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70072801A - 데이터 통신 방법 및 데이터 통신 장치 - Google Patents

데이터 통신 방법 및 데이터 통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72801A
KR970072801A KR1019970007140A KR19970007140A KR970072801A KR 970072801 A KR970072801 A KR 970072801A KR 1019970007140 A KR1019970007140 A KR 1019970007140A KR 19970007140 A KR19970007140 A KR 19970007140A KR 970072801 A KR970072801 A KR 9700728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data communication
frame number
communication apparatus
trans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71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90127B1 (ko
Inventor
구니오 후꾸다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브유끼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브유끼,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브유끼
Publication of KR9700728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728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01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01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78Avoidance of errors by organising the transmitted data in a format specifically designed to deal with errors, e.g. location
    • H04L1/0083Formatting with frames or packets; Protocol or part of protocol for erro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607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 H04L1/1621Group acknowledgement, i.e. the acknowledgement message defining a range of identifiers, e.g. of sequence numb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09Selective-repeat protoc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첫번째 소정 프레임 번호에서 마지막 소정 프레임 번호까지의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측 데이터통신장치에서 수신측 데이터통신장치로 오름차순(또는 내림차순)으로 송신하는 단계와, 수신된 첫번째에서 n번째까지의 데이터 프레임의 프레임 번호에 의거해서 수신되지 않은 데이터 프레임의 프레임 번호들 중에서 최소(또는 최대) 프레임번호(FBM(n))로 이루어진 첫번째 요청 프레임 번호(FBI(n))를 지정하며 데이터 프레임과 동일한 포맷을 가지는 피드백 프레임을 수신측 데이터통신장치에서 송신측 데이터통신장치로 송신하는 단계와, 수신된 피드백 프레임에 지정된 첫번째의 요청 프레임 변화에 의거해서, 수신측 데이터통신 장치가 확인하지 않은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측 데이터통신장치에서 수신측 데이터통신장치로 송신하는 단계와를 갖추어 이루어지는 데이터 통신방법에 있어서, 피드백 프레임은 또한 수신측 데이터통신장치가 수신한 첫번째에서 n번째까지의 데이터 프레임의 프레임 번호에 의거해서 수신되지 않은 데이터 프레임의 프레임 번호 중에서 프레임 번호({FBM(n)+1}) (또는 {FBM(n)-1}))로 이루어진 두번째의 반복 프레임 번호(FB2(n)에서부터 프레임 번호 ({FBM(n)+(k-1}) (또는 {FBM(n)-(k-1}) (k 는 2를 초과하는 정수) 로 이루어진 k번째의 요청 프레임 번호 (FBk(n))까지를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데이터 통신 방법 및 데이터 통신 장치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이다.

Claims (16)

  1. 데이터통신방법에 있어서, 첫번째 소정 프레임 번호에서 마지막 소성 프레임 번호까지의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측 데이터통신장치에서 수신측 데이터통신장치로 오름차순(또는 내림 차순)으로 송신하는 단계와; 수신된 첫번째에서 n번째까지의 프레임의 프레임 번호에 의거해서 수신되지 않은 데이터 프레임의 번호 중에서 최소(또는 최대) 프레임 번호 FBM(n)로 이루어진 첫번째 요청 프레임 번호(FB1(n))를 지정하는 피드백 프레임을 상기 수신측 데이터통신장치에서 상기 수신측 데이터통신장치로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피드백 프레임에 의해 지정된 상기 첫번째 요청 프레임 번호(FB1(n))에 의거해서, 상기 수신측 데이터통신장치가 확인되지 않은 데이터 프레임을, 상기 수신측 데이터통신장치에서 상기 수신측 데이터통신장치로 송신하는 단계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여기서, 상기 피드백 프레임은 또한, 상기 수신측 데이터통신장치가 수신한 첫번째에서 n번째 까지의 데이터 프레임의 프레임 번호에 의거해서, 수신되지 않은 데이터 프레임의 프레임 번호 중에서 프레임 번호{FBM(n)+1}) (또는 {FBM(n)-1})로 이루어진 두 번째의 반복 프레임 번호(FB2(n)에서부터 프레임 번호 {FBM(n)+(k-1}) (또는 (FBM(n)-(k-1}) (k는 2를 초과하는 정수)로 이루어진 k번째의 요청 프레임 번호 (FBk(n))까지를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통신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피드백 프레임에 의해 지정된 상기 첫번째 요청 프레임 번호(FB1(n))와 상기 수신된 피드백 프레임에 의해 지정된 상기 두 번째 내지 k번째 요청 프레임 번호(FB2(n))∼(FBk(n))에 의거해서, 상기 수신측 데이터통신장치는 상기 수신측 데이터통신장치가 수신하지 않은 지정 프레임 번호를 갖는 데이터 프레임을 상기 수신측 데이터통신장치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방법.
  3. 데이터 통신방법에 있어서, 첫번째 소정 프레임 번호에서 마지막 소정 프레임 번호까지의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측 데이터통신장치에서 수신측 데이터통신장치로 오름차순(또는 내림차순)으로 송신하는 단계와; 수신된 첫번째에서 n번째까지의 프레임의 프레임 번호에 의거해서 수신되지 않은 데이터 프레임의 번호 중에서 최소 (또는 최대) 프레임 번호 (FBM(n))로 이루어진 첫번째 요청 프레임 번호 (FB1(n))를 지정하며 또한 상기 데이터 프레임과 동일한 포맷을 갖는 피드백 프레임을, 상기 수신측 데이터통신장치에서 상기 수신측 데이터통신장치로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피드백 프레임에 대해 지정된 상기 첫번째 요청 프레임 번호 (FB1(n))에 의거해서, 상기 수신측 데이터통신장치가 확인하지 않은 데이터 프레임을, 상기 수신측 데이터통신장치에서 상기 수신측 데이터통신장치로 송신하는 단계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여기서, 만일 상기 피드백 프레임 내에 포함될 송신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피드백 프레임은, 상기 수신측 데이터통신장치가 수신한 첫번째에서 n번째까지의 데이터 프레임의 프레임 번호에 의거해서, 수신되지 않은 데이터 프레임의 프레임 번호중에서 프레임 번호 ({FBM(n)+1}) (또는 {FBM(n)-1})로 이루어진 두 번째의 반복 프레임 번호 (FB2(n))에서부터 프레임 번호 ({FBM(n)+(k-1)) (또는 {FBM(n)-(k-1)}) (k 는 2를 초과하는 정수)로 이루어진 k번째의 요청 프레임 번호(FBk(n))까지를 지정하는 데이터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피드백 프레임에 의해 지정된 상기 첫번째 요청 프레임 번호(FB1(n))와 상기 수신된 피드백 프레임에 의해 지정된 상기 두 번째 내지 k번째 요청 프레임 번호 (FB2(n))∼(FBk(n))에 의거해서, 상기 수신측 데이터통신장치는 상기 수신측 데이터통신장치가 정확하게 수신하지 않은 지정 프레임 번호를 갖는 데이터 프레임을 상기 수신측 데이터통신장치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방법.
  5. 첫번째 소정 프레임 번호에서 마지막 소정 프레임 번호까지의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측 데이터통신장치에서 수신측 데이터통신장치로 오름차순(또는 내림차순)으로 송신하는 단계와, 수신된 첫번째에서 n번째까지의 데이터 프레임의 프레임 번호에 의거해서 수신되지 않은 데이터 프레임의 프레임 번호 중에서 최소(또는 최대) 프레임 번호(FBM(n))로 이루어진 첫번째 요청 프레임 번호 (FB1(n))를 지정하는 피드백 프레임을, 상기 수신측 데이터통신장치에서 상기 수신측 데이터통신장치로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피드백 프레임에 의해 지정된 상기 첫번째 요청 프레임 번호(FB1(n))에 의거해서, 상기 수신측 데이터 송신장치가 확인되지 않은 데이터 프레임을, 상기 수신측 데이터통신장치에서 상기 수신측 데이터통신장치로 송신하는 단계와를 포함하는 데이터 통신방법을 이용하는 데이터통신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가 상시 송신측 데이터통신장치로써 기능할 경우 송신 프레임을 처리하고, 상기 장치가 상기 수신측 데이터통신장치로써 기능할 경우 피드백 프레임을 처리하기 위한 신호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여기서, 상기 피드백 프레임은 또한, 상기 수신측 데이터 통신 장치가 수신한 첫번째에서 n번째 까지의 데이터 프레임의 프레임 번호에 의거해서, 수신되지 않은 데이터 프레임의 프레임 번호중에서 프레인 번호 ({FBM(n)+1}) (또는 {FBM(n)-1})로 이루어진 두 번째의 반복 프레임 번호(FB2(n))에서부터 프레임 번호 ({FBM(n)+(k-1)}) (또는 {FBM(n)-(k-1)}) (k는 2를 초과하는 정수)로 이루어진 k번째의 요청 프레임 번호 (FBk(n))까지를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통신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피드백 프레임에 의해 지정된 상기 첫번째 요청 프레임 번호 (FB1(n))와 상기 수신된 피드백 프레임에 의해 지정된 상기 두 번째 내지 k번째의 요청프레임 번호 (FB2(n)∼FBk(n))에 의거 해서, 상기 수신측 데이터통신장치는, 상기 수신측 데이터통신장치가 정확하게 수신하지 않은 지정 프레임 번호를 갖는 데이터 프레임을 상기 수신측 데이터통신장치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통신장치.
  7. 첫번째 소정 프레임 번호에서 마지막 소정 프레임 번호까지의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측 데이터통신장치에서 수신측 데이터통신장치로 오름차순(또는 내림차순)으로 송신하는 단계와, 수신된 첫번째에서 n번째까지의 데이터 프레임의 프레임 번호에 의거해서 수신되지 않은 데이터 프레임의 프레임 번호 중에서 최소(또는 최대) 프레임 번호 FBM(n)로 이루어진 첫번째 요청 프레임 번호 FB1(n)를 지정하며 상기 데이터 프레임과 동일한 포맷을 갖는 피드백 프레임을, 상기 수신측 데이터통신장치에서 상기 수신측 데이터통신장치로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피드백 프레임에 의해 지정된 상기 첫번째 요청 프레임 번호FB1(n)에 의거해서 상기 수신측 데이터통신장치가 확인되지 않은 데이터 프레임을, 상기 수신측 데이터통신장치에서 상시 송신측 데이터통신장치로 송신하는 단계와를 포함하는 데이터통신방법을 이용하는 데이터통신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가 상기 송신측 데이터통신장치로써 기능할 경우에는 송신 프레임을 처리하고, 상기 장치가 상기 수신측 데이터통신장치로써 기능할 경우에는 피드백 프레임을 처리하기 위한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여기서, 만일 상기 피드백 프레임에 포함되는 송신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상기 피드백 프레임은 상기 수신측 데이터통신장치가 수신한 첫번째에서 n번째까지의 데이터 프레임의 프레임 번호에 의거하여 수신되지 않은 데이터 프레임의 프레임 번호중에서 프레임 번호 ({FBM(n)+1}) (또는 {FBM(n)-1})로 이루어진 두 번째의 반복 프레임 번호(FB2(n))에서부터 프레임 번호 ({FBM(n)+(k-1)}) (또는 {FBM(n)-(k-1)}) (k는 2를 초과하는 정수)로 이루어진 k번째의 요청 프레임 번호 (FBk(n))까지를 지정하는 데이터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통신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피드백 프레임에 의해 지정된 상기 첫번째 요청 프레임 번호 (FB1(n))와 상기 수신된 피드백 프레임에 의해 지정된 상기 두번째 내지 k번째의 요청 프레임 번호 (FB2(n)∼FBk(n))에 의거해서 상기 수신측 데이터통신장치는 상기 수신측 데이터통신장치가 정확하게 수신하지 않은 지정 프레임번호를 갖는 데이터 프레임을 상기 수신측 데이터통신장치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통신장치.
  9. 첫번째 소정 프레임 번호에서 마지막 소정 프레임 번호까지의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측 데이터통신장치에서 수신측 데이터통신장치로 오름차순(또는 내림차순)으로 송신하는 단계와, 수신된 첫번째에서 n번째까지의 데이터 프레임의 프레임 번호에 의거해서 수신되지 않은 데이터 프레임의 프레임 번호 중에서 최소(또는 최대) 프레임 번호 (FBM(n))로 이루어진 첫번째 요청 프레임 번호 (FB1(n))를 지정하는 피드백 프레임을, 상기 수신측 데이터통신장치에서 상기 수신측 데이터통신장치로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피드백 프레임에 의해 지정된 상기 첫번째의 요청 프레임 번호 (FB1(n))에 의거해서, 상기 수신측 데이터통신장치가 확인되지 않은 데이터 프레임을, 상기 송신측 데이터통신장치에서 상기 수신측 데이터통신장치로 송신하는 단계와를 포함하는 데이터 통신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신측 데이터통신장치가 수신한 첫번째에서 n번째까지의 데이터 프레임의 프레임 번호에 의거해서, 수신되지 않은 데이터 프레임의 프레임 번호중에서 프레임 번호 ({FBM(n)+1}) (또는 {FBM(n)-1})로 이루어진 두 번째의 반복 프레임 번호(FB2(n))에서부터 프레임 번호 ({FBM(n)+(k-1)}) (또는 {FBM(n)-(k-1)}) (k는 2를 초과하는 정수)로 이루어진 k번째의 요청 프레임 번호 (FBk(n))까지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첫번째 요청 프레임 번호 (FB1(n))를 지정하는 피드백 프레임을 매α1번 송신하는 동안(α1은 α11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매β1번 송신할 때(β1은 0β1α1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상기 요청 프레임 번호 (FB1(n))를 상기 두 번째의 요청 프레임 번호 (FB2(n))로 대체하고. …, 상기 첫번째 요청 프레임 번호 (FB(k-1)(n))를 지정하는 피드백 프레임을 매 α(k-1)번 송신하는 동안 (α(k-1)은 α(k-1)1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매 β(k-1)번 송신할 때 (β(k-1)은 0β(k-1)α(k-1)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상기 요청 프레임 번호 (FB(k-1)(n))를 상기 두 번째 요청 프레임 번호 (FBk(n))로 대체하는 단계와; 상기 피드백 프레임 내에, 상기 첫번째에서 k번째까지의 요청 프레임 번호((FB1(n))~FBk(n)중 어느 하나를 지정하는 요청 식별자(識別子)를 포함시키는 단계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피드백 프레임에 의해 지정된 상기 요청 프레임 번호와 상기 요청 식별자에 기초하여 첫번째에서 k번째까지의 요청 프레임 번호 (FB1(n)∼(FBk(n))를 구하고, 그것들을 기억수단에 기억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측 데이터통신장치가 확인하지 않은 프레임 번호의 데이터 프레임을,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첫번째에서 k번째까지의 요청 프레임 번호 (FB1(n)∼(FBk(n))의 각각의 최후의 요청 프레임 번호에 의거해서, 상기 수신측 데이터통신장치에서 상기 수신측 데이터통신장치로 송신하는 단계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방법.
  11. 첫번째 소정 프레임 번호에서 마지막 소정 프레임 번호까지의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측 데이터통신장치에서 수신측 데이터통신장치로 오름차순(또는 내림차순)으로 송신하는 단계와, 수신된 첫번째에서 n번째까지의 데이터 프레임의 프레임 번호에 의거해서 수신되지 않은 데이터 프레임의 프레임 번호 중에서 최소(또는 최대)프레임 번호 (FBM(n))로 이루어진 첫번째 요청 프레임 번호(FB1(n))를 지정하는 피드백 프레임을 상기 수신측 데이터통신장치에서 상기 수신측 데이터통신장치로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피드백 프레임에 의해 지정된 상기 첫번째의 요청 프레임 번호(FB1(n))에 의거해서, 상기 수신측 데이터통신장치가 확인되지 않은 데이터 프레임을, 상기 수신측 데이터통신장치에서 상기 수신측 데이터통신장치로 송신하는 단계와를 포함하는 데이터 통신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신측 데이터통신장치가 수신한 첫번째에서 n번째까지의 데이터 프레임의 프레임 번호에 의거해서, 수신되지 않은 데이터 프레임의 프레임 번호중에서 프레임 번호 ({FBM(n)+1}) (또는 {FBM(n)-1})로 이루어진 두 번째의 반복 프레임 번호(FB2(n))에서부터 프레임 번호 ({FBM(n)+(k-1)}) (또는 {FBM(n)-(k-1)}) (k는 2를 초과하는 정수)로 이루어진 k번째의 요청 프레임 번호 (FBk(n))까지를 생성하는 단계와; 첫번째의 소정 조건이 만족될 때, 상기 피드백 프레임 내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첫번째 요청 프레임 번호 (FB1(n))를 상기 두번째 요청 프레임(FB2(n))로 대체하고, …, (K-1)번째의 소정 조건이 만족될 때, 상기 피드백 프레임 내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k-1)번째 요청 프레임 번호 (FB(k-1)(n))를 상기 두 번째 요청 프레임 번호 (FB1(n))로 대체하는 단계와; 상기 첫번째에서 k번째까지의 요청 프레임 번호 (FB1(n)∼(FBk(n))중 어느 하나를 지정하는 요청 식별자(識別子)를 상기 피드백 프레임 내에 포함시키는 단계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피드백 프레임에 의해 지정된 상기 요청 프레임 번호 및 상기 요청 식별자에 기초해서 사이 첫번째 내지 k번째의 요청 프레임 번호(FB1(n)∼(FBk(n))를 구하고, 그것을 기억수단 내에 기억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측 데이터통신장치가 확인되지 않는 프레임 번호의 데이터 프레임을, 상기 기억수단 내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첫번째 내지 k번째 요청 프레임 번호 (FB1(n)∼(FBk(n))의 각각의 최후의 요청 프레임 번호에 의거해서, 상기 수신측 데이터통신장치에서 상기 수신측 데이터통신장치로 송신하는 단계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방법.
  13. 첫번째 소정 프레임 번호에서 마지막 소정 프레임 번호까지의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측 데이터통신장치에서 수신측 데이터통신장치로 오름차순(또는 내림차순)으로 송신하는 단계와, 수신된 첫번째에서 n번째까지의 데이터 프레임의 프레임 번호에 의거해서 수신되지 않은 데이터 프레임의 프레임 번호 중에서 최소(또는 최대) 프레임 번호 (FBM(n))로 이루어진 첫번째 요청 프레임 번호 (FB1(n))를 지정하는 피드백 프레임을, 상기 수신측 데이터통신장치에서 상기 수신측 데이터통신장치로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피드백 프레임에 의해 지정된 상기 첫번째의 요청 프레임 번호(FB1(n))에 의거해서, 상기 수신측 데이터통신장치가 확인되지 않은 데이터 프레임을, 상기 수신측 데이터통신장치에서 상기 수신측 데이터통신장치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통신방법을 이용하는 데이터통신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신측 데이터통신장치가 수신한 첫번째에서 n번째까지의 데이터 프레임의 프레임 번호에 의거해서, 수신되지 않은 데이터 프레임의 프레임 번호중에서 프레임번호 ({FBM(n)+1}) (또는 {FBM(n)-1})로 이루어진 두 번째의 반복 프레임 번호(FB2(n))에서부터 프레임 번호 ({FBM(n)+(k-1)}) (또는 {FBM(n)-(k-1)}) (k는 2를 초과하는 정수)로 이루어진 k번째의 요청 프레임 번호 (FBk(n))까지를 생성하는 신호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또한 상기 신호처리부에서는, 상기 첫번째 요청 프레임 번호 (FB1(n))를 지정하는 피드백 프레임을 매α1번 송신하는 동안(α1은 α11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매β1번 송신할 때(β1은 0β1α1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상기 첫번째의 요청 프레임 번호 (FB1(n))를 상기 두 번째의 요청 프레임 번호 (FB2(n))로 대체하고. …, 상기 (k-1)번째의 요청 프레임 번호(FB(k-1)(n))를 지정하는 피드백 프레임을 매 α(k-1)번송신하는 동안(α(k-1)은 α(k-1)1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매 βk-1번 송신할 때 (β(k-1)은 0β(k-1)α(k-1)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상기(k-1)번째의 요청 프레임 번호(FB(k-1)(n))를 k번째의 요청 프레임 번호(FBk(n)로 대체하며, 상기 신호처리부는 상기 피드백 프레임 내에 상기 첫번째에서 k번째까지의 요청 프레임 번호 (FB1(n)∼(FBk(n)) 중 어느 하나를 지정하는 요청 식별자(識別子)를 포함하게끔 하는 신호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통신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첫번째 내지 k번째의 요청 프레임 번호 (FB1(n)∼(FBk(n))는 상기 수신된 피드백 프레임에 의해 지정된 상기 요청 프레임 번호 및 상기 요청 식별자에 기초하여 구해지고 기억수단 내에 기억되며, 상기 수신측 데이터통신장치가 확인 하지 않은 프레임 번호의 데이터 프레임은, 상기 기억수단 내에 기억된 상기 첫번째 내지 k번째의 요청 프레임 번호 (FB1(n)∼(FBk(n))의 각각의 최후의 요청 프레임 번호 의거해서, 상기 수신측 데이터통신장치에서 상기 수신측 데이터통신장치로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통신장치.
  15. 첫번째 소정 프레임 번호에서 마지막 소정 프레임 번호까지의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측 데이터통신장치에서 수신측 데이터통신장치로 오름차순(또는 내림차순)으로 송신하는 단계와, 수신된 첫번째에서 n번째까지의 데이터 프레임의 프레임 번호에 의거해서 수신되지 않은 데이터 프레임의 프레임 번호 중에서 최소(또는 최대)프레임 번호(FBM(n)로 이루어진 첫번째 요청 프레임 번호 (FB1(n)를 지정하는 피드백 프레임을, 상기 수신측 데이터통신장치에서 상기 수신측 데이터통신장치로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피드백 프레임에 의해 지정된 상기 첫번째의 요청 프레임 번호 (FB1(n))에 의거해서 상기 수신측 데이터통신장치가 확인하지 않은 데이터 프레임을, 상기 수신측 데이터통신장치에서 상기 수신측 데이터통신장치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통신방법을 이용하는 데이터통신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신측 데이터통신장치가 수신한 첫번째에서 n번째까지의 데이터 프레임의 프레임번호에 의거해서, 수신되지 않은 데이터 프레임의 프레임 번호중에서 프레임번호 ({FBM(n)+1}) (또는 {FBM(n)-1})로 이루어진 두 번째의 반복 프레임 번호(FB2(n))에서부터 프레임 번호 ({FBM(n)+(k-1)}) (또는 {FBM(n)-(k-1)}) (k는 2를 초과하는 정수)로 이루어진 k번째의 요청 프레임 번호 (FBk(n))까지를 생성하는 신호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또한 상기 신호처리부에서는 상기 첫번째 소정 조건이 만족될 경우에 상기 피드백 프레임 내에 포함되는 상기 요청 프레임 번호(FB1(n))를 상기 두 번째 요청 프레임 번호(FB2(n))로 대체하고, …, (k-1)번째의 조건이 만족될 경우에, 상기 (k-1)번째의 요청 프레임 번호(FB(k-1)(n))를 상기 k번째까지의 요청 프레임 번호(FBk(n))로 대체하며, 상기 신호처리부는, 상기 피드백 프레임 내에, 상기 첫번째에서 k번째까지의 요청 프레임 번호(FB1(n)∼(FBk(n)) 중 어느 하나를 지정하는 요청 식별자(識別子)를 포함하게 끔 하는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통신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첫번째 내지 K번째의 요청 프레임 번호 (FB1(n)∼(FBk(n))는 상기 수신된 피드백 프레임에 의해 지정된 상기 프레임 번호 및 상기 요청 식별자에 기초하여 구해져서 기억수단 내에 기억되며, 상기 수신측 데이터통신장치가 확인 하지 않을 프레임 번호의 데이터 프레임은, 상기 기억수단 내에 기억된 상기 첫번째 내지 K번째의 요청 프레임 번호 (FB1(n)∼(FBk(n))의 각각의 최후의 요청 프레임 번호에 의거해서 상기 수신측 데이터통신장치에서 상기 수신측 데이터통신장치로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통신장치.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70007140A 1996-03-06 1997-03-04 데이터통신방법및데이터통신장치 KR1004901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049278 1996-03-06
JP4927896 1996-03-06
JP96-081804 1996-04-03
JP08180496A JP3562124B2 (ja) 1996-03-06 1996-04-03 データ通信方法及びデータ通信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2801A true KR970072801A (ko) 1997-11-07
KR100490127B1 KR100490127B1 (ko) 2005-11-14

Family

ID=26389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7140A KR100490127B1 (ko) 1996-03-06 1997-03-04 데이터통신방법및데이터통신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5889790A (ko)
EP (1) EP0794630B1 (ko)
JP (1) JP3562124B2 (ko)
KR (1) KR100490127B1 (ko)
CN (1) CN1143474C (ko)
AU (1) AU709417B2 (ko)
DE (1) DE69731324T2 (ko)
MY (1) MY117997A (ko)
SG (1) SG86991A1 (ko)
TW (1) TW34341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58829B2 (ja) * 1996-02-05 2005-06-08 ソニー株式会社 データ通信方法
JP3825099B2 (ja) * 1996-09-26 2006-09-20 富士通株式会社 映像データ転送方式およびビデオサーバ装置
JPH10224328A (ja) * 1997-02-06 1998-08-21 Sony Corp データ通信方法及びデータ通信機
WO2000008796A1 (en) * 1998-08-07 2000-02-1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Group addressing in a packet communication system
US6434147B1 (en) 1999-01-08 2002-08-13 Nortel Netwoks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sequential ordering of missing sequence numbers in SREJ frames in a telecommunication system
US6587464B1 (en) 1999-01-08 2003-07-01 Nortel Networks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partial reporting of missing information frames in a telecommunication system
JP4015773B2 (ja) * 1999-03-10 2007-11-2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送受信装置
US6335933B1 (en) 1999-05-21 2002-01-01 Broadcom Homenetworking, Inc. Limited automatic repeat request protocol for frame-based communication channels
KR100539879B1 (ko) * 1999-06-29 2005-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시스템에서 라디오링크프로토콜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
US6275488B1 (en) * 1999-11-17 2001-08-14 Motorola, Inc. Variable rate spread spectrum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US20030169740A1 (en) * 2002-03-08 2003-09-11 Harris John M.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KR101366247B1 (ko) * 2007-03-19 2014-02-2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WO2008114943A1 (en) * 2007-03-19 2008-09-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Transmitting and receiving method and apparatus for digital television broadcasting data
US9132617B2 (en) 2011-11-08 2015-09-15 Michelle Subrin Scent releasing articles and methods for preparing the same
JP6014411B2 (ja) * 2012-08-15 2016-10-25 日本放送協会 無線通信を行う受信装置、受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2030539B2 (en) 2015-02-06 2024-07-09 Cattron North America, Inc. Devices, systems, and methods related to tracking location of operator control units for locomotives
US11046335B2 (en) * 2015-02-06 2021-06-29 Cattron North America, Inc. Devices, systems, and methods related to tracking location of operator control units for locomotives
US10023210B2 (en) * 2015-02-06 2018-07-17 Laird Technologies, Inc. Devices, systems, and methods related to tracking location of operator control units for locomotives
US11926353B2 (en) 2015-02-06 2024-03-12 Cattron North America, Inc. Devices, systems, and methods related to tracking location of operator control units for locomotives
JP7215427B2 (ja) * 2017-09-27 2023-01-31 ソニーグループ株式会社 無線lan通信装置、無線lan通信方法および無線lan通信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069762D1 (en) * 1980-08-26 1985-01-17 Ibm System for the retransmission of incorrectly received numbered frames in a data transmission system
US4841526A (en) * 1984-05-25 1989-06-20 Wilson Jon C Data communications system
US5210751A (en) * 1989-09-19 1993-05-11 Nippon Telegraph And Telephone Corporation Signal transmission system capable of performing re-transmission control in units of slots
JP2615509B2 (ja) * 1990-10-30 1997-05-28 富士通株式会社 通信装置
US5165091A (en) * 1991-03-20 1992-11-17 Nec America Inc. Firmware download from a remote terminal to an optical network terminal in a digital loop carrier system
US5754754A (en) * 1995-07-26 1998-05-1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Transmission order based selective repeat data transmission error recovery system and method
US5701312A (en) * 1996-04-01 1997-12-23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vely providing repeat messages in a radio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794630A3 (en) 1999-12-29
DE69731324T2 (de) 2005-10-20
MY117997A (en) 2004-08-30
DE69731324D1 (de) 2004-12-02
SG86991A1 (en) 2002-03-19
TW343411B (en) 1998-10-21
JP3562124B2 (ja) 2004-09-08
US5889790A (en) 1999-03-30
KR100490127B1 (ko) 2005-11-14
CN1168583A (zh) 1997-12-24
CN1143474C (zh) 2004-03-24
JPH09298528A (ja) 1997-11-18
AU1512597A (en) 1997-09-11
EP0794630B1 (en) 2004-10-27
EP0794630A2 (en) 1997-09-10
AU709417B2 (en) 1999-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72801A (ko) 데이터 통신 방법 및 데이터 통신 장치
CA2445300C (en) Method for compressing/decompressing a structured document
EA200000778A1 (ru) Расширяемая распределенная интеграционная система приложения для предприятия
KR940704099A (ko) 전송하기 위하여 데이터를 포맷화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the formatting of data for transmission)
US5023610A (en) Data compression method using textual substitution
KR920011270A (ko) 디지탈 전송용 코딩 방법 및 장치
KR970063971A (ko) 디지탈 통신용 에러 제어 방법 및 에러 제어 장치
KR850000095A (ko) 에러 정정을 위한 부호화 방법
KR920001885A (ko) 적어도 두개의 수신 분기를 구비하는 수신기
KR920020326A (ko) 제어 명령 처리 방법 및 장치
KR920702161A (ko) 텔렉텍스트 데이타의 전송방법 및 그 방법을 실시하는 설비
EP1398712B1 (en) Methods and apparata for generation, determination and transmission of identifiers
KR20050013961A (ko) 늦은 바인딩/동적 경로명 결정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980700778A (ko) 텔렉텍스트 데이터를 전송 및 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teletext data)
KR890007268A (ko) 에러 정정 부호화 장치
KR910009007A (ko) 통신 레스펀스(Response) 제어방법
KR930003592A (ko) 일련의 통신 시스템에 사용하기 위한 타임 슬롯 지정기 및 타임 슬롯 방법
KR970705269A (ko) 다른 패킷 타입 식별자를 사용하여 패킷으로 데이타를 송수신하는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packets using different packet type identifiers)
EP072169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unique and efficient use of a data structure for compressing data
KR960704433A (ko) 텔레텍스트 페이지 전송 방법(Method of transmitting teletext pages)
KR100282566B1 (ko) 칠 96의 타스크 모드 및 비 치환적 모듈 모드의 속성값 생성방법
JPH0773292B2 (ja) プロトコル符号化/復号化装置
DE3462367D1 (en) Tone source for telephone systems
SASAKI et al. An Error-Controlling Scheme Based on Different Importance of Segments of a Natural Language
SE9300363D0 (sv) Driftstoed i telekom- och oeppna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0304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2020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7030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07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030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5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505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904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