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17629A - 입력 신호 래치시 연장 마진을 갖는 반도체 메모리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입력 신호 래치시 연장 마진을 갖는 반도체 메모리 디바이스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70017629A KR970017629A KR1019960041591A KR19960041591A KR970017629A KR 970017629 A KR970017629 A KR 970017629A KR 1019960041591 A KR1019960041591 A KR 1019960041591A KR 19960041591 A KR19960041591 A KR 19960041591A KR 970017629 A KR970017629 A KR 97001762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put
- latch
- clock signal
- command
- address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0000003111 delayed effect Effects 0.000 claims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360 synchronis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78—Data input circuits, e.g. write amplifiers, data input buffers, data input registers, data input level conversion circuits
- G11C7/1093—Input synchronization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15—Read-write modes for single port memories, i.e. having either a random port or a serial port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78—Data input circuits, e.g. write amplifiers, data input buffers, data input registers, data input level conversion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ram (AREA)
- Static Random-Access Memory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17)
- 외부 클럭 신호로부터 내부 클럭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내부 클럭 신호 발생 수단; 입력된 어드레스를 래치하기 위한 어드레스 래치 회로, 입력된 커맨드를 래치하기 위한 커맨드 래치 회로, 및 입력된 기록 데이터를 래치하기 위한 기록 데이터 래치 회로를 포함하는 래치 선택 수단; 및 상기 내부 클럭 신호의 제1타이밍과 상기 어드레스 각각의 제2타이밍 간의 시간 차이가 선택적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어드레스 래치 회로에 의해 래치된 어드레스 키 및 상기 커맨드 래치 회로에 의해 래치된 모드 세팅 커맨드를 근거로 상기 어드레스 래치 회로, 상기 커맨드 래치 회로 및 상기 기록 데이터 래치 회로를 제어하기 위한 상태 세팅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커맨드 및 상기 기록 데이터가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디바이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세팅 수단은 어드레스 키의 적어도 한 비트를 사용하여 상기 시간 차이를 선택적으로 연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디바이스.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세팅 수단은 어드레스 키의 상기 적어도 한 비트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플립플롭을 포함하고 상기 어드레스 래치 회로, 상기 커맨드 래치 회로 및 상기 기록 데이터 래치 회로를 제어하기 위해 상기 모드 세팅 커맨드에 응답해서 어드레스 키의 상기 적어도 한 비트로부터 모드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디바이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된 시간 차이는 입력 홀드 타임에 대응하고 입력 셋업 타임은 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디바이스.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세팅 수단은 입력 홀드 타임 모드를 세트하기 위해 상기 어드레스키 및 상기 모드 세팅 커맨드로부터 모드 신호를 발생시키고, 입력 셋업 타임 모드는 입력 홀드 타임 모드가 세트되지 않을 때 통상 세트되고, 상기 어드레스 래치 회로, 상기 커맨드 래치 회로 및 상기 기록 데이터 래치 회로 각각은 상기 내부 클럭 신호에 응답해서 래치 입력을 래치하기 위한 래치 수단; 및 상기 어드레스, 상기 커맨드 및 상기 기록 데이터 중 대응하는 하나를 입력 셋업 타임 모드에서 상기 래치 입력으로서 상기 래치 수단에 통상 제공하고, 상기 입력 홀드 타임 모드에서 상기 래치 입력으로서 상기 래칭 수단에 지연된 대응하는 하나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대응하는 하나를 지연시키기 위한 지연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디바이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된 시간 차이는 입력 셋업 타임이고 입력 홀드 타임은 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디바이스.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세팅 수단은 입력 셋업 타임 모드를 세트하기 위해 상기 어드레스 키 및 상기 모드 세팅 커맨드로부터 모드 신호를 발생시키고, 입력 홀드 타임 모드는 입력 셋업 타임 모드가 세트되지 않을 때 통상 세트되며, 상기 어드레스 래치 회로, 상기 커맨드 래치 회로 및 상기 기록 데이터 래치 회로 각각은 래치 클럭 신호에 응답해서 상기 어드레스, 상기 커맨드 및 상기 기록 데이터 중 대응하는 하나를 래치하기 위한 래치 수단 및 상기 내부 클럭 신호를 입력 홀드 타임 모드에서 상기 래치 클럭 신호로서 상기 래치 수단에 통상 제공하고, 상기 입력 셋업 타임 모드에서 상기 래치 클럭 신호로서 상기 래칭 수단에 지연된 내부 클럭 신호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내부 클럭 신호를 지연시키기 위한 지연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디바이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된 시간 차이는 입력 셋업 타임 및 입력 홀드 타임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디바이스.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세팅 수단은 모드 신호가 비활성 상태일 때 입력 셋업 타임 모드를 세트하고 모드 신호가 활성 상태일 때 입력 각도 타임을 세트하기 위해 상기 어드레스 키 및 상기 모드 세팅 커맨드로부터 모드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어드레스 래치 회로, 상기 커맨드 래치 회로 및 상기 기록 데이터 래치 회로 각각은 래치 클럭 신호에 응답해서 래치 입력을 래치하기 위한 래치 수단; 및 상기 내부 클럭 신호를 입력 홀드 타임 모드에서 상기 래치 클럭 신호로서 상기 래치 수단에 동상 제공하고, 상기 입력 홀드 타임 모드에서 상기 래치 입력으로서 상기 래칭 수단에 지연된 대응하는 하나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어드레스, 상기 커맨드 및 상기 기록 데이터 중 상기 대응하는 하나를 지연시키고, 입력 셋업 타임 모드에서 상기 래치 입력으로서 상기 래치 수단에 대응하는 하나를 통상 제공하고, 상기 입력 셋업 타임 모드에서 상기 래치 블럭 신호로서 상기 래칭 수단에 지연된 내부 블럭 신호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내부 클럭 신호를 지연시키기 위한 지연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디바이스.
- 사용자가 입력 셋업 타임 사용 및 입력 홀드 타임 사용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반도체 메모리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외부 클럭 신호로부터 내부 클럭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 사용자 선택에 따라 입력 셋업 타임 모드 및 입력 홀드 타임 모드를 세팅하는 단계; 어드레스 키 및 커맨드에 근거하여 세트된 모드에 따라 상기 내부 클럭 신호의 제1타이밍과 변경될 어드레스, 커맨드 및 기록 데이터 각각의 제2타이밍간의 시간 차이를 연장시키는 단계; 및 상기 반도체 메모리 디바이스의 메모리 셀 어레이에 액세스하기 위해 연장된 시간 차이를 사용하여 내부 클럭 신호에 응답해서 상기 어드레스, 상기 커맨드 및 상기 기록 데이터를 래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디바이스 제공 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세팅 단계는 사용자 선택을 위해 상기 반도체 메모리 디바이스에 어드레스 키 및 커맨드를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디바이스 제공 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입력 홀드 타임 모드를 선택하고 입력 셋업 타임 모드는 상기 반도체 메모리 디바이스에서 통상 세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디바이스 제공 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단계는 상기 어드레스 신호, 상기 커맨드 신호 및 상기 기록 데이터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 셋업 타임 모드에서 래치 입력으로서 통상 제공하는 단계; 상기 입력 홀드 타임 모드에서 상기 래치 입력으로서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지연시키는 단계; 및 상기 내부 클럭 신호에 응답해서 상기 래치 입력을 래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디바이스 제공 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입력 셋업 타임 모드를 선택하고 입력 홀드 타임 모드는 상기 반도체 메모리 디바이스에서 통상 세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디바이스 제공 방법.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단계는 입력 홀드 타임 모드에서 래치 클럭 신호로서 상기 내부 클럭 신호를 통상 제공하는 단계; 상기 입력 셋업 타임 모드에서 상기 래치 클럭 신호로서의 상기 내부 클럭 신호를 지연시키는 단계, 및 상기 래치 클럭 신호에 응답해서 어드레스, 커맨드 및 기록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래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디바이스 제공 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반도체 메모리 디바이스에서 선택 가능한 입력 셋업 타임 모드 및 입력 홀드 타임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디바이스 제공 방법.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단계는 입력 홀드 타임 모드에서 래치 클럭 신호로서 상기 내부 클럭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 입력 홀드 타임 모드에서 래치 입력으로서의 어드레스 신호, 커맨드 신호 및 기록 데이터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지연시키는 단계; 상기 입력 셋업 타임 모드에서 상기 래치 입력으로서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입력 셋업 타임 모드에서 상기 래치 클럭 신호로서의 상기 내부 클럭 신호를 지연시키는 단계; 및 상기 래치 클럭 신호에 응답해서 상기 래치 입력을 래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디바이스 제공 방법.※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7273616A JP2907081B2 (ja) | 1995-09-26 | 1995-09-26 | 半導体記憶装置 |
JP95-273616 | 1995-09-26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70017629A true KR970017629A (ko) | 1997-04-30 |
KR100222812B1 KR100222812B1 (ko) | 1999-10-01 |
Family
ID=17530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60041591A KR100222812B1 (ko) | 1995-09-26 | 1996-09-23 | 입력 신호 래치시 연장 마진을 갖는 반도체 메모리 디바이스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5748553A (ko) |
EP (1) | EP0766251B1 (ko) |
JP (1) | JP2907081B2 (ko) |
KR (1) | KR100222812B1 (ko) |
DE (1) | DE69619918T2 (ko) |
TW (1) | TW318934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988392B2 (ja) * | 1996-08-09 | 1999-12-13 | 日本電気株式会社 | 半導体メモリ集積回路 |
JPH10162573A (ja) * | 1996-11-29 | 1998-06-19 | Nec Corp | 半導体記憶装置 |
KR100230407B1 (ko) * | 1997-02-17 | 1999-11-15 | 윤종용 | 반도체장치의 클럭 발생회로 및 클럭발생방법 |
US5912846A (en) * | 1997-02-28 | 1999-06-15 | Ramtron International Corporation | Serial ferroelectric random access memory architecture to equalize column accesses and improve data retention reliability by mitigating imprint effects |
JP4059951B2 (ja) * | 1997-04-11 | 2008-03-12 | 株式会社ルネサステクノロジ | 半導体記憶装置 |
US5848022A (en) * | 1997-05-02 | 1998-12-08 | Integrated Silicon Solution Inc. | Address enable circuit in synchronous SRAM |
US5930182A (en) * | 1997-08-22 | 1999-07-27 | Micron Technology, Inc. | Adjustable delay circuit for setting the speed grade of a semiconductor device |
DE19964449B4 (de) * | 1998-06-30 | 2013-01-31 | Fujitsu Semiconductor Ltd. | Integrierte Halbleiterschaltung |
US6279071B1 (en) * | 1998-07-07 | 2001-08-21 | Mitsubishi Electric And Electronics Usa, Inc. | System and method for column access in random access memories |
JP4034886B2 (ja) * | 1998-10-13 | 2008-01-16 | 富士通株式会社 | 半導体装置 |
US20050132128A1 (en) * | 2003-12-15 | 2005-06-16 | Jin-Yub Lee | Flash memory device and flash memory system including buffer memory |
US9171600B2 (en) | 2013-09-04 | 2015-10-27 | Naoki Shimizu | Semiconductor memory device |
Family Cites Familie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60003526B1 (ko) * | 1992-10-02 | 1996-03-14 | 삼성전자주식회사 | 반도체 메모리장치 |
US4763303A (en) * | 1986-02-24 | 1988-08-09 | Motorola, Inc. | Write-drive data controller |
JPS63253592A (ja) * | 1987-04-10 | 1988-10-20 | Nec Corp | 集積回路 |
JP2830594B2 (ja) * | 1992-03-26 | 1998-12-02 | 日本電気株式会社 | 半導体メモリ装置 |
JPH0737389A (ja) * | 1993-07-20 | 1995-02-07 | Mitsubishi Electric Corp | 半導体装置 |
US5493530A (en) * | 1993-08-26 | 1996-02-20 | Paradigm Technology, Inc. | Ram with pre-input register logic |
JP2697633B2 (ja) * | 1994-09-30 | 1998-01-14 | 日本電気株式会社 | 同期型半導体記憶装置 |
JP2697634B2 (ja) * | 1994-09-30 | 1998-01-14 | 日本電気株式会社 | 同期型半導体記憶装置 |
-
1995
- 1995-09-26 JP JP7273616A patent/JP2907081B2/ja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6
- 1996-08-28 TW TW085110461A patent/TW318934B/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6-09-04 DE DE69619918T patent/DE69619918T2/de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6-09-04 EP EP96114143A patent/EP0766251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6-09-12 US US08/712,875 patent/US5748553A/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6-09-23 KR KR1019960041591A patent/KR100222812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222812B1 (ko) | 1999-10-01 |
JP2907081B2 (ja) | 1999-06-21 |
US5748553A (en) | 1998-05-05 |
TW318934B (ko) | 1997-11-01 |
JPH0991956A (ja) | 1997-04-04 |
EP0766251A2 (en) | 1997-04-02 |
EP0766251B1 (en) | 2002-03-20 |
EP0766251A3 (en) | 1999-09-15 |
DE69619918D1 (de) | 2002-04-25 |
DE69619918T2 (de) | 2002-09-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543934B1 (ko) |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서 어드레스 및 데이터 억세스타임을 고속으로 하는 제어 및 어드레스 장치 | |
KR970017629A (ko) | 입력 신호 래치시 연장 마진을 갖는 반도체 메모리 디바이스 | |
US20080123460A1 (en) | Deep power down mode control circuit | |
KR960005605A (ko) | 반도체 기억장치 | |
KR20000023160A (ko) | 데이터출력타이밍을 제어하는 회로를 갖는 반도체메모리장치 | |
JP4061029B2 (ja) | 半導体メモリ装置、バッファ及び信号伝送回路 | |
US20010021136A1 (en) | Auto precharge control signal generating circuits for semiconductor memory devices and auto precharge control methods | |
US7154316B2 (en) | Circuit for controlling pulse width | |
KR100310715B1 (ko) | 동기형반도체기억장치 | |
KR970060222A (ko) | 동기형 반도체 메모리 장치 | |
KR19980030999A (ko) | 동기식 메모리장치의 내부 클락 발생기 | |
US6754112B2 (en) | Integrated circuit devices having delay circuits for controlling setup/delay times of data signals that are provided to memory devices | |
KR100455370B1 (ko) | 칼럼선택라인 디스에이블 제어회로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 메모리장치 | |
KR970017609A (ko) | 반도체기억장치 | |
US6169703B1 (en) | Method for controlling high speed digital electronic memory | |
KR100386949B1 (ko) | 디지털 데이터 처리 시스템 | |
KR100438375B1 (ko) | 반도체메모리소자의 어드레스 입력 장치 및 방법 | |
KR100510458B1 (ko) | 동기식 반도체 기억 장치를 위한 어드레스 래치장치 및 방법 | |
US6148385A (en) | High speed digital electronic memory having a read and write in one cycle | |
KR100583834B1 (ko) | 논 파워다운 모드에서 전류 소모 감소를 위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상기 메모리 장치를 이용한 메모리 시스템 | |
KR20090007122A (ko) | 보안기능을 갖는 레지스터 및 이를 구비하는 컴퓨터 시스템 | |
KR970051226A (ko) | 버스트 모드를 지원하는 내부 컬럼 어드레스 발생 회로 | |
JP2774752B2 (ja) | クロック同期型半導体記憶装置およびそのアクセス方法 | |
KR100256122B1 (ko) | 동기식 메모리 소자의 비트별 기록 제어 회로 | |
JPH04299752A (ja) | マイクロプロセッサ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6092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6092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902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062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07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199907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206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306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406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5062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6062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7062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8062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062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707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617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621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1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621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626 Year of fee payment: 1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626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626 Year of fee payment: 1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626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28 Year of fee payment: 1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628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 |
|
EXPY | Expiration of term | ||
PC1801 | Expiration of term |