                                                                              1185 직선 y=2x+k가 원 (x+2)Û`+(y+3)Û`=20의 둘레
          단계                      채점요소                             배점
                                                                              를 이등분하므로 직선은 원의 중심 (-2, -3)을 지난다.
136 정답과 풀이
         두 점 (3, 0), (-1, 0)을 지름의 양 끝 점으로 하는 원의 중심의                     이 원이 점 (4, -2)를 지나므로
                  3-1 0+0                                               (4-r)Û`+(-2+r)Û`=rÛ`
         좌표는 {       ,    }, 즉 (1, 0)
                   2   2                                                rÛ`-12r+20=0, (r-2)(r-10)=0
         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2!;_|-1-3|=2                                      ∴ r=2 또는 r=10
                                                                        따라서 두 원의 반지름의 길이의 합은
         따라서 구하는 원의 방정식은
                                                                        2+10=12                                         답④
         (x-1)Û`+yÛ`=4                                            답②
        Ü D<0,
             즉 -kÛ`+45<0일 때,                                H라 하면 ABÓ=8이므로                   A
                                                                                                       5   C(1, 1)
            kÛ`-45>0      ∴ k<-3'5 또는 k>3'5                   AHÓ=;2!;ABÓ=4
            따라서 k<-3'5 또는 k>3'5이면 교점은 없다.                     또, 원의 중심 C(1, 1)과 직선 
        따라서 옳은 것은 ②이다.                                 답②    y=x+k, 즉 x-y+k=0 사이의 거리는
                                                                 |1-1+k|        |k|
                                                              CHÓ=            =
        1197 y=x+k를 xÛ`+yÛ`-2x-4y+1=0에 대입하면                      "Ã1Û`+(-1)Û`   '2
        xÛ`+(x+k)Û`-2x-4(x+k)+1=0                             직각삼각형 CAH에서 CAÓ Û`=CHÓ Û`+AHÓ Û`이므로
        ∴ 2xÛ`+(2k-6)x+kÛ`-4k+1=0
                                                                       } +4Û`, 25= +16
                                                                   |k| Û`         kÛ`
                                                              5Û`={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원과 직선이 서로 다른 두                          '2            2
                                                              kÛ`=18   ∴ k=3'2 (∵ k>0)                              답②
        점에서 만나므로
         D
           =(k-3)Û`-2(kÛ`-4k+1)>0
         4                                                    1201 원의 중심 C(1, 2)와 점 P(4, 5)                      1  
        -kÛ`+2k+7>0, kÛ`-2k-7<0                               사이의 거리는
        ∴ 1-2'2<k<1+2'2                                       CPÓ=¿(¹4-1)Û`+(5-2)Û`=3'2
        따라서 정수 k는 -1, 0, 1, 2, 3의 5개이다.                답④                                         "
                                                              △CAP는 직각삼각형이므로                              .
138 정답과 풀이
          3'2      5'2
              +'2=
           2        2
         따라서 삼각형 PAB의 넓이의 최댓값은                                                              1207 점 (2, 3)을 중심으로 하고 y축에 접하는 원의 방정식은
                     5'2                                                                    (x-2)Û`+(y-3)Û`=2Û`
         ;2!;_4'2_       =10                                                  답 10
                      2                                                                     xÛ`-4x+4+yÛ`-6y+9=4  
                                                                                            ∴ xÛ`+yÛ`-4x-6y+9=0
                                                       1
         1203 직선 x+'3y-1=0의 기울기는 -                    '3
                                                         이므로 이 직선                                                                                   
은 y='3xÑ'12"Ã('3)Û`+1 a+b+c=-1
∴ y='3x+4'3 또는 y='3x-4'3 
답 y='3x+4'3 또는 y='3x-4'3 답 -1
단계 채점요소 배점
        -3x+4y=25   ∴ 3x-4y+25=0                                 yy ㉠
                                                                                1213 xÛ`+yÛ`-4x=0에서 (x-2)Û`+yÛ`=4  
        이 직선이 원 O에 접하므로 원 O의 중심 (-6, 8)과 직선                                      ∴ C(2, 0)
3x-4y+25=0 사이의 거리는 원 O의 반지름의 길이와 같다. 점 P의 좌표를 (a, b)라 하고 삼각형 ACP의 넓이를 n이라 하
즉, 원 O의 반지름의 길이는 면
1211 ∠APB=∠AQB=90ù y
        {               }, 즉 (0, 1)
            -'5+'5 -1+3
                  ,
              2      2
140 정답과 풀이
            13
                                                                     1230 y+1=-2(x-2)-3  
                            도형의 이동                                   ∴ y=-2x                                   답 y=-2x
                                                                     1231 y+1=-(x-2)Û`+4  
                 교과서 문제           정 /복 /하 /기         본문 171쪽, 173쪽   ∴ y=-xÛ`+4x-1                      답 y=-xÛ`+4x-1
         1223 x-4=0, y+6=7이므로                                        1236 주어진 포물선을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y축의 방향으로
         x=4, y=1   ∴ (4, 1)                            답 (4, 1)
                                                                     5만큼 평행이동하면 원래의 포물선과 일치하므로 구하는 포물선
                                                                     의 방정식은
         1224 x-4=6, y+6=-8이므로                                       y-5=-(x-2)Û`
         x=10, y=-14   ∴ (10, -14)                 답 (10, -14)      ∴ y=-xÛ`+4x+1                      답 y=-xÛ`+4x+1
         1225 x-4=-3, y+6=-10이므로                                     1237   답 ⑴ (-1, -3)  ⑵ (1, 3)  ⑶ (1, -3)  	     
         x=1, y=-16   ∴ (1, -16)                    답 (1, -16)               ⑷ (3, -1)      ⑸ (-3, 1)
            a+p      b+q
                =-2,     =-1  
             2        2                                           1250 점 (-3, 2)를 점 (1, -4)로 옮기는 평행이동을
           ∴ a=-p-4, b=-q-2                                       (x, y) Ú (x+m, y+n)이라 하면
142 정답과 풀이
5=-4m-7 ∴ m=-3 답②
         a(x-4)-2(y-n)-a+1=0
         ∴ ax-2y-5a+2n+1=0
         이 직선이 직선 3x-2y-6=0과 일치하므로                                 1258 주어진 평행이동에 의하여 원 (x-3)Û`+yÛ`=1이 옮겨
         a=3, -5a+2n+1=-6                                          지는 원의 방정식은
144 정답과 풀이
                                                                  ∴ a=5                                          답③
         1269 P(-2, -1) 1Ú (-2, 1) 1Ú (2, -1)
                                ㈎                ㈏
                                                           
         1273 중심이 점 (3, -2)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k인 원의 방정                   1278 원 xÛ`+yÛ`-4x-2y=0을 x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원
         식은 (x-3)Û`+(y+2)Û`=kÛ`                                   의 방정식은
         이 원을 x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원의 방정식은                               xÛ`+(-y)Û`-4x-2(-y)=0  
         (x-3)Û`+(-y+2)Û`=kÛ`                                     xÛ`+yÛ`-4x+2y=0   ∴ (x-2)Û`+(y+1)Û`=5
         ∴ (x-3)Û`+(y-2)Û`=kÛ`                                                                                       
                                                                                                    13. 도형의 이동   145
146 정답과 풀이
         {
             1+3 2+4
                ,    }, 즉 (2, 3)                       답 (2, 3)
                                                                   점이므로 a-2b+5=0                                                yy ㉠
              2   2
                                                                                                                                             
                                                                   또, 두 점 (0, 0), (2, -4)를 지나는 직선이 직선
         1287 직선 l의 방정식을 y=ax+b라 하면 	 
         두 점 P(1, 5),  Q(3, 3)에 대하여 PQÓ의 중점 (2, 4)가 직선 l           ax+by+5=0, 즉 y=-;bA;x-;b%;와 수직이므로
                                                                   -4-0
                                                                        _{-;bA;}=-1   ∴ b=-2a
         위의 점이므로
                                                                                                                                 yy ㉡
         4=2a+b                                         yy ㉠       2-0
                                                                                                                                             
         또, 직선 PQ가 직선 l과 수직이므로
                                                                   ㉠, ㉡을 연립하여 풀면 a=-1, b=2  
          3-5
              _a=-1   ∴ a=1
          3-1                                                      ∴ a+b=1
         a=1을 ㉠에 대입하면 b=2                                                                                                                    
         따라서 직선 l의 방정식은 y=x+2                                                                                                            답1
         이때 직선 l의 x절편은 -2, y절편은 2이므로 직선 l과 x축, 	                    단계                       채점요소                                    배점
         y축으로 둘러싸인 삼각형의 넓이는                                             두 원의 중심을 이은 선분의 중점이 직선 위의 점임을 알기                            40 %
 a+b의 값 구하기 20 %
        따라서 APÓ+BPÓ가 최소일 때의 점 P의 좌표는 {0, :Á4»:}이다.                                 (4+a, -1-2), 즉 (a+4, -3)
                                                                                   이 점이 점 (2, b)와 일치하므로
                                     답 최솟값 : 10, 점 P의 좌표 : {0, :Á4»:}              a+4=2, -3=b   ∴ a=-2, b=-3  
                                                                                   ∴ a+b=-5                                           답①
148 정답과 풀이
         좌표는 (-1, 2)                                                                           Y                    0 Y
                                                                                0                                                      G Z Y 
         포물선 y=-xÛ`+6x-13, 즉 y=-(x-3)Û`-4의 꼭짓점의
                                                                               따라서 방정식 f(-y, x)=0이 나타내는 도형은 ①이다.
         좌표는 (3, -4)
                                                                                                                                              답①
         두 꼭짓점 (-1, 2), (3, -4)를 이은 선분의 중점의 좌표가                                참고   원의 중심이 이동한 점의 좌표를 생각한다.
         (a, b)이므로
                                                                                          y축에 대하여                          y=x에 대하여
              -1+3        2-4                                                   (1, 1) 1111111Ú (-1, 1) 1111111Ú (1, -1)
         a=        =1, b=     =-1                                                          대칭이동                             대칭이동
                2          2
            단계                    채점요소                                  배점
                                                                                 1311   두 삼각형 OAB, O'A'B'에 내접하는 원을 각각 C, C'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원의 방정식 구하기                           20 %
                평행이동한 원의 방정식 구하기                                       20 %     이라 하자.
                                                                                 원 C의 반지름의 길이를 r라 하면 원 	      y
                a, b의 값 구하기                                            40 %                                              B'
                ab의 최댓값 구하기                                            20 %     C는 x축과 y축에 동시에 접하고 중심
                                                                                                               B
                                                                                 이 제 1 사분면 위에 있으므로 중심의         r      O'         A'
150 정답과 풀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